KR20150104952A - Touch window - Google Patents

Touch window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4952A
KR20150104952A KR1020140026992A KR20140026992A KR20150104952A KR 20150104952 A KR20150104952 A KR 20150104952A KR 1020140026992 A KR1020140026992 A KR 1020140026992A KR 20140026992 A KR20140026992 A KR 20140026992A KR 20150104952 A KR20150104952 A KR 20150104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electrode
touch window
antireflection
layer
antireflectio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69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87469B1 (en
Inventor
홍범선
김인태
이정기
이준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6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469B1/en
Priority to US14/637,868 priority patent/US9354659B2/en
Publication of KR20150104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49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4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17/9622Capacitive touch switches using a plurality of detectors, e.g.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2017/9602Touch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shape of the sensing electrodes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uch window comprises a substrate, and an electrode unit arranged in mesh form on the substrate. The electrode unit comprises: a main pattern and a sensing electrode for sensing a position by being arranged on the main pattern; and a reflection preventing layer arranged on the sensing electrode. The reflection preventing layer of the touch window includes at least a portion area having a curved shape and comprises the surface area of the upper surface, which is greater than the surface area of the sensing electrode.

Description

터치 윈도우{TOUCH WINDOW}Touch window {TOUCH WINDOW}

본 기재는 터치 윈도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touch window.

최근 다양한 전자 제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상에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stylus) 등의 입력 장치를 접촉하는 방식으로 입력을 하는 터치 패널이 적용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a touch panel has been applied to an image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in various electronic products by a method of touching an input device such as a finger or a stylus.

터치 패널은 대표적으로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과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로 구분될 수 있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입력 장치에 압력을 가했을 때 전극 간 연결에 따라 저항이 변화하는 것을 감지하여 위치가 검출된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손가락이 접촉했을 때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이 변화하는 것을 감지하여 위치가 검출된다. 제조 방식의 편의성 및 센싱력 등을 감안하여 소형 모델에 있어서는 최근 정전 용량 방식이 주목받고 있다.The touch panel is typically divided into a resistive touch panel and a capacitive touch panel. The resistance film type touch panel senses that the resistance changes according 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odes when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input device, and the position is detected. A capacitance type touch panel senses a change in electrostatic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when a finger touches them, thereby detecting the position.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sensing power, recently, in a small model, the electrostatic capacity method has attracted attention.

이러한 터치 패널의 투명 전극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은 가격이 비싸고, 기판의 굽힘과 휨에 의해 물리적으로 쉽게 타격을 받아 전극으로의 특성이 악화되고, 이에 의해 플렉시블(flexible) 소자에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형 크기의 터치 패널에 적용할 경우 높은 저항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한다. Indium tin oxide (ITO), which is most widely used as a transparent electrode of a touch panel, is expensive and is physically easily hit by bending and warping of the substrate, thereby deterior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ode. As a result, flexible) devices. In addition, when applied to a large size touch panel, a problem arises due to high resistanc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체 전극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금속 물질을 전극 형상으로 형성하여 ITO를 대체하고자 하나, 금속의 경우, 빛 반사로 인해 시인성이 증가하여 투명 전극의 패턴이 보이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active researches on alternative electrodes are under way. In particular, a metal material is formed in an electrode shape to replace ITO. However, in the case of a metal, a visibility may increase due to light reflection, thereby causing a problem of a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being visible.

실시예는 시인성이 개선된 터치 윈도우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provide a touch window with improved visibilit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원도우는, 기판; 및 기판 상에 메쉬 형상으로 배치되는 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부는, 메인 패턴 및 상기 메인 패턴 상에 배치되어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전극; 및 상기 감지전극 상에 배치되는 반사방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방지층은, 상면의 면적이 상기 감지전극 상면의 면적보다 넓고, 적어도 일부가 곡면 형상인 터치 윈도우.In the touch window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oard; And an electrode part arranged in a mesh shape on the substrate, wherein the electrode part includes a main pattern and a sensing electrode disposed on the main pattern and sensing a position; And an antireflection layer disposed on the sensing electrode, wherein the antireflection layer has a top surface area larger than an area of the top surface of the sensing electrode, and at least a part of the top surface has a curved surface shap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원도우의 상기 반사방지층은 반구 형상을 가지는 터치 윈도우.The anti-reflection layer of the touch window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mispherical touch window.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원도우의 상기 반사방지층의 반지름을 R로 정의할 때 하기의 수학식 1을 충족하는 터치 윈도우.The touch window satisfies the following expression (1) when defining the radius of the antireflection layer of the touch window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R.

수학식 1Equation 1

0.1<1um/R<=100.1 < lum / R < = 1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원도우의 상기 반사방지층의 원호의 각도는 45도 내지 180도의 범위를 가지는 터치 윈도우.Wherein the angle of the arc of the antireflection layer of the touch window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range of 45 to 180 degre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원도우의 상기 반사방지층의 원호의 각도는 120도 내지 150도의 범위를 가지는 터치 윈도우.The angle of the arc of the antireflection layer of the touch window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range of 120 to 150 degre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원도우의 상기 반사방지층의 일부는 상기 감지전극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터치 윈도우.Wherein a part of the antireflection layer of the touch window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part from the sensing electro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원도우의 상기 반사방지층의 선폭이 상기 감지전극의 선폭보다 넓은 터치 윈도우.Wherein the line width of the anti-reflection layer of the touch window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r than the line width of the sensing electro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원도우의 상기 반사방지층은 제1 반사방지부 및 상기 제1 반사방지부를 둘러싸는 제2 반사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반사방지부는 상기 감지전극의 측면에 배치되는 터치 윈도우.The anti-reflection layer of the touch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anti-reflection portion and a second anti-reflection portion surrounding the first anti-refl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anti-reflection portion is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detection electrode Touch window.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원도우의 상기 제2 반사방지부는 상기 감지전극의 측면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터치 윈도우.Wherein the second antireflection portion of the touch window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part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sensing electro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원도우의 상기 제2 반사방지부는 상기 제1 반사방지부로부터 상기 기판을 향해 구부러지는 터치 윈도우.Wherein the second anti-reflection portion of the touch window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from the first anti-reflection portion toward the substrat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원도우의 상기 반사방지부는 상기 제2 반사방지부로부터 연장되어 구부러지는 제3 반사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The touch window of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third anti-reflection unit extending from the second anti-reflection unit and ben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원도우의 상기 반사방지층의 끝단은 상기 감지전극의 상면의 높이보다 낮게 배치되는 터치 윈도우.Wherein the edge of the anti-reflection layer of the touch window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ing electro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원도우의 상기 감지전극은 구리(Cu), 금(Au), 은(Ag), 알루미늄(Al), 티타늄(Ti), 니켈(Ni) 또는 이들의 합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The sensing electrode of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t least one of copper (Cu), gold (Au), silver (Ag), aluminum (Al), titanium (Ti), nickel (Ni) Touch window containing on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터치 윈도우; 및 상기 터치 윈도우 상에 배치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윈도우는, 기판; 및 기판 상에 메쉬 형상으로 배치되는 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부는, 메인 패턴 및 상기 메인 패턴 상에 배치되어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전극; 및 상기 감지전극 상에 배치되는 반사방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방지층은, 상면의 면적이 상기 감지전극 상면의 면적보다 넓고, 적어도 일부가 곡면 형상인 터치 윈도우.A touch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window; And a driver disposed on the touch window, wherein the touch window comprises: Board; And an electrode part arranged in a mesh shape on the substrate, wherein the electrode part includes a main pattern and a sensing electrode disposed on the main pattern and sensing a position; And an antireflection layer disposed on the sensing electrode, wherein the antireflection layer has a top surface area larger than an area of the top surface of the sensing electrode, and at least a part of the top surface has a curved surface shap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원도우의 상기 반사방지층은 반구 형상을 가지는 터치 윈도우.The anti-reflection layer of the touch window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mispherical touch window.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원도우의 상기 반사방지층의 반지름을 R로 정의할 때 하기의 수학식 1을 충족하는 터치 윈도우.The touch window satisfies the following expression (1) when defining the radius of the antireflection layer of the touch window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R.

수학식 1Equation 1

0.1<1um/R<=100.1 < lum / R < = 1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원도우의 상기 반사방지층의 원호의 각도는 45도 내지 180도의 범위를 가지는 터치 윈도우.Wherein the angle of the arc of the antireflection layer of the touch window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range of 45 to 180 degrees.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감지전극 상에 배치되는 반사방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방지층의 상면의 면적이 상기 전극 상면의 면적보다 넓다. 특히 상기 반사방치층은 적어도 일부가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반사방지층의 반지름의 범위를 조절하고 상기 반사방지층의 양 끝단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여 전극의 빛 반사로 인한 시인성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방지층이 상기 감지전극의 상면뿐만 아니라, 측면의 반사율도 낮출 수 있어, 시인성에 유리하다. 또한, 넓은 시야각에서도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전극의 광학적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The touch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n antireflection layer disposed on the sensing electrode, and the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antireflection layer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de. In particular, at least a part of the reflective and / or reflective layer may have a curved shape, and the range of the radius of the antireflection layer may be adjusted and the angle formed by both ends of the antireflection layer may be adjusted to prevent an increase in visibility have. Also, the antireflection layer can lower the reflectance of not only the top surface but also the side surface of the sensing electrode, which is advantageous for visibility. Further, visibility can be improved even at a wide viewing angle. Therefore,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sensing electrode can be improved.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점선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원도우의 제조 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
1 is a plan view of a touch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tion cut along the line A-A 'in FIG. 1; FIG.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 dotted line portion in Fig. 2; Fig.
4 to 11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ouch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ouch windo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to 15 are perspective views of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touch windo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윈도우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a touch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the drawings, the size and thickness of an apparatus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원도우><Touch window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점선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First, a touch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FIG. 1 is a plan view of a touch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and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 dotted line portion of FIG.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10)는 입력 장치(예를 들어, 손가락 등)의 위치를 감지하는 유효 영역(AA)과 이 유효 영역(AA)의 주위에 배치되는 비유효 영역(UA)이 정의되는 기판(100)을 포함할 수 있다.1, the touch window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valid area AA for sensing the position of an input device (e.g., a finger or the like), and a non-valid area AA disposed around the valid area AA And may include a substrate 100 on which a region UA is defined.

여기서, 유효 영역(AA)에는 입력 장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감지전극(400)을 포함하는 전극부(2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비유효 영역(UA)에는 상기 전극부(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60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비유효 영역(UA)에는 상기 배선(600)에 연결되는 외부 회로 등이 위치할 수 있다.Here, the electrode unit 20 including the sensing electrode 400 may be formed in the effective area AA to sense the input device. A wiring 600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de unit 20 may be formed in the non-effective area UA. An external circuit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wiring 600 may be located in the ineffective area UA.

이와 같은 터치 윈도우에 손가락 등의 입력 장치가 접촉되면, 입력 장치가 접촉된 부분에서 정전 용량의 차이가 발생하고, 이러한 차이가 발생한 부분을 접촉 위치로 검출할 수 있다.When an input device such as a finge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such a touch window, a capacitance difference occurs at a portion where the input device is contacted, and a portion where such a difference occurs can be detected as the contact position.

이러한 터치 윈도우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touch window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1에서는 터치 윈도우(10)는, 전극부(20)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부(20)는 메쉬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1, the touch window 10 includes an electrode unit 20, and the electrode unit 20 may be disposed in a mesh shape.

기판(100)은 이 위에 형성되는 전극부(20), 배선(600) 및 회로 기판 등을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판(100)은 일례로 유리 기판 또는 폴리이미드(Polyimide) 등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ubstrate 100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capable of supporting the electrode unit 20, the wiring 600, and the circuit substrate formed thereon. The substrate 100 may be a glass substrate or a plastic substrate including a polyimide.

기판(100)의 비유효 영역(UA)에 외곽 더미층이 형성될 수 있다. An outer dummy layer may be formed in the ineffective area UA of the substrate 100. [

외곽 더미층은 배선(600)과 이 배선(600)을 외부 회로에 연결하는 인쇄 회로 기판 등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게 소정의 색을 가지는 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outer dummy layer may be formed by applying a wiring 600 and a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ing the wiring 600 to an external circuit so that the wiring 600 and the wiring 600 are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외곽 더미층은 원하는 외관에 적합한 색을 가질 수 있는데, 일례로 흑색 안료 등을 포함하여 흑색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이 외곽 더미층에는 다양한 방법으로 원하는 로고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외곽 더미층은 증착, 인쇄, 습식 코팅 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dummy layer may have a color suitable for a desired appearance, for example, a black color including black pigment and the like. A desired logo can be formed on the outer dummy layer by various methods. Such an outer dummy layer can be formed by vapor deposition, printing, wet coating or the like.

기판(100) 상에는 전극부(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부(20)는 손가락 등의 입력 장치가 접촉되었는지 감지할 수 있다. The electrode portion 20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100. The electrode unit 20 can detect whether or not an input device such as a finger is in contact.

구체적으로, 상기 전극부(20)는 메쉬 개구부(OA) 및 메쉬 선부(L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쉬 선부(LA)의 선폭이 0. 1 ㎛ 내지 10 ㎛ 가 될 수 있다. 선폭이 0. 1 ㎛ 이하인 메쉬 선부(LA)는 제조 공정 상 불가능할 수 있다. 선폭이 10 ㎛ 이하일 경우, 전극부(20)의 패턴이 눈에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쉬 선부(LA)의 선폭은 1 ㎛ 내지 5 ㎛일 수 있다. Specifically, the electrode unit 20 may include a mesh opening OA and a mesh line LA. At this time, the line width of the mesh line portion LA may be 0.1 mu m to 10 mu m. The mesh line portion LA having a line width of 0.1 mu m or less may not be possibl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When the line width is 10 탆 or less, the pattern of the electrode portion 20 can be made invisible. Preferably, the line width of the mesh line portion LA may be between 1 탆 and 5 탆.

한편, 메쉬 개구부(OA)는 사각형 형상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메쉬 개구부(OA)는 다이아몬드형, 오각형, 육각형의 다각형 형상 또는 원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esh opening OA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However,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mesh opening OA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diamond shape, a pentagon, a hexagonal polygonal shape, or a circular shape.

상기 전극부(20)가 메쉬 형상을 가짐으로써, 유효 영역(AA) 상에서 상기 전극부(20)의 패턴이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전극부(20)가 금속으로 형성되어도, 패턴이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부(20)가 대형 크기의 터치 윈도우에 적용되어도 터치 윈도우의 저항을 낮출 수 있다. Since the electrode portion 20 has a mesh shape, the pattern of the electrode portion 20 can be made invisible on the effective region AA. That is, even if the electrode portion 20 is formed of metal, the pattern can be made invisible. Also, even if the electrode unit 20 is applied to a touch window of a large size, the resistance of the touch window can be reduced.

상기 전극부(20)는 서브패턴(200), 메인패턴(300), 감지전극(400) 및 반사방지층(50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electrode unit 20 may include a sub pattern 200, a main pattern 300, a sensing electrode 400, and an antireflection layer 500.

상기 서브패턴(200)은 상기 기판(100) 상에 배치된다. The sub pattern 200 is disposed on the substrate 100.

상기 서브패턴(200)은 상기 메쉬 선부(LA)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패턴(200)은 메쉬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서브패턴(200)은 양각일 수 있다.The sub pattern 200 is disposed on the mesh line portion LA. Accordingly, the sub patterns 200 may be arranged in a mesh shape, and the sub patterns 200 may be embossed.

한편, 상기 서브패턴(200)에 인접하여 메인패턴(300)이 배치된다. Meanwhile, the main pattern 30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ub pattern 200.

상기 메인패턴(300)은 상기 기판(100) 상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패턴(300)은 상기 메쉬 개구부(OA)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패턴(300)은 상기 서브패턴(200) 사이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패턴(300)은 양각일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메인패턴(300)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곡면을 이루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main pattern 300 is disposed on the substrate 100 and the main pattern 300 is disposed on the mesh opening OA. Accordingly, the main pattern 3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ub patterns 200, and the main pattern 300 may be embossed. In this case, at least a part of the main pattern 300 may have a curved surface Can be formed.

상기 서브패턴(200) 및 상기 메인패턴(300)은 수지(resin) 또는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ub pattern 200 and the main pattern 300 may include a resin or a polymer.

상기 감지전극(400)은 상기 메인패턴(300) 상에 배치되고, 이 때 상기 감지전극(400)은 상기 메인 패턴(300)에 대응되는 형상, 즉 적어도 일부가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전극(400)은 상기 메쉬 선부(LA)에 배치되고, 상기 감지전극(400)은 메쉬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sensing electrode 400 is disposed on the main pattern 300. The sensing electrode 40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main pattern 300, that is, at least a portion of the sensing electrode 400 may have a curved shape. The sensing electrode 400 may be disposed on the mesh line LA and the sensing electrode 400 may be disposed on the mesh.

상기 감지전극(400)은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감지전극(400)은 구리(Cu), 금(Au), 은(Ag), 알루미늄(Al), 티타늄(Ti), 니켈(Ni) 또는 이들의 합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감지전극(400)이 적용된 터치 윈도우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sensing electrode 400 may include a metal material having excellent electrical conductivity. For example, the sensing electrode 4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copper (Cu), gold (Au), silver (Ag), aluminum (Al), titanium (Ti), nickel . Accordingly,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touch window to which the sensing electrode 400 is applied can be improved.

상기 반사방지층(500)은 상기 메인패턴(300)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반사방지층(500)은 상기 감지전극(400)의 상면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반사 방지층(500)은 상기 메인 패턴(3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 즉 적어도 일부가 곡면 형상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방지층(500)은 상기 메쉬 선부(LA)에 배치되고, 상기 반사방지층(500)은 메쉬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antireflection layer 500 may be disposed on the main pattern 300 and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ing electrode 400. Therefore,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main pattern 300, that is, at least a part of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may be curved.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may be disposed on the mesh line portion LA, and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may be disposed in a mesh shape.

한편 상기 반사방지층(500)은 상기 감지전극(400)의 상면(400a)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방지층(500)은 상기 감지전극(400)이 이루는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반사방지층(500)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anti-reflection layer 50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400a of the sensing electrode 400. Referring to FIG.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ensing electrode 400, so that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may have a curved shape in at least a part of the area.

상기 반사방지층(500)의 상면(500a)의 면적은 상기 감지전극(400) 상면(400a)의 면적보다 넓다. 따라서, 상기 반사방지층(500)은 상기 감지전극(400)의 상면(400a)을 전체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The area of the upper surface 500a of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upper surface 400a of the sensing electrode 400. [ Therefore,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may cover the upper surface 400a of the sensing electrode 400 as a whole.

또한, 상기 반사방지층(500)의 선폭(L2)이 상기 감지전극(400)의 선폭(L1)보다 넓다. 즉, 상기 반사방지층(500)의 일 단면의 길이(L2)가 상기 감지전극(400)의 일 단면의 길이(L1)보다 길다. In addition, the line width L2 of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is wider than the line width L1 of the sensing electrode 400. That is, the length L2 of one end face of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is longer than the length L1 of the one end face of the sensing electrode 400.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전극(400)의 선폭(L1)과 상기 반사방지층(500)의 선폭(L2)의 비는 1:1.3 내지 1:2 일 수 있다. Specifically, the ratio of the line width L1 of the sensing electrode 400 to the line width L2 of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may be 1: 1.3 to 1: 2.

상기 감지전극(400)의 선폭(L1)과 상기 반사방지층(500)의 선폭(L2)의 비가 1:1.3보다 작을 경우, 상기 반사방지층(500)이 상기 감지전극(400)의 상면(400a)을 충분히 커버하기 어려워 반사방지역할을 하기 어려울 수 있다. When the ratio of the line width L1 of the sensing electrode 400 to the line width L2 of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is less than 1: 1.3,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400a of the sensing electrode 400, It is difficult to sufficiently prevent the reflection.

또한, 제조 공정 상 상기 감지전극(400)의 선폭(L1)과 상기 반사방지층(500)의 선폭(L2)의 비가 1:2보다 크기 어려울 수 있다.Also, the ratio of the line width L1 of the sensing electrode 400 to the line width L2 of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may be less than 1: 2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한편, 상기 반사방지층(500)의 일부는 상기 감지전극(400)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반사방지층(500)의 일부는 상기 감지전극(400)으로부터 일정 거리(D)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A part of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nsing electrode 400. That is, a part of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may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D from the sensing electrode 400.

구체적으로, 상기 반사방지층(500)은 제1 반사방지부(510) 및 제2 반사방지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may include a first anti-reflection portion 510 and a second anti-reflection portion 520.

상기 제2 반사방지부(520)는 상기 제1 반사방지부(510)를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제2 반사방지부(520)는 상기 제1 반사방지부(510)의 외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반사방지부(510)는 상기 감지전극(400)의 상면(400a)에 배치된다. 상기 제2 반사방지부(520)는 상기 제1 반사방지부(51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감지전극(400)의 측면(400e)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2 반사방지부(520)는 상기 감지전극(400)의 측면(400e)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anti-reflection unit 520 may surround the first anti-reflection unit 510. The second anti-reflection unit 52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first anti-reflection unit 510. The first anti-reflection unit 51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400a of the sensing electrode 400. [ The second antireflection portion 520 extends from the first antireflection portion 510 and is disposed on a side surface 400e of the sensing electrode 400. [ At this time, the second antireflection portion 520 may be disposed apart from the side surface 400e of the sensing electrode 400.

즉, 상기 제2 반사방지부(520)는 상기 감지전극(400)의 측면(400e)과 접촉하지 않고, 일정 거리(D)만큼 떨어져서 배치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antireflection portion 52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ide surface 400e of the sensing electrode 4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 without contacting the side surface 400e.

상기 제2 반사방지부(520)는 상기 제1 반사방지부(510)로부터 상기 기판(100)을 향해 구부러질 수 있다. 즉, 상기 제2 반사방지부(520)는 상기 제1 반사방지부(510)로부터 아래쪽으로 절곡되거나 벤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반사방지층(500)의 끝단(500e)은 상기 감지전극(400)의 상면(400a)의 높이(400aH)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2 반사방지부(520)는 상기 감지전극(400)의 측면(400e)을 둘러쌀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반사방지부(520)는 상기 감지전극(400)의 측면(500e)의 반사율을 낮출 수 있고, 넓은 시야각 면에서도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second anti-reflection unit 520 may be bent from the first anti-reflection unit 510 toward the substrate 100. That is, the second antireflection portion 520 may be bent or bent downward from the first antireflection portion 510. The end 500e of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may be disposed lower than the height 400aH of the upper surface 400a of the sensing electrode 400. [ Accordingly, the second antireflection portion 520 may surround the side surface 400e of the sensing electrode 400. [ Accordingly, the second antireflection portion 520 can lower the reflectance of the side surface 500e of the sensing electrode 400, and improve the visibility even in a wide viewing angle.

상기 반사방지층(500)은 구리(Cu), 금(Au), 은(Ag), 알루미늄(Al), 티타늄(Ti), 니켈(Ni), 크롬(Cr) 및 납(Pd) 또는 이들의 합금을 산화하여 형성된 물질일 수 있다.The antireflection layer 500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pper (Cu), gold (Au), silver (Ag), aluminum (Al), titanium (Ti), nickel (Ni), chromium (Cr) Or the like.

즉 상기 반사방지층(500)은 금속 산화물, 금속 질화물 및 금속산화질화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전극(400)이 제1 금속을 포함할 때, 상기 반사방지층(500)은 상기 제1 금속을 포함하는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방지층(500)은 흑화층일 수 있다. That is,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etal oxide, a metal nitride, and a metal oxide nitride. In addition, when the sensing electrode 400 includes the first metal,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may include an oxide including the first metal. Also,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may be a blackening layer.

한편 상기 반사방지층(500)은 메인패턴(300)과 감지전극(4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anti-reflection layer 500 may have a curved shape at least partially corresponding to the shapes of the main pattern 300 and the sensing electrode 400.

곡면 형상의 일 예로, 반사방지층(500)은 메인패턴(300)과 감지전극(4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반구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이와 같이 상기 반사방지층(500)이 반구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반사방지층(500)의 반지름(R)은 수학식 1을 충족할 수 있다.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may have a hemisphe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s of the main pattern 300 and the sensing electrode 400. When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has a hemispherical shape, The radius R of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may satisfy Equation (1).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메쉬 선부(LA)의 선폭이 0. 1 ㎛ 내지 10 ㎛의 범위를 가지는 경우 반사방지층(500)의 반지름(R) 또한 0. 1 ㎛ 내지 10 ㎛ 범위의 값을 가질 수 있고, 그에 따라 반지름(R)은 0.1<1um/R<=10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The radius R of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may also have a value in the range of 0.1 mu m to 10 mu m when the line width of the mesh line portion LA is in the range of 0.1 mu m to 10 mu m, R) may have a range of 0.1 < 1um / R < = 10.

상기 수학식 1에서 1um/R 값이 0.1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는 곡률이 너무 커지고, 그에 따라 메쉬 선부(LA)의 선폭을 작게 만들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메쉬 선부(LA)의 선폭을 0. 1 ㎛이하로 하는데 제작의 어려움이 있으므로, 상기 메쉬 선부(LA)의 선폭이 0. 1 ㎛ 내지 10 ㎛의 범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에 따라 상기 반사방지층(500)의 반지름(R)에 관한 1um/R의 값 또한 0. 1 ㎛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반사방지층(500)의 반지름(R)에 관한 1um/R의 값이 10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곡률을 주지 않은 경우와 거의 동일하게 되므로 발명이 목적하는 효과를 거두기 위하여 상기 반사방지층(500)의 반지름(R)에 관한 1um/R의 값이 10 이하의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value of 1um / R is less than or equal to 0.1 in Equation (1), the curvature becomes too large and the line width of the mesh line portion LA should be made small. However, since it is difficult to make the line width of the mesh line portion LA to be 0.1 mu m or less, it is preferable that the line width of the mesh line portion LA has a range of 0.1 mu m to 10 mu m, The value of 1um / R with respect to the radius (R) of the barrier layer 500 is also preferably 0.1 mu m or more. When the value of 1um / R with respect to the radius R of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is 10 or more,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is almost the same as the case where the curvature is not given.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value of 1um / R with respect to the radius (R)

또한 상기 반사방지층(500)을 하나의 원으로 생각했을 때 원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반사방지층(500)의 끝단(500e)까지가 이루는 각, 달리 말해 상기 반사방지층(500)의 원호가 이루는 각도는 45도 에서 180도, 90도에서 170도 또는 120도 에서 150도의 범위의 3단계로 구성될 수 있으며, 120도에서 150도가 되는 것이 시인성 방지에 효과적이다.The angle made by the arc of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from the center of the circle to the end 500e of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when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is regarded as one circle is 45 180 degrees in the figure, 170 degrees in the 90 degree, or 150 degrees in the 120 degree, and it is effective to prevent visibility in the case where the angle is from 120 degrees to 150 degrees.

이러한 수치는 원호가 이루는 각도가 45도 이하인 경우 곡률이 너무 커서 메쉬 선폭(LA)을 제작하는에 어려움이 있는 점, 원호가 이루는 각도가 180도를 초과하는 경우 곡률을 주지 않은 경우와 거의 동일하여 시인성 방지 효과를 거둘 수 없는 점을 모두 고려하여 결정된 수치로써, 상기 제시된 수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효과는 임계적 의의를 가질 수 있다.These numerical values are difficult to fabricate mesh line width (LA) when the angle formed by the arc is 45 degrees or less and the curvature is too large. When the angle formed by the arc is more than 180 degrees,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critical significance within the above-mentioned numerical value range.

상기 반사방지층(500)의 양 끝단이 이루는 각이 상기 제시된 각도를 가지는 경우 어느 방향에 바라보더라도 감지전극(400)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nsing electrode 400 from being visually observed in any direction when the angle formed by both ends of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has the above-described angle.

이러한 반사방지층(500)을 통해,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상기 감지전극(400)의 빛 반사로 인한 시인성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Through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crease in visibility due to light reflection of the sensing electrode 400 including a metal material.

또한, 상기 반사방지층(500)이 상기 감지전극(400)의 상면뿐만 아니라, 측면의 반사율도 낮출 수 있어, 시인성에 유리하다. 또한, 넓은 시야각에서도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전극(400)의 광학적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can lower the reflectance as well as the top surface of the sensing electrode 400, which is advantageous for visibility. Further, visibility can be improved even at a wide viewing angle. Therefore,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sensing electrode 400 can be improved.

이어서, 상기 배선(600)은 상기 비유효 영역(UA)에 형성된다. 상기 배선(600)은 상기 감지전극(400)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할 수 이다. 상기 배선(600)은 상기 비유효 영역(UA)에 형성되어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wiring 600 is formed in the ineffective area UA. The wiring 600 may apply an electrical signal to the sensing electrode 400. The wiring 600 may be formed in the ineffective area UA so as to be invisible.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배선(600)과 연결되는 회로 기판이 더 위치할 수 있다. 회로 기판으로는 다양한 형태의 인쇄 회로 기판이 적용될 수 있는데, 일례로 플렉서블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등이 적용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circuit board connected to the wiring 600 may further be positioned. As the circuit board, various types of printed circuit boards can be applied. For example,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or the like can be appli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원도우의 제조 방법>&Lt; Method of manufacturing touch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원도우의 제조 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4 to 11 are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ouch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단계Step 1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기판(100)을 준비하고, 임프린팅(imprinting) 공정을 통해 서브패턴(200) 및 메인패턴(300)을 기판(100)에 형성하는 단계이다.Referring to FIGS. 4 to 7, a substrate 100 is prepared and a sub-pattern 200 and a main pattern 300 are formed on a substrate 100 through an imprinting process.

상기 기판(100)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술폰(PES),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COC), TAC(Triacetylcellulose) 필름, 폴리비닐알코올The substrate 100 may be formed of a polymer such as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polyethersulfone (PES), cyclic olefin polymer (COC), TAC (triacetylcellulose)

(Polyvinyl alcohol, PVA) 필름,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필름, 폴리스틸렌(Polystyrene, PS), 이축연신폴리스틸렌(K레진 함유 biaxially oriented PS, BOPS), 유리 또는 강화유리 등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PVA) film, polyimide (PI) film, polystyrene (PS), biaxially oriented PS or BOPS containing K resin, glass or tempered gla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기판(100)을 실리콘으로 형성하는 경우 소정 강도 이상의 지지력을 갖아 감지전극(4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점착성을 가져 추가적인 접착물질 없이도 기판(100)에 직접 감지전극(400)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윈도우(10)의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When the substrate 100 is formed of silicon, the sensing electrode 400 can be stably supported with a supporting force of a predetermined strength or more. In addition, since the sensing electrode 400 is directly attached to the substrate 100 without additional bonding material, Can be formed. Therefore,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touch window 10 can be simplifi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임프린팅 공정은 전자선 리소그래피 등으로 포토 레지스트를 패터닝 한 후 식각 과정을 통하여 제작된 하드 스템프를 이용할 수 있고, 상기 스템프로 광경화성 유기층을 압착하여 형상을 만든 뒤 이를 열 혹은 자외선으로 경화하여 기판(100) 위에 패터닝된 유기물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으로써 패터닝된 마스크는 식각용 마스크나 혹은 리프트 오프(Lift-off) 공정용 구조물로 사용할 수 있다.In the imprinting process, a hard stamp made by patterning a photoresist using an electron beam lithography or the like and then etching can be used. The photocurable organic layer is formed by pressing the photocurable organic layer with the stamp, and then cured by heat or ultraviolet rays to form a substrate 100 ), The patterned mask can be used as an etch mask or as a lift-off process structure.

수지(resin) 상에 패턴이 형성된 몰드(M)을 위치시키고 임프린팅을 하여 서브 패턴(200)과 메인 패턴(300)이 형성된 기판(100)을 형성할 수 있다.The substrate 100 having the sub patterns 200 and the main patterns 300 may be formed by placing the mold M having the pattern on the resin and imprinting the same.

상기 몰드(M)상의 다수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A plurality of patterns on the mold M are formed.

기판(100)의 서브패턴(200)에 대응하는 패턴과 매인패턴(300)에 대응하는 패턴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A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sub pattern 200 of the substrate 100 and a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main pattern 300 are respectively formed.

상기 몰드(M)상에서 기판(100)의 서브패턴(200)에 대응하는 패턴을 제1 패턴(210)이라고 정의하고, 기판(100)의 메인패턴(300)에 대응하는 패턴을 제2 패턴(310)이라고 정의하면, 상기 제2 패턴(310)은 도 4와 같이 적어도 일부 영역이 곡면을 이루는 형상이 될 수 있고 도 5와 같이 사각형 형상이 될 수 있다.A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sub pattern 200 of the substrate 100 is defined as a first pattern 210 on the mold M and a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main pattern 300 of the substrate 100 is defined as a second pattern 310, the second pattern 310 may have a curved shape as shown in FIG. 4, and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임프린팅의 공정에 있어서 도 4와 같이 제2 패턴(310)을 적어도 일부가 곡면을 이루는 형상으로, 일 예로 반구형상으로 하는 경우 감지금속(400)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적고 안정적인 공정이 가능하므로, 반구 형상의 제2 패턴(310)을 구비한 몰드(M)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As shown in FIG. 4, when the second pattern 310 has a curved shape at least partially, for example, hemispherical shape as shown in FIG. 4, the stress applied to the sensing metal 400 can be reduced and a stable process can be performed. It is effective to use the mold M having the hemispherical second pattern 310.

제2 단계Step 2

도 8을 참조하면, 메인패턴(300) 상에 감지전극(40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Referring to FIG. 8, the sensing electrode 400 is formed on the main pattern 300.

스퍼터링 장치(Sputtering apparatus)을 이용하여 증착 공정을 통해 상기 메인패턴(300) 상에 감지전극(400)을 형성할 수 있다.The sensing electrode 400 may be formed on the main pattern 300 through a deposition process using a sputtering apparatus.

상기 감지전극(400)을 금속인 메시패턴으로 형성할 수 있다. The sensing electrode 400 may be formed of a metal mesh pattern.

상기 감지전극(400)을 금속인 메시패턴으로 형성함으로써 고가의 ITO를 사용하는 종래기술에 비해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By forming the sensing electrode 400 in a mesh pattern of metal, it is possible to secure price competitiveness compared to the prior art in which expensive ITO is used.

제3 단계Step 3

도 9를 참조하면, 감지전극(400) 상에 반사방지층(50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Referring to FIG. 9, an anti-reflection layer 500 is formed on the sensing electrode 400.

한편 상기 반사방지층(500)은 니켈, 크롬, 아연, 주석, 및 구리 중에서 선택되는 원소를 함유하는 적어도 1 종의 화합물이면 되고, 도전성이어도 되고, 비도전성이어도 된다.The antireflection layer 500 may be at least one kind of compound containing an elem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ickel, chromium, zinc, tin, and copper, and may be conductive or non-conductive.

상기 반사방지층(500)은 증착 공정을 통해 상기 감지전극(4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The anti-reflection layer 500 may be formed on the sensing electrode 400 through a deposition process

상기 반사방지층(500)은 상기 감지전극(400)의 표면을 산화하여 산화층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may be formed by oxidizing the surface of the sensing electrode 400 to form an oxide layer.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전극(400)의 표면을 산화시켜 Cu2O 또는 CuO을 석출할 수 있는 것으로, Cu2O는 갈색을 띄므로 브라운 옥사이드(Blown Oxide)라 하고, CuO는 흑색을 띄므로 블랙 옥사이드(Black Oxide)라 한다.Specifically, Cu2O or CuO can be precipitated by oxidizing the surface of the sensing electrode 400. Since Cu2O is brown, it is called Blown Oxide and CuO is black. Therefore, .

상기 반사방지층(500)은 외부에서 터치 윈도우(10) 내부로 입사되는 외부 환경광을 흡수하게 하여 시청자의 눈부심 현상을 방지하고 터치 윈도우(10)가 내장된 디스플레이장치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anti-reflection layer 500 absorbs external ambient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into the touch window 10, thereby preventing glare of the viewer and improving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device having the touch window 10 built therein.

또한 상기 반사방지층(500)은 상기 감지전극(400) 상부면 뿐만 아니라 하부면에도 형성하여 배면으로부터 들어오는 빛을 흡수할 수 있다.Also,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s well as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ing electrode 400 to absorb the light coming from the back surface.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반사방지층(500)과 감지전극(400) 그리고 메인패턴(300)간의 관계를 살펴본다.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the sensing electrode 400, and the main pattern 3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이 때 상기 반사방지층(500)과 감지전극(400) 그리고 메인패턴(300)은 서로 대응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곡면 형상의 일 예로 상기 반사방지층(500)과 감지전극(400) 그리고 메인패턴(300)이 원의 일부 영역을 가지는 즉, 원호를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the sensing electrode 400, and the main pattern 300 may have a curved shape at least partially. For example, the antireflective layer 500, the sensing electrode 400, and the main pattern 30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having a circular area.

또한 반사방지층(500)은 감지전극(400)을 덮는 갓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반사방지층(500)의 끝단(500e)은 상기 감지전극(400)의 끝단보다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에칭 속도의 차이에 따라서 상기 반사방지층(500)의 끝단(500e)의 돌출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Also,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may be formed in a round shape covering the sensing electrode 400. That is, the end 500e of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may protrude from the end of the sensing electrode 400. Referring to FIG.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end 500e of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may vary depending on the difference in etching rate.

달리 표현하면 상기 반사방지층(500)의 원호의 길이가 상기 감지전극(400)의 원호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length of the arc of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arc of the sensing electrode 400.

한편 상기 반사방지층(500)을 기준으로, 상기 반사방지층(500)으로부터 점선으로 연장선을 표시하였다.On the other hand, a line extending from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to a dotted line is indicated on the basis of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점선으로 표시된 원의 중심점을 교차하는 두 수직선을 긋고, 상기 점선의 원의 중심점을 지나고 상기 반사방지층(500)의 양 끝단까지 점선을 각각 표시하였다. Two vertical lines intersecting the center point of the circle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are drawn and dotted lines are shown to both ends of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after passing through the center point of the dotted line.

상기 반사방지층(500)의 양 끝단을 지나는 점선들간이 이루는 각도는 90도~180도로 설정할 수 있다.The angle formed by the dotted lines passing through both ends of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may be set to 90 to 180 degrees.

보는 각도에 관계없이 금속(400)의 반사를 방지하여 시인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45도 에서 180도, 90도에서 170도 또는 120도 에서 150도의 범위의 3단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최적의 각도는 120도~150도가 가장 적절하다. In order to prevent reflection of the metal 400 to improve the visibility regardless of the viewing angle, it can be composed of three steps ranging from 45 degrees to 180 degrees, from 90 degrees to 170 degrees, or from 120 degrees to 150 degrees, ~ 150 degrees is most appropriate.

또한 반사방지층(500)의 반지름은 0.1<1um/R<=10의 범위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Also, it is preferable that the radius of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satisfies the range of 0.1 < 1 [mu] m / R < = 10.

제 4단계Step 4

제 4단계는 에칭 단계이다.The fourth step is an etching step.

에칭을 통해 서브패턴(200) 상에 형성된 감지전극(400) 및 반사방지층(500)을 제거할 수 있다.The sensing electrode 400 and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formed on the sub pattern 200 can be removed through etching.

이때, 상기 서브패턴(200) 상에 형성된 감지전극(400) 및 반사방지층(500)을 한번의 공정으로 에칭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nsing electrode 400 and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formed on the sub pattern 200 may be etched in a single step.

즉, 상기 감지전극(400) 및 반사방지층(500)을 하나의 에칭액으로 에칭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반사방지층(500)은 상기 감지전극(400)과는 다른 애칭액에 반응하는 물질을 이용하는 것으로 하여 상기 감지전극(400)을 애칭할 때 상기 반사방지층(500)은 애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sensing electrode 400 and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may be etched with one etching solution. In this case,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uses a material that reacts with the nicking solution different from the sensing electrode 400, and when the sensing electrode 400 is nicked,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may not be nicked have.

상기 서브패턴(200) 상기 메인패턴(300)의 구조와 상기 감지전극(400)과의 접합면적 차이에 따라 에칭 면적의 차이가 발생한다. The sub-pattern 200 has a difference in etch area depending on the difference in the structure of the main pattern 300 and the area of contact with the sensing electrode 400.

즉, 상기 서브패턴(200) 및 상기 감지전극(400)과의 접합면적이 상기 메인패턴(300) 및 상기 감지전극(400)과의 접합면적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메인패턴(300) 상에 형성되는 감지전극(400)의 에칭이 적게 일어난다. That is, since the bonding area of the sub pattern 200 and the sensing electrode 400 is smaller than the bonding area of the main pattern 300 and the sensing electrode 400, The etching of the sensing electrode 400 becomes less.

또한 동일한 에칭 속도에 따라, 상기 메인패턴(300) 상에 형성된 감지전극(400)은 남게 되고, 상기 서브패턴(200) 상에 형성된 감지전극(400)은 에칭되어 제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서브패턴(200) 상에 형성된 반사방지층(500) 또한 리프트 오프되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패턴(300) 상에 만 감지전극(400) 및 반사방지층(500)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감지전극(400)이 메쉬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메인패턴(300) 상의 반사방지층(500)은 에칭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반사방지층(500)의 선폭이 상기 감지전극(400)의 선폭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Also, the sensing electrode 400 formed on the main pattern 300 is left with the same etching rate, and the sensing electrode 400 formed on the sub pattern 200 is etched and removed. Accordingly,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formed on the sub pattern 200 can also be lifted off and removed. Therefore, the sensing electrode 400 and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may be formed only on the main pattern 300, and the sensing electrode 400 may be disposed in a mesh shap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on the main pattern 300 is not etched, the line width of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may be wider than the line width of the sensing electrode 400.

이와 같이 터치 윈도우(10)는 감지전극(400) 상에 배치되는 반사방지층(500)의 면적이 상기 감지전극(400) 상면(400a)의 면적보다 넓게 하고, 곡면 형상의 일예로써, 반구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반사방치층(500)의 반지름에 관한 최적의 비인 0.1<1um/R<=10의 범위의 값 그리고 상기 반사방지층(500)의 원호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여 감지전극(400)의 빛 반사로 인한 시인성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방지층이 상기 감지전극의 상면뿐만 아니라, 측면의 반사율도 낮출 수 있어, 시인성에 유리하다. 또한, 넓은 시야각에서도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전극의 광학적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ouch window 1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area of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disposed on the sensing electrode 400 is wider than the area of the upper surface 400a of the sensing electrode 400, The value of the range of 0.1 <1 um / R <= 10, which is the optimal ratio of the radius of the reflection / retention layer 500, and the angle of the arc of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crease in visibility due to reflection. Also, the antireflection layer can lower the reflectance of not only the top surface but also the side surface of the sensing electrode, which is advantageous for visibility. Further, visibility can be improved even at a wide viewing angle. Therefore,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sensing electrode can be improved.

한편, 도 11을 참조하면 이러한 터치 윈도우(10)는 구동부인 표시패널(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윈도우(10) 및 표시패널(30)이 합착되어 디스플레이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the touch window 10 may be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30 as a driving unit. The touch window 10 and the display panel 30 are bonded together to form a display device.

상기 표시패널(30)은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표시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적용되는 표시패널은 일반적으로 상부기판(31) 및 하부기판(32)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기판(32)에는 데이터라인, 게이트라인 및 박막트랜지스터(TFT)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기판(31)은 하부기판(32)과 접합되어 하부기판(32) 상에 배치되는 구성요소들을 보호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30 has a display area for outputting an image. The display panel to be applied to such a display device may generally include an upper substrate 31 and a lower substrate 32. A data line, a gate line, a thin film transistor (TFT), or the like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bstrate 32. The upper substrate 31 may be bonded to the lower substrate 32 to protect components disposed on the lower substrate 32.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터치 윈도우(10)의 단면도이다.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ouch window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12를 참조하면, 도5와 같이 몰드(M)의 제2 패턴(310)이 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이에 대응되는 메인패턴(300) 상에 형성된 감지전극(400)과 상기 감지전극(400) 상에 반사방지층(500)이 형성될 수 있다. 5 and 12, a sensing electrode 400 formed on a main pattern 300 having a rectangular shape and having a second pattern 310 of a mold M and a sensing electrode 400 formed on the sensing electrode 400, 400 may have an antireflection layer 500 formed thereon.

상기 반사방지층(500)은 제1 및 제2 반사방지부(510, 52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반사방지부(510)는 감지전극(400)과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반사방지부(520)는 상기 제1 반사방지부(510)로부터 상기 기판(100)을 향해 구부러질 수 있다. 즉, 상기 제2 반사방지부(520)는 상기 제1 반사방지부(510)로부터 아래쪽으로 절곡되거나 벤딩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 영역이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anti-reflection layer 500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anti-reflection portions 510 and 520, the first anti-reflection portion 510 may be form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ensing electrode 400, The second antireflection portion 520 may be bent from the first antireflection portion 510 toward the substrate 100. That is, the second antireflection portion 520 may be bent or bent downward from the first antireflection portion 510,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antireflection portion 520 may have a curved shape.

상기 제2 반사방지부(520)의 양 끝 단, 즉 제1 반사방지부(510)로부터 연장되기 시작하는 지점에서부터 상기 제2 반사방지부(520)의 끝 단까지를 원호로 가지는 원을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A circle having a circular arc from both ends of the second antireflection portion 520, that is, a point extending from the first antireflection portion 510 to the end of the second antireflection portion 520, Respectively.

이러한 원의 중심점에서 상기 제2 반사방지부(520)의 양 끝 단 사이의 각도는 15도 에서 150도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The angle between the ends of the second antireflection portion 520 at the center of the circle may range from 15 degrees to 150 degrees.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사시도이다.13 to 15 are perspective views of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touch windo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과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10)는 구동부인 표시패널(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11 and 13 to 15, the touch window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30 as a driving unit.

상기 표시패널(30)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어떠한 종류의 디스플레이장치인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액정표시장치(LCD),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플라즈마 표시장치(PDP),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및 전기영동 표시장치(EPD) 등이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표시패널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30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what type of display device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s,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field emission display, a plasma display device (PDP),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 And the like, and accordingly, the display panel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이러한 터치 윈도우(10) 및 표시 패널이 합착되어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할 수 있고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동식 단말기일 수 있다. The touch window 10 and the display panel may be joined together to form a display device, and such a display device may be a mobile terminal.

특히,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10)는 곡면(curved) 터치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touch window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curved touch window. 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may be a curved display device.

한편, 도 14를 참조하면, 터치 윈도우(10)는 휘어지는 플렉서블(flexible) 터치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으로 휘거나 구부릴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14, the touch window 10 may include a flexible touch window that is bent. 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may be a flexible display device. Therefore, the user can bend or bend by hand.

한편, 도 15를 참조하면, 이러한 터치 윈도우(10)는 이동식 단말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뿐만 아니라 차량 내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면에는 자동차 네비게이션을 도시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PND(Personal Navigation Display)뿐만 아니라, 계기판(dashboard) 등에 적용되어 CID(Center Information Display)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양한 전자 제품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Referring to FIG. 15, the touch window 10 can be applied not only to a display device such as a mobile terminal but also to a vehicle. In the drawings, automobile navigation is shown, bu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not only PND (Personal Navigation Display) but also dashboard can be applied to implement CID (Center Information Display). However,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such a display device can be used in various electronic products.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 터치 윈도우
20 전극부
30 표시패널
31 상부기판
32 하부기판
100 기판
200 서브패턴
300 메인패턴
400 감지전극
400a 감지전극의 상면
400e 감지전극의 측면
400aH 감지전극의 상면의 높이
500 반사방지층
500a 반사방지층의 상면
500e 반사방지층의 끝단
510 제1 반사방지부
520 제2 반사방지부
600 배선
10 touch window
20 electrode portion
30 Display panel
31 upper substrate
32 lower substrate
100 substrate
200 sub pattern
300 main pattern
400 sensing electrode
400a upper surface of the sensing electrode
400e side of sensing electrode
400aH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ing electrode
500 antireflection layer
500a The upper surface of the antireflection layer
500e Antireflection layer tip
510 First anti-
520 Second anti-
600 wiring

Claims (17)

기판; 및
기판 상에 메쉬 형상으로 배치되는 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부는,
메인 패턴 및 상기 메인 패턴 상에 배치되어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전극; 및
상기 감지전극 상에 배치되는 반사방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방지층은,
상면의 면적이 상기 감지전극 상면의 면적보다 넓고,
적어도 일부가 곡면 형상인 터치 윈도우.
Board; And
And an electrode portion arranged on the substrate in a mesh shape,
The electrode unit includes:
A sensing electrode disposed on the main pattern and sensing a position; And
And an anti-reflection layer disposed on the sensing electrode,
The anti-
The area of the upper surface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ing electrode,
A touch window having at least a portion of a curved surface shap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층은 반구 형상을 가지는 터치 윈도우.The touch window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ntireflection layer has a hemispherical shap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층의 반지름을 R로 정의할 때 하기의 수학식 1을 충족하는 터치 윈도우.
수학식 1
0.1<1um/R<=10
3. The touch window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when the radius of the antireflection layer is defined as R, the following expression (1) is satisfied.
Equation 1
0.1 < lum / R < = 10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층의 원호의 각도는 45도 내지 180도의 범위를 가지는 터치 윈도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 angle of an arc of the antireflection layer is in a range of 45 degrees to 180 degrees.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층의 원호의 각도는 120도 내지 150도의 범위를 가지는 터치 윈도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angle of the arc of the antireflection layer is in the range of 120 to 150 degre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층의 일부는 상기 감지전극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터치 윈도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art of the anti-reflection layer is disposed apart from the sensing electr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층의 선폭이 상기 감지전극의 선폭보다 넓은 터치 윈도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ne width of the anti-reflection layer is larger than the line width of the sensing electr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층은 제1 반사방지부 및 상기 제1 반사방지부를 둘러싸는 제2 반사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반사방지부는 상기 감지전극의 측면에 배치되는 터치 윈도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ntireflection layer includes a first antireflection portion and a second antireflection portion surrounding the first antirefl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antireflection portion is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sensing electrod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방지부는 상기 감지전극의 측면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터치 윈도우.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econd antireflection portion is disposed apart from a side surface of the sensing electrod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방지부는 상기 제1 반사방지부로부터 상기 기판을 향해 구부러지는 터치 윈도우.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second antireflection portion is bent from the first antireflection portion toward the substrat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부는 상기 제2 반사방지부로부터 연장되어 구부러지는 제3 반사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anti-reflection portion further includes a third anti-reflection portion that is bent and extended from the second anti-reflection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층의 끝단은 상기 감지전극의 상면의 높이보다 낮게 배치되는 터치 윈도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end of the anti-reflection layer is disposed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ing electr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전극은 구리(Cu), 금(Au), 은(Ag), 알루미늄(Al), 티타늄(Ti), 니켈(Ni) 또는 이들의 합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ing electrode comprises at least one of copper, gold, silver, aluminum, titanium, nickel, or an alloy thereof.
터치 윈도우; 및
상기 터치 윈도우 상에 배치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윈도우는,
기판; 및
기판 상에 메쉬 형상으로 배치되는 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부는,
메인 패턴 및 상기 메인 패턴 상에 배치되어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전극; 및
상기 감지전극 상에 배치되는 반사방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방지층은,
상면의 면적이 상기 감지전극 상면의 면적보다 넓고,
적어도 일부가 곡면 형상인 터치 윈도우.
Touch window; And
And a driver disposed on the touch window,
The touch window includes:
Board; And
And an electrode portion arranged on the substrate in a mesh shape,
The electrode unit includes:
A sensing electrode disposed on the main pattern and sensing a position; And
And an anti-reflection layer disposed on the sensing electrode,
The anti-
The area of the upper surface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ing electrode,
A touch window having at least a portion of a curved surface shape.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층은 반구 형상을 가지는 터치 윈도우.15. The touch window of claim 14, wherein the anti-reflection layer is hemispherical.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층의 반지름을 R로 정의할 때 하기의 수학식 1을 충족하는 터치 윈도우.
수학식 1
0.1<1um/R<=10
The touch window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when the radius of the antireflection layer is defined as R, the following expression (1) is satisfied.
Equation 1
0.1 < lum / R < = 10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층의 원호의 각도는 45도 내지 180도의 범위를 가지는 터치 윈도우.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an angle of an arc of the antireflection layer is in a range of 45 degrees to 180 degrees.
KR1020140026992A 2014-03-07 2014-03-07 Touch window KR1021874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992A KR102187469B1 (en) 2014-03-07 2014-03-07 Touch window
US14/637,868 US9354659B2 (en) 2014-03-07 2015-03-04 Touch wind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992A KR102187469B1 (en) 2014-03-07 2014-03-07 Touch window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952A true KR20150104952A (en) 2015-09-16
KR102187469B1 KR102187469B1 (en) 2020-12-08

Family

ID=54244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6992A KR102187469B1 (en) 2014-03-07 2014-03-07 Touch window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46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6146A (en) * 2019-04-29 2020-11-06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Touch screen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49465A1 (en) * 2011-03-10 2012-10-04 Yi-Chun Lin Touch panel and touch-sensitive display device
KR20140009461A (en) * 2011-03-28 2014-01-22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Conductive laminated body and touch panel
KR20140009805A (en) * 2012-07-13 2014-01-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49465A1 (en) * 2011-03-10 2012-10-04 Yi-Chun Lin Touch panel and touch-sensitive display device
KR20140009461A (en) * 2011-03-28 2014-01-22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Conductive laminated body and touch panel
KR20140009805A (en) * 2012-07-13 2014-01-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6146A (en) * 2019-04-29 2020-11-06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Touch screen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7469B1 (en) 202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8821B2 (en) Touch window and touch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303321B2 (en) Touch window
KR102199340B1 (en) Touch window
US20170364179A1 (en) Touch window
US10091872B2 (en) Touch window and display including the same
EP2784639B1 (en) Touch panel and touch device with the same
EP2908228B1 (en) Touch window
US10082908B2 (en) Touch window and touch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50103977A (en) Touch window and display with the same
US10198113B2 (en) Touch window
US9720551B2 (en) Touch window
KR102053238B1 (en) Touch window
KR102187469B1 (en) Touch window
KR20160014942A (en) Touch window
KR102237791B1 (en) Touch window
KR20170009602A (en) Touch window
KR20140147388A (en) Touch window
KR20150084542A (en) Touch window and display with the same
KR20160089699A (en) Touch window
KR20150101847A (en) Touch window and display with the same
KR20170039391A (en) Touch window
KR20170043879A (en) Touch window
KR20170001328A (en) Touch window
KR20160005595A (en) Touch window
KR20150009317A (en) Touch wind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