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0198A - 전류 감지 유니트 - Google Patents

전류 감지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0198A
KR20150100198A KR1020140021701A KR20140021701A KR20150100198A KR 20150100198 A KR20150100198 A KR 20150100198A KR 1020140021701 A KR1020140021701 A KR 1020140021701A KR 20140021701 A KR20140021701 A KR 20140021701A KR 20150100198 A KR20150100198 A KR 20150100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shield block
housing body
bus bar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1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구
이동희
나병철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1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0198A/ko
Publication of KR20150100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01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20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e.g. Hall-effect devices, i.e. measuring a magnetic field via the interaction between a current and a magnetic field, e.g. magneto resistive or Hall effect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92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measuring current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asuring Instrument Details And Bridges, And Automatic Balanc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류 감지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기판과 대면하여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버스바와, 상기 버스바를 관류하는 전류의 세기를 감지하도록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와, 일면이 개방된 박스의 형태를 갖되 그 내부에 상기 기판이 안치되는 기판 탑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된 일면의 양측단에 상기 버스바가 안치되는 버스바 탑재부가 형성된 하우징 몸체 및 상기 하우징 몸체의 개방된 일면을 폐쇄하는 하우징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감지 유니트가 개시된다. 이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진동 및 충격과 같은 외력에 의해 센서부와 버스바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센서부의 측정 오차를 감소시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류 감지 유니트{CURRENT SENSING UNIT}
본 발명은 전류를 감지하는 감지 유니트로서, 다양한 범위의 전류 크기를 감지함과 동시에 정밀도를 증대시킨 구조의 전류 감지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류 센서는 도선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장치이다. 전류 센서는 다양한 전기분야에서 도선을 관류하는 전류의 크기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 사용되고, 최근 자동차의 전장화로 인하여 차량의 배터리 내지 인버터 등에 있어 전류 크기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 장착된다.
종래의 전류 센서의 경우 보편적으로 1채널 구조를 이루어 넓은 범위의 전류 크기를 측정하게 하는데, 이와 같은 1채널 구조의 전류 센서의 경우 아주 작은 전류 범위, 즉 저전류 범위의 경우 높은 측정 오차를 갖는다는 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류 센서의 경우 코어의 구비로 인하여 제조 원가가 증대된다는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이러한 전류 센서는 하우징, 버스바, 기판, 센서부로 구성되어 센서부가 기판에 납땜에 의해 고정되고, 기판이 하우징에 장착되며 센서부와 이격되어 버스바가 하우징에 고정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자동차와 같은 진동 및 충격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기기에 전류 센서가 설치되는 경우 진동 및 충격에 의한 유동에 의하여 측정 오차를 크게 하는 원인이 되고 따라서 전류 센서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KR 10-2012-0017543 A KR 10-1169910 B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버스바, 기판 등이 견고한 구조로 하우징에 고정되어 진동 및 충격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시켜 센서부의 측정 오차를 감소시켜 신뢰성이 우수한 전류 감지 유니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기판과 대면하여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버스바와, 상기 버스바를 관류하는 전류의 세기를 감지하도록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와, 일면이 개방된 박스의 형태를 갖되 그 내부에 상기 기판이 안치되는 기판 탑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된 일면의 양측단에 상기 버스바가 안치되는 버스바 탑재부가 형성된 하우징 몸체 및 상기 하우징 몸체의 개방된 일면을 폐쇄하는 하우징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감지 유니트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버스바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감지하는 제 1 센서 및 상기 제 1 센서와 동일 평면 상으로 상기 기판의 일면 상에 상기 제 1 센서와 이격되고 상기 버스바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감지하는 제 2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센서와 상기 제 2 센서는 서로 상이한 전류 크기 범위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버스바의 둘레를 감싸 불필요한 자기장을 차단하는 쉴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쉴드부는 상기 기판에 배치된 센서마다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쉴드부는 상기 버스바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는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버스바 외측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쉴드 블록키지 및 상기 쉴드 블록키지의 단부로 상기 센서와 마주하여 이격 배치되는 쉴드 컨센트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쉴드 블록키지는 상기 기판과의 사이에 상기 버스바가 배치되도록 위치하는 쉴드 블록키지 베이스 및 상기 쉴드 블록키지 베이스의 양측단에서 상기 버스바의 측면을 감싸도록 연장 형성되는 쉴드 블록키지 사이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쉴드 블록키지 사이드는 상기 쉴드 블록키지 베이스의 양측단으로부터 각각 형성되어 쌍을 이루고, 상기 쉴드 블록키지 사이드의 단부에 각각 쉴드 컨센트레이터를 형성하되, 상기 쉴드 컨센트레이터 간의 간극 너비는 상기 센서의 너비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쉴드 블록키지는 상기 쉴드 블록키지 베이스 및 쉴드 블록키지 사이드의 외측면을 감싸며 상기 하우징 몸체의 내측 바닥면으로 연장되는 쉴드 블록키지 차폐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쉴드 블록키지 차폐부는 상기 쉴드 블록키지 베이스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쉴드 블록키지 차폐 베이스 및 상기 쉴드 블록키지 차폐 베이스의 양측단으로부터 각각 형성되어 상기 쉴드 블록키지 사이드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쉴드 블록키지 차폐 사이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기판의 양측단은 상기 쉴드 블록키지 차폐 사이드가 지나는 함몰 홈을 형성하되, 상기 함몰 홈은 상기 기판의 측단에서 기판의 중앙을 향해 함몰되고 함몰된 길이는 상기 쉴드 블록키지 차폐 사이드의 두께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쉴드 블록키지 차폐 사이드와 상기 쉴드 블록키지 차폐 사이드와 대면하는 상기 하우징 몸체의 내측면에 각각 쉴드 블록키지 록킹 홈과 쉴드 블록키지 록킹 돌기가 형성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쉴드 블록키지 록킹 돌기는 상기 하우징 몸체의 내측면에서 하우징 몸체의 개방된 일면으로 갈수록 하우징 몸체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 몸체의 내측면에는 상기 쉴드 블록키지가 하우징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쉴드 블록키지 사이드의 외측면과 밀착되는 지지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쉴드 블록키지 록킹 돌기는 상기 지지 돌기 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하우징 몸체의 개방된 일면과 마주하는 면에 제 1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쉴드 블록키지 차폐 베이스는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 및 가이드 홈은 상기 버스바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평면에서 볼 때 십자의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는 뿔 기둥의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하우징 몸체의 개방된 일면과 마주하는 면에 상기 쉴드 블록키지 차폐 베이스의 사방 모서리를 감싸는 제 2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하우징 몸체의 외측면을 감싸는 체결 리브가 하우징 커버의 양측단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체결 리브와 대응하여 하우징 몸체의 외측면에 체결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 리브에 형성된 체결 홈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 돌기는 상기 하우징 몸체의 외측면에서 하우징 몸체의 개방된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으로 갈수록 하우징 몸체의 외부를 향해 돌출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판 탑재부는 상기 하우징 몸체의 내부 바닥면에서 개방된 일면을 향해 하나 이상의 보스가 형성되고, 상기 보스의 자유단에 상기 기판이 안치되어 볼트가 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보스의 자유단과 나사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스의 자유단은 상기 기판을 관통하는 관통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스는 상기 기판의 사방에 배치되되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보스에 관통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버스바 탑재부는 상기 하우징 몸체의 개방된 일면의 양측단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버스바가 매립되는 매립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매립 홈은 상기 버스바가 매립되었을 때 볼트가 버스바를 관통하여 매립 홈과 나사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류 감지 유니트는 버스바를 관류하는 전류의 세기를 감지하는 센서부가 하우징 몸체와 하우징 커버에 의해 보호되기 때문에 이물질이 센서 또는 버스바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진동 및 충격과 같은 외력에 의해 센서부와 버스바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센서부의 측정 오차를 감소시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판에 버스바를 관류하는 전류의 세기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배치하여 서로 상이한 전류 크기 범위를 측정할 수 있는 다채널 구조를 제공할 수 있으며,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강화하고,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류 감지 유니트는, 쉴드부의 구비를 통하여 외부 자장의 영향을 차단 내지 최소화함과 동시에, 쉴드 컨센트레이터를 연장 형성하여 전류 구간에서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류 감지 유니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류 감지 유니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기판이 하우징 몸체에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쉴드부가 하우징 몸체에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버스바가 쉴드부에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하우징 커버가 뒤집힌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9는 기판 탑재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은 쉴드부를 나타낸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 1 가이드 돌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2는 쉴드부에 기판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3은 센서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류 감지 유니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류 감지 유니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류 감지 유니트는 기판(100)과 대면하여 이격되도록 배치된 버스바(200), 버스바(200)를 관류하는 전류의 세기를 감지하는 센서부(300), 일면이 개방된 박스의 형태를 갖고 그 내부에 센서부(300)가 배치되는 하우징 몸체(400) 및 하우징 커버(500)로 구성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으로부터 센서(310)가 유동하지 않으며, 센서의 측정오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부연하자면, 버스바(2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너비와 두께를 갖는 막대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버스바(200)의 양단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하우징 몸체(400)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다른 장치와 배선된다. 이러한 버스바(200)는 도면에서 단면이 사각형이고 양단이 평면에서 볼 때 반원형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로써 본 발명의 버스바(200)의 단면 형상 및 길이 방향과 평행한 평면 상에서 볼 때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버스바(200)를 관류하는 전류의 세기를 감지하도록 센서(310)가 버스바(200)와 이격되어 배치되는데, 이러한 센서(310)는 기판(100)에 실장되어 버스바(200)와 기판(100)이 이격된 상태로 대면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버스바(200)와 센서(310)를 포함한 기판(100)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며 이물질 또는 외력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버스바(200)와 기판(100)은 하우징 몸체(400)에 조립된다.
하우징 몸체(400)는 일면이 개방된 박스의 형태를 갖고 그 내부에 기판(100)이 안치되는 기판 탑재부(410)와 상기 개방된 일면의 양측단에 버스바(200)가 안치되는 버스바 탑재부(420)가 형성된다. 하우징 몸체(400)의 기판 탑재부(410)에 안치되는 기판(100)은 각종 전기 소자 및 배선이 배치될 수 있는데, 기판(100)은 PCB로 형성될 수도 있고 FPBC와 같은 유연성을 구비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또한, 기판(100)에는 기판 커넥터(미도시)가 배치되는데, 기판 커넥터를 통하여 외부 전기 요소와의 전기적 소통을 이룰 수 있다. 즉, 외부의 전원부(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고, 아래에서 설명되는 센서부(300)에서 감지되는 감지 신호를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제어부(미도시)와 같은 구성요소로 전달할 수도 있는 등, 입출력 요소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판(100)은 하우징 몸체(400)의 내부에 마련된 기판 탑재부(410)에 안치된다. 이를 도 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기판이 하우징 몸체에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기판 탑재부(410)에는 하우징 몸체(400)의 내부 바닥면에서 개방된 일면을 향해 하나 이상의 보스(414)가 돌출 형성되어 기판(100)을 지지하게 되는데, 바람직하게 보스(414)는 기판(100)의 사방 모서리와 대응하도록 하우징 몸체(400)의 내부 바닥면에서 4 개소가 돌출 형성되어 보스(414)의 자유단에 기판이 안치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가 기판(100)을 관통하여 보스(414)의 자유단에 나사 체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 9와 같이 각각의 보스(414)에 볼트가 체결되어 기판(100)을 고정하는 구조로 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볼트의 조립 공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보스(414)의 자유단에 기판(100)을 관통하는 관통 돌기(414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 및 도 7, 도 8과 같이 기판(100)의 네 모서리와 대응하도록 하우징 몸체(400)의 내부 바닥면에 형성된 보스(414) 중 대각선에 위치한 보스(414)에는 관통 돌기(414a)가 형성되어 기판(100)을 관통하고, 나머지 대각선에 위치한 보스(414)에는 기판(100)을 관통하는 볼트가 체결되어 기판(100)을 고정하게 된다.
또한, 하우징 몸체(400)에는 버스바(200)가 안치되는 버스바 탑재부(420)가 형성되는데, 버스바 탑재부(420)는 하우징 몸체(400)의 개방된 일면의 양측단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버스바 탑재부(420)의 일면에 버스바(200)가 매립되는 매립 홈(422)이 형성되어 버스바(200)가 안치된다. 그리고, 버스바 탑재부(420)의 매립 홈(422)에 안치된 버스바(200)는 버스바(200)를 관통하여 매립 홈(422)과 나사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센서부(300)는 버스바(200)를 관류하는 전류의 세기를 감지하도록 배치되는데, 본 발명의 센서부(300)는 도 2 및 도 7, 도 8과 같이 기판에 하나의 센서가 실장될 수도 있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센서가 기판에 실장되어 서로 상이한 전류 크기 범위를 감지할 수도 있다.
즉, 센서부(300)는 상기 기판(100)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버스바(200)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감지하는 제 1 센서(310a) 및 상기 제 1 센서(310a)와 동일 평면 상으로 상기 기판(100)의 일면 상에 상기 제 1 센서(310a)와 이격되고 상기 버스바(200)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감지하는 제 2 센서(310b)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제 1 센서(310a)와 상기 제 2 센서(310b)가 서로 상이한 전류 크기 범위를 감지하게 된다.
또한, 제 1 센서(310a)와 제 2 센서(310b)는 본 실시예에서 내부에 홀 소자가 집적된 홀 IC(Hall IC)로 구현되나, 경우에 따라 이방성 자기 저항 센서(AMR; Anisotropic Magnetic Resistance Sensor) 또는 거대 자기 저항 센서(GMR; Giant Magnetic Resistance Sensor)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센서부(300)는 버스바(200)의 둘레를 감싸 불필요한 자기장을 차단하는 쉴드부(60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쉴드부(600)는 제 1 센서(310a)와 제 2 센서(310b)에 대응하여 하우징 몸체(400)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쉴드부(600)는 투자율이 높고 히스테리시스 손실이 적은 Ni-Fe 등의 재료로 선택될 수 있으나, 소정의 사양을 만족시키는 범위에서 다양한 재료 선택이 가능하다.
즉, 쉴드부(600)는 불필요한 자기장을 차단시키는 차폐 기능과 더불어 소정 방향의 자기장의 민감도를 증대시키는 감도 강화 기능을 수행하여 버스바(200)를 관류하는 전류의 세기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쉴드부(600)는 쉴드 블록키지(610)와 쉴드 컨센트레이터(620)를 포함한다.
쉴드 블록키지(610)는 버스바(20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볼 때, 버스바(200)에 이격되어 버스바(200)의 외측 적어도 일부를 둘러싼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쉴드 블록키지(610)는 버스바(20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볼 때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버스바(200)의 적어도 3면을 둘러싸는 형상을 이루는데, 쉴드 블록키지(610)는 쉴드 블록키지 베이스(612)와 쉴드 블록키지 사이드(614)를 포함한다.
쉴드 블록키지 베이스(612)는 기판(100)과의 사이에 버스바(200)가 배치되도록 위치되는데, 쉴드 블록키지 베이스(612)는 버스바(200)의 길이 방향에서 볼 때 소정의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쉴드 블록키지 베이스(612)의 버스바(200) 길이 방향에 대한 폭은 센서(310)보다 넓은 크기를 구비하되, 센서(211) 및 쉴드 블록키지 베이스(612)를 버스바(200)에 평행한 평면 상에 투영시킬 경우 센서(310)의 투영 영역이 쉴드 블록키지 베이스(612)에 의하여 형성되는 투영 영역 내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쉴드 블록키지 사이드(614)는 쉴드 블록키지 베이스(612)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는데, 쉴드 블록키지 사이드(614)는 본 실시예에서 쉴드 블록키지 베이스(612)의 양단에서 대칭적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조를 취하나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쉴드 블록키지 사이드(614)는 버스바(20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쉴드 블록키지 베이스(612)의 양단에서 쉴드 블록키지 베이스(612)에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되, 쉴드 블록키지 사이드(614)는 센서(310)로부터 소정의 사전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구조를 취한다.
그리고, 쉴드 블록키지 베이스(612)와 쉴드 블록키지 사이드(614)는 단일의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소정의 위치에서 굽힘 가공되어 소정의 'ㄷ'자 형상 구조를 취하도록 제조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얇은 금속 박판이 복수 개가 구비되고 서로 접합되어 형성되는 철편 구조를 이룰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ㄷ'자 형상의 쉴드 블록키지 베이스(612) 및 쉴드 블록키지 사이드(614)의 구조를 통하여 센서(310)가 배치되는 기판(100)의 일면 상으로 전류가 흐르는 버스바(200)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기장 중 x축 상에서의 자장 성분만을 감지토록 하고 버스바(200)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를 측정함에 불필요한 요소들, 즉 y,z 축 상에서의 자장 성분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x축 방향에 대한 외부 자장 성분을 차폐시켜 외부 영향을 최소화시켜 보다 정확한 전류 세기 검출을 이룰 수도 있다.
한편, 쉴드 컨센트레이터(620)는 쉴드 블록키지(610)의 단부에 배치되는데, 쉴드 컨센트레이터(620)는 쉴드 블록키지(610)의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기판(100)에 실장된 센서(310)와 마주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센서(310)가 배치되는 버스바(200)가 이루는 평면이 쉴드 컨센트레이터(620)가 이루는 평면이 서로 평행하게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즉, 쉴드 컨센트레이터(620)는 쉴드 블록키지 베이스(612)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버스바(200)가 쉴드 컨센트레이터(620)와 쉴드 블록키지 베이스(612)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쉴드 컨센트레이터(620)는 쌍을 이루어 형성되는 쉴드 블록키지 사이드(614)와 마찬가지로, 쌍을 이루며 각각의 쉴드 블록키지 사이드(614)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쉴드 컨센트레이터(620)의 단부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테이퍼 형상을 구비할 수 있는데, 쉴드 컨센트레이터(620)의 단부가 테이퍼 형상으로 구비되는 경우 소정의 자장 성분을 센서(310)로 집중시킴으로써 버스바(200)를 흐르는 전류가 저전류 구간인 경우에도 보다 정확하게 전류의 세기를 감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 쉴드 컨센트레이터(620)의 단부의 형상이 테이퍼 형상으로 구현되었으나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그리고, 쌍을 이루어 서로 마주하는 쉴드 컨센트레이터(620)의 단부는 서로 이격되어 간극을 형성하는데, 간극의 너비(Dg)와 센서(310)의 너비(Dsi) 간에는 적정한 값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센서(310)의 너비(Dsi)는 간극의 너비(Dg)의 대략 120% 정도의 값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는데, 경우에 따라 센서(310)의 너비(Dsi)는 간극의 너비(Dg) 이하일 수도 있다.
즉, 버스바(20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볼 때, 센서(310)의 너비(Dsi)는 쉴드 컨센트레이터(620)의 단부가 이루는 간극이 형성하는 너비(Dg) 이하인 값을 이루어, 쉴드 컨센트레이터(620)의 단부 일단에서 센서(310) 및 쉴드 컨센트레이터(620)의 단부 중 타단으로 이루어지는 자기력선의 연결 구조가 안정적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센서(310)의 내부에 홀 센서 소자(미도시)가 배치됨으로써 센서(310)의 너비(Dsi)가 쉴드 컨센트레이터(620)의 단부가 이루는 간극의 너비(Dg)보다 큰 경우에도 경우에 따라 쉴드 컨센트레이터(620)와 센서(310) 내 홀 센서 소자 간의 안정적인 자기력선 연결 구조를 이룰 수도 있으나, 조립 공정상에서 센서 내 홀 센서 소자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조립 후 안정적인 감지 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쉴드 컨센트레이터(620)의 단부가 이루는 간극의 너비(Dg)는 센서(310)의 너비(Dsi) 이상인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센서(310)의 배치 위치는 기판(100)의 일면 상으로 기판(100) 상에 투영할 경우 센서(310)의 투영 영역이 쉴드 컨센트레이터(620)의 단부 간의 간극이 형성하는 투영 영역과 거의 교차되거나 내부에 배치되도록 장착될 수도 있다.
한편, 쉴드 블록키지(610)는 쉴드 블록키지 베이스(612) 및 쉴드 블록키지 사이드(614)의 외측면을 감싸며 하우징 몸체(400)의 내측 바닥면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쉴드 블록키지 차폐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쉴드 블록키지 차폐부(630)는 쉴드 블록키지 차폐 베이스(632) 및 쉴드 블록키지 차폐 사이드(634)로 구성되는데, 쉴드 블록키지 차폐 베이스(632)는 쉴드 블록키지 베이스(612)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쉴드 블록키지 차폐 사이드(634)는 앞서 설명한 쉴드 블록키지 차폐 베이스(632)의 양측단으로부터 각각 형성되며 쉴드 블록키지 사이드(614)의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하우징 몸체(400)의 내측 바닥면으로 향해 연장 형성된다.
이렇게, 쉴드 블록키지(610)에 쉴드 블록키지 차폐부(630)가 형성될 때 기판(100)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기판(100)의 양측단은 쉴드 블록키지 차폐 사이드(634)가 지나는 함몰 홈(110)이 형성되는데, 함몰 홈(110)은 기판의 측단에서 기판(100)의 중앙을 항해 함몰된 형태로 이루어져 한 쌍의 쉴드 블록키지 차폐 사이드(634) 사이에 기판이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기판(100)의 양측단에 함몰 홈(110)이 형성될 때 함몰 홈(110)의 함몰 길이는 쉴드 블록키지 차폐 사이드(634)의 두께와 동일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쉴드 블록키지 차폐 사이드(634) 사이에 기판(100)이 위치할 때 쉴드 블록키지 차폐 사이드(634)가 함몰 홈(110)에 밀착될 수 있게 소정의 탄성력이 발휘되도록 함으로써, 쉴드부(600)와 기판(100)의 조립을 보다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도 4와 같이 쉴드 블록키지 차폐 사이드(634)가 하우징 몸체(400)의 기판 탑재부(410)에 조립될 때 쉴드 블록키지 차폐 사이드(634)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쉴드 블록키지 차폐 사이드(634)와 하우징 몸체(400)의 내측면에는 각각 쉴드 블록키지 록킹 홈(634a)과 쉴드 블록키지 록킹 돌기(412a)가 형성된다.
즉, 쉴드 블록키지 차폐 사이드(634)가 하우징 몸체(400)의 기판 탑재부(410)에 조립될 때 쉴드 블록키지(610)가 무단으로 하우징 몸체(400)의 기판 탑재부(4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쉴드 블록키지 차폐 사이드(634)에는 쉴드 블록키지 록킹 홈(634a)이 형성되고, 쉴드 블록키지 록킹 홈(634a)과 대응하여 하우징 몸체(400)의 내측면에는 쉴드 블록키지 록킹 돌기(412a)가 형성되어 쉴드 블록키지 차폐 사이드(634)가 하우징 몸체(400)의 기판 탑재부(410)에 조립될 때 쉴드 블록키지 록킹 돌기(412a)가 쉴드 블록키지 록킹 홈(634a)에 끼워져 고정된다.
쉴드 블록키지 록킹 돌기(412a)는 바람직하게 하우징 몸체(400)의 내측면에서 하우징 몸체(400)의 개방된 일면으로 갈수록 하우징 몸체(400)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쉴드 블록키지 차폐 사이드(634)가 하우징 몸체(400)의 기판 탑재부(410)에 조립될 때 경사면에 안내되어 쉴드 블록키지 록킹 홈(634a)에 쉴드 블록키지 록킹 돌기(412a)가 쉽게 끼워지는 반면, 이와는 반대로 쉴드 블록키지 차폐 사이드(634)가 하우징 몸체(400)의 기판 탑재부(410)에서 분리될 때에는 쉴드 블록키지 록킹 돌기(412a)의 단턱이 쉴드 블록키지 록킹 홈(634a)에 걸려 쉴드 블록키지(610)가 기판 탑재부(410)에서 임의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쉴드 블록키지(610)가 하우징 몸체(400)의 내부에 형성된 기판 탑재부(410)에 조립되었을 때 쉴드 블록키지(610)가 하우징 몸체(400)의 내측면과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우징 몸체(400)의 내측면에는 지지 돌기(412)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 돌기(412)는 쉴드 블록키지 차폐 사이드(634)와 대면하는 하우징 몸체(40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하우징 몸체(400) 또는 쉴드 블록키지(610)의 제작 오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이격을 방지하여 쉴드 블록키지(610)를 하우징 몸체(400)의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 몸체(400)의 내측면에 지지 돌기(412)가 형성될 때 앞서 설명한 쉴드 블록키지 록킹 돌기(412a)가 지지 돌기(412)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하우징 몸체(400)에 기판(100), 쉴드부(600)가 배치되었을 때 하우징 몸체(400)의 개방된 일면을 폐쇄하여 이물질이 하우징 몸체(4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기판(100), 쉴드부(600)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하우징 커버(500)가 조립된다.
이러한 하우징 커버(500)는 하우징 몸체(400)의 개방된 일면에 대응하는 플레이트의 형상을 갖되 하우징 커버(500)의 양측단으로 체결 리브(530)가 형성되어 하우징 몸체(400)의 외측면에 형성된 체결 돌기(430)와 결속된다. 즉, 하우징 커버(500)는 하우징 몸체(400)의 외측면을 감싸는 체결 리브(530)가 하우징 커버(500)의 양측단에서 하우징 몸체(400)의 개방된 일면과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다. 또한, 체결 리브(530)에는 체결 홈(532)이 형성되어 하우징 몸체(400)의 외측면에 형성된 체결 돌기(430)와 결속된다.
이때, 하우징 몸체(400)의 외측면에 형성된 체결 돌기(430)는 하우징 몸체(400)의 외측면에서 하우징 몸체(400)의 개방된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으로 갈수록 하우징 몸체(400)의 외부를 향해 돌출되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하우징 커버(500)가 하우징 몸체(400)에 조립될 때 체결 리브(530)가 체결 돌기(430)의 경사면에 안내되어 하우징 커버(500)가 하우징 몸체(400)에 조립될 때 체결 리브(530)의 체결 홈(532)과 하우징 몸체(400)의 체결 돌기(430)가 쉽게 끼워지는 반면 이와는 반대로 하우징 커버(500)가 하우징 몸체(400)에서 분리될 때 체결 돌기(430)의 단턱이 체결 홈(532)에 걸려 하우징 커버(500)가 하우징 몸체(400)에서 임의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하우징 몸체(400)에 하우징 커버(500)가 조립될 때 하우징 커버(500)가 쉴드부(600)를 하우징 몸체(400)의 내부 바닥면으로 가압하여 쉴드부(600)를 보다 견고하게 하우징 몸체(4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우징 커버(500)에는 제 1 가이드 돌기(510) 및 제 2 가이드 돌기(520)가 형성된다.
제 1 가이드 돌기(510)는 하우징 커버(500) 중 하우징 몸체(400)의 개방된 일면과 마주하는 면에 돌출 형성되며, 제 1 가이드 돌기(510)와 대응하여 쉴드 블록키지 차폐 베이스(632)에 가이드 홈(632a)이 형성되어 하우징 커버(500)가 하우징 몸체(400)에 조립되었을 때 하우징 커버(500)에 형성된 제 1 가이드 돌기(510)가 쉴드 블록키지 차폐 베이스(632)의 가이드 홈(632a)에 삽입되어 쉴드부(600)의 고정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가이드 돌기(510) 및 가이드 홈(632a)은 바람직하게 버스바(20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평면에서 볼 때 십자의 형태를 갖도록 함으로써, 하우징 커버(500)가 하우징 몸체(400)에 조립될 때 방향성을 갖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하우징 커버(500)가 하우징 몸체(400)에 조립될 때 하우징 커버(500)의 위치가 어긋난 경우 하우징 커버(500)를 하우징 몸체(400)의 정확한 조립 위치로 유도할 수 있는 형상을 갖을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 1 가이드 돌기(51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형의 뿔 기둥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십자형의 뿔 기둥의 형태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가이드 홈(632a)이 쉴드 블록키지 차폐 베이스(632)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하우징 커버(500)가 하우징 몸체(400)의 개방된 일면과 수직한 방향에서 어긋난 상태로 조립될 때 제 1 가이드 돌기(510)와 가이드 홈(632a)의 경사면에 안내되면서 하우징 커버(500)를 하우징 몸체(400)의 정확한 결합 위치로 유도하여 하우징 커버(500)와 하우징 몸체(40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가이드 돌기(510)가 형성된 하우징 커버(500)에는 쉴드 블록키지 차폐 베이스(632)의 둘레를 감싸 쉴드 블록키지 차폐 베이스(632)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제 2 가이드 돌기(520)가 형성된다. 제 2 가이드 돌기(520)는 쉴드 블록키지 차폐 베이스(632)의 외곽 둘레를 감싸도록 쉴드 블록키지 차폐 베이스(632)의 사방 모서리에 대응하여 형성되는데, 이러한 제 2 가이드 돌기(520)는 버스바(20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평면에서 볼 때 대략 "L"자와 같은 절곡된 형상을 갖고 쉴드 블록키지 차폐 베이스(632)의 사방 모서리 각각의 외곽 둘레를 감싸 하우징 커버(500)가 하우징 몸체(400)에 조립되었을 때 쉴드 블록키지 차폐 베이스(632)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류 감지 유니트는 버스바(200)를 관류하는 전류의 세기를 감지하는 센서부(300)가 하우징 몸체(400)와 하우징 커버(500)에 의해 보호되기 때문에 이물질이 센서 또는 버스바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진동 및 충격과 같은 외력에 의해 센서부(300)와 버스바(20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센서부(300)의 측정 오차를 감소시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기판 110 : 함몰 홈
200 : 버스바 300 : 센서부
310 : 센서 310a : 제 1 센서
310b : 제 2 센서 400 : 하우징 몸체
410 : 기판 탑재부 412 : 지지 돌기
412a : 쉴드 블록키지 록킹 돌기 414 : 보스
414a : 관통 돌기 420 : 버스바 탑재부
422 : 매립 홈 430 : 체결 돌기
500 : 하우징 커버 510 : 제 1 가이드 돌기
520 : 제 2 가이드 돌기 530 : 체결 리브
532 : 체결 홈 600 : 쉴드부
610 : 쉴드 블록키지 612 : 쉴드 블록키지 베이스
614 : 쉴드 블록키지 사이드 620 : 쉴드 컨센트레이터
630 : 쉴드 블록키지 차폐부 632 : 쉴드 블록키지 차폐 베이스
632a : 가이드 홈 634 : 쉴드 블록키지 차폐 사이드
634a : 쉴드 블록키지 록킹 홈

Claims (25)

  1. 기판과 대면하여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버스바;
    상기 버스바를 관류하는 전류의 세기를 감지하도록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일면이 개방된 박스의 형태를 갖되 그 내부에 상기 기판이 안치되는 기판 탑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된 일면의 양측단에 상기 버스바가 안치되는 버스바 탑재부가 형성된 하우징 몸체; 및
    상기 하우징 몸체의 개방된 일면을 폐쇄하는 하우징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감지 유니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버스바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감지하는 제 1 센서; 및
    상기 제 1 센서와 동일 평면 상으로 상기 기판의 일면 상에 상기 제 1 센서와 이격되고 상기 버스바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감지하는 제 2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센서와 상기 제 2 센서는 서로 상이한 전류 크기 범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감지 유니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버스바의 둘레를 감싸 불필요한 자기장을 차단하는 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감지 유니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쉴드부는 상기 기판에 배치된 센서마다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감지 유니트.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쉴드부는,
    상기 버스바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는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버스바 외측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쉴드 블록키지; 및
    상기 쉴드 블록키지의 단부로 상기 센서와 마주하여 이격 배치되는 쉴드 컨센트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감지 유니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쉴드 블록키지는,
    상기 기판과의 사이에 상기 버스바가 배치되도록 위치하는 쉴드 블록키지 베이스; 및
    상기 쉴드 블록키지 베이스의 양측단에서 상기 버스바의 측면을 감싸도록 연장 형성되는 쉴드 블록키지 사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감지 유니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쉴드 블록키지 사이드는,
    상기 쉴드 블록키지 베이스의 양측단으로부터 각각 형성되어 쌍을 이루고, 상기 쉴드 블록키지 사이드의 단부에 각각 쉴드 컨센트레이터를 형성하되,
    상기 쉴드 컨센트레이터 간의 간극 너비는 상기 센서의 너비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감지 유니트.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쉴드 블록키지는,
    상기 쉴드 블록키지 베이스 및 쉴드 블록키지 사이드의 외측면을 감싸며 상기 하우징 몸체의 내측 바닥면으로 연장되는 쉴드 블록키지 차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감지 유니트.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쉴드 블록키지 차폐부는,
    상기 쉴드 블록키지 베이스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쉴드 블록키지 차폐 베이스; 및
    상기 쉴드 블록키지 차폐 베이스의 양측단으로부터 각각 형성되어 상기 쉴드 블록키지 사이드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쉴드 블록키지 차폐 사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감지 유니트.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양측단은 상기 쉴드 블록키지 차폐 사이드가 지나는 함몰 홈을 형성하되,
    상기 함몰 홈은 상기 기판의 측단에서 기판의 중앙을 향해 함몰되고 함몰된 길이는 상기 쉴드 블록키지 차폐 사이드의 두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감지 유니트.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쉴드 블록키지 차폐 사이드와 상기 쉴드 블록키지 차폐 사이드와 대면하는 상기 하우징 몸체의 내측면에 각각 쉴드 블록키지 록킹 홈과 쉴드 블록키지 록킹 돌기가 형성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감지 유니트.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쉴드 블록키지 록킹 돌기는,
    상기 하우징 몸체의 내측면에서 하우징 몸체의 개방된 일면으로 갈수록 하우징 몸체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감지 유니트.
  1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몸체의 내측면에는 상기 쉴드 블록키지가 하우징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쉴드 블록키지 사이드의 외측면과 밀착되는 지지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감지 유니트.
  14.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 블록키지 록킹 돌기는 상기 지지 돌기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감지 유니트.
  1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하우징 몸체의 개방된 일면과 마주하는 면에 제 1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쉴드 블록키지 차폐 베이스는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감지 유니트.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 및 가이드 홈은,
    상기 버스바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평면에서 볼 때 십자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감지 유니트.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는 뿔 기둥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감지 유니트.
  1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하우징 몸체의 개방된 일면과 마주하는 면에 상기 쉴드 블록키지 차폐 베이스의 사방 모서리를 감싸는 제 2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감지 유니트.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하우징 몸체의 외측면을 감싸는 체결 리브가 하우징 커버의 양측단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체결 리브와 대응하여 하우징 몸체의 외측면에 체결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 리브에 형성된 체결 홈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감지 유니트.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체결 돌기는,
    상기 하우징 몸체의 외측면에서 하우징 몸체의 개방된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으로 갈수록 하우징 몸체의 외부를 향해 돌출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감지 유니트.
  2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판 탑재부는,
    상기 하우징 몸체의 내부 바닥면에서 개방된 일면을 향해 하나 이상의 보스가 형성되고, 상기 보스의 자유단에 상기 기판이 안치되어 볼트가 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보스의 자유단과 나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감지 유니트.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보스의 자유단은 상기 기판을 관통하는 관통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감지 유니트.
  23. 청구항 21 또는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보스는,
    상기 기판의 사방에 배치되되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보스에 관통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감지 유니트.
  2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탑재부는,
    상기 하우징 몸체의 개방된 일면의 양측단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버스바가 매립되는 매립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감지 유니트.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매립 홈은,
    상기 버스바가 매립되었을 때 볼트가 버스바를 관통하여 매립 홈과 나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감지 유니트.
KR1020140021701A 2014-02-25 2014-02-25 전류 감지 유니트 KR201501001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701A KR20150100198A (ko) 2014-02-25 2014-02-25 전류 감지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701A KR20150100198A (ko) 2014-02-25 2014-02-25 전류 감지 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0198A true KR20150100198A (ko) 2015-09-02

Family

ID=54241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1701A KR20150100198A (ko) 2014-02-25 2014-02-25 전류 감지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019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7740A (ko) * 2018-09-05 2020-03-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기판 모듈
KR20200059000A (ko) * 2018-11-20 2020-05-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복합형 전류 측정장치
WO2021221182A1 (ko) * 2020-04-27 2021-11-04 엘지마그나 이파워트레인 주식회사 전류 센서 어셈블리
KR20220091100A (ko) * 2020-12-23 2022-06-30 태성전장주식회사 전류센서 소자와 버스바 간의 에어갭 유지 유니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7740A (ko) * 2018-09-05 2020-03-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기판 모듈
KR20200059000A (ko) * 2018-11-20 2020-05-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복합형 전류 측정장치
WO2021221182A1 (ko) * 2020-04-27 2021-11-04 엘지마그나 이파워트레인 주식회사 전류 센서 어셈블리
EP4145143A4 (en) * 2020-04-27 2023-12-27 LG Magna e-Powertrain Co., Ltd. CURRENT SENSOR ASSEMBLY
KR20220091100A (ko) * 2020-12-23 2022-06-30 태성전장주식회사 전류센서 소자와 버스바 간의 에어갭 유지 유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80287B2 (ja) 電流センサ
US10088505B2 (en) Current sensor
US10060953B2 (en) Current sensor
JP6512061B2 (ja) 電流センサ
US9557352B2 (en) Current detection structure
US11287450B2 (en) Current sensor
WO2016194633A1 (ja) 電流センサ
EP3176590B1 (en) Current sensor
KR20060050942A (ko) 고정밀 전류센서
WO2013128993A1 (ja) 電流センサ
WO2017212678A1 (ja) 電流センサおよび電流センサモジュール
KR20150100198A (ko) 전류 감지 유니트
KR101497836B1 (ko) 전류 감지 유니트
WO2015029736A1 (ja) 電流センサ
US20200256895A1 (en) Electric current sensor
US20200256897A1 (en) Electric current sensor
US20100090685A1 (en) Wide-range open-loop current sensor
EP3106884B1 (en) Current sensor
JP2018081024A (ja) 電流センサ
JP5704352B2 (ja) 電流センサ
JP5960403B2 (ja) 電流センサ
WO2015174247A1 (ja) 電流センサ
JP2014098634A (ja) 電流センサ
JP2015011021A (ja) 電流センサー
JP2014194346A (ja) 電流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