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4743A - 자동 높이 조절형 선박 접근 통로를 갖는 타워 - Google Patents

자동 높이 조절형 선박 접근 통로를 갖는 타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4743A
KR20130124743A KR1020120048105A KR20120048105A KR20130124743A KR 20130124743 A KR20130124743 A KR 20130124743A KR 1020120048105 A KR1020120048105 A KR 1020120048105A KR 20120048105 A KR20120048105 A KR 20120048105A KR 20130124743 A KR20130124743 A KR 20130124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access passage
vessel
tower
vessel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8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호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8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4743A/ko
Publication of KR20130124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47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24Bridges or similar structures, based on land or on a fixed structure and designed to give access to ships or other floating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rchitecture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높이 조절형 선박 접근 통로를 갖는 타워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지된 타워에 있어서, 평단면이 "H" 형상을 갖고 선박과 마주보는 상기 타워의 일면에서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기 선박 접근 통로가 수직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게 안내하는 한 쌍의 레일과; 상기 선박 접근 통로의 후단부에 설치된 결합수단 설치구에 축지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에 결합되어 선박 접근 통로가 레일과 마찰 없이 승,하강 이동되도록 하는 마찰력 감쇠형 결합수단과; 상기 타워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유선 또는 무선 리모컨의 조작에 대응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며 휠에 권취된 와이어를 통해 상기 선박 접근 통로를 초기 선박의 데크 상면까지 끌어올리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켜 주는 모터와; 일단부는 선박 접근 통로의 전단부에 고정되고 중간부는 상기 모터의 휠에 권취되며 타단부는 균형추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의 동력과 균형추의 하중을 선박 접근 통로의 승,하강 동력으로 전달하여 주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선박의 데크 상면으로 올려진 선박 접근 통로가 조수 간만 차나 파고에 부응하여 선박의 높이 변화에 대응하여 자연스럽게 상기 레일을 따라 승,하강 이동되도록 하는 균형추와; 상기 조작자가 모터를 통해 선박 접근 통로를 강제로 승강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선 또는 무선 리모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조수 간만 차나 파고 등에 의해 수시로 변화되는 선박의 데크 높이에 대응하여 타워의 선박 접근 통로도 자동으로 승,하강 변화되며 선단부 저면이 선박의 데크에 밀착 지지되므로 작업자들이 안전하게 이동하여 선박을 승,하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수 간만 차나 파고 등에 의해 그 높이가 수시로 변화되는 선박의 데크에 타워의 선박 접근 통로가 부딪혀 손상되거나 충격 등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완벽히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높이 조절형 선박 접근 통로를 갖는 타워{Tower having automatic height adjusting type passage way between ship and wharf}
본 발명은 자동 높이 조절형 선박 접근 통로를 갖는 타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형 선박을 안벽에 접안시키고 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선박에 올라갈 수 있도록 안벽에 설치되는 타워의 선박 접근 통로 높이가 조수 간만 차나 파고 등에 의해 선박의 데크 높이가 변화되는 것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여 작업자들이 안전하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조수 간만 차나 파고 등에 의해 그 높이가 변화되는 선박의 데크에 타워의 선박 접근 통로가 부딪혀 손상되거나 충격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사용목적에 따라 상선, 함정, 어선, 특수 작업선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으며, 상기 상선은 여객 또는 화물을 운반하여 운임수입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선박을 말하며, 이것을 다시 화물선, 화객선, 여객선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화물선은 화물의 운송을 목적으로 하는 선박으로 거주설비를 간소화하고 선창을 크게 하여 하역설비에 중점을 두어 일시에 대량의 화물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화물선은 운송화물의 종류에 따라 크게는 wet cargo를 운송하는 탱커류와 dry cargo를 운송하는 건화물선 그리고 두가지 화물을 동시에 운송할 수 있는 겸용선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 건화물선은 원료화물이나 완제품 등 여러 종류의 화물을 함께 운반하는 것과 한 종류의 특수화물을 운송하는 전용선이 있으며 일반화물선은 시장이나 집화의 관계로 선박의 크기가 비교적 적은 편이나 전용선의 경우에는 점차 대형화되고 있다.
한편, 객선은 주로 여객만을 운송하는 상선으로 여객 이외에 부수적으로 우편물과 신속한 운송을 요하는 소량의 고급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설비도 갖추고 있다. 객선은 주로 정기선이며, 여객의 안전과 신속한 운송에 중점을 두고 있으므로 여객 설비 이외에 이중저, 수밀 격벽 등의 배치 등 선체의 안전과 인명구조를 위하여 비여객선에 비하여 높은 기준의 선체구조와 설비를 요구하고 있다.
또한 화객선은 여객과 화물을 함께 운송하는 선박으로 cargo hold의 대부분은 화물을 적재하고 수선(水線) 이상의 갑판 간이나 상갑판 상에 증설한 선루(船樓)에는 선실 또는 접객설비를 하여 여객을 운송한다.
순객선은 여객설비에 비용이 크게 소요되며 고속이어야 하는 반면 여객이 항상 만원이 될 수는 없으므로 화물선 만큼 확실한 운임수입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화객선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선박의 종류는 선박이 수행하는 목적 등에 따라서 다양하며 앞으로도 더욱 그 종류가 증가할 것이다.
또한, 선박은 해상으로의 운송수단이라는 성질 때문에 육상의 차량과는 달리 항만시설과 승선 또는 하선과 하역을 위한 시설이 마련되어 있으며, 특히 조수간만의 차가 심한 선착장에서는 해수면의 높이 변화에 대응하여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승하선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먼저, 종래 일반 선박의 승하선 장치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계단부와, 이 계단부의 선단측에 구비되어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트러스트 구조의 타워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 일반 선박의 승하선 장치는 단순히 타워를 통해 계단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식이므로 선박이 정위치에 정박되지 않으면 승하선이 불가능하거나 또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 일반 선박의 승하선 장치는 그 장착위치에서 수직방향으로의 한정된 범위 내에서 위치 및 각도 조절을 수행하므로 선박의 불규칙한 유동에 적절히 대응할 수 없는 단점으로 인해 결과적으로 승하선시의 안전성이 크게 위협받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조선소에서 건조 중인 대형 선박의 경우 선박이 접안되는 안벽에 엘리베이터 또는 계단 등이 구비하고 트러스 구조를 갖는 소정 높이의 타워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타워의 일측 벽에 타워에 오른 작업자가 타워에서 선박으로 건너 승선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 접근 통로가 고정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대형 선박용 타워에서는 작업자가 선박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 접근 통로가 선박의 데크 높이에 대응되는 타워의 일측면에 고정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조수 간만 차나 파고 등에 의해 선박의 데크 높이는 수시로 변화됨에도 불구하고 타워의 선박 접근 통로 높이는 고정되어 있어 안벽에 접안된 대형 선박이 조수 간만 차나 파고 등에 의해 하강하는 경우 선박 접근 통로의 단부와 선박의 데크 사이가 그만큼 높아져 작업자가 선박에 승선하거나 선박으로부터 하선하기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무리하게 뛰어내리거나 올라갈 경우 부상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고, 이와 반대로 안벽에 접안된 대형 선박이 조수 간만 차나 파고 등에 의해 부상할 경우 선박의 데크가 선박 접근 통로의 저면과 부딪혀 손상되거나 충격 등으로 인해 선박 접근 통로를 통해 선박에 승선하거나 선박으로부터 하선하던 작업자가 안전사고를 당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8-0101307호(2008년 11월 21일) 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0-0004728호(2010년 05월 10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대형 선박을 안벽에 접안시키고 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선박에 승/하선할 수 있도록 안벽에 설치되는 타워의 선박 접근 통로 높이가 조수 간만 차나 파고 등에 의해 선박의 데크 높이가 변화되는 것에 대응하여 타워의 일측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자동으로 승,하강되며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조수 간만 차나 파고 등에 의해 수시로 변화되는 선박의 데크 높이에 대응하여 타워의 선박 접근 통로도 자동으로 승,하강 변화되며 선단부 저면이 선박의 데크에 밀착 지지되므로 작업자들이 안전하게 이동하여 선박을 승,하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수 간만 차나 파고 등에 의해 그 높이가 수시로 변화되는 선박의 데크에 타워의 선박 접근 통로가 부딪혀 손상되거나 충격 등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완벽히 방지할 수 있는 자동 높이 조절형 선박 접근 통로를 갖는 타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면에 작업자가 승,하강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를 구비되고 선박과 마주보는 면에는 선박 접근 통로가 구비된 구성을 갖고 선박이 접안되는 안벽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작업자들이 선박에 승선 및 하선할 수 있도록 하는 트러스 구조의 타워에 있어서, 평단면이 "H" 형상을 갖고 선박과 마주보는 상기 타워의 일면에서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기 선박 접근 통로가 수직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게 안내하는 한 쌍의 레일과; 상기 선박 접근 통로의 후단부에 설치된 결합수단 설치구에 축지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에 결합되어 선박 접근 통로가 레일과 마찰 없이 승,하강 이동되도록 하는 마찰력 감쇠형 결합수단과; 상기 타워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유선 또는 무선 리모컨의 조작에 대응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며 휠에 권취된 와이어를 통해 상기 선박 접근 통로를 초기 선박의 데크 상면까지 끌어올리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켜 주는 모터와; 일단부는 선박 접근 통로의 전단부에 고정되고 중간부는 상기 모터의 휠에 권취되며 타단부는 균형추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의 동력과 균형추의 하중을 선박 접근 통로의 승,하강 동력으로 전달하여 주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선박의 데크 상면으로 올려진 선박 접근 통로가 조수 간만 차나 파고에 부응하여 선박의 높이 변화에 대응하여 자연스럽게 상기 레일을 따라 승,하강 이동되도록 하는 균형추와; 상기 조작자가 모터를 통해 선박 접근 통로를 강제로 승강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선 또는 무선 리모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선박의 데크와 접하는 선박 접근 통로의 일측 단부 저부에는 조수 간만 차나 파고에 의해 선박의 높이가 변화될 때 선박 접근 통로의 저단부가 선박의 데크와 마찰되지 않고 레일을 따라 자연스럽게 승,하강 및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마찰력 감쇄용 아이들 로울러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박 접근 통로의 일측 단부에는 저면에 수개의 바퀴가 구비된 계단의 상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축지시켜 작업자가 선박 접근 통로와 선박의 데크 사이 높이에 무관하게 원활히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타워의 상단 후면 모서리부에는 선박 접근 통로와 모터의 휠 및 균형추 사이에 설치된 와이어가 타워의 모서리와 마찰 없이 원활히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도르래를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선박과 마주보는 상기 타워의 일면 중간부에는 안벽에 선박이 접안되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 레일을 따라 하강된 상기 선박 접근 통로를 안정적으로 받쳐주는 선박 접근 통로 받침대를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마찰력 감쇠형 결합수단은 선박 접근 통로의 후단부에 설치된 결합수단 설치구의 각 모서리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수개의 힌지편과; 상기 힌지편의 중앙부에 축지되어 평단면이 "H" 형상을 갖는 레일의 외면과 면 접촉된 상태에서 선박 접근 통로의 승,하강에 대응하여 회동되는 레일 외면 접촉용 로울러와; 상기 힌지편의 단부에 축지된 상태에서 평단면이 "H" 형상을 갖는 레일의 양측 내면에 각각 면 접촉된 형태로 걸려진 상태에서 선박 접근 통로의 승,하강에 대응하여 회동되는 레일 내면 접촉용 로울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 높이 조절형 선박 접근 통로를 갖는 타워에 의하면, 대형 선박을 안벽에 접안시키고 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선박에 승/하선할 수 있도록 안벽에 설치되는 타워의 선박 접근 통로 높이가 조수 간만 차나 파고 등에 의해 선박의 데크 높이가 변화되는 것에 대응하여 타워의 일측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자동으로 승,하강되며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조수 간만 차나 파고 등에 의해 수시로 변화되는 선박의 데크 높이에 대응하여 타워의 선박 접근 통로도 자동으로 승,하강 변화되며 선단부 저면이 선박의 데크에 밀착 지지되므로 작업자들이 안전하게 이동하여 선박을 승,하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수 간만 차나 파고 등에 의해 그 높이가 수시로 변화되는 선박의 데크에 타워의 선박 접근 통로가 부딪혀 손상되거나 충격 등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완벽히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그로 인한 인적/물적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자동 높이 조절형 선박 접근 통로를 갖는 타워의 사용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 중 레일과 마찰력 감쇠형 결합수단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중 레일과 마찰력 감쇠형 결합수단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평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자동 높이 조절형 선박 접근 통로를 갖는 타워의 사용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중 레일과 마찰력 감쇠형 결합수단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 중 레일과 마찰력 감쇠형 결합수단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평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일측면에 작업자가 승,하강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1a)를 구비되고 선박(13)과 마주보는 면에는 선박 접근 통로(2)가 구비된 구성을 갖고 선박이 접안되는 안벽(14)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작업자들이 선박에 승선 및 하선할 수 있도록 하는 트러스 구조의 타워(1)에 있어서,
평단면이 "H" 형상을 갖고 선박(13)과 마주보는 상기 타워(1)의 일면에서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기 선박 접근 통로(2)가 수직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게 안내하는 한 쌍의 레일(3)과;
상기 선박 접근 통로(2)의 후단부에 설치된 결합수단 설치구(2a)에 축지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3)에 결합되어 선박 접근 통로(2)가 레일(3)과 마찰 없이 승,하강 이동되도록 하는 마찰력 감쇠형 결합수단(4)과;
상기 타워(1)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유선 또는 무선 리모컨(8)의 조작에 대응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며 휠에 권취된 와이어(6)를 통해 상기 선박 접근 통로(2)를 초기 선박(13)의 데크(13a) 상면까지 끌어올리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켜 주는 모터(5)와;
일단부는 선박 접근 통로(2)의 전단부에 고정되고 중간부는 상기 모터(5)의 휠에 권취되며 타단부는 균형추(7)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5)의 동력과 균형추(7)의 하중을 선박 접근 통로(2)의 승,하강 동력으로 전달하여 주는 와이어(6)와;
상기 와이어(6)의 타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선박(13)의 데크(13a) 상면으로 올려진 선박 접근 통로(2)가 조수 간만 차나 파고에 부응하여 선박의 높이 변화에 대응하여 자연스럽게 상기 레일(3)을 따라 승,하강 이동되도록 하는 균형추(7)와;
상기 조작자가 모터(5)를 통해 선박 접근 통로(2)를 강제로 승강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선 또는 무선 리모컨(8);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선박(13)의 데크(13a)와 접하는 선박 접근 통로(2)의 일측 단부 저부에는 조수 간만 차나 파고에 의해 선박의 높이가 변화될 때 선박 접근 통로(2)의 저단부가 선박의 데크(13a)와 마찰되지 않고 레일(3)을 따라 자연스럽게 승,하강 및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마찰력 감쇄용 아이들 로울러(9)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박 접근 통로(2)의 일측 단부에는 저면에 수개의 바퀴(10a)를 구비한 계단(10)의 상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축지시켜 작업자가 선박 접근 통로(2)와 선박(13)의 데크(13a) 사이 높이에 무관하게 원활히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타워(1)의 상단 후면 모서리부에는 선박 접근 통로(2)와 모터(5)의 휠 및 균형추(7) 사이에 설치된 와이어(6)가 타워(1)의 모서리와 마찰 없이 원활히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도르래(11)를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선박(13)과 마주보는 상기 타워(1)의 일면 중간부에는 안벽(14)에 선박(13)이 접안되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 레일(3)을 따라 하강된 상기 선박 접근 통로(2)를 안정적으로 받쳐주는 선박 접근 통로 받침대(12)를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마찰력 감쇠형 결합수단(4)은,
선박 접근 통로(2)의 후단부에 설치된 결합수단 설치구(2a)의 각 모서리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수개의 힌지편(4a)과;
상기 힌지편(4a)의 중앙부에 축지되어 평단면이 "H" 형상을 갖는 레일(3)의 외면과 면 접촉된 상태에서 선박 접근 통로(2)의 승,하강에 대응하여 회동되며 구름 운동하는 레일 외면 접촉용 로울러(4b)와;
상기 힌지편(4a)의 단부에 축지된 상태에서 평단면이 "H" 형상을 갖는 레일(3)의 양측 내면에 각각 면 접촉된 형태로 걸려진 상태에서 선박 접근 통로(2)의 승,하강에 대응하여 회동되는 구름 운동하는 레일 내면 접촉용 로울러(4c);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 자동 높이 조절형 선박 접근 통로를 갖는 타워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일측면에 작업자가 승,하강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1a)를 구비되고 선박(13)과 마주보는 면에는 선박 접근 통로(2)가 구비된 구성을 갖고 선박이 접안되는 안벽(14)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작업자들이 선박에 승선 및 하선할 수 있도록 하는 트러스 구조의 공지된 타워(1)에 한 쌍의 레일(3)과 마찰력 감쇠형 결합수단(4), 모터(5), 와이어(6), 균형추(7) 및 유선 또는 무선 리모컨(8)을 구비시켜 조수 간만 차나 파고 등에 의해 수시로 변화되는 선박(13)의 데크(13a) 높이에 대응하여 타워(1)의 선박 접근 통로(2)도 자동으로 승,하강되며 그 높이가 자동으로 변화되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한 한 쌍의 레일(3)은 평단면이 "H" 형상(즉, H 형강)을 갖고 선박(13)과 마주보는 상기 타워(1)의 일면에서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선박 접근 통로(2)가 선박(13)의 높이 변화에 대응하여 수직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게 안내하는 기능과 더불어 상기 선박 접근 통로(2)가 타워(1)에 일체로 연결된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 상기 마찰력 감쇠형 결합수단(4)은 선박 접근 통로(2)의 후단부에 설치된 결합수단 설치구(2a)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3)에 결합되어 선박 접근 통로(2)가 레일(3)과 마찰 없이 승,하강 이동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마찰력 감쇠형 결합수단(4)으로 본 발명에서는 도 2 및 도 3에 제시한 바와 같이, 수개의 힌지편(4a)과 레일 외면 접촉용 로울러(4b) 및 레일 내면 접촉용 로울러(4c)로 구성하였는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 밖에도 다양한 형태의 구성을 제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시한 마찰력 감쇠형 결합수단(4)의 구성요소 중 수개의 힌지편(4a)은 선박 접근 통로(2)의 후단부에 설치된 결합수단 설치구(2a)의 각 모서리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레일 외면 접촉용 로울러(4b) 및 레일 내면 접촉용 로울러(4c)가 회동 가능하게 축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레일 외면 접촉용 로울러(4b)는 평단면이 "H" 형상을 갖는 상기 레일(3)의 외면과 면 접촉되도록 상기 힌지편(4a)의 중앙부에 축지시켜 선박(13)의 높이 변화에 대응하여 또는 모터(5)의 회동방향에 대응하여 선박 접근 통로(2)가 승,하강될 때 상기 레일(3)의 외면을 따라 회동되며 구름 운동하여 선박 접근 통로(2)로부터 전달되어 오는 일부 하중에 따른 마찰력이 상기 레일(3)의 외면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레일 외면 접촉용 로울러(4b)는 평단면이 "H" 형상을 갖는 레일(3)의 양측 내면에 각각 면 접촉된 형태로 걸려지도록 상기 힌지편(4a)의 단부에 축지시켜 선박(13)의 높이 변화에 대응하여 또는 모터(5)의 회동방향에 대응하여 선박 접근 통로(2)가 승,하강될 때 상기 레일(3)의 양측 날개 내면을 따라 회동되며 구름 운동하여 선박 접근 통로(2)로부터 전달되어 오는 일부 하중에 따른 마찰력이 상기 레일(3)의 양측 날개 내면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마찰력 감쇠형 결합수단(4)을 구비한 선박 접근 통로(2)가 선박(13)의 높이 변화 또는 모터(5)의 회동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레일(3)을 따라 승,하강이동될 때, 선박 접근 통로(2)의 일부 하중이 레일 외면 접촉용 로울러(4b)와 레일 내면 접촉용 로울러(4c)를 통해 평단면이 "H" 형상을 갖는 레일(3)의 외면과 양측 내면에 분산된 형태로 가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레일 외면 접촉용 로울러(4b)와 레일 내면 접촉용 로울러(4c)은 각각 레일(3)의 외면과 양측 날개 내면에 각각 면 접촉된 형태에서 구름 운동을 하게 되므로 실제 레일(3)에 가해지는 선박 접근 통로(2)의 하중은 크게 전달되지 않게 되어 상기 레일(3)이 선박 접근 통로(2)의 하중에 의해 변형되는 등의 일을 일어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모터(5)는 타워(1)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유선 또는 무선 리모컨(8)의 조작에 대응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며 휠에 권취된 와이어(6)를 통해 상기 선박 접근 통로(2)를 초기 선박(13)의 데크(13a) 상면까지 끌어올리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 상기 와이어(6)는 그 일단부가 선박 접근 통로(2)의 전단부에 고정되고 중간부는 상기 모터(5)의 휠에 권취된 형태를 가지며 타단부는 균형추(7)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5)의 동력과 균형추(7)의 하중을 선박 접근 통로(2)의 승,하강 동력으로 전달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6)를 단순히 선박 접근 통로(2)의 전단부를 고정하고, 중간부는 모터(5)의 휠에 권취하며, 타단부는 균형추(7)에 고정 설치할 경우, 모터(5)의 휠을 중심으로 볼 때 타워(1)의 일면에 길게 결합된 선박 접근 통로(2)의 단부에 결합된 와이어(6)의 경사각은 좁아 타워(1)의 상단 전면과 접촉되지 않으나, 타워(1)의 배면과 접촉된 상태로 승,하강되는 균형추(7)에 고정된 부위의 와이어(6)는 타워(1)의 상단 후면 모서리부에 접촉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타워(1)의 상단 후면 모서리부에는 도르래(11)를 부가 설치하여 선박 접근 통로(2)와 모터(5)의 휠 및 균형추(7) 사이에 설치된 와이어(6)가 타워(1)의 상단 후면 모서리와 마찰 없이 원활히 이동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균형추(7)는 전술한 와이어(6)의 타단부(즉, 끝단부)에 고정 설치된 구성을 갖고 모터(5)의 작동에 의해 선박(13)의 데크(13a) 상면으로 올려진 선박 접근 통로(2)가 조수 간만 차나 파고 등에 부응하여 선박의 높이 변화가 일어날 때 그에 대응하여 자연스럽게 상기 레일(3)을 따라 승,하강 이동되도록 하중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균형추(7)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기중기나 크레인 및 엘리베이터 등에 설치된 균형추 등과 마찬가지로 조수 간만 차나 파고 등에 대응하여 선박의 높이 변화가 일어남으로써 선박 접근 통로(2)가 타워(1)의 레일(3)을 따라 승,하강 이동되므로 인해 와이어(6)를 통해 전해오는 선박 접근 통로(2)의 하중 변화에 발생될 때 그에 대응하여 타워(1)의 배면을 따라 승,하강 이동되며 상기 선박 접근 통로(2)가 자연스럽게 상기 레일(3)을 따라 승,하강 이동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유선 또는 무선 리모컨(8)은 조작자가 안벽(14) 등에서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모터(5)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으로, 특정 선박을 안벽(14)에 접안하기 위해 근접되어 오거나, 접안되었던 선박(13)이 안벽을 빠져나가면 조작자가 상기 유선 또는 무선 리모컨(8)을 통해 모터(5)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선박(13)이 접안되기 전에 선박 접근 통로(2)를 선박(13)의 데크(13a)보다 높게 강제로 승강시키거나 선박(13)이 빠져나간 후 특정 위치까지 하강시킬 수 있다.
한편, 트러스 형태를 갖는 상기 선박 접근 통로(2)의 자유단부 저면이 선박(13)의 데크(13a) 상면에 직접 접촉된 상태에서 조수 간만 차나 파고 등에 의한 선박의 높이 변화에 대응하여 승,하강 될 경우, 선박 접근 통로(2)의 자유단부 저면과 선박의 데크(13a) 사이에서 큰 마찰이 발생되어 선박 접근 통로(2)의 자유단부 저면은 물론 이와 접촉되는 선박의 데크(13a)가 손상 및 파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선박(13)의 데크(13a)와 직접 접촉되는 선박 접근 통로(2)의 자유단부 저면에 마찰력 감쇄용 아이들 로울러(9)를 더 설치하여 줌으로써 조수 간만 차나 파고 등에 의한 선박(13)의 높이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선박 접근 통로(2)가 승,하강 될 때, 상기 마찰력 감쇄용 아이들 로울러(9)가 선박(13)의 데크(13a) 상면에서 구름 운동을 수행하게 되므로 선박 접근 통로(2)의 자유단부 저면이 선박의 데크(13a)와 마찰되지 않고 레일(3)을 따라 자연스럽게 승,하강 및 슬라이딩될 수 있어 선박 접근 통로(2)의 자유단부 저면은 물론 이와 접촉되는 선박의 데크(13a)가 손상 및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선박 접근 통로(2)의 자유단부에 수개의 바퀴(10a)를 구비한 계단(10)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줌으로써 상기 계단(10)이 선박(13) 및 선박 접근 통로(2)의 상,하 유동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선박 접근 통로(2)의 자유단부에서 회동되는 형태를 갖고 항상 바퀴(10a)들은 선박(13)의 데크(13a) 상면에서 구름 운동을 하는 형태를 갖게 되어 작업자가 선박 접근 통로(2)와 선박(13)의 데크(13a) 사이 높이에 무관하게 원활하고 안전하게 오르내릴 수 있다.
한편, 안벽(14)에 선박(13)이 접안되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 선박 접근 통로(2)가 레일(3)의 중간부나 안벽(14) 상면에 올려진 상태에서 바람 등에 영향을 받아 흔들리는 등의 유동이 발생되어 안전상 불안전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선박(13)과 마주보는 상기 타워(1)의 일면(즉 전면) 중간부에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선박 접근 통로 받침대(12)를 더 구비시켜 줌으로써 안벽(14)에 선박(13)이 접안되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 모터(5)를 이용하여 상기 레일(3)을 따라 하강시킨 상기 선박 접근 통로(2)를 선박 접근 통로 받침대(12)의 상면에 안정적으로 올려놓을 수 있어 태풍 등을 포함한 바람 등에 의해 상기 선박 접근 통로(2)가 흔들리는 등의 유동 발생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전혀 없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 타워 1a : 엘리베이터
2 : 선박 접근 통로 2a : 결합수단 설치구
3 : 레일
4 : 마찰력 감쇠형 결합수단 4a : 힌지편
4b : 레일 외면 접촉용 로울러 4c :레일 내면 접촉용 로울러
5 : 모터
6 : 와이어
7 : 균형추
8 : 유선 또는 무선 리모컨
9 : 마찰력 감쇄용 아이들 로울러
10 : 계단 10a : 바퀴
11 : 도르래
12 : 선박 접근 통로 받침대
13 : 선박 13a : 데크
14 : 안벽

Claims (6)

  1. 일측면에 작업자가 승,하강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를 구비되고 선박과 마주보는 면에는 선박 접근 통로가 구비된 구성을 갖고 선박이 접안되는 안벽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작업자들이 선박에 승선 및 하선할 수 있도록 하는 트러스 구조의 타워에 있어서,
    평단면이 "H" 형상을 갖고 선박과 마주보는 상기 타워의 일면에서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기 선박 접근 통로가 수직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게 안내하는 한 쌍의 레일과;
    상기 선박 접근 통로의 후단부에 설치된 결합수단 설치구에 축지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에 결합되어 선박 접근 통로가 레일과 마찰 없이 승,하강 이동되도록 하는 마찰력 감쇠형 결합수단과;
    상기 타워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유선 또는 무선 리모컨의 조작에 대응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며 휠에 권취된 와이어를 통해 상기 선박 접근 통로를 초기 선박의 데크 상면까지 끌어올리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켜 주는 모터와;
    일단부는 선박 접근 통로의 전단부에 고정되고 중간부는 상기 모터의 휠에 권취되며 타단부는 균형추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의 동력과 균형추의 하중을 선박 접근 통로의 승,하강 동력으로 전달하여 주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선박의 데크 상면으로 올려진 선박 접근 통로가 조수 간만 차나 파고에 부응하여 선박의 높이 변화에 대응하여 자연스럽게 상기 레일을 따라 승,하강 이동되도록 하는 균형추와;
    상기 조작자가 모터를 통해 선박 접근 통로를 강제로 승강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선 또는 무선 리모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높이 조절형 선박 접근 통로를 갖는 타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데크와 접하는 선박 접근 통로의 일측 단부 저부에는 조수 간만 차나 파고에 의해 선박의 높이가 변화될 때 선박 접근 통로의 저단부가 선박의 데크와 마찰되지 않고 레일을 따라 자연스럽게 승,하강 및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마찰력 감쇄용 아이들 로울러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높이 조절형 선박 접근 통로를 갖는 타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박 접근 통로의 일측 단부에는 저면에 수개의 바퀴가 구비된 계단의 상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축지시켜 작업자가 선박 접근 통로와 선박의 데크 사이 높이에 무관하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높이 조절형 선박 접근 통로를 갖는 타워.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워의 상단 후면 모서리부에는 선박 접근 통로와 모터의 휠 및 균형추 사이에 설치된 와이어가 타워의 모서리와 마찰 없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도르래를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높이 조절형 선박 접근 통로를 갖는 타워.
  5. 청구항 1에 있어서,
    선박과 마주보는 상기 타워의 전면 중간부에는 안벽에 선박이 접안되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 레일을 따라 하강된 상기 선박 접근 통로를 안정적으로 받쳐주는 선박 접근 통로 받침대를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높이 조절형 선박 접근 통로를 갖는 타워.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찰력 감쇠형 결합수단은,
    선박 접근 통로의 후단부에 설치된 결합수단 설치구의 각 모서리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수개의 힌지편과;
    상기 힌지편의 중앙부에 축지되어 평단면이 "H" 형상을 갖는 레일의 외면과 면 접촉된 상태에서 선박 접근 통로의 승,하강에 대응하여 회동되는 레일 외면 접촉용 로울러와;
    상기 힌지편의 단부에 축지된 상태에서 평단면이 "H" 형상을 갖는 레일의 양측 내면에 각각 면 접촉된 형태로 걸려진 상태에서 선박 접근 통로의 승,하강에 대응하여 회동되는 레일 내면 접촉용 로울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높이 조절형 선박 접근 통로를 갖는 타워.













KR1020120048105A 2012-05-07 2012-05-07 자동 높이 조절형 선박 접근 통로를 갖는 타워 KR201301247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105A KR20130124743A (ko) 2012-05-07 2012-05-07 자동 높이 조절형 선박 접근 통로를 갖는 타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105A KR20130124743A (ko) 2012-05-07 2012-05-07 자동 높이 조절형 선박 접근 통로를 갖는 타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743A true KR20130124743A (ko) 2013-11-15

Family

ID=49853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8105A KR20130124743A (ko) 2012-05-07 2012-05-07 자동 높이 조절형 선박 접근 통로를 갖는 타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4743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19364A (zh) * 2015-08-04 2015-11-04 武船重型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钢塔滑移竖转方法
CN105155416A (zh) * 2015-08-04 2015-12-16 武船重型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钢索塔整体滑移竖转装置
KR101616364B1 (ko) * 2014-10-28 2016-04-29 삼성중공업(주) 구조물 이동 장치, 구조물 건조 및 이동 방법
KR102028419B1 (ko) * 2018-12-27 2019-10-04 주식회사 대유 자동으로 인양되는 부잔교용 도교
KR102356535B1 (ko) * 2021-08-18 2022-02-09 서영주 푸팅슬라이드를 가지는 항만잔교시설
KR102617572B1 (ko) * 2023-06-26 2023-12-27 주식회사 삼공사 리모컨식 갱웨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364B1 (ko) * 2014-10-28 2016-04-29 삼성중공업(주) 구조물 이동 장치, 구조물 건조 및 이동 방법
CN105019364A (zh) * 2015-08-04 2015-11-04 武船重型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钢塔滑移竖转方法
CN105155416A (zh) * 2015-08-04 2015-12-16 武船重型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钢索塔整体滑移竖转装置
KR102028419B1 (ko) * 2018-12-27 2019-10-04 주식회사 대유 자동으로 인양되는 부잔교용 도교
KR102356535B1 (ko) * 2021-08-18 2022-02-09 서영주 푸팅슬라이드를 가지는 항만잔교시설
KR102617572B1 (ko) * 2023-06-26 2023-12-27 주식회사 삼공사 리모컨식 갱웨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4743A (ko) 자동 높이 조절형 선박 접근 통로를 갖는 타워
US8967067B2 (en) System for launching and recovering underwater vehicles, notably towed underwater vehicles
US8752494B2 (en) System for launching and recovering underwater vehicles, notably towed underwater vehicles
KR101230966B1 (ko) 승하선 사다리 장치
CN108529265B (zh) 可移动式船岸物资传送装置
AU2013269527B2 (en) System for launching and retrieving submarine vehicles, in particular towed submarine vehicles
CN108974255B (zh) 一种船舶系泊装置
WO2019227965A1 (zh) 一种海洋平台登艇装置及海洋平台
CN104203746B (zh) 具有用于干式停靠船只的可动潜式平台的半潜式平台
KR101265273B1 (ko) 선박용 승하선 사다리
KR101127624B1 (ko) 부잔교에 접안되는 보트의 리프팅 장치
WO2019041611A1 (zh) 一种组合式舷侧挂梯装置
CN105544376A (zh) 一种登船桥接船用渡板装置及登船桥
KR101672778B1 (ko) 운반대차를 구비한 도교
KR101592922B1 (ko) 승하선 사다리의 전기식 텔레스코픽 시스템
KR101306941B1 (ko) 선박용 승강기
KR101599026B1 (ko) 선박 계류 장치
CN114104205B (zh) 一种船用三节折叠车辆跳板结构
JP2001088779A (ja) ボート揚げ降ろし用浮き桟橋
CN201721600U (zh) 码头登船梯的上部结构
CN111409778A (zh) 一种驳船登船装置
KR20170004557A (ko) 승하선 사다리 장치
CN218085939U (zh) 一种大距离登离船***
CN220789597U (zh) 一种自适应式货运浮码头
CN218949424U (zh) 一种船舶用的登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