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6039A - 차량의 배터리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배터리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6039A
KR20140036039A KR20147004098A KR20147004098A KR20140036039A KR 20140036039 A KR20140036039 A KR 20140036039A KR 20147004098 A KR20147004098 A KR 20147004098A KR 20147004098 A KR20147004098 A KR 20147004098A KR 20140036039 A KR20140036039 A KR 20140036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harging
monitoring time
sta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04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키 마루노
사토루 고모다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36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60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6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battery ageing, e.g. to the number of charging cycles or the state of health [So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2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converters located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1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engine-driven generators, e.g. generators driven by combustion engines
    • B60L50/16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engine-driven generators, e.g. generators driven by combustion engines with provision for separate direct mechanical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 B60W10/2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4Monitoring the functioning of the control syste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2Determining battery ageing or deterioration, e.g. state of heal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6Regulation of the charging current or voltage by variation of fie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Control Of Charge By Means Of Generators (AREA)

Abstract

이 차량의 배터리 제어 장치는, 내연 기관과, 발전기와, 배터리와, 이 배터리의 잔존 용량을 포함하는 배터리 상태를 검출하는 배터리 상태 검출부와, 상기 배터리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열화 정도를 판정하는 열화도 판정부와, 방치 상태 검출부와, 이 방치 상태 검출부에 의해 상기 차량의 방치 상태가 검출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열화 정도와 상기 배터리의 현재의 잔존 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잔존 용량을 감시하는 감시 시간을 설정하는 감시 시간 설정부와, 이 감시 시간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상기 감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한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하는 충전 필요 여부 판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충전 필요 여부 판정부에 의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발전기에 의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배터리 제어 장치{VEHICLE BATTERY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차량의 배터리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1년 9월 7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 출원 제2011-194728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은 본원에 인용된다.
종래, 내연 기관을 이용하여 발전기를 구동시켜 배터리의 충전을 행하는 차량의 배터리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차량의 정지 기간 중에 자기 방전이나 암전류 등에 의해 배터리의 잔존 용량(SOC; State Of Charge)이 저하되어 버린다. 그래서, 장기간의 정지(이하, 「방치」라고 칭함)에 의해 내연 기관을 시동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전량을 고려한 배터리의 SOC에 있어서의 사용 가능 범위의 하한치를 산출하여, 이 사용 가능 범위의 하한치를 하회하지 않도록 SOC를 제어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한편, SOC의 사용 가능 범위의 하한치보다 아래의 영역은 과방전 영역으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53287호 공보
그런데, 전술한 차량의 배터리 제어 장치는, 배터리의 자기 방전율을, 정지 기간의 평균 기온의 예측치 등을 이용하여 수정한다. 그러나, 정지 기간의 예측치(금회치)으로서 전회의 정지 기간을 이용한다. 그 때문에, 정지 기간이 불규칙한 경우, 예컨대, 의도하지 않은 장기 출장이나, 장기 입원 등이 생긴 경우에는, 배터리의 자기 방전 및 차재 기기 등의 암전류에 의해 SOC가 과방전 영역까지 저하되어 배터리의 사용 수명이 줄어들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차량의 정지 기간이 불규칙한 경우라도 배터리의 SOC가 과방전 영역까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터리의 부담 경감을 도모하고 사용 수명이 줄어드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차량의 배터리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채용하였다.
(1)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차량의 배터리 제어 장치는, 내연 기관과, 이 내연 기관에 의해 구동되어 발전하는 발전기와, 이 발전기에 의해 발전된 전력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와, 이 배터리의 잔존 용량을 포함한 배터리 상태를 검출하는 배터리 상태 검출부와, 이 배터리 상태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배터리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열화 정도를 판정하는 열화도 판정부와, 상기 차량의 방치 상태를 검출하는 방치 상태 검출부와, 이 방치 상태 검출부에 의해 상기 차량의 상기 방치 상태가 검출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열화도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상기 열화 정도와 상기 배터리 상태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배터리의 현재의 잔존 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잔존 용량을 감시하는 감시 시간을 설정하는 감시 시간 설정부와, 이 감시 시간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상기 감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한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하는 충전 필요 여부 판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충전 필요 여부 판정부에 의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발전기에 의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개시한다.
(2) 상기 (1)에 기재된 차량의 배터리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시 시간 설정부는, 상기 열화도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상기 열화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체 용량 중 사용 가능 범위를 구하고, 이 사용 가능 범위와 상기 배터리의 현재의 잔존 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감시 시간을 설정하여도 좋다.
(3) 상기 (2)에 기재된 차량의 배터리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 가능 범위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의 목표치를 설정하는 충전 목표치 설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충전 목표치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목표치에 기초하여 상기 발전기에 의한 배터리의 충전 제어를 행하여도 좋다.
(4) 상기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의 배터리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시 시간 설정부는, 상기 열화 정도에 따라, 상기 감시 시간을 설정하여도 좋다.
(5) 상기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의 배터리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전 필요 여부 판정부는,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 상태가 되었을 때에,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한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하고, 상기 충전 필요 여부 판정부에 의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발전기에 의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행하며,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종료한 후에, 상기 내연 기관을 정지하여도 좋다.
(6) 상기(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의 배터리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가 상기 발전기에 의한 충전 중인 것을 통지하는 통지부를 구비하여도 좋다.
(7) 상기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의 배터리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시 시간 설정부는, 상기 감시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새로운 감시 시간을 설정하여도 좋다.
(8) 상기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의 배터리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치 상태 검출부는,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 상태이며, 상기 방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상기 방치 상태를 검출하여도 좋다.
(9) 상기 (1)∼(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의 배터리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상기 방치 상태가 되는 것을 입력할 수 있는 방치 조작 입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방치 상태 검출부는, 상기 방치 조작 입력부에의 조작 입력이 있었던 경우에, 상기 방치 상태를 검출하여도 좋다.
상기 (1)에 기재된 차량의 배터리 제어 장치에 따르면, 방치 상태 검출부에 의해 차량의 방치 상태가 검출되어 있는 경우에, 배터리의 열화 정도와 배터리의 현재의 잔존 용량에 기초하여 감시 시간을 설정하고, 이 감시 시간의 경과 후에 배터리의 잔존 용량을 감시하기 위해 충전 필요 여부 판정부에 의한 충전 필요 여부를 판정한다. 그 때문에, 의도하지 않은 차량의 방치가 발생한 경우라도, 배터리의 열화 정도에 따른 적절한 감시 시간으로 충전의 필요 여부를 판정할 수 있어, 배터리가 과방전 상태가 되기 전에 발전기에 의한 충전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의 부담 경감을 도모하여 사용 수명이 줄어드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감시 시간의 경과 후에 배터리의 잔존 용량을 감시함으로써, 항상 배터리의 잔존 용량을 감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감시에 따른 전력 소비를 억제하여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2)에 기재된 차량의 배터리 제어 장치에 따르면, 배터리의 사용 가능 범위와 현재의 잔존 용량에 기초하여 감시 시간을 설정함으로써, 배터리의 잔존 용량이 사용 가능 범위를 벗어나기 전에 발전기에 의한 충전을 행하도록 감시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감시 시간 경과 전에 잔존 용량이 사용 가능 범위를 하회함으로써 배터리가 과방전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3)에 기재된 차량의 배터리 제어 장치에 따르면, 잔존 용량이 목표치 이상이 되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충전을 정지시키기 때문에, 배터리를 충전할 때에, 사용 가능 범위를 넘지 않도록 충전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과충전에 의한 배터리에의 부담 증가를 방지하여, 배터리의 사용 수명이 줄어드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4)에 기재된 차량의 배터리 제어 장치에 따르면, 차량이 방치 상태일 때, 신품의 배터리와 비교하여, 열화 정도가 큰 배터리의 잔존 용량만큼 사용 가능 범위의 하한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이 열화 정도에 따라 감시 시간을 짧게 설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배터리의 열화가 진행되고 있는 경우라도 배터리의 잔존 용량이 사용 가능 범위의 하한치를 하회하기 전에 적절한 타이밍에 충전하여 배터리가 과방전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한층 더, 사용 수명이 줄어드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5)에 기재된 차량의 배터리 제어 장치에 따르면,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되었을 때의 배터리의 잔존 용량이 충전을 필요로 하는 잔존 용량이었던 경우에, 내연 기관을 정지시키지 않고 계속해서 내연 기관이 난기(暖氣)된 상태에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시동 직후의 냉간 상태의 내연 기관의 구동에 의해 배터리를 충전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배기 에미션을 저감하여, 더욱 연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6)에 기재된 차량의 배터리 제어 장치에 따르면, 메인터넌스에서 차량의 엔진 룸을 개방할 때 등에,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내연 기관이 구동되고 있는 것을 작업자에 대하여 통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황 확인 작업 등의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상기 (7)에 기재된 차량의 배터리 제어 장치에 따르면, 감시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열화 정도에 기초하여 설정한 감시 시간과, 실제의 잔존 용량의 저하 속도 에 의한 최적의 감시 시간을 비교하여 감시 시간의 어긋남 분량을 보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적절한 타이밍에 배터리의 잔존 용량을 감시하여, 잔존 용량이 사용 가능 범위의 하한치를 하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8)에 기재된 차량의 배터리 제어 장치에 따르면,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되고 나서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차량이 방치 상태인 것을 검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의도하지 않은 장기간의 차량의 방치가 생겨 버린 경우라도, 배터리의 잔존 용량을 적절하게 감시하여 배터리가 과방전 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9)에 기재된 차량의 배터리 제어 장치에 따르면, 차량을 방치 상태로 하는 것을 나타내는 방치 조작 입력이 있었던 직후부터, 배터리의 잔존 용량이 적절한 상태가 되도록, 적절한 타이밍에 배터리의 잔존 용량을 감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제어 장치를 구비한 시리즈형 하이브리드 차량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동일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경과 일수에 대한 SOC의 변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경과 일수에 대한 1일당의 SOC 저하량의 변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정지 후 충전 제어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방치 모드의 제어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배터리가 신품인 경우의 타이밍 차트이다.
도 8은 배터리의 열화가 진행되고 있는 경우의 타이밍 차트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배터리 제어 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제어 장치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차량(1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하이브리드 차량(10)은, 예컨대 주행용 모터(MOT)(11)가, 동력 전달 기구(G)를 통해 구동륜(W)에 연계되고, 발전기인 발전용 모터(GEN)(13)의 로터가, 내연 기관(ENG)(12)의 크랭크 샤프트(12a)에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된, 소위 시리즈형의 하이브리드 차량이다.
주행용 모터(11) 및 발전용 모터(13)는, 예컨대, 3상의 DC 브러시리스 모터 등이다. 주행용 모터(11)는, 주행용 모터(11)를 제어하는 제1 파워 드라이브 유닛(제1 PDU)(14)에 접속되고, 발전용 모터(15)는, 발전용 모터(13)를 제어하는 제2 파워 드라이브 유닛(제2 PDU)(15)에 접속되어 있다.
제1 파워 드라이브 유닛(14) 및 제2 파워 드라이브 유닛(15)은, 예컨대 트랜지스터 등의 스위칭 소자를 복수 이용하여 브릿지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브릿지 회로를 구비하는 펄스폭 변조(PWM)에 의한 PWM 인버터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1 파워 드라이브 유닛(14) 및 제2 파워 드라이브 유닛(15)은, 리튬 이온(Li-ion)형 등의 고압계의 배터리(19)에 접속되고, 예컨대 주행용 모터(11)의 구동시에는, 제1 파워 드라이브 유닛(14)은 고압계의 배터리(19) 또는 발전용 모터(13)의 제2 파워 드라이브 유닛(15)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주행용 모터(11)에 공급한다.
또한, 예컨대 내연 기관(12)의 동력에 의해 발전용 모터(13)가 발전하는 경우에는, 제2 파워 드라이브 유닛(15)은 발전용 모터(13)로부터 출력되는 교류의 발전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고압계의 배터리(19)를 충전 또는 주행용 모터(11)의 제1 파워 드라이브 유닛(14)에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예컨대 하이브리드 차량(1)의 감속시 등에 있어서 구동륜(W)측으로부터 주행용 모터(11)측에 구동력이 전달되면, 주행용 모터(11)는 발전기로서 기능하여 소위 회생 제동력을 발생시키고, 차체의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서 회수한다. 이 주행용 모터(11)의 발전시에는, 제1 파워 드라이브 유닛(14)은 주행용 모터(11)로부터 출력되는 교류의 발전(회생)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고압계의 배터리(19)를 충전한다.
각종 보조 기계류로 이루어지는 전기 부하를 구동시키기 위한 저압계의 배터리(12V BATT)(16)는 DC/DC 컨버터(DC/DC)(17)에 접속되어 있다. 이 DC/DC 컨버터(17)는 제1 파워 드라이브 유닛(14), 제2 파워 드라이브 유닛(15) 및 고압계의 배터리(19)에 접속되어 있다.
DC/DC 컨버터(17)는, 고압계의 배터리(19)의 단자간 전압 혹은 제1 파워 드라이브 유닛(14) 및 제2 파워 드라이브 유닛(15)의 단자간 전압을 정해진 전압치까지 강압하여 저압계의 배터리(16)를 충전 가능하다.
예컨대, 고압계의 배터리(19)의 잔존 용량(SOC: State Of Charge)이 저하되고 있는 경우 등에 있어서는, 저압계의 배터리(16)의 단자간 전압을 승압하여 고압계의 배터리(19)를 충전 가능하게 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이브리드 차량(10)은, 예컨대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전자 회로에 의해 구성되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 전자 제어 유닛)로서, 하이브리드 차량(10)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MGECU(18)(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MGECU(18)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제1 파워 드라이브 유닛(14)과 제2 파워 드라이브 유닛(15)의 스위칭 제어가 행해진다.
또한, MGECU(18)는, 감시 시간 설정부, 방치 상태 검출부, 열화도 판정부, 충전 필요 여부 판정부 및 충전 목표치 설정부로서의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통지부에 의한 통지의 제어를 행한다.
도 2를 더불어 참조하여, 더 설명한다. 하이브리드 차량(10)은, 발전용 모터(13)의 로터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 센서(21)와, 발전용 모터(13)의 3상의 상전류를 검출하는 상전류 센서(22)와, 배터리(19)에 유입되는 전류와 배터리(19)로부터 유출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배터리 전류 센서(23)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회전 센서(21), 상전류 센서(22) 및 배터리 전류 센서(23)의 검출 결과의 정보는, 각각 MGECU(18)에 입력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이브리드 차량(10)에는, 사용자가 하이브리드 차량(10)을 정지 상태로 방치할 때에 조작 입력하는 방치 조작 입력부(30)가 마련되어 있다. 이 방치 조작 입력부(30)의 입력 정보는, MGECU(18)에 입력된다. 도 2에 있어서, 인버터를 구비하는 제1 파워 드라이브 유닛(14)과 제2 파워 드라이브 유닛(15)을 일체화한 것을 「IIU」라고 기재하고 있다.
배터리(19)는, 배터리(19)의 온도를 검출하는 배터리 온도 센서(24), 및 배터리(19)의 단자 전압을 검출하는 배터리 전압 센서(25)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배터리 온도 센서(24)의 검출 결과와, 배터리 전압 센서(25)의 검출 결과의 정보는, 각각 MGECU(18)에 입력된다.
제1 파워 드라이브 유닛(14), 제2 파워 드라이브 유닛(15)과 배터리(19)를 잇는 전력선에는, 제1 파워 드라이브 유닛(14), 제2 파워 드라이브 유닛(15)과 배터리 전류 센서(23) 사이에, 배터리(19)를 전기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컨택터(27)가 개재되어 있다. 컨택터(27)에는, 프리차지 컨택터(29)가 병렬 접속되고, 프리차지 컨택터(29)에는, 프리차지 저항(28)이 직렬 접속되어 있다. 이들 컨택터(27)와 프리차지 컨택터(29)는, 각각 MGECU(18)에 의해 개폐 제어되도록 되어 있고, 예컨대 배터리(19)와 제1 파워 드라이브 유닛(14), 제2 파워 드라이브 유닛(15)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때에는, 컨택터(27) 및 프리차지 컨택터(29)가 모두 OFF(절단) 상태로부터, 프리차지 컨택터(29)가 ON(접속)된 후, 컨택터가 ON된다. 이 구성에 의해, 배터리(19)로부터 제1 파워 드라이브 유닛(14), 제2 파워 드라이브 유닛(15)으로의 돌입 전류가 방지된다.
MGECU(18)는, 회전 센서(21)에 의해 검출된 회전수 및 상전류 센서(22)에 의해 검출된 발전용 모터(13)의 상전류에 기초하여, 내연 기관(12)의 구동 제어를 행하여, 발전용 모터(13)에 의한 발전량을 제어한다.
또한, MGECU(18)는, 배터리(19)의 충방전을 행한 횟수(이하, 간략하여 충방전 횟수라고 칭함)를 카운트하여, 불휘발성의 메모리 등의 기억부에 기억하는 제어를 행한다.
MGECU(18)는, 전술한 각 센서로부터 취득한 배터리(19)의 단자 전압(이하, 간략하여 단자 전압이라고 칭함), 배터리(19)의 충방전에 의해 흐르는 전류(이하, 간략하여 충방전 전류라고 칭함), 및 배터리 온도 등의 각종 배터리 상태의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19)의 열화 정도를 도출한다. 여기서, 배터리(19)의 열화 정도란, 배터리(19)의 열화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 열화 정도가 클수록, 내부 저항 증가 등이 생겨, 단자 전압이 저하되거나, 충방전 전류가 감소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배터리(19)의 사용 환경이 일정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충방전 횟수가 많아짐에 따라 배터리(19)의 열화 정도가 서서히 커진다.
배터리(19)의 열화 정도는, 배터리 전류 센서(23), 배터리 온도 센서(24), 및 배터리 전압 센서(25)의 검출 결과와, 기억부에 기억된 충방전 횟수에 기초하여, 미리 불휘발성의 메모리 등의 기억부에 기억된 단자 전압, 충방전 전류, 배터리 온도, 충방전 횟수와, 열화 정도의 맵(도시 생략)을 참조하여 도출된다. 여기서, 단자 전압은, 열화 정도가 클수록 낮아지고, 충방전 전류는, 열화 정도가 클수록 작아진다. 그리고, 충방전 전류는, 배터리 온도가 비교적 높은 경우에 흐르기 쉽다.
또한, MGECU(18)는, 배터리 전류 센서(23)에 의해 검출되는 충방전 전류 등에 기초하여 배터리(19)의 잔존 용량(충전 상태)을 나타내는 SOC를 구한다.
또한, MGECU(18)는, 상기 열화 정도에 기초하여 배터리(19)의 전체 전지 용량(100%) 내, 사용 가능한 범위(이하, 간략하여 사용 가능 범위라고 칭함)를 도출한다. 여기서, 사용 가능 범위란, 배터리(19)에 큰 부담을 끼치는 일없이 최적의 충방전을 행할 수 있는 SOC의 비율(%)을 의미하고 있으며, 상한치(%)와 하한치(사용 가능 하한)(%)에 의해 정의된다. 이 사용 가능 범위는, 불휘발성의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억부에 미리 기억된 열화 정도와 사용 가능 범위의 맵(도시 생략)을 참조함으로써 도출된다. 배터리(19)의 열화 정도 및 사용 가능 범위는, 맵 이외에, 예컨대 테이블이나 수식을 이용하여 구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3은 경과 일수에 대한 신품의 배터리(19)에 있어서의 SOC의 변이(도 3 중, 실선으로 나타냄) 및 어느 정도 열화한 배터리(19)에 있어서의 SOC의 변이(도 3 중, 파선으로 나타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전이 행해지지 않는 상태로 배터리(19)를 방치하면, 자기 방전이나 차재 기기 등의 암전류에 의해, SOC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서서히 저하된다. 열화한 배터리(19)와 신품의 배터리(19)를 비교하면, 사용 가능 범위의 하한치에 차이는 없다. 그러나, 신품의 배터리(19)의 사용 가능 범위의 상한치보다 열화한 배터리(19)의 사용 가능 범위의 상한치가 낮게 되어 있다. 신품의 배터리(19), 열화한 배터리(19) 중 어느 경우도, SOC가 사용 가능 범위의 하한치보다 낮은 과방전 영역인 배터리 고장 영역에 들어가거나, 상한치보다 높은 과충전 영역에 들어감으로써, 배터리(19)에의 부담이 증대하여, 사용 수명이 현저히 줄어들 우려가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것은, 경과 일수에 대한 1일마다의 SOC의 저하량(ΔSOC/day)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신품의 배터리(19)를 실선, 어느 정도 열화한 배터리(19)를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그래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품의 배터리(19) 및 열화한 배터리(19)의 1일마다의 SOC의 저하량은, 함께 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감소한다. 그리고, 신품의 배터리(19)와 열화한 배터리(19)를 비교하면, 1일당의 SOC의 저하량은, 모든 경과 일수에 있어서 열화한 배터리(19)쪽이 많게 되어 있다. 즉, 배터리(19)는, 열화가 진행될수록, 사용 가능 범위의 상한치와 하한치의 폭이 좁아지는 것에 더하여, 1일마다의 SOC의 저하량도 많아지기 때문에, 배터리(19)를 충전 후에 방치한 경우, 열화 정도가 큰 배터리(19)일수록 자기 방전 등에 의해 SOC가 하한치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이 줄어든다.
MGECU(18)는, 배터리(19)의 현재의 SOC와, 전술한 사용 가능 범위로부터, 배터리(19)의 SOC를 감시하는 타이밍을 가늠하기 위한 감시 시간을 설정한다. 이 감시 시간은, 다음 감시까지의 시간으로서, SOC 배터리(19)의 열화 정도가 클수록 짧게 설정된다. MGECU(18)는, 설정된 감시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SOC의 감시 처리를 실행하고, 또한 현재 설정되어 있는 감시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현재의 SOC와 사용 가능 범위로부터 감시 시간을 재설정한다. 이에 의해, SOC의 감시가 MGECU(18)에 의해 반복 실행된다.
여기서, SOC의 감시란, SOC가 사용 가능 범위의 하한치를 하회할 것 같은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어 처리를 말한다. 그렇지만, SOC가 하한치를 하회한 시점에서 배터리(19)의 부담이 증가하여 버리기 때문에, 실제로는, SOC와 사용 가능 범위의 하한치보다 약간 위(예컨대, 5%∼10% 위)로 설정된 SOC의 임계치인 충전 임계치(도 3 참조)의 비교에 의해 판정이 행해진다.
MGECU(18)는, 또한 하이브리드 차량(10)의 이그니션 스위치(도시 생략)의 ON·OFF 상태를 감시하고 있으며, 이그니션 스위치가 ON으로부터 OFF 상태로 이행하여, 하이브리드 차량(10)의 방치 상태가 검출되면, 상기 감시 시간을 계시(計詩)하여, 감시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SOC의 감시를 행한다. 이때, SOC가 사용 가능 범위의 하한치를 하회할 것 같다고 판정한 경우, 즉 충전 임계치를 하회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 배터리(19)를 충전하는 충전 제어를 개시한다.
MGECU(18)는, 배터리(19)의 충전 제어를 개시하면, 내연 기관(12)의 구동에 의해 발전용 모터(13)를 회전시켜, 이 발전용 모터(13)에 의해 발전된 전력을 제2 파워 드라이브 유닛(15)에 의해 전압 변환하여 배터리(19)를 충전하는 제어를 행한다. 이 충전 제어 시에는, 배터리(19)의 SOC가 사용 가능 범위의 상한치를 상회할 것 같은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한치를 상회할 것 같다고 판정된 경우에 내연 기관(12)을 정지하여 배터리(19)의 충전을 정지한다. 여기서, SOC가 사용 가능 범위의 상한치를 상회할 것 같은지의 여부의 판정은, SOC가 상한치를 넘어 버리지 않도록, 상한치보다 약간 낮은(예컨대, 5%∼10% 낮다) 정해진의 목표치와 비교함으로써 판정된다. 이 목표치는, 충전 목표치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제어 장치는, 전술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다음에, 이 배터리 제어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도 5, 도 6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의 흐름도는, 하이브리드 차량(10)의 정지 후에 행해지는 배터리(19)의 충방전 제어의 메인 플로우이다. 우선 단계 S01에 있어서는, 이그니션 스위치(IG)가 ON 상태로부터 OFF 상태로 전환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Yes」(IG가 ON으로부터 OFF로 전환함)인 경우에는 단계 S02로 진행하고, 「No」(IG가 ON으로부터 OFF로 전환되어 있지 않음)인 경우에는, 단계 S01의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 S02에 있어서는, 단자 전압, 충방전 전류, 배터리 온도 등의 배터리 상태의 정보로부터 배터리(BATT)(19)의 열화 정도를 맵 등으로부터 판정하여 취득한다(열화도 판정부로서의 기능).
계속해서, 단계 S03에 있어서는, 단계 S02에서 판정한 열화 정도로부터 배터리(19)의 사용 가능 범위, 특히 하한치(BATT의 하한치)을 구하여 취득한다.
단계 S04에 있어서는, 충방전 전류 등에 기초하여 배터리(19)의 현재의 SOC를 구하여 취득한다.
단계 S05에 있어서는, 단계 S04에서 구한 현재의 SOC가 충전 임계치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한편, 충전 임계치는 사용 가능 범위의 하한치로부터 구한다. 단계 S05에 있어서의 판정의 결과, 「Yes」(SOC<충전 임계치)인 경우에는 단계 S06으로 진행하고, 「No」(SOC≥충전 임계치)인 경우에는, 단계 S11로 진행한다. 이그니션 스위치가 ON인 상태에서는, SOC은 하한치를 하회하지 않도록 충방전 제어되기 때문에, SOC가 충전 임계치를 하회하였다고 해도, 하한치를 하회하는 일은 없다.
단계 S06에 있어서는, 예컨대, 해저드 램프의 점멸, 차재 디스플레이 상에의 문자 표시, 혹은 차재 스피커 등의 통지부로부터 음성 출력하는 등에 의해, 배터리(19)가 충전 중인 것을 통지한다.
단계 S07에 있어서는, 내연 기관(12)에 의해 발전용 모터(13)를 구동시키고, 발전용 모터(13)에서 발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19)의 충전을 개시한다.
단계 S08에 있어서는, SOC가 사용 가능 범위의 상한치보다 약간 낮은 정해진 목표치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충전 목표치 설정부로서의 기능). 이 판정의 결과, 「Yes」(SOC≥목표치)인 경우에는 단계 S08로 진행하고, 「No」(SOC<목표치)인 경우에는, 단계 S09로 진행한다.
단계 S09에 있어서는, SOC가 목표치 이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배터리(19)의 충전을 정지하고, 이어서, 단계 S10에 있어서, 충전 중인 것의 통지를 정지한다.
단계 S11에 있어서는, 내연 기관(12)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단계 S12에 있어서는, 방치 모드가 ON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방치 모드란, 예컨대, 하이브리드 차량(10)을 장기에 걸쳐 방치하는(방치 상태로 함) 예정을 미리 사용자가 파악하고 있을 때에, 그것을 터치 패널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함으로써 기동되는 모드이다. 방치 모드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단계 S12의 판정 결과가 「Yes」(방치 모드임)인 경우에는 단계 S14로 진행하고, 「No」(방치 모드가 아님)인 경우에는, 단계 S13의 방치 모드의 서브 루틴을 실행한 후, 전술한 일련의 처리를 일단 종료한다. 단계 S13에 있어서는, 이그니션 스위치가 OFF인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정해진 시간이란, 예컨대, 급한 장기 출장이나 장기 입원 등,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하이브리드 차량(10)의 장기 방치를 검출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이다. 이 임계 시간으로서는, 배터리(19)의 SOC가 사용 가능 범위의 하한치를 하회하지 않을 정도의 적절한 기간(예컨대, 1개월 등)을 설정할 수 있다(방치 상태 검출부로서의 기능).
단계 S13의 판정 결과가 「Yes」(정해진 시간 경과함)인 경우에는 단계 S14로 진행하여 방치 모드 처리를 실행한 후, 전술한 일련의 처리를 일단 종료한다. 한편, 판정 결과가 「No」(정해진 시간 경과하지 않음)인 경우에는, 단계 S14의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전술한 일련의 처리를 일단 종료한다.
다음에, 도 5의 단계 S14의 방치 모드 처리에 있어서의 배터리 제어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도 6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도 6에 나타내는 단계 S21에 있어서, 배터리(19)의 사용 가능 범위와 현재의 SOC에 기초하여 감시 시간을 설정하고, 이 감시 시간에 기초한 계시 처리를 개시한다(감시 시간 설정부로서의 기능).
단계 S22에 있어서는, 설정된 감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가 「Yes」(감시 시간이 경과함)인 경우에는 단계 S23으로 진행하고, 「No」(감시 시간이 경과하지 않음)인 경우에는, 단계 S22의 처리를 반복한다. 이들 단계 S21, S22의 처리에 의해 감시 시간 경과 전에 배터리(19)의 SOC가 하한치를 하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계 S23에 있어서는, 충방전 횟수, 단자 전압, 충방전 전류, 배터리 온도 및, 배터리 사용 기간 등의 배터리 상태의 정보를 취득한다.
단계 S24에 있어서는, 외기온 등의 하이브리드 차량(10)의 주변 상황의 정보를, 외기온 센서를 포함한 주변 상황 취득부(도시 생략)로부터 취득한다. 이들 단계 S23, S24의 처리에 의해 취득된 배터리 상태나 주변 상황의 정보에 의해 감시 시간의 수정을 행할 수 있다.
단계 S25에 있어서는, 방치 모드의 설정을 행한다. 방치 모드의 설정에 의해, 예컨대, 방치 모드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0」으로부터 「1」로 설정된다.
단계 S26에 있어서는, SOC가 충전 임계치를 하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충전 필요 여부 판정부로서의 기능). 이 판정의 결과가 「Yes」(SOC<충전 임계치)인 경우에는 단계 S27로 진행하고, 「No」(SOC≥충전 임계치)인 경우에는 단계 S34로 진행한다. 여기서, 단계 S34에 의해 SOC가 충전 임계치를 하회하였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현재의 배터리(19)의 상태에 있어서 적절한 감시 시간이 설정된다.
단계 S27에 있어서는, 전술한 단계 S06과 마찬가지로 충전 중의 통지를 행하고, 단계 S28에 있어서, 내연 기관(12)을 시동시켜 발전용 모터(13)에 의한 발전을 개시하며, 단계 S29에 있어서, 배터리(19)의 충전을 개시한다.
단계 S30에 있어서는, 전술한 단계 S08과 마찬가지로, SOC가 목표치 이상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가 「Yes」(SOC≥목표치)인 경우에는 단계 S31로 진행하고, 「No」(SOC<목표치)인 경우에는, 단계 S30의 처리를 반복한다. 이 단계 S30에 의해, 배터리(19)의 과충전을 방지할 수 있다.
단계 S31에 있어서는, 충전을 정지하고, 이어서, 단계 S32에 있어서는 내연 기관(12)을 정지한다. 단계 S33에 있어서는, 충전 중의 통지를 정지한다.
단계 S34에 있어서는, 다음번의 감시 시간을 설정하고, 메인 플로우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다음번의 감시 시간은, 단계 S26에 있어서 SOC가 충전 임계치를 하회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 재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현재의 SOC, 금번의 감시 시간 등에 기초하여, SOC가 충전 임계치를 하회하고 있다고 추정되는 시간을 구하여, 이때 시간을 다음번의 감시 시간으로서 설정한다. 단계 S26에 있어서 SOC가 충전 임계치를 하회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적절한 감시 시간이기 때문에, 다음번의 감시 시간으로서, 전회와 동등한 감시 시간이 설정된다.
다음에, 전술한 배터리 제어 장치의 동작을 도 7, 도 8의 타이밍 차트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는, 배터리(19)가 신품인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 타이밍 차트의 일례의 경우, 처음에는 이그니션 스위치가 ON 상태로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충전이 행해지고 있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는, 예컨대 내연 기관(12)이 구동되고 있지만, 발전 전력은 전부 주행용 모터(11)에 공급되고, 덧붙여 배터리(19)로부터의 전력도 주행용 모터(11)에 공급되고 있는 상태 등이다.
우선, 시각(t1) 이전에 있어서는, 배터리(19)가 방전 상태가 되기 때문에 SOC가 서서히 저하된다. 그리고, 시각(t1)에 있어서, 하이브리드 차량(10)이 정차하여 이그니션 스위치가 OFF 상태로 된다. 이 시각(t1)에서는 SOC가 충전 임계치를 하회하고 있었기 때문에, 계속해서 내연 기관(12)의 구동이 계속되어 발전용 모터(13)의 발전 전력에 의한 배터리(19)의 충전이 행해진다.
시각(t2)에 있어서, SOC가 목표치 이상이 되면, 배터리(19)의 충전이 정지되어 내연 기관(12)의 구동이 정지된다. 이때, 배터리(19)는, SOC가 사용 가능 범위의 상한치를 넘지 않는 목표치까지 충전되기 때문에 과충전되지 않는다. 그리고, 방치 모드가 개시되어 있는 경우, 감시 시간이 설정되며, 감시 시간[도 7 중, 시각(t2)으로부터 시각(t4)까지]의 계시가 개시된다.
시각(t2)을 지나면, 배터리(19)의 충전이 정지되어 SOC가 서서히 저하되며, 시각(t3)에 있어서 SOC가 충전 임계치를 하회한다. 그 직후, 시각(t4)에 있어서, 감시 시간이 경과하고, SOC가 충전 임계치를 하회하였는지의 여부의 판정이 행해진다. 이 시각(t4)에 있어서는, SOC가 사용 가능 범위의 하한치에 이르기 전에 SOC가 충전 임계치를 하회하였는지의 여부의 판정이 행해지고 있다. 그리고, 시각(t4)에 있어서는 SOC가 충전 임계치를 하회하고 있기 때문에, 내연 기관(12)이 시동되어 발전용 모터(13)에 의한 발전이 개시되며, 이 발전 전력에 의한 배터리(19)의 충전이 개시된다.
그리고, 시각(t2)과 마찬가지로, 시각(t5)에 있어서, SOC가 목표치 이상이 되면, 내연 기관(12)의 구동이 정지되고, 배터리(19)의 충전이 정지된다. 이때, 전회의 감시 시간이 적절한 감시 시간이기 때문에, 전회의 감시 시간과 동등한 감시 시간이 다음번의 감시 시간으로서 설정되고, 감시 시간의 계시가 개시된다. 그 후, 이그니션 스위치가 ON 상태가 될 때까지, 시각(t6∼t9)과 같이, 설정된 감시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SOC가 충전 임계치를 하회하였는지의 여부의 판정이 행해지고, 충전 임계치를 하회하고 있다고 판정될 때에, SOC가 목표치가 될 때까지 배터리(19)의 충전이 행해진다.
도 8에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는, 배터리(19)의 열화가 어느 정도 진행되어 있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배터리(19)의 열화가 어느 정도 진행되어 있는 경우, 전술한 배터리(19)가 신품인 경우와 비교하여, 열화 정도가 크기 때문에 사용 가능 범위가 좁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배터리(19)의 열화 정도가 큰 경우에는, 자기 방전 등에 의해 SOC가 충전 임계치를 하회하기까지의 시간이 신품인 배터리(19)의 때보다 상대적으로 줄어든다. 그 때문에, 감시 시간이 짧게 설정되어 충전의 실시 빈도도 상대적으로 높아져 있다. 도 7의 그래프와 도 8의 그래프는 동일 스케일의 횡축이며, 도 8 중 도 7과 동일 처리가 행해지는 시각에, 동일 시각 번호를 붙이고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형태의 배터리 제어 장치에 따르면, 단계 S12, 단계 S13에 의해 차량의 방치 상태가 검출된 경우에, 배터리(19)의 열화 정도와 배터리(19)의 현재의 SOC에 기초하여 감시 시간을 설정하고, 이 감시 시간의 경과 후에 배터리(19)의 SOC를 감시하기 위해 단계 S26에 의해 충전 필요 여부를 판정하고 있다. 그 결과, 의도하지 않은 하이브리드 차량(10)의 방치가 발생한 경우라도, 배터리(19)의 열화 정도에 따른 적절한 감시 시간으로 충전의 필요 여부를 판정할 수 있어, 배터리(19)가 과방전 상태가 되기 전에 발전용 모터(13)에 의한 충전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19)의 부담 경감을 도모하여 사용 수명이 줄어드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감시 시간의 경과 후에 배터리(19)의 SOC를 감시하기 때문에, 항상 배터리(19)의 SOC를 감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SOC의 감시에 따른 전력 소비를 억제하여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의 사용 가능 범위와 현재의 SOC에 기초하여 감시 시간을 설정하기 때문에, 배터리(19)의 SOC가 사용 가능 범위를 벗어나기 전에 단계 S26에 의해 충전 필요 여부를 판정하여 발전용 모터(13)에 의한 충전을 행하도록 감시 시간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SOC가 사용 가능 범위를 하회함으로써 배터리(19)가 과방전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SOC가 목표치 이상이 되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충전을 정지시키기 때문에, 사용 가능 범위를 넘지 않도록 배터리(19)를 충전할 수 있기 때문에, 과충전에 의한 배터리(19)에의 부담 증가를 방지하여, 배터리(19)의 사용 수명이 줄어드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의 열화 정도가 클수록 감시 시간을 짧게 설정하기 때문에, 배터리(19)의 열화가 진행되고 있는 경우라도 배터리(19)의 SOC가 사용 가능 범위의 하한치를 하회하기 전에 적절한 타이밍에 충전하여 배터리(19)가 과방전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 상태가 되었을 때의 배터리(19)의 SOC가 충전을 필요로 하는 SOC였던 경우에, 내연 기관(12)을 정지시키지 않고 계속해서 내연 기관(12)이 난기된 상태로 배터리(19)를 충전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시동 직후의 냉간 상태의 내연 기관(12)의 구동에 의해 배터리(19)를 충전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배기 에미션을 저감하여, 더욱, 연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06, 단계 S27에 의해, 메인터넌스 등으로 하이브리드 차량(10)의 엔진 룸을 개방할 때에, 배터리(19)의 충전을 위해 내연 기관(12)이 구동되고 있는 것을 작업자에 대하여 통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황 확인 작업 등의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설계 변경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시리즈형의 하이브리드 차량(10)을 일례로 설명하였지만, 시리즈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전용 모터(13)를 구동시킬 수 있는 내연 기관(12)을 갖고 있는 것이면, 병렬형의 하이브리드 차량이나, 시리즈형 및 병렬형의 중간형의 하이브리드 차량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이그니션 스위치를 ON으로부터 OFF 상태로 하였을 때에, SOC가 충전 임계치를 하회하고 있었던 경우에 배터리(19)의 충전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SOC가 목표치 이상이거나, 내연 기관(12)의 연료가 부족한 경우 등을 제외하고, 이그니션 스위치를 ON으로부터 OFF 상태로 하였을 때에, 반드시 배터리(19)의 충전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배터리(19)의 충전 중에 충전 중인 것을 통지하는 통지부를 갖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통지부를 생략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배터리(19)의 열화가 진행될수록 감시 시간을 짧게 설정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 구성에 더하여, SOC를 감시할 때의 충전 임계치를 배터리(19)가 열화할수록 높은 값으로 설정하여, SOC가 사용 가능 범위의 하한치를 하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차량의 배터리 제어 장치에 따르면, 의도하지 않은 차량의 방치가 발생한 경우라도, 배터리의 열화 정도에 따른 적절한 감시 시간으로 충전의 필요 여부를 판정할 수 있어, 배터리가 과방전 상태가 되기 전에 발전기에 의한 충전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의 부담 경감을 도모하여 사용 수명이 줄어드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감시 시간의 경과 후에 배터리의 잔존 용량을 감시함으로써, 항상 배터리의 잔존 용량을 감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감시에 따른 전력 소비를 억제하여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10 : 하이브리드 차량 12 : 내연 기관
13 : 발전용 모터(발전기) 18 : MGECU(제어부)
19 : 배터리 21 : 회전 센서(검출부)
23 : 배터리 전류 센서(검출부) 24 : 배터리 온도 센서(검출부)
25 : 전압 센서(검출부) 30 : 방치 조작 입력부
S21 : 감시 시간 설정부 S12, S13 : 방치 상태 검출부
S02 : 열화도 판정부 S06, S27 : 통지부
S26 : 충전 필요 여부 판정부 S08, S30 : 충전 목표치 설정부

Claims (9)

  1. 내연 기관과,
    이 내연 기관에 의해 구동되어 발전하는 발전기와,
    이 발전기에 의해 발전된 전력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와,
    이 배터리의 잔존 용량을 포함한 배터리 상태를 검출하는 배터리 상태 검출부와,
    이 배터리 상태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배터리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열화 정도를 판정하는 열화도 판정부와,
    상기 차량의 방치 상태를 검출하는 방치 상태 검출부와,
    이 방치 상태 검출부에 의해 상기 차량의 상기 방치 상태가 검출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열화도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상기 열화 정도와 상기 배터리 상태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배터리의 현재의 잔존 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잔존 용량을 감시하는 감시 시간을 설정하는 감시 시간 설정부, 그리고
    이 감시 시간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상기 감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한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하는 충전 필요 여부 판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필요 여부 판정부에 의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발전기에 의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터리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시간 설정부는, 상기 열화도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상기 열화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체 용량 중 사용 가능 범위를 구하고, 이 사용 가능 범위와 상기 배터리의 현재의 잔존 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감시 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터리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가능 범위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의 목표치를 설정하는 충전 목표치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 목표치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목표치에 기초하여 상기 발전기에 의한 배터리의 충전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터리 제어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시간 설정부는, 상기 열화 정도에 따라, 상기 감시 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터리 제어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필요 여부 판정부는,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 상태가 되었을 때에,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한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하고, 상기 충전 필요 여부 판정부에 의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발전기에 의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행하며,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종료한 후에, 상기 내연 기관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터리 제어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가 상기 발전기에 의한 충전 중인 것을 통지하는 통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터리 제어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시간 설정부는, 상기 감시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새로운 감시 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터리 제어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치 상태 검출부는,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 상태이며, 상기 방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상기 방치 상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터리 제어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상기 방치 상태가 되는 것을 입력할 수 있는 방치 조작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치 상태 검출부는, 상기 방치 조작 입력부에의 조작 입력이 있었던 경우에, 상기 방치 상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터리 제어 장치.
KR20147004098A 2011-09-07 2012-08-17 차량의 배터리 제어 장치 KR201400360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94728 2011-09-07
JP2011194728 2011-09-07
PCT/JP2012/070901 WO2013035511A1 (ja) 2011-09-07 2012-08-17 車両のバッテリ制御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039A true KR20140036039A (ko) 2014-03-24

Family

ID=47831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7004098A KR20140036039A (ko) 2011-09-07 2012-08-17 차량의 배터리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40176085A1 (ko)
JP (1) JPWO2013035511A1 (ko)
KR (1) KR20140036039A (ko)
CN (1) CN103298662A (ko)
BR (1) BR112013016386A2 (ko)
CA (1) CA2842024A1 (ko)
WO (1) WO201303551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9438A (ko) * 2016-12-15 2018-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의 배터리 운용 방법
KR20190070204A (ko) * 2017-12-12 2019-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배터리 열화판단 제어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5511A1 (ja) * 2011-09-07 2013-03-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バッテリ制御装置
JP2013179729A (ja) * 2012-02-28 2013-09-09 Omron Corp 蓄電池制御装置、蓄電池制御方法、プログラム、蓄電システム、および電源システム
JP5757298B2 (ja) * 2013-01-25 2015-07-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電源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備える車両
JPWO2014196242A1 (ja) * 2013-06-07 2017-02-2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KR20150054276A (ko) * 2013-11-11 2015-05-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기 자전거의 주행 제어 장치
CN103701184B (zh) * 2013-12-13 2016-01-06 中国南方航空工业(集团)有限公司 燃气轮机用充电控制及保护装置
DE102014203417A1 (de) * 2014-02-26 2015-08-27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Überwachen eines Ladezustandes
JP6304053B2 (ja) * 2015-01-20 2018-04-0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バッテリ式産業車両
JP6461684B2 (ja) * 2015-04-03 2019-01-30 プライムアースEvエナジー株式会社 電池制御装置、電池制御方法及び下限電圧の決定方法
US20160305791A1 (en) * 2015-04-14 2016-10-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energy alert systems and methods
JP6245224B2 (ja) * 2015-06-09 2017-12-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
JP6245480B2 (ja) * 2015-06-19 2017-12-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制御装置
DE202015004890U1 (de) * 2015-07-07 2016-10-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Laderegler für einen Kraftfahrzeugakkumulator sowie Kraftfahrzeug
JP6675774B2 (ja) * 2015-08-19 2020-04-01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ショベル管理装置及びシステム
KR101766040B1 (ko) * 2015-09-18 2017-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충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60499A (ko) * 2015-11-24 2017-06-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의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US10176100B1 (en) * 2015-12-21 2019-01-08 Cadence Design Systems, Inc. Cache coherency process
KR101755976B1 (ko) * 2016-01-07 2017-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과 방전 방어방법과 컨트롤러 및 하이브리드 차량
JP6825214B2 (ja) * 2016-03-22 2021-02-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
JP6428743B2 (ja) * 2016-10-26 2018-11-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
US20180217210A1 (en) * 2017-01-31 2018-08-02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Battery check device and battery check system
GB2559819B (en) * 2017-02-15 2019-07-24 Mahindra Electric Mobility Ltd Methods and systems for energy management in vehicles
CN106956596A (zh) * 2017-04-05 2017-07-18 合肥德仁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车能源智能自动控制***
DE102017208770B4 (de) * 2017-05-23 2019-03-28 Audi Ag Verfahren zur Prüfung eines Batteriezustands und Prüfvorrichtung zur Prüfung eines Batteriezustands
JP6896548B2 (ja) * 2017-07-28 2021-06-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移動型x線装置
US10439427B2 (en) * 2017-08-03 2019-10-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termining a fuel quantity to charge a vehicle battery
JP6545230B2 (ja) * 2017-08-31 2019-07-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電源システム
JP6554151B2 (ja) * 2017-08-31 2019-07-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電源システム
JP7185437B2 (ja) * 2018-07-30 2022-12-07 ビークルエナジージャパン株式会社 電池管理装置、電池管理方法、電力貯蔵システム
CN111434517A (zh) * 2018-12-25 2020-07-21 观致汽车有限公司 用于管理车辆的蓄电池的方法、蓄电池管理装置以及车辆
KR102640095B1 (ko) * 2019-09-09 2024-02-2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절전형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10035444A (ko) * 2019-09-24 2021-04-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IL271478A (en) * 2019-12-16 2021-06-30 Irp Nexus Group Ltd Optimal drive system for brushless DC motors
JP2021127001A (ja) * 2020-02-13 2021-09-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DE102021106555B4 (de) 2021-03-17 2023-05-25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Laden einer Kraftfahrzeugbatterie sowie Motorsteuereinrichtung zum Betrieb einer Brennkraftmaschine
US20230012296A1 (en) * 2021-07-12 2023-01-12 Geotab Inc. Systems for Analysis of Vehicle Battery Health
US11654791B2 (en) 2021-07-12 2023-05-23 Geotab Inc. Devices for analysis of vehicle battery health
US11742681B2 (en) 2021-07-12 2023-08-29 Geotab Inc. Methods for analysis of vehicle battery health
US11485250B1 (en) 2021-07-12 2022-11-01 Geotab Inc. Systems for analysis of vehicle battery health
US11639117B2 (en) 2021-07-12 2023-05-02 Geotab Inc. Devices for analysis of vehicle battery health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5139B2 (ja) * 1995-05-31 2004-02-09 京セラ株式会社 蓄電池残存容量計測装置
JP4599535B2 (ja) * 2003-07-31 2010-12-1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自動車のカウルルーバ装置
JP4089691B2 (ja) 2004-02-03 2008-05-2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電池の制御装置
JP4489101B2 (ja) * 2007-06-20 2010-06-23 富士通テン株式会社 電力供給制御装置及び電力供給制御方法
JP2010070070A (ja) * 2008-09-19 2010-04-02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の制御装置
JP5238431B2 (ja) * 2008-09-26 2013-07-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負荷制御装置
JP2010193565A (ja) * 2009-02-16 2010-09-02 Japan Radio Co Ltd バッテリ残量判別装置
JP5247520B2 (ja) * 2009-02-17 2013-07-24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電力制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WO2013035511A1 (ja) * 2011-09-07 2013-03-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バッテリ制御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9438A (ko) * 2016-12-15 2018-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의 배터리 운용 방법
KR20190070204A (ko) * 2017-12-12 2019-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배터리 열화판단 제어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98662A (zh) 2013-09-11
JPWO2013035511A1 (ja) 2015-03-23
US20140176085A1 (en) 2014-06-26
WO2013035511A1 (ja) 2013-03-14
CA2842024A1 (en) 2013-03-14
BR112013016386A2 (pt) 201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36039A (ko) 차량의 배터리 제어 장치
US9731619B2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vehicle
US8643332B2 (en) Battery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internal short circuit in battery system
EP2343768A2 (en) Battery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current restriction state in a battery system
US20120268058A1 (en) Vehicular power supply system
CN105083040A (zh) 电源控制装置
US8583308B2 (en) Control device for vehicle
KR101927124B1 (ko) 배터리 고장 방지 장치
CN103813928A (zh) 电池的处理装置、车辆、电池的处理方法及电池的处理程序
US20100305793A1 (en) Method for starting a hybrid electric vehicle
JP4433752B2 (ja) 組電池の充放電制御装置
JP2012244663A (ja) 電気自動車の充電システム
JP2015180140A (ja) 車両用電源システム
JP6638650B2 (ja) 鉛蓄電池の劣化判定装置および鉛蓄電池の劣化判定方法
WO2013001620A1 (ja) 車両の電源システム
JP6024563B2 (ja) 車両用電源制御装置
JP7373113B2 (ja) 車両用電源制御装置
JP5092903B2 (ja) 車両用電池の充放電制御装置
JP2014087243A (ja) 蓄電システム
JP5609807B2 (ja) バッテリ装置のヒステリシス低減システム
JP6189105B2 (ja) 電源装置
JP5621873B2 (ja) 車両用電源システム
JP3772875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JP2015012685A (ja) 蓄電システム
JP3772876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