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1425A - 이어폰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어폰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1425A
KR20140091425A KR1020130017042A KR20130017042A KR20140091425A KR 20140091425 A KR20140091425 A KR 20140091425A KR 1020130017042 A KR1020130017042 A KR 1020130017042A KR 20130017042 A KR20130017042 A KR 20130017042A KR 20140091425 A KR20140091425 A KR 20140091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unit
portable device
data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7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2372B1 (ko
Inventor
김지환
임정빈
박시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3/856,093 priority Critical patent/US9030409B2/en
Priority to PCT/KR2013/003037 priority patent/WO2014109434A1/en
Priority to EP13870419.2A priority patent/EP2944153B1/en
Priority to CN201380070163.0A priority patent/CN104919887B/zh
Publication of KR20140091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1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5Detection of connection of loudspeakers or headphones to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을 포함하는 이어폰과 연결된 포터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은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이어폰의 좌측 유닛 및 우측 유닛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의 귀에서 이격됨을 디텍팅하는 단계,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이격된 유닛에 포터블 디바이스의 ID에 대응하는 전자기 패턴을 발생하는 단계, 및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이용하여 포터블 디바이스의 ID에 대응하여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은 디스플레이 유닛을 이용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에 근접한 이어폰을 센싱하는 단계, 전자기 패턴 센싱 유닛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에 근접한 이어폰의 전자기 패턴을 센싱하는 단계,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센싱된 전자기 패턴으로부터 이어폰이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의 ID를 획득하는 단계, 및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이용하여 획득한 외부 디바이스의 ID에 의해 식별되는 외부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어폰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earphone}
본 명세서는 데이터 송수신 디바이스에 대한 것으로, 특히 이어폰을 이용하여 제1 디바이스의 ID(identification)를 전달하고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디바이스 및 이어폰에서 발생된 신호를 이용하여 제1 디바이스를 식별하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2 디바이스에 대한 것이다.
휴대성이 높은 포터블 디바이스가 보급되면서 사용자는 외출시에도 포터블 디바이스를 소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포터블 디바이스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포터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또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고 제공받을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포터블 디바이스와 외부 디바이스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포터블 디바이스와 외부 디바이스는 블루투스 등의 무선 접속 규격을 이용하여 연결된 후 상호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연결 방식은 포터블 디바이스 및 외부 디바이스가 각각 설정 메뉴에서 상대 디바이스의 ID(identification)을 식별하고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연결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명세서는, 이어폰을 이용하여 상대 디바이스를 식별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는 복잡한 설정 메뉴를 이용하는 접속 방식 대신 이어폰을 이용하여 두 개의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방식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이어폰의 좌측 유닛 및 우측 유닛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의 귀에서 이격됨을 디텍팅하는 단계,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이격된 유닛에 포터블 디바이스의 ID에 대응하는 전자기 패턴을 발생하는 단계, 및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이용하여 포터블 디바이스의 ID에 대응하여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 유닛을 이용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에 근접한 이어폰을 센싱하는 단계, 전자기 패턴 센싱 유닛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에 근접한 이어폰의 전자기 패턴을 센싱하는 단계,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센싱된 전자기 패턴으로부터 이어폰이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의 ID를 획득하는 단계, 및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이용하여 획득한 외부 디바이스의 ID에 의해 식별되는 외부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포터블 디바이스는 이어폰을 이용하여 포터블 디바이스의 ID(Identification)를 외부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포터블 디바이스는 이어폰을 이용하여 전자기 패턴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포터블 디바이스는 전자기 패턴을 이용하여 포터블 디바이스의 ID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포터블 디바이스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포터블 디바이스는 이어폰이 사용자의 귀에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외부 디바이스에 연결되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근접한 이어폰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외부 디바이스에 연결된 이어폰의 전자기 패턴을 센싱하고, 이로부터 외부 디바이스의 ID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외부 디바이스의 ID를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이어폰에 직류 전류를 인가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자기 패턴 인식 방법 및 자기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의 위치에 대응하여 송신 데이터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사이의 데이터 송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청구하고자 하는 범위는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명세서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뮤직 플레이어, 태블릿 컴퓨터 및 노트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태블릿 컴퓨터, 키오스크, 모니터, 월(wall) 디스플레이, 뮤직 플레이어, 데스크탑 컴퓨터, 스마트 테이블, 텔레비젼 및 노트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이어폰(11)에 연결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1)에 연결된 이어폰(11)은 스테레오 사운드의 좌측 사운드를 출력하는 레프트 유닛(12-1), 스테레오 사운드의 우측 사운드를 출력하는 라이트 유닛(12-2) 및 유닛들과 포터블 디바이스(10)를 연결하는 케이블(13)을 포함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포터블 디바이스에 연결된 이어폰(11)을 이용하여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이어폰(11)의 케이블(13)을 통해 교류 전류를 유닛들(12-1,12-2)에 전달하여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이어폰에 포함된 유닛들(12-1,12-2)은 내부에 코일 및 마그넷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이어폰(11)의 유닛들(12-1,12-2)에 포함된 코일에 교류 전류를 인가하여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포터블 디바이스에 연결된 이어폰(11)을 이용하여 전자기 패턴(electromagnetic pattern)을 생성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이어폰의 케이블(11)을 통해 직류 전류를 유닛들(12-1,12-2)에 전달하여 전자기 패턴(electromagnetic pattern)을 출력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이어폰(11)의 유닛들(12-1,12-2)에 포함된 코일에 직류 전류를 인가하여 전자기 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직류 전류의 발생 주기, 지속 시간 및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켜 각각 다른 전자기 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이어폰에 직류 전류를 인가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배터리를 이용하여 이어폰에 직류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이어폰에 인가하는 직류 전류의 발생 주기, 지속 시간 및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도 2에서 세로축은 직류 전류의 세기를 나타내며 가로축은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로축의 단위는 전류의 단위인 mA가 될 수 있으며, 가로축의 단위는 시간의 단위인 단위시간 또는 msec이 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이어폰에 직류 전류를 인가하거나 차단하여 직류 전류 패턴을 발생할 수 있으며, 이어폰에 포함된 코일은 직류 전류 패턴에 따라 전자기 패턴을 발생할 수 있다.
도 2a에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1 직류 전류 패턴을 이어폰에 인가하여 제1 전자기 패턴을 발생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8 단위 시간마다 반복되는 제1 직류 전류 패턴을 발생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1 직류 전류 패턴으로서, 0에서 1 단위 시간까지, 2 단위시간에서 5 단위 시간까지 및 6 단위 시간에서 7 단위 시간까지 직류 전류를 이어폰에 인가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1 단위시간에서 2 단위 시간까지, 5 단위 시간에서 6 단위 시간까지 및 7 단위 시간에서 8 단위 시간까지는 이어폰에 대한 직류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8 단위 시간 이후에 0에서 8 단위 시간까지의 직류 전류 인가 방법을 반복하여 제1 직류 전류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직류 전류 패턴의 발생 주기는 8 단위 시간이며, 직류 전류의 지속 시간은 1 단위 시간 또는 3 단위 시간이다.
도 2b는 제1 직류 전류 패턴과 직류 전류의 발생 주기 및 지속 시간이 다른 제2 직류 전류 패턴을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에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2 직류 전류 패턴을 이어폰에 인가하여 제2 전자기 패턴을 발생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7 단위 시간마다 반복되는 제2 직류 전류 패턴을 발생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2 직류 전류 패턴으로서, 0에서 1 단위 시간까지 및 2 단위 시간에서 6 단위 시간까지 직류 전류를 이어폰에 인가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1 단위 시간에서 2 단위 시간까지 및 6 단위 시간에서 7 단위 시간까지 이어폰에 대한 직류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7 단위 시간 이후에 0에서 7 단위 시간까지의 직류 전류 인가 방법을 반복하여 제2 직류 전류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직류 전류 패턴의 발생 주기는 7 단위 시간이며, 직류 전류의 지속 시간은 1 단위 시간 또는 4 단위 시간이다.
도 2c는 제1 직류 전류 패턴과 직류 전류의 세기가 부분적으로 다른 제3 직류 전류 패턴을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c에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3 직류 전류 패턴을 이어폰에 인가하여 제3 전자기 패턴을 발생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8 단위 시간마다 반복되는 제3 직류 전류 패턴을 발생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3 직류 전류 패턴으로서, 0에서 1 단위 시간까지, 2 단위 시간에서 5 단위 시간까지 및 6 단위 시간에서 7 단위 시간까지 직류 전류를 이어폰에 인가할 수 있다. 여기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1 직류 전류 패턴과 달리, 2 단위 시간에서 5 단위 시간까지 및 6 단위 시간에서 7 단위 시간까지 인가되는 직류 전류의 세기를 제1 직류 전류 패턴의 절반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직류 전류 패턴과 구별되는 제3 직류 전류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1 단위 시간에서 2 단위 시간까지, 5 단위 시간에서 6 단위 시간까지 및 7 단위 시간에서 8 단위 시간까지 이어폰에 대한 직류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8 단위 시간 이후에 0에서 8 단위 시간까지의 직류 전류 인가 방법을 반복하여 제3 직류 전류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제3 직류 전류 패턴의 직류 전류의 세기는 부분적으로 제1 직류 전류 패턴의 절반의 세기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포터블 디바이스는 이어폰에 인가되는 직류 전류의 발생 주기, 지속 시간 및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켜 서로 다른 직류 전류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는 서로 다른 직류 전류 패턴을 이어폰에 포함된 코일에 인가함으로써 서로 다른 전자기 패턴을 발생할 수 있다. 복수의 포터블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경우, 각 포터블 디바이스는 서로 다른 전자기 패턴을 발생하여 자신의 ID를 외부 디바이스에 전달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는 서로 다른 전자기 패턴으로부터 각 포터블 디바이스의 ID를 획득하고 원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자기 패턴 인식 방법 및 자기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에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포터블 디바이스에 연결된 이어폰을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해 포터블 디바이스의 ID에 대응하는 전자기 패턴을 발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포터블 디바이스에 연결된 이어폰에서 발생된 전자기 패턴을 센싱하고 포터블 디바이스의 ID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포터블 디바이스에 연결된 이어폰의 마그넷의 자기장을 센싱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서의 이어폰의 위치를 센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센싱한 자기장은 도 3b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에 연결된 이어폰(11)은 유닛(12) 및 케이블(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폰의 유닛(12)은 마그넷(31)과 코일(32)을 포함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케이블(13)을 통해 코일(32)에 직류 전류를 인가하여 전자기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생성되는 전자기 패턴은 포터블 디바이스의 ID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터블 디바이스에 연결된 이어폰(11)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에 근접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는 이어폰의 마그넷(31)에서 발생된 자기장을 센싱하여 이어폰의 위치를 센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는 이어폰의 유닛(12)이 디스플레이 유닛(33)에 컨택트된 때, 이어폰의 유닛(12)이 디스플레이 유닛에 근접한 것으로 센싱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는 이어폰의 코일(32)에서 발생된 전자기 패턴을 센싱하여 포터블 디바이스의 ID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는 디스플레이 유닛(33), 포터블 디바이스의 전자기 패턴을 센싱하는 전자기 패턴 센싱 유닛(34) 및 이어폰의 마그넷(31)에 의한 자기장을 센싱하는 센서 유닛(35)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는 디스플레이 유닛(33)에 근접한 이어폰(11)의 전자기 패턴을 센싱하기 위해 전자기 패턴 센싱 유닛(34)의 센싱 커버리지를 디스플레이 유닛(33)의 전체 영역에 대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전자기 패턴 센싱 유닛(34)의 센싱 커버리지를 디스플레이 유닛(33)의 일부 영역에 대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33) 상에서의 이어폰(11)의 위치를 센싱하기 위해 센서 유닛(35)의 센싱 커버리지를 디스플레이 유닛(33)에 대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의 영역에 대응하는 센서 유닛(35)의 센싱 커버리지를 이용하여, 이어폰의 위치를 센싱할 수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이어폰이 센싱된 위치에 디스플레이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포터블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전송하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도 5에서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라, 전자기 패턴 센싱 유닛(34)과 센서 유닛(35)은 하나의 자기 센서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내에 지자기 센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는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이어폰의 마그넷(31)에 의한 자기장 및 코일(32)에 의한 전자기 패턴을 센싱할 수 있다.
도 3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센싱하는 자기장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에서 세로축은 자기장의 세기를 의미하며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센싱하는 자기장의 세기는 t1 구간동안 증가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에 연결된 이어폰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접근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이어폰에 포함된 마그넷에 의한 자기장을 센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이어폰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수록,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자기장의 세기가 증가함을 센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센싱하는 자기장의 세기는 t2 구간에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에 연결된 이어폰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자기장의 세기가 일정하게 유지됨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 이어폰이 컨택트된 경우, 이어폰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가 더 이상 가까워질 수 없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해 센싱되는 자기장의 세기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센싱하는 자기장의 세기는 t3 구간에서 증감을 반복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에 연결된 이어폰에 의해 전자기 패턴이 발생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발생된 전자기 패턴을 센싱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에 의해 인가된 전류의 방향 또는 세기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센싱되는 자기장의 세기는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터블 디바이스에 의해 순방향의 전류가 인가되거나 전류의 세기가 증가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센싱하는 자기장의 세기는 증가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에 의해 역방향의 전류가 인가되거나 전류의 세기가 감소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센싱하는 자기장의 세기는 감소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에 의해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 또는 세기가 일정하게 유지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센싱하는 자기장의 세기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증감하는 자기장의 세기를 센싱하여 이어폰의 전자기 패턴을 디텍팅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텍팅된 전자기 패턴에 대응하여, 이어폰이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의 ID를 획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이어폰(11)과 연결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이어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적응적으로 이어폰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이어폰(11)의 유닛이 귀에 장착된 경우 귀에 장착된 유닛을 이용하여 사운드를 출력하고, 이어폰(11)의 유닛이 귀에서 이격된 경우 귀에서 이격된 유닛을 이용하여 전자기 패턴을 발생할 수 있다.
도 4에서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이어폰(11)과 연결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이어폰(11)의 유닛들(12-1,12-2)이 사용자의 귀(40)에 장착되었는지 또는 귀에서 이격되었는지 센싱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이어폰(11)의 레프트 유닛(12-1)이 사용자의 귀(40)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이어폰(11)의 라이트 유닛(12-2)이 사용자의 손(41)에 의해 귀(40)에서 이격된 것을 센싱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사용자의 귀(40)에 장착된 레프트 유닛(12-1)에 교류 전류를 인가하여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스테레오 사운드의 좌측 사운드를 레프트 유닛(12-1)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스테레오 사운드의 좌측 사운드 및 우측 사운드를 병합하여 레프트 유닛(12-1)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레프트 유닛(12-1)만을 장착하고 있는 경우에도 스테레오 사운드의 좌측 사운드 및 우측 사운드를 청취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사용자의 귀(40)에서 이격된 라이트 유닛(12-2)에 직류 전류를 인가하여 전자기 패턴을 발생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ID에 대응되는 전자기 패턴을 라이트 유닛(12-2)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라이트 유닛(12-2)을 통해 발생된 전자기 패턴을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42)에 포터블 디바이스의 ID를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디바이스는 다른 포터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3a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42)는 획득한 포터블 디바이스의 ID에 대응하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42)는 포터블 디바이스에 연결된 이어폰의 유닛의 위치를 센싱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42)는 센싱된 이어폰의 위치에 기초하여 이어폰의 유닛(12-2)이 터치한 GUI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포터블 디바이스(10)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어폰이 외부 디바이스(42)에 디스플레이된 음악파일의 GUI(43-1)를 터치하면, 외부 디바이스(42)는 음악파일의 GUI(43-1)에 대응하는 음악파일을 포터블 디바이스(10)로 송신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42)는 포터블 디바이스(10)로 음악파일을 송신하는 방법으로 스트리밍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디바이스(42)는 포터블 디바이스로 송신되는 음악파일의 GUI(43-1)가 이어폰의 유닛(12-2)이 터치한 영역으로 이동하여 사라지는 그래픽 효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외부 디바이스(42)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수신된 데이터의 G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디바이스(42)로부터 음악파일을 수신하면, 포터블 디바이스는 수신된 음악파일의 GUI(43-2)를 디스플레이하여 데이터가 수신되었음을 인디케이트 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포터블 디바이스(10)와 이어폰(11)의 연결부분인 컨넥터에 수신된 음악 파일의 GUI(43-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수신한 음악파일의 GUI(43-2)가 이어폰 컨넥터를 통해 포터블 디바이스(10)로 입력되는 그래픽 효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외부 디바이스(42)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데이터가 시각 데이터인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이용하여 수신된 시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데이터가 청각 데이터인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는 스피커 또는 연결된 이어폰을 이용하여 수신된 청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데이터가 택타일 데이터인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는 택타일 피드백 유닛을 이용하여 수신된 택타일 데이터의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의 위치에 대응하여 송신 데이터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서 이어폰이 센싱된 위치에 대응하여 송신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는 영화 또는 애니메이션과 같은 디지털 컨텐츠(51)를 디스플레이하면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가 복수의 언어 옵션을 제공하는 영화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는 복수의 언어 옵션에 대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52,53)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는 디지털 컨텐츠(51)의 영상에 대한 언어 옵션으로 한국어를 의미하는 제1 GUI(52) 및 영어를 의미하는 제2 GUI(53)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는 제1 GUI(52)가 디스플레이된 위치에서 제1 외부 디바이스의 제1 이어폰(54)을 디텍팅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외부 디바이스는 위에서 설명한 포터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는 제1 이어폰을 통해 전달된 제1 전자기 패턴을 센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는 센싱된 제1 전자기 패턴으로부터 제1 외부 디바이스의 ID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는 제1 이어폰(54)이 디텍팅된 위치에 디스플레이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응하여 제1 외부 디바이스로 송신할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는 제1 이어폰(54)이 디텍팅된 위치에 디스플레이된 제1 GUI(52)에 대응하여, 제1 외부 디바이스에 디지털 컨텐츠(51)의 한국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는 제1 외부 디바이스에 한국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으로 스트리밍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는 디지털 컨텐츠(51)가 한국어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다른 언어의 데이터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한국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외부 디바이스는 디지털 컨텐츠(51)의 언어를 한국어 버전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는 제2 GUI(53)가 디스플레이된 위치에서 제2 외부 디바이스의 제2 이어폰(55)을 디텍팅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외부 디바이스는 위에서 설명한 포터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는 제2 이어폰을 통해 전달된 제2 전자기 패턴을 센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는 센싱된 제2 전자기 패턴으로부터 제2 외부 디바이스의 ID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는 제2 이어폰(54)이 디텍팅된 위치에 디스플레이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응하여 제2 외부 디바이스로 송신할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는 제2 이어폰(54)이 디텍팅된 위치에 디스플레이된 제2 GUI(53)에 대응하여, 제2 외부 디바이스에 디지털 컨텐츠(51)의 영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는 제2 외부 디바이스에 영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으로 스트리밍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는 디지털 컨텐츠(51)가 영어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다른 언어의 데이터를 영어로 번역하여 한국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외부 디바이스는 디지털 컨텐츠(51)의 언어를 영어 버전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는 외부 디바이스의 이어폰이 디텍팅된 위치에 대응하여 외부 디바이스로 송신할 언어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복수의 이어폰이 각각 디텍팅되는 경우, 각 이어폰이 디텍팅된 위치에 대응하는 언어 데이터를 각 이어폰이 연결된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에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컨텐츠(51)를 시청하는 두 명의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에, 두 명의 사용자는 각각 다른 언어로 디지털 컨텐츠(51)를 시청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사이의 데이터 송신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키오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키오스크의 형태로 박물관에서 전시된 물품을 안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포터블 디바이스(10)를 소지하고 박물관을 관람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시된 물품에 대한 자세한 안내를 받기 위해 포터블 디바이스(10)에 연결된 이어폰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1)를 터치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이러한 상황에서 각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이어폰의 레프트 유닛(12-1)이 사용자의 귀에서 이격됨을 센싱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이격된 레프트 유닛(12-1)에 직류 전류를 인가하여 포터블 디바이스의 ID에 대응하는 전자기 패턴을 발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1)는 전시된 물품(60)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1)는 포터블 디바이스(10)의 이어폰의 레프트 유닛(12-1)을 디텍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1)는 레프트 유닛(12-1)에서 발생된 전자기 패턴을 센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1)는 센싱된 전자기 패턴으로부터 포터블 디바이스(10)의 ID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1)는 이어폰의 레프트 유닛(12-1)이 디텍팅된 위치에 디스플레이된 GUI에 대응하여 포터블 디바이스(10)에 송신할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1)는 획득한 포터블 디바이스의 ID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1)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으로 스트리밍을 이용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1)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출력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사용자의 귀에 장착된 이어폰의 라이트 유닛(12-2)을 이용하여 송신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의 귀에 장착된 이어폰의 유닛 중 하나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1)를 터치하여 전시된 물품에 대한 설명을 청취할 수 있다. 따라서 안내를 위한 별도의 디바이스를 구비하지 않아도, 사용자는 포터블 디바이스(10)를 이용하여 전시된 물품에 대한 설명을 청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커뮤니케이션 유닛(101), 센서 유닛(102) 및 컨트롤러(103)를 포함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유닛(101)은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포터블 디바이스의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유닛(101)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유닛(101)은 무선통신, 무선랜, 블루투스, 직비(ZigBee) 및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커뮤니케이션 유닛(101)은 포터블 디바이스의 ID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스트리밍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센서 유닛(102)은 포터블 디바이스에 연결된 이어폰이 사용자의 귀에 장착되었는지 또는 귀로부터 이격되었는지를 센싱할 수 있다. 센서 유닛(102)은 이어폰의 레프트 유닛 및 라이트 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접촉 센서를 이용하여 각 유닛이 사용자의 귀에서 이격되었는지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센서 유닛(102)은 이어폰의 유닛의 장착 여부에 대한 정보를 컨트롤러(103)에 전달할 수 있다.
컨트롤러(103)는 센서 유닛(102)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귀로부터 이어폰의 유닛이 이격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컨트롤러(103)는 사용자의 귀로부터 이격된 유닛에 패턴을 갖는 직류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103)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터블 디바이스의 ID에 대응하는 직류 전류 패턴을 사용자의 귀로부터 이격된 유닛에 인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컨트롤러(103)는 유닛에 포함된 코일을 이용하여 포터블 디바이스의 ID에 대응하는 전자기 패턴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03)는 커뮤니케이션 유닛(101)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컨트롤러(103)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ID에 대응하여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컨트롤러(103)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ID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커뮤니케이션 유닛(101)을 이용하여 수신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로서, 분리하여 표시한 블록들은 포터블 디바이스의 엘러먼트들을 논리적으로 구별하여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포터블 디바이스의 엘러먼트들은 포터블 디바이스의 설계에 따라 하나의 칩으로 또는 복수의 칩으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엘러먼트 외에도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 오디오 출력 유닛 및 택타일 피드백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커뮤니케이션 유닛(101)을 이용하여 수신된 데이터가 시각 데이터인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을 이용하여 시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는 수신된 데이터가 청각 데이터인 경우, 오디오 출력 유닛을 이용하여 청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는 수신된 데이터가 택타일 데이터인 경우, 택타일 피드백 유닛을 이용하여 택타일 데이터에 대응하는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커뮤니케이션 유닛(201), 센서 유닛(202), 디스플레이 유닛(203), 전자기 패턴 센싱 유닛(204) 및 컨트롤러(205)를 포함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유닛(201)은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유닛(201)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유닛(201)은 무선통신, 무선랜, 블루투스, 직비(ZigBee) 및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커뮤니케이션 유닛(201)은 전자기 패턴에 의해 획득된 포터블 디바이스의 ID에 대응하여 포터블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으로 스트리밍을 이용할 수 있다.
센서 유닛(202)은 마그네틱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의 이어폰의 유닛이 디스플레이 유닛 상의 어느 위치에 존재하는지를 센싱할 수 있다. 센서 유닛(202)은 이어폰의 유닛에 포함된 마그넷의 자기장을 센싱할 수 있다. 센서 유닛(202)은 이어폰의 유닛에 포함된 마그넷의 자기장을 센싱하기 위해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를 이용할 수 있다. 센서 유닛(202)은 센싱된 이어폰의 자기장에 대한 정보를 컨트롤러(205)에 전달할 수 있으며, 컨트롤러(205)는 수신된 이어폰의 자기장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이어폰의 위치를 디텍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03)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03)은 외부 디바이스의 이어폰이 근접하거나 터치하는 대상이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03)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자잉크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205)는 센서 유닛(202) 및 디스플레이 유닛(203)을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에 연결된 이어폰의 디스플레이 유닛(203) 상에서의 위치를 센싱하고, 그 위치에 디스플레이된 GUI를 디텍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컨트롤러(205)는 이어폰의 위치에 디스플레이 GUI에 기초하여 외부 디바이스에 송신할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기 패턴 센싱 유닛(204)은 외부 디바이스에 연결된 이어폰의 유닛에 포함된 코일에서 발생된 전자기 패턴을 센싱할 수 있다. 전자기 패턴 센싱 유닛(204)은 이어폰의 유닛에 포함된 코일의 전자기 패턴을 센싱하기 위해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를 이용할 수 있다. 전자기 패턴 센싱 유닛(204)은 센싱된 이어폰의 전자기 패턴에 대한 정보를 컨트롤러(205)에 전달할 수 있으며, 컨트롤러(205)는 수신된 전자기 패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디바이스의 ID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자기 패턴 센싱 유닛(204)은 위에서 설명한 센서 유닛(202)과 통합되어 하나의 유닛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컨트롤러(205)는 디스플레이 유닛(203)을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 및 G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05)는 센서 유닛(202)을 이용하여 포터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203)에 근접한 이어폰의 위치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서 이어폰은 외부 디바이스에 연결된 이어폰이다. 컨트롤러(205)는 디스플레이된 GUI 및 이어폰의 위치에 기초하여 외부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205)는 전자기 패턴 센싱 유닛(204)을 이용하여 이어폰에서 발생된 전자기 패턴을 센싱할 수 있다. 컨트롤러(205)는 센싱한 전자기 패턴으로부터 외부 디바이스의 ID를 획득할 수 있다. 컨트롤러(205)는 커뮤니케이션 유닛(201)을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의 ID로 위에서 결정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로서, 분리하여 표시한 블록들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엘러먼트들을 논리적으로 구별하여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엘러먼트들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설계에 따라 하나의 칩으로 또는 복수의 칩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이어폰의 좌측 유닛 및 우측 유닛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의 귀에서 이격됨을 디텍팅할 수 있다(S10).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어폰은 접촉 센서, 적외선 센서 및 근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이어폰의 유닛이 사용자의 귀에서 이격됨을 센싱할 수 있다. 이어폰은 케이블을 통해 센싱된 결과를 포터블 디바이스의 센서 유닛에 전달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센싱된 결과에 기초하여 포터블 디바이스에 연결된 이어폰의 유닛이 사용자의 귀에서 이격되었는지 여부를 디텍팅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이격된 유닛에 포터블 디바이스의 ID에 대응하는 전자기 패턴을 발생할 수 있다(S20). 포터블 디바이스는 이어폰에 직류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이어폰의 케이블을 통해 이격된 유닛에 직류 전류를 공급하고, 이격된 유닛에 포함된 코일은 직류 전류에 의해 전자기장을 발생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직류 전류를 인가함에 있어서, 패턴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터블 디바이스는 직류 전류 패턴을 이어폰에 인가하여, 이격된 유닛이 전자기 패턴을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ID에 대응하여 직류 전류 패턴을 인가할 수 있으며, 이격된 유닛은 전자기 패턴을 발생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이어폰의 이격된 유닛에 위와 같이 전자기 패턴을 발생시켜 포터블 디바이스의 ID를 외부 디바이스에 전달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귀에 장착된 이어폰에는 교류 전류를 인가하여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이용하여 포터블 디바이스의 ID에 대응하여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30). 도 4 내지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터블 디바이스가 전자기 패턴을 이용하여 포터블 디바이스의 ID를 외부 디바이스에 전달하면, 외부 디바이스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ID에 대응하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수신된 데이터가 청각 데이터인 경우, 이를 이어폰의 유닛 중 사용자의 귀에 장착된 유닛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교류 전류를 사용자의 귀에 장착된 유닛에 인가하여 수신된 청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청각 데이터가 스테레오 사운드인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는 스테레오 사운드의 좌측 사운드 및 우측 사운드를 병합하여 사용자의 귀에 장착된 유닛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포터블 디바이스는 하나의 유닛만을 이용하더라도 스테레오 사운드의 좌측 사운드 및 우측 사운드를 모두 출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이용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10).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디지털 컨텐츠에 대응하여 G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되는 GUI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이어폰을 통한 데이터 송신 및 수신이 가능함을 인디케이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에 근접한 이어폰을 센싱할 수 있다(S120).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 디바이스에 연결된 이어폰이 디스플레이 유닛에 근접한 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이어폰에 포함된 마그넷이 발생하는 자기장을 센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센싱된 자기장을 분석하여, 이어폰이 디스플레이 유닛 상의 어느 위치에 존재하는지를 디텍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이어폰의 자기장을 센싱하기 위해 지자기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전자기 패턴 센싱 유닛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에 근접한 이어폰의 전자기 패턴을 센싱할 수 있다(S130).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전자기 패턴 센싱 유닛을 이용하여 이어폰의 전자기 패턴을 센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이어폰에서 발생된 전자기장을 센싱하고, 발생된 전자기장이 변화하는 패턴을 센싱하여 전자기 패턴을 센싱할 수 있다. 전자기 패턴은 이어폰이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의 ID에 대응되어 생성되므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각각 다른 외부 디바이스에 연결된 이어폰으로부터 각각 다른 전자기 패턴을 센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센싱된 전자기 패턴으로부터 이어폰이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의 ID를 획득할 수 있다(S140).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센싱된 전자기 패턴에 대응되는 외부 디바이스의 ID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전자기 패턴에 대응하는 외부 디바이스의 ID를 사전에 저장해 놓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전자기 패턴을 숫자 또는 문자로 변경하는 규칙에 따라 센싱된 전자기 패턴으로부터 외부 디바이스의 ID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이용하여 획득한 외부 디바이스의 ID에 의해 식별되는 외부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S150). 도 4 내지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서 이어폰이 센싱된 위치 및 그 위치에 디스플레이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응하여 송신할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획득한 외부 디바이스의 ID로 결정된 송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결정된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으로 스트리밍을 이용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터블 디바이스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이어폰을 매개체로 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의 포터블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두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 설정 과정 없이도, 포터블 디바이스에 연결된 이어폰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근접하는 것만으로 상호 연결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포터블 디바이스 11: 이어폰
12: 이어폰의 유닛 3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1: 이어폰의 마그넷 32: 이어폰의 코일
33: 디스플레이 유닛 34: 전자기 패턴 센싱 유닛
35: 센서 유닛

Claims (20)

  1. 코일을 포함하는 이어폰과 연결된 포터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는
    상기 이어폰이 사용자의 귀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센싱하는 센서 유닛;
    외부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커뮤니케이션 유닛; 및
    상기 센서 유닛 및 상기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이어폰의 좌측 유닛 및 우측 유닛 중 어느 하나인 제1 유닛이 상기 사용자의 귀에서 이격됨을 센싱하고,
    상기 이격된 제1 유닛에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ID(identification)에 대응하는 전자기 패턴(electromagnetic pattern)을 발생하고,
    상기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ID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이어폰의 상기 코일에 직류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전자기 패턴을 발생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직류 전류의 세기 및 상기 직류 전류가 인가되는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상기 전자기 패턴을 발생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데이터를 출력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가 청각 데이터인 경우,
    상기 이어폰의 좌측 유닛 및 우측 유닛 중 사용자의 귀에 장착된 제2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청각 데이터의 좌측 사운드 및 우측 사운드를 함께 출력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가 시각 데이터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시각 데이터를 출력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는 택타일 피드백을 출력하는 택타일 피드백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가 택타일 데이터인 경우,
    상기 택타일 피드백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택타일 데이터를 출력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는 상기 이어폰이 플러그된 컨넥터 및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수신 상태를 상기 컨넥터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로 디스플레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는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뮤직 플레이어, 노트북 및 태블릿 컴퓨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전자기 패턴을 센싱하는 전자기 패턴 센싱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근접한 이어폰을 센싱하는 센서 유닛;
    외부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커뮤니케이션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전자기 패턴 센싱 유닛, 센서 유닛 및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근접한 상기 이어폰을 센싱하고,
    상기 전자기 패턴 센싱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근접한 상기 이어폰의 전자기 패턴을 센싱하고,
    상기 센싱된 전자기 패턴으로부터 상기 이어폰이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의 ID를 획득하고,
    상기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획득한 외부 디바이스의 ID에 의해 식별되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이어폰의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서의 위치를 디텍팅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이어폰에 포함된 마그넷의 자기장을 센싱함으로서 상기 이어폰의 위치를 디텍팅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이어폰의 디텍팅된 위치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이어폰의 디텍팅된 위치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가 청각 데이터인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청각 데이터를 상기 이어폰의 디텍팅된 위치에 대응하는 언어로 번역하고,
    상기 번역된 청각 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 패턴 센싱 유닛은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근접한 상기 이어폰의 상기 전자기 패턴을 센싱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이어폰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컨택트된 때, 상기 이어폰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근접한 것으로 센싱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태블릿 컴퓨터, 키오스크, 모니터, 월(wall) 디스플레이, 뮤직 플레이어, 데스크탑 컴퓨터, 스마트 테이블, 텔레비젼 및 노트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9. 코일을 포함하는 이어폰과 연결된 포터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이어폰의 좌측 유닛 및 우측 유닛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의 귀에서 이격됨을 디텍팅하는 단계;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이격된 유닛에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ID에 대응하는 전자기 패턴을 발생하는 단계; 및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ID에 대응하여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제어 방법.
  20. 디스플레이 유닛을 이용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근접한 상기 이어폰을 센싱하는 단계;
    전자기 패턴 센싱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근접한 이어폰의 전자기 패턴을 센싱하는 단계;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센싱된 전자기 패턴으로부터 상기 이어폰이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의 ID를 획득하는 단계; 및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획득한 외부 디바이스의 ID에 의해 식별되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방법.
KR1020130017042A 2013-01-11 2013-02-18 이어폰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052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856,093 US9030409B2 (en) 2013-01-11 2013-04-03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earpho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CT/KR2013/003037 WO2014109434A1 (en) 2013-01-11 2013-04-11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earpho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13870419.2A EP2944153B1 (en) 2013-01-11 2013-04-11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earpho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1380070163.0A CN104919887B (zh) 2013-01-11 2013-04-11 使用耳机发送和接收数据的装置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751262P 2013-01-11 2013-01-11
US61/751,262 2013-0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425A true KR20140091425A (ko) 2014-07-21
KR102052372B1 KR102052372B1 (ko) 2019-12-05

Family

ID=51738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042A KR102052372B1 (ko) 2013-01-11 2013-02-18 이어폰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30409B2 (ko)
EP (1) EP2944153B1 (ko)
KR (1) KR102052372B1 (ko)
CN (1) CN104919887B (ko)
WO (1) WO201410943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223B1 (ko) * 2015-12-28 2017-03-27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마그네틱 보안 전송을 지원하는 젠더
KR20200074445A (ko) * 2018-12-17 2020-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Em 신호를 발생시킨 외부 전자 장치에 따라 오디오 신호의 경로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72208B2 (en) * 2014-02-28 2017-06-06 Bose Corporation Automatic selection of language for voice interface
TWI657702B (zh) * 2016-02-04 2019-04-21 美律實業股份有限公司 耳機裝置
WO2020087749A1 (zh) * 2018-10-29 2020-05-07 歌尔股份有限公司 耳机的交互控制方法、装置,耳机和存储介质
CN112689051B (zh) * 2019-10-18 2022-05-2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音频播放控制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12954418B (zh) * 2021-02-06 2022-05-10 读书郎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控制平板播放视频的装置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36552A1 (en) * 2003-01-10 2004-07-15 Rudolf Bendixe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earphone storage method and system
US20070141987A1 (en) * 2005-12-16 2007-06-21 Erwin Weinans Distributed bluetooth system
US20120114154A1 (en) * 2010-11-05 2012-05-1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Using accelerometers for left right detection of headset earpieces
US8213630B2 (en) * 2002-03-29 2012-07-03 Hitachi, Ltd. Sound processing unit, sound processing system, audio output unit and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2331B1 (en) 1999-05-21 2004-08-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xclusively pairing wireless devices
JP4228069B2 (ja) * 2002-12-16 2009-02-25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音声情報支援システム
US7577249B2 (en) 2003-01-06 2009-08-18 Gn Netcom, Inc. Wireless remote controlled handset lifter system using magnetically coupled ring detection
US8193769B2 (en) * 2007-10-18 2012-06-05 Powermat Technologies, Ltd Inductively chargeable audio devices
US20090128513A1 (en) * 2007-11-20 2009-05-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iden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device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s having recorded thereon programs for executing the device identification method and the device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US8180078B2 (en) * 2007-12-13 2012-05-1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s and methods employing multiple individual wireless earbuds for a common audio source
US20110163944A1 (en) 2010-01-05 2011-07-07 Apple Inc. Intuitive, gesture-based communications with physics metaphors
US8789131B2 (en) * 2010-05-14 2014-07-22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sharing contents thereof with other devices
KR101690232B1 (ko) * 2010-05-28 2016-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101142906B1 (ko) 2010-11-12 2012-05-10 오영호 터치스크린의 신호입력 기능을 갖는 이어폰
CN102638611B (zh) * 2011-02-15 2014-10-22 Lg电子株式会社 发送和接收数据的方法以及使用该方法的显示装置
US9326058B2 (en) * 2012-09-26 2016-04-26 Sony Corporation Control method of mobile terminal apparatus
KR101498087B1 (ko) * 2013-02-21 2015-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 헤드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13630B2 (en) * 2002-03-29 2012-07-03 Hitachi, Ltd. Sound processing unit, sound processing system, audio output unit and display device
US20040136552A1 (en) * 2003-01-10 2004-07-15 Rudolf Bendixe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earphone storage method and system
US20070141987A1 (en) * 2005-12-16 2007-06-21 Erwin Weinans Distributed bluetooth system
US20120114154A1 (en) * 2010-11-05 2012-05-1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Using accelerometers for left right detection of headset earpiec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223B1 (ko) * 2015-12-28 2017-03-27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마그네틱 보안 전송을 지원하는 젠더
KR20200074445A (ko) * 2018-12-17 2020-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Em 신호를 발생시킨 외부 전자 장치에 따라 오디오 신호의 경로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919887A (zh) 2015-09-16
CN104919887B (zh) 2019-11-29
EP2944153B1 (en) 2018-01-10
US20140198026A1 (en) 2014-07-17
US9030409B2 (en) 2015-05-12
KR102052372B1 (ko) 2019-12-05
WO2014109434A1 (en) 2014-07-17
EP2944153A1 (en) 2015-11-18
EP2944153A4 (en) 201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2372B1 (ko) 이어폰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9529447B2 (en) Removable input module
US10437411B2 (en) Reconfigurable clip-on modules for mobile computing devices
EP3204837B1 (en) Docking system
US10459677B2 (en) Coordination of device operation on wireless charging surface
JP6143975B1 (ja) 画像の取り込みを支援するためにハプティックフィードバック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641622B2 (en) Master device for using connection attribute of electronic accessories connections to facilitate locating an accessory
KR102067019B1 (ko) 휴대 단말기의 충전 경로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7810459A (zh) 媒体流式传输装置的配对
US10447841B2 (en) Wireless pairing and control using spatial location and indication to aid pairing
KR20170004225A (ko) 알림 장치 및 알림 장치가 물건의 위치를 알려주는 방법
JP2012533789A (ja) コネクタの相対的な位置を決定する方法及び装置
JP2017535851A (ja) 電子会議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およびデジタルペン
KR101549931B1 (ko) 휴대 단말과 액세서리가 연동하여 알림을 표시하는 방법,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JP2019144724A (ja) 電子機器及び制御方法
KR20170093671A (ko) 사물인터넷 기기,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기 페어링방법 및 제어방법
KR10166772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54451A (ko) 셋톱박스 시스템 및 셋톱박스 리모컨 기능 제공 방법
KR20160061155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6041399A1 (zh) 一种设备管理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