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3771B1 - 전력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3771B1
KR102043771B1 KR1020130084343A KR20130084343A KR102043771B1 KR 102043771 B1 KR102043771 B1 KR 102043771B1 KR 1020130084343 A KR1020130084343 A KR 1020130084343A KR 20130084343 A KR20130084343 A KR 20130084343A KR 102043771 B1 KR102043771 B1 KR 102043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witching unit
transistor
resistor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4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0046A (ko
Inventor
김진하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130084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771B1/ko
Priority to EP14168711.1A priority patent/EP2827482B1/en
Priority to US14/314,213 priority patent/US9484798B2/en
Publication of KR20150010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0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2Arrangements for reducing harmonics from ac input or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6Means for starting or stopping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 H02H7/1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 H02H7/12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for rectifiers
    • H02H7/127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for rectifiers having auxiliary control electrode to which blocking control voltages or currents are applied in case of emergenc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02M1/322Means for rapidly discharging a capacitor of the converter for protecting electrical components or for preventing electrical sh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c-Dc Converter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전력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전기 제품의 플러그-온 상태에서 발생하는 대기 전력의 소비를 최소로 하여 저전력 소비 요구를 만족하고, 또 플러그-오프 시 X-cap 또는 E-cap의 방전 속도를 높임으로써 안전 규제 역시 만족할 수 있는 전력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제어 장치는, 교류 전력이 입력되는 동안 교류 전력에 의해 충전되는 제 1 커패시터와;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정류부와; 정류부의 출력단에 마련되는 제 2 커패시터와; 적어도 하나의 방전 저항을 구비하고, 교류 전력의 공급 및 차단에 응답하여 서로 교번하여 턴 온/턴 오프되는 제 1 스위칭부 및 제 2 스위칭부를 구비하며, 제 1 스위칭부의 턴 오프 및 제 2 스위칭부의 턴 온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방전 저항을 통해 제 1 커패시터와 제 2 커패시터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방전시키는 방전 회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력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POWER CONTROL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력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대기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력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경 보호의 관점에서 에너지 절감을 위해 전기 제품의 대기 전력 규제가 국내뿐만 아니라 미주(EPA1.2)와 유럽(ErP 2단계) 등에서 강력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전기 제품의 대기 전력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전력 공급 장치(예를 들면 SMPS)의 입력단에는 노이즈 제거를 위한 EMI 필터가 마련되는데, 이 EMI 필터에 마련되는 X-Capacitor의 충전 전하가 플러그-오프 시 플러그의 금속 단자로 흘러서 안전에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X-Capacitor에 충전되어 있는 전하를 방전시키는 위한 방전 저항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 방전 저항으로 인해 플러그-온 상태에서의 전력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는 곧 전기 제품의 대기 전력을 줄이기 위한 노력에 역행하는 것이어서,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대책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전기 제품의 플러그-온 상태에서 발생하는 대기 전력의 소비를 최소로 하여 저전력 소비 요구를 만족하고, 또 플러그-오프 시 X-cap 또는 E-cap의 방전 속도를 높임으로써 안전 규제 역시 만족할 수 있는 전력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제어 장치는, 교류 전력이 입력되는 동안 교류 전력에 의해 충전되는 제 1 커패시터와;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정류부와; 정류부의 출력단에 마련되는 제 2 커패시터와; 적어도 하나의 방전 저항을 구비하고, 교류 전력의 공급 및 차단에 응답하여 서로 교번하여 턴 온/턴 오프되는 제 1 스위칭부 및 제 2 스위칭부를 구비하며, 제 1 스위칭부의 턴 오프 및 제 2 스위칭부의 턴 온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방전 저항을 통해 제 1 커패시터와 제 2 커패시터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방전시키는 방전 회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전력 제어 장치에서, 제 1 커패시터가 교류 전력이 입력되는 교류 전력 입력 라인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술한 전력 제어 장치에서, 정류부가 교류 전력 입력 라인에 연결된다.
또한, 상술한 전력 제어 장치에서, 제 1 스위칭부는, 교류 전력 입력 라인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교류 전력의 입력에 응답하여 턴 온 되고 교류 전력의 차단에 응답하여 턴 오프 되는 포토커플러를 구비하는 검출 회로이다.
또한, 상술한 전력 제어 장치에서, 제 2 커패시터가 정류부의 출력단에 마련된다.
또한, 상술한 전력 제어 장치에서, 제 2 스위칭부는, 정류부의 출력단에 직렬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전 저항과 적어도 하나의 제 1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방전 회로이다.
또한, 상술한 전력 제어 장치에서, 제 1 스위칭부는, 교류 전력 입력 라인 사이에 포토커플러와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는 RC 직렬 회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전력 제어 장치에서, RC 직렬 회로는, 포토커플러의 일단에 직렬 연결되는 저항 및 커패시터와, 포토커플러의 타단에 직렬 연결되는 또 다른 저항 및 커패시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술한 전력 제어 장치에서, RC 직렬 회로는, 포토커플러의 일단에 직렬 연결되는 저항 및 커패시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술한 전력 제어 장치에서, RC 직렬 회로는, 포토커플러의 일단에 직렬 연결되는 저항과, 포토커플러의 타단에 직렬 연결되는 커패시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술한 전력 제어 장치에서, 포토커플러는, RC 직렬 회로에 연결되는 발광 소자와; 발광 소자의 발광에 응답하여 턴 온 되는 수광 소자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술한 전력 제어 장치에서, 제 1 스위칭부의 발광 소자가 양방향 발광 다이오드이다.
또한, 상술한 전력 제어 장치에서, 제 1 스위칭부의 수광 소자가 NPN 타입의 포토 트랜지스터이고; 포토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와 콜렉터가 제 2 스위칭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술한 전력 제어 장치에서, 제 2 스위칭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트랜지스터가 PNP 타입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이고; 제 1 트랜지스터의 에미터가 방전 저항에 연결되고 콜렉터가 접지에 연결된다.
또한, 상술한 전력 제어 장치에서, 제 2 스위칭부는, 포토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와 정류부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는 검출 저항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전력 제어 장치에서, 제 2 스위칭부는, 검출 저항의 저항 값이 방전 저항의 저항 값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다.
또한, 상술한 전력 제어 장치에서, 제 2 스위칭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와 콜렉터 사이에 RC 병렬 회로가 연결된다.
또한, 상술한 전력 제어 장치에서, 제 2 스위칭부는, 포토커플러의 턴 오프에 응답하여 턴 온 됨으로써 제 1 트랜지스터를 턴 온 시키도록 마련되는 제 2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전력 제어 장치에서, 제 2 스위칭부의 제 2 트랜지스터가 NPN 타입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이고; 제 2 트랜지스터의 콜렉터가 제 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연결되고 에미터가 접지된다.
또한, 상술한 전력 제어 장치에서, 교류 전력이 입력되는 동안 교류 전력에 의해 충전되는 제 1 커패시터와;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정류부와; 정류부의 출력단에 마련되는 제 2 커패시터와; 적어도 하나의 방전 저항을 구비하고, 교류 전력의 공급 및 차단에 응답하여 서로 교번하여 턴 온/턴 오프되는 제 1 스위칭부 및 제 2 스위칭부를 구비하며, 제 1 스위칭부의 턴 오프 및 제 2 스위칭부의 턴 온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방전 저항을 통해 제 1 커패시터와 제 2 커패시터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방전시키는 방전 회로부를 포함하는 전력 제어 장치를 갖는다.
또한, 상술한 전력 제어 장치에서, 제 1 커패시터가 교류 전력이 입력되는 교류 전력 입력 라인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술한 전력 제어 장치에서, 정류부가 교류 전력 입력 라인에 연결된다.
또한, 상술한 전력 제어 장치에서, 제 1 스위칭부는, 교류 전력 입력 라인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교류 전력의 입력에 응답하여 턴 온 되고 교류 전력의 차단에 응답하여 턴 오프 되는 포토커플러를 구비하는 검출 회로이다.
또한, 상술한 전력 제어 장치에서, 제 2 커패시터가 정류부의 출력단에 마련된다.
또한, 상술한 전력 제어 장치에서, 제 2 스위칭부는, 정류부의 출력단에 직렬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전 저항과 적어도 하나의 제 1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방전 회로이다.
본 발명은 전기 제품의 플러그-온 상태에서 발생하는 대기 전력의 소비를 최소로 하여 저전력 소비 요구를 만족하고, 또 플러그-오프 시 X-cap 또는 E-cap의 방전 속도를 높임으로써 안전 규제 역시 만족할 수 있는 전력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인 레이저 프린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계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전력 공급부(202)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제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제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제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제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인 레이저 프린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화상 형성 장치(102)에는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 케이블(Power Cable)(104)이 설치되고, 전원 케이블(104)의 끝에는 플러그(106)가 마련된다. 이 플러그(106)가 콘센트 또는 멀티 탭의 소켓(108)에 삽입됨으로써 외부의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 교류 전력이 화상 형성 장치(102)에 공급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2)는, 소켓(108)에 삽입된 플러그(106)와 전력 케이블(104)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화상 처리에 관련된 작업을 수행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플러그(106)가 소켓(108)에 삽입되는 것을 플러그-온(Plug-On)으로 표현하고, 소켓(108)에 삽입되어 있던 플러그(106)가 소켓(108)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플러그-오프(Plug-Off)으로 표현하고자 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계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2)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240)에는 급지부(230)와 배지부(220), 화상 전사부(250), 정착부(270), 디스플레이(206), 스피커(208)가 통신 가능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력 공급부(202)(예를 들면 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는 교류-직류 변환(AC-DC Conversion)을 통해 5V 및 24V의 시스템 직류 전력을 생성하여 제어부(240) 및 정착부(270), 그 밖에 다른 여러 부분에 공급한다. 5V의 직류 전력은 제어부(240)와 같은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회로 소자 등에 공급되고, 24V의 직류 전력은 정착부(270) 등에 공급된다. 물론 화상 형성 장치(102)의 다른 구성 요소에도 전력 공급부(202)에서 출력되는 5V와 24V의 시스템 직류 전력이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전력 공급부(202)는 입력되는 상용 전력을 필요한 부분(예를 들면 정착부(270)의 정착 히터 등)에 제공하기도 한다. 급지부(230)는 급지 카세트에 적재된 인쇄 매체(용지)를 화상 전사부(250)로 급지하기 위한 것이다. 화상 전사부(250)는 화상 신호에 따라 소정 화상을 형성한 다음 이를 인쇄 매체의 상면에 전사하기 위한 것이다. 정착부(270)는 인쇄 매체에 전사된 화상을 반영구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배지부(220)는 정착부(270)에서 화상이 정착된 인쇄 매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부(240)는 화상 형성 장치(102)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며, 화상 형성 장치(102)의 각 부분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와 통신 가능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디스플레이(206)는 화상 형성 장치(102)의 운전 정보 또는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안내 메시지 등을 표시한다. 스피커(208)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동작 시 발생하는 안내음이나 경고음 등을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전력 공급부(202)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전력 공급부(202)는, EMI 필터(Electromagnetic Interference Filter)(304)와 방전 회로부(302)의 제 1 스위칭부인 검출 회로(310), 정류부(306), 방전 회로부(302)의 제 2 스위칭부인 방전 회로(312), 변압기(308)를 포함한다. EMI 필터(304)는 상용 전력(AC 또는 DC)이 공급되는 전력 케이블(104)에 포함되어 있는 여러 가지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코일과 커패시터로 이루어지는 라인 필터이다. 정류부(306)는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거나, 교류 전력을 목적하는 다른 위상의 교류 전력으로 변환한다. 변압기(308)는 정류부(306)에서 정류된 직류 전력의 전압을 낮추어 목적하는 레벨의 직류 전압이 생성되도록 한다. 방전 회로부(302)는 검출 회로(310)와 방전 회로(312)로 이루어지며, 각각 정류부(306)의 전단과 후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방전 회로부(302)의 검출 회로(310)와 방전 회로(312) 역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방전 회로부(302)의 방전 회로(312)와 변압기(308) 사이에는 E-cap(E-capacitor)이 설치된다. E-cap은, 순시 정전에 대응하고, 정류부(306)의 정류 다이오드로 유입되는 직류 전력을 평활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용량의 커패시터가 사용된다. E-cap은 방전 회로부(302)에 의해 방전된다. 방전 회로부(302)는 E-cap의 충전 전하가 방전 저항(Rdis)을 통해 신속하게 방전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제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류부(306)의 전단에 마련되는 방전 회로부(302)의 검출 회로(310)는 교류 전력 공급 라인인 라이브(Live)와 뉴트럴(Neutral) 사이에 마련되고, 정류부(306)의 후단에 마련되는 방전 회로부(302)의 방전 회로(312)는 정류부(306)의 출력 라인 사이에 마련된다. 검출 회로(310)는, 저항(R1)과 커패시터(C1), 포토커플러(Photo Coupler)(402), 커패시터(C2), 저항(R2)이 직렬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저항(R1)과 커패시터(C1), 커패시터(C2), 저항(R2)이 RC 직렬 회로를 구성한다. 포토커플러(402)는 발광 소자인 발광 다이오드(D1)와 수광 소자인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된다. 발광 다이오드(D1)는 양방향 소자로서, 교류 전력의 (+) 극성 및 (-) 극성과, X-cap의 방전 전류의 (+) 극성 및 (-) 극성 모두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D1)가 도통하여 발광하면, 발광 다이오드(D1)의 발광에 의해 트랜지스터(Q1)가 턴 온 된다.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와 에미터는 각각 방전 회로(312)의 저항(R3) 및 저항(R5)을 통해 정류부(306)의 후단에 연결된다. 즉, 정류부(306)의 후단에 저항(R3)과 트랜지스터(Q1), 저항(R5)이 직렬 연결되는 것과 같다. 또한 정류부(306)의 후단에는 방전용의 저항(Rdis)과 트랜지스터(Q2)가 직렬 연결된다.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는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와 저항(R5) 사이에 연결된다. 또한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와 접지 사이에는 저항(R5)과 병렬로 커패시터(C3)가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류 전력 입력 라인을 통해 교류 전력이 입력되는 동안에는, 검출 회로(310)의 두 개의 커패시터(C1)(C2)가 전기적으로 단락된 것과 같으므로 저항(R1)과 커패시터(C1), 커패시터(C2), 저항(R2)을 통해 전류가 흐른다. 이 전류 흐름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D1)가 도통하여 발광하고, 발광 다이오드(D1)의 발광에 의해 트랜지스터(Q1)가 턴 온 된다. 트랜지스터(Q1)가 턴 온 됨으로써 저항(R3)과 트랜지스터(Q2), 저항(R5)을 통해 전류 흐름이 발생하지만, 저항(R5)과 커패시터(C3)의 평활 작용에 의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전압이 하이 레벨이 되어 결국 트랜지스터(Q2)는 턴 온 되지 않고 오프 상태로 유지된다. 트랜지스터(Q2)가 오프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저항(Rdis)을 통한 E-cap의 방전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여기서 저항(R3)은 저항(Rdis)에 비해 상대적으로 훨씬 큰 저항 값을 갖기 때문에 교류 전력이 공급되는 동안 턴 온 되는 트랜지스터(Q1)를 통해 흐르는 전류량(즉 대기 모드에서의 전류량)은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교류 전력이 공급되는 동안 저항(R3)을 통해 흐르는 검출 전류는 그 양이 매우 적어서 그만큼 대기 모드에서의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만약 플러그(106)의 플러그-오프로 인해 교류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면 정류부(106)에 의해 블로킹 되었던 X-cap이 방전을 시작하여 검출 회로(310)에는 교류 전력 대신 직류 전력이 공급되고, 이로 인해 커패시터(C1)(C2)(C3)가 전기적으로 개방된 상태로 되어 X-cap의 방전으로 인해 흐르는 직류 전류를 차단한다. 이 때문에 트랜지스터(Q1)는 턴 오프 되고,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의 전류는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로 입력되는 방향으로 흐르게 되어 결국 트랜지스터(Q2)가 턴 온 됨으로써 X-cap의 전위가 E-cap의 전위보다 높은 시점부터 X-cap과 E-cap의 충전 전류가 저항(Rdis)을 통해 방전된다. 여기서 방전을 위한 저항(Rdis)은 전류 검출을 위한 저항(R3)에 비해 저항 값이 상대적으로 매우 작기 때문에 E-cap의 충전 전류를 매우 빠른 속도로 방전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제어 장치는, 플러그-온 상태에서 교류 전력이 입력되는 동안에는 저항 값이 상대적으로 매우 큰 저항(R3)을 통해 매우 적은 양의 전류만이 흐르기 때문에 저전력 소비 요구를 만족하고, 또 플러그-오프 시 저항 값이 상대적으로 매우 작은 저항(Rdis)을 통해 X-cap 또는 E-cap이 보다 빠른 속도로 방전하도록 함으로써 안전 규제 역시 만족함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제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제어 장치는, 방전 회로부(302)의 검출 회로(310)를 구성하는 RC 직렬 회로가 하나의 저항(R1)과 하나의 커패시터(C1)만으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도 4에 나타낸 제 1 실시 예에서와 같이 두 개의 저항(R1)(R2)과 두 개의 커패시터(C1)(C2)를 이용하여 검출 회로를 구성하는 경우보다 더 적은 수의 소자만으로 회로를 구성할 수 있어서, 그만큼 부품의 수를 절감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류부(306)의 전단에 마련되는 방전 회로부(302)의 검출 회로(310)는 교류 전력 공급 라인인 라이브(Live)와 뉴트럴(Neutral) 사이에 마련되고, 정류부(306)의 후단에 마련되는 방전 회로부(302)의 방전 회로(312)는 정류부(306)의 출력 라인 사이에 마련된다. 검출 회로(310)는, 저항(R1)과 커패시터(C1), 포토커플러(Photo Coupler)(402)가 직렬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저항(R1)과 커패시터(C1)가 RC 직렬 회로를 구성한다. 포토커플러(402)는 발광 소자인 발광 다이오드(D1)와 수광 소자인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된다. 발광 다이오드(D1)는 양방향 소자로서, 교류 전력의 (+) 극성 및 (-) 극성과, X-cap의 방전 전류의 (+) 극성 및 (-) 극성 모두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D1)가 도통하여 발광하면, 발광 다이오드(D1)의 발광에 의해 트랜지스터(Q1)가 턴 온 된다.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와 에미터는 각각 방전 회로(312)의 저항(R3) 및 저항(R5)을 통해 정류부(306)의 후단에 연결된다. 즉, 정류부(306)의 후단에 저항(R3)과 트랜지스터(Q1), 저항(R5)이 직렬 연결되는 것과 같다. 또한 정류부(306)의 후단에는 방전용의 저항(Rdis)과 트랜지스터(Q2)가 직렬 연결된다.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는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와 저항(R5) 사이에 연결된다. 또한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와 접지 사이에는 저항(R5)과 병렬로 커패시터(C3)가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류 전력 입력 라인을 통해 교류 전력이 입력되는 동안에는, 검출 회로(310)의 커패시터(C1)가 전기적으로 단락된 것과 같으므로 저항(R1)과 커패시터(C1)를 통해 전류가 흐른다. 이 전류 흐름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D1)가 도통하여 발광하고, 발광 다이오드(D1)의 발광에 의해 트랜지스터(Q1)가 턴 온 된다. 트랜지스터(Q1)가 턴 온 됨으로써 저항(R3)과 트랜지스터(Q2), 저항(R5)을 통해 전류 흐름이 발생하지만, 저항(R5)과 커패시터(C3)의 평활 작용에 의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전압이 하이 레벨이 되어 결국 트랜지스터(Q2)는 턴 온 되지 않고 오프 상태로 유지된다. 트랜지스터(Q2)가 오프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저항(Rdis)을 통한 E-cap의 방전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여기서 저항(R3)은 저항(Rdis)에 비해 상대적으로 훨씬 큰 저항 값을 갖기 때문에 교류 전력이 공급되는 동안 턴 온 되는 트랜지스터(Q1)를 통해 흐르는 전류량(즉 대기 모드에서의 전류량)은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교류 전력이 공급되는 동안 저항(R3)을 통해 흐르는 검출 전류는 그 양이 매우 적어서 그만큼 대기 모드에서의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만약 플러그(106)의 플러그-오프로 인해 교류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면 정류부(106)에 의해 블로킹 되었던 X-cap이 방전을 시작하여 검출 회로(310)에는 교류 전력 대신 직류 전력이 공급되고, 이로 인해 커패시터(C1)(C3)가 전기적으로 개방된 상태로 되어 X-cap의 방전으로 인해 흐르는 직류 전류를 차단한다. 이 때문에 트랜지스터(Q1)는 턴 오프 되고,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의 전류는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로 입력되는 방향으로 흐르게 되어 결국 트랜지스터(Q2)가 턴 온 됨으로써 X-cap의 전위가 E-cap의 전위보다 높은 시점부터 X-cap과 E-cap의 충전 전류가 저항(Rdis)을 통해 방전된다. 여기서 방전을 위한 저항(Rdis)은 전류 검출을 위한 저항(R3)에 비해 저항 값이 상대적으로 매우 작기 때문에 E-cap의 충전 전류를 매우 빠른 속도로 방전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제어 장치는, 플러그-온 상태에서 교류 전력이 입력되는 동안에는 저항 값이 상대적으로 매우 큰 저항(R3)을 통해 매우 적은 양의 전류만이 흐르기 때문에 저전력 소비 요구를 만족하고, 또 플러그-오프 시 저항 값이 상대적으로 매우 작은 저항(Rdis)을 통해 X-cap 또는 E-cap이 보다 빠른 속도로 방전하도록 함으로써 안전 규제 역시 만족함을 알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제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제어 장치는, 방전 회로부(302)의 검출 회로(310)를 구성하는 RC 직렬 회로가 하나의 저항(R1)과 하나의 커패시터(C1)만으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도 4에 나타낸 제 1 실시 예에서와 같이 두 개의 저항(R1)(R2)과 두 개의 커패시터(C1)(C2)를 이용하여 검출 회로를 구성하는 경우보다 더 적은 수의 소자만으로 회로를 구성할 수 있어서, 그만큼 부품의 수를 절감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류부(306)의 전단에 마련되는 방전 회로부(302)의 검출 회로(310)는 교류 전력 공급 라인인 라이브(Live)와 뉴트럴(Neutral) 사이에 마련되고, 정류부(306)의 후단에 마련되는 방전 회로부(302)의 방전 회로(312)는 정류부(306)의 출력 라인 사이에 마련된다. 검출 회로(310)는, 저항(R1)과 포토커플러(Photo Coupler)(402), 커패시터(C1)가 직렬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저항(R1)과 커패시터(C1)가 RC 직렬 회로를 구성한다. 포토커플러(402)는 발광 소자인 발광 다이오드(D1)와 수광 소자인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된다. 발광 다이오드(D1)는 양방향 소자로서, 교류 전력의 (+) 극성 및 (-) 극성과, X-cap의 방전 전류의 (+) 극성 및 (-) 극성 모두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D1)가 도통하여 발광하면, 발광 다이오드(D1)의 발광에 의해 트랜지스터(Q1)가 턴 온 된다.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와 에미터는 각각 방전 회로(312)의 저항(R3) 및 저항(R5)을 통해 정류부(306)의 후단에 연결된다. 즉, 정류부(306)의 후단에 저항(R3)과 트랜지스터(Q1), 저항(R5)이 직렬 연결되는 것과 같다. 또한 정류부(306)의 후단에는 방전용의 저항(Rdis)과 트랜지스터(Q2)가 직렬 연결된다.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는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와 저항(R5) 사이에 연결된다. 또한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와 접지 사이에는 저항(R5)과 병렬로 커패시터(C3)가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류 전력 입력 라인을 통해 교류 전력이 입력되는 동안에는, 검출 회로(310)의 커패시터(C1)가 전기적으로 단락된 것과 같으므로 저항(R1)과 커패시터(C1)를 통해 전류가 흐른다. 이 전류 흐름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D1)가 도통하여 발광하고, 발광 다이오드(D1)의 발광에 의해 트랜지스터(Q1)가 턴 온 된다. 트랜지스터(Q1)가 턴 온 됨으로써 저항(R3)과 트랜지스터(Q2), 저항(R5)을 통해 전류 흐름이 발생하지만, 저항(R5)과 커패시터(C3)의 평활 작용에 의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전압이 하이 레벨이 되어 결국 트랜지스터(Q2)는 턴 온 되지 않고 오프 상태로 유지된다. 트랜지스터(Q2)가 오프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저항(Rdis)을 통한 E-cap의 방전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여기서 저항(R3)은 저항(Rdis)에 비해 상대적으로 훨씬 큰 저항 값을 갖기 때문에 교류 전력이 공급되는 동안 턴 온 되는 트랜지스터(Q1)를 통해 흐르는 전류량(즉 대기 모드에서의 전류량)은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교류 전력이 공급되는 동안 저항(R3)을 통해 흐르는 검출 전류는 그 양이 매우 적어서 그만큼 대기 모드에서의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만약 플러그(106)의 플러그-오프로 인해 교류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면 정류부(106)에 의해 블로킹 되었던 X-cap이 방전을 시작하여 검출 회로(310)에는 교류 전력 대신 직류 전력이 공급되고, 이로 인해 커패시터(C1)(C3)가 전기적으로 개방된 상태로 되어 X-cap의 방전으로 인해 흐르는 직류 전류를 차단한다. 이 때문에 트랜지스터(Q1)는 턴 오프 되고,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의 전류는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로 입력되는 방향으로 흐르게 되어 결국 트랜지스터(Q2)가 턴 온 됨으로써 X-cap의 전위가 E-cap의 전위보다 높은 시점부터 X-cap과 E-cap의 충전 전류가 저항(Rdis)을 통해 방전된다. 여기서 방전을 위한 저항(Rdis)은 전류 검출을 위한 저항(R3)에 비해 저항 값이 상대적으로 매우 작기 때문에 E-cap의 충전 전류를 매우 빠른 속도로 방전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제어 장치는, 플러그-온 상태에서 교류 전력이 입력되는 동안에는 저항 값이 상대적으로 매우 큰 저항(R3)을 통해 매우 적은 양의 전류만이 흐르기 때문에 저전력 소비 요구를 만족하고, 또 플러그-오프 시 저항 값이 상대적으로 매우 작은 저항(Rdis)을 통해 X-cap 또는 E-cap이 보다 빠른 속도로 방전하도록 함으로써 안전 규제 역시 만족함을 알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제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제어 장치는, 방전 회로(312)의 트랜지스터 구조를 다단으로 분리하여 구성함으로써, 방전 저항(Rdis) 및 트랜지스터(Q2)의 설계 시 자유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류부(306)의 전단에 마련되는 방전 회로부(302)의 검출 회로(310)는 교류 전력 공급 라인인 라이브(Live)와 뉴트럴(Neutral) 사이에 마련되고, 정류부(306)의 후단에 마련되는 방전 회로부(302)의 방전 회로(312)는 정류부(306)의 출력 라인 사이에 마련된다. 검출 회로(310)는, 저항(R1)과 포토커플러(Photo Coupler)(402), 커패시터(C1)가 직렬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저항(R1)과 커패시터(C1)가 RC 직렬 회로를 구성한다. 포토커플러(402)는 발광 소자인 발광 다이오드(D1)와 수광 소자인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된다. 발광 다이오드(D1)는 양방향 소자로서, 교류 전력의 (+) 극성 및 (-) 극성과, X-cap의 방전 전류의 (+) 극성 및 (-) 극성 모두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D1)가 도통하여 발광하면, 발광 다이오드(D1)의 발광에 의해 트랜지스터(Q1)가 턴 온 된다.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와 에미터는 각각 방전 회로(312)의 저항(R3) 및 저항(R5)을 통해 정류부(306)의 후단에 연결된다. 즉, 정류부(306)의 후단에 저항(R3)과 트랜지스터(Q1), 저항(R5)이 직렬 연결되는 것과 같다. 또한 정류부(306)의 후단에는 저항(R6)과 트랜지스터(Q3)가 직렬 연결된다.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는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와 저항(R5) 사이에 연결된다. 또한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와 접지 사이에는 저항(R5)과 병렬로 커패시터(C3)가 연결된다. 또한, 정류부(306)의 후단에는 방전용의 저항(Rdis)과 트랜지스터(Q2)가 직렬 연결된다.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는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와 저항(R6) 사이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류 전력 입력 라인을 통해 교류 전력이 입력되는 동안에는, 검출 회로(310)의 커패시터(C1)가 전기적으로 단락된 것과 같으므로 저항(R1)과 커패시터(C1)를 통해 전류가 흐른다. 이 전류 흐름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D1)가 도통하여 발광하고, 발광 다이오드(D1)의 발광에 의해 트랜지스터(Q1)가 턴 온 된다. 트랜지스터(Q1)가 턴 온 됨으로써 저항(R3)과 트랜지스터(Q2), 저항(R5)을 통해 전류 흐름이 발생하지만, 저항(R5)과 커패시터(C3)의 평활 작용에 의해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 전압이 하이 레벨이 되어 트랜지스터(Q2)는 턴 온 되어 턴 온 상태로 유지된다. 트랜지스터(Q2)가 턴 온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저항(R6)을 통한 E-cap의 방전이 이루어지기는 하지만, 저항(R6)의 저항 값이 매우 크기 때문에 E-cap의 방전은 매우 느린 속도로 진행된다. 트랜지스터(Q3)가 턴 온 됨으로써,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가 접지에 연결되고, 이로써 트랜지스터(Q2)는 턴 온 되지 않아 저항(Rdis)을 통한 E-cap의 방전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여기서 저항(R3)(R6)은 저항(Rdis)에 비해 상대적으로 훨씬 큰 저항 값을 갖기 때문에 교류 전력이 공급되는 동안 턴 온 되는 트랜지스터(Q1)를 통해 흐르는 전류량(즉 대기 모드에서의 전류량)은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교류 전력이 공급되는 동안 저항(R3)을 통해 흐르는 검출 전류는 그 양이 매우 적어서 그만큼 대기 모드에서의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만약 플러그(106)의 플러그-오프로 인해 교류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면 정류부(106)에 의해 블로킹 되었던 X-cap 또는 E-cap이 방전을 시작하여 검출 회로(310)에는 교류 전력 대신 직류 전력이 공급되고, 이로 인해 커패시터(C1)(C3)가 전기적으로 개방된 상태로 되어 X-cap의 방전으로 인해 흐르는 직류 전류를 차단한다. 이 때문에 트랜지스터(Q1)는 턴 오프 되고, 트랜지스터(Q3) 역시 턴 오프 됨으로써, 저항(R6)을 통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방향으로 흐르게 되어 결국 트랜지스터(Q2)가 턴 온 됨으로써 X-cap의 전위가 E-cap의 전위보다 높은 시점부터 X-cap과 E-cap의 충전 전류가 저항(Rdis)을 통해 방전된다. 여기서 방전을 위한 저항(Rdis)은 전류 검출을 위한 저항(R3)에 비해 저항 값이 상대적으로 매우 작기 때문에 E-cap의 충전 전류를 매우 빠른 속도로 방전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제어 장치는, 플러그-온 상태에서 교류 전력이 입력되는 동안에는 저항 값이 상대적으로 매우 큰 저항(R3)을 통해 매우 적은 양의 전류만이 흐르기 때문에 저전력 소비 요구를 만족하고, 또 플러그-오프 시 저항 값이 상대적으로 매우 작은 저항(Rdis)을 통해 X-cap 또는 E-cap이 보다 빠른 속도로 방전하도록 함으로써 안전 규제 역시 만족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방전 회로의 스위치 소자인 트랜지스터(Q2)와 트랜지스터(Q3)를 다단으로 분리함으로써, 트랜지스터(Q3)의 턴 온 및 턴 오프를 위한 저항(R5) 및 커패시터(C3)의 규격과, 방전을 위한 저항(Rdis) 및 트랜지스터(Q2)의 규격을 분리하여 설계할 수 있으므로, 설계의 자유도가 증가한다.
102 : 화상 형성 장치
104 : 전원 케이블
106 : 플러그
108 : 소켓
202 : 전력 공급부
206 : 디스플레이
208 : 스피커
220 : 배지부
230 : 급지부
240 : 제어부
250 : 화상 전사부
270 : 정착부
302 : 방전 회로부
304 : EMI 필터(Electromagnetic Interference Filter)
306 : 정류부
308 : 변압기
310 : 검출 회로(방전 회로부)
312 : 방전 회로(방전 회로부)
402 : 포토커플러
D1 : 양방향 발광 다이오드
R1, R2, R3, R5, R6, Rdis : 저항
C1, C2, C3 : 커패시터
Q1 : 포토 트랜지스터
Q2, Q3 :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Claims (25)

  1. 교류 전력이 입력되는 동안 상기 교류 전력에 의해 충전되는 제 1 커패시터와;
    상기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의 출력단에 마련되는 제 2 커패시터와;
    적어도 하나의 방전 저항을 구비하고, 상기 교류 전력의 공급 및 차단에 응답하여 서로 교번하여 턴 온/턴 오프되는 제 1 스위칭부 및 제 2 스위칭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스위칭부의 턴 오프 및 상기 제 2 스위칭부의 턴 온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전 저항을 통해 상기 제 1 커패시터와 상기 제 2 커패시터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방전시키는 방전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커패시터가 상기 교류 전력이 입력되는 교류 전력 입력 라인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스위칭부는, 상기 교류 전력 입력 라인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교류 전력의 입력에 응답하여 턴 온 되고 상기 교류 전력의 차단에 응답하여 턴 오프 되는 포토커플러를 구비하는 검출 회로인 전력 제어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부가 상기 교류 전력 입력 라인에 연결되는 전력 제어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패시터가 상기 정류부의 출력단에 마련되는 전력 제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칭부는, 상기 정류부의 출력단에 직렬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전 저항과 적어도 하나의 제 1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방전 회로인 전력 제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칭부는,
    상기 교류 전력 입력 라인 사이에 상기 포토커플러와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는 RC 직렬 회로를 더 포함하는 전력 제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RC 직렬 회로는,
    상기 포토커플러의 일단에 직렬 연결되는 저항 및 커패시터와, 상기 포토커플러의 타단에 직렬 연결되는 또 다른 저항 및 커패시터로 이루어지는 전력 제어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RC 직렬 회로는,
    상기 포토커플러의 일단에 직렬 연결되는 저항 및 커패시터로 이루어지는 전력 제어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RC 직렬 회로는,
    상기 포토커플러의 일단에 직렬 연결되는 저항과, 상기 포토커플러의 타단에 직렬 연결되는 커패시터로 이루어지는 전력 제어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커플러는,
    상기 RC 직렬 회로에 연결되는 발광 소자와;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에 응답하여 턴 온 되는 수광 소자로 이루어지는 전력 제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칭부의 상기 발광 소자가 양방향 발광 다이오드인 전력 제어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칭부의 상기 수광 소자가 NPN 타입의 포토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포토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와 콜렉터가 상기 제 2 스위칭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력 제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칭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트랜지스터가 PNP 타입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에미터가 상기 방전 저항에 연결되고 콜렉터가 접지에 연결되는 전력 제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칭부는,
    상기 포토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와 상기 정류부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는 검출 저항을 더 포함하는 전력 제어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칭부는,
    상기 검출 저항의 저항 값이 상기 방전 저항의 저항 값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전력 제어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칭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와 콜렉터 사이에 RC 병렬 회로가 연결되는 전력 제어 장치.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칭부는,
    상기 포토커플러의 턴 오프에 응답하여 턴 온 됨으로써 상기 제 1 트랜지스터를 턴 온 시키도록 마련되는 제 2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전력 제어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칭부의 상기 제 2 트랜지스터가 NPN 타입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콜렉터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연결되고 에미터가 접지되는 전력 제어 장치.
  20. 교류 전력이 입력되는 동안 상기 교류 전력에 의해 충전되는 제 1 커패시터와;
    상기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의 출력단에 마련되는 제 2 커패시터와;
    적어도 하나의 방전 저항을 구비하고, 상기 교류 전력의 공급 및 차단에 응답하여 서로 교번하여 턴 온/턴 오프되는 제 1 스위칭부 및 제 2 스위칭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스위칭부의 턴 오프 및 상기 제 2 스위칭부의 턴 온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전 저항을 통해 상기 제 1 커패시터와 상기 제 2 커패시터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방전시키는 방전 회로를 포함하는 전력 제어 장치를 갖고,
    상기 제 1 커패시터가 상기 교류 전력이 입력되는 교류 전력 입력 라인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스위칭부는, 상기 교류 전력 입력 라인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교류 전력의 입력에 응답하여 턴 온 되고 상기 교류 전력의 차단에 응답하여 턴 오프 되는 포토커플러를 구비하는 검출 회로인 화상 형성 장치.
  21. 삭제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부가 상기 교류 전력 입력 라인에 연결되는 화상 형성 장치.
  23. 삭제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패시터가 상기 정류부의 출력단에 마련되는 화상 형성 장치.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칭부는, 상기 정류부의 출력단에 직렬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전 저항과 적어도 하나의 제 1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방전 회로인 화상 형성 장치.
KR1020130084343A 2013-07-17 2013-07-17 전력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43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343A KR102043771B1 (ko) 2013-07-17 2013-07-17 전력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EP14168711.1A EP2827482B1 (en) 2013-07-17 2014-05-16 Power control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lcuding the same
US14/314,213 US9484798B2 (en) 2013-07-17 2014-06-25 Power control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343A KR102043771B1 (ko) 2013-07-17 2013-07-17 전력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0046A KR20150010046A (ko) 2015-01-28
KR102043771B1 true KR102043771B1 (ko) 2019-11-13

Family

ID=50980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4343A KR102043771B1 (ko) 2013-07-17 2013-07-17 전력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484798B2 (ko)
EP (1) EP2827482B1 (ko)
KR (1) KR1020437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45348B2 (en) 2014-11-04 2019-07-09 Stmicroelectronics S.R.L. Detection circuit for an active discharge circuit of an X-capacitor, related active discharge circuit,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DK201570881A1 (da) 2015-05-26 2017-01-30 Blade Repair Solutions Ivs Fremgangsmåde til etablering af erosionsbestandig overfladedel på en vindmøllevinge, fremgangsmåde til dannelse af en erosionsbestandig belægning, vindmøllevinge med eftermonteret belægning i og omkring områder hvor vingen er særligt udsat for erosionsskader, belægning til montering på en vindmøllevinges forkant.
KR101665097B1 (ko) * 2015-09-01 2016-10-13 희성전자 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서의 전원 제어 회로
JP6932313B2 (ja) * 2018-02-27 2021-09-08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電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0770978B2 (en) * 2018-03-23 2020-09-08 Utah State University DC power supply from a constant current source
FR3097386B1 (fr) * 2019-06-17 2021-07-02 St Microelectronics Ltd Commande d'un thyrist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61522A1 (en) * 2010-12-27 2012-06-28 Lg Innotek Co., Ltd. Power suppl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957B1 (ko) * 2002-07-23 2005-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의 전원 제어장치
US8089790B2 (en) * 2007-06-13 2012-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supply input device
TWI404287B (zh) * 2009-11-20 2013-08-01 Delta Electronics Inc 可減少電源損耗之電容能量洩放電路及其電源供應電路
KR20120059129A (ko) * 2010-11-30 2012-06-08 삼성전기주식회사 Ac 방전 회로
KR101769474B1 (ko) * 2011-02-15 2017-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기기의 전력 공급 장치
KR101365602B1 (ko) * 2011-10-21 2014-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 공급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61522A1 (en) * 2010-12-27 2012-06-28 Lg Innotek Co., Ltd. Power suppl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0046A (ko) 2015-01-28
EP2827482A3 (en) 2015-08-05
US9484798B2 (en) 2016-11-01
EP2827482A2 (en) 2015-01-21
US20150023073A1 (en) 2015-01-22
EP2827482B1 (en) 2019-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3771B1 (ko) 전력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48795B1 (ko) 방전 회로, 방전 회로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전력 공급부
KR101365602B1 (ko) 전원 공급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1487054B1 (ko) 방전 회로 및 전원
TWI523359B (zh) 過電壓保護裝置及其操作方法
US20080037296A1 (en) Green-mode flyback pulse width modulation apparatus
KR20130056012A (ko) 과전압 차단 기능을 구비한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장치와 이를 이용한 과전압 차단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
US9715204B2 (en) Discharge circuit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30050157A (ko) 화상 형성 장치용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장치와 이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
JP4934479B2 (ja) 電子機器
US20160043645A1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and over power protection method thereof
JP2020188538A (ja) 電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WO2012098781A1 (ja) 電源装置
JP6334982B2 (ja) 受信装置、伝送システム、及び、受信方法
KR101213696B1 (ko) 과전압 보호 장치
JP6561321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5401045B2 (ja) 電源回路
CN107231092A (zh) 具有pwm控制器外加短路保护电路的开关电源
CN107819493B (zh) 数据通信设备
JP5124179B2 (ja) 電源装置
CN108123422B (zh) 过电压保护电路
JP656625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0017001A (ja) 多出力型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13158211A (ja) 放電回路及び放電回路を備えた電源
JP2013132211A (ja) 電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