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4282A - 전자 계전기 - Google Patents

전자 계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4282A
KR20140014282A KR1020137033461A KR20137033461A KR20140014282A KR 20140014282 A KR20140014282 A KR 20140014282A KR 1020137033461 A KR1020137033461 A KR 1020137033461A KR 20137033461 A KR20137033461 A KR 20137033461A KR 20140014282 A KR20140014282 A KR 20140014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il
movable
shaf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3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스케 소라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14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42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60Mechanical 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 or sho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02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modifying the operation of the relay
    • H01H47/04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modifying the operation of the relay for holding armature in attracted position, e.g. when initial energising circuit is interrupted; for maintaining armature in attracted position, e.g. with reduced energising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22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supplying energising current for relay c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lay Circuits (AREA)
  • Electromagnets (AREA)
  • Contacts (AREA)

Abstract

고정 접점(32)과, 고정 접점(32)에 접촉 분리되는 가동 접점(33)과, 적어도 전자 코일을 갖고, 고정 접점(32)에 접촉하도록 가동 접점(33)을 구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구동 수단은, 가동 접점(33)과 고정 접점(32)을 접촉시키기 위한 제1 구동력과, 가동 접점(33)과 고정 접점(32)의 접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제1 구동력보다 큰 제2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Description

전자 계전기 {ELECTROMAGNETIC RELAY}
본 발명은, 전자 계전기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1년 6월 20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의 일본 특허 출원 제2011-136151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문헌의 참조에 의한 원용이 인정되는 지정국에 대해서는, 상기한 출원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에 의해 본 출원에 원용하여, 본 출원의 기재의 일부로 한다.
여자 코일의 내경측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고정 철심과의 사이에 에어 갭을 갖고 대향하는 플런저와, 플런저를 철심 반대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과, 플런저와 일체로 가동하고, 여자 코일이 통전되어 플런저가 고정 철심측으로 흡인되면, 고정 접점에 접촉하여 통전 회로를 폐쇄하는 가동 접점과, 플런저에 장착되고, 플런저의 철심 반대측 단부면으로부터 스토퍼면측으로 돌출되는 탄성 부재를 갖고, 플런저가 고정 철심측으로 흡인된 후, 자력의 소멸에 의해 스프링의 반력에 의해 철심 반대 방향으로 되밀렸을 때에, 탄성 부재가 스토퍼면에 접촉함으로써, 플런저의 철심 반대측 단부면과 스토퍼면의 충돌을 방지하는 스타터용 전자기 스위치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4-207134호 공보
그러나,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에 접촉할 때에,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 사이에서 발생하는 충돌 에너지가 크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 사이에서 발생하는 충돌 에너지를 억제할 수 있는 전자 계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을 접촉시키기 위한 제1 구동력과,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의 접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제1 구동력보다 큰 제2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이 접촉할 때에는,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 사이의 접촉 압력이 작아지고,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이 접촉한 후에, 당해 접촉 압력이 커지므로,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 사이에서 발생하는 충돌 에너지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릴레이 스위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릴레이 스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릴레이 스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코일 및 제어 회로의 등가 회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릴레이 스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릴레이 스위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계전기(이하, 릴레이 스위치라 칭함)를 포함하는, 차량용 배터리 팩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릴레이 스위치(100)는,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메인 릴레이로서 사용되지만, 다른 차량의 스위치에 적용해도 되고, 차량용 스위치 이외의 스위치에 적용해도 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터리 팩(200)은, 배터리(201)와, 릴레이 스위치(100)와, 커넥터부(202)와, 퓨즈(203a∼203d)를 구비하고 있다. 배터리(201)는, 차량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원으로, 2차 전지 등의 전지를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배터리(201)의 정극측의 전원 라인 및 부극측의 전원 라인에는, 각각 릴레이 스위치(100)가 접속되어 있다. 정극측의 전원 라인 및 부극측의 전원 라인은, 배터리 팩(200)의 단자(203)를 통해 인버터에 접속되어 있다. 퓨즈(203a) 및 퓨즈(203c)는 정극측의 전원 라인에 각각 접속되고, 퓨즈(203b) 및 퓨즈(203d)는 부극측의 전원 라인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배터리(201)는, 릴레이 스위치(100), 퓨즈(203a) 및 퓨즈(203b)를 통해 DC/DC 컨버터에 접속되고, 릴레이 스위치(100), 퓨즈(203c) 및 퓨즈(203d)를 통해 에어 컨디셔너(A/C)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릴레이 스위치(10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 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릴레이 스위치(100)의 단면도이다. 릴레이 스위치(10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부(10)와 접점부(30)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부(10)는, 코일(11)과, 보빈(12)과, 하우징부(13)와, 상부판(14)과, 플런저 캡(15)과, 고무 댐퍼(16)와, 고정 철심(17)과, 가동 철심(18)과, 복귀 스프링(19)을 구비하고 있다. 구동부(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샤프트(34)를 축 방향(도 2의 상하 방향)으로 구동시킴으로써, 가동 접점(33)과 고정 접점(32)을 접촉 분리시키는 부재이다.
코일(11)은, 코일을 복수 감음으로써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당해 코일에 전류를 흘림으로써 자속을 발생시킨다. 보빈(12)은 코일(11)을 보유 지지하기 위한 부재로, 원통 형상의 벽부(121)와, 당해 원통 형상의 벽부(121)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벽부(121)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판부(122)를 구비하고 있다. 코일(11)은, 한 쌍의 판부(122)에 의해 끼움 지지되어 있다. 코일(11)은, 도시하지 않은 제어 회로에 접속되고, 당해 제어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에 의해 자속을 발생시킨다.
하우징부(13)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저면부(131)와, 당해 저면부(131)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부(132)를 구비하고, 저면부(131)와 대향하는 방향이 개방되어 있다. 또한 저면부(131)의 중심 부분에는, 오목부(133)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부(13)는, 철 등의 금속의 자성 재료로 형성된다. 상부판(14)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판부(14)의 중심 부분에는, 후술하는 샤프트를 관통시키는 관통 구멍(141)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판(14)은, 자성 재료로 형성되어, 하우징부(13)의 덮개 부분으로 되고, 저면부(131)와 대향하는 방향으로부터, 하우징부(13)의 개구부를 덮어, 측벽(132)과, 코킹 등에 의해 고정된다.
플런저 캡(15)은,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원통 형상의 통부(151)와, 통부(151)의 저면을 덮는 저면부(152)를 구비하고 있다. 플런저 캡(15)은, 보빈(12)의 벽부(121) 및 오목부(133)로 덮이는 공동 부분에 압입되어, 오목부(133) 및 벽부(121)의 내측의 표면을 덮도록 조립되어 있다. 이에 의해, 코일(11) 및 보빈(12)은, 하우징부(13), 상부판(14) 및 플런저 캡(15)에 의해 수용된다. 또한, 플런저 캡(15)의 저면부(152)의 상면에는, 고무 댐퍼(16)가 설치되고, 고무 댐퍼(16)는 원통 형상으로 탄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고무 댐퍼(16)는, 가동 철심(18)과 플런저 캡(15) 사이의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고정 철심(17)은, 통 형상의 원통부(171)와, 원통부(171)의 외주와 동일한 크기의 외주인 원통부(172)를 일체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171) 및 원통부(172)는 동축상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축심에는, 후술하는 샤프트(34)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구멍(1711, 1721)이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171)의 외벽면과 원통부(172)의 외벽면은, 동일한 높이로 되도록 형성되고, 삽입 구멍(1712)의 직경은, 삽입 구멍(1711)의 직경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고정 철심(17)에는, 원통부(172)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오목한 오목부(173)가 형성된다. 고정 철심(17)은, 예를 들어 철 등의 금속의 적층 강판에 의해 형성된다. 고정 철심(17)은, 플런저 캡(15)의 통부(152)의 내측에 압입되어, 플런저 캡(15)의 상부에 밀착되어 있다. 또한, 삽입 구멍(1711)의 직경은, 샤프트(34)의 축부(341)의 직경보다 커지도록 형성되고, 원통부(171)의 내측의 표면과 샤프트(34)의 축부(341)의 표면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원통부(171)의 내측의 표면이, 샤프트(34)를 미끄럼 이동시키는 미끄럼 이동면으로 된다.
가동 철심(18)은, 통 형상의 원통부(181)와, 원통부(181)의 외주와 동일한 크기의 외주인 원통부(182)를 일체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181) 및 원통부(182)는 동축상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축심에는, 후술하는 샤프트(34)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구멍(1811, 1812)이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181)의 외벽면과 원통부(182)의 외벽면은, 동일한 높이로 되도록 형성되고, 삽입 구멍(1812)의 직경은, 삽입 구멍(1811)의 직경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동 철심(18)에는, 원통부(182)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오목한 오목부(183)가 형성된다. 가동 철심(18)은, 예를 들어 철 등의 금속의 적층 강판에 의해 형성된다. 가동 철심(18)은, 플런저 캡(15)의 통부(152)에 삽입된다. 가동 철심(18)의 외주의 직경은, 통부(152)의 구동 부분의 직경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가동 철심(18)의 외측의 표면과, 통부(152)의 하부 부분에 있어서의, 내측의 표면과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샤프트(34)의 선단 부분이 원통부(181)의 삽입 구멍(1811)에 압입되어, 샤프트(34)의 선단 부분과 원통부(181)가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동 철심(18)의 외측의 표면이, 플런저 캡(15)의 내측의 표면에 대해 미끄럼 이동하는 미끄럼 이동면으로 된다. 그리고 자기 회로는, 하우징부(13), 상부판(14), 고정 철심(17) 및 가동 철심(18)에 의해 형성된다.
복귀 스프링(19)은, 샤프트(34)의 축부(341)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코일 형상의 탄성 부재로, 축부(341)의 중심축과 동심축 상에 배치되고, 복귀 스프링(19)의 공동 부분에 샤프트(34)가 삽입된다. 복귀 스프링(19)의 상단부 부분이 오목부(173)에 끼워지고, 복귀 스프링(19)의 하단부 부분이 오목부(183)에 끼워짐으로써, 고정 철심(17) 및 가동 철심(18)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복귀 스프링(19)은, 가동 접점(33)을 고정 접점(32)으로부터 괴리시키는 방향으로 가동 철심(18)을 가압한다.
접점부(30)는, 베이스 블록(31)과, 한 쌍의 고정 접점(32)과, 가동 접점(33)과, 샤프트(34)와, 접압 스프링(35)을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 블록(31)은, 절연성의 부재로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천장판(311)과, 당해 천장판(311)의 단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부(312)를 구비하고, 천장판(311)과 대향하는 방향이 개방되어 있다. 천장판(311)에는, 한 쌍의 고정 접점(32)이 삽입되는 삽입 구멍(3111, 3112)이 형성되어 있다. 벽부(312)의 하방의 단부는, 상부판(14)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천장판(311), 벽부(312) 및 상부판(14)으로 형성되는 공간에, 가동 접점(33) 및 샤프트(34)의 상부가 수용된다.
고정 접점(32)은, 예를 들어 구리 등의 도전체로 형성되고, 통 형상의 원통부(321)와, 원통부(321)의 외주보다 작은 외주인 원통부(322)를 일체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322)의 외경은 천장판(311)에 형성된 삽입 구멍(3111, 3112)의 직경보다 약간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고정 접점(32)은, 하측인 원통부(322)가 천장판(311)의 삽입 구멍(3111, 3112)에 삽입되고, 원통부(321)가 베이스 블록(31)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베이스 블록(31)에 고정되어 있다. 원통부(322)의 저면이, 가동 단자(33)의 표면과의 접점 부분으로 된다.
가동 접점(33)은, 예를 들어 구리 등의 도전체로 형성되고,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동 접점(33)의 중심에는, 샤프트(34)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구멍이 형성되어, 샤프트(34)가 당해 삽입 구멍에 압입됨으로써, 가동 접점(33)이 샤프트(34)에 고정되어 있다. 가동 접점(33)의 상방의 표면이, 고정 접점(32)과의 접점으로 된다.
샤프트(34)는, 예를 들어 비자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막대 형상의 축부(341)와, 축부(341)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베어링부(342)를 구비한다. 축부(341)는, 가동 접점(33)의 중심의 삽입 구멍 및 가동 철심(18)의 중심의 삽입 구멍(1811, 1812)에 삽입되어, 가동 접점(33) 및 가동 철심(18)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축부(341)는, 접압 스프링(35)의 내측의 공동 부분, 상부판(14)의 중심의 삽입 구멍(141), 고정 철심(17)의 중심의 삽입 구멍(1711, 1712) 및 복귀 스프링(19)의 내측의 공동 부분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베어링부(342)는, 외경이 가동 접점(33)의 삽입 구멍의 직경보다 커지도록 형성되고, 가동 접점(33)에 고정되어 있다. 샤프트(34)는, 릴레이 스위치(100)의 온 및 오프에 수반하여, 축부(341)의 중심축의 축 방향(도 2의 상하 방향)으로 가동이며, 당해 중심축의 축 방향이, 가동 접점(33) 및 가동 철심(18)의 이동 방향으로 된다.
접압 스프링(35)은, 샤프트(34)의 축부(341)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코일 형상의 탄성 부재로, 축부(341)의 중심축과 동심축 상에 배치되고, 가동 접점(33)과 상부판(14)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접압 스프링(35)은, 가동 접점(33)을 고정 접점(32)에 접촉시키는 방향으로 가동 접점(33)을 가압한다.
다음에, 릴레이 스위치(100)의 동작을, 도 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코일(11)에 전류를 흘리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고정 접점(32) 및 가동 접점(33)은, 사이에 간극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우선, 고정 접점(32)과 가동 접점(33)이 괴리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코일(11)에 접촉 전류(I1)를 흘린다. 접촉 전류(I1)는, 샤프트(34)를 구동시켜, 고정 접점(32)과 가동 접점(33) 사이의 적어도 일부가 접촉하도록 설정된 최소한의 전류이다. 접촉 전류(I1)는 후술하는 유지 전류(I2)보다 낮은 전류로, 릴레이 스위치(100)의 온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당해 접촉 전류(I1)는 충분한 전류값은 아니다.
코일(11)에 접촉 전류(I1)를 흘리면, 코일(11)이 여자되어, 가동 철심(18)이 고정 철심(17)에 끌어 당겨지고, 가동 철심(18)에 고정된 샤프트(34)가 축부(341)의 축 방향으로 구동되어, 가동 접점(33)이 고정 접점(32)에 접촉한다. 그리고, 코일(11)에 접속된 제어 회로(도시하지 않음)가, 코일(11)과 당해 제어 회로 사이의 배선의 전압 등을 검출함으로써, 코일(11)의 도통을 확인한 후, 코일(11)에 유지 전류(I2)를 흘린다. 여기서, 유지 전류(I2)는, 고정 접점(32)과 가동 접점(33)의 접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전류이다. 유지 전류(I2)는, 접촉 전류(I1)보다 높은 전류이며, 고정 접점(32)과 가동 접점(33)에 있어서의 흡착을 더욱 강하게 함으로써, 릴레이 스위치(100)의 온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전류이다. 유지 전류(I2)가 코일(11)에 흐르면, 가동 접점(33)과 고정 접점(33) 사이의 접촉 압력은, 접촉 전류(I1)를 코일(11)에 흘렸을 때의 접촉 압력과 비교하여 커지므로, 가동 접점(33)이 고정 접점(32)에 접촉 후, 고정 접점(32)과 가동 접점(33)의 유지력이 커진다.
즉, 본 예에서는, 릴레이 스위치(100)를 온으로 하는 경우에는, 우선 코일(11)에 접촉 전류(I1)를 흘려, 샤프트(34)에 작은 구동력(P1)을 가함으로써, 고정 접점(32)과 가동 접점(33) 사이의 접촉 압력을 작게 하면서, 고정 접점(32)과 가동 접점(33)을 접촉시킨다. 릴레이 스위치(100)를 온으로 할 때에는, 차량은 정지되어 있어, 릴레이 스위치(100)에 가해지는 진동은 적으므로, 고정 접점(32)과 가동 접점(33)이 접촉하고 있으면 되고, 큰 구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본 예에서는, 릴레이 스위치(100)를 온으로 할 때에는, 작은 구동력으로, 가동 접점(32)을 구동시킨다.
그리고, 고정 접점(32)과 가동 접점(33)이 접촉한 후에, 코일(11)에 유지 전류(I2)를 흘려, 샤프트(34)에 상기한 구동력(P1)보다 큰 구동력(P2)을 가함으로써, 고정 접점(32)과 가동 접점(33) 사이의 접촉 압력을 크게 하면서, 고정 접점(32)과 가동 접점(33) 사이의 접촉 상태를 유지시킨다. 고정 접점(32)과 가동 접점(33)이 접촉한 후에는, 차량이 주행을 개시함으로써, 릴레이 스위치(100)에 큰 진동이 가해질 가능성이 있어, 고정 접점(32)과 가동 접점(33)이 괴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샤프트(34)에 대해 큰 구동력이 필요해진다. 그로 인해, 본 예에서는, 릴레이 스위치(100)를 온으로 한 후에는, 큰 구동력(P2)으로, 가동 접점(33)을 구동시킨다.
한편, 고정 접점(32)과 가동 접점(33)이 접촉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코일(11)에의 통전을 정지하면, 복귀 스프링(19)에 의해, 가동 접점(33)이 고정 접점(32)으로부터 괴리되어 릴레이 스위치(100)가 오프로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예는, 코일(11)에 흘리는 전류를 설정하여, 고정 철심(17) 및 가동 철심(18)을 자화시켜, 샤프트(34)를 구동시킴으로써, 고정 접점(32)에 접촉하도록 가동 접점(33)을 구동시키고, 릴레이 스위치(100)를 온으로 하기 위해, 당해 가동 접점(33)을 구동시킬 때에, 구동력(P1)에 의해 가동 접점(33)과 고정 접점(32)을 접촉시켜, 구동력(P2)에 의해 가동 접점(33)과 고정 접점(32)의 접촉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의해, 가동 접점(33)과 고정 접점(32)이 접촉할 때에는, 가동 접점(33)과 고정 접점(32) 사이의 접촉 압력이 작아지고, 가동 접점(33)과 고정 접점(32)이 접촉한 후에, 당해 접촉 압력이 커지므로, 릴레이 스위치(100)를 온으로 할 때에, 가동 접점(33)과 고정 접점(32) 사이에서 발생하는 충돌 에너지를 억제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예와는 달리, 가동 접점(33)과 고정 접점(32)이 괴리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가동 접점(33)과 고정 접점(32)을 접촉시키기 위해, 샤프트(34)에 큰 구동력을 가하여, 가동 접점(33)을 구동시킨 경우에는, 가동 접점(33)과 고정 접점(32)의 양 접점 및 가동 철심(18)과 고정 철심(17)의 접촉점에 있어서, 충돌할 때에, 큰 소리가 발생하거나 접촉 부분의 수명이 짧아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고정 접점(32)과 가동 접점 사이에 탄성체를 설치한 경우에는, 당해 탄성체의 탄성 계수는, 탄성체의 열화나 외부의 환경 온도에 따라 변화되므로, 안정적으로 충돌 에너지를 감소시킬 수 없을 가능성도 있다.
한편, 본 예에서는, 릴레이 스위치(100)를 온으로 하는 경우에, 구동력(P1)에 의해 가동 접점(33)과 고정 접점(32)을 접촉시키고, 구동력(P2)에 의해 가동 접점(33)과 고정 접점(32)의 접촉 상태를 유지한다. 그로 인해, 가동 접점(33)과 고정 접점(32)의 접촉 부분 및 가동 철심(18)과 고정 철심(17)의 접촉 부분에 있어서의 충돌 에너지를 감소시켜, 접촉 부분에 있어서의 이음(異音)을 방지하고,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가동 접점(33)과 고정 접점(32)이 접촉한 후에는, 구동력(P2)에 의해 가동 접점(33)과 고정 접점(32)의 접촉 상태를 유지하므로, 차량의 주행 중에 받는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접점 부분이 괴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로서 당해 접점 부분이 괴리된 경우에 발생하는 접점 부분의 온도 상승이나, 접점 부분의 고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예는, 코일(11)에 접촉 전류(I1)를 흘림으로써 구동력(P1)을 발생시키고, 코일(11)에 유지 전류(I2)를 흘림으로써 구동력(P2)을 발생시킨다. 이에 의해, 코일(11)에 흘리는 전류값을 변화시킴으로써, 구동력(P1) 및 구동력(P2)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적어도 1개의 코일을 구성으로 하면 되므로, 릴레이 스위치(100)의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코일(11)을 갖고, 고정 철심(17) 및 가동 철심(18)에 관한 구성이 본 발명의 「구동 수단」에 상당하고, 코일(11)이 「전자 코일」에, 구동력(P1)이 「제1 구동력」에, 구동력(P2)이 「제2 구동력」에, 접촉 전류(I1)가 「제1 전류」에, 유지 전류(I2)가 「제2 전류」에 상당한다.
《제2 실시 형태》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릴레이 스위치(100)의 단면도이다. 본 예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코일(11) 및 보빈(12)의 구성이 다르다. 이 이외의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그 기재를 적절하게 원용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일(11)은, 코일(111)과 코일(112)을 구비하고, 코일(111) 및 코일(112)은, 서로의 축심 및 샤프트(34)의 축부(341)의 축심이 동일한 위치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코일(111)은, 코일(112)의 내측에 배치되고, 보빈(12)의 벽부(121)와 벽부(123)에 끼움 지지되어 있다. 코일(112)은, 벽부(123)와 하우징부(13)의 벽부(132)에 끼움 지지되어 있다. 코일(111) 및 코일(112)의 축심 방향의 길이가 동등해지도록, 코일(111) 및 코일(112)이 형성되어 있다.
보빈(12)은, 벽부(121)와, 한 쌍의 판부(122)와, 벽부(123)를 구비하고 있다. 벽부(123)는, 한 쌍의 판부(122) 사이에서, 벽부(121)와 평행하게 되도록 설치된다. 벽부(121)와 벽부(123) 사이에는, 코일(111)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벽부(123)와 벽부(132) 사이에, 코일(112)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릴레이 스위치(100)의 동작을, 도 3 및 도 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코일(11) 및 제어 회로(300)의 등가 회로인, 코일(111)과 코일(112)의 직렬 회로를 도시한다. 고정 접점(32)과 가동 접점(33)이 괴리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코일(111)에 접촉 전류(I1)를 흘리고, 코일(112)에는 접촉 전류(I1)를 흘리지 않는다. 접촉 전류(I1)는, 코일(111)에 전류를 흘림으로써, 샤프트(34)를 구동시켜, 고정 접점(32)과 가동 접점(33) 사이의 적어도 일부를 접촉하도록 설정된 최소한의 전류이다.
코일(111)에 접촉 전류(I1)를 흘리면, 코일(112)은 여자되지 않지만, 코일(111)이 여자되어 샤프트(34)에 작은 구동력(P1)이 발생하여, 가동 철심(18)이 고정 철심(17)에 끌어 당겨지고, 샤프트(34)가 축 방향으로 구동하여 가동 접점(33)이 고정 접점(32)에 접촉한다. 그리고, 코일(111) 및 코일(112)에 접속된 제어 회로(300)가, 코일(111)과 제어 회로(300) 사이의 전압 등을 검출함으로써, 코일(111)의 도통을 확인한 후, 코일(111) 및 코일(112)에 유지 전류(I2)를 흘린다. 여기서, 유지 전류(I2)는, 고정 접점(32)과 가동 접점(33)의 접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전류로, 고정 접점(32) 및 가동 접점(33)에 있어서의 흡착을 더욱 강하게 함으로써, 릴레이 스위치(100)의 온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전류이다. 유지 전류(I2)의 크기는, 접촉 전류(I1)와 동일한 크기여도 된다.
유지 전류(I2)가 코일(111) 및 코일(112)에 흐르면, 코일(111) 및 코일(112)이 여자되므로, 코일(111)에만 접촉 전류(I1)를 흘리는 경우와 비교하여, 릴레이 스위치(100)의 자기 회로와 함께 작용하는 자속이 강해진다. 그로 인해, 샤프트(34)에 큰 구동력(P2)이 발생하여, 가동 접점(33)과 고정 접점(32) 사이의 접촉 압력은, 코일(111)에만 접촉 전류(I1)를 흘리는 경우와 비교하여 커지므로, 가동 접점(33)이 고정 접점(32)에 접촉 후, 고정 접점(32)과 가동 접점(33) 사이의 유지력이 커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예는, 코일(11)을, 복수의 코일인, 코일(111)과 코일(112)에 의해 구성하고, 코일(111)에 접촉 전류(I1)를 흘려, 코일(111)을 통전시킴으로써 구동력(P1)을 발생시키고, 코일(111) 및 코일(112)에 유지 전류(I2)를 흘려, 코일(111) 및 코일(112)을 통전시킴으로써 구동력(P2)을 발생시킨다. 이에 의해, 반드시 전류값을 제어함으로써 샤프트(34)에의 구동력을 변화시키지는 않아도 되므로, 제어 회로(300)의 회로 구성이 복잡해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예는, 코일(11)에 흐르는 전류를 일정하게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전류값을 변화시키지 않고, 릴레이 스위치(100)를 온으로 할 때에, 가동 접점(33)과 고정 접점(32) 사이에서 발생하는 충돌 에너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예는, 코일(111)의 축심 및 코일(112)의 축심을, 샤프트(34)의 축심과 동일한 위치로 되도록 배치하고, 코일(111)의 외측에 코일(112)을 배치한다. 이에 의해, 샤프트(34)의 가동 범위에, 전류에 따른 전자기력을 가할 수 있으므로, 샤프트(34)의 가동 속도를 제어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예는, 코일(111) 및 코일(112)의 축심 방향의 길이가 동등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샤프트(34)의 가동 범위에, 전류에 따른 전자기력을 가할 수 있으므로, 샤프트(34)의 가동 속도를 제어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예는, 샤프트(34)에 대해, 외측의 코일인 코일(112)에 통전시킴으로써, 구동력(P1)을 발생시켜도 된다. 이에 의해, 코일(112)이 코일(111)의 외측에서, 자기 회로에 대해 먼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코일(111)에 동일한 접촉 전류(I1)를 흘리는 경우와 비교하여, 구동력(P1)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가동 접점(33)과 고정 접점(32) 사이에서 발생하는 충돌 에너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코일(11)은, 반드시 2개의 코일에 의해 구성할 필요는 없고, 3개 이상의 코일로 구성해도 되고, 코일(111) 및 코일(112)의 축 방향의 길이는 반드시 동일하게 하지는 않아도 된다.
상기한 「샤프트(34)」가 본 발명의 「가동축」에 상당하고, 코일(111) 및 코일(112)이 「복수의 코일」에 상당한다.
《제3 실시 형태》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릴레이 스위치의 단면도이다. 본 예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코일(11) 및 보빈(12)의 구성이 다르다. 이 이외의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고,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의 기재를 적절하게 원용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일(11)은, 코일(113)과 코일(114)을 구비하고, 코일(113) 및 코일(114)은, 서로의 축심 및 샤프트(34)의 축부(341)의 축심이 동일한 위치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코일(113)은, 축심의 축 방향에 있어서, 코일(114)의 상측에 배치되고, 보빈(12)의 상측의 판부(122)와 판부(124)에 끼움 지지되어 있다. 코일(114)은, 판부(124)와 하측의 판부(122)에 끼움 지지되어 있다. 코일(113)은, 코일(114)보다, 가동 접점(33)에 가까운 쪽에 배치되고, 코일(114)은, 코일(113)보다, 가동 접점(33)으로부터 먼 쪽에 배치되어 있다.
보빈(12)은, 벽부(121)와, 한 쌍의 판부(122)와, 판부(124)를 구비하고 있다. 판부(124)는, 한 쌍의 판부(122) 사이에서, 판부(122)와 평행하게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측의 판부(122)와 판부(124) 사이에는, 코일(113)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하측의 판부(122)와 판부(124) 사이에는, 코일(114)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릴레이 스위치(100)의 동작을, 도 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고정 접점(32)과 가동 접점(33)이 괴리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코일(114)에 접촉 전류(I1)를 흘리고, 코일(113)에는 접촉 전류(I1)를 흘리지 않는다. 접촉 전류(I1)는, 코일(114)에 전류를 흘림으로써, 샤프트(34)를 구동시켜, 고정 접점(32)과 가동 접점(33) 사이의 적어도 일부를 접촉하도록 설정된 최소한의 전류이다.
코일(114)에 접촉 전류를 흘리면, 코일(113)은 여자되지 않지만, 코일(114)이 여자되어, 샤프트(34)에 작은 구동력(P1)이 발생하여, 가동 철심(18)이 고정 철심(17)에 끌어 당겨지고, 샤프트(34)가 축 방향으로 구동되어 가동 접점(33)이 고정 접점(32)에 접촉한다. 그리고, 코일(114) 및 코일(113)에 접속된 제어 회로(도시하지 않음)가, 코일(114)과 당해 제어 회로 사이의 전압 등을 검출함으로써, 코일(114)의 도통을 확인한 후, 코일(113) 및 코일(114)에 유지 전류(I2)를 흘린다. 여기서, 유지 전류(I2)는, 고정 접점(32)과 가동 접점(33)의 접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전류로, 고정 접점(32)과 가동 접점(33)에 있어서의 흡착을 더욱 강하게 함으로써, 릴레이 스위치(100)의 온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전류이다. 유지 전류(I2)의 크기는, 접촉 전류(I1)와 동일한 크기여도 된다.
유지 전류(I2)가 코일(113) 및 코일(114)에 흐르면, 코일(113) 및 코일(114)이 여자되므로, 코일(114)에만 접촉 전류(I1)를 흘리는 경우와 비교하여, 릴레이 스위치(100)의 자기 회로와 함께 작용하는 자속이 강해진다. 그로 인해, 샤프트(34)에 큰 구동력(P2)이 발생하여, 가동 접점(33)과 고정 접점(32) 사이의 접촉 압력은, 코일(114)에만 접촉 전류(I1)를 흘리는 경우와 비교하여 커지므로, 가동 접점(33)이 고정 접점(32)에 접촉 후, 고정 접점(32)과 가동 접점(33) 사이의 유지력이 커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예는, 코일(113)의 축심 및 코일(114)의 축심을, 샤프트(34)의 축심과 동일한 위치로 되도록 배치하고, 코일(113)과 코일(114)을 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한다. 이에 의해, 샤프트(34)의 가동 범위에, 전류에 따른 전자기력을 가할 수 있으므로, 샤프트(34)의 가동 속도를 제어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예는, 축심의 축 방향에 있어서 상측에 배치되어 있는 코일(113)에 통전시킴으로써도, 구동력(P1)을 발생시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코일(111) 및 코일(112)이 본 발명의 「복수의 코일」에 상당한다.
《제4 실시 형태》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릴레이 스위치의 단면도이다. 본 예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구동력(P2)을 액추에이터(20)에서 발생하고 있는 점이 다르다. 이 이외의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고, 제1∼제3 실시 형태의 기재를 적절하게 원용한다. 또한, 도 6은 고정 접점(32)과 가동 접점(33)이 접촉하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부(10)는, 액추에이터(20)를 구비하고 있다. 액추에이터(20)는, 천장판(311), 벽부(312) 및 상부판(14)으로 형성되는 공간 내에 설치되고, 천장판(14)과 가동 접점(33)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액추에이터(20)는 샤프트(34)의 축심의 축 방향으로, 가동 접점(33)을 압박하기 위한 압박 부재이다. 액추에이터(20)는 샤프트(34) 및 접압 스프링(35)을 소정의 간격을 두면서 덮도록, 통 형상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액추에이터(20)는, 내장된 기계적인 기구에 의해, 통 형상의 형상이 샤프트(34)의 축 방향으로 신축되도록 함으로써, 샤프트(34)의 축 방향으로 응력을 발생시킨다.
액추에이터(20)는, 본 예의 릴레이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고, 당해 제어 회로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가동 접점(33)을 고정 접점(32)을 향해 밀어 올린다. 액추에이터(20)에 의한, 가동 접점(33) 및 샤프트(34)에의 구동력(P2)은, 접촉 전류(I1)를 코일(11)에 흘림으로써 발생하는 구동력(P1)보다 큰 힘이다.
릴레이 스위치가 오프 상태일 때, 바꾸어 말하면, 고정 접점(32)과 가동 접점(33)이 접촉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액추에이터(200)는 구동력(P2)을 발생하지 않고, 가동 접점(33)과 대향하는 액추에이터(200)의 상단부가, 천장판(14)에 근접하도록 샤프트(34)의 축 방향으로 내려간다. 이에 의해, 가동 접점(33)은 고정 접점(32)으로부터 이격된다.
다음에, 릴레이 스위치(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코일(11)에 전류를 흘리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고정 접점(32) 및 가동 접점(33)은, 사이에 간극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우선, 고정 접점(32)과 가동 접점(33)이 괴리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코일(11)에 접촉 전류(I1)를 흘린다. 접촉 전류(I1)는, 샤프트(34)를 구동시켜, 고정 접점(32)과 가동 접점(33) 사이의 적어도 일부가 접촉하도록 설정된 최소한의 전류이다. 접촉 전류(I1)는 릴레이 스위치(100)의 온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전류값은 아니다.
코일(11)에 접촉 전류(I1)를 흘리면, 코일(11)이 여자되어 구동력(P1)이 발생하여, 가동 철심(18)이 고정 철심(17)에 끌어 당겨지고, 가동 철심(18)에 고정된 샤프트(34)가 축부(341)의 축 방향으로 구동되어, 가동 접점(33)이 고정 접점(32)에 접촉한다. 이 시점에서, 액추에이터(20)는 응력을 발생시키고 있지 않다.
그리고, 코일(11)에 접속된 제어 회로(도시하지 않음)가, 코일(11)과 당해 제어 회로 사이의 배선의 전압 등을 검출함으로써, 코일(11)의 도통을 확인한 후, 제어 회로는 액추에이터(20)를 구동시킨다. 액추에이터(20)는 구동력(P2)을 발생시켜, 고정 접점(32)과 가동 접점(33)에 있어서의 흡착이 더욱 강해져, 릴레이 스위치(100)의 온 상태가 계속적으로 유지된다. 액추에이터(20)가 구동되면, 가동 접점(33)과 고정 접점(33) 사이의 접촉 압력은, 접촉 전류(I1)를 코일(11)에 흘림으로써 구동력(P1)만으로 가동 접점(33)을 구동시켰을 때의 접촉 압력과 비교하여 커지므로, 가동 접점(33)이 고정 접점(32)에 접촉 후, 고정 접점(32)과 가동 접점(33)의 유지력이 커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예는, 코일(11)에 흘리는 전류를 설정하여, 고정 철심(17) 및 가동 철심(18)을 자화시켜 샤프트(34)를 구동시킴으로써, 고정 접점(32)에 접촉하도록 가동 접점(33)을 구동시키고, 릴레이 스위치(100)를 온으로 하기 위해, 구동력(P1)에 의해 가동 접점(33)과 고정 접점(32)을 접촉시켜, 액추에이터(20)의 구동력(P2)에 의해 가동 접점(33)과 고정 접점(32)의 접촉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의해, 가동 접점(33)과 고정 접점(32)이 접촉할 때에는, 가동 접점(33)과 고정 접점(32) 사이의 접촉 압력이 작아지고, 가동 접점(33)과 고정 접점(32)이 접촉한 후에, 당해 접촉 압력이 커지므로, 릴레이 스위치(100)를 온으로 할 때에, 가동 접점(33)과 고정 접점(32) 사이에서 발생하는 충돌 에너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가동 접점(33)과 고정 접점(32)이 접촉한 후에는, 구동력(P2)에 의해 가동 접점(33)과 고정 접점(32)의 접촉 상태를 유지하므로, 차량의 주행 중에 받는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접점 부분이 괴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로서 당해 접점 부분이 괴리된 경우에 발생하는, 접점 부분의 온도 상승이나, 접점 부분의 고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 액추에이터(20)는 유압에 의해 구동되는 기구여도 되고, 컴프레서 등의 공압에 의해 구동되는 기구여도 되고, 또는 내장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기구여도 된다.
상기한 액추에이터(20)가 본 발명의 「구동 수단」에 상당한다.
100 : 릴레이 스위치
10 : 구동부
11 : 코일
111∼114 : 코일
12 : 보빈
121, 123 : 벽부
122, 124 : 판부
13 : 하우징부
131 : 저면부
132 : 벽부
133 : 오목부
14 : 상부판
141 : 삽입 구멍
15 : 플런저 캡
151 : 통부
152 : 저면부
16 : 고무 댐퍼
17 : 고정 철심
171, 172 : 원통부
173 : 오목부
1711, 1712 : 삽입 구멍
18 : 가동 철심
181, 182 : 원통부
183 : 오목부
1811, 1812 : 삽입 구멍
19 : 복귀 스프링
20 : 액추에이터
30 : 접점부
31 : 베이스 블록
311 : 천장판
3111, 3112 : 삽입 구멍
312 : 벽부
32 : 고정 접점
321, 322 : 원통부
33 : 가동 접점
34 : 샤프트
341 : 축부
342 : 베어링부
35 : 접압 스프링
200 : 배터리 팩
201 : 배터리
202 : 커넥터부
203a∼203d : 퓨즈
300 : 제어 회로

Claims (5)

  1. 고정 접점과,
    고정 접점에 접촉 분리되는 가동 접점과,
    적어도 전자 코일을 갖고,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하도록 상기 가동 접점을 구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가동 접점과 상기 고정 접점을 접촉시키기 위한 제1 구동력과, 상기 가동 접점과 상기 고정 접점의 접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상기 제1 구동력보다 큰 제2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코일은, 적어도 복수의 코일을 갖고,
    상기 제1 구동력은, 상기 복수의 코일 중 한쪽의 코일에만 통전시킴으로써 발생하고,
    상기 제2 구동력은, 상기 복수의 코일 중, 상기 한쪽의 코일 및 다른 쪽의 코일에 통전시킴으로써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점과 상기 가동 접점을 접촉 분리시키는 가동축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전자 코일은, 코일의 축심이 상기 가동축의 축심의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적어도 복수의 코일을 갖고,
    상기 복수의 코일 중 한쪽의 코일은, 다른 쪽의 코일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점과 상기 가동 접점을 접촉 분리시키는 가동축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전자 코일은, 적어도 복수의 코일을 갖고, 또한 당해 복수의 코일의 축심이 상기 가동축의 축심의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코일은, 상기 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전자 코일에 제1 전류를 흘림으로써 상기 제1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전자 코일에 제1 전류보다 큰 제2 전류를 흘림으로써 상기 제2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KR1020137033461A 2011-06-20 2012-03-08 전자 계전기 KR201400142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36151 2011-06-20
JP2011136151 2011-06-20
PCT/JP2012/056027 WO2012176505A1 (ja) 2011-06-20 2012-03-08 電磁継電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282A true KR20140014282A (ko) 2014-02-05

Family

ID=47422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3461A KR20140014282A (ko) 2011-06-20 2012-03-08 전자 계전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05431B2 (ko)
EP (1) EP2722864A4 (ko)
JP (1) JPWO2012176505A1 (ko)
KR (1) KR20140014282A (ko)
CN (1) CN103597567A (ko)
WO (1) WO201217650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2502A1 (ko) * 2017-05-16 2018-11-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 접촉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43414B (zh) * 2013-01-23 2018-02-27 博世汽车部件(长沙)有限公司 电磁开关及车辆起动机
CN108417448B (zh) 2013-06-28 2021-03-05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触点装置以及搭载有该触点装置的电磁继电器
DE102014107884A1 (de) * 2014-06-04 2015-12-17 Epcos Ag Relais
CN204067247U (zh) * 2014-06-26 2014-12-31 德昌电机(深圳)有限公司 起动器及其电磁开关
JP6558571B2 (ja) * 2015-07-01 2019-08-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KR101943365B1 (ko) * 2015-10-14 2019-01-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직류 릴레이
JP6104478B1 (ja) * 2016-03-25 2017-03-29 三菱電機株式会社 操作装置
JP6856001B2 (ja) * 2017-10-31 2021-04-07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6897499B2 (ja) * 2017-10-31 2021-06-30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7115164B2 (ja) * 2018-09-07 2022-08-09 オムロン株式会社 リレー
US20210407753A1 (en) * 2018-11-09 2021-12-3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ctromagnetic switch device
JP7390791B2 (ja) * 2019-01-18 2023-12-04 オムロン株式会社 リレー
JP6668518B1 (ja) * 2019-01-30 2020-03-18 マレリ株式会社 リレー装置及びリレー装置の制御方法
CN115360061B (zh) * 2022-09-26 2023-03-21 北京天创凯睿科技有限公司 自保持电磁接触器及战斗机电动控制***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211550A (de) * 1938-11-23 1940-09-30 Bosch Gmbh Robert Elektromagnetischer Schalter, insbesondere für Anlagen auf Fahrzeugen.
DE2122815B2 (de) * 1971-05-08 1973-08-23 Starkstrom Schaltgeratefabnk E Spmdler & O Deissler, 5277 Rodt Anordnung zum durchschalten des sich gerade aus der ruhelage bewegenden ankers eines elektromagnetischen schaltgeraetes, insbesondere eines schuetzes
JPS5696809A (en) * 1979-12-29 1981-08-05 Fuji Electric Co Ltd Dc electromagnet
JPS62126528U (ko) 1986-01-31 1987-08-11
KR900009058B1 (ko) * 1987-02-25 1990-12-17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전자 스위치 장치
JP3496982B2 (ja) 1994-07-15 2004-02-16 三菱電機株式会社 電磁接触器
DE19702932A1 (de) * 1997-01-28 1998-07-30 Bosch Gmbh Robert Schaltungsanordnung für ein Einrückrelais
JP2000082374A (ja) * 1998-09-08 2000-03-21 Yaskawa Electric Corp 電磁接触器の電磁石装置
JP3829684B2 (ja) * 2001-10-16 2006-10-04 株式会社デンソー エンジン始動装置
JP2003229043A (ja) * 2001-11-29 2003-08-1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磁開閉装置
DE60214666T2 (de) * 2001-11-29 2007-09-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Kadoma Elektromagnetische schaltvorrichtung
JP2004022446A (ja) * 2002-06-19 2004-01-22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電磁接触器の操作用電磁石
JP2004146096A (ja) * 2002-10-22 2004-05-20 Omron Corp リレー駆動装置
JP4063074B2 (ja) 2002-12-26 2008-03-19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タータ用電磁スイッチ
JP2005222870A (ja) * 2004-02-06 2005-08-18 Sumitomo Electric Ind Ltd 直流リレー
JP5152566B2 (ja) * 2007-12-25 2013-02-27 株式会社Gsユアサ 電磁接触器の電磁コイル駆動回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2502A1 (ko) * 2017-05-16 2018-11-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 접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92517A1 (en) 2014-04-03
JPWO2012176505A1 (ja) 2015-02-23
EP2722864A4 (en) 2015-03-18
CN103597567A (zh) 2014-02-19
WO2012176505A1 (ja) 2012-12-27
EP2722864A1 (en) 2014-04-23
US9105431B2 (en) 2015-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14282A (ko) 전자 계전기
KR101661396B1 (ko) 전자기 릴레이
US8653917B2 (en) Contact device and electromagnetic switch using contact device
EP2442328B1 (en) Noise decreasing type electromagnetic switch
KR101480963B1 (ko) 전자 개폐기
EP2442329B1 (en) Noise decreasing type electromagnetic switch
WO2012060087A1 (ja) 継電器
WO2014046104A1 (ja) 電磁継電器
EP2605262A1 (en) Contact device, and electromagnetic switch using same
KR101846224B1 (ko) 전자 개폐기
KR101631760B1 (ko) 전자기 릴레이
JP2012089492A (ja) 電磁開閉装置
CN103503108A (zh) 电磁接触器
KR20170008047A (ko) 전기 자동차용 릴레이
JP2006310249A (ja) 接点装置
JP2012199123A (ja) リレー装置
KR101697577B1 (ko) 전자개폐장치
JP2014235916A (ja) 電磁駆動装置及び該電磁駆動装置を用いた電磁継電器
CN212230360U (zh) 电磁继电器
US20230162936A1 (en) Relay device
JP5281137B2 (ja) 常閉接点式電磁リレーおよびそれを用いた車載用電磁機器
KR101116385B1 (ko) 계전기
JP2017195097A (ja) 電磁リレー
KR101116379B1 (ko) 전자식 개폐기
KR101072631B1 (ko) 자력선이 개선된 전자식 개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