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5038A - 벽돌 운반용 손수레 - Google Patents

벽돌 운반용 손수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5038A
KR20130035038A KR1020110099259A KR20110099259A KR20130035038A KR 20130035038 A KR20130035038 A KR 20130035038A KR 1020110099259 A KR1020110099259 A KR 1020110099259A KR 20110099259 A KR20110099259 A KR 20110099259A KR 20130035038 A KR20130035038 A KR 20130035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ck
rod
rotation
insertion rod
bri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9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노경
박기완
강신종
Original Assignee
박노경
박기완
강신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노경, 박기완, 강신종 filed Critical 박노경
Priority to KR1020110099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5038A/ko
Publication of KR20130035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50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 B62B1/14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62B1/145Unloading equipment for pushing the load from the carrier plat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0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wheel axis is disposed between the load and the handles
    • B62B1/06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wheel axis is disposed between the load and the handles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62Tiles, bricks, paving slab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70Comprising means for facilitating loading or unlo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벽돌 운반용 손수레가 개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벽돌 운반용 손수레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측면 부재와 이에 연결되어 벽돌을 수용하도록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후면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측면 부재 하단부에 관통된 형상의 제1 및 제2 관통봉이 각각 구비되는 채널 형상의 몸체; 상기 제1 및 제2 관통봉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되 각각 분리 가능하도록 복수로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 삽입봉; 상기 제1 및 제2 삽입봉의 전단부를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상기 수용 공간에 적재된 벽돌을 지지하는 전방 지지부; 상기 후면 부재에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상기 수용 공간에 적재된 벽돌을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 및 상기 측면 부재 및 상기 후면 부재에 구비되되 상기 제1 및 제2 삽입봉을 이동시켜 상기 전방 지지부 및 상기 후방 지지부를 힌지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전방 지지부가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후방 지지부를 구비함으로써, 복수 벽돌 사이에 크기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적재된 복수의 벽돌을 보다 안정적으로 하역 장소로 이동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적재시 상태와 같이 정렬된 상대로 쉽게 하역할 수 있다.

Description

벽돌 운반용 손수레{CART FOR BRICK TRANSFORTATION}
본 발명은, 벽돌 운반용 손수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렬된 상태로 적재된 복수의 벽돌을 보다 안정적으로 하역 장소로 이동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적재시 상태와 같이 정렬된 상태로 쉽게 하역할 수 있는 벽돌 운반용 손수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돌 운반용 손수레는 벽돌 제조 공장이나 건설 현상 등에서 벽돌을 실어 나르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종래의 벽돌 운반용 손수레는 벽돌을 탑재할 수 있는 몸체와, 몸체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퀴와, 그리고 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특히, 종래의 벽돌 운반용 손수레는 상기 구성에서 알 수 있듯이 물건을 운반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손수레들과 그 구성을 같이 한다고 보아도 무관할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벽돌 운반용 손수레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벽돌을 운반하게 된다. 먼저, 출발 장소에서 필요한 수의 벽돌을 몸체에 작은 단위로 여러 번 탑재하고, 손잡이로 몸체를 끌어 하역 장소인 도착 장소로 이동시킨 후, 도착 장소에 이르면 몸체로부터 작은 단위로 벽돌을 여러 번 꺼내면서 하역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벽돌 운반용 손수레는 벽돌을 하역하는 과정에서, 몸체로부터 벽돌을 작은 단위로 여러 번 꺼내게 되므로 벽돌 하역 시간이 많이 걸릴 수 있다. 특히, 건설 현장에서 벽돌 하역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의미는 전체 공기가 지연되는 큰 문제를 의미할 수 있다.
만약, 벽돌 하역 시간을 줄이기 위해 벽돌을 하역하는 과정에서, 손수레를 뒤집어 몸체로부터 벽돌을 바닥에 한꺼번에 쏟아 버릴 경우, 벽돌이 깨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뿐만 아니라, 흩어진 벽돌을 다시 정렬해야 하므로 정렬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어 전체 공기가 또한 지연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래의 특허문헌 1인 한국 등록특허 제10-0947994호(2010. 03. 09 등록)와 특허문헌 2인 한국 공개특허 제2010-0095935호(2010. 09. 01 공개)가 개시된 바 있으나, 이 또한 가지런히 적재된 상태의 벽돌을 정렬된 상태로 작업장 바닥에 하역하는 것이 힘든 문제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종래 벽돌 운반용 손수레는 벽돌 제조시 발생하는 복수 벽돌의 크기 오차에 따라 벽돌 하역시 벽돌이 일측으로 치우쳐서 벽돌을 정렬된 상태로 하역하기가 힘든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정렬된 상태로 적재된 복수의 벽돌을 보다 안정적으로 하역 장소로 이동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적재시 상태와 같이 정렬된 상태로 쉽게 하역할 수 있는 벽돌 운반용 손수레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947994호(2010. 03. 09 등록) 한국 공개특허 제2010-0095935호(2010. 09. 01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방 지지부가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후방 지지부를 구비함으로써, 복수 벽돌 사이에 크기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적재된 복수의 벽돌을 보다 안정적으로 하역 장소로 이동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적재시 상태와 같이 정렬된 상대로 쉽게 하역할 수 있는 벽돌 운반용 손수레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벽돌 하역 작업이 완료된 경우, 벽돌의 하측 후방부를 지지하는 구성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위치 복원되도록 하는 벽돌 운반용 손수레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적재된 벽돌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하여 안정적으로 하역 장소로 이동할 수 있는 벽돌 운반용 손수레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벽돌의 운반 및 적재 과정 중 손수레가 후방으로 넘어간 경우, 충격에 의해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벽돌 운반용 손수레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작업자의 인력이 아닌 전기적인 힘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벽돌 운반용 손수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측면 부재와 이에 연결되어 벽돌을 수용하도록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후면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측면 부재 하단부에 관통된 형상의 제1 및 제2 관통봉이 각각 구비되는 채널 형상의 몸체; 상기 제1 및 제2 관통봉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되 각각 분리 가능하도록 복수로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 삽입봉; 상기 제1 및 제2 삽입봉의 전단부를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상기 수용 공간에 적재된 벽돌을 지지하는 전방 지지부; 상기 후면 부재에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상기 수용 공간에 적재된 벽돌을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 및 상기 측면 부재 및 상기 후면 부재에 구비되되 상기 제1 및 제2 삽입봉을 이동시켜 상기 전방 지지부 및 상기 후방 지지부를 힌지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는 벽돌 운반용 손수레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관통봉에는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각각 걸림구가 구비되며, 상기 전방 지지부의 양단에는 상기 걸림구에 걸리는 걸림고리가 구비되되, 상기 걸림고리는, 상기 회전 구동부의 동작 정지시 상기 걸림구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회전 구동부의 구동시 상기 제1 및 제2 삽입봉의 이동에 의해 상기 걸림구로부터 걸림 해제되며, 상기 전방 지지부는 상기 걸림고리의 걸림 해제에 의해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 대해 힌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측면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바; 상기 핸들바에 일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후면 부재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핸들바의 회전에 따라 동시에 회전하는 회전 지지봉; 상기 회전 지지봉의 일단부와 상기 제1 삽입봉을 연결하는 제1 연결바; 및 상기 회전 지지봉의 타단부와 상기 제2 삽입봉을 연결하는 제2 연결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지지봉에는, 상기 핸들바의 회전시 상기 벽돌의 자중에 의해 상기 후방 지지부의 회전을 유도하도록 회전유도봉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 지지부에는, 상기 회전 지지봉의 회전시 상기 회전유도봉에 접촉하도록 걸림판이 구비되며, 상기 후방 지지부는, 상기 회전유도봉과 상기 걸림판의 접촉이 해제되는 경우 초기 상태로 회전하도록 토션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 삽입봉은, 상기 제1 연결바에 연결되는 제1 후방 삽입봉과,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제1 전방 삽입봉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삽입봉은, 상기 제2 연결바에 연결되는 제2 후방 삽입봉과,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제2 전방 삽입봉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후방 삽입봉과 상기 제2 후방 삽입봉에는, 전방 영역에 보조 걸림홈이 형성된 보조 걸림고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걸림고리에는 상기 보조 걸림홈이 걸림 가능하도록 보조 걸림구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 부재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메인 이동바퀴; 및 상기 후면 부재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보조바에 회전하게 설치되는 안전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면 부재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동력을 상기 회전축으로 전달하여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온오프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벽돌 운반용 손수레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전방 지지부가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후방 지지부를 구비함으로써, 복수 벽돌 사이에 크기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적재된 복수의 벽돌을 보다 안정적으로 하역 장소로 이동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적재시 상태와 같이 정렬된 상대로 쉽게 하역할 수 있다.
둘째, 후방 지지부가 토션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벽돌 하역 작업이 완료된 경우, 탄성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위치 복원되도록 할 수 있다.
셋째, 걸림고리, 보조 걸림고리, 걸림구, 보조 걸림구를 구비함으로써, 적재된 벽돌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하여 안정적으로 하역 장소로 이동할 수 있다.
넷째, 안전바퀴를 더 구비함으로써, 벽돌의 운반 및 적재 과정 중 손수레가 후방으로 넘어간 경우, 충격에 의해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구동모터를 추가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작업자의 인력이 아닌 전기적인 힘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손수레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벽돌 운반용 손수레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벽돌이 적재된 상태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벽돌 운반용 손수레에 벽돌이 일부 적재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일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벽돌 운반용 손수레에서 특징적인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핸들바의 작동에 의한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벽돌 운반용 손수레에서 벽돌이 하역된 후 전방 지지부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에 안전바퀴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에 구동모터, 동력전달부, 스위치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벽돌 운반용 손수레의 특징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서 보조 걸림고리가 상측으로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4에서 핸들바의 작동에 의한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벽돌 운반용 손수레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벽돌이 적재된 상태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벽돌 운반용 손수레에 벽돌이 일부 적재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일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벽돌 운반용 손수레에서 특징적인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서 핸들바의 작동에 의한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측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벽돌 운반용 손수레에서 벽돌이 하역된 후 전방 지지부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벽돌 운반용 손수레(이하, '손수레'라 한다)는 벽돌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벽돌의 하역 작업시 벽돌을 가지런히 정렬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하역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종래기술에 개시된 기술과 달리 벽돌의 제조시 발생하는 크기 오차에 대응하여 벽돌과 벽돌에 인접한 주변 구성물과의 사이 거리를 쉽게 조절하여 최소화함으로써, 벽돌의 운반 및 하역시 전체 적재된 벽돌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측면 부재(110)와 이에 연결되어 벽돌을 수용하도록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후면 부재(120)를 구비하며, 한 쌍의 측면 부재(110) 하단부에 관통된 형상의 제1 및 제2 관통봉(130,140)이 각각 구비되는 채널 형상의 몸체(100), 제1 및 제2 관통봉(130,14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되 각각 분리 가능하도록 복수로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 삽입봉(200,300), 제1 및 제2 삽입봉(200,300)의 전단부를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400), 연결 플레이트(400)에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수용 공간에 적재된 벽돌을 지지하는 전방 지지부(500), 후면 부재(120)에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수용 공간에 적재된 벽돌을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600), 측면 부재(110) 및 후면 부재(120)에 구비되되 제1 및 제2 삽입봉(200,300)을 이동시켜 전방 지지부(500) 및 후방 지지부(600)를 힌지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700)를 포함한다.
먼저, 몸체(100)는 한 쌍의 측면 부재(110)와 후면 부재(120)를 구비하는 채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내측 공간에 벽돌을 적재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마련된다. 여기서, 측면 부재(110)와 후면 부재(120)는 벽돌의 중량을 충분히 지지 가능한 정도의 강성을 갖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면 부재(110)의 하단부에는 제1 및 제2 관통봉(130,140)이 각각 용접을 통해 고정 설치된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삽입봉(200,300)은 각각 복수로 이루어져 제1 및 제2 관통봉(130,140)의 내부에 각각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제1 및 제2 삽입봉(200,300)의 전후 이동에 의해 실질적으로 벽돌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전방 지지부(500)의 동작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제1 삽입봉(200)은, 후술하는 제1 연결바(730)의 단부와 연결되는 제1 후방 삽입봉(220)과, 연결 플레이트(400)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1 전방 삽입봉(210)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제2 삽입봉(300)은, 후술하는 제2 연결바(740)의 단부와 연결되는 제2 후방 삽입봉(320)과, 연결 플레이트(400)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2 전방 삽입봉(31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전방 삽입봉(210)과 제2 전방 삽입봉(310)은, 각각 제1 관통봉(130)과 제2 관통봉(140) 내측에서 제1 후방 삽입봉(220) 및 제2 후방 삽입봉(320)의 단부와 접촉하는 상태를 가지며, 필요에 따라 제1 관통봉(130)과 제2 관통봉(140)으로부터 이탈도 가능하다. 한편, 전방 지지부(500)에 의해 벽돌이 지지되거나 벽돌이 작업장 바닥으로 하역되는 것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연결 플레이트(400)는 제1 및 제2 삽입봉(200,300)의 전단부, 구체적으로 제1 전방 삽입봉(210) 및 제2 전방 삽입봉(310)의 단부에 용접을 통해 고정된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회전 구동부(700)의 동작에 의해 제1 및 제2 삽입봉(200,300)이 전후 이동할 때 연결 플레이트(400) 또한 동시에 이동 가능하다.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지지부(500)는 수용 공간에 복수 층으로 적재된 벽돌의 전방 하측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연결 플레이트(400)에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전방 지지부(50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면에는 회전편(510)이 용접을 통해 고정된다. 이러한 회전편(510)은 연결 플레이트(400)에 형성된 지지편(5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지지부(500)의 양단에는 걸림고리(530)가 형성되며, 제1 및 제2 관통봉(130,140)에는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각각 걸림구(150)가 구비된다. 걸림구(150)와 걸림고리(530)의 결합 관계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지지부(600)는, 전방 지지부(500)와 유사하게 적재된 벽돌의 후방 하측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후면 부재(120)의 하단부에 용접된 고정링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봉(610), 회전봉(610)에 일체로 용접된 후방 지지판(620)을 포함한다.
여기서, 후방 지지판(620)에는 복수의 걸림판(630)이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판(630)은, 후술하는 회전 지지봉(720)의 회전에 따라 회전유도봉(721)에 접촉 또는 비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이러한 접촉 및 비접촉에 의해 후방 지지판(620)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후방 지지부(6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유도봉(721)과의 상호 접촉 유무에 따라 회전 가능 또는 불가한 상태를 가지며, 일 예로 회전유도봉(721)과 걸림판(630)의 접촉이 해제되는 경우 초기 상태로 회전하도록 토션 스프링(64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전술한 결합 및 동작 관계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 부재(110) 및 후면 부재(120)에 구비되되 제1 및 제2 삽입봉(200,300)을 이동시켜 전방 지지부(500) 및 후방 지지부(600)를 힌지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700)를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구동부(700)는, 측면 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바(710), 핸들바(710)에 일단부가 연결되며 후면 부재(120)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핸들바(710)의 회전에 따라 동시에 회전하는 회전 지지봉(720), 회전 지지봉(720)의 일단부와 제1 삽입봉(200), 구체적으로 제1 후방 삽입봉(220)을 연결하는 제1 연결바(730), 회전 지지봉(720)의 타단부와 제2 삽입봉(300), 구체적으로 제2 후방 삽입봉(320)을 연결하는 제2 연결바(74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핸들바(710)는 한 쌍의 측면 부재(110) 중 어느 하나의 측면 부재(1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몸체(100) 내에 벽돌이 적재된 상태에서 핸들바(710)는 측면 부재(110)에 형성된 브래킷에 결합핀(미도시)을 통해 회전 불가하도록 고정 가능하며, 벽돌 하역 작업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핸들바(71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핀은 결합 해제된다.
회전 지지봉(720)은 후면 부재(120)에 고정 설치된 복수의 베어링(75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부연하자면, 회전 지지봉(720)의 일단부는 핸들바(710)의 하부 영역에 일체 또는 핸들바의 회전시 동시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또한, 회전 지지봉(720)의 타단부는 핸들바(71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연결바(730)는 회전 지지봉(720)의 일단부와 제1 후방 삽입봉(220)을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제2 연결바(740)는 회전 지지봉(720)의 타단부와 제2 후방 삽입봉(320)을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연결바(730,740)는 각각 제1 및 제2 후방 삽입봉(220,320)에 핀 결합 방식 등을 통해 연결 가능하다.
즉,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핸들바(710)를 후방으로 회전시키면 제1 연결바(730)의 동작에 의해 제1 후방 삽입봉(220)은 제1 관통봉(130)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1 전방 삽입봉(210)을 전방으로 밀게 된다. 또한, 회전 지지봉(720)은 핸들바(710)의 회전에 연동하여 베어링(750)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되며, 이와 동시에 제2 연결바(740)의 동작에 의해 마찬가지로 제2 후방 삽입봉(320)은 제2 관통봉(140)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2 전방 삽입봉(310)을 전방으로 밀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전방 삽입봉(210,310)의 전방 단부에는 연결 플레이트(400)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 삽입봉(200,300)의 전방 이동시에 연결 플레이트(400) 또한 일정 거리 만큼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바(710)가 회전하지 않고 초기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전방 지지부(500)의 양단에 구비된 걸림고리(530)는, 걸림구(150)에 걸린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에, 적재된 벽돌을 하역하고자 작업자가 핸들바(710)를 후방으로 회전시킨 경우, 제1 및 제2 삽입봉(200,300)의 전방 이동에 의해 걸림고리(530)는 걸림구(150)로부터 걸림 해제된다. 이때, 플레이트 형상의 전방 지지부(500)는 자중에 의해 연결 플레이트(400)에 대해 하측 방향으로 힌지 회전하여 벽돌이 지면으로 낙하하도록 하게 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걸림고리(530)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소면적부와 이에 일체로 형성되는 대면적부로 구성되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및 제2 삽입봉(200,300)의 전방 이동에 의해 걸림구(150)에 대한 걸림 해제가 가능하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회전 지지봉(720)에는, 핸들바(710)의 회전시 벽돌의 자중에 의해 후방 지지부(600)의 회전을 유도하도록 회전유도봉(721)이 형성된다.
후방 지지부(600)에는 회전 지지봉(720)의 회전시 회전유도봉(721)에 접촉하도록 걸림판(630)이 일체로 구비되며, 일 예로 핸들바(710)가 회전하지 않은 경우, 즉 벽돌이 전방 지지부(500) 및 후방 지지부(600)에 의해 하측에서 지지되는 경우 회전유도봉(721)은 걸림판(630)에 접촉된(걸림된) 상태를 유지하여 후방 지지부(600)의 회전을 제한하게 된다.
반면에, 작업자가 핸들바(710)를 회전시키면 회전 지지봉(720)의 회전에 의해 회전유도봉(721)과 걸림판(630)의 접촉 상태가 해제되어 즉, 회전유도봉(721)과 걸림판(630) 사이에 일정 이상의 이격 거리가 형성됨으로써 후방 지지판(620)은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며, 구체적으로 적재된 벽돌의 하중에 의해 회전하여 벽돌의 지면 낙하를 가능하게 한다.
덧붙여,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으로부터 후방 지지판(620)으로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후방 지지판(620)은 전술한 토션 스프링(640)의 탄성 복원에 의해 초기 위치로 회전한다. 여기서, 토션 스프링(640)의 일단은 회전 지지봉(720)에 접촉 지지되며, 타단은 후방 지지판(620)에 접촉 지지된 상태를 갖는다.
도 12는 도 1에 안전바퀴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에 구동모터, 동력전달부, 스위치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후면 부재(120)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60), 회전축(160)의 양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메인 이동바퀴(170), 후면 부재(120)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보조바(180)에 회전하게 설치되는 안전바퀴(19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한 쌍의 메인 이동바퀴(170)는, 작업자가 본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통상의 이동바퀴로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 메인 이동바퀴(170)는 고정 설치된 회전축(160)의 단부에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회전축(160)과 고정 연결되어 회전축(160)과 동시에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안전바퀴(190)는, 손수레가 벽돌을 적재하기 위해 세워진 상태에서 적재된 벽돌의 하중에 의해 손수레 전체가 후방으로 급격하게 회전하는 경우, 충격에 의해 손수레, 특히 후면 부재(120)가 벽돌의 하중을 지지하지 못하고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설치된다. 즉, 안전바퀴(190)는 일종의 쇼크 업소버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후면 부재(120)에 설치되는 구동모터(810), 구동모터(810)의 회전동력을 회전축(160)으로 전달하여 회전축(160)을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820), 구동모터(810)의 구동을 온오프하는 스위치(830)를 더 포함한다.
구동모터(810)는 후면 부재(120)에 별도의 브래킷을 통해 고정 설치된다. 동력전달부(820)는 구동모터(810)의 구동력을 회전축(160)으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체인-스프라킷 휠, 벨트-풀리, 기어 모듈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적용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 이동바퀴(170)는 회전축(160)의 회전을 통해 회전하도록 회전축(16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몸체(100)의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195)에는 구동모터(8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830)가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위치(830)를 동작시키면 구동모터(810)의 구동에 의해 회전축(160) 및 메인 이동바퀴(170)가 회전하여 손수레를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벽돌 운반용 손수레의 작동 관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00)의 수용 공간에 전후 방향으로 2개, 좌우 폭 방향으로 복수 개의 벽돌을 배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호 간에 일체로 연결된 제1 전방 삽입봉(210), 제2 전방 삽입봉(310), 연결 플레이트(400)가 제1 및 제2 관통봉(130,140)에 대해 일정 이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수용공간 내에 전후 방향으로 2열의 벽돌을 배치한 상태에서 연결 플레이트(400)가 2열의 벽돌 중 전방 측의 벽돌에 최대한 접촉하도록, 작업자는 연결 플레이트(400)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벽돌을 보다 타이트하게 적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벽돌 제조시 발생하는 벽돌의 크기 오차에 대응하여 일정 거리만큼 제1 전방 삽입봉(210), 제2 전방 삽입봉(310), 연결 플레이트(400)를 이동시켜 이웃하는 벽돌 사이의 거리 및, 벽돌과 몸체(100) 내벽 및 연결 플레이트(400)와의 사이 거리를 최소화함으로써 벽돌을 하역할 때에도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여 안정적으로 하역할 수 있게 된다. 정리하자면, 2열로 배치된 벽돌의 총 길이에 대응하도록, 즉 측방향으로 이웃하게 적재된 벽돌 사이의 틈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작업자는 제1 전방 삽입봉(210), 제2 전방 삽입봉(310), 연결 플레이트(400)를 후방으로 일정 이상 이동시킬 수 있다. 이후, 복수의 벽돌을 1단 벽돌층 위에 일정 높이로 적층하여 배치한다.
다음, 몸체(100)의 손잡이(195)를 잡고 벽돌이 적재된 손수레를 수동으로 벽돌을 하역하고자 하는 장소로 이동시키거나, 구동모터(810)의 구동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어서, 손수레가 적절한 장소로 이동 완료되면, 작업자는 핸들바(710)를 후방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제1 전방 삽입봉(210), 제2 전방 삽입봉(310), 연결 플레이트(400)는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도 8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고리(530)는 걸림구(150)에 걸린 상태가 해제된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 형상의 전방 지지부(500)는 자중에 의해 연결 플레이트(400)에 대해 하측 방향으로 힌지 회전하여 벽돌의 하역 작업이 가능하게 한다.
마찬가지로, 핸들바(710)의 후방 회전에 의해 회전 지지봉(720)이 회전하여 회전유도봉(721)과 후방 지지부(600)의 걸림판(630)과의 사이에 이격 거리가 형성된다. 즉, 걸림판(630)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유도봉(721)이 걸림판(630)으로부터 이격되므로, 벽돌의 하중에 의해 회전봉(610)에 일체로 용접된 후방 지지판(620)은 하측으로 회전하여 벽돌의 하역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돌의 하역 작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제1 및 제2 관통봉(130,140)으로부터 제1 및 제2 전방 삽입봉(210,310), 연결 플레이트(400) 및 전방 지지부(500)를 분리한다.
이어서, 작업자는 손수레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벽돌 하역작업의 반복을 위해 벽돌이 적재된 장소로 다시 이동한다. 이때, 후방 지지판(620)은 상측에 배치된 벽돌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이 제거되므로 토션 스프링(640)의 탄성 복원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원된다. 여기서, 초기 위치라 함은 벽돌을 지지하도록 후방 지지판(620)이 지면에 대해 평평한 상태가 되도록 회전한 상태를 말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벽돌 운반용 손수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벽돌 운반용 손수레의 특징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에서 보조 걸림고리가 상측으로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6은 도 14에서 핸들바의 작동에 의한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설명하는 손수레의 전반적인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전반적으로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삽입봉(200)과 제2 삽입봉(300), 좀 더 구체적으로 제1 후방 삽입봉(220)과 제2 후방 삽입봉(320)에는 별도의 보조 걸림고리(540)의 후단부가 나사 결합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보조 걸림고리(540)의 전방부에는 보조 걸림홈(550)이 형성된다.
한편, 연결 플레이트(400)의 양측에 구비된 걸림고리(530)에는 보조 걸림구(560)가 돌출 형성된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00) 내에 벽돌이 적재된 상태에서 보조 걸림고리(540)의 보조 걸림홈(550)은 보조 걸림구(560)에 걸린 상태가 된다.
즉, 몸체(100) 내에 상당한 중량의 벽돌을 적재한 상태에서, 즉 걸림고리(530)가 걸림구(150)에 걸린 상태에서 보조 걸림고리(540) 또한 보조 걸림구(560)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당한 중량의 벽돌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발생하게 된다. 정리하자면,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경우, 적재된 벽돌의 전방에서 하측 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은 걸림고리(530)가 걸림구(150)에 걸린 상태에서 전방 지지부(500)에 의해서만 지지되는데, 이 경우 걸림고리(530)의 걸림 상태가 불안정하여 충분하게 벽돌을 지지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게 된다. 즉, 벽돌의 하중에 의해 걸림고리(530)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어 제1 전방 삽입봉(210), 제2 전방 삽입봉(310), 연결 플레이트(400) 및 전방 지지부(500)가 몸체(100)의 전방으로 이탈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걸림고리(530)와 걸림구(150) 이외에 추가적으로 보조 걸림고리(540)와 보조 걸림구(560)를 구비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 지지부(500) 등이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벽돌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몸체 130: 제1 관통봉
140: 제2 관통봉 150: 걸림구
190: 안전바퀴 200: 제1 삽입봉
210: 제1 전방 삽입봉 220: 제2 후방 삽입봉
300: 제2 삽입봉 310: 제2 전방 삽입봉
320: 제2 후방 삽입봉 400: 연결 플레이트
500: 전방 지지부 530: 걸림고리
540: 보조 걸림고리 560: 보조 걸림구
600: 후방 지지부 620: 후방 지지판
630: 걸림판 640: 토션 스프링
700: 회전 구동부 710: 핸들바
721: 회전유도봉 730: 제1 연결바
740: 제2 연결바 810: 구동모터
830: 스위치

Claims (7)

  1.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측면 부재와 이에 연결되어 벽돌을 수용하도록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후면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측면 부재 하단부에 관통된 형상의 제1 및 제2 관통봉이 각각 구비되는 채널 형상의 몸체;
    상기 제1 및 제2 관통봉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되 각각 분리 가능하도록 복수로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 삽입봉;
    상기 제1 및 제2 삽입봉의 전단부를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상기 수용 공간에 적재된 벽돌을 지지하는 전방 지지부;
    상기 후면 부재에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상기 수용 공간에 적재된 벽돌을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 및
    상기 측면 부재 및 상기 후면 부재에 구비되되 상기 제1 및 제2 삽입봉을 이동시켜 상기 전방 지지부 및 상기 후방 지지부를 힌지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는 벽돌 운반용 손수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관통봉에는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각각 걸림구가 구비되며, 상기 전방 지지부의 양단에는 상기 걸림구에 걸리는 걸림고리가 구비되되,
    상기 걸림고리는, 상기 회전 구동부의 동작 정지시 상기 걸림구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회전 구동부의 구동시 상기 제1 및 제2 삽입봉의 이동에 의해 상기 걸림구로부터 걸림 해제되며, 상기 전방 지지부는 상기 걸림고리의 걸림 해제에 의해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 대해 힌지 회전하는 벽돌 운반용 손수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측면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바;
    상기 핸들바에 일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후면 부재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핸들바의 회전에 따라 동시에 회전하는 회전 지지봉;
    상기 회전 지지봉의 일단부와 상기 제1 삽입봉을 연결하는 제1 연결바; 및
    상기 회전 지지봉의 타단부와 상기 제2 삽입봉을 연결하는 제2 연결바를 포함하는 벽돌 운반용 손수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봉에는, 상기 핸들바의 회전시 상기 벽돌의 자중에 의해 상기 후방 지지부의 회전을 유도하도록 회전유도봉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 지지부에는, 상기 회전 지지봉의 회전시 상기 회전유도봉에 접촉하도록 걸림판이 구비되며,
    상기 후방 지지부는, 상기 회전유도봉과 상기 걸림판의 접촉이 해제되는 경우 초기 상태로 회전하도록 토션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벽돌 운반용 손수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봉은, 상기 제1 연결바에 연결되는 제1 후방 삽입봉과,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제1 전방 삽입봉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삽입봉은, 상기 제2 연결바에 연결되는 제2 후방 삽입봉과,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제2 전방 삽입봉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후방 삽입봉과 상기 제2 후방 삽입봉에는, 전방 영역에 보조 걸림홈이 형성된 보조 걸림고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걸림고리에는 상기 보조 걸림홈이 걸림 가능하도록 보조 걸림구가 돌출 형성되는 벽돌 운반용 손수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부재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메인 이동바퀴; 및
    상기 후면 부재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보조바에 회전하게 설치되는 안전바퀴를 포함하는 벽돌 운반용 손수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부재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동력을 상기 회전축으로 전달하여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온오프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벽돌 운반용 손수레.
KR1020110099259A 2011-09-29 2011-09-29 벽돌 운반용 손수레 KR201300350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259A KR20130035038A (ko) 2011-09-29 2011-09-29 벽돌 운반용 손수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259A KR20130035038A (ko) 2011-09-29 2011-09-29 벽돌 운반용 손수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5038A true KR20130035038A (ko) 2013-04-08

Family

ID=48437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9259A KR20130035038A (ko) 2011-09-29 2011-09-29 벽돌 운반용 손수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503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32455A (zh) * 2014-02-26 2014-06-04 中煤建筑安装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砌块运输工具
CN109250472A (zh) * 2018-11-01 2019-01-22 温州金余塑胶板有限公司 一种具有板材收集推车的眼镜板材清洗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32455A (zh) * 2014-02-26 2014-06-04 中煤建筑安装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砌块运输工具
CN109250472A (zh) * 2018-11-01 2019-01-22 温州金余塑胶板有限公司 一种具有板材收集推车的眼镜板材清洗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1256B1 (ko) 염전용 소금 적재 시스템
KR100947994B1 (ko) 벽돌 운반용 손수레
WO2006032182A1 (fr) Conteneur de palettes
KR101307653B1 (ko) 장력 조절 기능이 구비된 벽돌 운반용 손수레
TW202313443A (zh) 氣體容器搬送用台車
KR20130035038A (ko) 벽돌 운반용 손수레
CN111977238A (zh) 一种上料装置
JP7097059B6 (ja) ハーネスボード用台車、ハーネスボード収納ラックおよびハーネスボード運用支援システム
KR101330162B1 (ko)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팩 이동 트레이
JP5075003B2 (ja) コンテナ装置
JP2009107759A (ja) 移動式リフタ−における荷物段積装置
JP4889462B2 (ja) ケーブルドラム運搬装置
KR101923961B1 (ko) 벽돌 운반용 손수레
JP3496202B2 (ja) U字状床フレームの運搬用台車
KR20130063242A (ko) 화물 적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적재화물 인출입 장치
KR101225959B1 (ko) 벽돌운반용 수레
JP6162201B2 (ja) フォークカバー
JP2008207913A (ja) エスカレータのコンテナ輸送治具及びコンテナ輸送方法
JP4586142B2 (ja) ローダ
JP7114440B2 (ja) 運搬用台車の走行補助装置
JP6231905B2 (ja) 搬送台車
JP2011095203A (ja) 車両検査装置
JP2009067186A (ja) 荷体昇降機構付台車
KR102183866B1 (ko) 화물 이동 기구
CN217125868U (zh) 一种电池模组箱入柜辅助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