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5657A - 오미자 당침 발효물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고혈압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미자 당침 발효물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고혈압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5657A
KR20140105657A KR1020130019283A KR20130019283A KR20140105657A KR 20140105657 A KR20140105657 A KR 20140105657A KR 1020130019283 A KR1020130019283 A KR 1020130019283A KR 20130019283 A KR20130019283 A KR 20130019283A KR 20140105657 A KR20140105657 A KR 20140105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obacillus
fermentation
extract
powder
ferm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9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철
구성회
Original Assignee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구성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구성회 filed Critical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19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5657A/ko
Publication of KR20140105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565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9Schisandraceae (Schisandr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02Antioxida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미자 당침 발효물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고혈압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오미자 당침 발효물을 대상으로 총 폴리페놀/총 플라보노이드 함량뿐만 아니라 DPPH radical 소거활성, 환원력(reducing power), ACE 저해활성, 우레아제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탁월한 항산화 및 고혈압 치료 및 예방효과를 탁월한 치료 및 예방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여 본 발명의 오미자 당침 발효물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이용한 항산화 및 고혈압의 치료 및 예방용 식품, 의약품, 외약외품 등의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오미자 당침 발효물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고혈압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조성물 {A comprising an extracts of fermented Schisandra chinensis Baillon showing anti-oxidative, anti-hypertensive activity}
본 발명은 오미자 당침 발효물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고혈압, 우레아제 관련 위질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Kwon HJ, and Park, C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bellflower and lotus root Jeonggwa addad with Omija(Sc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 Korean J. Food Preserv . 16: 53-59.
[문헌 2] Lee JS, Lee SW. 1990a. Effect of water extract in fruit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on CCl4 toxicity. Korean J. Dietary Culture . 5: 253-257.
[문헌 3] Lee JS, Lee SW. 1989. Effects of water extract of the part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on metabolism in normal rats. Korean J. Dietary Culture . 4: 253-256.
[문헌 4] Lee JS, Lee SW. 1990b. Effect of water extract in fruit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on alcohol metabolism. Korean J. Dietary Culture . 5: 259-262.
[문헌 5] Ko BS, Park SK, Choi SB, Jun DW, Choi MK, Park SM. 2004. A study on hypoglycemic effects of crude extracts of Schizandrae fructus. J. Korean Soc . Sci . Appl . Biol . Chem . 47: 258-264.
[문헌 6] Park SH, Han JH. 2004. A study of medicinal plants for applications in functional foods. 1. Effects of Schizandrae fructus on the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and blood pressure in rats. J. Korean Food Sci . Nutr . 33: 34-40.
[문헌 7] Panossian A, Wikman G. 2008. Pharmacology of Schizandra chinensis Bail.: an overview of Russian research and uses in medicine. J. Ethnopharmacol . 118: 183-212.
[문헌 8] Mok CK.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instant tea prepared from spray-dried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 grape juice mixture. Food Engineer Progress 9: 226-230.
[문헌 9] Park MS, Rim YS, Shin SC. 2006. Comparison of the properties and extracting conditions of juice preparation from Schizandra nigar . J Korean Forestry Soc 95: 453-485.
[문헌 10] Bae IY, Yoon EJ, Woo JM, Kim JS, Lee HG, Yang CB. 2002. The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wine using thefruits of Opurtia ficus - indica var. saboten; characteristics of mashes and sojue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5: 11-17.
[문헌 11] Ahn SW, Kim MH, Chung WT, Hwang B, Seong NS, Lee HY. 2000. Enhancement of alcohol fermentation yield by adding the extract of dried 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 Korean J Medicinal Crop Sci 8: 351-361.
[문헌 12] Hong SW, Kim JY, Lee BK, Chung KS. 2006. The bacterial and biological response modified enriched Chungkookja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548-553.
[문헌 13]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 181: 1199-1200.
[문헌 14] Barer, M. R., Elliott, T., Berkeley, D., Thomas, J. E. and Eastham, E. J. 1988. Cytopathic effects of Campylobacter pylori urease. J. Clin . pathol . 41: 597-604.
[문헌 15] Cushman, D. W. and Cheung, H. S. 1971. Spectrophotometric assay and properties of th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of rabbit lung. Biochem . Pharmacol . 20: 1637-1648.
[문헌 16] Ferreres, F., Gomes, D., Valent, P., Gon, R., Pio, R., Chagas, E. A., Seabra, R. M. and Andrade, P. B. 2009. Improved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cultivars: Variation of phenolics and antioxidative potential. Food Chem . 114: 1019-1027.
[문헌 17] Goodwin, C. S., Amstrong, J. A. and Marshall, B. L. 1988. Campylobacter pylori and gastric and peptic ulcer disease. Gastroenterol . 96: 615-625.
[문헌 18] Gordon, M. H. 1990. The mechanism of antioxidant action in vitro, Food antioxidants, In Hudson, B.J.F. (ed.), Elsevier Applied science , London , UK . p. 1-8.
[문헌 19] Hertog, M. G. L., Hollman, P. C. H. and Katan, M. B. 1992. Content of potentially anticarcinogenic flavonoids of 28 vegetables and 9 fruits commonly consumed in the netherlands. J. Agric . Food Chem . 40: 2379-2383.
[문헌 20] Noh, H. and Song, K. B. 2001. Isolation of a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 from Oenanthe javanica. Agric . Chem . Biotechnol . 44: 98-99.
[문헌 21] Oh, S. J., Kim, S. H., Kim, S. K., Baek, Y. J. and Cho, K. H. 1997.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the K-casein fragments hydrolysated by chymosin, pepsin and trypsin. Kor . J. Food Sci . Technol . 29: 1316-1318.
[문헌 22] Swain, T., Hillis, W. E. and Oritega, M. 1959. Phenolic constituents of Prunus domestica. 1.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 Sci . Food Agric . 10: 83-88.
[문헌 23] Weatherburn, M. W. 1967. Phenol-hypochlorite reaction for determination of ammonia. Anal . Chem . 39: 971-974.
[문헌 24] Yang, S. W., Ho, J. N., Shin, D. H., Hong, B. S. and Cho, H. Y. 2004.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elicobacter pylori urease inhibitor from Rubus coreanus Miquel. Kor . J. Soc . Food . Nutr . 33: 769-777.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Baillon)는 오미자과에 속하는 낙엽활엽 넝쿨성 식물로서 한국,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 지역에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10여종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10년 오미자의 전국 재배면적은 경작지와 임야 재배지를 합쳐 1,114 ha 인데 주요 재배지역은 지리산 지역을 중심으로 경북 35.8%, 전북 17.3%, 경남 16.2%를 차지하고 있으며 총 생산량은 3,684 M/T이다. 오미자는 복분자, 더덕 다음으로 많은 재배면적을 확보하고 있는 주요한 약용작물 중 하나이다.
오미자는 품종과 재배환경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단맛, 신맛, 쓴맛, 매운맛, 짠맛이 조화를 이룬 다섯가지 맛이 난다고 하여 그 명칭이 유래되었다(Kwon and Park, 2009; Cho et al., 2010). 특히 오미자의 붉은색은 anthocyanin에 기인하며 가공식품에 적용되어 천연의 붉은색을 부여하기도 한다(Lee and Lee, 1990a). 한의학에서 오미자는 거담, 자양 및 강장의 효과가 있고(Lee and Lee, 1989; Lee and Lee, 1990b), 당뇨병 예방과 치료(Ko et al., 2004), 혈압강하(Park and Han, 2004), 항스트레스, 항간독성, 항염증, 항암 및 항산화효과 (Panossian and Wikman, 2008)등의 생리활성 기능 등이 보고되었다.
한편 이들은 모두 오미자 추출물에 대한 생리활성 분석으로서 자금까지 연구되어 왔으며 오미자 발효물질의 생리활성을 연구한 결과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는 오미자의 경우 과실자체에 발효성 당이 거의 없기 때문이며, 가정에서도 단순히 소주 등의 술에 오미자 열매를 담근 상태에서 오미자를 침출시켜 많이 음용해 왔다. 이것을 오미자주라 하여 약용주로 활용되어 왔는데, 제조가 용이하고 붉은색이 나타내는 기호도면에서 선호되는 반면 오미자가 지니고 있는 다양한 기능성을 충분히 이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발효라는 공정을 거치게 되면 첨가물의 처리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어려움이 있으나 미생물의 분해 작용을 통해 새로운 기능성 성분의 생성과 독성의 감소, 풍미의 향상 및 저장성 향상, 식물섬유소의 활성 증진 등 많은 장점을 가지므로 식품에 발효공정을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Mok, 2005; Park et al., 2006).
이처럼 과실을 이용한 발효의 경우에는 오래전부터 주로 발효성 당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과실을 발효시켜 술로 많이 이용되어 왔으며(Bae et al., 2002), 탄소원이 부족할 경우에는 발효원료에 설탕, 전분 등 탄소원을 첨가하여 발효시켜왔다. 더욱이 최근 들어 발효과정을 통하여 생성되는 유기산 및 분해산물들이 건강에 도움을 준다는 연구들이 보고되면서 발효식품의 인기는 점점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Ahn et al., 2000; Hong et al., 200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오미자의 열수추출물을 이용하여 일정량의 당을 첨가한 다음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를 유도함으로서 나타나는 생리활성에 대하여 조사함으로서 항산화활성, 항고혈압활성 등의 생리기능성이 발효하기 전보다 발효한 후에 유효한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인체 내에서 위염, 위암 등의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유해세균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 균주가 생산하는 효소인 우레아제(urease)에 대한 오미자 발효물이 우레아제 저해제 (urease inhibitor)로서의 가능성이 제시되었으므로 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그러나 상기문헌의 어디에도 당침된 오미자를 젖산균을 이용한 발효 공정을 통해 얻어진 오미자 당침 발효물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에 관한 기술내용이 개시되거나 교시된 바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오미자 가공식품 연구의 일환으로 발효방법에 따른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수행하였고 또한 오미자 당침액에 젖산균을 이용한 발효 공정을 통해 얻어진 오미자 당침 발효물을 대상으로 총 폴리페놀/총 플라보노이드 함량뿐만 아니라 DPPH radical 소거활성, 환원력(reducing power), ACE 저해활성, 우레아제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탁월한 항산화 및 고혈압 치료 및 예방효과를 탁월한 치료 및 예방효과를 나타내는 오미자 당침 발효물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미자 당침 발효물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고혈압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오미자 당침 발효물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고혈압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오미자 당침 발효물 분말은 오미자 시료 및 설탕, 포도당, 과당, 말토오스, 솔비톨, 자일리톨, 말티톨 등의 당알코올; 말토올리고당, 프락토올리고당, 갈락토올리고당 등의 올리고당으로부터 선택된 당을 일정 배합비로 배합하여 당침액을 제조하는 1단계; 상기 당침액을 약 1배 내지 20배(v/v), 바람직하게는, 약 2배, 5배, 또는 10배(v/v)로 각각 증류수로 희석하는 제 2단계; 상기 희석 당침액을 발효용 시료로 하여 건조 및 멸균 상태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13093,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Lactobacillus brevis) HLJ59,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 (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 (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바실러스 카세이 (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퍼멘툼 (Lactobacillus fermentum) 스트렙토코크스 써모필루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 또는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균주를 이용한 발효를 수행하는 2단계 공정을 통하여 수득한 오미자 당침 발효물 분말,
보다 바람직하게는, 오미자 시료와 당을 일정 배합비, 5 내지 1: 1 내지 5 중량비(w/w),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 1 내지 3 중량비(w/w)로 배합하여 당침액을 제조하는 1단계; 상기 당침액을 약 2배, 5배, 또는 10배(v/v)로 각각 증류수로 희석하는 제 2단계; 상기 희석 당침액을 멸균 온도 70~120℃, 바람직하게는,80~90℃에서 멸균시간 10분 내지 내지 6시간, 바람직하게는 20분 내지 1시간 동안 멸균하고 활성화시킨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13093,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Lactobacillus brevis) HLJ59,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 (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 (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바실러스 카세이 (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퍼멘툼 (Lactobacillus fermentum) 스트렙토코크스 써모필루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 또는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균주,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13093, 및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Lactobacillus brevis) HLJ59 혼합균주를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5 내지 1의 배합비(v/v),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3 내지 1의 배합비(v/v)호 배합하여 시료 분말대비 0.1~20%, 바람직하게는, 1~10%, 보다 바람직하게는, 2~8%(v/v)로 접종하고, 발효 온도 1~50℃, 바람직하게는,10~45℃, 보다 바람직하게는, 20~40℃에서 수분함유 상대습도 20~90%, 바람직하게는, 40~8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70%로, 발효시간 1시간 내지 1개월, 바람직하게는 1일 내지 14일 동안 락토바실리 (Lactobacilli) MRS broth (Difco, Sparks, USA) 등의 발효 배지에 접종하에 1 내지 10회,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회 발효하여 발효물을 얻은 제 3단계; 및 상기 3단계의 발효물을 멸균한 후 건조하고 분말화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통하여 수득한 오미자 당침 발효물 분말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오미자 당침 발효물 분말 추출물은 본원에서 정의되는 발효 오미자 분말을 당업계에 통상적인 추출방법으로 제조된 추출물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상기 추출물은 물, 주정,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극성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물 및 주정 혼합용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20 내지 90% 물 및 주정 혼합용매에 가용한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오미자 당침 발효물 분말 시료 중량의 약 1 내지 100배,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20배에 달하는 부피의 물, 주정,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극성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물 및 주정 혼합용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20 내지 90% 물 및 주정 혼합용매를 가하고 2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에서 약 1 내지 72시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2시간 동안에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바람직하게는 열수 추출하여 추출한 후 감압여과 및 농축하여 본 발명의 오미자 당침 발효물 분말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오미자 당침 발효물에 대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 변화뿐만 아니라 DPPH radical 소거활성, 환원력(reducing power), ACE 저해활성, 우레아제(ure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탁월한 항산화능 및 고혈압의 치료 및 예방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항산화, 항고혈압 활성을 나타내는 오미자 당침 발효물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오미자 당침 발효물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고혈압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분말을 0.1 내지 99% 중량으로 포함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질환의 종류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미자 당침 발효물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미자 당침 발효물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분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외용제제에는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미자 당침 발효물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01 mg/kg 내지 10 g/kg으로, 바람직하게는 1 g/kg 내지 5 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미자 당침 발효물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혈압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따라서, 또한, 본 발명은 항산화 및 고혈압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갖는 상기 오미자 당침 발효물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식품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항산화 및 고혈압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캔디류의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미자 당침 발효물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은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인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식품 제품, 식료품, 식이 보충제, 영양 보충제, 또는 식품 제품용 또는 식료품용 보충 조성물을 포함한다.
따라서,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기능성 식품이 식품 제품, 식료품, 식이 보충제, 영양 보충제, 또는 식품 제품용 또는 식료품용 보충 조성물인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기능성 식품은 식이 보충제, 영양 보충제, 또는 식품 제품용 또는 식료품용 보충 조성물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식품 제품은 인간 또는 동물이 섭취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식품 또는 사료를 의미한다.
식품 제품은 제조되고 포장된 식품(예를 들어, 마요네즈, 샐러드 드레싱, 빵 또는 치즈 식품) 또는 동물 사료 (예를 들어, 압출되고 펠렛화된 동물 사료, 조질의 혼합된 사료 또는 애완 동물 사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식료품은 인간 또는 동물 소비에 맞춘 임의의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용어 식이 보충제는 단일 또는 다중 투여 단위로 포장된 인간 또는 동물의 규정식을 보충하기 위한 소량의 화합물을 의미한다. 식이 보충제는 일반적으로 상당한 양의 칼로리를 제공하지는 않지만 다른 미세영양분(예를 들어, 비타민 또는 무기물)을 함유할 수 있다. 용어 영양 보충제는 칼로리 공급원과 조합된 식이 보충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일부 양태에서, 영양 보충제는 식사 대용물 또는 보충제(예를 들어, 영양 또는 에너지 바 또는 영양 음료 또는 농축물)이다.
식품 제품 또는 식료품은, 예를 들어 음료, 예컨대 비-알콜성 및 알콜 음료, 및 음료수와 액체 제품에 첨가되는 액체 제제이고, 비-알콜성 음료는 예를 들어 청량 음료, 스포츠 음료, 과일 쥬스, 예를 들어 오렌지 쥬스, 사과쥬스 및 그레이프프루트 쥬스; 레모네이드, 차, 니어워터 음료 및 우유 및 다른 낙농 음료, 예를 들어 요구르트음료, 및 다이어트 음료이다. 다른 양태에서, 식품 제품 또는 식료품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고체 또는 반-고체 식품을 의미한다. 이들 형태는 비제한적으로 구워진 제품, 예를 들어 케이크 및 쿠키, 푸딩, 낙농제품, 과자, 스낵 식품, 또는 냉동된 과자 또는 신상품(예를 들어, 아이스크림, 밀크 쉐이크), 조제된 냉동 식사, 캔디, 스낵 제품(예를 들어, 칩), 액체 제품, 예를 들어 스프, 스프레드, 소스, 샐러드 드레싱, 조제된 고기 제품, 치즈, 요구르트 및 다른 임의의 지방 또는 오일 함유 식품, 및 식품 성분(예를 들어, 밀가루)을 포함한다. 용어 식품 제품 또는 식료품은 또한 기능성 식품 및 조제된 식품 제품을 포함하고, 후자는 인간의 소비를 위해 승인된 임의의 미리 포장된 식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기 분말 및 이의 추출물은 목적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분말 및 이의 추출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ml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이 보충제는 임의의 적합한 형식으로 전달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식이 보충제는 경구 전달을 위해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이 보충제의 성분은 경구 소비를 위해 허용되는 부형제 및/또는 담체에 함유되어 있다. 담체, 및 이에 따른 식이 보충제 그 자체의 실제 형태는 중요하지 않다. 담체는 액체, 젤, 젤캡, 캡슐, 분말, 고체 정제(코팅되거나 또는 코팅되지 않음), 차 등일 수 있다. 식이 보충제는 바람직하게는 정제 또는 캡슐의 형태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경질 (껍질) 캡슐의 형태이다. 적합한 부형제 및/또는 담체는 말토덱스트린, 탄산 칼슘, 인산 이칼슘, 인산 삼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덱스트로스, 쌀 가루,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크로스카멜로즈 나트륨, 나트륨 전분 글리콜레이트, 크로스포비돈, 수크로스, 식물성 검, 락토스, 메틸셀룰로스, 포비돈, 카복시메틸셀룰로스, 옥수수 전분 등(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담체는 탄산 칼슘,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말토덱스트린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통상적인 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성분 및 부형제 및/또는 담체를 혼합하고, 바람직한 형태로 성형한다. 본 발명의 정제 또는 캡슐을 약 6.0 내지 7.0의 pH에서 용해되는 장내 코팅으로 코팅시킬 수 있다. 소장에서는 용해되지만 위장에서는 용해되지 않는 적합한 장내 코팅은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이다. 제형화하고 투여하기 위한 기술에 대한 추가의 상세한 설명은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Maack Publising Co., Easton, PA)]의 최신 판본에서 발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분말 및 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미자 당침액에 젖산균을 이용한 발효 공정을 통해 얻어진 오미자 당침 발효물을 대상으로 총 폴리페놀/총 플라보노이드 함량뿐만 아니라 DPPH radical 소거활성, 환원력(reducing power), ACE 저해활성, 우레아제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탁월한 항산화 및 고혈압 치료 및 예방효과를 탁월한 치료 및 예방효과를 나타내는 오미자 당침 발효물을 발견하여 고혈압 치료 및 예방효과를 나타내는 식품, 의약품, 외약외품 등의 조성물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오미자 당침 발효액의 제조
1.1. 균주의 선발 및 배양
본 실험에 사용한 균주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 (KCTC)와 분리균주로서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13093 및 Lactobacillus brevis HLJ59를 사용하였으며, Lactobacilli MRS broth (288130, Difco, Sparks, USA)에 접종하고 37℃에서 24시간 2회 계대배양하여 균주를 활성화 시킨 후 사용하였다.
1.2. 오미자 당침 발효액의 제조
오미자는 2012년 경상북도 문경의 농가로부터 구입하여 세척한 후 사용하였으며, 오미자 당침액의 제조를 위하여 깨끗이 세척한 오미자와 설탕을 1 : 1의 비율 (오미자 1kg : 설탕1kg)로 첨가하고 암소에서 3개월간 1주일에 한번씩 골고루 섞어주면서 침출시켜 오미자 당침액 원액으로 하였다. 발효를 위한 오미자 당침 희석액은 whatman No. 2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증류수를 이용하여 2배, 5배, 10배로 각각 희석한 오미자 당침 희석액을 85℃에서 30분간 살균처리 한 다음 활성화 시킨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13093 및 Lactobacillus brevis HLJ59 균주의 배양액을 1:1로 혼합하여 5% (v/v)로 접종하고, 30℃에서 7일간 발효한 것을 오미자 당침 발효액으로하여 본 실험에서의 시료로 사용하였다.(이하 각각, FOM1, FOM2, FOM5. FOM10라 함)
1.3. 시약
본 실험에 사용한 Folin-ciocalteau’s phenol reagent(F9252), DPPH(D9132), tannic acid(403040),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A6778), hippuril-L-histidine-L-leucine (H4884)등은 Sigma-Aldrich (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그 외의 시약은 특급 및 일급 시약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총 폴리페놀 함량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본 발명의 오미자 당침 희석액 발효물에 대한 총 폴리페놀함량 측정을 위하여 하기와 같이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Swain, T., W.E. Hillis, and M. Oritega. 1959. Phenolic constituents of Prunus domestica. 1.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 Sci . Food Agric. 10, 83-88.; ).
오미자 당침 희석액 발효물의 총 polyphenol 함량 측정은 Folin-Denis법(Swain et al., 1959)을 일부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원심분리 한 각각의 시료 50 ㎕에 2% Na2CO3 용액 1 ㎖을 가하고, Folin & Ciocalteu's phenol reagents 50 ㎕를 혼합한 다음 실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7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로는 tannic acid (Sigma co., USA)를 사용하여 시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분석하여 작성한 검량선으로부터 총 polyphenol 함량을 계산하였다.
총 페놀성 화합물은 다양한 구조와 분자량을 가진 이차대사산물로 식물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free radical을 제거함으로써 산화를 억제하여 활성산소의 소거 및 산화적 스트레스를 막아 항암, 항균, 노화방지 및 심장질환 예방을 예방하는 등의 생리활성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 많은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Ferreres et al., 2009 ; Hertog et al., 1992).
본 실험에서는 오미자 당침 희석액의 발효에 따른 총 polyphenol 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오미자 당침 희석액을 각각 2배, 5배, 10배로 희석한 것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 표 1과 같이 발효 전후의 결과를 비교하였을 때 발효하지 않은 2배, 5배, 10배 희석액의 경우 총 polyphenol 함량은 각각 107.9, 73.3 및 42.6 ㎎/㎏로 나타났으며, 발효 후에는 2배, 5배, 10배 희석액의 경우 총 polyphenol 함량은 각각 122.4, 139.1 및 63.3 ㎎/㎏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총 polyphenol 함량은 오미자 당침 희석액을 각각 발효하였을 때 그 활성이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5배 희석액의 경우가 DPPH radical 소거활성, 환원력과 마찬가지로 가장 높은 총 polyphenol 함량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보아 항산화활성에 관여하는 주요 물질은 polyphenol 계열의 물질이 주로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된다.
오미자 당침 희석액의 발효에 따른 총 polyphenol 함량 변화 (단위:㎎/㎏)
Omija juice Fermented omija juice
2배 5배 10배 2배 5배 10배
107.9±3.67 73.3±5.24 42.6±2.59 122.4±4.14 139.1±3.88 63.3±3.21
실험예 2. DPPH radical 소거활성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본 발명의 오미자 당침 희석액 발효물에 대한 DPPH radical 소거활성 측정을 위하여 하기와 같이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오미자 당침 희석액 발효물의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소거활성은 Blois (1958)의 방법을 일부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즉, 각각의 시료 200 ㎕에 DPPH 용액을 800 ㎕를 가하여 혼합한 다음 실온에서 10분간 반응 시킨 후 5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시료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차이를 비교하여 나타내었으며, 양성대조군으로 Vitamin C를 사용하였다.
DPPH는 화학적으로 안정화 된 free radical을 가지고 있는 수용성 물질로서 515~525 nm 부근에서 최대 흡광도를 가지는 보라색의 화합물로 Vitamin C, BHA, 토코페롤, 방향족 아민류 등에 의해 환원되어 짙은 보라색이 탈색됨으로서 항산화 물질의 전자공여능을 측정할 때 사용된다(Blois, 1958).
본 실험에서는 오미자 당침 희석액의 발효에 따른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오미자 당침 희석액을 각각 2배, 5배, 10배로 희석한 것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 표 2과 같이 발효 전후의 결과를 비교하였을 때 발효하지 않은 2배, 5배, 10배 희석액의 경우 DPPH radical 소거활성이 각각 51.8, 36.4 및 12.2%로 나타났으며, 발효 후에는 2배, 5배, 10배 희석액의 경우 DPPH radical 소거활성이 각각 60.3, 71.8 및 44.5%로 나타났다. 이로써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오미자 당침 희석액을 각각 발효하였을 때 그 활성이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5배 희석액의 경우가 가장 높은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2배 희석액의 경우 당 농도가 높음으로써 균주의 생육에 다소 저해를 일으킨 것으로 생각되며, 5배 희석액이 본 실험에 사용한 균주의 생육에 가장 적합한 농도라고 사료된다. 이때 실험에서의 대조군으로 사용된 Vitamin C 0.01%의 경우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84.2%로 조사되었다.
오미자 당침 희석액의 발효에 따른 DPPH radical 소거활성 변화
Vitamin -C 0.01% Omija juice Fermented omija juice
2배 5배 10배 2배 5배 10배
84.2±1.45 51.8±2.20 36.4±1.48 12.2±0.67 60.3±1.69 71.8±2.54 44.5±3.55
실험예 3. 환원력(reducing power)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본 발명의 오미자 당침 희석액 발효물에 대한 환원력(reducing power) 측정을 위하여 하기와 같이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Ferreres, F., Gomes, D., Valent, P., Gon, R., Pio, R., Chagas, E.A., Seabra, R.M., and Andrade, P.B. 2009. Improved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cultivars: Variation of phenolics and antioxidative potential. Food Chem. 114, 1019-1027).
오미자 당침 희석액 발효물의 환원력 측정은 Ferreira 등(2009)의 방법을 응용하여 측정하였다. 원심분리 한 각각의 시료 1 ㎖에 200mM 인산완충용액 (pH 6.6) 및 1% potassium ferricyanide 1 ㎖를 차례로 가한 다음 50℃에서 30분간 반응하였다. 여기에 10% TCA 용액 1 ㎖을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킨 다음 10,000 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한 후 얻은 상등액 1 ㎖에 증류수 및 ferric chloride 용액을 각 1 ㎖씩 혼합한 후 7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시료의 환원력을 흡광도 값으로 나타내었다.
환원력은 Fe3 + 이온을 Fe2 + 이온으로 환원시키는 능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환원력이 클수록 강력한 항산화제가 되는데 이러한 환원력의 정도는 항산화활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높은 환원력을 가지는 물질은 흡광도수치가 높게 나타나게 된다(Gordon, 1990).
본 실험에서는 오미자 당침 희석액의 발효에 따른 환원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오미자 당침 희석액을 각각 2배, 5배, 10배로 희석한 것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 표 3와 같이 발효 전후의 결과를 비교하였을 때 발효하지 않은 2배, 5배, 10배 희석액의 경우 환원력은 흡광도 값이 각각 0.69, 0.57 및 0.45로 나타났으며, 발효 후에는 2배, 5배, 10배 희석액의 경우 환원력은 흡광도 값이 각각 0.92, 1.19 및 0.73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환원력은 오미자 당침 희석액을 각각 발효하였을 때 그 활성이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5배 희석액의 경우가 DPPH radical 소거활성과 마찬가지로 가장 높은 환원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2배 희석액의 경우 당 농도가 높음으로써 균주의 생육에 다소 저해를 일으킨 것으로 사료된다. 이때 실험에서의 대조군으로 사용된 Vitamin C 0.01%의 경우 환원력은 흡광도 값이 1.59로 조사되었다.
오미자 당침 희석액의 발효에 따른 환원력 변화
Vitamin -C 0.01% Omija juice Fermented omija juice
2배 5배 10배 2배 5배 10배
1.59±0.21 0.69±0.08 0.57±0.06 0.45±0.07 0.92±0.09 1.19±0.04 0.73±0.10
실험예 4. ACE 저해활성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본 발명의 오미자 당침 희석액 발효물에 대한 ACE 저해활성 측정을 위하여 하기와 같이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Cushman, D.W. and H.S. Cheung. 1971. Spectrophotometric assay and properties of th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of rabbit lung. Biochemical Pharmacology. 20, 1637-1648.).
오미자 당침 희석액 발효물의 ACE 저해활성 측정은 Cushman과 Cheung의 방법 (Cushman et al., 1971)을 일부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원심분리한 상등액의 농도별 시료 100 ㎕에 100 mM sodium borate buffer (pH 8.3) 100 ㎕를 가한 후, 37℃에서 5분간 전 배양시켰다. 여기에 기질로 hippuril-L-histidine-L-leucine (HLL, Sigma, co., USA) 용액 50 ㎕를 첨가한 후, 다시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1 N HCl 250 ㎕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여기에 ethyl acetate 1 ㎖를 가하여 30초간 vortexing한 다음 3,000 rpm으로 15분간 원심분리 한 후 상등액 800 ㎕를 취하였다. 이 상등액을 120℃에서 40분간 완전히 건조 시킨 후 동일조건의 100 mM sodium borate buffer (pH 8.3) 1 ㎖을 가하여 완전히 용해 시켜 228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ACE 저해활성을 계산하였다.
ACE는 renin-angiotensin-aldosterone system의 중요한 효소물질로서 불활성형의 angiotensin-I 으로부터 C-terminal에서 dipeptide인 His-Leu를 분리시켜 가수분해 함으로서 강력한 혈관수축작용을 하는 angiotensin-II를 생성하는데, 혈압을 감소시키는 bradykinin을 불활성화 시키는 효소로서 결국 본태성고혈압의 원인이 되고 있다(Noh et al., 2001). 따라서 ACE저해제는 ACE 활성을 저해함으로서 angiotensin-II의 생성저해, aldosterone의 분비감소, 혈관확장제인 bradykinin의 증가 등의 과정을 통하여 신장혈관을 확장시켜 나트륨의 배설을 촉진시킴으로서 혈압을 낮추어 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심혈관질환 및 뇌혈관질환 등 고혈압과 관련이 깊은 질환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Oh et al., 1997).
본 실험에서는 오미자 당침 희석액의 발효에 따른 ACE 저해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오미자 당침 희석액을 각각 2배, 5배, 10배로 희석한 것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 표 4와 같이 발효 전후의 결과를 비교하였을 때 발효하지 않은 2배, 5배, 10배 희석액의 경우 ACE 저해활성이 각각 23.4, 11.6 및 4.2%로 나타났으며, 발효 후에는 2배, 5배, 10배 희석액의 경우 ACE 저해활성이 각각 47.4, 78.2 및 56.4%로 나타났다. 이로써 ACE 저해활성은 오미자 당침 희석액을 각각 발효하였을 때 그 활성이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5배 희석액의 경우가 가장 높은 ACE 저해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때 실험에서의 대조군으로는 현재 항고혈압제로서 시판되고 있는 captopril 0.01%의 경우 ACE 저해활성은 91.6%로 조사되었다.
오미자 당침 희석액의 발효에 따른 ACE 저해활성 변화
Captopril 0.01% Omija juice Fermented omija juice
2배 5배 10배 2배 5배 10배
91.6±0.83 23.4±1.05 11.6±0.21 4.2±0.66 47.4±1.57 78.2±2.26 56.4±1.42
하기에 본 발명의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FOM1 ------------------------------------------------ 20 mg
유당 ----------------------------------------------- 100 mg
탈크 ------------------------------------------------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FOM2 ------------------------------------------------ 10 mg
옥수수전분 ----------------------------------------- 100 mg
유당 -----------------------------------------------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FOM5 ------------------------------------------------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 3 mg
락토오스 ------------------------------------------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FOM10 ------------------------------------------------ 10 mg
만니톨 ----------------------------------------------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 2974 mg
Na2HPO4 ,12H2O -----------------------------------------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FOM5 ------------------------------------------------ 20 mg
이성화당 --------------------------------------------- 10 g
만니톨 ------------------------------------------------ 5 g
정제수 ------------------------------------------------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ml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FOM5 ------------------------------------------------ 1000 mg
비타민 혼합물 ------------------------------------------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 70 ㎍
비타민 E --------------------------------------------- 1.0 mg
비타민 B1 ------------------------------------------- 0.13 mg
비타민 B2 ------------------------------------------- 0.15 mg
비타민 B6 -------------------------------------------- 0.5 mg
비타민 B12 ------------------------------------------- 0.2 ㎍
비타민 C ---------------------------------------------- 10 mg
비오틴 ------------------------------------------------ 10 ㎍
니코틴산아미드 --------------------------------------- 1.7 mg
엽산 -------------------------------------------------- 50 ㎍
판토텐산 칼슘 ---------------------------------------- 0.5 mg
무기질 혼합물 ------------------------------------------ 적량
황산제1철 ------------------------------------------- 1.75 mg
산화아연 -------------------------------------------- 0.82 mg
탄산마그네슘 ---------------------------------------- 25.3 mg
제1인산칼륨 ------------------------------------------- 15 mg
제2인산칼슘 ------------------------------------------- 55 mg
구연산칼륨 -------------------------------------------- 90 mg
탄산칼슘 --------------------------------------------- 100 mg
염화마그네슘 ----------------------------------------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FOM5 ------------------------------------------------ 1000 mg
구연산 ---------------------------------------------- 1000 mg
올리고당 ---------------------------------------------- 100 g
매실농축액 ---------------------------------------------- 2 g
타우린 -------------------------------------------------- 1 g
정제수를 가하여 --------------------------------- 전체 900 ml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7)

  1. 오미자 당침 발효물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고혈압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학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미자 당침 발효물 분말은 오미자 시료 및 설탕, 포도당, 과당, 말토오스, 솔비톨, 자일리톨, 말티톨 등의 당알코올; 말토올리고당, 프락토올리고당, 갈락토올리고당 등의 올리고당으로부터 선택된 당을 일정 배합비로 배합하여 당침액을 제조하는 1단계; 상기 당침액을 1배 내지 20배(v/v)로 각각 증류수로 희석하는 제 2단계; 상기 희석 당침액을 발효용 시료로 하여 건조 및 멸균 상태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13093,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Lactobacillus brevis) HLJ59,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 (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 (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바실러스 카세이 (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퍼멘툼 (Lactobacillus fermentum) 스트렙토코크스 써모필루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 또는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균주를 이용한 발효를 수행하는 2단계 공정을 통하여 수득한 오미자 당침 발효물 분말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오미자 당침 발효물 분말은 오미자 시료와 당을 5 내지 1: 1 내지 5 중량비(w/w)로 배합하여 당침액을 제조하는 1단계; 상기 당침액을 1배 내지 20배(v/v)로 각각 증류수로 희석하는 제 2단계; 상기 희석 당침액을 멸균 온도 70~120℃, 바람직하게는,80~90℃에서 멸균시간 10분 내지 내지 6시간, 바람직하게는 20분 내지 1시간 동안 멸균하고 활성화시킨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13093,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Lactobacillus brevis) HLJ59,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 (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 (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바실러스 카세이 (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퍼멘툼 (Lactobacillus fermentum) 스트렙토코크스 써모필루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 또는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균주,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13093, 및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Lactobacillus brevis) HLJ59 혼합균주를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5 내지 1의 배합비(v/v),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3 내지 1의 배합비(v/v)호 배합하여 시료 분말대비 0.1~20%, 바람직하게는, 1~10%, 보다 바람직하게는, 2~8%(v/v)로 접종하고, 발효 온도 1~50℃, 바람직하게는,10~45℃, 보다 바람직하게는, 20~40℃에서 수분함유 상대습도 20~90%, 바람직하게는, 40~8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70%로, 발효시간 1시간 내지 1개월, 바람직하게는 1일 내지 14일 동안 락토바실리 (Lactobacilli) MRS broth (Difco, Sparks, USA) 발효 배지에 접종하에 1 내지 10회 발효하여 발효물을 얻은 제 3단계; 및 상기 3단계의 발효물을 멸균한 후 건조하고 분말화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통하여 수득한 오미자 당침 발효물 분말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미자 당침 발효물 추출물은 물, 주정,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극성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5. 오미자 당침 발효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혈압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 형태는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침출차, 건강보조 식품,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 형태인 건강기능식품.
  7. 고혈압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갖는 상기 오미자 당침 발효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20130019283A 2013-02-22 2013-02-22 오미자 당침 발효물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고혈압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201401056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283A KR20140105657A (ko) 2013-02-22 2013-02-22 오미자 당침 발효물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고혈압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283A KR20140105657A (ko) 2013-02-22 2013-02-22 오미자 당침 발효물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고혈압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657A true KR20140105657A (ko) 2014-09-02

Family

ID=51754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9283A KR20140105657A (ko) 2013-02-22 2013-02-22 오미자 당침 발효물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고혈압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565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06733A (zh) * 2014-09-30 2015-01-28 曾盛钊 一种桂木冲剂及其制备方法
KR20170049895A (ko) 2015-10-29 2017-05-11 동화약품주식회사 오미자를 이용한 스파클링 발효음료 제조방법
KR101974868B1 (ko) * 2017-11-20 2019-05-03 박병희 미강 및 오미자 혼합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WO2023191310A1 (ko) * 2022-03-29 2023-10-05 한국화학연구원 고상발효된 오미자 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노화, 항균, 항염 또는 인지 기능 개선용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06733A (zh) * 2014-09-30 2015-01-28 曾盛钊 一种桂木冲剂及其制备方法
KR20170049895A (ko) 2015-10-29 2017-05-11 동화약품주식회사 오미자를 이용한 스파클링 발효음료 제조방법
KR101974868B1 (ko) * 2017-11-20 2019-05-03 박병희 미강 및 오미자 혼합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WO2023191310A1 (ko) * 2022-03-29 2023-10-05 한국화학연구원 고상발효된 오미자 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노화, 항균, 항염 또는 인지 기능 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8309B1 (ko) 발효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09281B1 (ko) 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4010907B2 (ja) 発酵処理植物の製造方法及び乳酸発酵処理物
KR101775062B1 (ko) 혈소판 응집 저해능과 관능성이 우수한 한방 약선차
JP2020128436A (ja) 骨強化剤
KR20140105657A (ko) 오미자 당침 발효물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고혈압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101559888B1 (ko) 발효마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507704B1 (ko) 천연 식물소재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해독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50014014A (ko) 발효오디 또는 발효오디와 경옥고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0100663A (ja) タマネギ発酵物を含有する酵素阻害剤
KR101494664B1 (ko) 항산화 기능을 갖는 산수유 발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A3125104A1 (en) Kimchi for preventing or treating helicobacter pylori-associated diseases
KR101473421B1 (ko) 과민성대장증후군 개선용 조성물
JP2006182654A (ja) 体脂肪の蓄積抑制または低減剤
KR20200053016A (ko) 붓기 제거에 효과가 있는 식물성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190080218A (ko) 당근 발효 식초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1482044B1 (ko) 하수오 및 생강 발효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6256969A (ja) 血流改善剤
KR101636608B1 (ko)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JP2012006905A (ja) 美肌用組成物
JP2006265142A (ja) 体脂肪の蓄積抑制または低減剤
JP6044944B2 (ja) 新規梅加工品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機能性組成物、食品組成物、医薬組成物
KR20140105654A (ko) 발효 산약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항산화 및 고혈압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20120031706A (ko) 초고압을 이용한 더덕 추출물의 제조방법
JP2010213609A (ja) ガジュツ又はキョウオウの醗酵処理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