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7008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7008A
KR20140107008A KR1020130021459A KR20130021459A KR20140107008A KR 20140107008 A KR20140107008 A KR 20140107008A KR 1020130021459 A KR1020130021459 A KR 1020130021459A KR 20130021459 A KR20130021459 A KR 20130021459A KR 20140107008 A KR20140107008 A KR 20140107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ath
photographing unit
unit
latch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0288B1 (ko
Inventor
김고현
김학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1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288B1/ko
Priority to BR112015016330A priority patent/BR112015016330A2/pt
Priority to PCT/KR2014/000650 priority patent/WO2014133265A1/en
Priority to MX2015011017A priority patent/MX345623B/es
Priority to TW103103044A priority patent/TWI606292B/zh
Priority to US14/177,649 priority patent/US9606617B2/en
Priority to JP2014024115A priority patent/JP2014165917A/ja
Priority to EP14155637.3A priority patent/EP2772830B1/en
Priority to CN201410059721.XA priority patent/CN104010149A/zh
Publication of KR20140107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7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영상 표시면을 가진 디스플레이 본체 및 사용자의 제스처 감지를 위해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촬영 유닛으로서, 비촬영시 디스플레이 본체 내에 수용되는 제1 위치에 배치되고 촬영시 디스플레이 본체 밖으로 돌출되는 제2 위치에 배치되는 촬영 유닛을 포함하며, 카메라 모듈은, 촬영 유닛이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보다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영상 표시면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스마트 인터렉티브 기능의 확대에 따라 사용자 인터렉션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들에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촬영 유닛이나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는 음성 감지 유닛 등이 필수적으로 장착되며, 감지된 사용자의 동작 또는 음성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종래에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위한 촬영 유닛이나 음성 감지 유닛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단에 고정됨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경우 촬영 유닛이나 음성 감지 유닛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단부가 돌출된 형태를 가지므로 미관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항상 보여지도록 배치된 촬영 유닛이나 음성 감지 유닛으로 인해 사용자는 감시받는 것 같은 불쾌감을 느낄 수도 있다.
이러한 단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촬영 유닛 및 음성 감지 유닛을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착함으로써 촬영 유닛 및 음성 감지 유닛이 사용시에만 보여지고 비사용시에는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로 수용되는 예가 있다.
촬영 유닛을 예로써 설명하면, 촬영시에는 촬영 유닛이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비촬영시에는 돌출된 촬영 유닛이 하방으로 슬라이딩되어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 수용되어 보이지 않게 된다.
이처럼 상하로 슬라이딩하는 형태의 촬영 유닛은 촬영시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되어야 충분한 카메라 화각을 확보할 수 있다. 하지만, 촬영 유닛의 상승 높이가 클수록 디스플레이 장치의 미관은 나빠진다는 점이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미관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촬영에 충분한 카메라 화각을 확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영상 표시면을 가진 디스플레이 본체 및 사용자의 제스처 감지를 위해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촬영 유닛으로서, 비촬영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내에 수용되는 제1 위치에 배치되고 촬영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밖으로 돌출되는 제2 위치에 배치되는 촬영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보다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영상 표시면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촬영 유닛은 원형 궤적을 따르는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또는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원형 궤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된 한 쌍의 슬라이드 가이드홈을 가진 촬영 유닛 케이싱 및 상기 촬영 유닛과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리브를 가진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 가이드홈을 따라 정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 가이드홈을 따라 역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된 상기 촬영 유닛을 로킹시키기 위한 로킹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킹 유닛은, 상기 촬영 유닛 케이싱 내에 구비되며, 로킹홈이 형성된 로킹 가이드 패스 및 상기 로킹 가이드 패스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상기 슬라이더에 장착된 래치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래치 유닛은,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로킹 가이드 패스의 상기 로킹홈에 삽입되어 상기 촬영 유닛을 로킹시킬 수 있다.
상기 래치 유닛의 일단부는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되며, 상기 래치 유닛의 타단부는 상기 래치 유닛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상기 로킹 가이드 패스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래치 유닛은, 상기 슬라이더에 장착되는 래치 본체, 상기 래치 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상기 래치 본체에 장착되는 래치 레버 및 상기 래치 레버로부터 돌출되며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로킹 가이드 패스에 삽입되는 래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킹 가이드 패스는 루프 구조를 가지며, 상기 래치 유닛은 상기 로킹 가이드 패스를 따라 일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상기 로킹 가이드 패스는, 상기 촬영 유닛 케이싱의 내면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 패스, 상기 제1 가이드 패스부터 연장되며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래치 돌기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 패스, 상기 제2 가이드 패스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로킹홈이 구비되는 제3 가이드 패스 및 상기 제3 가이드 패스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가이드 패스와 이어져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래치 돌기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제4 가이드 패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이드 패스, 상기 제2 가이드 패스, 상기 제3 가이드 패스 및 상기 제4 가이드 패스는 루프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제3 가이드 패스는, 상기 제2 가이드 패스와 이웃하며 상기 제2 가이드 패스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제1 단차부 및 상기 제1 단차부와 이웃하며 상기 제1 단차부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제2 단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차부의 측벽에는 상기 로킹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 가이드 패스는 상기 제3 가이드 패스보다 낮게 단차지며 상기 제1 가이드 패스보다 높게 단차질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래치 유닛이 상기 로킹홈에서 벗어나면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정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상기 슬라이더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촬영 유닛 케이싱에 고정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은 상기 슬라이더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토션 바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촬영 유닛은, 상기 카메라 모듈의 틸트 조절을 위해 상기 제2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보다 상기 영상 표시면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제3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은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2 위치 및 상기 제3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상기 슬라이더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촬영 유닛 케이싱에는 상기 제2 위치 및 상기 제3 위치 사이에서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리브를 가압하는 한 쌍의 탄성 가압부재가 장착되며, 상기 한 쌍의 탄성 가압부재는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 가이드홈을 관통하여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리브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촬영 유닛 케이싱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댐핑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핑 부재는 회전 댐퍼로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댐핑 부재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댐핑 부재에 맞물리는 댐퍼 레일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음성 감지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 유닛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젼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사용자 인터렉션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미관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촬영에 충분한 카메라 화각을 확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비촬영시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I 영역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촬영시의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I 영역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탑 케이싱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촬영 유닛 및 촬영 유닛 케이싱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촬영 유닛이 제1 위치에 배치될 때 모습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촬영 유닛이 제1 위치에 배치될 때 모습이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9는 촬영 유닛이 제2 위치에 배치될 때 모습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0은 촬영 유닛이 제2 위치에 배치될 때 모습이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로킹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촬영 유닛이 제3 위치에 배치될 때 모습이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촬영 유닛이 제3 위치에 배치될 때 모습이 도시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주요부의 모습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은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비촬영시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I 영역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촬영시의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I 영역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탑 케이싱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촬영 유닛 및 촬영 유닛 케이싱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통해 다양한 사용자의 제스처나 음성을 감지하고, 감지된 제스처 또는 음성에 기초하여 다양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 동작은 예를 들어, 채널의 변경, 볼륨 업이나 다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등이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평판 디스플레이로서, LCD 텔레비젼, LED 텔레비젼이나 OLED 텔레비젼이 될 수 있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른 방식의 평판 디스플레이가 될 수도 있고, 평판 디스플레이가 아닌 곡면 디스플레이,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젼이 아닌 컴퓨터 모니터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본체(200), 음성 감지 유닛(300) 및 촬영 유닛(50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본체(200)는 메인 케이싱(220),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 제어 보드(미도시), 파워 보드(미도시), 및 보조 케이싱(260)을 포함한다.
메인 케이싱(220)은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 제어 보드 및 파워 보드 등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종 부품들을 수용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영상을 표시하는 부품으로서, 영상이 표시되는 영상 표시면(250)을 갖는다. 사용자는 영상 표시면(250)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공하는 다양한 컨텐츠들을 시청할 수 있다.
제어 보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 인터렉션를 통해 얻어지는 제어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파워 보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보조 케이싱(260)은 전술한 메인 케이싱(220)의 상면에 장착되며, 음성 감지 유닛(300) 및 촬영 유닛(500)을 수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 케이싱(260)이 메인 케이싱(220)의 상면에 따로 장착되는데, 보조 케이싱(260)이 메인 케이싱(22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보조 케이싱(260)은 전면 케이싱(262) 및 후면 케이싱(266)을 포함한다.
전면 케이싱(262)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도 1 참조)의 전방(+X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전면 케이싱(262)에는 사용자의 음성이 음성 감지 유닛(300)으로 전달되도록 가이드하는 음성 감지 유닛 홀(264)이 형성된다. 음성 감지 홀(264)은 후술하는 네 개의 음성 감지 유닛(300)에 대응되게 네 개가 구비된다. 그리고, 전면 케이싱(262)에는 촬영 유닛(500)이 디스플레이 장치(100) 밖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전면 개구(268)가 또한 형성된다.
한편, 전면 케이싱(262)에는 전면에 져지(jersey) 케이싱(미도시)이 장착될 수 있다. 져지 케이싱은 전면 개구(268)를 제외한 전면 케이싱(262)의 전면을 커버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은 져지 케이싱을 통해 외관의 고급화를 도모할 수 있다.
후면 케이싱(266)은 전면 케이싱(262)과 결합되어 보조 케이싱(260)의 상면, 측면 및 후면을 형성한다. 전면 케이싱(262)과 후면 케이싱(266) 사이의 공간에는 음성 감지 유닛(300), 촬영 유닛(500) 등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렉션을 위한 각종 부품들이 수용된다.
음성 감지 유닛(300)은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음성 감지 유닛(300)은 보조 케이싱(260) 내에 촬영 유닛(500)과 별도로 장착되며, 보조 케이싱(300)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음성 감지 유닛(300)은 마이크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네 개의 마이크가 구비된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음성 감지 유닛 케이싱(400)을 또한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음성 감지 유닛 케이싱(400)은 전면 케이싱(262) 및 촬영 유닛(500) 사이에 배치된다. 음성 감지 유닛 케이싱(400)에는 음성 감지 유닛(400)이 장착되는 음성 감지 유닛 장착홀(420)이 구비된다. 음성 감지 유닛 장착홀(420)은 네 개의 마이크에 각각 대응될 수 있게 네 개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음성 감지 유닛(300)이 촬영 유닛(500)과 일체형으로 구비되지 않고 별도로 구비되므로, 촬영 유닛(500)에 음성 감지 유닛(300)을 위한 추가 공간이 마련될 필요가 없다.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로 노출되는 촬영 유닛(500)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음성 감지 유닛 케이싱(400)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밖으로 돌출되는 전면 돌출부(450)가 구비된다. 전면 돌출부(450)는 전면 케이싱(262)의 전면 개구(268)을 관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 밖으로 돌출된다.
전면 돌출부(450)에는 촬영 유닛 관통홀(460) 및 원격 제어 장치 수신부(470)가 구비된다. 촬영 유닛(500)은 사용자 촬영시 촬영 유닛 관통홀(460)을 통과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 밖으로 돌출된다. 원격 제어 장치 수신부(470)는 리모컨 등의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원격 제어 장치 수신부(470)는 음성 감지 유닛 케이싱(400) 내에 구비된 원격 제어 장치용 피시비 기판(미도시)과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 수신부(470)가 음성 감지 유닛 케이싱(400)에 구비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원격 제어 장치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부분에 구비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촬영 유닛(500)은 사용자의 제스처 감지를 위한 것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보조 케이싱(260)에 장착된다.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촬영 유닛(500)은 카메라 모듈(520)을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520)은 촬영 유닛(500) 내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촬영 유닛(500)은 이러한 카메라 모듈(520)을 내장함에 따라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520)은 영상의 빛을 모아주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미도시),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미도시) 및 렌즈를 움직여 포커스를 조절하는 액추에이터(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촬영 유닛(500)에는 카메라 모듈(520) 전방에 렌즈 보호창(540)이 구비된다. 사용자 촬영시 렌즈 보호창(54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외부로 노출된다. 렌즈 보호창(540)의 인접한 면에는 비촬영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촬영 유닛 푸시면(560)이 형성된다.
한편, 촬영 유닛(500)은 카메라 모듈(52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해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촬영 유닛(500)은 알루미늄 이외에 촬영 유닛(520)의 방열을 위한 기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촬영 유닛(500)은 비촬영시 보조 케이싱(260) 내부에 수용되며, 사용자 촬영시 슬라이딩 움직임을 통해 촬영 유닛 관통홀(460)을 통과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 밖으로 돌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촬영시 촬영 유닛(500)은 비촬영시 보조 케이싱(260) 내부에 수용되는 제1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카메라 모듈(52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방(+Z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를 통해, 비촬영시 촬영 유닛(50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에서 보았을 때 촬영 유닛 푸시면(560)만 외부로 노출되게 보관될 수 있다. 따라서, 촬영 유닛(500)에 의해 느낄 수 있는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비촬영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관을 깔끔히 할 수 있어, 제품의 고급화 이미지를 도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촬영시 촬영 유닛(500)은 보조 케이싱(260) 밖으로 돌출되는 제2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카메라 모듈(52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방(+X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전술한 제1 위치(촬영 유닛(500)이 보조 케이싱(260) 내부에 수용되는 위치)와 비교하면, 카메라 모듈(520)은 제1 위치에 있을 때보다 제2 위치에 있을 때, 영상 표시면(250)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따라서, 촬영시 촬영 유닛(500)은 보다 큰 카메라 화각 확보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방(+Z 방향)으로 추가적으로 돌출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미관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촬영하기에 충분한 카메라 화각을 확보할 수 있다.
계속해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피시비 기판 케이싱(600) 및 피시비 기판(미도시)을 또한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피시비 기판 케이싱(600)은 피시비 기판을 수용한다. 피시비 기판 케이싱(600)은 연결 케이블(미도시)을 통해 음성 감지 유닛(300) 및 촬영 유닛(500)과 연결된다. 이를 통해, 피시비 기판 케이싱(600)은 음성 감지 유닛(300) 및 촬영 유닛(500)을 각각 피시비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피시비 기판은 음성 감지 유닛(300)이 감지한 사용자의 음성 정보 및 촬영 유닛(500)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제스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렉션을 판단한다. 피시비 기판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보드로 사용자 인터렉션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보드는 사용자 인터렉션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한다.
한편, 피시비 기판은 음성 감지 유닛(300)이 감지한 사용자의 음성 정보 및 촬영 유닛(500)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제스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렉션을 판단하지 않고, 음성 감지 유닛(300)이 감지한 사용자의 음성 정보 및 촬영 유닛(500)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제스처 정보를 곧바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보드로 송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보드는 수신한 음성 감지 유닛(300)이 감지한 사용자의 음성 정보 및 촬영 유닛(500)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제스처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인터렉션을 판단한 후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촬영 유닛(500)의 제1 위치(촬영 유닛(500)이 보조 케이싱(260) 내부에 수용되는 위치) 및 제2 위치(촬영 유닛(500)이 보조 케이싱(260) 밖으로 돌출되는 위치) 사이의 슬라이딩을 위한 부품
구체적인 구성을 더 자세히 살펴본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촬영 유닛(500)이 원형 궤적을 따르는 슬라이딩에 의해 전술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또는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촬영 유닛 케이싱(700), 슬라이더(800), 로킹 유닛(900), 탄성 부재(1200) 및 댐핑 부재(1300)를 또한 포함한다.
촬영 유닛 케이싱(700)은 촬영 유닛(500) 및 슬라이더(800)를 수용한다. 촬영 유닛 케이싱(700)에는 내측면 양측에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 가이드홈(720)이 형성된다. 한 쌍의 슬라이드 가이드홈(720)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원형 궤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슬라이더(800)는 촬영 유닛(500)과 결합된다. 슬라이더(800)의 양측에는 한 쌍의 슬라이드 가이드홈(720)에 삽입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리브(820)가 형성된다. 슬라이더(800)는 촬영 유닛(500)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한 쌍의 슬라이딩 리브(820)를 통해 한 쌍의 슬라이드 가이드홈(720)을 따라 정방향(A측으로부터 B측 방향)으로 원형 궤적을 그리며 슬라이딩된다. 반대로, 슬라이더(800)는 촬영 유닛(500)이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에서 이동할 때, 한 쌍의 슬라이딩 리브(820)를 통해 한 쌍의 슬라이드 가이드홈(720)을 따라 정방향(A측으로부터 B측 방향)과 반대 방향인 역방향(B측으로부터 A측 방향)으로 원형 궤적을 그리며 슬라이딩된다.
그리고, 슬라이더(800)에는 슬라이딩 리브(820)와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스위칭 리브(840)가 또한 형성된다. 스위칭 리브(840)는 촬영 유닛(500)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슬라이더(800)의 정방향 이동으로 인해 촬영 유닛 케이싱(700)의 스위칭 개구(760)를 통해 피시비 기판 케이싱(600, 도 6 참조)에 구비된 감지 스위치(미도시)와 접촉된다. 이를 통해, 피시피 기판(미도시)은 사용자 제스처 감지 및 사용자 음성 감지를 위한 사용자 인식 모드가 실행된다. 그리고, 스위칭 리브(840)는 촬영 유닛(500)이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이동할 때 슬라이더(800)의 역방향 이동으로 인해 감지 스위치와 접촉이 해제된다. 이를 통해, 피시비 기판은 사용자 인식 모드의 실행이 해제된다.
또한, 스위칭 리브(840)는 슬라이더(800)의 슬라이딩할 때, 슬라이더(800)의 원활한 슬라이딩을 가이드할 수 있다. 스위칭 리브(840)는 탄성 부재(1200)의 맞은 편에 구비되는 슬라이딩 리브(720)에 구비되므로, 탄성 부재(1200)가 압축될 때 또는 압축이 해제될 때, 탄성 부재(1200) 방향에 구비된 슬라이딩 리브(720)의 흔들림을 보상하여 한 쌍의 슬라이딩 리브(720)의 원활한 슬라이딩을 가이드하게 된다.
로킹 유닛(900)은 제1 위치에 배치된 촬영 유닛(500)을 보조 케이싱(220) 내에 로킹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로킹 유닛(900)은 촬영 유닛(500)이 제2 위치에 배치될 때에는 로킹이 해제된다.
이러한 로킹 유닛(900)은 래치 유닛(1000) 및 로킹 가이드 패스(1100)를 포함한다.
래치 유닛(1000)은 슬라이더(800)에 장착된다. 따라서, 래치 유닛(1000)은 슬라이더(800)를 통해 촬영 유닛(500)에 연결된다. 래치 유닛(920)은 로킹 가이드 패스(1100)에 구비된 로킹홈(1120)에 삽입되고 로킹홈(1120)으로부터 벗어남으로써, 촬영 유닛(500)의 로킹 및 언로킹을 수행한다.
이러한 래치 유닛(1000)은 래치 본체(1020), 래치 레버(1040), 힌지 핀(1060) 및 래치 돌기(1080)를 포함한다.
래치 본체(1020)는 슬라이더(800)에 장착되며 래치 레버(1040)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래치 본체(1020)의 일단부(1022)는 슬라이더(800)에 고정되며, 래치 본체(1020)의 타단부(1026)는 래치 레버(1040)와 결합된다.
래치 레버(1040)는 래치 본체(1020)의 타단부(1026)의 하면에 접촉된다. 힌지 핀(1060)은 래치 본체(1020)의 타단부(1026) 및 래치 레버(1040)를 관통하여 래치 본체(1020)의 타단부(1026) 및 래치 레버(1040)를 힌지 연결한다. 래치 레버(1040)는 힌지 핀(1060)을 통해 래치 본체(1020)의 타단부(1026)의 수평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래치 돌기(1080)는 래치 레버(1040)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아래로 돌출된다. 래치 돌기(1080)는 로킹 가이드 패스(1100)에 삽입되며, 슬라이더(800)가 이동할 때 로킹 가이드 패스(1100)를 따라 슬라이딩된다.
로킹 가이드 패스(1100)는 촬영 유닛 케이싱(700)의 내면에 형성된다. 로킹 가이드 패스(1100)는 래치 돌기(1080)의 슬라이딩을 안내한다. 이하, 로킹 가이드 패스(1100)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로킹 가이드 패스(1100)는 제1 가이드 패스(1140), 제2 가이드 패스(1150), 제3 가이드 패스(1160) 및 제4 가이드 패스(1170)를 포함한다.
제1 가이드 패스(1140)는 직선 경로로 형성된다. 제2 가이드 패스(1150)는 곡선 경로로 형성되며, 제1 가이드 패스(1140)의 하부(1142)에서 좌측 아래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3 가이드 패스(1160)는 제2 가이드 패스(1150)로부터 연장되며 측벽에 로킹홈(1120)이 형성된다. 제3 가이드 패스(1160)는 제1 단차부(1162) 및 제2 단차부(1166)를 포함한다.
제1 단차부(1162)는 제2 가이드 패스(1150)와 이웃하며, 이웃한 제2 가이드 패스(1152)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다. 제2 단차부(1166)는 제1 단차부(1162)와 이웃하며, 이웃한 제1 단차부(1162)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다. 그리고, 제2 단차부(1166)의 측벽에는 전술한 로킹홈(1120)이 형성된다.
제4 가이드 패스(1170)는 곡선 경로로 형성되며, 제2 단차부(1166)로부터 우측 윗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가이드 패스(1140)의 하부(1142)와 이어진다. 이를 통해, 제1 가이드 패스(1140), 제2 가이드 패스(1150), 제3 가이드 패스(1160) 및 제4 가이드 패스(1170)은 루프 구조를 형성한다.
한편, 제4 가이드 패스(1170)의 하부(1172)는 이웃한 제2 단차부(1166)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며, 제4 가이드 패스(1170)의 상부(1176)는 이웃한 제1 가이드 패스(1140)의 하부(1142)보다 높은 높이를 갖는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탄성 부재(1200)는 래치 유닛(1000)의 래치 돌기(1080)가 로킹 가이드 패스(1100)의 로킹홈(1120)에서 벗어나면, 슬라이더(800)가 정방향(A측으로부터 B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상기 슬라이더(800)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탄성 부재(1200)의 일단(1220)은 촬영 유닛 케이싱(700)의 구비된 탄성 부재 고정부(780)에 고정되며, 탄성 부재(1200)의 타단(1260)은 슬라이더(800)에 구비된 탄성 부재 지지부(860)에 지지된다. 탄성 부재(1200)는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토션 바 스프링(torsion bar spring)으로 구비된다.
댐핑 부재(1300)는 슬라이더(800)의 슬라이딩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댐핑 부재(1300)는 촬영 유닛 케이싱(700)에 장착되며, 회전 댐퍼로 구비된다. 댐핑 부재(1300)는 슬라이더(800)에 구비된 댐퍼 레일(880)에 맞물리게 장착된다. 댐핑 부재(1300)는 촬영 유닛 케이싱(700)에 한 개가 장착되는 바, 댐퍼 레일(880) 또한 슬라이더(800)에 한 개가 구비된다.
댐핑 부재(1300)는 슬라이더(800)의 정방향(A측으로부터 B측 방향) 또는 역방향(B측으로부터 A측 방향) 슬라이딩시 댐퍼 레일(880)을 따라 회전됨으로써, 슬라이더(800)의 슬라이딩 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촬영 유닛(500)의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7은 촬영 유닛이 제1 위치에 배치될 때 모습이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8은 촬영 유닛이 제1 위치에 배치될 때 모습이 도시된 측단면도이며, 도 9는 촬영 유닛이 제2 위치에 배치될 때 모습이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10은 촬영 유닛이 제2 위치에 배치될 때 모습이 도시된 측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로킹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촬영 유닛(500)이 제1 위치(촬영 유닛(500)이 보조 케이싱(260) 내부에 수용되는 위치)이 배치될 때, 래치 유닛(1000)의 래치 돌기(1080, 도 6 참조)는 로킹 가이드 패스(1100)의 로킹홈(1120)에 삽입되어 있다. 이때, 탄성 부재(1200)의 타단(1260)은 탄성 부재(1200)의 일단(1220)과 같은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는 탄성 부재(1200)가 압축된 상태로써, 탄성 부재(1200)는 촬영 유닛(500)이 제1 위치에 배치될 때 압축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촬영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도 2 참조) 외부에 노출된 촬영 유닛(500)의 촬영 유닛 푸시면(560)을 가압한다. 사용자가 촬영 유닛 푸시면(560)을 가압하면, 래치 유닛(1000, 도 7 참조)의 래치 돌기(1080, 도 6 참조)는 로킹홈(1120) 앞쪽으로 슬라이딩되어 로킹홈(1120)으로부터 벗어난다. 이때, 래치 돌기(1080)는 제2 단차부(1166, 도 11 참조)에서 제4 가이드 패스(1170, 도 11 참조)의 하부(1172, 도 11 참조)로 슬라이딩된다. 이는 제2 단차부(1166)의 높이가 제1 단차부(1162, 도 11 참조)보다 낮고 제4 가이드 패스(1170)의 하부(1172)보다 높기 때문이다. 결국, 래치 돌기(1080)는 로킹홈(1120)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 필연적으로, 제2 단차부(1166)보다 높은 제1 단차부(1162, 도 11 참조)가 아닌 제2 단차부(1166)보다 낮은 제4 가이드 패스(1170)의 하부(1172)로 슬라이딩될 수 밖에 없다.
한편, 이때, 래치 유닛(1000)의 래치 레버(1040, 도 6 참조)는 힌지 핀(1060, 도 6 참조)을 중심으로 우측으로 이동하여 래치 돌기(1080)의 제4 가이드 패스(1170)의 하부(1172)로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한다.
이후, 사용자의 촬영 유닛 푸시면(560) 가압이 해제되면, 탄성 부재(1200)는 압축이 해제되면서 슬라이더(800)로 슬라이더(800)의 정방향(A측으로부터 B측 방향) 슬라이딩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800)는 슬라이드 가이드홈(720, 도 8 참조)에 삽입된 슬라이딩 리브(820, 도 8 참조)를 통해 정방향으로 원형 궤적(S, 도 8 참조)을 따르며 슬라이딩되며, 슬라이더(800)에 구비된 래치 유닛(900) 또한 제4 가이드 패스(1170, 도 11 참조)를 거쳐 제1 가이드 패스(1140, 도 11 참조)를 따라 위로 슬라이딩된다.
이를 통해, 촬영 유닛(5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위치(촬영 유닛(500)이 보조 케이싱(260) 밖으로 돌출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촬영 유닛(500)이 제2 위치에 배치될 때, 래치 유닛(1000)의 래치 돌기(1080, 도 6 참조)는 로킹 가이드 패스(1100)의 제1 가이드 패스(1140)의 상측에 배치된다. 이 때, 슬라이더(800)의 탄성 부재 지지부(860)는 탄성부재(1200)를 중심으로 탄성 부재 고정부(780)의 반대편에 배치된다. 때문에, 탄성부재(1200)의 타단(1260)은 탄성 부재(1200)의 일단(1220)과 반대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를 통해, 탄성 부재(1200)는 압축이 해제된다. 결국, 탄성 부재(1200)는 촬영 유닛(500)이 제2 위치에 배치될 때, 압축이 해제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비촬영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도 4 참조) 외부에 노출된 촬영 유닛(500)의 촬영 유닛 푸시면(560)을 지속적으로 가압한다. 사용자가 촬영 유닛 푸시면(560)을 가압하면, 슬라이더(800)는 슬라이드 가이드홈(720, 도 10 참조)에 삽입된 슬라이딩 리브(820, 도 10 참조)를 통해 역방향(B측으로부터 A측 방향, 도 9 참조)으로 원형 궤적(S, 도 8 참조)을 따르며 슬라이딩된다.
슬라이더(800)가 역방향으로 슬라이딩될 때, 슬라이더(800)의 탄성 부재 지지부(860)는 촬영 유닛 케이싱(700)의 탄성 부재 고정부(780)에 가깝게 배치된다. 때문에, 탄성 부재(1200)의 타단(1260)은 압축되어 탄성 부재(1200)의 일단(1220)과 같은 방향으로 배치된다. 결국, 탄성 부재(1200)는 슬라이덩(800)가 역방향으로 슬라이딩될 때 압축된다.
또한, 슬라이더(800)가 역방향으로 슬라이딩될 때, 래치 유닛(1000, 도 9 참조)의 래치 돌기(1080, 도 6 참조)는 제1 가이드 패스(1140)에서부터 제2 가이드 패스(1150)로 슬라이딩한다. 여기서, 래치 돌기(1080)는 제3 가이드 패스(1170)가 아닌 제2 가이드 패스(1150)로만 슬라이딩한다. 래치 돌기(1080)가 제2 가이드 패스(1150)로만 슬라이딩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가이드 패스(1140)는 제2 가이드 패스(1150)와 높이가 동일하다. 그리고, 제1 가이드 패스(1140)는 제4 가이드 패스(1170)의 상부(1176)보다 높이가 낮다. 또한, 제2 가이드 패스(1150)와 제4 가이드 패스(1170)가 만나는 지점(V)은 제1 가이드 패스(1140)의 중심축(C)으로부터 우측으로 편심되어 있다. 그러므로, 래치 돌기(1080)는 제1 가이드 패스(1140)에서부터 제4 가이드 패스(1170)로 슬라이딩될 수 없고 제2 가이드 패스(1140)로만 슬라이딩된다.
이후, 래치 돌기(1080)는 제2 가이드 패스(1140)에서 제3 가이드 패스(1160)의 제1 단차부(1162)로 슬라이딩된다. 사용자의 촬영 유닛 푸시면(560) 가압에 따라, 래치 돌기(1080)는 역방향으로 계속 힘을 받으므로 제1 단차부(1162)에서 제2 단차부(1166)로 움직이지 않고 제1 단차부(1162)에 고정 배치된다.
이후, 사용자가 촬영 유닛 푸시면(560)의 가압을 해제하면, 탄성 부재(1200)는 압축이 해제되면서 슬라이더(800)로 슬라이더(800)의 정방향(A측으로부터 B측 방향) 슬라이딩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800)는 정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래치 돌기(1080)는 제1 단차부(1162)에서 제1 단차부(1162)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제2 단차부(1166)으로 슬라이딩된다. 이후, 래치 돌기(1080)는 제2 단차부(1166)의 로킹홈(112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을 멈춘다. 래치 돌기(1080)가 슬라이딩을 멈추면, 슬라이더(800) 또한 슬라이딩을 멈추고, 탄성 부재(1200)는 압축 상태를 다시 유지한다. 결국, 슬라이더(800), 래치 유닛(1000) 및 탄성 부재(12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된다.
이를 통해, 촬영 유닛(5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위치(촬영 유닛(500)이 보조 케이싱(260) 내부에 수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촬영 유닛 푸시면(560)만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로킹 가이드 패스(1100)의 루프 구조로 인한 래치 돌기(1180, 도 6 참조)의 일방향 슬라이딩 경로를 살펴본다.
도 11을 참조하면, 앞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래치 돌기(1180)는 제1 위치(촬영 유닛(500)이 보조 케이싱(260) 내부에 수용되는 위치; l)에서 제3 가이드 패스(1160)의 제2 단차부(1166)에 배치되고, 제2 위치(촬영 유닛(500)이 보조 케이싱(260) 밖으로 돌출되는 위치; l')에서 제1 가이드 패스(1140)의 상부에 배치된다.
래치 돌기(1180)는 제1 위치(l)와 제2 위치(l') 사이에서 일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구체적으로, 래치 돌기(1180)는 제1 위치(l)에서부터 제2 위치(l')로 이동하는 경우, 화살표 방향(S1 내지 S6)을 따라 제3 가이드 패스(1160)의 제2 단차부(1166), 제4 가이드 패스(1170) 및 제1 가이드 패스(1140)를 따라 이동하며, 제2 위치(l')에서부터 제1 위치(l)로 이동하는 경우, 화살표 방향(S'1 내지 S'6)을 따라 제1 가이드 패스(1140), 제2 가이드 패스(1150), 제3 가이드 패스(1160)의 제1 단차부(1162) 및 제3 가이드 패스(1160)의 제2 단차부(1166)을 따라 이동한다. 결국, 래치 돌기(1180)의 슬라이딩은 루프 구조를 통해 일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의 카메라의 틸트 조절을 살펴본다. 틸트란 카메라의 위치는 고정되고 앵글만 위에서 아래로 또는 아래에서 위로 촬영하는 것을 말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로 노출된 촬영 유닛(500)을 직접 움직여 카메라의 틸트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2는 촬영 유닛이 제3 위치에 배치될 때 모습이 도시된 측단면도이며, 도 13은 촬영 유닛이 제3 위치에 배치될 때 모습이 도시된 부분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주요부의 모습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카메라 틸트 조절시, 사용자는 촬영 유닛(500) 자체를 Y축 방향을 중심으로 위아래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촬영 유닛(500)은 제2 위치(촬영 유닛(500)이 보조 케이싱(260) 밖으로 돌출되는 위치) 및 제3 위치(제2 위치보다 영상 표시면(250, 도 4 참조)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촬영 유닛(500)이 제2 위치 및 제3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슬라이더(800)의 슬라이딩 리브(820)는 촬영 유닛 케이싱(700)의 슬라이드 가이드홈(720)을 따라 원형 궤적(S")을 그리며 슬라이딩한다.
촬영 유닛(500)은 제2 위치에서 카메라 모듈(520)의 중심축(o)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제3 위치에서 카메라 모듈(520)의 중심축(t) 사이 각도(θ)가 20°가 될 때까지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카메라 틸트를 조절할 때, 촬영 유닛(500) 자체를 틸트시키므로, 촬영 유닛(500) 내에 틸트 조절을 위한 별도의 구조나 부품 등이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촬영 유닛(500)의 내부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카메라 모듈(520)의 방열을 위한 촬영 유닛(500)의 자체 체적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탄성 가압부재(1500)를 또한 포함한다.
탄성 가압부재(1500)는 제2 위치 및 제3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더(800)의 한 쌍의 슬라이딩 리브(820)가 슬라이딩할 때, 한 쌍의 슬라이딩 리브(820)를 가압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그러므로, 탄성 가압부재(1500)는 한 쌍의 슬라이딩 리브(820)에 대응되게 한 쌍이 구비된다.
탄성 가압부재(1500)의 일단부(1520)는 촬영 유닛 케이싱(700)에 고정되며, 탄성 가압부재(1500)의 타단부(1560)는 촬영 유닛 케이싱(700)에 형성된 탄성 가압부재 관통홀(790)을 통해 슬라이드 가이드홈(720)에 삽입된 슬라이딩 리브(820)에 접촉된다. 탄성 가압부재 관통홀(790)은 한 쌍의 슬라이딩 리브(820)에 대응되게 한 쌍이 구비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리브(820)가 제2 위치 및 제3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할 때, 탄성 가압부재(1500)의 타단부(1560)은 슬라이딩 리브(820)에 의해 화살표 방향(f)으로 밀려난다. 이후, 탄성 가압부재(1500)는 슬라이딩 리브(820)에 접촉한 상태로 화살표 방향(f)의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리브(820)를 지속적으로 가압한다. 마찬가지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탄성 가압부재 또한 다른 하나의 슬라이딩 리브를 지속적으로 가압한다. 이를 통해, 한 쌍의 슬라이딩 리브(820)는 제2 위치 및 제3 위치 사이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슬라이딩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슬라이딩 리브(820)가 제2 위치 및 제3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할 때, 탄성 부재(1200, 도 6 참조)의 타단(1260)은 탄성 부재 지지부(860, 도 6 참조)로부터 이탈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800)는 제2 위치 및 제3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탄성 부재(1200)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지 않는다. 결국, 촬영 유닛(500)의 제2 위치 및 제 3 위치 사이에서의 이동은 사용자의 촬영 유닛(500) 자체 조작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200: 디스플레이 본체
220: 메인 케이싱 260: 보조 케이싱
300: 음성 감지 유닛 500: 촬영 유닛
520: 카메라 모듈 700: 촬영 유닛 케이싱
800: 슬라이더 900: 로킹 유닛
1000: 래치 유닛 1100: 로킹 가이드 패스

Claims (20)

  1. 사용자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영상 표시면을 가진 디스플레이 본체; 및
    사용자의 제스처 감지를 위해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촬영 유닛으로서, 비촬영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내에 수용되는 제1 위치에 배치되고 촬영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밖으로 돌출되는 제2 위치에 배치되는 촬영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보다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영상 표시면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유닛은 원형 궤적을 따르는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또는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궤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된 한 쌍의 슬라이드 가이드홈을 가진 촬영 유닛 케이싱; 및
    상기 촬영 유닛과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리브를 가진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 가이드홈을 따라 정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 가이드홈을 따라 역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된 상기 촬영 유닛을 로킹시키기 위한 로킹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유닛은,
    상기 촬영 유닛 케이싱 내에 구비되며, 로킹홈이 형성된 로킹 가이드 패스; 및
    상기 로킹 가이드 패스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상기 슬라이더에 장착된 래치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래치 유닛은,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로킹 가이드 패스의 상기 로킹홈에 삽입되어 상기 촬영 유닛을 로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유닛의 일단부는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되며, 상기 래치 유닛의 타단부는 상기 래치 유닛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상기 로킹 가이드 패스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유닛은,
    상기 슬라이더에 장착되는 래치 본체;
    상기 래치 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상기 래치 본체에 장착되는 래치 레버; 및
    상기 래치 레버로부터 돌출되며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로킹 가이드 패스에 삽입되는 래치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가이드 패스는 루프 구조를 가지며,
    상기 래치 유닛은 상기 로킹 가이드 패스를 따라 일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가이드 패스는,
    상기 촬영 유닛 케이싱의 내면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 패스;
    상기 제1 가이드 패스부터 연장되며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래치 돌기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 패스;
    상기 제2 가이드 패스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로킹홈이 구비되는 제3 가이드 패스; 및
    상기 제3 가이드 패스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가이드 패스와 이어져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래치 돌기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제4 가이드 패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이드 패스, 제2 가이드 패스, 상기 제3 가이드 패스 및 상기 제4 가이드 패스는 루프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가이드 패스는,
    상기 제2 가이드 패스와 이웃하며 상기 제2 가이드 패스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제1 단차부; 및
    상기 제1 단차부와 이웃하며 상기 제1 단차부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제2 단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차부의 측벽에는 상기 로킹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가이드 패스는 상기 제3 가이드 패스보다 낮게 단차지며 상기 제1 가이드 패스보다 높게 단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유닛이 상기 로킹홈에서 벗어나면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정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상기 슬라이더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촬영 유닛 케이싱에 고정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은 상기 슬라이더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토션 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유닛은, 상기 카메라 모듈의 틸트 조절을 위해 상기 제2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보다 상기 영상 표시면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제3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은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2 위치 및 상기 제3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상기 슬라이더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유닛 케이싱에는 상기 제2 위치 및 상기 제3 위치 사이에서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리브를 가압하는 한 쌍의 탄성 가압부재가 장착되며,
    상기 한 쌍의 탄성 가압부재는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 가이드홈을 관통하여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리브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유닛 케이싱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댐핑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 부재는 회전 댐퍼로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댐핑 부재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댐핑 부재에 맞물리는 댐퍼 레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음성 감지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유닛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30021459A 2013-02-27 2013-02-27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40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459A KR102040288B1 (ko) 2013-02-27 2013-02-27 디스플레이 장치
PCT/KR2014/000650 WO2014133265A1 (en) 2013-02-27 2014-01-23 Display apparatus
MX2015011017A MX345623B (es) 2013-02-27 2014-01-23 Aparato de despliege.
BR112015016330A BR112015016330A2 (pt) 2013-02-27 2014-01-23 aparelho de exibição que fornece interação com usuário .
TW103103044A TWI606292B (zh) 2013-02-27 2014-01-28 顯示裝置
US14/177,649 US9606617B2 (en) 2013-02-27 2014-02-11 Display apparatus
JP2014024115A JP2014165917A (ja) 2013-02-27 2014-02-12 ディスプレイ装置
EP14155637.3A EP2772830B1 (en) 2013-02-27 2014-02-18 Display apparatus
CN201410059721.XA CN104010149A (zh) 2013-02-27 2014-02-21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459A KR102040288B1 (ko) 2013-02-27 2013-02-27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7008A true KR20140107008A (ko) 2014-09-04
KR102040288B1 KR102040288B1 (ko) 2019-11-04

Family

ID=50235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459A KR102040288B1 (ko) 2013-02-27 2013-02-27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606617B2 (ko)
EP (1) EP2772830B1 (ko)
JP (1) JP2014165917A (ko)
KR (1) KR102040288B1 (ko)
CN (1) CN104010149A (ko)
BR (1) BR112015016330A2 (ko)
MX (1) MX345623B (ko)
TW (1) TWI606292B (ko)
WO (1) WO201413326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1110A1 (ko) * 2018-11-01 2020-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2489A (ko) * 2014-02-28 2015-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6850896B (zh) 2017-03-07 2019-12-0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
KR102426694B1 (ko) * 2017-05-02 2022-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TWI664891B (zh) * 2017-05-24 2019-07-0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具有支撐件的電子裝置
ES2816098T3 (es) 2017-11-03 2021-03-31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Cámara de teléfono móvil deslizable por fuerza electromagnética
CN113206933B (zh) 2017-11-30 2023-04-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摄像头组件、移动终端及其摄像头组件的控制方法
US20220078313A1 (en) * 2018-12-25 2022-03-10 Huawei Technologies Co. , Ltd. Camera assembly and terminal device
KR20210087263A (ko) 2020-01-02 2021-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6045174A (zh) * 2021-10-28 2023-05-02 纬联电子科技(中山)有限公司 显示装置、电子装置与伸缩组件
TWI800352B (zh) * 2022-04-18 2023-04-21 茂傑國際股份有限公司 多功能攝影與收音裝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01071A1 (en) * 2005-06-03 2007-01-04 Chao-Chin Yeh Support device for computer peripheral equipments
KR101002066B1 (ko) * 2010-02-01 2010-12-21 주식회사 영국전자 추적감시용 카메라 장치 및 이를 채용하는 원격 감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0314A (ja) * 1992-08-21 1994-03-11 Canon Inc 画像処理装置
JPH10164414A (ja) * 1996-12-03 1998-06-19 Canon Inc カメラ内蔵ノート型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KR20000020511A (ko) * 1998-09-19 2000-04-15 구자홍 카메라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
GB2347813B (en) * 1999-03-09 2001-02-21 John Quentin Phillipps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JP2002116859A (ja) * 2000-10-11 2002-04-19 Sony Corp 情報処理装置、命令認識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格納媒体
TW200643590A (en) * 2005-06-03 2006-12-16 Asustek Comp Inc A revolving lens module for cellular phones
KR20070080063A (ko) * 2006-02-06 2007-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용 휴대 단말기
CN101589425A (zh) * 2006-02-16 2009-11-25 Ftk技术有限公司 将数据输入计算***的***和方法
KR100788865B1 (ko) * 2007-06-21 2007-12-27 장혜순 접속구를 갖는 회전판이 푸시록 출몰되게 한 매립형 커넥터고정장치
EP2201761B1 (en) * 2007-09-24 2013-11-20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interface for voice and video communications
US8547327B2 (en) * 2009-10-07 2013-10-01 Qualcomm Incorporated Proximity object tracker
KR20110076458A (ko) 2009-12-29 2011-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1186636A (ja) * 2010-03-05 2011-09-22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2008282A (ja) * 2010-06-23 2012-01-12 King Jim Co Ltd カード情報取込装置
US8542264B2 (en) 2010-11-18 2013-09-24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ptics in a video environment
TWI408490B (zh) * 2010-11-18 2013-09-11 Wistron Corp 影像擷取裝置及具有該影像擷取裝置的電子設備
KR101896947B1 (ko) * 2011-02-23 2018-10-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제스쳐를 이용한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2100184B1 (ko) 2013-02-18 2020-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01071A1 (en) * 2005-06-03 2007-01-04 Chao-Chin Yeh Support device for computer peripheral equipments
KR101002066B1 (ko) * 2010-02-01 2010-12-21 주식회사 영국전자 추적감시용 카메라 장치 및 이를 채용하는 원격 감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1110A1 (ko) * 2018-11-01 2020-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402878B2 (en) 2018-11-01 2022-08-02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5016330A2 (pt) 2017-07-11
EP2772830A3 (en) 2015-02-18
MX2015011017A (es) 2015-10-22
EP2772830A2 (en) 2014-09-03
CN104010149A (zh) 2014-08-27
WO2014133265A1 (en) 2014-09-04
TW201435467A (zh) 2014-09-16
US20140240219A1 (en) 2014-08-28
JP2014165917A (ja) 2014-09-08
US9606617B2 (en) 2017-03-28
KR102040288B1 (ko) 2019-11-04
MX345623B (es) 2017-02-08
TWI606292B (zh) 2017-11-21
EP2772830B1 (en)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07008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9529441B2 (en) Display apparatus
US7936278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amera
US10691179B2 (en) Camera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s
US8085343B2 (en) Image capture apparatus
KR20150014336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8412265B2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photographing functions
JP4645712B2 (ja) カメラ装置
KR101041936B1 (ko) 영상 프로젝터 기능이 구비된 침대시스템
US20140063714A1 (en) Tablet apparatus
JP2009098415A (ja) 電子機器
KR200470259Y1 (ko) Cctv카메라 제어기
KR20150102489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07325009A (ja) 撮像装置
JP2008193158A (ja) モニターカバーの保持構造及び撮像装置
KR20140022610A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카메라 장치
JP2023104712A (ja) ファインダユニット、撮像装置
JP2009098413A (ja) 電子機器
JP2009100268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