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2339A - 반도체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2339A
KR20140082339A KR1020120152193A KR20120152193A KR20140082339A KR 20140082339 A KR20140082339 A KR 20140082339A KR 1020120152193 A KR1020120152193 A KR 1020120152193A KR 20120152193 A KR20120152193 A KR 20120152193A KR 20140082339 A KR20140082339 A KR 20140082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data
delay
latch clock
extern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2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1471B1 (ko
Inventor
김관동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2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471B1/ko
Priority to US13/860,307 priority patent/US8847644B2/en
Publication of KR20140082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2339A/ko
Priority to US14/466,191 priority patent/US897026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3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 H03K5/135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by the use of time reference signals, e.g. clock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07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a recovery circuit for the reference sign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5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 H03L7/087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using at least two phase detectors or a frequency and phase detector in the loop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2005/00013Delay, i.e. output pulse is delayed after input pulse and pulse length of output pulse is dependent on pulse length of input pulse
    • H03K2005/00019Variable delay
    • H03K2005/00058Variable delay controlled by a digital setting
    • H03K2005/00071Variable delay controlled by a digital setting by adding capacitance as a loa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and to synchronisation
    • H03L2207/50All digital phase-locked loop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Pulse Circuits (AREA)
  • Stabilization Of Oscillater, Synchronisation, Frequency Synthesizers (AREA)

Abstract

반도체 가변 지연부, 지연량 조절부 및 데이터 수신부를 포함한다. 가변 지연부는 지연 코드에 응답하여 기준 클럭을 지연시켜 데이터 래치 클럭을 생성한다. 지연량 조절부는 외부 데이터의 위상 및 상기 데이터 래치 클럭의 위상을 각각 제 1 코드 및 제 2 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제 1 코드 및 제 2 코드의 연산을 통해 상기 지연 코드를 생성한다. 데이터 수신부는 상기 외부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래치 클럭에 동기하여 내부 데이터로 래치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장치{SEMICONDUCTOR APPARATUS}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수신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장치는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를 구비한다. 오늘 날의 반도체 장치는 고속 동작을 위하여 클럭에 동기하여 동작하고, 따라서 데이터 수신부도 클럭에 동기하여 외부에서 인가되는 데이터를 래치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수신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데이터 수신부(2)는 데이터 입출력 패드(1)를 통해 인가되는 외부 데이터(DATA)를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에 동기하여 내부 데이터(DATA_RX)로 래치한다.
최근에는 동작속도를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DDR(Double Data Rate) 동기식 반도체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DDR 방식을 사용하게 되면 클럭의 라이징 에지(rising edge) 뿐만 아니라 폴링 에지(falling edge)에서도 데이터를 래치하게 된다. DDR 방식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수신부(2)는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의 라이징 에지 뿐만 아니라 폴링 에지에서 외부 데이터(DATA)를 래치함으로써 빠르게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반도체 장치가 정상 동작을 하기 위해서는 외부 데이터(DATA)를 정확하게 래치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의 위상이 정확한 데이터 값을 래치할 수 있도록 조정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수신과 관련하여 개선된 방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지연 코드에 응답하여 기준 클럭을 지연시켜 데이터 래치 클럭을 생성하는 가변 지연부; 외부 데이터의 위상 및 상기 데이터 래치 클럭의 위상을 각각 제 1 코드 및 제 2 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제 1 코드 및 제 2 코드의 연산을 통해 상기 지연 코드를 생성하는 지연량 조절부; 및 상기 외부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래치 클럭에 동기하여 내부 데이터로 래치하는 데이터 수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데이터 입출력 패드로 수신한 외부 데이터의 위상을 제 1 코드로 생성하는 제 1 컨버터; 상기 데이터 래치 클럭의 위상을 제 2 코드로 생성하는 제 2 컨버터; 상기 제 1 코드 및 제 2 코드의 차이를 연산하여 지연 코드를 생성하는 연산부; 및 상기 지연 코드에 응답하여 기준 클럭을 지연시켜 데이터 래치 클럭을 생성하는 가변 지연부를 포함한다.
본 기술에 의하면 DDR 방식의 반도체 장치가 데이터를 에러 없이 수신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수신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이상적인 데이터와 데이터 래치 클럭의 관계를 나타내는 파형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블록도,
도 4는 도 3의 제 1 컨버터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5는 도 3의 제 2 컨버터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6은 도 3의 연산부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7은 도 3의 가변 지연부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이상적인 데이터와 데이터 래치 클럭의 관계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DDR 시스템에서 외부 데이터(DATA)를 에러(error)없이 정상적으로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이 래치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의 라이징 또는 폴링 에지에 외부 데이터(DATA)가 안정적으로 값을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즉, 바람직하게 외부 데이터(DATA)와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의 위상 차이가 90도 나는 경우, 정확하게 외부 데이터(DATA) 값을 래치할 수 있다.
도 2는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의 위상이 외부 데이터(DATA)보다 실질적으로 90도 늦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부 데이터(DATA)가 101010의 값으로 계속하여 인가되는 경우,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의 라이징 에지에 외부 데이터(DATA)를 1로 래치할 수 있고,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의 폴링 에지에 외부 데이터(DATA)를 0으로 래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의 반도체 장치는 데이터 입출력 패드(10), 데이터 수신부(20), 클럭 입력 패드(30), 클럭 수신부(40) 및 데이터 래치 클럭 생성부(50)를 포함한다.
데이터 입출력 패드(10)는 외부로부터 외부 데이터(DATA)를 수신한다.
데이터 수신부(20)는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에 동기하여 수신한 외부 데이터(DATA)를 래치하여 내부 데이터(DATA_RX)로 출력한다.
클럭 입력 패드(30)는 외부로부터 외부 클럭(CLK)을 수신한다.
클럭 수신부(40)는 수신한 외부 클럭(CLK)을 입력받아 기준 클럭(REFCLK)으로 출력한다.
데이터 래치 클럭 생성부(50)는 기준 클럭(REFCLK)의 지연량을 조절하여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을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외부 데이터(DATA)와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의 위상 차이가 90도를 이루도록, 기준 클럭(REFCLK)의 지연량을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래치 클럭 생성부(50)는 가변 지연부(51) 및 지연량 조절부(55)를 포함한다.
가변 지연부(51)는 지연 코드(D_CODE)에 응답하여 기준 클럭(REFCLK)을 지연시켜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을 생성한다.
지연량 조절부(55)는 외부 데이터(DATA)의 위상과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의 위상을 코드로 변환하고, 그 코드들을 연산하여 지연 코드(D_CODE)를 생성한다. 연산 결과에 따라 지연 코드(D_CODE)의 값이 변하고, 이로써 가변 지연부(51)의 지연량이 조절된다.
지연량 조절부(55)는 구체적으로 제 1 컨버터(52), 제 2 컨버터(53) 및 연산부(54)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컨버터(52, 53)는, 각각 외부 데이터(DATA)의 위상과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의 위상을 코드로 변환하고, 연산부(54)가 그 코드들을 디지털 방식으로 연산하여 지연 코드(D_CODE)로 생성한다. 이러한 디지털 동작으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래치 클럭 생성부의 동작이 빨라지고 정확해진다.
구체적으로, 제 1 컨버터(52)는 외부 데이터(DATA)의 위상을 제 1 코드(CODE1)로 생성한다. 아래에서 검토하겠지만,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의 라이징 시점을 기준으로,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의 라이징 시점에 앞선 외부 데이터(DATA)의 라이징 시점을 상기 제 1 코드(CODE1)로 생성한다.
제 2 컨버터(53)는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의 위상을 제 2 코드(CODE2)로 생성한다. 아래에서 검토하겠지만, 반전된 외부 데이터(DATA)의 라이징 시점을 기준으로, 반전된 외부 데이터(DATA)의 라이징에 앞선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의 라이징 시점을 상기 제 2 코드(CODE2)로 생성한다.
연산부(54)는 제 1 코드(CODE1) 및 제 2 코드(CODE2)의 차이에 기초하여 지연 코드(D_CODE)를 생성한다.
예컨대, 외부 데이터(DATA)와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의 위상 차이가 0도에서 90사이이면, 지연 코드(D_CODE)를 증가 시킨다. 반면, 외부 데이터(DATA)와 데이터 래치 클럭의 위상 차이가 90도에서 180도 사이이면 지연 코드(D_CODE)를 감소시킨다. 지연 코드(D_CODE)가 증가되면 가변 지연부(51)의 지연량이 증가되고, 지연 코드(D_CODE)가 감소되면 가변 지연부(51)의 지연량이 감소된다.
도 4는 상기 제 1 컨버터(52)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상기 제 1 컨버터(52)는 외부 데이터(DATA)의 위상을 제 1 코드(CODE1)로 변환하기 위하여,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을 이용한다.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을 이용하여 외부 데이터(DATA)를 래치함으로써 외부 데이터(DATA)의 위상을 제 1 래치 코드(Q1[0]~Q1[2])로 변환한다.
구체적으로, 제 1 컨버터(52)는 제 1 및 제 2 버퍼(52_11, 52_12), 복수의 제 1 지연기(52_21, 52_22), 복수의 제 2 지연기(52_31, 52_32) 및 복수의 제 1 플립플롭(52_41~52_43)을 포함한다.
제 1 버퍼(52_11)는 외부 데이터(DATA)를 버퍼링하여 출력한다.
제 2 버퍼(52_12)는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을 수신하여 제 1 버퍼(52_11)가 갖는 지연량과 동일하게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을 버퍼링하여 출력한다. 제 1 버퍼(52_11)에 의한 지연량을 보상하는 역할을 한다.
복수의 제 1 지연기(52_21, 52_22)는 각각 외부 데이터(DATA)를 순차적으로 제 1 지연량 지연시킨다.
복수의 제 2 지연기(52_31, 52_32)는 각각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을 순차적으로 제 2 지연량 지연시킨다.
이때, 제 1 지연량은 제 2 지연량 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 플립플롭(52_41~52_43)은 외부 데이터(DATA) 및 복수의 제 1 지연기(52_21, 52_22)의 출력을,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 및 복수의 제 2 지연기(52_31, 52_32)의 출력에 응답하여 각각 래치하고, 래치 결과를 제 1 래치 코드(Q1[0]~Q1[2])로 출력한다. 즉, 복수의 제 1 플립플롭(52_41~52_43)은,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을 기준으로 외부 데이터(DATA)를 소정 위상 지연시키면서 그 때의 외부 데이터(DATA)의 레벨을 제 1 래치 코드(Q1[0]~Q1[2])로 출력한다. 따라서, 제 1 래치 코드(Q1[0]~Q1[2])에 외부 데이터(DATA)의 위상 정보가 나타나게 된다.
데이터 래치 클럭 생성부(50)는 외부 데이터(DATA)와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의 위상이 실질적으로 90도를 이루는 경우 락킹된다.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의 위상이 외부 데이터(DATA)의 위상으로부터 0도에서 90도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제 1 래치 코드(Q1[0]~Q1[2])가 예컨대 8비트이면(기준 클럭(REFCLK)의 한 주기를 1/8로 나누어 래치한다고 보자) 상위 비트부터 11000000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때, 1에서 0의 값으로 천이되는 시점이,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의 라이징 시점 바로 이전의 외부 데이터(DATA)의 라이징 시점이 된다. 즉, 외부 데이터(DATA)가 라이징한 뒤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이 라이징할 때까지의 위상 정보가 나타난다. 제 1 컨버터(52)는 제 1 래치 코드(Q1[0]~Q1[2])가 1에서 0으로 레벨이 천이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제 1 코드(CODE1)의 크기를 결정한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 제 1 코드(CODE1)는 2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반면,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의 위상이 외부 데이터(DATA)의 위상으로부터 90도에서 180도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제 1 래치 코드(Q1[0]~Q1[2])가 예컨대 8비트이면 상위 비트부터 11111100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때, 1에서 0의 값으로 변환되는 시점이,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의 라이징 시점 바로 이전의 외부 데이터(DATA)의 라이징 시점이 된다. 즉, 외부 데이터(DATA)가 라이징한 뒤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이 라이징할 때까지의 위상 정보가 나타난다. 제 1 컨버터(52)는 제 1 래치 코드(Q1[0]~Q1[2])가 1에서 0으로 레벨이 천이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제 1 코드(CODE1)의 크기를 결정한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 제 1 코드(CODE1)는 6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상기 제 2 컨버터(53)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상기 제 2 컨버터(53)는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의 위상을 제 2 코드(CODE2)로 변환하기 위하여, 반전 외부 데이터(DATAB)를 이용한다. 반전 외부 데이터(DATA)를 이용하여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을 래치함으로써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의 위상을 제 2 래치 코드(Q2[0]~Q2[2])로 변환한다.
구체적인 실시예로써, 제 2 컨버터(53)는 제 3 버퍼(53_11), 인버터(IV1, 53_12), 복수의 제 3 지연기(53_21, 53_22), 복수의 제 4 지연기(53_31, 53_32) 및 복수의 제 2 플립플롭(53_41~53_43)을 포함한다.
인버터(IV1, 53_12)는 외부 데이터(DATA)를 수신하여 반전 외부 데이터(DATA)를 생성한다.
제 3 버퍼(53_11)는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을 수신하여 상기 인버터(IV1, 53_12)가 갖는 지연량과 동일하게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을 지연시킨다. 인버터(IV1, 53_12)에 의한 지연량을 보상하는 역할을 한다.
복수의 제 3 지연기(53_21, 53_22)는 각각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을 순차적으로 제 3 지연량 지연시킨다.
복수의 제 4 지연기(53_31, 53_32)는 각각 반전 외부 데이터(DATAB)를 순차적으로 제 4 지연량 지연시킨다.
이때, 제 3 지연량은 제 4 지연량 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고, 제 3 지연량은 제 1 지연량과 동일하며 제 4 지연량은 제 2 지연량과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복수의 제 2 플립플롭(53_41~53_43)은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 및 복수의 제 3 지연기(53_21, 53_22)의 출력을, 반전 외부 데이터(DATAB) 및 복수의 제 4 지연기(53_31, 53_32)의 출력에 응답하여 각각 래치하고, 래치 결과를 제 2 래치 코드(Q2[0]~Q2[2])로 출력한다. 즉, 복수의 제 2 플립플롭(53_41~53_43)은, 반전 외부 데이터(DATAB)를 기준으로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을 소정 위상 지연시키면서 그 때의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의 레벨을 제 2 래치 코드(Q2[0]~Q2[2])로 출력한다. 따라서, 제 2 래치 코드(Q2[0]~Q2[2])에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의 위상 정보가 나타나게 된다.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의 위상이 외부 데이터(DATA)의 위상으로부터 0도에서 90도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제 2 래치 코드(Q2[0]~Q2[2])가 예컨대 8비트이면(기준 클럭(REFCLK)의 한 주기를 1/8로 나누어 래치한다고 보자) 상위 비트부터 11111100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때, 1에서 0의 값으로 천이되는 시점이, 반전 외부 데이터(DATAB)의 라이징 시점 바로 이전의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의 라이징 시점이 된다. 즉,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이 라이징한 뒤 외부 데이터(DATA)가 폴링할 때까지의 위상 정보가 나타난다. 제 2 컨버터(53)는 제 2 래치 코드(Q2[0]~Q2[2])가 1에서 0으로 레벨이 천이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제 2 코드(CODE2)의 크기를 결정한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 제 2 코드(CODE)는 6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반면,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의 위상이 외부 데이터(DATA)의 위상으로부터 90도에서 180도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제 2 래치 코드(Q2[0]~Q2[2])가 예컨대 8비트이면 상위 비트부터 11000000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때, 1에서 0의 값으로 천이되는 시점이, 반전 외부 데이터(DATAB)의 라이징 시점 바로 이전의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의 라이징 시점이 된다. 즉,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이 라이징한 뒤 외부 데이터(DATA)가 폴링할 때까지의 위상 정보가 나타난다. 제 2 컨버터(53)는 제 2 래치 코드(Q2[0]~Q2[2])가 1에서 0으로 레벨이 천이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제 2 코드(CODE2)의 크기를 결정한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 제 2 코드(CODE)는 2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외부 데이터(DATA)와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의 위상이 실질적으로 90도가 되는 경우, 제 1 코드(CODE1) 및 제 2 코드(CODE2)가 동일하게 된다.
도 6은 상기 연산부(54)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연산부(54)는 감산부(54_1), 이득 조절부(54_3) 및 지연 코드 생성부(54_4)를 포함한다.
감산부(54_1)는 제 1 코드(CODE1) 및 제 2 코드(CODE2)를 감산하여 감산 결과 코드(R_CODE)를 생성한다. 예컨대, 제 2 코드(CODE2)에서 제 1 코드(CODE1)를 감산하여 감산 결과 코드(R_CODE)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의 위상이 외부 데이터(DATA)의 위상으로부터 0도에서 90도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양(+)의 감산 결과 코드(R_CODE)를 생성한다. 반면,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의 위상이 외부 데이터(DATA)의 위상으로부터 90도에서 180도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음(-)의 감산 결과 코드(R_C0DE)를 생성한다.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과 외부 데이터(DATA)의 위상 차이는 감산 결과 코드(R_CODE)의 크기에 반영된다.
이득 조절부(54_3)는 감산 결과 코드(R_CODE)에 이득 값(GAIN)을 곱하여 연산 코드(C_CODE)로 출력한다. 이득 값(GAIN)은 가변 지연부(51)의 지연량을 비교적 큰 단위로 조절할 것인지, 비교적 작은 단위로 세밀하게 조절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변수이다. 이득 조절부(54_3)는 상기 감산 결과 코드(R_CODE)에 설정된 이득 값(GAIN)을 곱하여 연산 코드(C_CODE)의 크기를 조절한다.
지연 코드 생성부(54_4)는 연산 코드(C_CODE)에 응답하여 지연 코드(D_CODE)를 생성한다. 지연 코드 생성부(54_4)는, 예컨대 피드백 루프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종전의 지연 코드(D_CODE) 값을 저장하고 있고, 저장된 지연 코드(D_CODE)에 연산 코드(C_CODE) 값을 더하여 새로운 지연 코드(D_CODE) 값을 생성하는 방식이다. 새로운 지연 코드(D_CODE)가 지연 코드 생성부(54_4)에 저장된다. 이러한 과정이 데이터 래치 클럭 생성부가 락킹될 때까지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양의 값을 갖는 연산 코드(C_CODE)가 인가되면, 지연 코드(D_CODE)는 증가된다. 연산 코드(C_CODE)의 크기에 따라서 지연 코드(D_CODE)의 증가량이 결정된다.
반면, 음의 값을 갖는 연산 코드(C_CODE)가 인가되면, 지연 코드(D_CODE)는 감소된다. 연산 코드(C_CODE)의 크기에 따라서 지연 코드(D_CODE)의 감소량이 결정된다.
연산부(54)는 상기 이득 값(GAIN)을 선택하는 이득 선택부(54_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득 선택부(54_2)는 감산 결과 코드(R_CODE)를 수신하여, 감산 결과 코드(R_CODE)의 크기에 따라 이득 값(GAIN)을 선택한다. 즉, 감산 결과 코드(R_CODE)의 크기가 크다는 것은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과 외부 데이터(DATA) 위상 차이가 크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보다 큰 이득 값(GAIN)을 선택하여 출력한다. 반면, 감산 결과 코드(R_CODE)의 크기가 작다는 것은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과 외부 데이터(DATA)의 위상 차이가 작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세밀한 지연량 조절을 위해 보다 작은 이득 값(GAIN)을 선택하여 출력한다.
도 7은 상기 가변 지연부(51)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가변 지연부(51)는 제 1 클럭 버퍼(51_1), 제 1 지연 선택부(51_2), 제 1 로딩부(51_3), 제 2 지연 선택부(51_4), 제 2 로딩부(51_5) 및 제 2 클럭 버퍼(51_6)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클럭 버퍼(51_1)는 기준 클럭(REFCLK)을 버퍼링하여 출력하는 제 4 버퍼(BUF4)를 포함한다.
제 1 지연 선택부(51_2)는 복수 비트의 지연 코드(D_CODE<0:5>)의 각 비트에 응답하여 턴온되는 제 1 내지 제 5 엔모스 트랜지스터(N1~N5)를 포함한다.
제 1 로딩부(51_3)는 외부 전압(VDD)을 공급받고 제 1 클럭 버퍼(51_1)의 출력 단의 로딩을 증가 시키는 제 1 내지 제 5 피모스 커패시터(PMC1~PMC5)를 포함한다.
제 2 지연 선택부(51_4)는 복수 비트의 지연 코드(D_CODE<0:5>)의 각 비트에 응답하여 턴온되는 제 6 내지 제 10 엔모스 트랜지스터(N6~N10)를 포함한다.
제 2 로딩부(51_5)는 접지 전압(VSS)을 공급받고 제 1 클럭 버퍼(51_1)의 출력 단의 로딩을 증가 시키는 제 1 내지 제 5 엔모스 커패시터(NMC1~NMC5)를 포함한다.
제 2 클럭 버퍼(51_6)는 제 1 클럭 버퍼(51_1)의 출력을 버퍼링하는 제 5 버퍼(BUF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 지연부(51)는 지연 코드(D_CODE<0:5>)가 5비트인 경우를 예로써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의 내용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당업자라면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 지연부(51)는, 지연 코드(DCODE<0:5>)가 증가하면 제 1 및 제 2 지연 선택부(51_2, 51_4)에 턴온되는 트랜지스터의 개수가 증가되고, 따라서 제 1 및 제 2 로딩부(51_3, 51_5)의 영향으로 제 1 클럭 버퍼(51_1)의 출력 로딩이 가중된다. 결국,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의 지연량이 증가된다.
반면, 지연 코드(DCODE<0:5>)가 감소하면 제 1 및 제 2 지연 선택부(51_2, 51_4)에 턴온되는 트랜지스터의 개수가 감소하고, 따라서 제 1 및 제 2 로딩부(51_3, 51_5)의 영향이 줄어들어 제 1 클럭 버퍼(51_1)의 출력 로딩이 감소된다. 결국,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의 지연량이 감소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첫 번째 경우는,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의 위상이 외부 데이터(DATA)의 위상으로부터 0도에서 90도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a구간에 상응하는 제 1 코드(CODE1)가 생성되고, b구간에 상응하는 제 2 코드(CODE2)가 생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양의 연산 코드(C_CODE)가 생성되기 때문에, 가변 지연부(51)에서 기준 클럭(REFCLK)의 지연량을 증가시키고, 따라서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의 위상이 뒤로 이동하게 된다.
두 번째 경우는,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의 위상이 외부 데이터(DATA)의 위상으로부터 90도에서 180도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c구간에 상응하는 제 1 코드(CODE1)가 생성되고, d구간에 상응하는 제 2 코드(CODE2)가 생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음의 연산 코드(C_CODE)가 생성되기 때문에, 가변 지연부(51)에서 기준 클럭(REFCLK)의 지연량을 감소시키고, 따라서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의 위상이 앞으로 이동하게 된다.
데이터 래치 클럭(CLKOUT)과 외부 데이터(DATA)의 위상이 90도 차이 나는 경우는 제 1 코드(CODE1) 및 제 2 코드(CODE2)가 동일해지고, 가변 지연부(51)는 락킹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데이터 입출력 패드 20 : 데이터 수신부
30 : 클럭 입력 패드 40 : 클럭 수신부
50 : 데이터 래치 클럭 생성부 51 : 가변 지연부
52 : 제 1 컨버터 53 : 제 2 컨버터
54 : 연산부 55 : 지연량 조절부
54_1 : 감산부 54_2 : 이득 선택부
54_3 : 이득 조절부 54_4 : 지연 코드 생성부
51_1 : 제 1 클럭 버퍼 51_2 : 제 1 지연 선택부
51_3 : 제 1 로딩부 51_4 : 제 2 지연 선택부
51_5 : 제 2 로딩부 51_6 : 제 2 클럭 버퍼

Claims (20)

  1. 지연 코드에 응답하여 기준 클럭을 지연시켜 데이터 래치 클럭을 생성하는 가변 지연부;
    외부 데이터의 위상 및 상기 데이터 래치 클럭의 위상을 각각 제 1 코드 및 제 2 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제 1 코드 및 제 2 코드의 연산을 통해 상기 지연 코드를 생성하는 지연량 조절부; 및
    상기 외부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래치 클럭에 동기하여 내부 데이터로 래치하는 데이터 수신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량 조절부는,
    상기 외부 데이터의 위상을 상기 제 1 코드로 생성하는 제 1 컨버터;
    상기 데이터 래치 클럭의 위상을 상기 제 2 코드로 생성하는 제 2 컨버터; 및
    상기 제 1 코드 및 제 2 코드의 차이를 연산하여 지연 코드를 생성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버터는,
    상기 데이터 래치 클럭의 라이징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데이터 래치 클럭의 라이징 시점에 앞선 상기 외부 데이터의 라이징 시점을 상기 제 1 코드로 생성하는 반도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버터는,
    상기 외부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제 1 지연량 지연시키는 복수의 제 1 지연기;
    상기 데이터 래치 클럭을 순차적으로 제 2 지연량 지연시키는 복수의 제 2 지연기; 및
    순차적으로, 각각의 제 1 지연기의 출력을 각각의 제 2 지연기의 출력으로 래치하여 제 1 래치 코드를 생성하는 복수의 제 1 플립플롭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연량은 상기 제 2 지연량보다 크게 설정된 반도체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버터는,
    상기 제 1 래치 코드 값을 상기 제 1 코드로 변환하는 반도체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컨버터는,
    반전 외부 데이터의 라이징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반전 외부 데이터의 라이징에 앞선 상기 데이터 래치 클럭의 라이징 시점을 상기 제 2 코드로 생성하는 반도체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컨버터는,
    상기 데이터 래치 클럭을 순차적으로 제 3 지연량 지연시키는 복수의 제 3 지연기;
    반전 외부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제 4 지연량 지연시키는 복수의 제 4 지연기; 및
    순차적으로, 각각의 제 3 지연기의 출력을 각각의 제 4 지연기의 출력으로 래치하여 제 2 래치 코드를 생성하는 복수의 제 2 플립플롭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지연량은 상기 제 4 지연량보다 크게 설정된 반도체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컨버터는,
    상기 제 2 래치 코드 값을 상기 제 2 코드로 변환하는 반도체 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제 1 코드 및 제 2 코드를 감산하여 감산 결과 코드를 생성하는 감산부;
    상기 감산 결과 코드에 이득 값을 곱하여 상기 연산 코드로 출력하는 이득 조절부; 및
    상기 연산 코드에 응답하여 상기 지연 코드를 조절하는 지연 코드 생성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감산 결과 코드에 응답하여 상기 이득 값을 조절하는 이득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컨버터는,
    상기 외부 데이터의 위상과 상기 데이터 래치 클럭의 위상이 실질적으로 90도 차이 나는 경우 동일한 상기 제 1 코드 및 제 2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가변 지연부는,
    상기 제 1 코드 및 제 2 코드가 동일한 경우 락킹(locking)되는 반도체 장치.
  14. 데이터 입출력 패드로 수신한 외부 데이터의 위상을 제 1 코드로 생성하는 제 1 컨버터;
    상기 데이터 래치 클럭의 위상을 제 2 코드로 생성하는 제 2 컨버터;
    상기 제 1 코드 및 제 2 코드의 차이를 연산하여 지연 코드를 생성하는 연산부; 및
    상기 지연 코드에 응답하여 기준 클럭을 지연시켜 데이터 래치 클럭을 생성하는 가변 지연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버터는,
    상기 데이터 래치 클럭의 라이징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데이터 래치 클럭의 라이징 시점에 앞선 상기 외부 데이터의 라이징 시점을 상기 제 1 코드로 생성하는 반도체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버터는,
    상기 외부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제 1 지연량 지연시키는 복수의 제 1 지연기;
    상기 데이터 래치 클럭을 순차적으로 제 2 지연량 지연시키는 복수의 제 2 지연기; 및
    순차적으로, 각각의 제 1 지연기의 출력을 각각의 제 2 지연기의 출력으로 래치하여 제 1 래치 코드를 생성하는 복수의 제 1 플립플롭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연량은 상기 제 2 지연량보다 크게 설정되고,
    상기 제 1 컨버터는,
    상기 제 1 래치 코드 값을 상기 제 1 코드로 변환하는 반도체 장치.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컨버터는,
    반전 외부 데이터의 라이징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반전 외부 데이터의 라이징에 앞선 상기 데이터 래치 클럭의 라이징 시점을 상기 제 2 코드로 생성하는 반도체 장치.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컨버터는,
    상기 데이터 래치 클럭을 순차적으로 제 3 지연량 지연시키는 복수의 제 3 지연기;
    반전 외부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제 4 지연량 지연시키는 복수의 제 4 지연기; 및
    순차적으로, 각각의 제 3 지연기의 출력을 각각의 제 4 지연기의 출력으로 래치하여 제 2 래치 코드를 생성하는 복수의 제 2 플립플롭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지연량은 상기 제 4 지연량보다 크게 설정되고,
    상기 제 2 컨버터는,
    상기 제 2 래치 코드 값을 상기 제 2 코드로 변환하는 반도체 장치.
KR1020120152193A 2012-12-24 2012-12-24 반도체 장치 KR102041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2193A KR102041471B1 (ko) 2012-12-24 2012-12-24 반도체 장치
US13/860,307 US8847644B2 (en) 2012-12-24 2013-04-10 Semiconductor apparatus
US14/466,191 US8970268B2 (en) 2012-12-24 2014-08-22 Semiconductor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2193A KR102041471B1 (ko) 2012-12-24 2012-12-24 반도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2339A true KR20140082339A (ko) 2014-07-02
KR102041471B1 KR102041471B1 (ko) 2019-11-07

Family

ID=50973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2193A KR102041471B1 (ko) 2012-12-24 2012-12-24 반도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8847644B2 (ko)
KR (1) KR1020414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471B1 (ko) * 2012-12-24 2019-11-07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86486A1 (en) * 2010-10-11 2012-04-12 Tae-Sik Na Phase interpolator and delay locked-loop circuit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7910A (en) * 1996-11-29 2000-08-22 X-Cyte, Inc. Dual mode transmitter/receiver and decoder for RF transponder tags
US6247138B1 (en) * 1997-06-12 2001-06-12 Fujitsu Limited Timing signal generating circuit,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system to which the timing signal generating circuit is applied, and signal transmission system
US6265904B1 (en) * 1998-10-02 2001-07-24 Vlsi Technology Inc. Digital phase shift amplification and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6463392B1 (en) * 1999-08-16 2002-10-08 Agilen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a sampling time in a logic analyzer
US6614278B2 (en) * 2001-05-29 2003-09-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ulsed signal transition delay adjusting circuit
US6882238B2 (en) * 2003-03-21 2005-04-19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on-die voltage variations
JP3859624B2 (ja) * 2003-07-31 2006-12-20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遅延回路と遅延同期ループ装置
US7451049B2 (en) * 2004-02-27 2008-11-11 National Instruments Corporation Automatic delays for alignment of signals
US7664216B2 (en) * 2004-08-05 2010-02-16 Micron Technology, Inc. Digital frequency locked delay line
KR100784905B1 (ko) 2006-05-04 2007-12-1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터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930401B1 (ko) 2007-10-09 2009-12-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1003143B1 (ko) * 2009-05-13 2010-12-2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집적 회로
JP5441208B2 (ja) * 2009-06-19 2014-03-12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JP2011009922A (ja) * 2009-06-24 2011-01-13 Elpida Memory Inc Dll回路及びこれを備える半導体装置
KR101003155B1 (ko) * 2009-06-29 2010-12-2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정렬 회로 및 방법
JP5595708B2 (ja) * 2009-10-09 2014-09-24 ピーエスフォー ルクスコ エスエイアールエル 半導体装置及びその調整方法並びにデータ処理システム
JP2011081732A (ja) * 2009-10-09 2011-04-21 Elpida Memory Inc 半導体装置及びその調整方法並びにデータ処理システム
US8548773B2 (en) * 2009-10-28 2013-10-01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High speed chip screening method using delay locked loop
JP5472487B2 (ja) * 2010-11-26 2014-04-16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
KR101163048B1 (ko) * 2010-12-07 2012-07-0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출력 타이밍 제어회로 및 그를 이용하는 반도체 장치
CN103502826B (zh) * 2011-05-11 2015-09-02 株式会社索思未来 输入电路
KR101331442B1 (ko) * 2012-06-29 2013-11-21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듀티 싸이클 보정기능이 루프 내에 내장된 지연고정루프
JP6121135B2 (ja) * 2012-10-31 2017-04-26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同期化回路及びこれを含むクロックデータリカバリ回路
KR102035112B1 (ko) * 2012-12-11 2019-10-23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KR102041471B1 (ko) * 2012-12-24 2019-11-07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KR102009166B1 (ko) * 2013-03-05 2019-10-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영상 데이터 구동 장치,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영상 데이터 구동 장치의 구동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86486A1 (en) * 2010-10-11 2012-04-12 Tae-Sik Na Phase interpolator and delay locked-loop circ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70268B2 (en) 2015-03-03
US8847644B2 (en) 2014-09-30
US20140361818A1 (en) 2014-12-11
US20140176207A1 (en) 2014-06-26
KR102041471B1 (ko) 2019-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16734B2 (en) Clock generation circuit and semiconductor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7893740B2 (en) Data signal generating apparatus
US10108211B2 (en) Digital low drop-out regulator
US7825712B2 (en) Multi-phase clock signal generating circuit having improved phase difference and a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08205730A (ja) Pll回路
KR20090045773A (ko) 고속으로 동작하는 반도체 장치의 지연 고정 회로
US9397671B2 (en) Delay locked loop and semiconductor apparatus
JP2011061350A (ja) 受信装置及びその受信方法
KR100829453B1 (ko) Dll 회로의 기준 클럭 생성 장치 및 방법
JP2010273132A (ja) タイミング調整回路、タイミング調整方法及び補正値算出方法
KR20210069530A (ko) 다위상 신호의 위상을 조절하는 반도체 장치
KR102041471B1 (ko) 반도체 장치
US7750711B2 (en) Phase select circuit with reduced hysteresis effect
US6359519B1 (en) Self-timed numerically controlled ring oscillator
Jung et al. All-digital process-variation-calibrated timing generator for ATE with 1.95-ps resolution and maximum 1.2-GHz test rate
JP4825710B2 (ja) 多相クロック生成回路およびシリアルデータ受信回路
US20090278578A1 (en) Delay locked loop circuit and delay locking method
JP6098171B2 (ja) 信号処理回路
JP2005354271A (ja) 半導体装置、クロック位相調整回路、送信回路及び受信回路。
JP2003078511A (ja) 信号伝送システム
JP2004208222A (ja) クロック復元回路およびデータ受信回路
JP2011205165A (ja) 半導体装置及び遅延量調整方法
US20230361763A1 (en) Phase interpolator circuit, reception circuit,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KR100911191B1 (ko) 주파수 조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dll 회로
JP2015162866A (ja) クロック遅延生成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