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9919A - 디아미드 화합물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 - Google Patents

디아미드 화합물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9919A
KR20130139919A KR1020137009556A KR20137009556A KR20130139919A KR 20130139919 A KR20130139919 A KR 20130139919A KR 1020137009556 A KR1020137009556 A KR 1020137009556A KR 20137009556 A KR20137009556 A KR 20137009556A KR 20130139919 A KR20130139919 A KR 20130139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alate salt
crystalline oxalate
crystalline
hydroxy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9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로슬라브 랍타
벤캣 탈라디
로버트 챠오
Original Assignee
세라밴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라밴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세라밴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139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99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atom, e.g. amri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09Non-condensed quinolines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8Bronchodi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Abstract

본 발명은 비페닐-2-일카르밤산 1-(2-{[4-(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카바모일)부틸]메틸카바모일}에틸)피페리딘-4-일 에스테르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그와 같은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 그와 같은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을 사용하는, 예를 들면, 폐질환을 치료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법; 및 그와 같은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아미드 화합물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Crystalline oxalate salts of a diamide compound}
본 발명은 디아미드 화합물의 신규한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그와 같은 결정형 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그와 같은 결정형 염을 제조하는데 유용한 방법 및 중간체; 및 그와 같은 결정형 염을 사용하는, 예를 들면, 폐질환을 치료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2010년 10월 28일에 공개된 WO 2010/123766 A1은 만성 폐쇄성 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및 천식과 같은 폐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제로서 유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디아미드 화합물을 개시하고 있다. 이 출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식 I에 의해 표시된 화학 구조를 갖는, 비페닐-2-일카르밤산 1-(2-{[4-(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카바모일)부틸]메틸카바모일}에틸)피페리딘-4-일 에스테르이다:
Figure pct00001
폐질환을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치료제는 통상적으로, 건조 분말 흡입기(dry powder inhaler, DPI), 정량 흡입기(metered-dose inhaler, MDI) 또는 네뷸라이저 흡입기(nebulizer inhaler)와 같은 흡입장치를 사용하여 기도 내로 직접적으로 투여된다. 그와 같은 장치에서 사용하기 위한 치료제를 제제화하는 경우, 미분화되거나, 유의한 분해 또는 결정도의 손실 없이 달리 제제화되고 저장될 수 있는 안정한 결정형의 치료제를 갖는 것이 유익하다. 특히, 결정형은 과도한 흡습성이나 조해성이 없어야 한다. 추가로, 결정형은 가공 및 저장하는 동안 열분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비교적 높은 융점(즉, 약 130℃보다 높은 융점)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유기 화합물의 결정형의 형성은 예측하기 매우 어렵다. 결정형이 있다면, 유기 화합물의 어떤 형태가 결정형일지를 예측하기 위한 신뢰할만한 방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결정형이 있다면, 어떤 결정형이 예를 들면, 약학적 흡입 장치에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물리적 특성을 가질 것인지를 예측하는 방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현재, 비페닐-2-일카르밤산 1-(2-{[4-(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카바모일)부틸]메틸카바모일}에틸)피페리딘-4-일 에스테르의 결정형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 화합물의 안정한 결정형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특히, 허용가능한 수준의 흡습성 및 비교적 높은 융점을 갖는, 안정하고 조해성이 없는 결정형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고체 상태의 결정형의, 비페닐-2-일카르밤산 1-(2-{[4-(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카바모일)부틸]메틸카바모일}에틸)피페리딘-4-일 에스테르의 옥살산 부가 염에 관한 것이다. 그와 같은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은 결정형 옥살레이트 이소프로판올 용매화합물 염 및 결정형 옥살레이트 수화물 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은 대기 중 수분에 노출될 경우 조해성이 없고 허용가능한 흡습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은 약 160℃ 이상의 비교적 높은 융점을 갖는다.
따라서, 일 양상에서, 본 발명은 비페닐-2-일카르밤산 1-(2-{[4-(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카바모일)부틸]메틸카바모일}에틸)피페리딘-4-일 에스테르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을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은 11.66±0.20, 15.75±0.20, 19.55±0.20, 23.00±0.20 및 23.45±0.20의 2θ 값에서 회절 피크를 포함하는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이소프로판올 용매화합물이다. 이 결정형 또는 다형체는 형태 1로 표기되었다.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은 15.32±0.20, 16.90±0.20, 19.25±0.20 및 23.73±0.20의 2θ 값에서 회절 피크를 포함하는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물이다. 이 결정형 또는 다형체는 형태 2로 표기되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은 비페닐-2-일카르밤산 1-(2-{[4-(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카바모일)부틸]메틸카바모일}에틸)피페리딘-4-일 에스테르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을 약 80% 내지 약 100%의 상대 습도에 약 1일 내지 약 5일 동안 노출시킴으로써 제조되는 수화물이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a)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 및 (b)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a)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 (b) 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용매화합물; 및 (c)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이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을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은 폐질환의 치료에 사용된다. 특정의 구체예에서, 상기 폐질환은 만성 폐쇄성 폐질환이다. 다른 특정의 구체예에서, 상기 폐질환은 천식이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환자에게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폐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환자에게 (a)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 및 (b) 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용매화합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폐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을 포유동물에게 흡입에 의해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유동물에서 기관지를 확장 (bronchodilation)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의약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타 양상 및 구체예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본 발명은 그의 이소프로판올 용매화합물 및 수화물을 포함하는 결정형 고체 상태 형태의, 비페닐-2-일카르밤산 1-(2-{[4-(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카바모일)부틸]메틸카바모일}에틸)피페리딘-4-일 에스테르의 옥살산 부가 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은 하나 이상의 구별되는 고체 상태의 결정형으로 존재할 수 있고 본 발명은 다르게 지시되지 않는 이상, 결정형의 혼합물을 포함한, 그와 같은 모든 결정형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형태 1로 언급되는 식 I의 화합물의 옥살산 부가 염의 고체 상태의 제1 옥살레이트 결정형을 제공한다. 형태 1은 이소프로판올 용매화합물 형태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형태 2로 언급되는 식 I의 화합물의 옥살산 부가 염의 고체 상태의 제2 옥살레이트 결정형을 제공한다. 형태 2는 수화물이다.
식 I의 화합물은 (R) 배열을 갖는 하나의 키랄 중심을 포함한다. 그러나, 그와 같은 이성질체의 존재에 의해 전체 조성물의 유용성이 제거되지 않는다면, 다르게 지시되지 않는 이상, 적은 양의 (S) 입체이성질체가 본 발명의 조성물 중에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이해될 것이다.
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중간체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MDL® ISIS/Draw software(Symyx, Santa Clara, California)의 오토넘 특징(AutoNom feature)을 이용하여 명명되었다.
정의
본 발명의 화합물, 조성물, 방법 및 공정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하기 용어는 다르게 지시되지 않는 이상 하기의 의미를 갖는다.
용어 "융점(melting point)"은 시차주사열량계에 의해 최대 흡열성 열류(heat flow)가 관찰되는 온도를 의미한다.
용어 "미분화된(micronized)" 또는 "미분화된 형태의(in micronized form)"는 입자의 약 90% 이상이 약 10 ㎛ 미만의 직경을 갖는 입자를 의미한다.
용어 "용매화합물(solvate)"은 하나 이상의 용질 분자 즉, 식 Ⅰ의 화합물의 옥살레이트 염의 분자와 하나 이상의 용매 분자의 복합체 또는 집합체와 같은 회합(association)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용매는 예시로서, 물 및 이소프로판올을 포함한다. 상기 용매가 물일 경우, 형성되는 용매화합물은 수화물이다.
용어 "치료적 유효량(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은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될 경우 치료 효과를 나타내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용어 "치료하는(treating)" 또는 "치료(treatment)"는:
(a) 질병 또는 질환(medical condition)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는 것, 즉 환자 또는 대상의 예방적 치료;
(b) 질병 또는 질환을 호전시키는 것, 즉, 환자에서 질병 또는 질환을 제거하거나 또는 질병 또는 질환의 퇴행을 유발시키는 것;
(c) 질병 또는 질환을 억제시키는 것, 즉, 환자에서 질병 또는 질환의 진행을 늦추거나 또는 정지시키는 것; 또는
(d) 환자에서 질병 또는 질환의 증상을 경감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용어 "단위 투여 제형(unit dosage form)"은 환자에게 투여하는데 적합한 물리적으로 분리된 단위, 즉 단독으로 또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단위와 조합하여 치료 효과를 유발하도록 계산된 치료제의 예정된 양을 포함하는 각각의 단위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그와 같은 단위 투여 제형은 건조 분말 흡입기용 캡슐, 정량 흡입기의 정량된 투여량, 캡슐, 정제, 알약 및 그 등가물이 될 수 있다.
대표적인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
비페닐-2-일카르밤산 1-(2-{[4-(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카바모일)부틸]메틸카바모일}에틸)피페리딘-4-일 에스테르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은 둘 이상의 서로 다른 결정형으로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이러한 결정형은 본 명세서에서 형태 1 및 형태 2로 식별된다.
형태 1은 특히 약 11.66±0.20, 15.75±0.20, 19.55±0.20, 23.00±0.20 및 23.45±0.20의 2θ 값에서 유의한 회절 피크를 갖는 분말 X-선 회절(powder x-ray diffraction, PXRD)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이소프로판올 용매화합물이다. 형태 1은 약 162℃ 내지 약 164℃, 예를 들면, 약 163.3℃에서 흡열성 열류의 피크를 나타내는 시차주사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기록을 갖는다. 형태 1은 식 I의 화합물의 옥살레이트 염의 몰 당량 당, 1.5 몰 당량과 같은, 약 1.25 내지 약 1.75 몰 당량을 포함한, 약 1 내지 약 2 몰 당량의 이소프로판올을 포함한다.
형태 2는 특히 약 15.32±0.20, 16.90±0.20, 19.25±0.20 및 23.73±0.20의 2θ 값에서 유의한 회절 피크를 갖는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물이다. 형태 2는 약 162℃ 내지 약 164℃, 예를 들면, 약 162.6℃에서 흡열성 열류의 피크를 나타내는 시차주사열량계 기록을 갖는다. 형태 2는 식 I의 화합물의 옥살레이트 염의 몰 당량 당, 약 1.5 내지 약 2 몰 당량을 포함한, 약 1 내지 약 3 몰 당량의 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은 일반적으로 식 I의 화합물의 몰 당량 당 약 0.95 내지 약 1.05 몰 당량의 옥살산을 포함한, 식 I의 화합물의 몰 당량 당 약 0.90 내지 약 1.10 몰 당량의 옥살산을 포함한다. 특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옥살산 염은 식 I의 화합물의 몰 당량 당 약 1 몰 당량의 옥살산을 포함한다. 몰 비는 13C NMR, 원소 분석, 이온 분석 또는 HPLC와 같은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결정된다.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은 통상적으로, 옥살산 또는 옥살산 이수화물 및 비페닐-2-일카르밤산 1-(2-{[4-(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카바모일)부틸]메틸카바모일}에틸)피페리딘-4-일 에스테르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옥살산 및 옥살산 이수화물은 예를 들면, Sigma-Aldrich, St. Louis, MO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비페닐-2-일카르밤산 1-(2-{[4-(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카바모일)부틸]메틸카바모일}에틸)피페리딘-4-일 에스테르는 하기 실시예에서 기술되는 과정을 이용하여; 또는 본 출원의 배경기술 부분에서 기술된 공동 양도된 미국 출원에서 기술된 과정을 이용하여,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출발 물질 및 시약으로부터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또는 공정은 실시예에서 제공된다. 통상적으로, 비페닐-2-일카르밤산 1-(2-{[4-(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카바모일)부틸]메틸카바모일}에틸)피페리딘-4-일 에스테르를 희석제 중 1.0 몰 당량과 같은, 약 0.90 내지 약 1.1 몰 당량의 옥살산 또는 옥살산 이수화물과 접촉시킨다. 일반적으로 이 반응은 약 25℃ 내지 약 30℃와 같은, 약 20℃ 내지 약 35℃를 포함한, 약 0℃ 내지 약 60℃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이 반응을 위한 적합한 비활성 희석제는 선택적으로 물을 포함하는, 메탄올, 이소프로판올, 및 그 등가물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선택적으로, 결정화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반응 혼합물을 통상적인 장비를 사용하여 초음파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을 제조하는 공정은 특정의 결정형을 우세하게 생산하기 위해서 선택적으로 시드 결정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형태 2의 시드 결정을 사용함으로써, 결정형 옥살레이트 수화물 염을 시드 결정, 즉 형태 2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를 갖도록 제조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시드 결정은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을 초기에 형성할 때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은 결정형 또는 부분적 결정형을 재결정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시드 결정은 교반하지 않고 냉각시키지 않고 서서히 결정화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예시로서, 시드 결정을 얻기 위해서, 식 I의 화합물을 통상적으로 용해를 제공하는데 충분한 온도에서 희석제 중에 용해시킨다. 예를 들면, 식 I의 화합물을 뜨거운 10% (v/v)의 물을 포함하는 메탄올 중에 용해시킨 후 주위 온도까지 냉각시킨다. 이 용액을 서서히 증발시켜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을 제공한다. 결과로 얻은 결정은 여과 또는 기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분리한다. 대안적으로, 시드 결정은 결정성 물질의 이전 제조로부터 얻을 수 있다.
형태 2의 결정도는 결정성 물질이 높은 습도 하에 주위 온도에서 저장될 경우 개선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예를 들면, 형태 2의 시료를 84%의 상대 습도에서 주위 온도에서 저장할 경우, 결정도는 시료의 PXRD 패턴에 의해 측정할 경우 약 5일에 걸쳐 개선되었다.
조성물, 조합물 및 제제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은 조성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치료제, 담체, 부형제, 희석제, 용매 및 그 등가물과 같은 기타 물질과 조합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은 약학적 조성물 또는 제제를 형성하기 위하여 담체 또는 부형제와 함께 제제화된다. 그와 같은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치료적 유효량의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을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일부 경우에, 약학적 조성물은 치료적 유효량을 초과하여, 예를 들면, 농축된 벌크 조성물; 또는 치료적 유효량 미만으로, 예를 들면, 다회 단위 투여를 위해 의도된 단위 투여량을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의 중량 기준으로, 예를 들면, 중량 기준으로 약 0.05 내지 약 30 퍼센트; 또는 중량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10 퍼센트를 포함한, 약 0.01 내지 약 95 퍼센트를 포함할 것이다.
그와 같은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적인 담체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특정의 담체 또는 부형제, 또는 담체 또는 부형제의 조합의 선택은, 투여 방식, 또는 치료될 질병 또는 질환과 같은 여러 인자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여러 적합한 담체 및 부형제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물질은 Sigma(St. Louis, MO)로부터 구입될 수 있다. 특정 투여 방식에 적합한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물질은, 예를 들면,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20th Edition, Lippincott Williams & White, Baltimore, Maryland (2000); 및 H.C. Ansel et al., Pharmaceutical Dosage Forms and Drug Delivery Systems, 7th Edition, Lippincott Williams & White, Baltimore, Maryland (1999)을 포함한, 약학 기술서에 기술되어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의 대표적인 예는 하기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락토오스, 글루코스, 및 수크로스와 같은 당; (2) 옥수수 전분 및 감자 전분과 같은 전분; (3) 셀룰로오스, 및 소듐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및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와 같은 그의 유도체; (4) 분말형 트라가컨스; (5) 맥아; (6) 젤라틴; (7) 활석; (8) 코코아 버터 및 좌제용 왁스 (suppository wax)와 같은 고체화된 오일 및 왁스; (9) 낙화생유, 면실유, 홍화유, 참기름, 올리브유, 옥수수유 및 대두유와 같은 (실온에서) 액상 오일; (10)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글리콜; (11) 글리세린, 소르비톨, 만니톨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폴리올; (12) 에틸 올리에이트 및 에틸 라우레이트와 같은 에스테르; (13) 한천; (14) 마그네슘 하이드록시드 및 알루미늄 하이드록시드와 같은 완충제; (15) 알긴산; (16) 발열원 불포함수(pyrogen-free water); (17) 등장 식염수; (18) 링거액; (19) 에틸 알코올; (20) 인산염 완충 용액; (21) 클로로플루오로카본 및 히드로플루오로카본과 같은 압축된 추진제 가스; 및 (22) 약학적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기타 무-독성 적합 물질 (non-toxic compatible substance).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 기타 선택적 성분과 함께 본원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을 철저하고 완전하게 혼합하거나 또는 블렌딩함으로써 제조된다. 필요하거나 또는 바람직하다면, 결과로 얻은 균일하게 블렌딩된 혼합물은 통상적인 과정 및 장비를 사용하여 정제, 캡슐, 알약, 캐니스터, 카트리지, 분배기 및 그 등가물로 제형화되거나 적재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약학적 조성물은 흡입 투여에 적합하다. 흡입 투여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에어로졸 또는 분말의 형태이다. 그와 같은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정량 흡입기(MDI), 건조 분말 흡입기(DPI), 네뷸라이저 흡입기, 또는 유사한 전달 장치와 같은 흡입기 전달 장치를 사용하여 투여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약학적 조성물은 건조 분말 흡입기를 사용하여 흡입에 의해 투여된다. 그와 같은 건조 분말 흡입기는 흡기 동안 환자의 기류(air-stream) 내에 분산되는 자유-유동성 분말(free-flowing powder)로서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한다. 자유-유동성 분말 조성물을 얻기 위하여, 치료제는 통상적으로 락토오스, 전분, 만니톨, 덱스트로스,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PLA), 폴리락티드-코-글리콜리드(polylactide-co-glycolide, PLGA) 또는 그의 조합물과 같은 적합한 부형제와 함께 제제화된다. 통상적으로, 치료제는 흡입에 적합한 조성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미분화되고 적합한 담체와 조합된다. 따라서,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은 미분화된 형태이다.
건조 분말 흡입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대표적인 약학적 조성물은 락토오스 및 미분화된 형태의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을 포함한다. 그와 같은 건조 분말 조성물은 예를 들면, 건식 제분 락토오스와 치료제를 조합한 후 구성 성분을 건식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그 후 조성물을 통상적으로 건조 분말 분배기, 또는 건조 분말 전달 장치에서 사용하기 위한 흡입 카트리지 또는 캡슐 내에 적재한다.
흡입에 의해 치료제를 투여하는데 적합한 건조 분말 흡입기 전달 장치는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고 그와 같은 장치의 예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대표적인 건조 분말 흡입기 전달 장치 또는 제품은 Aeolizer (Novartis); Airmax (IVAX); ClickHaler (Innovata Biomed); Diskhaler (GlaxoSmithKline); Diskus/Accuhaler (GlaxoSmithKline); Easyhaler (Orion Pharma); Eclipse (Aventis); FlowCaps (Hovione); Handihaler (Boehringer Ingelheim); Pulvinal (Chiesi); Rotahaler (GlaxoSmithKline); SkyeHaler/Certihaler (SkyePharma); Twisthaler (Schering-Plough); Turbuhaler (AstraZeneca); Ultrahaler (Aventis); 및 그 등가물을 포함한다.
다른 특정의 구체예에서, 약학적 조성물은 정량 흡입기를 사용하여 흡입에 의해 투여된다. 그와 같은 정량 흡입기는 통상적으로 압축된 추진제 가스를 사용하여 치료제의 측정된 양을 분사한다. 따라서, 정량 흡입기를 사용하여 투여되는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액화된 추진제 중 치료제의 용액 또는 현탁액을 포함한다.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HFA 134a) 및 1,1,1,2,3,3,3-헵타플루오로-n-프로판(HFA 227)과 같은 히드로플루오로알칸(HFAs); 및 CCl3F와 같은 클로로플루오로카본을 포함한, 적합한 액화된 추진제가 이용될 수 있다. 특정의 구체예에서, 추진제는 히드로플루오로알칸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히드로플루오로알칸 제제는 에탄올 또는 펜탄과 같은 공-용매(co-solvent), 및/또는 소르비탄 트리올리에이트, 올레산, 레시틴, 및 글리세린과 같은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정량 흡입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대표적인 약학적 조성물은 중량 기준으로 약 0.01% 내지 약 5%의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 중량 기준으로 약 0% 내지 약 20%의 에탄올; 및 중량 기준으로 약 0% 내지 약 5%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그 나머지는 HFA 추진제이다. 그와 같은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냉각된 또는 가압된 히드로플루오로알칸을, 치료제, 에탄올(존재하는 경우), 및 계면 활성제(존재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적합한 용기에 첨가함으로써 제조된다. 현탁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치료제는 미분화시키고, 그 후 추진제와 조합한다. 그 후, 조성물을 통상적으로 정량 흡입기 장치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에어로졸 캐니스터에 적재한다.
흡입에 의해 치료제를 투여하는데 적합한 정량 흡입기 장치는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고 그와 같은 장치의 예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대표적인 정량 흡입기 장치 또는 제품은 AeroBid Inhaler System (Forest Pharmaceuticals); Atrovent Inhalation Aerosol (Boehringer Ingelheim); Flovent (GlaxoSmithKline); Maxair Inhaler (3M); Proventil Inhaler (Schering); Serevent Inhalation Aerosol (GlaxoSmithKline); 및 그 등가물을 포함한다.
다른 특정의 구체예에서, 약학적 조성물은 네뷸라이저 흡입기를 사용하여 흡입에 의해 투여된다. 그와 같은 네뷸라이저 장치는 통상적으로 약학적 조성물이 환자의 호흡기내로 운반될 분무(mist)로 분사되게 하는 고속의 공기 흐름을 생성한다. 따라서, 네뷸라이저 흡입기에서 사용을 위해 제제화되는 경우, 치료제를 용액을 형성하기 위해 적합한 담체에 용해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치료제를 미분화시키고 적합한 담체와 조합하여 미분화된 입자의 현탁액을 형성할 수 있다.
네뷸라이저 흡입기에서 사용을 위한 대표적인 약학적 조성물은 미분화된 형태의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의 약 0.05 ㎍/㎖ 내지 약 10 ㎎/㎖을 포함하는 등장성 수성 현탁액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용액은 약 4 내지 약 6의 pH를 갖는다.
흡입에 의해 치료제를 투여하는데 적합한 네뷸라이저 장치는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고 그와 같은 장치의 예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대표적인 네뷸라이저 흡입기 장치 또는 제품은 Respimat Softmist Inhalaler (Boehringer Ingelheim); AERx Pulmonary Delivery System (Aradigm Corp.); PARI LC Plus Reusable Nebulizer (Pari GmbH); 및 그 등가물을 포함한다.
원한다면,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은 하나 이상의 기타 치료제와 조합되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상에서,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은 물리적으로 다른 치료제와 혼합되어 두 치료제를 모두 함유하는 조성물을 형성하거나; 또는 각 치료제가 환자에게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별도로 투여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은 통상적인 과정 및 장치를 사용하여 제2 치료제와 혼합되어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 및 제2 치료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추가로, 치료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와 조합되어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 제2 치료제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구체예에서, 조성물의 구성 성분은 통상적으로 혼합되거나 블렌딩되어 물리적 혼합물을 생성한다. 그 후 물리적 혼합물은 본 명세서에 기술한 경로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투여된다.
대안적으로, 치료제는 환자에게 투여하기 전 별도의 구분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 구체예에서, 치료제는 투여 전에 물리적으로 함께 혼합되지 않으나, 별도의 제제 또는 조성물로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은 각 치료제를 위해 별도의 구획 (예를 들면, 블리스터 팩(blister pack))을 이용하는 흡입 전달 장치를 사용하여 다른 치료제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흡입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조합물은 별도의 전달 장치, 즉, 각 치료제에 대한 하나의 전달 장치를 사용하여 투여될 수 있다. 추가로, 치료제는 서로 다른 투여 경로로 전달될 수 있고, 즉, 하나는 흡입에 의한 경로로 전달되고, 나머지는 경구 투여에 의한 경로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옥살레이트 결정형 염과 양립될 수 있는 치료제는 상기 염과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특정의 구체예에서, 제2 치료제는 흡입에 의해 효과적으로 투여되는 것이다. 예시로서, 사용될 수 있는 치료제의 대표적인 유형은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및 글루코코르티코이드를 포함한) 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agents, NSAIDs), 및 PDE4 저해제; PDE3 저해제, 아데노신 2b 조절제 및 β2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효능제와 같은 기관지확장제; 그람-양성 항생제, 그람-음성 항생제, 및 항바이러스제와 같은 항-감염제; 항히스타민제; 프로테아제 저해제; D2 효능제 및 뉴로키닌 조절제와 같은 구심성 차단제(afferent blocker); 및 무스카린 수용체 길항제(항콜린제)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와 같은 치료제의 다수의 예가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기타 치료제를 위한 적합한 투여량이 또한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약 0.05 ㎍/일 내지 약 500 ㎎/일이다. 일 구체예에서, 제2 치료제는 폐질환을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특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은 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와 조합되어 투여된다. 대표적인 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는 베클로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 부데소니드; 부틱소코르트 프로피오네이트; 20R-16α,17α-[부틸리덴비스(옥시)]-6α,9α-디플루오로-11β-히드록시-17β-(메틸티오)안드로스타-4-엔-3-온 (RPR-106541); 시클레소니드; 덱사메타손; 6α,9α-디플루오로-17α-[(2-푸라닐카르보닐)옥시]-11β-히드록시-16α-메틸-3-옥소안드로스타-1,4-디엔-17β-카르보티오산 S-플루오로메틸 에스테르; 6α,9α-디플루오로-11β-히드록시-16α-메틸-17α-[(4-메틸-1,3-티아졸-5-카르보닐)옥시]-3-옥소안드로스타-1,4-디엔-17β-카르보티오산 S-플루오로메틸 에스테르; 6α,9α-디플루오로-11β-히드록시-16α-메틸-3-옥소-17α-프로피오닐옥시안드로스타-1,4-디엔-17β-카르보티오산 (S)-(2-옥소테트라히드로퓨란-3S-일) 에스테르; 플루니솔리드; 플루티카손 푸로에이트;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메틸 프레드니솔론; 모메타손 푸로에이트; 프레드니솔론; 프레드니손; 로플레포니드; ST-126;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 및 그 등가물, 및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용매화합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와 같은 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거나 통상적인 과정 및 시약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의 제조 및 용도는 2003년 3월 25일에 발행된 미국 특허번호 6,537,983; 2004년 6월 15일에 발행된 미국 특허번호 6,750,210 B2; 2004년 6월 6일에 발행된 미국 특허번호 6,759,398 B2; 2005년 2월 22일에 발행된 미국 특허번호 6,858,596 B2; 2006년 9월 5일에 발행된 미국 특허번호 7,101,866 B2; 및 그에 참조된 문헌에 기술되어 있다.
이용되는 경우, 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는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과 함께 공동 투여되는 경우 치료적으로 유익한 효과를 생성하는 양으로 통상적으로 투여된다. 통상적으로, 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는 투여 당 약 0.05 ㎍ 내지 약 500 ㎍의 작용제를 제공하는데 충분한 양으로 투여될 것이다.
대표적인 약학적 조성물은 하기 예시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 건조 분말 조성물
본 발명의 미분화된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100 mg)을 건식 제분 락토오스(25 g)와 블렌딩한다. 그 후 블렌딩된 혼합물을 껍질을 벗길 수 있는 블리스터 팩의 개별 블리스터 내에 투여량 당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의 약 10 ㎍ 내지 약 500 ㎍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적재한다. 블리스터의 내용물은 건조 분말 흡입기를 사용하여 투여된다.
B: 건조 분말 조성물
본 발명의 미분화된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1 g)을 건식 제분 락토오스(200 g)와 블렌딩하여 1:200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 대 락토오스의 중량비를 갖는 벌크 조성물을 형성한다. 블렌딩된 조성물을 투여량 당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의 약 10 ㎍ 내지 약 500 ㎍을 전달할 수 있는 건조 분말 흡입 장치 내에 채운다.
C: 건조 분말 조성물
본 발명의 미분화된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100 mg) 및 미분화된 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500 mg)를 건식 제분 락토오스(30 g)와 블렌딩한다. 그 후 블렌딩된 혼합물을 껍질을 벗길 수 있는 블리스터 팩의 개별 블리스터 내에 투여량 당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의 약 10 ㎍ 내지 약 500 ㎍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적재한다. 블리스터의 내용물은 건조 분말 흡입기를 사용하여 투여된다.
D. 정량 흡입기 조성물
본 발명의 미분화된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10 g)을 탈염수(demineralized water)(200 mL) 중에 레시틴(0.2 g)을 용해함으로써 제조된 용액 중에 분산시킨다. 결과로 얻어진 현탁액을 분무 건조시키고 미분화시켜 약 1.5 μm 미만의 평균 직경을 갖는 입자를 포함하는 미분화된 조성물을 형성한다. 그 후 미분화된 조성물을, 정량 흡입기에 의해 투여될 경우 투여량 당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의 약 10 ㎍ 내지 약 500 ㎍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가압된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을 함유하는 정량 흡입기 카트리지 내에 적재한다.
유용성
비페닐-2-일카르밤산 1-(2-{[4-(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카바모일)부틸]메틸카바모일}에틸)피페리딘-4-일 에스테르는 β2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효능제 및 무스카린 수용체 길항제 활성을 모두 갖고 따라서, 이 화합물의 옥살레이트 염은 β2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또는 무스카린 수용체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 즉, β2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효능제 또는 무스카린 수용체 길항제로 치료함으로써 호전되는 질환을 치료하는 치료제로서 유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와 같은 질환은 예를 들면, Eglen et al., Muscarinic Receptor Subtypes: Pharmacology and Therapuetic Potential, DN&P 10(8), 462-469 (1997); Emilien et al., Current Therapeutic Uses and Potential of beta-Adrenoceptor Agonists and Antagonists, European J. Clinical Pharm., 53(6), 389-404 (1998); 및 그에 참조된 문헌의 개시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그와 같은 의학적 상태는, 예시로서, 만성 폐쇄성 폐질환, 천식, 기관지염, 폐기종, 폐섬유화증 및 그 등가물과 같은 폐질환 또는 가역적 기도 폐쇄와 연관된 질환을 포함한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 또는 COPD는, Barnes,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N. Engl. J. Med., 2000: 343:269-78, 및 그에 참조된 문헌의 개시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만성 폐쇄성 기관지염 및 폐기종을 포함한, 여러 호흡기 상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다. 기타 상태는 조기 분만, 우울증, 울혈성 심부전증, 피부병 (예를 들면, 염증성, 알레르기성, 건선 및 증식성 피부질환), 소화기 산도 저하가 바람직한 상태들 (예를 들면, 소화성 궤양 및 위궤양), 및 근소모성질환(muscle wasting disease)을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 본 발명은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은 만성 폐쇄성 폐질환 또는 천식과 같은, 폐질환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폐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될 경우,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은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된다. 일 구체예에서,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은 흡입에 의해 투여된다.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은 일일 복수회 투여량으로 (예를 들면, b.i.d. 또는 t.i.d.), 일일 단일 투여량으로 (예를 들면, q.d.), 주별 단일 투여량으로, 또는 필요한 만큼 투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폐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투여량은 약 10 ㎍/일 내지 약 1,000 ㎍/일 일 것이다.
흡입에 의해 포유동물에게 투여될 경우,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은 통상적으로 기관지확장을 유발하고 따라서,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은 사람, 개, 기니피그, 쥐 및 그 등가물과 같은 포유동물에서 기관지확장을 유발하기 위한 제제로서 유용하다. 이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은 통상적으로 기관지확장을 유발하는 양으로 포유동물에게 흡입에 의해 투여된다. 일반적으로, 기관지확장을 유발하는 투여량은 약 0.25 ㎍/kg 내지 약 20 ㎍/kg 일 것이다.
치료제로 사용되는 경우,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기타 치료제와 조합되어 투여된다. 특히,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을 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와 함께 투여함으로써, 3중 폐 치료법, 즉, β2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효능제 활성, 무스카린 수용체 길항제 활성 및 항-염증 활성이 단지 두 가지 치료제를 이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두 가지 치료제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조합물)은 통상적으로 세 가지 치료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비해 제제화하고 및/또는 투여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그와 같은 이 성분의 조성물은 세 가지 치료제를 함유하는 조성물보다 유의한 이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특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조합물 및 방법은 추가로 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용매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의 특성 및 유용성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는 여러 인 비트로 및 인 비보 어세이를 사용하여 입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표적인 분석이 하기 실시예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양태가 수반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비페닐-2-일카르밤산 1-(2-{[4-(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카바모일)부틸]-메틸카바모일}에틸)피페리딘-4-일 에스테르의 옥살레이트 이소프로판올 용매화합물 염의 결정형 (형태 1)에 대한 분말 x-선 회절(PXRD) 패턴을 나타낸다.
도 2는 비페닐-2-일카르밤산 1-(2-{[4-(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카바모일)부틸]메틸카바모일}에틸)피페리딘-4-일 에스테르의 옥살레이트 이소프로판올 용매화합물 염의 결정형 (형태 1)에 대한 시차주사열량계(DSC) 기록을 나타낸다.
도 3은 비페닐-2-일카르밤산 1-(2-{[4-(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카바모일)부틸]-메틸카바모일}에틸)피페리딘-4-일 에스테르의 옥살레이트 이소프로판올 용매화합물 염의 결정형 (형태 1)에 대한 열중량분석(thermal gravimetric analysis, TGA) 기록을 나타낸다.
도 4는 비페닐-2-일카르밤산 1-(2-{[4-(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카바모일)부틸]-메틸카바모일}에틸)피페리딘-4-일 에스테르의 옥살레이트 수화물 염의 결정형 (형태 2)에 대한 분말 x-선 회절(PXRD) 패턴을 나타낸다.
도 5는 비페닐-2-일카르밤산 1-(2-{[4-(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카바모일)부틸]-메틸카바모일}에틸)피페리딘-4-일 에스테르의 옥살레이트 수화물 염의 결정형 (형태 2)에 대한 시차주사열량계(DSC) 기록을 나타낸다.
도 6은 비페닐-2-일카르밤산 1-(2-{[4-(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카바모일)부틸]-메틸카바모일}에틸)피페리딘-4-일 에스테르의 옥살레이트 수화물 염의 결정형(형태 2)에 대한 열중량분석(TGA) 기록을 나타낸다.
도 7은 비페닐-2-일카르밤산 1-(2-{[4-(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카바모일)부틸]메틸카바모일}에틸)피페리딘-4-일 에스테르의 옥살레이트 수화물 염의 결정형 (형태 2)에 대한 동적 흡습(dynamic moisture sorption, DMS) 기록을 나타낸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여러 대표적인 구체예 및 양상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고 특별히 지시되지 않는 이상 어떠한 방식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모든 시약, 출발 물질 및 용매는 (Sigma-Aldrich Chemical Company, St. Louis, MO와 같은) 상업적인 공급원으로부터 구입하고 다르게 지시되지 않는 이상 추가의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희석제에 대해 하기 약자를 사용한다: DCM = 디클로로메탄; DMF = N,N-디메틸포름아미드; DMSO = 디메틸 술폭시드; EtOAc = 에틸 아세테이트; MeOH = 메탄올; 및 THF = 테트라히드로퓨란.
다르게 지시되지 않는 이상, 1H NMR 스펙트럼은 400 MHz Varian AS400 분광계에서 기록되었다. 화학적 이동은 내부 표준시료로서 테트라메틸실란(TMS)에 비교하여 δ 값을 ppm으로 기록한다. 결합 상수(J 값)는 헤르츠(Hz)로 주어지고 다중도는 하기 약어를 사용하여 기록한다: s = 싱글렛(singlet), d = 더블렛(doublet), t = 트리플렛(triplet), q = 쿼텟(quartet), m = 멀티플렛(multiplet), br = 광범위한(broad), nd = 결정되지 않은(not determined).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질량 분석기 ( LC - MS ) 조건
Agilent 1100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G1312A Binary Pump(Agilent Technologies), ZORBAX Rapid Resolution 3.5 μm Rx, Bonus-RP 컬럼(3.5 μm 입자 크기; 2.1 mm x 50 mm) (Agilent Technologies) 및 API 150EX Single Quadrupole LC/MS 질량 분석기(Perkin-Elmer Sciex Instruments)를 사용하여 LC-MS 데이터를 얻었다. 사용된 용매 시스템은 하기와 같았다:
용매 A: 98 % 물 및 2 % 아세토니트릴 (v/v) + 1 mL/L TFA
용매 B: 90 % 아세토니트릴 및 10 % 물 (v/v) + 1 mL/L TFA
유속: 500 μL/분
구배: (방법 10-90): 3분 동안 10 % B에서 90 % B까지
(방법 2-90): 3분 동안 2 % B에서 90 % B까지
(방법 10-70): 3분 동안 10 % B에서 70 % B까지
HPLC 조건
HP 1100 Series HPLC 시스템 (Agilent Technologies) 및 ZORBAX Rapid Resolution 3.5 μm Rx, Bonus-RP 컬럼 (3.5 μm 입자 크기; 2.1 mm x 50 mm) (Agilent Technologies) 또는 Ascentis Express C18 HPLC 컬럼 (2.7 μm 입자 크기, 3.0 mm x 3 cm)을 사용하여 HPLC를 수행하였다. 사용된 용매 시스템은 하기와 같았다:
용매 A: 98 % 물 및 2 % 아세토니트릴 (v/v) + 1 mL/L TFA
용매 B: 90 % 아세토니트릴 및 10 % 물 (v/v) + 1 mL/L TFA
유속: 500 μL/분
구배: (방법 10-50): 6분 동안 10 % B에서 50 % B까지
(방법 10-70): 6분 동안 10 % B에서 70 % B까지
(방법 2-90): 6분 동안 2 % B에서 90 % B까지
실시예 1
3-[4-(비페닐-2- 일카바모일옥시 )피페리딘-1-일]프로피온산의 제조
DCM(500 mL) 중 비페닐-2-일카르밤산 피페리딘-4-일 에스테르(50.0 g, 168.7 mmol) (예를 들면, 2006년 2월 16일에 공개된 미국 특허공개 2006/0035931 A1 참조) 및 아크릴산(15.1 mL, 219.3 mmol)의 교반된 용액을 밤새도록 50℃에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소된 압력하에서 농축하고 잔여물을 MeOH(600 mL) 중에 용해시켰다. 결과로 얻은 용액을 75℃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한 후 실온에서 약 48시간 동안 놓아두었다. 결과로 얻은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MeOH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61.5 g, 99 % 수율).
실시예 2
메틸 5- 메틸아미노펜타노에이트 히드로클로리드의 제조
소듐 하이드록시드 수용액(4 M, 11.0 mL, 44.0 mmol) 중 1-메틸-2-피페리딘온(4.40 mL, 40.0 mmol)의 교반된 용액을 15시간 동안 100℃에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농축된 염산으로 pH 2로 산성화하였다. 그 후 혼합물을 감소된 압력하에서 농축하여 조(crude) 5-메틸아미노펜탄산을 분홍빛이 도는 백색 고체로 얻었다. 상기 조 5-메틸아미노펜탄산에 MeOH(40.0 mL, 987 mmol) 및 농축된 염산(0.33 mL, 4.0 mmol)을 첨가하였다. 결과로 얻은 탁한 용액을 LC-MS에 의해 남아있는 출발 물질이 나타나는 때인 39시간 동안 60℃에서 가열하였다. 추가의 농축된 염산(0.33 mL, 4.0 mmol)을 첨가하고, 결과로 얻은 혼합물을 33시간 동안 60℃에서, 그 후 추가로 24시간 동안 65℃에서 가열하였다. LC-MS는 남아있는 출발 물질을 나타내었다. 반응 혼합물을 감소된 압력하에서 농축하고 잔여물에 MeOH 중 염산 용액(1.25 M)을 첨가하였다. 결과로 얻은 혼합물을 LC-MS에 의해 남아있는 출발 물질이 관찰되지 않는 때인 72시간 동안 60℃에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소된 압력하에서 부분적으로 농축하고 형성된 고체 물질을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MeOH로 세척하였다. 그 후 여과물을 감소된 압력하에서 농축하여 메틸 5-메틸아미노펜타노에이트 히드로클로리드(7.57 g, 100 % 수율)를 옅은 황색 고체로 얻었다.
LC-MS (방법 2-90): Rt 1.10 분; m/z 146.4 [M + H]+. 1H NMR (CD3OD) δ 4.86 (s), 3.66 (s), 3.30 (t), 3.00 (t), 2.69 (s), 2.41 (t), 1.71 (m).
실시예 3
5-({3-[4-(비페닐-2- 일카바모일옥시 )피페리딘-1-일] 프로피오닐 } 메틸아미노 )펜탄산 메틸 에스테르의 제조
DCM(160 mL) 및 2,6-루티딘(12.5 mL, 108 mmol) 중 메틸 5-메틸아미노펜타노에이트 히드로클로리드(7.27 g, 40.0 mmol), 3-[4-(비페닐-2-일카바모일옥시)피페리딘-1-일]프로피온산(13.3 g, 36.0 mmol) 및 1-히드록시-7-아자벤조트리아졸(5.14 g, 37.8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리드(10.4 g, 54.0 mmol)를 첨가하고 결과로 얻은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포화 수용액(~100 mL)을 첨가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층을 DCM(50 mL)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합치고, 소듐 술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소된 압력하에서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실리카 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 30-100 % EtOAc; 그 후 DCM 중 2-10 % MeOH)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2.38 g, 69 % 수율)을 옅은 노란색의 진한 오일/백색 고체로 얻었다.
LC-MS (방법 2-90): Rt 2.43 분; m/z 496.6 [M + H]+. 1H NMR (CDCl3) δ 8.10 (d, 1H), 7.40 (m, 6H), 7.20 (m, 2H), 6.58 (s, 1H), 4.74 (m, 1H), 3.66 (d, 3H), 3.37 (t, 1H), 3.29 (m, 1H), 2.97 (s, 2H), 2.91 (s, 1H), 2.70 (m, 4H), 2.49 (m, 2H), 2.34 (m, 4H), 1.92 (m, 2H), 1.60 (m, 5H).
실시예 4
5-({3-[4-(비페닐-2- 일카바모일옥시 )피페리딘-1-일] 프로피오닐 } 메틸아미노 )펜탄산의 제조
5-({3-[4-(비페닐-2-일카바모일옥시)피페리딘-1-일]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펜탄산 메틸 에스테르(10.21 g, 20.60 mmol), 터트-부틸 알코올(20 mL) 및 물(20 mL)의 혼합물에 LiOH:물의 1:1 혼합물(1.97 g, 41.2 mmol)을 첨가하였다. 결과로 얻은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 후 혼합물의 pH를 염산 수용액(1 N)을 사용하여 약 pH 2로 조정하였다. 수성층을 DCM(2 x ~80 mL)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합치고, 소듐 술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소된 압력 하에서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12.23 g, 정량적)을 (잔여 터트-부틸 알코올을 함유하는) 황백색의 거품같은 고체(off-white foamy solid)로 얻었다.
LC-MS (방법 2-90): Rt 2.32 분; m/z 482.4 [M + H]+.
실시예 5
2-(4- 니트로페닐 )-1,3- 디옥솔란의 제조
톨루엔(800 mL) 중 p-니트로벤즈알데히드(101.5 g, 672 mmol), 에틸렌 글리콜(112 mL) 및 p-톨루엔술폰산(12.8 g, 67.2 mmol)의 교반된 용액을 딘 스탁 트랩(Dean-Stark trap)이 구비된 플라스크 내에서 4시간 동안 120℃에서 가열하였다.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감소된 압력하에서 농축하였다. 잔여물에 포화된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수용액(800 mL)을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결과로 얻은 고체를 여과에 의해 분리하고 진공하에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121.8 g, 92 % 수율)을 황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DMSO-d6): δ = 8.12 (d, 2H), 7.59 (d, 2H), 5.78 (s, 1H), 3.8-4.0 (m, 4H).
실시예 6
4-(1,3- 디옥솔란 -2-일) 페닐아민의 제조
건조한 질소 하에서 플래티늄 디옥시드(227 mg, 1.00 mmol) 및 소듐 바이카보네이트(420 mg, 5.00 mmol)의 혼합물에 EtOH(30.0 mL) 중 2-(4-니트로페닐)-1,3-디옥솔란(976 mg, 5.00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수소로 15분 동안 기포를 발생시키고(bubble) 수소 대기(풍선)하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MeOH로 세척한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감소된 압력하에서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80 g, 96 % 수율)을 얻었다.
실시예 7
비페닐-2- 일카르밤산 1-(2-{[4-(4-(1,3- 디옥솔란 -2-일)- 페닐카바모일 )부틸]메틸카바모일}에틸)피페리딘-4-일 에스테르의 제조
DCM(48.4 mL) 중 5-({3-[4-(비페닐-2-일카바모일옥시)피페리딘-1-일]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펜탄산(2.33 g, 4.84 mmol), 4-(1,3-디옥솔란-2-일)페닐아민(800 mg, 5 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1.26 mL, 7.26 mmol)의 교반된 용액에 1-히드록시-7-아자벤조트리아졸(692 mg, 5.08 mmol) 및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리드(1.39 g, 7.26 mmol)를 첨가하였다. 결과로 얻은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도록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포화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소듐 술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소된 압력하에서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 (3.04 g, 100 % 수율)을 황색 고체로 얻었다.
LC-MS (방법 10-70): Rt 2.67 분; m/z 629.6 [M + H]+.
실시예 8
비페닐-2- 일카르밤산 1-(2-{[4-(4- 포르밀페닐카바모일 )부틸] 메틸카바모일 }에틸)피페리딘-4-일 에스테르의 제조
염산 수용액(1 M, 10 mL) 및 아세토니트릴(10 mL) 중 비페닐-2-일카르밤산 1-(2-{[4-(4-(1,3-디옥솔란-2-일)페닐카바모일)부틸]메틸카바모일}에틸)피페리딘-4-일 에스테르(3.04 g, 4.84 mmol)의 교반된 혼합물을 2시간 동안 50℃에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소된 압력하에서 농축하고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포화 수용액 및 DCM을 잔여물에 첨가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유기층을 소듐 술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소된 압력하에서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 (2.83 g, 100 % 수율)을 얻었다.
LC-MS (방법 10-70): Rt 2.67 분; m/z 585.4 [M + H]+.
실시예 9
비페닐-2- 일카르밤산 1-(2-{[4-(4-{[(R)-2-( 터트 - 부틸디메틸실라닐옥시 )-2-(8-히드록시-2-옥소-1,2- 디히드로퀴놀린 -5-일) 에틸아미노 ] 메틸 }- 페닐카바모일 )부틸] 메틸카바모일 }에틸)피페리딘-4-일 에스테르의 제조
MeOH:DCM의 1:1 혼합물(40.0 mL, 312 mmol) 중 비페닐-2-일카르밤산 1-(2-{[4-(4-포르밀-페닐카바모일)부틸]메틸카바모일}에틸)피페리딘-4-일 에스테르(2.83 g, 4.84 mmol) 및 5-[(R)-2-아미노-1-(터트-부틸디메틸실라닐옥시)에틸]-8-히드록시-1H-퀴놀린-2-온 아세트산 염(1.91 g, 4.84 mmol)의 교반된 용액에 소듐 트리아세트옥시보로히드리드(3.08 g, 14.5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층을 분리하였다. 유기층을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포화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소듐 술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소된 압력 하에서 농축하여 황색 고체를 얻었다. 고체를 실리카 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DCM 중 0-30 % MeOH + 0.5% NH4OH)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60 g, 82 % 수율)을 황색 고체로 얻었다.
LC-MS (방법 10-70): Rt 2.72 분; m/z 903.8 [M + H]+.
실시예 10
비페닐-2- 일카르밤산 1-(2-{[4-(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 히드로퀴 놀린-5-일) 에틸아미노 ] 메틸 } 페닐카바모일 )-부틸] 메틸카바모일 }에틸)피페리딘-4-일 에스테르 디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염의 제조
DCM:DMF의 9:1 혼합물(32.9 mL) 중 비페닐-2-일카르밤산 1-(2-{[4-(4-{[(R)-2-(터트-부틸디메틸실라닐옥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카바모일)부틸]메틸카바모일}에틸)피페리딘-4-일 에스테르(3.60 g, 3.98 mmol)의 교반된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트리히드로플루오리드(1.95 mL, 12.0 mmol)를 첨가하였다. 결과로 얻은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도록 교반한 후 감소된 압력하에서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HPLC (방법 10-70)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90 g, 46 % 수율)을 백색 고체로 얻었다.
LC-MS (방법 10-70): Rt 2.12 분; m/z 789.6 [M + H]+.
실시예 11
비페닐-2- 일카르밤산 1-(2-{[4-(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 히드로퀴 놀린-5-일) 에틸아미노 ] 메틸 } 페닐카바모일 )부틸] 메틸카바모일 }에틸)피페리딘-4-일 에스테르 디히드로플루오르산 염의 제조
DCM(20 mL) 및 DMF(2.5 mL)의 혼합물 중 비페닐-2-일카르밤산 1-(2-{[4-(4-{[(R)-2-(터트-부틸디메틸실라닐옥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카바모일)부틸]메틸카바모일}에틸)피페리딘-4-일 에스테르(3.87 g, 4.28 mmol)의 교반된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트리히드로플루오리드(2.1 mL, 13 mmol)를 첨가하였다. 결과로 얻은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도록 교반하였다. DCM(68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한 후, 교반하면서, EtOAc(68 mL)을 적상으로 첨가하였다. 엷게 착색된 침전물이 슬러리(slurry)를 생성하며 형성되었다. 슬러리 혼합물을 중다공성 프릿화 유리(medium porosity fritted glass)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필터 케익(filter cake)을 EtOAc (2 x 10 mL)로 세정한 후 질소 프레스(nitrogen press) 상에서 누름 건조시켜(press dry) 표제 화합물(3.73 g, 99 % 수율)을 얻었다.
실시예 12
비페닐-2- 일카르밤산 1-(2-{[4-(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 히드로퀴 놀린-5-일) 에틸아미노 ] 메틸 } 페닐카바모일 )부틸] 메틸카바모일 }에틸)피페리딘-4-일 에스테르의 제조
MeOH 중 10% 0.5 M 암모늄 히드록시드를 함유하는 DCM 용액 중 비페닐-2-일카르밤산 1-(2-{[4-(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카바모일)부틸]메틸카바모일}에틸)피페리딘-4-일 에스테르 디히드로플루오르산 염(15.2 g, 16.7 mmol)의 용액(150 mL의 전체 용액)을 MeOH 중 10% 0.5 M 암모늄 히드록시드를 함유하는 DCM 용액(200 mL)으로 먼저 적신 소결형(coarse fritted) 유리 깔때기 내 실리카 겔(80 g) 상에 적재하였다. 실리카 겔을 MeOH 중 20% 0.5 M 암모늄 히드록시드를 함유하는 DCM 용액(1 x 1000 mL); 및 그 후 MeOH 중 25% 0.5 M 암모늄 히드록시드를 함유하는 DCM 용액(1 x 1000 mL)으로 세정하였다. 여과물을 감소된 압력하에서 농축시켜 황색 유리질 고체(glassy solid)(13.6 g)를 얻었다. 이 물질을 DCM(600 mL)에 용해시키고 결과로 얻은 용액을 프릿화 유리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필터를 DCM으로 세척하였다(3 x 150 mL). 여과물을 감소된 압력하에서 농축하고 잔여물을 유조(oil bath)를 사용하여 50℃까지 가온하고 밤새도록 고진공하에 두어 (약 6 중량%의 DCM을 함유한) 표제 화합물(12.7 g)을 얻었다.
실시예 13
비페닐-2- 일카르밤산 1-(2-{[4-(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 히드로퀴 놀린-5-일) 에틸아미노 ] 메틸 } 페닐카바모일 )부틸] 메틸카바모일 }에틸)피페리딘-4-일 에스테르 옥살레이트 수화물 염의 결정형 (형태 2)의 제조
THF(5 mL, 60 mmol) 중 비페닐-2-일카르밤산 1-(2-{[4-(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카바모일)부틸]메틸카바모일}에틸)피페리딘-4-일 에스테르(0.50 g, 0.63 mmol)의 교반된 용액에 MeOH(2 mL, 50 mmol) 중 옥살산 이수화물(80 mg, 0.63 mmol) 용액을 적상으로 첨가하였다. 황백색의 침전물이 즉시 그리고 5분에 걸쳐 형성되었고, 고체가 덩어리화 되어 점성이 있는 공(sticky ball)을 형성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60℃에서 가열하였고 이 때 혼합물은 황백색의 진한 초미립자 슬러리를 형성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온까지 서서히 냉각한 후 약 7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여과하려고 시도하였으나, 필터를 통과시킨 경우 대부분이 침전물이었다. 그 후 여과물을 감소된 압력하에서 농축하여 잔여물을 얻었다.
잔여물의 약 4분의 1을 제거하고 메탄올 중 10 % (v/v) 물의 고온 용액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실온까지 냉각하였으나 침전물은 형성되지 않았다. 그 후 용액을 방치하고 실온에서 4일에 걸쳐 서서히 증발시켜 약간의 복굴절을 나타내는 입자를 생성하였다. 5일에 걸쳐 간헐적인 초음파 처리와 함께 교반을 계속하여 보다 우수한 복굴절을 나타내는 백색의 슬러리 물질을 형성하였다. 이 물질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고압하에서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PXRD 패턴은 이 물질이 결정형 또는 반-결정형임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4
비페닐-2- 일카르밤산 1-(2-{[4-(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 히드로퀴 놀린-5-일) 에틸아미노 ] 메틸 } 페닐카바모일 )부틸] 메틸카바모일 }에틸)피페리딘-4-일 에스테르 옥살레이트 수화물 염의 결정형 (형태 2)의 제조
MeOH(12.4 mL) 중 비페닐-2-일카르밤산 1-(2-{[4-(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카바모일)부틸]-메틸카바모일}에틸)피페리딘-4-일 에스테르(0.65 g, 0.824 mmol)의 교반된 용액에 물(0.6 mL) 중 옥살산 이수화물(104 mg, 0.824 mmol) 용액을 첨가하였다. 약하게 점성이 있는 침전물이 즉시 형성되었고 실시예 13으로부터 얻은 시드 결정을 첨가하였다. 결과로 얻은 슬러리를 약 7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 5분 동안 초음파를 처리하였다. 그 후 슬러리를 30℃에서 밤새도록 교반하였다. 그 후 슬러리를 0℃까지 냉각시키고, 30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여 침전물을 수집하였다. 필터 케익을 1시간 동안 자연 건조시킨 후 고진공하에서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705 mg, 96% 수율, >99% 순도)을 얻었다.
실시예 15
형태 2의 높은 상대 습도에의 노출
비페닐-2-일카르밤산 1-(2-{[4-(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카바모일)부틸]메틸카바모일}에틸)피페리딘-4-일 에스테르 옥살레이트 수화물(실시예 14로부터 얻음; 약 100 mg)를 페트리 디쉬에 배치된 여과지 상에 도말하였다. 페트리 디쉬를 데시케이터 중 포타슘 클로리드 포화 수용액(100 mL) 위의 다공성 플레이트에 배치하고 데시케이터를 완전히 밀봉하였다. 챔버 내부의 상대 습도를 습도계로 측정하여 약 84% RH로 유지하였다. 3일 후, 고체를 데시케이터로부터 제거하였다. 이 물질에 대한 PXRD, DSC, TGA 및 DMS 플롯(plot)을 도 4, 5, 6 및 7에 각각 나타내었다.
실시예 16
비페닐-2- 일카르밤산 1-(2-{[4-(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 히드로퀴 놀린-5-일) 에틸아미노 ] 메틸 } 페닐카바모일 )부틸] 메틸카바모일 }에틸)피페리딘-4-일 에스테르 옥살레이트 수화물 염의 결정형 (형태 2)의 제조
MeOH(19 mL) 중 비페닐-2-일카르밤산 1-(2-{[4-(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카바모일)-부틸]메틸카바모일}에틸)피페리딘-4-일 에스테르(1.0 g, 1.27 mmol)의 교반된 용액에 물(1.0 mL) 중 옥살산 이수화물(160 mg, 1.269 mmol)의 용액을 적상으로 첨가하였다. 점성이 있는 노르스름한 침전물이 즉시 형성되었다. 반응 혼합물을 40℃에서 밤새도록 가열한 후 5분 동안 초음파 처리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40℃에서 가열한 후, 0℃까지 냉각시키고,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였다. 침전물을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1.05 g, 93% 수율, >99% 순도)을 얻었다.
실시예 17
형태 2의 높은 상대 습도에의 노출
포타슘 클로리드의 과포화 수용액을 데시케이터의 바닥에 준비하였다(강한 와류(extensive swirling) 후 고체 KCl이 남았다). 비페닐-2-일카르밤산 1-(2-{[4-(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카바모일)부틸]메틸카바모일}에틸)피페리딘-4-일 에스테르 옥살레이트 수화물(실시예 16으로부터 얻음; 500 mg, 0.569 mmol)을 유산지에 펼쳐두고 유산지를 데시케이터 내 KCl 용액의 위에 있는 다공성 플라스틱 플레이트 상에 배치하고 데시케이터를 밀폐하였다. 데시케이터 내부의 상대 습도는 KCl 용액의 평형 증기압으로 인해 84% RH로 유지되었다. 3, 5, 및 10일 후 옥살레이트 염의 일부에 대한 PXRD 패턴을 얻었다. PXRD 패턴은 옥살레이트 염의 결정도가 5일까지는 개선됨을 나타내었다. 5일 내지 10일 사이의 결정도의 변화는 무시할만한 수준이었다.
실시예 18
비페닐-2- 일카르밤산 1-(2-{[4-(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 히드로퀴 놀린-5-일) 에틸아미노 ] 메틸 }- 페닐카바모일 )부틸] 메틸카바모일 }에틸)피페리딘-4-일 에스테르 옥살레이트 수화물 염의 결정형 (형태 2)의 제조
MeOH(400 mL) 중 비페닐-2-일카르밤산 1-(2-{[4-(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카바모일)-부틸]메틸카바모일}에틸)피페리딘-4-일 에스테르(11.0 g, 13.9 mmol)의 교반된 용액에 물(22 mL) 중 옥살산 이수화물(1.758 g, 13.9 mmol) 용액을 적상으로 첨가하였다. 점성이 있는 침전물이 즉시 형성되었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도록 교반한 후 5분 동안 초음파 처리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한 후 40℃에서 8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까지 서서히 냉각시킨 후 30℃에서 약 7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MeOH로 세척하고(1 x 50 mL), 고진공하에서 밤새도록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11.6 g, 94% 수율, >99% 순도)을 얻었다.
실시예 19
비페닐-2- 일카르밤산 1-(2-{[4-(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 히드로퀴 놀린-5-일) 에틸아미노 ] 메틸 }- 페닐카바모일 )부틸] 메틸카바모일 }에틸)피페리딘-4-일 에스테르 옥살레이트 이소프로판올 용매화합물 염의 결정형 (형태 1)의 제조
결정형 비페닐-2-일카르밤산 1-(2-{[4-(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카바모일)부틸]-메틸카바모일}에틸)피페리딘-4-일 에스테르 옥살레이트 수화물(약 40 mg)을 이소프로판올 중 5 % (v/v) 물의 용액(4 mL) 중에 현탁하고 결과로 얻은 슬러리를 실온에서 200 rpm으로 교반하였다. 3일 후, 슬러리를 흡인 여과에 의해 여과하고 고체를 대기 중에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36 mg)을 얻었다.
이 물질의 PXRD, DSC 및 TGA 스펙트럼을 도 1, 2 및 3에 각각 나타내었다.
실시예 20
분말 X-선 회절
Rigaku MiniFlex X-선 회절 분석기를 사용하여 분말 X-선 회절 분석을 수행하였다. X-선 소스(source)는 20 kV의 출력 전압 및 15 mA의 전류를 갖는 Cu- 방사선(λ = 1.54051 Å)이었다. 시료에서 강도를 최대화하도록 설정된 입사, 발산, 및 분산 슬릿(slit)에 의한 Bragg-Brentano 기하학으로 기기를 작동하였다. 측정을 위해, 소량의 분말(5-25 mg)을 단결정 실리콘 시료 홀더(single crystal silicon sample holder) 상에 살며시 눌러서(gently pressed) 매끄러운 표면을 형성하도록 하고 X-선에 노출시켰다. 시료를 0.03°의 스텝 크기(step size) 및 분당 2.0°의 스캔 속도로 2θ의 2° 내지 40°까지 2θ-2θ 방식으로 스캔하였다. Rigaku Standard Measurement software (Version 1.2.0.0)에 의해 데이터 취득을 제어하고 Jade software (version 7.5.1)로 분석하였다.
형태 1 및 형태 2에 대하여 가공하지 않은(raw unprocessed) 대표적인 PXRD 패턴이 도 1 및 도 4에 각각 나타난다. 형태 1 및 형태 2에 대해 관찰된 PXRD 2-θ 피크 위치 및 결정면간 거리(d-spacing)가 표 1 및 2에 각각 나타난다 (약 20% 이상의 상대적인 피크 높이(H%)를 갖는 피크만 나열된다).
형태 1의 PXRD 데이터
피크 번호 2-θ d(Å) 높이 1 H% 2
1 6.44 13.72 519 43.8
2 11.15 7.93 253 21.3
3 11.66 7.58 959 80.9
4 12.92 6.85 434 36.7
5 15.75 5.62 230 19.4
6 17.84 4.97 326 27.5
7 19.19 4.62 653 55.1
8 19.55 4.54 786 66.3
9 23.00 3.86 738 62.3
10 23.45 3.79 1185 100
11 25.61 3.48 263 22.2
1 기저 선으로부터의 피크 높이
2 가장 높은 피크 대비 퍼센트 피크 높이
형태 2의 PXRD 데이터
피크 번호 2-θ d(Å) 높이 1 H% 2
1 7.10 12.44 420 33.6
2 12.68 6.98 704 56.4
3 13.15 6.73 303 24.2
4 13.68 6.47 244 19.6
5 15.32 5.78 1249 100
6 16.58 5.34 465 37.2
7 16.90 5.24 750 60.1
8 17.93 4.94 305 24.4
9 19.25 4.61 839 67.2
10 19.61 4.52 422 33.8
11 20.34 4.36 265 21.2
12 20.93 4.24 301 24.1
13 22.64 3.92 285 22.8
14 23.15 3.84 657 52.6
15 23.73 3.75 1007 80.7
16 25.76 3.46 257 20.6
17 29.78 3.00 309 24.7
1 기저 선으로부터의 피크 높이
2 가장 높은 피크 대비 퍼센트 피크 높이
실시예 21
시차주사열량계
열분석 조절기(Thermal Analyst controller)를 갖는 TA Instruments Model Q-100 module을 사용하여 시차주사열량계(DSC) 분석을 수행하였다. TA Instruments Thermal Solutions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뚜껑이 달린 알루미늄 팬 내로 약 2 mg의 시료의 중량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넣었다. 주위 온도로부터 약 300℃까지 10℃/분의 선형 가열 램프(linear heating ramp)를 사용하여 시료를 평가하였다. 사용하는 동안 DSC 셀을 건조 질소로 퍼지(purge)하였다. 형태 1 및 형태 2에 대한 대표적인 DSC 기록을 도 2 및 도 5에 각각 나타내었다.
DSC 기록은, 형태 1 및 형태 2가 약 162℃ 내지 164℃의 범위에 있는 융점을 갖는 뛰어난 열 안정성을 갖는 것을 입증한다.
실시예 22
열중량 분석
고해상 능력(high resolution capability)을 갖는 TA Instruments Model Q-500 module을 사용하여 열중량 분석(TGA)을 수행하였다. TA Instruments Thermal Solutions software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약 10 mg의 중량을 갖는 시료를 플래티늄 팬 위에 배치하고 주위 온도로부터 300℃까지 고해상도-가열 속도(high resolution-heating rate)로 스캔하였다. 사용하는 동안 밸런스(balance) 및 퍼니스 챔버(furnace chamber)를 질소 흐름으로 퍼지하였다. 형태 1 및 형태 2에 대한 대표적인 TGA 기록이 도 3 및 도 6에 각각 나타난다.
실시예 23
동적 흡습 평가( Dynamic Moisture Sorption Assessment )
VTI 대기상 미량천칭(atmospheric microbalance), SGA-100 시스템(VTI Corp., Hialeah, FL 33016)을 사용하여 형태 2의 시료에 대한 (흡습-탈습 프로파일로도 알려져 있음) 동적 흡습(DMS) 평가를 수행하였다. 약 10 mg 크기의 시료를 사용하였고 분석을 시작할 때 습도를 주위 값으로 설정하였다. 통상적인 DMS 분석은 3회의 스캔으로 구성되어 있다: 5% RH/단계의 스캔 속도로, 주위 값 내지 5% 상대 습도(RH), 5% RH 내지 90% RH, 90% RH 내지 5% RH. 질량을 2분마다 측정하였고 시료의 질량이 5개의 연속된 점에 대해 0.01% 이내로 안정할 경우 RH를 다음 값 (+/- 5% RH)으로 변경하였다. 형태 2에 대한 대표적인 DMS 기록이 도 7에 나타난다.
도 7의 DMS 기록은 형태 2가 5% RH 내지 90% RH의 습도 범위에서 약 1.6 중량%의 유의하지 않은 중량 증가를 갖는 것을 입증한다. 가역적 흡습/탈습 프로파일은 형태 2가 허용가능한 흡습성을 갖고 조해성이 없음을 입증한다. 염의 PXRD 프로파일은 DMS 실험 전 및 후에 유사하였고, 이는 흡습 및 탈습 과정 동안 물리적 형태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생물학적 분석 및 제조
실시예 A
세포 배양 및 사람 M 1 , M 2 , M 3 M 4 무스카린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로부터의 막의 제조
클로닝된 사람 hM1, hM2, hM3 및 hM4 무스카린 수용체 서브형을 각각 안정하게 발현하는 CHO 세포주를 10% FBS 및 250 ㎍/mL 게네티신(Geneticin)이 보충된 Hams F-12 배지에서 합류점 부근(near confluency)까지 배양하였다. 세포를 5% CO2, 37℃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고 dPBS 중 2 mM EDTA로 들어올렸다. 세포를 650 x g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수집하고 세포 펠릿을 -80℃에서 동결 저장하거나 사용 전 즉시 막을 제조하였다.
막 제조를 위해, 세포 펠릿을 용해 완충용액에 재현탁하고 폴리트론(Polytron) PT-2100 조직 파쇄기(Kinematica AG; 20 초 x 2회 작동)로 균질화하였다. 정제되지 않은 막을 40,000 x g에서 15분 동안 4℃에서 원심분리하였다. 그 후 막 펠릿을 재-현탁 완충용액으로 재현탁하고 폴리트론 조직 파쇄기로 다시 균질화하였다.
막 현탁액의 단백질 농도를 Lowry et al., 1951, Journal of Biochemistry, 193, 265에 기술된 방법에 의해 결정하였다. 모든 막을 분량으로 분주하여(in aliquot) -80℃에서 동결 저장하거나 즉시 사용하였다.
제조된 hM5 수용체 막의 분량을 PerkinElmer, Inc. (Wellesley, MA)로부터 구입하고 사용할 때까지 -80℃에서 저장하였다.
실시예 B
무스카린 수용체에 대한 방사성리간드 결합 분석
클로닝된 무스카린 수용체에 대한 방사성리간드 결합 분석을 100 ㎕의 총 분석 용량으로 96-웰 마이크로티터 플레이트에서 수행하였다. hM1, hM2, hM3, hM4 또는 hM5 무스카린 서브형을 안정하게 발현하는 CHO 세포막을 하기의 특정 표적 단백질 농도(㎍/웰)까지 분석용 완충용액 중에 희석하였다: 유사한 신호(cpm)를 얻기 위해 hM1의 경우 10 ㎍, hM2의 경우 10 내지 15 ㎍, hM3의 경우 10 내지 20 ㎍, hM4의 경우 10 내지 20 ㎍, 및 hM5의 경우 10 내지 12 ㎍. 분석 플레이트에 첨가하기 전에 막을 폴리트론 조직 파쇄기로 단시간 동안 균질화하였다(10초).
L-[N-메틸-3 H]스코폴라민 메틸 클로리드([3H]-NMS) (TRK666, 84.0 Ci/mmol, Amersham Pharmacia Biotech, Buckinghamshire, England)를 사용하여 0.001 nM 내지 20 nM의 농도에서 방사성리간드의 K D 값을 결정하기 위한 포화 결합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험 화합물의 K i 값의 결정을 위한 치환 분석(displacement assay)을 1 nM 및 11개의 서로 다른 시험 화합물의 농도에서 [3H]-NMS로 수행하였다. 시험 화합물을 처음에 400 μM 농도로 희석용 완충용액 중에 용해시킨 후 10 pM 내지 100 μM의 최종 농도까지 희석 완충용액으로 순차적으로 5배 희석시켰다. 분석 플레이트로 첨가하는 순서 및 용량은 하기와 같았다: 방사성리간드 25 ㎕, 희석된 시험 화합물 25 ㎕, 및 막 50 ㎕. 분석 플레이트를 6시간 동안 37℃에서 인큐베이션시켰다. 1% BSA로 전-처리한 GF/B 유리 섬유 필터 플레이트(PerkinElmer, Inc.) 상에서 신속한 여과에 의해 결합 반응을 종결시켰다. 필터 플레이트를 세척용 완충용액(10 mM HEPES)으로 3회 세정하여 결합되지 않은 방사성활성을 제거하였다. 그 후 플레이트를 자연 건조시키고 50 ㎕ 마이크로신트(Microscint)-20 액체 신틸레이션 유체(liquid scintillation fluid)(PerkinElmer, Inc.)를 각 웰에 첨가하였다. 그 후 플레이트를 PerkinElmer Topcount 액체 신틸레이션 카운터(PerkinElmer, Inc.)로 계수하였다.
일-부위 경쟁 모델(one-site competition model)을 사용하여 GraphPad Prism Software package(GraphPad Software, Inc., San Diego, CA)로 비선형적 회귀 분석에 의해 결합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관찰된 IC50 값 및 방사성리간드의 K D 값으로부터 Cheng-Prusoff 식(Cheng Y; Prusoff WH. (1973) Biochemical Pharmacology, 22(23):3099-108)을 이용하여 시험 화합물에 대한 K i 값을 계산하였다. K i 값을 pK i 값으로 변환하여 기하 평균 및 95% 신뢰 구간을 결정하였다. 그 후 데이터 보고를 위해 이와 같은 요약 통계 수치를 K i 값으로 다시 변환하였다.
이 분석에서, 보다 낮은 K i 값은, 시험 화합물이 수용체에 대해 보다 높은 결합 친화성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분석에서 비페닐-2-일카르밤산 1-(2-{[4-(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카바모일)-부틸]메틸카바모일}에틸)피페리딘-4-일 에스테르 디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염은 hM3에서 0.1 nM의 K i 값(데이터가 0.1 nM로 반올림됨)을 가졌다.
실시예 C
세포 배양 및 사람 β 1 , β 2 또는 β 3 아드레날린성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로부터의 막의 제조
클로닝된 사람 β1 및 β2 아드레날린성 수용체를 안정하게 발현하는 인간 배아 신장(Human embryonic kidney, HEK-293) 세포주 또는 클로닝된 사람 β3 아드레날린성 수용체를 안정하게 발현하는 중국산 햄스터 난소(Chinese hamster ovarian, CHO) 세포주를 500 ㎍/mL 게네티신의 존재하에 10% FBS를 포함하는 DMEM 또는 Hams F-12 배지에서 합류점 부근까지 성장시켰다. 세포 단일층을 PBS 중 2 mM EDTA로 들어올렸다. 세포를 1,000 rpm에서 원심분리에 의해 펠릿화하고, 세포 펠릿을 -80℃에서 동결 저장하거나 사용을 위해 막을 즉시 제조하였다.
β1 및 β2 수용체를 발현하는 막의 제조를 위해, 세포 펠릿을 용해 완충용액(10 mM HEPES/HCl, 10 mM EDTA, pH 7.4, 4℃)에 재-현탁하고 꼭 맞는 다운스 글래스 호모게나이저(tight-fitting Dounce glass homogenizer)(30 스트로크)를 사용하여 얼음 상에서 균질화하였다.
프로테아제에 보다 민감한 β3 수용체를 발현하는 막을 위해, 세포 펠릿을 50 mL 완충용액 당 “2 mM EDTA를 갖는 완전한 프로테아제 저해제(Complete Protease Inhibitor Cocktail Tablets with 2 mM EDTA)”정제 한 알(Roche Molecular Biochemicals, Indianapolis, IN)이 보충된 용해 완충용액(10 mM Tris/HCl, pH 7.4) 중에 균질화하였다. 균질 현탁액을 20,000 x g에서 원심분리하고, 결과로 얻은 펠릿을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재-현탁 및 원심분리에 의해 용해 완충용액으로 1회 세척하였다. 그 후 최종 펠릿을 얼음으로 냉각시킨 결합 분석 완충용액(75 mM Tris/HCl pH 7.4, 12.5 mM MgCl2, 1 mM EDTA) 중에 재-현탁하였다.
막 현탁액의 단백질 농도를 Lowry et al., 1951, Journal of Biochemistry, 193, 265; 및 Bradford, Analytical Biochemistry, 1976, 72, 248-54에 기술된 방법에 의해 결정하였다. 모든 막을 분량으로 분주하여 -80℃에서 동결 저장하거나 즉시 사용하였다.
실시예 D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효능제의 효능을 결정하기 위한 분석
[125I]-cAMP를 포함하는 플래쉬플레이트 아데닐릴 시클라아제 활성화 분석 시스템(Flashplate Adenylyl Cyclase Activation Assay System) (NEN SMP004, PerkinElmer Life Sciences Inc., Boston, MA)을 사용하여 제조사의 설명서에 따라, 방사성면역분석(radioimmmunoassay) 포맷으로 cAMP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분석에 있어서, 클로닝된 사람 β1 및 β2 아드레날린성 수용체를 안정하게 발현하는 HEK-293 세포주를 10% FBS 및 게네티신 (500 ㎍/mL)이 보충된 DMEM에서 합류점 부근까지 성장시켰다; 또는 클로닝된 사람 β3 아드레날린성 수용체를 안정하게 발현하는 CHO-K1 세포주를 10% FBS 및 게네티신(250 ㎍/mL)이 보충된 Hams F-12 배지에서 합류점 부근까지 성장시켰다. 세포를 PBS로 세정하고 2 mM EDTA를 함유하는 dPBS(CaCl2 및 MgCl2이 없는 Dulbecco's Phosphate Buffered Saline) 또는 트립신-EDTA 용액(0.05% 트립신/0.53 mM EDTA) 중에 탈착하였다. 코울터(Coulter) 세포 카운터에서 세포를 계수한 후, 1,000 rpm에서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펠릿화하고 실온까지 미리-예열시킨 IBMX (PerkinElmer 키트)를 함유하는 자극 완충용액 (stimulation buffer) 중에 1.6 x 106 내지 2.8 x 106 세포/mL의 농도까지 재현탁하였다. 이 분석에서 웰 당 약 40,000 내지 80,000개의 세포를 사용하였다. 시험 화합물(DMSO 중 10 mM)을 Beckman Biomek-2000에서 0.1% BSA를 함유하는 PBS로 희석하고 100 μM 내지 1pM 범위의 11개의 서로 다른 농도에서 실험하였다. 반응을 37℃에서 10분 동안 인큐베이션시키고 [125I]-cAMP(NEN SMP004, PerkinElmer Life Sciences, Boston, MA)를 함유하는 100 ㎕의 냉각시킨 검출용 완충용액(detection buffer)을 첨가함으로써 중지시켰다. 생성된 cAMP의 양(pmol/웰)을 제조사의 사용자 매뉴얼에 기술된 바와 같이, 시료 및 cAMP 표준물질에 대해 관찰된 계수 값에 기초하여 계산하였다.
S자형 방정식(sigmoidal equation)에 의한 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 패키지(GraphPad Software, Inc., San Diego, CA)로 비선형 회귀분석에 의해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EC50 값을 계산하기 위해 Cheng-Prusoff 방정식(Cheng Y, and Prusoff WH., Biochemical Pharmacology, 1973, 22, 23, 3099-108)을 사용하였다.
이 분석에서, 보다 낮은 EC50 값은 시험 화합물이 시험된 수용체에서 보다 높은 기능적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 분석에서 비페닐-2-일카르밤산 1-(2-{[4-(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카바모일)부틸]메틸카바모일}에틸)피페리딘-4-일 에스테르 디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염은 hβ2에서 1 nM의 EC50 값을 가졌다(데이터가 1 nM로 반올림됨).
실시예 E
아인토벤 분석 ( Einthoven Assay )
이 분석은 쥐에서 메타콜린(methacholine, MCh)-유도 기관지수축에 대한 기관지보호를 제공하는 시험 화합물의 능력을 측정한다.
모든 연구에 대해, 200 g 내지 350 g의 무게를 갖는 수컷 Sprague-Dawley 쥐 (Harlan, Indianapolis, IN)를 사용하였다.
시험 화합물 또는 비히클(멸균 탈이온수)를 파이 형태의 흡입 챔버(R+S Molds, San Carlos, CA)에서 5 mL의 투여 용액을 사용하여 10분에 걸쳐 흡입(IH)에 의해 투여하였다. 쥐를 22 psi의 압력에서 Bioblend에 의해 구동되는 LC Star Nebulizer Set Model 22F51 (PARI Respiratory Equipment, Inc. Midlothian, VA)로부터 생성되는 에어로졸(5% CO2/ 95% 대기 중 공기)에 노출시켰다. 다른 지시사항이 없는 한 쥐에게 100 ㎍의 시험 화합물을 투여하였다.
미리 정해진 시간에, 쥐를 120 mg/kg의 인액틴(inaction)(티오부타바르비탈, thiobutabarbital)의 복강 내(IP) 주사로 마취시켰다. 동물이 물리적 자극(예를 들면, 발가락 꼬집기)에 반응하면, 보충적 투여량(40 mg/kg, IP)을 투여하였다. 수술 부위를 면도하고 경부의 배 쪽면에 1 내지 2 cm 정중 절개를 수행하였다. 경정맥을 분리하고 MCh의 IV 주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식염수-충진된 폴리에틸렌 카테터(PE-50)를 삽관(cannulate)하였다. 기관을 절개하고 14G 니들(needle) (#NE-014, Small Parts, Miami Lakes, FL)로 삽관하였다. 기관 캐뉼러를 배치시킨 후, 각 쥐에게 1 mL/100 g 체중의 박출량 (2.5 mL의 박출량을 초과하지 않게) 및 분당 90회 박동(stroke)의 속도로 설정된 인공 호흡기(Model 683, Harvard Apparatus, Inc., MA)를 사용하여 호흡시켰다(ventilate). T-커넥터를 호흡기 호기 튜브를 따라 배치하여 Biopac(TSD 137C) 전치 증폭기와 연결된 Biopac 변환기를 사용하여 환기 압력(ventilation pressure, VP)의 변화가 측정될 수 있게 하였다. 체온은 가열 패드를 사용하여 37℃에서 유지하였다.
VP의 변화를 Acknowledge Data Collection 소프트웨어(Santa Barbara, CA)를 사용하여 기록하였다. 기저 값을 최소 2.5분 동안 수집하였다. 그 후 쥐를 40 및 80 ㎍/kg MCh의 비-누적적 정맥내(IV) 주입으로 처리하였다(challenge). MCh의 두 투여 간에는 2분의 간격을 갖게 하면서, MCh를 2 mL/kg/분의 속도로 시린지 펌프(sp210iw, World Precision Instruments, Inc., Sarasota, FL)로부터 2.5분 동안 정맥 내로 주입하였다. 처리된 동물에서 환기 압력(cm H2O)의 변화를 대조군 동물에 비교하여 MCh 반응의 % 억제로 표현한다.
이 분석에서 히스타민 및 아세틸콜린과 같은 기타 기관지수축제를 MCh 대신 사용할 수 있다. 추가로, 기니 피그를 쥐 대신 사용할 수 있다.
이 분석에서, MCh 반응의 보다 높은 % 억제는, 시험 화합물이 보다 큰 기관지보호 효과를 제공했음을 나타낸다. 24시간 차에 30 퍼센트 이상의 억제는 장기간의 작용을 나타낸다. 이 분석에서 비페닐-2-일카르밤산 1-(2-{[4-(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카바모일)부틸]메틸카바모일}에틸)피페리딘-4-일 에스테르 디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염은 24시간 차에 약 40% 이상의 억제를 제공하였다.

Claims (19)

  1. 비페닐-2-일카르밤산 1-(2-{[4-(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카바모일)부틸]메틸카바모일}에틸)피페리딘-4-일 에스테르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으로서, 상기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은:
    (a) 11.66±0.20, 15.75±0.20, 19.55±0.20, 23.00±0.20 및 23.45±0.20의 2θ 값에서 회절 피크를 포함하는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이소프로판올 용매화합물(solvate); 및
    (b) 15.32±0.20, 16.90±0.20, 19.25±0.20 및 23.73±0.20의 2θ 값에서 회절 피크를 포함하는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은 11.66±0.20, 15.75±0.20, 19.55±0.20, 23.00±0.20 및 23.45±0.20의 2θ 값에서 회절 피크를 포함하는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이소프로판올 용매화합물인 것인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은 피크 위치가 도 1에 도시된 패턴의 피크 위치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은 약 162℃ 내지 약 164℃의 범위에 있는 녹는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시차주사열량계 기록(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trace)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은 15.32±0.20, 16.90±0.20, 19.25±0.20 및 23.73±0.20의 2θ 값에서 회절 피크를 포함하는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물인 것인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은 피크 위치가 도 3에 도시된 패턴의 피크 위치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은 약 162℃ 내지 약 164℃의 범위에 있는 융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시차주사열량계 기록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
  10. (a)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 및
    (b)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11. (a)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
    (b) 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용매화합물; 및
    (c)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12. 환자에게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폐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13. 환자에게 (a)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 및 (b) 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용매화합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폐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14. 청구항 12 또는 13에 있어서, 상기 폐질환은 만성 폐쇄성 폐질환 또는 천식인 것인 방법.
  15.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을 포유동물에게 흡입에 의해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유동물에서 기관지를 확장(bronchodilation)시키는 방법.
  16.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
  17. 폐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
  18. 만성 폐쇄성 폐질환 또는 천식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
  19. 의약의 제조를 위한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의 용도.
KR1020137009556A 2010-09-30 2011-09-29 디아미드 화합물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 KR201301399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8814810P 2010-09-30 2010-09-30
US61/388,148 2010-09-30
PCT/US2011/053997 WO2012044825A1 (en) 2010-09-30 2011-09-29 Crystalline oxalate salts of a diamide compoun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919A true KR20130139919A (ko) 2013-12-23

Family

ID=44903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9556A KR20130139919A (ko) 2010-09-30 2011-09-29 디아미드 화합물의 결정형 옥살레이트 염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8697724B2 (ko)
EP (1) EP2621917A1 (ko)
JP (2) JP2013538857A (ko)
KR (1) KR20130139919A (ko)
CN (1) CN103140485B (ko)
AR (1) AR083115A1 (ko)
AU (1) AU2011308770B2 (ko)
BR (1) BR112013007062A2 (ko)
CA (1) CA2810896A1 (ko)
CL (1) CL2013000870A1 (ko)
CO (1) CO6700846A2 (ko)
EA (1) EA022018B1 (ko)
IL (1) IL224985A (ko)
MX (1) MX2013003558A (ko)
NZ (1) NZ608721A (ko)
SG (1) SG188390A1 (ko)
TW (1) TW201217338A (ko)
WO (1) WO20120448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86555A1 (en) 2010-05-13 2011-11-16 Almirall, S.A. New cyclohexylamine derivatives having beta2 adrenergic agonist and m3 muscarinic antagonist activities
ITRM20110083U1 (it) 2010-05-13 2011-11-14 De La Cruz Jose Antonio Freire Piastra per la costruzione di carrelli per aeroplani
EP2592078A1 (en) 2011-11-11 2013-05-15 Almirall, S.A. New cyclohexylamine derivatives having beta2 adrenergic agonist and M3 muscarinic antagonist activities
SG11201504452WA (en) 2012-12-18 2015-07-30 Almirall Sa New cyclohexyl and quinuclidinyl carbamate derivatives having beta2 adrenergic agonist and m3 muscarinic antagonist activity
TWI643853B (zh) 2013-02-27 2018-12-11 阿爾米雷爾有限公司 同時具有β2腎上腺素受體促效劑和M3毒蕈鹼受體拮抗劑活性之2-氨基-1-羥乙基-8-羥基喹啉-2(1H)-酮衍生物之鹽類
TW201517906A (zh) 2013-07-25 2015-05-16 Almirall Sa 含有maba化合物和皮質類固醇之組合
TWI641373B (zh) 2013-07-25 2018-11-21 阿爾米雷爾有限公司 具有蕈毒鹼受體拮抗劑和β2腎上腺素受體促效劑二者之活性的2-胺基-1-羥乙基-8-羥基喹啉-2(1H)-酮衍生物之鹽
CN104030933A (zh) * 2014-05-16 2014-09-10 烟台恒迪克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β-异烷醇基氨基戊酸环己胺的合成方法
TW201617343A (zh) 2014-09-26 2016-05-16 阿爾米雷爾有限公司 具有β2腎上腺素促效劑及M3蕈毒拮抗劑活性之新穎雙環衍生物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59398B2 (en) 2000-08-05 2004-07-06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Anti-inflammatory androstane derivative
EP1305329B2 (en) 2000-08-05 2015-03-18 Glaxo Group Limited 6.alpha.,9.alpha.-difluoro-17.alpha.-(2-furanylcarboxyl)oxy-11.beta.-hydroxy-16.alpha.-methyl-3-oxo-androst-1,4-diene-17-carbothioic acid s-fluoromethyl ester as an anti-inflammatory agent
US6858596B2 (en) 2000-08-05 2005-02-22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Formulation containing anti-inflammatory androstane derivative
US6750210B2 (en) 2000-08-05 2004-06-15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Formulation containing novel anti-inflammatory androstane derivative
UA77656C2 (en) 2001-04-07 2007-01-15 Glaxo Group Ltd S-fluoromethyl ester of 6-alpha, 9-alpha-difluoro-17-alpha-[(2-furanylcarbonyl)oxy]-11-beta-hydroxy-16- alpha-methyl-3-oxoandrosta-1,4-dien-17-beta-carbothioacid as anti-inflammatory agent
PE20040950A1 (es) * 2003-02-14 2005-01-01 Theravance Inc DERIVADOS DE BIFENILO COMO AGONISTAS DE LOS RECEPTORES ADRENERGICOS ß2 Y COMO ANTAGONISTAS DE LOS RECEPTORES MUSCARINICOS
JP4767842B2 (ja) * 2003-04-01 2011-09-07 セラヴァン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β2アドレナリン作用性レセプターアゴニスト活性およびムスカリン性レセプターアンタゴニスト活性を有するジアリールメチル化合物および関連化合物
WO2005080375A1 (en) 2004-02-13 2005-09-01 Theravance, Inc. Crystalline form of a biphenyl compound
TWI374883B (en) 2004-08-16 2012-10-21 Theravance Inc Crystalline form of a biphenyl compound
EP1833822A2 (en) * 2004-08-16 2007-09-19 Theravance, Inc. Compounds having beta2 adrenergic receptor agonist and muscarinic receptor antagonist activity
GB0602778D0 (en) * 2006-02-10 2006-03-22 Glaxo Group Ltd Novel compound
TW200811104A (en) 2006-04-25 2008-03-01 Theravance Inc Crystalline forms of a dimethylphenyl compound
SI2599778T1 (sl) 2009-04-23 2017-08-31 Theravance Respiratory Company, Llc Diamidne spojine, ki imajo muskarinski receptor-antagonistično in beta 2 adrenergični receptor-agonistično aktivno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10896A1 (en) 2012-04-05
CN103140485A (zh) 2013-06-05
IL224985A (en) 2015-08-31
CN103140485B (zh) 2014-10-22
JP2015155470A (ja) 2015-08-27
WO2012044825A1 (en) 2012-04-05
EA022018B1 (ru) 2015-10-30
US20120083478A1 (en) 2012-04-05
CL2013000870A1 (es) 2013-07-12
TW201217338A (en) 2012-05-01
NZ608721A (en) 2015-03-27
AR083115A1 (es) 2013-01-30
EA201390481A1 (ru) 2013-08-30
EP2621917A1 (en) 2013-08-07
CO6700846A2 (es) 2013-06-28
US8697724B2 (en) 2014-04-15
JP2013538857A (ja) 2013-10-17
SG188390A1 (en) 2013-04-30
BR112013007062A2 (pt) 2016-06-14
AU2011308770A1 (en) 2013-03-28
MX2013003558A (es) 2013-05-01
AU2011308770B2 (en) 2015-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7724B2 (en) Crystalline oxalate salts of a diamide compound
EP2421849B1 (en) Diamide compounds having muscarinic receptor antagonist and beta2 adrenergic receptor agonist activity
KR101363352B1 (ko) 비페닐 화합물의 결정형
CA2599236C (en) Crystalline forms of a biphenyl compound
EP2010490B1 (en) Crystalline forms of a dimethylphenyl compound
AU2007213767B2 (en) Succinic acid salt of biphenyl-2-ylcarbamic acid 1-[2-(2-chloro-4-{ [ (R)-2-hydroxy-2- (8-hydroxy-2-oxo-1, 2-dihydroquinolin-5-yl) ethylaminoimethyl] } -5-methoxyphenylcarbamoyl) ethyl] piperidin-4-yl ester and its use for the treatment of pulmonary disorders
KR101742252B1 (ko) 비페닐 화합물의 결정질 유리 염기형
WO2006099166A1 (en) Crystalline forms of a biphenyl compound
AU2017235891C1 (en) Diamide compounds having muscarinic receptor antagonist and beta2 adrenergic receptor agonist activ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