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0323A - Ct 콜로노그래피에 사용되는 경구 투여용 액제 및 소화관 조영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Ct 콜로노그래피에 사용되는 경구 투여용 액제 및 소화관 조영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0323A
KR20130100323A KR1020137010935A KR20137010935A KR20130100323A KR 20130100323 A KR20130100323 A KR 20130100323A KR 1020137010935 A KR1020137010935 A KR 1020137010935A KR 20137010935 A KR20137010935 A KR 20137010935A KR 20130100323 A KR20130100323 A KR 20130100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nography
oral administration
water
solution
iod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0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케히코 모토야마
고이치 나가타
데쓰로 혼다
Original Assignee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00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03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4X-ray contrast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4X-ray contrast preparations
    • A61K49/0433X-ray contrast preparations containing an organic halogenated X-ray contrast-enhancing agent
    • A61K49/0447Physical forms of mixtures of two different X-ray contrast-enhancing agents, containing at least one X-ray contrast-enhancing agent which is a halogenated organic compound
    • A61K49/0452Solutions, e.g. for in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4X-ray contrast preparations
    • A61K49/0433X-ray contrast preparations containing an organic halogenated X-ray contrast-enhancing agent
    • A61K49/0447Physical forms of mixtures of two different X-ray contrast-enhancing agents, containing at least one X-ray contrast-enhancing agent which is a halogenated organic compound
    • A61K49/0495Physical forms of mixtures of two different X-ray contrast-enhancing agents, containing at least one X-ray contrast-enhancing agent which is a halogenated organic compound intended for 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사 정밀도를 희생시키지 않고, 또한 전처치에 요하는 시간을 장기화하지 않고, 장관 전처치에 있어서의 장관 세정액의 복용량을 저감시켜 피험자의 부담을 적게 할 수 있는 경구 투여용 액제, 및 당해 경구 투여용 액제의 조제에 사용되는 소화관 조영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즉, CT 콜로노그래피의 소화관 조영에 있어서의 경구 투여용 액제로서, 요오드 화합물과, 수용성 고분자 또는 염류 하제를 함유하고, CT 콜로노그래피 전날에, 300 내지 1200mL을 1회로 또는 복수회로 나누어 복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 투여용 액제; 및 요오드 화합물과, 수용성 고분자 또는 염류 하제를 함유하고, 물에 용해시켜, 요오드 함유량이 3.5 내지 90mg/mL인 수용액으로 하고, CT 콜로노그래피 전날에, 300 내지 1200mL을 1회로 또는 복수회로 나누어 복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관 조영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CT 콜로노그래피에 사용되는 경구 투여용 액제 및 소화관 조영용 조성물 {LIQUID PREPARATION FOR ORAL ADMINISTRATION WHICH CAN BE USED IN CT COLONOGRAPHY, AND COMPOSITION FOR IMAGING DIGESTIVE TRACT}
본 발명은 CT 콜로노그래피의 전처치에 사용되는 경구 투여용 액제, 및 당해 경구 투여용 액제의 조제에 사용되는 소화관 조영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단층 촬영(CT)에 의한 대장 검사(CT 콜로노그래피)는 헬리컬 CT나 다열(多列) 검출기 CT의 개발에 의해 일반화되고 있는 검사법이다. 이미 구미에서는 대장의 스크리닝 검사로서 보급되고 있다. CT 콜로노그래피는 장관 세정에 의해 대장 내의 변괴(便塊)를 세정한 후, 공기로 대장 내강을 확장시킨 상태에서 CT 촬영을 실시하여, 대장 조직과 공기의 약간의 X선 콘트라스트의 차이를 바탕으로 화상 정보가 구성, 처리된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 참조).
CT 콜로노그래피는 종래부터 실시되고 있는 주장(注腸) X선 검사나 대장 내시경 검사와 비교하여, 내시경이나 바륨의 삽입이 불필요하고 검사 시간도 짧기 때문에 피험자의 부담이 적은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또한, CT 콜로노그래피에서는, 촬영으로 수득된 2차원(2D) 화상의 디지털 데이터를 가상 내시경상(virtual endoscopy) 등의 3차원(3D) 화상으로 재구성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여, 대장을 다양한 각도에서 진단할 수 있다. 또한, CT 콜로노그래피는 대장을 포함하는 복부 전체를 1호흡 정지만의 단시간에 한번에 촬영할 수 있고, 대장 이외의 장기에서의 병변도 동시에 진단할 수 있을 가능성도 있다. 또한, 고도의 테크닉을 필요로 하는 장관 점막에 황산바륨을 부착시키는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러한 이점에서, CT 콜로노그래피는 앞으로 널리 실시될 것으로 기대된다.
CT 콜로노그래피는 시각적으로 잔사를 제거할 수 있는 대장 내시경 검사나, 강력한 X선 조영제인 황산바륨을 사용하여 화상에 콘트라스트를 부여할 수 있는 주장 X선 검사에 비하면, 소화관 조직과 공기 등의 약간의 X선 콘트라스트의 차이를 바탕으로 화상 정보가 구성, 처리되기 때문에, 대장내에 잔존하는 변괴가, 병변이라고 오인되기 쉽다. 이로 인해, 다열 검출기 CT, 예를 들면 MDCT(Multi detector-row CT)를 사용하여 대장의 2차원 화상이나 3차원 화상을 양호하게 묘출(描出)하기 위해서는, 장관 전처치에 있어서의 장관 내용물의 배제가 필요하다.
장관 전처치의 방법으로는, 경구 장관 세정제에 의한 장관 세정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경구 장관 세정법은, 일례로서, 전해질 등으로 이루어지는 분말상 조성물을 일정량, 예를 들면 2L 정도의 물로 용해하여 조제한 장관 세정액을 2 내지 4시간에 걸쳐 복용한다. 그러나, 잔변을 적게 하기 위해 대량의 경구 장관 세정액을 사용한 경우에는, 액상 잔사가 많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잔수(殘水)나 장액 저류(貯留) 부위는, 소화관 조직과의 콘트라스트가 수득되지 않아, 진단에 유용한 검사 화상을 구성할 수 없다. 즉, 잔수나 장액 저류 분위는 완전한 병변 검출 불가능 영역이 된다.
액상 잔사를 저감시킴으로써 병변 검출 불가능한 영역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경구 장관 세정시에, 소화관 운동 촉진제를 사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소화관 운동 촉진제를 경구 장관 세정액의 복용 전후 또는 경구 장관 세정액과 동시에 복용함으로써, 장관내의 액상 잔사의 양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장관 세정액과 함께 조영제를 투여함으로써, 대장내의 잔수나 저류액을 전자적으로 소거하는 검사법(electronic cleansing)의 유용성이 주목받고 있다. 조영제를 사용함으로써, 잔수나 액상 잔사 저류부가 표지(태깅)되어 CT 값(휘도값)이 상승하기 때문에, 조영제로 표지되지 않는 폴립 병변과 구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는, CT 콜로노그래피 전처치에 있어서, 경구 장관 세정제에 요오드계 수용성 조영제를 배합한 소화관 조영용 조성물을 복용함으로써, 요오드계 수용성 조영제에 의해 묘사 가능해진 액체 잔사 부분의 화상과, 공기상(가스상)을 합성하여 대장 전체의 주행(走行)과, 병변 부위의 위치 확인을 대장암의 검출과 함께 실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국제공개 제2004/08721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5-2006호
Liang, J.Z.저, 「3. 대장 가상 내시경: 대장의 새로운 검사법(Virtual colonoscopy: An Alternative Approach to Examination of the Entire Colon)」, INNERVISION, 2001년, 제16권, 제10호, 제40 내지 44페이지.
이와 같이, CT 콜로노그래피의 장관 전처치법에 관해서는 이미 각종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집단 검진이나 인간 도크 검사로서 이용하기 위해서는, 검사 정밀도의 질을 유지하면서, 한층 더 피검자의 수용성(受容性)을 높이는 것이 요망된다.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CT 콜로노그래피의 장관 전처치법에서는, 장관 세정을 위해, 수시간만에 약 2L 정도의 대량의 장관 세정액을 복용해야 해서 피험자에게 큰 부담이 가해지고 있다.
전처치에 있어서 장관 세정액의 복용량을 저감시킨 경우의 문제의 하나로, 장관내의 내용물을 조영제에 의해 충분히 표지할 수 없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 문제는, 예를 들면, 3일간 또는 2일간과 같은 장시간에 걸쳐 전처치를 실시함으로써 해소할 수 있다. 전처치 기간 내에 복용하는 경구 장관 세정제가 소량인 경우나 애당초 경구 장관 세정제를 복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검사 전 2일 이상에 걸쳐서 조영제를 다수회 내복함으로써, 장관 내용물 전체를 조영제로 표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처치에 일수(日數)가 걸리는 방법은, 피험자의 부담이 높아지는 데다가, 집단 검진이나 인간 도크 검사를 목적으로 한 경우에는 일상 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또한, 지정한 대로의 정확한 전처치가 실시될지 의문이며, 실용적이지 않다. 그래서, 경구 장관 세정제를 충분히 감량시켜 피검자의 수용성을 담보하면서, 또한 전처치에 요하는 일수(시간)를 최저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검사 정밀도를 희생시키지 않고, 또한 전처치에 요하는 시간을 장기화하지 않고, 장관 전처치에 있어서의 장관 세정액의 복용량을 저감시켜 피험자의 부담을 적게 할 수 있는 경구 투여용 액제, 및 당해 경구 투여용 액제의 조제에 사용되는 소화관 조영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요오드 화합물, 전해질, 및 수용성 고분자를 함유하는 경구 투여용 액제를, CT 콜로노그래피 전날에, 종래의 장관 세정에 필요로 했던 양의 대략 절반 정도의 양을 1회로 또는 복수회로 나누어 복용함으로써, 피검자의 수용성이 비약적으로 개선되는 데다가 CT 콜로노그래피의 묘출능도 높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을 밝혀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1) CT 콜로노그래피의 소화관 조영에 있어서의 경구 투여용 액제로서,
요오드 화합물과, 수용성 고분자 또는 염류 하제(下劑)를 함유하고,
CT 콜로노그래피 전날에, 300 내지 1200mL가 1회로 또는 복수회로 나누어 복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 투여용 액제,
(2) CT 콜로노그래피 전날에, 600 내지 1200mL가 1회로 또는 복수회로 나누어 복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기재의 경구 투여용 액제,
(3) 상기 요오드 화합물이 비이온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 기재의 경구 투여용 액제,
(4) 상기 수용성 고분자가,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덱스트로스, 덱스트란, 덱스트린, 하이드록시에틸 스타치, 아라비아 고무, 플루란, 펙틴, 알부민 및 카복시메틸셀룰로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3)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경구 투여용 액제,
(5) 삼투압이 200 내지 440mOs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4)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경구 투여용 액제,
(6) 또한, 수크로스, 소르비톨, 크실리톨, 에리스리톨, 만니톨, 트레할로스, 락티톨, 락툴로스, 말티톨, 팔라티노스, 라피노스 및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당류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5)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경구 투여용 액제,
(7) 상기 요오드 화합물의 함유량이 3.5 내지 90mg/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6)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경구 투여용 액제,
(8) 또한, 디메틸폴리실록산 및 소화관 기능 촉진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7)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경구 투여용 액제,
(9) 요오드 화합물과, 수용성 고분자 또는 염류 하제를 함유하고,
물에 용해시켜, 요오드 함유량이 3.5 내지 90mg/mL인 수용액으로 하고, CT 콜로노그래피 전날에, 300 내지 1200mL가 1회로 또는 복수회로 나누어 복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관 조영용 조성물,
(10) 물에 용해시켜, 요오드 함유량이 3.5 내지 90mg/mL인 수용액으로 하고, CT 콜로노그래피 전날에, 600 내지 1200mL가 1회로 또는 복수회로 나누어 복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9) 기재의 소화관 조영용 조성물,
(11) 상기 요오드 화합물이 비이온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9) 또는 (10) 기재의 소화관 조영용 조성물,
(12) 물에 용해했을 때, 삼투압이 200 내지 440mOsm/L이 되도록 전해질을 함유하고,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덱스트로스, 덱스트란, 덱스트린, 하이드록시에틸 스타치, 아라비아 고무, 플루란, 펙틴, 알부민 및 카복시메틸셀룰로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이상의 수용성 고분자, 또는
시트르산마그네슘, 인산2수소나트륨, 및 인산수소2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이상의 염류 하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9) 내지 (11)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소화관 조영용 조성물,
(13) 디메틸폴리실록산 및 소화관 기능 촉진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9) 내지 (12)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소화관 조영용 조성물,
(14) 요오드 화합물과, 수용성 고분자 또는 염류 하제를 조합하여 이루어지고,
CT 콜로노그래피 전날에, 300 내지 1200mL가 1회로 또는 복수회로 나누어 복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T 콜로노그래피를 위한 전처치용 약제,
(15) CT 콜로노그래피 전날에, 600 내지 1200mL가 1회로 또는 복수회로 나누어 복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4) 기재의 CT 콜로노그래피를 위한 전처치용 약제,
(16) 경구 장관 세정제와 요오드 조영제를 조합하여 이루어지고,
CT 콜로노그래피 전날에, 300 내지 1200mL가 1회로 또는 복수회로 나누어 복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T 콜로노그래피를 위한 전처치용 약제,
(17) CT 콜로노그래피 전날에, 600 내지 1200mL가 1회로 또는 복수회로 나누어 복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6) 기재의 CT 콜로노그래피를 위한 전처치용 약제
를 제공하는 것이다.
CT 콜로노그래피 전처치에 있어서,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를 사용함으로써, 검사 정밀도의 질을 희생시키지 않고 피험자의 부담을 현저하게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화관 조영용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를 간편하고 복용감이 우수한 제제로 조제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있어서, A군의 횡행(橫行) 결장(T) 내의 3차원 화상(내시경 유사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있어서, B군의 횡행 결장(T) 내의 3차원 화상(내시경 유사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있어서, B군의 횡행 결장(T) 내의 3차원 화상(내시경 유사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 있어서, C군의 횡행 결장(T) 내의 3차원 화상(내시경 유사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 있어서, D군의 횡행 결장(T) 내의 3차원 화상(내시경 유사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CT 콜로노그래피 전처치에 있어서, 경구 장관 세정제의 복용량이 적은 경우에는, 변괴 등의 장관 내용물의 세정 제거가 불충분해져 검사 정밀도가 악화된다. 이로 인해, 종래의 전처치에서는, 대량의 장관 세정액을 수시간만에 복용함으로써 장관을 세정하여, 변괴 등을 저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대해, 본 발명자들은 CT 콜로노그래피의 검사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장관 내부를 촬상한 화상으로부터 고형 잔사를 배제할 수 있으면 되고, 고형 잔사는 제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장관 내부에 고형 잔사나, 고형 잔사가 액체상이나 젤상으로 변화된 잔사가 잔존하고 있다고 해도, 이들 잔사가 조영제에 의해 양호하게 표지되고 있으면, 종래와 동일한 정도로 높은 추출능을 유지할 수 있는 것, 및, 전해질 및 수용성 고분자를 함유하는 경구 장관 세정제에 요오드계 수용성 조영제를 함유시킨 액제를, CT 콜로노그래피 전날에, 종래의 장관 세정에 사용되고 있는 양의 절반 정도 복용함으로써, 장관 내부에 잔존하는 고형 잔사량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을 밝혀내었다.
가상 내시경상 등의 3차원 화상에 있어서는, 고형 잔사와 폴립 병변을 구별하는 것이 곤란하다. 고형 잔사와 폴립 병변 중 어느 것인지를 감별하기 위해, 3차원 화상 중에 관찰되는 융기물 하나 하나에 대해, 2차원 화상(액시얼(axial) 상 등)으로 내부 성상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고형 잔사의 내부는, 경구 조영제에 의해 표지되어 있기 때문에 CT 값이 높지만, 폴립 병변에서는, 통상 CT 값은 100HU 이하로 낮다. 또한, 많은 경우, 고형 잔사의 내부에는 작은 기포의 가스가 혼입되고 있지만, 폴립 병변에서는 작은 기포의 가스의 혼입은 없다. 이와 같이, 2차원 화상에 의해 고형 잔사와 폴립 병변을 구별할 수 있다.
단, 고형 잔사의 수가 많아지면, 이 내부 성상의 확인 작업이 매우 번잡해진다. 즉, 고형 잔사가 많은 경우에는, 독영(讀影)의 난이도가 상승하여 독영 의사의 기술적·시간적 부담이 증가한다. 예를 들면, 후기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도 2 내지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횡행 결장의 지극히 일부 범위뿐이라도 대소 10개 이상의 융기가 있는 경우에는, 감별을 위한 내부 성상의 확인 작업이 10개소 이상 필요해지기 때문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다고 하는 3차원 화상 진단의 장점이 상실되어 버린다.
이에 대해, 잔사가 없는 경우, 또는 액체상으로부터 젤상 잔사만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독영이 신속하고 용이한 3차원 화상에 의한 독영 수법을 활용할 수 있다. 액체상으로부터 젤상 잔사밖에 존재하지 않는 장관의 3차원 화상에서는, 폴립상 병변만이 융기물로서 관찰되기 때문에, 그 부분에만 주시하면 된다. 또한, CT 콜로노그래피는 통상「누운 자세」와 「엎드린 자세」의 2개 체위로 검사하지만, 액체상으로부터 젤상 잔사만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2개 체위 합하여 대장 전역의 관찰이 가능해진다. 한쪽 체위에서 액체상으로부터 젤상 잔사로 감추어져 있는 장관 부분은, 체위 교환에 의해 장관의 반대측으로 잔사가 이동하는 결과, 또 다른 한쪽의 다른 체위에서 추출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전처치에 있어서는, 변괴 등의 고형 잔사를 표지 가능하고 장관 내에서 이동 가능한 유동성을 나타내는 특성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즉,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는, CT 콜로노그래피의 소화관 조영에 있어서의 경구 투여용 액제로서, 요오드 화합물과, 전해질과, 수용성 고분자 및/또는 당류를 함유하고, CT 콜로노그래피 전날에, 300 내지 1200mL가 1회로 또는 복수회로 나누어 복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를 사용한 전처치는, 경구 장관 세정제의 복용량이 종래보다 소량이면 되는 데다가, 전처치에 걸리는 일수를 검사 전일의 1일만으로 하는 것에 성공한 것이며, 집단 검진이나 인간 도크의 검사 시스템으로서 많은 환자를 간편하고 단시간에 검사 가능하도록, 병원 검사 시스템에 짜 넣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의 복용의 형태는, CT 콜로노그래피 전날에, 300 내지 1200mL를 복용하면 되고, 300 내지 1200mL를 1회로 복용해도 좋고 복수회로 나누어 복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350 내지 450mL를 2 내지 3회로 나누어 복용해도 좋고, 100 내지 400mL를 1회로 또는 복수회로 나누어 복용할 수도 있다. 또한, 1회당 복용량을 한번에 복용해도 좋고, 30분 이내에 소량씩 계속해서 복용해도 좋다. 또한, CT 콜로노그래피 전날에 복용되는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의 양은, 300 내지 1200mL의 범위내에서, CT 콜로노그래피의 피험자의 연령이나 체중, 상태 등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식후에 복용해도 좋고, 식전이나 식사와 동시에 복용해도 좋고, 기상 후나 식간, 자기 전에 복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를, CT 콜로노그래피 전날에, 600 내지 1200mL를 1회로 또는 복수회로 나누어 복용함으로써, CT 콜로노그래피의 검사 시점에 있어서, 장관 내부로부터 고형 잔사가 없는 상태, 또는 액체상으로부터 젤상 잔사만이 존재하는 상태로 할 수 있다. 즉, CT 콜로노그래피 당일에 2L 정도의 대량의 장관 세정액을 복용한 경우와 거의 동일한 정도의 장관 세정 효과를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350 내지 450mL를 아침 식후 및 저녁 식후의 2회로 나누어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를, CT 콜로노그래피 전날에, 600mL보다 낮은 용량, 예를 들면, 100 내지 450mL를 1회로 또는 2 내지 3회로 나누어 복용할 수도 있다. 총 복용량이 보다 저용량인 경우에는, 1회로 복용하기보다는 2 내지 3회로 나누어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식 후 및 석식 후의 2회로 나누어 복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복용자의 변통(便通) 상태가 특별히 문제가 없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의 총 복용량이 300 내지 400mL로 적은 경우라도, 600 내지 1200mL를 복용한 경우와 같이, 장관내의 세정 및 표지가 실시된다. 한편, 복용자의 변통 상태에 따라서는, 복용량이 저용량인 경우에 장관내에 비교적 많은 고형 잔사가 잔류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라도,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에 충분한 양의 요오드 화합물을 함유시켜 둠으로써, 장관내의 고형 잔사를 충분히 표지할 수 있는 결과, 촬상된 화상은 진단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는, 종래의 대장 검사에서 사용되는 경구 장관 세정제의 통상 용량(2L)과 비교하여, 1회당 복용량이 충분히 적기 때문에, 단시간에 복용할 수 있어 피험자의 부담이 적다. 특히, 대량의 액체를 한번에 복용하는 것이 곤란한 고령자에 대한 부담이 경감되고 있는 점에서,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는 고령자용의 「검사용 의약」으로서 바람직하다. 또한, 고령자를 포함한 폭넓은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는 집단 검진용의 「검사용 의약」으로서도 바람직하다.
CT 콜로노그래피에 사용되는 조영제는, 일반적으로 황산바륨 등의 바륨과 요오드계 수용성 조영제로 나뉘어진다. 바륨은 장관 내부의 잔사와 균일하게 혼합되기 어려워 비중의 차이에 의해 침전되기 때문에, 촬영중이라도 층을 형성해 버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CT 값이 높기 때문에, pseudoenhancement를 발생시킴으로써 병변을 감추는 경우도 있고, 또한, CT 콜로노그래피와 내시경 검사를 같은 날에 실시할 수 없다는 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에서는, 바륨이 아니라 요오드계 수용성 조영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CT 콜로노그래피에 의해 보다 신뢰성이 높은 촬영 결과가 수득되는 데다가, CT 콜로노그래피와 내시경 검사를 같은 날에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에 함유되는 요오드 화합물로는, 분자 중에 1 이상의 요오드 원자를 함유하고, 조영제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수용성 유기 화합물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수용성 유기 요오드 화합물로는, 벤젠 환의 2, 4 및 6위치에 요오드가 결합한 트리요오드 벤젠류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에 함유되는 요오드 화합물은 이온성 화합물이라도 좋고 비이온성 화합물이라도 좋지만, 비이온성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이온성의 요오드 화합물은 이온성의 요오드 화합물에 비해 맛이 좋아 복용하기 쉬운 데다가 알레르기 반응의 우려도 적기 때문이다.
이온성의 요오드 화합물로는, 구체적으로는, 아미도트리조산(amidotrizoic acid, 화학명 3,5-diacetamino-2,4,6-triiodobenzoic acid), 아미도트리조산나트륨메글루민, 아미도트리조산메글루민, 이오탈람산나트륨, 이오탈람산메글루민, 이오트록시산메글루민, 이오트롤란, 이옥사글산, 이옥실란, 이오프로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비이온성의 요오드 화합물로는, 구체적으로는, 이오파미돌, 이오헥솔, 이오베르솔, 이오메프롤 등을 들 수 있다.
각각의 요오드 화합물은 각각 아나필락시 반응 등의 부작용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어, 알레르기 체질 등의 환자 배경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이온성의 요오드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로서, 특히 알레르기 체질 등의 부작용 발생의 리스크가 적은 환자에게는, 아미도트리조산나트륨메글루민의 사용이, 이의 제제학적인 안정성, 비용 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특허문헌 2에도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CT 촬영에 의해 수득된 2차원 화상을 3차원 화상으로 정밀하게 재구축하기 위해서는, electronic cleansing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electronic cleansing을 효율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액상 잔사 저류부의 CT 값이 충분히 높은 것이 필요하다. 또한, 집단 검진이나 인간 도크 검사 등의 1차 스크리닝 검사로서 CT 콜로노그래피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피폭량이 10mSv 이하가 되도록 저선량(低線量)으로 촬상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잔사와 병변의 CT 값의 차이가 적은 경우에는, 촬상시의 선량(線量)을 낮추면, 경구 조영제로 표지된 잔사와 폴립 병변의 감별이 어려워진다. 이로 인해, 잔사의 CT 값을 폴립 병변에 비해 충분히 높게 해 둘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를 사용하여 전처치를 실시한 경우의 CT 콜로노그래피에 있어서는, 잔사의 CT 값이 300HU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소화관 내의 각 부위에서 300 내지 700HU의 범위에서 균일하게 유지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잔사의 CT 값이 당해 범위인 것에 의해, 저선량으로 촬상해도 잔사와 폴립 병변(100HU 미만)의 감별이 충분히 가능하다.
액상 잔사 저류부의 CT 값은, CT 콜로노그래피 전날에 복용되는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의 요오드 함유량 및 복용량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의 요오드 함유량은, 복용량이나, 복용후의 CT 콜로노그래피에 있어서의 잔사의 CT 값, 피험자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의 요오드 함유량은, 90mg/mL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70mg/mL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5mg/mL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8mg/mL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의 요오드 함유량은, 3.5mg/mL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7mg/mL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mg/mL 이상인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15mg/mL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는, 요오드 화합물에 더하여, 수용성 고분자와 염류 하제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피험자에 대한 부담이 보다 경감되기 때문에, 요오드 화합물과 수용성 고분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는, 수용성 고분자와 염류 하제를 둘 다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에 함유되는 수용성 고분자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덱스트로스, 덱스트란, 덱스트린, 하이드록시에틸 스타치, 아라비아 고무, 플루란, 펙틴, 카복시메틸셀룰로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덱스트로스, 덱스트란, 하이드록시에틸 스타치, 아라비아 고무, 플루란 및 펙틴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용성 고분자가, 제제적 안정성 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로는, 수용성 고분자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분자량으로서는 2000에서 8000인 것이 바람직하며, 3000에서 7000 범위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에 함유되는 염류 하제로는, 시트르산마그네슘, 인산2수소나트륨, 인산수소2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에 함유되는 염류 하제의 농도는, 완하 작용을 나타내는 것이 가능한 농도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염류 하제의 종류나 복용하는 피험자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나트륨 이온은 60mEq/L, 칼륨 이온은 20mEq/L, 마그네슘 이온은 3mEq/L, 염화물 이온은 50mEq/L, 인산염은 10mmol/L, 시트르산 이온은 35mEq/L, 락트산 이온은 20mEq/L이면, 생체내의 전해질의 밸런스에 과도한 영향을 주는 경우는 없다. 이로 인해, 염류 하제는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 중의 함유량이 이들의 농도보다 높아지도록 첨가한다.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를 사용한 전처치에서는, CT 콜로노그래피의 검사 시점에, 피험자의 장관으로부터 고형상의 잔사가 효과적으로 제거되어 있으면 좋고, 장관 내부에 액체상 또는 젤상의 내용물이 잔존하고 있어도 좋다. 즉,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는, 장관 내로부터 변괴 등의 내용물을 완전하게, 또는 이의 대부분을 세정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종래의 장관 세정을 실시하는 전처치보다 피험자의 부담은 더욱 경감된다.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의 삼투압은 200 내지 440mOsm/L인 것이 바람직하다. 삼투압을 당해 범위내로 함으로써, 당해 경구 투여용 액제를 복용하는 것에 의한 생체내의 혈청 전해질 밸런스와 삼투압의 변동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로는, 280 내지 320mOsm/L의 등장(等張), 또는 등장에 가까운 삼투압 범위로 조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제4131266호에 기재된 장관 세정액과 같이, 물 등의 복용과 병용하여 장관내의 삼투압을 조제하는 제제라도 좋다. 이와 같이 물 등과 병용하여 복용하는 경우,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의 삼투압을, 상기 삼투압 범위보다 높은 삼투압, 예를 들면 700mOsm/L 이하의 삼투압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는, 원하는 삼투압으로 조정하기 위해, 전해질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에 함유되는 전해질의 종류와 배합량은 경구 투여용 액제의 삼투압이 상기 범위내가 되도록 적절히 선택된다.
전해질이란, 용액 중에서 해리되어 이온이 되는 물질을 말하고, Na+, K+, Ca2+, Mg2+, Cl-, HCO3 -, SO4 2-, HPO4 2-, 유기산기, 유기염기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염류 하제도 전해질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에 함유되는 전해질로는, 정맥 투여되는 전해질 수액 등에 사용되는 전해질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나트륨 이온원으로는, 염화나트륨, 아세트산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인산2수소나트륨, 인산수소2나트륨, 황산나트륨, 락트산나트륨 등이 예시되고, 칼륨 이온원으로는, 염화칼륨, 아세트산칼륨, 시트르산칼륨, 인산2수소칼륨, 인산수소2칼륨, 황산칼륨, 락트산칼륨 등이 예시되고, 칼슘 이온원으로는, 염화칼슘, 글루콘산칼슘, 판토텐산칼슘, 락트산칼슘, 아세트산칼슘, 글리세로인산칼슘 등이 예시되고, 마그네슘 이온원으로는, 황산마그네슘, 염화마그네슘, 아세트산마그네슘, 시트르산마그네슘 등이 예시되고, 인산 이온원으로는, 인산2수소나트륨, 인산수소2나트륨, 글리세로인산나트륨 등이 예시되고, 염소 이온원으로는,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등이 예시되고, 또한 중탄산 이온원으로는, 탄산수소나트륨 등이 각각 예시되며, 이들 화합물은 수화물의 형태라도 좋다.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는, 추가로 당류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특히 스크리닝 검사로서 실시되는 CT 콜로노그래피 전처치에 바람직한 경구 투여용 액제로는, 제제 안정성이나, 복용의 용이성 등을 포함한 환자 수용성이 우수하다는 이유로 전해질과 당류의 혼합물을 첨가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에 함유되는 당류로는, 당과 당 알코올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에 함유되는 당류로는, 구체적으로는, 수크로스, 소르비톨, 크실리톨, 에리스리톨, 만니톨, 트레할로스, 락티톨, 락툴로스, 말티톨, 팔라티노스, 라피노스, 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크실리톨, 소르비톨, 락툴로스, 락티톨 및 라피노스가, 제제 안정성이나, 복용의 용이성 등을 포함한 환자 수용성 등의 이유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에 있어서의 수용성 고분자 및 전해질의 배합량의 합, 또는, 수용성 고분자, 전해질, 및 당류의 배합량의 총합으로는, 예를 들면 400mL의 액상 제제 중에, 2 내지 40그램,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그램이다. 장관으로부터 흡수되는 전해질량과 장관내로 분비되는 전해질량을 상쇄시켜 혈청 전해질 밸런스를 유지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가, Na+: 30 내지 150mEq/L, K+: 3 내지 20mEq/L, Cl-: 20 내지 70mEq/L, 그리고 HCO3 -: 10 내지 50mEq/L이 되도록 전해질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관에서의 수분 및 전해질의 흡수를 억제하기 위해, 경구 투여용 액제에는 이들 전해질 이외에도, 마그네슘 이온, 황산 이온과 같은 난흡수성 이온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그네슘 이온의 경우에는, 경구 투여용 액제 중의 마그네슘 이온 농도가 40 내지 120mEq/L이 되도록 조정하여 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황산 이온의 경우에는, 경구 투여용 액제 중의 황산 이온 농도가, 40 내지 120mEq/L이 되도록 조정하여 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해질 및 수용성 고분자에 더하여, 추가로 당류를 사용하는 경우, 당류의 사용량은, 400mL의 경구 투여용 액제 중에 2 내지 40그램,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그램이다.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는, 요오드 화합물, 전해질, 수용성 고분자, 및 염류 하제에 더하여, 추가로, 소화관 기능 촉진제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화관 기능 촉진제에 의해, 복용된 경구 투여용 액제나, 당해 경구 투여용 액제와 장관 내용물의 혼합물이 배설되기 쉬워져 CT 콜로노그래피시에 장관내 잔사의 양을 저감시킬 수 있다. 특히, CT 콜로노그래피 전날에 복용하는 총량이 비교적 저용량인 경우,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는 추가로 소화관 기능 촉진제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에 함유되는 소화관 기능 촉진제로는, 세로토닌 5-HT4 수용체 자극제를 들 수 있다. 세로토닌 5-HT4 수용체 자극제로는, 시트르산모사프리드를 함유하는 일본 특허공보 제(평)3-54937호 「특허청구범위」제1항에 기재된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벤즈아미드 유도체, 시사프리드, 메트로클로프라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 중에서는, 부정맥 유발 등의 부작용이 적은 점에서, 시트르산모사프리드가 가장 바람직하다((주) 메디컬리뷰사, 1998년 발행, 「모사프리드와 소화관 운동」). 시트르산모사프리드는, 1일당 복용량(즉, 1회의 CT 콜로노그래피를 위한 전처리에 있어서의 사용량)이 5 내지 40mg이 되도록 적절히 조정하여,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에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범용되고 있는 대장 자극성 하제도, 소화관 기능 촉진제로서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에 함유될 수 있다. 대장 자극성 하제로는, 예를 들면, 피코설페이트나트륨, 비사코딜, 센노시드 등을 들 수 있다. 대장 자극성 하제는 1회의 CT 콜로노그래피를 위한 전처리에 있어서의 사용량이, 당해 제제의 규정되어 있는 1일당 복용량이 되도록, 또는 대장 검사 전처치를 위한 복용량으로서 규정되어 있는 양이 되도록, 적절히 조정하여,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에 함유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피코설페이트나트륨은, 1일당 복용량(즉, 1회의 CT 콜로노그래피를 위한 전처리에 있어서의 사용량)이 5 내지 150mg이 되도록 적절히 조정하여,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에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CT 콜로노그래피 검사에 있어서, 장관 내의 유포(有泡)성 점액의 존재가 촬영한 영상으로부터의 병변의 판독을 곤란하게 하는 것은 종종 경험하는 일이다.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를 복용하는 전처치를 실시한 경우에도, 장관내에 유포성 점액이 존재하여, 영상으로부터의 병변의 판독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는, 요오드 화합물, 수용성 고분자, 및 염류 하제에 더하여, 추가로 디메틸폴리실록산을 함유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유포성 점액 중의 기포에 대해 디메틸폴리실록산이 소포 작용을 나타내기 때문에, 촬영한 영상으로부터의 병변의 판독 정밀도 및 판독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에 함유되는 디메틸폴리실록산으로는, 소화관내 가스 구제제로서 시판되고 있는 「가스콘(등록상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에 함유되는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양은, 성인에 있어서의 1일당 복용량(즉, 1회의 CT 콜로노그래피를 위한 전처리에서의 사용량)이 30 내지 120mg,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mg이 되도록 적절히 조정하여,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에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CT 콜로노그래피 전날에, 디메틸실록산을 함유하고 있지 않은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와, 디메틸폴리실록산을 함유하는 액제를 각각 독립적으로, 1회로 또는 복수회로 나누어 경구적으로 복용해도 좋다.
또한, 디메틸폴리실록산은 종래에는 위장관 내의 가스에 기인하는 복부 증상의 개선, 위내시경 검사시의 위내 유포성 점액의 제거, 복부 X선 검사시의 장내 가스의 구제 등에 사용되고 있었지만, CT 콜로노그래피 검사 전처치에 사용된 적은 없었다. 게다가,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소포 작용은 종래의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역할과는 상이하고, 그 결과, 촬영한 영상으로부터의 병변의 판독 정밀도 및 판독 효율을 개선할 수 있었던 것은, 예상외의 일이다.
요오드 화합물, 수용성 고분자, 및 전해질은 특유한 맛이나 냄새를 갖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에는, 교미(矯味)나 교취(矯臭) 수단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감미료나 향료를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에 함유되는 향료로는, 경구로 경구 투여용 액제를 섭취할 때의 수용성 고분자나 전해질에 기인하는 냄새를 마스크하는 것이면 되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식품 향료가 적당하고, 특히 과일 향료가 적합하다. 과일 향료로는, 레몬, 오렌지, 그레이프후르츠, 레몬라임, 만다린 오렌지, 포도, 딸기, 버찌, 사과, 살구, 라즈베리 등의 향료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레몬, 오렌지, 그레이프후르츠, 레몬라임과 같은 감귤계의 액체 향료는, 산뜻한 기분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최적이다. 액체 향료로는, 이들 과일로부터 압착법이나 수증기 증류에 의해 수득되는 정유(精油)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리모넨, 시트랄, 시트로네랄, 리나롤, 옥타날 등을 단독으로 또는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리모넨을 함유하는 감귤계의 향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향료는 향료 제조사가 시판하고 있으며, 이를 사용하는 것이 실제적이다. 또한, 액체 향료에는, 향료 성분을 함수 알코올 등으로 추출하거나 용해시킨 수용성의 액체 향료, 및 향료 성분을 유성 용제에 용해시킨 유용성의 액체 향료가 포함된다. 또한 향료 성분(정유)에 보존제 등을 첨가한 것도 포함된다. 액체 향료로는, 보존 안정성의 점에서, 수용성의 액체 향료보다 유용성 또는 정유 유래의 향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향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 제조 공정에서의 휘산, 포장체로의 흡착, 및 포장체로부터의 투과 산일(散逸) 등을 고려하여 첨가량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바람직한 첨가량은, 경구 투여용 액제의 0.001 내지 0.3질량%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향료를 전해질 분말에 직접 흡착시킨다. 향료를 미리 당류에 흡착시켜 배합하는 것은, 수소 가스나 메탄 가스의 발생 위험이 있기 때문에 피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감미료는, 대량의 경구 투여용 액제를 복용할 때에 마시기 쉽게 하는 것이다. 감미료로는, 장내에서 수소 가스나 메탄 가스의 발생이 없거나 지극히 적은 것이어야 한다. 단, CT 콜로노그래피의 촬상 후에 내시경 검사를 실시하여, 내시경 검사와 동시에 폴립을 전기적으로 절제하는 수기(手技)(내시경적 폴리펙토미)를 취하지 않는 경우에는, 당류, 특히 수크로스(정제 백당)를 적극적으로 첨가하여, 액제의 복용감과 에너지 보급을 개선해도 좋다. 장내에서 수소 가스나 메탄 가스의 발생이 없거나 또는 지극히 적은 감미료로는, 구체적으로는, 사카린, 사카린나트륨, 아세설팜-K, 시클라메이트(사이클로헥실설파민산나트륨), 아스파르템 등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감미료의 바람직한 첨가량은, 경구 투여용 액제의 0.001 내지 3질량%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3질량%이다.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에서, 그밖의 성분을 함유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에는, 아스코르브산 및/또는 이의 1종 이상의 염(아스코르베이트 성분)을 함유시켜도 좋다. 예를 들면, 아스코르베이트 성분은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 1L당 4 내지 15g의 범위내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CT 콜로노그래피 전날에 복용하는 총량이 비교적 저용량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는 추가로 아스코르베이트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아스코르브산의 염은, 알칼리금속염 및 알칼리토금속염, 예를 들면, 아스코르브산나트륨, 아스코르브산칼륨, 아스코르브산마그네슘 및 아스코르브산칼슘이다. 특히 바람직한 아스코르브산의 염은 아스코르브산나트륨이다. 바람직하게는, 아스코르베이트 성분은 아스코르브산 및 이의 1종 이상의 염의 양자를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아스코르브산 및 이의 염은 1:9 내지 9:1의 범위내의 중량 비로 존재한다. 아스코르브산 및 이의 염은 실제로는 수화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수화물이 사용된다면, 여기서 언급된 중량 및/또는 중량 비는, 수화수를 제외한 아스코르브산 또는 이의 염의 중량 및/또는 중량 비이다. 바람직하게는, 아스코르브산 및 이의 염은 2:8 내지 8:2, 보다 바람직하게는 3:7 내지 7:3,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4:6 내지 6:4의 범위내, 예를 들면, 4.7:5.9의 중량 비로 존재한다.
CT 콜로노그래피 전처치로서,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를 복용함으로써, 대장의 심부의 액상 또는 젤상 잔사도 양호하게 요오드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를 사용한 전처치는 결장이나 직장 등의 심부 대장 부위의 검사에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는, 대장 내시경 검사, 주장 X선 검사, 및 CT 콜로노그래피를 위한 전처치로서 장관 세정을 실시할 때에 사용되는 액상의 경구 장관 세정제(장관 세정액)에, 요오드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조영제를 첨가한 것이라도 좋다. 즉, 경구 장관 세정제에 요오드계 수용성 조영제를 조합하여 요오드 함유량을 3.5 내지 90mg/mL로 조정한 것을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경구 장관 세정제로는, 수용성 고분자 및 염류 하제의 적어도 한쪽을 함유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복용시의 삼투압이 200 내지 440mOsm/L이 되도록 전해질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감미료 및/또는 향료를 함유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과 전해질의 조합의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125319호에 개시된 발명에 따르는 「니플렉(등록상표)」 배합 내용제(아지노모토세야쿠사 제조)), 덱스트란, 덱스트린, 하이드록시에틸 스타치, 폴리덱스트로스, 아라비아 고무 및 펙틴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용성 고분자와 전해질의 조합의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2-2542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3-206046호), 에리스리톨 또는 크실리톨과 전해질의 조합의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3-284620호), 프락토올리고당과 전해질의 조합의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3-291228호), 락티톨, 말티톨 및 카복시메틸셀룰로스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 전해질을 함유하는 조성물(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5-255092호), 시트르산마그네슘(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5-306221호), 인산2수소나트륨, 인산수소2나트륨 등의 염류 하제와 등장화제를 사용하여 등장 수용액으로 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는, 미리 각 성분을 함유하는 농축액을 조제하고, 복용시에 적당량의 물로 희석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각 성분의 농축액은 알루미늄캔, 가요성 용기, 강성 또는 준강성의 용기에 충전한 형태를 취해도 좋다. 이때, 용해액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살균 또는 멸균되는 것은 물론이다(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9-5874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8-253220호 공보 등).
또한, 각각 분말화, 정제화, 또는 입상화된 각 성분을 준비하고, 이들을 복용시에 적당량의 물에 용해시킴으로써 조제할 수도 있다. 2종류 이상의 성분을 미리 혼합한 조성물을 조제해 두고, 복용시에, 당해 조성물과 그밖의 성분을 적당량의 물에 용해시켜도 좋다.
예를 들면, 수용성 고분자 및 염류 하제의 적어도 한쪽과, 필요에 따라 염류 하제 이외의 전해질을 함유하고, 소정량의 물에 용해시킴으로써 삼투압이 200 내지 440mOsm/L인 장관 세정액을 조제할 수 있는 분말 제제(예를 들면, 상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125319호 기재의 발명에 따르는 상기한 「니플렉(등록상표)」 배합 내용제(아지노모토세야쿠사 제조))와, 요오드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조영제를, 함께 복용시에 소정량의 물에 용해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를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분말 제제 대신에, 정제 또는 과립제의 제형으로 제제화한 것을 사용해도 좋다.
그 외, 수용성 고분자와 염류 하제의 적어도 한쪽과 요오드 화합물(필요에 따라, 염류 하제 이외의 전해질, 디메틸폴리실록산, 및 소화관 기능 촉진제)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미리 조제해 두고, 복용시에, 당해 조성물과 감미료나 향료와 같은 그밖의 성분을 적당량의 물에 용해시켜도 좋다. 경구 장관 세정제나 조영제의 유효 성분을 미리 하나의 조성물로서 조제해 두고, 또한 감미료나 향료와 같은 교미 교취 작용을 갖는 성분을 개별적으로 조정 가능하게 해 둠으로써, 원하는 맛이나 냄새를 갖는 경구 투여용 액제를 보다 간편하게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를 구성하는 성분 중, 요오드 화합물과, 수용성 고분자 또는 염류 하제를 적어도 함유하는 조성물을, 본 발명의 소화관 조영용 조성물이라고 한다. 즉, 본 발명의 소화관 조영용 조성물은, 요오드 화합물과, 수용성 고분자와 염류 하제의 적어도 한쪽을 함유하고, 물에 용해 또는 희석시킴으로써, 요오드 함유량이 3.5 내지 90mg/mL인 수용액이 조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염류 하제 이외의 전해질, 디메틸폴리실록산, 소화관 기능 촉진제, 감미료, 향료 등의 성분도 함유하는 조성물도, 본 발명의 소화관 조영용 조성물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소화관 조영용 조성물을 물에 용해 또는 희석시킴으로써 수득되는 수용액의 삼투압은 200 내지 440mOsm/L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소화관 조영용 조성물로는,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를 구성하는 요오드 화합물을 제외한 성분을, 각 성분이 혼합 가능하도록 입자 직경을 조정한 후에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요오드 화합물을 비롯한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를 구성하는 전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기밀성의 용기에 충전, 밀봉 포장하여 유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복용의 용이성이나 사용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1일의 복용량, 또는, 복수회로 나누어 복용하는 경우에는 1회의 복용량(예를 들면, 350 내지 450mL에 용해시켜 사용되는 양)이, 포장물 1개당의 내용량이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소화관 조영용 조성물은, 열가소성 수지로 안을 덧댄 알루미늄 등의 금속제의 주머니 또는 캔과 같은 포장체, 또는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한 플라스틱제의 포장체에 충전된다. 이 경우, 리모넨을 함유하는 향료는 특히 폴리올레핀계의 열가소성 수지에 흡착되거나 또는 이를 통해 투과 산일되기 쉽기 때문에, 사용시에 충분한 양의 향료가 잔존하는 포장체로 할 필요가 있다. 포장체 내면의 면적과 함께 수지 층의 두께도 흡착량 및 투과 산일량을 좌우하기 때문에, 포장체의 씰 강도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고, 게다가 사용시에 충분한 양의 향료가 잔존하는 범위로 수지 층의 두께 등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특히, 리모넨의 흡착량 또는 투과 산일량이, 사용시까지 1개 포장체당 1000mg 이하가 되는 포장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소화관 조영용 조성물은, 포장체로부터 용기로 옮기고 물에 용해하여 복용할 수 있다. 그러나, 포장체 자체를 필요한 용해수(예를 들면 200 내지 1200mL)를 수납할 수 있는 플라스틱제의 용기로 하고, 사용시에 포장체 중에 직접 용해수를 넣고 용해하여 복용하면, 용해용의 용기를 별도 준비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편리하다. 또한, 포장체에는 분할 복용하는 1회당 복용량을 눈으로 볼 수 있는 눈금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플라스틱 용기로는, 폴리올레핀계의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계의 열가소성 수지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을 들 수 있다. 연질 폴리올레핀은 용기의 성형상 필요한 수지끼리의 접착성이 좋지만, 리모넨을 함유하는 향료의 가스 흡착성/투과성이 높다. 한편, 경질 폴리올레핀은 가스 흡착성/투과성은 낮지만, 수지끼리의 접착성이 나쁘다. 따라서, 성형상의 요건과 가스 흡착성/투과성의 요건의 양자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내층(소화관 조영용 조성물과 접촉하는 면)에는 연질 폴리올레핀을 사용하고, 그 위에 경질 폴리올레핀을 중층시키면, 전체적으로 가스 흡착성/투과성이 낮고, 접착성(성형성) 이 좋고, 게다가 용해용 용기로서도 겸용할 수 있는 대용량의 포장체로 할 수 있다. 또한, 최내층(소화관 조영용 조성물과 접촉하는 면)에 연질 폴리올레핀, 이의 외측에 경질 폴리올레핀, 또한 이의 외측에 연질 폴리올레핀을 중층하여, 합계 3층으로 한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최내층에는 연질 폴리에틸렌, 특히 직쇄상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최내층의 두께는, 리모넨을 함유하는 향료의 흡착 또는 투과 산일에 의한 감소를 억제하기 위해, 100㎛ 이하, 바람직하게는 50㎛의 폴리올레핀계의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질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내층과 경질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외층의 2층으로 플라스틱제의 포장체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합계 두께를 70 내지 200㎛로 하고, 내층 및 외층의 각각의 두께를 35 내지 1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질 폴리올레핀을 최내층으로 하고, 이의 외측에 경질 폴리올레핀을, 추가로 이의 외측에 연질 폴리올레핀을 중층하여 3층으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제의 포장체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합계 두께를 70 내지 200㎛로 하고, 각각의 층의 두께를 15 내지 70㎛, 특히 20 내지 4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효 성분 중, 탄산수소나트륨이 경시적으로 탄산 가스를 발생시켜 함량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고, 또한 리모넨의 포장체로부터의 산일을 방지한다는 쌍방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포장체의 가스 투과도는 20cc/㎡·day·atm(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2층 또는 3층의 폴리에틸렌층의 더욱 외측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적층하여, 포장체의 낙하 충격이나 찌르기에 대한 강도를 높인 포장체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장체의 형상은 특별히 상관하지 않지만, 용해수를 수납할 수 있는 플라스틱제의 용기를 겸용하는 경우에는, 용해수의 주입구를 구비하고, 용해된 경우에 이를 세울 수 있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의 편리성을 고려하면, 바닥보다 높이가 긴 세로로 긴 거의 삼각형의 2장의 측벽, 이의 측벽의 상부에 마련한 주입구, 이의 측벽의 하부에 마련한 동백잎과 같은 형상을 가진 바닥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2장의 측벽과 바닥면은 유연성이 있는 플라스틱으로 구성하고, 주입구는 단단한 플라스틱으로 구성하고, 주입구에는 뚜껑을 구비한다. 2장의 측벽과 바닥면을 유연성이 있는 플라스틱으로 구성하고, 바닥면은 용해수를 넣을 때까지는 내부로 접을 수 있는 구조로 함으로써, 용해수를 주입할 때까지는, 포장체(용기)로부터 공기를 배제해 두면 전체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저장, 수송에 편리하다. 2장의 측벽은 내용량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플라스틱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의 측벽에는 용해수의 양을 나타내는 눈금을 그림으로써, 용해수의 주입에 계량기를 필요로 하지 않고, 복용시에 복용량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화관 조영용 조성물은, 소정의 성분을 종래 공지의 방법으로 혼합하여 조제할 수 있다. 포장체에 충전하는 경우에는, 공기를 가능한 한 배제해 두는 편이, 산소에 불안정한 유효 성분의 경시적인 품질 열화를 방지할 수 있고, 부피가 커지지 않기 때문에 보존, 수송에 편리하다. 또한, 장기 보존이 필요한 경우에는, 본 포장체를 추가로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필름 등으로 형성한 가스 비투과성의 외장용 봉투에 넣어 밀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화관 조영용 조성물을 비롯한,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를 조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각 성분 및 조성물 등은, 하나의 키트 또는 포장품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의 경구 장관 세정제와 요오드 조영제를 조합한 것이나, 각각 별개로 조제된 요오드 화합물과 수용성 고분자를 배합 가능하도록 조합한 것, 각각 별개로 조제된 요오드 화합물과 염류 하제를 배합 가능하도록 조합한 것, 각각 별개로 조제된 요오드 화합물과 수용성 고분자와 염류 하제를 배합 가능하도록 조합한 것 등을, CT 콜로노그래피를 위한 전처치용 약제로 할 수 있다.
이러한 키트나 포장품은 이의 제작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적절히 통상적인 방법에 의할 수 있다. 즉, 1개의 포장 형태에 있어서 적어도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를 조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각 성분 및 조성물이 함유되어 있으면 좋다. 이들 키트나 포장품에는, 복용 순서, 복용 방법을 기재한 지시서, 복용을 중지해야 하는 증상, 부작용시의 대응이 기재된 주의서를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컵, 복용량의 체크 시트, 시계, 용해액 등을 넣어 둘 수 있다.
일례로서, 전해질 및 수용성 고분자(필요에 따라 당류, 디메틸폴리실록산, 및 소화관 기능 촉진제)를 함유하고, 소정량의 물에 용해시킴으로써 삼투압이 200 내지 440mOsm/L인 장관 세정액을 조제할 수 있는 분말 제제를 플라스틱 용기에 충전하고(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4-259461호 참조), 당해 용기에 요오드 화합물을 함유하는 액제나 정제, 및 복용 순서가 기재된 지시서 및 부작용의 증상과 이의 대처법이 기재된 주의서가 분리 수납된 블리스터 팩을 떼어낼 수 있도록 장착한다. 상기 블리스터 팩 부착 플라스틱 용기를 소화관 조영용 조성물 용해용의 용기에 삽입 또는 외벽에 장착하는 형태가 유용하다. 상기 용해용의 용기에 미리 미네랄 워터 등의 용해액을 충전해 두면 더욱 편의성이 높아진다.
또한, 전해질 및 수용성 고분자(필요에 따라 당류, 디메틸폴리실록산, 및 소화관 기능 촉진제)를 함유하고, 삼투압이 200 내지 440m0sm/L인 장관 세정액이 충전된 용기에 상기 블리스터 팩을 장착해도 좋다.
다른 예로서, 트리플 백이라고도 칭할 수 있는, 가요성의 플라스틱제 백을 융착부에 의해 칸막이된 3개의 구획에,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의 각 성분 및 조성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 키트용 백을 좋은 예로서 들 수 있다. 이 키트용 백은, 사용시에 손 등으로 가압함으로써 중간의 융착부를 박리하여, 분말의 각 성분 또는 조성물과 이의 용해액을 혼합하여 경구 투여용 액제를 조제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 키트용 백의 표면에 지시서, 주의서를 인쇄해 두면, 백 1봉지로 키트화할 수 있다(일본 의장출원 제2000-2619호).
염증성 장질환 환자에 있어서는, 조영제가 장관 점막의 염증을 자극하여, 궤양부 등의 질환부로의 악영향이 우려되기 때문에, 키트 또는 포장품에는 염증 방지 목적으로 스테로이드제를 넣어도 좋다.
실시예
다음에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CT 콜로노그래피 검사 전날에,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를 800mL 복용한 경우(A군, 2명)와, 수용성 고분자를 함유하지 않고 또한 염류 하제를 함유하지 않는(완하 작용을 나타내기에 충분한 농도의 전해질을 함유하지 않는) 요오드 화합물함유 용액을 800mL 복용한 경우(B군, 2명)와, A군과 동일한 액제를 400mL(A군의 절반량) 복용한 경우(C군, 3명)와, A군과 동일한 액제를 A군과 동일한 용량으로 복용하는 것에 더하여, 시트르산모사프리드 40mg을 복용한 경우(D군, 1명)에 있어서, CT 촬영에 의해 수득된 대장 화상을 평가하였다.
각 군의 구체적인 전처치는 이하와 같다. 또한, 요오드계 수용성 조영제는, 상품명 「옴니파큐(등록상표) 주350(다이이치산쿄세야쿠 제조)」(일반명: 이오헥솔), 「이오베린(등록상표) 주350(타이요야쿠힌 제조)」(일반명: 이오헥솔), 또는 「옵티레이(등록상표) 350(코비디엔재팬사 제조)」(일반명: 이오베르솔)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였다.
A군: 검사 전일 아침 7시에, 경구 장관 세정제(상품명 「니플렉(등록상표) 배합 내용제」, (아지노모토세야쿠사 제조)) 380mL에 요오드계 수용성 조영제 20mL를 배합한 합계 400mL를 내복하고, 검사 전일의 저녁 19시에, 동일한 내용물 400mL를 내복하였다. 1일 복용 총량은 800mL(경구 장관 세정제 760mL와 요오드계 수용성 조영제 40mL)이었다.
B군: 검사 전일 아침 7시에, 스포츠 음료(상품명: 포카리스웨트, 오츠카세야쿠사 제조) 380mL에 요오드계 수용성 조영제 20mL를 혼합한 합계 400mL를 내복하고, 검사 전일의 저녁 19시에, 동일한 내용물 400mL를 내복하였다. 1일 복용 총량은 800mL(스포츠 음료 760mL와 요오드계 수용성 조영제 40mL)이었다.
C군: 검사 전일 자기 전 21시에, 경구 장관 세정제(상품명 「니플렉(등록상표) 배합 내용제」, (아지노모토세야쿠사 제조)) 380mL에 요오드계 수용성 조영제 20mL를 배합한 합계 400mL를 내복하였다. 1일 복용 총량은 400mL(경구 장관 세정제 380mL와 요오드계 수용성 조영제 20mL)이었다.
D군: 검사 전일 아침 7시에, 경구 장관 세정제(상품명 「니플렉(등록상표) 배합 내용제」, (아지노모토세야쿠사 제조)) 380mL에 요오드계 수용성 조영제 20mL를 배합한 합계 400mL를 내복하고, 계속해서 소량의 물로 시트르산모사프리드(상품명 「가스모틴(등록상표)정」, 다이닛폰스미토모세야쿠사 제조) 20mg을 내복하였다. 그 후, 검사 전일 저녁 19시에, 동일한 내용물 400mL를 내복하고, 계속해서 소량의 물로 시트르산모사프리드 20mg을 내복하였다. 1일 복용 총량은 800mL(경구 장관 세정제 760mL와 요오드계 수용성 조영제 40mL) 및 시트르산모사프리드 40mg이었다.
요오드계 수용성 조영제를 함유하는 경구 장관 세정제 또는 스포츠 음료를 복용한 다음날 아침 9시에, MDCT 촬영을 실시하였다. MDCT는 멀티 슬라이스 CT 장치(도시바메디칼시스템즈사 제조)를 사용하였다. 3차원 화상 처리가 가능한 대장 해석 소프트웨어(AZE사 제조)를 사용하여 3차원 화상 처리를 실시하여, 경항문적으로 탄산가스를 주입하고 촬상한 데이터로부터, 2종류의 3차원 화상(내시경 유사 화상, 및 액체 잔사 부분의 화상과 가스상을 합성한 주장 유사 화상)을 구축하였다. 또한, 2차원 화상으로서 액시얼상을 구축하고, 조영제에 의한 잔사 표지의 정도 및 잔사의 성상을, A 내지 C의 3개 군에서 비교 검토하고, 각각의 방법에 의한 장관 전처치의 질을 평가하였다. 잔사의 평가는, 대장을 맹장(C), 상행 결장(A), 횡행 결장(T), 하행 결장(D), S상 결장(S), 직장(R)의 6개의 대장 구분(區分)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표 1에, 요오드계 수용성 조영제에 의한 장관내의 잔사의 표지 정도를 평가한 결과를, 표 2에, 장관내의 잔사의 상태를 평가한 결과를, 각각 기재한다. 표 1 중, 「양호」는 조영제가 잔사에 균일하게 혼합되어 있던 것을, 「중등도(中等度)」는 잔사로의 조영제의 혼합에 불균일이 있던 것을, 「저도(低度)」는 잔사로의 조영제의 혼합이 적거나 또는 조영제가 함유되어 있지 않은 것을, 각각 의미한다. 또한, 표 1 및 표 2 중, 「-」는, 잔사가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평가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A군은 경구 장관 세정제를 종래의 2L의 절반량 이하밖에 복용하지 않았지만, 조영제에 의해, 대장 전역에 걸쳐 양호하게 표지되어 있었다. 또한, 대장 전구분(全區分)에 있어서 잔사가 액체상 또는 젤상이었다. 도 1에, A군의 횡행 결장(T) 내의 3차원 화상(내시경 유사상)을 도시한다. 이와 같이, 고형 잔사가 존재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수득된 3차원 화상 중에서는, 폴립상 병변만이 융기물로서 관찰되어, 용이하고 신속하게 독영할 수 있었다. 또한, 「누운 자세」와 「엎드린 자세」의 2개 체위에서 촬영된 3차원 화상을 조합함으로써, 대장 전역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한편, 경구 장관 세정제를 일체 내복하지 않은 B군이나, A 및 D군의 절반량밖에 복용하지 않은 C군에서는, 대장 구분에 따라서는 조영제와 잔사의 혼합이 균일하지 않은 영역이나, 조영제가 잔사까지 도달하고 있지 않는 영역이 있어, 조영제에 의한 잔사 표지의 정도가 낮았다. 특히 대장 구분의 직장(R), 상행 결장(A), 및 맹장(C)에 있어서, 조영제의 표지 정도가 낮았다. 이것은, 경구 장관 세정제의 양이 충분하지 않았기 때문에, 전처치의 전후에 섭취한 식사 내용에 조영제가 일정하게 섞이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추찰된다.
또한, B군 및 C군에 있어서의 잔사는, 고형이 많았다. 도 2 및 3에 B군의 횡행 결장(T) 내, 도 4에 C군의 횡행 결장(T) 내의 3차원 화상(내시경 유사상)을 도시한다. 이러한 3차원 화상은 각각 상이한 환자의 횡행 결장내를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고형 잔사가 많이 존재하고 있어 3차원 화상으로부터는, 이러한 잔사내로부터 폴립 병변을 구별할 수 없어 검사 정밀도가 저하되었다. 게다가, 수득된 3차원 화상의 독영이 곤란하기 때문에, A 및 D군의 경우보다 독영에 더 많은 시간이 걸렸다.
또한,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와 소화관 기능 촉진제인 시트르산모사프리드를 병용 복용한 D군에서는, A군과 같이, 조영제에 의해 대장 전역에 걸쳐 양호하게 표지되어 있었다. 또한, 대장 전구분에 있어서 잔사가 젤상이었던 것에 더하여, 잔사의 존재량이 매우 적었다. 이것은 경구 장관 세정제와 병용 복용한 시트르산모사프리드에 의해, 장관내의 잔사 배설이 전처치를 개시한 검사 전일부터 검사까지의 기간내에서 촉진되었기 때문이라고 추찰된다. 도 5에, D군의 횡행 결장(T) 내의 3차원 화상(내시경 유사상)을 도시한다. 이와 같이, 잔사가 거의 없기 때문에, 수득된 3차원 화상은, A군보다 더욱 용이하고 신속하게 대장 전역을 독영할 수 있었다.
피검자의 수용성에 관해, 검사 후 앙케이트 조사를 실시하였다. A 내지 D군의 전체 예에서, 전처치 당일(검사 전일)은 통상과 같은 업무 또는 식사를 포함한 일상 생활이 가능하였다. 또한, 배변에 의해, 업무나 생활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는 없었다. 전처치 당일(검사 전일)의 야간 수면은, A군의 증례 2에서 배변에 의해 2회 각성이 있고(단, 수면은 가능했다), B군의 증례 4에서 일(야근)때문에 철야였던 것 이외에는, 중도 각성 없이 수면이 가능하였다. 또한, 전처치로서 내복한 요오드계 수용성 조영제의 맛에 관해서는, 전체 예에서 불만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이온성 요오드계 조영제(상품명 「가스트로그라핀(등록상표)」 바이에른 제약, 일반명: 아미도트리조산나트륨메글루민)에서는 쓴맛이 매우 강한 것에 대해, 이번에 사용한 비이온성 요오드계 조영제는 쓴맛이 없고 단맛이기 때문인 것으로 추찰된다. 그 외, A 내지 D군의 전체 예에서, 전처치에 따르는 부작용이나 유해한 사상(事象)은 일체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요오드 화합물 및 수용성 고분자를 함유하는 액제를 CT 콜로노그래피 전날에 종래의 장관 세정에 사용되는 경구 장관 세정제의 절반량 이하의 양을 복용하는 전처치는, 피험자의 부담이 적고, 또한 수용성이 높은 것, 및 종래와 동일한 정도로 높은 묘출능을 유지할 수 있어, 정밀도가 높은 독영을 실시하기 위해 필요 충분한 장관 전처치 효과가 수득되는 것이 명확하다.
[실시예 2]
CT 콜로노그래피 검사 전날에,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를 300 내지 450mL를 복용한 A 내지 G군(각 군 2명씩)에 있어서, CT 촬영에 의해 수득된 대장 화상을 평가하였다. 모든 군의 증례에 있어서, 검사 전일의 아침 식후 및 저녁 식후의 2회, 시트르산모사프리드(상품명 「가스모틴(등록상표)정」, 다이닛폰스미토모세야쿠사 제조) 20mg을 내복하고, 저녁 식후부터 MDCT 촬영 종료시까지 절식으로 하고, 수분 섭취만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검사 전일의 저녁 식후에, 피코설페이트나트륨(상품명「신럭(등록상표)정 2.5」 이와키세야쿠사 제조)을 2정 내복하였다(피코설페이트나트륨 수화물로서 5mg). 단, C군의 증례 5에서는, 시트르산모사프리드 및 피코설페이트나트륨은 어느 것도 내복하지 않았다.
각 군의 구체적인 전처치는, 이하와 같다. 또한, 각 군 2명 중, 1명은 요오드 화합물로서 이온성 요오드계 조영제(상품명 「가스트로그라핀(등록상표)」 바이에른 제약)(요오드 함유량: 370mg/mL)을 복용하고, 나머지 1명은 비이온성 요오드계 조영제(상품명 「오이파로민(등록상표) 주370」 후지세야쿠고교, 일반명: 이오파미돌)(요오드 함유량: 370mg/mL)를 복용하였다. 또한, 각 군의 경구 투여용 액제의 복용 총량(mL), 단회 복용 용량(mL), 복용 회수(회), 복용한 요오드 화합물의 총량(요오드 총량(mg)), 복용한 경구 투여용 액제 중의 요오드 화합물의 농도(요오드 농도(mg/mL))에 관해, 표 3에 정리하였다.
A군: 검사 전날에, 경구 장관 세정제(상품명 「니플렉(등록상표) 배합 내용제」, (아지노모토세야쿠사 제조)) 130mL에 요오드계 수용성 조영제 20mL를 배합한 합계 150mL(조영제 농도: 13.3용량%)을, 아침 식후와 점심 식후와 저녁 식후의 3회로 나누어 복용하였다. 1일 복용 총량은 450mL(경구 장관 세정제 390mL와 요오드계 수용성 조영제 60mL)이었다.
B군: 검사 전일의 저녁 식후에, 경구 장관 세정제(상품명 「니플렉(등록상표) 배합 내용제」, (아지노모토세야쿠사 제조)) 380mL에 요오드계 수용성 조영제 20mL를 배합한 합계 400mL(조영제 농도: 5용량%)을 내복하였다. 1일 복용 총량은 400mL(경구 장관 세정제 380mL와 요오드계 수용성 조영제 20mL)이었다.
C군: 검사 전날에, 경구 장관 세정제(상품명 「니플렉(등록상표) 배합 내용제」, (아지노모토세야쿠사 제조)) 180mL에 요오드계 수용성 조영제 20mL를 배합한 합계 200mL(조영제 농도: 10용량%)를, 아침 식후와 저녁 식후의 2회로 나누어 복용하였다. 1일의 복용 총량은 400mL(경구 장관 세정제 360mL와 요오드계 수용성 조영제 40mL)이었다.
D군: 검사 전날에, 경구 장관 세정제(상품명 「니플렉(등록상표) 배합 내용제」, (아지노모토세야쿠사 제조)) 160mL에 요오드계 수용성 조영제 40mL를 배합한 합계 200mL(조영제 농도: 20용량%)를, 아침 식후와 저녁 식후의 2회로 나누어 복용하였다. 1일 복용 총량은 400mL(경구 장관 세정제 320mL와 요오드계 수용성 조영제 80mL)이었다.
E군: 검사 전날에, 경구 장관 세정제(상품명 「니플렉(등록상표) 배합 내용제」, (아지노모토세야쿠사 제조)) 130mL에 요오드계 수용성 조영제 20mL를 배합한 합계 150mL(조영제 농도: 13.3용량%)을, 아침 식후와 저녁 식후의 2회로 나누어 복용하였다. 1일 복용 총량은 300mL(경구 장관 세정제 260mL와 요오드계 수용성 조영제 40mL)이었다.
F군: 검사 전날에, 경구 장관 세정제(상품명 「니플렉(등록상표) 배합 내용제」, (아지노모토세야쿠사 제조)) 105mL에 요오드계 수용성 조영제 45mL를 배합한 합계 150mL(조영제 농도: 30용량%)을, 아침 식후와 저녁 식후의 2회로 나누어 복용하였다. 1일의 복용 총량은 300mL(경구 장관 세정제 210mL와 요오드계 수용성 조영제 90mL)이었다.
G군: 검사 전날에, 경구 장관 세정제(상품명 「니플렉(등록상표) 배합 내용제」, (아지노모토세야쿠사 제조)) 70mL에 요오드계 수용성 조영제 30mL를 배합한 합계 100mL(조영제 농도: 30용량%)를, 아침 식후와 점심 식후와 저녁 식후의 3회로 나누어 복용하였다. 1일 복용 총량은 300mL(경구 장관 세정제 210mL와 요오드계 수용성 조영제 90mL)이었다.
Figure pct00003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를 복용한 다음날,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MDCT 촬영을 실시하고, 수득된 화상에 대해 3차원 화상 처리를 실시하고, 2종류의 3차원 화상(내시경 유사 화상, 및 액체 잔사 부분의 화상과 가스상을 합성한 주장 유사 화상)을 구축하였다. 또한, 2차원 화상으로서 액시얼상을 구축하고, 조영제에 의한 잔사 표지의 정도 및 잔사의 성상을, 각 군에서 비교 검토하고, 각각의 방법에 의한 장관 전처치의 질을 평가하였다. 잔사의 평가는, 대장을 맹장(C), 상행 결장(A), 횡행 결장(T), 하행 결장(D), S상 결장(S), 직장(R)의 6개의 대장 구분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표 4 내지 17에 각 증례의 잔사의 평가 결과를 기재한다. 표 4 내지 17 중, 「HU max」는 각 구분에 있어서의 CT 값의 최대 값을, 「HU min」은 각 구분에 있어서의 CT 값의 최소 값을 각각 나타낸다. 또한, 잔사 패턴의 란 중, 「SC」는 「scattered」의 약자이며, 산재한 작은 잔사를 의미한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표지(태깅)가 약간 양호하지 않은 구분(특히, 맹장(C)이나 상행 결장(A))이 있는 증례도 있었지만, 모든 증례에서, 대장의 거의 대부분이 양호하게 표지 되고 있어, 독영은 가능하였다. 또한, 고형 잔사가 있는 증례도 있었지만, 어느 것이나 양호하게 표지되어 있고 또한 잔사의 양도 많지 않았기 때문에, 고형 잔사나 폴립 병변 등의 장관내의 융기 부분인지의 감별도 비교적 용이하였다. 특히, G군에서는, 1회의 복용량이 불과 100mL이며, 또한 복용 총량이 300mL로 매우 적었음에도 불구하고 대장 전역에서 고형 잔사도 매우 적고 또한 양호하게 표지되고 있어, 수득된 화상으로부터 독영이 매우 용이하였다. 또한, 시트르산모사프리드 및 피코설페이트나트륨의 어느 것도 복용하지 않은 C군의 증례 5에서도 다른 증례와 같이 양호하게 태깅되어, 독영 가능하였다.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액제는, CT 콜로노그래피 전처치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고, 대장 검진 등의 임상 검사 분야, 특히 집단 검진 등의 1차 스크리닝 검사에서 이용이 가능하다.

Claims (17)

  1. CT 콜로노그래피의 소화관 조영에 있어서의 경구 투여용 액제로서,
    요오드 화합물과, 수용성 고분자 또는 염류 하제(下劑)를 함유하고,
    CT 콜로노그래피 전날에, 300 내지 1200mL가 1회로 또는 복수회로 나누어 복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 투여용 액제.
  2. 제1항에 있어서, CT 콜로노그래피 전날에, 600 내지 1200mL가 1회로 또는 복수회로 나누어 복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 투여용 액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오드 화합물이 비이온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 투여용 액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가,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덱스트로스, 덱스트란, 덱스트린, 하이드록시에틸 스타치, 아라비아 고무, 플루란, 펙틴, 알부민 및 카복시메틸셀룰로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 투여용 액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삼투압이 200 내지 440mOs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 투여용 액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수크로스, 소르비톨, 크실리톨, 에리스리톨, 만니톨, 트레할로스, 락티톨, 락툴로스, 말티톨, 팔라티노스, 라피노스 및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당류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 투여용 액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오드 화합물의 함유량이 3.5 내지 90mg/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 투여용 액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디메틸폴리실록산 및 소화관 기능 촉진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 투여용 액제.
  9. 요오드 화합물과, 수용성 고분자 또는 염류 하제를 함유하고,
    물에 용해시켜, 요오드 함유량이 3.5 내지 90mg/mL인 수용액으로 하여, CT 콜로노그래피 전날에, 300 내지 1200mL가 1회로 또는 복수회로 나누어 복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관 조영용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물에 용해시켜, 요오드 함유량이 3.5 내지 90mg/mL인 수용액으로 하여, CT 콜로노그래피 전날에, 600 내지 1200mL가 1회로 또는 복수회로 나누어 복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관 조영용 조성물.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요오드 화합물이 비이온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관 조영용 조성물.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에 용해했을 때, 삼투압이 200 내지 440mOsm/L이 되도록 전해질을 함유하고,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덱스트로스, 덱스트란, 덱스트린, 하이드록시에틸 스타치, 아라비아 고무, 플루란, 펙틴, 알부민 및 카복시메틸셀룰로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이상의 수용성 고분자, 또는
    시트르산마그네슘, 인산2수소나트륨, 및 인산수소2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이상의 염류 하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관 조영용 조성물.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메틸폴리실록산 및 소화관 기능 촉진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관 조영용 조성물.
  14. 요오드 화합물과, 수용성 고분자 또는 염류 하제를 조합하여 이루어지고,
    CT 콜로노그래피 전날에, 300 내지 1200mL가 1회로 또는 복수회로 나누어 복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T 콜로노그래피를 위한 전처치용 약제.
  15. 제14항에 있어서, CT 콜로노그래피 전날에, 600 내지 1200mL가 1회로 또는 복수회로 나누어 복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T 콜로노그래피를 위한 전처치용 약제.
  16. 경구 장관 세정제와 요오드 조영제를 조합하여 이루어지고,
    CT 콜로노그래피 전날에, 300 내지 1200mL가 1회로 또는 복수회로 나누어 복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T 콜로노그래피를 위한 전처치용 약제.
  17. 제16항에 있어서, CT 콜로노그래피 전날에, 600 내지 1200mL가 1회로 또는 복수회로 나누어 복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T 콜로노그래피를 위한 전처치용 약제.
KR1020137010935A 2010-10-08 2011-10-07 Ct 콜로노그래피에 사용되는 경구 투여용 액제 및 소화관 조영용 조성물 KR201301003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9118210P 2010-10-08 2010-10-08
US61/391,182 2010-10-08
PCT/JP2011/073236 WO2012046847A1 (ja) 2010-10-08 2011-10-07 Ctコロノグラフィに用いられる経口投与用液剤及び消化管造影用組成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0323A true KR20130100323A (ko) 2013-09-10

Family

ID=45927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0935A KR20130100323A (ko) 2010-10-08 2011-10-07 Ct 콜로노그래피에 사용되는 경구 투여용 액제 및 소화관 조영용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295018A1 (ko)
EP (1) EP2626085A4 (ko)
JP (2) JP5910501B2 (ko)
KR (1) KR20130100323A (ko)
CN (1) CN103237563A (ko)
WO (1) WO201204684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794B1 (ko) * 2019-12-31 2020-09-2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방사선 검사 및 초음파 검사에 사용하기 위한 다목적 조영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67831B2 (en) * 2012-04-05 2015-10-27 Gavis Pharmaceuticals, Llc Solid, edible, chewable laxative composition
JP6441678B2 (ja) * 2012-11-09 2018-12-19 Eaファーマ株式会社 Ctコロノグラフィに用いられる経口投与用液剤及び消化管造影用組成物
JP2014224080A (ja) * 2013-05-17 2014-12-04 協和化学工業株式会社 大腸の検査または手術のための処置剤
KR101423005B1 (ko) * 2013-10-17 2014-07-28 강윤식 장 세정용 조성물
CN104606224A (zh) * 2015-01-13 2015-05-13 河北柯瑞生物医药有限公司 一种清洗液及其制备方法
US20180318234A1 (en) * 2015-06-22 2018-11-08 Ctc Bio, Inc. Purgative composition for cleansing intestinal tract
CN108324961A (zh) * 2018-04-17 2018-07-27 王利东 一种用于筛查结直肠肿瘤的口服对比复合造影剂
CN110339158B (zh) * 2019-08-21 2020-11-13 扬子江药业集团上海海尼药业有限公司 一种硫酸钠钾镁口服溶液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5319A (ja) 1987-11-11 1989-05-17 Morishita Seiyaku Kk 全腸管洗浄液用投与組成物
JPH0816061B2 (ja) 1988-07-13 1996-02-21 森下ルセル株式会社 腸管洗浄液用組成物と腸管洗浄液
JP2808694B2 (ja) 1989-07-24 1998-10-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ネットワーク間接続ブリッジ
JPH03206046A (ja) 1990-01-08 1991-09-09 Morishita Pharmaceut Co Ltd 腸管洗浄液用組成物及び腸管洗浄液
JP2721929B2 (ja) 1990-01-30 1998-03-04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腸管洗浄用組成物
JP2711409B2 (ja) 1990-04-05 1998-02-10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腸管洗浄用組成物
JP3117148B2 (ja) 1991-02-13 2000-12-11 味の素ファルマ株式会社 薬剤収納容器および薬剤の充填方法
US5205290A (en) * 1991-04-05 1993-04-27 Unger Evan C Low density microspheres and their use as contrast agents for computed tomography
JPH05255092A (ja) 1992-03-17 1993-10-05 Kyowa Hakko Kogyo Co Ltd 腸管洗浄用組成物
JP3047143B2 (ja) 1992-04-24 2000-05-29 堀井薬品工業株式会社 腸管洗浄液用組成物及び腸管洗浄液
JP3332426B2 (ja) * 1992-10-02 2002-10-07 太田製薬株式会社 大腸および小腸の検査用x線造影剤
JP2909876B2 (ja) * 1994-01-24 1999-06-23 恭弘 小川 造影剤
JPH08253220A (ja) 1995-03-20 1996-10-01 Morishita Roussel Kk 水溶液収容合成樹脂製瓶体
JPH0958747A (ja) 1995-08-11 1997-03-04 Roussel Morishita Kk 腸管洗浄液収容アルミニウム缶体
CA2424587A1 (en) * 2000-10-13 2002-04-18 E-Z-Em, Inc. A nutritional dietary system, formulation, kit and method for use in preparing an individual for a predetermined activity
CA2481692A1 (en) * 2002-04-06 2003-10-23 E-Z-Em, Inc. Method for tagging colonic residue
US6946149B2 (en) * 2002-04-30 2005-09-20 Braintree Laboratories, Inc. Salt solution for colon cleansing
AU2003259006A1 (en) * 2002-09-13 2004-04-30 Metcon Medicin Ab Composition and method for use in intestinal cleansing procedures
GB0224909D0 (en) 2002-10-25 2002-12-04 Norgine Europe Bv Colon cleansing compositions
WO2004087218A1 (ja) 2003-03-31 2004-10-14 Ajinomoto Co., Inc. Ctコロノグラフィ又はmrコロノグラフィにおける、消化管の病変検出能改善剤ならびに腸管洗浄用組成物および腸管洗浄用キットまたは包装品
JP4670229B2 (ja) 2003-06-10 2011-04-13 味の素株式会社 Ctコロノグラフィにおける消化管造影用組成物
US7582283B2 (en) * 2004-02-13 2009-09-01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Contrast agents to improve gastrointestinal tract opacification during abdominal and pelvic CT scans
US20060024236A1 (en) * 2004-07-27 2006-02-02 Pickhardt Perry J Bowel preparation for virtual colonoscopy
US7809177B2 (en) * 2005-11-30 2010-10-05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Lumen tracking in computed tomographic images
JP5206616B2 (ja) * 2009-07-31 2013-06-12 味の素株式会社 Ctコロノグラフィにおける消化管造影用組成物
JPWO2011136336A1 (ja) * 2010-04-30 2013-07-22 味の素株式会社 Ctコロノグラフィに用いられる経口投与用液剤及び消化管造影用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794B1 (ko) * 2019-12-31 2020-09-2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방사선 검사 및 초음파 검사에 사용하기 위한 다목적 조영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26085A4 (en) 2016-08-03
JP2016117777A (ja) 2016-06-30
WO2012046847A1 (ja) 2012-04-12
EP2626085A1 (en) 2013-08-14
US20130295018A1 (en) 2013-11-07
JP5910501B2 (ja) 2016-04-27
JPWO2012046847A1 (ja) 2014-02-24
CN103237563A (zh) 201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10501B2 (ja) Ctコロノグラフィに用いられる経口投与用液剤及び消化管造影用組成物
JP7277396B2 (ja) Pegとアスコルビン酸塩とを含む組成物
US20220096030A1 (en) Encapsulated gas or partial vacuum ct contrast material
JP5870119B2 (ja) 腸洗浄のための、方法、組成物、およびパッケージ
PT2233147E (pt) Solução de sal para limpeza do cólon
WO2007079000A2 (en) Kit comprising an osmotic laxative and a stimulant laxative for prepariing the colon for virtual colonoscopy
JP6441678B2 (ja) Ctコロノグラフィに用いられる経口投与用液剤及び消化管造影用組成物
JP5206616B2 (ja) Ctコロノグラフィにおける消化管造影用組成物
US20130052143A1 (en) Liquid preparation for oral administration to be used in ct colonography, and composition for digestive tract imaging
JP4670229B2 (ja) Ctコロノグラフィにおける消化管造影用組成物
US7378081B2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direct visualization of the human appendix
JP5696326B2 (ja) Ctコロノグラフィ検査用医薬
JP2013060441A (ja) Ctコロノグラフィに用いられる経口投与用液剤及び消化管造影用製剤
JP5505454B2 (ja) Ctコロノグラフィにおける消化管造影用組成物
CN117769442A (zh) 低x射线衰减变化硬壳口服造影剂
JPS59112918A (ja) 前処置用の下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