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7579A - 단말기의 사용자인증 수행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의 사용자인증 수행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7579A
KR20140027579A KR1020120074021A KR20120074021A KR20140027579A KR 20140027579 A KR20140027579 A KR 20140027579A KR 1020120074021 A KR1020120074021 A KR 1020120074021A KR 20120074021 A KR20120074021 A KR 20120074021A KR 20140027579 A KR20140027579 A KR 20140027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de
touch
wake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4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영
서정원
신계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4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7579A/ko
Priority to US13/935,975 priority patent/US20140013143A1/en
Publication of KR20140027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75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43Power saving in microcontroller un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93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to a less power-consuming processor, e.g. sub-CPU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06F21/46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by designing passwords or checking the strength of passw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3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input devices, e.g. keyboards, mice or controller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05Dual mode as a secondary aspe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의 사용자인증 수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에서 터치 및 움직임 기반의 제스처를 통해 편리하게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의 사용자인증 수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단말기의 사용자인증 수행 장치가, 단말기의 슬립모드에서 웨이크 업을 위한 단말기의 움직임이 검출될 때 제어부에게 웨이크 업 신호를 전송하고, 단말기의 웨이크 업 모드에서 발생되는 단말기의 움직임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게 전송하는 저 전력 센서플랫폼과; 단말기의 슬립모드에서 상기 저 전력 센서플랫폼으로부터 수신된 웨이크 업 신호에 따라 단말기를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하고, 단말기의 웨이크 업 모드에서 해당영역의 터치발생과 동시에 상기 저 전력 센서 플랫폼으로부터 움직임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해당 어플리케이션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말기의 사용자인증 수행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USER IDENTIFICATION IN TERMINAL}
본 발명은 단말기의 사용자인증 수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에서 터치 및 움직임 기반의 제스처를 통해 편리하게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의 사용자인증 수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면이 오프(off) 된 슬립모드(sleep)의 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홈 키 또는 전원 키를 입력하고, 그 다음 설정된 락 스크린(lock screen)을 해제하기 위해 암호를 입력하거나 패턴을 입력하여 락 스크린을 해제 한 후, 웨이크 업(wake up)모드로 전환해야 한다.
또한 단말기의 웨이크 업모드에서는 로그인등과 같은 사용자 인증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다시 아이디 및 암호를 일일이 입력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에서 터치 및 움직임 기반의 제스처를 통해 편리하게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의 사용자인증 수행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단말기의 사용자인증 수행 장치가, 단말기의 슬립모드에서 웨이크 업을 위한 단말기의 움직임이 검출될 때 제어부에게 웨이크 업 신호를 전송하고, 단말기의 웨이크 업 모드에서 발생되는 단말기의 움직임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게 전송하는 저 전력 센서플랫폼과; 단말기의 슬립모드에서 상기 저 전력 센서플랫폼으로부터 수신된 웨이크 업 신호에 따라 단말기를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하고, 단말기의 웨이크 업 모드에서 해당영역의 터치발생과 동시에 상기 저 전력 센서 플랫폼으로부터 움직임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해당 어플리케이션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단말기의 사용자인증 수행 방법은, 슬립모드에서 웨이크 업을 위한 단말기의 움직임이 검출되면, 단말기를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단말기의 웨이크 업 모드에서 해당영역의 터치발생과 동시에 단말기의 움직임발생이 검출되면,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해당 어플리케이션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말기의 사용자인증 수행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암호화 레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서비스 즉,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별도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에 대한 직접 입력 없이, 편리하게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인증 등록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a - 도 3b는 도 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인증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와 고정 단말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용이하게 이동 가능한 전자기기로서, 화상전화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단말기, E-Book, 휴대용 컴퓨터(Notebook, Tablet 등) 또는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단말기는 데스크탑(desktop) 개인용 컴퓨터 등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부(123)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123)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120)는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 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25)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키 입력부(1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구비한다.
메모리(1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터치 및 움직임 기반의 제스처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1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된 표시부(160)의 화면에서, 각각의 영역에 등록된 해당 어플리케이션 및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패스워드를 저장한다. 상기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패스워드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인증 및 모드전환을 위한 제1 패스워드 및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모드전환을 위한 제2 패스워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패스워드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등록된 해당 영역의 터치 및 단말기의 움직인 신호의 결합을 통해 생성된다.
저 전력 센서 플랫폼(170)은 단말기의 슬립모드에서 웨이크 업을 위한 단말기의 움직임이 검출될 때 제어부(140)에게 웨이크 업 신호를 전송하고, 단말기의 웨이크 업 모드에서 발생되는 단말기의 움직임 신호를 상기 제어부(110)에게 전송한다. 상기 저 전력 센서 플랫폼(170)은 MCU(171) 및 움직임감지부(172)를 포함한다.
상기 MCU(Micro Controller Unit)(171)은 저 전력으로 구동하며, 단말기의 슬립모드에서 주기적으로 깨어나서 상기 움직임감지부(172)로부터 움직임 신호가 발생하는지 체크한다. 상기 MCU(171)는 상기 움직임감지부(172)로부터 단말기의 웨이크 업을 위한 움직임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10)에게 웨이크 업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MCU(171)는 단말기의 웨이크 업 모드에서 상기 움직임감지부(170)로부터 수신되는 움직임 신호를 상기 제어부(110)에게 전송한다.
상기 움직임감지부(172)는 단말기의 움직임 발생을 감지하고,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 발생에 따른 움직임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MCU에게 전송한다.
상기 움직임감지부(172)는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또는 제스처 센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단말기의 슬립모드에서는 가속도 센서만이 구동되어 단말기의 움직임 발생을 감지하고, 단말기의 웨이크 모드에서는 정확도를 위해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제스처 센서 모두를 구동하여 단말기의 움직임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기의 슬립(sleep)모드에서 상기 저 전력 센서플랫폼(170)으로부터 수신된 웨이크 업 신호에 따라 단말기를 웨이크 업(wake up)모드로 전환하고, 단말기의 웨이크 업 모드에서 해당영역의 터치발생과 동시에 상기 저 전력 센서 플랫폼(170)으로부터 움직임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해당 어플리케이션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슬립모드에서 상기 저 전력 센서플랫폼(170)으로부터 수신된 웨이크 업 신호에 따라, 단말기에 설정된 락 스크린을 해제하고 상기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단말기의 웨이크 업 모드는 대기모드 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 모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웨이크 업 모드에서 화면의 해당영역에 대한 터치발생과 동시에 상기 저 전력 센서 플랫폼(170)으로부터 움직임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터치가 발생된 해당영역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등록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가 발생된 해당영역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등록되어 있으면, 상기 해당영역에 발생된 터치의 좌표 및 상기 움직임 신호의 결합에 대응되는 패스워드가 사용자인증 및 모드전환을 위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제1 패스워드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일치하면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해당 어플리케이션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해당영역에 발생된 터치의 좌표 및 상기 움직임 신호의 결합에 대응되는 패스워드가 모드전환을 위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제2 패스워드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일치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터치 및 움직임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등록모드에서, 복수의 영역 중 선택된 해당영역에 선택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등록하고, 상기 선택된 해당영역의 터치발생과 동시에 상기 저 전력 센서 플랫폼(170)으로부터 제1 움직임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터치가 발생된 해당영역의 좌표와 상기 제1 움직임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인증 및 모드전환을 위한 제1 패스워드로 등록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터치 및 움직임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등록모드에서, 상기 선택된 해당영역의 터치발생과 동시에 상기 저 전력 센서 플랫폼(170)으로부터 제2 움직임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터치가 발생된 해당영역의 좌표와 상기 제2 움직임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모드전환을 위한 제2 패스워드로 등록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터치 및 움직임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등록모드에서,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된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은 어플리케이션의 등록유무를 표시하며,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제스처에 따라 등록된 어플리케이션 영역을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카메라부(140)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 또는 CMOS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터치스크린부(160)에 표시하기 위한 ISP(Image Signal Processing)를 수행하며, 상기 ISP는 감마교정, 인터폴레이션, 공간적 변화, 이미지 효과, 이미지 스케일, AWB, AE,AF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상기 터치스크린부(16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상기 터치스크린부(16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여 표시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온 스크린 표시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부(160)는 입력부 및 표시부로 동작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스크린부(160)가 표시부로 동작할 경우 상기 영상처리부(15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부(160)가 입력부로 동작할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부(160)에는 상기 키 입력부(127)와 같은 키들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부(160)가 입력부로 동작할 경우 사용자의 터치동작에 따라 입력되는 좌표 값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110)에게 전송하는 터치센서부(161)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단말기에서 모드전환 제어 동작을 도 2 - 도 4를 통해 상세히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인증 등록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3a- 도 3b은 도 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의 터치 및 움직임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등록모드인 20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된 상기 터치스크린부(160)의 화면을 표시하는 202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된 화면에서 사용자에 터치동작에 따라 해당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단말기에 저장된 모든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표시한다. 그 중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선택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203단계에서 선택된 해당영역의 해당 어플리케이션으로 등록하는 205단계를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205단계에서 해당영역에 등록된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패스워드 등록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등록할 수 있는 패스워드의 종류를 표시하는 207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표시된 패스워드의 종류 중 사용자 인증 및 모드전환을 위한 제1 패스워드 등록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등록된 해당 영역에 대한 터치발생 및 단말기의 움직임 발생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상기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등록된 상기 해당영역에 터치가 발생하는 동시에 상기 저 전력 센서 플랫폼(170)으로부터 단말기의 제1 움직임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터치가 발생된 상기 해당 영역의 좌표와 상기 수신된 제1 움직임 신호를 결합하여 제1 패스워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패스워드를 상기 해당 영역에 등록된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인증 및 모드전환을 위한 제1 패스워드로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하는 210단계를 진행한다.
또는 상기 표시된 패스워드의 종류 중 모드전환을 위한 제2 패스워드 등록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등록된 해당 영역에 대한 터치발생 및 단말기의 움직임 발생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상기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등록된 상기 해당영역에 터치가 발생하는 동시에 상기 저 전력 센서 플랫폼(170)으로부터 단말기의 제2 움직임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1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터치가 발생된 상기 해당 영역의 좌표와 상기 수신된 제2 움직임 신호를 결합하여 제2 패스워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2 패스워드를 상기 해당 영역에 등록된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모드전환을 위한 제2 패스워드로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하는 210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도 3a- 상기 도 3b를 통해 상기 도 2의 동작을 설명하면, 상기 터치 및 움직임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등록모드에서는 상기 도 3a와 같이 복수의 영역(a - d)으로 분할된 화면을 표시하고, 이때 복수의 영역 중 어플리케이션이 등록되어 있는 영역(a, b 및 d)은 해당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이 등록되어 있음을 해당 아이콘등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영역(c)과 단말기에 저장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SNS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영역(c)에 SNS어플리케이션을 등록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SNS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인증 및 모드 전환을 위한 제1 패스워드 등록이 선택된 후, 사용자에 의해 SNS어플리케이션이 등록된 영역(c)에 터치가 발생되고 동시에 단말기를 예를 들어, 좌우로 움직임에 따라 제1 움직임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가 발생된 영역(c)의 좌표와 상기 제1 움직임신호를 결합하여 사용자 인증 및 모드전환을 위한 제1 패스워드로 등록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SNS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모드전환을 위한 제2 패스워드 등록이 선택된 후, 사용자에 의해 SNS어플리케이션이 등록된 영역(c)에 터치가 발생되고 동시에 단말기를 예를 들어,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제2 움직임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가 발생된 영역(c)의 좌표와 상기 제2 움직임신호를 결합하여 사용자 인증 및 모드전환을 위한 제2 패스워드로 등록한다.
상기 도 3b는 영역(c)에 SNS어플리케이션이 등록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이 등록된 영역에서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하거나 또는 특정 제스터 예를 들어 드래그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 3b에서 영역(c)에서 영역(a)로 드래그가 발생되면, 영역(a)은 SNS어플리케이션이 등록되고, 영역(c)에는 통화어플리케이션이 등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3a - 상기 도 3b에서는 4개의 복수영역으로 분할된 화면을 표시하고 있으나, 사용자의 편집에 의해 영역의 개수를 증가 또는 감소하거나 다양한 형태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사용자 인증 및 모드전환을 위한 제1 패스워드와 모드전환만을 위한 제2 패스워드 만을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다양한 패스워드 등록을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다른 기능을 바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인증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단말기가 화면이 오프된 슬립(sleep)모드인 401단계에서 저 전력 센서 플랫폼(170)은 구동하며, 상기 저 전력 센서 플랫폼(170)은 단말기의 움직임 발생을 체크하는 402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402단계에서 상기 저 전력 센서 플랫폼(170)의 움직임 감지부(172)는 단말기의 움직임이 발생되면 해당 움직임 신호를 상기 저 전력 센서 플랫폼(170)의 MCU(171)에게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MCU(171)는 주기적으로 깨어나서 움직임 감지부(172)로부터 움직임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따라서, 상기 움직임 감지부(172)로부터 수신된 움직임 신호가 단말기의 사용하기 위한 움직임 신호 즉, 웨이크 업(wake up)을 위한 움직임 신호로 검출되면, 상기 MCU(172)는 4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단말기에 락 스크린(lock screen)이 설정되어 있다면 락 스크린을 해제하고, 바로 단말기의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하는 404단계를 진행한다.
상기와 같이 단말기를 슬립모드에서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홈 키 또는 전원 키를 입력 후 락 스크린을 해제하는 번거로움 없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단말기의 움직임 동작을 통해 편리하게 사용자 인증과 동시에 모드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의 웨이크 업 모드에서 화면의 해당영역에 터치가 발생되는 동시에 상기 저 전력 센서 플랫폼(170)으로부터 움직임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젱부(110)는 4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터치가 발생된 해당영역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등록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상기 저 전력 센서 플랫폼(170)으로부터 움직임 신호는 단말기의 움직임 발생을 상기 움직임 감지부(172)가 감지하여 해당 움직임신호를 상기 MCU(171)에게 전송하고, 상기 MCU(171)는 상기 움직임 감지부(171)로부터 수신된 움직임 신호를 상기 제어부(110)에게 전송한다.
상기 터치가 발생된 해당영역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등록되어 있으면, 상기 제어부(110)는 40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등록된 해당영역의 터치좌표와 상기 수신된 움직임신호의 결합에 대응되는 패스워드가 상기 해당영역에 등록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패스워드로 상기 메모리(130)에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결합에 대응되는 패스워드가 상기 해당영역에 등록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제1 패스워드로 존재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40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해당 어플리케이션 모드로 전환하는 409단계를 진행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해당영역에 터치를 발생시키고 동시에 단말기의 움직임을 발생시킴에 따라 편리하게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인증과 동시에 모드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결합에 대응되는 패스워드가 상기 해당영역에 등록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제2 패스워드로 존재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4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사용자 인증 없이 해당 어플리케이션 모드로 전환하는 412단계를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터치가 발생된 해당영역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40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도 2와 같은 터치 및 움직임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등록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의 웨이크 업 모드는 대기모드 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대기모드 뿐만 아니라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동안, 해당영역의 터치발생 및 단말기의 움직임 발생을 통해, 원하는 어플리케이션모드로 전환함과 동시에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기모드 뿐만 아니라 수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화면에서, 상기 도 3b의 영역(c)과 대응되는 영역에 터치발생과 동시에 단말기의 좌우움직임 발생에 따라 제1 움직임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자 인증 즉, 로그인이 완료된 SNS어플리케이션모드로 바로 전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도 3b의 영역(c)과 대응되는 화면의 영역에 터치발생과 동시에 단말기의 상하움직임 발생에 따라 제2 움직임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지 않은 SNS어플리케이션모드로 전환하고,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 시예에서는 해당영역의 터치 발생과 동시에 단말기의 움직임 발생을 패스워드로 등록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인증 및 모드전환 수행을 설명하고 있다.
해당영역의 터치 발생과 동시에 단말기의 움직임 발생뿐만 아니라, 화면에 특정 형태를 입력하고 일정시간 내에 단말기의 움직임 신호 발생을 패스워드로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에 동그라미형태가 입력된 후 단말기의 좌우움직임 발생을 SNS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인증 및 모드전환을 위한 제1 패스워드로 등록할 경우, 단말기의 웨이크 업 모드에서 화면에 동그라미 형태가 입력된 후 일정시간 내에 단말기의 좌우움직임이 발생되면,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SNS어플리케이션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는 동그라미형태가 입력된 후 단말기의 상하움직임 발생을 SNS어플리케이션의 모드전환을 위한 제2 패스워드로 등록할 경우, 단말기의 웨이크 업 모드에서 화면에 동그라미 형태가 입력된 후 일정시간 내에 단말기의 상하움직임이 발생되면, SNS어플리케이션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화면에 입력되는 형태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한게 입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말기의 사용자인증 수행 장치 및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광학 디스크,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비휘발성 메모리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제어부, 160:터치스크린부, 170:저 전력 센서 플랫폼

Claims (20)

  1. 단말기의 사용자인증 수행 장치에 있어서,
    단말기의 슬립모드에서 웨이크 업을 위한 단말기의 움직임이 검출될 때 제어부에게 웨이크 업 신호를 전송하고, 단말기의 웨이크 업 모드에서 발생되는 단말기의 움직임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게 전송하는 저 전력 센서플랫폼과,
    단말기의 슬립모드에서 상기 저 전력 센서플랫폼으로부터 수신된 웨이크 업 신호에 따라 단말기를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하고, 단말기의 웨이크 업 모드에서 해당영역의 터치발생과 동시에 상기 저 전력 센서 플랫폼으로부터 움직임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해당 어플리케이션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사용자인증 수행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저 전력 센서플랫폼은,
    단말기의 슬립모드에서 주기적으로 깨어나서 움직임감지부로부터 움직임 신호가 발생하는지 체크하고 상기 움직임감지부로부터 웨이크 업을 위한 움직임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에게 웨이크 업 신호를 전송하고, 단말기의 웨이크 업 모드에서 상기 움직임감지부로부터 수신되는 움직임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게 전송하는 저 전력으로 구동하는 MCU와,
    단말기의 움직임 발생에 따른 움직임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움직임의 신호를 상기 MCU에게 전송하는 상기 움직임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사용자인증 수행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감지부는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또는 제스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사용자인증 수행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웨이크 업 모드는 대기모드 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사용자인증 수행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의 슬립모드에서 상기 저 전력 센서플랫폼으로부터 수신된 웨이크 업 신호에 따라 단말기에 설정된 락 스크린을 해제하고 상기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사용자인증 수행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단말기의 웨이크 업 모드에서 화면의 해당영역에 대한 터치발생과 동시에 상기 저 전력 센서 플랫폼으로부터 움직임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터치가 발생된 해당영역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등록되어 있고, 상기 해당영역에 발생된 터치의 좌표 및 상기 움직임 신호의 결합에 대응되는 패스워드가 사용자인증 및 모드전환을 위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제1 패스워드와 일치하면,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해당 어플리케이션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사용자인증 수행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당영역에 발생된 터치의 좌표 및 상기 움직임 신호의 결합에 대응되는 패스워드가 모드전환을 위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제2 패스워드와 일치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사용자인증 수행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터치 및 움직임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등록모드에서 복수의 영역 중 선택된 해당영역에 선택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등록하고, 상기 선택된 해당영역의 터치발생과 동시에 상기 저 전력 센서 플랫폼으로부터 제1 움직임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터치가 발생된 해당영역의 좌표와 상기 제1 움직임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인증 및 모드전환을 위한 제1 패스워드로 등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사용자인증 수행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해당영역의 터치발생과 동시에 상기 저 전력 센서 플랫폼으로부터 제2 움직임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터치가 발생된 해당영역의 좌표와 상기 제2 움직임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모드전환을 위한 제2 패스워드로 등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사용자인증 수행 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및 움직임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등록모드에서,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된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은 어플리케이션의 등록유무를 표시하며, 발생되는 제스처에 따라 등록된 어플리케이션 영역을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사용자인증 수행 장치.
  11. 단말기의 사용자인증 수행 방법에 있어서,
    슬립모드에서 웨이크 업을 위한 단말기의 움직임이 검출되면, 단말기를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단말기의 웨이크 업 모드에서 해당영역의 터치발생과 동시에 단말기의 움직임발생이 검출되면,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해당 어플리케이션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사용자인증 수행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은,
    저 전력 센서 플랫폼은 슬립모드에서 주기적으로 깨어나서 단말기의 움직임 발생을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저 전력 센서 플랫폼은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발생이 검출될 때, 상기 발생된 단말기의 움직임이 웨이크 업을 위한 움직임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저 전력 센서 플랫폼은 상기 발생된 단말기의 움직임이 웨이크 업을 위한 움직임으로 판단되면, 단말기의 제어부에게 웨이크 업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단말기를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사용자인증 수행 방법.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은,
    상기 슬립모드에서 웨이크 업을 위한 단말기의 움직임이 검출되면, 단말기에 설정된 락 스크린을 해제하고, 상기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사용자인증 수행 방법.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웨이크 업 모드는 대기모드 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사용자인증 수행 방법.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어플리케이션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기의 웨이크 업 모드에서 화면의 해당영역에 대한 터치발생과 동시에 단말기의 움직임발생이 검출되면, 상기 터치가 발생된 해당영역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등록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가 발생된 해당영역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등록되어 있으면, 상기 해당영역에 발생된 터치의 좌표 및 상기 움직임 발생에 대한 움직임 신호의 결합에 대응되는 패스워드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해당영역에 발생된 터치의 좌표 및 상기 움직임 신호의 결합에 대응되는 패스워드가 사용자인증 및 모드전환을 위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제1 패스워드와 일치하면,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해당 어플리케이션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사용자인증 수행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영역에 발생된 터치의 좌표 및 상기 움직임 신호의 결합에 대응되는 패스워드가 모드전환을 위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제2 패스워드와 일치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사용자인증 수행 방법.
  17. 제11 항에 있어서,
    터치 및 움직임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등록모드에서,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된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선택된 해당영역에 선택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해당영역의 터치발생과 동시에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 발생에 따라 제1 움직임 신호가 발생될 때, 상기 터치가 발생된 해당영역의 좌표와 상기 제1 움직임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인증 및 모드전환을 위한 제1 패스워드로 등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사용자인증 수행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해당영역의 터치발생과 동시에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 발생에 따라 제 2움직임 신호가 발생될 때, 상기 터치가 발생된 해당영역의 좌표와 상기 제2 움직임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모드전환을 위한 제2 패스워드로 등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사용자인증 수행 방법.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및 움직임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등록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영역은 어플리케이션의 등록유무를 표시하며, 발생되는 제스처에 따라 등록된 어플리케이션 영역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사용자인증 수행 방법.
  20. 제11 항 내지 제1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 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프로세서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074021A 2012-07-06 2012-07-06 단말기의 사용자인증 수행 장치 및 방법 KR2014002757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021A KR20140027579A (ko) 2012-07-06 2012-07-06 단말기의 사용자인증 수행 장치 및 방법
US13/935,975 US20140013143A1 (en) 2012-07-06 2013-07-05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i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021A KR20140027579A (ko) 2012-07-06 2012-07-06 단말기의 사용자인증 수행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7579A true KR20140027579A (ko) 2014-03-07

Family

ID=49879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4021A KR20140027579A (ko) 2012-07-06 2012-07-06 단말기의 사용자인증 수행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013143A1 (ko)
KR (1) KR201400275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8831A (ko) * 2014-06-02 2015-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스처를 통해 외부 장치를 제어하는 휴대용 장치 및 그 동작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15636B (zh) * 2012-08-24 2016-01-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可攜式電子裝置及其自動解鎖方法
US9613202B2 (en) 2013-12-10 2017-04-04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motion gesture access to an application and limited resources of a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JP6304060B2 (ja) * 2015-01-30 2018-04-0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操作装置及び操作方法
CN105677202A (zh) * 2015-12-31 2016-06-15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唤醒方法及设备
JP6724818B2 (ja) * 2017-02-24 2020-07-1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タッチ操作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07277211A (zh) * 2017-06-20 2017-10-20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屏幕唤醒的控制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08108007B (zh) * 2017-12-21 2019-11-1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降低功耗的处理方法及移动终端
CN108089692A (zh) * 2017-12-26 2018-05-29 深圳天珑无线科技有限公司 一种降低移动终端功耗的方法、移动终端及存储设备
CN112114879A (zh) * 2019-06-21 2020-12-22 奇酷互联网络科技(深圳)有限公司 终端唤醒方法、终端和存储介质
CN112164395A (zh) * 2020-09-18 2021-01-01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车载语音启动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73607B1 (en) * 1998-06-01 2002-10-29 Broadcom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 with a self-calibrating sleep timer
US7688306B2 (en) * 2000-10-02 2010-03-30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operating a portable device based on an accelerometer
US6971036B2 (en) * 2001-04-19 2005-11-29 Onwafer Technologies Methods and apparatus for low power delay control
US11275405B2 (en) * 2005-03-04 2022-03-15 Apple Inc. Multi-functional hand-held device
US7656393B2 (en) * 2005-03-04 2010-02-02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and surrounding touch sensitive bezel for user interface and control
US7365736B2 (en) * 2004-03-23 2008-04-29 Fujitsu Limited Customizable gesture mappings for motion controlled handheld devices
US8046030B2 (en) * 2005-07-29 2011-10-2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operating mobile devices responsive to user input through movement thereof
US7657849B2 (en) * 2005-12-23 2010-02-02 Apple Inc. Unlocking a device by performing gestures on an unlock image
US8250921B2 (en) * 2007-07-06 2012-08-28 Invensense, Inc. Integrated motion processing unit (MPU) with MEMS inertial sensing and embedded digital electronics
US20090262074A1 (en) * 2007-01-05 2009-10-22 Invensense Inc. Controlling and accessing content using motion processing on mobile devices
US20090265671A1 (en) * 2008-04-21 2009-10-22 Invensense Mobile devices with motion gesture recognition
CN107066862B (zh) * 2007-09-24 2022-11-25 苹果公司 电子设备中的嵌入式验证***
US8174503B2 (en) * 2008-05-17 2012-05-08 David H. Cain Touch-based authentication of a mobile device through user generated pattern creation
US20090307633A1 (en) * 2008-06-06 2009-12-10 Apple Inc. Acceleration navigation of media device displays
KR101505198B1 (ko) * 2008-08-18 2015-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구동 방법
US20110254792A1 (en) * 2008-12-30 2011-10-20 France Telecom User interface to provide enhanced control of an application program
US9174123B2 (en) * 2009-11-09 2015-11-03 Invensense, Inc. Handheld computer systems and techniques for character and command recognition related to human movements
US20110316888A1 (en) * 2010-06-28 2011-12-29 Invensense, Inc. Mobile device user interface combining input from motion sensors and other controls
US20120124662A1 (en) * 2010-11-16 2012-05-17 Baca Jim S Method of using device motion in a password
US8797283B2 (en) * 2010-11-22 2014-08-05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user-defined macros
US20120133484A1 (en) * 2010-11-29 2012-05-31 Research In Motion Limited Multiple-input device lock and unlock
US8982045B2 (en) * 2010-12-17 2015-03-17 Microsoft Corporation Using movement of a computing device to enhance interpretation of input events produced when interacting with the computing device
US20130085705A1 (en) * 2011-10-03 2013-04-04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pertaining to automatically performing an application function of an electronic device based upon detecting a change in physical configuration of the device
US8504842B1 (en) * 2012-03-23 2013-08-06 Google Inc. Alternative unlocking patterns
US9021270B1 (en) * 2012-05-31 2015-04-28 Google Inc. Combining wake-up and unlock into a single ges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8831A (ko) * 2014-06-02 2015-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스처를 통해 외부 장치를 제어하는 휴대용 장치 및 그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13143A1 (en) 2014-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7579A (ko) 단말기의 사용자인증 수행 장치 및 방법
EP262084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touch sensitivity in mobile terminal
US9372542B2 (en) Terminal and method for setting menu environments in the terminal
JP6196398B2 (ja) タッチボタン及び指紋認証を実現する装置、方法、端末機器、並びに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9583356B (zh) 指纹识别方法及相关产品
JP2015524954A (ja) 複数の通信端末を使用する多重ディスプレイ方法、機械読み取り可能な格納媒体及び通信端末
CN108446058B (zh) 一种移动终端的操作方法及移动终端
WO2014086218A1 (zh) 界面调整方法、装置及终端
CN108834132B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设备和相关介质产品
US2013033971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de switch
CN111339515A (zh) 一种应用程序启动方法及电子设备
US1019833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KR102012923B1 (ko) 단말기의 보안 관리장치 및 방법
JP2017505971A (ja) タッチスクリーン及び指紋認証を実現する装置、並びに端末機器
CN108304108B (zh) 一种应用程序的图标显示方法及移动终端
CN107967086B (zh) 一种移动终端的图标排列方法及装置、移动终端
CN108196699B (zh) 一种页面切换的方法及设备
CN105513098B (zh) 一种图像处理的方法和装置
CN111049977B (zh) 一种闹钟提醒方法及电子设备
CN110032422B (zh) 一种应用管理方法、终端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701471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ouch-screen sensitivity
WO2017032180A1 (zh) 电子终端中采集的画面的角度切换方法及装置
CN108234745B (zh) 一种信号接收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166266B1 (ko) 단말기의 문자변환 장치 및 방법
CN110719361A (zh) 信息发送方法、移动终端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