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5718A - 쇼벨의 관리장치 및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쇼벨의 관리장치 및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5718A
KR20150035718A KR1020147035780A KR20147035780A KR20150035718A KR 20150035718 A KR20150035718 A KR 20150035718A KR 1020147035780 A KR1020147035780 A KR 1020147035780A KR 20147035780 A KR20147035780 A KR 20147035780A KR 20150035718 A KR20150035718 A KR 20150035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shovel
abnormality
input amount
physical quant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5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키 쯔카모토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35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57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7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 of veh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08Diagnosing performance data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58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wherein the data carrier is removab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5/00Selecting arrangements wherein two or more subscriber stations are connected by the same line to the exchan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쇼벨의 관리장치는, 입력량 검출부에서 검출된 조작 입력량과, 복수의 센서에서 검출된 쇼벨의 상태를 나타내는 물리량을 일시적으로 격납하는 일시 기억부(30a)와, 이상정보를 격납하는 이상정보 기억부(30c)를 가진다. 관리장치의 제어부(30b)는, 센서로부터 출력된 검출값에 근거하여 이상 판정을 행하여, 제1 시각에 이상 발생이 판정되면, 제1 시각보다 전인 제2 시각부터, 적어도 제1 시각까지의 사이의 조작 입력량과 물리량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이상정보로서, 일시 기억부(30a)로부터 이상정보 기억부(30c)에 전송한다.

Description

쇼벨의 관리장치 및 관리방법{Management device and management method for shovel}
본 발명은, 쇼벨의 운전 상태를 관리하는 관리장치 및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설기계에 탑재된 센서에서의 검출값에 근거하여, 건설기계의 고장의 발생을 판정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고장정보가 관리센터에 보내지고, 관리센터에서는, 이상값을 검출한 센서에 근거하여, 고장 진단 순서가 추출된다. 건설기계의 운전자는, 이 고장 진단 순서에 따라 고장 진단을 행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일본 특허공개공보 2002-332664호
고장 진단 순서가 제시되어도, 센서의 검출값 및 고장 진단 순서에 따른 진단만으로는, 고장의 원인을 특정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쇼벨과 같은 건설기계에서는, 붐 등의 어태치먼트를 엔진의 출력으로 발생된 유압으로 구동하고, 또한, 어태치먼트 및 캐빈이 탑재된 상부 선회체를 유압 또는 전동으로 선회 구동하면서 작업을 행하므로, 운전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 이들 센서의 검출값은, 쇼벨의 작업을 행하고 있는 동안에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크게 변동하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하여, 어느 시점에서의 센서의 검출값으로부터 고장이나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되어도, 고장이나 이상에 이른 원인을 판정 혹은 추정하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쇼벨의 각 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값을 표시하여, 운전자나 메인터넌스 작업자가 용이하게 이상의 원인을 판정할 수 있는 쇼벨의 관리장치 및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의한 쇼벨의 관리장치는, 쇼벨의 입력량 검출부에서 검출된 조작 입력량과 쇼벨에 있어서의 복수의 센서에서 검출된 물리량을 포함하는 검출정보를 일시적으로 격납하는 일시 기억부와, 이상정보를 격납하는 이상정보 기억부와, 상기 검출정보에 근거하여 이상 판정을 행하여, 제1 시각에 이상 발생이 판정되면, 상기 제1 시각보다 전인 제2 시각부터, 적어도 제1 시각까지의 사이의 검출정보를 이상정보로서, 상기 일시 기억부로부터 상기 이상정보 기억부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가진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쇼벨의 관리방법은, 쇼벨의 입력량 검출부에서 검출된 조작 입력량과 쇼벨에 있어서의 복수의 센서에서 검출된 물리량을 포함하는 검출정보를 일시 기억부에 일시적으로 격납하는 공정과, 상기 검출정보에 근거하여 이상 판정을 행하는 공정과, 상기 이상 판정을 행하는 공정에서 이상으로 판정되면, 상기 검출정보를 상기 일시 기억부로부터 취출하여 이상정보 기억부에 격납하는 공정과, 상기 이상정보 기억부에 격납되어 있는 상기 검출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공정을 가진다.
상기 서술한 발명에 의하면, 검출정보를, 이상 발생을 판정한 시각보다 전인 시각부터 시계열적으로 표시장치에 표시한다. 운전자나 메인터넌스 작업자는, 이상이 발생했을 때에, 표시장치에 표시된 조작 입력량이나 물리량을 시계열적으로 비교함으로써, 이상 발생의 원인을 판정 혹은 추정할 수 있어, 이상 진단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관리장치가 탑재된 쇼벨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쇼벨의 구동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다기능형 휴대단말의 장착부가 마련된 캐빈의 내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다기능형 휴대단말의 장착부가 마련된 캐빈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쇼벨의 컨트롤러와 다기능형 휴대단말과의 접속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이상정보가 표시된 다기능형 휴대단말의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그 제1 예)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이상정보의 표시화면에 있어서, 임의의 시각에 있어서의 검출값의 수치가 표시된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진단플로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9는, 진단플로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그 제1 예)이다.
도 10은, 진단플로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그 제2 예)이다.
도 11은, 진단플로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그 제3 예)이다.
도 12는, 이상정보가 표시된 다기능형 휴대단말의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그 제2 예)이다.
도 13은, 이상정보가 표시된 다기능형 휴대단말의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그 제3 예)이다.
도 14는, 이상정보가 표시된 다기능형 휴대단말의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그 제4 예)이다.
도 15는, 쇼벨 이상 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6은, 통신링크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그 제1 예)이다.
도 17은, 통신링크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그 제2 예)이다.
도 18은, 통신링크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그 제3 예)이다.
도 19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하이브리드형 쇼벨의 구동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다음으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관리장치가 탑재된 쇼벨의 측면도이다. 쇼벨의 하부 주행체(1)에는, 선회기구(2)를 통하여 상부 선회체(3)가 탑재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3)에는, 붐(4)이 장착되어 있다. 붐(4)의 선단에, 암(5)이 장착되며, 암(5)의 선단에 버킷(6)이 장착되어 있다. 붐(4), 암(5) 및 버킷(6)은, 붐실린더(7), 암실린더(8), 및 버킷실린더(9)에 의하여 각각 유압 구동된다. 상부 선회체(3)에는, 캐빈(10)이 마련되고, 또한 엔진 등의 동력원이 탑재된다. 캐빈(10)에는 운전석이 마련되어 있어, 운전자는 운전석에 착석하여 쇼벨을 조작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쇼벨의 구동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있어서, 기계적 동력계는 이중선, 고압유압라인은 굵은 실선, 파일럿라인은 파선, 전기 구동·제어계는 가는 실선으로 각각 나타나 있다.
쇼벨의 구동계는, 주로, 엔진(11), 메인펌프(14), 파일럿펌프(15), 컨트롤밸브(17), 조작장치(26), 및 컨트롤러(30)로 구성된다.
엔진(11)은, 쇼벨의 구동원이며, 예를 들면, 소정의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동작하는 엔진이다. 엔진(11)의 출력축은 메인펌프(14) 및 파일럿펌프(15)의 입력축에 접속된다.
메인펌프(14)는, 고압유압라인(16)을 통하여 압유를 컨트롤밸브(17)에 공급하는 유압펌프이며, 예를 들면, 사판(斜板)식 가변 용량형 유압펌프이다. 파일럿펌프(15)는, 파일럿라인(25)을 통하여 각종 유압제어기기에 압유를 공급하기 위한 유압펌프이며, 예를 들면, 고정 용량형 유압펌프이다.
컨트롤밸브(17)는, 유압쇼벨에 있어서의 유압시스템을 제어하는 유압제어밸브이다. 컨트롤밸브(17)는, 예를 들면, 붐실린더(7), 암실린더(8), 버킷실린더(9), 주행용 유압모터(1A)(우측용), 주행용 유압모터(1B)(좌측용), 및 선회용 유압모터(2A) 중 하나 또는 복수의 것에 대하여, 메인펌프(14)로부터 공급된 압유를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붐실린더(7), 암실린더(8), 버킷실린더(9), 주행용 유압모터(1A)(우측용), 주행용 유압모터(1B)(좌측용), 및 선회용 유압모터(2A)를 집합적으로 “유압액츄에이터”라고 칭한다.
조작장치(26)는, 조작자가 유압액츄에이터의 조작을 위하여 이용하는 장치이며, 파일럿라인(25)을 통하여, 파일럿펌프(15)로부터 공급된 압유를 유압액츄에이터의 각각에 대응하는 유량제어밸브의 파일럿포트에 공급한다. 다만, 파일럿포트의 각각에 공급되는 압유의 압력은, 유압액츄에이터의 각각에 대응하는 레버 또는 페달(26A~26C)의 조작방향 및 조작량에 따른 압력이 된다.
컨트롤러(30)는, 유압액츄에이터의 동작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이며,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등을 구비한 컴퓨터로 구성된다. 컨트롤러(30)의 CPU는, 쇼벨의 동작이나 기능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ROM으로부터 독출하여 RAM에 전개하면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각각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시킨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쇼벨에 있어서, 쇼벨의 운전 상태를 관리하기 위하여 관리장치가 쇼벨에 마련된다. 관리장치는 복수의 센서로부터의 검출값을 검출정보로서 일시적으로 기억해 두고, 필요할 때에 검출정보를 표시장치에 송신하여 표시시킨다.
표시장치는, 예를 들면 터치패널로 이루어지는 입력표시장치이며, 운전석의 근방에서 운전자가 보기 쉬운 위치에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입력표시장치로서 휴대형 정보기기(일반적으로 “휴대단말”이라고 칭해짐.)를 이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휴대단말로서의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인 이른바 스마트폰, 태블릿단말 등을 입력표시장치로서 운전석의 근방에 배치한다. 관리장치는, 쇼벨의 운전상황이나 제어정보를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의 표시부에 표시시킴으로써, 운전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운전자는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의 입력 기능을 이용하여 정보나 지령을 쇼벨의 제어장치나 관리장치에 입력할 수 있다.
최근,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은 널리 보급되어 있어, 쇼벨의 운전자 대부분은,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을 소유하고 있다. 따라서, 운전석 근방의 소정의 위치에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을 장착하기 위한 홀더 등의 장착부를 마련해 둠으로써, 쇼벨의 운전자는 쇼벨의 운전을 개시할 때에, 개인 소유의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을 장착부에 설치함으로써, 개인 소유의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을 쇼벨의 입력표시장치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쇼벨의 입력표시장치로서 이용하는 휴대기기는, 개인 소유의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에 한정되지 않고, 쇼벨용으로서 사업자가 미리 준비한 휴대기기여도 된다.
쇼벨의 캐빈(10) 내의 운전석의 근방에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의 장착부를 마련해 둠으로써,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을 장착부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을 쇼벨의 표시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의 장착부가 마련된 캐빈의 내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의 장착부가 마련된 캐빈의 평면도이다.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50)는, 설치대(52)와, 설치대(52)에 지지된 탑재부(54)를 포함한다. 설치대(52)는, 운전석(60)이 마련된 캐빈(10)의 프레임(10a)에 장착되어 고정된다. 탑재부(54)는, 스프링이나 부드러운 고무 등의 탄성체를 포함하는 제진기구(56)를 통하여 설치대에 지지되어 있어, 캐빈(10)의 진동이나 충격이 설치대(52)를 통하여 탑재부(54)에 직접 전해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탑재부(54)는 제진기구(56)를 통하여 설치대(52)에 지지되어 있어, 탑재부(54)에 고정된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에 전해지는 캐빈(10)의 진동이나 충격이 억제되고 있다.
다만, 일반적으로, 운전석(60)에 착석한 운전자로부터 보아 우측에 붐(4)이 배치되어 있어, 운전자는 붐(4)의 선단에 장착된 암(5)이나 버킷(6)을 눈으로 확인하면서 쇼벨을 운전하는 경우가 많다. 캐빈(10)의 전방 우측의 프레임(10a)은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부분이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부분을 이용하여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의 장착부(50)를 마련하고 있다. 이로써, 원래 시야를 방해하던 부분에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이 배치되므로,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 자체가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경우는 없다. 프레임(10a)의 폭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 전체가 프레임(10a)의 폭에 들어가도록,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을 세로로 하여 탑재부(54)에 고정시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시장치로서 휴대단말(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을 이용하고 있지만, LCD 터치패널 등의 표시장치를 미리 쇼벨에 설치해 두어도 된다.
도 5는 쇼벨의 컨트롤러(30)(제어장치)와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과의 접속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부(50)는, 스위치패널(51)을 포함한다. 스위치패널(51)은, 각종 하드웨어스위치를 포함하는 패널이며, 탑재부(54)에 장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위치패널(51)은, 하드웨어버튼으로서의 라이트스위치(51a), 와이퍼스위치(51b), 및 윈도우워셔스위치(51c)를 포함한다. 라이트스위치(51a)는, 캐빈(10)의 외부에 장착되는 라이트의 점등·소등을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와이퍼스위치(51b)는, 와이퍼의 작동·정지를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또, 윈도우워셔스위치(51c)는, 윈도우워셔액을 분사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이 장착부(50)의 탑재부(54)에 장착되면, 접속부(58)를 통하여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쇼벨의 컨트롤러(30)에 접속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탑재부(54)에 마련된 마이크로 USB 커넥터의 플러그가,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측의 마이크로 USB 커넥터의 리셉터클(소켓)에 삽입 접속되어,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과 컨트롤러(30)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이크로 USB 커넥터가 접속부(58)를 구성한다.
마이크로 USB 커넥터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접속과 함께, 전원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커넥터이다. 컨트롤러(30)는 쇼벨에 구비되어 있는 축전지(70)(예를 들면, 24V 배터리)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어 구동된다. 컨트롤러(30)는, 축전지(70)로부터의 전력을, 접속부(58)를 통하여,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그 자체의 전지를 소비하지 않고, 쇼벨의 축전지(7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으로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쇼벨에서의 작업시간이 길어도,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의 전지 잔량에 구애받지 않고, 쇼벨의 작업시간 중에는 항상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접속부(58)의 형태로서는, 마이크로 USB 커넥터와 같은 배선끼리를 접촉시키는 접촉식인 것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식인 것이어도 된다.
다만, 축전지(70)는 엔진(11)의 얼터네이터(11a)(발전기)로 발전한 전력으로 충전된다. 축전지(70)의 전력은, 컨트롤러(30) 이외의 쇼벨의 전장품(電裝品)(72)에도 공급된다. 또, 엔진(11)의 스타터(11b)는, 축전지(70)로부터의 전력으로 구동되어, 엔진(11)을 시동시킨다.
엔진(11)은, 엔진제어장치(ECU)(74)에 의하여 제어되고 있다. ECU(74)로부터는, 엔진(11)의 상태를 나타내는 각종 데이터(예를 들면, 냉각수온(물리량), 엔진 분사압(물리량)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컨트롤러(30)에 상시 송신되고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30)는 일시 기억부(메모리)(30a)에 이 데이터를 축적하여 두고, 필요할 때에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에 송신할 수 있다.
컨트롤러(30)에는 이하와 같이 각종 데이터가 공급되어, 컨트롤러(30)의 일시 기억부(30a)에 격납된다.
먼저, 가변 용량식 유압펌프인 메인펌프(14)의 레귤레이터(14a)로부터 사판각도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컨트롤러(30)에 공급된다. 또, 메인펌프(14)의 토출압력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토출압력센서(14b)로부터 컨트롤러(30)에 보내진다. 이들 데이터(물리량을 나타내는 데이터)는 검출정보로서 일시 기억부(30a)에 격납된다. 메인펌프(14)가 흡입하는 작동유가 저장된 탱크에는, 유온센서(14c)가 마련되어 있어, 탱크 내의 작동유의 온도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유온센서(14c)로부터 컨트롤러(30)에 공급된다.
또, 조작레버(26A~26C)를 조작했을 때에 컨트롤밸브(17)에 보내지는 파일럿압이, 유압센서(15a, 15b)에서 검출되고, 검출된 파일럿압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컨트롤러(30)에 보내진다. 이 데이터(조작 입력량을 나타내는 데이터)도 검출정보로서 일시 기억부(30a)에 격납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쇼벨은, 캐빈(10) 내에 엔진 회전수 조정 다이얼(75)을 구비한다. 엔진 회전수 조정 다이얼(75)은, 엔진의 회전수를 조정하기 위한 다이얼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엔진 회전수를 4단계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엔진 회전수 조정 다이얼(75)로부터는, 엔진 회전수의 설정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컨트롤러(30)에 상시 송신되고 있다. 또, 엔진 회전수 조정 다이얼(75)은, SP모드, H모드, A모드, 및 아이들링모드의 4단계로 엔진 회전수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도 5는, 엔진 회전수 조정 다이얼(75)로 H모드가 선택된 상태를 나타낸다.
SP모드는, 작업량을 우선시하고 싶은 경우에 선택되는 작업모드이며, 가장 높은 엔진 회전수를 이용한다. H모드는, 작업량과 연비를 양립시키고 싶은 경우에 선택되는 작업모드이며, 두번째로 높은 엔진 회전수를 이용한다. A모드는, 연비를 우선시하면서 저소음으로 쇼벨을 가동시키고 싶은 경우에 선택되는 작업모드이며, 세번째로 높은 엔진 회전수를 이용한다. 아이들링모드는, 엔진을 아이들링 상태로 하고 싶은 경우에 선택되는 작업모드이며, 가장 낮은 엔진 회전수를 이용한다. 그리고, 엔진(11)은, 조정 다이얼(75)로 설정된 작업모드의 엔진 회전수로 일정하게 회전수 제어된다.
또, 운전자가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의 음성입력 기능을 사용하고 싶을 때에 조작하는 스위치(42)가, 예를 들면, 조작레버(26A)에 마련된다. 스위치(42)를 운전자가 조작하면, 신호가 컨트롤러(30)에 보내진다. 컨트롤러(30)는 이 신호에 근거하여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에 제어신호를 보내,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의 음성입력 기능을 ON으로 한다.
이와 같이, 운전자는 조종레버로부터 손을 떼지 않고 스위치(42)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으며,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의 음성입력 기능을 이용하여, 지령을 쇼벨의 제어장치에 입력할 수 있다.
음성입력용의 마이크로폰으로서는,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의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마이크로폰(40a)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운전자는, 조종레버에 마련된 스위치(42)를 조작한 후,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을 향하여 원하는 지령을 나타내는 음성을 발성하면, 마이크로폰(40a)으로부터 음성신호가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의 음성인식부(40b)에 입력된다.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의 음성인식부(40b)는, 마이크로폰(40a)으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에 음성인식처리를 실시하여, 입력된 음성신호에 상당하는 지령을 판정한다. 음성인식부(40b)가 판정한 지령은,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의 표시입력장치(40c)(예를 들면, 터치패널)에 표시됨과 함께, 접속부(58)를 통하여 쇼벨의 컨트롤러(30)에 보내진다. 이와 같이, 운전자가 의도한 지령이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의 음성인식 기능을 통하여 쇼벨에 입력된다. 다만,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에 외부 장착 마이크로폰(44)을 접속하여, 외부 장착 마이크로폰(44)을 운전자가 음성을 입력하기 쉬운 위치에 배치해 두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을 쇼벨의 표시장치로서 이용하여, 관리장치로부터의 검출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쇼벨에 있어서, 컨트롤러(30)의 제어부(30b)는 상기 서술한 각종 데이터를 포함하는 검출정보에 근거하여, 쇼벨에 이상이 발생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컨트롤러(30)의 제어부(30b)가,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정하면, 제어부(30b)는, 판정한 시각보다 전인 시각 t1부터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정한 시각 t2까지 일시 기억부(30a)에 축적되어 있던 검출정보를, 이상정보로서 이상정보 기억부(30c)에 전송시킨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컨트롤러(30)의 일시 기억부(30a), 이상정보 기억부(30c) 및 제어부(30b)에 의하여, 본 실시형태에 의한 관리장치가 구성된다. 일시 기억부(30a)는 컨트롤러(30)의 메모리이며, 이상정보 기억부(30c)도 컨트롤러(30) 내의 메모리이다. 일시 기억부(30a)와 이상정보 기억부(30c)를 위하여 하나의 메모리를 분할하여 이용해도 된다. 또, 제어부(30b)는 CPU 등의 연산장치가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일시 기억부(30a)에 축적되어 있던 이상정보가 이상정보 기억부(30c)에 격납되면, 그 후, 제어부(30b)로부터의 지령에 의하여, 이상정보 기억부(30c)에 격납된 이상정보는, 표시장치로서의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에 보내진다. 그리고, 이상정보는,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의 표시부(40c)에 미리 정해진 패턴으로 표시된다.
또, 관리장치에 지령을 보냄으로써, 언제라도 이상정보를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표시장치)에 송신하여 표시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상이 발생한 후에 메인터넌스 작업자가 쇼벨의 고장 진단이나 수리를 행할 때에, 그 메인터넌스 작업자가, 이상정보를 표시하도록 관리장치에 대하여 지령을 입력함으로써, 이상정보가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에 표시된다. 메인터넌스 작업자는, 표시장치로서의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에 표시된 이상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메인터넌스 작업자는,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표시장치)에 표시된 이상정보를 봄으로써, 이상의 원인을 특정할 수 있다.
혹은, 쇼벨의 관리장치는,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의 데이터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이상정보를 원격의 서비스센터에 설치되어 있는 센터관리장치(90)에 무선송신시킬 수 있다. 센터관리장치(90)의 표시장치에 이상정보를 표시함으로써, 멀리 떨어져 있는 메인터넌스 작업자가, 이상의 원인을 판정 또는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터넌스 작업자가 쇼벨의 수리를 하러 가기 전에, 이상의 원인을 추정함으로써, 수리에 필요한 도구나 부품을 미리 준비하여 둘 수 있다. 이로써, 쇼벨의 설치장소에 실제로 가본 후 수리도구를 서비스센터에 가지러 돌아오거나, 부품을 발주할 필요가 없어져, 수리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 경우, 센터관리장치(90)가 본원 발명의 쇼벨의 관리장치로서 기능한다.
혹은, 이상정보를 접수한 서비스센터는, 센터관리장치(90)로부터 통신망을 통하여, 쇼벨의 메인터넌스 작업자의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94)에 이상정보를 전송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94)은, 본원 발명의 쇼벨의 관리장치 또는 그 일부로서 기능하며, 컨트롤러(30)의 일시 기억부(30a), 제어부(30b), 이상정보 기억부(30c)에 대응하는 일시 기억부(94x), 제어부(94y), 이상정보 기억부(94z)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94)에 구비된 제어부(94y)는, 이상정보 기억부(94z)에 기억된 검출정보를 표시부(94c)에 표시시킨다.
다만, 통신장치로서 휴대단말(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쇼벨 자체에 무선송신장치를 마련하여 두고, 제어부(30b)는, 이 무선송신장치를 이용하여 이상정보를 원격의 서비스센터에 송부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다음으로,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 등의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이상정보 및 그 표시방법에 대하여 이하에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이상정보는, 소정의 시간 내에 관리장치의 일시 기억부(30a)에 축적된 데이터(물리량을 나타내는 데이터 및 조작 입력량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물리량 혹은 조작 입력량은 일정한 시간마다 검출되며(샘플링되며), 물리량 혹은 조작 입력량을 나타내는 데이터는, 그것이 검출된 시각의 정보와 함께 일시 기억부(30a)에 축적된다. 예를 들면, 일시 기억부(30a)를 소정의 기억용량을 가지는 메모리로 해 두고, 일정한 양의 데이터가 축적되면, 그 후에는, 가장 전의 시각에 검출된 데이터를 소거하고, 그 대신에 최신 시각에 검출된 데이터를 축적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일시 기억부(30a)에는 항상, 데이터를 검출한 최신 시각(혹은 현재 시각)보다 소정 시간 전의 시각부터 최신 시각까지의 사이에 검출된 데이터가 축적되게 된다. 따라서, 어느 시각 t1에 있어서, 일시 기억부(30a)에 축적되어 있는 모든 데이터를 이상정보 기억부(30c)에 전송하여 격납하면, 이상정보 기억부(30c)에는 당해 시각 t1보다 소정 시간 전의 시각 t2부터 시각 t1까지의 사이의 데이터가 격납되게 된다.
여기에서, 시각 t2부터 시각 t1까지의 시간 간격(소정 시간)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이며, 예를 들면 30초부터 5분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각 t2부터 시각 t1까지의 시간 간격은, 일시 기억부(30a)의 기억용량에 의존한다. 일시 기억부(30a)의 기억용량이 충분히 크면, 데이터와 함께 격납되는 시각정보를 이용하여, 시각 t2로서 임의의 시각을 선정하여, 시각 t2부터 시각 t1까지의 사이의 데이터를 일시 기억부(30a)로부터 추출하여 이상정보 기억부(30c)에 격납해도 된다.
여기에서, 시각 t1은, 제어부(30b)가, 각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물리량이나 조작 입력량에 근거하여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정한 시각이다. 이상 발생을 판정한 시각 t1 이후에도 입력되어 오는 데이터를 일시 기억부(30a)에 축적해 둠으로써, 시각 t2부터 시각 t1을 지나 시각 t3까지의 데이터를 이상정보 기억부(30c)에 전송하여 격납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여기에서, 시각 t1부터 시각 t3까지의 시간 간격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이며, 예를 들면 10초부터 1분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이상정보 기억부(30c)에 격납된 이상정보로서의 데이터는,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이나 표시장치 혹은, 원격의 서비스센터의 센터관리장치(90)에 송신되어, 소정의 패턴으로 표시된다.
다음으로, 이상정보의 표시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94)에 이상정보가 보내져 표시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은,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에 이상정보가 보내진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6은 이상정보가 표시된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94)의 표시부(94c)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이상정보는, 1) 조작 입력량으로서 유압센서(15a, 15b)에서 검출한 파일럿압(레버 입력)과, 2) 토출압력센서(14b)에서 검출한 유압(물리량)인 펌프압과, 3) ECU(74)로부터 보내져 오는 엔진의 연료 분사압(물리량)과, 4) ECU(74)로부터 보내져 오는 엔진수온(물리량)과, 5) 유온센서(14c)에서 검출한 작동유의 온도(물리량)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데이터가 시각을 가로축으로 한 타임차트로서 세로로 나열되어 표시된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타임차트의 좌단(가장 전의 시각)이 시각 t2에 상당하고,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정된 시각 t1이, 하측에 검은 삼각표시가 붙은 수직선에 상당한다. 타임차트의 하측의 여백 부분에는,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정된 일시로서 이상 발생 일시가, 년·월·일·시·분·초의 수치로 나타나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이상 발생 일시는, 2012년 6월 13일의 12시 5분 10초이며, 타임차트 상에서 시각 t1(12시 5분 10초)의 위치에, 하측에 검은 삼각표시가 붙은 수직선이 그어져 있다. 또, 이상 발생 일시의 하측에는, 이상내용을 표시하는 이상내용 표시부(94d) 및 진단플로버튼(94e)이 나타나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이상내용 표시부(94d)는, 엔진냉각수의 온도가 소정치 이상이 된 것을 나타내는 “수온 고온 이상”을 표시하고 있다. 다만, 이상내용은, 에러코드로 표시되어도 된다. 또, 진단플로버튼은, 후술하는 진단플로화면을 표시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버튼이다.
도 6에 나타내는 이상정보의 표시에서는, 시각 t2부터 시각 t1까지의 사이의 각 데이터가 타임차트로 나타나 있다. 1)의 레버 입력(파일럿압)은, 시각 t2부터 시각 t1까지의 사이에서 변동하고 있어, 운전자가 조작레버를 조작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2)의 펌프압은, 레버 입력(파일럿압)의 변화에 대응하여(즉, 조작레버의 조작량에 대응하여) 변화하고 있어, 펌프압은 정상적인 상태인 것을 알 수 있다. 3)의 엔진 연료 분사압도 마찬가지로 레버 입력(파일럿압)의 변화에 대응하여(즉, 조작레버의 조작량에 대응하여) 변화하고 있어, 엔진 연료 분사압도 정상적인 상태인 것을 알 수 있다. 4)의 엔진수온은, 시각 t2를 지난 부근에서부터 서서히 상승하여, 시각 t1에서는 매우 높은 온도가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엔진에 큰 부하가 걸려, 엔진수온이 상승하고 있는 것이라고 추정된다. 5)의 작동유 온도는, 엔진수온과 마찬가지로, 시각 t2를 지난 부근에서부터 서서히 상승하여, 시각 t1에서는 매우 높은 온도가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표시예는, 엔진수온이 상한치를 넘었기 때문에, 제어부(30b)가,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정하여, 이상정보가 표시된 것이라고 추정된다. 그리고, 엔진수온의 상승 이외의 작동유 온도, 엔진 연료 분사압, 및 펌프압은 레버 입력(파일럿압)에 대응하여 정상적으로 변화하고 있다고 추정된다. 즉, 도 6에 나타내는 이상정보는, 엔진(11)에 의하여 구동되고 있는 메인펌프(14)가 정상적으로 구동되어 유압을 발생시키고 있어 엔진(11)에는 적당한 부하가 걸려 있는데도, 엔진수온만이 과도하게 상승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이 되는 것은, 엔진의 냉각수의 냉각 능력이 저하되어, 엔진(11)을 충분히 냉각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을 일으키는 원인으로서, 라디에이터, 오일쿨러 등이 오염되어, 방진네트가 오염되어 있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이상정보의 표시를 본 운전자 또는 메인터넌스 작업자는, 먼저, 방진네트의 오염을 의심하여, 필터의 점검을 행한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이상정보의 표시화면에 있어서, 임의의 시각에 있어서의 레버 입력(조작 입력량), 펌프압(물리량), 엔진 연료 분사압(물리량), 엔진수온(물리량), 작동유 온도(물리량)의 값이 표시된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표시화면에서, 임의의 시각을 포인터 등으로 지정하면, 그 지정된 시각을 나타내는 수직선이 나타나고, 수직선과 타임차트 상의 각 그래프와의 교점 부근에, 당해 시각에 있어서의 값이 수치로 표시된다. 수직선의 아래에 포인터(P)가 나타나므로, 포인터(P)를 좌우로 드래그함으로써, 수직선을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써, 쇼벨의 운전자 또는 메인터넌스 작업자는, 시각 t2부터 시각 t1까지의 사이의 임의의 시각에서의 레버 입력(조작 입력량), 펌프압(물리량), 엔진 연료 분사압(물리량), 엔진수온(물리량), 작동유 온도(물리량)의 값을 즉시 확인할 수 있다.
다만, 타임차트에 있어서의 시각 t1 이후의 점선은, 이상정보에 시각 t1 이후 시각 t3까지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나타나는 것이며, 점선을 확인함으로써, 이상 발생 이후의 조작 입력량 및 물리량의 값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도 11을 참조하여, 진단플로버튼(94e)이 탭 조작된 경우의 처리(이하, “진단플로처리”라고 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도 8은, 진단플로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며,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94)은, 진단플로버튼(94e)이 탭 조작될 때마다 이 진단플로처리를 실행한다. 또, 도 9~도 11은, 진단플로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먼저,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94)은, 진단용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이하, “진단 어플리케이션”이라고 함)를 기동한다(스텝 S1).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94)은, 이상내용에 대응하는 체크항목이 소정의 순서로 기억된 참조 테이블을 참조하여 그들 체크항목에 관한 정보를 차례로 표시한다.
도 9는, 이상내용으로서 “수온 고온 이상”이 검출되고 있는 경우에 처음으로 표시되는 진단플로화면이다. 도 9의 진단플로화면은, 이상내용 표시부(95a), 체크항목번호 표시부(95b), 체크항목위치 표시부(95c), 제1 메시지 표시부(95d), 제2 메시지 표시부(95e), 및 화면전환버튼(95f)을 포함한다.
이상내용 표시부(95a)는, 이상내용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이상내용 표시부(95a)는, 엔진냉각수의 온도가 소정치 이상이 된 것을 나타내는 “수온 고온 이상”을 표시하고 있다.
체크항목번호 표시부(95b)는, 현재 표시하고 있는 체크항목이 몇 번째의 체크항목인지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체크항목번호 표시부(95b)는, 최초의 체크항목인 것을 나타내는 “스텝 1”을 표시하고, 스텝 1의 내용이 “방진네트의 상태 확인”인 것을 표시하고 있다.
체크항목위치 표시부(95c)는, 체크항목인 부품의 존재 위치를 도시하는 영역이며, 예를 들면, 쇼벨에 탑재되는 방진네트의 위치를 도해한다(도 9에서는 도시 생략.). 구체적으로는, 체크항목위치 표시부(95c)는, 쇼벨의 전체상을 나타내는 일러스트 상에, 방진네트를 나타내는 일러스트를, 다른 부분과는 다른 색으로 표시한다. 이 경우,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94)의 조작자는, 스와이프 조작, 핀치 인 조작, 핀치 아웃 조작 등에 의하여, 체크항목위치 표시부(95c)에 표시되는 도면을 스크롤, 축소 표시, 확대 표시시키는 등 할 수 있다.
제1 메시지 표시부(95d) 및 제2 메시지 표시부(95e)는, 표시되어 있는 체크항목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1 메시지 표시부(95d)는, 방진네트에 관하여 메인터넌스 작업자가 취해야 할 조치로서 “오염의 제거(오염되어 있는 경우에는 청소 바랍니다)”를 표시하고 있다. 또, 제2 메시지 표시부(95e)는, 방진네트의 상태를 확인한 후에 메인터넌스 작업자가 취해야 할 조치로서 “다음 체크항목으로의 이행(양호하면 다음 스텝으로)”을 표시하고 있다.
화면전환버튼(95f)은, 화면을 전환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버튼이다.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화면전환버튼(95f)은, 다음 체크항목에 관한 진단플로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버튼인 것을 나타내는 “다음 스텝”을 캡션으로서 표시하고 있다.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94)의 조작자는, 화면전환버튼(95f)을 탭 조작함으로써 진단플로화면을 전환한다. 다만,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94)의 조작자는, 스와이프 조작 등의 다른 조작에 의하여 진단플로화면을 전환해도 된다.
여기에서 다시 도 8을 참조하여 진단플로처리의 흐름에 관한 설명을 계속한다.
진단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진단플로화면을 표시한 후,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94)은, 화면 전환 조작의 유무를 계속적으로 감시한다(스텝 S2).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94)은, 화면전환버튼(95f)이 탭 조작되었는지 아닌지, 또는, 화면을 전환하기 위한 스와이프 조작이 행해졌는지 아닌지 등을 판정한다.
화면 전환 조작이 행해지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2의 NO),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94)은, 화면 전환 조작이 행해질 때까지 그대로 대기한다.
한편, 화면 전환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2의 YES),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94)은, 모든 진단플로화면이 표시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3).
모든 진단플로화면이 아직 표시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3의 NO),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94)은, 다음 진단플로화면을 표시한 다음(스텝 S4), 스텝 S2로 돌아와 화면 전환 조작의 유무의 감시를 계속한다.
한편, 모든 진단플로화면이 이미 표시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3의 YES),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94)은, 금회의 진단플로처리를 종료시킨다. 다만, 화면전환버튼(95f)은, 표시해야 할 진단플로화면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종료”를 캡션으로서 표시해도 된다. 또,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94)은, 이 종료버튼이 탭 조작된 경우에, 진단플로화면을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94)의 초기 화면(도시하지 않음.)으로 전환해도 된다.
도 10은, 도 9의 화면전환버튼(95f)이 탭 조작된 경우에 표시되는 진단플로화면이다. 도 10의 진단플로화면은, 이상내용 “수온 고온 이상”에 관한 2번째의 체크항목인 것을 나타내는 “스텝 2”를 체크항목번호 표시부(95b)에 표시하고 있다. 또, 스텝 2의 내용이 “라디에이터·오일쿨러 상태 확인”인 것을 표시하고 있다. 또, 체크항목위치 표시부(95c)는, 쇼벨의 전체상을 나타내는 일러스트 상에, 라디에이터·오일쿨러를 나타내는 일러스트를, 다른 부분과는 다른 색으로 표시하고 있다(도 10에서는 도시 생략.).
또, 도 11은, 도 10의 화면전환버튼(95f)이 탭 조작된 경우에 표시되는 진단플로화면이다. 도 11의 진단플로화면은, 이상내용 “수온 고온 이상”에 관한 3번째의 체크항목인 것을 나타내는 “스텝 3”을 체크항목번호 표시부(95b)에 표시하고 있다. 또, 스텝 3의 내용이 “서모스탯의 상태 확인”인 것을 표시하고 있다. 또, 체크항목위치 표시부(95c)는, 쇼벨의 전체상을 나타내는 일러스트 상에, 서모스탯을 나타내는 일러스트를, 다른 부분과는 다른 색으로 표시하고 있다(도 11에서는 도시 생략.). 또, 제1 메시지 표시부(95d)는, 서모스탯에 관하여 메인터넌스 작업자가 취해야 할 조치로서 “작동 불량인 경우의 교환(작동불량인 경우에는 교환 바랍니다)”을 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94)은, 현재의 이상내용에 관하여 취해야 할 조치를 그 조작자에게 알기 쉽게 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를 참조하여,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94)의 조작자가, 진단플로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쇼벨의 이상내용의 원인을 추정할 수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도 12는, 이상정보가 표시된 다기능형 휴대단말(94)의 표시부(94c)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6에 대응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시각 12:04를 지난 부근에서 엔진수온이 상하로 진동하기 시작하여, 엔진수온이 불안정하게 되어 있다. 이는, 서모스탯의 장착에 느슨함이 발생한 것이 원인으로서 추정된다. 이로 인하여,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94)의 조작자(메인터넌스 작업자)는, 도 12에 나타내는 표시를 보았을 때에, 먼저 서모스탯의 고장을 생각하고 메인터넌스 작업(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3은, 이상정보가 표시된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94)의 표시부(94c)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6에 나타내는 예와는 다른 이상이 발생한 경우의 표시예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시각 t1보다 약간 전에 레버 입력이 개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이외의 펌프압, 엔진 연료 분사압, 엔진수온, 및 작동유온에 변화는 없다. 이와 같은 상황이 되는 원인의 하나로서, 메인펌프(14)의 이상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펌프(14)를 구동해도 공회전하여 유압을 발생시킬 수 없으면, 펌프압은 상승하지 않고, 엔진의 부하도 상승하지 않으므로, 엔진 연료 분사압 및 엔진수온도 상승하지 않는다. 또, 유압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작동유 온도도 상승하지 않는다. 도 13에 나타내는 이상정보는 이와 같은 상황(이상내용이 “유압회로 이상”이 되는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메인터넌스 작업자는, 도 13에 나타내는 표시를 보았을 때에, 먼저 메인펌프(14)의 고장을 생각하고 메인터넌스 작업(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4는, 이상정보가 표시된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94)의 표시부(94c)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6 및 도 13에 나타내는 예와는 다른 이상이 발생한 경우의 표시예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예는, 시각 t2의 직후에 레버 입력이 개시된 후로 그 레버 입력이 소실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래라면 소실되어야 할 펌프압이 소실되지 않고, 메인펌프(14)에 의한 펌프 흡수 마력이 소정치 이상인 채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이 되는 원인의 하나로서, 에너지 절약 회로로서의 네거티브 컨트롤(이하, “네거컨”이라고 함)의 이상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거컨이 고장나면, 메인펌프(14)는 고유량(高流量)의 작동유를 계속 토출하므로, 작동유 온도 및 엔진수온은 계속적으로 상승한다. 도 14에 나타내는 이상정보는 이와 같은 상황(이상내용이 “유온 고온 이상”이 되는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메인터넌스 작업자는, 도 14에 나타내는 표시를 보았을 때에, 먼저 네거컨의 고장을 생각하고 메인터넌스 작업(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입력량으로서, 레버 조작에 의하여 공급되는 파일럿압을 이용했지만, 조작레버가 전기식인 경우에는, 조작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레버 조작량을 나타내는 전기신호를 조작 입력량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 물리량으로서, 도 6 등에 나타내는 검출값 이외에도, 예를 들면 메인펌프(14)의 펌프 토출량(혹은, 비례밸브 전류)이나, ECU(74)로부터 보내져 오는 엔진 회전수, 엔진 부하율, 엔진 부스트압 등의 검출값을 이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5~도 17을 참조하여, 쇼벨의 이상이 검출되었을 때에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에서 실행되는 처리(이하, “쇼벨 이상 시 처리”라고 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도 15는, 쇼벨 이상 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또, 도 16 및 도 17은, 관리장치(90)와의 통신을 통하여 취득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이하, “통신링크화면”이라고 함)의 예이다. 또,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컨트롤러(30)로부터의 통지에 근거하여 쇼벨의 이상을 검출한 경우에, 이 쇼벨 이상 시 처리를 실행한다.
먼저,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통신링크화면을 표시한다(스텝 S21).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신링크화면은,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리점정보 표시부(41n), 송신버튼(41p), 통화버튼(41q)을 포함한다. 대리점정보 표시부(41n)는, 쇼벨 판매 회사의 대리점 등, 쇼벨 이상 시의 연락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송신버튼(41p) 및 통화버튼(41q)은, 표시입력장치(40c) 상에 표시되는 소프트웨어버튼이다. 송신버튼(41p)이 탭 조작된 경우,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컨트롤러(30) 내의 소정 영역에 기억된 데이터를 관리장치(90)에 송신한다. 통화버튼(41q)이 탭 조작된 경우,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표시입력장치(40c) 상에서 선택된 상태에 있는 연락처에 전화를 건다.
그 후,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자신의 위치정보를 관리장치(90)에 대하여 송신한다(스텝 S22).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GPS 기능을 이용하여 취득한 위치정보를 관리장치(90)에 대하여 송신한다. 관리장치(90)는,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의 현재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대리점 등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여 대리점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관리장치(90)는, 생성한 대리점정보를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에 대하여 송신한다.
그 후,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관리장치(90)로부터 대리점정보를 수신하여(스텝 S23), 수신한 대리점정보를 통신링크화면의 대리점정보 표시부(41n)에 표시한다(스텝 S24). 도 16은, 3개의 대리점이 가장 가까운 대리점으로서 검색된 상태를 나타낸다.
그 후,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특정의 대리점이 선택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25).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대리점정보 표시부(41n)에 있어서의 3개의 대리점의 각각에 대응하는 영역 중 어느 것이 운전자에 의하여 탭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특정의 대리점이 아직 선택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25의 NO),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특정의 대리점이 선택될 때까지 그대로 대기한다.
특정의 대리점이 선택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25의 YES),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선택된 대리점, 및 그 선택된 대리점의 상세정보를 표시입력장치(40c) 상에 표시한다(스텝 S26).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선택된 특정의 대리점을 표시하는 피선택 대리점 표시부(41r)와, 그 선택된 특정의 대리점의 보다 상세한 정보를 표시하는 상세정보 표시부(41s)를 포함하는 통신링크화면을 표시한다. 도 17은, 특정의 대리점이 선택되어, 그 선택된 대리점의 보다 상세한 정보가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다.
그 후,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송신버튼(41p)이 탭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27).
한편, 송신버튼(41p)이 탭 조작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27의 YES),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컨트롤러(30)에 대하여 데이터 전송 지령을 송신한다(스텝 S28). 본 실시형태에서는, 데이터 전송 지령을 수신한 컨트롤러(30)는, 일시 기억부(30a), 이상정보 기억부 등의 소정 영역에 기억된 데이터를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에 송신한다.
그 후,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컨트롤러(30)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스텝 S29), 그 수신한 데이터를 관리장치(90)에 전송한다(스텝 S30).
다만,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통화버튼(41q)이 탭 조작된 경우에는, 선택된 상태에 있는 대리점의 전화번호에 전화를 걸도록 한다.
이와 같이,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쇼벨에서 이상이 검출된 경우에 자동적으로 통신링크화면을 표시하여, 대리점으로의 연락 등의 조치를 운전자가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18을 참조하여, 쇼벨 이상 시 처리 시에 표시입력장치(40c) 상에 표시되는 통신링크화면의 다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의 통신링크화면은, 송신버튼(41p), 통화버튼(41q), 상세정보 표시부(41s), 및 지도 표시부(41t)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관리장치(90)로부터 대리점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특정의 대리점이 선택된 후에 이 통신링크화면을 표시입력장치(40c) 상에 표시한다. 다만,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특정의 대리점이 선택되기 전에 이 통신링크화면을 표시해도 된다.
지도 표시부(41t)는, 지도정보를 표시하는 부분이며, 쇼벨(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현재 위치 아이콘(41u)과, 검색된 혹은 선택된 대리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대리점 위치 아이콘(41v)을 포함한다.
운전자는,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에 있어서, 스와이프 조작, 핀치 인 조작, 핀치 아웃 조작 등을 이용하면서 지도 표시부(41t)의 지도정보의 스크롤, 축소 표시, 확대 표시 등을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쇼벨에서 이상이 검출된 경우에 지도정보를 표시하여, 쇼벨과 대리점의 위치 관계를 운전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은, 쇼벨에 장착되는 전용의 통신용 컨트롤러(무선송신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아, 쇼벨의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에 구비된 진동 계측 기능은, 쇼벨을 구성하는 부품의 고장 분석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40)에 구비된 방위 판정 기능은, 쇼벨의 방향을 지도 표시부(41t) 상에 표시할 때에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쇼벨에 관리장치를 마련하고 있지만, 도 19에 나타내는 구성의 하이브리드형 쇼벨에 관리장치를 마련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하, 하이브리드형 쇼벨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에 있어서, 기계적 동력계는 이중선, 고압유압라인은 굵은 실선, 파일럿라인은 파선, 전기 구동·제어계는 가는 실선으로 각각 나타나 있다.
기계식 구동부로서의 엔진(11)과, 어시스트 구동부로서의 전동발전기(12)는, 변속기(13)의 2개의 입력축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변속기(13)의 출력축에는, 유압펌프로서 메인펌프(14) 및 파일럿펌프(15)가 접속되어 있다. 메인펌프(14)에는, 고압유압라인(16)을 통하여 컨트롤밸브(17)가 접속되어 있다.
컨트롤밸브(17)는, 하이브리드식 쇼벨에 있어서의 유압계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장치이다. 하부 주행체(1)용의 유압모터(1A(우측용) 및 1B(좌측용)), 붐실린더(7), 암실린더(8), 및 버킷실린더(9)는, 고압유압라인을 통하여 컨트롤밸브(17)에 접속된다.
전동발전기(12)에는, 인버터(18A)를 통하여, 축전기로서의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축전계(120)가 접속된다. 축전계(120)에는, 인버터(20)를 통하여 전동작업요소로서의 선회용 전동기(21)가 접속되어 있다. 선회용 전동기(21)의 회전축(21A)에는, 리졸버(22), 메커니컬브레이크(23), 및 선회 변속기(24)가 접속된다. 또, 파일럿펌프(15)에는, 파일럿라인(25)을 통하여 조작장치(26)가 접속된다. 선회용 전동기(21)와, 인버터(20)와, 리졸버(22)와, 메커니컬브레이크(23)와, 선회 변속기(24)로 부하구동계가 구성된다.
조작장치(26)는, 레버(26A), 레버(26B), 페달(26C)을 포함한다. 레버(26A), 레버(26B), 및 페달(26C)은, 유압라인(27 및 28)을 통하여, 컨트롤밸브(17) 및 압력센서(29)에 각각 접속된다. 압력센서(29)는, 전기계의 구동 제어를 행하는 컨트롤러(30)에 접속되어 있다.
컨트롤러(30)는, 하이브리드식 쇼벨의 구동 제어를 행하는 주제어부로서의 제어장치이다. 컨트롤러(3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및 내부 메모리를 포함하는 연산처리장치로 구성되며, CPU가 내부 메모리에 격납된 구동 제어용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장치이다.
컨트롤러(30)는, 압력센서(29)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속도지령으로 변환하여, 선회용 전동기(21)의 구동 제어를 행한다. 압력센서(29)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는, 선회기구(2)를 선회시키기 위하여 조작장치(26)를 조작했을 경우의 조작량을 나타내는 신호에 상당한다.
컨트롤러(30)는, 전동발전기(12)의 운전제어(전동(어시스트)운전 또는 발전운전의 전환)를 행함과 함께, 축전계(120)의 승강압 컨버터를 구동 제어함으로써 축전계(120)의 축전부인 커패시터의 충방전 제어를 행한다. 컨트롤러(30)는, 커패시터의 충전 상태, 전동발전기(12)의 운전 상태(전동(어시스트)운전 또는 발전운전), 및 선회용 전동기(21)의 운전 상태(역행운전 또는 회생운전)에 근거하여, 승강압 컨버터의 승압 동작과 강압 동작의 전환 제어를 행하고, 이로써 커패시터의 충방전 제어를 행한다.
또, 본원은, 2012년 7월 19일에 출원한 일본 특허출원 2012-160910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일본 특허출원의 전체 내용을 본원에 참조로 원용한다.
1 하부 주행체
1A, 1B 유압모터
2 선회기구
2A 선회용 유압모터
3 상부 선회체
4 붐
5 암
6 버킷
7 붐실린더
8 암실린더
9 버킷실린더
10 캐빈
10a 프레임
11 엔진
12 전동발전기
13 변속기
14 메인펌프
14a 레귤레이터
14b 토출압력센서
14c 유온센서
15 파일럿펌프
16 고압유압라인
17 컨트롤밸브
18, 20 인버터
21 선회용 전동기
22 리졸버
23 메커니컬브레이크
24 선회 변속기
25 파일럿라인
26 조작장치
26A, 26B 레버
26C 페달
26D 버튼스위치
30 컨트롤러
30a 일시 기억부
30b 제어부
30c 이상정보 기억부
40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
40a 마이크로폰
40b 음성인식부
40c 표시입력장치
41n 대리점정보 표시부
41p 송신버튼
41q 통화버튼
41r 피선택대리점 표시부
41s 상세정보 표시부
41t 지도 표시부
41u 현재 위치 아이콘
41v 대리점 위치 아이콘
50 장착부
51 스위치패널
51a 라이트스위치
51b 와이퍼스위치
51c 윈도우워셔스위치
52 설치대
54 탑재부
56 제진기구
58 접속부
60 운전석
70 축전지
72 전장품
75 엔진 회전수 조정 다이얼
80 촬상장치
90 센터관리장치
94 다기능형 휴대정보단말
94c 표시입력장치
94d 이상내용 표시부
94e 진단플로버튼
94x 일시 기억부
94y 제어부
94z 이상정보 기억부
95a 이상내용 표시부
95b 체크항목번호 표시부
95c 체크항목위치 표시부
95d 제1 메시지 표시부
95e 제2 메시지 표시부
95f 화면전환버튼

Claims (16)

  1. 쇼벨의 입력량 검출부에서 검출된 조작 입력량과 쇼벨에 있어서의 복수의 센서에서 검출된 물리량을 포함하는 검출정보를 일시적으로 격납하는 일시 기억부와,
    이상정보를 격납하는 이상정보 기억부와,
    상기 검출정보에 근거하여 이상 판정을 행하여, 제1 시각에 이상 발생이 판정되면, 상기 제1 시각보다 전인 제2 시각부터, 적어도 제1 시각까지의 사이의 검출정보를 이상정보로서, 상기 일시 기억부로부터 상기 이상정보 기억부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쇼벨의 관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상정보 기억부에 격납된 상기 조작 입력량과 상기 물리량을 포함하는 검출정보를, 표시장치로서 기능하는 휴대단말에 송신하는 쇼벨의 관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상정보 기억부에 격납된 상기 조작 입력량과 상기 물리량을 포함하는 검출정보를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무선송신시키는 쇼벨의 관리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상정보 기억부에 격납된 상기 조작 입력량과 상기 물리량을 포함하는 검출정보를, 상기 쇼벨에 구비된 무선송신장치를 통하여 무선송신하는 쇼벨의 관리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각에 이상 발생이 판정되면, 상기 제1 시각보다 전인 상기 제2 시각부터, 상기 제1 시각보다 후인 제3 시각까지의 사이의 상기 조작 입력량과 상기 물리량을 포함하는 검출정보를, 상기 일시 기억부로부터 상기 이상정보 기억부에 전송하는 쇼벨의 관리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입력량과 상기 물리량을 포함하는 검출정보를, 소정의 시간 간격에 대응시켜 파형정보로서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욱 가지는 쇼벨의 관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는, 시각을 지시하기 위한 시각 지시부가 표시되어, 상기 시각 지시부에 의하여 지시된 시각의 상기 물리량의 수치가 표시되는 쇼벨의 관리장치.
  8. 쇼벨의 입력량 검출부에서 검출된 조작 입력량과 쇼벨에 있어서의 복수의 센서에서 검출된 물리량을 포함하는 검출정보에 근거하여 이상 판정을 행하여, 제1 시각에 이상 발생이 판정되면, 상기 제1 시각보다 전인 제2 시각부터, 적어도 제1 시각까지의 사이의 검출정보를 이상정보로서 격납하는 이상정보 기억부와,
    제어부를 가지는 쇼벨의 관리장치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상정보 기억부에 격납된 상기 조작 입력량과 상기 물리량을 포함하는 검출정보를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쇼벨의 관리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정보 기억부는, 상기 제1 시각에 이상 발생이 판정되면, 상기 제1 시각보다 전인 상기 제2 시각부터, 상기 제1 시각보다 후인 제3 시각까지의 사이의 상기 조작 입력량과 상기 물리량을 포함하는 검출정보를 이상정보로서 격납하는 쇼벨의 관리장치.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조작 입력량과 상기 물리량을 포함하는 검출정보를, 소정의 시간 간격에 대응시켜 파형정보로서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에는, 시각을 지시하기 위한 시각 지시부가 표시되어, 상기 시각 지시부에 의하여 지시된 시각의 상기 물리량의 수치가 표시되는 쇼벨의 관리장치.
  11. 쇼벨의 입력량 검출부에서 검출된 조작 입력량과 쇼벨에 있어서의 복수의 센서에서 검출된 물리량을 포함하는 검출정보를 표시하는 쇼벨의 관리장치로서,
    상기 쇼벨의 이상판정 시각보다 전인 제1 시각부터, 적어도 이상판정 시각까지의 상기 조작 입력량과 상기 물리량을 포함하는 검출정보를 표시하는 쇼벨의 관리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판정 시각에 이상 발생이 판정되면, 상기 이상판정 시각보다 전인 상기 제1 시각부터, 상기 이상판정 시각보다 후인 제2 시각까지의 사이의 상기 조작 입력량과 상기 물리량을 포함하는 검출정보를 표시하는 쇼벨의 관리장치.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입력량과 상기 물리량을 포함하는 검출정보를, 소정의 시간 간격에 대응시켜 파형정보로서 표시하고, 또한
    시각을 지시하기 위한 시각 지시부를 표시하여, 상기 시각 지시부에 의하여 지시된 시각의 상기 물리량의 수치를 표시하는 쇼벨의 관리장치.
  14.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이상정보에 대응하는 진단플로화면을 표시하는 쇼벨의 관리장치.
  15. 쇼벨의 입력량 검출부에서 검출된 조작 입력량과 쇼벨에 있어서의 복수의 센서에서 검출된 물리량을 포함하는 검출정보를 일시 기억부에 일시적으로 격납하는 공정과,
    상기 검출정보에 근거하여 이상 판정을 행하는 공정과,
    상기 이상 판정을 행하는 공정에서 이상으로 판정되면, 상기 검출정보를 상기 일시 기억부로부터 취출하여 이상정보 기억부에 격납하는 공정과,
    상기 이상정보 기억부에 격납되어 있는 상기 검출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공정을 가지는 쇼벨의 관리방법.
  16. 쇼벨의 입력량 검출부에서 검출된 조작 입력량과 쇼벨에 있어서의 복수의 센서에서 검출된 물리량을 포함하는 검출정보를 취득하는 공정과,
    상기 검출정보를 취득하는 공정에서 취득된 상기 검출정보 중, 상기 쇼벨의 이상판정 시각보다 전인 제1 시각부터, 적어도 이상판정 시각까지의 상기 검출정보를 표시하는 공정을 가지는 쇼벨의 관리방법.
KR1020147035780A 2012-07-19 2013-07-09 쇼벨의 관리장치 및 관리방법 KR201500357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60910 2012-07-19
JPJP-P-2012-160910 2012-07-19
PCT/JP2013/068768 WO2014013911A1 (ja) 2012-07-19 2013-07-09 ショベルの管理装置及び管理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5718A true KR20150035718A (ko) 2015-04-07

Family

ID=49948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5780A KR20150035718A (ko) 2012-07-19 2013-07-09 쇼벨의 관리장치 및 관리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803341B2 (ko)
EP (2) EP2876892A4 (ko)
JP (2) JPWO2014013911A1 (ko)
KR (1) KR20150035718A (ko)
CN (2) CN104380761B (ko)
WO (1) WO20140139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08963B2 (ja) * 2015-02-16 2019-05-08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ショベル支援装置
JP6732361B2 (ja) * 2015-10-09 2020-07-29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ショベル操作装置、ショベル操作方法、ショベル、及びショベル操作用プログラム
CN105183364A (zh) * 2015-10-30 2015-12-2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应用程序切换方法、装置及设备
JP6911018B2 (ja) * 2016-05-17 2021-07-28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ショベル
EP3521522A4 (en) * 2016-09-29 2020-01-29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SHOVEL
CN114635473B (zh) 2017-02-22 2024-04-12 住友建机株式会社 挖土机
JP7297403B2 (ja) * 2017-06-28 2023-06-26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ショベル、並びに、ショベルの管理装置及び支援装置
JP7069945B2 (ja) * 2018-03-28 2022-05-18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作動油量測定装置
JP2019214831A (ja) * 2018-06-11 2019-12-19 株式会社フジタ 作業機械の遠隔制御システム
WO2020196674A1 (ja) * 2019-03-26 2020-10-01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CN114008274B (zh) * 2019-08-29 2024-03-19 住友建机株式会社 挖土机及挖土机诊断***
CN114514354A (zh) * 2019-09-19 2022-05-17 住友重机械工业株式会社 挖土机、挖土机的管理装置、挖土机的管理***、挖土机的支援装置
JP7217216B2 (ja) * 2019-10-25 2023-02-02 日立建機株式会社 故障診断装置及び故障診断方法
JPWO2021085608A1 (ko) * 2019-10-31 2021-05-06
JP2022143335A (ja) * 2021-03-17 2022-10-0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の故障診断システムおよび故障診断方法
US11840826B1 (en) * 2022-11-21 2023-12-12 Caterpillar Sarl Hydraulic health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4507B2 (ja) * 1991-08-08 2000-02-28 日本電気システム建設株式会社 遠隔監視システム
US5400018A (en) * 1992-12-22 1995-03-21 Caterpillar Inc. Method of relaying information relating to the status of a vehicle
GB2290631B (en) * 1994-06-24 1998-11-11 Fuji Heavy Ind Ltd Diagnosis system for motor vehicle and the method thereof
JPH08297699A (ja) 1995-04-26 1996-11-12 Hitachi Ltd 製造不良解析支援システム、製造システム、および製造不良解析支援方法
US5884202A (en) * 1995-07-20 1999-03-16 Hewlett-Packard Company Modular wireless diagnostic test and information system
JP3366837B2 (ja) * 1997-08-15 2003-01-1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機械の異常監視装置および方法
JP2000297443A (ja) * 1999-04-15 2000-10-24 Komatsu Ltd 建設機械の情報管理装置
JP2002091547A (ja) * 2000-09-13 2002-03-29 Komatsu Ltd 作業機械の管理システム
DE20020039U1 (de) * 2000-11-25 2001-05-10 United Parts FHS Automobil Systeme GmbH, 37586 Dassel Längseinsteller mit Lösevorrichtung
US20020065707A1 (en) * 2000-11-30 2002-05-30 Glacier Advertising Ltd. Automobile customer information generation and transmission system
JP4449052B2 (ja) 2001-03-23 2010-04-14 日立建機株式会社 油圧ショベルの作業量モニタ装置
JP2002325060A (ja) * 2001-04-25 2002-11-08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点検情報送受信方法およびシステム
EP1403437B1 (en) * 2001-05-08 2013-12-11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Working machine failure diagnosis method and system
JP4897152B2 (ja) 2001-05-08 2012-03-1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故障診断方法および建設機械の故障診断システム
JP2002366691A (ja) * 2001-06-13 2002-12-20 Tereshiko:Kk 自動車車検整備システムのプログラム及びそれを収納した記録媒体
JP3763770B2 (ja) 2001-10-11 2006-04-05 西松建設株式会社 建設機械情報システム
JP2004007889A (ja) * 2002-05-31 2004-01-08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建設機械におけるチャージランプ用回路
US6871121B2 (en) * 2002-10-07 2005-03-22 Blink Engineering Corp. Entertainment system on-board a vehicle for visualizing on a display real-time vehicle data
JP2007523781A (ja) * 2003-02-24 2007-08-23 バイエリッシェ モートーレン ウエルケ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車両における修理手順を視覚化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04362347A (ja) * 2003-06-05 2004-12-24 Shimomoto Shoji ユーザー車検支援システム
JP3902168B2 (ja) * 2003-09-04 2007-04-0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診断情報表示システム
JP4286649B2 (ja) * 2003-12-17 2009-07-01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エンジン冷却水系統故障診断装置
JP4079113B2 (ja) * 2004-04-19 2008-04-23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表示装置
US20060003142A1 (en) * 2004-05-28 2006-01-05 Suminoe Textile Co., Ltd. Sound absorbing carp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068951B2 (en) * 2005-06-24 2011-11-29 Chen Ieon C Vehicle diagnostic system
JP4502900B2 (ja) * 2005-07-29 2010-07-14 日野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故障診断方法
JP4677876B2 (ja) 2005-10-11 2011-04-2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診断装置
JP2007186289A (ja) 2006-01-12 2007-07-26 Kobelco Cranes Co Ltd 作業機械診断装置、診断方法及び作業機械
JP2006190324A (ja) 2006-02-23 2006-07-20 Hitachi Ltd 家電機器保守サービスシステム
JP2007326425A (ja) * 2006-06-07 2007-12-20 Fujitsu Ten Ltd 通信制御ユニット,故障解析センタ,及び故障解析方法
US8564544B2 (en) * 2006-09-06 2013-10-22 Apple Inc.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ustomizing display of content category icons
US8477027B2 (en) * 2007-10-24 2013-07-02 Gerald E. Givens Wireless sensor system
JP2009174924A (ja) * 2008-01-22 2009-08-06 Fujitsu Ten Ltd 診断装置、診断システム、診断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5011141B2 (ja) * 2008-01-30 2012-08-29 日立建機株式会社 異常動作検知装置
JP4856163B2 (ja) * 2008-12-26 2012-01-18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診断情報提供装置
JP5403409B2 (ja) * 2009-05-25 2014-01-29 横河電機株式会社 波形表示装置および波形表示方法
JP5271300B2 (ja) * 2010-03-19 2013-08-2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の表示装置
CA2799331A1 (en) * 2010-05-14 2011-11-17 Harnischfeger Technologies, Inc. Predictive analysis for remote machine monitoring
JP5633341B2 (ja) * 2010-11-30 2014-12-0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サーバベース・コンピューティング・システムのクライアント装置、サー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433712B2 (ja) * 2012-01-23 2014-03-05 株式会社ゼンリンデータコム 端末装置、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施設情報表示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13911A1 (ja) 2014-01-23
EP2876892A4 (en) 2015-08-26
EP2876892A1 (en) 2015-05-27
US20150112544A1 (en) 2015-04-23
CN111424756A (zh) 2020-07-17
JP6665123B2 (ja) 2020-03-13
US10858810B2 (en) 2020-12-08
US20180016772A1 (en) 2018-01-18
JP2017108429A (ja) 2017-06-15
JPWO2014013911A1 (ja) 2016-06-30
CN104380761A (zh) 2015-02-25
CN104380761B (zh) 2020-05-05
EP3379840A1 (en) 2018-09-26
US9803341B2 (en) 2017-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35718A (ko) 쇼벨의 관리장치 및 관리방법
US10858807B2 (en) Shovel connectable with an information terminal
US10391940B2 (en) Construction machine
KR101684820B1 (ko) 건설 기계의 이상 정보 제어 장치
CN109790704B (zh) 挖土机
CN106414859B (zh) 施工机械及施工机械的控制方法
US20140172128A1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a Machine
DE102005037567A1 (de) Verfahren und System zum Versehen einer Arbeitsmaschine mit einer multifunktionalen Anwenderschnittstelle
JP2015063864A (ja) ショベル、及びショベル用管理装置
EP2784229A2 (en) Shovel
KR20090105833A (ko) 다기능 표시 장치
JP2021143509A (ja) 作業機械
US20220205222A1 (en) Shovel
US20140172127A1 (en) Instrument System with Portable Compu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168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701

Effective date: 2021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