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4621A - Stroke sensitive type shock absorber - Google Patents

Stroke sensitive type shock absorb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4621A
KR20150024621A KR20130101754A KR20130101754A KR20150024621A KR 20150024621 A KR20150024621 A KR 20150024621A KR 20130101754 A KR20130101754 A KR 20130101754A KR 20130101754 A KR20130101754 A KR 20130101754A KR 20150024621 A KR20150024621 A KR 20150024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oke
piston
piston rod
rebound
shock absor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17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20130101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4621A/en
Publication of KR20150024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462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0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 F16F9/512Means responsive to load action, i.e. static load on the damper or dynamic fluid pressure changes in the damper, e.g. due to changes in velocity
    • F16F9/5126Piston, or piston-like valv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8Check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mper capable of changing a damping force according to a rebound stroke, and more specifically, to a stroke sensitive shock absorber which enables selective control of a rebound damping force according to an operation stroke of a damper. The stroke sensitive shock absorber has a piston valve which is connected to a cylinder and a piston rod which divides the cylinder into a rebound chamber and a compression chamber. The stroke sensitive shock absorber includes: an inner flow passage which penetrates a lower end of the piston rod and makes the inside of the piston rod hollow with a certain depth; a connection flow passage connecting the inner flow and the rebound chamber; a free piston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piston valve and opening and closing the connection flow passage according to an elevation according to the piston rod; an elastic member elastically supporting the free piston upward; and a check valv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ner flow passage and blocking a fluid which flows from the lower side of the inner flow passage.

Description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STROKE SENSITIVE TYPE SHOCK ABSORBER}STROKE SENSITIVE TYPE SHOCK ABSORBER [0002]

본 발명은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바운드 스트로크에 따른 감쇠력 변화 댐퍼로써 댐퍼의 작동 스트로크에 따른 리바운드 감쇠력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oke sensitive shock absorb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oke sensitive shock absorber capable of selectively adjusting a rebound damping force according to an operation stroke of a damper as a damping force varying damper according to a rebound stroke.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주행시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이나 진동을 완충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완충장치가 설치되며, 이와 같은 완충장치의 하나로서 쇽업소버가 사용된다. 상기 쇽업소버는 차축과 차체 사이에 설치되며, 피스톤 로드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실린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는 가스 또는 오일이 채워지며, 상기 피스톤 로드의 단부에 설치된 피스톤 밸브에 의해 상기 오일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감쇠력이 발생된다.Generally, a vehicle is equipped with a shock absorber for improving ride comfort by absorbing shocks or vibrations that the axle receives from the road surface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and a shock absorber is used as one of such shock absorbers. The shock absorber includes a cylinder provided between an axle and a vehicle body and provided with a piston rod movably installed therein. In addition, gas or oil is filled in the cylinder, and a damping force is generated in the course of movement of the oil by the piston valve installed at the end of the piston rod.

그러나 이와 같이 일반적인 쇽업소버는 노면의 상태 또는 차량의 자세변화에 대해 일정한 감쇠력 특성을 가지는 한계가 있으며, 이에 따라 감쇠력 특성을 낮게 할 경우,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차량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없었고, 이와 반대로 감쇠력 특성을 높게 할 경우, 차량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나 승차감이 나빠지는바, 쇽업소버의 감쇠력 특성을 노면의 상태 또는 차량의 자세변화에 대해 조절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However, such a general shock absorber has a certain damping force characteristic with respect to the state of the road surface or the attitude of the vehicle. Accordingly, when the damping force characteristic is lowered, the riding comfort can be improved, but the posture of the vehicle can not be stably maintained On the contrary, when the damping force characteristic is increased, the posture of the vehicle can be stably maintained, but the ride feeling is deteriorated, so that the damping force characteristic of the shock absorber can not be adjusted to the state of the road surface or the attitude change of the vehicle.

따라서 차량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승차감을 좋게 하도록 감쇠력 특성을 차량의 휠 스트로크 크기에 따라 가변시켜 노면의 상태 또는 차량의 자세변화에 따라 더욱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가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종래의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는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947389호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Accordingly, a stroke-sensitive shock absorber capable of adjusting the damping force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wheel stroke size of the vehicle so as to improve the ride comfort while stably maintaining the vehicle attitude can be more fin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road surface or the attitude of the vehicle. A conventional stroke-responsive shock absorber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47389.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는 피스톤 로드에 스프링 홈 및 스토퍼수단을 가공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이 어렵고, 진폭감응밸브가 스토퍼수단에 접촉되어 상하 가동을 제한하는 구조로 장기적인 사용에 의해 피스톤 로드에 피로가 누적되어 고장 및 성능 저하가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stroke-sensitive shock absorber is difficult to manufacture because the spring groove and stopper means must be machined on the piston rod, and the amplitude control valv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topper means to limit the up- There is a problem that fatigue accumulates and failure and performance deterioration may occur.

또한, 종래의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는 리바운드(rebound) 행정시 저 스트로크에서는 진폭감응밸브에 의해 메인 밸브에서 발생되는 감쇠력에 비해 높은 감쇠력이 발생하고 고 스트로크에서 진폭감응밸브가 메인 밸브의 유로를 완전히 막아 유체가 상부 유체실에서 하부 유체실로 흐르지 못하게 하기 때문에 감쇠력이 지나치게 커져 필요 이상으로 승차감을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다.Also, in the conventional stroke-sensitive shock absorber, a high damping force is generated compared to the damping force generated in the main valve due to the amplitude control valve in the low stroke in the rebound stroke, and the damping force in the high stroke is completely The fluid is prevented from flowing from the upper fluid chamber to the lower fluid chamber, so that the damping force becomes excessively large and the ride feeling is lowered more than necessary.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작이 쉽고 제품 수명을 극대화할 수 있는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oke-sensitive shock absorber which is easy to manufacture and can maximize the service life of the product.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저 스트로크에서는 메인 밸브에서 발생되는 감쇠력에 비해 낮은 감쇠력을 구현하고, 고 스트로크에서는 메인 밸브의 감쇠력 만이 발생하여 저 스트로크에서 발생되는 감쇠력에 비해 높은 감쇠력을 구현할 수 있는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amping force control device which realizes a low damping force in comparison with a damping force generated in a main valve in low stroke, And a stroke-sensitive shock absorber capable of realizing damping forc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는 실린더와, 피스톤 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를 리바운드 챔버와 컴프레션 챔버로 구획하는 피스톤 밸브를 갖는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로드의 하단을 관통하여 상기 피스톤 로드의 내부 일부까지 중공되게 형성되는 내부유로, 상기 내부유로와 상기 리바운드 챔버를 연통시키는 연결 유로, 상기 피스톤 밸브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 로드를 따라 승강함에 따라 상기 연결 유로를 개폐하는 프리 피스톤, 상기 프리 피스톤을 상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내부유로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유로의 하부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를 차단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oke-sensitive shock absorber having a cylinder and a piston valve which is connected to the piston rod and divides the cylinder into a rebound chamber and a compression chamber, An inner passage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piston rod and hollow to the inner portion of the piston rod, a connecting passage for communicating the inner passage and the rebound chamber, and a connecting passage formed on the piston valve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piston rod, A free piston which opens and closes, an elastic member which elastically supports the free piston upward, and a check valv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inner passage to block the fluid flow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passage.

상기 피스톤 로드에 형성되어 상기 프리 피스톤의 승강 영역을 설정하는 스토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stopper member formed on the piston rod and defining a lifting region of the free piston.

상기 스토퍼부재는 상기 연결 유로의 하단과 동일 수평선 상에 형성되어 상기 프리 피스톤의 하강을 제한하는 하측 스토퍼와 상기 하측 스토퍼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프리 피스톤의 상승을 제한하는 상측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opper member includes a lower stopper form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as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passage and restricting the descent of the free piston and an upper stopper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stopper and restricting the upward movement of the free piston .

상기 하측 스토퍼는 상기 상측 스토퍼에 비해 넓이가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lower stopper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upper stopper.

상기 피스톤 밸브와 상기 프리 피스톤 사이에 위치하게 상기 피스톤 로드의 외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upport member protruding from an outer periphery of the piston rod and supporting a lower end of the elastic member, the piston being positioned between the piston valve and the free piston.

상기 프리 피스톤은 상기 실린더의 리바운드(rebound) 행정 시 저 스트로크에서 상기 연결 유로를 개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free piston opens the connection passage at a low stroke during a rebound stroke of the cylinder.

상기 프리 피스톤은 상기 실린더의 리바운드 행정 시 고 스트로크에서 상기 연결 유로를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free piston closes the connecting passage at a high stroke during a rebound stroke of the cylinder.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실린더의 컴프레션(compression) 행정 시 상기 내부유로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check valve closes the internal flow passage during a compression stroke of the cylinder.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쉽고 제품 수명이 길다는 장점이 있다.The stroke-sensitiv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advantageous in that it has a simple structure and is easy to manufacture and has a long product life.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는 저 스트로크에서 메인 밸브의 감쇠력보다 낮은 감쇠력을 발생하여 일반도로와 같은 주행환경에서 승차감을 향상 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stroke-sensitiv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has a damping force lower than the damping force of the main valve at a low stroke, thereby improving ride comfort in a driving environment such as an ordinary road.

그리고 고 스트로크에서 메인 밸브의 감쇠력만이 발생하여 둔턱 및 웅덩이 등과 같은 주행환경에서 빠르게 자세를 제어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only the damping force of the main valve is generated in the high stroke, so that the posture can be controlled quickly in a driving environment such as a barrier and a sump.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리바운드 행정시 저 스트로크에서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리바운드 행정시 고 스트로크에서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에서 컴프레션 행정시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in part of a stroke-sensitiv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on state at a low stroke in the rebound stroke in Fig. 1,
Fig. 3 is a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ng state at a high stroke in the rebound stroke in Fig. 1,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ng state in the compression stroke in Fig. 1. Fig.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in part of a stroke-sensitiv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차륜 측에 연결되는 실린더(52)와, 차체 측에 연결되는 피스톤 로드(54)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실린더(52)는 내부관과 외부관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하나의 단일관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The shock absorber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ylinder 52 connected to the wheel side of the vehicle and a piston rod 54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side, as shown in Fig. Here, the cylinder 52 may have a double structure of an inner tube and an outer tube, and it is of course possible to have a single tube.

상기 피스톤 로드(54)는 상기 실린더(52)에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단부에 상기 실린더(52)의 내부를 컴프레션 챔버(CC)와 리바운드 챔버(RC)로 구획하며 감쇠력을 발생하는 피스톤 밸브(60)가 설치된다.The piston rod 54 is reciprocatably installed in the cylinder 52. The piston rod 54 is provided at an end thereof with a piston 52 for dividing the inside of the cylinder 52 into a compression chamber CC and a rebound chamber RC, A valve 60 is provided.

상기 피스톤 밸브(60)는 외주측으로 컴프레션 유로(60a)가 형성되고, 내주측으로 리바운드 유로(60b)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컴프레션 유로(60a)와 상기 리바운드 유로(60b)는 상기 피스톤 로드(54)의 하강 및 상승이 이루어지는 컴프레션 행정 및 리바운드 행정 시에 컴프레션 챔버(CC)와 리바운드 챔버(RC) 사이로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유로이다.The piston valve 60 may have a compression passage 60a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thereof and a rebound passage 60b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thereof. The compression channel 60a and the rebound channel 60b move between the compression chamber CC and the rebound chamber RC during a compression stroke and a rebound stroke in which the piston rod 54 is lowered and raised Lt; / RTI >

또한, 상기 피스톤 밸브(60)의 하부에는 저 스트로크(stroke)와 고 스트로크에서 리바운드 유로(60b)의 개방도를 제어하고 컴프레션 행정에서 유체가 상기 리바운드 유로(60b)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리바운드 디스크(66)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리바운드 디스크(66)의 하부에는 리테이너(67)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리바운드 디스크(66)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감쇠력 특성을 가변하기 위해 다수개 설치하거나, 그 형태를 다르게 할 수 있고, 일부에 슬릿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피스톤 밸브(60)의 상부에는 컴프레션 유로(60a)의 개방도를 제어하고 리바운드 행정에서 유체가 상기 컴프레션 유로(60a)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컴프레션 디스크(68)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컴프레션 디스크(68)에는 상기 리바운드 유로(60b)와 연통하는 연통홀(68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컴프레션 디스크(68)의 상부에는 리테이너(67)가 설치된다. 더불어 상기 컴프레션 디스크(68)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감쇠력 특성을 가변하기 위해 다수개 설치하거나, 그 형태를 다르게 할 수 있고, 일부에 슬릿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lower portion of the piston valve 60 controls the opening degree of the rebound passage 60b at low strokes and the high stroke and prevents the fluid from moving to the rebound passage 60b in the compression stroke. (66). A retainer 67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ebound disc 66. Here, the rebound disc 66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r more than one rebound disc 66, and a plurality of rebound discs 66 may be provided to vary the damping force characteristic, or the slits may be formed in a part thereof. A compression disc 68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iston valve 60 to control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compression passage 60a and prevent the fluid from moving to the compression passage 60a in the rebound stroke. The compression disc 68 is formed with a communication hole 68a communicating with the rebound passage 60b. A retainer 67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mpression disc 68. In addition, the compression disc 68 may be composed of at least one or more compression discs 68, and a plurality of compression discs 68 may be provided to vary the damping force characteristic.

한편, 상기 피스톤 로드(54)에는 상기 리바운드 챔버(RC)와 상기 컴프레션 챔버(CC)를 연결하는 내부유로(56)가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피스톤 로드(54)의 측면에는 상기 리바운드 챔버(RC)와 연통하는 연결 유로(55)가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54)의 하부에는 상기 컴프레션 챔버(CC)측과 연결되기 위한 개방구(5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유로(56)는 상기 피스톤 로드(54)의 내부에서 상기 연결 유로(55)와 상기 개방구(58)를 연결하여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piston rod 54 is formed with an internal passage 56 connecting the rebound chamber RC and the compression chamber CC. To this end, a connecting passage 55 communicating with the rebound chamber RC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piston rod 54. An opening for connecting to the compression chamber CC i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piston rod 54. [ A fulcrum 58 is formed. The internal passage 56 connects the connection passage 55 and the opening 58 in the piston rod 54.

또한, 상기 내부유로(56) 중 상기 개방구(58) 측에는 체크밸브(20)가 설치되어 리바운드 행정에서만 상기 내부유로(56)로 유체가 이동하게하고 컴프레션 행정에서는 상기 내부유로(56)로 유체가 이동하지 못하게 차단한다. A check valve 20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opening 58 of the internal flow path 56 to allow the fluid to flow into the internal flow path 56 only in the rebound stroke. In the compression stroke, To prevent movement of the mobile terminal.

상기 피스톤 로드(54)의 외주를 따라 승강되게 설치되되, 상기 피스톤 밸브(60)의 상측에 설치되는 프리 피스톤(40)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프리 피스톤(40)은 탄성부재(30)에 의해 하측이 탄성 지지된다. 상기 탄성부재(30)는 코일 스프링 등일 수 있으며, 상단이 상기 프리 피스톤(40)의 저면을 지지하고, 하단은 상기 피스톤 밸브(60) 측에 고정 설치되는데, 상기 피스톤 밸브(60)와 상기 프리 피스톤(40) 사이에 위치하게 상기 피스톤 로드(54)의 외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대(31)의 상면에 상기 탄성부재(30)의 하단이 지지되게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피스톤 밸브(60)와 상기 지지대(31)의 사이에는 상기 리테이너(67)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 로드(54)에는 상기 프리 피스톤(40)의 승강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스토퍼부재(10)가 상기 피스톤 로드(54)의 외주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부재(10)는 상기 연결 유로(55)의 하단과 동일 수평선 상에 형성되어 상기 프리 피스톤(40)이 최저위치로 하강할 시 상기 프리 피스톤(40)의 외주면이 상기 연결 유로(55)를 막도록 유도하는 하측 스토퍼(10b)와 상기 하측 스토퍼(10b)와 일정 거리를 형성하며 상기 하측 스토퍼(10b)의 상측에 설치되도록 상기 피스톤 로드(54)의 외주에 고정되어 상기 프리 피스톤(40)의 상승을 제한하는 상측 스토퍼(10a)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측 스토퍼(10b)는 상기 상측 스토퍼(10a)에 비해 넓이가 넓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 유로(55)의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리 피스톤(40)은 넓이면에 관통 유로(40a)가 형성되어 유체가 이동할 수 있게 한다.
And a free piston 40 mounted on the piston rod 54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piston rod 54 and installed above the piston valve 60. The free piston (40) is elastically supported on the lower side by the elastic member (30). The elastic member 30 may be a coil spring or the like and the upper end supports the bottom surface of the free piston 40 and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piston valve 60. The piston valve 60,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member 30 is fixedl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a support 31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piston rod 54 between the pistons 40. At this time, the retainer 67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piston valve 60 and the support 31. A stopper member 10 is formed on the piston rod 54 so as to protrude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piston rod 54 in order to set an up / down region of the free piston 40. The stopper member 10 is form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as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passage 55 so that when the free piston 40 descends to the lowest positi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ee piston 40 contacts the connection passage 55, And the piston rod 54 is fix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piston rod 54 so as to b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stopper 10b and has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wer stopper 10b, And an upper stopper 10a for restricting the upward movement of the stopper 10a. Here, the lower stopper 10b may be formed to be wider than the upper stopper 10a to help form the connection passage 55. On the other hand, the free piston (40) has a through passage (40a) on its surface to allow the fluid to mov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의 작동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troke-sensitiv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도 1에서 리바운드 행정시 저 스트로크에서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on state at a low stroke in the rebound stroke in Fig. 1. Fig.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52)의 리바운드 행정에서 저 스트로크시 유체는 상기 프리 피스톤(40)의 관통 유로(40a)를 통과하여 일부는 상기 리바운드 유로(60b)를 통해 상기 컴프레션 챔버(CC)로 이동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연결 유로(55)를 통해 상기 내부유로(56)를 통과하여 상기 컴프레션 챔버(CC)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저 스트로크시에는 유체가 상기 피스톤 밸브(60)와 상기 내부유로(56) 양측으로 동시에 이동하기 때문에 감쇠력을 피스톤 밸브(60)에서 발생되는 감쇠력보다 줄일 수 있어 일반도로와 같은 주행환경에서 승차감을 향상 시키는 효과가 있다.2, when a low stroke is performed in the rebound stroke of the cylinder 52,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through passage 40a of the free piston 40 and a part of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rebound passage 60b to the compression chamber CC and the other part of the refrigerant passes through the connecting passage 55 and the internal passage 56 and moves to the compression chamber CC. Since the fluid simultaneously moves to both sides of the piston valve 60 and the internal flow path 56 at the time of low stroke, the damping force can be reduced more than the damping force generated at the piston valve 60, .

도 3은 도 1에서 리바운드 행정시 고 스트로크에서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ng state at a high stroke in the rebound stroke in Fig. 1. Fig.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52)의 리바운드 행정에서 고 스트로크시 유체가 상기 프리 피스톤(40)에 가하는 유압이 상기 탄성부재(30)의 탄성력보다 강하게 되어 상기 프리 피스톤(40)은 최저위치로 하강하게 되고 상기 프리 피스톤(40)은 상기 하측 스토퍼(10b)에 걸린 상태로 상기 프리 피스톤(40)의 외주면이 상기 연결 유로(55)를 막아 유체는 상기 관통 유로(40a)를 통과하여 상기 리바운드 유로(60b)를 통해서만 상기 컴프레션 챔버(CC)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저 스트로크시에는 유체가 상기 피스톤 밸브(60)만을 통과하여 이동하기 때문에 상술한 저 스크로크시에 비해 높은 감쇠력을 발생하여 둔턱 및 웅덩이 등과 같은 주행환경에서 빠르게 자세를 제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3, the hydraulic pressure applied by the fluid to the free piston 40 during the high stroke in the rebound stroke of the cylinder 52 becomes strong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30, And the free piston 40 is caught by the lower stopper 10b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ee piston 40 blocks the connection passage 55 and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through passage 40a And moves to the compression chamber CC only through the rebound passage 60b. Accordingly, since the fluid moves through only the piston valve 60 at the time of the low stroke, a high damping force is generated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scrub stroke, and the effect is such that the posture is quickly controlled in a driving environment such as a barrier and a sump .

도 4는 도 1에서 컴프레션 행정시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ng state in the compression stroke in Fig. 1. Fig.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프레션 행정에서 상기 체크밸브(20)는 상기 개방구(58) 측으로 유입되는 유체를 차단하여 유체가 상기 컴프레션 유로(60a)를 통해서만 이동하여 상기 관통 유로(40a)를 통과하여 상기 리바운드 챔버(RC)로 이동하게 한다. 따라서 컴프레션 행정에서는 스트로크에 따라 감쇠력이 변화하지 않도록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각 챔버의 압력은 컴프레션 챔버(CC)에서 가장 크고 상기 컴프레션 챔버(CC)에서 상기 리바운드 챔버(RC)로 갈수록 작아지게 된다.
4, in the compression stroke, the check valve 20 blocks the fluid flowing into the opening 58, so that the fluid moves only through the compression passage 60a, And moves to the rebound chamber RC.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damping force is not changed according to the stroke in the compression stroke. At this time, the pressure of each chamber is the largest in the compression chamber CC, and becomes smaller as it goes from the compression chamber CC to the rebound chamber RC.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쉽고 제품 수명이 길다는 장점이 있고, 저 스트로크에서 메인 밸브의 감쇠력보다 낮은 감쇠력을 발생하여 일반도로와 같은 주행환경에서 승차감을 향상 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고 스트로크에서 메인 밸브의 감쇠력만이 발생하여 둔턱 및 웅덩이 등과 같은 주행환경에서 빠르게 자세를 제어하는 효과가 있다.
The stroke-sensitiv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stroke-sensitiv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and is easy to manufacture and has a long product life, and generates a damping force lower than the damping force of the main valve at low stroke, And the damping force of the main valve is generated at a high stroke, so that the posture can be quickly controlled in a driving environment such as a barrier and a pool.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를 예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stroke-sensitiv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10 : 스토퍼부재 10a : 상측 스토퍼
10b : 하측 스토퍼 20 : 체크밸브
30 : 탄성부재 31 : 지지대
40 : 프리 피스톤 40a : 관통 유로
50 : 쇽업소버 52 : 실린더
54 : 피스톤 로드 55 : 연결 유로
56 : 내부유로 58 : 개방구
60 : 피스톤 밸브 60a : 컴프레션 유로
60b : 리바운드 유로 66 : 리바운드 디스크
67 : 리테이너 68 : 컴프레션 디스크
68a : 연통홀 CC : 컴프레션 챔버
RC : 리바운드 챔버
10: stopper member 10a: upper stopper
10b: Lower stopper 20: Check valve
30: elastic member 31: support
40: Free piston 40a: Through-
50: Shock absorber 52: Cylinder
54: piston rod 55:
56: inner flow path 58:
60: piston valve 60a:
60b: Rebound Euro 66: Rebound disc
67: retainer 68: compression disk
68a: communication hole CC: compression chamber
RC: rebound chamber

Claims (8)

실린더와, 피스톤 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를 리바운드 챔버와 컴프레션 챔버로 구획하는 피스톤 밸브를 갖는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로드의 하단을 관통하여 상기 피스톤 로드의 내부 일부까지 중공되게 형성되는 내부유로;
상기 내부유로와 상기 리바운드 챔버를 연통시키는 연결 유로;
상기 피스톤 밸브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 로드를 따라 승강함에 따라 상기 연결 유로를 개폐하는 프리 피스톤;
상기 프리 피스톤을 상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내부유로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유로의 하부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를 차단하는 체크밸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
A stroke sensitive shock absorber having a cylinder and a piston valve connected to the piston rod and partitioning the cylinder into a rebound chamber and a compression chamber,
An inner flow passage penetrating a lower end of the piston rod and hollowly formed to an inner portion of the piston rod;
A connection channel for communicating the inner passage and the rebound chamber;
A free piston formed on the piston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nnection passage as it ascends and descends along the piston rod;
An elastic member elastically supporting the free piston upward; And
A check valv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inner flow path to shut off the fluid flow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flow path; And a shock absorber for detecting a stroke of the shock absorb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로드에 형성되어 상기 프리 피스톤의 승강 영역을 설정하는 스토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topper member formed on the piston rod and configured to set an up / down region of the free pist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재는,
상기 연결 유로의 하단과 동일 수평선 상에 형성되어 상기 프리 피스톤의 하강을 제한하는 하측 스토퍼와
상기 하측 스토퍼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프리 피스톤의 상승을 제한하는 상측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
The stopper member according to claim 2,
A lower stopper form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as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passage and restricting the lowering of the free piston
And an upper stopper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lower stopper and restricting the upward movement of the free piston.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측 스토퍼는 상기 상측 스토퍼에 비해 넓이가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lower stopper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upper stopp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밸브와 상기 프리 피스톤 사이에 위치하게 상기 피스톤 로드의 외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upport base protruding from an outer periphery of the piston rod and supporting a lower end of the elastic member, the piston being positioned between the piston valve and the free pist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리 피스톤은 상기 실린더의 리바운드(rebound) 행정 시 저 스트로크에서 상기 연결 유로를 개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ee piston opens the connecting passage at a low stroke during a rebound stroke of the cylind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리 피스톤은 상기 실린더의 리바운드 행정 시 고 스트로크에서 상기 연결 유로를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ee piston closes the connection passage at a high stroke during a rebound stroke of the cylind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실린더의 컴프레션(compression) 행정 시 상기 내부유로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heck valve closes the internal flow passage during a compression stroke of the cylinder.
KR20130101754A 2013-08-27 2013-08-27 Stroke sensitive type shock absorber KR2015002462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1754A KR20150024621A (en) 2013-08-27 2013-08-27 Stroke sensitive type shock absor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1754A KR20150024621A (en) 2013-08-27 2013-08-27 Stroke sensitive type shock absorb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621A true KR20150024621A (en) 2015-03-09

Family

ID=53021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1754A KR20150024621A (en) 2013-08-27 2013-08-27 Stroke sensitive type shock absorb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462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4287B1 (en) Valve structure having variable flow valve of a shock absorber
US9797466B2 (en) Damping force variable type shock absorber
KR101876915B1 (en) Piston valve assembly of shock absorber
US20140353097A1 (en) Frequency sensitive type shock absorber
KR20140022583A (en) Valve assembly of shock absorber
KR101351590B1 (en) Frequency unit valve
KR100766854B1 (en) Shock absorber
KR20110001283A (en) Piston valve assembly of shock absorber
JP2009156418A (en) Damping force adjusting structure of hydraulic shock absorber
KR20120030747A (en) Piston valve assembly for shock absorber
KR100489417B1 (en) Shock absorber
KR101276868B1 (en) Piston valve assembly of shock absorber
KR101760904B1 (en) Shock absorber
KR20150024621A (en) Stroke sensitive type shock absorber
KR100832494B1 (en) Valve device of shock absorber
KR20140028200A (en) Valve assembly of dual frequency sensitive type
KR101230549B1 (en) Shock absorber
KR101662223B1 (en) Shock absorber with a frequency unit
KR100757811B1 (en) Shock absorber
KR20200089427A (en) Shock absorber
KR20150128455A (en) 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
KR20150018107A (en) Shock absorber with a frequency unit
KR102528338B1 (en) Variable damping force valve assembly
KR20200141797A (en) Shock absorber
KR20140002823A (en) Shock absor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