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3923A - 전원 공급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공급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3923A
KR20130043923A KR1020110108115A KR20110108115A KR20130043923A KR 20130043923 A KR20130043923 A KR 20130043923A KR 1020110108115 A KR1020110108115 A KR 1020110108115A KR 20110108115 A KR20110108115 A KR 20110108115A KR 20130043923 A KR20130043923 A KR 20130043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pacitor
voltage
power supply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8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5602B1 (ko
Inventor
김진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8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5602B1/ko
Priority to EP12189116.2A priority patent/EP2584687B1/en
Priority to US13/655,615 priority patent/US9152889B2/en
Priority to CN201210597242.4A priority patent/CN103124144B/zh
Publication of KR20130043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3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5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5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electronic equip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02M1/322Means for rapidly discharging a capacitor of the converter for protecting electrical components or for preventing electrical sh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c-Dc Converter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공급되는 전원에 대응되는 소정 전압을 충전하는 제1 커패시터 부, 상기 전원의 온 또는 오프 상태를 검출하는 전원 상태 검출부, 상기 전원의 상태에 따라서 달라지는 신호 레벨을 가지며 상기 제1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시키도록 제어하는 제1 방전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1 커패시터와 병렬 연결되며, 상기 제1 방전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시키는 방전부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방전 위험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전원 공급 장치가 기재된다.

Description

전원 공급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Apparatus for power supplying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원 발명은 스위칭 모드 동작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원 발명은 이용 안전성 및 제품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전원 공급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를 동작시키려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power supplier)가 필요하다. 최근에는 펄스 폭 변조된(pulse-width modulated) 신호를 사용하여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안정적인 직류 출력전압을 제공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장치(Switch Mode Power Supply; 이하 'SMPS'라 한다)가 전자 제품에 사용되고 있다.
SMPS는 전력용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등 반도체 소자를 스위치로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를 이용하여,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값을 갖는 직류 출력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SMPS는 반도체 소자의 스위칭을 제어함으로써, 종래의 선형(linear) 전원 공급기에 비하여 전력 변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원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전원 공급 장치(100)를 참조하면, 전원(V1)(110)을 통해 공급되는 소정 전압을 이용하여 커패시터(125)가 충전된다.
커패시터(125)에 직류(DC) 성분의 소정 전압이 충전(charging)됨에 따라서, 제1 노드(N1)에서 제2 노드(N2) 사이에 소정 전압이 걸리게 된다. 이하에서는, 커패시터(125)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을 Vc 라 한다. 또한, 제1 인덕터(131)의 양단에도 Vc 전압이 걸리게 된다.
제1 인덕터(131) 및 제2 인덕터(133)를 포함하는 변압기는 스위칭 소자(132)가 턴 온되는 경우, 제1 인덕터(131) 양단의 전압을 제2 인덕터(133)로 변압하여 전달한다. 변압비는 제1 인덕터(131)와 제2 인덕터(133)의 권선비(turn ratio)에 따라서 달라진다.
제1 제어부(140)는 스위칭 소자(132)의 턴 온 또는 턴 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도 1에서는 스위칭 소자(132)로 모스 트랜지스터가 이용되며, 모스 트랜지스터(132)의 게이트 단자인 제3 노드(N3)로 스위칭 제어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스위칭 제어 신호가 스위칭 소자(132)를 턴 온 시키면, 제1 인덕터(131)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제2 인덕터(133)로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고 그에 따라서 제2 인덕터(132)의 양단에 소정 전압이 걸리게 된다. 또한, 제2 인덕터(132)에 흐르는 전류는 다이오드(151)를 통과하여 정류되며, 출력단인 제4 노드(N4)로 공급된다. 또한, 출력단(N4)에는 소정 값을 갖는 부하(160)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에너지 관련 국제 규격에서는 전원 공급기를 포함하는 전자 제품의 대기 전력이 0.5W 이하가 되도록 제한하고 있다. 그에 따라서, SMPS의 제조사들은 SMPS 내의 방전 저항, 더미 로드(dummy load) 등과 같이 전력을 소비하는 소자들의 전력 소비량을 최소화시키고 있다.
그러나, SMPS 내의 방전 저항, 더미 로드(dummy load) 등의 부하들을 최소화시킬 경우, 커패시터(125)의 방전 시간이 길어져서 재 부팅(rebooting) 오류(error)가 발생할 수 있으며, SMPS의 전원을 끄더라도 커패시터(125)에 남아있는 전압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감전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여기서, 방전 시간이란 커패시터(125)로 인가되는 전원의 공급을 차단한 시점부터, 커패시터(125)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이 소정 전압 이하로 낮아지는데 걸리는 시간을 뜻한다.
예를 들어, SMPS의 수리 등을 위하여 전원(110)을 차단하더라도, 커패시터(125)에 전압이 남아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커패시터(125) 등에 접촉할 경우, 감전으로 인한 화상 입거나 전기적 충격(electrical shock)을 입을 수 있다.
따라서, 소비 전력을 최소화하면서도 전술한 방전 등의 위험성을 제거할 수 있는 SMPS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원 발명은 사용자의 방전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원 공급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전원의 오프 시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의 방전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원 공급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는 공급되는 전원에 대응되는 소정 전압을 충전하는 제1 커패시터 부, 상기 전원의 온 또는 오프 상태를 검출하는 전원 상태 검출부, 상기 전원의 상태에 따라서 달라지는 신호 레벨을 가지며 상기 제1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시키도록 제어하는 제1 방전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1 커패시터와 병렬 연결되며, 상기 제1 방전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시키는 방전부를 포함한다.
상기 방전부는 상기 제1 커패시터와 병렬 연결되며, 상기 제1 방전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는 제1 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전원의 상태가 턴 오프 상태이면, 상기 제1 스위칭 소자를 턴 온 시키는 상기 제1 방전 제어 신호를 상기 방전부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전부는 일단이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일단과 연결되는 방전 저항, 및 일단 및 다른 일단이 각각 상기 방전 저항의 다른 일단 및 상기 제1 커패시터의 다른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1 방전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는 상기 제1 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상태 검출부는 저항-커패시턴스 시정수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전원의 온 또는 오프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부는 교류 전압을 공급하는 상기 전원, 상기 전원과 병렬 연결되며, 상기 교류 전압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간섭(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성분을 필터링하는 EMI 필터부, 및 상기 EMI 필터부를 통하여 필터링 된 상기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 정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EMI 필터부는 상기 전원과 병렬 연결되는 EMI 커패시터, 및 상기 EMI 커패시터와 병렬 연결되는 EMI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EMI 필터부는 상기 전원과 병렬 연결되는 EMI 커패시터, 일단이 상기 EMI 커패시터의 일단과 연결되는 EMI 저항, 및 일단 및 다른 일단이 각각 상기 EMI 저항의 다른 일단 및 상기 EMI 커패시터의 다른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는 EMI 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전원의 상태가 오프 상태이면, 상기 EMI 스위칭 소자를 턴 온 시키는 제2 방전 제어 신호를 상기 EMI 필터부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제1 커패시터와 병렬 연결되며, 상기 스위칭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수행되는 스위칭 변압 동작에 의해서, 상기 제1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을 변압하는 스위칭 변압부, 및 상기 스위칭 변압부에서 변압된 전압인 출력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출력단과 연결되며, 상기 출력단에서 실제 출력되는 출력 전압과 상기 출력단에서 출력되어야 할 목표 전압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스위칭 구동 신호를 조절하기 위한 피드백 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드백 루프는 상기 출력단과 연결되며, 상기 출력 전압과 상기 목표 전압을 비교하는 전압 비교부, 상기 출력 전압과 상기 목표 전압의 차이 값에 대응되는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포토 커플러, 및 상기 피드백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 전압이 상기 목표 전압에 수렴하도록 상기 스위칭 구동 신호를 조절하는 피드백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는 일단이 상기 출력단과 연결되는 제1 출력 부하, 일단 및 다른 일단이 각각 상기 제1 출력 부하의 다른 일단 및 접지와 연결되는 제3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1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전원의 상태 정보를 전송받으며, 상기 전원의 상태가 오프 상태이면, 상기 제1 출력 부하가 상기 접지와 연결되도록 상기 제3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거나, 상기 제1 출력 부하의 전력 소비량이 증가하도록 제어하는 것 특징으로 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전원의 상태 정보를 전송받으며, 상기 전원의 상태가 오프 상태이면, 상기 출력 전압을 공급받는 2차 측 시스템을 백업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칭 변압부는 1차 코일 부 및 2차 코일 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차 코일 부는 일단이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1 인덕터, 및 일단 및 다른 일단이 각각 상기 제1 인덕터의 다른 일단 및 상기 제1 커패시터의 다른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스위칭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는 제2 스위칭 소자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2차 코일 부는 상기 1차 코일 부로부터 소정 전력을 전달받는 제2 인덕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데이터가 인쇄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화상 데이터를 인쇄하는 인쇄부, 및 상기 프로세서 및 인쇄부를 포함하는 각 구성으로 소정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공급되는 전원에 대응되는 소정 전압을 충전하는 제1 커패시터 부, 상기 전원의 온 또는 오프 상태를 검출하는 전원 상태 검출부, 상기 전원의 상태에 따라서 달라지는 신호 레벨을 가지며 상기 제1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시키도록 제어하는 제1 방전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1 커패시터와 병렬 연결되며, 상기 제1 방전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시키는 방전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사용자로부터 소정 데이터 또는 명령을 입력받는 인터페이스 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에서 수신되는 상기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원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전원 공급 장치의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전원 공급 장치 내에서 생성되는 신호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전원 공급 장치를 상세히 나타내는 일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전원 공급 장치를 상세히 나타내는 다른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전원 공급 장치를 상세히 나타내는 다른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전원 공급 장치를 상세히 나타내는 다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로, 전원 공급 장치(200)는 제1 커패시터(217), 전원 상태 검출부(220), 제1 제어부(229) 및 방전부(2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200)는 스위칭 변압부(240), 및 출력단(N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210) 및 출력 부하단(281)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커패시터(217)는 소정 전압을 충전하여 스위칭 변압부(240)로 소정 전압을 공급한다.
전원부(210)는 전원 공급 장치(200)로 전원(power)을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전원부(210)는 전원(216) 및 제1 정류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216)은 전원 공급 장치(200)와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원부(210)는 제1 정류부(215)만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전원부(210)가 전원(216) 및 제1 정류부(215)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전원(216)이 전원 공급 장치(200)의 전원부(210)와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경우, 전원(216)과 전원부(210)는 접속 소자, 예를 들어, 컨센트,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전원(216)은 교류 전압을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전원 콘센트를 통하여 공급되는 100 Vac 내지 240 Vac 의 전원 전압을 전원 공급 장치(20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216)은 전원 코드(power cord)의 실/ 탈장 또는 전원 스위치(power switch)의 온 또는 오프(On/Off)에 의하여 영 전원 소스(zero power source)로 동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원(216)이 영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를 전원이 턴 오프(turn off) 되었다고 하고, 전원(216)이 소정 전압을 갖는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를 전원이 턴 온(turn on) 되었다고 한다.
제1 정류부(215)는 전원(216)에서 공급되는 교류 전압을 정류하여 직류 전압으로 변환한다. 구체적으로, 전원(216)에서 공급되는 AC(Alternating Current) 전압 값에서 음극성의 전압을 제거 또는 변환하여 DC(Direct Current) 전압 값으로 변환한다. 따라서, 제1 정류부(215)를 통과하여 출력되는 전압은 양극성의 DC 성분 전압이 될 수 있다.
제1 커패시터(217)는 전원부(210)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대응되는 소정 전압을 충전한다. 구체적으로, 제1 커패시터(217)는 제1 정류부(215)의 일 출력단인 제1 노드(N1)와 다른 출력단인 제2 노드(N2)의 사이에 연결된다.
전원 상태 검출부(220)는 전원(216)의 온 또는 오프 상태를 검출한다. 또한, 검출된 정보를 제1 제어부(229)로 전송한다.
제1 제어부(229)는 전원 상태 검출부(220)에서 검출된 전원(216)의 온 또는 오프 상태에 따라서 달라지는 제1 방전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방전부(23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1 제어부(229)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229)는 스위칭 변압부(240)에서 수행되는 스위칭 변압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칭 변압부(240)로 전송한다.
스위칭 변압부(240)는 제1 커패시터(217)와 병렬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스위칭 변압부(240)는 제1 제어부(229)에서 전송되는 스위칭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 변압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스위칭 변압부(240)는 스위칭 변압 동작에 의해서, 제1 커패시터(217)에 충전된 전압을 변압하여 출력단인 제5 노드(N5)로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스위칭 변압부(240)는 변압 동작을 수행하는 1차 코일 부 및 2차 코일부를 포함한다.
또한, 1차 코일 부는 제1 인덕터(241) 및 스위칭 변압 동작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2 스위칭 소자(SW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2차 코일 부는 제1 인덕터(241)에서 전달되는 전압을 소정 권선비에 따라서 변압하는 제2 인덕터(242)를 포함한다. 또한, 2차 코일 부는 제2 인덕터(242)에서 출력되는 전류를 정류하는 다이오드(2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인덕터(241)의 코일 수가 N1 이고 제2 인덕터(242)의 코일 수가 N2 인 경우, 권선 비율은 N1/N2 가 된다. 제1 인덕터(241)의 양단 전압이 V1 일 경우, 제2 인덕터(242)의 양단 전압인 V2=(N2/N1)*V1 이 된다. 따라서, 권선 비율을 조절하면, 출력단(N5)의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인 연결 관계를 보면, 제1 인덕터(241)는 일단이 제1 커패시터(217)의 일단인 제1 노드(N1)와 연결된다.
제2 스위칭 소자(SW2)는 일단 및 다른 일단이 각각 제1 인덕터(241)의 다른 일단 및 제1 커패시터(217)의 다른 일단인 제2 노드(N2)와 연결되며, 스위칭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턴 온 또는 턴 오프된다.
본원에서 이용되는 스위칭 소자, 예를 들어, 제1 스위칭 소자(SW1) 및 제2 스위칭 소자(SW2)는 반도체 스위치 소자인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 모스 트랜지스터,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도 2에서는 스위칭 소자로 모스 트랜지스터가 이용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이하에서는, 제2 스위칭 소자(SW2)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N형 모드 트랜지스터일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 제어부(229)는 스위칭 변압부(240)가 스위칭 변압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경우, 스위칭 제어 신호를 논리 하이 레벨로 출력한다. 그리고, 스위칭 변압부(240)가 스위칭 변압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경우, 스위칭 제어 신호를 논리 로우 레벨로 출력한다.
스위칭 제어 신호가 논리 하이 레벨로 스위칭 소자(SW2)의 게이트 단자인 제4 노드(N4)로 입력된 경우, 제1 인덕터(241)에는 제1 커패시터(217)의 양단의 전압 차이에 의하여 발생한 전류가 흐른다. 그에 따라서, 제2 인덕터(242)에 유도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고 제2 인덕터(242)의 양단에 소정 전압이 걸리게 된다.
스위칭 제어 신호가 논리 로우 레벨로 스위칭 소자(SW2)의 게이트 단자인 제4 노드(N4)로 입력된 경우, 제1 인덕터(241)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며 그에 따라 스위칭 변압부(240)는 스위칭 변압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방전부(230)는 제1 커패시터(217)와 병렬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1 커패시터(217)의 양단인 제1 노드(N1)와 제2 노드(N2) 사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방전부(230)는 제1 커패시터(217)에 충전된 전압이 방전되도록 제어하는 제1 방전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커패시터(217)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시킨다.
구체적으로, 방전부(230)는 제1 커패시터(217)와 병렬 연결되며, 제1 제어부(229)에서 전송되는 제1 방전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는 제1 스위칭 소자(SW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전부(230)는 제1 스위칭 소자(SW1)와 직렬 연결되는 방전 저항(2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1 커패시터(217)의 일단인 제1 노드(N1)에 방전 저항(231)의 일단이 연결되고, 방전 저항(231)의 다른 일단에 제1 스위칭 소자(SW1)의 일단이 연결되며, 제1 스위칭 소자(SW1)의 다른 일단이 제1 커패시터(217)의 다른 일단인 제2 노드(N2)에 연결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또한, 제1 스위칭 소자(SW1)가 N형 모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며, 제1 스위칭 소자(SW1)의 게이트 단자인 제3 노드(N3)로 방전 제어 신호가 입력된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229)는 전원(216)이 턴 오프 상태이면, 제1 스위칭 소자(SW1)를 턴 온시키는 제1 방전 제어 신호를 방전부(23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1 제어부(229)는 전원(216)이 턴 온 상태이면, 제1 스위칭 소자(SW1)를 턴 오프 시키는 제1 방전 제어 신호를 방전부(230)로 전송한다.
방전부(230) 및 스위칭 변압부(240)의 상세 동작은 이하에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출력단인 제5 노드(N5)는 스위칭 변압부(240)에서 변압된 전압인 출력 전압을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제5 노드(N5)는 전자 제품에 있어서 전원을 소비하는 시스템 부하단(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으며, 시스템 부하단으로 소정 값을 가지는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출력단에는 출력되는 전류량을 조절하거나 크로스 출력 레귤레이션(cross output regulation)을 보정하기 위한 출력 부하단(281)이 추가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부하단(281)은 더미 저항(dummy resistor)(281)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2에서는 출력 부하단(281)이 더미 저항(281)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더미 저항(281)은 출력단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크로스 출력 레귤레이션(cross output regulation)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전원 공급 장치의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원 공급 장치의 동작 모드는 크게 소정 전원을 계속적으로 출력단(N5)으로 공급하는 일반 모드와 최소한의 전원만을 출력단(N5)으로 공급하는 스킵 모드(skip mode)로 나눌 수 있다.
도 3의 (a)는 일반 모드에서 제1 제어부(229)가 출력하는 스위칭 구동 신호를 나타낸다.
전술한 일반 모드는 더미 저항(281)이 낮은 저항값을 가지는 중 부하가 될 수 있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일반 모드에서는, 스위칭 구동 신호(301)의 논리 하이 레벨이 길게 설정되며, 주기가 큰 펄스 파형으로 생성된다.
스위칭 구동 신호(301)가 논리 하이 레벨로 출력되는 0 내지 t1 시간 구간, 및 t2 내지 t3 시간 구간에서는 스위칭 변압부(240)는 스위칭 변압 동작을 수행한다. 그에 따라서, 0 내지 t1 시간 구간, 및 t2 내지 t3 시간 구간 동안 소정 전원이 제1 인턱터(241)에서 제2 인덕터(242)로 전달된다.
도 2의 (b)는 스킵 모드에서 제1 제어부(229)가 출력하는 스위칭 구동 신호를 나타낸다.
전술한 스킵 모드는 출력단(N5)과 연결되는 시스템 부하단(미도시)의 소비 전력이 최소가 되는 대기 모드(stanby mode)를 뜻하며, 버스트 컨트롤 모드(bust control mode)라 하기도 한다. 또한, 스킵 모드에서는 더미 저항(281)이 높은 저항 또는 무한대 저항값을 가지는 경 부하가 될 수 있다.
스킵 모드에서는, 스위칭 구동 신호(311)의 논리 하이 레벨이 짧게 설정되며, 주기가 짧은 펄스 파형으로 생성된다.
스위칭 구동 신호(311)가 논리 하이 레벨로 출력되는 시간이 t11 내지 t12 시간 구간과 같이, 일반 모드에서의 논리 하이 레벨로 출력되는 시간 구간(예를 들어, t2 내지 t3)에 비하여 매우 짧다. 또한, 스킵 모드에서는 스위칭 구동 신호(311)가 논리 하이 레벨로 출력되는 구간에 비하여 논리 로우 레벨로 출력되는 구간이 매우 크다.
그에 따라서, 스킵 모드에서는, 제1 인턱터(241)에서 제2 인덕터(242)로 전달되는 전원의 양이 일반 모드에 비하여 매우 작으며, 소정 규격에 요구하는 낮은 대기 전력을 만족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전원 공급 장치 내에서 생성되는 신호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전원(216)에서 공급되는 교류 전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x 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y 축은 전압을 나타낸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교류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216)의 경우, 양극성을 가지는 사인파 전압과 음극성을 가지는 사인파 전압이 교대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t11 내지 t12 시간 구간에서는 양극성의 전압이 출력되고, t12 내지 t13 시간 구간에서는 음극성의 전압이 출력된다.
도 4의(b)는 제1 정류부(215)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x 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y 축은 전압을 나타낸다.
제1 정류부(215)가 브릿지 정류기(bridge rectifier)(미도시)를 포함하는 경우, 제1 정류부(215)는 음극성의 전원 전압을 양극성의 전원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11 내지 t12 구간에서, 음극성을 가지는 전원(216)의 공급 전압을 양극성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도 4의 (c)는 제1 커패시터(217)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을 나타낸다. x 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y 축은 전압을 나타낸다.
도 4의 (b)에 도시된 정류된 전압을 이용하여, 제1 커패시터(217)는 충전(charging) 동작을 수행한다. 그에 따라서, 제1 커패시터(217)의 양단 전압은 계속적으로 증가하며, 일정 시점에서 포화되어 DC 전압 형태를 가진다. 도 4의 (c) 에서는 제1 커패시터(217)의 충전 전압이 최대 V1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t14 시점은 전원(216)이 턴 오프되는 시점으로, t14 시점부터 제1 커패시터(217)가 방전되기 시작한다.
410 그래프는 본원의 전원 공급 장치(200)에서 제1 커패시터(217)의 양단 전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420 그래프는 일반적인 전원 공급 장치, 예를 들어, 전원 공급 장치(100),에서 제1 커패시터(125)의 양단 전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전원 상태 검출부(220)는 전원(216)이 턴 오프되면 전원(216)의 턴 오프 감지하여, 제1 제어부(229)로 상기 턴 오프 정보를 전달한다. 그러면, 제1 제어부(229)는 제1 스위칭 소자(SW1)를 턴 온 시키는 방전 제어 신호를 방전부(230)로 출력한다. 그에 따라서, 제1 스위칭 소자(SW1)가 턴 온 되어, 제1 노드(N1)와 제2 노드(N2)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스위칭 소자(SW1)로 전류가 흐르기 시작한다. 제1 스위칭 소자(SW1)를 관통하여 흐르는 전류는 제1 커패시터(217)에 충전된 전압을 빠르게 방전시킨다.
도 4의 (c)의 410 그래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200)에서는 전원(216)이 턴 오프되는 t14 시점에서 제1 스위칭 소자(SW1)를 턴 온시킴으로써, 제1 커패시터(217)에 충전된 전압을 빠르게 방전시킬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일반적인 전원 공급 장치(100)는 전원(110)이 턴 오프 되더라도, 제1 커패시터(125)에 충전된 전압이 방전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린다.
도 4의 (c)에 있어서, V2 전압은 사용자의 감전 가능성이 없는 최대 전압이 된다. 따라서,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이 V2 이상일 때, 사용자가 커패시터를 접촉하면 감전으로 인한 화상 또는 전기적 충격의 위험이 있다.
예를 들어, 전원(216)이 턴 오프되었을 때, 본원의 제1 커패시터(217)가 V2 전압으로 방전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t14 내지 t15 시간이라면, 종래의 제1 커패시터(125)가 V2 전압으로 방전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t14 내지 t16 시간이 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은 방전부(240)를 이용하여 제1 커패시터(217)의 전압을 빠르게 방전시킴으로써, 제1 커패시터(217)의 충전 전압으로 인한 사용자의 방전 가능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전원 공급 장치를 상세히 나타내는 일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원 공급 장치(500)는 전원부(510), 제1 커패시터(517), 전원 상태 검출부(520), 제1 제어부(529), 방전부(530), 및 스위칭 변압부(540)를 포함한다. 또한, 출력 부하단(58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전원 공급 장치(500)는 도 2에서 설명한 전원 공급 장치(200)에 대응된다. 구체적으로, 전원부(510), 제1 커패시터(517), 전원 상태 검출부(520), 제1 제어부(529), 방전부(530), 스위칭 변압부(540), 및 출력 부하단(581)은 각각 도 2의 전원 공급 장치(500)는 전원부(210), 제1 커패시터(217), 전원 상태 검출부(220), 제1 제어부(229), 방전부(230), 스위칭 변압부(240), 및 출력 부하단(281)과 동일 대응되므로, 도 2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의 전원 공급 장치(200)에 비하여, 도 5의 전원 공급 장치(500)는 전원부(510)가 EMI 필터부(Electro-Magnetic Interference filter unit)(5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EMI 필터는 전원(216)에서 발행하는 전자파 간섭(Electro-Magnetic Interference) 성분을 필터이하고, 전자파 간섭 성분이 제거된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정류부(515)로 전달한다.
EMI 필터부(511)는 전원(516)과 병렬 연결되는 EMI 커패시터(512) 및 EMI 저항(513)을 포함할 수 있다.
EMI 커패시터(512)는 전원과 병렬 연결된다. 즉, 전원(516)의 양단인 제51 노드(N51) 및 제52 노드(N52)의 사이에 연결된다.
EMI 저항(513)은 EMI 커패시터(512)와 병렬 연결된다.
예를 들어, EMI 커패시터(512)의 커패시턴스 및 EMI 저항(513)의 저항값은 전력 소비를 제한하는 소정 규격에 맞춰서 설계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EMI 커패시터(512)의 커패시턴스가 1uF 의 커패시턴스를 가질 경우, EMI 저항(513)은 EMI 커패시터(512)의 방전 전압이 Vcemi * Exp(-1) 값 이하가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여기서, Vcemi 는 EMI 커패시터(512)의 충전 전압을 나타내며, 전원(516)의 전압 값이 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전원 공급 장치를 상세히 나타내는 다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원 공급 장치(600)는 전원부(610), 제1 커패시터(617), 전원 상태 검출부(620), 제1 제어부(629), 방전부(630), 및 스위칭 변압부(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부하단(68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전원 공급 장치(600)는 도 2에서 설명한 전원 공급 장치(200)에 대응된다. 구체적으로, 전원부(610), 제1 커패시터(617), 전원 상태 검출부(620), 제1 제어부(629), 방전부(630), 스위칭 변압부(640), 및 출력 부하단(681)은 각각 도 2의 전원부(210), 제1 커패시터(217), 전원 상태 검출부(220), 제1 제어부(229), 방전부(230), 스위칭 변압부(240), 및 출력 부하단(281)과 동일 대응되므로, 도 2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6의 전원 공급 장치(600)는 도 5의 전원 공급 장치(500)와 대응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EMI 필터부(611), EMI 커패시터(612) 및 EMI 저항(613)은 도 5의 EMI 필터부(511), EMI 커패시터(512) 및 EMI 저항(513)과 대응된다. 따라서, 도 5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의 EMI 필터부(511)에 비하여, 도 6의 EMI 필터부(611)는 EMI 스위칭 소자(SW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EMI 스위칭 소자(SW4)는 일단 및 다른 일단이 각각 EMI 저항(613)의 다른 일단 및 EMI 커패시터(612)의 다른 일단과 연결된다. 그리고, 제1 제어부(629)의 제어에 따라서 턴 온 또는 턴 오프된다. 도 5에서는 EMI 스위칭 소자(614)로 모드 트랜지스터(614)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제1 제어부(629)는 전원 상태 검출부(620)에서 전송된 정보에 따라서 전원의 상태가 오프 상태이면, 제2 방전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EMI 스위칭 소자(SW4)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제2 방전 제어 신호는 EMI 커패시터(612)가 방전되도록 EMI 스위칭 소자(SW4)가 턴 온 되도록 제어한다.
전원(616)이 오프된 경우, 전원 상태 검출부(620)는 상기 상태를 감지하여 제1 제어부(629)에 감지된 전원 상태를 전송한다. 그에 따라서, 제1 제어부(629)는 제2 방전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EMI 스위칭 소자(SW4)로 전송한다. EMI 스위칭 소자(SW4)가 N 형 모드 트랜지스터인 경우, 전원(616)이 오프되면 제2 방전 제어 신호는 논리 하이 레벨로 출력된다.
EMI 필터부(611)에 있어서, EMI 스위칭 소자(SW4)는 게이트 단자인 제63 노드(N63)로 논리 하이 레벨의 제2 방전 제어 신호를 전송받고, 그에 응답하여 턴 온된다. 그에 따라서, EMI 스위칭 소자(SW4)를 통하여 전류가 흐르게 된다. EMI 스위칭 소자(SW4)를 통하여 전류는 EMI 커패시터(612)에 충전되었던 전압을 빠르게 방전시킨다.
도 5에 있어서, 대기 전력을 낮추기 위해서는 EMI 저항(513)의 저항 값을 높게 설계하여야 한다. 그럴 경우, EMI 커패시터(512)의 방전 시간이 길어지게 되며, 사용자가 방전으로 인하여 화상 등의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전원(616)이 턴 온 되는 경우, EMI 스위칭 소자(614)는 턴 오프되어 있으며, 따라서 EMI 저항(613)은 무한대의 저항 값을 갖는 경우와 동일하게 동작한다. 따라서, EMI 저항(613)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를 방지하여,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전원(616)이 턴 오프 되는 경우, EMI 스위칭 소자(614)는 턴 온되며, EMI 저항(613)을 통하여 전류가 흐르게 된다. 그에 따라서 EMI 커패시터(612)에 충전된 전압이 빠르게 방전되어, 사용자의 방전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2의 전원 공급 장치를 상세히 나타내는 다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700)는 도 2에서 설명한 전원 공급 장치(200)에 대응된다. 구체적으로, 전원부(710), 제1 커패시터(717), 전원 상태 검출부(720), 제1 제어부(729), 방전부(730), 및 스위칭 변압부(740)는 각각 도 2의 전원부(210), 제1 커패시터(217), 전원 상태 검출부(220), 제1 제어부(229), 방전부(230), 및 스위칭 변압부(240)와 동일 대응되므로, 도 2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전원부(710)는 도 6의 전원부(61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전원 공급 장치(700)는 도 2에 도시된 전원 공급 장치(200)에 비하여, 피드백 루프(7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 루프(750)는 출력단(N75)과 연결되며, 출력단(N75)에서 실제 출력되는 출력 전압과 출력단(N75)에서 출력되어야 할 목표 전압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서 스위칭 구동 신호가 조절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피드백 루프(750)는 전압 비교부(751), 포토 커플러(photo coupler)(753) 및 피드백 제어부(75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피드백 루프(750)는 전압 비교부(751)가 출력단인 제75 노드(N75)에 걸리는 출력 전압을 입력받기 위한 경로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저항들(781, 782, 78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 전압을 입력받기 위한 경로는 도 7에 도시된 구성 이외에도 다양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압 비교부(751)는 출력단(N75)과 연결되며, 출력 전압과 출력 목표 전압을 비교한다. 그리고, 출력 전압과 출력 목표 전압의 비교 결과를 포토 커플러(752)로 전달한다. 여기서, 전압 비교부(751)는 출력 전압과 출력 목표 전압 간의 전압 값 차이를 상기 비교 결과로써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압 비교부(751)는 차동 앰프(differential amplifier)(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차동 앰프는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출력 전압과 출력 목표 전압과의 전압 값 차이를 증폭시켜 출력할 있다.
포토 커플러(752)는 전압 비교부(751)에서 전송되는 비교 결과를 피드백 제어부(756)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포토 커플러(752)는 포토 커플링(photo coupling)을 이용하여 전압 비교부(751)와 피드백 제어부(756)가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지 않도록, 접지단을 분리한다.
피드백 제어부(756)는 포토 커플러(752)를 통하여 전송되는 비교 결과에 맞춰서, 스위칭 구동 신호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서, 목표 출력 전압과 일치하는 출력 전압이 출력단(N75)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스위칭 구동 신호의 펄스 폭을 변경할 수 있다.
도 8은 도 2의 전원 공급 장치를 상세히 나타내는 다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800)는 도 2에서 설명한 전원 공급 장치(200)에 대응된다. 구체적으로, 전원부(810), 제1 커패시터(817), 전원 상태 검출부(820), 제1 제어부(829), 방전부(830), 및 스위칭 변압부(840)는 각각 도 2의 전원부(210), 제1 커패시터(217), 전원 상태 검출부(220), 제1 제어부(229), 방전부(230), 및 스위칭 변압부(240)와 동일 대응되므로, 도 2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전원부(810)는 도 6의 전원부(61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도 7의 피드백 루프(750)에 대응되는 피드백 루프(8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전원 공급 장치(800)는 도 2에 도시된 전원 공급 장치(200)에 비하여, 출력단인 제 85 노드(N85)에 걸리는 전압이 빠르게 방전될 수 있도록, 제1 출력 부하(891), 제3 스위칭 소자(SW3) 및 제2 제어부(89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출력 부하(89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출력 부하(891)의 일단은 출력단(N85)과 연결되며, 출력 전압을 공급받는다. 제1 출력 부하(891)는 공급되는 출력 전압을 소비하는 2차 측 시스템(890)의 부하단에 대응된다.
제2 출력 부하(893)는 출력단(N85)과 제2 제어부(894)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전술한 더미 저항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3 스위칭 소자(SW3)의 일단 및 다른 일단은 각각 제1 출력 부하(891)의 다른 일단 및 접지단(ground)과 연결된다. 또한, 제2 제어부(894)의 제어에 따라서 턴 온 또는 턴 오프 된다. 구체적으로, 제2 제어부(894)에서 전송되는 제3 방전 제어 신호의 신호 레벨에 따라서 턴 온 또는 턴 오프 된다. 도 8에서는 제3 스위칭 소자(SW3)가 N형 모스 트랜지스터(892)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제2 제어부(894)는 제1 제어부(829)를 통하여 전원(816)의 상태 정보를 전송받는다. 그리고, 전원(816)의 상태가 오프 상태이면, 제1 출력 부하(891)가 접지단(ground)과 연결되도록 제3 스위칭 소자(SW3)를 제어하거나, 제1 출력 부하(891)의 전력 소비량이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제어부(894)는 전원(816)이 오프 상태이면, 제3 방전 제어 신호를 논리 하이 레벨로 출력한다. 그에 따라서, 제3 스위칭 소자(SW3)는 턴 온 되거나 전력 소비량이 증가하며, 출력단(N85)에 흐르는 전류가 접지단(ground)으로 빠르게 방출된다. 출력단(N85)에 흐르는 전류가 접지단(ground)으로 방출되면, 스위칭 변압부(840)를 통해서 전달되는 전압의 소비가 가속된다. 그에 따라서 1차 측인 제1 인턱터를 통해 전달되는 전원이 빠르게 2차 측인 제2 인덕터로 넘어올 수 있도록 한다. 즉, 제1 커패시터(817)에 충전된 전압이 빠르게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800)는 제2 제어부(894)의 제어에 따라서, 제1 커패시터(817)에 충전된 전압이 빠르게 방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원(816) 오프 시 제1 커패시터(817)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의 방전 가능성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부(894)는 제1 제어부(829)를 통하여 전원(816)의 상태 정보를 전송받으며, 전원(816)이 오프 상태이면, 출력 전압을 공급받는 2차 측 시스템(890)을 백업(back up) 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제어부(829)는 상기 백업 동작이 수행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제1 방전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제1 스위칭 소자(SW1)가 턴 온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800) 또는 2차측 시스템(890)에 동작 오류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는 전원(816)을 오프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전원(816)이 오프되면, 대기 모드(standby mode)로 진입하여 소비 전력이 소정 값 이하로 감소되도록 한다.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려면, 전원 공급 장치 내에 흐르는 전류량을 감소시켜야 한다. 상기 전류량이 감소되면, 제1 커패시터(817)에 충전되어 있는 전압이 방전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제1 커패시터(817)에 충전된 전압이 소정 전압 값 이하로 방전되어야 2차측 시스템(890)이 재부팅(rebooting)된다. 따라서, 제1 커패시터(817)에 충전되어 있는 전압이 방전되지 않는 경우, 전원 공급 장치(800)가 오프 되더라도 2차측 시스템(890)이 재부팅(rebooting) 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제어부(894)는 전원(816)이 차단된 후 전술한 시스템(890)의 재부팅이 실행되지 않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서 시스템(890) 백업 및 파킹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제어부(894)는 전원(816)이 오프되면, 2차 측 시스템(890)의 데이터를 백업시키거나 2차 측 시스템(890)을 파킹(parking)함으로써, 2차측 시스템(890)의 동작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900)는 도 2에서 설명한 전원 공급 장치(200)에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부(910), 제1 커패시터(917), 전원 상태 검출부(920), 제1 제어부(929), 방전부(930), 및 스위칭 변압부(940)는 각각 도 2의 전원부(210), 제1 커패시터(217), 전원 상태 검출부(220), 제1 제어부(229), 방전부(230), 및 스위칭 변압부(240)와 동일 대응되므로, 도 2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전원부(910)는 도 6의 전원부(61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도 7의 피드백 루프(750)에 대응되는 피드백 루프(9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피드백 제어부(956)가 제1 제어부(930) 내에 포함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또한, 도 8의 제1 출력 부하(891), 제2 출력 부하(893), 제3 스위칭 소자(SW3) 및 제2 제어부(894)에 대응되는 제1 출력 부하(991), 제2 출력 부하(996), 제3 스위칭 소자(SW3) 및 제2 제어부(99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더미 저항(99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출력 부하(991), 더미 저항(993), 제2 출력 부하(996), 제3 스위칭 소자(SW3)를 포함하여 출력 부하단(990)이라 할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900)에 있어서, 도 6,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한 전원 공급 장치(600, 700, 800)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전원 공급 장치(900)는 전원부(910), 제1 커패시터(917), 전원 상태 검출부(920), 제1 제어부(929), 방전부(930), 스위칭 변압부(940), 출력 부하단(990), 및 제2 제어부(99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피드백 루프(950) 및 정보 전달부(99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정류부(215)에 대응되는 제1 정류부(915)는 브릿지 다이오드 정류기(bridge diode rect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브릿지 다이오드 정류기는 4개의 다이오드가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되며, 어떠한 극성 전압이 입력되더라도 동일한 극성 전압을 출력한다. 브릿지 다이오드 정류기는 전파 정류를 수행함으로써, 전압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릿지 다이오드 정류기는 전원(916)에서 공급되는 도 4의 (a)에 도시된 그래프 형태를 갖는 전압을 입력받고, 이를 전파 정류하여 도 4의 (b)에 도시된 그래프 형태를 갖는 전압을 출력한다.
전원 상태 검출부(920)는 RC 시정수(time-constant) 값을 이용하여 전원의 온 또는 오프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판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직렬 연결되는 저항(923) 및 커패시터(924)를 포함한다. 또한, 제2 정류부(9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정류부(921)는 전원(916)과 병렬 연결된다. 그리고, 전원(916)에서 공급되는 교류 전압을 정류하여 직류 성분 전압을 출력한다. 제2 정류부(921)는 제1 정류부(915)와 동일하게 브릿지 다이오드 정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저항(923)은 일단이 제2 정류부(921)에 연결되며, 다른 일단이 커패시터(924)의 일단과 연결된다.
커패시터(924)는 일단 및 다른 일단이 각각 저항(923) 및 제2 정류부(921)의 다른 일단과 연결된다.
저항(923) 및 커패시터(924)는 RC 회로를 구성하며, 전원(916)이 오프되어 제2 정류부(921)를 통하여 전달되는 전원, 예를 들어, 소정 전압, 이 차단되면, 커패시터(924)에 충전된 전압이 떨어지게 된다. 커패시터(924)에 충전된 전압이 약 63% 로 떨어지는 걸리는 시간이 소정 시간 이하이면, 전원 상태 검출부(220)는 전원(216)이 오프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는, 제1 제어부(929)는 전원 상태 검출부(920)에서 출력되는 전압인 커패시터(924)의 충전 전압을 실시간으로 전송받고, 커패시터(924)의 전압이 소정 시간 이내에 소정 값 이하로 떨어지면, 전원(916)이 차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 장치(900)는 제1 제어부(929)와 제2 제어부(994)의 사이에 정보 전달부(99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전달부(998)는 제1 제어부(930)에서 전송되는 전원(916)의 상태 정보를 제2 제어부(994)로 빠르게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정보 전달부(998)는 포토 커플러를 포함할 수 있으며, 1차 측인 제1 인덕터의 이전 단과 2차 측인 제2 인덕터의 이후 단을 전기적으로 분리한 상태에서 전원(916)의 상태 정보가 제2 제어부(994)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929)는 스위칭 변압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칭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칭 변압부(94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전원 상태 검출부(920)에서 검출된 전원(916)의 상태가 턴 오프 상태이면, 제1 커패시터(917)에 충전된 전압, EMI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 및 출력 전압인 제95 노드(N95)에 걸리는 전압 중 적어도 하나가 방전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1 스위칭 소자(SW1), EMI 스위칭 소자(SW4), 및 제3 스위칭 소자(SW3) 중 적어도 하나가 턴 온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스위칭 소자(SW1), 및 EMI 스위칭 소자(SW4)는 제1 및 제2 방전 제어 신호는 제1 제어부(929)가 직접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929)는 제2 제어부(994)가 제3 방전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제2 제어부(994)로 전원(916)의 턴 오프 상태를 알림으로써, 제3 스위칭 소자(SW3)가 턴 온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원 공급 장치(1000)에 포함되는 스위칭 변압부(1040) 및 제1 제어부(93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도 9에서 설명한 전원 공급 장치와 동일하므로, 도 9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구체적으로, 전원부(1010), 제1 커패시터(1017), 전원 상태 검출부(1020), 제1 제어부(1029), 방전부(1030), 피드백 루프(1050), 출력 부하단(1090) 및 제2 제어부(1094) 각각은 전원부(910), 제1 커패시터(917), 전원 상태 검출부(920), 제1 제어부(929), 방전부(930), 피드백 루프(950), 출력 부하단(990) 및 제2 제어부(994)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제어부(1029)는 스위칭 변압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술한 스위칭 구동 신호를 적어도 두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스위칭 구동 신호들은 각각 서로 다른 파형을 갖는 신호가 될 수 있으며, 또는 동일한 파형을 갖는 신호가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제어부(1029)가 제1 및 제2 스위칭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스위칭 변압부(1040)는 적어도 두개의 스위칭 변압부들(1041, 104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스위칭 변압부(1040)가 제1 및 제2 스위칭 변압부(1041, 1046)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 및 제2 스위칭 변압부들(1041, 1046) 각각은 출력단을 포함하며, 각각의 출력단으로 소정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스위칭 변압부들(1041, 1046) 각각은 도 2에서 설명한 스위칭 변압부(24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스위칭 변압부(1041)는 제1 제어부(ㅇ1030)로부터 제1 스위칭 구동 신호를 전송받고, 스위칭 소자(1044)를 턴 온 또는 턴 오프 시킨다. 스위칭 소자(1044)가 턴 온 될 때 제1 인덕터(1042)에 걸리는 전압이 제2 인덕터(1043)로 변압 및 전달된다. 제2 인덕터(1043)에 걸리는 전압은 제1 출력단(N106)으로 공급된다.
또한, 제2 스위칭 변압부(1046)는 제1 제어부(1030)로부터 제2 스위칭 구동 신호를 전송받고, 스위칭 소자(1049)를 턴 온 또는 턴 오프 시킨다. 스위칭 소자(1049)가 턴 온 될 때 제1 인덕터(1047)에 걸리는 전압이 제2 인덕터(1048)로 변압 및 전달된다. 제2 인덕터(1048)에 걸리는 전압은 제2 출력단(N105)으로 공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1000)는 하나의 전원부(101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다수개의 출력단으로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전압들을 각각 공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원 공급 장치(1100)에 포함되는 스위칭 변압부(114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도 9 또는 도 10에서 설명한 전원 공급 장치(900, 1000)와 동일하므로, 도 9 또는 도 10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변압부(1140)는 1차 코일 부(1147) 및 2차 코일 부(1148)를 포함할 수 있다.
1차 코일 부(1147)는 1차 인덕터(1141) 및 제2 스위칭 소자(1143)를 포함하며, 1차 인덕터(1141) 및 제2 스위칭 소자(1143) 각각은 도 2의 제1 인덕터(241) 및 제2 스위칭 소자(SW2)와 동일 대응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2차 코일 부(1148)는 1차 코일 부(1147)로부터 소정 전력을 전달받으며, 직렬 연결되는 다수개의 제2 인덕터들(1145, 1142)을 포함한다. 그리고, 다수개의 제2 인덕터들(1145, 1142) 각각은 일단으로 출력 전압을 출력한다. 도 11에서는 2개의 제2 인덕터들(1145, 1142)이 직렬 연결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제2 인덕터(1145)는 제1 인덕터(1141)에서 전달된 전압을 출력단(N116)으로 공급한다. 그리고, 다른 하나의 제2 인덕터(1142)는 제1 인덕터(1141)에서 전달된 전압을 출력단(N115)으로 공급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전원 공급 장치(1200)에 포함되는 스위칭 변압부(124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도 9 내지 도 11에서 설명한 전원 공급 장치(900, 1000, 1100)와 동일하므로, 도 9 내지 도 11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스위칭 변압부(1240)는 1차 코일 부(1247) 및 2차 코일 부(1248)를 포함한다.
1차 코일 부(1247)는 제1 인덕터(1241) 및 제2 스위칭 소자(1249)를 포함한다. 1차 코일 부(1247)는 도 11의 1차 코일 부(1147)와 동일 대응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2차 코일 부(1248)는 1차 코일 부(1247)로부터 소정 전력을 전달받으며, 병렬 연결되는 다수개의 제2 인덕터들(1245, 1242)을 포함한다. 그리고, 다수개의 제2 인덕터들(1245, 1242) 각각은 일단으로 출력 전압을 출력한다. 도 12에서는 2개의 제2 인덕터들(1245, 1242)이 도시된 바와 같이 병렬 연결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제2 인덕터들(1245, 1242)의 일단들이 같이 연결되며, 다른 일단들(N126, N125)로 출력 전압을 공급한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또는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는 각종 전자기기에 포함되어, 상기 각종 전자기기가 소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각종 전자기기로는 텔레비전, 셋 탑 박스, 오디오 장치, 비디오 장치, 컴퓨터, 모바일 장치, 세탁기, 냉장고, 전자렌지, 청소기 등이 있다. 즉, 텔레비전, 셋 탑 박스, 오디오 장치, 비디오 장치, 컴퓨터, 모바일 장치, 세탁기, 냉장고, 전자렌지, 청소기 등의 전자기기는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또는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300)는 전원 공급 장치(1310), 프로세서(1320) 및 인쇄부(1330)를 포함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300)는 인터페이스 부(1340) 및 저장부(1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300)는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신호에 따라 화상 데이터를 인쇄 매체인 인쇄 용지에 가시 화상의 형태로 옮겨 인쇄하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써, 프린터, 스캐너, 복합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호스트 장치(미도시)를 의미하며, 호스트 장치로는 PC, 노트북 등이 있다. 호스트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1300)와 연결 가능하고, 화상 형성 장치(1300)에서 인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프린터 드라이버(print driver)가 구동되는 장치를 뜻한다. 사용자는 호스트 장치에서 구동되는 프린터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1300)에서 인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옵션들을 설정할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1310)는 화상 형성 장치(1300)가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소정 전원을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 장치(1310)는 화상 형성 장치(1300) 내에 구비되는 각 구성인 프로세서(1320), 인쇄부(1330), 인터페이스 부(1330) 및 저장부(1350) 중 적어도 하나로 소정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 장치(1310)는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와 동일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프로세서(1320)는 화상 형성 장치(13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20)는 전원 공급 장치(1310)로부터 소정 전원을 공급받고, 인쇄 작업이 수행되도록 인쇄부(1330), 인터페이스 부(1330) 및 저장부(135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한다.
인터페이스 부(1340)는 호스트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인터페이스 부(1340)와 호스트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사용자는 호스트 장치에서 인쇄 옵션을 선택하고, 선택된 인쇄 옵션 정보는 인터페이스 부(1340)를 통하여 프로세서(1320)로 전달된다. 프로세서(1320)는 전송받은 인쇄 옵션 정보에 따라서, 인쇄 작업이 수행되도록 인쇄부(13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부(1340)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여, 사용자로부터 소정 명령 또는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저장부(1350)는 인터페이스 부(1340)를 통하여 수신된 화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인쇄부(1330)는 프로세서(1320)의 제어에 따라서, 저장부(1350)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인쇄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는 스위칭 모드 동작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로, 전원이 오프될 경우 내부 커패시터에 충전되어 있던 전압을 빠르게 방전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는 사용자의 감전 가능성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전원 공급 장치
217: 제1 커패시터
220: 전원 상태 검출부
229: 제1 제어부
230: 방전부
240: 스위칭 변압부
281: 출력 부하단
1300: 화상 형성 장치
1310: 전원 공급 장치
1320: 프로세서
1330: 인터페이스 부
1340: 인쇄부
1350: 저장부

Claims (22)

  1. 공급되는 전원에 대응되는 소정 전압을 충전하는 제1 커패시터 부;
    상기 전원의 온 또는 오프 상태를 검출하는 전원 상태 검출부;
    상기 전원의 상태에 따라서 달라지는 신호 레벨을 가지며 상기 제1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시키도록 제어하는 제1 방전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1 커패시터와 병렬 연결되며, 상기 제1 방전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시키는 방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부는
    상기 제1 커패시터와 병렬 연결되며, 상기 제1 방전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는 제1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전원의 상태가 턴 오프 상태이면, 상기 제1 스위칭 소자를 턴 온 시키는 상기 제1 방전 제어 신호를 상기 방전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부는
    일단이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일단과 연결되는 방전 저항; 및
    일단 및 다른 일단이 각각 상기 방전 저항의 다른 일단 및 상기 제1 커패시터의 다른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1 방전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는 상기 제1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상태 검출부는
    저항-커패시턴스 시정수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전원의 온 또는 오프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교류 전압을 공급하는 상기 전원;
    상기 전원과 병렬 연결되며, 상기 교류 전압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간섭(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성분을 필터링하는 EMI 필터부; 및
    상기 EMI 필터부를 통하여 필터링 된 상기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 정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EMI 필터부는
    상기 전원과 병렬 연결되는 EMI 커패시터; 및
    상기 EMI 커패시터와 병렬 연결되는 EMI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EMI 필터부는
    상기 전원과 병렬 연결되는 EMI 커패시터;
    일단이 상기 EMI 커패시터의 일단과 연결되는 EMI 저항; 및
    일단 및 다른 일단이 각각 상기 EMI 저항의 다른 일단 및 상기 EMI 커패시터의 다른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는 EMI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전원의 상태가 오프 상태이면, 상기 EMI 스위칭 소자를 턴 온 시키는 제2 방전 제어 신호를 상기 EMI 필터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구동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제1 커패시터와 병렬 연결되며, 상기 스위칭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수행되는 스위칭 변압 동작에 의해서, 상기 제1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을 변압하는 스위칭 변압부; 및
    상기 스위칭 변압부에서 변압된 전압인 출력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과 연결되며, 상기 출력단에서 실제 출력되는 출력 전압과 상기 출력단에서 출력되어야 할 목표 전압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스위칭 구동 신호를 조절하기 위한 피드백 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루프는
    상기 출력단과 연결되며, 상기 출력 전압과 상기 목표 전압을 비교하는 전압 비교부;
    상기 출력 전압과 상기 목표 전압의 차이 값에 대응되는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포토 커플러; 및
    상기 피드백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 전압이 상기 목표 전압에 수렴하도록 상기 스위칭 구동 신호를 조절하는 피드백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출력단과 연결되는 제1 출력 부하;
    일단 및 다른 일단이 각각 상기 제1 출력 부하의 다른 일단 및 접지와 연결되는 제3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1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전원의 상태 정보를 전송받으며, 상기 전원의 상태가 오프 상태이면, 상기 제1 출력 부하가 상기 접지와 연결되도록 상기 제3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거나, 상기 제1 출력 부하의 전력 소비량이 증가하도록 제어하는 것 특징으로 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전원의 상태 정보를 전송받으며, 상기 전원의 상태가 오프 상태이면, 상기 출력 전압을 공급받는 2차 측 시스템을 백업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변압부는
    1차 코일 부 및 2차 코일 부를 포함하며,
    상기 1차 코일 부는
    일단이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1 인덕터; 및
    일단 및 다른 일단이 각각 상기 제1 인덕터의 다른 일단 및 상기 제1 커패시터의 다른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스위칭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는 제2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2차 코일 부는
    상기 1차 코일 부로부터 소정 전력을 전달받는 제2 인덕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스위칭 변압 동작을 제어하는 적어도 두개의 상기 스위칭 구동 신호들을 생성하며,
    상기 스위칭 변압부는
    상기 스위칭 구동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스위칭 변압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제1 커패시터와 병렬 연결되는 적어도 두개의 스위칭 변압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변압부는
    1차 코일 부 및 2차 코일 부를 포함하며,
    상기 1차 코일 부는
    일단이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 인덕터; 및
    상기 제1 인덕터의 다른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스위칭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는 제2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2차 코일 부는
    상기 1차 코일 부로부터 소정 전력을 전달받으며, 직렬 연결되는 다수개의 제2 인덕터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인덕터들 각각은 일단으로 상기 출력 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변압부는
    1차 코일 부 및 2차 코일 부를 포함하며,
    상기 1차 코일 부는
    일단이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 인덕터; 및
    상기 제1 인덕터의 다른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스위칭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는 제2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2차 코일 부는
    상기 1차 코일 부로부터 소정 전력을 전달받으며, 병렬 연결되는 다수개의 제2 인덕터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인덕터들 각각은 일단으로 상기 출력 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20. 화상 데이터가 인쇄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화상 데이터를 인쇄하는 인쇄부; 및
    상기 프로세서 및 인쇄부를 포함하는 각 구성으로 소정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공급되는 전원에 대응되는 소정 전압을 충전하는 제1 커패시터 부;
    상기 전원의 온 또는 오프 상태를 검출하는 전원 상태 검출부;
    상기 전원의 상태에 따라서 달라지는 신호 레벨을 가지며 상기 제1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시키도록 제어하는 제1 방전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1 커패시터와 병렬 연결되며, 상기 제1 방전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시키는 방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사용자로부터 소정 데이터 또는 명령을 입력받는 인터페이스 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에서 수신되는 상기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2. 청구항 1항 내지 19항 중 어느 한 항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KR1020110108115A 2011-10-21 2011-10-21 전원 공급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1365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115A KR101365602B1 (ko) 2011-10-21 2011-10-21 전원 공급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EP12189116.2A EP2584687B1 (en) 2011-10-21 2012-10-18 Power Suppli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Power Supplier
US13/655,615 US9152889B2 (en) 2011-10-21 2012-10-19 Power suppli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power supplier
CN201210597242.4A CN103124144B (zh) 2011-10-21 2012-10-22 供电器和包括供电器的图像形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115A KR101365602B1 (ko) 2011-10-21 2011-10-21 전원 공급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3923A true KR20130043923A (ko) 2013-05-02
KR101365602B1 KR101365602B1 (ko) 2014-03-14

Family

ID=47594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8115A KR101365602B1 (ko) 2011-10-21 2011-10-21 전원 공급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152889B2 (ko)
EP (1) EP2584687B1 (ko)
KR (1) KR101365602B1 (ko)
CN (1) CN103124144B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0584B1 (ko) 2016-03-14 2016-07-18 (주)한성컴퓨터 Pic를 활용한 대기전력 제어 방법
KR101657593B1 (ko) 2016-05-18 2016-09-19 (주)이엠텍아이엔씨 컴퓨터 시스템의 동작상태 측정 방법 및 이를 활용한 절전 방법
KR101692538B1 (ko) 2016-07-11 2017-01-03 주식회사 리퓨터 Gpio 포트를 이용한 컴퓨터 시스템의 절전 장치 및 방법
KR101872245B1 (ko) 2018-03-08 2018-07-31 주식회사 성주컴텍 Me 테스트 포트 신호를 활용한 에너지 절감 방법
WO2018139802A1 (ko) * 2017-01-25 2018-08-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력 공급 장치 및 그 전력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시스템
KR101972917B1 (ko) 2018-12-26 2019-04-26 (주)엠텍정보 컴퓨터 유휴자원에 따라 자동으로 레지스트리 설정 값을 제어하는 에너지 절감 방법
KR101978323B1 (ko) 2018-12-11 2019-08-20 주식회사 트리엠 Gpio 포트를 활용한 효율적인 전력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076328B1 (ko) 2019-09-19 2020-02-11 주식회사 기린 네트워크 신호를 이용한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절감 방법
KR102129563B1 (ko) 2020-02-05 2020-07-02 지나인솔루션 주식회사 시스템 자원의 최적화를 통한 컴퓨터 에너지 절감 장치 및 방법
KR102214153B1 (ko) 2020-10-14 2021-02-10 주식회사 다나와컴퓨터 Vid를 이용한 컴퓨터 시스템의 에너지 절감 방법
KR102256136B1 (ko) 2021-04-14 2021-05-26 주식회사 티원엘에스 오프셋모드를 활용하여 코어전원을 제어하는 에너지 절감형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264485B1 (ko) 2021-03-25 2021-06-15 (주)유투씨앤씨 게이트 회로를 이용한 컴퓨터 시스템의 소비전력 절감 장치 및 방법
KR102516672B1 (ko) 2022-11-22 2023-04-03 (주)대우루컴즈 Cpu 사용율에 따른 한계값 설정을 통하여 절전을 행하는 에너지 절감형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516895B1 (ko) 2022-12-28 2023-04-03 주식회사 트리엠 Cpu 주파수 최대값 제어를 통하여 전원관리를 수행하는 에너지 절감형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621930B1 (ko) 2023-09-08 2024-01-05 주식회사 엠컴 유휴자원에 따라 컴퓨터의 리소스를 절감하여 절전을 행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633382B1 (ko) 2023-09-21 2024-02-05 주식회사 다컴시스템 Cpu 코어 클록 속도 변화를 통하여 절전을 행하는 에너지 절감형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8134A2 (en) * 2012-04-18 2013-10-24 Ney-Li Funding, Llc Sensing and control for improving switched power supplies
KR102043771B1 (ko) * 2013-07-17 2019-11-13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전력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DE102013226386A1 (de) * 2013-12-18 2015-06-18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galvanisch getrennten Schaltungsteilen
CN105162313B (zh) * 2015-08-04 2017-08-15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反激式开关电源
US20170302108A1 (en) * 2016-04-19 2017-10-19 Sam HARTNESS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Power and Control of Electric Loads
JP6740743B2 (ja) * 2016-06-22 2020-08-1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658403B2 (ja) * 2016-08-29 2020-03-04 株式会社Ihi 送電装置
CN106877639A (zh) * 2017-03-03 2017-06-2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开关电源、音频设备和快速关断开关电源的方法
JP6987645B2 (ja) * 2018-01-05 2022-01-05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2561857B1 (ko) * 2018-08-02 2023-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도 가열 조리기
CN109450253A (zh) * 2018-11-20 2019-03-08 威创集团股份有限公司 电源管理电路和电源管理方法
JP7224888B2 (ja) * 2018-12-11 2023-02-20 キヤノン株式会社 電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TWI709292B (zh) * 2019-02-13 2020-11-01 益力半導體股份有限公司 智慧型假負載電量消耗系統
DE102019205623A1 (de) * 2019-04-17 2020-10-22 BSH Hausgeräte GmbH Netzfiltervorrichtung für ein Haushaltsgerät, Haushaltsgerät sowie Verfahren
JP7256084B2 (ja) * 2019-07-03 2023-04-11 三菱電機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電源回路
CN111174390A (zh) * 2020-02-17 2020-05-1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取电电路、线控器、空调、电阻控制方法
CN117322136A (zh) 2021-08-20 2023-12-29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724Y1 (ko) * 1990-05-11 1992-08-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보조전원 방전회로가 내지된 smps
JPH0833338A (ja) * 1994-07-15 1996-02-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平滑コンデンサの放電回路
US5523665A (en) * 1994-10-26 1996-06-04 Fluke Corporation Active discharge circuit for charged capacitors
JP3196554B2 (ja) * 1995-02-16 2001-08-06 富士電機株式会社 電流モード型スイッチング安定化電源装置
ATE250820T1 (de) * 1995-07-31 2003-10-15 Hewlett Packard Co Regelung eines zweiten ausganges eines schaltnetzteiles
SE510404C2 (sv) * 1995-11-03 1999-05-17 Ericsson Telefon Ab L M Anordning och förfaranden för att mata energi från en växelspänningskälla
KR100660529B1 (ko) * 1999-01-07 2006-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050050222A (ko) * 2003-11-25 2005-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관리 기능을 갖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장치
JP4785350B2 (ja) * 2004-06-04 2011-10-05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DE102004057693B4 (de) * 2004-11-30 2024-04-25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r schnellen Entladung eines Kondensators
TW200713762A (en) * 2005-09-06 2007-04-01 Acbel Polytech Inc AC-DC converter capable of actively suppressing inrush current
KR101239952B1 (ko) 2008-03-03 2013-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7746673B2 (en) * 2008-05-10 2010-06-29 Active-Semi, Inc. Flyback constant voltage converter having both a PWFM mode and a PWM mode
US8115457B2 (en) * 2009-07-31 2012-02-14 Power Integr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power converter input terminal voltage discharge circuit
CN102075098B (zh) * 2009-11-25 2013-05-08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可减少电源损耗的电容能量放电电路及其电源供应电路
CN201557053U (zh) * 2009-12-02 2010-08-18 天津市津天温度仪表科技有限公司 开关电源控制电路
CN201699598U (zh) * 2010-06-25 2011-01-05 朱振民 一种开关电源适配器
US8334663B2 (en) * 2010-07-30 2012-12-18 Lutron Electronics Co., Inc. Power supply for a load control device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0584B1 (ko) 2016-03-14 2016-07-18 (주)한성컴퓨터 Pic를 활용한 대기전력 제어 방법
KR101657593B1 (ko) 2016-05-18 2016-09-19 (주)이엠텍아이엔씨 컴퓨터 시스템의 동작상태 측정 방법 및 이를 활용한 절전 방법
KR101692538B1 (ko) 2016-07-11 2017-01-03 주식회사 리퓨터 Gpio 포트를 이용한 컴퓨터 시스템의 절전 장치 및 방법
US11081902B2 (en) 2017-01-25 2021-08-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supply device and power supply system including power supply device
WO2018139802A1 (ko) * 2017-01-25 2018-08-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력 공급 장치 및 그 전력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시스템
KR101872245B1 (ko) 2018-03-08 2018-07-31 주식회사 성주컴텍 Me 테스트 포트 신호를 활용한 에너지 절감 방법
KR101978323B1 (ko) 2018-12-11 2019-08-20 주식회사 트리엠 Gpio 포트를 활용한 효율적인 전력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972917B1 (ko) 2018-12-26 2019-04-26 (주)엠텍정보 컴퓨터 유휴자원에 따라 자동으로 레지스트리 설정 값을 제어하는 에너지 절감 방법
KR102076328B1 (ko) 2019-09-19 2020-02-11 주식회사 기린 네트워크 신호를 이용한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절감 방법
KR102129563B1 (ko) 2020-02-05 2020-07-02 지나인솔루션 주식회사 시스템 자원의 최적화를 통한 컴퓨터 에너지 절감 장치 및 방법
KR102214153B1 (ko) 2020-10-14 2021-02-10 주식회사 다나와컴퓨터 Vid를 이용한 컴퓨터 시스템의 에너지 절감 방법
KR102264485B1 (ko) 2021-03-25 2021-06-15 (주)유투씨앤씨 게이트 회로를 이용한 컴퓨터 시스템의 소비전력 절감 장치 및 방법
KR102256136B1 (ko) 2021-04-14 2021-05-26 주식회사 티원엘에스 오프셋모드를 활용하여 코어전원을 제어하는 에너지 절감형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516672B1 (ko) 2022-11-22 2023-04-03 (주)대우루컴즈 Cpu 사용율에 따른 한계값 설정을 통하여 절전을 행하는 에너지 절감형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516895B1 (ko) 2022-12-28 2023-04-03 주식회사 트리엠 Cpu 주파수 최대값 제어를 통하여 전원관리를 수행하는 에너지 절감형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621930B1 (ko) 2023-09-08 2024-01-05 주식회사 엠컴 유휴자원에 따라 컴퓨터의 리소스를 절감하여 절전을 행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633382B1 (ko) 2023-09-21 2024-02-05 주식회사 다컴시스템 Cpu 코어 클록 속도 변화를 통하여 절전을 행하는 에너지 절감형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52889B2 (en) 2015-10-06
EP2584687B1 (en) 2020-02-12
EP2584687A2 (en) 2013-04-24
EP2584687A3 (en) 2017-10-18
CN103124144B (zh) 2018-03-06
KR101365602B1 (ko) 2014-03-14
US20130100496A1 (en) 2013-04-25
CN103124144A (zh) 2013-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5602B1 (ko) 전원 공급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TWI497275B (zh) 具有低功率消耗突衝待命操作的電源供應器
JP5984999B2 (ja) Dc/dcコンバータ、それを用いた電源装置
KR101487054B1 (ko) 방전 회로 및 전원
US9590513B2 (en) Methods for operating a converter
US9252669B2 (en) AC/DC converter, and AC power adapter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US9178413B2 (en) Power factor correction autodetect
US20210119526A1 (en) Partial zero voltage switching (zvs) for flyback power converter and method therefor
US9559527B2 (en) Discharging circuit,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discharging circuit, and power supply unit
JP2016136839A (ja) パワーコンバータの入力端子電圧放電回路を実現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9735689B2 (en) Switching converter and control circuit thereof, current sensing method, AC/DC converter, and power adaptor and electronic devices
WO2021061455A1 (en) Power saving technique in detach condition for usb-power delivery with integrated synchronous recitifier controller
US9484798B2 (en) Power control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6804126B2 (en) Power supply start up circuit
EP2613430B1 (en) Switching mode power supply apparatus, method of supplying power using the sam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9337714B2 (en) Power converter with fast discharge circuit
TW201902067A (zh) 電源供應器
JP6188371B2 (ja) 電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TW201524102A (zh) 可偵測掉電與復電之電源控制器、電源供應器以及相關之控制方法
TW202135453A (zh) 用於返馳式電力轉換器之部分零電壓切換(zvs)及其方法
CN109286321B (zh) 开关电源电路
CN112054586A (zh) 用于使电源的输出电容器放电的方法和装置
KR20010082969A (ko) 교류전원레벨 적응형 전원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