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4142A - 고분산성 탄소나노구조체와 그 제조방법 및 고분산성 탄소나노구조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복합체 - Google Patents
고분산성 탄소나노구조체와 그 제조방법 및 고분산성 탄소나노구조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복합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34142A KR20140134142A KR1020130053912A KR20130053912A KR20140134142A KR 20140134142 A KR20140134142 A KR 20140134142A KR 1020130053912 A KR1020130053912 A KR 1020130053912A KR 20130053912 A KR20130053912 A KR 20130053912A KR 20140134142 A KR20140134142 A KR 201401341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ymer
- carbon nanostructure
- weight
- carbon
- part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B—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 B82B1/00—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or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 B82B1/008—Nanostructur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82B1/001 - B82B1/007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2—Graphene or derivatives, e.g. graphene oxid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4—Carbon nanohorns or nanobel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5—Fullere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6—Carbon nanorods, nanowires, nanoplatelets or nanofibr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2/00—Structure or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s
- C01B2202/20—Nanotubes characterized by their properties
- C01B2202/26—Mechanical properti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2/00—Structure or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s
- C01B2202/20—Nanotubes characterized by their properties
- C01B2202/28—Solid content in solv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비교예 1, 실시예 1 및 2에 따른 고분자 복합체 표면의 SEM 이미지(x30K)이다.
항 목 | 표면저항 (ohm/sq) |
충격강도 (kgfm/m) |
실시예 1 | 106~108 | 4.3 |
실시예 2 | 105~107 | 3.9 |
비교예 1 | >1013 | 1 ~ 2 |
Claims (12)
- 탄소나노구조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의 친수성 고분자를 함침시켜 얻은 고분산성 탄소나노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구조체는 나노튜브, 나노파이버, 카본블랙, 풀러렌, 나노콘, 나노호른 또는 나노로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산성 탄소나노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아크릴산 중합체,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셀룰로오스 중합체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산성 탄소나노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고분자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 ~ 3,0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산성 탄소나노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구조체는 평균 직경 10 ~ 20 nm, 어스펙트비 50 이상, 벌크밀도 0.15 ~ 0.25 g/㎤ 인 탄소나노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산성 탄소나노구조체. - 1) 탄소나노구조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의 친수성 고분자를 용매에 용해시키는 단계;
2) 상기 친수성 고분자가 용해된 용액에 탄소나노구조체 100 중량부를 투입교반하여 상기 탄소나노구조체에 친수성 고분자를 함침시키는 단계; 및
3) 상기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고분산성 탄소나노구조체 제조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탄소나노구조체 중량의 2 ~ 4 배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물, 에탄올, 아세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함침은 상온에서 3 ~ 12 시간 동안 25 ~ 50 rpm으로 교반하여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고분산성 탄소나노구조체가 고분자 매트릭스에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복합체.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폴리카보네이트,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복합체.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산성 탄소나노구조체와 고분자 매트릭스의 중량비는 10 ~ 100 :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복합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53912A KR101627016B1 (ko) | 2013-05-13 | 2013-05-13 | 고분산성 탄소나노구조체와 그 제조방법 및 고분산성 탄소나노구조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복합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53912A KR101627016B1 (ko) | 2013-05-13 | 2013-05-13 | 고분산성 탄소나노구조체와 그 제조방법 및 고분산성 탄소나노구조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복합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34142A true KR20140134142A (ko) | 2014-11-21 |
KR101627016B1 KR101627016B1 (ko) | 2016-06-02 |
Family
ID=52455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53912A Active KR101627016B1 (ko) | 2013-05-13 | 2013-05-13 | 고분산성 탄소나노구조체와 그 제조방법 및 고분산성 탄소나노구조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복합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27016B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104908A1 (ko) * | 2014-12-22 | 2016-06-30 | 솔브레인 주식회사 | 산화 탄소 나노 입자, 이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유무기 복합체 및 상기 유무기 복합체의 제조 방법 |
KR101666884B1 (ko) * | 2016-03-02 | 2016-10-17 | 에콜바이오텍(주) | 전자파차폐성이 우수하고 표면전기저항이 1ω/□ 이하인 무금속 cnt복합소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cnt복합소재, 이를 이용해 제조된 제품 |
KR20170067298A (ko) * | 2015-12-08 | 2017-06-1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카본 나노튜브 섬유 복합재 및 이의 제조 방법 |
KR20170067437A (ko) * | 2015-12-08 | 2017-06-1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카본 나노튜브 섬유 복합재 및 이의 제조 방법 |
KR20170067428A (ko) * | 2015-12-08 | 2017-06-1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카본 나노튜브 섬유 복합재 및 이의 제조 방법 |
KR20170067297A (ko) * | 2015-12-08 | 2017-06-1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카본 나노튜브 섬유 복합재 및 이의 제조 방법 |
KR20230164811A (ko) | 2022-05-26 | 2023-12-05 | 한국전기연구원 | 비산화 탄소나노튜브 분산액 및 그 제조방법 |
KR20240058334A (ko) | 2022-10-26 | 2024-05-03 | 한국전기연구원 | 이차전지 활물질 코팅용 비산화 탄소나노튜브 슬러리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비산화 탄소나노튜브 슬러리, 비산화 탄소나노튜브 슬러리로 코팅된 활물질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이차전지용 활물질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2916B1 (ko) | 2019-05-09 | 2020-03-04 | 무림피앤피 주식회사 | 소수화 셀룰로오스 파우더를 포함하는 고분자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분자 복합재료 |
KR20230066951A (ko) | 2021-11-08 | 2023-05-16 | 한국전기연구원 | 알킬 아민을 이용한 비산화 탄소나노튜브 분산액,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섬유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78221A (ko) * | 2006-01-26 | 2007-07-31 | 일진나노텍 주식회사 | 고분산성 탄소나노튜브 페이스트의 제조 방법 |
KR20080065688A (ko) | 2005-11-30 | 2008-07-14 | 아르끄마 프랑스 | 탄소 나노튜브 기재의 가루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특히 중합체 재료 내에서의 이의 용도 |
KR20110000296A (ko) | 2009-06-26 | 2011-01-03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전자파차폐 효율이 우수한 고분자/탄소나노튜브 복합체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분자/탄소나노튜브 복합체 |
KR20120027263A (ko) | 2009-06-16 | 2012-03-21 | 나노 스트럭쳐 리서치 인스티튜트 컴퍼니 리미티드 | 탄소나노튜브 고배합 수지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KR20120124611A (ko) | 2011-05-04 | 2012-11-14 | (주)마크스톤 | 고분자-탄소나노튜브 복합 입자의 제조 방법 |
-
2013
- 2013-05-13 KR KR1020130053912A patent/KR101627016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65688A (ko) | 2005-11-30 | 2008-07-14 | 아르끄마 프랑스 | 탄소 나노튜브 기재의 가루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특히 중합체 재료 내에서의 이의 용도 |
KR20070078221A (ko) * | 2006-01-26 | 2007-07-31 | 일진나노텍 주식회사 | 고분산성 탄소나노튜브 페이스트의 제조 방법 |
KR20120027263A (ko) | 2009-06-16 | 2012-03-21 | 나노 스트럭쳐 리서치 인스티튜트 컴퍼니 리미티드 | 탄소나노튜브 고배합 수지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KR20110000296A (ko) | 2009-06-26 | 2011-01-03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전자파차폐 효율이 우수한 고분자/탄소나노튜브 복합체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분자/탄소나노튜브 복합체 |
KR20120124611A (ko) | 2011-05-04 | 2012-11-14 | (주)마크스톤 | 고분자-탄소나노튜브 복합 입자의 제조 방법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Surface Modification of Nanotube Fillers, First Edition. Edited by Vikas Mittal, 2011.* *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104908A1 (ko) * | 2014-12-22 | 2016-06-30 | 솔브레인 주식회사 | 산화 탄소 나노 입자, 이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유무기 복합체 및 상기 유무기 복합체의 제조 방법 |
KR20170067298A (ko) * | 2015-12-08 | 2017-06-1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카본 나노튜브 섬유 복합재 및 이의 제조 방법 |
KR20170067437A (ko) * | 2015-12-08 | 2017-06-1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카본 나노튜브 섬유 복합재 및 이의 제조 방법 |
KR20170067428A (ko) * | 2015-12-08 | 2017-06-1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카본 나노튜브 섬유 복합재 및 이의 제조 방법 |
KR20170067297A (ko) * | 2015-12-08 | 2017-06-1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카본 나노튜브 섬유 복합재 및 이의 제조 방법 |
KR101666884B1 (ko) * | 2016-03-02 | 2016-10-17 | 에콜바이오텍(주) | 전자파차폐성이 우수하고 표면전기저항이 1ω/□ 이하인 무금속 cnt복합소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cnt복합소재, 이를 이용해 제조된 제품 |
KR20230164811A (ko) | 2022-05-26 | 2023-12-05 | 한국전기연구원 | 비산화 탄소나노튜브 분산액 및 그 제조방법 |
KR20240058334A (ko) | 2022-10-26 | 2024-05-03 | 한국전기연구원 | 이차전지 활물질 코팅용 비산화 탄소나노튜브 슬러리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비산화 탄소나노튜브 슬러리, 비산화 탄소나노튜브 슬러리로 코팅된 활물질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이차전지용 활물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27016B1 (ko) | 2016-06-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27016B1 (ko) | 고분산성 탄소나노구조체와 그 제조방법 및 고분산성 탄소나노구조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복합체 | |
Xu et al. | In situ polymerization approach to graphene-reinforced nylon-6 composites | |
Zhang et al. | A review on hybridization modification of graphene and its polymer nanocomposites | |
US9126828B2 (en) | Mixed structures of single walled and multi walled carbon nanotubes | |
CN101337667B (zh) | 碳纳米管的制备方法 | |
Le et al. | Strategies for fabricating versatile carbon nanomaterials from polymer precursors | |
AU2005332975B2 (en) | Improved ozonolysis of carbon nanotubes | |
WO2007035442A2 (en) | Conductive silicone and methods for preparing same | |
JP2012520224A (ja) | グラファイト様ナノ粒子の分散方法 | |
KR101576658B1 (ko) | 유동층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적용한 탄소나노튜브-고분자 나노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 |
Lay et al. | Combined effect of carbon nanotubes and polypyrrole on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cellulose-nanopaper | |
Fu et al. | One-pot noncovalent method to functionalize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using cyclomatrix-type polyphosphazenes | |
Diouri et al. | Effect of carbon nanotubes dispersion on morphology, internal structure and thermal stability of electrospun poly (vinyl alcohol)/carbon nanotubes nanofibers | |
CN101189373A (zh) | 改进的碳纳米管臭氧分解 | |
KR101198743B1 (ko) | 폴리프로필렌/탄소나노튜브 복합체,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내에 상기 폴리프로필렌/탄소나노튜브 복합체가 균일하게 분산된 나노복합체 및 이들의 제조방법 | |
KR20220147857A (ko) | 티타늄 나노튜브/탄소 나노튜브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응용 | |
KR20110009334A (ko) | 우수한 기계적 물성과 전기전도성을 갖는 산업용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탄소나노튜브 나노복합체 | |
Agboola et al. | Carbon containing nanostructured polymer blends | |
JP5777323B2 (ja) | ナノカーボン含有塗料組成物及びそれにより形成された塗膜 | |
Mitchell et al. | Highly Anisotropic Polymer Composites Based on Carbon Nanotubes | |
KR101568330B1 (ko) | 유동층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적용한 탄소나노튜브-고분자 나노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 |
Sahoo | Carbon Nanotube-Polymer Nanocomposites: Basic Concepts and Introductions | |
Sahu et al. | Functionalized Carbon Nanostructures-Based Conductive Coatings | |
KR20230040604A (ko) | 개질된 탄소나노튜브 고분자나노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 |
KR20160076047A (ko) |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코팅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13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7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5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8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2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5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5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