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1208A -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캐리어 테이프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캐리어 테이프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1208A
KR20140141208A KR20130062690A KR20130062690A KR20140141208A KR 20140141208 A KR20140141208 A KR 20140141208A KR 20130062690 A KR20130062690 A KR 20130062690A KR 20130062690 A KR20130062690 A KR 20130062690A KR 20140141208 A KR20140141208 A KR 20140141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esin composition
polycarbonate resin
resin
carrier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2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찬균
임종철
정은혜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62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1208A/ko
Priority to US14/177,325 priority patent/US20140356579A1/en
Priority to CN201410226057.3A priority patent/CN104212143A/zh
Publication of KR20140141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120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4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3/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attached to cards, sheets or webs
    • B65D73/02Articles, e.g. small electrical components, attached to web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05Reinforced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nanosized materials, e.g. nanoparticles, nanofibres, nanotubes, nanowires, nanorods or nanolayered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4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leng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전도성 수지조성물은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50 내지 97 중량% (B)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B1), 반결정성 고분자 수지(B2), 또는 이들의 혼합물 3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C) 탄소나노튜브 0.5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고, 표면저항이 105Ω/□ 이하로 전도성이 우수하다. 또한, 생산성, 인장강도 및 인장신율이 우수하고, 분진발생도 적다.

Description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캐리어 테이프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Polycarbonate-Based Resin Composition for Carrier Tape Having Excellent Electric Conductivity}
본 발명은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캐리어 테이프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 및/또는 반결정성 고분자 수지를 사용하여, 분진이 적게 발생하고, 전도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킨 캐리어 테이프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광다이오드(LED:light emitting diode) 칩 상태에서 반도체 패키지와 같은 전자부품으로 조립이 완료되면, 이를 사용자에게 안전하게 전달하기 위해 여러 가지 형태의 포장재가 사용된다.
이러한 포장재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이 캐리어 테이프로서, 상기 캐리어 테이프는 발광다이오드(LED) 칩의 전자부품을 내부에 형성된 포켓(pocket)에 담아 전자부품의 취급 혹은 이송 중에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캐리어 테이프는 통상적으로 3층, 또는 단층 구조를 갖는다.
캐리어 테이프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전도성 수지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카본블랙으로 이루어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캐리어 테이프는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반면, 카본 블랙(Carbon black)의 편파적인 발생으로 오염이 발생되고, 중간층이 절연체로 구성되어 체적 저항이 나타나지 않아 전기적 특성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한편, 일반적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표면저항은 1012 Ω/□이나, 전도성 수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표면저항이 104 내지 106 Ω/□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매트릭스로 하여 전도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카본블랙 15 내지 35 중량%를 사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카본블랙의 함량이 높은 경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 성형된 성형품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고, 마모시 카본블랙 먼지(carbon black dust)로 인하여 성형품 표면의 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에서의 카본블랙의 함량을 줄이기 위하여 일반적인 카본블랙 대신 전도성 카본블랙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전도성 카본블랙은 일반적인 카본블랙에 비하여 고가이므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 성형된 성형품의 가격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078205호는 폴리카보네이트, 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 탄소나노튜브 및 카본블랙으로 이루어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수지조성물은 카본블랙의 함량이 높아 성형품 표면으로 카본블랙 자체가 떨어져 나옴으로써 카본블랙 먼지(carbon black dust)가 생성되어 성형품 표면의 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단독으로는 내열도가 높아 캐리어 테이프와 같은 시트(sheet) 형태로 압출 시, 시트 생산성(생산속도, m/hr)이 낮고, 전도성 발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 및/또는 반결정성 고분자 수지를 사용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내열도를 낮추고, 탄소나노튜브의 분산성을 높여 전기전도성, 생산성 및 기타 물성이 우수하고, 분진 발생도 적은 캐리어 테이프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을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캐리어 테이프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장강도가 우수한 캐리어 테이프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인장신율이 우수한 캐리어 테이프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생산성이 우수한 캐리어 테이프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분진이 적게 발생하는 캐리어 테이프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은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50 내지 97 중량%, (B)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B1), 반결정성 고분자 수지(B2) 또는 이들의 혼합물 3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C) 탄소나노튜브 0.5 내지 5 중량부 포함하고, 표면저항이 105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B1) 및 반결정성 고분자 수지(B2)의 혼합물은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B1) 20 내지 80 중량% 및 반결정성 고분자 수지(B2) 20 내지 8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200,000 g/mol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B1)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수지,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의 공중합체(SEBS)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결정성 고분자 수지(B2)는 폴리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 에틸렌 초산비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일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C)는 평균 직경이 0.5 내지 100 nm이고, 평균 길이가 0.005 내지 100 ㎛일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C)는 종횡비(aspect ratio, L/D)가 500 내지 5,000일 수 있다.
캐리어 테이프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은 왁스, 산화방지제, 항균제, 열안정제, 이형제, 광안정제, 무기물 첨가제, 계면활성제, 커플링제, 가소제, 상용화제, 활제, 정전기방지제, 착색제, 안료, 염료, 난연제, 난연보조제, 적하방지제, 내후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차단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의 캐리어 테이프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한다. 상기 성형품은 양각 캐리어 테이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성형품은 ASTM D 257에 준하여 측정한 표면저항이 104 내지 108 Ω/□이고, 120mm (width)x 0.4mm (thickness) sheet 생산 평가에 준하여 측정한 생산성이 6.8 내지 8.5 m/min 이며, 측정한 시트(sheet) 두께 편차가 1 % 미만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성형품은 ASTM D 638에 준하여 측정한 인장강도가 480 내지 660 kgf/㎠ 이고, 인장신율이 55 내지 120 %이다.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은 전기전도성, 생산성, 인장강도 및 인장신율이 우수하고 분진발생도 적다.
본 발명은 전기전도성, 생산성, 인장강도 및 인장신율이 우수하고, 분진발생도 적은 캐리어 테이프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은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B)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B1) 및/또는 반결정성 고분자 수지(B2), 및 (C)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캐리어 테이프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 50 내지 97 중량%, (B)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B1), 반결정성 고분자 수지(B2) 또는 이들의 혼합물 3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탄소나노튜브(C) 0.5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고, 표면저항이 105Ω/□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캐리어 테이프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본 발명에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는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로서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이들의 코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코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카보네이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는 선형 또는 분지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200,000 g/mol, 바람직하게 15,000 내지 80,000 g/mol, 더욱 바람직하게 25,000 g/mol이다.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는 (a1)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을 (a2) 카보네이트 전구체와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a1)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a1)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Figure pat00001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또는 C1 내지 C8의 알킬기이고;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 사이의 정수이며, Z는 단일결합, C1 내지 C8의 알킬렌기, C2 내지 C8의 알킬리덴기, C5 내지 C15의 시클로 알킬렌기, C5 내지 C15의 시클로 알킬리덴기, -S-, -SO-, SO2-, -O-, 또는 -CO-을 나타낸다.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a1)로는 비스(히드록시 아릴)알칸, 비스(히드록시 아릴)시클로알칸, 비스(히드록시 아릴)에테르, 비스(히드록시 아릴)설파이드, 비스(히드록시 아릴)설폭사이드, 비페닐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스(히드록시 아릴)알칸의 예는 비스(4-히드록시 페닐)메탄, 비스(3-메틸-4-히드록시 페닐)메탄, 비스(3-클로로-4-히드록시 페닐)메탄, 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 페닐)메탄, 1,1-비스(4-히드록시 페닐)에탄, 1,1-비스(2-터셔리-부틸-4-히드록시-3-메틸 페닐)에탄, 2,2-비스(4-히드록시 페닐)프로판(bisphenol A; 비스페놀 A), 2,2-비스(3-메틸-4-히드록시 페닐)프로판, 2,2-비스(2-메틸-4-히드록시 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 페닐)프로판, 1,1-비스(2-터셔리-부틸-4-히드록시-5-메틸 페닐)프로판, 2,2-비스(3-클로로-4-히드록시 페닐)프로판, 2,2-비스(3-플루오로-4-히드록시 페닐)프로판, 2,2-비스(3-브로모-4-히드록시 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플루오로-4-히드록시 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 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 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 페닐)부탄, 2,2-비스(4-히드록시 페닐)옥탄, 2,2-비스(4-히드록시 페닐)페닐 메탄, 2,2-비스(4-히드록시-1-메틸 페닐)프로판, 1,1-비스(4-히드록시-터셔리-부틸 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브로모 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5-디메틸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5-디메틸 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클로로 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5-디클로로 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5-디브로모 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5-디브로모 페닐)프로판, 2,2-비스(3-브로모-4-히드록시-5-클로로 페닐)프로판, 2,2-비스(3-페닐-4-히드록시 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 페닐)부탄, 2,2-비스(3-메틸-4-히드록시 페닐)부탄, 1,1-비스(2-부틸-4-히드록시-5-메틸 페닐)부탄, 1,1-비스(2-터셔리-부틸-4-히드록시-5-메틸 페닐)부탄, 1,1-비스(2-터셔리-부틸-4-히드록시-5-메틸 페닐)이소 부탄, 1,1-비스(2-터셔리-아밀-4-히드록시-5-메틸 페닐)부탄,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 페닐)부탄, 2,2-비스(3,5-디브로모-4-하이드로 페닐)부탄, 4,4-비스(4-히드록시 페닐)헵탄, 1,1-비스(2-터셔리-부틸-4-히드록시-5-메틸 페닐)헵탄, 2,2-비스(4-히드록시 페닐)옥탄, 또는 1,1-(4-히드록시 페닐)에탄이다.
구체적으로 비스(히드록시 아릴)시클로알칸의 예는 1,1-비스(4-히드록시 페닐)시클로펜탄, 1,1-비스(4-히드록시 페닐)시클로헥산, 1,1-비스(3-메틸-4-히드록시 페닐)시클로헥산, 1,1-비스(3-시클로 헥실-4-히드록시 페닐)시클로헥산, 1,1-비스(3-페닐-4-히드록시 페닐)시클로헥산, 또는 1,1-비스(4-히드록시 페닐)-3,5,5-트리메틸시클로헥산이다.
구체적으로 비스(히드록시 아릴)에테르의 예는 비스(4-히드록시 페닐)에테르 또는 비스(4-히드록시-3-메틸 페닐)에테르이다.
구체적으로 비스(히드록시 아릴)설파이드의 예는 비스(4-히드록시 페닐)설파이드 또는 비스(3-메틸-4-히드록시 페닐)설파이드이다.
구체적으로 비스(히드록시 아릴)설폭사이드의 예는 비스(히드록시 페닐)설폭사이드, 비스(3-메틸-4-히드록시 페닐)설폭사이드 또는 비스(3-페닐-4-히드록시 페닐)설폭사이드이다.
구체적으로 비페닐 화합물의 예는 비스(4-히드록시 페닐)설폰, 비스(3-메틸-4-히드록시 페닐)설폰, 또는 비스(3-페닐-4-히드록시 페닐)설폰 등의 비스(히드록시 아릴)설폰, 4,4'-디히드록시 비페닐, 4,4'-디히드록시-2,2'-디메틸비페닐, 4,4'-디히드록시-3,3'-디메틸비페닐, 4,4'-디히드록시-3,3'-디시클로비페닐, 3,3-디플루오로-4,4'-디히드록시비페닐이다.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외에 사용될 수 있는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a1)로는 디히드록시 벤젠, 할로겐 또는 알킬치환된 디히드록시 벤젠 등이 있다. 구체적으로 레조르시놀, 3-메틸레조르시놀, 3-에틸레조르시놀, 3-프로필레조르시놀, 3-부틸레조르시놀, 3-터셔리-부틸레조르시놀, 3-페닐레조르시놀, 2,3,4,6-테트라플루오로레조르시놀, 2,3,4,6-테트라브로모레조르시놀, 카테콜, 하이드로퀴논, 3-메틸하이드로퀴논, 3-에틸하이드로퀴논, 3-프로필하이드로퀴논, 3-부틸하이드로퀴논, 3-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 3-페닐하이드로퀴논, 3-큐밀하이드로퀴논, 2,5-디클로로하이드로퀴논, 2,3,5,6-테트라메틸하이드로퀴논, 2,3,5,6-테트라-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 2,3,5,6-테트라프로오로하이드로퀴논, 또는 2,3,5,6-테트라브로모 하이드로퀴논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a1)로서 2,2-비스(4-히드록시 페닐)프로판(bisphenol A; 비스페놀 A)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2) 카보네이트 전구체
카보네이트 전구체의 예로 디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디부틸 카보네이트, 디시클로헥실 카보네이트, 디페닐 카보네이트, 디토릴 카보네이트, 비스(클로로페닐) 카보네이트, m-크레실 카보네이트, 디나프틸 카보네이트, 비스(디페닐) 카보네이트, 카보닐 클로라이드(phosgene; 포스겐), 트리포스겐, 디포스겐, 카보닐 브로마이드, 비스할로포르메이트 등이 있다. 이들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계면중합법으로 제조할 경우에는 카보닐 클로라이드(phosgene; 포스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보네이트 전구체(a2)는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a1) 1몰에 대하여, 0.9 내지 1.5의 몰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캐리어 테이프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 및 (B)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B1), 반결정성 고분자 수지(B2)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기초수지 100 중량%에 대하여, 50 내지 97 중량%를 포함한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의 함량이 50 중량% 미만인 경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의 내열도 및 유동이 저하되고,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의 함량이 97 중량% 초과인 경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의 sheet 생산성과 물성이 저하된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 60 내지 97 중량%가 사용될 수 있다.
(B)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B1), 반결정성 고분자 수지(B2) 또는 이들의 혼합물
(B1)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
본 발명에서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수지(b1),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수지(b2)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b1)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수지(ABS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수지(b1)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이거나, 또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b1a) 및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함유 공중합체 수지(b1b)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수지(b1)는 g-ABS이거나 또는 g-ABS 및 SAN을 적절한 함량비로 함께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각각의 상용성을 고려하여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1a)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g-ABS)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b1a)는 고무질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를 그라프트 공중합시켜 얻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가공성 및 내열성을 부여하는 단량체를 더욱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고무질 중합체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폴리부타디엔, 폴리(스티렌-부타디엔), 폴리(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등의 디엔계 고무 및 상기 디엔계 고무에 수소 첨가한 포화고무, 이소플렌고무, 폴리부틸아크릴산 등의 아크릴계 고무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단량체 삼원공중합체(EPDM)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 중 디엔계 고무가 바람직하며, 부타디엔계 고무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고무질 중합체의 함량은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b1) 전체 중량 중 5 내지 65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우수한 충격강도와 기계적 물성의 물성 발란스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고무질 중합체(고무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Z-평균)는 0.05 내지 6 ㎛, 바람직하게는 0.15 내지 4 ㎛,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3.5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충격강도 및 외관이 우수하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상기 고무질 공중합체에 그라프트 공중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β-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파라 t-부틸스티렌, 에틸스티렌, 비닐크실렌, 모노클로로스티렌, 디클로로스티렌, 디브로모스티렌, 비닐나프탈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중, 스티렌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의 함량은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b1) 전체 중량 중 15 내지 94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우수한 충격강도와 기계적 물성의 물성 발란스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안화 비닐계 화합물, 에타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불포화 니트릴계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함량은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b1) 전체 중량 중 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우수한 충격강도와 기계적 물성의 물성 발란스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가공성 및 내열성을 부여하기 위한 단량체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무수말레인산, N-치환말레이미드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공성 및 내열성을 부여하기 위한 단량체의 함량은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b1) 전체 중량 중 0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다른 물성의 저하없이, 가공성 및 내열성을 부여할 수 있다.
(b1b)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함유 공중합체 수지(SAN)
본 발명에 사용되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함유 공중합체 수지는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b1a)의 성분중 고무(고무질 중합체)를 제외한 단량체 혼합물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단량체의 비율은 상용성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공중합 수지(b1b)는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를 공중합시켜 얻을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로는, 예를 들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β-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파라 t-부틸스티렌, 에틸스티렌, 비닐크실렌, 모노클로로스티렌, 디클로로스티렌, 디브로모스티렌, 비닐나프탈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중, 스티렌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안화 비닐계 화합물, 에타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불포화 니트릴계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 수지(b1b)는 필요에 따라, 상기 가공성 및 내열성을 부여하는 단량체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공성 및 내열성을 부여하기 위한 단량체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무수말레인산, N-치환말레이미드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공중합체 수지(b1b)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의 함량은 공중합체 수지(b1b) 전체 중량 중 50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우수한 충격강도와 기계적 물성의 물성 발란스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함량은 공중합체 수지(b1b) 전체 중량 중 5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우수한 충격강도와 기계적 물성의 물성 발란스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공성 및 내열성을 부여하기 위한 단량체의 함량은 공중합체 수지(b1b) 전체 중량 중 0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다른 물성의 저하없이, 가공성 및 내열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 수지(b1b)의 중량평균분자량은 50,000 내지 500,000 g/mol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공중합체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잘 알려져 있는 것으로써, 유화중합, 현탁중합, 용액중합, 또는 괴상중합법 중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다.
(b2)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수지(SEBS 수지)
본 발명의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수지(b2)는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제품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수지(b2)는 A-B-A' 형의 블록공중합체 수지이다. A 및 A' 블록은 하드세그먼트이며, B 블록은 소프트세그먼트이다. 하드세그먼트는 열가소성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소프트세그먼트는 고무특성을 발휘하는 역할을 한다. A 및 A' 블록으로는 스티렌계 중합체를 사용하며, B 블록으로는 에틸렌-부타디엔을 사용한다.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수지(b2)에서 스티렌계 중합체는 20 내지 35 중량% 및 에틸렌-부타디엔은 65 내지 80중량%로 이루어져 있고, 바람직하게는 스티렌계 중합체는 27 내지 35 중량% 및 에틸렌-부타디엔은 65 내지 73 중량%로 이루어져 있다.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수지(b2)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40,000 내지 180,000 g/mol이다. 바람직하게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47,000 내지 170,000 g/mol이다.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수지(b2)가 이러한 범위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질 경우 낮은 표면경도에서 인장강도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B1)는 기초수지 100 중량%에 대하여, 3 내지 5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B1)의 함량이 3 중량% 미만인 경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의 물성과 생산성이 저하되고,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B1)의 함량이 50 중량% 초과인 경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의 내열도와 외관이 저하된다. 바람직하게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B1)는 3 내지 25 중량% 사용될 수 있다.
(B2) 반결정성 고분자 수지
본 발명에서 반결정성 고분자 수지(B2)는 폴리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b3), 에틸렌 초산비닐 수지(b4)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는 비결정성이라서 잘 흐르지 않는데, 유동성이 있는 반결정성 고분자 수지(B2)를 사용함으로서, 탄소나노튜브(C)의 분산성을 향상시켜, 전도성이 우수하다.
(b3) 폴리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반결정성 고분자 수지(B2)로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인 폴리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b3) 즉, 즉 PET, PCT, PBT, PTT, PEN 등의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이중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BT)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BT)는 디카르본산(dicarbonic acid)과 디올(diol) 화합물의 중합에 의하여 제조된다. 디카르본산 성분의 예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 디카르본산, 디페닐에테르 디카르복실산, 디페닐 디카르복실산, 디페닐설폰 디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디올 성분으로는 α,ω-디올이 사용되며, 이들의 예로는 트리메틸렌 글리콜, 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헥사메틸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시크로 헥산 디메틸올, 2,2-비스(4-β하이드록시페닐-페닐)프로판, 4,4-비스(β-하이드록시에폭시)디페닐 설폰, 디에틸렌 글리콜 등이 있다.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BT)는1,4-부탄디올과, 테레프탈산 또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를 직접 에스테르화 반응시키거나, 또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시켜 축중합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충격 강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TMG),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지방족 폴리아미드 등과 같은 충격 향상 성분과 공중합한 공중합체, 또는 이들 충격 향상 성분과 블렌딩한 블렌드물인 변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사용될 수도 있다.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ASTM D2857에 따라 측정한 고유점도[η]가 0.36 dl/g 내지 1.60 dl/g 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0.52 dl/g 내지 1.25 dl/g 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고유점도를 가질 경우 기계적 특성과 성형성의 우수한 물성 밸런스를 얻을 수 있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는 디카르본산(dicarbonic acid)과 디올(diol) 화합물의 중합에 의하여 제조된다. 디카르본산 성분의 예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 디카르본산, 디페닐에테르 디카르복실산, 디페닐 디카르복실산, 디페닐설폰 디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디올 성분으로는 α,ω-디올이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는 에틸렌 글리콜이 있다.
(b4) 에틸렌 초산비닐 수지(EVA)
본 발명의 에틸렌 초산비닐 수지(b4)는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제품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에틸렌 초산비닐 수지(b4)는 에틸렌과 초산비닐 모노머를 공중합시켜 얻어지는 중합체로서 반결정성 고분자 수지이다. 에틸렌 초산비닐 수지(b4)의 물성은 중합도와 초산비닐의 함유량에 의해 결정된다. 분자량이 클수록 강인성과 가소성, 내스트레스 크래킹성 및 내충격성이 향상되며, 성형이나 표면광택은 저하된다. 한편, 초산비닐 함량이 증가하면 밀도가 증가하지만 결정화도는 저하하여 유연성은 늘어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에틸렌 초산비닐 수지(b4)는 5 내지 20 중량% 의 초산비닐을 함유한다. 상기 범위에서 에틸렌 초산비닐 수지(b4)는 유연성이 우수하여, 탄소나노튜브(C)의 분산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반결정성 고분자 수지(B2)는 기초수지 100 중량%에 대하여, 3 내지 50 중량%를 포함한다. 반결정성 고분자 수지(B2)의 함량이 3 중량% 미만인 경우 외관 및 생산성이 저하되고, 반결정성 고분자 수지(B2)의 함량이 50 중량% 초과인 경우 캐리어 테이프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 시트(sheet)의 외관과 두께 균일도가 저하된다. 바람직하게 반결정성 고분자 수지(B2) 5 내지 25 중량%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B1) 및 반결정성 고분자 수지(B2)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B1) 및 반결정성 고분자 수지(B2)의 혼합물은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B1) 20 내지 80 중량% 및 반결정성 고분자 수지(B2) 20 내지 8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B1) 및 반결정성 고분자 수지(B2)를 상기 범위 내에서 함께 사용하는 경우, 캐리어 테이프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의 표면저항이 105Ω/□ 이하이고, 외관 및 생산성이 우수하다.
(C) 탄소나노튜브
본 발명은 내충격성을 유지하면서 전기전도성 확보를 위하여 탄소나노튜브(C)를 사용한다. 탄소나노튜브는 기계적 강도 및 영스모듈러스(Young's Modulus)가 높으며, 종횡비(aspect ratio)가 큰 기계적 특성을 가지는 물질이다. 또한, 탄소나노튜브는 높은 전기전도성과 높은 열안정성을 가지는 물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은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B1) 및/또는 유동성이 있는 반결정성 고분자 수지(B2)를 사용하여, 탄소나노튜브(C)의 분산성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도성이 우수하고, 기존의 카본블랙에 비하여 소량의 탄소난튜브를 사용하기에 종래의 전도성 시트용 수지에 비해 분진이 덜 발생하여, 분진으로 인한 오염의 염려가 적다.
탄소나노튜브를 합성하는 방법은 전기방전법(Arc-discharge), 열분해법(pyrolysis), 레이저 증착법(Laser vaporization),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법(plasma chemical vapor deposition), 열화학 기상증착법(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 전기분해법, 플레임(flame) 합성법 등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 사용된 탄소나노튜브(C)는 합성 방법에 관계없이 얻어진 탄소나노튜브 모두를 사용할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는 그 벽의 개수에 따라 단일벽탄소나노튜브(single wall carbon nanotube), 이중벽탄소타노튜브(double wall carbon nanotube), 다중벽탄소나노튜브(multi wall carbon nanotube), 절두된 원뿔형의 그래핀(truncated graphene)이 다수 적층되어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관 형태를 가진 탄소나노섬유(cup-stacked carbon nanofiber)로 나눌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탄소나노튜브(C)는 그 종류에 제한을 두지 않으나, 다중벽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나노튜브(C)의 평균직경은 0.5 내지 100 nm,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nm이며, 평균길이는 0.005 내지 100 μm, 바람직하게는 1 μm 내지 50 μm이다.
탄소나노튜브(C)의 종횡비(aspect ratio) (L/D)는 500 내지 5,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나노튜브(C)의 종횡비가 500 미만인 경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내에서 전도성을 구현하기 위한 전기적 구조의 형성이 어렵고, 5,000 초과인 경우 탄소나노튜브 합성 시간이 길어짐에 따른 가격상승의 문제점이 있다.
발명의 탄소나노튜브(C)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B1), 및/또는 반결정성 고분자 수지(B2)로 이루어진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5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5 내지 3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탄소나노튜브(C)의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인 경우 인장강도 및 인장신율이 유지되지 않고, 전기전도성도 저하되며, 5 중량부 초과인 경우 유동성이 저하되고, 탄소나노튜브의 응집에 의해 외관이 매끄럽지 못한 문제가 발생된다.
(D) 첨가제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은 용도에 따라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왁스, 산화방지제, 항균제, 열안정제, 이형제, 광안정제, 무기물 첨가제, 계면활성제, 커플링제, 가소제, 상용화제, 활제, 정전기방지제, 착색제, 안료, 염료, 난연제, 난연보조제, 적하방지제, 내후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차단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산화방지제의 예로는 페놀형, 포스파이트형, 티오에테르형, 아민형 산화방지제 등이 있다.
이형제의 예로는 불소 함유 중합체, 실리콘 오일, 스테아르산의 금속염, 몬탄산의 금속염, 몬탄산 에스테르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등이 있다.
무기물 첨가제의 예로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실리카, 마이카, 알루미나, 점토, 탄산칼슘, 황산칼슘, 유리비드 등이 있다.
난연제의 예로는 인계, 질소계, 할로겐계 난연제 등이 있다.난연보조제의 예로는 산화안티몬 등이 있다.
적하방지제의 예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이 있다.
내후안정제의 예로는 벤조페논형 또는 아민형 내후안정제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첨가제(D)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B1) 및/또는 반결정성 고분자 수지(B2)로 이루어진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첨가제가 상기 범위로 포함되는 경우 각 용도에 따른 첨가제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향상된 표면의 외관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은 수지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 성분과 첨가제를 혼합한 후, 압출기 내에서 용융 압출하고 펠렛 또는 칩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캐리어 테이프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은 ASTM D257에 준하여 측정한 표면저항이 104 내지 105 Ω/□이다. 구체적으로, 104 Ω/□ 및 105 Ω/□이다.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은 120mm (width)x 0.4mm (thickness) sheet 생산평가에 준하여 측정한 생산성이 6.8 내지 8.5 m/min이다. 구체적으로, 6.9, 7.2, 7.3, 7.5, 7.8, 7.9, 8.0 또는 8.1 m/min이다.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은 120mm (width)x 0.4mm (thickness) sheet로 측정한 시트두께편차가 1% 미만이다.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은 120mm (width)x 0.4mm (thickness) 크기의 시편을 ASTM D 638에 준하여 측정한 인장강도가 480 내지 660 kgf/㎠이다. 구체적으로, 490, 520, 600, 620, 625, 627, 630, 640 650, 또는 657 kgf/㎠이다.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은 120mm (width)x 0.4mm (thickness) 크기의 시편을 ASTM D 638에 준하여 측정한 인장신율이 55 내지 120%이다. 구체적으로, 57, 68, 72, 74, 80, 82, 84, 100, 110, 또는 115%이다.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은 분진 발생이 적고, 우수한 전기전도성, 생산성, 인장강도 및 인장신율이 동시에 요구되는 성형품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리어 테이프(carrier tape) 또는 릴 테이프 (reel tape)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캐리어 테이프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한다. 성형품을 성형하는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압출, 사출, 중공, 압축 또는 캐스팅 성형방법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성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화될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거나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서 사용된 각 성분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PANLITE L 1225WX, TEIJIN CHEMICALS LTD.
(B1)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
(b1) ABS 수지
CHTS, 제일모직
(b2) SEBS 수지
KRATON G1651, SHELL
(B2) 반결정성 고분자 수지
(b3)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Shinite K001, SHINKONG
(b4) 에틸렌 초산비닐(EVA)
Elvax® 150, Dupont
(C) 탄소나노튜브
500 내지 2,000의 종횡비를 가지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하였다.
(D) 첨가제
왁스: Licowax PED 191, Clariant
산화방지제: IRGANOX 1076, CIBA
실시예 1 내지 13 및 비교 실시예 1 내지 8
상기 각 구성성분을 하기 표 1 및 2에 기재된 함량대로 건식 혼합한 뒤, 이 혼합물을 L/D=35, Φ=45 mm인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압출하였으며, 이 압출물을 펠렛 형태로 제조하였다. 10oz 사출기에서 사출온도 280℃ 하에서 사출하여 각종 물성을 측정하기 위한 시편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 및 2에서 (A), (B) 및 (C)의 혼합비는 (A) 및 (B)의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각 성분을 중량%로 나타낸 것이고, (C)는 (A)+(B) 100 중량부에 대한 중량부로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A) 80 80 80 80 60 95 95 90 95 60 90 97 80
(B1) (b1) 20 - - - 40 5 - 10 - 20 - 1 10
(b2) - - 20 - - - - - - - 5 - -
(B2) (b3) - 20 - - - - 5 - - 20 - 2 10
(b4) - - - 20 - - - - 10 - 5 - -
(C)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D)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비교실시예
1 2 3 4 5 6 7 8
(A) 100 40 - - - 98 90 90
(B1) (b1) - - 100 - - 2    
(b2) - - - - -     10
(B2) (b3) - 60 - 100 -   10  
(b4) - - - - 100      
(C) 1.0 1.0 1.0 1.0 1.0 1.0 6.0 6.0
(D) 0.5 0.5 0.5 0.5 0.5 0.5 0.5 0.5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 및 4에 나타내었다.
물성 평가 방법
(1) 표면저항(Ω/□): 볼프강 밤블러사의 SRM-100을 사용하여 ASTM D 257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2) 생산성(m/min): 120mm (width)x 0.4mm (thickness) sheet로 생산성을 측정하였다.
(3) 시트두께 편차(%): 120mm (width)x 0.4mm (thickness) sheet로 시트두께 편차를 측정하였다.
(4) 인장강도: ASTM D 638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5) 인장신율: 120mm (width)x 0.4 mm (thickness) 크기의 시편을 ASTM D 638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표면저항 104 104 105 105 105 105 105 105 105 104 104 104 104
생산성 7.2 8.1 7.3 7.8 7.9 7.8 7.9 7.8 8.0 7.8 6.9 7.2 7.5
시트두께
편차
<1 <1 <1 <1 <1 <1 <1 <1 <1 <1 <1 <1 <1
인장강도 620 490 630 520 640 650 630 625 627 600 620 657 630
인장신율 100 57 110 74 115 80 74 84 72 68 72 82 80
  비교실시예
1 2 3 4 5 6 7 8
표면저항 104 104 108 104 105 105 102 102
생산성 5.5 10.7 11.4 19.7 13.0 6.0 2.1 2.3
시트두께
편차
<1 <6 <2 <8 <4 <1 <8 <8
인장강도 500 420 780 440 470 520 320 280
인장신율 70 32 210 38 42 72 21 25
상기 표 3 및 표 4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13의 캐리어 테이프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은 표면저항이 105Ω/□ 이하이며, 전기전도성, 생산성, 인장강도 및 인장신율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B)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실시예 1은 생산성이 저하되었고, 본원발명의 함량범위 밖의 (A) 및 (B)를 사용한 비교실시예 2는 시트두께 편차가 증가하였고, 인장강도 및 인장신율은 저하되었다. (A)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실시예 3은 표면저항 및 시트두께 편차가 증가하였다. 비교실시예 4 및 5는 시트두께 편차가 증가하였고, 인장강도 및 인장신율은 저하되었다. 비교실시예 6은 생산성이 저하되었다. 본원발명의 함량범위 밖의 (C)를 사용한 비교실시예 7 및 8은 생산성, 인장강도 및 인장신율이 현저히 저하되고, 시트두께 편차가 크게 증가하였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4)

  1.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50 내지 97 중량%;
    (B)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B1), 반결정성 고분자 수지(B2) 또는 이들의 혼합물 3 내지 50 중량%; 및
    를 포함하는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C) 탄소나노튜브 0.5 내지 5 중량부;
    를 포함하고, 표면저항이 105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상기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B1) 20 내지 80 중량% 및 상기 반결정성 고분자 수지(B2) 20 내지 8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200,000 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B1)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수지,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의 공중합체(SEBS)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결정성 고분자 수지(B2)는 폴리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 에틸렌 초산비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C)는 평균 직경이 0.5 내지 100 nm이고, 평균 길이가 0.005 내지 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C)는 종횡비(aspect ratio)가 500 내지 5,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왁스, 산화방지제, 항균제, 열안정제, 이형제, 광안정제, 무기물 첨가제, 계면활성제, 커플링제, 가소제, 상용화제, 활제, 정전기방지제, 착색제, 안료, 염료, 난연제, 난연보조제, 적하방지제, 내후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차단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양각 캐리어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12. 제10항에 있어서, ASTM D 257에 준하여 측정한 표면저항이 104 내지 105 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13. 제10항에 있어서, 120mm (width)x 0.4 mm (thickness) sheet로 측정한 생산성이 6.8 내지 8.5 m/min 이고, 시트(sheet) 두께 편차가 1%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14. 제10항에 있어서, ASTM D 638에 준하여 측정한 인장강도가 480 내지 660 kgf/㎠이고, 인장신율이 55 내지 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KR20130062690A 2013-05-31 2013-05-31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캐리어 테이프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KR2014014120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2690A KR20140141208A (ko) 2013-05-31 2013-05-31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캐리어 테이프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US14/177,325 US20140356579A1 (en) 2013-05-31 2014-02-11 Polycarbonate-Based Resin Composition for Carrier Tape Having Excellent Electric Conductivity
CN201410226057.3A CN104212143A (zh) 2013-05-31 2014-05-26 用于载带的具有优异导电性的聚碳酸酯类树脂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2690A KR20140141208A (ko) 2013-05-31 2013-05-31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캐리어 테이프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1208A true KR20140141208A (ko) 2014-12-10

Family

ID=51985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2690A KR20140141208A (ko) 2013-05-31 2013-05-31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캐리어 테이프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40356579A1 (ko)
KR (1) KR20140141208A (ko)
CN (1) CN104212143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010B1 (ko) * 2016-12-12 2018-06-28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전도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체
CN111440378A (zh) * 2020-05-09 2020-07-24 国网湖南省电力有限公司 一种半导电屏蔽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在电力电缆中的应用
KR102229168B1 (ko) * 2019-10-25 2021-03-18 주식회사 삼양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KR20220050258A (ko) * 2020-10-15 2022-04-25 주식회사 이케이씨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KR102402957B1 (ko) * 2021-07-13 2022-05-30 대진첨단소재 주식회사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 이의 성형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02962B1 (ko) * 2021-07-13 2022-05-30 대진첨단소재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와 전도성 필러를 포함하는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
KR102402961B1 (ko) * 2021-07-13 2022-05-30 대진첨단소재 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
KR102438416B1 (ko) * 2021-11-10 2022-08-31 대진첨단소재 주식회사 친환경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0845B1 (ko) * 2016-03-30 2017-11-23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전기전도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품
DE102017129146B4 (de) * 2016-12-12 2023-11-02 Korea Kumho Petrochemical Co., Lt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ohlenstoffnanoröhren in hoher Konzentration enthaltenden leitenden Harzzusammensetzung
CN106751085A (zh) * 2016-12-14 2017-05-31 厦门市海德龙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载带
CN110551376A (zh) * 2018-06-01 2019-12-10 汉达精密电子(昆山)有限公司 一种聚碳酸酯/碳纳米管导电材料及其产品
US20200017266A1 (en) * 2018-07-12 2020-01-16 Advantek, Inc. Carbon nanotubes in carrier tape, cover tape and static shielding bags
CN109651628B (zh) * 2018-11-12 2021-04-13 深圳烯湾科技有限公司 一种碳纳米管增强的聚碳酸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WO2020218389A1 (ja) * 2019-04-26 2020-10-29 三井化学株式会社 導電性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から得られる成形体
EP3766938A1 (en) * 2019-07-19 2021-01-20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Poly(aliphatic ester)-polycarbonate filled compositions
TWI788009B (zh) * 2021-09-13 2022-12-21 南亞塑膠工業股份有限公司 導電聚酯組成物
CN116769295B (zh) * 2023-06-29 2024-02-23 浦江亿通塑胶电子有限公司 一种用于导电载带片材的导电pc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84833B2 (en) * 2001-06-29 2005-04-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evices, compositions, and methods incorporating adhesives whose performance is enhanced by organophilic clay constituents
US20060293438A1 (en) * 2005-06-23 2006-12-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arrier tapes and compositions thereof
US8148456B2 (en) * 2006-08-15 2012-04-03 Denk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Conductive resin composition and conductive sheets comprising the same
US20090004460A1 (en) * 2007-06-28 2009-01-01 U.S.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Nanoparticle-Containing Thermoplastic Composites and Methods of Preparing Same
EP2151830A1 (de) * 2008-08-08 2010-02-10 pp-mid GmbH Polymerformkörper mit leitfähigen Strukturen auf der Oberfläche,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5296622B2 (ja) * 2009-07-08 2013-09-25 帝人株式会社 導電性樹脂組成物からなる成形品
CN101759987B (zh) * 2009-12-28 2012-10-10 毛澄宇 一种导电性聚碳酸酯混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269422B1 (ko) * 2009-12-30 2013-06-04 제일모직주식회사 내마모성 및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010B1 (ko) * 2016-12-12 2018-06-28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전도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체
KR102229168B1 (ko) * 2019-10-25 2021-03-18 주식회사 삼양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CN111440378A (zh) * 2020-05-09 2020-07-24 国网湖南省电力有限公司 一种半导电屏蔽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在电力电缆中的应用
CN111440378B (zh) * 2020-05-09 2022-12-09 国网湖南省电力有限公司 一种半导电屏蔽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在电力电缆中的应用
KR20220050258A (ko) * 2020-10-15 2022-04-25 주식회사 이케이씨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KR102402957B1 (ko) * 2021-07-13 2022-05-30 대진첨단소재 주식회사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 이의 성형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02962B1 (ko) * 2021-07-13 2022-05-30 대진첨단소재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와 전도성 필러를 포함하는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
KR102402961B1 (ko) * 2021-07-13 2022-05-30 대진첨단소재 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
WO2023286924A1 (ko) * 2021-07-13 2023-01-19 대진첨단소재 주식회사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 이의 성형품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286923A1 (ko) * 2021-07-13 2023-01-19 대진첨단소재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와 전도성 필러를 포함하는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
KR102438416B1 (ko) * 2021-11-10 2022-08-31 대진첨단소재 주식회사 친환경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WO2023085511A1 (ko) * 2021-11-10 2023-05-19 대진첨단소재 주식회사 친환경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56579A1 (en) 2014-12-04
CN104212143A (zh) 2014-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41208A (ko)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캐리어 테이프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KR101875867B1 (ko) 내염성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물품
EP2176335B1 (en) Electro-conductiv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s and articles manufactured therefrom
JP4378130B2 (ja)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CN107109044B (zh) 聚碳酸酯树脂组合物和包含其的模制产品
JP4332382B2 (ja)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KR101506432B1 (ko)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KR101572641B1 (ko)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JP4907899B2 (j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を含有する樹脂組成物、および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配合用濃縮物
JP5111458B2 (ja)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の真珠光沢を低減させる方法
TWI476247B (zh) 阻燃性熱塑性聚碳酸酯組成物及由其所製成之薄膜
KR101596546B1 (ko)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조성물
JP5410949B2 (ja) 難燃性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組成物及び薄肉成形体
JP2010505025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プラスチック成形品
WO2008078849A1 (en) Electroconductiv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plastic article
KR101793324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하우징
JP2009513778A (ja) 難燃性熱可塑性ポリカーボネート組成物、製造方法、およびその利用方法
JP2010105226A (ja) 樹脂成形体
KR101657272B1 (ko) 열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JPH11181268A (ja) 難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4768302B2 (ja) 高熱伝導絶縁性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組成物からなる成形体
US20220356344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Using Same
KR20180078908A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JP5111456B2 (ja)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をoa機器若しくは家電製品の外装材に使用する方法
KR20140105119A (ko) 전기전도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