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2213A -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2213A
KR20130092213A KR1020120013805A KR20120013805A KR20130092213A KR 20130092213 A KR20130092213 A KR 20130092213A KR 1020120013805 A KR1020120013805 A KR 1020120013805A KR 20120013805 A KR20120013805 A KR 20120013805A KR 20130092213 A KR20130092213 A KR 20130092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ing
generating
area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애
서혜령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3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2213A/ko
Priority to US13/605,045 priority patent/US20130208168A1/en
Publication of KR20130092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22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achieving an enlarged field of view, e.g. panoramic image cap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촬상소자의 제1 영역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제1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줌-아웃 신호에 의해, 촬상소자의 제1 영역 이외의 영역인 제2 영역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제2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촬상소자에 투영되는 이미지 영역을 이용하여 줌-아웃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화각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여 영상 촬영에 대한 만족감을 상승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촬영 장치는 줌(zoom)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줌 기능에는 광각 줌(wide) 줌 기능과 망원(tele) 줌 기능이 있을 수 있다. 광각 줌 기능에 의하여 화각이 넓어지고 표시되는 선택된 노출 영역이 커질 수 있다. 망원 줌 기능에 의하여 화각이 좁아 지고 선택된 노출 영역이 작아질 수 있다.
또한 렌즈의 종류도 다양해 지고 있다. 어안 렌즈(화각 180도 이상), 광각 렌즈(화각 60도-80도), 표준 렌즈(화각 40도-60도), 망원 렌즈(화각 40도 이하)와 같이 크게 구분 지을 수 있다.
종래에는 영상 촬영 시에, 렌즈의 구분에 따르지 않고, 기본적으로 촬상소자의 전체 영역을 사용하고, 렌즈의 최대 화각을 디폴트로 설정하여 라이브뷰 영상을 촬영한다. 이러한 영상 촬영 시에 라이브뷰 영상에 대한 줌-인은 가능하나, 줌-아웃은 구현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촬상소자에 투영되는 이미지 영역을 이용하여 줌-아웃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다양한 화각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촬상소자의 제1 영역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제1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줌-아웃 신호에 의해, 상기 촬상소자의 제1 영역 이외의 영역인 제2 영역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제2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캡쳐 신호에 의해 상기 제2 영상을 캡쳐하여 캡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 후, 캡쳐 신호에 의해 상기 제1 영상을 캡쳐하여 캡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촬상소자의 제1 영역을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한 영역들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복수 개의 상기 제1 영상 각각을 생성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영역들을 합성한 하나의 제1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 후, 캡쳐 신호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한 영역들 각각을 캡쳐하는 제1 캡쳐 영상, 복수 개의 영역들을 합성한 하나의 영역을 캡쳐하는 제2 캡쳐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줌-아웃 신호에 의해, 상기 제2 영역의 크기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영상의 터치 신호 수신에 의해, 상기 제2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영상의 터치 신호 수신에 의해, 상기 제2 영역의 크기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캡쳐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촬상소자의 제1 영역의 영상 데이터에 얼굴이 포함된 제1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촬상소자로부터 촬상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촬상 영상에 대한 제1 영역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제1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고, 줌-아웃 신호에 의해, 상기 수신한 촬상 영상에 대한 상기 제1 영역 이외의 영역인 제2 영역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제2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캡쳐 신호에 의해 상기 제2 영상을 캡쳐하여 캡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 후, 캡쳐 신호에 의해 상기 제1 영상을 캡쳐하여 캡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촬상소자의 제1 영역을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한 영역들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복수 개의 상기 제1 영상 각각을 생성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영역들을 합성한 하나의 제1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 후, 캡쳐 신호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한 영역들 각각을 캡쳐하는 제1 캡쳐 영상, 복수 개의 영역들을 합성한 하나의 영역을 캡쳐하는 제2 캡쳐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줌-아웃 신호에 의해, 상기 제2 영역의 크기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영상의 터치 신호 수신에 의해, 상기 제2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영상의 터치 신호 수신에 의해, 상기 제2 영역의 크기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캡쳐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촬상소자의 제1 영역의 영상 데이터에 얼굴이 포함된 제1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는 촬상소자의 제1 영역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 상기 촬상소자의 상기 제1 영역 이외의 영역인 제2 영역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수신부; 및 상기 제1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제1 영역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제1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고, 줌-아웃 신호에 의해, 상기 제2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2 영역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제2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는 촬상소자로부터 촬상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촬상 영상의 제1 영역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제1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고, 줌-아웃 신호에 의해, 상기 촬상 영상의 상기 제1 영역 이외의 영역인 제2 영역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제2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촬상소자에 투영되는 이미지 영역을 이용하여 줌-아웃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화각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여 영상 촬영에 대한 만족감을 상승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를 보이는 블록도 이다.
도 2는 도 1 중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 처리부의 상세 블록도 이다.
도 3은 도 2에서 줌-아웃 기능 실행 시 표시되는 영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서 줌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제공하는 줌 바(bar)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서 줌-아웃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제공하는 설정 메뉴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설정 메뉴에 따라 줌-아웃 기능 실행 시 표시되는 영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서 화면 터치를 이용하여 줌-아웃 기능을 구현하는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2에서 줌-아웃 기능 실행 시 표시되는 다른 영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 중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 처리부의 상세 블록도 이다.
도 10은 도 9에서 줌-아웃 기능 실행 시 표시되는 영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를 보이는 블록도 이다. 도 1에서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일 예로 디지털 카메라(100)를 도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촬영 장치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00)에 한정되지 않고, 디지털 일안 반사식 카메라(digital single-lens reflex camera, DSLR), 하이브리드 카메라(hybrid camera) 외에도 다양한 디지털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100)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작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피사체를 촬영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피사체로부터의 광속은 촬상부(110)의 광학계인 줌 렌즈(111) 및 포커스 렌즈(113)를 투과하고, 조리개(115)의 개폐 정도에 따라 그 광량이 조정된 후, 촬상 소자(117)의 수광면에 이르러 피사체의 상이 결상된다. 촬상 소자(117)의 수광면에 결상되는 상은 광전 변환 처리에 의하여 전기적인 영상 신호로 변환된다.
촬상소자(117)로는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CMOS로서의 촬상소자(117)는 촬영에 필요한 소비 전력이 낮아 배터리를 사용하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전력 유지에 큰 강점이 있고, 제조단가가 비교적 저렴하여 촬상소자의 면적을 크게 만들기에 유리하며, 대량 생산이 용이하다. CCD로서의 촬상소자(117)는 CMOS에 비해 노이즈 발생이 훨씬 적고 이미지 정보 전송 속도가 매우 빨라 연속 촬영 시 저장속도가 빠르며, 화질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조리개(115)는 통상 상태 또는 릴리스 버튼을 반쯤 눌러 형성된 첫 번째 릴리스 신호를 받고 행해지는 오토포커싱 알고리즘 실행시에는 개방 상태가 되고, 상기 릴리스 버튼을 지그시 눌러 형성된 두 번째 릴리스 신호를 받아 노출 처리가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줌 렌즈(111) 및 포커스 렌즈(113)는 각각 줌 렌즈 구동부(112) 포커스 렌즈 구동부(113)에 의해 그 위치 등이 제어된다. 예를 들어 광각(wide angle)-줌(줌-아웃) 신호가 발생하면 줌 렌즈(111)의 포커스 거리(focal length)가 짧아져서 화각이 넓어지고, 망원(telephoto)-줌(줌-인) 신호가 발생하면 줌 렌즈(111)의 포커스 거리가 길어져서 화각이 좁아진다. 줌 렌즈(111)의 위치가 설정된 상태에서 포커스 렌즈(113)의 위치가 조정되므로, 화각은 포커스 렌즈(113)의 위치에 대하여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조리개(115)는 조리개 구동부(114)에 의해 개방 정도 등이 제어된다. 촬상 소자(117)도 촬상 소자 제어부(118)에 의해 감도 등이 제어된다.
이들 줌 렌즈 구동부(112), 포커스 렌즈 구동부(114), 조리개 구동부(116), 및 촬상 소자 제어부(118)는 노출 정보, 초점 정보 등을 기준으로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에서 연산된 결과에 따라 해당 구성부들을 제어한다.
그리고 영상 신호 형성 과정에 관하여 설명하면, 촬상 소자(121)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는 영상 신호 처리부(120)에 출력된다. 영상 신호 처리부(120)에서는 촬상 소자(117)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인 경우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영상 신호에 대하여 각종의 화상 처리가 행해진다. 이러한 처리가 행해진 영상 신호는 기억부(130)에 임시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영상 신호 처리부(120)는 사람의 시각에 맞게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도록 오토 화이트 밸런스(Auto White Balance)나 오토익스포저(Auto Exposure), 감마 코렉션(Gamma Correction) 등의 신호 처리를 행하여 화질을 개선하고, 개선된 화질의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130)에서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영상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기억부(130)는 전원의 공급 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의 동작에 관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프로그램 기억부와,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상기 영상 데이터와 그 밖에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하는 주기억부를 구비할 수 있다.
프로그램 기억부에는 디지털 카메라(100)를 작동하는 운영 프로그램 및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이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 기억부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에 따라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각 구성부들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연속 영상 내에서 이동영역이 설정되면, 상기 설정된 이동영역만큼 상기 영상들을 슬라이드 디스플레이 하는 프로그램이 프로그램 기억부에 저장되어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의 제어 하에 동작할 수 있다.
주기억부는 영상 신호 처리부(120) 또는 보조 기억부(140) 등으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를 임시로 저장한다.
상기 주기억부는 디지털 카메라(100)가 동작하도록 전원이 공급되는 것과 별개로, 전원부(160)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100)가 부팅을 빨리 하도록 미리 프로그램 기억부에 저장된 코드를 주기억부에 복사 및 실행 가능한 코드로 변경할 수 있으며, 또한 디지털 카메라(100)를 재 부팅하는 경우 상기 주기억부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빨리 읽어 올 수 있다.
주기억부에 저장된 영상 신호는 표시 구동부(155)로 출력되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는 것과 동시에 표시 출력하는데 있어서 최적인 형태의 영상 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변환된 상기 영상 신호는 표시부(150)에 디스플레이 되어 소정 영상으로 사용자에게 보여 질 수 있다. 상기 표시부(150)는 촬영 모드를 진행하는 동안에 촬상 소자(117)에 의해 얻어진 영상 신호를 연속적으로 표시하여 촬영 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뷰 파인더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표시부(150)로 액정 표시장치(LCD), 유기 발광 표시장치(OLED), 전기 영동 표시장치(EDD) 등 다양한 표시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표시부(15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조작부(170)와 함께 사용자 조작 신호를 터치로 입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생성된 영상 신호를 기록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면, 상기 영상 신호는 기억부(130)에 임시 저장되고, 이때 보조 기억부(140)에는 상기 영상 신호뿐만 아니라 상기 영상 신호에 관한 다양한 정보가 함께 저장된다. 그리고 저장된 영상 신호와 정보는 압축/신장부(145)에 출력된다. 압축/신장부(1450)에서는 압축 회로에 의해 저장을 위한 최적의 형태로 압축 처리 즉, JPEG과 같은 부호화 처리가 행해져 이미지 파일을 형성하고, 상기 이미지 파일은 보조 기억부(140)에 저장된다.
보조 기억부(140)로 외장형의 플래시 메모리 등의 고정형의 반도체 메모리나, 카드 형상이나 스틱 형상으로 되고 장치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가능한 카드형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 외 하드 디스크나 플로피 디스크 등의 자기 기억 매체 등의 다양한 형태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영상을 재생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보조 기억부(140)에 압축되어 기록된 이미지 파일은 압축/신장부(145)에 출력되고 신장 회로에 의해 신장 처리, 즉 복호화 처리가 행해져 상기 이미지 파일로부터 영상 신호를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영상 신호는 기억부(130)로 출력된다. 상기 영상 신호는 기억부(130)에 임시 저장된 후, 표시 구동부(155)를 통해 표시부(150)에서 소정의 영상으로 재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는 사용자 등의 외부 신호를 입력 받는 조작부(170)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170)로 정해진 시간 동안 촬상 소자(121)에 빛에 노출하기 위해 열리고 닫히는 셔터 릴리즈 버튼,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입력하는 전원 버튼,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하는 줌-아웃 버튼 및 줌-인 버튼과, 문자 입력 또는 촬영 모드, 재생 모드 등의 모드 선택, 화이트 밸런스 설정 기능 선택, 노출 설정 기능 선택할 수 있는 방향 키 등의 다양한 기능 버튼들이 있다.
또한, 플래시(181) 및 상기 플래시(181)를 구동하는 플래시 구동부(182)를 포함한다. 플래시(181)는 어두운 곳에서 촬영할 경우 밝은 빛을 순간적으로 비추어 피사체를 밝게 해주는 발광 장치이다.
스피커(183) 및 램프(185) 각각은 음성 신호 및 빛의 신호를 출력하여 디지털 카메라(100)의 동작 상태 등을 알리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수동 모드에서 사용자가 촬영 변수를 설정한 시점과 촬영하고자 하는 시점의 촬영 조건이 변경된 경우, 이를 알리는 알림 신호를 상기 스피커(183) 또는 램프(185)를 통해 경고음, 또는 광 신호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183)는 스피커 구동부(184)에 의해 음성의 종류, 음성 크기 등이 제어되며, 램프(185)는 램프 구동부(186)에 의해 발광 여부, 발광 시간, 발광 종류 등이 제어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기억부(130)에 저장된 운용 시스템 및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연산 처리하고, 상기 연산 결과를 임시 저장하며, 상기 연산 결과에 따라 해당 구성부를 제어하여 상기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100)가 동작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촬상소자(117)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신호처리하여 표시하고, 줌-아웃 신호에 의해 표시된 영상 이외의 영상까지 표시하여 사용자가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를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 중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의 상세 블록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제1 영상 수신부(210), 제2 영상 수신부(220), 제어부(240) 및 얼굴 검출부(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영상 수신부(210)는 촬상소자(117)의 제1 영역에 투영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여기서 촬상소자(117)의 제1 영역은 디지털 카메라(100) 전원 온 시, 렌즈의 최대 화각을 디폴트로 설정한 상태에서 촬상소자(117)에 투영된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유효 화소 영역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제1 영역의 영상 데이터는 영상 촬영 시에 일반적으로 표시부(150)에 표시되는 라이브 뷰 또는 프리뷰 영상 즉, 캡쳐할 영상 일 수 있다.
제2 영상 수신부(220)는 촬상소자(117)의 제1 영역을 포함하면서 제1 영역 이외의 영역인 제2 영역에 투영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여기서 촬상소자(117)의 제2 영역은 표시부(150)에 표시되는 유효 화소 영역을 포함하여, 표시부(150)에는 표시되진 않지만 촬상소자(117)에 투영되는 영역의 영상 데이터 영역을 나타낸다.
제어부(240)는 제1 영상 수신부(210)에 의해 수신된 제1 영역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제1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부(150)에 표시한다. 제어부(240)는 이후,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줌-아웃 신호에 의해, 제1 영역 이외의 영역인 제2 영역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제2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부(150)에 표시한다.
이후, 제어부(240)는 사용자로부터 캡쳐 신호가 입력되면, 제2 영상을 캡쳐하여 캡쳐 영상을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240)는 사용자로부터 캡쳐 신호가 입력되면, 제1 영상을 캡쳐하여 캡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서 줌-아웃 기능 실행 시 표시되는 영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a에 촬상소자(117)의 제1 영역(300) 및 제1 영역(300)을 포함하고 있는 제2 영역(400)이 도시되어 있다. 도 3b에는 촬상소자(117)의 제2 영역(400)에 투영된 영상을 표시부(150)에 표시한 예를 보여주고, 도 3c에는 촬상소자(117)의 제1 영역(300)에 투영된 영상을 표시부(150)에 표시한 예를 보여준다.
제어부(24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캡쳐 신호에 의해, 제1 영역(300)에 대한 캡쳐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캡쳐 신호에 의해 제2 영역(400)에 대한 캡쳐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제어부(240)는 사용자가 제1 영역(300)에 대한 영상 데이터 이외에 제2 영역(400)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여 볼 수 있도록 도 4 및 도 5와 같은 줌 조정 바(bar) 또는 설정 메뉴를 제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240)는 사용자가 제1 영역(300)에 대한 영상 데이터 이외에 제2 영역(400)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여 볼 수 있도록 줌 조정 바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줌 조정 바는 사용자 설명에 의해 표시부(150)에 표시되면, 줌-아웃 버튼 또는 줌-인 버튼을 이용하여 줌 조정을 수행하거나, 터치 입력을 통하여 줌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a에는 종래의 줌 조정 바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촬상소자(117)의 제1 영역(300)을 이용하고, 렌즈의 화각을 최대로 설정한 디폴트 줌 키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와 같은 상태에서 표시부(150)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해서는 줌 키를 이용하여 줌-인은 구현할 수 있으나, 줌-아웃은 구현할 수 없게 된다.
도 4b에는 본 발명에 따른 줌 조정 바가 도시되어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촬상소자(117)의 제1 영역(300) 및 제2 영역(400)을 이용하고, 렌즈의 화각을 최대로 한 디폴트 줌 키가 도시되어 있다. 도 4b와 같은 상태에서 표시부(150)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해서는 줌 키를 이용하여 줌-인을 구현할 수 있고, 줌-아웃도 구현할 수 있다. 줌 키를 이용하여 줌-아웃을 구현하게 되면, 제2 영역(400)의 영상이 표시부(150)에 표시되는데, 줌-아웃 수행시간에 따라 제2 영역(400)의 영상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b에는 줌 키로 줌-아웃을 구현하여 제2 영역(400)의 영상 데이터가 표시부(150)에 표시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240)는 사용자가 제1 영역(300)에 대한 영상 이외에 제2 영역(400)에 대한 영상을 선택하여 볼 수 있도록 설정 메뉴를 제공한다.
도 5에 도시된 설정 메뉴에서 줌-아웃 온(on)을 설정하게 되면, 이후 제어부(240)는 제2 영상 수신부(220)가 제2 영역(400)의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영상을 표시부(150)에 표시한다. 이때 줌 키를 이용하여 디폴트 상태 또는 줌-인 상태로의 전환이 가능하다.
도 5에 도시된 설정 메뉴에서 얼굴 검출 온(on)을 설정하게 되면, 제어부(240)는 얼굴 검출부(250)를 동작시켜, 영상으로부터 얼굴 검출을 수행하게 하고, 이후, 제어부(240)는 검출된 얼굴을 포함하는 제1 영역(300)의 영상을 표시부(150)에 표시한다.
이 때 줌-아웃 온(on)도 함께 설정되어 있을 경우, 제어부(240)는 얼굴을 포함하는 제1 영역(300)을 포함하는 제2 영역(400)의 영상을 표시부(150)에 표시한다. 이때 줌 키를 이용하여 디폴트 상태 또는 줌-인 상태로의 전환이 가능하다.
도 6에는 설정 메뉴에서 얼굴 검출 온(on)을 설정 한 후, 표시부(150)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여준다. 도 6b는 제어부(240)가 도 6a에 도시된 촬상소자(117)로부터 얼굴이 포함된 제1 영역(300)을 표시부(150)에 표시한 예를 보여준다. 도 6b에는 설정 메뉴에서 줌 아웃 및 얼굴 검출 모두를 설정한 경우, 제어부(240)는 얼굴을 포함하는 제1 영역(300)을 포함하여 제1 영역(300) 이외의 제2 영역(400)의 영상을 표시부(150)에 표시한 예를 보여준다. 이때 줌 키를 이용하여 디폴트 상태 또는 줌-인 상태로의 전환이 가능하다.
도 7은 표시부(150) 터치를 이용하여 줌-아웃 기능을 구현하는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24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표시부(150)에 표시된 제1 영역(300)의 영상 데이터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여,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50)에 제2 영역(400)의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40)는 사용자로부터 크기 조절 터치 입력을 수신하여 제2 영역(40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사용자로부터 줌 키에 대응하는 터치 입력 신호 또는 줌 키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디폴트 상태 또는 줌-인 상태로의 전환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 예로 제어부(240)는 제1 영상 수신부(210)로부터 수신한 촬상소자(117)의 제1 영역(300)을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한 영역들로부터 복수 개의 분할 영상을 생성하여 각각 표시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사용자로부터 캡쳐 신호 입력을 수신하면,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한 영역들 각각을 캡쳐하거나, 복수 개의 영역들을 합성한 하나의 영역을 캡쳐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복수 개로 분할된 제1 영상 외부의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영상을 캡쳐할 수 있다.
도 8에는 줌-아웃 기능 실행 시 표시되는 다른 영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a에는 촬상소자(117)의 제1 영역(300)이 제1-1 영역(310), 제1-2 영역(320), 제1-3 영역(330) 및 제1-4 영역(340)으로 분할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8b에는 제어부(240)가 분할된 제1-1 영역(310), 제1-2 영역(320), 제1-3 영역(330) 및 제1-4 영역(340)에 대한 영상을 제1 캡쳐 영상으로 생성하여 표시부(150)에 표시한 예를 보여준다. 이때 제어부(240)는 도 8b과 같이 제1-1 영역(310), 제1-2 영역(320), 제1-3 영역(330) 및 제1-4 영역(340)의 각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150)에 한꺼번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40)는 제1-1 영역(310), 제1-2 영역(320), 제1-3 영역(330) 및 제1-4 영역(340)의 각 영상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하나씩 표시부(150)에 표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어부(24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제1-1 영역(310), 제1-2 영역(320), 제1-3 영역(330) 및 제1-4 영역(340)의 각 영상 중 선택된 영역에 해당하는 영상을 표시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8c에는 제어부(240)가 같이 제1-1 영역(310), 제1-2 영역(320), 제1-3 영역(330) 및 제1-4 영역(340)의 각 영상 데이터를 하나로 합성하여 표시부(150)에 표시한 예를 보여준다.
도 8d에는 제어부(240)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줌 키, 터치 또는 설정 메뉴에 의해 제1 영역(300) 이외의 영역인 제2 영역(400)의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150)에 표시한 예를 보여준다.
이후 제어부(24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캡쳐 신호에 의해, 제1-1 영역(310), 제1-2 영역(320), 제1-3 영역(330) 및 제1-4 영역(340) 각각을 캡쳐하여 제1 캡쳐 영상을 생성하거나, 제1-1 영역(310), 제1-2 영역(320), 제1-3 영역(330) 및 제1-4 영역(340)이 합성된 하나의 영상 데이터를 캡쳐하여 제2 캡쳐 영상을 생성하거나, 합성된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면서 합성된 영상 데이터 이외의 영상 데이터를 캡쳐 하여 제3 캡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어부(24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한 번의 캡쳐 신호에 의해 상기에 개시된 제1 내지 제3 캡쳐 영상을 모두 캡쳐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제어부(240)는 선 선택 후 표시 방식으로, 제1-1 영역(310), 제1-2 영역(320), 제1-3 영역(330) 및 제1-4 영역(340)으로 분할된 촬상소자(117)로부터 임의의 어느 한 분할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촬상소자(117)로부터 선택된 분할 영역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부(150)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240)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줌 키, 터치 또는 설정 메뉴에 의해 선택된 분할 영역 이외의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도 1 중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 처리부의 상세 블록도 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영상 수신부(230), 제어부(240) 및 얼굴 검출부(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와 비교 시, 도 2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촬상소자(117)로부터 제1 영역(300)의 영상 데이터 및 제2 영역(400)의 영상 데이터를 각각 수신하여 표시부(150)에 표시하는 반면, 도 9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먼저 촬상소자(117)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 후, 제1 영역(300)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제1 영상을 리사이징하여 표시부(150)에 표시하거나, 제2 영역(400)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제2 영상을 리사이징하여 표시부(150)에 표시하는 차이점이 있다.
영상 수신부(230)는 촬상소자(117)로부터 촬상 영상을 수신한다. 여기서 영상 수신부(230)는 촬상소자(117)의 제1 영역(300)을 포함하면서 제1 영역(300) 이외의 영역인 제2 영역(400)에 투영된 영상 데이터 즉, 촬상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촬상소자(117)의 제2 영역은 표시부(150)에 표시되는 유효 화소 영역(제1 영역(300))을 포함하여, 표시부(150)에는 표시되진 않지만 촬상소자(117)에 투영되는 유효 화소 영역 이외의 영상 데이터 영역을 나타낸다.
제어부(240)는 영상 수신부(230)로부터 수신된 촬상 영상을 제1 영역(300)의 영상 데이터로 리사이징하여 표시부(150)에 제1 영상으로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줌-아웃 신호에 의해 제1 영역(300) 이외의 영역인 제2 영역(400)의 영상 데이터로 리사이징하여 표시부(150)에 제2 영상으로 표시한다.
이후, 제어부(240)는 사용자로부터 캡쳐 신호가 입력되면, 리사이징된 제2 영상을 캡쳐하여 캡쳐 영상을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240)는 사용자로부터 캡쳐 신호가 입력되면 리사이징된 제1 영상을 캡쳐하여 캡쳐 영상을 생성한다.
도 10은 도 9에서 줌-아웃 기능 실행 시 표시되는 영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a에는 촬상소자(117)에 투영되는 제1 영역(300) 및 제1 영역(300)을 포함하고 있는 제2 영역(400)의 영상 데이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b에는 제어부(240)가 영상 수신부(230)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 중 제1 영역(300)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를 리사이징하여 표시부(150)에 제1 영상으로 표시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10c는 제어부(240)가 영상 수신부(230)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 중 제2 영역(400)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를 리사이징하여 표시부(150)에 제2 영상으로 표시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
제어부(240)는 사용자가 제1 영역(300)에 대한 영상 데이터 이외에 제2 영역(400)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여 볼 수 있도록 상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줌 조정 바 또는 설정 메뉴를 제공한다. 이하의 설명은 상기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생략한다.
설정 메뉴에서 얼굴 검출 온(on)을 설정하게 되면, 이후 제어부(240)는 얼굴 검출부(250)를 동작시켜, 영상으로부터 얼굴 검출을 수행하게 하고, 이후, 제어부(240)는 검출된 얼굴을 포함하는 제1 영역(300)의 영상 데이터를 리사이징하여 표시부(150)에 제1 영상으로 표시한다. 이 때 줌-아웃 온(on)도 함께 설정되어 있을 경우, 제어부(240)는 얼굴을 포함하는 제1 영역(300)을 포함하는 제2 영역(400)의 영상 데이터를 리사이징하여 표시부(150)에 제2 영상으로 표시한다. 이때 줌 키를 이용하여 디폴트 상태 또는 줌-인 상태로의 전환이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240)는 사용자로부터의 표시부(150) 터치를 이용하여 줌-아웃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크기 조절 터치 입력을 수신하여 제2 영역(400)의 크기를 조절할 수 도 있다. 이하의 설명은 상기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생략한다.
다른 실시 예로 제어부(240)는 영상 수신부(230)로부터 수신한 제1 영역(300)의 영상 데이터를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리사이징하고, 상기 리사이징된 분할 영상을 각각 표시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은 상기와 제어부(240)는 사용자로부터 캡쳐 신호 입력을 수신하면,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한 영역들 각각을 캡쳐하거나, 복수 개의 영역들을 합성한 하나의 영역을 캡쳐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복수 개로 분할된 제1 영상 외부의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영상을 캡쳐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는데, 실시 예에 따라 동작 방법의 주 알고리즘은 기기 내의 주변 구성 요소들의 도움을 받아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10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촬상소자(117)의 제1 영역(300)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제1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부(150)에 표시하는 단계(S11)를 수행한다. 여기서, 표시부(150)에 제1 영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캡쳐 신호가 수신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제1 영상을 캡쳐 하여 캡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표시부(150)에 제1 영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줌-아웃 신호가 수신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촬상소자(117)의 제1 영역(300) 이외의 영역인 제2 영역(400)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제2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부(150)에 표시하는 단계(S12)를 수행한다.
표시부(150)에 제2 영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캡쳐 신호가 수신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제2 영상을 캡쳐 하여 캡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S13)를 수행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1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촬상소자(117)로부터 촬상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S21)를 수행한다. 여기서, 촬상 영상은 촬상소자(117)의 제1 영역(300)을 포함하면서 제1 영역(300) 이외의 영역인 제2 영역(400)에 투영된 영상 일 수 있다.
다음에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수신한 촬상 영상에 대한 제1 영역(300)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제1 영상을 리사이징하여 표시부(150)에 표시하는 단계(S22)를 수행한다. 여기서, 표시부(150)에 제1 영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캡쳐 신호가 수신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제1 영상을 캡쳐 하여 캡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표시부(150)에 리사이징된 제1 영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줌-아웃 신호가 수신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수신한 촬상 영상에 대한 제1 영역(300) 이외의 영역인 제2 영역(400)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제2 영상을 리사이징하여 표시부(150)에 표시하는 단계(S23)를 수행한다.
표시부(150)에 리사이징된 제2 영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캡쳐 신호가 수신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제2 영상을 캡쳐 하여 캡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S24)를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본 발명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본 발명에 병합될 수 있다.
100: 디지털카메라
117: 촬상소자
200: 디지털 신호 처리부
210: 제1 영상 수신부
220: 제2 영상 수신부
230: 영상 수신부
240: 제어부
250: 얼굴 검출부

Claims (20)

  1. 촬상소자의 제1 영역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제1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줌-아웃 신호에 의해, 상기 촬상소자의 제1 영역 이외의 영역인 제2 영역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제2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캡쳐 신호에 의해 상기 제2 영상을 캡쳐하여 캡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 후,
    캡쳐 신호에 의해 상기 제1 영상을 캡쳐하여 캡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촬상소자의 제1 영역을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한 영역들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복수 개의 상기 제1 영상 각각을 생성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영역들을 합성한 하나의 제1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 후,
    캡쳐 신호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한 영역들 각각을 캡쳐하는 제1 캡쳐 영상, 복수 개의 영역들을 합성한 하나의 영역을 캡쳐하는 제2 캡쳐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줌-아웃 신호에 의해, 상기 제2 영역의 크기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영상의 터치 신호 수신에 의해, 상기 제2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영상의 터치 신호 수신에 의해, 상기 제2 영역의 크기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캡쳐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촬상소자의 제1 영역의 영상 데이터에 얼굴이 포함된 제1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0. 촬상소자로부터 촬상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촬상 영상에 대한 제1 영역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제1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고, 줌-아웃 신호에 의해, 상기 수신한 촬상 영상에 대한 상기 제1 영역 이외의 영역인 제2 영역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제2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캡쳐 신호에 의해 상기 제2 영상을 캡쳐하여 캡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 후,
    캡쳐 신호에 의해 상기 제1 영상을 캡쳐하여 캡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촬상소자의 제1 영역을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한 영역들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복수 개의 상기 제1 영상 각각을 생성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영역들을 합성한 하나의 제1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 후,
    캡쳐 신호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한 영역들 각각을 캡쳐하는 제1 캡쳐 영상, 복수 개의 영역들을 합성한 하나의 영역을 캡쳐하는 제2 캡쳐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줌-아웃 신호에 의해, 상기 제2 영역의 크기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영상의 터치 신호 수신에 의해, 상기 제2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영상의 터치 신호 수신에 의해, 상기 제2 영역의 크기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캡쳐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촬상소자의 제1 영역의 영상 데이터에 얼굴이 포함된 제1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9. 촬상소자의 제1 영역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
    상기 촬상소자의 상기 제1 영역 이외의 영역인 제2 영역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수신부; 및
    상기 제1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제1 영역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제1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고, 줌-아웃 신호에 의해, 상기 제2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2 영역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제2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20. 촬상소자로부터 촬상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촬상 영상의 제1 영역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제1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고, 줌-아웃 신호에 의해, 상기 촬상 영상의 상기 제1 영역 이외의 영역인 제2 영역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제2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KR1020120013805A 2012-02-10 2012-02-10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3009221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805A KR20130092213A (ko) 2012-02-10 2012-02-10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3/605,045 US20130208168A1 (en) 2012-02-10 2012-09-06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805A KR20130092213A (ko) 2012-02-10 2012-02-10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213A true KR20130092213A (ko) 2013-08-20

Family

ID=48945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805A KR20130092213A (ko) 2012-02-10 2012-02-10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208168A1 (ko)
KR (1) KR201300922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86964A1 (ko) * 2014-06-03 2015-1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촬영 장치 및 촬영 장치의 비디오 생성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36761B2 (ja) 2014-12-24 2018-12-12 キヤノン株式会社 ズーム制御装置、撮像装置、ズーム制御装置の制御方法、及びズーム制御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5119B2 (ja) * 1998-03-05 2005-09-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合成装置、及び画像合成方法を実現す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379728B2 (ja) * 2005-01-31 2009-12-0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4956988B2 (ja) * 2005-12-19 2012-06-2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7180730A (ja) * 2005-12-27 2007-07-12 Eastman Kodak Co 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データ管理方法
JP2008283361A (ja) * 2007-05-09 2008-11-20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4930297B2 (ja) * 2007-09-10 2012-05-16 株式会社ニコン 撮像装置
JP5779959B2 (ja) * 2011-04-21 2015-09-16 株式会社リコー 撮像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86964A1 (ko) * 2014-06-03 2015-1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촬영 장치 및 촬영 장치의 비디오 생성방법
US10375312B2 (en) 2014-06-03 2019-08-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ing device and video generation method by imag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08168A1 (en) 2013-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1146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5054583B2 (ja) 撮像装置
US7668451B2 (en) System for and method of taking image
KR20120131365A (ko)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TWI459126B (zh) 可產生廣角影像之影像處理裝置、影像處理方法及記錄媒體
JP2014120844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5782813B2 (ja) 撮像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JP5607260B2 (ja) 撮影装置、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70237513A1 (en) Photographing method and photographing apparatus
JP5667726B2 (ja) レンズ交換式カメラ及びファインダの表示方法
JP6389342B2 (ja) 撮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7235640A (ja) 撮影装置及び方法
JP2018006828A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2013012852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KR101812656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30092213A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5750262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KR101369752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8073319B2 (en) Photographing method and photographing apparatus based on face detection and photography conditions
KR101373018B1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저광량 시의 손떨림 방지 장치 및방법
KR101436324B1 (ko) 동영상으로부터 정지영상을 검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14135589A (ja)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5089522B2 (ja) 撮像装置
JP5686869B2 (ja) 撮像装置
KR101385959B1 (ko) 전원 on 또는 off 시 특정 방향에 대응하는 특정동작을 수행하는 휴대용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