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8055A - Limiting operation implement for baby carriage and baby carriage therewith - Google Patents

Limiting operation implement for baby carriage and baby carriage therewit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8055A
KR20150048055A KR1020140143948A KR20140143948A KR20150048055A KR 20150048055 A KR20150048055 A KR 20150048055A KR 1020140143948 A KR1020140143948 A KR 1020140143948A KR 20140143948 A KR20140143948 A KR 20140143948A KR 20150048055 A KR20150048055 A KR 20150048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frame
handle arm
armrest
switched
restri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39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57446B1 (en
Inventor
웨이동 리우
환 닝
Original Assignee
원더랜드 너저리구츠 컴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더랜드 너저리구츠 컴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원더랜드 너저리구츠 컴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48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80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4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Ladd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eration limiting implement which limits operation of a handle arm and a baby carriage having the operation limiting implement in the baby carriage wherein the handle arm can be revers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peration limiting implement used for a baby carriage, which comprises: an alignment means (10) mounted on a handle arm (40), capable of converting a limiting position which limits the handle arm (40) not to be shaken to a vehicle frame (30) corresponding to a shaken position to the vehicle frame (30) of the handle arm (40) with a permitting position permitting the handle arm to be shaken; and a locking means (20) mounted on the vehicle frame (30) to be moved, locking the alignment means (10) in the limiting position unless the vehicle frame (30) is converted to an unfolded state.

Description

유모차에 이용되는 조작제한기구 및 그 조작제한기구를 구비한 유모차 {LIMITING OPERATION IMPLEMENT FOR BABY CARRIAGE AND BABY CARRIAGE THEREWITH}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tricting mechanism for restricting an operation of a baby carriage,

본 발명은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모차에 이용되는 조작제한기구 및 그 조작제한기구를 구비한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by carri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by carriage provided with an operation restricting mechanism used in a baby carriage and its operation restricting mechanism.

핸들이 반전 가능한 유모차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것이 있다.BACKGROUND ART [0002] As a baby carriage which can be reversed in a handle, for example, there is on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상기 유모차는 유아를 앉힐 수 있는 좌석부와, 좌석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펼침/접음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지지 프레임과, 펼쳐지는 지지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 프레임에 대하여 추지(樞支)되어 있는 핸들을 갖고, 핸들을 요동하여 다른 방향으로 향하게 함으로써 상기 유모차를 밀어 움직이는 방향을 바꿀 수 있다. 그러나, 지지 프레임을 접을 때에 있어서 핸들이 배치되어야 할 위치가 결정되어 있으므로, 핸들을 그 바른 위치로 전환하지 않으면 지지 프레임을 접을 수 없다. 또한, 지지 프레임을 접음상태로부터 펼 때에 핸들을 먼저 요동시키면, 지지 프레임을 바르게 펼 수 없게 된다.The stroller includes a seat portion capable of seating the infant, a support frame configured to support the seat portion and configured to be able to be opened / folded, and a stroller supported on the support frame so as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deployed support frame By moving the handle with the handle, the direction of pushing the stroller can be changed by turning the handle in a different direction. However, since the position at which the handle is to be disposed is determined when the support frame is folded, the support frame can not be folded unless the handle is turned to the right position. In addition, if the handle is first pivoted when the support frame is unfolded from the folded state, the support frame can not be opened properly.

그 때문에, 지지 프레임의 펼침/접음과, 핸들의 요동위치를 기억해 두어야 하므로, 이러한 유모차를 이용하는데에 불편을 느끼는 사용자도 적지 않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emorize the spreading / folding of the support frame and the swinging position of the handle, so that many users feel inconvenience in using such a baby carriage.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0-179915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0-179915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핸들이 반전 가능한 유모차에 있어서 핸들의 조작을 제한하는 조작제한기구 및 그 조작제한기구를 구비한 유모차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peration restricting mechanism for restricting the operation of a handlebar of a baby stroller in which a handle can be reversed, and a baby carriage having the operation restricting mechanis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펼침상태와 접음상태 간에 전환되도록 구성되고, 또한 펼침상태에 있어서는 제1과 제2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는 차체 프레임과, 소정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신(延伸)하고, 상기 제1과 제2 방향에 대응하는 제1 조작위치와 제2 조작위치 간에 전환할 수 있도록 요동 가능하게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장착된 핸들 아암을 갖는 유모차에 이용되는 조작제한기구로서, 가동(可動)적으로 상기 핸들 아암에 장착되고, 상기 핸들 아암의 상기 차체 프레임에 대하여 요동하는 위치에 상응하여 상기 핸들 아암의 상기 차체 프레임에 대한 요동을 불가능하게 하도록 제한하는 제한위치와 상기 요동을 허용하는 허용위치 간에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걸어맞춤수단과, 가동적으로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펼침상태로 전환되어 있지 않은 동안은 상기 걸어맞춤수단을 상기 제한위치에 잠기도록 구성된 잠금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에 이용되는 조작제한기구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body frame which is configured to be switched between an unfolded state and a folded state, and which can proceed in first and second directions in a unfolded state, And a handle arm mounted on the body frame so as to be swingable so as to be switched between a first operating position and a second operating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The handle arm is mounted on the handle arm and limits the handle arm to swing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frame in accordance with the swinging position of the handle arm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frame, An engaging means configured to be able to switch between a permissible position and an engaging position, wherein the engaging means is movably mounted on the vehicle body frame, While that is not converted to unfolded state provides an operation limiting mechanism for use in a stroll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locking means arranged to lock the fastening means to the limit position.

또한, 본 발명은 펼침상태와 접음상태 간에 전환되도록 구성되고, 또한 펼침상태에 있어서는 제1과 제2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는 차체 프레임과, 소정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신하고, 상기 제1과 제2 방향에 대응하는 제1 조작위치와 제2 조작위치 간에 전환될 수 있도록 요동 가능하게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장착된 핸들 아암과, 상기 조작제한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vehicle body frame adapted to be switched between an unfolded state and a folded state and capable of traveling in a first and a second direction in a unfolded state and a vehicle body frame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longitudinal direction, A handle arm mounted on the body frame so as to be swingable so as to be switched between a first operation position and a second operation position corresponding to a direction of the operation handle, and the operation restricting mechanism.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의 조작제한기구 및 그 조작제한기구를 구비한 유모차는 가동적으로 핸들 아암에 장착되고, 핸들 아암의 차체 프레임에 대하여 요동하는 위치에 상응하여 핸들 아암의 상기 차체 프레임에 대한 요동을 불가능하게 제한하는 제한위치와, 상기 요동을 허용하는 허용위치 간에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걸어맞춤수단과, 가동적으로 차체 프레임에 장착되고, 차체 프레임이 펼침상태로 전환되어 있지 않는 한, 걸어맞춤수단을 상기 제한 위치에 잠기도록 구성된 잠금수단을 갖도록 구성되므로, 유모차 차체 프레임이 펼침상태로 전환되어 있지 않는 한, 잠금수단 및 걸어맞춤수단을 개재하여 핸들 아암의 차체 프레임에 대한 요동을 불가능하게 제한하므로, 유모차의 차체 프레임을 펼 때에 있어서의 핸들 아암의 잘못된 요동조작을 제한하여 유모차의 펼침 조작을 알기 쉽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operation restri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aby carriage having the operation restricting mechanism are movably mounted on the handle arm, and are provided on the body frame of the handle arm in correspondence with the swinging position of the handle arm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frame An engaging means configured to be able to switch between a restricting position for restricting the pivotal movement of the body frame and a permissible position for permitting the pivotal move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andle arm from swinging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frame via the locking means and the engaging means unless the stroller body frame is switched to the unfolded state because the locking means is configured to lock the engaging means to the restricted position So that the erroneous oscillation of the handle arm when the body frame of the baby carriage is unfolded Restrictions and can easily understand the operation unfolding the stroller.

도 1은 본 발명의 유모차의 차체 프레임의 펼침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모차의 차체 프레임의 접음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모차의 조작제한기구가 갖는 걸어맞춤수단이 차체 프레임의 펼침상태에 있어서 제한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유모차의 조작제한기구가 갖는 걸어맞춤수단이 차체 프레임의 펼침상태에 있어서 허용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유모차의 조작제한기구가 갖는 걸어맞춤수단이 차체 프레임의 접음상태에 있어서 제한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유모차의 조작제한기구가 갖는 걸어맞춤수단이 차체 프레임의 접음상태에 있어서 제한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유모차가 갖는 아암 레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nfolded state of a body frame of a baby carriag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olded state of the body frame of the baby carriag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ngaging means of the operation restricting mechanism of the baby carri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t the restricting position in the extended state of the body frame. Fig.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ngaging means of the operation restricting mechanism of the baby carri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t the permissible position in the extended state of the body frame. Fig.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ngaging means of the operation restraining mechanism of the baby carri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t the restricting position in a folded state of the body frame.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ngagement means of the operation limiting mechanism of the baby carri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t the restricted position in the folded state of the body frame.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rmrest of the baby carriag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각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유모차에 이용되는 조작제한기구 및 그 조작제한기구를 구비한 유모차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baby carriage with an operation restricting mechanism and its operation restricting mechanism used in a baby carriag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및 도 2에 본 발명의 조작제한기구를 구비한 유모차의 차체 프레임(30) 및 핸들 아암(40)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차체 프레임(30)은 도 1에 대응하는 펼침상태와, 도 2에 대응하는 접음상태 간에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Figs. 1 and 2 show a body frame 30 and a handle arm 40 of a baby carriage having the operation limiting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body frame 3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switch between the unfolding state corresponding to Fig. 1 and the folding state corresponding to Fig.

상기 차체 프레임(30)은 하단에 전륜 유닛(33)을 갖는 전륜 프레임(31)과, 하단에 후륜 유닛(34)을 갖는 후륜 프레임(32)과, 전륜 프레임(31)과 후륜 프레임(32) 사이에 추지되어 있는 지지판(35)과, 지지판(35)의 위쪽에 배치되는 아암 레스트(36)를 구비하고 있는데다가, 전륜 프레임(31)과 후륜 프레임(32) 각각의 상단부는 아암 레스트(36) 전단부에 추지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상기 차체 프레임(30)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펼침상태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접음상태 간에 전환되도록 구성되고, 또한 펼침상태에 있어서는 후륜 유닛(34)측에서 전륜 유닛(33)측으로 향하는 제1 방향과, 전륜 유닛(33)측에서 후륜 유닛(34)측으로 향하는 제2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다.The vehicle body frame 30 includes a front wheel frame 31 having a front wheel unit 33 at the lower end thereof, a rear wheel frame 32 having a rear wheel unit 34 at the lower end thereof, a front wheel frame 31, And an armrest 36 disposed above the support plate 35.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front wheel frame 31 and the rear wheel frame 32 has an armrest 36 Quot;). With this configuration, the vehicle body frame 30 is configured to be switched between the unfolded state shown in Fig. 1 and the folded state shown in Fig. 2, and in the unfolded state, the front wheel unit 33 And a second direction toward the rear wheel unit 34 side from the front wheel unit 33 side.

또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유모차 차체 프레임(30)은 상단이 아암 레스트(36)의 후단부에 추지되고, 하단이 지지판(35)의 후단부에 추지되어 있는 장착좌(37)를 추가로 가지고, 상기 장착좌(37)의 하단부에 핸들 아암(40)의 하단이 요동 가능하게 추지되어 있다. 즉, 핸들 아암(40)은 소정의 길이방향 R을 따라 연신하고, 상기 제1과 제2 방향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조작위치(즉, 상기 유모차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조작에 적합한 위치. 도 1, 도 2 참조)와 제2 조작위치(즉, 상기 유모차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조작에 적합한 위치. 도시 생략) 간에 전환되는, 즉, 차체 프레임(30)에 대한 위치를 반전시킬 수 있도록, 요동 가능하게 차체 프레임(30)에 장착되어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stroller body frame 30 further has a mounting seat 37 whose upper end is hooked to the rear end of the armrest 36 and whose lower end is hooked to the rear end of the support plate 35 , And the lower end of the handle arm (40) is swingably pivoted to 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seat (37). That is, the handle arm 40 extends along a predetermined longitudinal direction R, and the first operating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i.e., a position suitable for the operation of advancing the baby carriage in the first direction (I.e., a position suitable for the operation of advancing the baby carriage in the second direction, not shown), that is, th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ody frame 30 is reversed And is mounted on the vehicle body frame 30 so as to be swingable.

또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유모차는 차체 프레임(30)이 접음상태에 배치될 때, 핸들 아암(40)이 상기 제1 조작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2, the stroller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body frame 30 is placed in a folded state, the handle arm 40 is disposed in the first operating position.

따라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30)의 접음상태란 아암 레스트(36)가 장착좌(37)에 대하여 소정의 접음위치(도 2에 나타나 있는 비스듬히 배치되는 위치)로 전환된 상태이며, 차체 프레임(30)의 펼침상태란 아암 레스트(36)가 장착좌(37)에 대하여 소정의 펼침위치(도 1에 나타나 있는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는 위치)로 전환된 상태이다.Therefore, as shown in the figure, the folded state of the vehicle body frame 30 is a state in which the armrest 36 is shifted to a predetermined folding position (a position where the armrest 36 is disposed at an oblique position shown in FIG. 2) The extended state of the vehicle body frame 30 is a state in which the armrests 36 are shifted to a predetermined extended position (a position substantially horizontally arranged as shown in Fig. 1)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seat 37. [

본 발명의 조작제한기구는, 이와 같이 구성된 핸들 아암(40)이 반전(제1 조작위치와 제2 조작위치 사이의 전환) 가능한 유모차에 대하여, 핸들 아암(40)의 요동 조작을 제한하는 것이며, 가동적으로 핸들 아암(40)에 장착되고, 핸들 아암(40)의 차체 프레임(30)에 대하여 요동하는 위치에 상응하여 핸들 아암(40)의 차체 프레임(30)에 대한 요동을 불가능하게 하도록 제한하는 제한위치와, 상기 요동을 허용하는 허용위치 간에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걸어맞춤수단(10)과, 가동적으로 차체 프레임(30)에 장착되고, 차체 프레임(30)이 상기 펼침상태로 전환되어 있지 않는 동안은 걸어맞춤수단(10)을 상기 제한위치에 잠기도록 구성된 잠금수단(20)과, 핸들 아암(40)이 추지되어 있는 장착좌(37)에 배치되어 장착좌(37)로부터 돌기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1 제한수단(371)과, 아암 레스트(36)에 배치되어 아암 레스트(36)로부터 돌기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2 제한수단(361)을 갖고 있다.The operation limiting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restricting the swinging operation of the handle arm 40 with respect to the baby carriage in which the handle arm 4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reversing (switching between the first operating position and the second operating position) The handle arm 40 is movably mounted on the handle arm 40 so that the handle arm 40 can be prevented from swinging on the vehicle body frame 30 in accordance with the swinging position of the handle arm 40 relative to the vehicle body frame 30. [ (10) configured to be able to switch between a restricting position where the vehicle body frame (30) is restricted and a permissible position permitting the shaking motion, and a vehicle body frame (30) The locking means 20 configured to lock the engaging means 10 into the restricting position while the handle arm 40 is not in contact with the mounting seat 37 and to project from the mounting seat 37 A first limiting means 371 formed, And a second restricting means 361 disposed on the armrest 36 and protruding from the armrest 36. [

이어서, 도 3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조작제한기구가 갖는 걸어맞춤수단(10) 및 잠금수단(2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the engaging means 10 and the locking means 20 of the operation limiting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Fig.

도 3은 걸어맞춤수단(10)이 차체 프레임(30)의 펼침상태에 있어서 제한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4는 걸어맞춤수단(10)이 차체 프레임(30)의 펼침상태에 있어서 허용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그리고 도 5는 걸어맞춤수단(10)이 차체 프레임(30)의 접음상태에 있어서 제한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6은 걸어맞춤수단(10)이 차체 프레임(30)의 접음상태에 있어서 제한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ngaging means 10 is disposed at a restricting position in the extended state of the body frame 30,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engaging means 10 in the extended state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ngaging means 10 is disposed at the restricting position in the folded state of the vehicle body frame 30.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ngaging means 10 is disposed at the restricting position in a state where the body frame 30 is folded.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수단(10)은 제1 맞닿음면(11)과, 제1 맞닿음면(11)의 반대측에 있는 제2 맞닿음면(12)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수단(10)은 상기 소정의 길이방향 R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핸들 아암(40)에 장착되고, 소정의 길이방향 R을 따라 제2 맞닿음면(12)이 장착좌(37)에 배치되어 있는 제1 제한수단(371)에 걸어맞춤으로써, 핸들 아암(40)의 장착좌(37) 및 차체 프레임(30)에 대한 요동을 불가능하게 하도록 제한하는 제한위치(도 3 참조)와, 제2 맞닿음면(12)이 제1 제한수단(371)으로부터 떨어짐으로써, 핸들 아암(40)의 장착좌(37) 및 차체 프레임(30)에 대한 요동을 허용하는 허용위치(도 4 참조) 간에 왕복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배치 구성되어 있다.As shown, the engaging means 10 is formed with a first abutment surface 11 and a second abutment surface 12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abutment surface 11. The engaging means 10 is mounted on the handle arm 40 so as to be slidable along the predetermined longitudinal direction R and the second abutment surface 12 is disposed in the mounting seat 37 along the predetermined longitudinal direction R (See FIG. 3) in which the handle arm 40 is prevented from swinging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seat 37 and the vehicle body frame 30 by engaging with the first restricting means 371 which is engaged with the first limiting means 371, 2) of the handle arm 40 by allowing the abutment surface 12 to fall from the first restricting means 371 to allow the swinging movement of the handle arm 40 relative to the mounting seat 37 and the vehicle body frame 30 And is arranged so as to be reciprocally slidable.

잠금수단(20)은 차체 프레임(30)이 접음상태 및 접음상태로부터 펼침상태로 전환되는 도중에 걸어맞춤수단(10)이 상기 제한위치부터 떨어지는 것을 저지하도록(즉, 걸어맞춤수단(10)을 제한위치에 잠근다) 구성된 것이다. 그 구체적 구성으로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5, 도 6 및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아암 레스트(36)의 장착좌(37)에 추지되어 있는 후단부에 배치되어 걸어맞춤수단(10)의 제1 맞닿음면(11)에 맞닿을 수 있도록, 아암 레스트(36)의 장착좌(37)에 대한 회전운동방향에 대응하는 커브형상으로 만곡하여 연신하는 제한 캠 돌기(21)를 구비하고 있다.The locking means 20 is arranged to prevent the engagement means 10 from falling from the restricted position during the transition from the folded state and the folded state to the unfolded state of the body frame 30 Position lock). As shown in Figs. 5, 6 and 7, the armrest 36 is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armrest 36, And a limiting cam protrusion 21 for curving and extending in a curve shape corresponding to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armrest 36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seat 37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rst abutment surface 11 of the armrest 36 .

즉, 제한 캠 돌기(21)는 차체 프레임(30)의 펼침상태와 접음상태의 전환에 있어서 회전운동하는 아암 레스트(36)를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서, 차체 프레임(30)이 접음상태 및 접음상태로부터 펼침상태로 전환되는 도중에 걸어맞춤수단(10)의 상기 제한위치와 상기 허용위치 사이에 진입하여 걸어맞춤수단(10)의 제1 맞닿음면(11)에 맞닿음으로써 걸어맞춤수단(10)이 상기 제한위치부터 떨어지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That is, the limited cam protrusion 21 moves along the armrest 36 which rotates in the switching between the unfolded state and the folded state of the vehicle body frame 30, and the limited cam protrusion 21 is moved from the folded state and the folded state The engaging means 10 enters between the restricting position of the engaging means 10 and the permissible position and abuts on the first abutment surface 11 of the engaging means 10 during the transition to the unfolded state And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from the limit position.

다시 말하면, 잠금수단(20)이 갖는 제한 캠 돌기(21)는 아암 레스트(36)의 장착좌(37)에 추지되어 있는 후단부에 장착되고, 아암 레스트(36)가 상기 접음위치(도 2 참조) 및 상기 접음위치부터 상기 펼침위치로 전환되는 도중(도 1, 도 2 및 도 6 참조)에 걸어맞춤수단(10)의 제1 맞닿음면(11)에 맞닿아 걸어맞춤수단(10)이 상기 제한위치부터 떨어지는 것을 저지하고, 아암 레스트(36)가 상기 펼침위치에 도달하면, 제한 캠 돌기(21)가 제1 맞닿음면(11)으로부터 떨어져서 걸어맞춤수단(10)이 상기 제한위치부터 떨어지는 것을 허용하는 퇴피(退避)위치에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다.In other words, the restricting cam protrusion 21 of the locking means 20 is mounted to the rear end portion of the armrest 36 which is seated in the mounting seat 37, and the armrest 36 is in the retracted position (Refer to Figs. 1, 2 and 6) during the transition from the folded position to the unfolded position, the engaging means 1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rst abutment surface 11 of the engaging means 10, The restricting cam protrusion 21 is separated from the first abutment surface 11 so that the engaging means 10 is prevented from falling off from the restricting position (Retracted) position to allow the user to fall from the first position.

또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아암 레스트(36)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제한수단(361)은 걸어맞춤수단(10)에 대응하고, 핸들 아암(40)이 제2 조작위치로 전환되면, 걸어맞춤수단(10)을 아암 레스트(36)의 제2 제한수단(361)에 걸어맞추어 핸들 아암(40)을 제2 조작위치에 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1 and 2, the second limiting means 361 disposed on the armrest 36 corresponds to the engaging means 10, and the handle arm 40 corresponds to the second operating position The engaging means 10 is engaged with the second restricting means 361 of the armrest 36 so that the handle arm 40 can be hooked to the second operating position.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의 조작제한기구 및 그 조작제한기구를 구비한 유모차는 가동적으로 핸들 아암(40)에 장착되고, 핸들 아암(40)의 차체 프레임(30)에 대하여 요동하는 위치에 상응하여, 핸들 아암(40)의 차체 프레임(30)에 대한 요동을 불가능하게 하도록 제한하는 제한위치와, 상기 요동을 허용하는 허용위치 간에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걸어맞춤수단(10)과, 가동적으로 차체 프레임(30)에 장착되고, 차체 프레임(30)이 펼침상태로 전환되어 있지 않은 동안은 걸어맞춤수단(10)을 상기 제한위치에 잠기도록 구성된 잠금수단(20)을 갖도록 구성되므로, 유모차 차체 프레임(30)이 펼침상태로 전환되지 않는 한, 잠금수단(20) 및 걸어맞춤수단(10)을 개재하여 핸들 아암(40)의 차체 프레임(30)에 대한 요동을 불가능하게 제한하므로, 유모차의 차체 프레임(30)을 펼칠 때의 핸들 아암(40)의 잘못된 요동 조작을 제한하여 유모차의 펼침조작을 알기 쉽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operation restriction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aby carriage having the operation restriction mechanism are movably mounted on the handle arm 40, and the handle arm 40 is swingably moved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frame 30 An engaging means 10 configured to be able to switch between a limiting position for restricting the swinging movement of the handle arm 40 relative to the vehicle body frame 30 and a permitting position for permitting the swinging movement, Since the locking means 20 is configured to lock the engaging means 10 to the restricted position while the vehicle body frame 30 is not switched to the unfolded state, It is impossible to swing the handle arm 40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frame 30 through the locking means 20 and the engaging means 10 as long as the vehicle body frame 30 is not switched to the unfolded state, The body frame 30, Limit the wrong swing operation of the handle arm (40) when the expandable can easily understand the operation unfolding the stroller.

10 : 걸어맞춤수단 11 : 제1 맞닿음면
12 : 제2 맞닿음면 20 : 잠금수단
21 : 제한 캠 돌기 30 : 차체 프레임
31 : 전륜 프레임 32 : 후륜 프레임
33 : 전륜 유닛 34 : 후륜 유닛
35 : 지지판 36 : 아암 레스트
361 : 제2 제한수단 37 : 장착좌
371 : 제1 제한수단
10: engaging means 11: first abutment surface
12: second abutment surface 20: locking means
21: Limiting cam protrusion 30: Body frame
31: front wheel frame 32: rear wheel frame
33: front wheel unit 34: rear wheel unit
35: support plate 36: armrest
361: second limiting means 37: mounted left
371: first limiting means

Claims (10)

펼침상태와 접음상태 간에 전환되도록 구성되고, 또한 펼침상태에 있어서는 제1과 제2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는 차체 프레임과, 소정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신하고, 상기 제1과 제2 방향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조작위치와 제2 조작위치 사이로 전환할 수 있도록 요동 가능하게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장착된 핸들 아암을 구비한 유모차에 이용되는 조작제한기구로서,
가동(可動)적으로 상기 핸들 아암에 장착되고, 상기 핸들 아암의 상기 차체 프레임에 대하여 요동하는 위치에 상응하여 상기 핸들 아암의 상기 차체 프레임에 대한 요동을 불가능하게 하도록 제한하는 제한위치와, 상기 요동을 허용하는 허용위치 간에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걸어맞춤수단과,
가동적으로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펼침상태로 전환되어 있지 않은 동안은 상기 걸어맞춤수단을 상기 제한위치에 잠기도록 구성된 잠금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에 이용되는 조작제한기구.
A body frame configured to be switched between an unfolded state and a folded state and capable of traveling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in a unfolded state and a second body frame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longitudinal direction, An operation restricting mechanism for use in a baby carriage having a handle arm mounted on the body frame so as to be swingable so as to be switched between a first operating position and a second operating position,
A restricting position which is mounted on the handle arm so as to be movable so as to limit the swinging movement of the handle arm against the vehicle body frame in correspondence with the swinging position of the handle arm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frame, A permitting position which permits the user to move between the permitting positions allowing the user
And a lock means mounted to the vehicle body frame and configured to lock the engaging means to the restricted position while the vehicle body frame is not switched to the unfolded state. Instru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수단은 상기 소정의 길이방향에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핸들 아암에 장착되고, 상기 소정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한위치와 상기 허용위치 간에 왕복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접음상태 및 상기 접음상태로부터 상기 펼침상태로 전환되는 도중에 상기 걸어맞춤수단이 상기 제한위치부터 떨어지는 것을 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에 이용되는 조작제한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gaging means is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handle arm so as to be slidable along the predetermined longitudinal direction and capable of reciprocating sliding between the restricted position and the permissible position along the predetermined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locking means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engagement means from falling from the restricted position while the body frame is being switched from the folded state and the folded state to the extended sta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접음상태 및 상기 접음상태로부터 상기 펼침상태로 전환되는 도중에 상기 걸어맞춤수단의 상기 제한위치와 상기 허용위치 사이에 진입함으로써 상기 걸어맞춤수단이 상기 제한위치부터 떨어지는 것을 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에 이용되는 조작제한기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ocking means moves between the restricted position and the permissible position of the engaging means while the vehicle body frame is being switched from the folded state and the folded state to the extended state so that the engaging means is separated from the restricted position And the restricting member is configured to restrict the operation of the baby carri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접음상태에 배치될 때, 상기 핸들 아암이 상기 제1 조작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에 이용되는 조작제한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andle arm is arranged in the first operating position when the body frame is disposed in the folded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아암이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장착좌를 추가로 갖는 상기 차체 프레임을 구비한 유모차에 이용되며,
상기 장착좌에 배치되고, 상기 핸들 아암의 상기 제1 조작위치에 대응하는 제1 제한수단을 추가로 가지고,
상기 걸어맞춤수단은 상기 핸들 아암이 상기 제1 조작위치로 전환되면, 상기 제한위치에 진입하여 상기 장착좌의 상기 제1 제한수단에 걸어맞추어 상기 핸들 아암을 상기 제1 조작위치에 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에 이용되는 조작제한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andlebar is used for a baby carriage having the vehicle body frame further having a mounting seat on which the handle arm is pivotally mounted,
Further comprising first restricting means disposed at the mounting left side 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operating position of the handle arm,
Wherein the engaging means is configured to engage with the first limiting means of the mounting seat to allow the handle arm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operating position when the handle arm is switched to the first operating position, And the restricting mechanism is used for the baby carriag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좌에 추지되어 있는 아암 레스트를 추가로 갖는 상기 차체 프레임을 구비한 유모차에 이용되며,
상기 아암 레스트에 배치되고, 상기 핸들 아암의 상기 제2 조작위치에 대응하는 제2 제한수단을 추가로 갖고,
상기 걸어맞춤수단은 상기 핸들 아암이 상기 제2 조작위치로 전환되면, 상기 아암 레스트의 상기 제2 제한수단에 걸어맞추어 상기 핸들 아암을 상기 제2 조작위치에 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에 이용되는 조작제한기구.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troller further has an armrest that is pivoted to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body,
Further comprising second restricting means disposed on the armrest an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perating position of the handle arm,
Wherein the engaging means is configured to be able to engage the handle arm with the second operating position by engaging with the second restricting means of the armrest when the handle arm is switched to the second operating position Restraint mechanism used in stroll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의 상기 접음상태란, 상기 아암 레스트가 상기 장착좌에 대하여 소정의 접음위치로 전환된 상태이고,
상기 차체 프레임의 상기 펼침상태란, 상기 아암 레스트가 상기 장착좌에 대하여 소정의 펼침위치로 전환된 상태이며,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아암 레스트의 상기 장착좌에 추지되어 있는 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아암 레스트가 상기 접음위치 및 상기 접음위치부터 상기 펼침위치로 전환되는 도중에 상기 걸어맞춤수단이 상기 제한위치부터 떨어지는 것을 저지하며, 상기 아암 레스트가 상기 펼침위치로 전환되면, 상기 걸어맞춤수단이 상기 제한위치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에 이용되는 조작제한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olded state of the vehicle body frame means a state in which the armrest is switched to a predetermined folding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seat,
The extended state of the vehicle body frame means a state in which the armrest is switched to a predetermined extend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seat,
Wherein the locking means is mounted on an end portion of the armrest which is pivoted to the mounting seat and that the engaging means is detached from the limit position while the armrest is being switched from the folding position and the folding position to the extended position Wherein the locking means is configured to allow the engagement means to fall from the restricting position when the armrest is switched to the extended posi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아암 레스트의 상기 장착좌에 추지되어 있는 후단부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아암 레스트의 상기 장착좌에 대한 회전운동방향에 대응하는 커브형상으로 만곡하여 연신하는 제한 캠 돌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에 이용되는 조작제한기구.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locking means is disposed at a rear end portion of the armrest which is pivoted to the mounting seat of the armrest and includes a limiting cam protrusion for curving and extending in a curve shape corresponding to a rotational direction of the armrest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seat Wherein the operation restricting mechanism is used for a baby carriag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이 갖는 상기 제한 캠 돌기는, 상기 아암 레스트가 상기 장착좌에 대하여 상기 접음위치부터 상기 펼침위치로 전환되는 도중에 상기 아암 레스트와 함께 회전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아암 레스트가 상기 펼침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걸어맞춤수단이 상기 제한위치부터 떨어지는 것을 허용하는 퇴피(退避)위치에 들어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에 이용되는 조작제한기구.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limiting cam protrusion of the locking means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with the armrest while the armrest is being switched from the folded position to the extend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seat, , The locking mechanism is configured to enter a retreat position allowing the engaging means to fall from the restricting position.
펼침상태와 접음상태 간에 전환되도록 구성되고, 또한 펼침상태에 있어서는 제1과 제2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는 차체 프레임과, 소정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신하고, 상기 제1과 제2 방향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조작위치와 제2 조작위치 간에 전환될 수 있도록 요동 가능하게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장착된 핸들 아암과, 상기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작제한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A body frame configured to be switched between an unfolded state and a folded state and capable of traveling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in a unfolded state and a second body frame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longitudinal direction, A handle arm mounted on the body frame so as to be swingable so as to be able to be switched between a first operation position and a second operation position; and an operation restricting mechanis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stroller.
KR1020140143948A 2013-10-25 2014-10-23 Limiting operation implement for baby carriage and baby carriage therewith KR10165744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511496.4A CN104554409A (en) 2013-10-25 2013-10-25 Frame misuse-preventing mechanism and baby carriage with same
CN201310511496.4 2013-10-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8055A true KR20150048055A (en) 2015-05-06
KR101657446B1 KR101657446B1 (en) 2016-09-19

Family

ID=53047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3948A KR101657446B1 (en) 2013-10-25 2014-10-23 Limiting operation implement for baby carriage and baby carriage therewith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542523B2 (en)
KR (1) KR101657446B1 (en)
CN (1) CN104554409A (en)
TW (1) TWI594911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04971B (en) * 2016-07-06 2018-08-03 中山盛加儿童用品有限公司 A kind of lifting folding folding pushchair
GB2553802B (en) * 2016-09-14 2019-08-07 Stroller Tech Ltd A stroll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7631A (en) * 2001-02-15 2002-08-23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Baby carriage
JP2010179915A (en) 2009-02-03 2010-08-19 Wonderland Nurserygoods Hong Kong Co Ltd Stroller part assembly for reversible handle strolle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5645A (en) * 1987-01-30 1988-08-23 Louis Shamie Safety spreader bar lock for umbrella stroller
JP3376120B2 (en) * 1994-08-05 2003-02-10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Push rod lock mechanism of baby carriage
JP4812948B2 (en) * 2001-03-05 2011-11-09 コンビ株式会社 stroller
JP4583742B2 (en) * 2003-09-24 2010-11-17 コンビ株式会社 stroller
TWM319208U (en) * 2007-01-22 2007-09-21 Link Treasure Ltd Collapsible stroller frame
GB0818605D0 (en) * 2008-10-10 2008-11-19 Scs London Ltd Apparatus and method
US8210563B2 (en) * 2008-12-19 2012-07-03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Reversible stroller handle
JP5410312B2 (en) * 2010-01-22 2014-02-05 コンビ株式会社 Folding stroller
CN102275608B (en) * 2010-06-14 2013-01-30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Security device for preventing unexpected folding and child stroller
CN202574330U (en) * 2012-05-16 2012-12-05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Infant carrier and bracket device thereof
CN202863511U (en) * 2012-08-25 2013-04-10 东莞宜宸儿童用品有限公司 Double-tube sliding foldable pram fr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7631A (en) * 2001-02-15 2002-08-23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Baby carriage
JP2010179915A (en) 2009-02-03 2010-08-19 Wonderland Nurserygoods Hong Kong Co Ltd Stroller part assembly for reversible handle stro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7446B1 (en) 2016-09-19
JP6542523B2 (en) 2019-07-10
JP2015083458A (en) 2015-04-30
TWI594911B (en) 2017-08-11
TW201515897A (en) 2015-05-01
CN104554409A (en) 2015-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8976B2 (en) Stroller
JP6440251B2 (en) Slide armrest console opening and closing device
JP6209100B2 (en) Folding baby carriage
US8297643B2 (en) Stroller
JP6378991B2 (en) baby carriage
KR101786779B1 (en) Foldable stroller
US9873356B2 (en) Seat back interlocking ottoman device and vehicle seat
JP2021120273A (en) Child seat and adjustment mechanism of side protection width of the same
JP2010234988A (en) Baby carriage
JP2012183848A (en) Foldable baby buggy
JP6747918B2 (en) stroller
KR20100070985A (en) Seat structure
KR101657446B1 (en) Limiting operation implement for baby carriage and baby carriage therewith
JP2005041275A (en) Seat device
JP5356682B2 (en) Folding table
JP2007159936A (en) Massage device
CN107139782B (en) Selecting handle mechanism with self-locking and resetting functions
JP5798890B2 (en) Braking mechanism for baby stroller, wheel holding mechanism for baby stroller, and baby stroller
JP5963630B2 (en) Wheelbarrow lock mechanism
JP2006306229A (en) Vehicular seat
JP2008017905A (en) Vehicular seat device
JP2013203139A5 (en)
JP6542633B2 (en) child seat
CN104442985B (en) Backrest non-tilt mechanism and baby carriage with same
KR20100029478A (en) Active headre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