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2015A - 리튬 전지용 전극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리튬 전지용 전극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2015A
KR20140012015A KR1020137004544A KR20137004544A KR20140012015A KR 20140012015 A KR20140012015 A KR 20140012015A KR 1020137004544 A KR1020137004544 A KR 1020137004544A KR 20137004544 A KR20137004544 A KR 20137004544A KR 20140012015 A KR20140012015 A KR 20140012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urrent collector
lithium
ink
car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4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바스찬 소란
넬리 지루드
Original Assignee
꼼미사리아 아 레네르지 아또미끄 에 오 에네르지 알떼르나띠브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꼼미사리아 아 레네르지 아또미끄 에 오 에네르지 알떼르나띠브스 filed Critical 꼼미사리아 아 레네르지 아또미끄 에 오 에네르지 알떼르나띠브스
Publication of KR20140012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20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H01M4/80Porous plates, e.g. sintered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3Selection of materials containing carbon or carbonaceous materials as conductive part, e.g. graphite, carbon fib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H01M4/72Grids
    • H01M4/74Meshes or woven material; Expanded met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3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6Electrodes based on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Abstract

리튬 전지용 전극은 직포 또는 부직포 탄소 섬유로 형성된 다공성 집전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리튬 전지용 전극 및 이의 제조 방법{ELECTRODE FOR LITHIUM BATTERIES AND ITS METHOD OF MANUFACTURE}
본 발명은 탄소 섬유로 형성된 집전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용 전극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용 분야는 특히 적어도 하나의 전극에서 리튬의 삽입과 탈리의 원칙에 따라 작동하는 리튬 전기화학 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온 전지 중에서, 비충전 일차 전지는 충전될 수 있는 이차 전지와 구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리튬 전지는 전해질 요소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전극을 포함한다. 하나는 양극 다른 하나는 음극인 이들 두 개의 전극은 각각 전극의 특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물질로 형성된 집전체에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양극은 리튬 양이온을 삽입하기 위한 물질로 형성되는 반면, 음극은 주로 탄소 흑연, 규소, 탄화 규소, 또는 금속 리튬으로 형성된다.
전해질 요소는 고분자 분리판 또는 유기 전해질이 함침된 미세다공성 복합 분리판을 포함하여, (충전 또는 방전시에) 리튬 이온을 양극에서 음극으로 그리고 역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전기를 생성한다. 반면, 전해질은 일반적으로 리튬 염이 첨가된 유기 용매의 혼합물이다.
리튬 전지 전극이 분말 활물질, 전자 전도체, 및 고분자 바인더를 포함하는 잉크로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잉크 제제는 주로 전극 활물질에 의해 결정되고 따라서 리튬 이온 전지의 예상된 유형에 따라 결정된다.
실제로, 활물질 각각이 특정 용량(아래의 표 1 참조)을 갖기 때문에, 전극은 축전지(accumulator)에 따라 선택된다. 예를 들어, 높은 방전율을 견디는 소위 전원 축전지용 전극은 얇고 가벼운 기본 중량을 갖는다. 그러나, 낮은 충전율(C/5 또는 심지어 C/2)에 적합한 소위 에너지 축전지용 전극은 두껍고 더 큰 기본 중량을 갖는다.
주요 전극 물질의 비용량
활물질 비용량 (mAh.g-1)
Cgr 310
Li4Ti5O12 160
규소 >4000
SiC >500
LiCoO2 160
LiNi0 .33Mn0 .33Co0 .33O2 130
Li(Ni,Co,Al)1O2 160
LiFePO4 140
LiNi0 .4-0.5Mn1 .5-1.6O4 160
상부에 증착된 전극을 갖는 집전체는 일반적으로 금속성이며 다음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 양극용 알루미늄;
- Li4Ti5O12 티탄산 음극용 알루미늄;
- 흑연(Cgr), 규소(Si), 또는 탄화 규소(Si-C)로 형성된 음극용 구리
- 스테인리스강;
- 니켈;
- 니켈 도금 구리.
그러나, 이러한 금속 집전체는 몇 가지 단점이 있을 수 있다. 실제로, 이의 비교적 높은 밀도는 리튬 전지의 에너지 밀도의 감소를 유발한다. 또한, 이는 사이클(부식)에 따라 변경되어, 리튬 축전지의 수명을 감소시킨다. 마지막으로, 전극은 금속 집전체에 잘 결합되지 못한다. 전극 및/또는 전지가 기계적 응력을 받는 경우, 특히 수성 전극인 경우 종종 분리가 관찰된다.
이러한 문제 중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 탄소를 포함하는 집전체가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JP59035363은 탄소 섬유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cellulose, CMC)를 혼합하여 제조한 양극 집전체를 개시하고 있다. 제조된 페이스트는 이후 곡선의 인쇄 플레이트 내에 성형되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건조되고 연소된다.
문헌 JP11339774는 탄소 섬유 종이 집전체를 개시하고 있다. 산화 금속과 바인더(폴리아닐린/디술폰산)으로 형성된 복합 페이스트 층의 증착에 의해 리튬 이차 전지 전극이 제조된다.
문헌 WO2007/118281은 비전도성 물질 및 탄소 섬유일 수 있는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유연한 집전체를 개시하고 있다.
선행 기술의 집전체 상의 전극의 증착은 바인더 또는 증착 기술(페이스트)의 특성상 특정 제약이 있다. 또한, 전도성 물질과 고분자 또는 비전도성 물질의 혼합은 집전체에 부담을 주고 전지의 에너지 밀도를 감소시킨다.
본 출원인은 선행 기술의 단점을 방지할 수 있는 지지체를 포함하고,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 집전체를 갖는 전극을 개발하였다:
- 종래의 금속 집전체와 관련하여 증가된 유연성;
- 전극과 지지체의 결합;
- 집전체의 수명;
- 전지의 에너지 밀도의 증가;
- 코팅 또는 인쇄에 의한 전극 잉크의 증착.
본 발명의 목적은 탄소 섬유로 형성된 집전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용 전극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탄소 섬유로 형성된 집전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용 전극뿐만 아니라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전극은 탄소 섬유로 형성된 다공성 집전체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집전체 또는 전극 집전체는 직포 또는 부직포 탄소 섬유, 더욱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탄소 섬유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전극의 집전체는 70% 및 85% 사이에 이르는, 일반적으로 대략 80%의 다공성(porosity)을 갖는다.
탄소 섬유의 사용은 선행 기술의 집전체에 대해 몇 가지 장점을 갖는다. 실제로, 꼬인(interlaced) 탄소 섬유로 형성된 부직포 탄소 집전체는 다음과 같은 주요 특징을 갖는다:
- 증착 = 600 ℃, 이는 고온 전지에서 사용을 가능하게 함;
- 양호한 전자 전도체:
- 높은 표면 거칠기를 갖는 다공성 물질, 따라서 전극 잉크의 매우 양호한 결합을 가능하게 함:
- 양호한 인쇄 선명도;
- 통상적인 코팅 방법에 적응됨;
- 유연한 탄성 재료;
- 가볍고 저렴한 재료. 부직포 탄소 펠트의 밀도는 가장 최근에 사용되는 금속 집전체에 비해 매우 작다(표 2).
가장 최근의 금속 집전체와 탄소 부직포의 밀도
집전체 재료 밀도(g.cm-3)
알루미늄 2.69
구리 8.87
니켈 도금 구리 8.95
니켈 8.90
스테인리스강 8.02
탄소 부직포 펠트
(H2315V1)(i)
0.628
(i) Freudenberg H2315, PEMFC GDL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집전체 상의 전극 잉크의 증착에 의한, 리튬 전지용 전극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극은 양극 또는 음극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는 음극이다.
바람직하게, 전극 잉크 증착은 코팅 또는 인쇄(스크린 인쇄, 플렉소 인쇄(flexography), 윤전 그라비어 인쇄(rotogravure), 또는 잉크젯 인쇄)에 의해 수행된다.
집전체는 다공성이며, 또한 예를 들어 흡입 하에 코팅을 수행함으로써 잉크의 활물질이 집전체 구조 내부로 침투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따라서 다음과 같은 단계를 갖는, 리튬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 탄소 섬유로 형성된 집전체 상에 코팅 또는 인쇄에 의해 전극 잉크를 증착하는 단계, 상기 잉크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 활물질, 적어도 하나의 고분자 바인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전도체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집전체의 두께는 100 내지 400 마이크로미터 사이에 이를 수 있고, 예를 들어 대략 160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 건조하는 단계; 용매를 증발하는 단계. 일반적으로 전극은 60 ℃에서 공기 순환되는 오븐에서 건조될 수 있다.
집전체는 다공성이며 직포(woven) 또는 부직포(nonwoven) 탄소 섬유로 형성된다. 또한 고분자 잉크 바인더는, 특히 집전체가 부직포 탄소 섬유로 형성된 경우, 바람직하게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PAAc)이다.
선택적으로, 상기한 제조 방법은 증착 단계 또는 건조 단계와 동시에 또는 이들 두 단계 사이에, 예를 들어 건조대(drying table) 상에서와 같이,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의 능력 내에 있는 모든 수단에 의해, 집전체로부터 잉크를 흡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극은 캘린더링(calnering) 또는 압착될 수 있으며, 그럼에도, 본 발명의 맥락에서, 이 단계는 폴리(아크릴산)(PAAc)이 전극 바인더로 사용되는 경우 필요하지 않다.
또한, 부직포 집전체의 취성(fragility)을 고려할 때, 선행 기술에 따른 캘린더링 단계는 권장하기 않으며, 본 발명에 따라, 전극 바인더로서의 PAAc 유형의 고분자의 사용은, 전극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이러한 캘린더링 단계를 삭제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잉크는 적어도 하나의 활물질, 적어도 하나의 고분자 바인더,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전자 전도체를 포함한다. 유기 모드(유기 용매)에서의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VDF)와 같은 고분자 바인더 또는 수성 모드(수성 용매)에서의 PAAc와 같은 수용성 고분자는 전해질과 물질의 미립자 사이의 양호한 접촉을 제공하면서 전극의 기계적 강도를 보장하는 기능을 갖는다. 전자 전도체, 일반적으로, 카본 블랙은 전극의 전자 전도성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맥락에서, 고분자 잉크 바인더는, 특히 집전체가 부직포 탄소 섬유로 형성된 경우, 바람직하게 폴리(아크릴산)(PAAc)이다. 바람직하게, 1.000.000 내지 2.500.000 g.mol-1, 사이에 이르는, 더욱 구체적으로는 대략 1.250.000 g.mol-1인 분자량을 갖는 PAAc이다.
제조된 잉크의 조성은 사용된 재료 및 목표로 하는 응용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전극의 기본 중량 및 그에 따라 단위 표면적당 활물질의 질량은 활물질의 비율과 집전체 상에 형성된 잉크의 코팅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본 중량은 고려된 활물질의 비용량(mAh.cm-2)과 관련하여 표면 용량을 직접 의미한다.
상기한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될 수 있는 리튬 전지 전극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있다. 상기한 전극은 양극 또는 음극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PAAc 유형의 고분자 바인더, 리튬 삽입용 물질, 및 부직포 탄소 섬유 유형의 집전체 상에 증착된 탄소 섬유 또는 카본 블랙 유형의 전자 첨가제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전극의 면적 용량은 0.1 내지 10 mAh.cm-2 사이에 이르고, 더욱 바람직하게 0.3 내지 5 mAh.cm-2 사이이다.
본 발명의 목적인, 전극의 집전체를 형성하는 물질은, 음의 잉크 증착 여부에 상관 없이 음극으로 사용될 때, 리튬 삽입 특성을 갖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실제로, 이러한 음극 집전체의 사용은 더 많은 용량을 얻을 수 있게 하며, 집전체 물질은 내부 구조로 리튬을 삽입한다. 본 출원인은 따라서, 놀랍게도, 집전체가 리튬 이온을 역으로 삽입하기 때문에 그 자체로서 음극 물질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전기화학적 활물질로서 탄소 섬유로 형성된 상기한 다공성 집전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용 음극을 포함한다.
따라서, 음극(탄소 섬유 집전체 상에 증착된)의 표면 용량은 전극 활물질보다 매우 클 수 있다. 실제로, 집전체 용량은 증착된 활물질의 용량에 추가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탄소 섬유로 형성된 집전체 상의 잉크의 증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양극 또는 음극은, 제한하지 않고, 다음과 같은 전극을 포함한다:
- 흑연(Cgr)로 형성된 음극;
- 규소(Si)로 형성된 음극;
- 탄화 규소를 포함하는 음극;
- LiNi0 .33Mn0 .33Co0 .33O2로 형성된 양극;
- LiNi0 .5Mn1 .5O4로 형성된 양극;
- LiFePO4로 형성된 양극.
매우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양극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음극이 직포 또는 부직포 탄소 섬유로 형성된 동일한 다공성 집전체 상에 증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다공성 탄소 섬유 집전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을 포함하는 리튬 축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리튬 축전지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제한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 및 리튬 이온 축전지는 다음과 같은 음극/양극 쌍을 특히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 탄소 흑연/LiFePO4;
- 탄소 흑연/LiNi0 .33Mn0 .33Co0 .33O2;
- 탄소 흑연/LiNixCoyAlzO2 with x+y+z = 1;
- 탄소 흑연/LiMnO2;
- 탄소 흑연/LiNiO2;
- 티탄산 Li4Ti5O12/LiFePO4;
- 티탄산 Li4Ti5O12/LiNi0 .4-0.5Mn1 .5-1.6O4;
- 탄소 흑연/LiNi0 .4-0.5Mn1 .5-1.6O4.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전극을 포함하는 리튬 일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일차 전지는 재충전되지 않는다.
수 많은 조합들 중에서, 목표로 하는 응용에 따라 적절한 활물질과 전극을 선택하는 것은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의 능력 내에 있을 것이다.
본 발명 및 그에 따른 장점은 다음의 도면과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선행 기술의 리튬 전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도 2는 선행 기술의 단추형 전지의 구성요소 및 이들의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집전체로 사용된 탄소 부직포의 주사 전자 현미경 이미지를 도시한다.
도 4a는 LiFePO4 양극(16) 및 동일한 탄소 부직포 집전체(15)를 코팅한 Cgr 음극(17)의 사진을 도시한다.
도 4b는 탄소 부직포 집전체 상의 인쇄(스크린 인쇄)에 의해 형성된 LiFePO4 양극의 선명도 품질을 나타내는 사진을 도시한다.
도 4c는 LiFePO4 양극(16) 및 탄소 부직포 집전체(15)를 코팅한 Cgr 음극(17)의 유연성을 나타내는 사진을 도시한다.
도 4d는 LiFePO4 양극(16) 및 탄소 부직포 집전체(15)를 코팅한 Cgr 음극(17)의 결합을 나타내는 사진을 도시한다.
도 5는 다양한 충전 및 방전율에서 LiFePO4 양극의 mAh.cm- 1으로 나타낸 비용량을 도시한다.
도 6은 다양한 충전 및 방전율에서 Cgr 음극의 mAh.cm- 1으로 나타낸 비용량을 도시한다.
도 7은 하나의 탄소 부직포 집전체에 대해 회복한 mAh.cm- 1으로 나타낸 비용량을 도시한다.
도 1은 리튬 이온 전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제 1 집전체(1)가 리튬 양이온을 삽입하기 위한 물질로 형성된 양극(2)에 고정되게 부착된다. 이러한 삽입 물질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LiFePO4(리튬 철 인산염), 또는 전이 금속의 산화물(판상 물질: LiCoO2: LiNi0 .33Mn0 .33Co0 .33O2 ...등과 같은 리튬 코발트 산화물)과 같은 복합 재료이다.
양극(2)과 음극(4)은 전해질 요소(3)에 의해 분리된다. 이러한 요소는 그 자체로 고분자 분리판 또는 유기 전해질이 함침된 미세다공성 복합 분리판으로 형성되어, 리튬 이온을 양극에서 음극으로 그리고 역으로(충전 또는 방전의 경우) 이동시킴으로써 전기를 생성한다. 전해질은 일반적으로 리튬 염(LiPF6)과 관련된, 유기 용매의 혼합물이다. 이 혼합물은, 가능한 한 많이, 물 또는 산소의 흔적이 없어야 한다.
음극(4)은 일반적으로 탄소 흑연, 금속 리튬, 또는 전원 전극인 경우, Li4Ti5O12 (티탄산 물질)로 형성된다.
제 2 집전체(5)가 음극(4)에 고정되게 부착된다.
요소(2, 3 및 4)는 일반적으로 전기화학 코어(electrochemical core)(집전체(1 및 5)는 또한 전극에 부착되므로 이러한 코어의 일부임)로 불리는 것을 함께 형성한다. 전기화학 코어는 패키지(6) 내에 둘러싸인다.
도 2는 단추형 전지(button cell)의 구성요소 및 이들의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음극(8)은 분리판(9)에 의해 양극(7)과 분리된다.
가스켓(12)을 전지(11)의 하부에 배치한 후, 음극(8), 분리판(9), 및 양극(7)이 전지의 하부에 배치된다. 양극(8)은 스테인리스강 웨지(wedge, 10)로 덮이고 이후, 어셈블리가 캡(14)으로 덮이기 전에, 스프링(13)이 배치된다.
집전체는 전극(7 및 8)의 구성 요소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양극(LiFePO4) 및 음극(Cgr)은 아래의 표 3에 자세히 설명된 제제를 갖는 두 가지 잉크에 의해 제조된다.
전극은 사용된 고분자 바인더가 수용성인, 수성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잉크 건조 추출물은 물의 첨가에 의해 조절된다. 그러한 이들 잉크는 유기 방법에 의해, 즉, 바인더로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VDF)와 용매로서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NMP)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잉크 제제 및 결합 고분자(PAAc)로 코팅된 LiFePO4 및 Cgr에 대해 얻은 결과


LiFePO4 Cgr
경우 (a) 삽입 순서 경우 (b) 삽입 순서


제제
(잉크 중량에 대해 wt%)

활물질 LiFePO4 (i) (94%) 1 Cgr( ii )
(68 %)
1
전자 전도체 Super P( iii )
(1 %)
2 SFG6( iv )
(17 %)
1
탄소 섬유 Vgcf( iv )
(1 %)
3 Tenax( iv )
(5%)
1
결합 고분자 PAAc(v)
(4 %)
4 PAAc(v)
(10%)
2
건조 추출물에 대해 조절 가능 5 건조 추출물에 대해 조절 가능 3
건조 추출물 33.6% 19.6%
습식 코팅 두께 300 μm 300 μm
기본 중량(mAh.cm-2) 1.7 4.7
부피 용량(mAh.cm-3) 70 220
일반적인 다공성 76% 65%
(i) Pulead Technology Industry사 에서 제공하는 LiFePO4
( ii ) MCMB 2528
( iii ) Super P = 카본 블랙
( iv ) SFG6, Vgcf, 테낙스(Tenax) = 카본 섬유
(v) PAAc = 폴리아크릴산 고분자; 분자량 = 1 250 000 g.mol-1, 수중 3.5 wt%에서의 용액.
집전체의 코팅은 전극 물질이 탄소 부직포 구조 내부로 침투하도록 흡입 하에 수행된다. 잉크가 탄소 부직포 집전체 상에 분산되고 건조된 후, 14 mm의 직경을 갖는 펠릿을 절단 다이에 의해 절단한다. 그것들은 중량이 측정되고 두께가 측정된다. 펠릿의 시간당 밀리암페어(milliampere hour, mAh)로 나타낸 용량을 펠릿에 포함된 활물질의 질량으로부터 계산한다(방정식 1 내지 3)
[방정식 1]
mMA =(mtot - mcollector) * %(MA) / 100
[방정식 2]
for the negative electrode: mMA =(mtot - mcollector) * %(MA) / 100+mcollector
[방정식 3]
Cpellet = mMA *CMA *1000
mMA = 활물질의 질량
mtot = 펠릿의 총 질량
mcollector= 동일한 직경의 하나의 집전체의 펠릿의 질량
%(MA) = 제제 내의 활물질의 비율
CMA = 활물질의 비용량(mAh.g-1)
모든 잉크 성분에 대한 고형물의 비율에 해당하는 건조 추출물의 값은 방정식 4 및 5로부터 계산된다.
[방정식 4]
mtot (Powders) = (mMA + mCE + mfibers + msolid binder)
[방정식 5]
es = {(mpowders) / (mpowders+ madded water+ mbinder water)}*100
mCE = 전자 전도체의 질량
mfibers = 첨가된 섬유의 질량
msolid binder= 고체 고분자의 질량
madded water= 적절한 점조도(consistency)를 부여하기 위해 분말 혼합물에 첨가된 물의 질량(존재하는 경우 유기 용매의 질량)
mbinder water = 이미 용해된 고체 바인더로서 동시에 도입된 물의 질량
질량은 밀리그램(mg) 로 표현된다.
제조된 전극은 스패터(spatter, 재료의 뭉침)가 없고 크랙이 없이 균질하며 유연하다(도 4). 절단 다이를 이용한 펠릿의 절단은 펠릿 주변으로부터의 전극의 분리를 유발하지 않는다. 탄소 부직포 상에 결합된 전극은 따라서 매우 양호하다.
다양한 건조 추출물에 대해 94% 및 90%의 활물질로 코팅하여 형성된 전극에 대해 얻는 기본 중량 및 다공성이 표 3에 요약되어 있다. 두꺼운 전극, 따라서 높은 기본 중량(표면 및 부피)을 갖는 전극은 집전체 상의 매우 양호한 잉크의 결합을 갖는다. 또한, 이들 전극은 유연하며 집전체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Cgr 음극의 경우, 활물질의 비율을 전자 전도체 및 탄소 섬유의 양을 포함한다.)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
이들 잉크를 다음과 같은 구성에 따라 반-전지 사이클에서 테스트하였다:
- 금속 리튬// PE EC/PC/DMC 혼합물 (1/1/3) (1 M LiPF6) + 2%w VC //LiFePO4;
- 금속 리튬// PE EC/PC/DMC 혼합물 (1/1/3) (1 M LiPF6) + 2%w VC //Cgr.
EC = 에틸렌 카보네이트;
PC =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DMC = 디메틸카보네이트;
1/1/3 = 용적 배합비;
1M LiPF6 = LiPF6  염의 1 몰/리터;
2%w VC = 2 wt%의 비닐렌 카보네이트;
PE = 폴리에틸렌(Celgard 2400).
양극(LiFePO4)을 위한 테스트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성된다:
1) 10 C/20-D/20 충전 및 방전 사이클(형성 단계);
2) 10 C/10-D/10 충전 및 방전 사이클;
3) 10 C/5-D/5 충전 및 방전 사이클;
4) 10 C/3-D/3 충전 및 방전 사이클;
5) 10 C-D 충전 및 방전 사이클;
음극(Cgr)을 위한 테스트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성된다:
1) 5 C/20-D/20 충전 및 방전 사이클, 충전 및 방전(형성 단계)을 적절하게 완료하기 위한 플로팅(floating) 단계 이후 (플로팅은 전위에 도달하기 위한 완료된 충전 또는 방전 단계에 해당함);
2) 50 C/10-D/10 충전 및 방전 사이클, 플로팅 단계로 완료됨.
C/20 충전 사이클은 20 시간 동안 전지에 일정한 전류가 인가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 전류값은 20으로 나눈 용량과 동일하다. D/5 사이클은 5 시간의 방전에 해당한다.
양극 사이클 테스트 결과
부직포 탄소 지지체를 코팅한 LiFePO4 양극은 매우 양호한 성능을 갖는다(표 4 및 도 5). 실제로, 회복된 비용량은 재료의 이론적 비용량보다 크다(140 mAh.g-1, 표 1 참조). 재료는 이후 전체 용량을 회복한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매우 안정적이며, 사이클 동안 용량 손실이 없다.
다양한 속도에서 테스트한 탄소 부직포 집전체를 코팅한 LiFePO4 전극의 평균 비용량
D/20에서의
평균 비용량
(mAh.g-1)
D/10에서의
평균 비용량
(mAh.g-1)
D/5에서의
평균 비용량
(mAh.g-1)
LiFePO4-C1 149.1 147.2 142.5
LiFePO4-C2 148.8 146.9 142.2
LiFePO4-C1 및 LiFePO4-C2는 동일한 잉크로 제조된 두 개의 전극임.
음극 사이클 테스트 결과
Cgr 음극의 비용량은 308 mAh.g-1(C/20에 걸쳐 평균, 도 6 참조)보다 약간 크다. 따라서 회복된 비용량의 관점에서 최상의 결과를 얻기 위해 음극을 압착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측 불가능하고 매우 유리한 효과 중 하나는 탄소 부직포 내의 리튬 양이온의 삽입과 탈리에 관한 것이다. 탄소 섬유 집전체는 따라서 추가 활물질의 첨가 없이 음극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의 비용량은, 매우 느린 반-전지 사이클로 인해, 308 mAh.g-1(도 7)로 측정되었다.
탄소 부직포 집전체가 음극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한 것 같다. 이 전극은 Cgr 전극과 동일한 비용량을 갖는다. 그러나 매우 가볍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고분자 바인더로서 PAAc를 포함한 전극으로 완성되는 경우, 전극 압축 단계를 생략할 수 있으며, 이는 탄소 부직포 집전체를 보호할 수 있게 한다.
1: 제 1 집전체
2: 양극
3: 전해질 요소
4: 음극
5: 제 2 집전체
6: 패키지
7: 양극
8: 음극
9: 분리판
10: 웨지
11: 단추형 전지
12: 가스켓
13: 스프링
14: 캡
15: 탄소 부직포 집전체
16: LiFePO4 양극
17: Cgr 음극

Claims (10)

  1. 리튬 전지 전극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 탄소 섬유로 형성된 집전체 상에 코팅 또는 인쇄에 의해 전극 잉크를 증착하되, 상기 잉크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 활물질, 적어도 하나의 고분자 바인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전도체를 포함하는 단계;
    - 건조하는 단계; 용매를 증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집전체는 다공성이며 직포(woven) 또는 부직포(nonwoven) 탄소 섬유로 형성되며;
    상기 고분자 잉크 바인더는, 특히 집전체가 부직포 탄소 섬유로 형성된 경우, PAA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전지 전극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체는 70% 및 85% 사이에 이르는, 일반적으로 대략 80%의 다공성(porosity)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전지용 전극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 단계 또는 건조 단계와 동시에 또는 이들 두 단계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건조대(drying table) 상에서 집전체 상의 잉크를 흡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전지용 전극 제조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제조된 리튬 전지용 전극.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양극 또는 음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6. 제 4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의 면적 용량은 0.1 내지 10 mAh.cm-2 사이에 이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의 면적 용량은 0.3 내지 5 mAh.cm-2 사이에 이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8.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을 포함하는 리튬 축전지(accumulator).
  9.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을 포함하는 리튬 일차 전지.
  10. 제 8 항의 적어도 하나의 리튬 축전지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0137004544A 2010-09-22 2011-08-31 리튬 전지용 전극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400120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057592 2010-09-22
FR1057592A FR2965108B1 (fr) 2010-09-22 2010-09-22 Collecteur de courant d'electrodes pour batteries lithium
PCT/FR2011/051996 WO2012038634A1 (fr) 2010-09-22 2011-08-31 Électrode pour batteries lithium et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2015A true KR20140012015A (ko) 2014-01-29

Family

ID=43920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4544A KR20140012015A (ko) 2010-09-22 2011-08-31 리튬 전지용 전극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30157128A1 (ko)
EP (1) EP2619832B1 (ko)
JP (1) JP2013538002A (ko)
KR (1) KR20140012015A (ko)
CN (1) CN103125038A (ko)
BR (1) BR112013003963A2 (ko)
FR (1) FR2965108B1 (ko)
RU (1) RU2013108105A (ko)
WO (1) WO2012038634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3372A (ko) * 2014-06-13 2015-12-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6114426A1 (ko) * 2015-01-15 2016-07-21 (주)오렌지파워 입체형 전극 어셈블리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180187644A1 (en) * 2015-06-24 2018-07-05 Ingine, Inc. Floating apparatus for wave power generation
KR20210136297A (ko) * 2020-05-07 2021-11-17 한국과학기술원 고분자소재의 기체투과도와 오토클레이브 공정을 이용한 에너지 저장 소재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51563A (zh) * 2012-06-27 2013-06-12 深圳市海太阳实业有限公司 一种聚合物电池的制备方法及聚合物电池
KR101666699B1 (ko) 2013-06-24 2016-10-14 주식회사 제낙스 이차 전지용 집전체 및 이를 이용한 전극
KR101586251B1 (ko) 2013-06-24 2016-01-18 주식회사 제낙스 이차 전지용 집전체 및 이를 이용한 전극
CN105849942B (zh) 2013-12-20 2019-07-16 三洋化成工业株式会社 锂离子电池用电极、锂离子电池和锂离子电池用电极的制造方法
WO2016003532A1 (en) * 2014-06-30 2016-01-07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Free-standing active material/carbon nanomaterial network
GB201501507D0 (en) * 2015-01-29 2015-03-18 Sigma Lithium Ltd Composite materials
RU169539U1 (ru) * 2015-04-30 2017-03-22 Александр Сергеевич Логинов Литий-ионный аккумулятор
CN104934612B (zh) * 2015-07-04 2017-06-09 广东烛光新能源科技有限公司 柔性器件及其制备方法
CN105047943B (zh) * 2015-07-04 2018-03-30 广东烛光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器件及其制备方法
CN104916849B (zh) * 2015-07-04 2017-06-09 广东烛光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器件及其制备方法
CN106654174A (zh) * 2015-07-24 2017-05-10 东莞力朗电池科技有限公司 一种圆柱锂离子电池电芯材料及制备方法
CN105206863A (zh) * 2015-09-19 2015-12-30 荣成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可移动的动力电源及其制造方法
CN105185965A (zh) * 2015-09-23 2015-12-23 清华大学 一种用于锂硫电池的柔性碳硫复合正极材料
WO2017062950A1 (en) * 2015-10-08 2017-04-13 William Marsh Rice University High surface area porous carbon materials as electrodes
FR3044169B1 (fr) * 2015-11-24 2020-02-28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Et Aux Energies Alternatives Batterie bipolaire lithium-ion
FR3052918B1 (fr) 2016-06-17 2024-01-26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ede de fabrication d'une structure faisant office d'electrode positive et de collecteur de courant pour accumulateur electrochimique lithium-soufre
JP7104877B2 (ja) * 2017-11-16 2022-07-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用の正極材料
CN109088070B (zh) * 2018-07-18 2020-12-08 惠州亿纬锂能股份有限公司 锂离子电池及其制备方法
US11984576B1 (en) 2019-10-01 2024-05-14 William Marsh Rice University Alkali-metal anode with alloy coating applied by friction
FR3133485A1 (fr) 2022-03-09 2023-09-15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Et Aux Energies Alternatives Collecteur de courant poreux avec jonction obtenue par scellage thermique d’un polymère thermofusible à une languette de connexion électrique dense pour système électrochimique étanch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5363A (ja) 1982-08-20 1984-02-27 Toshiba Battery Co Ltd 非水溶媒電池
JPS60112258A (ja) * 1983-11-22 1985-06-18 Fuji Elelctrochem Co Ltd 非水電解液電池
JPS61203569A (ja) * 1985-03-05 1986-09-09 Yuasa Battery Co Ltd アルカリ蓄電池用ペ−スト式負極板
US4960655A (en) * 1989-01-27 1990-10-02 Hope Henry F Lightweight batteries
JPH08213049A (ja) * 1995-02-09 1996-08-20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リチウム二次電池
JP2984908B2 (ja) * 1995-09-19 1999-11-29 大電株式会社 二次電池の電極及びそれを有する二次電池
US5747195A (en) * 1996-05-06 1998-05-05 Alamgir; Mohammed Current collectors for high energy density cells
JPH11339774A (ja) 1998-05-26 1999-12-10 Mitsubishi Heavy Ind Ltd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及びその製造方法
US6117593A (en) * 1998-06-15 2000-09-12 Johnson Manufacturing, Llc Current collector manufacture by arc spray deposition
JP2002063938A (ja) * 2000-08-18 2002-02-28 Sony Corp 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129446A (ja) * 2003-10-27 2005-05-19 Hitachi Ltd 電気化学エネルギー貯蔵デバイス
JP4672985B2 (ja) * 2004-01-27 2011-04-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GB2412484B (en) * 2004-07-27 2006-03-22 Intellikraft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electrode structures in batteries
JP2006164810A (ja) * 2004-12-09 2006-06-22 Sanyo Electric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
WO2007118281A1 (en) 2006-04-18 2007-10-25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Flexible energy storage devices
JP5252535B2 (ja) * 2007-09-03 2013-07-31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2009076359A (ja) * 2007-09-21 2009-04-09 Toshiba Corp 燃料電池用担持触媒、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電極および燃料電池
JP5400304B2 (ja) * 2008-01-31 2014-01-29 株式会社オハラ 組電池
JP2009252348A (ja) * 2008-04-01 2009-10-29 Panasonic Corp 非水電解質電池
WO2009131700A2 (en) * 2008-04-25 2009-10-29 Envia Systems, Inc. High energy lithium ion batteries with particular negative electrode compositions
KR101640937B1 (ko) * 2009-11-13 2016-07-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3372A (ko) * 2014-06-13 2015-12-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6114426A1 (ko) * 2015-01-15 2016-07-21 (주)오렌지파워 입체형 전극 어셈블리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180187644A1 (en) * 2015-06-24 2018-07-05 Ingine, Inc. Floating apparatus for wave power generation
KR20210136297A (ko) * 2020-05-07 2021-11-17 한국과학기술원 고분자소재의 기체투과도와 오토클레이브 공정을 이용한 에너지 저장 소재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965108A1 (fr) 2012-03-23
JP2013538002A (ja) 2013-10-07
BR112013003963A2 (pt) 2016-07-12
FR2965108B1 (fr) 2020-02-28
EP2619832B1 (fr) 2015-01-28
RU2013108105A (ru) 2014-10-27
US20130157128A1 (en) 2013-06-20
WO2012038634A1 (fr) 2012-03-29
EP2619832A1 (fr) 2013-07-31
CN103125038A (zh) 2013-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22732B2 (en) Electrode for lithium-ion cell, lithium-ion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for lithium-ion cell
KR20140012015A (ko) 리튬 전지용 전극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8140810A (zh) 二次电池用负极
JP4752574B2 (ja) 負極及び二次電池
US10622625B2 (en) Positive electrode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101914173B1 (ko) 나트륨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나트륨 이차전지
KR20200038168A (ko) 실리콘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N115172654B (zh) 一种补锂负极极片和二次电池
JP4088755B2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
US20180261881A1 (en) High capacity anode electrodes with mixed binders for energy storage devices
CN111213260A (zh) 阳极、阳极制备方法以及锂离子电池
US20150017524A1 (en)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electrode including the same,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electrode
CN112714971B (zh) 锂二次电池用负极活性材料以及包含其的负极和锂二次电池
CN113994512A (zh) 锂二次电池及其制备方法
KR20110019101A (ko) 리튬 분말과 실리콘 옥사이드 이중층 음극,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 전지
JP2013214394A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電極及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102419750B1 (ko) 리튬 이온 배터리 내 신규한 실리콘/그래핀 애노드를 위한 전도성 중합체 결합제
WO2015132845A1 (ja) 全固体電池
US9705135B2 (en) Negative electrode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KR102567400B1 (ko) 이차전지
CN115152058A (zh) 电化学装置和包含其的电子装置
KR101604888B1 (ko)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JP4483560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
KR20190057979A (ko) 양극활물질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양극 및 이를 채용한 이차전지
JP4828118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