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0149A -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0149A
KR20140030149A KR1020137026985A KR20137026985A KR20140030149A KR 20140030149 A KR20140030149 A KR 20140030149A KR 1020137026985 A KR1020137026985 A KR 1020137026985A KR 20137026985 A KR20137026985 A KR 20137026985A KR 20140030149 A KR20140030149 A KR 20140030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con
unit
movement amount
information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6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사무 하라다
다케오 도이
준지 이토야마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30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01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aper (AREA)

Abstract

장치는 조작 유닛, 이동량 보정 유닛, 및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조작 유닛은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드래그 조작을 취득하도록 구성된다. 이동량 보정 유닛은 드래그 조작의 이동량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은 증가된 이동량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본 발명은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에 인코드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태블릿 개인용 컴퓨터(PC) 및 스마트폰과 같은 정보 처리 장치가 널리 보급되었다. 이러한 정보 처리 장치의 조작성(operability)을 향상시키기 위해,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에 관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GUI에 관한 기술로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조작 유닛으로 이용되는 터치 패드의 특성에 적합한 GUI를 제공하는 기술 등이 잘 알려져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1-059820호
그러나, 특허 문헌 1 등에 개시된 기술에서도 정보 처리 장치의 조작성의 향상이 충분한 것은 아니다. 태블릿 PC, 및 스마트폰 등이 널리 이용됨에 따라,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다양화되고, 정보 처리 장치의 GUI의 조작성에 대한 추가적인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대략 장치, 방법, 및 프로세서가 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인코드되어 있는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조작 유닛, 이동량(movement amount) 보정 유닛, 및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조작 유닛은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드래그 조작(drag operation)을 취득하도록 구성된다. 이동량 보정 유닛은 드래그 조작의 이동량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은 증가된 이동량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정보 처리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제1 정보 처리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정보 처리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제2 정보 처리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제2 정보 처리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개요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응용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적용한 제1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적용한 제2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적용한 제1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적용한 제2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적용한 제2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적용한 제1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적용한 제1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적용한 제1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적용한 제1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적용한 제2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적용한 제1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적용한 제1 정보 처리 장치의 다른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적용한 제2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편집 화면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개요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적용한 제1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첨부의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및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부여되고, 이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이 생략된다는 점에 주목한다.
설명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질 것이다.
1. 정보 처리 장치의 예
1-1. 제1 정보 처리 장치
1-2. 제2 정보 처리 장치
2. 정보 처리 장치에 따른 실시예
2-1. 제1 실시예
2-2. 제2 실시예
2-3. 제3 실시예
2-4. 제4 실시예
2-5. 제5 실시예
2-6. 제6 실시예
3. 보충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예를 들면, 정보 처리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을 수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두 가지 예가 설명될 것이다. 이어서, 이러한 정보 처리 장치에 적용가능한 여섯 가지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모든 실시예는 정보 처리 장치의 GUI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구현된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라도 정보 처리 장치에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두 가지 이상의 실시예들의 조합도 적용될 수 있다.
(1.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예)
(1-1. 제1 정보 처리 장치의 예)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제1 예인 정보 처리 장치(100)가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정보 처리 장치(100)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정보 처리 장치(100)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정보 처리 장치(100)는 하우징(101), 액정 디스플레이(LCD)(150), 및 LCD(150)에 제공된 터치 패널(110)을 구비한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LCD(150)가, 예를 들면,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로 긴 배치와, LCD(150)가, 예를 들면,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로 긴 배치에 모두 대응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면,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된 경우에 협지되는(hold)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터치 패널(110)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조작을 취득한다. 예를 들면, LCD(150)에는, GUI로서 버튼 또는 바(bar)와 같은 조작 아이콘(icon)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손가락(finger) 또는 펜(pen)을 이용하여 원하는 조작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위치의 터치 패드(110)에 접촉(touch)한다. 이 경우, 터치 패드(110)는 사용자가 아이콘을 선택하는 조작을 취득할 수 있다. 이러한 조작은, 예를 들면, GUI에 표시된 아이콘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할 경우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사용자는 LCD(150) 상의 임의의 위치에 접촉하고, 접촉을 유지하면서 손가락, 펜 등을 이동시키고, LCD(150) 상의 다른 위치에서 접촉을 해제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패드(110)는 접촉 위치 외에 접촉 위치의 이동 방향, 및 이동량 등을 사용자의 조작으로 취득할 수 있다. 이러한 조작은, 예를 들면, GUI의 표시를 특정 방향으로 스크롤(scroll)하는 경우 등에 이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정보 처리 장치(100)는 터치 패드(110), 중앙 처리 유닛(CPU)(120), 저장 유닛(130), 통신 유닛(140), 및 LCD(150)를 구비한다.
터치 패드(110)는 조작 유닛의 일례이다. LCD(150) 상에 제공된 터치 패드(110)는 사용자의 접촉을 검출하고, 접촉 위치, 접촉 위치가 이동한 방향, 및 이동량 등을 사용자의 조작으로 취득한다. 터치 패드(110)는 취득한 사용자의 조작에 대한 정보를 CPU(120)에 제공한다. 정보 처리 장치(100)에서는 조작 유닛으로 터치 패드(110)가 이용되지만, 조작 유닛의 예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조작 유닛은 마우스 또는 펜 태블릿과 같은 다른 포인팅 장치일 수 있고, 키보드와 같은 다른 입력 장치일 수도 있다.
CPU(120)는 저장 유닛(13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고, 정보 처리 장치(100)의 각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한다. CPU(120)는 조작 유닛인 터치 패널(110)로부터 사용자의 조작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CPU(120)는 디스플레이 유닛인 LCD(150)의 표시를 제어한다. CPU(120)는 처리에 이용되는 정보를 저장 유닛(130)에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한다. 또한, CPU(120)는 통신 유닛(140)을 통해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CPU(12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 이동량(movement amount) 보정 유닛(122), 홈 화면(home screen) 관리 유닛(123), 객체(object) 관리 유닛(124), 뷰(view) 정보 관리 유닛(125), 및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관리 유닛(126)의 기능을 구현한다. 이하, 이들 구성 요소의 기능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이들 구성 요소 외에, CPU는 정보 처리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각종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은 디스플레이 유닛인 LCD(150)의 표시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은 LCD(150)에 GUI를 표시시키고 터치 패드(110)에서 취득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GUI의 표시를 변경시킨다.
이동량 보정 유닛(122), 홈 화면 관리 유닛(123), 객체 관리 유닛(124), 뷰 정보 관리 유닛(125), 및 애플리케이션 관리 유닛(126)은 주로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이용된다. 따라서, 각 실시예가 정보 처리 장치(100)에 적용되지 않은 경우, CPU(120)는 전술한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반드시 구현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의 상세 내용에 대해서는 각 실시예의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정보 처리 장치(100)의 처리에 관한 다양한 정보는 저장 유닛(130)에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된다. 저장 유닛(130)의 예는 플래시 판독 전용 메모리(ROM) 또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블루레이 디스크(B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콤팩트 디스크(CD)와 같은 광학 디스크, 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등일 수 있다. 저장 유닛(130)은 정보 처리 장치(100)에 내장된 저장 장치, 및 정보 처리 장치(100)에 탈부착가능한 메모리 카드와 같은 이동식 매체일 수 있다. 또한, 저장 유닛(130)은 복수 형태의 저장 장치 또는 이동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 유닛(130)에는 CPU(120)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 프로그램은 저장 유닛(13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으로는, 전술한 이동식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되는 프로그램 또는 통신 유닛(140)을 통해 네트워크에서 다운로드한 프로그램이 저장 유닛(130)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저장 유닛(130)에는 CPU(120)에 의해 터치 패드(110), LCD(150), 및 통신 유닛(140)과 교환한 정보, 및 CPU(120)에 의해 처리 중에 생성된 정보 등도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통신 유닛(140)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통신 유닛(140)의 예는 범용 직렬 버스(USB), 국제 전기전자 공학회(IEEE) 1394, 소형 컴퓨터 시스템 인터페이스(SCSI),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 근거리 네트워크(LAN), 블루투스(등록 상표), 또는 무선 USB(WUSB) 등을 위한 포트 또는 통신 카드이다. 통신 유닛(140)은 인터넷, 홈 LAN, 또는 적외선 통신, 전파(radio wave) 통신, 또는 위성 통신 등의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정보 처리 장치(100)의 처리에 관한 각종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통신 유닛(140)은 CPU(120)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에서 다운로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LCD(150)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일례이다. LCD(150)는 CPU(120)에 의해 제어되고, GUI를 포함하여 다양한 이미지를 표시한다. 정보 처리 장치(100)에서는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LCD(150)가 이용되지만, 디스플레이 유닛의 예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유닛은 유기 전계발광(EL) 패널과 같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고, 정보 처리 장치와 별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1-2. 제2 정보 처리 장치의 예)
다음에,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제2 예인 정보 처리 장치(200)가 설명될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정보 처리 장치(200)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정보 처리 장치(200)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정보 처리 장치(200)는 하우징(201), LCD(250a 및 250b), 및 LCD(250a 및 250b)에 각각 제공된 터치 패드(210a 및 210b)를 구비한다. 하우징(201)은 힌지(hinge)(201h)를 구비하고, 힌지(201h)를 피봇점(pivot point)으로 이용하여 LCD(250a 및 250b)가 내측이 되도록 접힐 수 있다. (a)는 하우징(201)이 접힌 상태를 나타내고, (b)는 하우징(201)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하우징(201)은 접힐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정보 처리 장치(200)의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200)는, 예를 들면,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될 때 협지되는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예를 들면, 정보 처리 장치(200)는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LCD(210a) 및 LCD(210b)가 수직 방향으로 연결된 배치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LCD(210a) 및 LCD(210b)가 수평 방향으로 연결된 배치에 모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200)는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1)이 절반 열린 상태에서 이용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200)는 LCD(250a 및 250b) 및 터치 패드(210a 및 210b)에 표시된 GUI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조작을 취득할 수 있다. LCD(250) 및 터치 패드(210)의 기능은 실질적으로 전술한 LCD(150) 및 터치 패드(110)의 기능과 동일하다. 그러나, LCD(250) 및 터치 패드(210)는 물리적으로 두 부분으로 분리되기 때문에, 이들의 기능은 LCD(150) 및 터치 패드(110)의 기능과 다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대해서는 후술할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정보 처리 장치(200)는 터치 패드(210a 및 210b), CPU(120), 저장 유닛(130), 통신 유닛(140), 및 LCD(250a 및 250b)를 구비한다.
터치 패드(210a 및 210b)는 조작 유닛의 일례이다. LCD(250a 및 250b) 상에 각각 제공된 터치 패드(210a 및 210b)는 사용자의 접촉을 검출하고, 접촉 위치, 접촉 위치가 이동한 방향, 또는 이동량을 사용자의 조작으로 취득한다. 터치 패드(210a 및 210b) 각각은 취득된 사용자의 조작에 대한 정보를 CPU(120)에 제공한다.
LCD(250a 및 250b)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일례이다. LCD(250a 및 250b)는 각각 CPU(120)에 의해 제어되고, GUI를 포함하는 다양한 이미지를 표시한다. LCD(250a 및 250b)는 일체로 이용되어 일련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고, 각각은 독립적으로 별개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LCD(250a 및 250b)의 표시 콘텐츠에 따라, 터치 패드(210a 또는 210b)가 동작가능한 경우와 둘 다 동작가능한 경우가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LCD(250a)에 GUI가 표시된 경우, 터치 패드(210a)가 동작가능하게 설정될 수 있다.
(2. 정보 처리 장치에 따른 실시예)
(2-1. 제1 실시예)
다음에,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개요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의 응용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예를 적용한 정보 처리 장치(100)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를 적용한 정보 처리 장치(200)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정보 처리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유닛에 표시될 수 있는 정보량은 한정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콘텐츠 표시의 일부 또는 전부를 스크롤링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표시를 스크롤링하는 조작에는 두 가지 형태가 있다. 하나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특정 위치에 GUI로서 표시된 스크롤 바(scroll bar)와 같은 조작 요소(operating element)에 대한 조작이고, 다른 하나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임의의 위치에 대한 드래그 조작이다. 드래그 조작에 의해 표시를 스크롤하는 경우, 드래그 조작의 이동량은 표시의 스크롤량(scroll amount)과 같다. 그럼으로써, 예를 들면, 사용자가 이미지, 문서 등을 열람(browse)할 때, 그 표시는 책상에서 종이를 슬라이딩하는 것처럼 스크롤될 수 있고, 더 많은 직관적인 조작이 구현된다.
그런데, 최근에,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정보 처리 장치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기동(starting up)하기 위한 아이콘 등을 배치한 홈 화면이라고 하는 복수의 작업 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표시되는 홈 화면을 전환(switching)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예를 들면, 이러한 기술은 드래그 조작으로 홈 화면의 표시를 스크롤링하여 인접 배치된 다른 홈 화면으로 표시를 전환하는 GUI를 제공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드래그 조작에 의한 스크롤링은 사용자의 직관적인 조작에 의해 스크롤링을 구현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홈 화면의 전환을 위해서는 적어도 하나의 홈 화면의 표시를 스크롤하는 것이 필요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드래그 조작에 의해 큰 스크롤 조작을 의도하면, 원하는 스크롤량에 도달할 때까지 드래그 조작이 여러 번 반복된다. 그 때문에, 조작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드래그 조작에 의해 큰 스크롤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새로운 기술이 제공된다.
전술한 정보 처리 장치(100)에서, 조작 유닛은 터치 패드(110)에 의해 구현되고, 이동량 보정 유닛 및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은 CPU(120)에 의해 이동량 보정 유닛(122) 및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으로서 구현되며, 디스플레이 유닛은 LCD(150)에 의해 구현된다. 이들 중, 이동량 보정 유닛(122)은 터치 패드(110)에 의해 취득된 사용자의 드래그 조작의 이동량을 증대(enlarge)시킴으로써 증대된 이동량을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에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은 제공된 이동량에 따라 LCD(150)의 표시를 스크롤한다.
예를 들면, 이동량 보정 유닛(122)은 소정(predetermined) 값 n(n>1)을 이동량에 곱하여 드래그 조작의 이동량을 증대시킨다. 이 경우, 드래그 조작의 이동량 d에 대한 스크롤량은 nd가 된다. 대안으로, 이동량 보정 유닛(122)은 소정 값 m(m>0)을 이동량에 더하여 이동량을 보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드래그 조작의 이동량 d에 대한 스크롤량은 m+d가 된다.
또한, 이동량 보정 유닛(122)은 사용자의 조작 등에 따라 이동량을 보정할지 여부를 전환할 수 있다. 이러한 전환은, 예를 들면, 터치 패드(110)의 더블 탭(double-tap)과 같은 조작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동량 보정 여부는 이동량의 보정이 터치 패드(110)의 멀티 터치에 의한 드래그 조작에는 적용가능하고 이동량의 보정이 싱글 터치에 의한 드래그 조작에는 적용가능하지 않도록 드래그 조작의 종류에 따라 판단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사용자가 이동량의 보정의 유무를 전환하는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이동량 보정 유닛(122)은 이동량의 보정에 이용되는 값을 전환할 수 있다. 이러한 전환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이 LCD(150)에 설정 화면의 GUI를 표시시킴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량 보정 유닛(122)이 소정 값 n의 곱에 의해 이동량을 보정하는 경우, 소정 값 n은 2, 3, 4,...의 옵션 중에서 선택될 수 있거나, 또는 소정 값 n을 직접 입력할 수 있는 설정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사용자 고유의 조작감(operation feeling)에 따라 보정량을 설정할 수 있다.
도 6에는, 정보 처리 장치(100)에서, 드래그 조작의 보정량 d가 표시의 스크롤량 d와 일치하는 (a)의 경우와 드래그 조작의 이동량 d에 n을 곱하여 증대된 표시의 스크롤량이 nd가 되는 (b)의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a) 또는 (b) 어느 경우든지, 정보 처리 장치(100)에는 네 개의 홈 화면(500a 내지 500d)이 설정되어 있다. 홈 화면(500a 내지 500d)은 가상적으로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은 LCD(150)의 표시를 좌우 방향으로 스크롤하여, 홈 화면(500a 내지 500d)이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도시된 예에서, 초기 상태에서는 홈 화면(500c)이 LCD(150)에 표시된다. (a) 또는 (b) 어느 경우든지, 사용자는 LCD(150) 상의 위치 P0에 해당하는 위치의 터치 패드(110)에 손가락으로 접촉하고, 접촉을 유지하면서 손가락을 우측 방향으로 이동량 d만큼 이동하는 드래그 조작을 실행한다.
(a)의 경우, 표시의 스크롤량은 드래그 조작의 이동량 d와 일치한다. 따라서, 드래그 조작 후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하는 화면 상의 위치는 드래그 조작 전과 같은 화면 상의 위치 P0이다. 스크롤링에 의해 홈 화면(500)이 가상적으로 스크롤량 d만큼 우측으로 이동된 후, LCD(150)에는 홈 화면(500c) 및 홈 화면(500b)이 표시된다. 이는 스크롤링에 의해 홈 화면(500c)이 인접 배치된 홈 화면(500b)으로 전환된 중간 상태이다. 그 후, 더 우측으로 드래그 조작을 계속하여도 홈 화면(500b)을 완전히 LCD(150)에 표시하기가 어렵다. 홈 화면(500b) 또는 홈 화면(500a)을 표시하려면, 사용자는 손가락을 LCD(150)의 좌측으로 되돌려 다시 드래그 조작을 실행할 필요가 있다.
한편, (b)의 경우, 표시의 스크롤량은 드래그 조작의 이동량 d에 n을 곱하여 보정을 수행한 후의 값이 된다. 따라서, 스크롤량은 드래그 조작의 이동량보다 커지고, 드래그 조작 후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하는 화면 상의 위치는 드래그 조작 전 화면 상의 위치 P0와 다른 위치가 된다. 스크롤링에 의해 홈 화면(500)을 가상적으로 우측으로 스크롤량 nd만큼 이동한 후, LCD(150)에는 홈 화면(500b) 및 홈 화면(500a)이 표시된다. 이는 홈 화면(500c)이 인접 배치된 홈 화면(500b)으로 전환되고, 홈 화면(500b)이 또한 인접 배치된 홈 화면(500a)으로 전환된 중간 상태이다. 그 후, 홈 화면(500b)을 표시하기를 원할 경우, 사용자가 좌측으로 되돌리는 드래그 조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홈 화면(500a)을 표시하기를 원할 경우, 사용자가 우측으로 드래그 조작을 계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100)에 따르면, 큰 스크롤량을 필요로 하는 홈 화면의 전환과 같은 스크롤 조작을 드래그 조작을 여러 번 반복하지 않고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동량 보정 유닛(122)이 이동량을 증대시킬지 여부를 전환할 수 있다면, 필요에 따라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상의 스크롤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도 7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의 예가 흐름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드래그 조작의 이동량은 소정 값 n의 곱에 의해 증대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0)의 예가 설명되지만, 정보 처리 장치(200)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먼저, 터치 패드(110)는 LCD(150)의 임의의 위치에 대한 드래그 조작을 검출한다(단계 S101). 드래그 조작이 검출된 경우, 드래그 조작의 이동량이 이동량 보정 유닛(122)에 제공되고, 이동량 보정 유닛(122)은 이동량의 보정이 적용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3).
여기서, 이동량의 보정이 적용가능한 것으로 설정된 경우, 이동량 보정 유닛(122)은 이동량을 n배하여 보정을 수행한다(단계 S105). 보정된 이동량은 이동량 보정 유닛(122)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에 제공된다. 한편, 이동량의 보정이 적용가능한 것으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 이동량 보정 유닛(122)은 이동량을 보정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에 제공한다.
다음에,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은 이동량 보정 유닛(122)으로부터 제공된 이동량만큼 LCD(150)의 표시를 스크롤한다(단계 S107). 이동량 보정 유닛(122)에 의한 이동량의 보정이 적용가능한 것으로 설정된 경우, LCD(150)의 표시는, 예를 들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롤된다. 또한, 이동량 보정 유닛(122)에 의한 이동량의 보정이 적용가능한 것으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 LCD(150)의 표시는, 예를 들면,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롤된다.
도 8에는, 본 실시예를 이용하여 LCD(150)의 일단에서 타단까지의 드래그 조작에 의해 다섯 개의 홈 화면(500a 내지 500e)을 모두 스크롤하여 LCD(150)에 표시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홈 화면(500a 내지 500e)은 가상적으로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고,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은 LCD(150)의 표시를 좌우 방향으로 스크롤하여, 홈 화면(500a 내지 500e)이 LCD(150)에 순차적으로 표시된다. 도시된 예에서,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LCD(150)의 좌측 단의 위치 S0에서 터치 패드(110)를 손가락으로 접촉하고,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을 LCD의 중앙 근처 위치 S1에 접촉하는 상태를 거쳐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LCD(150)의 우측 단의 위치 S2까지 손가락을 이동시키는 드래그 조작을 실행한다.
(a)에 도시된 드래그 조작의 시작 시점에서, LCD(150)에는 홈 화면(500) 중 가장 우측에 배치된 홈 화면(500e)이 표시된다. (b)에 도시된 드래그 조작의 중간 시점에서, 스크롤링에 의해 홈 화면(500)이 가상적으로 우측으로 이동하고 LCD(150)에는 홈 화면(500) 중 중앙에 배치된 홈 화면(500c)과 그에 인접한 홈 화면(500b)이 표시된다. (c)에 도시된 드래그 조작의 종료 시점에서, 스크롤링에 의해 홈 화면(500)이 가상적으로 더 이동하여 LCD(150)에는 홈 화면(500) 중 가장 좌측에 배치된 홈 화면(500a)이 표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시된 예에서, 사용자는 LCD(150)의 좌측 단에서 우측 단까지 드래그 조작, 즉, 홈 화면(500) 중 한 화면의 드래그 조작에 의해 다섯 개의 홈 화면(500a 내지 500e)을 모두 스크롤하여 LCD(150)에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스크롤링은, 예를 들면, 이동량 보정 유닛(122)이 소정 값 n의 곱에 의해 드래그 조작의 이동량을 보정하고, 소정 값 n이 홈 화면의 수, 즉, 도시된 예에서는 5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가능하다. 이 경우, 소정 값 n은 사용자가 LCD(150)의 일단에 접촉할 때 위치의 변화를 고려하여 홈 화면의 수에 보정값 c(0<c<1)를 더하여 얻은 값일 수 있다. 또한, 이동량 보정 유닛(122)은 홈 화면(500)의 설정된 수에 따라 소정 값 n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9에는, 본 실시예를 적용한 정보 처리 장치(100)에서 홈 화면(500)이 스크롤링에 의해 전환되는 동안의 LCD(150)의 표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홈 화면(500b) 및 홈 화면(500c)은 스윙(swing)과 같은 모션(motion)에 따라 전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크롤링에 의한 홈 화면(500)의 전환은 다양한 표시 효과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 LCD(150)에는, 또한 모든 홈 화면(500a 내지 500e)을 나타내는 아이콘(501a 내지 501e)과 홈 화면(500) 중에서 LCD(150)에 표시된 영역을 나타내는 아이콘(502)이 표시된다. 도시된 예에서, 이들 아이콘은 모든 화면을 묘사하는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드래그 조작의 이동량이 증대되고, 보정되어, 스크롤량으로 이용되기 때문에, 스크롤량은 드래그 조작의 이동량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는 드래그 조작에 의해 더 크게 스크롤될 수 있다. 그러나, 반면에, 스크롤량이 드래그 조작의 이동량과 일치하는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드래그 조작에 의한 표시의 스크롤량을 직관적으로 인식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드래그 조작에 의한 스크롤링 결과로 무엇이 일어나고 있는지, 예를 들면, 어느 홈 화면(500)이 표시되는지를 직관적으로 인식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은 LCD(150)에 아이콘(501) 및 아이콘(502)을 표시시킨다. 이들 아이콘이 표시되어, 사용자는 표시를 좌우 방향으로 스크롤링함으로써 홈 화면(500)이 전환하는 것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아이콘이 표시되어, 사용자는 홈 화면(500) 중 어느 것이 현재 LCD(150)에 표시되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패드(110)가 드래그 조작을 검출하는 동안,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은 아이콘(501) 및 아이콘(502)을 LCD(15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드래그 조작에 의해 홈 화면(500)이 전환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은 터치 패드(110)가 드래그 조작을 검출하는 동안 LCD(150)의 좌측 및 우측 단에 인접한 다른 홈 화면(500)의 프레임(frames)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0에는, 본 실시예를 적용한 정보 처리 장치(200)에서 홈 화면(500)을 스크롤하고 전환하는 동안의 LCD(250a 및 250b)의 표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가 정보 처리 장치(100)에 적용된 경우가 전술되었지만, 본 실시예는 정보 처리 장치(2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설명에서 터치 패드(110) 대신에 터치 패드(210a 및 210b)가 이용되고, LCD(150) 대신에 LCD(250a 및 250b)가 이용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LCD(250a 및 250b)가 일체로 이용되고 도 9의 예와 같은 이미지가 표시된다. 즉, LCD(250a 및 250b)에는 전환되는 홈 화면(500b 및 500c), 모든 홈 화면(500a 내지 500e)을 나타내는 아이콘(501a 내지 501e), 및 표시된 영역을 나타내는 아이콘(502)이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터치 패드(210a 또는 210b)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좌우 방향으로 드래그 조작을 수행하여, LCD(250)의 표시를 스크롤하고 홈 화면(500)을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설명되었다. 홈 화면의 전환을 위한 스크롤링 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실시예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 유닛의 표시를 스크롤하는 모든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홈 화면이 가상적으로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실시예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홈 화면은 좌측 및 우측 단이 연결되어 무단(endless) 형상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또한, 화면의 좌우 방향으로 스크롤링하는 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실시예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하 방향 또는 화면의 경사 방향으로 스크롤링하는 것에도 적용될 수 있다.
(2-2. 제2 실시예)
다음에,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를 적용한 정보 처리 장치(100)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실시예를 적용한 정보 처리 장치(200)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최근,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정보 처리 장치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기 위한 아이콘 등을 배치한 홈 화면이라고 하는 복수의 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 요구에 따라 표시되는 홈 화면을 전환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기술에서는, 홈 화면에 아이콘을 배치하기 위한 편집(editing) 화면이 GUI에 제공된다. 편집 화면에는, 예를 들면, 각 홈 화면에 배치될 수 있는 객체 아이콘 목록과 각 홈 화면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표시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배치될 수 있는 아이콘 목록 중에서 선택된 임의의 아이콘을 어떤 홈 화면을 나타내는 아이콘까지 드래그하는 조작에 의해 각 홈 화면에 배치될 아이콘을 결정한다.
그러나, 예를 들면, 사용자가 하나의 홈 화면에 많은 아이콘을 배치하기를 원할 경우, 아이콘들을 드래그 조작에 의해 홈 화면을 나타내는 아이콘까지 하나씩 이동시키는 조작을 수행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번잡할 것이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이 전술한 정보 처리 장치(200)와 같이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된 경우, 드래그 조작의 시작점에 있는 객체 아이콘 목록과 종료점에 있는 홈 화면의 아이콘을 복수의 분할 중에서 동일 디스플레이 유닛에 표시하는 것이 필요하여, 편집 화면의 표시에 제약이 있고 그 결과 조작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배치 목적지(destinations)에 아이콘을 선택적으로 배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새로운 기술이 제공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홈 화면을 나타내는 홈 화면 아이콘, 복수의 홈 화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는 객체 아이콘, 및 복수의 홈 화면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을 나타내는 선택기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유닛에 표시시키는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 객체 아이콘 또는 선택기 아이콘을 선택하는 조작을 취득하는 조작 유닛, 및 선택된 객체 아이콘을 선택기 아이콘에 의해 선택되어 표시된 홈 화면 중 어느 하나에 적용하는 홈 화면 관리 유닛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정보 처리 장치의 GUI의 조작성이 더욱 향상된다.
전술한 정보 처리 장치(100)에서, 조작 유닛은 터치 패드(110)에 의해 구현되고, 디스플레이 유닛 및 홈 화면 관리 유닛은 CPU(120)에 의해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 및 홈 화면 관리 유닛(123)으로서 구현되며, 디스플레이 유닛은 LCD(150)에 의해 구현된다. 이들 중, 홈 화면 관리 유닛(123)은 터치 패드(110)에 의해 취득된 조작에 기초하여 홈 화면에 아이콘을 배치한다. 홈 화면 관리 유닛(123)은 편집 화면 등에 설정된 각 홈 화면에 배치된 객체 아이콘에 대한 정보를 저장 유닛(130)에 저장한다. 또한, 각 홈 화면이 표시될 때, 홈 화면 관리 유닛(123)은 객체 아이콘의 배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 유닛(130)으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에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은 홈 화면 관리 유닛(123)으로부터 제공된 정보에 따라 각 홈 화면에 객체 아이콘을 배치하여 표시한다.
도 11에는, 정보 처리 장치(100)에서 홈 화면에 아이콘을 배치하기 위한 편집 화면이 표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LCD(150)에는, 홈 화면 아이콘(503a 내지 503e), 선택기 아이콘(504a 내지 504e), 및 객체 아이콘(511)이 표시되어 있다.
홈 화면 아이콘(503)은 정보 처리 장치(100)에 설정된 홈 화면(500)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정보 처리 장치(100)에는 다섯 개의 홈 화면(500a 내지 500e)이 표시되어 있다. LCD(150)에는, 홈 화면(500a 내지 500e)에 각각 대응하는 홈 화면 아이콘들이 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홈 화면 아이콘(503)은 원근법(perspective)으로 표현된 시각 효과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
선택기 아이콘(504)은 홈 화면 아이콘(503)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되고, 홈 화면(500a 내지 500e)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을 나타내는 아이콘이다. 도시된 예에서, 선택기 아이콘(504a 내지 504e)은 홈 화면 아이콘(503a 내지 503e)에 대응하여 표시되고, 이들 중에서 선택기 아이콘(504c)이 선택되어 있다. 사용자는 터치 패드(110)에 접촉하여 선택기 아이콘(504a 내지 504e)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객체 아이콘(511)은 각각 홈 화면(500)에 배치될 수 있다. 객체 아이콘(511)의 예는 위젯(widget), 애플리케이션 바로 가기(shortcut), 또는 배경 화면(wallpaper) 등이다. 사용자가 터치 패드(110)에 접촉하여 객체 아이콘(511)을 선택한 경우, 홈 화면 관리 유닛(123)은 홈 화면(500)에 위젯 또는 바로 가기를 배치하거나 또는 홈 화면(500)의 배경 화면을 변경한다. 객체 아이콘(511)은,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형태의 탭을 이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선택기 아이콘(504c)이 선택된 상태에서 객체 아이콘(511a)이 선택된다. 이때, 홈 화면 관리 유닛(123)은 객체 아이콘(511a)을 선택기 아이콘(504c)에 의해 선택 표시된 홈 화면(500c)에 적용한다. 예를 들면, 객체 아이콘(511a)이 애플리케이션 바로 가기인 경우, 홈 화면 관리 유닛(123)은 객체 아이콘(511a)을 홈 화면(500c)에 배치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은 홈 화면(500c)에 대응하는 홈 화면 아이콘(503c)에 객체 아이콘(511a)에 대응하는 축소 아이콘(512a)을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선택기 아이콘(504)을 표시함으로써, 예를 들면, 하나의 홈 화면(500)에 복수의 객체 아이콘(511)을 배치하는 경우, 모든 객체 아이콘(511)에 대한 드래그 조작을 수행하지 않고 일단 선택기 아이콘(504)을 선택한 후 각 객체 아이콘(511)을 선택하는 조작에 의해 배치를 실행할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을 간략히 수행할 수 있다.
도 12에는, 정보 처리 장치(200)에서 홈 화면에 아이콘을 배치하기 위한 편집 화면이 표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가 정보 처리 장치(100)에 적용된 경우가 전술되었지만, 본 실시예는 정보 처리 장치(2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LCD(250a)에는, 홈 화면 아이콘(503a 내지 503e) 및 선택기 아이콘(504a 내지 504e)이 표시되어 있다. LCD(250b)에는, 객체 아이콘(511)이 표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200)에서는 LCD(250a 및 250b)에 각각 제공된 터치 패드(210a 및 210b)가 서로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홈 화면 아이콘(503)으로의 드래그 조작에 의해 객체 아이콘(511)을 홈 화면(500)에 배치하기 위해서는 객체 아이콘(511) 및 홈 화면 아이콘(503)을 LCD(250a 및 250b) 중 어느 하나에 함께 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터치 패드(210a) 및 터치 패드(210b)에 걸친 드래그 조작이 어렵기 때문이다. 이 경우, 예를 들면, 편집 화면의 대부분의 요소가 LCD(250a 및 250b) 중 하나에 집중되고 편집 화면의 레이아웃이 조밀하여 조작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를 적용한 정보 처리 장치(200)에서는, 객체 아이콘(511)을 홈 화면(500)에 배치하는 조작이 선택기 아이콘(504) 및 객체 아이콘(511)을 선택하는 조작에 의해 완료된다. 따라서, 홈 화면 아이콘(503) 및 객체 아이콘(511)을 LCD(250a 및 250b)에 분리하여 표시하고, LCD(250) 전체를 이용하여 편집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편집 화면의 레이아웃에 유연성을 더하여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의 예가 흐름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0)의 예가 설명되지만, 정보 처리 장치(200)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먼저, 터치 패드(110)는 사용자의 선택 조작을 취득한다(단계 S201). 다음에, 홈 화면 관리 유닛(123)은 터치 패드(110)에 의해 취득된 선택된 조작에 의해 선택기 아이콘(504)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3).
여기서, 선택기 아이콘(504)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홈 화면 관리 유닛(123)은 객체 아이콘(511)의 배치 목적지인 홈 화면(500)의 선택을 전환한다(단계 S205). 예를 들면, 선택기 아이콘(504a)이 선택된 경우, 홈 화면 관리 유닛(123)은 홈 화면(500a)을 배치 목적지로 선택한다. 홈 화면 관리 유닛(123)은 배치 목적지로 선택된 홈 화면(500)에 대한 정보를 저장 유닛(130)에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한편, 단계(S203)에서 선택기 아이콘(504)이 선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홈 화면 관리 유닛(123)은 터치 패드(110)에 의해 취득된 선택 조작에 의해 객체 아이콘(511)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207).
여기서, 선택 아이콘(511)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홈 화면 관리 유닛(123)은 조작에 의해 선택된 객체 아이콘(511)을 배치 목적지로 선택된 홈 화면(500)에 적용한다(단계 S209). 여기서, 홈 화면 관리 유닛(123)은 저장 유닛(130)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배치 목적지로 선택된 홈 화면(500)에 대한 정보를 판독하고, 홈 화면(500)에 적용된 객체 아이콘(511)의 정보로서, 조작에 의해 선택된 객체 아이콘(511), 예를 들면, 도 11에서 객체 아이콘(511a)의 정보를 추가한다.
이상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설명되었다. 홈 화면 아이콘 및 선택기 아이콘이 분리되어 표시된 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실시예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선택기 아이콘은 홈 화면 아이콘과 일체로 표시될 수 있다.
(2-3. 제3 실시예)
다음에,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도 14는 본 실시예를 적용한 정보 처리 장치(200)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정보 처리 장치(200)와 같이, 분리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 각 디스플레이 유닛에 조작 유닛으로서 제공된 터치 패드를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정보 처리 장치에서는, 디스플레이 유닛들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유닛들에 제공된 터치 패드들도 마찬가지로 분리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들 터치 패드에 걸쳐 드래그 조작을 수행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전술한 정보 처리 장치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유닛들 사이에서 드래그 조작에 의해 아이콘을 이동시키는 것은 어렵다.
본 실시예에서는, 분리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유닛들에 걸쳐 드래그 조작을 수행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새로운 기술이 제공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 제1 디스플레이 유닛에 제공된 제1 터치 패드, 제1 디스플레이 유닛에 인접한 제2 디스플레이 유닛, 제2 디스플레이 유닛에 제공되고 제1 터치 패드와 소정 간격을 갖는 제2 터치 패드, 및 제1 디스플레이 유닛에 표시된 아이콘이 제1 디스플레이 유닛과 제2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의 경계부에서 사용자의 제1 터치 패드의 제1 접촉에 의해 경계부까지 드래그된 때 상기 아이콘을 소정 시간 동안 정지시키고, 상기 소정 시간 동안 제2 터치 패드의 제2 접촉이 검출된 경우 상기 아이콘을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2 접촉이 검출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정보 처리 장치의 GUI의 조작성이 더욱 향상된다.
전술한 정보 처리 장치(200)에서,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은 각각 LCD(250a 및 250b)에 의해 구현되고, 제1 및 제2 터치 패드는 각각 터치 패드(210a 및 210b)에 의해 구현되며,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은 CPU(120)에 의해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으로서 구현된다.
도 14에는, 정보 처리 장치(200)에서 아이콘을 홈 화면에 적용하기 위한 편집 화면이 표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LCD(250a)에는, 홈 화면(503a 내지 503e)이 표시되어 있다. LCD(250b)에는, 객체 아이콘(511)이 표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객체 아이콘(511)은 홈 화면 아이콘(503)으로의 드래그 조작에 의해 홈 화면 아이콘(503)에 대응하는 홈 화면(500)에 적용된다. 또한, LCD(250a)에는 선택기 아이콘(504a 내지 504e)이 표시될 수 있고, 전술한 제2 실시예와 동일한 조작에 의한 객체 아이콘(511)의 홈 화면(500)으로의 적용이 일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LCD(250b)에 표시된 객체 아이콘(511b)은 사용자의 터치 패드(210b)와의 접촉에 의해 드래그되고, LCD(250b)와 LCD(250a) 사이의 경계 영역(250e)까지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 패드(210b)와의 접촉을 해제한 경우, 객체 아이콘(511b)은 소정 시간 동안 경계 영역(250e)에서 정지되어 표시된다. 이는 객체 아이콘(511b)이 LCD(250b)와 LCD(250a) 사이에서 보류(pending) 중인 상태이다. 이때, 객체 아이콘(511b)이 보류 중임을 나타내는 보류 표시((521)가 표시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보류 표시(521)는 LCD(250a)의 가장 자리 부분에서 LCD(250a)의 배경과는 다른 색상으로 표시된다. 보류 표시(521)는 객체 아이콘(511b)이 보류 중인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표시이기만 하면 이것은 각종 다른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 영역(250e)은 LCD(250a) 및 LCD(250b) 사이의 경계부에 설정된 영역이다. 경계 영역(250e)은 LCD(250)에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경계 영역(250e)은 LCD(250a) 및 LCD(250b) 둘 다에 설정되지 않을 수 있고, 어느 하나에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시된 예에서, 경계 영역(250e)은 단지 LCD(250b)에만 설정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소정 시간 동안 객체 아이콘(511b)이 경계 영역(250e)에서 정지되어 표시된 동안 사용자가 터치 패드(210a)에 접촉한 경우, 객체 아이콘(511b)은 사용자가 LCD(250a)에 접촉한 위치까지 이동하여 표시된다. 사용자가 접촉한 위치는 LCD(250a) 측의 경계 영역(250e)에 있지 않을 수 있고, LCD(250a)의 임의의 위치일 수 있다. 객체 아이콘(511b)은 사용자가 접촉한 위치로 즉시 이동하여 표시될 수 있고, 이동 애니메이션과 같은 표시 효과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LCD(250a)로 이동하는 객체 아이콘(511b)에 대해 지속적인 드래그 조작과 같은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정보 처리 장치(200)에서, 사용자가 임의의 객체 아이콘(511)을 임의의 홈 화면(500)에 적용하는 경우의 조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터치 패드(210b)를 이용하여 LCD(250b)에 표시된 임의의 객체 아이콘(511)을 드래그하고, 임의의 객체 아이콘(511)을 LCD(250b) 측의 경계 영역(250e)까지 이동시킨다. 그 후, 사용자가 터치 패드(210b)와의 접촉을 해제하면, 객체 아이콘(511)은 경계 영역(250e)에서 정지되어 표시된다. 이 시점부터, 소정 시간 내에 사용자가 LCD(250a)의 임의의 위치의 터치 패드(210a)에 접촉하면, 객체 아이콘(511)은 그 위치로 이동하여 드래그 조작이 재개된다. 사용자는 객체 아이콘(511)을 원하는 홈 화면(500)을 나타내는 홈 화면 아이콘(503)의 위치로 드래그하여, 객체 아이콘(511)을 홈 화면(500)에 적용한다.
도 15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의 예가 흐름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200)에서 객체 아이콘(511)을 LCD(250b)에서 LCD(250a)로 이동시키는 예가 설명되지만, 반대로 객체 아이콘(511)을 LCD(250a)에서 LCD(250b)로 이동시키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먼저, 터치 패드(210b)에 의해 검출된 사용자의 드래그 조작에 따라,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은 객체 아이콘(511)을 제1 화면인 LCD(250b)로 이동시킨다(단계 S301).
터치 패드(210b)의 사용자 접촉이 해제되고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이 객체 아이콘(511)의 이동을 종료한 때,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은 객체 아이콘(511)이 경계 영역(250e)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03). 여기서, 객체 아이콘(511)이 경계 영역(250e)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은 객체 아이콘(511)을 단계(S301)의 이동 끝점에서 정지시킨다(단계 S305). 이때,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은 LCD(250a) 또는 LCD(250b)에 보류 표시(521)를 표시시킬 수 있다.
다음에,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은 객체 아이콘(511)의 표시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소정 시간 동안 대기한다. 이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은 제2 화면인 LCD(250a)의 위치가 사용자의 터치 패드(210a)와의 접촉에 의해 지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07). 여기서, LCD(250a) 상의 위치가 지정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은 경계 영역(250e)에서 정지되어 표시된 객체 아이콘(511)을 제2 화면인 LCD(250a)에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킨다(단계 S309). 그 후, 사용자는 터치 패드(210a)와의 접촉에 의해 객체 아이콘(511)의 드래그 조작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단계(S303)에서 객체 아이콘(511)이 경계 영역(250e)에 위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은 객체 아이콘(511)을 단계(S301)의 이동 전의 위치로 되돌린다(단계 S311). 또한, 단계(S305)에서 소정 시간 내에 LCD(250a) 상의 위치가 지정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은 객체 아이콘(511)을 단계(S301)의 이동 전의 위치로 되돌린다(단계 S311). 그 후, 예를 들면, 사용자는 객체 아이콘(511)에 대한 새로운 드래그 조작을 시작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이 객체 아이콘(511)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표시의 소정 시간은, 예를 들면, 사용자가 객체 아이콘(511)에 대한 드래그 조작의 재개를 원할 경우 그 재개에 필요한 시간과 사용자가 객체 아이콘(511)에 대한 드래그 조작의 재개를 원하지 않을 경우 다음 조작을 시작할 때까지의 대기 시간 간의 균형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소정 시간이 짧으면, 객체 아이콘(511)은 사용자가 드래그 조작을 재개하기 전에 원래 위치로 되돌아간다. 반면에, 소정 시간이 너무 길면, 사용자가 드래그 조작을 중단하고 다음 조작으로 진행하기를 원하여도 객체 아이콘(511)이 경계 영역(250e)에 표시되는 상태가 계속된다. 본 발명에 대한 검토에 의하면, 정보 처리 장치(200)에서 사용자에게 편리한 조작성을 제공하기에 바람직한 소정 시간의 일례는 1.5초(sec)이다.
이상 본 발명의 제3 실시예가 설명되었다. 홈 화면의 편집 화면의 일례가 설명되었지만, 본 실시예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유닛들 사이에서 아이콘을 이동시키는 모든 상황에 적용될 수 있다.
(2-4. 제4 실시예)
다음에, 도 16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도 16 내지 도 19는 본 실시예를 적용한 정보 처리 장치(100)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실시예를 적용한 정보 처리 장치(200)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최근,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정보 처리 장치에는 많은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많은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기 위한 아이콘을 배치한 런처(launcher) 화면이라고 하는 화면이 제공되어 있다. 런처 화면에는,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기 위한 아이콘들이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레이아웃으로 배치되고, 사용자가 아이콘을 선택함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런처 화면과 같이 많은 아이콘이 배치된 화면에서 아이콘의 배치를 변경하기 위해 GUI의 조작성에 대한 추가적인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유닛에 표시되는 아이콘들을 그룹화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새로운 기술이 제공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유닛에 복수의 객체 아이콘 및 분리기 아이콘을 표시시키는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 복수의 객체 아이콘 중에서 제1 객체 아이콘과 제2 객체 아이콘 사이에 분리기 아이콘을 이동시키는 조작을 취득하는 조작 유닛, 및 복수의 객체 아이콘을 제1 객체 아이콘을 포함하는 그룹 및 제2 객체 아이콘을 포함하는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객체 관리 유닛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정보 처리 장치의 GUI의 조작성이 더욱 향상된다.
전술한 정보 처리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 및 객체 관리 유닛은 CPU(120)에 의해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 및 객체 관리 유닛(124)으로서 구현되고, 조작 유닛은 터치 패드(110)에 의해 구현되며, 디스플레이 유닛은 LCD(150)에 의해 구현된다. 이들 중, 객체 관리 유닛(124)은 객체 아이콘을 런처 화면에 배치하는 것을 관리한다. 객체 관리 유닛(124)은 런처 화면에 설정된 객체 아이콘의 배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 유닛(130)에 저장한다. 또한, 런처 화면이 표시된 경우, 객체 관리 유닛(124)은 객체 아이콘의 배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 유닛(130)으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에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은 객체 관리 유닛(124)으로부터 제공된 정보에 따라 아이콘을 런처 화면에 배치하여 표시한다.
도 16에는, 정보 처리 장치(100)에서 LCD(150)에 런처 화면이 표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LCD(150)에는, 객체 아이콘(513) 및 분리기 아이콘(531)이 표시되어 있다.
객체 아이콘(513)은 애플리케이션 등을 기동하기 위한 아이콘이다. 런처 화면에서 객체 아이콘(513)은, 예를 들면, 명칭(name) 순서, 신착(new arrival) 순서, 및 사용자가 설정한 순서와 같은 다양한 조건에 따라 배치될 수 있지만, 도시된 예에서는 객체 아이콘은 사용자가 설정한 순서로 배치된다. 객체 아이콘(513)은 화면에서 좌에서 우로 배열된 열(columns) 및 위에서 아래로 배열된 행(rows)을 구성한다. 사용자는 터치 패드(110)를 이용한 드래그 조작으로 객체 아이콘(513)을 이동시킴으로써 배열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분리기 아이콘(531)은 객체 아이콘(513)의 그룹화를 위한 분리 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아이콘이다. 분리기 아이콘(531)은,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줄이 그려진 아이콘일 수 있다. 분리기 아이콘(531)은 처음에는 런처 화면이 표시된 LCD(150)의 소정 위치에 표시되고, 터치 패드(11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드래그 조작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사용자가 객체 아이콘(513p)과 객체 아이콘(513q) 사이에서 객체 아이콘(513)을 분리하고 그룹화하기를 원한다고 가정한다.
도 17에는, 도 16의 상태로부터 사용자가 드래그 조작에 의해 분리기 아이콘(531)을 이동시킨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LCD(150)에는 분리 위치 표시(532)가 더 표시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분리기 아이콘(531)은 사용자의 드래그 조작에 의해 이동되어, 객체 아이콘(513p)과 객체 아이콘(513q) 사이에 위치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분리기 아이콘(531)의 드래그 조작을 종료하고 분리기 아이콘(531)의 위치가 고정되면, 객체 아이콘(513)은 객체 아이콘(513p)과 객체 아이콘(513q) 사이에서 분리되어 그룹화된다. 분리 위치 표시(532)는 분리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객체 아이콘(513p)과 객체 아이콘(513q) 사이에 표시된다. 분리 위치 표시(532)가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현재 위치에서 분리기 아이콘(531)의 드래그 조작이 종료한 경우 객체 아이콘(513)이 어떻게 그룹화되었는지를 미리 알 수가 있다.
도 18에는, 도 17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 패드(110)와의 접촉을 해제하여 분리기 아이콘(531)의 드래그 조작을 종료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분리기 아이콘(531)은 분리기(533)로 변경된다. 객체 아이콘(513)은 분리기(533)를 경계로 설정하여 객체 아이콘 그룹(513x) 및 객체 아이콘 그룹(513y)으로 그룹화된다.
여기서, 객체 아이콘 그룹(513x)은 객체 아이콘(513p) 앞에 순서대로 배열된 객체 아이콘(513) 그룹이다. 또한, 객체 아이콘 그룹(513y)은 객체 아이콘(513q) 뒤에 순서대로 배열된 객체 아이콘(513) 그룹이다. 객체 아이콘(513p 및 513q)을 포함하는 행이 분리되어, 객체 아이콘(513p)은 객체 아이콘 그룹(513x)의 마지막 행의 끝에 배열되고, 객체 아이콘(513q)은 객체 아이콘 그룹(513y)의 첫 번째 행의 맨앞에 배열된다.
분리기(533)는 객체 아이콘 그룹(513x)과 객체 아이콘 그룹(513y)을 분리하도록 표시된다. 도시된 예에서, 분리기(533)는 좌우 방향으로 선형으로 연장된다. 분리기(533)는 명칭 입력 필드(533n) 및 삭제 아이콘(533d)을 구비할 수 있다. 객체 아이콘 그룹(513x)에 포함된 객체 아이콘(513) 및 객체 아이콘 그룹(513y)에 포함된 객체 아이콘(513)은, 예를 들면, 드래그 조작에 의해 서로 교환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드래그 조작에 의해 객체 아이콘 그룹(513x)에 포함된 객체 아이콘(513)을 객체 아이콘 그룹(513y)으로 이동시킬 수 있거나, 또는 반대로 객체 아이콘 그룹(513y)에 포함된 객체 아이콘(513)을 객체 아이콘 그룹(513x)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명칭 입력 필드(533n)는 분리기(533)에 명칭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필드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명칭 입력 필드(533n)를 선택하고 LCD(150)에 표시된 온 스크린 키보드(on-screen keyboard) 등을 이용하여 문자(characters)를 입력하여 분리기(533)에 명칭을 부여한다. 사용자는 명칭 입력 필드(533n)에 의해 분리기(533)에 원하는 명칭을 부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예를 들면, 런처 화면에서 원하는 객체 아이콘(513)을 쉽게 찾을 수 있다.
삭제 아이콘(533d)은 분리기(533)를 삭제하는데 사용되는 버튼이다. 사용자는 삭제 아이콘(533d)을 선택하여 분리기(533)를 삭제할 수 있다. 분리기(533)가 삭제되면, 객체 아이콘(513)의 배치는 분리기(533)의 표시에 의해 그룹화되기 이전의 배치로 되돌아간다. 도시된 예에서, 사용자가 삭제 아이콘(533d)을 선택하면, 객체 아이콘(513)의 배치는 도 16에 도시된 배치로 되돌아간다. 삭제 아이콘(533d)이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용이한 조작에 의해 객체 아이콘(513)을 재그룹화하거나 객체 아이콘(513)의 그룹을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분리기(533)가 표시된 상태에서, 다른 분리기 아이콘(531)이 더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드래그 조작에 의해 다른 분리기 아이콘(531)을 이동시켜 객체 아이콘 그룹(513x) 또는 객체 아이콘 그룹(513y)에 포함된 객체 아이콘(513)을 더 그룹화할 수 있다.
도 19에는, 도 18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시 터치 패드(110)에 접촉하여 분리기(533)를 선택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분리기(533)는 분리기 아이콘(531)으로 변경된다. 이때, 객체 아이콘 그룹(513x) 및 객체 아이콘 그룹(513y)은 그룹화된 상태를 유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분리기 아이콘(531)은 터치 패드(11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드래그 조작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사용자는 분리기 아이콘(531)을 다시 이동시키고 임의의 두 객체 아이콘(513) 사이에 분리기 아이콘(531)을 배치하여 객체 아이콘(513)의 그룹화의 분리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분리기 아이콘(531)의 이동에 따라 분리 위치 표시(532)가 표시되고, 배치 후 분리기 아이콘(531)은 분리기(533)로 변경된다.
도 20에는, 정보 처리 장치(200)에서 LCD(250)에 런처 화면이 표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가 정보 처리 장치(100)에 적용된 경우가 전술되었지만, 본 실시예는 정보 처리 장치(2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LCD(250)에는, 객체 아이콘(513), 분리기 아이콘(531), 분리 위치 표시(532), 및 분리기(533)가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터치 패드(210)를 이용한 드래그 조작으로 분리기 아이콘(531)을 이동시켜 분리기 아이콘(531)을 임의의 두 객체 아이콘(513)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객체 아이콘(513)을 임의의 분리 위치에서 그룹화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200)에서는, LCD(250) 및 터치 패드(210)가 각각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기 때문에, 분리기 아이콘(531)은, 예를 들면, 전술한 제3 실시예를 이용하여 LCD(250a)와 LCD(250b) 사이의 경계 영역에서 소정 시간 동안 정지될 수 있다.
도 21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의 예가 흐름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0)의 예가 설명되지만, 정보 처리 장치(200)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먼저, 객체 관리 유닛(124)은 사용자의 분리기 아이콘(531)과의 접촉이 터치 패드(110)에 의해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01). 분리기 아이콘(531)의 드래그 조작 동안, 분리기 아이콘(531)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이 검출된다. 즉, 분리기 아이콘(531)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이 터치 패드(110)에 의해 검출된 경우, 분리기 아이콘(531)은 사용자의 드래그 조작에 의해 이동된 상태에 있다. 반면에, 분리기 아이콘(531)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이 터치 패드(110)에 의해 검출되지 않은 경우, 분리기 아이콘(531)은 소정 위치에 처음에 표시된 상태 또는 LCD(150) 상의 어떤 위치에서 사용자의 드래그 조작에서 해제된 상태에 있다.
여기서, 분리기 아이콘(531)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이 검출된 것으로 판단되면, 객체 관리 유닛(124)은 분리기 아이콘(531)이 객체 아이콘(513) 사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03). 여기서, 분리기 아이콘(531)이 객체 아이콘(513) 사이에서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은 LCD(150)에 분리 위치 표시(532)를 표시한다(단계 S405). 분리기 아이콘(531)이 객체 아이콘(513) 사이에 위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은 분리 위치 표시(532)를 표시하지 않고 분리기 아이콘(531)의 드래그 조작에 따른 표시를 계속한다.
한편, 단계(S401)에서 분리기 아이콘(531)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이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객체 관리 유닛(124)은 또한 분리기 아이콘(531)이 객체 아이콘(513) 사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07). 여기서, 분리기 아이콘(531)이 객체 아이콘(513)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객체 관리 유닛(124)은 분리기 아이콘(531)의 양측에 위치한 객체 아이콘(513)이 서로 다른 그룹에 속하도록 객체 아이콘(513)을 그룹화한다(단계 S409). 단계(S409)는 분리기 아이콘(531)이 객체 아이콘(513)의 그룹화의 분리 위치로서의 유효한 위치에서 드래그 조작으로부터 해제된 경우에 해당한다.
또한, 분리기 아이콘(531)이 객체 아이콘(513) 사이에 위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은 분리기 아이콘(531)을 LCD(150) 상의 소정 위치에 표시한다(단계 S411). 단계(S411)는 분리기 아이콘(531)이 초기에 표시되어 사용자에 의한 드래그 조작을 대기하는 상태와 분리기 아이콘(531)이 그룹화에 대하여 유효하지 않은 위치에서 드래그 조작으로부터 해제되고 그 결과 초기 표시 위치로 되돌아가는 경우에 해당한다.
이상 본 발명의 제4 실시예가 설명되었다.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기 위한 런처 화면의 일례가 설명되었지만, 본 실시예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정보 처리 장치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표시된 복수의 아이콘이 그룹화된 모든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분리기 아이콘의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한 객체 아이콘이 서로 다른 그룹에 속하도록 그룹화하는 일례가 설명되었지만, 본 실시예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그룹화는 분리기 아이콘의 위와 아래에 있는 객체 아이콘들이 서로 다른 그룹에 속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이들 경우는 전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분리기 아이콘은,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을 통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 및 회전하도록 설정될 수 있고, 그룹화는 분리기 아이콘에 그려진 선이 가로줄인 경우 좌우 방향으로 그리고 분리기 아이콘에 그려진 선이 회전에 의해 세로줄인 경우 상하 방향으로 분리 위치를 변경하여 실행될 수 있다.
(2-5. 제5 실시예)
다음에, 도 22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도 22는 본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실시예를 적용한 정보 처리 장치(100)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실시예를 적용한 정보 처리 장치(100)의 다른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실시예를 적용한 정보 처리 장치(200)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7은 본 실시예에 따른 편집 화면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최근,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정보 처리 장치에는 사용자에게 어떤 콘텐츠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종종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음악 콘텐츠 또는 비디오 콘텐츠를 제공하는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 및 웹 콘텐츠를 제공하는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 등이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될 수 있는 콘텐츠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통해 새로운 콘텐츠를 획득함으로써 갱신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콘텐츠에 액세스하려는 경우 GUI의 조작성에 대한 추가적인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에 액세스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새로운 기술이 제공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서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에 관한 콘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뷰 정보를 생성하는 뷰 정보 관리 유닛, 디스플레이 유닛에 뷰 정보를 표시시키는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 표시된 뷰 정보에 포함된 콘텐츠 정보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조작을 취득하는 조작 유닛, 및 선택된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 유닛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정보 처리 장치의 GUI의 조작성이 더욱 향상된다.
전술한 정보 처리 장치(100)에서, 뷰 정보 관리 유닛,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 및 애플리케이션 관리 유닛은 CPU(120)에 의해 뷰 정보 관리 유닛(125),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 및 애플리케이션 관리 유닛(126)으로서 구현되고, 조작 유닛은 터치 패드(110)에 의해 구현되며, 디스플레이 유닛은 LCD(150)에 의해 구현된다.
이들 중, 뷰 정보 관리 유닛(125)은 정보 처리 장치(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츠에 관한 콘텐츠 정보를 나타내는 콘텐츠 뷰 정보를 관리한다. 뷰 정보 관리 유닛(125)은 콘텐츠 뷰 정보를 저장 유닛(130)에 저장한다. 또한, 뷰 정보 관리 유닛(125)은 통신 유닛(140)을 통해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콘텐츠 뷰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관리 유닛(126)은 정보 처리 장치(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한다.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에 의해 LCD(150)에 표시된 콘텐츠 뷰에 포함된 콘텐츠 정보의 선택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관리 유닛(126)은 그 콘텐츠 정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할 수 있다.
도 22에는, 본 실시예가 적용되지 않은 예 (a), 및 본 실시예가 적용된 예 (b)가 도시되어 있다. 각 경우에,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AP)을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CTS)에 액세스한다. 따라서, (a)의 예에서는 애플리케이션 선택 화면(54)이 표시되고, (b)의 예에서는 콘텐츠 뷰 화면(540)이 표시된다.
(a)의 예에서, 애플리케이션 선택 화면(54)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AP)이 기동된다. 기동된 애플리케이션(AP)의 화면에는, 애플리케이션(AP)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콘텐츠(CTS)의 정보가 표시되고, 사용자는 콘텐츠(CTS) 중에서 원하는 콘텐츠(CTS)를 선택한다.
이 경우, 사용자(U)는 애플리케이션(AP)이 기동되지 않은 경우 애플리케이션(AP)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츠(CTS)의 종류를 알지 못한다. 예를 들면, 음악 콘텐츠의 경우,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된 후에만 현재 유행하는 콘텐츠를 알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웹 콘텐츠의 경우, 브라우저가 기동된 후에만 북마크된(bookmarked) 웹 콘텐츠가 갱신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a)의 예에서, 사용자(U)는 어느 콘텐츠(CTS)가 제공되는지 모르는 상태에서 애플리케이션(AP)을 기동한다. 따라서, 소정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된 경우에도, 관심 대상인 콘텐츠(CTS)를 찾지 못할 수 있다. 또는, 관심 대상인 콘텐츠(CTS)가 다른 애플리케이션(AP)에 의해 제공되는 경우에도, 사용자(U)는 애플리케이션(AP)이 기동되지 않았기 때문에 콘텐츠(CTS)의 존재를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반면에, (b)의 예에서는, 콘텐츠 뷰 화면(540)에서 원하는 콘텐츠(CTS)가 선택된다. 사용자에 의해 콘텐츠(CTS)를 선택함에 따라, 해당 콘텐츠(CTS)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된다.
이 경우, 콘텐츠 뷰 화면(540)을 이용하면, 사용자(U)는 애플리케이션(AP)이 기동되지 않은 경우에도 애플리케이션(AP)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츠(CTS)를 안다. 예를 들면, 음악 콘텐츠의 경우,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지 않은 경우에도 최근에 유행하는 콘텐츠를 알 수가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웹 콘텐츠의 경우, 브라우저가 기동되지 않은 경우에도 북마크된 웹 콘텐츠가 갱신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b)의 예에서, 콘텐츠 뷰 화면(540)을 이용하면, 사용자(U)는 애플리케이션(AP)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콘텐츠(CTS)를 확인하고 콘텐츠(CTS) 중에서 관심 대상인 콘텐츠(CTS)를 선택함으로써 콘텐츠(CTS)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AP)을 기동한다. 따라서, 사용자(U)는 관심 대상인 콘텐츠(CTS)에 쉽게 액세스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AP)의 콘텐츠(CTS)가 콘텐츠 뷰 화면(540)에 표시되므로, 사용자(U)는, 예를 들면, 관심 대상인 콘텐츠(CTS)가 예기치 않은 애플리케이션(AP)에 의해 제공되는 경우처럼, 예기치 않은 새로운 콘텐츠(CTS) 또는 애플리케이션(AP)을 알 가능성도 있다.
도 23에는, 정보 처리 장치(100)에서 콘텐츠 뷰 화면(540)이 표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LCD(150)에 표시된 콘텐츠 뷰 화면(540)에는 항목(item) 뷰(541a 내지 541i), 피처(feature) 뷰(543), 및 설정(setting) 아이콘(545)이 포함되어 있다.
항목 뷰(541)는 각 항목마다 콘텐츠 정보를 제시하는 뷰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항목은 정보 처리 장치(10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콘텐츠가 소정 기준별로 분류된 집합(set)이다. 예를 들면, 항목은 소정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츠가 각 속성마다 분류된 집합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항목은 "북마크된 웹 콘텐츠", 또는 히트 차트(hit chart)의 상위 음악 콘텐츠" 등일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9개의 항목 뷰(541a 내지 541i)가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항목 뷰에는, 예를 들면, 북마크된 웹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정보, 및 히트 차트에서 상위에 랭크된 음악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항목 뷰(541f 내지 541i)와 같이, 항목이 부여되지 않은 항목 뷰(541)는 빈 필드(blank field)로 존재할 수 있다. 모든 항목 뷰(541)에 항목이 부여됨으로써 콘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신착 아이콘(542)은 표시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이전에 표시되지 않은 신착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항목 뷰(541)에 표시될 수 있다. 신착 아이콘(542)이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확인되지 않은 콘텐츠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다.
피처 뷰(543)는 항목 단위로 콘텐츠를 상세히 제시하는 뷰이다. 도시된 예에서는, 항목 뷰(541)에서는 콘텐츠 정보가 하나씩 순차적으로 표시되지만, 피처 뷰((543)에서는 3개의 콘텐츠 정보(544a 내지 544c)가 표시된다. 피처 뷰(543)는 항목 뷰(541a 내지 541i)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항목 뷰(541) 또는 신착 정보를 포함하는 항목 뷰(541)에 대해 표시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항목 뷰(541a)는 신착 정보를 포함하고 피처 뷰(543)는 항목 뷰(541a)에 대해 표시된다. 피처 뷰(543)에 포함된 콘텐츠 정보(544a 내지 544c)에는 신착 아이콘(542)도 표시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항목 뷰(541a)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은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이고, 북마크된 웹 콘텐츠에 대한 정보는 콘텐츠 정보(544a 내지 544c)에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터치 패드(110)와의 접촉에 의해 콘텐츠 정보(544a 내지 544c)로서 표시된 웹 콘텐츠 정보 중 어떤 것을 선택하면,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고, 선택된 콘텐츠 정보(544)에 나타낸 웹 콘텐츠가 표시된다.
피처 뷰(543)에 해당하는 항목 뷰(541)는 항목 뷰(541a)와 같이 팝업(pop-up)과 같은 표시 효과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효과에 따라, 사용자는 소정 항목 뷰(541)에 해당하는 피처 뷰(543)를 쉽게 알 수 있다.
설정 아이콘(545)은 후술하는 편집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이다. 사용자는 터치 패드(110)를 이용한 조작에 의해 설정 아이콘(545)을 선택하여, 편집 화면이 표시될 수 있어 항목 뷰(541)의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다.
도 24에는, 정보 처리 장치(100)에서 콘텐츠 뷰 화면(540)이 표시된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수직으로 길게 배치된 LCD(150)를 구비한다.
도시된 예에서, 항목 뷰(541a 내지 541i)는 LCD(150)의 하부에 표시되고, 피처 뷰(543)는 LCD(150)의 상부에 표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항목 뷰(541) 및 피처 뷰(543)는 정보 처리 장치(100)가 협지되는 방향에 따라 LCD(150)에 서로 다른 배열로 표시될 수 있다.
도 25에는, 정보 처리 장치(200)에서 콘텐츠 뷰 화면(540)이 표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가 정보 처리 장치(100)에 적용된 경우가 전술되었지만, 본 실시예는 정보 처리 장치(2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200)의 LCD(250)에 표시된 콘텐츠 뷰 화면(540)에서, 항목 뷰(541a 내지 541h)는 LCD(250b)에 표시되고, 피처 뷰(543)는 LCD(250a)에 표시되어 있다. 정보 처리 장치(200)의 예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0)의 예와 다른 8개의 항목 뷰가 표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되는 항목 뷰(541)의 수는 콘텐츠 뷰 화면(540) 전체의 배치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도 26에는,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의 예가 흐름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0)의 예가 설명되지만, 정보 처리 장치(200)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먼저, 뷰 정보 관리 유닛(125)은 콘텐츠 뷰의 정보를 갱신한다(단계 S501). 구체적으로, 뷰 정보 관리 유닛(125)은 각 항목 뷰(541)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획득한다. 뷰 정보 관리 유닛(125)은, 예를 들면, 갱신 날짜, 또는 인기 등의 순서로 콘텐츠 정보를 배열하고, 그 배열의 맨처음으로부터 소정 수의 콘텐츠 정보를 추출한다. 예를 들면, 소정 수는 항목 뷰(541) 또는 피처 뷰(543)로서 표시될 수 있는 수일 수 있다. 뷰 정보 관리 유닛(125)은 갱신된 콘텐츠 뷰에 대한 정보를 저장 유닛(130)에 저장한다.
다음에, 뷰 정보 관리 유닛(125)은 갱신된 콘텐츠 뷰 정보를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에 제공하고,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은 그 정보에 기초하여 LCD(150)에 콘텐츠 뷰 화면(540)을 표시시킨다(단계 S503). 여기서, 뷰 정보 관리 유닛(125)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에 제공된 정보는 어느 콘텐츠 정보가 신착 정보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은 신착 정보인 콘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신착 아이콘(542)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뷰 화면(540)에 표시된 피처 뷰(543)는 신착 정보를 포함하는 항목 뷰(541) 또는 소정 위치(예를 들면, 좌측 상단)의 항목 뷰(541)에 대해 표시될 수 있다.
다음에,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은 어떤 항목 뷰가 터치 패드(110)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05). 여기서, 어떤 항목 뷰(541)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은 피처 뷰(543)의 콘텐츠를 선택된 항목 뷰(541)에 대응하는 콘텐츠로 변경한다(단계 S507). 그 후,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은 변경된 피처 뷰(543)를 포함하는 콘텐츠 뷰 화면을 표시한다(단계 S503).
한편, 단계(S505)에서 어떠한 항목 뷰(541)도 선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은 어떤 콘텐츠 정보(544)가 사용자의 터치 패드(110)와의 접촉에 의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09). 여기서, 어떤 콘텐츠 정보(544)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애플리케이션 관리 유닛(126)은 선택된 콘텐츠 정보(544)의 콘텐츠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단계 S511) 사용자에게 그 콘텐츠를 제공한다.
한편, 단계(S509)에서 어떠한 콘텐츠 정보(544)도 선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은 설정 아이콘(545)이 사용자의 터치 패드(110)와의 접촉에 의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13). 여기서, 설정 아이콘(545)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은 콘텐츠 뷰의 편집 화면을 표시하고, 뷰 정보 관리 유닛(125)은 콘텐츠 뷰의 편집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515). 콘텐츠 뷰의 편집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할 것이다.
단계(S515)에서 콘텐츠 뷰의 편집 처리 후에, 뷰 정보 관리 유닛(125)은 편집 처리에 의해 변경된 콘텐츠 뷰의 설정에 따라 콘텐츠 뷰에 대한 정보를 갱신한다(단계 S501). 한편, 단계(S513)에서 설정 아이콘(545)이 선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은 콘텐츠 뷰 화면(540)을 계속 표시한다(단계 S503).
도 27에는, 정보 처리 장치(100)에서 콘텐츠 뷰의 편집 화면(550)이 표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LCD(150)에 표시된 편집 화면(550)에는, 항목 뷰(541) 및 항목 목록(551)이 포함되어 있다. 편집 화면(550)은 또한 정보 처리 장치(200)에서도 동일하게 표시될 수 있다.
항목 뷰(541)는 콘텐츠 뷰 화면(540)에서와 마찬가지로 표시된다. 그러나, 편집 화면(550)에는 피처 뷰(543)가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항목 뷰(541)는 팝업과 같은 표시 효과없이 플랫(flat)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임의의 항목 뷰(541)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는 항목 뷰(541)에 설정된 항목을 편집할 수 있다.
항목 목록(551)은 항목 뷰(541)에 표시될 수 있는 항목들의 목록으로서 표시된다. 항목 목록(551)에는, 정보 처리 장치(100)에서 사용자에게 이용가능한 모든 항목들이 표시될 수 있다. 항목 목록(551)에 표시된 항목들은, 예를 들면, 서비스 종류, 또는 제공 애플리케이션 등에 의해 그룹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떤 항목(541)이 선택된 상태에서 임의의 항목을 항목 목록(551)에서 선택함으로써, 사용자는 해당 항목을 항목 뷰(541)에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항목 목록(551) 중 임의의 항목을 항목 뷰(541)의 임의의 위치까지 드래그 조작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는 해당 항목을 항목 뷰(541)에 설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제5 실시예가 설명되었다. 항목 뷰 및 피처 뷰가 콘텐츠 뷰 화면으로서 표시된 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실시예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콘텐츠 정보는 항목 뷰에 표시될 수 있고 피처 뷰는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항목 뷰들이 타이틀 형태로 배열되어 표시된 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실시예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항목 뷰들은 목록 형태로 배열되어 표시될 수 있다.
(2-6. 제6 실시예)
다음에,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도 28은 본 실시예의 개요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9는 본 실시예를 적용한 정보 처리 장치(100)의 다른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최근,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정보 처리 장치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기 위한 아이콘 등을 배치한 홈 화면이라고 하는 복수의 작업 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 요구에 따라 표시되는 홈 화면을 전환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복수의 홈 화면을 전환하여 표시하는 경우, 정보 처리 장치를 이용한 장면(scene)에 따라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 바로 가기 또는 위젯을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GUI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자주 이용되는 애플리케이션 바로 가기 등, 예를 들면, 메일러(mailer) 또는 특정 페이지의 웹 북마크를 각 홈 화면에 공통으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홈 화면을 표시할 경우 사용 빈도가 높은 서비스에 액세스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새로운 기술이 제공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서는 디스플레이 유닛에 복수의 홈 화면에 배열된 객체 아이콘 및 각 홈 화면의 공통 표시 영역에 배열된 공통 표시 객체 아이콘을 표시시키는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 객체 아이콘을 공통 표시 영역까지 이동시키는 조작을 취득하는 조작 유닛, 및 공통 표시 영역으로 이동된 객체 아이콘을 공통 표시 객체 아이콘으로 설정하는 객체 관리 유닛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되며, 여기서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은 공통 표시 영역으로 이동된 객체 아이콘을 공통 표시 영역에 자동으로 균일하게 배열한다. 정보 처리 장치의 GUI의 조작성이 더욱 향상 된다.
전술한 정보 처리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 및 객체 관리 유닛은 CPU(120)에 의해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 및 객체 관리 유닛(124)으로서 구현되고, 조작 유닛은 터치 패드(110)에 의해 구현되며, 디스플레이 유닛은 LCD(150)에 의해 구현된다.
이들 중,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은 LCD(150)에 스크롤링 등에 의해 복수의 홈 화면을 순차적으로 표시시킨다. 또한,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은 각 홈 화면의 공통 표시 영역에 공통 표시 객체 아이콘을 표시시킨다.
또한, 객체 관리 유닛(124)은 공통 표시 객체 아이콘에 대한 정보를 관리한다. 객체 관리 유닛(124)은 터치 패드(110)를 이용한 사용자 조작에 의해 각 홈 화면에 표시된 공통 표시 영역으로 이동된 객체 아이콘을 공통 객체 아이콘으로서 등록하고, 그 정보를 저장 유닛(130)에 저장한다. 각 홈 화면이 표시되면, 객체 관리 유닛(124)은 공통 표시 객체 아이콘의 정보를 저장 유닛(130)으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에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은 객체 관리 유닛(124)으로부터 제공된 정보에 따라 각 홈 화면에 공통 표시 객체 아이콘을 배치하여 표시한다.
도 28에는, 객체 아이콘(511) 및 공통 객체 아이콘(505)이 표시된 홈 화면(500)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는, 다섯 개의 홈 화면(500a 내지 500e)이 설정되어 있다. 홈 화면(500)에서, 객체 아이콘(511)의 배치 콘텐츠는 서로 다르다. 한편, 홈 화면(500)에서, 공통 표시 객체 아이콘(505)의 배치 콘텐츠는 공통이다. 즉, 도시된 예에서는 홈 화면(500c)이 LCD(150)에 표시되어 있지만, LCD(150)에 표시되는 것이 홈 화면(500a), 또는 홈 화면(500d) 등으로 변경되는 경우에도 실질적으로 LCD(150)의 동일한 위치에 공통 표시 객체 아이콘(505)이 표시된다.
도 29에는, 터치 패드(110)를 이용한 드래그 조작에 의해 공통 표시 객체 아이콘(505)이 배치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a)에서는, 하나의 제1 공통 표시 객체 아이콘(505a)이 공통 표시 영역(506)에 배치된다. (b)에서는, 공통 표시 객체 아이콘(505b)이 추가되고 총 두 개의 공통 표시 객체 아이콘(505)이 공통 표시 영역(506)에 배치된다. (c)에서는, 공통 표시 객체 아이콘(505c)이 추가되고 총 세 개의 공통 표시 객체 아이콘(505)이 공통 표시 영역(506)에 배치된다. (d)에서는, 공통 표시 객체 아이콘(505d)이 추가되고 총 네 개의 공통 표시 객체 아이콘(505)이 공통 표시 영역(506)에 배치된다.
먼저, (a)에서는, 공통 표시 객체 아이콘(505a)이 공통 표시 영역(506)에 추가된다.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은 공통 표시 객체 아이콘(505a)을 공통 표시 영역(506)의 중앙에 표시한다.
다음에, (b)에서는, 공통 표시 객체 아이콘(505b)이 공통 표시 영역(506)의 공통 표시 객체 아이콘(505a)의 좌측에 추가된다.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은 추가에 따라 공통 표시 객체 아이콘(505a)을 우측으로 이동시켜, 공통 표시 객체 아이콘(505a 및 505b)이 공통 표시 영역(506)에 균일하게 배치되도록 한다.
다음에, (c)에서는, 공통 표시 객체 아이콘(505c)이 공통 표시 영역(506)의 공통 표시 객체 아이콘(505a)의 우측에 추가된다.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은 추가에 따라 공통 표시 객체 아이콘(505a 및 505b)을 좌측으로 이동시켜, 공통 표시 객체 아이콘(505a 내지 505c)이 공통 표시 영역(506)에 균일하게 배치되도록 한다.
다음에, (d)에서는, 공통 표시 객체 아이콘(505d)이 공통 표시 영역(506)의 공통 표시 객체 아이콘(505a)과 공통 표시 객체 아이콘(505c) 사이에 추가된다. 추가에 따라,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은 공통 표시 객체 아이콘(505a 및 505b)을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공통 표시 객체 아이콘(505c)을 우측으로 이동시켜, 공통 표시 객체 아이콘(505a 내지 505d)이 공통 표시 영역(506)에 균일하게 배치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객체 아이콘(511)이 드래그 조작에 의해 공통 표시 영역(506)으로 이동되고 공통 표시 객체 아이콘(505)에 추가된 경우,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21)은 공통 표시 영역(506)에 이미 존재하는 공통 표시 객체 아이콘(505)의 배치를 조정하여 추가한 후에 공통 표시 객체 아이콘(505)을 공통 표시 영역(506)에 자동으로 균일하게 배치한다.
그럼으로써, 공통 표시 객체 아이콘(505)을 쉽게 볼 수 있거나 선택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따라서 공통 표시 객체 아이콘(505)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GUI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제6 실시예가 설명되었다. 본 실시예가 정보 처리 장치(100)에 적용된 경우가 전술되었지만, 본 실시예는 정보 처리 장치(2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터치 패드(110) 대신에 터치 패드(210a 및 210b)가 이용되고 LCD(150) 대신에 LCD(250a 및 250b)가 이용된다.
(3. 보충)
당업자는 설계 요건 및 다른 요인에 따라 첨부의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등가물의 범주 내에 있는 한 다양한 변형, 조합, 부분 조합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추가적으로, 본 기술은 또한 아래와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1)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드래그 조작을 취득하도록 구성된 조작 유닛;
상기 드래그 조작의 이동량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 이동량 보정 유닛; 및
증가된 상기 이동량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장치.
(2)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량 보정 유닛은 상기 이동량에 1보다 큰 값을 곱하여 상기 이동량을 증가시키는 장치.
(3) (2)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은 복수의 홈 화면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어하고, 상기 1보다 큰 값은 상기 복수의 홈 화면의 수와 같은 장치.
(4)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이동량 보정 유닛은 상기 이동량에 0보다 큰 값을 더하여 상기 이동량을 증가시키는 장치.
(5)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작 유닛은 통상의 드래그 조작을 수행하라는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통상의 드래그 조작은 어떤 증가도 없는 상기 이동량에 기반한 장치.
(6) (2)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은 복수의 홈 화면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어하고, 상기 이동량 보정 유닛은 상기 값을 상기 복수의 홈 화면의 수에 보정값 c(0<c<1)를 더하여 얻은 수로 설정하는 장치.
(7)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은 복수의 홈 화면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서의 표시를 스크롤링(scrolling)할 때 상기 복수의 홈 화면과 상기 복수의 홈 화면 중 표시된 부분을 나타내는 아이콘(icons)을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표시시키는 장치.
(8) (2)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조작 유닛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값을 획득하고, 상기 이동량 보정 유닛은 상기 조작 유닛에 의해 수신된 상기 값에 기초하여 상기 드래그 조작의 이동량을 증가시키는 장치.
(9)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이동량 보정 유닛은 상기 이동량을 증대시킬지 여부를 전환하는 장치.
(10) (9)에 있어서, 상기 조작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임의의 위치에서의 제1 형태의 드래그 조작 및 제2 형태의 드래그 조작을 취득하고, 상기 이동량 보정 유닛은 상기 제1 형태의 드래그 조작의 이동량은 증대시키고 상기 제2 형태의 드래그 조작의 이동량은 증대시키지 않는 장치.
(11)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드래그 조작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드래그 조작의 이동량을 증가시키는 단계; 및
증가된 상기 이동량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프로세서에 로딩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이 인코드되어 있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드래그 조작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드래그 조작의 이동량을 증가시키는 단계; 및
증가된 상기 이동량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Claims (12)

  1.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드래그 조작(drag operation)을 취득하도록 구성된 조작 유닛;
    상기 드래그 조작의 이동량(movement amount)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 이동량 보정 유닛; 및
    증가된 상기 이동량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
    을 포함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량 보정 유닛은 상기 이동량에 1보다 큰 값을 곱하여 상기 이동량을 증가시키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은 복수의 홈 화면(home screens)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어하고,
    상기 1보다 큰 값은 상기 복수의 홈 화면의 수와 같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량 보정 유닛은 상기 이동량에 0보다 큰 값을 더하여 상기 이동량을 증가시키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유닛은 통상의 드래그 조작을 수행하라는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통상의 드래그 조작은 어떤 증가도 없는 상기 이동량에 기반한,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은 복수의 홈 화면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어하고,
    상기 이동량 보정 유닛은 상기 값을 상기 복수의 홈 화면의 수에 보정값 c(0<c<1)를 더하여 얻은 수로 설정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은 복수의 홈 화면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서의 표시를 스크롤링(scrolling)할 때 상기 복수의 홈 화면과 상기 복수의 홈 화면 중 표시된 부분을 나타내는 아이콘(icons)을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표시시키는,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유닛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값을 획득하고,
    상기 이동량 보정 유닛은 상기 조작 유닛에 의해 수신된 상기 값에 기초하여 상기 드래그 조작의 이동량을 증가시키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량 보정 유닛은 상기 이동량을 증대시킬지 여부를 전환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임의의 위치에서의 제1 형태의 드래그 조작 및 제2 형태의 드래그 조작을 취득하고,
    상기 이동량 보정 유닛은 상기 제1 형태의 드래그 조작의 이동량은 증대시키고 상기 제2 형태의 드래그 조작의 이동량은 증대시키지 않는, 장치.
  11.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드래그 조작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드래그 조작의 이동량을 증가시키는 단계; 및
    증가된 상기 이동량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2. 프로세서에 로딩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이 인코드되어 있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드래그 조작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드래그 조작의 이동량을 증가시키는 단계; 및
    증가된 상기 이동량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KR1020137026985A 2011-04-22 2012-04-04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400301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96516A JP5782810B2 (ja) 2011-04-22 2011-04-22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JP-P-2011-096516 2011-04-22
PCT/JP2012/002342 WO2012144138A1 (en) 2011-04-22 2012-04-04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149A true KR20140030149A (ko) 2014-03-11

Family

ID=47030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6985A KR20140030149A (ko) 2011-04-22 2012-04-04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3) US9811252B2 (ko)
EP (1) EP2666080A4 (ko)
JP (1) JP5782810B2 (ko)
KR (1) KR20140030149A (ko)
CN (1) CN102750082B (ko)
BR (1) BR112013026579A2 (ko)
RU (1) RU2013145935A (ko)
TW (1) TW201246054A (ko)
WO (1) WO20121441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803B1 (ko) * 2011-05-23 2018-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편집 방법 및 장치
CN102929481A (zh) * 2012-10-09 2013-02-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南京分公司 用户界面显示方法和装置
CN105009077A (zh) * 2012-12-03 2015-10-28 汤姆逊许可公司 动态用户界面
GB201300031D0 (en) 2013-01-02 2013-02-13 Canonical Ltd Ubuntu UX innovations
CN103135929A (zh) * 2013-01-31 2013-06-05 北京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控制应用界面移动的方法、装置和终端设备
CN103226473B (zh) * 2013-04-08 2016-08-17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整理图标的方法、装置和设备
JP2014222460A (ja) * 2013-05-14 2014-11-27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USD738394S1 (en) 2013-06-09 2015-09-08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BR112015030772B1 (pt) 2013-06-12 2022-10-11 Honda Motor Co., Ltd. Terminal de informações e método para controlar aplicativos
US9377345B2 (en) * 2013-09-11 2016-06-28 Illinois Tool Works Inc. Food product scale
USD772278S1 (en) 2013-12-18 2016-11-22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JP5924555B2 (ja) * 2014-01-06 2016-05-2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オブジェクトの停止位置制御方法、操作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371683B2 (ja) * 2014-11-14 2018-08-08 株式会社デンソーテン 電子装置、通信システム、携帯通信端末、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99834B2 (ja) * 2014-07-10 2018-10-0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82008B2 (ja) * 2014-07-22 2018-08-29 株式会社東芝 画像処理装置、オブジェクト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373311B (zh) * 2014-09-02 2018-09-28 惠州市德赛西威汽车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车载互联双向互控自动校准方法
US10845983B2 (en) * 2014-10-20 2020-11-24 Lenovo (Singapore) Pte. Ltd. Virtual multi-display
JP6388209B2 (ja) * 2014-12-04 2018-09-12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操作装置
JP2016115337A (ja) * 2014-12-15 2016-06-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画像形成装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JP6427414B2 (ja) * 2014-12-26 2018-11-21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入力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459708B2 (ja) * 2015-03-27 2019-01-30 富士通株式会社 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表示制御装置
JP6141349B2 (ja) * 2015-04-16 2017-06-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プログラム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制御方法
JP6532372B2 (ja) * 2015-10-06 2019-06-19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70058051A (ko) * 2015-11-18 2017-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
CN105867783A (zh) * 2015-12-30 2016-08-17 乐视网信息技术(北京)股份有限公司 一种壁纸切换方法和相应装置
JP6911581B2 (ja) * 2017-06-30 2021-07-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CN108415642B (zh) * 2018-03-05 2020-04-1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移动终端
JP7163755B2 (ja) * 2018-12-14 2022-11-0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入力装置
CN109656439A (zh) * 2018-12-17 2019-04-1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快捷操作面板的显示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D945470S1 (en) * 2018-12-27 2022-03-08 Sony Corporation Display panel or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EP3736499B1 (de) * 2019-05-07 2023-05-31 V-Zug AG Gargerät mit einer berührungsempfindlichen bedienanzeige mit bedienerleichterung
CN111381756A (zh) * 2020-03-11 2020-07-07 上海索辰信息科技有限公司 时序图状态处理***及方法
CN111352551A (zh) * 2020-03-11 2020-06-30 上海索辰信息科技有限公司 时序图截止处理***及方法
CN111290686A (zh) * 2020-03-11 2020-06-16 上海索辰信息科技有限公司 时序图活动处理***及方法
CN111399738A (zh) * 2020-03-11 2020-07-10 上海索辰信息科技有限公司 时序图隔断处理***及方法
CN111399712A (zh) * 2020-03-11 2020-07-10 上海索辰信息科技有限公司 时序图分组处理***及方法
CN111399713B (zh) * 2020-03-11 2021-06-18 上海索辰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时序图处理***及方法
CN114385058A (zh) * 2021-12-28 2022-04-22 北京梧桐车联科技有限责任公司 视图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5930A (ja) * 1994-04-21 1995-11-10 Hitachi Ltd 情報処理装置
US6683628B1 (en) * 1997-01-10 2004-01-27 Tokyo University Of Agriculture And Technology Human interactive type display system
JP2007041196A (ja) * 2005-08-02 2007-02-15 Sony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2030102A4 (en) 2006-06-16 2009-09-30 Cirque Corp BY TOUCHDOWN ON A PRESENT POINT ON A TOUCHPAD ACTIVATED SCROLLING PROCESS WITH GESTURE DETECTION FOR CONTROLLING SCROLLING FUNCTIONS
JP5151102B2 (ja) * 2006-09-14 2013-02-27 ヤマハ株式会社 音声認証装置、音声認証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612647B2 (ja) 2007-03-06 2011-01-12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処理プログラム
US8701037B2 (en) * 2007-06-27 2014-04-15 Microsoft Corporation Turbo-scroll mode for rapid data item selection
US11126321B2 (en) * 2007-09-04 2021-09-21 Apple Inc. Application menu user interface
TWI381304B (zh) 2008-04-22 2013-01-01 Htc Corp 使用者介面顯示區域的調整方法、裝置及儲存媒體
TWI361377B (en) 2008-04-24 2012-04-01 Htc Corp Method for switching user interface, electronic device and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JP4171770B1 (ja) * 2008-04-24 2008-10-29 任天堂株式会社 オブジェクト表示順変更プログラム及び装置
KR101477743B1 (ko) * 2008-06-16 2014-12-31 삼성전자 주식회사 단말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
US20100001961A1 (en) * 2008-07-03 2010-01-07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Settings Adjustment
US8848100B2 (en) * 2008-10-01 2014-09-30 Nintendo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launch program and storage medium storing the same providing photographing functionality
US20100107100A1 (en) * 2008-10-23 2010-04-29 Schneekloth Jason S Mobile Device Style Abstraction
US20100162181A1 (en) * 2008-12-22 2010-06-24 Palm, Inc. Interpreting Gesture Input Including Introduction Or Removal Of A Point Of Contact While A Gesture Is In Progress
JP2010182017A (ja) 2009-02-04 2010-08-19 Nec Corp 分散計算機システム、マネージャ引き継ぎ方法及びマネージャ引き継ぎプログラム
JP5058187B2 (ja) * 2009-02-05 2012-10-24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
US20100205559A1 (en) * 2009-02-11 2010-08-12 Greg Rose Quick-launch desktop application
US8839155B2 (en) 2009-03-16 2014-09-16 Apple Inc. Accelerated scrolling for a multifunction device
CN101587423B (zh) * 2009-06-16 2013-02-06 博世(中国)投资有限公司 一种便携式电子装置及其屏幕显示方法
KR20100136156A (ko) 2009-06-18 2010-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 스크롤 방법 및 장치
JP2011059820A (ja) 2009-09-07 2011-03-24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1031848A2 (en) * 2009-09-09 2011-03-17 Mattel, Inc. A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navigating and selecting electronically stored content on a multifunction handheld device
JP2011227854A (ja) * 2009-09-30 2011-11-10 Aisin Aw Co Ltd 情報表示装置
US8898596B2 (en) * 2009-10-08 2014-11-2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data extracting method in a mobile terminal
CN101957718A (zh) * 2010-06-22 2011-01-26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图标移动方法、装置及数字终端
KR101761612B1 (ko) 2010-07-16 2017-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메뉴 화면 구성 방법
WO2012046890A1 (ko) * 2010-10-06 2012-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2150558A (ja) * 2011-01-17 2012-08-09 Canon Inc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414764B2 (ja) * 2011-10-21 2014-02-12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入力制御装置、入力制御方法、及び入力制御プログラム
KR101357261B1 (ko) * 2012-02-22 2014-02-05 주식회사 팬택 단축 메뉴 생성 장치와 생성 방법, 및 그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
KR20130108745A (ko) * 2012-03-26 2013-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TWM489275U (en) 2014-07-03 2014-11-01 China Steel Corp Furnace thickness measur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246054A (en) 2012-11-16
JP5782810B2 (ja) 2015-09-24
WO2012144138A1 (en) 2012-10-26
US9811252B2 (en) 2017-11-07
CN102750082B (zh) 2021-06-22
CN102750082A (zh) 2012-10-24
EP2666080A4 (en) 2014-11-26
BR112013026579A2 (pt) 2016-12-27
US20200089380A1 (en) 2020-03-19
US11048404B2 (en) 2021-06-29
US20140006990A1 (en) 2014-01-02
US20180052578A1 (en) 2018-02-22
US10521104B2 (en) 2019-12-31
JP2012230437A (ja) 2012-11-22
EP2666080A1 (en) 2013-11-27
RU2013145935A (ru) 2015-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840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1159292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sizing applications in a multitasking view on an electronic device with a touch-sensitive display
AU2017203263B2 (en) Arranging tiles
US2019031077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8448086B2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method, and program
CN107209641B (zh) 对用户界面中的项布置的控制
CN110658972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US930466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stomizing a display screen of a user interface
US20150160849A1 (en) Bezel Gesture Techniques
US20120151397A1 (en) Access to an electronic object collection via a plurality of views
US20150082211A1 (en) Terminal and method for editing user interface
KR20120022437A (ko) 아이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136500A (ko) 터치 스크린 호버 입력 핸들링
KR2016009875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JP6872883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システム、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80173362A1 (en)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used in the sam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12053662A (ja) タッチパネル操作方式の携帯端末
JP6637483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ランチャーのサイズ調整
JP2021167955A (ja) 文書表示装置
KR101228681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제어방법, 장치,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JP2013011981A (ja) 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