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8200A - 유리가공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유리가공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8200A
KR20130078200A KR1020110147009A KR20110147009A KR20130078200A KR 20130078200 A KR20130078200 A KR 20130078200A KR 1020110147009 A KR1020110147009 A KR 1020110147009A KR 20110147009 A KR20110147009 A KR 20110147009A KR 20130078200 A KR20130078200 A KR 20130078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source supply
work
processing
workbe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7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7125B1 (ko
Inventor
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스머신
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스머신, 한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스머신
Priority to KR1020110147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7125B1/ko
Publication of KR20130078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8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7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7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Glass cutting tables; Apparatus for transporting or handling sheet glass during the cutting or breaking ope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20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gripping tongs or supporting frames
    • C03B35/202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gripping tongs or supporting frames by supporting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04Transporting of hot hollow or semi-hollow glass products
    • C03B35/06Feeding of hot hollow glass products into annealing or heating kilns
    • C03B35/12Feeding of hot hollow glass products into annealing or heating kilns by picking-up and deposi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가공장치는, 세팅된 피가공 유리를 가공하는 가공기; 상기 가공기의 일측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피가공 유리를 적재하는 복수개의 매거진이 장착되는 제1 소스 공급부; 상기 가공기의 타측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피가공 유리를 적재하는 복수개의 매거진이 장착되는 제2 소스 공급부; 상기 제1 소스 공급부와 제2 소스 공급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소스 공급부로부터 피가공 유리가 이송되어 세팅되는 제1 작업대 및 상기 제2 소스 공급부로부터 피가공 유리가 이송되어 세팅되는 제2 작업대를 분할하여 구비하는 더블 테이블과, 상기 더블 테이블이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테이블 구동부를 포함하는 더블 테이블 장치; 및 상기 제1 작업대 및 제2 작업대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피가공 유리의 세팅 및 상기 제1 작업대 및 제2 작업대 중 다른 하나에 대한 피가공 유리의 가공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더블 테이블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리가공장치 및 그 제어방법{APPARATUS FOR GLASS PROCESSING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유리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이나 평판디스플레이 등에 사용되는 유리를 그라인딩할때 유리의 이송과 가공공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가공공정을 간소화시켜 유리가공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유리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PMP, MP3 등의 휴대용 기기나 평판 디스플레이(LCD, PDP, 유기EL 디스플레이 등)등의 기기에서 터치패널 등에 유리가 널리 사용되며, 이와 같은 유리는 여러 가지 다양한 기기의 크기에 따라 절단, 연삭, 연마 등의 가공 공정을 거친 후 해당 기기에 장착이 된다.
이와 같은 유리의 가공 공정에 있어서, 종래에는 피가공 유리를 이송해서 작업대에 올려놓는 과정과, 상기 작업대에 올려놓은 피가공 유리의 중심 위치를 정확하게 정렬하는 과정을 거쳐서, 피가공 유리의 정렬이 완료된 후에 유리의 가공 공정이 진행되고, 유리 가공이 완료되면 이를 언로딩 하고 다시 피가공 유리를 올려놓고 정렬하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되었었다.
즉 이송, 로딩, 정렬, 가공, 언로딩, 그리고 다시 이송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유리 가공이 이루어졌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모든 단계가 순차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유리를 가공하는 가공기는 피가공 유리가 이송되어 로딩되고 이를 정렬할 때까지 대기하고 있어야 하고, 가공이 완료된 후에도 언로딩되어 다시 이송 및 로딩이 되어 정렬될 때까지 대기하고 있어야 하므로 가공된 유리의 산출량이 한계가 있고 유리 가공 공정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런데, 가공된 유리의 산출량을 증가시키도록 하기 위해 동시에 복수개의 유리를 가공하도록 하는 장치가 개발되었으나, 동시에 유리를 가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가공기의 개수가 한계가 있고(왜냐하면 동시에 너무 많은 개수의 가공기가 가공을 하게 될 경우 장치의 크기가 대형화되어 가공 오차 등을 유발하게 된다), 동시에 복수개의 유리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경우에도 결국에는 이송, 로딩, 정렬, 가공 및 언로딩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거쳐야 하므로 가공 효율이 떨어지는 것은 마찬가지였다.
본 발명은 세팅된 피가공 유리에 대한 가공 공정과 동시에 피가공 유리의 이송, 로딩 및 정렬, 그리고 가공된 유리의 언로딩 공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즉 피가공 유리에 대한 가공이 이루어지는 동안 이미 가공된 유리의 언로딩과 피가공 유리의 이송, 로딩 및 정렬 과정이 모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공기가 대기하는 시간을 최대한 감소시키거나 없애도록 하여 유리 가공 공정의 효율을 대폭 증가시키도록 하여 작업 시간의 단축 및 비용을 감소시키도록 할 수 있는 유리가공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가공장치는, 세팅된 피가공 유리를 가공하는 가공기; 상기 가공기의 일측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피가공 유리를 적재하는 복수개의 매거진이 장착되는 제1 소스 공급부; 상기 가공기의 타측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피가공 유리를 적재하는 복수개의 매거진이 장착되는 제2 소스 공급부; 상기 제1 소스 공급부와 제2 소스 공급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소스 공급부로부터 피가공 유리가 이송되어 세팅되는 제1 작업대 및 상기 제2 소스 공급부로부터 피가공 유리가 이송되어 세팅되는 제2 작업대를 분할하여 구비하는 더블 테이블과, 상기 더블 테이블이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테이블 구동부를 포함하는 더블 테이블 장치; 및 상기 제1 작업대 및 제2 작업대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피가공 유리의 세팅 및 상기 제1 작업대 및 제2 작업대 중 다른 하나에 대한 피가공 유리의 가공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더블 테이블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작업대에 대해 상기 가공기가 가공을 하는 동시에 상기 제2 소스 공급부로부터 상기 제2 작업대에 피가공 유리가 세팅될 수 있는 위치로 상기 더블 테이블이 이동하도록 상기 테이블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작업대에 대해 상기 가공기가 가공을 하는 동시에 상기 제1 소스 공급부로부터 상기 제1 작업대에 피가공 유리가 세팅될 수 있는 위치로 상기 더블 테이블이 이동하도록 상기 테이블 구동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소스 공급부의 각 매거진에 적재된 피가공 유리를 상기 제1 작업대로 이송하거나 상기 제1 작업대 상의 가공된 유리를 상기 각 매거진에 복귀시키도록 이송하는 제1 이송장치와, 상기 제2 소스 공급부의 각 매거진에 적재된 피가공 유리를 상기 제2 작업대로 이송하거나 상기 제2 작업대 상의 가공된 유리를 상기 각 매거진에 복귀시키도록 이송하는 제2 이송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소스 공급부 및 제2 소스 공급부 사이는, 상기 제1 소스 공급부로부터 피가공 유리의 세팅이 이루어지는 제1 세팅 영역과, 상기 가공기에 의해 세팅된 피가공 유리에 대한 가공이 이루어지는 가공 영역과, 상기 제2 소스 공급부로부터 피가공 유리의 세팅이 이루어지는 제2 세팅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테이블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더블 테이블을 이동시켜, 상기 제1 작업대가 상기 제1 세팅 영역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작업대가 상기 가공 영역에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제2 작업대에서 가공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1 작업대가 상기 가공 영역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작업대가 상기 제2 세팅 영역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작업대는, 각각 하나의 피가공 유리를 고정하며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 세팅 홀더와, 상기 각각의 제1 세팅 홀더에 놓인 피가공 유리의 중심 위치를 정렬하도록 하는 제1 위치정렬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작업대는, 각각 하나의 피가공 유리를 고정하며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 세팅 홀더와, 상기 각각의 제2 세팅 홀더에 놓인 피가공 유리의 중심 위치를 정렬하도록 하는 제2 위치정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작업대에 대한 가공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 더블 테이블이 구동되어 상기 제1 작업대가 상기 가공영역에서 상기 제1 세팅영역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 작업대 상에 에어를 분사하는 제1 에어나이프와, 상기 제2 작업대에 대한 가공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 더블 테이블이 구동되어 상기 제2 작업대가 상기 가공영역에서 상기 제2 세팅영역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2 작업대 상에 에어를 분사하는 제2 에어나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에어나이프는, 상기 가공기에 장착되어 피가공 유리를 가공하기 위한 공구를 수납하는 공구 홀더를 구비하는 제1 나이프 몸체부와, 내부로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장막 형태로 분사하는 제1 에어분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에어나이프는, 상기 제1 나이프 몸체부의 공고 홀더에 수납되는 공구와 다른 종류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공구를 수납하는 공구 홀더를 구비하는 제2 나이프 몸체부와, 내부로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장막 형태로 분사하는 제2 에어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공기는, 상기 복수개의 제1 세팅 홀더 또는 상기 복수개의 제2 세팅 홀더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개의 제1 세팅 홀더 또는 복수개의 제2 세팅 홀더의 피가공 유리를 각각 동시에 가공하기 위한 복수개의 주축장치 및 상기 각 주축장치에 장착되는 공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개의 주축장치에 각각 장착되어 서로 다른 종류의 가공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서로 다른 종류의 공구를 각각 홀딩하여, 가공 과정에서 상기 주축장치에 대한 공구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개의 공구 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소스 공급부는, 상기 제1 작업대 상의 복수개의 제1 세팅 홀더 각각에 대응되도록 상기 매거진이 복수개 구비하며, 상기 제2 소스 공급부는, 상기 제2 작업대 상의 복수개의 제2 세팅 홀더 각각에 대응되도록 상기 매거진이 복수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이송장치는, 상기 제1 소스 공급부의 각 매거진에 적재된 피가공 유리를 각각 파지하여 상기 제1 작업대의 각 제1 세팅 홀더에 각각 놓이도록 하며 상기 복수개의 제1 세팅 홀더 각각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복수개의 제1 이송암과, 상기 복수개의 제1 이송암이 각각 피가공 유리를 파지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이송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이송장치는, 상기 제2 소스 공급부의 각 매거진에 적재된 피가공 유리를 각각 파지하여 상기 제2 작업대의 각 제2 세팅 홀더에 각각 놓이도록 하며 상기 복수개의 제2 세팅 홀더 각각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복수개의 제2 이송암과, 상기 복수개의 제2 이송암이 각각 피가공 유리를 파지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이송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소스 공급부와 상기 더블 테이블 장치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제1 거리조절장치와, 상기 제2 소스 공급부와 상기 더블 테이블 장치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제2 거리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가공장치는, 세팅된 피가공 유리를 가공하기 위한 복수개의 주축장치를 가진 가공기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가공기 몸체가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가공기; 상기 가공기의 일측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피가공 유리를 적재하는 복수개의 매거진이 장착되는 제1 소스 공급부; 상기 가공기의 타측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피가공 유리를 적재하는 복수개의 매거진이 장착되는 제2 소스 공급부; 상기 제1 소스 공급부와 제2 소스 공급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소스 공급부로부터 피가공 유리가 이송되어 세팅되는 제1 작업대 및 상기 제2 소스 공급부로부터 피가공 유리가 이송되어 세팅되는 제2 작업대를 분할하여 구비하는 더블 테이블; 및 상기 제1 작업대 및 제2 작업대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피가공 유리의 세팅 및 상기 제1 작업대 및 제2 작업대 중 다른 하나에 대한 피가공 유리의 가공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가공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가공장치의 제어방법은, 세팅된 피가공 유리를 가공하는 가공기와, 상기 가공기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소스 공급부와, 상기 가공기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 소스 공급부와, 제1 작업대 및 제2 작업대를 분할하여 구비하는 더블 테이블을 구비하는 유리가공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작업대가 상기 가공기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작업대가 상기 제2 소스 공급부에 근접하여 위치하도록 상기 더블 테이블을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작업대에 세팅된 피가공 유리가 상기 가공기에 의해 가공됨과 동시에 상기 제2 작업대에 상기 제2 소스 공급부로부터 피가공 유리가 이송되어 세팅되는 단계; 상기 제1 작업대에 대한 상기 가공기의 가공 작업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작업대에 대한 상기 가공기의 가공 작업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1 작업대가 상기 제1 소스 공급부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2 작업대가 상기 가공기에 위치하도록 상기 더블 테이블을 구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작업대에 세팅된 피가공 유리가 상기 가공기에 의해 가공됨과 동시에 상기 제1 작업대로부터 상기 제1 소스 공급부로 가공된 유리를 언로딩 시키고 상기 제1 소스 공급부로부터 상기 제1 작업대에 피가공 유리가 이송되어 세팅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가공장치의 제어방법은, 세팅된 피가공 유리를 가공하는 가공기와, 상기 가공기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소스 공급부와, 상기 가공기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 소스 공급부와, 제1 작업대 및 제2 작업대를 분할하여 구비하는 더블 테이블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소스 공급부 및 제2 소스 공급부 사이는 상기 제1 소스 공급부로부터 피가공 유리의 세팅이 이루어지는 제1 세팅 영역과, 상기 가공기에 의해 세팅된 피가공 유리에 대한 가공이 이루어지는 가공 영역과, 상기 제2 소스 공급부로부터 피가공 유리의 세팅이 이루어지는 제2 세팅 영역으로 구분되는 유리가공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더블 테이블을 이동시켜 상기 제1 작업대가 상기 제1 세팅 영역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작업대가 상기 가공 영역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가공기에 의해 상기 제2 작업대에 세팅된 피가공 유리의 가공 작업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작업대에 세팅된 피가공 유리의 가공 작업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1 작업대가 상기 가공 영역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작업대가 상기 제2 세팅 영역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가공장치의 제어방법은,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세팅된 피가공 유리를 가공하는 가공기와, 상기 가공기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소스 공급부와, 상기 가공기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 소스 공급부와, 제1 작업대 및 제2 작업대를 분할하여 구비하는 더블 테이블을 구비하는 유리가공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공기를 상기 제1 작업대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작업대에 세팅된 피가공 유리가 상기 가공기에 의해 가공됨과 동시에 상기 제2 작업대로부터 상기 제2 소스 공급부로 가공된 유리를 언로딩 시키고 상기 제2 소스 공급부로부터 상기 제2 작업대에 피가공 유리가 이송되어 세팅되는 단계; 상기 제1 작업대에 대한 상기 가공기의 가공 작업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작업대에 대한 상기 가공기의 가공 작업이 완료된 경우, 상기 가공기가 상기 제2 작업대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공기를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작업대에 세팅된 피가공 유리가 상기 가공기에 의해 가공됨과 동시에 상기 제1 작업대로부터 상기 제1 소스 공급부로 가공된 유리를 언로딩 시키고 상기 제1 소스 공급부로부터 상기 제1 작업대에 피가공 유리가 이송되어 세팅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가공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세팅된 피가공 유리에 대한 가공 공정과 동시에 피가공 유리의 이송, 로딩 및 정렬, 그리고 가공된 유리의 언로딩 공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즉 피가공 유리에 대한 가공이 이루어지는 동안 이미 가공된 유리의 언로딩과 피가공 유리의 이송, 로딩 및 정렬 과정이 모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공기가 대기하는 시간을 최대한 감소시키거나 없애도록 하여 유리 가공 공정의 효율을 대폭 증가시키도록 하여 작업 시간의 단축 및 비용을 감소시키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가공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리가공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유리가공장치에 대해 제1 소스 공급부를 가공기 쪽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유리가공장치에 대해 제2 소스 공급부를 가공기 쪽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유리가공장치에 대해 가공기를 제2 소스 공급부 쪽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유리가공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도 6 및 도 7에 대응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유리가공장치의 동작에 대한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가공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가공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가공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리가공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가공장치는, 제1 소스 공급부(100), 제2 소스 공급부(200), 가공기(300), 더블 테이블 장치(500), 제1 이송장치(150), 제2 이송장치(25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가공장치는 가운데에 가공기(300) 및 더블 테이블 장치(500)가 구비되고 그 일측에 제1 소스 공급부(100) 및 제1 이송장치(150)가 구비되며, 그 타측에 제2 소스 공급부(200) 및 제2 이송장치(25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소스 공급부(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급 본체(101)에 제1 공급 테이블(102)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공급 테이블(102)에는 피가공 유리(G)를 복수개 적재한 매거진(130)을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개 정렬하여 구비하고 있으며, 제1 공급 본체(101)에는 각각의 매거진(130)에 적재된 피가공 유리(G)를 이송하거나 이미 가공이 완료된 유리를 각각의 매거진(130)에 적재하도록 하기 위한 제1 이송장치(150)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소스 공급부(200)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공급 본체(201)에 제2 공급 테이블(202)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공급 테이블(202)에는 피가공 유리(G)를 복수개 적재한 매거진(230)을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개 정렬하여 구비하고 있으며, 제2 공급 본체(201)에는 각각의 매거진(230)에 적재된 피가공 유리(G)를 이송하거나 이미 가공이 완료된 유리를 각각의 매거진(230)에 적재하도록 하기 위한 제2 이송장치(25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소스 공급부(100)와 제2 소스 공급부(200) 사이에는 가공 테이블 본체(501)가 구비되는데, 상기 가공 테이블 본체(501)에는 상기 더블 테이블 장치(500)가 구비되고, 그 상부에는 피가공 유리(G)를 가공하기 위한 가공기(300)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 소스 공급부(100)의 제1 공급 본체(101)와 상기 더블 테이블 장치(500)가 구비되는 가공 테이블 본체(501)는 제1 거리조절장치(190)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 거리조절장치(190)는 상기 제1 공급 본체(101)를 이동시켜 상기 가공 테이블 본체(501)에 근접하도록 하거나 소정 거리 이격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소스 공급부(200)의 제2 공급 본체(201)와 상기 가공 테이블 본체(501)는 제2 거리조절장치(290)가 구비되어 상기 제2 공급 본체(201)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가공 테이블 본체(501)에 근접시키거나 소정 거리 이격시킨다.
즉 유리가공공정이 진행될 때에는 상기 제1 거리조절장치(190) 및 제2 거리조절장치(290)가 각각 제1 공급 본체(101) 및 제2 공급 본체(201)를 각각 가공 테이블 본체(501)에 근접시키도록 하고(도 6 및 도 7 참조), 장치가 문제가 생기거나 장치를 수리 및 정비를 할 때에는 작업자가 제1 공급 본체(101)와 가공 테이블 본체(501) 사이, 그리고 제2 공급 본체(201)와 가공 테이블 본체(501) 사이에 진입할 수 있도록 각각 제1 공급 본체(101) 및 제2 공급 본체(201)를 가공 테이블 본체(501)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시키도록 한다(도 1 참조).
상기 제1 이송장치(150)의 구성 및 동작에 관하여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하며, 상기 제2 이송장치(250)의 구성 및 동작에 관하여는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하고, 상기 가공기(300)의 구성 및 동작에 관하여는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하며,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기한 더블 테이블 장치(500)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더블 테이블 장치(500)는 상기 제1 소스 공급부(100)로부터 피가공 유리(G)가 이송되어 세팅되는 제1 작업대(510) 및 상기 제2 소스 공급부(200)로부터 피가공 유리(G)가 이송되어 세팅되는 제2 작업대(520)를 분할하여 구비하는 더블 테이블(T1)과, 상기 더블 테이블(T1)이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테이블 구동부(T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도면상에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1 작업대(510) 및 제2 작업대(520)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피가공 유리(G)의 세팅 및 상기 제1 작업대(510) 및 제2 작업대(520) 중 다른 하나에 대한 피가공 유리(G)의 가공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더블 테이블 장치(50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더블 테이블(T1)은 상기 테이블 구동부(T2)에 의해 가공 테이블 본체(501)의 일측과 타측 사이를 직선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좀 더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 테이블 본체(501)를 제1 세팅 영역(R1), 가공 영역(P) 및 제2 세팅 영역(R2)으로 분할할 수 있는데, 상기 테이블 구동부(T2)는 상기 더블 테이블(T1)을 이동시켜 제1 작업대(510)가 제1 세팅 영역(R1)에 위치하고 제2 작업대(520)가 가공 영역(P)에 위치하도록 하거나, 제1 작업대(510)가 가공 영역(P)에 위치하고 제2 작업대(520)가 제2 세팅 영역(R2)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더블 테이블(T1)에는 가이드부(560)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560)는 상기 가공 테이블 본체(501)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고정되는 가이드 레일(570)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더블 테이블(T1)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더블 테이블(T1)은 제1 작업대(510)와 제2 작업대(520)가 중심부(530)에 의해 분할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중심부(530)는 테이블 구동부(T2)와 결합된다.
상기 테이블 구동부(T2)는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540)와, 상기 구동부(540)와 상기 중심부(530)를 연결하는 구동레일부(5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구동부(540)와 상기 구동레일부(550)에 의해 상기 더블 테이블(T1)이 직선 왕복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더블 테이블(T1)의 제1 작업대(510)는 하나의 피가공 유리(G)가 세팅되는, 즉 제1 이송장치(150)에 의해 매거진(130)으로부터 이송되고 로딩되어 정렬이 이루어진 피가공 유리(G)를 고정하는 제1 세팅 홀더(512)가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1 세팅 홀더(512)는 소정 간격으로 제1 작업대(510)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작업대(510)는 복수개의 제1 작업 베이스(511)를 분할하여 구비하는데, 상기 각각의 제1 세팅 홀더(512)는 각각의 제1 작업 베이스(511)마다 구비되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작업대(520)도 피가공 유리(G)를 세팅할 수 있는 복수개의 제2 세팅 홀더(522)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하여 구비하며, 제2 작업대(520) 상에 분할되어 구비되는 제2 작업 베이스(521) 상에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제1 작업 베이스(511)에는, 도면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제1 소스 공급부(100)에 구비된 매거진(130)으로부터 제1 이송장치(150)에 의해 이송되는 피가공 유리(G)가 제1 세팅 홀더(512)에 놓여지면 이를 정렬하도록 하는 제1 위치정렬수단(미도시)이 구비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각각의 제2 작업 베이스(521)에도, 제2 소스 공급부(200)에 구비된 매거진(230)으로부터 제2 이송장치(250)에 의해 이송되는 피가공 유리(G)가 제2 세팅 홀더(522)에 놓여지면 이를 정렬하도록 하는 제2 위치정렬수단(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제1 위치정렬수단 및 제2 위치정렬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적인 부분이 아니므로 그 구체적인 구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제1 세팅 홀더(512) 및 제2 세팅 홀더(522)는 상기한 제1 위치정렬수단 및 제2 위치정렬수단에 의해 각각 정렬된 피가공 유리(G)를 고정함으로써 가공 준비를 완료한다.
상기 제1 세팅 홀더(512) 및 제2 세팅 홀더(522)는 진공 흡착 방식에 의해 각각의 피가공 유리(G)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기타 여하한 방식에 의한 선택적 고정 구조를 채용하여 피가공 유리를 고정시킨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제1 이송장치(150)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3은 제1 소스 공급부(100)를 가공기(300) 쪽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급 본체(101)의 제1 공급 테이블(102)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매거진(130) 각각은 더블 테이블(T1)의 제1 작업대(510)에 구비되는 제1 세팅 홀더(512)에 대응되도록 위치되며, 제1 이송장치(150)는 복수개의 매거진(130) 각각으로부터 동시에 피가공 유리(G)를 적출하여 제1 작업대(510) 상의 각각의 제1 세팅 홀더(512)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또한 제1 작업대(510) 상의 각각의 제1 세팅 홀더(512)로부터 동시에 가공 완료된 유리를 각각의 대응되는 위치의 매거진(130)에 적재하도록 이송하기도 한다).
상기 제1 이송장치(150)는, 제1 이송 몸체부(154)를 도면상의 z축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시키기도 하고 x축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시키기도 하며, y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기도 하면서 이송 작업을 진행한다.
상기 제1 이송 몸체부(154)에는 y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1 회전축(158)과, 상기 제1 회전축(158)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 고정되는 제1 이송암(159)을 구비한다.
상기 복수개의 제1 이송암(159) 각각은 제1 공급 테이블(102)에 구비된 복수개의 매거진(130) 각각에 대응하여 구비된다.
상기 각각의 제1 이송암(159)은 피가공 유리(G)를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는 진공 흡착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고 그 외에 기타 여하한 방식에 의해 선택적으로 피가공 유리(G)를 파지할 수 있는 구성이면 가능하다.
상기 복수개의 제1 이송암(159)은, 제1 회전축(158)에 고정되고, 상기 제1 회전축(158)은 제1 회전 구동모터(157)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회전 구동모터(157)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회전축(158)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제1 이송암(159)은 동시에 y축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제1 이송장치(150)는, 상기 제1 이송 몸체부(154)를 상하 구동하여 z축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시키기위한 제1 이송 지지부(151), 제1 구동 지지부(152) 및 제1 수직 구동모터(15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이송장치(150)는, 상기 제1 이송 몸체부(154)를 수평 방향 구동하여 x축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수평 구동모터(155)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이송 몸체부(154)의 x축 방향을 따라 수평 이동하는 것은 제1 수평 가이드부(156)에 의해 가이드 된다.
즉 상기 제1 이송장치(150)는, 상기 제1 수직 구동모터(153)에 의해 제1 이송 지지부(151)가 z축 방향을 따라 상하 구동되고, 이때 상기 제1 이송 지지부(151)에 고정되는 제1 구동 지지부(152)가 제1 이송 몸체부(154)를 상하 구동시키며, 상기 제1 수평 구동모터(155)에 의해 제1 이송 몸체부(154)가 x축 방향을 따라 수평 구동되며, 제1 회전 구동모터(157)에 의해 제1 회전축(158)이 y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 회전축(158)에 고정된 복수개의 제1 이송암(159)이 각각 회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제2 이송장치(250)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4는 제2 소스 공급부(200)를 가공기(300) 쪽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2 이송장치(250)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 이송장치(15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즉 제1 이송장치(150)의 제1 이송 지지부(151), 제1 구동 지지부(152), 제1 수직 구동모터(153), 제1 이송 몸체부(154), 제1 수평 구동모터(155), 제1 수평 가이드부(156), 제1 회전 구동모터(157), 제1 회전축(158) 및 제1 이송암(159)은, 각각 제2 이송장치(250)의 제2 이송 지지부(251), 제2 구동 지지부(252), 제2 수직 구동모터(253), 제2 이송 몸체부(254), 제2 수평 구동모터(255), 제2 수평 가이드부(256), 제2 회전 구동모터(257), 제2 회전축(258) 및 제2 이송암(259)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대응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제2 이송장치(250)는, 상기 제2 수직 구동모터(253)에 의해 제2 이송 지지부(251)가 z축 방향을 따라 상하 구동되고, 이때 상기 제2 이송 지지부(251)에 고정되는 제2 구동 지지부(252)가 제2 이송 몸체부(254)를 상하 구동시키며, 상기 제2 수평 구동모터(255)에 의해 제2 이송 몸체부(254)가 x축 방향을 따라 수평 구동되며, 제2 회전 구동모터(257)에 의해 제2 회전축(258)이 y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2 회전축(258)에 고정된 복수개의 제2 이송암(259)이 각각 회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가공기(300)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5는 가공기(300)를 제2 소스 공급부(200) 쪽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기(300)는, 제1 크로스 레일(310)과 제2 크로스 레일(320) 사이에 가공기 몸체(330)가 구비되도록 구성되며, 가공기 구동부(360)는 상기 가공기 몸체(330)를 z축 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시키기도 하고 y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기도 한다. 가공기 몸체(330)가 x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에는 상기 제1 크로스 레일(310) 및 제2 크로스 레일(320)과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도면상에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가공기 몸체(330)와 제1, 2 크로스 레일(310, 320)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하는 구성요소를 직선이동 구동부(미도시)라 칭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가공기(300)가 x축, y축 및 z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것에 대한 구성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가공기 몸체(330)에는 복수개의 주축장치(340)가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고정되며, 상기 각각의 주축장치(340)는 제1 작업대(510) 상의 각각의 제1 작업 베이스(511) 또는 제2 작업대(520) 상의 각각의 제2 작업 베이스(521)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각각의 주축장치(340)의 하단에는 유리를 가공하기 위한 공구(350)가 장착되며, 공구(350)를 장착한 각각의 주축장치(340)는 제1 작업대(510) 상의 각각의 제1 작업 베이스(511)의 제1 세팅 홀더(512)에 고정된(또는 제2 작업대(520) 상의 각각의 제2 작업 베이스(521)의 제2 세팅 홀더(522)에 고정된) 피가공 유리(G)를 각각 동시에 가공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가공기(300)와 더블 테이블(T1) 사이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가공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서로 다른 종류의 공구(351, 352)를 각각 홀딩하여 가공 과정에서 상기 각각의 주축장치(340)에 대한 공구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구 홀더가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더블 테이블(T1) 상의 제1 작업대(510) 또는 제2 작업대(520) 상의 유리에 대한 가공이 완료되어 이동할 때 가공 완료된 유리를 홀딩하고 있는 작업대 상에 에어를 분사하여 가공 후 남아 있는 스크랩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나이프(370, 380)를 구비하고, 상기 에어나이프 상에 상기 공구 홀더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에어나이프(370, 380)가 공구 홀더의 기능까지 겸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러 가지 면에서 효율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에어나이프(370, 380)에 관한 좀 더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가공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에어나이프(370) 및 제2 에어나이프(38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에어나이프(370)는 제1 작업대(510)에 대한 가공이 완료됨에 따라 더블 테이블(T1)이 구동되어 상기 제1 작업대(510)가 가공영역(P, 도 2 참조)에서 제1 세팅영역(R1, 도 2 참조)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 작업대(510) 상에 에어를 분사한다. 즉 제1 작업대(510) 상의 가공이 완료된 유리에 붙어 있는 가공 스크랩을 에어가 제거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에어나이프(380)는 제2 작업대(520)에 대한 가공이 완료됨에 따라 더블 테이블(T1)이 구동되어 상기 제2 작업대(520)가 가공영역(P, 도 2 참조)에서 제2 세팅영역(R2, 도 2 참조)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2 작업대(520) 상에 에어를 분사한다. 즉 제2 작업대(520) 상의 가공이 완료된 유리에 붙어 있는 가공 스크랩을 에어가 제거하도록 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나이프(380)는 작업대(520) 전체에 대해 장막 형태로 에어를 분사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나이프(380, 제1 에어나이프와 제2 에어나이프는 그 구성이 동일하므로 이하 통칭하여 에어나이프라 하기로 한다)는 나이프 몸체부(381) 및 에어분사부(38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여기서 제1 에어나이프는 제1 나이프 몸체부와 제1 에어분사부를 포함하고, 제2 에어나이프는 제2 나이프 몸체부와 제2 에어분사부를 포함하는데, 제1 에어나이프와 제2 에어나이프의 구성이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통칭하여 나이프 몸체부 및 에어분사부라 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에어나이프(380)에 대한 I-I 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인데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나이프 몸체부(381)는 가공기(300)에 장착되어 피가공 유리를 가공하기 위한 공구(352)를 수납하는 공구 홀더(382)를 구비하며, 상기 에어분사부(383)는 그 내부로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장막 형태로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압축공기는 외부에 압축공기 공급원(미도시)을 구비하여 이를 상기 에어나이프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압축공기가 에어나이프의 에어분사부(383)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분사되도록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유리 가공이 완료되면 더블 테이블이 이동하는데, 이때 에어나이프(380)가 구동되어 에어를 아래쪽으로 분사하고 상기 에어가 분사되고 있는 상태에서 더블 테이블이 이동함으로써 작업대 상의 가공 완료된 유리(Gc)는 에어 장막을 지나가게 되며, 이때 가공 완료된 유리(Gc) 주변에 뭍은 가공 스크랩 등이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가공장치의 제어방법과 이에 따른 유리가공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 및 도 9는 제1 작업대에 피가공 유리가 세팅되는 동시에 제2 작업대에서 피가공 유리의 가공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관한 정면도 및 평면도를, 도 8 및 도 10은 제2 작업대에 피가공 유리가 세팅되는 동시에 제1 작업대에서 피가공 유리의 가공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관한 정면도 및 평면도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유리가공장치의 동작에 대한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플로우차트에 따른 제어방법을 중심으로 도 7 내지 도 10에 각각 도시된 도면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거리조절장치(190) 및 제2 거리조절장치(290)가 제1 소스 공급부(100) 및 제2 소스 공급부(200)를 각각 가공 테이블 본체(501)를 끌어당겨서 근접시키거나 도킹(Docking) 되도록 한 상태에서 유리 가공 공정이 진행된다(S10).
유리 가공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S10), 더블 테이블(T1)이 이동하여(S20)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세팅 영역(R1)에 더블 테이블(T1)의 제1 작업대(510)가 위치하도록 하고(S30) 가공 영역(P)에 더블 테이블(T1)의 제2 작업대(520)가 위치하도록 한다(S40).
즉 제1 작업대(510)에 놓인 유리에 대한 가공이 완료되었기 때문에 제1 세팅 영역(R1)으로 위치시키는 것인데, 이때 제1 에어나이프(370)가 구동되어 가공 영역에서 제1 세팅 영역으로 이동하는 더블 테이블(T1)의 제1 작업대(510) 상의 가공 완료된 유리에 붙어있는 가공 스크랩이 제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25).
한편, 제2 작업대(520) 상에는 피가공 유리가 로딩되어 정렬이 이루어져 가공 준비가 완료된 상태이며, 제2 작업대(520) 상에 세팅된 피가공 유리에 대해 가공기(300)가 가공을 시작하고(S41), 동시에 제1 이송장치(150)가 제1 작업대(510) 상의 가공 완료된 유리를 언로딩하고(S31), 제1 소스 공급부(100)에 구비되는 각 매거진(130)으로부터 제1 작업대(510) 상의 각 제1 세팅 홀더(512)로 피가공 유리(G)를 이송하여 로딩시키며(S32), 각각의 제1 세팅 홀더(512)에 로딩된 피가공 유리(G)는 제1 위치정렬수단(미도시)에 의해 정렬됨으로써 제1 작업대의 가공 준비가 완료된다(S33).
여기서 제1 이송장치(150)에 의한 로딩/언로딩 과정에 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작업대(510)가 제1 세팅 영역(R1)에 위치하게 되면, 각각의 제1 이송암(159)은 아무것도 파지하지 않은 상태로 제1 회전 구동모터(157)에 의해 제1 회전축(158)이 회전함으로써 복수개의 제1 이송암(159)이 대략 90° 정도 회동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수평 구동모터(155)에 의해 구동되고 제1 수평 가이드부(156)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제1 이송 몸체부(154)가 더블 테이블(T1) 쪽으로 수평 이동하여 각각의 제1 이송암(159)이 제1 작업대(510) 상의 각각의 제1 세팅 홀더(512) 위에 위치하도록 이동한다.
그리고 제1 수직 구동모터(153)에 의해 제1 이송 지지부(151)가 하방 이동하면서 제1 구동 지지부(152)에 의해 제1 이송 몸체부(154)가 하방 이동하여 각각의 제1 이송암(159)이 각각의 제1 세팅 홀더(512)에 놓여진 가공 완료된 유리에 도달한다.
각각의 제1 세팅 홀더(512)가 각각의 유리에 대한 고정력을 해제하면서 각각의 제1 이송암(159)이 각각의 유리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수직 구동모터(153) 및 제1 수평 구동모터(155)에 의해 각각의 제1 이송암(159)이 각각의 매거진(130)으로 이동하고 제1 회전 구동모터(157)가 각각의 제1 이송암(159)을 원래 상태로 회전하여 매거진(130) 내부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가공 완료된 유리를 적재한다.
그리고 각각의 제1 이송암(159)은 제1 수직 구동모터(153) 및 제1 수평 구동모터(155)에 의해 각각의 매거진(130)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하여 피가공 유리(G)를 각각 파지하고 상방으로 이동하여 다시 대략 90° 정도 회동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수평 구동모터(155)에 의해 제1 작업대(510)로 이동하여 각각의 제1 세팅 홀더(512) 상에 피가공 유리(G)를 로딩한다.
로딩된 피가공 유리(G)는 제1 위치정렬수단(미도시)에 의해 각각의 피가공 유리의 중심점을 정확하게 맞추도록 함으로써 가공 준비가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제2 작업대(520) 상에서의 유리 가공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여(S42), 만약 유리 가공이 완료되었다면 다음 공정으로 넘어간다.
여기서 제1 작업대(510)에 대한 가공 준비가 완료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제2 작업대(520) 상의 유리 가공이 완료되는데 소요되는 시간 보다 다소 짧아서, 제1 작업대(510) 상의 가공 준비 완료 후 제2 작업대(520) 상의 유리 가공의 완료시까지 대기하고 있다가 유리 가공이 완료된 후에 다음 공정으로 넘어가도록 한 것일 수도 있고, 제1 작업대(510)에 대한 가공 준비 완료에 소요되는 시간과 제2 작업대(520)에 대한 유리 가공의 완료에 소요되는 시간이 거의 동일하지만 유리 가공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난 후에 다음 공정으로 넘어가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제어가 될 수 있도록 한 것일 수도 있다.
만약 가공 준비에 걸리는 시간이 유리 가공에 걸리는 시간 보다 더 길다면, 제어부는 제2 작업대(520) 상의 유리 가공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면서 제1 작업대(510) 상의 가공 준비 완료 여부를 판단하여 다음 공정을 진행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다음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테이블 구동부(T2)는 더블 테이블(T1)을 이동시켜(S50) 가공 영역(P)에 제1 작업대(510)가 위치하도록 하면서(S60) 동시에 제2 세팅 영역(R2)에 제2 작업대(520)가 위치하도록 한다(S70).
이때 제2 작업대(520) 상에는 가공 완료된 유리가 놓여있고 그 가공 완료된 유리에는 가공에 따른 찌꺼기, 즉 가공 스크랩이 많이 붙어있게 되는데, 제2 에어나이프(380)가 구동되면서(S55) 제2 작업대(520)가 가공 영역(P)에서 제2 세팅 영역(R2)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2 에어나이프(380)가 분사하는 장막 형태의 분사 에어를 지나면서 상기 가공 스크랩이 상당부분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작업대(510) 상에는 상기한 S32 과정을 통해 피가공 유리가 세팅되어 있다.
제1 작업대(510) 상에 세팅된 피가공 유리에 대해 가공기(300)가 가공을 시작하고(S61), 동시에 제2 이송장치(250)가 제2 작업대(520) 상의 가공 완료된 유리를 언로딩하고(S71), 제2 소스 공급부(200)에 구비되는 각 매거진(230)으로부터 제2 작업대(520) 상의 각 제2 세팅 홀더(522)로 피가공 유리를 이송하여 로딩시키며(S72), 각각의 제2 세팅 홀더(522)에 로딩된 피가공 유리는 제2 위치정렬수단(미도시)에 의해 정렬됨으로써 제2 작업대의 가공 준비가 완료된다(S73).
여기서 제2 이송장치(250)에 의한 로딩/언로딩 과정은 상기한 제1 이송장치(150)에 의한 로딩/언로딩 과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제2 작업대(520)가 제2 세팅 영역(R2)에 위치하게 되면, 각각의 제2 이송암(259)은 아무것도 파지하지 않은 상태로 제2 회전 구동모터(257)에 의해 제2 회전축(258)이 회전함으로써 복수개의 제2 이송암(259)이 대략 90° 정도 회동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수평 구동모터(255)에 의해 구동되고 제2 수평 가이드부(256)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제2 이송 몸체부(254)가 더블 테이블(T1) 쪽으로 수평 이동하여 각각의 제2 이송암(259)이 제2 작업대(520) 상의 각각의 제2 세팅 홀더(522) 위에 위치하도록 이동한다.
그리고 제2 수직 구동모터(253)에 의해 제2 이송 지지부(251)가 하방 이동하면서 제2 구동 지지부(252)에 의해 제2 이송 몸체부(254)가 하방 이동하여 각각의 제2 이송암(259)이 각각의 제2 세팅 홀더(522)에 놓여진 가공 완료된 유리에 도달한다.
각각의 제2 세팅 홀더(522)가 각각의 유리에 대한 고정력을 해제하면서 각각의 제2 이송암(259)이 각각의 유리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수직 구동모터(253) 및 제2 수평 구동모터(255)에 의해 각각의 제2 이송암(259)이 각각의 매거진(230)으로 이동하고 제2 회전 구동모터(257)가 각각의 제2 이송암(259)을 원래 상태로 회전하여 매거진(230) 내부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가공 완료된 유리를 적재한다.
그리고 각각의 제2 이송암(259)은 제2 수직 구동모터(253) 및 제2 수평 구동모터(255)에 의해 각각의 매거진(230)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하여 피가공 유리(G)를 각각 파지하고 상방으로 이동하여 다시 대략 90° 정도 회동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수평 구동모터(255)에 의해 제2 작업대(520)로 이동하여 각각의 제2 세팅 홀더(522) 상에 피가공 유리를 로딩한다.
로딩된 피가공 유리는 제2 위치정렬수단(미도시)에 의해 각각의 피가공 유리의 중심점을 정확하게 맞추도록 함으로써 가공 준비가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제1 작업대(510) 상에서의 유리 가공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여(S62), 만약 유리 가공이 완료되었다면 다음 공정, 즉 상기한 S20 공정 및 그 이후의 공정이 다시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리가공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의해 유리 가공과 피가공 유리의 세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어 가공기가 대기하는 시간을 최대한 감소시키거나 없애도록 하여 유리 가공 공정의 효율을 대폭 증가시키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가공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제1 작업대에서 피가공 유리의 가공이 이루어지면서 제2 작업대에서 가공 완료된 유리의 언로딩 및 피가공 유리의 로딩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관하여 나타내고 있고, 도 13은 제2 작업대에 피가공 유리의 가공이 이루어지면서 제1 작업대에서 가공 완료된 유리의 언로딩 및 피가공 유리의 로딩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관하여 나타내고 있으며, 도 13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유리가공장치의 동작에 대한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유리가공장치는, 더블 테이블(T1)이 이동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더블 테이블(T1) 상의 제1 작업대(510) 및 제2 작업대(520) 중 어느 하나에 대한 가공 공정 및 상기 제1 작업대(510) 및 제2 작업대(520) 중 다른 하나에 대한 피가공 유리의 세팅 공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더블 테이블 장치(500)가 더블 테이블(T1)만 포함하고 테이블 구동부는 포함하지 않는 구성이며, 피가공 유리의 가공 및 세팅을 위해 더블 테이블(T1)이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가공기(300)가 제1 작업대(510)와 제2 작업대(520)를 번갈아가며 이동하도록 구동되는 구성이다.
이하, 도 13에 도시된 플로우차트에 따른 제어방법을 중심으로 도 12 및 도 13에 각각 도시된 도면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유리 가공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S12), 가공기(300)를 직선이동 가이드(390)를 따라 이동시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블 테이블(T1)의 제1 작업대(510)에 위치하도록 한다(S22).
이때 제1 작업대(510) 상에는 피가공 유리가 로딩되어 정렬이 이루어져 가공 준비가 완료된 상태이며, 제1 작업대(510) 상에 세팅된 피가공 유리에 대해 가공기(300)가 가공을 시작한다(S44).
이와 동시에 제2 이송장치(250)가 제2 작업대(520) 상의 가공 완료된 유리를 언로딩하고(S34), 제2 소스 공급부(200)에 구비되는 각 매거진(230)으로부터 제2 작업대(520) 상의 각 제2 세팅 홀더(522)로 피가공 유리(G)를 이송하여 로딩시키며(S35), 각각의 제2 세팅 홀더(522)에 로딩된 피가공 유리는 제2 위치정렬수단(미도시)에 의해 정렬됨으로써 제2 작업대의 가공 준비가 완료된다(S36).
여기서 제2 이송장치(250)에 의한 로딩/언로딩 과정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은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제1 작업대(510) 상에서의 유리 가공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여(S45), 만약 유리 가공이 완료되었다면 다음 공정으로 넘어간다.
다음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가공기(300)는 직선이동 가이드(390)를 따라 이동하여 제2 작업대(520)에 위치하도록 한다(S52).
이때 제2 작업대(520) 상에는 상기 S34 내지 S36 과정을 통해 피가공 유리가 세팅되어 있다.
제2 작업대(520) 상에 세팅된 피가공 유리에 대해 가공기(300)가 가공을 시작하고(S64), 동시에 제1 이송장치(150)가 제1 작업대(510) 상의 가공 완료된 유리를 언로딩하고(S74), 제1 소스 공급부(100)에 구비되는 각 매거진(130)으로부터 제1 작업대(510) 상의 각 제1 세팅 홀더(512)로 피가공 유리를 이송하여 로딩시키며(S75), 각각의 제1 세팅 홀더(512)에 로딩된 피가공 유리는 제1 위치정렬수단(미도시)에 의해 정렬됨으로써 제1 작업대의 가공 준비가 완료된다(S76).
여기서 제1 이송장치(150)에 의한 로딩/언로딩 과정은 상기한 제2 이송장치(250)에 의한 로딩/언로딩 과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한편, 제2 작업대(520) 상에서의 유리 가공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여(S65), 만약 유리 가공이 완료되었다면 다음 공정, 즉 상기한 S22 공정 및 그 이후의 공정이 다시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리가공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의해 유리 가공과 피가공 유리의 세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어 가공기가 대기하는 시간을 최대한 감소시키거나 없애도록 하여 유리 가공 공정의 효율을 대폭 증가시키도록 할 수 있다.
100:제1 소스 공급부, 130, 230:매거진
150:제1 이송장치, 190:제1 거리조절장치
200:제2 소스 공급부, 250:제2 이송장치
290:제2 거리조절장치, 300:가공기
500:더블 테이블 장치, T1:더블 테이블
T2:테이블 구동부, 510:제1 작업대
520:제2 작업대

Claims (16)

  1. 세팅된 피가공 유리를 가공하는 가공기;
    상기 가공기의 일측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피가공 유리를 적재하는 복수개의 매거진이 장착되는 제1 소스 공급부;
    상기 가공기의 타측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피가공 유리를 적재하는 복수개의 매거진이 장착되는 제2 소스 공급부;
    상기 제1 소스 공급부와 제2 소스 공급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소스 공급부로부터 피가공 유리가 이송되어 세팅되는 제1 작업대 및 상기 제2 소스 공급부로부터 피가공 유리가 이송되어 세팅되는 제2 작업대를 분할하여 구비하는 더블 테이블과, 상기 더블 테이블이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테이블 구동부를 포함하는 더블 테이블 장치; 및
    상기 제1 작업대 및 제2 작업대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피가공 유리의 세팅 및 상기 제1 작업대 및 제2 작업대 중 다른 하나에 대한 피가공 유리의 가공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더블 테이블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유리가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작업대에 대해 상기 가공기가 가공을 하는 동시에 상기 제2 소스 공급부로부터 상기 제2 작업대에 피가공 유리가 세팅될 수 있는 위치로 상기 더블 테이블이 이동하도록 상기 테이블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작업대에 대해 상기 가공기가 가공을 하는 동시에 상기 제1 소스 공급부로부터 상기 제1 작업대에 피가공 유리가 세팅될 수 있는 위치로 상기 더블 테이블이 이동하도록 상기 테이블 구동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가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스 공급부의 각 매거진에 적재된 피가공 유리를 상기 제1 작업대로 이송하거나 상기 제1 작업대 상의 가공된 유리를 상기 각 매거진에 복귀시키도록 이송하는 제1 이송장치와,
    상기 제2 소스 공급부의 각 매거진에 적재된 피가공 유리를 상기 제2 작업대로 이송하거나 상기 제2 작업대 상의 가공된 유리를 상기 각 매거진에 복귀시키도록 이송하는 제2 이송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가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스 공급부 및 제2 소스 공급부 사이는, 상기 제1 소스 공급부로부터 피가공 유리의 세팅이 이루어지는 제1 세팅 영역과, 상기 가공기에 의해 세팅된 피가공 유리에 대한 가공이 이루어지는 가공 영역과, 상기 제2 소스 공급부로부터 피가공 유리의 세팅이 이루어지는 제2 세팅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테이블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더블 테이블을 이동시켜, 상기 제1 작업대가 상기 제1 세팅 영역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작업대가 상기 가공 영역에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제2 작업대에서 가공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1 작업대가 상기 가공 영역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작업대가 상기 제2 세팅 영역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가공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업대는,
    각각 하나의 피가공 유리를 고정하며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 세팅 홀더와, 상기 각각의 제1 세팅 홀더에 놓인 피가공 유리의 중심 위치를 정렬하도록 하는 제1 위치정렬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작업대는,
    각각 하나의 피가공 유리를 고정하며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 세팅 홀더와, 상기 각각의 제2 세팅 홀더에 놓인 피가공 유리의 중심 위치를 정렬하도록 하는 제2 위치정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가공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업대에 대한 가공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 더블 테이블이 구동되어 상기 제1 작업대가 상기 가공영역에서 상기 제1 세팅영역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 작업대 상에 에어를 분사하는 제1 에어나이프와,
    상기 제2 작업대에 대한 가공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 더블 테이블이 구동되어 상기 제2 작업대가 상기 가공영역에서 상기 제2 세팅영역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2 작업대 상에 에어를 분사하는 제2 에어나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가공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어나이프는,
    상기 가공기에 장착되어 피가공 유리를 가공하기 위한 공구를 수납하는 공구 홀더를 구비하는 제1 나이프 몸체부와, 내부로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장막 형태로 분사하는 제1 에어분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에어나이프는,
    상기 제1 나이프 몸체부의 공고 홀더에 수납되는 공구와 다른 종류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공구를 수납하는 공구 홀더를 구비하는 제2 나이프 몸체부와, 내부로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장막 형태로 분사하는 제2 에어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가공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기는,
    상기 복수개의 제1 세팅 홀더 또는 상기 복수개의 제2 세팅 홀더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개의 제1 세팅 홀더 또는 복수개의 제2 세팅 홀더의 피가공 유리를 각각 동시에 가공하기 위한 복수개의 주축장치 및 상기 각 주축장치에 장착되는 공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가공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주축장치에 각각 장착되어 서로 다른 종류의 가공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서로 다른 종류의 공구를 각각 홀딩하여, 가공 과정에서 상기 주축장치에 대한 공구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개의 공구 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가공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스 공급부는,
    상기 제1 작업대 상의 복수개의 제1 세팅 홀더 각각에 대응되도록 상기 매거진이 복수개 구비하며,
    상기 제2 소스 공급부는,
    상기 제2 작업대 상의 복수개의 제2 세팅 홀더 각각에 대응되도록 상기 매거진이 복수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가공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장치는,
    상기 제1 소스 공급부의 각 매거진에 적재된 피가공 유리를 각각 파지하여 상기 제1 작업대의 각 제1 세팅 홀더에 각각 놓이도록 하며 상기 복수개의 제1 세팅 홀더 각각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복수개의 제1 이송암과, 상기 복수개의 제1 이송암이 각각 피가공 유리를 파지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이송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이송장치는,
    상기 제2 소스 공급부의 각 매거진에 적재된 피가공 유리를 각각 파지하여 상기 제2 작업대의 각 제2 세팅 홀더에 각각 놓이도록 하며 상기 복수개의 제2 세팅 홀더 각각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복수개의 제2 이송암과, 상기 복수개의 제2 이송암이 각각 피가공 유리를 파지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이송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가공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스 공급부와 상기 더블 테이블 장치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제1 거리조절장치와,
    상기 제2 소스 공급부와 상기 더블 테이블 장치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제2 거리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가공장치.
  13. 세팅된 피가공 유리를 가공하기 위한 복수개의 주축장치를 가진 가공기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가공기 몸체가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가공기;
    상기 가공기의 일측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피가공 유리를 적재하는 복수개의 매거진이 장착되는 제1 소스 공급부;
    상기 가공기의 타측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피가공 유리를 적재하는 복수개의 매거진이 장착되는 제2 소스 공급부;
    상기 제1 소스 공급부와 제2 소스 공급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소스 공급부로부터 피가공 유리가 이송되어 세팅되는 제1 작업대 및 상기 제2 소스 공급부로부터 피가공 유리가 이송되어 세팅되는 제2 작업대를 분할하여 구비하는 더블 테이블; 및
    상기 제1 작업대 및 제2 작업대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피가공 유리의 세팅 및 상기 제1 작업대 및 제2 작업대 중 다른 하나에 대한 피가공 유리의 가공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가공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유리가공장치.
  14. 세팅된 피가공 유리를 가공하는 가공기와, 상기 가공기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소스 공급부와, 상기 가공기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 소스 공급부와, 제1 작업대 및 제2 작업대를 분할하여 구비하는 더블 테이블을 구비하는 유리가공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작업대가 상기 가공기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작업대가 상기 제2 소스 공급부에 근접하여 위치하도록 상기 더블 테이블을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작업대에 세팅된 피가공 유리가 상기 가공기에 의해 가공됨과 동시에 상기 제2 작업대로부터 상기 제2 소스 공급부로 가공된 유리를 언로딩 시키고 상기 제2 소스 공급부로부터 상기 제2 작업대에 피가공 유리가 이송되어 세팅되는 단계;
    상기 제1 작업대에 대한 상기 가공기의 가공 작업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작업대에 대한 상기 가공기의 가공 작업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1 작업대가 상기 제1 소스 공급부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2 작업대가 상기 가공기에 위치하도록 상기 더블 테이블을 구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작업대에 세팅된 피가공 유리가 상기 가공기에 의해 가공됨과 동시에 상기 제1 작업대로부터 상기 제1 소스 공급부로 가공된 유리를 언로딩 시키고 상기 제1 소스 공급부로부터 상기 제1 작업대에 피가공 유리가 이송되어 세팅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리가공장치의 제어방법.
  15. 세팅된 피가공 유리를 가공하는 가공기와, 상기 가공기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소스 공급부와, 상기 가공기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 소스 공급부와, 제1 작업대 및 제2 작업대를 분할하여 구비하는 더블 테이블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소스 공급부 및 제2 소스 공급부 사이는 상기 제1 소스 공급부로부터 피가공 유리의 세팅이 이루어지는 제1 세팅 영역과, 상기 가공기에 의해 세팅된 피가공 유리에 대한 가공이 이루어지는 가공 영역과, 상기 제2 소스 공급부로부터 피가공 유리의 세팅이 이루어지는 제2 세팅 영역으로 구분되는 유리가공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더블 테이블을 이동시켜 상기 제1 작업대가 상기 제1 세팅 영역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작업대가 상기 가공 영역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가공기에 의해 상기 제2 작업대에 세팅된 피가공 유리의 가공 작업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작업대에 세팅된 피가공 유리의 가공 작업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1 작업대가 상기 가공 영역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작업대가 상기 제2 세팅 영역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리가공장치의 제어방법.
  16.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세팅된 피가공 유리를 가공하는 가공기와, 상기 가공기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소스 공급부와, 상기 가공기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 소스 공급부와, 제1 작업대 및 제2 작업대를 분할하여 구비하는 더블 테이블을 구비하는 유리가공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공기를 상기 제1 작업대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작업대에 세팅된 피가공 유리가 상기 가공기에 의해 가공됨과 동시에 상기 제2 작업대로부터 상기 제2 소스 공급부로 가공된 유리를 언로딩 시키고 상기 제2 소스 공급부로부터 상기 제2 작업대에 피가공 유리가 이송되어 세팅되는 단계;
    상기 제1 작업대에 대한 상기 가공기의 가공 작업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작업대에 대한 상기 가공기의 가공 작업이 완료된 경우, 상기 가공기가 상기 제2 작업대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공기를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작업대에 세팅된 피가공 유리가 상기 가공기에 의해 가공됨과 동시에 상기 제1 작업대로부터 상기 제1 소스 공급부로 가공된 유리를 언로딩 시키고 상기 제1 소스 공급부로부터 상기 제1 작업대에 피가공 유리가 이송되어 세팅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리가공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10147009A 2011-12-30 2011-12-30 유리가공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97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009A KR101297125B1 (ko) 2011-12-30 2011-12-30 유리가공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009A KR101297125B1 (ko) 2011-12-30 2011-12-30 유리가공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8200A true KR20130078200A (ko) 2013-07-10
KR101297125B1 KR101297125B1 (ko) 2013-08-21

Family

ID=48991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7009A KR101297125B1 (ko) 2011-12-30 2011-12-30 유리가공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712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618B1 (ko) * 2014-03-20 2014-08-27 주식회사 엘피케이 베큠수단이 구비된 수치제어 가공기용 피가공물 공급장치 및 그 공급방법
KR20160027896A (ko) * 2014-08-29 2016-03-10 주식회사 태성기연 판유리 가공시스템
KR101869401B1 (ko) * 2018-01-04 2018-07-20 홍성신 초정밀 선반의 공작물 자동 교환장치
CN108382113A (zh) * 2018-04-26 2018-08-10 环昱自动化(深圳)有限公司 一种精雕机高效上下料装置
CN109264395A (zh) * 2018-10-31 2019-01-25 苏州市台群机械有限公司 玻璃工件生产线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2271B1 (ko) * 1980-11-07 1983-10-21 후지쓰 패낵크 가부시끼 가이샤 로봇 장치를 구비한 기계가공 센타
KR20080106680A (ko) * 2007-06-04 2008-12-09 (주)성현 테크놀로지 유리가공장치 및 유리가공방법
KR101501775B1 (ko) * 2008-12-04 2015-03-1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공작기계의 공작물 자동 로딩 및 언로딩 장치
KR101138722B1 (ko) 2011-08-09 2012-04-20 주식회사 글라소닉 다축분할자동박판유리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강화유리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618B1 (ko) * 2014-03-20 2014-08-27 주식회사 엘피케이 베큠수단이 구비된 수치제어 가공기용 피가공물 공급장치 및 그 공급방법
KR20160027896A (ko) * 2014-08-29 2016-03-10 주식회사 태성기연 판유리 가공시스템
KR101869401B1 (ko) * 2018-01-04 2018-07-20 홍성신 초정밀 선반의 공작물 자동 교환장치
CN108382113A (zh) * 2018-04-26 2018-08-10 环昱自动化(深圳)有限公司 一种精雕机高效上下料装置
CN109264395A (zh) * 2018-10-31 2019-01-25 苏州市台群机械有限公司 玻璃工件生产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7125B1 (ko) 201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7125B1 (ko) 유리가공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405690B1 (ko) 절삭 장치
CN102431366B (zh) 一种自动上下料的精雕机
CN107655897B (zh) 一种产品内观自动检测装置
TW201317084A (zh) 去毛刺機
KR100932110B1 (ko) 디스플레이용 박판유리 블록의 연마가공을 위한 자동화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402403B1 (ko) 절삭 장치
CN107030902B (zh) 切削装置
CN101417345A (zh) 一种用于倒立式数控车床的自动上下料及传输装置
KR101873664B1 (ko) 워크 반전 지원 장치 및 이 장치를 구비한 로봇 셀
JP2011212767A (ja) 加工システムにおけるワーク搬入出装置及びその方法
CN203076142U (zh) 自动滴胶装置
KR20160004726A (ko) 글라스 가공 장치
TWM536998U (zh) 工件取放裝置
CN112775798B (zh) 加工装置和板状工件的搬入搬出方法
JP2008183695A (ja) 部品組立装置
JPH0288109A (ja) 板材の穿孔装置
US10766073B2 (en)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component mounting method
CN108568693B (zh) 输送***
US10668584B2 (en) Component mounting method
JP2017007060A (ja) マシニングセンタ
JP7079170B2 (ja) 研削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研削方法
CN114425727B (zh) 一种直线导轨自动换向批量倒角设备及其加工方法
CN218909055U (zh) 玻璃加工装置
CN111628387B (zh) 一种卡托弹件装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