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6871A - 하역용 운반기구 - Google Patents

하역용 운반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6871A
KR20130036871A KR1020110101075A KR20110101075A KR20130036871A KR 20130036871 A KR20130036871 A KR 20130036871A KR 1020110101075 A KR1020110101075 A KR 1020110101075A KR 20110101075 A KR20110101075 A KR 20110101075A KR 20130036871 A KR20130036871 A KR 20130036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link
frame
lift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섭
Original Assignee
안영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섭 filed Critical 안영섭
Priority to KR1020110101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6871A/ko
Publication of KR20130036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68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8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tiltably-mounted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1)을 하역하여 방향과 이동을 유도하는 바퀴(2)(3)를 구비하는 대차에 관련되며,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상기 화물(1)을 수용하도록 프레임(11)을 구비하고, 바퀴(2)(3)에 방향회전을 유도하여 운반하도록 손잡이(12)를 구비하는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의 프레임(11)상에 한 쌍의 고정대(21)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대(21)와 연동하여 화물(1)을 하역하도록 승하강시키는 리프팅유닛(20); 및 상기 본체부(10)의 프레임(11)과 리프팅유닛(20)상에 상호 맞물리도록 개재되고, 화물(1)이 승강상태에서 자동으로 고정시키는 록킹유닛(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경박 단소한 구조를 채택하면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화물의 하중이나 부피에 구애 받지 않고 적은 힘으로도 쉽고 간편하게 하역할 수 있고, 자체 하중을 최소화시켜 운반성과 이동성을 극대화시키고, 제조비용을 절감시켜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을 유도하여 소규모 현장에서도 공수에 따른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하역용 운반기구{The Cargo-working used carrier}
본 발명은 화물을 하역하여 방향과 이동을 유도하는 바퀴를 구비하는 대차에 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경박 단소한 구조를 채택하면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화물의 하중이나 부피에 구애 받지 않고 적은 힘으로도 쉽고 간편하게 하역할 수 있고, 자체 하중을 최소화시켜 운반성과 이동성을 극대화시키고, 제조비용을 절감시켜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을 유도하여 소규모 현장에서도 공수에 따른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하역용 운반기구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유통의 급속한 발전과 다양화 추세에 힘입어 한층 더 복잡하고 다양하게 변화되어 가고 있는데, 유통의 구조를 살펴보면 화물을 하역하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거치게 된다. 하역은 크게 철도, 화물자동차, 항공기 등의 화물에 대한 육운과 선박의 화물에 대한 해운으로 나눌 수가 있고 좁게는 회사 또는 공장 등의 산업현장과 백화점 또는 마트 등의 판매현장으로 나뉠 수가 있다. 종전의 하역은 거의 인력에만 의존하였으나, 대규모의 화물을 취급하는 육운과 해운에서의 하역은 각종 기계 및 컨테이너 등 기기 개발에 따른 하역 체제의 합리화가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소규모의 화물을 취급하는 산업현장이나 판매현장에서의 하역은 인력에만 의존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산업현장이나 판매현장과 같은 곳에서는 화물의 취급이 간헐적이면서 그 규모가 비교적 적기에 하역을 도모하는 지게차와 같은 기계 및 장치를 갖추기엔 이윤에 따른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다. 따라서 하역작업을 보다 쉽고 편리한 용이성을 갖추면서도 구조적으로 경박단소한 저렴한 기계 및 장치가 시급하게 필요한 실정이다.
일예로,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56374호의 "짐운반용 대차의 포크리프트장치"에 의하면, 대차틀(1)의 중간부 양측에 대향되게 한 쌍의 가이드(2) (2')를 세로로 고정하여 가이드(2)(2')의 안내홈(201)에는 상하 이동자유롭게 리프트프레이트(3)를 끼워 상기의 리프트프레이트(3)의 양측에는 하방에 포크(401) (401')를 고정한 리프트바(4)(4')를 핀(5)으로 유착하여 인장스프링(6)으로 연결하는 한편 링크(7)(7')를 핀(8)으로 유착하여 단부는 연결구(9)에 핀(10)으로 유착하고 대차틀(1)에 고정한 지주(11)에는 작동레버(12)의 긴구멍(12')을 핀(13)으로 유착하여 작동레버(12)의 일단부와 연결구(9)를 핀(14)으로 유착하고 작동레버(12)를 고정시키기 위한 걸고리(15)를 고정하여서 된 짐운반용 대차의 포크리프트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그런데, 상기한 선행특허에 의하면,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지면에 놓인 화물을 포크로 들어 올려 운반하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하여 적은 힘을 들여 누구나 손쉽게 화물을 하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하중과 부피에 따른 특정 화물에만 적용되기 때문에 활용성에 낮고,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즉, 화물을 승강하는 과정에서 포크가 회전하여 화물의 하부와 지면 사이로 인입되는 작동을 수행하기 때문에 화물의 하중이 무거우면 인입하기에 상당한 힘이 요구되고, 설령 강제적으로 인입시켜 화물을 승강시키더라도 포크로 인해 화물이 파손될 우려가 상당하다. 아울러, 화물이 놓인 지면이 모레나 흙이 아닌 시멘트와 같은 딱딱한 지면일 경우엔 포크의 회전에 의한 마찰로 인해 손상을 야기시켜 인입과정이 수평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특정 부피를 지닌 화물외에는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가 없는 폐단이 있다.
다른 일예로,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23787호의 "운반용 대차"에 의하면, 일측방향으로 개방된 결여부(10a)를 갖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결여부(10a)에서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포크리프트(20)와, 상기 프레임(10)의 후단부 양측에 각각 360°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방 바퀴(30)와, 상기 프레임(10)의 전단부 중앙에 180°이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방 바퀴(40)와, 상기 프레임(10)에서 상기 포크리프트(20)를 승강시키는 잭(50)과, 상기 왕복 이동을 통해 상기 잭(50)을 작동시키면서 상기 전방 바퀴(40)를 동기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핸들(60)을 포함하는 운반용 대차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그런데, 상기한 선행특허에 의하면, 파스칼의 원리를 이용하여 화물이 놓인 파렛트에 포크로 들어 올려 운반하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하여 적은 힘을 들여 누구나 손쉽게 화물을 하역할 수 있도록 한 장점이 있는 반면에, 유압을 이용한 장치(잭)를 장착함에 따라 하중이 증가하면서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부품에 의한 비용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즉, 유압잭은 하중이 상당히 무거운 화물도 들어 올릴 수 있는 장치이긴 하나 전반적인 비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특히, 유압잭 자체의 하중이 상당하기에 운반을 위한 이동성을 저하시키는 폐단이 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56374호 "짐운반용 대차의 포크리프트장치"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23787호 "운반용 대차"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경박 단소한 구조를 채택하면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화물의 하중이나 부피에 구애 받지 않고 적은 힘으로도 쉽고 간편하게 하역할 수 있고, 자체 하중을 최소화시켜 운반성과 이동성을 극대화시키고, 제조비용을 절감시켜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을 유도하여 소규모 현장에서도 공수에 따른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하역용 운반기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화물을 하역하여 방향과 이동을 유도하는 바퀴를 구비하는 대차에 있어서: 상기 화물을 수용하도록 프레임을 구비하고, 바퀴에 방향회전을 유도하여 운반하도록 손잡이를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프레임 상에 한 쌍의 고정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대와 연동하여 화물을 하역하도록 승하강시키는 리프팅유닛; 및 상기 본체부의 프레임과 리프팅유닛 상에 상호 맞물리도록 개재되고, 화물이 승강상태에서 자동으로 고정시키는 록킹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리프팅유닛은 고정대상에 화물의 하부를 지지하는 포크와, 상기 포크와 연결되어 화물을 승하강되게 유도하는 승강대와, 상기 승강대와 링크기구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화물을 승하강시키는 조작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리프팅유닛의 링크기구는 상기 승강대와 조작대 사이에 힌지핀에 의해 고정대와 연동되도록 연결시켜 조작대로부터 발생된 조작력을 배가시켜 화물로 전달하는 제1링크와, 상기 고정대와 승강대 사이에 회전핀에 의해 제1링크와 연동되도록 연결시켜 화물을 수직방향으로 안전하게 승하강시키는 제2링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록킹유닛은 조작대의 일단에 결합되어 걸림홈을 구비하는 고정판과 함께 본체부의 프레임 상에 회전핀에 의해 회전 가능한 후크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판에 의해 후크가 자동으로 회전하여 걸림홈에 결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하역용 운반기구는 경박 단소한 구조를 채택하면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화물의 하중이나 부피에 구애 받지 않고 적은 힘으로도 쉽고 간편하게 하역할 수 있고, 자체 하중을 최소화시켜 운반성과 이동성을 극대화시키고, 제조비용을 절감시켜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을 유도하여 소규모 현장에서도 공수에 따른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운반기구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운반기구를 다양한 각도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운반기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화물(1)을 하역하여 방향과 이동을 유도하는 바퀴(2)(3)를 구비하는 대차와 관련되며, 본체부(10), 리프팅유닛(20), 록킹유닛(30)을 주요구성으로 하는 하역용 운반기구에 관 한다.
여기서 화물(1)은 특정 형상과 부피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화물(1)이라도 하역이 가능하다. 다만, 통상의 규격화된 파렛트 또는 받침대 상에 안착된 화물(1)에 적용되지만, 이에 대해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기 때문에 힘점과 받침점 및 작용점의 거리조절을 통하여 화물(1)의 하중에 관계없이 하역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운반기구는 2개의 구동바퀴(2)와 1개의 조향바퀴(3)를 지닌 3륜 방식을 기준으로 하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10)는 상기 화물(1)을 수용하도록 프레임(11)을 구비하고, 바퀴(2)(3)에 방향회전을 유도하여 운반하도록 손잡이(12)를 구비한다. 본체부(10)는 소정의 부피를 지닌 화물(1)을 내부로 수용하도록 다수의 프레임(11)으로 이루어지고, 프레임(11)의 하부에 지면으로부터 구름운동 가능하도록 구동바퀴(2)와 조향바퀴(3)를 각각 구비한다. 즉,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프레임(11)은 화물(1)을 내부로 수용하도록 전방이 개구된 ㄷ형으로 형성되고, 양측에 구동바퀴(2)를 구비하면서 후측에 조향바퀴(3)를 구비한다.
여기서, 구동바퀴(2)와 조향바퀴(3)를 기준으로 전측과 후측으로 구분할 때, 조향바퀴(3)가 위치하는 후측에 사용자가 방향 및 이동을 위한 손잡이(12)를 구비한다. 손잡이(12)이는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조작하도록 신체의 가장 적합한 위치에 구비하고, 보다 용이한 조작력이 전달되도록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형태이다. 여기서 손잡이(12)는 구동바퀴(2)의 구름력을 조작(정지)할 수 있는 브레이크 레버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당업자라면 보다 향상된 안정성을 위해 구동바퀴(2)상에 브레이크장치를 구성하고 이를 조작하기 위한 레버를 손잡이(12)에 장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유닛(20)은 상기 본체부(10)의 프레임(11)상에 한 쌍의 고정대(21)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대(21)와 연동하여 화물(1)을 하역하도록 승하강시킨다. 리프팅유닛(20)은 화물(1)을 하역하도록 승하강시키는 것으로, 본체부(10)의 프레임(11)상에 한 쌍의 고정대(21)를 구비한다.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고정대(21)는 프레임(11)의 상단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게 구비하여 화물(1)을 승하강시켜 하역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즉, 고정대(21)는 화물(1)을 승하강되도록 유도하기 때문에 화물(1)의 하중을 고스란히 전달받는다. 따라서 고정대(21)는 구동바퀴(2)가 위치하는 프레임(11)측으로 각각 구비하여 하중을 분산되도록 구비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리프팅유닛(20)은 고정대(21)상에 화물(1)의 하부를 지지하는 포크(22)와, 상기 포크(22)와 연결되어 화물(1)을 승하강되게 유도하는 승강대(23)와, 상기 승강대(23)와 링크기구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화물을 승하강시키는 조작대(25)를 구비한다. 리프팅유닛(20)은 고정대(21)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화물(1)을 승하강시키는 것으로, 화물(1)을 지지하는 포크(22)와, 화물(1)을 승하강되게 유도하는 승강대(23)와, 사용자의 조작력을 부여받는 조작대(25)와, 사용자의 조작력을 전달하는 링크기구로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포크(22)는 화물(1)을 안착하는 통상의 파렛트 또는 받침대와 지면의 공간 사이에 인입되어 화물(1)을 승하강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규격화된 파렛트 또는 받침대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프레임(11)의 전측으로 각각 구비하고, 승강대(23)는 포크(22)의 일단과 ㄴ형을 이루도록 일체로 연결되어 포크(22)를 승하강되도록 한다. 조작대(25)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본체부(10)의 후측으로 연장되게 구비하여 사용자의 조작력을 부여받아 화물(1)을 승하강되도록 하고, 링크기구는 승강대(23)와 조작대(25) 사이에 고정대(21)와 연동되도록 연결되어 조작대(25)로부터 발생한 사용자의 조작력을 승강대(23)로 전달한다.
한편, 조작대(25)는 본체부(10)로부터 일방향의 인장력을 부여하는 스프링(25a)과 연결되어 지속적인 승강상태를 유지한다. 즉, 사용자가 조작대(25)를 하측으로 조작력을 부여하면, 링크기구가 조작대(25)로부터 발생한 조작력을 승강대(23)로 전달하여 포크(22)를 승강시키고, 조작력을 해제하면 스프링(25a)에 의해 상승되어 포크(22)를 하강시킨다. 물론, 화물(1)과 함께 포크(22) 및 승강대(23)의 자체적인 하중에 의해 별도의 스프링(25a)을 장착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리프팅유닛(20)의 링크기구는 상기 승강대(23)와 조작대(25) 사이에 힌지핀(26a)(26b)에 의해 고정대(21)와 연동되도록 연결시켜 조작대(25)로부터 발생된 조작력을 배가시켜 화물(1)로 전달하는 제1링크(26)와, 상기 고정대(21)와 승강대(23) 사이에 회전핀(27a)(27b)에 의해 제1링크(26)와 연동되도록 연결시켜 화물(1)을 수직방향으로 안전하게 승하강시키는 제2링크(27)를 구비한다.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리프팅유닛(20)의 링크기구는 승강대(23)와 조작대(25) 사이에 고정대(21)와 연동하도록 연결된 것으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조작력을 배가시키면서 화물(1)을 수직방향으로 안전하게 승하강되게 유도하는 제1링크(26)와 제2링크(27)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링크(26)는 승강대(23)와 조작대(25) 사이에 고정대(21)와 연동되도록 힌지핀(26a)(26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제1링크(26)의 일단엔 승강대(23)와 힌지핀(26a)으로 연결되고, 타단엔 고정대(21)와 힌지핀(26b)으로 연결됨과 함께 조작대(25)가 일체로 연결된다. 이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대(25)가 하강하게 되면, 고정대(21)의 힌지핀(26b)을 기준으로 제1링크(26)가 회전하게 되고, 힌지핀(26a)에 의해 승강대(23)가 수직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처럼 제1링크(26)는 지렛대의 원리가 적용된 것으로, 조작대(25)는 힘점이 되고, 고정대(21)는 받침점이 되며 승강대(23)는 작용점이 된다. 즉, 사용자가 조작대(25)상으로 소정의 조작력을 부가하면 제1링크(26)의 지렛대원리를 통하여 승강대(23)의 조작력을 수배 이상으로 배가시켜 준다.
그리고 제2링크(27)는 제1링크(26)의 하단에 고정대(21)와 승강대(23) 사이에 제1링크(26)와 연동되도록 회전핀(27a)(27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제1링크(26)와 같이, 제2링크(27)의 일단엔 승강대(23)와 회전핀(27a)으로 연결되고, 타단엔 고정대(21)와 회전핀(27b)으로 연결된다. 이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대(25)가 하강하게 되면, 제1링크(26)에 의해 승강대(23)가 상승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고정대(21)의 회전핀(27b)을 기준으로 회전핀(27a)에 의해 제2링크(27)가 회전하게 된다. 이처럼 제2링크(27)는 제1링크(26)와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동일하게 회전하여 승강대(23)를 수직방향으로 안전하게 승하강 시켜준다.
한편, 제2링크(27)를 구비하지 않고 제1링크(26)만을 단독으로 사용이 가능하지만, 이러한 경우 힌지핀(26a)에 의해 승강대(23)가 회전되어 포크(22)의 일단이 지면과 슬립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특히, 화물(1)을 승강시킨 상태에서 이동중 정지하게 되면 가속도에 의해 포크(22)로부터 화물(1)이 이탈되어 안전상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물론, 제2링크(27)를 대신하여 승강대(23)를 직선 운동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를 구비할 수도 있으나 제1링크(26)의 회전반경으로 인해 승강대(23)가 미세 간격으로 이격됨에 따라 제1링크(26)와 연동되지 않는 부적합한 구조이다. 따라서 제2링크(27)는 제1링크(26)와 연동하여 승강대(23)를 직선 운동되도록 유도하는 매우 중요한 필수요소 중에 하나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록킹유닛(30)은 상기 본체부(10)의 프레임(11)과 리프팅유닛(20)상에 상호 맞물리도록 개재되고, 화물(1)이 승강상태에서 자동으로 고정시킨다. 록킹유닛(30)은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원터치 방식으로 화물(1)이 승강상태에서 자동으로 고정시킴과 함께 화물(1)을 복귀되도록 해제시킨다.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록킹유닛(30)은 본체부(10)의 손잡이(12)가 위치하는 후측 프레임(11)과 리프팅유닛(20)의 조작대(25)가 상호 맞물리도록 각각 구비한다. 즉, 조작대(25)가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하강한 상태가 되면 자동으로 록킹유닛(30)에 의해 화물(1)을 지속적인 승강상태로 고정시켜주고 이 상태에서 조작대(25)를 다시 하강시키면 자동으로 화물(1)을 하강상태로 복귀시켜 준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록킹유닛(30)은 조작대(25)의 일단에 결합되어 걸림홈(31a)을 구비하는 고정판(31)과 함께 본체부(10)의 프레임(11)상에 회전핀(32a)에 의해 회전 가능한 후크(32)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판(31)에 의해 후크(32)가 자동으로 회전하여 걸림홈(31a)에 결착되어 고정된다. 록킹유닛(30)은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원터치 방식으로 화물(1)이 승강상태에서 자동으로 고정시킴과 함께 화물(1)을 하강되도록 복귀시키는 것으로, 본체부(10)의 손잡이(12)가 위치하는 후측 프레임(11)과 리프팅유닛(20)의 조작대(25)가 상호 맞물리도록 각각 구비한다.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록킹유닛(30)은 원터치 방식이 적용되도록 조작대(25)와 프레임(11)상에 고정판(31)과 후크(32)를 각각 구비한다.
그리고 고정판(31)은 사용자가 조작력을 충분히 받을 수 있는 면적을 지니도록 형성되고, 중앙에는 관통된 걸림홈(31a)을 구비하는 것으로, 조작대(25)의 일단에 완전히 고정되도록 일체로 구비한다. 후크(32)는 일단에 걸고리(32b)를 지니면서 타단에 작동편(32c)을 지니는 V형으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회전핀(32a)에 의해 프레임(11)상에서 회전되도록 구비한다. 이때, 후크(32)는 프레임(11)상에서 걸고리(32b)의 자체적인 중력에 의해 회전핀(32a)을 중심으로 걸고리(32b)측 방향으로 지속적인 회전상태를 지닌다.
도 4 및 도 5를 이용하여 작동에 있어서, 조작대(25)가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하강하게 되면 고정판(31)의 걸림홈(31a)상으로 후크(32)가 인입됨과 함께 후크(32)의 작동편(32c)을 가압하게 되어 회전핀(32a)을 중심으로 작동편(32c)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걸고리(32b)가 걸림홈(31a)에 맞물리게 되어 조작대(25)상에 사용자의 조작력을 부여하지 않아도 지속적으로 하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조작대(25)를 다시 하강시키면 후크(32)는 걸고리(32b)의 자체적인 중력에 의해 회전핀(32a)을 중심으로 걸고리(32b)측 방향으로 회전되어 걸림홈(31a)으로부터 이탈되고 조작대(25)를 초기상태인 승강상태로 복귀시킨다. 물론, 조작대(25)를 하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고정판(31)을 한계범위까지 완전히 하강시켜야 되고, 조작대(25)를 승강상태로 복귀하기 위해서는 고정판(31)을 초기 또는 중간범위 내로 하강시켜야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경박 단소한 구조를 채택하면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화물의 하중이나 부피에 구애 받지 않고 적은 힘으로도 쉽고 간편하게 하역할 수 있고, 자체 하중을 최소화시켜 운반성과 이동성을 극대화시키고, 제조비용을 절감시켜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을 유도하여 소규모 현장에서도 공수에 따른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화물 2,3: 바퀴
10: 본체부 11: 프레임
12: 손잡이 20: 리프팅유닛
21: 고정대 22: 포크
23: 승강대 25: 조작대
25a: 스프링 26: 제1링크
26a,26b: 힌지핀 27: 제2링크
27a,27b: 회전핀 30: 록킹유닛
31: 고정판 31a: 걸림홈
32: 후크 32a: 회전핀
32b: 걸고리 32c: 작동편

Claims (4)

  1. 화물(1)을 하역하여 방향과 이동을 유도하는 바퀴(2)(3)를 구비하는 대차에 있어서:
    상기 화물(1)을 수용하도록 프레임(11)을 구비하고, 바퀴(2)(3)에 방향회전을 유도하여 운반하도록 손잡이(12)를 구비하는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의 프레임(11)상에 한 쌍의 고정대(21)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대(21)와 연동하여 화물(1)을 하역하도록 승하강시키는 리프팅유닛(20); 및
    상기 본체부(10)의 프레임(11)과 리프팅유닛(20)상에 상호 맞물리도록 개재되고, 화물(1)이 승강상태에서 자동으로 고정시키는 록킹유닛(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용 운반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유닛(20)은 고정대(21) 상에 화물(1)의 하부를 지지하는 포크(22)와, 상기 포크(22)와 연결되어 화물(1)을 승하강되게 유도하는 승강대(23)와, 상기 승강대(23)와 링크기구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화물(1)을 승하강시키는 조작대(2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용 운반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유닛(20)의 링크기구는 상기 승강대(23)와 조작대(25) 사이에 힌지핀(26a)(26b)에 의해 고정대(21)와 연동되도록 연결시켜 조작대(25)로부터 발생된 조작력을 배가시켜 화물(1)로 전달하는 제1링크(26)와, 상기 고정대(21)와 승강대(23) 사이에 회전핀(27a)(27b)에 의해 제1링크(26)와 연동되도록 연결시켜 화물(1)을 수직방향으로 안전하게 승하강시키는 제2링크(2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용 운반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유닛(30)은 조작대(25)의 일단에 결합되어 걸림홈(31a)을 구비하는 고정판(31)과 함께 본체부(10)의 프레임(11)상에 회전핀(32a)에 의해 회전 가능한 후크(32)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판(31)에 의해 후크(32)가 자동으로 회전하여 걸림홈(31a)에 결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용 운반기구.
KR1020110101075A 2011-10-05 2011-10-05 하역용 운반기구 KR201300368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075A KR20130036871A (ko) 2011-10-05 2011-10-05 하역용 운반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075A KR20130036871A (ko) 2011-10-05 2011-10-05 하역용 운반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6871A true KR20130036871A (ko) 2013-04-15

Family

ID=48438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075A KR20130036871A (ko) 2011-10-05 2011-10-05 하역용 운반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687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067B1 (ko) * 2014-07-10 2014-09-17 이장섭 가루물질 운반을 위한 커버를 포함하는 벽돌 운반용 손수레
CN108297915A (zh) * 2018-03-22 2018-07-20 江苏农林职业技术学院 一种可调节周转车
CN110027597A (zh) * 2019-03-12 2019-07-19 顺丰科技有限公司 一种联挂装置及应用该联挂装置的笼车联挂***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067B1 (ko) * 2014-07-10 2014-09-17 이장섭 가루물질 운반을 위한 커버를 포함하는 벽돌 운반용 손수레
CN108297915A (zh) * 2018-03-22 2018-07-20 江苏农林职业技术学院 一种可调节周转车
KR20200123801A (ko) * 2018-03-22 2020-10-30 지앙수 보케이셔널 칼리지 오브 애그리컬쳐 앤드 포레스트리 조절 가능한 턴오버 카
CN110027597A (zh) * 2019-03-12 2019-07-19 顺丰科技有限公司 一种联挂装置及应用该联挂装置的笼车联挂***
CN110027597B (zh) * 2019-03-12 2024-02-02 顺丰科技有限公司 一种联挂装置及应用该联挂装置的笼车联挂***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3567905U (zh) 一种配备传输机构的仓储搬运小车
US8306706B2 (en) Storage container loading/unloading and transporting apparatus
JP2008266011A (ja) 微小昇降積載台を具えたドーリと立体収納棚
KR20130036871A (ko) 하역용 운반기구
TW202313443A (zh) 氣體容器搬送用台車
JPH11130268A (ja) フォーク移動式荷役装置及び荷役方法
CN205366790U (zh) 移动式悬臂货架
CN112477944A (zh) 一种用于房建的物料搬运小车
CN204116057U (zh) 一种小型叉车稳定性试验台
CN104891084B (zh) 可移动式托盘
CN207732338U (zh) 一种变电站柜体安装手推架
CN205294749U (zh) 阳极挂具升降装置
CN102336207A (zh) 一种能越过障碍的手动搬运小车
CN212639806U (zh) 一种起重升降机
JP6587876B2 (ja) 荷役装置
CN211521458U (zh) 一种叉车平台的升降改进装置
KR20170001825U (ko) 중대형 전장장비 설치용 리프트장치
KR20100000909U (ko) 대형 파이프 이송 대차
CN212174373U (zh) 一种智能剪叉式全自动高升程搬运车
CN205344971U (zh) 一种高稳定性的手动液压物流车
CN210029665U (zh) 一种建筑装修用物料提升装置
CN212198382U (zh) 一种带有光感仪的高升程搬运车
JP3050678U (ja) フォーク移動式荷役装置
CN216784628U (zh) 一种物流运输装置
CN211075975U (zh) 一种邮轮码头用运输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1128

Effective date: 2014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