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9026B1 - 선박 계류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계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9026B1
KR101599026B1 KR1020140043283A KR20140043283A KR101599026B1 KR 101599026 B1 KR101599026 B1 KR 101599026B1 KR 1020140043283 A KR1020140043283 A KR 1020140043283A KR 20140043283 A KR20140043283 A KR 20140043283A KR 101599026 B1 KR101599026 B1 KR 101599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oring line
ship
mooring
tension
wi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7786A (ko
Inventor
이형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3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026B1/ko
Publication of KR20150117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7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16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using winch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선박 계류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 장치는 선박을 안벽에 계류하는 장치로서, 상기 선박의 상기 안벽과 마주보는 측부를 상기 안벽에 대해 지지하되, 상기 안벽의 상기 선박과 마주보는 측부에서 상기 선박의 상기 측부로 연장되는 제 1 계류 라인; 및 상기 선박의 상기 측부에 대한 반대 측부를 상기 안벽에 대해 지지하되, 상기 안벽에서 상기 선박의 저면을 따라 상기 선박의 상기 반대 측부로 연장되는 제 2 계류 라인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 계류 장치{MOORING APPARATUS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 계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을 안벽에 계류하기 위한 장치이다.
안벽(quay)은 선박이 안전하게 접안해 화물의 하역 및 승객의 승하선을 행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나아가 조선 분야에서 안벽(quay)은 건조 또는 수리 중인 선박이 안전하게 접안해 건조 또는 수리 작업을 행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안벽의 상면에는 크레인과 같은 이동 장비가 이동하며 작업을 수행한다. 통상적으로 선박은 계류 라인에 의해 안벽에 계류되는데, 계류 라인이 안벽의 상면을 가로질러 선박과 연결되는 경우, 안벽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장비와 간섭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3-086522호(2013.05.13.)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안벽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장비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구성된 선박 계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을 안벽에 계류하는 장치로서, 상기 선박의 상기 안벽과 마주보는 측부를 상기 안벽에 대해 지지하되, 상기 안벽의 상기 선박과 마주보는 측부에서 상기 선박의 상기 측부로 연장되는 제 1 계류 라인; 및 상기 선박의 상기 측부에 대한 반대 측부를 상기 안벽에 대해 지지하되, 상기 안벽에서 상기 선박의 저면을 따라 상기 선박의 상기 반대 측부로 연장되는 제 2 계류 라인을 포함하는, 선박 계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계류 라인은, 그 일단부가 상기 안벽의 상기 반대 측부에 지지되어 상기 안벽의 상면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안벽은, 그 폭방향 양측부가 물과 접하는 구조를 가지고, 지지 부재에 의해 해저면에 이격되어 지지되며, 상기 제 2 계류 라인은, 상기 안벽의 저면을 따라 상기 선박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안벽은 해저면에 접하여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 2 계류 라인은 상기 안벽을 관통하여 상기 선박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계류 라인은, 그 일단부가 상기 안벽의 상기 측부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선박 계류 장치는, 상기 제 2 계류 라인을 그 연장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 2 계류 라인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선박의 외판 또는 상기 안벽에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박 계류 장치는 조석(潮汐)에 따라 상기 제 1 계류 라인 및 상기 제 2 계류 라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력 조절부는, 상기 제 1 계류 라인을 감는 제 1 윈치; 상기 제 2 계류 라인을 감는 제 2 윈치; 상기 제 1 계류 라인의 장력을 측정하는 제 1 센서; 상기 제 2 계류 라인의 장력을 측정하는 제 2 센서; 및 상기 제 1 센서 및 제 2 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이 허용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제 1 계류 라인의 장력 및 상기 제 2 계류 라인의 장력이 상기 허용 범위에 들어가도록 상기 제 1 윈치 및 상기 제 2 윈치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계류 라인 및 제 2 계류 라인이 안벽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장비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배치되어 이동 장비의 이동 이 원활하고, 이동 장비를 이용한 작업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 조절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 장치가 조석(潮汐)에 따라 제 1 계류 라인 및 제 2 계류 라인의 장력을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다른 형태의 안벽에 제공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또 다른 형태의 안벽에 제공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 장치(100)는 선박(10)을 안벽(21)에 계류하기 위한 것으로, 제 1 계류 라인(110) 및 제 2 계류 라인(1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안벽(21)은 폭방향의 양측부(도 1에서 볼 때 좌우측부)가 물과 접하는 구조를 가진다. 즉, 안벽(21)은 폭방향의 양측부(도 1에서 볼 때 좌우측부)에 각각 선박(10)을 계류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안벽(21)은 지지 부재(30)에 의해 해저면(S)과 이격된 상태로 해저면(S)에 지지된다. 이외에 다양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지는 안벽 이 제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 1 계류 라인(110)은 선박(10)의 안벽(21)과 마주보는 측부를 안벽(21)에 대해 지지한다. 예컨대 제 1 계류 라인(110)은 도 1에서 볼 때 선박(10)의 좌측부를 안벽(21)에 대해 지지한다. 제 1 계류 라인(110)에 장력이 발생하면 선박(10)은 안벽(21) 측으로 당겨진다. 안벽(21)과 선박(10) 사이에 펜더(fender)(55)가 개재될 수 있다.
제 1 계류 라인(110)은 안벽(21)의 선박(10)과 마주보는 측부에서 선박(10)의 안벽(21)과 마주보는 측부로 연장된다. 이 경우, 제 1 계류 라인(110)은 안벽(21)의 상면 중앙부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 장비(M)와 간섭되지 않는다. 이동 장비(M)는 크레인, 트렌스포터, 트럭 또는 기타 중장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 1 계류 라인(110)의 일단부는 안벽(21)의 선박(10)과 마주보는 측부의 상면 가장자리에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장비(M)가 제 1 계류 라인(110)과 간섭하지 않고 이동 가능한 영역이 넓어진다.
제 1 계류 라인(110)의 일단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벽(21)의 상면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말뚝(51)에 감긴 형태로 지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 1 계류 라인(110)의 일단부는 안벽(21)의 상면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윈치(미도시)에 감긴 형태로 지지될 수 있다.
제 1 계류 라인(110)의 타단부는 선박(10)의 안벽(21)과 마주보는 측부의 상갑판에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계류 라인(110)의 타단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10)의 안벽(21)과 마주보는 측부의 상갑판에 위치하는 윈치에 감긴 형태로 지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 1 계류 라인(110)의 타단부는 선박(10)의 안벽(21)과 마주보는 측부의 상갑판에 위치하는 말뚝(미도시)에 감긴 형태로 지지될 수 있다.
제 2 계류 라인(130)은 선박(10)의 안벽(21)과 마주보는 측부의 반대 측부를 안벽(21)에 대해 지지한다. 예컨대 제 2 계류 라인(130)은 도 1에서 볼 때 선박(10)의 우측부를 안벽(21)에 대해 지지한다. 제 2 계류 라인(130)은 안벽(21)에서 선박(10)의 저면을 따라 선박(10)의 안벽(21)과 마주보는 측부의 반대 측부로 연장된다. 이와 같이 연장된 제 2 계류 라인(130)은 안벽(21)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장비(M)와 간섭하지 않는다.
선박(10)의 아래를 경유하여 연장되는 제 2 계류 라인(130)에 장력이 발생하면 제 2 계류 라인(130)은 선박(10)의 저부를 지지한 상태로 선박(10)을 안벽(21) 측으로 당기게 되어 선박(10)을 안정적으로 계류시킨다.
제 2 계류 라인(130)의 장력에 의해 선박(10)에 발생하는 모멘트(도 1에서 볼 때 시계 방향)는 제 1 계류 라인(110)의 장력에 의해 선박(10)에 발생하는 모멘트(도 1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와 반대 방향을 가진다.
제 1 계류 라인(110)과 제 2 계류 라인(130)의 장력을 조절하면 제 1 계류 라인(110)과 제 2 계류 라인(130)에 의해 선박(10)에 걸리는 모멘트를 제거할 수 있어 선박(10)을 안정적으로 계류시킨다.
제 2 계류 라인(130)은 그 일단부가 안벽(21)의 선박(10)과 마주보는 측부의 반대 측부(도 1에서 볼 때 안벽(21)의 좌측부)에 지지되어 안벽(21)의 상면 아래로 연장된다. 이 경우, 제 2 계류 라인(130)은 안벽(21)의 상면 중앙부를 통해 이동하는 이동 장비(M)와 간섭하지 않는다.
제 2 계류 라인(130)은 그 일단부가 도 1에 볼 때 안벽(21)의 좌측부의 상면 가장자리에 지지되어 안벽(21)의 상면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계류 라인(130)은 도 1에서 볼 때 안벽(21)의 좌측벽 및 안벽(21)의 저면을 따라 선박(10)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선박 계류 장치(100)는 제 2 계류 라인(130)을 그 연장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150)는 선박(10)의 외판에 설치되는 선박용 가이드 부재(151)를 포함할 수 있다. 선박용 가이드 부재(151)는 제 2 계류 라인(130)을 그 연장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기능 외에 제 2 계류 라인(130)이 선박(10)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선박(10) 및 제 2 계류 라인(13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선박용 가이드 부재(151)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 2 계류 라인(130)은 선박용 가이드 부재(151)에 접촉된 상태로 선박(10)의 외판에 지지된다. 이러한 선박용 가이드 부재(151)는 복수로 제공되고 제 2 계류 라인(13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선박용 가이드 부재는 파이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선박용 가이드 부재는 선박(10)의 외판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이때 제 2 계류 라인(130)은 선박용 가이드 부재의 내부를 통해 연장된다.
선박용 가이드 부재(151)는 선박(10)이 계류 상태에서 해제되면 선박(10)의 외판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가이드부(150)는 안벽(21)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안벽용 가이드 부재(153)를 포함할 수 있다. 안벽용 가이드 부재(153)는 제 2 계류 라인(130)을 그 연장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기능 외에 제 2 계류 라인(130) 안벽(21)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벽(21) 및 제 2 계류 라인(13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안벽용 가이드 부재(153)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 2 계류 라인(130)은 안벽용 가이드 부재(153)에 접촉된 상태로 안벽(21)의 외측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안벽용 가이드 부재(153)는 복수로 제공되고 제 2 계류 라인(13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안벽용 가이드 부재는 파이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안벽용 가이드 부재는 안벽(21)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이때 제 2 계류 라인(130)은 안벽용 가이드 부재의 내부를 통해 연장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 조절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선박 계류 장치(100)는 조석(潮汐)에 따라 제 1 계류 라인(110) 및 제 2 계류 라인(130)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박(10)을 안벽(21)에 안정적으로 계류하기 위해 제 1 계류 라인(110) 및 제 2 계류 라인(130)에 소정값(K1) 이상의 장력이 유지되어야 한다. 한편 제 1 계류 라인(110) 및 제 2 계류 라인(130)에 한계값(K2)을 초과하는 장력이 걸리면 제 1 계류 라인(110) 및 제 2 계류 라인(130)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계류 라인(110) 및 제 2 계류 라인(130)에 걸리는 장력이 허용 범위에 들어갈 때 계류 라인의 손상없이 안정적으로 선박(10)의 계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장력의 허용 범위를 R이라 할 때,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K1 ≤ R < K2
그런데 조석(潮汐)에 따라 수면이 변하고, 이에 따라 안벽(21)에 계류 중인 선박(10)은 승강한다. 이러한 선박(10)의 승강 과정에서 제 1 계류 라인(110) 및 제 2 계류 라인(130)의 장력이 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장력 조절부(170)는 조석에 따라 제 1 계류 라인(110) 및 제 2 계류 라인(130)의 장력을 측정하고 측정값이 허용 범위를 벗어나면 제 1 계류 라인(110) 및 제 2 계류 라인(130)의 장력이 허용 범위에 들어가도록 제 1 계류 라인(110) 및 제 2 계류 라인(130)의 장력을 조절한다.
장력 조절부(170)는 제 1 윈치(171), 제 2 윈치(172), 제 1 센서(173), 제 2 센서(174) 및 제어부(175)를 포함한다.
제 1 윈치(171)는 제 1 계류 라인(110)을 감는다. 제 1 윈치(171)의 작동으로 제 1 계류 라인(110)의 장력이 조절된다. 제 1 윈치(171)는 선박(10)의 상갑판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 1 윈치(171)와 인접하여 제 1 풀리(176)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 풀리(176)는 제 1 윈치(171)에 대한 제 1 계류 라인(110)의 감기고 풀리는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제 2 윈치(172)는 제 2 계류 라인(130)을 감는다. 제 2 윈치(172)의 작동으로 제 2 계류 라인(130)의 장력이 조절된다. 제 2 윈치(172)는 선박(10)의 상갑판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 2 윈치(172)와 인접하여 제 2 풀리(177)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 풀리(177)는 제 2 윈치(172)에 대한 제 2 계류 라인(130)의 감기고 풀리는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제 1 센서(173)는 제 1 계류 라인(110)의 장력을 측정한다. 제 2 센서(174)는 제 2 계류 라인(130)의 장력을 측정한다. 제어부(175)는 제 1 센서(173) 및 제 2 센서(174)에서 측정된 측정값이 허용 범위를 벗어나면, 제 1 계류 라인(110)의 장력 및 제 2 계류 라인(130)의 장력이 다시 허용 범위에 들어오도록 제 1 윈치(171) 및 제 2 윈치(172)를 작동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 장치가 조석(潮汐)에 따라 제 1 계류 라인 및 제 2 계류 라인의 장력을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조석(潮汐)에 따라 제 1 계류 라인(110) 및 제 2 계류 라인(130)의 장력이 조절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만조(滿潮) 때를 나타내고, 도 3은 간조(干潮) 때를 나타낸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선박(10)은 만조(滿潮) 때 안벽(21)에 계류된다. 이때 제 1 계류 라인(110) 및 제 2 계류 라인(130)에 걸리는 장력은 허용 범위에 들어간다.
이후, 도 3과 같이 간조(干潮)가 되면 해수면은 만조(滿潮) 때보다 낮아져 안벽(21)에 계류 중인 선박(10)은 하강한다. 이때, 제 1 계류 라인(110) 및 제 2 계류 라인(130)에 걸리는 장력은 허용 범위를 벗어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5)는 제 1 계류 라인(110) 및 제 2 계류 라인(130)에 걸리는 장력이 허용 범위에 들어가도록 제 1 윈치(171) 및 제 2 윈치(172)를 작동시킨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 장치(100)는 다양한 형태의 안벽(21)에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 장치(100)가 다양한 형태의 안벽에 제공된 경우를 설명한다.
도 4는 다른 형태의 안벽에 제공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안벽(22)은 폭방향의 양측부(도 4에서 볼 때 좌우측부)에 각각 선박(10)을 계류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해저면(S)에 접하여 지지된다.
이와 같은 안벽(22)의 형상으로 인해, 안벽(22)의 선박(10)과 마주보는 측부의 반대 측부에 지지된 제 2 계류 라인(130)은 안벽(22)을 관통하여 선박(10) 측으로 연장된다.
이때, 제 2 계류 라인(130)은 안벽(22)을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통로부(22a)를 따라 선박(10) 측으로 연장된다. 복수의 안벽용 가이드 부재(153) 중 일부는 통로부(22a)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통로부(22a)를 따라 연장된 제 2 계류 라인(130)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5는 또 다른 형태의 안벽에 제공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안벽(23)은 폭방향의 일측부(도 5에서 볼 때 우측부)만이 물과 접하는 구조를 가진다. 즉, 안벽(23)은 폭방향의 일측부(도 5에서 볼 때 우측부)에만 선박(10)을 계류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안벽(23)은 지지 부재(30)에 의해 해저면(S)에 접하여 지지된다.
이와 같은 안벽(23)의 형상으로 인해, 안벽(23)의 선박(10)과 마주보는 측부의 반대 측부에 지지된 제 2 계류 라인(130)은 안벽(23)을 관통하여 선박(10) 측으로 연장된다. 이때, 제 2 계류 라인(130)은 안벽(23)을 관통하되 L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통로부(23a)를 따라 선박(10) 측으로 연장된다.
복수의 안벽용 가이드 부재(153)는 통로부(23a)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통로부(23a)를 따라 연장된 제 2 계류 라인(130)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 장치(100')는 제 2 계류 라인(130')의 일단부가 지지되는 안벽(23')의 위치에서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즉, 앞선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 장치(100)의 경우, 제 2 계류 라인(130)은 그 일단부가 안벽(21, 22, 23)의 선박(10)과 마주보는 측부의 반대 측부에 지지되어 안벽(21, 22)의 상면 아래로 연장된 형태를 가진다.
이와 달리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 장치(100')의 경우, 제 2 계류 라인(130')은 도 6과 같이 그 일단부가 안벽(23')의 선박(10)과 마주보는 측부에 지지된다. 이와 같은 제 2 계류 라인(130')은 앞선 실시예에 따른 제 2 계류 라인(130)보다 짧다. 따라서 제 2 계류 라인(130')에 대한 원가가 저감된다. 그리고 제 2 계류 라인(130')의 무게가 저감되어 제 2 윈치(172)에 걸리는 부하가 저감될 수 있다.
제 2 계류 라인(130')의 일단부는 안벽(23')의 선박(10)과 마주보는 측벽에 형성된 말뚝(52)에 감긴 형태로 지지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6에 도시된 안벽(23')은 도 5에 도시된 안벽(23)의 형태를 가진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 장치(10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형태의 안벽(21, 22)에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선박 21, 22, 23, 23': 안벽
100, 100': 선박 계류 장치 110 : 제 1 계류 라인
130, 130': 제 2 계류 라인 150 : 가이드부
151 : 선박용 가이드 부재 153 : 안벽용 가이드 부재
170 : 장력 조절부 171 : 제 1 윈치
172 : 제 2 윈치 173 : 제 1 센서
174 : 제 2 센서 175 : 제어부

Claims (8)

  1. 선박을 안벽에 계류하는 장치로서,
    상기 선박의 상기 안벽과 마주보는 측부를 상기 안벽에 대해 지지하되, 상기 안벽의 상기 선박과 마주보는 측부에서 상기 선박의 상기 안벽과 마주보는 측부로 연장되는 제 1 계류 라인; 및
    상기 선박의 상기 안벽과 마주보는 측부의 반대 측부를 상기 안벽에 대해 지지하되, 상기 안벽에서 상기 선박의 저면을 따라 상기 선박의 상기 안벽과 마주보는 측부의 반대 측부로 연장되는 제 2 계류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계류 라인은,
    그 일단부가 상기 안벽의 상기 선박과 마주보는 측부의 반대 측부에 지지되어 상기 안벽의 상면 아래로 연장되는, 선박 계류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벽은,
    그 폭방향 양측부가 물과 접하는 구조를 가지고, 지지 부재에 의해 해저면에 이격되어 지지되며,
    상기 제 2 계류 라인은,
    상기 안벽의 저면을 따라 상기 선박 측으로 연장되는, 선박 계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벽은 해저면에 접하여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 2 계류 라인은 상기 안벽을 관통하여 상기 선박 측으로 연장되는, 선박 계류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계류 라인을 그 연장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 2 계류 라인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선박의 외판 또는 상기 안벽에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선박 계류 장치.
  7. 제1항, 제3항,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석(潮汐)에 따라 상기 제 1 계류 라인 및 상기 제 2 계류 라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 계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조절부는,
    상기 제 1 계류 라인을 감는 제 1 윈치;
    상기 제 2 계류 라인을 감는 제 2 윈치;
    상기 제 1 계류 라인의 장력을 측정하는 제 1 센서;
    상기 제 2 계류 라인의 장력을 측정하는 제 2 센서; 및
    상기 제 1 센서 및 제 2 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이 허용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제 1 계류 라인의 장력 및 상기 제 2 계류 라인의 장력이 상기 허용 범위에 들어가도록 상기 제 1 윈치 및 상기 제 2 윈치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선박 계류 장치.
KR1020140043283A 2014-04-11 2014-04-11 선박 계류 장치 KR101599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283A KR101599026B1 (ko) 2014-04-11 2014-04-11 선박 계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283A KR101599026B1 (ko) 2014-04-11 2014-04-11 선박 계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786A KR20150117786A (ko) 2015-10-21
KR101599026B1 true KR101599026B1 (ko) 2016-03-02

Family

ID=54400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283A KR101599026B1 (ko) 2014-04-11 2014-04-11 선박 계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90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6032A1 (ko) * 2021-04-08 2022-10-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비대칭 스프레드 무어링 시스템이 적용된 부유식 해상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16169B (zh) * 2017-03-13 2020-12-22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lng船系泊力的分析方法
KR102016329B1 (ko) * 2017-06-09 2019-08-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풍력발전기 설치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8083A (ja) 1999-08-03 2001-02-20 Kayaba Ind Co Ltd 係船装置
JP2013086522A (ja) * 2011-10-13 2013-05-13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船舶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1329A (en) * 1974-07-19 1976-07-27 Kosmatka Arthur J Mooring device
JPH0710075A (ja) * 1993-06-28 1995-01-13 Mitsubishi Heavy Ind Ltd 船体支持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8083A (ja) 1999-08-03 2001-02-20 Kayaba Ind Co Ltd 係船装置
JP2013086522A (ja) * 2011-10-13 2013-05-13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船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6032A1 (ko) * 2021-04-08 2022-10-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비대칭 스프레드 무어링 시스템이 적용된 부유식 해상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786A (ko) 2015-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9026B1 (ko) 선박 계류 장치
KR20120097827A (ko) 전자석을 이용한 선박의 계류 장치
KR101259029B1 (ko) 선박 승·하선 장치
KR20170064848A (ko) 선박용 계류 장치
KR20150065442A (ko) 이동식 계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JP2017094988A (ja) 揚陸用の船舶及び揚陸用の船舶を使用した荷役方法
KR102400054B1 (ko)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부유 구조물
CN104828219A (zh) 一种船对船驳载作业使用的活动橡胶护舷装置
KR101654588B1 (ko) 계류라인의 장력 조절장치, 계류라인의 장력 조절방법, 및 그 계류라인 장력 조절장치를 갖는 계류 시스템
KR20160000290U (ko) 선박의 계류장비 배치구조
KR102640051B1 (ko) 부유식 구조물의 펜더 이동 장치
KR20150104734A (ko) 도르래를 이용한 선박 계류장치
KR102662433B1 (ko) 웨더베이닝 다점계류 방법
KR101358312B1 (ko) 선박
KR20160002998U (ko) 텔레스코픽 벨 마우스 장치
KR101784845B1 (ko) 선박 연결구조물
KR101263247B1 (ko) 이동 항구
KR20210034199A (ko) 일점계류 셔틀탱커
KR101499162B1 (ko) 해양 구조물의 조립 방법
KR101566522B1 (ko) 대형 블록 탑재 방법
KR101616837B1 (ko) 계류장치
KR102632557B1 (ko) 쌍동선 선박을 가진 선박의 상가를 위한 윈치
KR101928146B1 (ko) 선박 승하선용 장치
KR20240052210A (ko) 앵커 제어 장치
KR20150049902A (ko) 선박의 계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