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5955A - 이해체성 점착제 조성물 및 이해체성 점착 테이프 - Google Patents

이해체성 점착제 조성물 및 이해체성 점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5955A
KR20140045955A KR1020137034275A KR20137034275A KR20140045955A KR 20140045955 A KR20140045955 A KR 20140045955A KR 1020137034275 A KR1020137034275 A KR 1020137034275A KR 20137034275 A KR20137034275 A KR 20137034275A KR 20140045955 A KR20140045955 A KR 20140045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ate
meth
sensitive adhesive
pressure
adhesiv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4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6756B1 (ko
Inventor
아키카즈 마츠모토
에리코 사토
아키노리 모리노
고우지로우 다나카
Original Assignee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고리쓰다이가쿠호진 오사카 시리쓰다이가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고리쓰다이가쿠호진 오사카 시리쓰다이가쿠 filed Critical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45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5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3/00Adhesives based on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ation on to a macromolecule having groups capable of inducing the formation of new polymer chains bound exclusively at one or both ends of the starting macro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ation on to a macromolecule having groups capable of inducing the formation of new polymer chains bound exclusively at one or both ends of the starting macromolecule
    • C08F293/005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ation on to a macromolecule having groups capable of inducing the formation of new polymer chains bound exclusively at one or both ends of the starting macromolecule using free radical "living" or "controlled" polymerisation, e.g. using a complex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3/00Adhesives based on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53/005Modified block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7Block-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카르복시 전구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a)로 이루어지는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쇄(A)와, 탄소수 1∼14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b) 및 극성기 함유 모노머(c)를 모노머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쇄(B)를 갖는 아크릴계 블록 중합체, 및, 산촉매 또는 산발생제를 함유하는 이해체성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호적한 접착성과 해체성을 실현할 수 있으며, 해체 시의 스틱 슬립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해체성 점착제 조성물 및 이해체성 점착 테이프{EASILY DISMANTLED ADHESIVE AGENT COMPOSITION AND EASILY DISMANTLED ADHESIVE TAPE}
본 발명은, 피착체에의 첩부, 물품간의 고정을 행한 후, 일정 기간 경과 후에 당해 첩부나 고정을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는 이해체성(易解體性) 점착 테이프 및 당해 이해체성 점착 테이프를 부여하는 이해체성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점착 테이프는, 작업성이 우수한 접착 신뢰성이 높은 접합 수단으로서, OA 기기, IT·가전 제품, 자동차 등의 각 산업 분야에서의 부품 고정 용도나, 부품의 가고정 용도, 제품 정보를 표시하는 라벨 용도 등에 사용되고 있다. 최근, 지구 환경 보호의 관점에서, 이들 가전이나 자동차 등의 각종 산업 분야에 있어서, 사용 완료 제품의 리사이클, 리유스의 요청이 높아지고 있다. 각종 제품을 리사이클, 리유스할 때에는, 부품의 고정이나 라벨로 사용되고 있는 점착 테이프를 박리하는 작업이 필요해지지만, 당해 점착 테이프는 제품 중의 각소(各所)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간이한 제거 공정에 의한 작업 코스트의 저감이 요망되고 있다.
이해체성의 점착 테이프로서는, 예를 들면, 접착력이 상이한 2층 이상의 점착층을 갖는 점착 부재가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당해 점착 테이프는, 중첩 구조의 점착층을 갖는 점착 부재에 있어서의 약(弱)점착층을 통하여 피착체를 접합 처리함에 의해, 피착체의 강고한 고착과, 당해 약점착층을 박리면으로 하는 용이한 해체를 실현한다는 점착 부재이다. 그러나 당해 점착 부재는, 복수의 점착제층을 필수의 구성으로 하기 때문에 제조 코스트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약점착층에 의해 피착체와의 접착이 행해지는 구성이기 때문에 접착력을 높이는데는 제한이 있어, 강고하게 물품을 고정하는 용도에의 전개가 곤란했다.
다른 이해체성의 점착제 조성물로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당해 점착제 조성물은, 온수 침지에서의 박리 작업에 있어서 폴리카프로락톤의 가수분해 촉진 작용에 의해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당해 점착제 조성물은, 박리 시에 온수 침지가 필요하므로, 해체 작업을 행하는 부재가 클 경우에는 설비 코스트가 크고, 전자 부품 등을 재이용할 때 등의 물을 사용할 수 없는 부품에는 적용할 수 없는 것이었다.
또한, 해체 시에 점착 테이프의 접착력이 대폭으로 저하했을 경우에도, 점착 테이프의 피착체로부터의 박리나 기재로부터의 점착제층의 박리 시에 스틱 슬립이 생기면, 각종 공업 제품을 리사이클, 리유스할 때에 부품의 파손이 생기는 경우나, 부분적으로 부품에의 풀남음이 생기는 경우가 있으며, 또한, 다량의 물품의 해체 시에는 작업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아크릴계의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한 점착제 조성물로서, 아크릴계 폴리머 블록 중에 카르복시 전구기(前驅基)(-COOt-부틸)를 갖는 아크릴 공중합체를 제조한 후, 당해 카르복시 전구기를 카르복시기로 변환한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3 참조). 당해 점착제 조성물은, 카르복시 전구기로서, t-부틸기를 측쇄에 갖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공정을 갖는 것이지만, 얻어지는 점착제 조성물 중에는 당해 t-부틸기는 잔존하지 않으며, 해체성을 갖는 것이 아니었다.
일본국 특개평10-140093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9-137145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2-167566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호적(好適)하게 피착체에의 첩부나 부품간의 고정이 가능하며, 또한, 해체 시에는 온수 등의 물을 사용하지 않고도, 가열이나 에너지선 조사에 의해 용이하게 해체 가능한 이해체성 점착 테이프 및 당해 이해체성 점착 테이프를 실현 가능한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해체 시의 점착 테이프의 피착체로부터의 박리나 기재로부터의 점착제층의 박리 시에도 스틱 슬립을 발생시키기 어려운 이해체성 점착 테이프 및 당해 이해체성 점착 테이프를 실현 가능한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이하의 태양을 포함한다.
(1) 아크릴계 중합체, 및, 산촉매 또는 산발생제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로서,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가, 카르복시 전구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a)로 이루어지는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쇄(A)와, 상기 카르복시 전구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a) 이외의 탄소수 1∼14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b) 및 극성기 함유 모노머(c)를 모노머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쇄(B)를 갖는 아크릴계 블록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해체성 점착제 조성물.
(2) 상기 카르복시 전구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a)가, ter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틸-2-아다만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2-아다만틸(메타)아크릴레이트, 보르닐(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상기 (1)에 기재된 이해체성 점착제 조성물.
(3) 상기 탄소수 1∼14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b)가,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및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이해체성 점착제 조성물.
(4)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 중의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쇄(A)와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쇄(B)의 비율이, (A)/(B)로 표시되는 몰비로 75/25∼1/99인 상기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해체성 점착제 조성물.
(5) 상기 극성기 함유 모노머(c)의 함유량이, 상기 아크릴계 블록 중합체를 형성하는 전(全) 모노머 성분 중의 1∼30질량%인 상기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해체성 점착제 조성물.
(6) 상기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해체성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을 갖는 이해체성 점착 테이프.
본 발명의 이해체성 점착제 조성물에 따르면, 아크릴계 중합체가 갖는 점착 특성을 저감시키지 않으며, 해체 시에는 열이나 광 등의 간이한 수단에 의해, 용이하게 풀남음 없이 해체할 수 있다. 또한, 초기의 접착력이 높은 경우에도 양호한 해체성을 실현할 수 있고, 극성기 함유 모노머를 사용하며, 또한 해체성을 갖는 구조 단위를 블록상으로 가짐으로써 점착제/기재 계면이나 점착제/피착체 계면에서의 해체성이 향상하여, 해체 시에 점착 테이프의 피착체로부터의 박리나 기재로부터의 점착제층의 박리 시에도 양호하게 해체 가능하다. 이 때문에, 리사이클이나 리유스에 적용되는 OA 기기, IT·가전 제품, 자동차 등의 각 산업 분야에서의 부품 고정 용도나 부품의 가고정 용도, 제품 정보를 표시하는 라벨 용도 등에 특단의 제한없이 호적하게 적용할 수 있고, 해체 시에도 간이한 가열 설비나 에너지선 조사 설비 등에 의해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다.
또한, 해체 시에 스틱 슬립을 발생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으며, 피착체로 되는 부품의 파손이나 풀남음이 생기기 어려워, 해체 시의 작업성도 양호해진다. 이 때문에 유기 EL 패널나 액정 패널에 사용되는 박형의 화상 표시 모듈이나, 투명 도전층을 갖는 투명 도전 유리, 패널 표면의 보호 유리 등의 박형 유리 등의 깨짐을 발생시키기 쉬운 부재를 점착 테이프로 고정했을 경우에는, 박리 시에 스틱 슬립이 생기면 일시적으로 박리력이 높아져 부품에 깨짐이 생기기 쉽지만,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에 따르면, 이러한 깨짐이 생기기 쉬운 부품에 있어서도 깨짐을 발생시키지 않고 해체가 가능해진다.
도 1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가열 전후, UV 조사 후, 및 UV 조사 및 가열 후의 180° 박리 강도(N/20㎜) 및 박리 거리(㎜/20㎜ 폭)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가열 전후, UV 조사 후, 및 UV 조사 및 가열 후의 180° 박리 강도(N/20㎜) 및 박리 거리(㎜/20㎜ 폭)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실시예 3에 있어서의 가열 전후, UV 조사 후, 및 UV 조사 및 가열 후의 180° 박리 강도(N/20㎜) 및 박리 거리(㎜/20㎜ 폭)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실시예 4에 있어서의 가열 전후, UV 조사 후, 및 UV 조사 및 가열 후의 180° 박리 강도(N/20㎜) 및 박리 거리(㎜/20㎜ 폭)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비교예 1에 있어서의 가열 전후, UV 조사 후, 및 UV 조사 및 가열 후의 180° 박리 강도(N/20㎜) 및 박리 거리(㎜/20㎜ 폭)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비교예 2에 있어서의 가열 전후, UV 조사 후, 및 UV 조사 및 가열 후의 180° 박리 강도(N/20㎜) 및 박리 거리(㎜/20㎜ 폭)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비교예 3에 있어서의 가열 전후, UV 조사 후, 및 UV 조사 및 가열 후의 180° 박리 강도(N/20㎜) 및 박리 거리(㎜/20㎜ 폭)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실시예 5에 있어서의 가열 전후, UV 조사 후, 및 UV 조사 및 가열 후의 180° 박리 강도(N/20㎜) 및 박리 거리(㎜/20㎜ 폭)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실시예 6에 있어서의 초기, 및 UV 조사 및 가열 후의 180° 박리 강도(N/20㎜) 및 박리 거리(㎜/20㎜ 폭)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실시예 7에 있어서의 초기, 및 UV 조사 및 가열 후의 180° 박리 강도(N/20㎜) 및 박리 거리(㎜/20㎜ 폭)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실시예 8에 있어서의 초기, 및 UV 조사 및 가열 후의 180° 박리 강도(N/20㎜) 및 박리 거리(㎜/20㎜ 폭)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실시예 9에 있어서의 초기, 및 UV 조사 및 가열 후의 180° 박리 강도(N/20㎜) 및 박리 거리(㎜/20㎜ 폭)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실시예 10에 있어서의 초기, 및 UV 조사 및 가열 후의 180° 박리 강도(N/20㎜) 및 박리 거리(㎜/20㎜ 폭)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실시예 11에 있어서의 초기, 및 UV 조사 및 가열 후의 180° 박리 강도(N/20㎜) 및 박리 거리(㎜/20㎜ 폭)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실시예 14에 있어서의 초기, 및 UV 조사 및 가열 후의 180° 박리 강도(N/20㎜) 및 박리 거리(㎜/20㎜ 폭)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비교예 4에 있어서의 초기, 및 UV 조사 및 가열 후의 180° 박리 강도(N/20㎜) 및 박리 거리(㎜/20㎜ 폭)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실시예 15에 있어서의 초기, 및 가열, UV 조사, 및 재가열 후의 180° 박리 강도(N/20㎜) 및 박리 거리(㎜/20㎜ 폭)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실시예 16에 있어서의 초기, 및 가열, UV 조사, 및 재가열 후의 180° 박리 강도(N/20㎜) 및 박리 거리(㎜/20㎜ 폭)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비교예 5에 있어서의 초기, 및 가열, UV 조사, 및 재가열 후의 180° 박리 강도(N/20㎜) 및 박리 거리(㎜/20㎜ 폭)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비교예 6에 있어서의 초기, 및 가열, UV 조사, 및 재가열 후의 180° 박리 강도(N/20㎜) 및 박리 거리(㎜/20㎜ 폭)를 나타내는 도면.
[아크릴계 중합체]
본 발명의 이해체성 점착제 조성물에 사용하는 아크릴계 중합체는, 카르복시 전구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a)로 이루어지는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쇄(A)와, 탄소수 1∼14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b) 및 극성기 함유 모노머(c)를 모노머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쇄(B)를 갖는 아크릴계 블록 중합체이다.
카르복시 전구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a)로 이루어지는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쇄(A)는, 당해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a)가 갖는 카르복시 전구기를 측쇄에 갖는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쇄이다.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쇄(A)의 카르복시 전구기는, 산촉매나 점착제층 외부로부터의 광이나 열에 의해 산을 발생시키는 산발생제의 산 성분에 의해 카르복시기로 변환되어, 당해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쇄(A)는, 폴리(메타)아크릴산쇄로 된다. 당해 폴리(메타)아크릴산쇄는, 점착제층의 응집력을 높게 하며, 또한 (메타)아크릴산 생성 시에 발포를 발생시키는 때문에, 점착제층의 점착성을 저감시키므로, 외부 자극에 의해 생긴 산 성분에 의해 측쇄가 분해함으로써, 점착제층의 박리성이 향상하여, 양호하게 해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카르복시 전구기로서는, 산에 의해 카르복시기로 되는 것이면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산에 의해 올레핀 탈리를 발생시키기 쉬운 제2급 또는 제3급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와 카르복시기로 구성되는 에스테르기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2급 또는 제3급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 이외의 기로서, 온화한 조건에서 탈리하기 쉬운 벤질기 등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당해 측쇄 분해 시에 탈리하는 카르복시 전구기 중에서도, 탈리하여 알킬렌, 알칸 등의 기체를 발생시키는 것은, 점착제층의 박리성 향상에 기여하기 때문에, 더 양호한 재박리성이 얻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당해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쇄(A)는,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1)으로 표시되는 폴리머쇄이다.
Figure pct00001
상기 식(1) 중의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며,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이다. 또한, X1는 산의 영향에 의해서 탈리하여, 상기 식(1) 중에 카르복시기를 형성할 수 있는 알킬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2)를 나타낸다. X1가 제2급 또는 제3급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인 경우에는,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의 산소 원자와, 당해 알킬기의 제2급 또는 제3급 탄소 원자가 결합한다. 당해 X1는, 탈리함으로써 상기 식(1) 중에 카르복시기를 형성할 수 있는 알킬기이면 반복 단위마다 달라도 되지만, 동일한 반복 단위가 연속한 구조인 것이 제조상 호적하다. 반복 단위 수 n은, 10 이상이면, 산촉매나 점착제층 외부로부터의 광이나 열에 의해 산을 발생시키는 산발생제의 산 성분에 의해 측쇄 분해하여, 점착제층의 박리에 기여할 수 있다. 당해 반복 단위 수 n은, 중합 가능한 반복 단위 수이며, 점착 특성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면 특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며, 상한에 대해서는 바람직하게는 10만 이하이다. 그 중에서도, 100∼10000 정도이면 특히 호적한 접착 특성을 얻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며, 200∼6000이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쇄(A)를 구성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a) 중, 제2급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의 제2급 탄소 원자와,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가 결합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a1-1)로서는, 예를 들면, sec-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sec-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sec-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sec-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sec-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보르닐(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는, 호적한 해체성을 얻기 쉬우며, 또한, 무색이고 투명성이 높은 점착제층을 얻기 쉬우므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3급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의 제3급 탄소 원자와,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가 결합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a1-2)로서는, 예를 들면 ter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ert-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tert-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tert-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tert-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틸-2-아다만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2-알킬-2-아다만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이외의 카르복시 전구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a)로서,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a) 중에서도, ter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틸-2-아다만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2-아다만틸(메타)아크릴레이트, 보르닐(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는, 특히 산에 의해 호적하게 카르복시기를 형성하기 때문에, 적의(適宜) 선택하여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tert-부틸아크릴레이트를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는, 산에 의한 호적한 카르복시기 형성에 더하여, 열안정성이 높고, 무색이며 투명성이 높은 점착제층을 얻기 쉽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는, 가열만 또는 자외선 조사만으로 해체하는 것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접착 안정성이 필요한 용도 등에 있어서는, 가열만 또는 자외선 조사만으로는 대폭적인 접착력 저하가 생기지 않으며, 가열 및 자외선 조사의 조합에 있어서 대폭적인 접착력 저하가 생기는 점착제 조성물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이러한 용도에 있어서는, 상기 카르복시 전구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a)로서, 가열만 또는 자외선 조사만으로는 대폭적인 접착력 저하가 생기기 어려워, 가열 및 자외선 조사의 조합에 있어서 대폭적인 접착력 저하가 생기기 쉬운 상기 예시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sec-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 보르닐아크릴레이트, 또는, tert-부틸아크릴레이트를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카르복시 전구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a)의 함유량으로서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전 모노머 성분 중의 75질량% 이하인 것이 호적한 접착성과 해체성을 실현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며, 1∼6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0질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3∼40질량%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쇄(B)는, 상기 카르복시 전구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a) 이외의 탄소수 1∼14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b)와, 극성기 함유 모노머(c)를 모노머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쇄를 가짐으로써, 호적한 접착성을 실현할 수 있다.
당해 탄소수 1∼14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b)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n-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n-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n-운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n-도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n-트리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및/또는, n-테트라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또는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를 주된 모노머 성분으로서 사용함으로써, 얻어지는 점착제층의 점착성 향상에 호적하다.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쇄(B)는, 상기 탄소수 1∼14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를 주된 모노머 성분으로 함으로써 호적한 접착성을 실현하기 쉬우며,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쇄(B)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중의 50질량% 이상이 상기 탄소수 1∼14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인 것이 바람직하며, 80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를,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전 모노머 성분 중의 20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호적한 접착성을 실현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며, 30∼9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90질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50∼80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쇄(B)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으로서 극성기 함유 모노머(c)를 병용함으로써, 높은 접착성을 가지면서, 해체 시에는 우수한 해체성을 실현할 수 있다. 극성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수산기, 카르복시기, 아미노기, 이미노기 또는 아미드기 등의 극성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를 예시할 수 있으며, 이들 모노머는, 분자간 상호 작용에 의해, 접착성이나 해체 시의 점착제층의 응집력의 향상에 기여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수소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극성기 함유 비닐 모노머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수산기 함유 비닐 모노머는, 접착성의 향상이나, 접착 후의 점착제층의 경시(經時) 안정성이 우수하며, 또한 해체 시에는 점착제층의 응집력을 확보하기 쉬우므로 피착체/점착제층 계면이나 점착제층/기재 계면에서의 해체나 스틱 슬립의 억제에 기여하여, 호적한 해체성을 얻기 쉽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수산기 함유 비닐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8-히드록시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10-히드록시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12-히드록시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적의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카르복시기 함유 비닐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크로톤산, 아크릴산 다이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숙신산아크릴레이트 등의 카르복시기를 갖는 모노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아미드기 함유 비닐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디에틸아크릴아미드, N-비닐피롤리돈,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타크릴아미드, N,N-디에틸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메타크릴아미드,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아미노기 함유 비닐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미노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이소프로필말레이미드,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이타콘이미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극성기 함유 비닐 모노머의 함유량으로서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중의 1∼30질량%로 함으로써 강(强)접착력화에서의 해체성이 특히 양호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며, 5∼2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20질량%로 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또한, 극성기 함유 비닐 모노머의 함유량을 5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질량% 이상으로 하면, 고온 하에서의 점착제층의 응집력이 높아져, 우수한 고온 접착성을 발휘하기 쉬워지며, 해체 시에 점착제층/피착체 계면이나 점착제층/기재 계면에서 양호하게 박리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또,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쇄(B) 중에는, 상기한 탄소수 1∼14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b) 및 극성기 함유 모노머(c) 이외의 모노머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당해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스티렌, 아세트산비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제조 방법에 따라서는,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쇄(B) 중에, 카르복시 전구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a)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쇄(B) 중에, 상기 탄소수 1∼14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b) 및 극성기 함유 모노머(c) 이외의 모노머를 함유할 경우에는, 당해 모노머를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쇄(B)를 형성하는 모노머 성분 중의 30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0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아크릴계 중합체는, 상기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쇄(A)와,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쇄(B)와의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피착체와의 접착성이나 점착제층의 응집력이 우수한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쇄(B)와, 해체 성능을 갖는 반복 단위가 연속한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쇄(A)를 가짐으로써, 높은 접착력이어도 해체 시에는 해체 성능을 갖는 반복 단위의 효과를 호적하게 발휘할 수 있으며, 해체 시에 스틱 슬립을 발생시키지 않아 양호한 해체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 당해 블록 공중합체는, 하나의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쇄(A)와 하나의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쇄(B)와의 블록 공중합체(AB형 블록 공중합체)이어도, 복수의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쇄(A)나 복수의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쇄(B)가 랜덤하게 블록 중합된 블록 공중합체(ABA형, BAB형, ABAB형, ABABA형 등)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만∼200만 정도의 범위에서 사용 태양에 따라 적의 조정하면 되고, 후술하는 리빙라디칼 중합법에 의하여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를 제조할 경우에는, 양호한 생산 효율을 유지하는 관점에서 1만∼10만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해체 전의 양호한 점착 강도를 유지하는 관점에서는 15만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30만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5만∼100만 정도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특히 해체 시의 점착제층의 응집력을 확보하고자 할 경우에는 60만 이상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수평균 분자량이 15만 이상인 경우에, 높은 접착력과 호적한 해체성을 실현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과 상기 수평균 분자량은,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한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이다. 측정 조건의 예로서, HLC-8220GPC(도소사제)를 사용하여 칼럼은 TSKgel GMHXL[도소제]을 사용하고, 칼럼 온도는 40℃, 용리액은 테트라히드로퓨란, 유량은 1.0㎖/분으로 하고, 표준 폴리스티렌은 TSK 표준 폴리스티렌을 사용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분자량을 조정하기 위하여, 중합에는 연쇄 이동제를 사용해도 된다. 연쇄 이동제로서는, 공지의 연쇄 이동제, 예를 들면 라우릴메르캅탄, 글리시딜메르캅탄, 메르캅토아세트산, 2-메르캅토에탄올, 티오글리콜산, 티오글리콜산2-에틸헥실, 2,3-디메틸캅토-1-프로판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중합체 중의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쇄(A)와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쇄(B)의 함유 비율은, (A)와 (B)의 합계에 대하여, (A)가 75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몰비(A)/(B)로 표시되는 공중합 비율이, 75/25∼1/99인 것이 바람직하며, 65/35∼3/97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50∼10/90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40/60∼15/85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블록 공중합비를 당해 범위로 함으로써,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쇄(A)에 의한 호적한 해체성과,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쇄(B)의 점착성 등의 특성을 호적하게 발현하기 쉬워진다.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예를 들면 상기 아크릴 단량체의 혼합물을, 라디칼 중합 반응함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리빙라디칼 중합법이나, 아조계 개시제 또는 과산화물을 사용하여 행하는 종래 알려진 라디칼 중합법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리빙라디칼 중합법을 채용하는 것이, 라디칼 중합 과정에 있어서의 연쇄 이동 반응이나 정지 반응 등의 부반응(副反應)을 야기하지 않으며, 저분자량 성분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어, 분자량 분포가 좁은 아크릴계 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리빙라디칼 중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원자 이동 라디칼 중합법(ATRP법), 고주기 15족 또는 16족 원소를 함유하는 유기헤테로 화합물을 촉매로서 사용하는 리빙라디칼 중합법(유기헤테로 화합물을 매개로 하는 라디칼 중합법)(TERP법 등), 니트록시드를 통하여 리빙라디칼 중합법(NMP법), 가역적 부가 개열 연쇄 이동 중합 반응법(RAFT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원자 이동 라디칼 중합법(ATRP법)은, 예를 들면 천이 금속착체와, 유기할로겐화물의 존재 하에서, 상기한 아크릴 단량체를 중합하는 방법이다.
상기 천이 금속착체를 구성하는 천이 금속으로서는, 예를 들면 Cu, Ru, Fe, Rh, V, Ni나, 그들의 할로겐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이 금속에 배위하는 배위자로서는, 비피리딜 유도체, 메르캅탄 유도체, 트리플루오레이트 유도체, 3급 알킬아민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할로겐화물은, 중합 개시제로서, 예를 들면 2-브로모(또는 클로로)프로피온산메틸, 2-브로모(또는 클로로)프로피온산에틸, 2-브로모(또는 클로로)-2-메틸프로피온산메틸, 2-브로모(또는 클로로)-2-메틸프로피온산에틸, 염화(또는 브롬화) 1-페닐에틸, 2-브로모(또는 클로로)프로피온산2-히드록시에틸, 2-브로모(또는 클로로)프로피온산4-히드록시부틸, 2-브로모(또는 클로로)-2-메틸프로피온산2-히드록시에틸, 2-브로모(또는 클로로)-2-메틸프로피온산4-히드록시부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유기헤테로 화합물을 매개로 하는 라디칼 중합법은, 유기헤테로 화합물과 라디칼 개시제 존재 하에서, 상기한 아크릴 단량체를 중합하는 방법이다. 당해 유기헤테로 화합물을 매개로 하는 라디칼 중합법에 따르면, 아크릴 공중합체의 분자량을 고분자량화하기 쉬우며,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유기헤테로 화합물을 매개로 하는 라디칼 중합법에 사용하는 유기헤테로 화합물로서는, 유기텔루륨 화합물, 유기디텔루리드 화합물, 유기비스무트 화합물, 유기안티몬 화합물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유기헤테로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일본국 특개2004-323693호 공보, WO2004/14818 공보, 일본국 특개2006-225524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6-299278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8-291216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9-149877호 공보 등에 개시가 있는 유기텔루륨 화합물, 유기디텔루리드 화합물, 일본국 특개2009-149877호 공보, WO2006/62255 공보 등에 개시가 있는 유기비스무트 화합물, 일본국 특개2009-149877호 공보, WO2006/1496 공보 등에 개시가 있는 유기안티몬 화합물 등의 주지의 화합물을 적의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2-메틸텔라닐-2-메틸프로피온산메틸, 2-메틸텔라닐-2-메틸프로피온산에틸, 2-n-부틸-2-페닐텔라닐프로피온산에틸, 2-메틸-2-페닐텔라닐프로피온산에틸, 2-메틸텔라닐프로피오니트릴, 2-메틸-2-메틸텔라닐프로피오니트릴, (메틸텔라닐-메틸)벤젠, (1-메틸텔라닐-에틸)벤젠, (2-메틸텔라닐-프로필)벤젠, (1-페닐텔라닐-에틸)벤젠, 2-메틸-2-n-부틸텔라닐-프로피온산에틸, 2-메틸-2-디메틸비스무타닐프로피온산메틸에스테르, 2-메틸-2-디페닐비스무타닐프로피오니트릴, 2-메틸-2-디메틸페닐비스무타닐프로피오니트릴, 2-메틸-2-디메틸스티바닐프로피온산메틸, 2-메틸-2-디메틸스티바닐프로피오니트릴, 1-디메틸스티바닐-1-페닐에탄, 디메틸디텔루리드, 디에틸디텔루리드, 디-n-프로필디텔루리드, 디이소프로필디텔루리드, 디시클로프로필디텔루리드, 디-n-부틸디텔루리드, 디-sec-부틸디텔루리드, 디-tert-부틸디텔루리드, 디시클로부틸디텔루리드, 디페닐디텔루리드, 비스-(p-메톡시페닐)디텔루리드, 비스-(p-아미노페닐)디텔루리드, 비스-(p-니트로페닐)디텔루리드, 비스-(p-시아노페닐)디텔루리드, 비스-(p-설포닐페닐)디텔루리드, 디나프틸디텔루리드, 디피리딜디텔루리드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메틸디텔루리드, 디에틸디텔루리드, 디-n-프로필디텔루리드, 디-n-부틸디텔루리드, 디페닐디텔루리드 등의 화합물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예를 들면, 상기 카르복시 전구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a)를 상기한 라디칼 중합법에 의해 중합함으로써 상기 카르복시 전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a)의 호모폴리머로 이루어지는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쇄(A)를 제조하고, 다음으로, 상기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쇄(B)를 제조하여, 상기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쇄(A)와 (B)를, 상기 (A) 및 (B) 중에 각각 도입된 아세틸렌기와 아지드기의 환화 부가 반응 등의 클릭 반응에 의해 결합시킴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다.
[산촉매, 산발생제]
본 발명에 사용하는 산촉매로서는, 예를 들면 p-톨루엔설폰산이나 벤젠설폰산 등의 방향족 설폰산, 지방족 설폰산 등의 유기산이나, 염산이나 황산 등의 무기산, 및, 그들의 수화물 등으로부터 적의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산발생제는, 예를 들면 자외선 등의 에너지선에 의한 광조사에 의해 양이온 중합을 개시할 수 있는 산을 발생시키는 광산발생제나, 가열 등에 의하여 산을 발생시키는 열산발생제이다. 그 중에서도 광산발생제는, 광과 열의 2종의 외부 자극에 의해 점착제층을 호적하게 해체할 수 있는 한편, 점착제 조성물로 해서 보관할 때나, 점착 테이프로 해서 물품을 고정했을 때에는 용이하게 분해나 해체가 생기기 어려워, 안정한 보존성이나 점착 특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산발생제로서는, 예를 들면 N-히드록시나프탈이미드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에스테르, N-히드록시나프탈이미드메탄설폰산에스테르, N-히드록시나프탈이미드벤젠설폰산에스테르, N-히드록시나프탈이미드트리플레이트, 비스(시클로헥실설포닐)디아조메탄, 비스(tert-부틸설포닐)디아조메탄, 비스(p-톨루엔설포닐)디아조메탄, 트리페닐설포늄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디페닐-4-메틸페닐설포늄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디페닐-2,4,6-트리메틸페닐설포늄-p-톨루엔설포네이트, 비스(도데실페닐)요오도늄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비스(tert-부틸페닐)요오도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비스(tert-부틸페닐)요오도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트리페닐설포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비페닐요오도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페닐-(3-히드록시-펜타데실페닐)요오도늄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및 페닐-(3-히드록시펜타데실페닐)요오도늄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등으로부터 적의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광산발생제는,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서 적의 호적한 것을 선택하면 된다. 예를 들면, 이들 산발생제는 점착제의 혼합에 의해 열분해 온도가 저하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들 중에서도, N-히드록시나프탈이미드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에스테르나 비스(시클로헥실설포닐)디아조메탄 등의 산발생제 단독으로의 열분해 온도가 대략 150℃ 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보존 시 등에 열의 영향에 의하여 산이 발생하여, 점착제 조성물의 해체가 진행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바람직하다.
또한, 광산발생제 중에서도, 비스(시클로헥실설포닐)디아조메탄 등의 가열에 의해 기체를 발생시키는 광산발생제는, 광에 의한 산발생과 가열에 의한 기체 발생에 의해, 특히 높은 해체성을 실현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N-히드록시나프탈이미드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에스테르 등의 100℃ 정도의 가열에 의해서도 기체를 발생시키기 어려운 광산발생제는, 열안정성이 높은 점착제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광산발생제 중에서도, 골격 중에 벤젠환이나 나프탈렌환 구조 등의 광흡수성의 구조를 갖는 광산발생제는, 적은 광조사 시간이나 적은 함유량으로 호적한 해체성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코스트나 해체 코스트를 저감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편, 이들 광흡수성의 구조를 갖지 않는 광산발생제는, 광조사에 대한 안정성이 요구되는 경우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산발생제로서는, 설포늄염, 벤조티아조늄염, 암모늄염, 포스포늄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4-아세톡시페닐디메틸설포늄 헥사플루오로아르세네이트, 벤질-4-히드록시페닐메틸설포늄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4-아세톡시페닐벤질메틸설포늄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디벤질-4-히드록시페닐설포늄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4-아세톡시페닐벤질설포늄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및 3-벤질벤조티아졸륨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등으로부터 적의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와, 산촉매 또는 산발생제를 함유한다. 당해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점착제층은, 첩부 시에는, 주로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쇄(B)에 의해 피착체에의 점착 특성을 호적하게 발현한다. 또한, 해체를 행할 때에는, 산촉매나, 가열이나 노광 등의 외부 자극에 의해 산을 발생시키는 산발생제의 존재 하에서, 가열이나 광조사를 행함에 의해,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쇄(A)의 측쇄의 카르복시 전구기(바람직하게는,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가 결합해 있는 제2급 또는 제3급 탄소 원자)가 분해되어 점착력이 저감하며, 당해 해체성을 갖는 구조 단위를 블록상으로 가짐으로써 해체 효과가 향상하여 박리 시의 스틱 슬립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양호한 해체를 실현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 중의 산촉매 또는 산발생제의 함유량으로서는, 사용하는 산촉매 또는 산발생제의 종류나, 원하는 해체성에 따라서 적의 조정하면 되지만, 카르복시 전구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a)가 갖는 카르복시 전구기 1몰에 대하여 10몰% 이하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10몰%의 범위로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광흡수성의 구조를 갖는 광산발생제를 사용할 때에는 0.1∼5몰% 정도가 바람직하며, 0.1∼3몰%가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광흡수성의 구조를 갖지 않는 광산발생제를 사용할 때에는, 3∼10몰% 정도가 바람직하며, 4∼8몰%가 특히 바람직하다.
사용하는 아크릴계 중합체에 대해서는,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하여, 산촉매 또는 산발생제를 15질량부 이하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광흡수성의 구조를 갖는 광산발생제를 사용할 때에는,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하여, 0.1∼5중량부 정도가 바람직하며, 0.2∼3중량부가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광흡수성의 구조를 갖지 않는 광산발생제를 사용할 때에는,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하여, 5∼15중량부 정도가 바람직하며, 7∼12중량부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계 중합체를 주된 구성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이며, 아크릴계 중합체로서 상기한 아크릴계 중합체만을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이어도, 다른 아크릴계 중합체를 더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이어도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점착 부여 수지나 가교제, 그 외의 첨가제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점착 부여 수지)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는, 얻어지는 점착제층의 강접착성을 조정하기 위하여 점착 부여 수지를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점착 부여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로진계, 중합 로진계, 중합 로진에스테르계, 로진페놀계, 안정화 로진에스테르계, 불균화 로진에스테르계, 테르펜계, 테르펜페놀계, 석유수지계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용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는, 점착제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는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톨루엔, 자일렌,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헥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계 점착제 조성물로 할 경우에는, 물 또는, 물을 주체로 하는 수성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가교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는, 얻어지는 점착제층의 응집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가교제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가교제로서는, 공지의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다가금속염계 가교제, 금속킬레이트계 가교제, 케토·히드라지드계 가교제, 옥사졸린계 가교제, 카르보디이미드계 가교제, 실란계 가교제, 글리시딜(알콕시)에폭시실란계 가교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첨가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는, 첨가제로서, 필요에 따라서 본 발명의 원하는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pH를 조정하기 위한 염기(암모니아수 등)나 산, 발포제, 가소제, 연화제, 산화방지제, 유리나 플라스틱제의 섬유·벌룬·비드·금속 분말 등의 충전제, 안료·염료 등의 착색제, pH 조정제, 피막 형성 보조제, 레벨링제, 증점제, 발수제, 소포제 등의 공지의 것을 점착제 조성물에 임의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발포제는, 점착제의 해체를 진행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가열하는 것에 의해 체적 팽창하는, 무기 발포제, 유기 발포제 및 열팽창성 중공 구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해체성 점착 테이프]
본 발명의 이해체성 점착 테이프는, 상기한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테이프이다. 점착제층은, 단층의 점착제의 층이어도 되고, 복수의 점착제의 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기재를 갖는 점착 테이프이어도, 기재를 갖지 않는 점착제층만으로 이루어지는 점착 테이프의 형태이어도 된다. 또한, 기재의 편면에만 점착제층을 갖는 형태이어도, 기재의 양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 테이프의 형태이어도 된다. 2 이상의 부재 고정 용도에 있어서는, 점착제층만으로 이루어지는 점착 테이프나 양면 점착 테이프를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재로서,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ABS,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필름, 폴리염화비닐, 나일론, 폴리비닐알코올 등으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계 필름, 펄프, 레이온, 마닐라마, 아크릴로니트릴,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등으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종이, 천, 또는 금속박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재박리성과 접착성을 양립하기 쉬우므로,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이나 부직포를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재와 점착제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기재의 편면 또는 양면에, 코로나 처리, 플라스마 처리, 앵커 코팅 처리 등을 실시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이해체성 점착 테이프는, 기재를 가질 경우에는,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롤 코터나 다이 코터 등을 사용하여, 직접 기재에 도포한 후, 건조 공정을 거쳐, 세퍼레이터를 첩합시키는 직접 도포법이나, 세퍼레이터 위에 일단 점착제 조성물을 코팅하고, 건조 공정을 거친 후, 기재에 전사하는 전사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기재를 갖지 않을 경우에는, 세퍼레이터 위에 점착제 조성물을 코팅하여, 다른 세퍼레이터를 첩합시키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체성 점착 테이프는, 상기 이해체성 점착제 조성물을 갭 8milli-inch의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두께가 50㎛인 PET 필름 위에 도포·건조하여 점착 테이프를 형성하고, 23℃ 50% RH 환경 하에서, SUS판 위에, 무게 2kg의 핸드 롤러를 1왕복시켜서 압착하여 1시간 정치 후,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30㎜/분의 속도로, 180° 방향으로 박리했을 때의 접착력이, 1N/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2∼30N/2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20N/2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해체성 점착 테이프는, 부품간 고정 시에 호적한 높은 접착력이어도, 호적한 해체성을 실현할 수 있다.
(해체 방법)
본 발명의 이해체성 점착 테이프는, 첩부 시에는 양호하게 피착 대상에의 접착이나, 부품간 고정이 이루어지고, 해체, 박리를 행할 때에는, 열이나 광에 의한 외부 자극에 의해 양호하게 박리가 가능해진다. 열이나 광의 외부 자극은, 사용하는 산촉매 또는 산발생제에 의해 적의 조정되면 되지만, 첩부 시의 통상의 사용 태양에 있어서 발생하지 않는 온도나 강도의 열, 광 조건에서 박리 가능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해체성 점착 테이프가 산촉매를 함유할 경우에는, 가열에 의해, 카르복시 전구기의 탈리 반응을 촉진함과 함께, 점착제층의 유동성 증가에 의해 산을 호적하게 점착제층 중에 확산시킴으로써, 점착 테이프를 호적하게 해체할 수 있다. 또한, 열이나 광에 의해 산을 발생시키는 산발생제를 함유할 경우에는, 광조사나 가열을 행함으로써 산이 발생하여 점착 테이프를 호적하게 해체할 수 있지만, 당해 산의 존재 하에서 필요에 따라서 가열 등을 더 행함으로써, 카르복시 전구기의 탈리 반응을 더 촉진하거나, 점착제층의 유동성 증가에 따른 산의 확산에 의해, 더 호적하게 점착 테이프를 해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광산발생제를 사용하여, 자외선 등의 광을 조사함에 의하여 점착제를 해체할 수 있는 산을 발생시키고, 다음으로, 가열함에 의하여, 상기 산에 의한 점착제의 해체를 효율 좋게 진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등의 광의 강도는 사용하는 광산발생제가 호적하게 산을 발생시키는 에너지 이상이면 되며, 또한, 가열 온도는 열산발생제가 호적하게 산을 발생시키는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면 된다. 또한, 산존재 하에서의 가열 온도는, 점착제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에 의거하여 점착제층의 유동성을 상승시켜, 산을 효과적으로 확산할 수 있는 온도나, 카르복시 전구기의 탈리 반응을 촉진시켜 효율적으로 측쇄 분해할 수 있는 온도로 조정하면 된다.
본 발명의 이해체성 점착 테이프는, 작업 공정에 있어서의 접착 불비나, 리사이클 시의 부재간의 분리 시에, 열이나 광 등의 외부 자극에 의해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는 재박리성을 갖는다. 이 때문에, 자동차, 건재, OA, 가전 업계 등의 공업 용도에 있어서의 각종 제품의 부품간 고정을 행하는 점착 테이프로써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유기 EL 패널이나 액정 패널 등에 사용되는 박형의 화상 표시 모듈이나, 투명 도전층을 갖는 투명 도전 유리, 패널 표면의 보호 유리 등의 박형 유리 등의 깨짐을 발생시키기 쉬운 부재를 점착 테이프로 고정했을 경우에는, 박리 시에 스틱 슬립이 생기면 일시적으로 박리력이 높아져 부품에 깨짐이 생기기 쉽지만,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에 따르면, 이러한 깨짐이 생기기 쉬운 부품에 있어서도 깨짐을 발생시키지 않고 해체가 가능해진다. 또한, 단시간으로의 해체성도 우수하므로, 작업 공정 시의 불량 시나 리사이클 시의 다량의 부품의 분리나, 다량의 라벨 박리 등을 행할 때에도 작업 효율이 양호하다.
[실시예]
(제조예 1)
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1)의 합성 :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AMVN) 1.15㎎, t-부틸아크릴레이트(tBA) 1.48g 및 아세트산에틸 2.95g의 혼합 용액을 시험관에 넣고, 30분간의 아르곤 가스 버블링에 의해 탈기했다. 유기모노텔루륨 화합물 4.25㎕를, 마이크로 시린지를 사용하여 시험관에 첨가하고, 50℃의 오일 배쓰에서 2시간 반응시켜, 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1)의 반응 용액을 얻었다. 1H-NMR(300㎒) 분석으로부터, 중합율은 74%이었다. 또한 GPC 분석으로부터, Mn=68,600, PD(Mw/Mn)=1.32이었다.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1)의 합성 : 상기에서 얻어진 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1)의 반응 용액에, 미리 30분간의 아르곤 가스 버블링을 행한 n-부틸아크릴레이트(nBA) 5.76g 및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HEA) 0.23g의 혼합 용액을 첨가하고, 50℃에서 12시간 반응시켰다. 1H-NMR(300㎒) 분석으로부터, t-부틸아크릴레이트의 중합율은 90%, n-부틸아크릴레이트의 중합율은 60%,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의 중합율은 62%이었다.
반응 종료 후, 중합 용액을 메탄올:물(80:20 체적 분율) 중에 부어 폴리머를 침전시키고, 디캔테이션에 의해 상징액을 제거했다. 얻어진 침전을 클로로포름 50㎖에 용해하고, 메탄올:물(80:20 체적 분율) 중에 부어 폴리머를 재침전시켰다. 디캔테이션에 의해 상징액을 제거한 후, 감압 하 40℃에서 10시간 진공 건조하여, 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쇄와, 다른 공중합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아크릴레이트쇄로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1)를 얻었다. GPC 분석으로부터, Mn=239,200, Mw=354,000, PD=1.48이었다. 공중합체 중의 구성 성분의 질량비는, tBA/nBA/HEA=29.2/67.2/3.6이었다.
(제조예 2)
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2)의 합성 :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AMVN) 1.21㎎, t-부틸아크릴레이트 1.33g 및 아세트산에틸 2.66g의 혼합 용액을 시험관에 넣고, 30분간의 아르곤 가스 버블링에 의해 탈기했다. 유기모노텔루륨 화합물 4.49㎕를, 마이크로 시린지를 사용하여 시험관에 첨가하고, 50℃의 오일 배쓰에서 2시간 반응시켜, 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2)의 반응 용액을 얻었다. 1H-NMR(300㎒) 분석으로부터, 중합율은 79%이었다. 또한 GPC 분석으로부터, Mn=73,800, PD=1.26이었다.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2)의 합성 : 상기에서 얻어진 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2)의 반응 용액에, 미리 30분간의 아르곤 가스 버블링을 행한 n-부틸아크릴레이트 5.90g 및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1.16g의 혼합 용액을 첨가하고, 50℃에서 3시간 반응시켰다. 1H-NMR(300㎒) 분석으로부터, t-부틸아크릴레이트의 중합율은 90%,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의 중합율은 42%, n-부틸아크릴레이트의 중합율은 49%이었다.
반응 종료 후, 중합 용액을 메탄올:물(80:20 체적 분율) 중에 부어 폴리머를 침전시키고, 디캔테이션에 의해 상징액을 제거했다. 얻어진 침전을 클로로포름 50㎖에 용해하고, 메탄올:물(80:20 체적 분율) 중에 부어 폴리머를 재침전시켰다. 디캔테이션에 의해 상징액을 제거한 후, 감압 하 40℃에서 10시간 진공 건조하여,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2)를 얻었다. GPC 분석으로부터, Mn=266,300, Mw=570,000, PD=2.14이었다. 공중합체 중의 구성 성분의 질량비는, tBA/nBA/HEA=33.2/53.1/13.7이었다.
(제조예 3)
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3)의 합성 :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AMVN) 0.93㎎, t-부틸아크릴레이트 1.71g 및 아세트산에틸 3.42g의 혼합 용액을 시험관에 넣고, 30분간의 아르곤 가스 버블링에 의해 탈기했다. 유기모노텔루륨 화합물 3.43㎕를, 마이크로 시린지를 사용하여 시험관에 첨가하고, 50℃의 오일 배쓰에서 2시간 반응시켜, 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3)의 반응 용액을 얻었다. 1H-NMR(300㎒) 분석으로부터, 중합율은 76%이었다. 또한 GPC 분석으로부터, Mn=93,200, PD=1.30이었다.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3)의 합성 : 상기에서 얻어진 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3)의 반응 용액에, 미리 30분간의 아르곤 가스 버블링을 행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5.66g,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0.23g을 첨가하고, 50℃에서 4시간 반응시켰다. 1H-NMR(300㎒) 분석으로부터, t-부틸아크릴레이트의 중합율은 87%,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의 중합율은 46%,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의 중합율은 52%이었다.
반응 종료 후, 중합 용액을 메탄올:물(80:20 체적 분율) 중에 부어 폴리머를 침전시키고, 디캔테이션에 의해 상징액을 제거했다. 얻어진 침전을 클로로포름 50㎖에 용해하고, 메탄올:물(80:20 체적 분율) 중에 부어 폴리머를 재침전시켰다. 디캔테이션에 의해 상징액을 제거한 후, 감압 하 40℃에서 10시간 진공 건조하여,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3)를 얻었다. GPC 분석으로부터, Mn=257,800, Mw=383,000, PD=1.49이었다. 공중합체 중의 구성 성분의 질량비는, tBA/2EHA/HEA=35.3/61.5/3.2이었다.
(제조예 4)
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4)의 합성 :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AMVN) 0.86㎎, t-부틸아크릴레이트 1.46g 및 아세트산에틸 1.46g의 혼합 용액을 시험관에 넣고, 30분간의 아르곤 가스 버블링에 의해 탈기했다. 유기모노텔루륨 화합물 3.19㎕를, 마이크로 시린지를 사용하여 시험관에 첨가하고, 50℃의 오일 배쓰에서 2시간 반응시켜, 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4)의 반응 용액을 얻었다. 1H-NMR(300㎒) 분석으로부터, 중합율은 79%이었다. 또한 GPC 분석으로부터, Mn=73,800, PD=1.28이었다.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4)의 합성 : 상기에서 얻어진 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4)의 반응 용액에, 미리 30분간의 아르곤 가스 버블링을 행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4.48g,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0.82g 및 아세트산에틸 5.30g의 혼합 용액을 첨가하고, 50℃에서 7시간 반응시켰다. 1H-NMR(300㎒) 분석으로부터, t-부틸아크릴레이트의 중합율은 82%,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의 중합율은 49%,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의 중합율은 58%이었다.
반응 종료 후, 중합 용액을 메탄올:물(80:20 체적 분율) 중에 부어 폴리머를 침전시키고, 디캔테이션에 의해 상징액을 제거했다. 얻어진 침전을 클로로포름 50㎖에 용해하고, 메탄올:물(80:20 체적 분율) 중에 부어 폴리머를 재침전시켰다. 디캔테이션에 의해 상징액을 제거한 후, 감압 하 40℃에서 10시간 진공 건조하여,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4)를 얻었다. GPC 분석으로부터, Mn=265,000, Mw=462,000, PD=1.74이었다. 공중합체 중의 구성 성분의 질량비는, tBA/2EHA/HEA=29.0/56.9/14.1이었다.
(제조예 5)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AMVN) 1.23㎎, t-부틸아크릴레이트 1.89g, n-부틸아크릴레이트 3.29g,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0.16g 및 아세트산에틸 2.05g의 혼합 용액을 시험관에 넣고, 30분간의 아르곤 가스 버블링에 의해 탈기했다. 유기모노텔루륨 화합물 4.55㎕를, 마이크로 시린지를 사용하여 시험관에 첨가하고, 50℃의 오일 배쓰에서 5시간 반응시켰다. 1H-NMR(300㎒) 분석으로부터, t-부틸아크릴레이트의 중합율은 91%, n-부틸아크릴레이트의 중합율은 90%,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의 중합도는 90%이었다. 반응 종료 후, 중합 용액을 메탄올:물(80:20 체적 분율) 중에 부어 폴리머를 침전시키고, 디캔테이션에 의해 상징액을 제거했다. 얻어진 침전을 클로로포름 50㎖에 용해하고, 메탄올:물(80:20 체적 분율) 중에 부어 폴리머를 재침전시켰다. 디캔테이션에 의해 상징액을 제거한 후, 감압 하 40℃에서 10시간 진공 건조하여, 아크릴계 랜덤 공중합체(1)를 얻었다. GPC 분석으로부터, Mn=277,100, Mw=463,000, PD=1.67이었다. 공중합체 중의 구성 성분의 질량비는, tBA/nBA/HEA=35.5/61.1/3.4이었다.
(제조예 6)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AMVN) 0.96㎎, t-부틸아크릴레이트 1.89g, n-부틸아크릴레이트 3.11g,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0.65g 및 아세트산에틸 5.65g의 혼합 용액을 시험관에 넣고, 30분간의 아르곤 가스 버블링에 의해 탈기했다. 유기모노텔루륨 화합물 3.56㎕를, 마이크로 시린지를 사용하여 시험관에 첨가하고, 50℃의 오일 배쓰에서 4시간 반응시켰다. 1H-NMR(300㎒) 분석으로부터, t-부틸아크릴레이트의 중합율은 77%, n-부틸아크릴레이트의 중합율은 76%,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의 중합도는 79%이었다. 반응 종료 후, 중합 용액을 메탄올:물(80:20 체적 분율) 중에 부어 폴리머를 침전시키고, 디캔테이션에 의해 상징액을 제거했다. 얻어진 침전을 클로로포름 50㎖에 용해하고, 메탄올:물(80:20 체적 분율) 중에 부어 폴리머를 재침전시켰다. 디캔테이션에 의해 상징액을 제거한 후, 감압 하 40℃에서 10시간 진공 건조하여, 아크릴계 랜덤 공중합체(2)를 얻었다. GPC 분석으로부터, Mn=253,400, Mw=475,000, PD=1.88이었다. 공중합체 중의 구성 성분의 질량비는, tBA/nBA/HEA=33.5/53.7/12.8이었다.
(제조예 7)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AMVN) 0.49㎎, t-부틸아크릴레이트(tBA) 1.00g,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1.63g,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HEA) 0.40g 및 아세트산에틸 3.01g의 혼합 용액을 시험관에 넣고, 30분간의 아르곤 가스 버블링에 의해 탈기했다. 유기모노텔루륨 화합물 1.83㎕를, 마이크로 시린지를 사용하여 시험관에 첨가하고, 50℃의 오일 배쓰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1H-NMR(300㎒) 분석으로부터, t-부틸아크릴레이트의 중합율은 77%,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의 중합율은 73%,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의 중합율은 81%이었다.
반응 종료 후, 중합 용액을 클로로포름 20㎖로 희석하고, 메탄올:물(80:20 체적 분율) 중에 부어 폴리머를 침전시키고, 디캔테이션에 의해 상징액을 제거했다. 얻어진 침전을 클로로포름 50㎖에 용해하고, 메탄올:물(80:20 체적 분율) 중에 부어 폴리머를 재침전시켰다. 디캔테이션에 의해 상징액을 제거한 후, 감압 하 40℃에서 10시간 진공 건조하여, 아크릴계 랜덤 공중합체(3)를 얻었다. GPC 분석으로부터, Mn=285,700, Mw=580,300, PD=2.03이었다. 공중합체 중의 구성 성분의 질량비는, tBA/2EHA/HEA=33.2/51.9/14.9이었다.
(제조예 8)
폴리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1)의 합성 :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AMVN) 2.39㎎,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39㎎, 디페닐디텔루리드(DPDT) 2.28㎎,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CHA) 1.30g 및 아니솔 2.60g의 혼합 용액을 시험관에 넣고, 30분간의 아르곤 가스 버블링에 의해 탈기했다. 60℃의 오일 배쓰에서 4시간 반응시켜, 폴리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1)의 반응 용액을 얻었다. 1H-NMR(300㎒) 분석으로부터, 중합율은 43%이었다. 또한 GPC 분석으로부터, Mn=40,000, PD=1.50이었다.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5)의 합성 : 상기에서 얻어진 폴리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1)의 반응 용액에, 미리 30분간의 아르곤 가스 버블링을 행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4.17g 및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HEA) 1.07g의 혼합 용액을 첨가하고, 60℃에서 18시간 반응시켰다. 1H-NMR(300㎒) 분석으로부터,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의 중합율은 46%,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의 중합율은 16%,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의 중합율은 22%이었다.
반응 종료 후, 중합 용액을 메탄올:물(80:20 체적 분율) 중에 부어 폴리머를 침전시키고, 디캔테이션에 의해 상징액을 제거했다. 얻어진 침전을 클로로포름 50㎖에 용해하고, 메탄올:물(80:20 체적 분율) 중에 부어 폴리머를 재침전시켰다. 디캔테이션에 의해 상징액을 제거한 후, 감압 하 40℃에서 10시간 진공 건조하여,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쇄와, 다른 공중합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아크릴레이트쇄로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5)를 얻었다. GPC 분석으로부터, Mn=95,000, Mw=216,600, PD=2.28이었다. 공중합체 중의 구성 성분의 질량비는, CHA/2EHA/HEA=40.2/40.9/18.9이었다.
(제조예 9)
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5)의 합성 :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AMVN) 0.74㎎, t-부틸아크릴레이트(tBA) 1.28g 및 아세트산에틸 2.55g의 혼합 용액을 시험관에 넣고, 30분간의 아르곤 가스 버블링에 의해 탈기했다. 유기모노텔루륨 화합물 2.74㎕를, 마이크로 시린지를 사용하여 시험관에 첨가하고, 50℃의 오일 배쓰에서 2시간 반응시켜, 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5)의 반응 용액을 얻었다. 1H-NMR(300㎒) 분석으로부터, 중합율은 69%이었다. 또한 GPC 분석으로부터, Mn=65,600, PD=1.29이었다.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6)의 합성 : 상기에서 얻어진 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5)의 반응 용액에, 미리 30분간의 아르곤 가스 버블링을 행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4.33g 및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HEA) 0.47g의 혼합 용액을 첨가하고, 50℃에서 4시간 반응시켰다. 1H-NMR(300㎒) 분석으로부터, t-부틸아크릴레이트의 중합율은 83%,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의 중합율은 42%,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의 중합율은 49%이었다.
반응 종료 후, 중합 용액을 메탄올:물(80:20 체적 분율) 중에 부어 폴리머를 침전시키고, 디캔테이션에 의해 상징액을 제거했다. 얻어진 침전을 클로로포름 50㎖에 용해하고, 메탄올:물(80:20 체적 분율) 중에 부어 폴리머를 재침전시켰다. 디캔테이션에 의해 상징액을 제거한 후, 감압 하 40℃에서 10시간 진공 건조하여, 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쇄와, 다른 공중합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아크릴레이트쇄로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6)를 얻었다. GPC 분석으로부터, Mn=187,900, Mw=268,200, PD=1.43이었다. 공중합체 중의 구성 성분의 질량비는, tBA/2EHA/HEA=33.5/58.4/8.1이었다.
(제조예 10)
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6)의 합성 :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AMVN) 0.68㎎, t-부틸아크릴레이트(tBA) 1.31g 및 아세트산에틸 2.61g의 혼합 용액을 시험관에 넣고, 30분간의 아르곤 가스 버블링에 의해 탈기했다. 유기모노텔루륨 화합물 2.53㎕, 마이크로 시린지를 사용하여 시험관에 첨가하고, 50℃의 오일 배쓰에서 2.5시간 반응시켜, 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6)의 반응 용액을 얻었다. 1H-NMR(300㎒) 분석으로부터, 중합율은 68%이었다. 또한 GPC 분석으로부터, Mn=73,700, PD=1.28이었다.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7)의 합성 : 상기에서 얻어진 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6)의 반응 용액에, 미리 30분간의 아르곤 가스 버블링을 행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4.45g 및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HEA) 0.36g의 혼합 용액을 첨가하고, 50℃에서 4시간 반응시켰다. 1H-NMR(300㎒) 분석으로부터, t-부틸아크릴레이트의 중합율은 85%,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의 중합율은 45%,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의 중합율은 50%이었다.
반응 종료 후, 중합 용액을 메탄올:물(80:20 체적 분율) 중에 부어 폴리머를 침전시키고, 디캔테이션에 의해 상징액을 제거했다. 얻어진 침전을 클로로포름 50㎖에 용해하고, 메탄올:물(80:20 체적 분율) 중에 부어 폴리머를 재침전시켰다. 디캔테이션에 의해 상징액을 제거한 후, 감압 하 40℃에서 10시간 진공 건조하여, 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쇄와, 다른 공중합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아크릴레이트쇄로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7)를 얻었다. GPC 분석으로부터, Mn=203,600, Mw=302,900, PD=1.49이었다. 공중합체 중의 구성 성분의 질량비는, tBA/2EHA/HEA=32.9/61.3/5.8이었다.
(제조예 11)
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7)의 합성 :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AMVN) 0.97㎎, t-부틸아크릴레이트(tBA) 1.67g 및 아세트산에틸 3.34g의 혼합 용액을 시험관에 넣고, 30분간의 아르곤 가스 버블링에 의해 탈기했다. 유기모노텔루륨 화합물 3.59㎕를, 마이크로 시린지를 사용하여 시험관에 첨가하고, 50℃의 오일 배쓰에서 2시간 반응시켜, 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7)의 반응 용액을 얻었다. 1H-NMR(300㎒) 분석으로부터, 중합율은 73%이었다. 또한 GPC 분석으로부터, Mn=61,900, PD=1.26이었다.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8)의 합성 : 상기에서 얻어진 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7)의 반응 용액에, 미리 30분간의 아르곤 가스 버블링을 행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5.66g 및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HEA) 0.62g의 혼합 용액을 첨가하고, 50℃에서 6시간 반응시켰다. 1H-NMR(300㎒) 분석으로부터, t-부틸아크릴레이트의 중합율은 81%,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의 중합율은 34%,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의 중합율은 42%이었다.
반응 종료 후, 중합 용액을 메탄올:물(80:20 체적 분율) 중에 부어 폴리머를 침전시키고, 디캔테이션에 의해 상징액을 제거했다. 얻어진 침전을 클로로포름 50㎖에 용해하고, 메탄올:물(80:20 체적 분율) 중에 부어 폴리머를 재침전시켰다. 디캔테이션에 의해 상징액을 제거한 후, 감압 하 40℃에서 10시간 진공 건조하여, 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쇄와, 다른 공중합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아크릴레이트쇄로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8)를 얻었다. GPC 분석으로부터, Mn=140,200, Mw=196,400, PD=1.40이었다. 공중합체 중의 구성 성분의 질량비는, tBA/2EHA/HEA=38.5/54.0/7.6이었다.
(제조예 12)
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8)의 합성 :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AMVN) 0.73㎎, t-부틸아크릴레이트(tBA) 0.82g 및 아세트산에틸 1.64g의 혼합 용액을 시험관에 넣고, 30분간의 아르곤 가스 버블링에 의해 탈기했다. 유기모노텔루륨 화합물 2.71㎕를, 마이크로 시린지를 사용하여 시험관에 첨가하고, 50℃의 오일 배쓰에서 2시간 반응시켜, 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8)의 반응 용액을 얻었다. 1H-NMR(300㎒) 분석으로부터, 중합율은 72%이었다. 또한 GPC 분석으로부터, Mn=43,100, PD=1.26이었다.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9)의 합성 : 상기에서 얻어진 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8)의 반응 용액에, 미리 30분간의 아르곤 가스 버블링을 행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5.20g 및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HEA) 0.96g의 혼합 용액을 첨가하고, 50℃에서 4시간 반응시켰다. 1H-NMR(300㎒) 분석으로부터, t-부틸아크릴레이트의 중합율은 81%,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의 중합율은 46%,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의 중합율은 57%이었다.
반응 종료 후, 중합 용액을 메탄올:물(80:20 체적 분율) 중에 부어 폴리머를 침전시키고, 디캔테이션에 의해 상징액을 제거했다. 얻어진 침전을 클로로포름 50㎖에 용해하고, 메탄올:물(80:20 체적 분율) 중에 부어 폴리머를 재침전시켰다. 디캔테이션에 의해 상징액을 제거한 후, 감압 하 40℃에서 10시간 진공 건조하여, 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쇄와, 다른 공중합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아크릴레이트쇄로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9)를 얻었다. GPC 분석으로부터, Mn=215,000, Mw=357,500, PD=1.66이었다. 공중합체 중의 구성 성분의 질량비는, tBA/2EHA/HEA=17.0/66.5/16.5이었다.
(제조예 13)
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9)의 합성 :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AMVN) 0.77㎎, t-부틸아크릴레이트(tBA) 0.35g 및 아세트산에틸 1.40g의 혼합 용액을 시험관에 넣고, 30분간의 아르곤 가스 버블링에 의해 탈기했다. 유기모노텔루륨 화합물 2.84㎕를, 마이크로 시린지를 사용하여 시험관에 첨가하고, 50℃의 오일 배쓰에서 2시간 반응시켜, 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9)의 반응 용액을 얻었다. 1H-NMR(300㎒) 분석으로부터, 중합율은 50%이었다. 또한 GPC 분석으로부터, Mn=15,700, PD=1.21이었다.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10)의 합성 : 상기에서 얻어진 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9)의 반응 용액에, 미리 30분간의 아르곤 가스 버블링을 행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6.13g 및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HEA) 1.28g의 혼합 용액을 첨가하고, 50℃에서 6시간 반응시켰다. 1H-NMR(300㎒) 분석으로부터, t-부틸아크릴레이트의 중합율은 62%,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의 중합율은 42%,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의 중합율은 58%이었다.
반응 종료 후, 중합 용액을 메탄올:물(80:20 체적 분율) 중에 부어 폴리머를 침전시키고, 디캔테이션에 의해 상징액을 제거했다. 얻어진 침전을 클로로포름 50㎖에 용해하고, 메탄올:물(80:20 체적 분율) 중에 부어 폴리머를 재침전시켰다. 디캔테이션에 의해 상징액을 제거한 후, 감압 하 40℃에서 10시간 진공 건조하여, 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쇄와, 다른 공중합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아크릴레이트쇄로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10)를 얻었다. GPC 분석으로부터, Mn=253,000, Mw=394,700, PD=1.56이었다. 공중합체 중의 구성 성분의 질량비는, tBA/2EHA/HEA=3.9/72.9/23.3이었다.
(제조예 14)
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10)의 합성 :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AMVN) 2.28㎎,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89㎎, 디페닐디텔루리드(DPDT) 2.16㎎, t-부틸아크릴레이트(tBA) 1.30g 및 아세트산에틸 2.60g의 혼합 용액을 시험관에 넣고, 30분간의 아르곤 가스 버블링에 의해 탈기했다. 60℃의 오일 배쓰에서 2.5시간 반응시켜, 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10)의 반응 용액을 얻었다. 1H-NMR(300㎒) 분석으로부터, 중합율은 64%이었다. 또한 GPC 분석으로부터, Mn=61,500, PD=1.58이었다.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11)의 합성 : 상기에서 얻어진 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10)의 반응 용액에, 미리 30분간의 아르곤 가스 버블링을 행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4.29g 및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HEA) 0.27g의 혼합 용액을 첨가하고, 60℃에서 3시간 반응시켰다. 1H-NMR(300㎒) 분석으로부터, t-부틸아크릴레이트의 중합율은 83%,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의 중합율은 49%,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의 중합율은 63%이었다.
반응 종료 후, 중합 용액을 메탄올:물(80:20 체적 분율) 중에 부어 폴리머를 침전시키고, 디캔테이션에 의해 상징액을 제거했다. 얻어진 침전을 클로로포름 50㎖에 용해하고, 메탄올:물(80:20 체적 분율) 중에 부어 폴리머를 재침전시켰다. 디캔테이션에 의해 상징액을 제거한 후, 감압 하 40℃에서 10시간 진공 건조하여, 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쇄와, 다른 공중합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아크릴레이트쇄로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11)를 얻었다. GPC 분석으로부터, Mn=204,000, Mw=371,300, PD=1.82이었다. 공중합체 중의 구성 성분의 질량비는, tBA/2EHA/HEA=29.5/64.4/6.1이었다.
(제조예 15)
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11)의 합성 :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AMVN) 0.76㎎, t-부틸아크릴레이트(tBA) 1.32g 및 아세트산에틸 2.63g의 혼합 용액을 시험관에 넣고, 30분간의 아르곤 가스 버블링에 의해 탈기했다. 유기모노텔루륨 화합물 2.80㎕를, 마이크로 시린지를 사용하여 시험관에 첨가하고, 50℃의 오일 배쓰에서 2시간 반응시켜, 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11)의 반응 용액을 얻었다. 1H-NMR(300㎒) 분석으로부터, 중합율은 63%이었다. 또한 GPC 분석으로부터, Mn=55,700, PD=1.31이었다.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12)의 합성 : 상기에서 얻어진 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11)의 반응 용액에, 미리 30분간의 아르곤 가스 버블링을 행한 n-부틸아크릴레이트(nBA) 4.86g 및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HEA) 0.61g의 혼합 용액을 첨가하고, 50℃에서 5시간 반응시켰다. 1H-NMR(300㎒) 분석으로부터, t-부틸아크릴레이트의 중합율은 75%, n-부틸아크릴레이트의 중합율은 41%,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의 중합율은 48%이었다.
반응 종료 후, 중합 용액을 메탄올:물(80:20 체적 분율) 중에 부어 폴리머를 침전시키고, 디캔테이션에 의해 상징액을 제거했다. 얻어진 침전을 클로로포름 50㎖에 용해하고, 메탄올:물(80:20 체적 분율) 중에 부어 폴리머를 재침전시켰다. 디캔테이션에 의해 상징액을 제거한 후, 감압 하 40℃에서 10시간 진공 건조하여, 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쇄와, 다른 공중합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아크릴레이트쇄로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12)를 얻었다. GPC 분석으로부터, Mn=190,000, Mw=304,000, PD=1.60이었다. 공중합체 중의 구성 성분의 질량비는, tBA/nBA/HEA=28.2/61.4/10.4이었다.
(제조예 16)
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12)의 합성 :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AMVN) 0.74㎎, t-부틸아크릴레이트(tBA) 1.26g 및 아세트산에틸 2.52g의 혼합 용액을 시험관에 넣고, 30분간의 아르곤 가스 버블링에 의해 탈기했다. 유기모노텔루륨 화합물 2.75㎕를, 마이크로 시린지를 사용하여 시험관에 첨가하고, 50℃의 오일 배쓰에서 2.5시간 반응시켜, 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12)의 반응 용액을 얻었다. 1H-NMR(300㎒) 분석으로부터, 중합율은 75%이었다. 또한 GPC 분석으로부터, Mn=68,600, PD=1.28이었다.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13)의 합성 : 상기에서 얻어진 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12)의 반응 용액에, 미리 30분간의 아르곤 가스 버블링을 행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4.23g 및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HBA) 1.16g의 혼합 용액을 첨가하고, 50℃에서 3시간 반응시켰다. 1H-NMR(300㎒) 분석으로부터, t-부틸아크릴레이트의 중합율은 86%,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의 중합율은 44%,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의 중합율은 46%이었다.
반응 종료 후, 중합 용액을 메탄올:물(80:20 체적 분율) 중에 부어 폴리머를 침전시키고, 디캔테이션에 의해 상징액을 제거했다. 얻어진 침전을 클로로포름 50㎖에 용해하고, 메탄올:물(80:20 체적 분율) 중에 부어 폴리머를 재침전시켰다. 디캔테이션에 의해 상징액을 제거한 후, 감압 하 40℃에서 10시간 진공 건조하여, 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쇄와, 다른 공중합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아크릴레이트쇄로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13)를 얻었다. GPC 분석으로부터, Mn=192,500, Mw=321,600, PD=1.67이었다. 공중합체 중의 구성 성분의 질량비는, tBA/2EHA/HBA=30.3/53.6/16.1이었다.
(실시예 1)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1)에 광산발생제로서 N-히드록시나프탈이미드트리플레이트(NIT)를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1) 중의 t-부틸기에 대하여 0.4mol% 가하고, 아세톤으로 희석하여 15중량% 아세톤용액으로 이루어지는 점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을 갭 8milli-inch의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두께가 50㎛인 PET 필름 위에 도포하고, 12시간 감압 건조하여 점착 시트를 작성했다. 작성한 점착 시트를, 하기 해체성 시험 1에 따라서 해체성을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1 및 도 1에 나타냈다.
(실시예 2)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1) 대신에, 상기 제조예 2에서 얻어진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2)를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작성했다.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 시트를 작성하고, 해체성을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1 및 도 2에 나타냈다.
(실시예 3)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1) 대신에, 상기 제조예 3에서 얻어진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3)를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작성했다.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 시트를 작성하고, 해체성을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1 및 도 3에 나타냈다.
(실시예 4)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1) 대신에, 상기 제조예 4에서 얻어진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4)를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작성했다.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 시트를 작성하고, 해체성을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1 및 도 4에 나타냈다.
(비교예 1)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1) 대신에, 상기 제조예 5에서 얻어진 아크릴계 랜덤 공중합체(1)를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작성했다.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 시트를 작성하고, 해체성을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1 및 도 5에 나타냈다.
(비교예 2)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1) 대신에, 상기 제조예 6에서 얻어진 아크릴계 랜덤 공중합체(2)를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작성했다.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 시트를 작성하고, 해체성을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1 및 도 6에 나타냈다.
(비교예 3)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1) 대신에, 상기 제조예 7에서 얻어진 아크릴계 랜덤 공중합체(3)를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작성했다.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 시트를 작성하고, 하기 해체성 시험 1에 따라서 해체성을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1 및 도 7에 나타냈다.
(실시예 5)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1)에 광산발생제로서 N-히드록시나프탈이미드트리플레이트(NIT)를,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1) 중의 t-부틸기에 대하여 0.4mol% 가한 점착제 조성물 대신에, 상기 제조예 8에서 얻어진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5)에 광산발생제로서 N-히드록시나프탈이미드트리플레이트(NIT)를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5) 중의 시클로헥실기에 대하여 0.4mol% 가한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작성했다.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 시트를 작성하고, 해체성을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1 및 도 8에 나타냈다.
(실시예 6)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1) 대신에, 상기 제조예 9에서 얻어진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6)를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작성했다.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 시트를 작성하고, 해체성을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2 및 도 9에 나타냈다.
(실시예 7)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1) 대신에, 상기 제조예 10에서 얻어진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7)를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작성했다.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 시트를 작성하고, 해체성을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2 및 도 10에 나타냈다.
(실시예 8)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1)에 광산발생제로서 N-히드록시나프탈이미드트리플레이트(NIT)를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1) 중의 t-부틸기에 대하여 0.4mol% 가한 점착제 조성물 대신에, 상기 제조예 11에서 얻어진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8)에 광산발생제로서 N-히드록시나프탈이미드트리플레이트(NIT)를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8) 중의 t-부틸기에 대하여 0.3mol% 가한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작성했다.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 시트를 작성하고, 해체성을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2 및 도 11에 나타냈다.
(실시예 9)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1)에 광산발생제로서 N-히드록시나프탈이미드트리플레이트(NIT)를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1) 중의 t-부틸기에 대하여 0.4mol% 가한 점착제 조성물 대신에, 상기 제조예 12에서 얻어진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9)에 광산발생제로서 N-히드록시나프탈이미드트리플레이트(NIT)를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9) 중의 t-부틸기에 대하여 0.7mol% 가한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작성했다.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 시트를 작성하고, 해체성을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2 및 도 12에 나타냈다.
(실시예 10)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1)에 광산발생제로서 N-히드록시나프탈이미드트리플레이트(NIT)를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1) 중의 t-부틸기에 대하여 0.4mol% 가한 점착제 조성물 대신에, 상기 제조예 13에서 얻어진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10)에 광산발생제로서 N-히드록시나프탈이미드트리플레이트(NIT)를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10) 중의 t-부틸기에 대하여 2.9mol% 가한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작성했다.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 시트를 작성하고, 해체성을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2 및 도 13에 나타냈다.
(실시예 11)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1) 대신에, 상기 제조예 14에서 얻어진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11)를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작성했다.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 시트를 작성하고, 해체성을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2 및 도 14에 나타냈다.
(실시예 12)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1) 대신에, 상기 제조예 15에서 얻어진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12)를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작성했다.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 시트를 작성하고, 해체성을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실시예 13)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1) 대신에, 상기 제조예 16에서 얻어진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13)를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작성했다.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 시트를 작성하고, 해체성을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해체성 시험 1>
실시예 1∼5 및 비교예 1∼3에서 얻어진 점착 시트를 폭 20㎜, 길이 175㎜의 스트립(strip) 형상으로 절단하고, 폭 50㎜, 길이 150㎜, 두께 0.5㎜의 SUS판 위에, 23℃ 50% RH 환경 하에서, 무게 2kg의 핸드 롤러를 1왕복시켜서 압착하고, 마찬가지의 시험편을 4개 작성했다.
압착한 시험편 중 1개는, 23℃ 50% RH 환경 하에서 1시간 정치한 후,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30㎜/분의 속도로 박리하여, 180° 박리 강도를 측정했다(초기).
압착한 시험편 중 1개는, 23℃ 50% RH 환경 하에서 30분 정치 후, 100℃(실시예 5는 130℃)에서 1시간 가열한 후 23℃까지 방냉(放冷)했다(약 30분)(가열).
압착한 시험편 중 1개는, 23℃ 50% RH 환경 하에서 30분 정치 후, 실온에서 자외선을 1시간 조사하고, 30분 더 정치했다(UV 조사).
압착한 시험편 중 1개는, 23℃ 50% RH 환경 하에서 30분 정치 후, 자외선을 1시간 조사한 후, 100℃(실시예 5는 130℃)에서 1시간 가열하고, 23℃까지 방냉했다(약 30분)(UV→가열).
이들 시험편에 대하여, 인장 시험기를 사용해서 30㎜/분의 속도로 박리하여, 180° 박리 강도를 측정했다. 표 중에는, 박리 거리 30∼120㎜에서 측정된 박리 강도의 평균값을 나타내며, 스틱 슬립을 나타낸 것은, 그 진폭을 나타냈다.
또, 자외선 조사는, 광원으로서 도시바 이화학용 수은 램프「SHL-100UVQ-2」(75W)를 사용하여, 광원과 시료의 거리를 10㎝로 해서, 램프 점등 후 15분 이상 경과하고 나서 시료에 조사했다(이하의 실시예, 비교예에 있어서도 같은 조건으로 조사).
실시예 6∼13에서 얻어진 점착 시트를, 폭 20㎜, 길이 175㎜의 스트립 형상으로 절단하고, 폭 50㎜, 길이 150㎜, 두께 0.5㎜의 SUS판 위에, 23℃ 50% RH 환경 하에서, 무게 2kg의 핸드 롤러를 1왕복시켜서 압착하고, 마찬가지의 시험편을 2개 작성했다.
압착한 시험편 중 1개는, 23℃ 50% RH 환경 하에서 1시간 정치한 후, 인장 시험기를 사용해서 30㎜/분의 속도로 박리하여, 180° 박리 강도를 측정했다(초기).
압착한 시험편 중 1개는, 23℃ 50% RH 환경 하에서 30분 정치 후, 자외선을 1시간 조사한 후, 100℃에서 1시간 가열하고, 23℃까지 방냉했다(약 30분)(UV→가열).
이들 시험편에 대하여, 인장 시험기를 사용해서 30㎜/분의 속도로 박리하여, 180° 박리 강도를 측정했다. 표 중에는, 박리 거리 30∼120㎜에서 측정된 박리 강도의 평균값을 나타내며, 스틱 슬립을 나타낸 것은, 그 진폭을 나타냈다.
또, 자외선 조사에 사용한 광원은, 상기와 마찬가지의 광원을 사용했다.
[표 1]
Figure pct00002
[표 2]
Figure pct00003
[표 3]
Figure pct00004
표 중의 아크릴계 중합체 중의 각 성분의 수치는 몰비를 나타낸다. 또한, 표 중의 약기는, 각각 이하와 같다. 또한 접착력의 항목 중 (SS)는 스틱 슬립이 생긴 것을 나타낸다.
tBA : 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쇄를 형성하는 t-부틸아크릴레이트
co-tBA : 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쇄와 공중합되는 다른 공중합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아크릴레이트쇄에 함유되는 t-부틸아크릴레이트
CHA : 폴리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쇄를 형성하는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co-CHA : 폴리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쇄와 공중합되는 다른 공중합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아크릴레이트쇄에 함유되는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2EHA :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nBA : n-부틸아크릴레이트
HEA :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HBA :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실시예 14)
상기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하여 작성한 점착 시트를 사용하고, 하기 해체성 시험 2에 따라서 해체성을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4 및 도 15에 나타냈다.
(비교예 4)
비교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작성한 점착 시트를 사용하고, 하기 해체성 시험 2에 따라서 해체성을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4 및 도 16에 나타냈다.
<해체성 시험 2>
점착 시트를 폭 20㎜, 길이 175㎜의 스트립 형상으로 절단하고, 폭 50㎜, 길이 150㎜, 두께 0.5㎜의 SUS판 위에, 23℃ 50% 환경 하에서, 무게 2kg의 핸드 롤러를 1왕복시켜서 압착했다.
압착한 시험편을 23℃ 50% 환경 하에서 30분 정치 후, 실온에서 자외선을 5분간 조사한 후, 150℃에서 5분간 가열하고 23℃까지 방냉했다(약 30분)(단시간 해체). 이 시험편에 대하여 인장 시험기를 사용해서 30㎜/분의 속도로 박리하여, 180° 박리 강도를 측정했다. 표 중에는 박리 거리 30∼120㎜에서 측정된 박리 강도의 평균값을 나타냈다.
[표 4]
Figure pct00005
표 중의 아크릴계 중합체 중의 각 성분의 수치는 몰비를 나타낸다. 표 중의 약기는, 표 1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접착력의 항목 중 (SS+CF)는 스틱 슬립과 응집 파괴가 혼합하여 발생한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15)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작성한 점착 시트를 사용하고, 하기 해체성 시험 3에 따라서 해체성을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5 및 도 17에 나타냈다.
(실시예 16)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하여 작성한 점착 시트를 사용하고, 하기 해체성 시험 3에 따라서 해체성을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5 및 도 18에 나타냈다.
(비교예 5)
비교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작성한 점착 시트를 사용하고, 하기 해체성 시험 3에 따라서 해체성을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5 및 도 19에 나타냈다.
(비교예 6)
비교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작성한 점착 시트를 사용하고, 하기 해체성 시험 3에 따라서 해체성을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5 및 도 20에 나타냈다.
<해체성 시험 3>
점착 시트를 폭 20㎜, 길이 175㎜의 스트립 형상으로 절단하고, 폭 50㎜, 길이 150㎜, 두께 0.5㎜의 SUS판 위에, 23℃ 50% 환경 하에서, 무게 2kg의 핸드 롤러를 1왕복시켜서 압착하여, 시험편을 작성했다.
압착한 시험편을 23℃ 50% 환경 하에서 30분 정치 후, 100℃에서 1시간 가열하고, 실온까지 방냉했다. 계속해서 실온에서 자외선을 1시간 조사한 후, 100℃에서 1시간 가열했다. 이 시험편을 실온까지 방냉하고, 30분 정치한 후,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30㎜/분의 속도로 박리하여, 180° 박리 강도를 측정했다. 표 중에는 박리 거리 30∼120㎜에서 측정된 박리 강도의 평균값을 나타냈다.
[표 5]
Figure pct00006
표 중의 아크릴계 중합체 중의 각 성분의 수치는 몰비를 나타낸다. 표 중의 약기는, 표 1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접착력의 항목 중 (SS)는 스틱 슬립이 생긴 것을 나타낸다.
상기 표 1∼3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카르복시 전구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폴리머쇄와,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극성기 함유 모노머를 모노머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폴리머쇄를 갖는 아크릴계 블록 중합체를 사용한 실시예 1∼13의 본원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호적한 접착성과 해체성을 가지며, 해체 시에도 스틱 슬립이 생기지 않는 것이었다. 또한, 극성기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이 5질량% 이상인 실시예 2, 4, 5∼13의 점착제 조성물은, 특히 우수한 해체성을 가지며, 또한 해체 시에 호적하게 점착제층/기재 계면에서 박리가 생기는 것이었다. 한편, 아크릴계 랜덤 중합체를 사용한 비교예 1∼3의 점착제 조성물은, 양호한 해체성이 얻어지지 않는 것이었다. 또한, 해체 시에 스틱 슬립이 생기는 것이었다.
상기 표 4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카르복시 전구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폴리머쇄와,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극성기 함유 모노머를 모노머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폴리머쇄를 갖는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한 실시예 14의 점착제 조성물은, 단시간의 해체 조건 하(5분간의 자외선 조사 및 150℃ 5분간의 가열)에서 호적한 해체성을 가지며, 해체 시에도 스틱 슬립이 생기지 않는 것이었다. 한편, 아크릴계 랜덤 중합체를 사용한 비교예 3의 점착제 조성물은, 단시간 해체 시에 응집 파괴 및 스틱 슬립이 생기며, 180° 박리 강도도 충분히 저하하지 않았다.
상기 표 5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카르복시 전구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폴리머쇄와,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극성기 함유 모노머를 모노머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폴리머쇄를 갖는 아크릴계 블록 중합체를 사용한 실시예 15∼16의 본원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호적한 접착성과 해체성을 가지며, 해체 시에도 스틱 슬립이 생기지 않는 것이었다. 한편, 아크릴계 랜덤 중합체를 사용한 비교예 5∼6의 점착제 조성물은, 해체 시에 스틱 슬립이 생기는 것이었다.
본 발명의 이해체성 점착제 조성물에 따르면, 아크릴계 중합체가 갖는 점착 특성을 저감시키지 않으며, 해체 시에는 열이나 광 등의 간이한 수단에 의해,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점착 테이프의 피착체로부터의 박리나 기재로부터의 점착제층의 박리 시에, 스틱 슬립을 발생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피착체로 되는 부품의 파손이나 풀남음이 생기기 어려워, 해체 시의 작업성도 양호해진다. 이 때문에, 리사이클이나 리유스에 적용되는 OA 기기, IT·가전 제품, 자동차 등의 각 산업 분야에서의 부품 고정 용도나 부품의 가고정 용도, 제품 정보를 표시하는 라벨 용도 등에 특단의 제한없이 호적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해체 시에도 간이한 가열 설비나 에너지선 조사 설비 등에 의해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다. 특히, 유기 EL 패널이나 액정 패널에 사용되는 박형의 화상 표시 모듈이나, 투명 도전층을 갖는 투명 도전 유리, 패널 표면의 보호 유리 등의 박형 유리 등의 깨짐을 발생시키기 쉬운 부재를 점착 테이프로 고정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에 따르면, 당해 부재의 깨짐을 발생시키지 않고 해체가 가능해진다.

Claims (6)

  1. 아크릴계 중합체, 및, 산촉매 또는 산발생제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로서,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가, 카르복시 전구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a)로 이루어지는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쇄(A)와, 상기 카르복시 전구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a) 이외의 탄소수 1∼14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b) 및 극성기 함유 모노머(c)를 모노머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쇄(B)를 갖는 아크릴계 블록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해체성(易解體性) 점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시 전구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a)가, ter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틸-2-아다만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2-아다만틸(메타)아크릴레이트, 보르닐(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이해체성 점착제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14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b)가,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및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이해체성 점착제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 중의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쇄(A)와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쇄(B)의 비율이, (A)/(B)로 표시되는 몰비로 75/25∼1/99인 이해체성 점착제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기 함유 모노머(c)의 함유량이, 상기 아크릴계 블록 중합체를 형성하는 전(全) 모노머 성분 중의 1∼30질량%인 이해체성 점착제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해체성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을 갖는 이해체성 점착 테이프.
KR1020137034275A 2011-06-02 2012-06-01 이해체성 점착제 조성물 및 이해체성 점착 테이프 KR1018667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24507 2011-06-02
JPJP-P-2011-124507 2011-06-02
JP2011215490 2011-09-29
JPJP-P-2011-215490 2011-09-29
PCT/JP2012/064300 WO2012165623A1 (ja) 2011-06-02 2012-06-01 易解体性粘着剤組成物及び易解体性粘着テー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5955A true KR20140045955A (ko) 2014-04-17
KR101866756B1 KR101866756B1 (ko) 2018-06-18

Family

ID=47259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4275A KR101866756B1 (ko) 2011-06-02 2012-06-01 이해체성 점착제 조성물 및 이해체성 점착 테이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01515B2 (ko)
EP (1) EP2716726B1 (ko)
JP (1) JP5577462B2 (ko)
KR (1) KR101866756B1 (ko)
TW (1) TWI535814B (ko)
WO (1) WO20121656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77392B1 (en) * 2013-03-18 2017-08-16 Kuraray Co., Ltd. (meth)acrylic block copolymer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102320490B1 (ko) * 2016-06-03 2021-11-02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치환 또는 비치환 알릴기 함유 말레이미드 화합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상기 화합물을 사용한 조성물 및 경화물
CN115725256B (zh) * 2022-11-18 2024-01-26 道生天合材料科技(上海)股份有限公司 可拆卸丙烯酸酯胶粘剂及其制备方法、可拆卸结构件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7145A (ja) 1995-11-14 1997-05-27 Nishikawa Rubber Co Ltd 易剥離性粘着剤組成物
JPH10140093A (ja) 1996-11-11 1998-05-26 Nitto Denko Corp 解体容易な接着方法、その粘着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00063981A (ko) * 2000-08-14 2000-11-06 서영옥 가열 박리형 점착제 및 점착필름
JP2002167566A (ja) 2000-12-01 2002-06-11 Nitto Denko Corp 紫外線架橋型粘着剤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粘着シ―トとその製造方法
JP2004043732A (ja) * 2002-07-15 2004-02-12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発泡性接着剤組成物
JP2005023205A (ja) * 2003-07-02 2005-01-27 Jsr Corp 感放射線性接着剤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ウェハーの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6047A (en) * 1979-07-25 1981-08-2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sceptible to ultraviolet light-induced detackification
JP3991459B2 (ja) 1997-09-02 2007-10-17 Jsr株式会社 感放射線性樹脂組成物
CN1278544A (zh) 1999-06-16 2001-01-03 高艳彬 可用于纸张粘接的乳胶粘合剂
DE10008843A1 (de) * 2000-02-25 2001-09-06 Beiersdorf Ag Polare Acrylathaftklebemassen
DE10129608A1 (de) * 2001-06-20 2003-05-28 Tesa Ag Stripfähige Systeme auf Basis von Acrylatblockcopolymeren
JP2003313527A (ja) 2002-04-25 2003-11-06 Chuo Rika Kogyo Corp 水性エマルジョン型接着剤組成物
FR2842193B1 (fr) 2002-07-12 2004-10-01 Messier Bugatti Procede et installation pour le traitement thermique a haute temperature et la densification par infiltration chimique en phase vapeur de textures en carbone
JP4493498B2 (ja) * 2002-08-02 2010-06-30 株式会社カネカ アクリル系ブロック共重合体および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06299278A (ja) 2002-08-08 2006-11-02 Otsuka Chemical Co Ltd リビングラジカルポリマーの製造方法
KR100987679B1 (ko) * 2002-08-12 2010-10-13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광반사성과 차광성을 겸비한 lcd 모듈용 점착 테이프
US6806320B2 (en) 2002-11-15 2004-10-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lock copolymer melt-processable compositions, methods of their preparation, and articles therefrom
JP4107996B2 (ja) 2003-04-25 2008-06-25 大塚化学株式会社 リビングラジカルポリマーの製造方法及びポリマー
EP1767539B1 (en) 2004-06-23 2011-07-27 Otsuka Chemical Company, Ltd. Organic antimony compou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living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process for producing polymer using the same, and polymer
JP4539878B2 (ja) 2004-12-10 2010-09-08 大塚化学株式会社 有機ビスマス化合物、その製造方法、リビングラジカル重合開始剤、それを用いるポリマーの製造方法及びポリマー
JP4539843B2 (ja) 2005-02-17 2010-09-08 国立大学法人神戸大学 有機テルル化合物を用いた水性液の製造方法
JP2007186606A (ja) 2006-01-13 2007-07-26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発泡性接着剤組成物
US20080194759A1 (en) * 2007-02-09 2008-08-14 Casper Daniel J Acrylic Block Copolymers as Acoustical and Vibrational Dampening Material for Use in Electronic Devices
JP5003550B2 (ja) 2007-04-26 2012-08-15 東亞合成株式会社 多官能リビングラジカル重合開始剤および重合体の製造方法
US20100308273A1 (en) 2007-11-28 2010-12-09 Shigeru Yamago Terminally modified acrylic polymer and method for producing terminallly modified acrylic polymer
JP2010070597A (ja) 2008-09-17 2010-04-02 Kaneka Corp 粘着剤
JP5400357B2 (ja) 2008-11-13 2014-01-29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テープ巻回体
JP2010241961A (ja) 2009-04-06 2010-10-28 Kaneka Corp (メタ)アクリル系硬化性組成物
TWI595037B (zh) * 2009-04-30 2017-08-11 電化股份有限公司 硬化性樹脂組成物、接著劑組成物、硬化體或複合體
JP5655001B2 (ja) * 2009-10-23 2015-01-14 クラレノリタケデンタル株式会社 重合性組成物及び歯科材料
JP5174217B2 (ja) 2010-06-10 2013-04-03 公立大学法人大阪市立大学 易解体性粘着剤組成物及び易解体性粘着テープ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7145A (ja) 1995-11-14 1997-05-27 Nishikawa Rubber Co Ltd 易剥離性粘着剤組成物
JPH10140093A (ja) 1996-11-11 1998-05-26 Nitto Denko Corp 解体容易な接着方法、その粘着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00063981A (ko) * 2000-08-14 2000-11-06 서영옥 가열 박리형 점착제 및 점착필름
JP2002167566A (ja) 2000-12-01 2002-06-11 Nitto Denko Corp 紫外線架橋型粘着剤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粘着シ―トとその製造方法
JP2004043732A (ja) * 2002-07-15 2004-02-12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発泡性接着剤組成物
JP2005023205A (ja) * 2003-07-02 2005-01-27 Jsr Corp 感放射線性接着剤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ウェハーの加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16726B1 (en) 2019-12-25
JPWO2012165623A1 (ja) 2015-02-23
CN103649261A (zh) 2014-03-19
US10301515B2 (en) 2019-05-28
US20140194546A1 (en) 2014-07-10
KR101866756B1 (ko) 2018-06-18
WO2012165623A1 (ja) 2012-12-06
EP2716726A1 (en) 2014-04-09
EP2716726A4 (en) 2014-10-29
JP5577462B2 (ja) 2014-08-20
TWI535814B (zh) 2016-06-01
TW201302963A (zh)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74217B2 (ja) 易解体性粘着剤組成物及び易解体性粘着テープ
KR102035040B1 (ko) 이해체성 점착제 조성물 및 이해체성 점착 테이프
KR101868835B1 (ko) 이해체성 점착제 조성물 및 이해체성 점착 테이프
KR101866756B1 (ko) 이해체성 점착제 조성물 및 이해체성 점착 테이프
WO2012169501A1 (ja) 粘着剤組成物及び易解体性粘着テープ
JP5836535B2 (ja) 粘着剤組成物及び易解体性粘着テープ
JP2017193624A (ja) 易解体性粘着テープ、物品及び物品の解体方法
JP6103748B2 (ja) 粘着剤組成物及び易解体性粘着テープ
CN103649261B (zh) 易分解性粘合剂组合物及易分解性粘合带
WO2015155829A1 (ja) 粘着剤組成物及び易解体性粘着テー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