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7263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7263A
KR20210087263A KR1020200000309A KR20200000309A KR20210087263A KR 20210087263 A KR20210087263 A KR 20210087263A KR 1020200000309 A KR1020200000309 A KR 1020200000309A KR 20200000309 A KR20200000309 A KR 20200000309A KR 20210087263 A KR20210087263 A KR 20210087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user
image
display device
reflec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현아
김동욱
김정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0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7263A/ko
Priority to US17/139,265 priority patent/US11323612B2/en
Priority to PCT/KR2020/019310 priority patent/WO2021137585A1/en
Publication of KR20210087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72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04N23/651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affecting camera operations, e.g. sleep mode, hibernation mode or power off of selective parts of th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8Capturing isolated or intermittent images triggered by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event, e.g. an object reaching a predetermin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개시된 발명은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카메라가 반사 모듈의 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영상을 촬영하여 사용자의 존재를 감지하고, 사용자가 존재하면 카메라를 외부로 노출시켜 영상을 촬영하게 함으로써,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저해상도 영상과 고해상도 영상을 촬영하여 사용자 감지와 카메라 관련 기능의 수행에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반사 모듈; 상기 반사 모듈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1위치에서 제1영상을 촬영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위치에서 제2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 및 상기 반사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제1위치에서 촬영한 상기 제1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존재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카메라 및 상기 반사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개시된 발명은 카메라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순한 영상 표시의 기능 외에도 제스쳐 인식, 영상 통화, 사용자 감지 등 카메라를 활용한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착된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되기도 하고, 경우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외부 서버 또는 외부 기기에 전송되기도 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착된 카메라가 상시 노출되어 영상을 촬영하게 되면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실제 프라이버시의 침해 여부와 상관없이 사용자는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은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카메라가 반사 모듈의 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영상을 촬영하여 사용자의 존재를 감지하고, 사용자가 존재하면 카메라를 외부로 노출시켜 영상을 촬영하게 함으로써,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저해상도 영상과 고해상도 영상을 촬영하여 사용자 감지와 카메라 관련 기능의 수행에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개시된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카메라가 노출되는 정도를 선택하게 함으로써 사용자 별 성향에 맞게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반사 모듈; 상기 반사 모듈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1위치에서 제1영상을 촬영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위치에서 제2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 및 상기 반사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제1위치에서 촬영한 상기 제1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존재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카메라 및 상기 반사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영상은, 저해상도 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2영상은, 고해상도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카메라를 이동시키는 카메라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제1위치 또는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카메라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카메라를 이동시키는 카메라 구동부 및 상기 반사모듈을 이동시키는 반사모듈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상기 제1위치 또는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반사 모듈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카메라 구동부 및 상기 반사모듈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반사모듈을 이동시키는 반사모듈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제1위치 또는 상기 제2위치에 있도록 상기 반사 모듈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반사모듈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가 외부 영상을 촬영할 수 없는 제3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카메라 및 상기 반사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위치 또는 상기 제2위치에 있는 카메라가 상기 외부 영상을 촬영할 수 없도록 상기 카메라의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온시키고,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오프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모드의 선택을 수신하면, 상기 제1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1모드에서,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1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사용자가 존재할 때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2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2모드의 선택을 수신하면, 상기 제2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2모드에서, 외부 영상을 촬영할 수 없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3모드의 선택을 수신하면, 상기 제3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3모드에서, 상기 사용자가 존재할 때와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2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4모드의 선택을 수신하면, 상기 제4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4모드에서, 상기 사용자가 존재할 때와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1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 제어부 및 메인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제1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메인 제어부를 웨이크업(wake up)시킬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온 되어 있을 때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오프 대기 상태로 전환시키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오프 대기 상태에서 활성화되어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에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다.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오프 대기 상태로 전환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비활성화되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오프시킬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오프 되어 있을 때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온 대기 상태로 전환시키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온 대기 상태에서 활성화되고 디스플레이 패널에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다.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온 대기 상태로 전환된 후 미리 정해진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온시킬 수 있다.
상기 반사 모듈은,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반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반사판 중 적어도 하나는, 볼록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카메라가 반사 모듈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1위치에서 저해상도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저해상도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카메라가 외부로 노출되는 제2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카메라 및 상기 반사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고;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제2위치에서 고해상도 영상을 촬영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제2위치에서 촬영한 고해상도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카메라 및 상기 반사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카메라의 노출 정도에 관한 모드의 선택을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의 노출 정도에 관한 모드는, 상기 사용자가 존재할 때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하는 제1모드 및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저해상도 영상과 상기 고해상도 영상을 포함하는 외부 영상을 촬영할 수 없는 제2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제2모드의 선택이 수신되면, 상기 카메라가 상기 외부 영상을 촬영할 수 없는 제3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카메라 및 상기 반사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제2모드의 선택이 수신되면, 상기 카메라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저해상도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 결과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온 시키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고해상도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 결과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오프 시키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저해상도 영상을 처리하는 카메라 제어부와 상기 고해상도 영상을 처리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활성화시키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사용자가 존재할 때에는 상기 카메라 제어부에서 상기 메인 제어부로 웨이크업(wake-up)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메인 제어부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카메라가 반사 모듈의 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영상을 촬영하여 사용자의 존재를 감지하고, 사용자가 존재하면 카메라를 외부로 노출시켜 영상을 촬영하게 함으로써,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저해상도 영상과 고해상도 영상을 촬영하여 사용자 감지와 카메라 관련 기능의 수행에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카메라가 노출되는 정도를 선택하게 함으로써 사용자 별 성향에 맞게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예시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반사 모듈과 카메라의 상대적인 위치에 대한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카메라와 반사 모듈을 모두 이동시킬 수 있는 경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카메라와 반사 모듈을 모두 이동시킬 수 있는 경우에 카메라와 반사 모듈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반사 모듈만 이동시킬 수 있는 경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반사 모듈만 이동시킬 수 있는 경우에 카메라와 반사 모듈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카메라가 촬영 가능한 제1영상의 예시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카메라가 촬영 가능한 제2영상의 예시이다.
도 17 및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카메라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될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별도로 마련하는 경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가 제2위치에서 고해상도 영상을 촬영한 이후의 동작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모드의 선택을 입력 받는 경우에 관한 순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제어한다고 할 때, 이는 해당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직접 제어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어떤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 사이의 또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제어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 때, 구성요소들 사이에 전달되는 신호는 각각 다를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전달 또는 전송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여 이 구성요소를 통해 전달 또는 전송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으며, 전달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의 형태가 변경되는 것도 가능하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제1", "제2"와 같은 서수의 표현은 복수의 구성요소, 정보 또는 값을 서로 구분하기 위한 것일 뿐, 이들 사이의 순서를 정의하는 것은 아니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예시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관은 각종 부품이 내장되거나 이를 지지하는 프레임(101)과 영상이 표시되는 스크린(S)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레임(101)은 베젤, 전방 샤시 및 후방 샤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스크린(S)은 프레임(101)에 의해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영상을 출력하는 표면에 해당한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영상을 출력하는 방향, 즉 +x 방향을 전방이라 하기로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이라 하기로 한다. 또한, +z 방향을 상방이라 하기로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하방이라 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에 노출될 수 있는 반사 모듈(111)과 카메라(1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예시에 따라, 반사 모듈(111)은 고정되고 카메라(112)만 움직일 수도 있고, 반사 모듈(111)과 카메라(112)가 모두 움직일 수도 있으며, 카메라(112)는 고정되고 반사 모듈(111)만 움직이는 것도 가능하다. 각각의 예시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의 예시는 반사 모듈(111)은 고정되고 카메라(112)만 움직이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반사 모듈(11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부에 노출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고, 카메라(11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 모듈(111)의 후방에 위치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 모듈(111)의 위쪽으로 노출될 수 있다. 즉, 카메라(112)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1의 위치 또는 도 2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도 3 및 도 4의 예시와 같이, 반사 모듈(111)과 카메라(112)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부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반사 모듈(11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부에 노출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고, 카메라(1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 모듈(111)의 후방에 위치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 모듈(111)의 아래쪽으로 노출될 수 있다. 즉, 카메라(112)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3의 위치 또는 도 4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반사 모듈과 카메라의 상대적인 위치에 대한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의 도면은 xz 평면과 평행한 측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반사 모듈(111), 반사 모듈(111)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1위치에서 제1영상을 획득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위치에서 제2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112), 카메라(112) 또는 반사 모듈(111)을 이동시키는 구동부(113), 카메라(112)가 제1위치에서 촬영한 제1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존재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카메라(112)가 제2위치에 위치하도록 카메라(112) 및 반사 모듈(111)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기 위해 구동부(113)를 제어하는 제어부(120) 및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130)를 포함한다.
반사 모듈(111)은 반사판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방으로부터 들어오는 빛을 반사 모듈(111)의 후방에 위치하는 카메라(112)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 모듈(111)은 두 개의 반사판(111a, 111b)을 포함할 수 있고, 두 개의 반사판(111a, 111b)은 수평면, 즉 xy 평면으로부터 45도 기울어진 상태로 서로 평행하게 장착될 수 있다. 반사 모듈(111)의 하우징(111c)이 두 개의 반사판(111a, 111b)을 지지할 수 있다.
카메라(112)는 반사 모듈(111)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1위치와 반사 모듈(111)의 후방에 위치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위치에 있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는 카메라(112)가 이동할 수도 있고 반사 모듈(111)이 이동할 수도 있으며, 카메라(112)와 반사 모듈(111)이 모두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카메라(112)의 제1위치와 제2위치는 반사 모듈(111)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낸다. 즉, 카메라(112)가 제1위치에 있는지 제2위치에 있는지 여부는 카메라(112)와 반사 모듈(111)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카메라(112)와 반사 모듈(111) 중 어느 것이 이동하는지와 무관하게 카메라(112)가 제1위치에 있으면, 반사 모듈(112)의 후방에 위치하여 반사 모듈(111)로부터 전달되는 빛에 의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카메라(112)가 제2위치에 있으면, 반사 모듈(112)의 후방에 위치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에 노출되어 반사 모듈(111)을 통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방으로부터 직접 입사되는 빛에 의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구동부(113)는 반사 모듈(111) 또는 카메라(112)를 이동시킬 수 있는 각종 구조물과 해당 구조물에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구동부(113)는 반사 모듈(111) 또는 카메라(112)를 상하방향 즉,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는, 사용자가 감지되기 전에는 카메라(112)가 제1위치에서 제1영상을 촬영하고, 사용자가 감지되면 카메라(112)가 제2위치에서 제2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20)는 카메라(112)가 제1위치에 있을 때 촬영한 제1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존재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카메라(112)가 제2위치에 위치하도록 카메라(112) 및 반사 모듈(111)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기 위해 구동부(113)를 제어할 수 있다.
카메라(112)가 이동하는 예시에서는 제어부(120)가 카메라(112)를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이동시켜 카메라(112)가 반사 모듈(111)의 후방에 위치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게 할 수 있고, 반사 모듈(111)이 이동하는 예시에서는 제어부(120)가 반사 모듈(111)을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이동시켜 반사 모듈(111)이 카메라(112)를 가리지 않게 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카메라(112)가 제1위치에 있을 때 촬영한 제1영상에 객체 인식 알고리즘과 같은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존재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20)는 미리 정해진 특징을 갖는 객체가 인식되면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특징은 인체의 형상이 갖는 특징과 동일 또는 유사한 특징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인체의 형상과 무관하게 이전 영상에 존재하지 않았던 객체가 인식되면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도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인식된 객체가 미리 정해진 기준 시간 이상 연속적으로 인식되는 경우에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대응되는 객체가 미리 정해진 기준 시간 이상 연속적으로 인식되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때의 기준 시간과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때의 기준 시간은 상이할 수도 있고, 동일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전술한 동작 및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나 프로세서가 복수 개 마련되는 경우에는, 이들이 하나의 칩 상에 집적되는 것도 가능하고,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것도 가능하다.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바, 여기서 사용자의 입력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온/오프, 채널 변경, 화면 조정,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설정 변경, 볼륨 조정 등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종류의 입력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프레임(101)에 버튼 또는 터치 패드 타입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리모트 컨트롤러에 마련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제스쳐나 표정을 이용하여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카메라(112)가 입력부(13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카메라(112)의 노출 정도에 관한 선택도 입력 받을 수 있고, 제어부(120)는 카메라(112)의 노출 정도에 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구동부(113)를 제어하여 카메라(112)의 위치를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로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로 하여금 카메라(112)의 노출 정도를 선택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성향에 맞게 적절한 프라이버시 보호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반사 모듈(111)은 고정되어 있고, 카메라(112)가 이동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반사 모듈(111)의 일부는 프레임(101) 내부에 고정되고 다른 일부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부에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반사 모듈(111)의 두 개의 반사판(111a, 111b)은 xy 평면으로부터 45도 기울어진 상태로 서로 평행하게 고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방으로부터 빛이 입사되는 제1반사판(111a)을 볼록한 형태로 구현하면, 제1영상의 화각을 확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반사판(111a)을 부채꼴 형상으로 구현하고 볼록하게 구부린 상태로 하우징(111c)에 장착할 수 있다.
전방 개구(111d)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방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이 제1반사판(111a)에 반사되어 제2반사판(111b)에 입사되고, 제2 반사판(111b)에 반사된 빛이 후방 개구(111e)를 통해 반사 모듈(111)의 후방으로 출사될 수 있다. 반사 모듈(111)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부에 노출되는 높이는 이러한 빛의 이동 경로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카메라(11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방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카메라(112)가 제1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카메라(112)는 제1위치에 있을 때 프레임(101)의 내부에 위치하는 동시에 반사 모듈(111)의 후방에 위치한다.
또한, 카메라(112)는 제1위치에 있을 때 반사 모듈(111)의 후방 개구(111e)에 대응되는 위치, 즉 반사 모듈(111)의 후방 개구(111e)를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112)가 제1위치에 있으면, 반사 모듈(111)을 통해 입사되는 빛에 의해 영상을 생성할 수 있고, 당해 실시예에서는 이 영상을 제1영상이라 하기로 한다.
한편, 프레임(101)이 베젤인 경우에는 베젤 내부에 반사 모듈(111)이 배치되는 공간과 카메라(112)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프레임(101)이 전방 샤시 또는 후방 샤시인 경우에는 전방 샤시 또는 후방 샤시에 공간을 형성하거나, 전방 샤시 또는 후방 샤시를 구성하는 구조물들 사이의 비어있는 공간을 활용할 수도 있다.
도 7은 카메라(112)가 제2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카메라(112)는 제2위치에 있을 때 프레임(101)의 외부에 노출되는 동시에 반사 모듈(111)보다 위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카메라(112)가 제2위치에 있으면, 반사 모듈(111)을 통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방으로부터 직접 입사되는 빛에 의해 영상을 생성할 수 있고, 당해 실시예에서는 이 영상을 제2영상이라 하기로 한다.
제어부(120)는 카메라(112)의 위치를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바꾸기 위해 구동부(113)를 제어하여 카메라(112)를 위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카메라(112)의 위치를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바꾸기 위해 구동부(113)를 제어하여 카메라(112)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는 외부 영상을 촬영할 수 없는 제3위치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외부 영상이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를 촬영한 영상,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방을 촬영한 영상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제1영상 및 제2영상이 외부 영상에 포함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12)는 제3위치에 있을 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 즉 프레임(101)의 내부에 위치하고 반사 모듈(101)보다 아래쪽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반사 모듈(101)의 후방 개구(111e)에 대응되지 않는 위치에 위치함으로써 반사 모듈(101)을 통해 입사되는 빛을 수신할 수 없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 영상을 촬영할 수 없게 된다.
카메라(112)가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에 있는 경우에, 제어부(120)는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를 제3위치로 바꾸기 위해 구동부(113)를 제어하여 카메라(112)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의 예시에서는 반사 모듈(111)과 카메라(112)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부에 마련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반사 모듈(111)과 카메라(112)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부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제어부(120)가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를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바꾸기 위해 구동부(113)를 제어하여 카메라(112)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를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바꾸기 위해 구동부(113)를 제어하여 카메라(112)를 위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를 제3위치로 바꾸기 위해서는 구동부(113)를 제어하여 카메라(112)를 더 위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 카메라(112)와 반사 모듈(111)이 모두 이동 가능한 예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카메라와 반사 모듈을 모두 이동시킬 수 있는 경우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10 내지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카메라와 반사 모듈을 모두 이동시킬 수 있는 경우에 카메라와 반사 모듈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동부(113)는 카메라(112)를 이동시키는 카메라 구동부(113a)와 반사 모듈(111)을 이동시키는 반사모듈 구동부(11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2)는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를 제1위치, 제2위치 또는 제3위치로 바꾸기 위해 카메라 구동부(113a)를 제어하여 카메라(112)를 이동시키거나 반사모듈 구동부(113b)를 제어하여 반사 모듈(111)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카메라(112)와 반사 모듈(111)을 이동시키는 다양한 예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2의 예시에서는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제2위치에서 제3위치로 바뀌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바뀌거나, 제1위치에서 제3위치로 바뀌거나, 제3위치에서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로 바뀌는 등 다양한 순서에 따라 상대적인 위치가 바뀔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의 예시를 참조하면,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가 제1위치일 때 카메라(112)와 반사 모듈(111)의 위치는 앞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고,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가 제2위치일 때 카메라(112)와 반사 모듈(111)의 위치는 앞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가 제3위치일 때, 반사 모듈(111)은 제1반사판(111a)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빛이 입사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 즉, 프레임(10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반사판(111a)이 전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카메라(112) 역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를 제2위치에서 제3위치로 바꾸기 위해 카메라 구동부(113a)와 반사모듈 구동부(113b)를 제어하여 카메라(112)와 반사 모듈(111)을 모두 아래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반사 모듈(111)을 통해 들어오는 빛이 없으므로, 카메라(112)는 반사 모듈(111)의 후방에 위치해도 무방하다. 따라서, 전술한 도 8의 예시와 비교하여 카메라(112)의 이동 경로를 짧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카메라(112)의 위치를 제1위치에서 제3위치로 바꾸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제어부(120)가 카메라(112)는 이동시키지 않고 반사모듈 구동부(113b)를 제어하여 반사 모듈(111)만 아래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1의 예시를 참조하면,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가 제1위치일 때 카메라(112)와 반사 모듈(111)의 위치는 앞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고,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가 제3위치일 때 카메라(112)와 반사 모듈(111)의 위치는 앞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가 제2위치일 때, 반사 모듈(11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 즉, 프레임(101)의 내부에 위치하고, 카메라(11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반사 모듈(111)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에 위치하므로 카메라(11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로 노출되기만 하면 되고, 도 10의 예시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로 노출된 반사 모듈(111)의 높이만큼 카메라(112)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단으로부터 이격시키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레임(101)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제어부(120)는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를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바꾸기 위해 카메라 구동부(113a)를 제어하여 카메라(112)는 위쪽으로 이동시키고, 반사모듈 구동부(113b)를 제어하여 반사 모듈(111)은 아래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카메라(112)의 위치를 제2위치에서 제3위치로 바꾸기 위해 카메라 구동부(113a)를 제어하여 카메라(112)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를 제1위치에서 제3위치로 바꾸거나,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바꾸거나, 제3위치에서 제1위치로 바꾸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카메라의 상대적인 위치를 제1위치에서 제3위치로 바꾸기 위해 카메라(112)는 이동시키지 않고 반사모듈 구동부(113b)를 제어하여 반사 모듈(111)만 아래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카메라의 상대적인 위치를 2위치에서 제1위치로 바꾸기 위해 반사모듈 구동부(113b)를 제어하여 반사 모듈(111)은 위쪽으로 이동시키고, 카메라 구동부(113a)를 제어하여 카메라(112)는 아래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카메라의 상대적인 위치를 제3위치에서 제1위치로 바꾸기 위해 카메라(112)는 이동시키지 않고 반사모듈 구동부(113b)를 제어하여 반사 모듈(111)만 위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2의 예시를 참조하면,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가 제1위치 및 제2위치일 때의 카메라(112)와 반사 모듈(111)의 위치는 앞서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고,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가 제3위치일 때의 카메라(112)와 반사 모듈(111)의 위치는 앞서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따라서,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가 제1위치, 제2위치 및 제3위치일 때의 카메라(112)와 반사 모듈(111)의 각각의 위치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120)는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를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바꾸기 위해 카메라 구동부(113a)를 제어하여 카메라(112)를 위쪽으로 이동시키고 반사모듈 구동부(113b)를 제어하여 반사 모듈(111)은 아래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카메라의 상대적인 위치를 제1위치에서 제3위치로 바꾸기 위해 반사 모듈(111)은 이동시키지 않고, 카메라 구동부(113a)를 제어하여 카메라(112)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반사 모듈(111)의 일부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로 노출되어 후방 개구(111e)를 통해 빛이 출사되기 때문에 제어부(120)는 카메라(112)를 후방 개구(111e)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전술한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12)와 반사 모듈(111)이 모두 이동 가능한 예시에서도 카메라(112)와 반사 모듈(111)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부에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다. 카메라(112)와 반사 모듈(111)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부에 마련되는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카메라(112)와 반사 모듈(111)의 이동 방향이 반대로 바뀔 수 있다.
한편, 외부 영상의 촬영을 막기 위해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는 바꾸지 않고 카메라(112)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전술한 도 8, 도 10 내지 12의 예시에서 제어부(120)는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를 제3위치에 두지 않고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에서 카메라(112)의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반사 모듈만 이동시킬 수 있는 경우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반사 모듈만 이동시킬 수 있는 경우에 카메라와 반사 모듈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구동부(113)는 반사모듈 구동부(113b)를 포함하고 제어부(120)는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를 바꾸기 위해 반사모듈 구동부(113b)를 제어하여 반사 모듈(111)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카메라(112)는 이동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도 14의 예시를 참조하면, 카메라(11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부에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12)는 이동하지 않게 고정될 수 있다. 반사 모듈(111)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가 제1위치일 때에는 카메라(112)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부에 노출된 상태로 카메라(112)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반사 모듈(111)의 후방 개구(111e)가 카메라(112)와 마주보게 위치할 수 있고, 제1반사판(111a) 및 제2반사판(111b)을 거쳐 후방 개구(111e)를 통해 출사되는 빛이 카메라(112)에 입사될 수 있다. 즉, 반사 모듈(111)과 카메라(112)가 모두 외부로 노출되어 있더라도 앞서 설명한 예시들과 마찬가지로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가 제1위치일 때에는 반사 모듈(111)을 통해 입사된 빛에 의해 카메라(112)가 제1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가 제2위치일 때에는 반사 모듈(111)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에 위치한다. 카메라(112)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반사 모듈(111)이 카메라(112)의 전방에 위치하지 않으므로, 카메라(11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방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반사 모듈(111)을 통하지 않고 직접 수신하여 제2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를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바꾸기 위해, 반사모듈 구동부(113b)를 제어하여 반사 모듈(111)을 아래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반대로,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를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바꾸기 위해서는, 반사모듈 구동부(113b)를 제어하여 반사 모듈(111)을 위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카메라(112)의 외부 영상 촬영을 막기 위해 제어부(120)는 카메라(11)의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가 제1위치일 때 전원을 오프시킬 수도 있고, 제2위치일 때 전원을 오프시킬 수도 있다.
도 13 및 도 14의 예시와 같이 반사 모듈(111)만 이동시키는 경우,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 변경을 위한 제어 로직과 구동부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레임(101)으로부터 돌출되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전술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 모듈(111)만 이동 가능한 예시에서도 카메라(112)와 반사 모듈(111)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부에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다. 카메라(112)와 반사 모듈(111)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부에 마련되는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반사 모듈(111)의 이동 방향이 반대로 바뀔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가 제1위치일 때 획득되는 영상은 제1영상이고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가 제2위치일 때 획득되는 영상은 제2영상이다. 이하, 제1영상과 제2영상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카메라가 촬영 가능한 제1영상의 예시이고,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카메라가 촬영 가능한 제2영상의 예시이다.
제1영상은 카메라(112)의 전방에 반사 모듈(111)이 위치할 때 획득된 영상, 즉 반사 모듈(111)을 통해 입사된 빛에 의해 생성된 영상이고, 제2영상은 카메라(112)의 전방에 반사 모듈(111)이 위치하지 않을 때 획득된 영상, 즉 반사 모듈(111)을 통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방으로부터 직접 입사된 빛에 의해 생성된 영상이다. 따라서, 제1영상은 저해상도 영상에 해당하고 제2영상은 고해상도 영상에 해당할 수 있다.
제1영상의 해상도를 낮추기 위해 반사 모듈(111)에 포함되는 반사판(111a, 111b)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거울보다는 낮은 반사율을 가질 수 있다. 반사판(111a, 111b)의 반사율은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보호 측면과 사용자 인식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15의 예시를 참조하면, 제1영상(IL1, IL2)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방에 위치하는 객체의 형상 정도만을 인식할 수 있거나, 객체의 존재 여부 정도만을 인식할 수 있는 정도의 저해상도 영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현재의 제1영상(IL2)에 이전의 제1영상(IL1)에서 인식되지 않았던 객체(O)가 인식되면, 사용자가 등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해당 객체(O)가 미리 정해진 기준 시간동안 인식되는 경우에,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 목적 없이 그 앞을 지나가는 경우와 같은 상황에서,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가 바뀌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20)는 제1영상에서 미리 정해진 특징을 갖는 객체가 인식되면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미리 정해진 특징은 인체의 형상이 갖는 특징과 동일 또는 유사한 특징일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해당 객체가 미리 정해진 기준 시간동안 인식되는 경우에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가 제1위치일 때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20)는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를 제2위치로 변경하여 카메라(112)로 하여금 제2영상을 촬영하게 할 수 있다. 제어부(120)가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를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바꾸는 방식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가 제2위치일 때 카메라(112)가 획득하는 제2영상은 일반적인 카메라로 촬영할 수 있는 고해상도 영상일 수 있다. 제2영상의 해상도는 제스쳐 인식, 표정 인식, 사용자 인식, 영상 통화 등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행하는 카메라 관련 기능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해상도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스쳐 인식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카메라(112)가 제2위치에서 촬영한 제2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쳐를 인식하고 인식된 제스쳐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식된 제스쳐에 대응되는 동작은 채널 변경, 볼륨 조정,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온/오프 및 화면 조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사용자 인식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카메라(112)가 제2위치에서 촬영한 제2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의 계정에 로그인하여 사용자 별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제2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앞서,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를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바꾸는 예시들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제어부(120)는 카메라(112)가 제2위치에서 촬영한 제2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ㅇ로 판단되면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를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바꿀 수 있다.
전술한 동작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영상에 기초하여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의 예시에 불과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이와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예시에 따르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존재 여부에 따라서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가 달라지고 이로 인해 카메라(112)가 촬영하는 영상의 해상도가 달라질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방에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저해상도 영상을 촬영하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방에 존재할 때,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사용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을 때에만 고해상도 영상을 촬영함으로써 영상 처리를 위해 프로세서에 가해지는 로드를 줄이고, 사용자가 원하는 카메라 관련 기능은 높은 정확도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방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방에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오프시키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방에 사용자가 존재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온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실질적인 시청 여부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오프시킬 때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를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바꿀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온시킬 때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를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바꿀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카메라(112)의 노출 정도를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입력부(130)에 카메라(112)의 노출 정도와 관련된 모드에 대한 선택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12)의 노출 정도와 관련된 모드는 제1모드와 제2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모드에서는 전술한 예시들과 같이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카메라(112)가 제1위치에서 저해상도 영상을 촬영하고 사용자가 존재할 때에는 카메라(112)가 제2위치에서 고해상도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부(120)가 구동부(113)와 카메라(112)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카메라(112)가 제2위치에서 촬영한 고해상도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판단 결과,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으면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를 제2위치에서 다시 제1위치로 바꿀 수 있다.
또한, 제1모드에서는 제어부(120)가 사용자의 존재 여부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온/오프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오프 된 상태에서 카메라(112)가 제1위치에서 촬영한 저해상도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온 시키고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를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바꿀 수 있다.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온 된 상태에서 카메라(112)가 제2위치에서 촬영한 고해상도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오프 시키고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를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바꿀 수 있다.
또는, 제1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온/오프가 사용자의 제스쳐에 의해 제어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오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바뀌면, 제어부(120)는 카메라(112)가 제2위치에서 촬영한 제2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쳐를 인식하고, 사용자의 제스쳐가 미리 정해진 제스쳐에 대응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온 시킬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제스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온 시키는 동작에 맵핑되어 있는 제스쳐일 수 있다.
제2모드에서는 카메라(112)를 제3위치에 위치시키거나 카메라(112)의 전원을 오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 영상을 촬영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가 프라이버시 보호를 중요시하여 카메라 관련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2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카메라 관련 기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12)의 노출 정도와 관련된 모드에 카메라(112)가 상시 제2위치에 위치하여 고해상도 영상을 촬영하는 제3모드가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프라이버시 보호보다는 카메라 관련 기능의 사용을 더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제3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12)의 노출 정도와 관련된 모드에 카메라(112)가 상시 제1위치에 위치하여 저해상도 영상을 촬영하고,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존재 여부만 감지하고 그 결과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온/오프 제어에만 사용하는 제4모드가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사용자로 하여금 카메라의 노출 정도에 관한 다양한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함으로써, 카메라를 더 다양하게 활용하고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카메라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될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별도로 마련하는 경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20)는 카메라(112)와 관련된 동작을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121)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구동부(113)의 제어,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제1영상의 분석, 카메라(112)의 온/오프 제어 등은 카메라 제어부(121)에서 수행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122)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40)과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15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140)을 제어하는 것은 디스플레이 패널(140)에 표시될 영상의 처리를 포함하고, 반드시 디스플레이 패널(140)에 직접 신호를 보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40)이 LCD 패널인 경우, 메인 제어부(122)는 소스 신호를 처리하여 영상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140)에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영상 데이터와 제어 신호를 타이밍 제어부(Timing controller)에 전송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는 영상 데이터와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패널(140)을 구동하는 소스 구동회로와 게이트 구동회로에서 처리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제어부(122)에 타이밍 제어부가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은 카메라 제어부(121)에서 수행할 수도 있고, 메인 제어부(122)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
카메라 제어부(121)는 저해상도 영상인 제1영상을 처리하는데 사용되고, 메인 제어부(122)는 고해상도 영상인 제2영상을 처리하여 각종 카메라 관련 기능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카메라 제어부(121)는 메인 제어부(122)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용량과 성능이 낮은 메모리와 프로세서를 사용할 수 있다.
카메라(112), 구동부(113) 및 카메라 제어부(121)는 카메라 모듈(CM)을 구성할 수 있고, 메인 제어부(122), 디스플레이 패널(140) 및 스피커(150)는 본체(M)를 구성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CM)과 본체(M)는 서로 독립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고, 독립적으로 온/오프 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오프 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본체(M)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카메라 모듈(CM)에는 전원이 공급되어 카메라(112)가 온 되고, 구동부(113)가 동력을 생성할 수 있으며, 카메라 제어부(121)가 카메라(112)와 구동부(113)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카메라 모듈(CM)만 동작시키고 본체(M)는 동작시키지 않음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카메라 제어부(121)가 제1영상에 객체 인식 알고리즘과 같은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카메라 제어부(121)가 메인 제어부(122)에 웨이크업(wake-up)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메인 제어부(122)는 온 되어 제2영상의 처리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사용자의 존재 여부에 따라 온/오프되는 동작이 수행될 때, 바로 온/오프 되지 않고 온 대기 상태 및 오프 대기 상태를 거치는 것도 가능하다. 온 대기 상태와 오프 대기 상태는 메인 제어부(122)는 동작 가능한 상태로 활성화되어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40)은 오프되어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40)이 온 되는 것은 디스플레이 패널(140)이나 백라이트 광원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전압이 공급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온 대기 상태에서 사용자의 추가 입력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온 될 수 있고, 오프 대기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오프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오프되어 있는 상태에서 카메라(112)가 제1위치에서 촬영한 제1영상을 카메라 제어부(121)가 분석하여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온 대기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온 대기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해, 카메라 제어부(121)가 메인 제어부(122)에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메인 제어부(122)는 동작 가능한 상태로 활성화될 수 있다.
다만, 메인 제어부(122)는 디스플레이 패널(140)에 영상은 표시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2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제스쳐를 인식할 수 있다. 인식된 사용자의 제스쳐가 미리 정해진 제스쳐에 대응되면, 메인 제어부(122)는 본체(M)를 온 시키고 디스플레이 패널(140)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제스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온 동작에 맵핑된 제스쳐일 수 있다.
전술한 동작에 의하면,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해서 바로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체를 온 시켜 영상을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추가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 한하여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소비 전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온 되어 있는 상태에서 카메라(112)가 제2위치에서 촬영한 제2영상을 카메라 제어부(121) 또는 메인 제어부(122)가 분석하여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오프 대기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는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바뀔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오프 대기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해, 메인 제어부(122)는 디스플레이 패널(140)을 오프시켜 영상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오프 대기 상태에 있을 때, 다시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다시 디스플레이 패널(140)을 온 시켜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도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바꿀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오프 대기 상태로 전환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메인 제어부(122)도 비활성화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오프될 수 있다.
전술한 동작에 의하면,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여 바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오프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의 경과에 따라 오프 대기 상태를 거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를 더 충실히 반영함과 동시에 소비 전력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메인 제어부(122)는 서브 마이컴(sub-micom)(122a)과 메인 CPU(122b)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제어부(121)는 저해상도 영상에서의 객체 인식과 같은 간단한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MCU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제어부(121)가 제1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메인 제어부(122)의 서브 마이컴(122a)에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서브 마이컴(122a)은 메인 CPU(113b)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시함에 있어서, 전술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조와 동작에 관한 내용은 별도의 언급이 없더라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실시예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카메라(112)가 제1위치에서 저해상도 영상을 촬영하고(310), 제어부(120)가 저해상도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311),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312의 예), 카메라(112)가 제2위치에 위치하도록 카메라(112) 및 반사 모듈(111)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고(313), 카메라(112)는 제2위치에서 고해상도 영상을 촬영한다(314).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오프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바로 온 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앞서 설명한 온 대기 모드를 거치는 것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오프되어 있을 때에는 카메라 제어부(121)만 활성화시켜 저해상도 영상의 분석을 수행하게 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메인 CPU에 해당하는 메인 제어부(122)는 비활성화 상태에 두어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카메라 제어부(121)에서 메인 제어부(122)에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여 메인 제어부(122)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1위치 및 제2위치는 반사 모듈(111)에 대한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1위치에서 카메라(112)는 반사 모듈(111)의 후방에 위치하여 반사 모듈(111)을 통해 들어오는 빛을 이용하여 제1영상을 생성하고 제2위치에서 카메라(112)는 반사 모듈(111)의 후방에 위치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로 노출되어 반사 모듈(111)을 통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방으로부터 직접 입사되는 빛을 이용하여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제1영상은 저해상도 영상을 의미하고, 제2영상은 고해상도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전술한 다양한 구조 중 하나가 채용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112)의 상대적인 위치를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바꾸기 위해 제어부(120)가 카메라 구동부(113a)를 제어하여 카메라(112)만 이동시킬 수도 있고, 카메라 구동부(113a)와 반사모듈 구동부(113b)를 모두 제어하여 카메라(112)와 반사 모듈(111)을 모두 이동시킬 수도 있으며, 반사모듈 구동부(113b)를 제어하여 반사 모듈(111)만 이동시킬 수도 있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가 제2위치에서 고해상도 영상을 촬영한 이후의 동작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12)가 제2위치에서 고해상도 영상을 촬영하면(314), 제어부(120)는 고해상도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320). 고해상도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카메라 제어부(121)가 수행할 수도 있고, 메인 제어부(122)가 수행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321의 아니오), 카메라(112)가 다시 제1위치에 위치하도록 카메라(112) 및 반사 모듈(111)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킬 수 있다(322).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온 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오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바로 오프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오프 대기 상태를 거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카메라(112)가 고해상도 영상을 촬영하면, 각종 카메라 관련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해상도 영상에 기초하여 제스쳐 인식, 사용자 인식, 표정 인식 등을 수행하여 인식된 제스쳐에 대응되는 채널 변경, 볼륨 조정, 온/오프, 화면 조정 등의 기능을 수행하거나, 인식된 사용자의 계정에 로그인하거나, 인식된 표정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12)가 촬영한 고해상도 영상을 이용하여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도 있으며, 고해상도 영상을 이용하여 수행 가능한 기능의 종류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모드의 선택을 입력 받는 경우에 관한 순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는 카메라(112)의 노출 정도에 관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카메라(112)의 노출 정도에 관한 모드는 제1모드와 제2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모드는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으면 카메라(112)가 제1위치에서 저해상도 영상을 촬영하고 사용자가 존재하면 카메라(112)가 제2위치에서 고해상도 영상을 촬영하는 모드이고, 제2모드는 카메라(112)가 외부 영상을 촬영할 수 없는 모드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마련된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의 모드 선택이 입력되고(330), 제1모드가 선택되면(331의 예), 앞서 도 1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카메라(112)가 저해상도 영상을 촬영하는 동작(310)부터 사용자가 존재할 때 카메라(112)가 고해상도 영상을 촬영하는 동작(314)까지 수행될 수 있다.
제1모드가 아닌 제2모드가 선택되면(331의 아니오), 카메라(112)가 제3위치에 위치하도록 카메라(112) 및 반사 모듈(111)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킬 수 있다(332), 제3위치에 있는 카메라(11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에 위치하고 반사 모듈(111)의 후방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외부 영상을 촬영할 수 없다. 따라서, 제2모드에서는 사용자의 프라이버시가 보호될 수 있다.
도 21에서는 카메라(112)의 위치에 의해 외부 영상을 촬영할 수 없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카메라(112)의 전원을 오프시켜 외부 영상을 촬영할 수 없게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1: 반사 모듈
112: 카메라
113: 구동부
120: 제어부
130: 입력부

Claims (26)

  1. 반사 모듈;
    상기 반사 모듈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1위치에서 제1영상을 촬영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위치에서 제2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 및 상기 반사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제1위치에서 촬영한 상기 제1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존재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카메라 및 상기 반사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상은, 저해상도 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2영상은, 고해상도 영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카메라를 이동시키는 카메라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제1위치 또는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카메라 구동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카메라를 이동시키는 카메라 구동부 및 상기 반사모듈을 이동시키는 반사모듈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상기 제1위치 또는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반사 모듈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카메라 구동부 및 상기 반사모듈 구동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반사모듈을 이동시키는 반사모듈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제1위치 또는 상기 제2위치에 있도록 상기 반사 모듈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반사모듈 구동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가 외부 영상을 촬영할 수 없는 제3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카메라 및 상기 반사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위치 또는 상기 제2위치에 있는 카메라가 상기 외부 영상을 촬영할 수 없도록 상기 카메라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온시키고,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오프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모드의 선택을 수신하면, 상기 제1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1모드에서,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1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사용자가 존재할 때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2영상을 촬영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2모드의 선택을 수신하면, 상기 제2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2모드에서, 외부 영상을 촬영할 수 없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3모드의 선택을 수신하면, 상기 제3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3모드에서, 상기 사용자가 존재할 때와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2영상을 촬영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4모드의 선택을 수신하면, 상기 제4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4모드에서, 상기 사용자가 존재할 때와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1영상을 촬영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 제어부 및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제1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메인 제어부를 웨이크업(wake up)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온 되어 있을 때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오프 대기 상태로 전환시키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오프 대기 상태에서 활성화되어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에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오프 대기 상태로 전환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비활성화되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오프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오프 되어 있을 때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온 대기 상태로 전환시키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온 대기 상태에서 활성화되고 디스플레이 패널에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온 대기 상태로 전환된 후 미리 정해진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온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모듈은,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반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반사판 중 적어도 하나는,
    볼록한 형태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카메라가 반사 모듈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1위치에서 저해상도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저해상도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카메라가 외부로 노출되는 제2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카메라 및 상기 반사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고;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제2위치에서 고해상도 영상을 촬영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제2위치에서 촬영한 고해상도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카메라 및 상기 반사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카메라의 노출 정도에 관한 모드의 선택을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의 노출 정도에 관한 모드는,
    상기 사용자가 존재할 때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하는 제1모드 및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저해상도 영상과 상기 고해상도 영상을 포함하는 외부 영상을 촬영할 수 없는 제2모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모드의 선택이 수신되면, 상기 카메라가 상기 외부 영상을 촬영할 수 없는 제3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카메라 및 상기 반사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모드의 선택이 수신되면, 상기 카메라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해상도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 결과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온 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고해상도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 결과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오프 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6.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저해상도 영상을 처리하는 카메라 제어부와 상기 고해상도 영상을 처리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활성화시키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사용자가 존재할 때에는 상기 카메라 제어부에서 상기 메인 제어부로 웨이크업(wake-up)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메인 제어부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200000309A 2020-01-02 2020-01-02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8726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309A KR20210087263A (ko) 2020-01-02 2020-01-02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7/139,265 US11323612B2 (en) 2020-01-02 2020-12-31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PCT/KR2020/019310 WO2021137585A1 (en) 2020-01-02 2020-12-31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309A KR20210087263A (ko) 2020-01-02 2020-01-02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263A true KR20210087263A (ko) 2021-07-12

Family

ID=76654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309A KR20210087263A (ko) 2020-01-02 2020-01-02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23612B2 (ko)
KR (1) KR20210087263A (ko)
WO (1) WO20211375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83653A1 (en) * 2021-09-14 2023-03-16 Tdk Taiwan Corp. Driving mechanism
US20220291930A1 (en) * 2022-05-31 2022-09-15 Intel Corporation Methods, apparatu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to improve performance of a compute device by detecting a scene chang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0168B1 (ko) 1998-05-07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화 및 화상통신 기능이 있는 텔레비전
KR100908028B1 (ko) * 2004-12-23 2009-07-15 노키아 코포레이션 전자 장치들을 위한 멀티 카메라 솔루션
JP4522334B2 (ja) * 2005-07-07 2010-08-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携帯電子機器
KR101330634B1 (ko) 2005-12-05 2013-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를 갖는 텔레비젼에 대한 홈 보안애플리케이션, 및 개인 설정, 패런털 제어 및 에너지 절약제어
JP4517300B2 (ja) * 2006-01-06 2010-08-04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学習装置および学習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918094B1 (ko) 2006-12-05 2009-09-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식 영상 카메라를 구비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
US8970663B2 (en) * 2009-12-07 2015-03-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3D video conference
KR101701852B1 (ko) * 2010-12-29 2017-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8823769B2 (en) * 2011-01-05 2014-09-02 Ricoh Company, Ltd. Three-dimensional video conferencing system with eye contact
US8665304B2 (en) * 2011-03-21 2014-03-04 Sony Corporation Establishing 3D video conference presentation on 2D display
US9241133B2 (en) * 2012-02-29 2016-01-19 Logitech Europe S.A. Distributed recording of a video based on available disk space
KR101982075B1 (ko) * 2012-09-28 2019-05-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Tv 장치
KR102040288B1 (ko) * 2013-02-27 2019-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0021296B2 (en) * 2013-12-31 2018-07-10 Futurewei Technologies, Inc. Automatic rotatable camera for panorama taking in mobile terminals
KR102090491B1 (ko) * 2015-05-27 2020-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1034378B (zh) * 2017-07-06 2021-09-03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可移动的安装组件
CN111835939B (zh) * 2019-04-16 2022-06-1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摄像头结构和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37585A1 (en) 2021-07-08
US11323612B2 (en) 2022-05-03
US20210211574A1 (en)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3145B2 (en) Mobile apparatus
CN101854472B (zh) 图像拍照设备、控制图像拍照设备的方法
KR20200121151A (ko) 슬라이딩 모듈을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CN103165069B (zh) 显示控制设备和显示控制设备的控制方法
US12013265B2 (en) Infrared sensing module, terminal device, control method of terminal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EP3913460A1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for same
US11323612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4012291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KR20240056710A (ko) 화면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TW202004319A (zh) 電子組件和電子裝置
US11651750B2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multi-window operation method using same
CN111064876B (zh) 电子设备、拍摄控制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24505432A (ja)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US20220114126A1 (en) Technologies for a controller hub with a usb camera
JP7404563B2 (ja) 画像取得方法、装置と電子機器
CN115346254A (zh) 电子设备以及控制方法
US20230300451A1 (en) Flexi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camera view screen
KR10215120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40320723A1 (en) Camera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the same
US9516204B2 (en) Electronic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160003522A (ko) 이동 단말기
KR102640424B1 (ko) 결함 영역을 검출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0793295B1 (ko) 압력감지센서를 이용한 카메라 모드 제어방법 및 이를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EP4319115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isplay and camera,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WO2017094557A1 (ja) 電子機器及び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