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1997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1997A
KR20150051997A KR1020157003196A KR20157003196A KR20150051997A KR 20150051997 A KR20150051997 A KR 20150051997A KR 1020157003196 A KR1020157003196 A KR 1020157003196A KR 20157003196 A KR20157003196 A KR 20157003196A KR 20150051997 A KR20150051997 A KR 20150051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erminal
movable
hous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3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이스케 후나야마
시게루 미츠즈카
도미사부로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51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19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91Coupling devices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or self alig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2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커넥터가 서로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로운 구성에 있어서도 단자의 허용 전류치를 크게 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제 1 커넥터(10)의 각 제 1 단자(13)의 가동부(13c)가 커넥터의 전후 방향(Y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도록 가동부(13c)의 폭 방향의 치수를 두께 방향의 치수보다 크게 형성하고, 제 2 커넥터(20)의 각 제 2 단자(23)의 가동부(23f)가 커넥터의 폭 방향(X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도록 가동부(23f)의 두께 방향의 치수를 폭 방향의 치수보다 크게 형성했기 때문에, 커넥터의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의 어느 방향으로도 충분히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한 것에 비해 각 가동부(13c, 23f)의 단면적을 각각 크게 할 수 있어 각 단자(13, 23) 허용 전류치를 크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한 쌍의 프린트 기판끼리를 접속하기 위해 이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커넥터로는 서로 한쪽 면을 대향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기판 중 한쪽 기판에 부착되는 한쪽 커넥터와, 다른쪽 기판에 부착되는 다른쪽 커넥터를 구비하고, 각 커넥터를 끼워 맞춤으로써 기판끼리를 접속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상기 커넥터 중 한쪽 커넥터는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 하우징과,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커넥터의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가동 하우징과, 일단측이 가동 하우징에 홀딩되고, 타단측이 고정 하우징에 홀딩된 복수의 단자를 가지며, 각 단자의 일단측과 타단측의 사이에 설치된 가동부의 탄성 변형에 의해 가동 하우징이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함으로써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각 기판끼리의 위치 어긋남을 흡수하도록 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 2007-18785호 공보
그런데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는 각 기판끼리의 위치 어긋남은 커넥터의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으로 발생하는데, 각 커넥터 중 한쪽 커넥터의 단자만이 가동 하우징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의 가동부는 커넥터의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의 어느 방향으로도 충분히 탄성 변형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한쪽 커넥터의 단자는 가동부의 단면이 거의 정방형이고 단면적도 작게 형성되므로 단자의 허용 전류치를 크게 할 수 없어 대전류용 커넥터로는 불리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제 1 및 제 2 커넥터가 서로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로운 구성에 있어서도 단자의 허용 전류치를 크게 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로 한쪽 면을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기판 중 한쪽 기판에 부착되는 제 1 커넥터와, 다른쪽 기판에 부착되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하고,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를 끼워 맞춤으로써 각 기판끼리를 접속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한쪽 기판에 고정되는 제 1 고정 하우징과, 제 1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커넥터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되는 제 1 가동 하우징과, 일단측이 제 1 가동 하우징에 홀딩되고, 타단측이 제 1 고정 하우징에 홀딩된 제 1 단자를 갖고, 제 1 단자에 커넥터의 전후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제 1 단자의 가동부를 커넥터의 폭 방향에 대응하는 폭 치수가 커넥터의 전후 방향 또는 상하 방향에 대응하는 두께 치수보다 크게 되도록 형성하고, 제 1 단자의 일단측과 타단측을 서로 커넥터의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하는 동시에, 제 1 단자의 일단측과 타단측 사이에 제 1 단자의 가동부를 배치하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다른쪽 기판에 고정되는 제 2 고정 하우징과, 제 2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커넥터의 폭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되는 제 2 가동 하우징과, 일단측이 제 2 가동 하우징에 홀딩되고, 타단측이 제 2 고정 하우징에 홀딩된 제 2 단자를 갖고, 제 2 단자에 커넥터의 폭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제 2 단자의 가동부를 커넥터의 전후 방향 또는 상하 방향에 대응하는 두께 치수가 커넥터의 폭 방향에 대응하는 폭 치수보다 크게 되도록 형성하고, 제 2 단자의 일단측과 타단측을 서로 커넥터의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하는 동시에, 제 2 단자의 일단측과 타단측 사이에 제 2 단자의 가동부를 배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 1 커넥터의 제 1 단자는 가동부의 폭 방향의 치수가 두께 방향의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의 전후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기 쉽고, 제 2 커넥터의 제 2 단자는 가동부의 두께 방향의 치수가 폭 방향의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의 폭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기 쉬우므로, 각 기판끼리의 위치 어긋남이 커넥터의 전후 방향으로 생겼을 때는 제 1 단자의 가동부가 탄성 변형하고, 각 기판끼리의 위치 어긋남이 커넥터의 폭 방향으로 생겼을 때는 제 2 단자의 가동부가 탄성 변형한다. 즉, 제 1 커넥터의 제 1 단자의 가동부가 커넥터의 전후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도록 폭 방향의 치수가 두께 방향의 치수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 2 커넥터의 제 2 단자의 가동부가 커넥터의 폭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도록 두께 방향의 치수가 폭 방향의 치수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커넥터의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의 어느 방향으로도 충분히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한 것에 비해, 제 1 및 제 2 단자의 가동부의 단면적을 각각 크게 할 수 있어 단자의 허용 전류치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커넥터가 서로 커넥터의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로운 구성에 있어서도 단자의 허용 전류치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대전류용 커넥터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제 1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제 1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A-A선 화살표 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제 1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제 1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7은 제 2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제 2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9는 제 2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B-B선 화살표 방향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 2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제 2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13은 제 1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 2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커넥터의 접속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커넥터의 접속 공정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예를 들면 한 쌍의 프린트 기판끼리를 접속하기 위해 이용되는 커넥터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도면 중 X방향은 커넥터의 폭 방향, Y방향은 커넥터의 전후 방향, Z방향은 커넥터의 상하 방향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는 서로 한쪽 면을 대향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기판( 1, 2) 중 한쪽 기판(1)에 부착되는 제 1 커넥터(10)와, 다른쪽 기판(2)에 부착되는 제 2 커넥터(2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2 커넥터(20)는 도 15 및 도 16에서는 도 7 내지 도 12에 대하여 상하 반대 방향이 되지만,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은 도 7 내지 도 12의 상하 방향으로서 나타냈다.
제 1 커넥터(10)는 한쪽 기판(1)에 고정되는 제 1 고정 하우징(11)과, 제 1 고정 하우징(11)에 대하여 이동이 자유로운 제 1 가동 하우징(12)과, 제 1 고정 하우징(11) 및 제 1 가동 하우징(12)에 홀딩된 복수의 제 1 단자(13)와, 제 1 고정 하우징(11)을 한쪽 기판(1)에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제 1 고정 부재(14)로 구성되고, 각 제 1 단자(13)는 서로 커넥터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동시에 전후 2열로 배치되어 있다.
제 1 고정 하우징(11)은 합성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폭 치수 및 안길이(depth) 치수에 대하여 높이 치수가 작은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고정 하우징(11)은 전면부(11a), 배면부(11b) 및 좌우 측면부(11c)로 이루어지고, 그 상면 및 하면은 각각 위쪽 및 아래쪽으로 개구하고 있다. 전면부(11a) 및 배면부(11b)의 내면측에는 각 제 1 단자(13)를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홈(11d)이 설치되고, 각 측면부(11c)에는 제 1 가동 하우징(12)의 전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대략 사각형상의 노치부(11e)가 전후 2개소씩 설치되어 있다.
제 1 가동 하우징(12)은 합성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폭 치수 및 안길이 치수에 대하여 높이 치수가 작은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가동 하우징(12)은 상면을 개구한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바닥면의 전후 방향 중앙부로부터 위쪽을 향해 돌출하는 돌출부(12a)가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12a)는 제 1 가동 하우징(12)의 폭 방향으로 긴 편평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전면 및 배면에는 각 제 1 단자(13)를 홀딩하는 복수의 홀딩홈(12b)이 설치되어 있다. 제 1 가동 하우징(12)은 제 1 고정 하우징(11)의 내형보다 작은 외형으로 형성되고, 제 1 고정 하우징(11) 내에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제 1 가동 하우징(12)의 상단은 제 2 고정 하우징(21)의 상단과 거의 같은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 제 1 가동 하우징(12)의 양측면에는 측방으로 돌출하는 돌기부(12c)가 전후 2개소씩 설치되고, 각 돌기부(12c)는 각각 제 1 고정 하우징(11)의 각 노치부(11e) 내에 전후 방향, 폭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다.
각 제 1 단자(13)는 도전성의 금속판을 굽힘 가공함으로써 형성되고,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방향(X방향)의 치수가 두께 방향(Y방향 또는 Z방향)의 치수보다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단자(13)는 제 2 커넥터(20)의 단자에 접촉하는 접촉부(13a)와, 제 1 가동 하우징(12)에 고정되는 제 1 고정편부(13b)와, 커넥터의 전후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부(13c)와, 제 1 고정 하우징(11)에 고정되는 제 2 고정편부(13d)와, 한쪽 기판(1)에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13e)로 이루어진다. 접촉부(13a)는 상하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 1 가동 하우징(12)의 홀딩홈(12b)에 홀딩되어 있다. 제 1 고정편부(13b)는 접촉부(13a)의 하단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 1 가동 하우징(12)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다. 가동부(13c)는 제 1 고정편부(13b)로부터 제 1 가동 하우징(12)의 외면을 따라 위쪽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제 1 가동 하우징(12)의 상단 부근에서부터 아래쪽을 향해 역 U자 형상으로 굴곡하도록 형성되고, 그 상단을 기점으로 커넥터의 전후 방향(Y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고정편부(13d)는 가동부(13c)의 한쪽 하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 1 고정 하우징(11)의 고정홈(11d)에 고정되어 있다. 기판 접속부(13e)는 제 2 고정편부(13d)의 하단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 1 고정 하우징(11)의 전면부(11a) 또는 배면부(11b)의 아래쪽으로부터 제 1 고정 하우징(11)의 외측으로 연장 돌출하고 있다. 즉, 제 1 단자(13)의 일단측(제 1 고정편부(13b)측)과 타단측(제 2 고정편부(13d)측)은 서로 커넥터의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그 사이에 가동부(13c)가 배치되어 있다.
각 제 1 고정 부재(14)는 금속판을 굽힘 가공함으로써 형성되고, 제 1 고정 하우징(11)의 폭 방향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고정 부재(14)는 제 1 고정 하우징(11)의 측면부(11c)의 상면에서부터 전면측 및 배면측에 걸치도록 대략 コ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전후 양단측이 측면부(11c)의 전면 및 배면에 고정되어 있다. 제 1 고정 부재(14)의 양단에는 기판(1)에 납땜되는 고정편부(14a)가 각각 설치되고, 각 고정편부(14a)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고정 부재(14)의 상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조(elongated protrusion)부(14b)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커넥터(20)는 한쪽 기판(1)에 고정되는 제 2 고정 하우징(21)과, 제 2 고정 하우징(21)에 대하여 이동이 자유로운 제 1 가동 하우징(12)과, 제 2 고정 하우징(21) 및 제 2 가동 하우징(22)에 홀딩된 복수의 제 2 단자(23)와, 제 2 고정 하우징(21)을 다른쪽 기판(2)에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제 2 고정 부재(24)로 구성되고, 각 제 2 단자(23)는 서로 커넥터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동시에 전후 2열로 배치되어 있다.
제 2 고정 하우징(21)은 합성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폭 치수 및 안길이 치수에 대하여 높이 치수가 작은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고정 하우징(21)은 전면부(21a), 배면부(21b) 및 좌우 측면부(21c)로 이루어지고, 그 상면 및 하면은 각각 위쪽 및 아래쪽으로 개구하고 있다. 전면부(21a) 및 배면부(21b)의 하단측에는 각 제 2 단자(23)를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구멍(21d)이 설치되고, 각 측면부(21c)에는 제 2 가동 하우징(22)의 전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대략 사각형상의 노치부(21e)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가동 하우징(22)은 합성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폭 치수 및 안길이 치수에 대하여 높이 치수가 큰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가동 하우징(22)의 상면에는 제 1 가동 하우징(12)의 돌출부(12a)가 삽입되는 삽입구(22a)가 설치되고, 삽입구(22a)는 제 1 가동 하우징(12)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가로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제 2 가동 하우징(22) 내에는 각 제 2 단자(23)가 배치되는 복수의 단자구멍(22b)이 서로 커넥터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각 단자구멍(22b)은 전후 2열로 배치되어 있다. 각 단자구멍(22b)은 상부측이 제 2 가동 하우징(22) 내의 전후 방향 중앙을 향해 개구하고 있고, 전열(前列)과 후열(後列)의 각 단자구멍(22b)의 상부측 사이에는 제 1 가동 하우징(12)의 돌출부(12a)가 삽입구(22a)를 통해 삽입되는 삽입부(22c)가 형성되어 있다. 각 단자구멍(22b)의 하부측에는 제 2 단자(23)가 고정되도록 되어 있고, 각 단자구멍(22b)의 하단은 아래쪽으로 개구하고 있다. 제 2 가동 하우징(22)은 제 2 고정 하우징(21)의 내형보다 작은 외형으로 형성되고, 제 2 고정 하우징(21) 내에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제 2 가동 하우징(22)은 대략 위쪽 절반이 제 2 고정 하우징(21)의 상단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또, 제 2 가동 하우징(22)의 양측면에는 측방으로 돌출하는 돌기부(22d)가 설치되고, 각 돌기부(22d)는 제 2 고정 하우징(21)의 각 노치부(21e) 내에 전후 방향, 폭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다.
각 제 2 단자(23)는 도전성의 금속판을 펀칭 가공함으로써 형성되고,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께 방향(Y방향 또는 Z방향)의 치수가 폭 치수(X방향)의 치수보다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단자(23)는 제 1 커넥터(10)의 제 1 단자(13)에 접촉하는 제 1 접촉부(23a) 및 제 2 접촉부(23b)와, 제 1 단자(13)와의 접촉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제 1 탄성편부(23c) 및 제 2 탄성편부(23d)와, 제 2 가동 하우징(22)에 고정되는 제 1 고정편부(23e)와, 커넥터의 폭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부(23f)와, 제 2 고정 하우징(21)에 고정되는 제 2 고정편부( 23g)와, 다른쪽 기판(2)에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23h)로 이루어진다. 제 1 접촉부(23a) 및 제 2 접촉부(23b)는 대략 삼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각각 단자구멍(22b)의 상부측으로부터 삽입부(22c) 내로 돌출하고 있다. 이 경우, 각 접촉부(23a, 23b)는 제 1 접촉부(23a)가 제 2 접촉부(23b)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서로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 1 탄성편부(23c)는 제 1 고정편부(23e)의 상단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그 상단에는 제 1 접촉부(23a)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탄성편부(23d)는 제 1 고정편부(23e)의 상단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그 상단에는 제 2 접촉부(23b)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각 탄성편부(23c, 23d)는 제 2 탄성편부(23b)가 제 1 탄성편부(23c)보다 커넥터의 전후 방향 중앙측에 위치하도록 서로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 1 고정편부(23e)는 각 탄성편부(23c, 23d)의 하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단자구멍(22b)의 하부측에 고정되어 있다. 가동부(23f)는 제 1 고정편부(23e)의 하단측으로부터 제 2 가동 하우징(22)의 외면을 따라 위쪽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제 2 가동 하우징(22)의 상하 방향 대략 중앙 부근에서부터 아래쪽을 향해 역 U자 형상으로 굴곡하도록 형성되며, 그 상단을 기점으로 커넥터의 폭 방향(X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고정편부(23g)는 가동부(23f)의 한쪽 하단측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 2 고정 하우징(21)의 고정구멍(21d) 내에 고정되어 있다. 기판 접속부(23h)는 제 2 고정편부(23g)의 하단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 2 고정 하우징(21)의 전면부(21a) 또는 배면부(21b)의 하부로부터 제 2 고정 하우징(21)의 외측으로 연장 돌출하고 있다. 즉, 제 2 단자(23)의 일단측(제 1 고정편부(23e)측)과 타단측(제 2 고정편부(23g)측)은 서로 커넥터의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그 사이에 가동부(23f)가 배치되어 있다.
각 제 2 고정 부재(24)는 금속판을 굽힘 가공함으로써 형성되고, 제 2 고정 하우징(21)의 폭 방향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고정 부재(24)는 제 2 고정 하우징(21)의 측면부(21c)의 상면에서부터 전면측 및 배면측에 걸치도록 대략 コ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전후 양단측이 측면부(21c)의 전면 및 배면에 고정되어 있다. 제 2 고정 부재(24)의 양단에는 기판(2)에 납땜되는 고정편부(24a)가 각각 설치되고, 각 고정편부(24a)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고정 부재(24)의 상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조부(24b)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커넥터에 있어서는, 제 1 커넥터(10)의 각 제 1 고정 부재(14)의 고정편부(14a)와 각 제 1 단자(13)의 기판 접속부(13e)를 한쪽 기판(1)에 납땜함으로써 제 1 커넥터(10)의 제 1 고정 하우징(11)이 기판(1)에 고정된다. 또, 제 2 커넥터(20)의 각 제 2 고정 부재(24)의 고정편부(24a)와 각 제 2 단자(23)의 기판 접속부(23h)를 다른쪽 기판(2)에 납땜함으로써 제 2 커넥터(20)의 제 2 고정 하우징(21)이 기판(2)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20)를 접속하는 경우는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커넥터(20) 및 기판(2)을 상하 반대 방향으로 하여 제 1 커넥터(10)의 제 1 가동 하우징(12)과 제 2 커넥터(20)의 제 2 가동 하우징(22)을 서로 끼워 맞춘다. 그때, 제 1 가동 하우징(12) 내에 제 2 가동 하우징(22)이 삽입되는 동시에, 제 1 가동 하우징(12)의 돌출부(12a)가 제 2 가동 하우징(22)의 삽입구(22a)로부터 제 2 가동 하우징(22) 내의 삽입부(22c)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제 1 단자(13)의 각 접촉부(13a)가 제 2 단자(23)의 각 제 1 접촉부(23a) 및 각 제 2 접촉부(23b) 사이에 압입되는 동시에, 제 1 단자(13)의 각 접촉부(13a)와 제 2 단자(23)의 각 제 1 및 제 2 접촉부(23a, 23b)가 서로 접촉하고, 각 제 1 단자(13)와 각 제 2 단자(23)가 접속된다. 그때, 제 1 단자(13)의 접촉부(13a)에는 제 2 단자(23)의 제 1 접촉부(23a)가 접촉한 후, 제 2 단자(23)의 제 2 접촉부(23b)가 접촉하므로 제 1 단자(13)의 접촉부(13a)에 먼지나 때 등의 이물이 부착되어 있던 경우에도 제 1 접촉부(23a)에 의해 이물이 제거된 후에 제 2 접촉부(23b)가 접촉한다.
상기 접속 상태에 있어서, 각 기판(1, 2)끼리가 커넥터의 전후 방향(Y방향) 또는 상하 방향(Z방향)으로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면, 제 1 커넥터(10)의 제 1 가동 하우징(12)이 제 1 고정 하우징(11)에 대하여 커넥터의 전후 방향(Y방향) 또는 상하 방향(Z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커넥터의 전후 방향 또는 상하 방향에 대한 각 기판(1, 2)끼리의 위치 어긋남이 흡수된다. 또, 각 기판(1, 2)끼리가 커넥터의 폭 방향(X방향)으로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면, 제 2 커넥터(20)의 제 2 가동 하우징(12)이 제 2 고정 하우징(21)에 대하여 커넥터의 폭 방향(X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커넥터의 폭 방향에 대한 각 기판(1, 2)끼리의 위치 어긋남이 흡수된다.
즉, 제 1 커넥터(10)의 각 제 1 단자(13)는 가동부(13c)의 폭 방향(X방향)의 치수가 두께 방향(Y방향 또는 Z방향)의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의 전후 방향(Y방향) 또는 상하 방향(Z방향)으로 탄성 변형하기 쉽다. 또, 제 2 커넥터(20)의 각 제 2 단자(23)는 가동부(23f)의 두께 방향(Y방향 또는 Z방향)의 치수가 폭 방향(X방향)의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의 폭 방향(X방향)으로 탄성 변형하기 쉽다. 따라서, 각 기판(1, 2)끼리의 위치 어긋남이 커넥터의 전후 방향(Y방향)으로 생겼을 때는 각 제 2 단자(23)의 가동부(23f)보다 각 제 1 단자(13)의 가동부(13c)가 크게 탄성 변형하고, 각 기판(1, 2)끼리의 위치 어긋남이 커넥터의 폭 방향(X방향)으로 생겼을 때는 각 제 1 단자(13)의 가동부(13c)보다 각 제 2 단자(23)의 가동부(23f)가 크게 탄성 변형한다.
또, 각 제 1 단자(13)의 가동부(13c)는 제 1 단자(13)의 일단측(제 1 고정편부(13b)측)과 타단측(제 2 고정편부(13d)측) 사이에 배치되는 동시에, 제 1 단자(13)의 일단측과 타단측은 서로 커넥터의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단자(13)의 가동부(13c)를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해도 제 1 단자(13)의 상하 치수가 커지는 일은 없다. 마찬가지로 각 제 2 단자(23)의 가동부(23f)는 제 2 단자(23)의 일단측(제 1 고정편부(23e)측)과 타단측(제 2 고정편부(23g)측) 사이에 배치되는 동시에, 제 2 단자(23)의 일단측과 타단측은 서로 커넥터의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단자(23)의 가동부(23f)를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해도 제 2 단자(23)의 상하 치수가 커지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커넥터(10)의 각 제 1 단자(13)의 가동부(13c)가 커넥터의 전후 방향(Y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도록 가동부(13c)의 폭 방향의 치수를 두께 방향의 치수보다 크게 형성하고, 제 2 커넥터(20)의 각 제 2 단자(23)의 가동부(23f)가 커넥터의 폭 방향(X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도록 가동부(23f)의 두께 방향의 치수를 폭 방향의 치수보다 크게 형성했으므로, 커넥터의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의 어느 방향으로도 충분히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한 것에 비해 각 가동부(13c, 23f)의 단면적을 각각 크게 할 수 있어 각 단자(13, 23)의 허용 전류치를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커넥터(10, 20)가 서로 커넥터의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로운 구성에 있어서도 각 단자(13, 23)의 허용 전류치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대전류용 커넥터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제 1 단자(13)의 일단측(제 1 고정편부(13b)측)과 타단측(제 2 고정편부(13d)측)을 서로 커넥터의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하는 동시에, 그 사이에 제 1 단자(13)의 가동부(13c)를 배치하도록 했으므로, 제 1 단자(13)의 상하 치수를 크게 하는 일 없이 가동부(13c)를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할 수 있다. 또, 제 2 단자(23)의 일단측(제 1 고정편부(23e)측)과 타단측(제 2 고정편부(23g)측)을 서로 커넥터의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하는 동시에, 그 사이에 제 2 단자(23)의 가동부(23f)를 배치하도록 했으므로, 제 2 단자(23)의 상하 치수를 크게 하는 일 없이 가동부(23f)를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커넥터(10, 20)를 상하 방향으로 대형화시키는 일 없이 제 1 및 제 2 가동 하우징(12, 22)의 이동량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각 기판(1, 2)의 간격이 좁고 각 기판(1, 2)끼리의 위치 어긋남이 큰 경우에도 유리하다.
이 경우, 제 1 단자(13)의 가동부(13c)를 상하 방향으로 굴곡하도록 형성했으므로, 굴곡부를 기점으로 폭 방향보다 치수가 작은 두께 방향으로 굽힘 변형을 일으키게 할 수 있어 제 1 단자(13)를 용이하게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또, 제 2 단자(23)의 가동부(23f)를 상하 방향으로 굴곡하도록 형성했으므로, 굴곡부를 기점으로 두께 방향보다 치수가 작은 폭 방향으로 굽힘 변형을 일으키게 할 수 있어 제 2 단자(23)를 용이하게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단자(13)에 제 2 단자(23)에 접촉하는 접촉부(13a)를 설치하는 동시에, 제 2 단자(23)에는 제 1 단자(13)의 접촉부(13a)에 접촉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제 1 및 제 2 접촉부(23a, 23b)를 설치하고, 제 2 단자(23)의 제 1 및 제 2 접촉부(23a, 23b)를 서로 커넥터 끼워 맞춤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했으므로, 제 1 단자(13)의 접촉부(13a)에 먼지나 때 등의 이물이 부착되어 있던 경우에도 제 1 접촉부(23a)에 의해 이물을 제거한 후에 제 2 접촉부(23b)를 접촉시킬 수 있어 제 1 단자(13)와 제 2 단자(23)를 확실하게 도통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각 기판(1, 2)의 대향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서 각 커넥터(10, 20)의 구성을 설명했지만, 각 기판이 상하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경우에는 그 기판의 대향 방향이 본 발명의 상하 방향에 대응한다.
1, 2 : 기판 10 : 제 1 커넥터
11 : 제 1 고정 하우징 12 : 제 1 가동 하우징
13 : 제 1 단자 13c : 가동부
20 : 제 2 커넥터 21 : 제 2 고정 하우징
22 : 제 2 가동 하우징 23 : 제 2 단자
23f : 가동부

Claims (3)

  1. 서로 한쪽 면을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기판 중 한쪽 기판에 부착되는 제 1 커넥터와, 다른쪽 기판에 부착되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하고,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를 끼워 맞춤으로써 각 기판끼리를 접속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한쪽 기판에 고정되는 제 1 고정 하우징과, 제 1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커넥터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되는 제 1 가동 하우징과, 일단측이 제 1 가동 하우징에 홀딩되고, 타단측이 제 1 고정 하우징에 홀딩된 제 1 단자를 갖고,
    제 1 단자에 커넥터의 전후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제 1 단자의 가동부를 커넥터의 폭 방향에 대응하는 폭 치수가 커넥터의 전후 방향 또는 상하 방향에 대응하는 두께 치수보다 크게 되도록 형성하고,
    제 1 단자의 일단측과 타단측을 서로 커넥터의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하는 동시에, 제 1 단자의 일단측과 타단측 사이에 제 1 단자의 가동부를 배치하며,
    상기 제 2 커넥터는 다른쪽 기판에 고정되는 제 2 고정 하우징과, 제 2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커넥터의 폭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되는 제 2 가동 하우징과, 일단측이 제 2 가동 하우징에 홀딩되고, 타단측이 제 2 고정 하우징에 홀딩된 제 2 단자를 갖고,
    제 2 단자에 커넥터의 폭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제 2 단자의 가동부를 커넥터의 전후 방향 또는 상하 방향에 대응하는 두께 치수가 커넥터의 폭 방향에 대응하는 폭 치수보다 크게 되도록 형성하며,
    제 2 단자의 일단측과 타단측을 서로 커넥터의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하는 동시에, 제 2 단자의 일단측과 타단측 사이에 제 2 단자의 가동부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를 상하 방향으로 굴곡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에 제 2 단자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제 2 단자에는 제 1 단자의 접촉부에 접촉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제 1 및 제 2 접촉부를 설치하고,
    제 2 단자의 제 1 및 제 2 접촉부를 서로 커넥터 끼워 맞춤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57003196A 2012-09-05 2013-08-26 커넥터 KR201500519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95386 2012-09-05
JPJP-P-2012-195386 2012-09-05
PCT/JP2013/072772 WO2014038427A1 (ja) 2012-09-05 2013-08-26 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1997A true KR20150051997A (ko) 2015-05-13

Family

ID=50237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3196A KR20150051997A (ko) 2012-09-05 2013-08-26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9281594B2 (ko)
EP (1) EP2903092B1 (ko)
JP (2) JP5422776B1 (ko)
KR (1) KR20150051997A (ko)
CN (1) CN104584331B (ko)
TW (1) TW201411948A (ko)
WO (1) WO20140384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81594B2 (en) * 2012-09-05 2016-03-08 Iriso Electronics Co., Ltd. Connector
JP6297928B2 (ja) * 2014-06-02 2018-03-20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WO2015199071A1 (ja) * 2014-06-23 2015-12-30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接続構造及びコネクタ
KR101565587B1 (ko) 2014-07-24 2015-11-04 주식회사 웰 포인트 충전용 커넥터단자와 이를 이용한 충전용 커넥터 및 충전용 커넥터단자 설계방법
US9608349B2 (en) * 2014-08-06 2017-03-28 Ddk Ltd. Contact having two contact portions with their central lines in one plane
JP6041107B2 (ja) * 2014-09-16 2016-12-07 Smk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機構付き同軸コネクタ
JP6537890B2 (ja) * 2014-09-26 2019-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849166B1 (ja) 2014-12-12 2016-01-27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間接続構造
JP6466230B2 (ja) * 2015-04-06 2019-02-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305388B2 (ja) * 2015-11-26 2018-04-04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ボトムエントリコネクタ
JP6438382B2 (ja) * 2015-12-15 2018-12-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6662633B2 (ja) * 2015-12-28 2020-03-11 京セラ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装置
JP6258370B2 (ja) 2016-02-02 2018-01-10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可動コネクタ
JP6446392B2 (ja) * 2016-05-23 2018-12-2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と相手接続部材との接続構造
JP6765243B2 (ja) * 2016-07-14 2020-10-0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EP3499651A4 (en) 2016-08-10 2020-04-08 Kyocera Corporation CONNECTOR
JP6727074B2 (ja) * 2016-08-29 2020-07-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6840840B2 (ja) 2016-09-19 2021-03-10 ホアウェイ・テクノロジーズ・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シールドされた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6776085B2 (ja) * 2016-10-05 2020-10-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8075291B (zh) * 2016-11-11 2020-06-05 莫列斯有限公司 电连接器及端子
JP6727103B2 (ja) * 2016-11-11 2020-07-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6270294B1 (ja) * 2016-11-24 2018-01-31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可動コネクタ
JP6445072B2 (ja) * 2017-04-05 2018-12-26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10608361B2 (en) 2017-05-19 2020-03-31 Molex, Llc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N109119780B (zh) * 2017-06-26 2020-09-18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导电接触结构及电连接器
JP6689235B2 (ja) * 2017-07-11 2020-04-28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10096914B1 (en) * 2017-11-16 2018-10-09 Greenconn Corp. Floating connector and conductive terminal thereof
US10199761B1 (en) * 2017-11-22 2019-02-05 Greenconn Corp. Signal transmission assembly and floating connector
JP6582082B2 (ja) * 2018-03-09 2019-09-25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7197995B2 (ja) * 2018-04-26 2022-12-2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TWI712227B (zh) * 2018-09-11 2020-12-0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浮動連接器及連接機構總成
TWI676319B (zh) * 2018-10-11 2019-11-01 宣德科技股份有限公司 板對板連接器組合
US10971850B2 (en) 2018-10-23 2021-04-06 Iriso Electronics Co., Ltd. Movable connector
JP7207975B2 (ja) * 2018-11-29 2023-01-18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EP3754792A1 (de) * 2019-06-17 2020-12-23 Lisa Dräxlmaier GmbH Steckverbindungssystem
JP2021125397A (ja) 2020-02-06 2021-08-30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22018414A (ja) * 2020-07-15 2022-01-2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31381A (en) * 1970-04-02 1971-12-28 Ind Electronic Hardware Corp Multiple electrical connector
US4106841A (en) * 1977-03-11 1978-08-15 Bunker Ramo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JPS61284075A (ja) 1985-06-10 1986-12-15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多層構造の電気接続端子
JP3258745B2 (ja) 1993-01-29 2002-02-18 エフシーアイジャパン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取付具
JP3007812U (ja) * 1994-05-25 1995-02-28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表面実装用電気コネクタ
US5873742A (en) * 1996-06-18 1999-02-2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JP3228460B2 (ja) 1996-08-08 2001-11-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電気コネクタ
JP3117439B1 (ja) 1999-07-06 2000-12-11 山一電機株式会社 挟接形ソケット
JP2002050420A (ja) 2000-08-03 2002-02-15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基板用コネクタ
JP2002100443A (ja) 2000-09-20 2002-04-05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基板用コネクタ
JP2003229193A (ja) 2002-02-05 2003-08-15 Ricoh Co Ltd コネクタ又はソケット
JP2007018785A (ja) 2005-07-06 2007-01-25 D D K Ltd コネクタ
JP2007220542A (ja) * 2006-02-17 2007-08-30 Iriso Denshi Kogyo Kk コネクタ
JP5000560B2 (ja) * 2008-03-21 2012-08-15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4374074B1 (ja) 2009-06-10 2009-12-02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接続用端子及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JP2011076755A (ja) 2009-09-29 2011-04-14 Taiko Denki Co Ltd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JP5057592B2 (ja) 2010-02-03 2012-10-2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11249076A (ja) 2010-05-25 2011-12-08 Fujitsu Component Ltd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JP5010043B1 (ja) 2011-06-13 2012-08-29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9281594B2 (en) * 2012-09-05 2016-03-08 Iriso Electronics Co., Ltd. Connector
EP2733793B1 (en) 2012-11-15 2016-06-15 Iriso Electronics Co., Ltd. Electric connection terminal and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JP5491664B1 (ja) * 2013-07-19 2014-05-14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67723A (ja) 2014-04-17
JP5422776B1 (ja) 2014-02-19
EP2903092B1 (en) 2018-02-21
US9281594B2 (en) 2016-03-08
US9178326B2 (en) 2015-11-03
TW201411948A (zh) 2014-03-16
US20150244093A1 (en) 2015-08-27
US20150064975A1 (en) 2015-03-05
WO2014038427A1 (ja) 2014-03-13
CN104584331B (zh) 2017-02-22
US20150064935A1 (en) 2015-03-05
EP2903092A1 (en) 2015-08-05
JP2014067706A (ja) 2014-04-17
EP2903092A4 (en) 2016-07-06
JP5481599B2 (ja) 2014-04-23
US9088113B2 (en) 2015-07-21
CN104584331A (zh) 2015-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51997A (ko) 커넥터
KR101514373B1 (ko) 커넥터
US9698508B2 (en) Connector and substrate interconnection structure
JP5606588B1 (ja) コネクタ
KR101514372B1 (ko) 커넥터
JP5946804B2 (ja) コネクタ
JP6227103B2 (ja) コネクタ
US20080296133A1 (en) Connector
KR20180086235A (ko) 플로팅 커넥터 장치
CN108140992B (zh) 连接器和连接器组装体
KR20120027020A (ko) 전기 접속용 단자 및 이것을 이용한 커넥터
US20090042412A1 (en) Contact and Electrical Connector
JP5809463B2 (ja)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JP2016096152A (ja) コネクタ
JP5261608B1 (ja) コネクタ
JP7266464B2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コネクタ、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5833486B2 (ja) 基板接続コネクタ
JP7136581B2 (ja) コネクタ
KR100995276B1 (ko) 기판실장형 터미널
JP2017228548A (ja) コネクタ
JP2013008500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