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6883A - 전자 장치 및 그 외부 심볼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 외부 심볼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6883A
KR20130026883A KR1020110090326A KR20110090326A KR20130026883A KR 20130026883 A KR20130026883 A KR 20130026883A KR 1020110090326 A KR1020110090326 A KR 1020110090326A KR 20110090326 A KR20110090326 A KR 20110090326A KR 20130026883 A KR20130026883 A KR 20130026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
nano lattice
pitch
lattice region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0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은
정일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0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6883A/ko
Priority to EP12161844.1A priority patent/EP2568340A3/en
Priority to CN2012102987593A priority patent/CN102982734A/zh
Priority to US13/604,698 priority patent/US8945406B2/en
Publication of KR20130026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68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08Surface plasmon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8Diffraction gratings
    • G02B5/1809Diffraction gratings with pitch less than or comparable to the wavelengt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05Production of optical devices or components in so far as characterised by the lithographic processes or materials used therefor
    • G03F7/0007Filters, e.g. additive colour filters; Components for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8Diffraction gratings
    • G02B5/1814Diffraction gratings structurally combined with one or more further optical elements, e.g. lenses, mirrors, prisms or other diffraction gratings
    • G02B5/1819Plural gratings positioned on the same surface, e.g. array of gr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8Diffraction gratings
    • G02B5/1842Gratings for image gen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70Nanostructure
    • Y10S977/832Nanostructure having specified property, e.g. lattice-constant,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 Y10S977/834Optical properties of nanomaterial, e.g. specified transparency, opacity, or index of refra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84Manufacture, treatment, or detection of nanostructure
    • Y10S977/888Shaping or removal of materials, e.g. etching

Abstract

전자 장치 외부의 심볼 제작 방법이 개시된다. 심볼 제작 방법은, 지지층을 마련하는 단계 및 지지층 상에 기설정된 심볼에 해당하는 제1 나노 격자 영역 및 기설정된 심볼의 외부 영역에 해당하는 제2 나노 격자 영역을 포함하는 나노 격자층을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1 나노 격자 영역 및 제2 나노 격자 영역은 서로 상이한 피치(pitch)로 배열되는 3차원 나노 구조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 외부 심볼 제작 방법 {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external symbol thereof }
본 발명은 전자 장치 및 그 외부 심볼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타 물질(Metamaterial)을 이용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외부 심볼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자 장치의 외부 도안 또는 마크를 제작함에 있어서, 유기 염료를 이용하였다.
하지만, 유기 염료를 이용하여 도안 또는 마크를 제작하는 경우 다양한 Color(white외 Blue, Yellow 등) 표현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글자별 다른 컬러 표현이 어렵고, 그라데이션(Gradation) 과 같은 특수 기법 표현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의 외부 도안 또는 마크를 제작함에 있어서, 새로운 제작 방식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표면 플라즈마 공명 현상에 의해 컬러를 나타내는 메타 물질을 이용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외부 심볼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외부의 심볼 제작 방법에 있어서, 지지층을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지지층 상에 기설정된 심볼에 해당하는 제1 나노 격자 영역 및 상기 기설정된 심볼의 외부 영역에 해당하는 제2 나노 격자 영역을 포함하는 나노 격자층을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나노 격자 영역 및 상기 제2 나노 격자 영역은 서로 상이한 피치(pitch)로 배열되는 3차원 나노 구조물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나노 격자 영역은, 제1 피치로 배열되는 슬릿 형상의 3차원 나노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나노 격자 영역은, 상기 제1 피치와 상이한 제2 피치로 배열되는 슬릿 형상의 3차원 나노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나노 격자 영역은, 제1 피치로 배열되는 막대 형상의 3차원 나노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나노 격자 영역은, 상기 제1 피치와 상이한 제2 피치로 배열되는 막대 형상의 3차원 나노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나노 격자 영역 및 상기 제2 나노 격자 영역은, 상기 서로 상이한 피치(pitch)로 배열되는 3차원 나노 구조물에 의한 표면 플라즈몬 공명(surface plasmon resonanace) 현상을 이용하여 서로 상이한 컬러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에 제작된 심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지지층 및 상기 지지층 상에 형성된, 기설정된 심볼에 해당하는 제1 나노 격자 영역 및 상기 기설정된 심볼의 외부 영역에 해당하는 제2 나노 격자 영역을 포함하는 나노 격자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나노 격자 영역 및 상기 제2 나노 격자 영역은 서로 상이한 피치(pitch)로 배열되는 3차원 나노 구조물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나노 격자 영역은, 제1 피치로 배열되는 슬릿 형상의 3차원 나노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나노 격자 영역은, 상기 제1 피치와 상이한 제2 피치로 배열되는 슬릿 형상의 3차원 나노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나노 격자 영역은, 제1 피치로 배열되는 막대 형상의 3차원 나노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나노 격자 영역은, 상기 제1 피치와 상이한 제2 피치로 배열되는 막대 형상의 3차원 나노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나노 격자 영역 및 상기 제2 나노 격자 영역은, 상기 서로 상이한 피치(pitch)로 배열되는 3차원 나노 구조물에 의한 표면 플라즈몬 공명(surface plasmon resonanace) 현상을 이용하여 서로 상이한 컬러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수 인쇄 등의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영구적인 컬러를 나타내는 심볼(도안 또는 마크)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외부의 심볼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나노 격자층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심볼의 제작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심볼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외부 심볼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외부의 심볼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심볼 제작 방법은 전자 장치(100) 외부의 심볼(10) 제작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도 1에서는 TV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니터, 냉장고와 같은 가전 제품, 휴대 전화기, PMP, 넷북, 노트북, E-Book 단말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 전시 및 광고용 디스플레이장치 등이 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는 마크 또는 도안이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기기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심볼 제작 방법은 금속 내 자유전자가 집단적으로 진동하는 플라즈몬에 의한 현상을 이용하는 것으로, 금속이 나노 크기가 되면 자유전자의 진동에 의하여 금속 표면에서 플라즈몬 공명 특성이 나타난다. 표면 플라즈몬 공명(surface plasmon resonance)은 금속박막 표면에서 일어나는 전자들의 집단적 진동(collective charge density oscillation)이며 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표면 플라즈몬파(surface plasmon wave)는 금속과 이에 인접한 유전 물질의 경계면을 따라 진행하는 표면 전자기파이다. 금속과 유전체의 경계면을 따라 진행하는 표면전자기파의 일종인 표면 플라즈몬파는 금속 표면에 입사된 특정 파장의 빛이 전반사되지 않고 표면파가 발생할 때 생기는 파에 해당한다.
이러한 표면 플라즈몬 공명 현상이 나타나는 금속은 gold, silver, copper, aluminium 등과 같은 외부 자극에 의해 전자의 방출이 쉽고 음의 유전상수를 갖는 금속들이 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표면 플라즈몬 공명 현상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 외부에 제작되는 심볼에 다양한 컬러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심볼은 텍스트, 도안 또는 마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나노 격자층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노 격자 영역을 구성하는 3차원 나노 구조물의 피치를 다르게 구성하는 경우 각 나노 격자 영역이 표면 플라즈몬 공명 현상에 의해 서로 다른 컬러를 나타낼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일 실시 예에 따른 나노 격자층(120)은 지지층(110) 상에 형성된 특정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슬릿 형상의 3차원 나노 구조물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나노 격자층(120)을 구성하는 슬릿 형상의 3차원 나노 구조물은 일정한 높이(H) 및 폭(W)을 가지고 주기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슬릿 형상의 나노 구조물의 주기 즉, 피치(pitch)는 출사하고자 하는 빛의 컬러에 따라 상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나노 격자층(120')은 지지층(110) 상에 형성된 특정 방향으로 배열되어 막대 형상의 3차원 나노 구조물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나노 격자층(120')을 구성하는 막대 형상의 3차원 나노 구조물은 일정한 높이(H) 및 폭(W)을 가지고 주기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막대 형상의 3차원 나노 구조물의 주기 즉, 피치(pitch)는 출사하고자 하는 빛의 컬러에 따라 상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심볼의 제작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 "SAMSUNG"이라는 마크를 제작하고자 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SAMSUNG"이라는 마크에서 "M"을 제작하고자 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 해당 문자 M이 내부에 해당하는 제1 나노 격자 영역은 3차원 나노 구조물이 제1 피치를 갖도록 제작하고, M의 외부 영역에 해당하는 제2 나노 격자 영역은 3차원 나노 구조물이 제1 피치와 상이한 제2 피치를 갖도록 제작할 수 있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구성을 3차원 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에 따르면, 지지층(110) 상에 도안 또는 마크를 나타내기 위한 나노 격자층(120)이 형성되고, 나노 격자층(120)은 기설정된 도안 또는 마크에 해당하는 제1 나노 격자 영역(121) 및 기설정된 도안 또는 마크의 외부 영역에 해당하는 제2 나노 격자 영역(12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나노 격자 영역 및 제2 나노 격자 영역은 서로 상이한 피치(pitch)를 갖을 수 있으며, Al, Ag 등과 같은 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기설정된 도안 또는 마크에 해당하는 "M" 내부 영역(121)은 기설정된 도안 또는 마크의 외부 영역에 해당하는 "M" 외부 영역(122)과 상이한 주기로 배열된 슬릿 형상의 3차원 나노 구조물을 포함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상이한 피치를 갖는 "M" 내부 영역과 "M" 외부 영역은 표면 플라즈마 공명 특성에 따라 각 피치에 대응되는 서로 상이한 컬러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 나노 격자 영역(121) 및 제2 나노 격자 영역(122)은 입사되는 광이 서로 상이한 컬러의 빛으로 출사되도록 서로 상이한 피치(pitch)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나노 격자 영역(121)은 310nm의 피치로 배열되고, 제2 나노 격자 영역(122)은 220nm의 피치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제1 나노 격자 영역(121)은 제2 나노 격자 영역(122)보다 큰 값의 피치(pitch)로 배열되거나, 작은 값의 피치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나노 격자 영역(121) 및 제2 나노 격자 영역(122)은 상술한 바와 같이 표면 플라즈몬 공명(surface plasmon resonanace) 현상을 이용하여 서로 상이한 컬러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제1 나노 격자 영역(121)이 제1 피치로 배열되는 슬릿 형상의 3차원 나노 구조물을 포함하고, 제2 나노 격자 영역(122)은, 제1 피치와 상이한 제2 피치로 배열되는 슬릿 형상의 3차원 나노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3차원 나노 구조물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3차원 나노 구조물은 슬릿 형상이 아닌 막대 형상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기설정된 도안 또는 마크의 외부 영역에 해당하는 제1 나노 격자 영역(121) 및 기설정된 도안 또는 마크의 외부 영역에 해당하는 제2 나노 격자 영역(122)은 서로 상이한 피치로 배열될 수 있다.
한편, 도안에 따라 나고 격자층의 주기를 변동시켜주면, 반사형 컬러 도안을 만들 수 있게 된다.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나노 격자층의 제조 과정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층(110) 상에 나노 격자 층(120)을 형성하기 위하여, 우선 지지층(110) 상에 나노 격자 층(120)을 적층한다. 이 경우, 스퍼터링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도 6b는 나노 격자층(120)을 3차원 나노 구조 형태로 식각하기 위해 패턴이 형성된 마스크를 입힌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나노 격자층(120)을 에칭하여 3차원 나노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식각 공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식각공정은 그 방식에 따라 크게 습식 에칭(wet etching)과 건식 에칭(dry etching)으로 구분하는데, 습식 에칭이라 함은 금속 등과 반응하여 부식시키는 산(acid) 계열의 화학 약품을 이용하여 노출되어 있는(PR pattern이 없는) 부분을 녹여 내는 것을 말하며, 건식 에칭이라 함은 이온(ion)을 가속시켜 노출부위의 물질을 떼어냄으로서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각각의 식각 방식은 선택적(selective) 에칭과 비선택적(nonselective) 에칭으로 나뉘는데 선택적 에칭이라 함은 여러 레이어(layer) 중에서 다른 레이어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표면의 레이어에만 반응을 하여 식각하는 것을, 비선택적 에칭은 기타 다른 레이어와도 반응하여 여러 레이어를 동시에 식각하는 것을 말한다.
습식 에칭에서의 선택적 에칭은 특정 물질에만 반응하도록 몇몇 화학약품을 조합하여 식각액(etchant)를 만들어 사용함으로서 가능하며 건식 에칭의 경우 특정 물질에만 반응하는 반응성 가스를 주입함으로서 가능해 진다. 특히 건식 에칭의 경우 이온 가속만을 이용하는 IBE(ion beam etching)나 스퍼터링(sputtering)과 같이 카그네트론(magnetron)을 이용하는 스퍼터링 에칭(sputtering etching)이 비선택적 에칭이며, 이온 가속에 반응성 가스(reactive gas)를 사용하는 RIE(reactive ion etching)는 선택적 에칭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 격자층(120) 식각의 경우는 습식 에칭과 건식 에칭이 모두 이용될 수 있으며, 그 중 선택적 에칭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에칭에 이용되는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도록 한다.
마스크(미도시)의 패턴은 리소그래피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리소그래피(lithography)는 마스크를 통과한 광자(photon)나 전자, 이온 등을 사용하여 마스크를 변경시키고, 변성된 부분을 화학처리하여 원하는 패턴을 만들어 내는 과정을 말한다. 리소그래피 과정은 크게 3단계로 나눌 수 있다. 우선, 패턴을 형성하고자 하는 재료에 감광성 고분자 물질(resist)를 일정한 두께로 고르게 도포한다. 이후, 원하는 패턴이 새겨져 있는 마스크를 통과한 광자나 전자, 이온 등을 감광막에 조사하여 준다. 변성된 감광막에 적절한 화학처리(developing)하여 패턴으로 만들어 낸다.
경우에 따라서는, 리소그래피와 가공을 여러 번 반복함으로써 보다 복잡하고 세밀한 형상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패턴이 형성된 마스크(10)를 이용하여 나노 격자층(120)를 식각한다. 여기서, 식각 방법으로는 상술한 건식 에칭 또는 습식 에칭이 이용될 수 있다.
이어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각된 나노 격자층(120) 상에 남아 있는 마스크(10)를 제거한다. 여기서, 마스크 제거액으로는 알코올(alcohol)류, 글리콜(glycol)류, 에테르(ether)류, 에스테르(ester)류 및 케톤(Ketone)류 등의 유기용매가 이용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방법으로,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나노 구조로 식각된 형태의 나노 격자층(120)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외곽 도안 또는 마크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외부 심볼 제작 방법에 따르면, 우선 지지층을 마련한다(S510).
이어서, 지지층 상에 기설정된 심볼에 해당하는 제1 나노 격자 영역 및 기설정된 도안 또는 마크의 외부 영역에 해당하는 제2 나노 격자 영역을 포함하는 나노 격자층을 마련한다. 여기서, 제1 나노 격자 영역 및 제2 나노 격자 영역은 서로 상이한 피치(pitch)를 갖도록 배열되는 3차원 나노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나노 격자 영역 및 제2 나노 격자 영역은 입사되는 광이 서로 상이한 컬러의 빛으로 출사되도록 서로 상이한 피치(pitch)로 배열될 수 있다.
즉, 제1 나노 격자 영역은 제2 나노 격자 영역보다 큰 값 또는 작은 값의 피치(pitch)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나노 격자 영역은, 제1 피치로 배열되는 슬릿 형상의 3차원 나노 구조물을 포함하고, 제2 나노 격자 영역은, 제1 피치와 상이한 제2 피치로 배열되는 슬릿 형상의 3차원 나노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1 나노 격자 영역은, 제1 피치로 배열되는 막대 형상의 3차원 나노 구조물을 포함하고, 제2 나노 격자 영역은, 제1 피치와 상이한 제2 피치로 배열되는 막대 형상의 3차원 나노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나노 격자층은, 표면 플라즈몬 공명(surface plasmon resonanace) 현상을 이용할 수 있다. 즉, 나노 격자층으로 가시~ 근적외선 빛이 입사되면, 이 빛의 전기장과 플라즈몬이 짝지어지면서 공명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나노 격자층에서 특정 파장을 제외한 광 흡수가 일어나, 선명한 컬러를 나타내게 된다. 이 때, 국소적으로 매우 증가된 전기장이 발생되며, 빛 에너지가 플라즈몬으로 변환되어 금속의 나노입자 표면에 축적되게 된다. 이에 따라 기존의 유기 염료를 대체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특수 인쇄나 다양한 컬러 인쇄를 사용하지 않고, 글자, 그림 또는 컬러를 TV를 비롯한 가전제품 및 IT 기기의 외곽 도안 또는 마크를 제작하는데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10: 지지층 120, 120': 나노 격자층

Claims (8)

  1. 전자 장치 외부의 심볼 제작 방법에 있어서,
    지지층을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지지층 상에 기설정된 심볼에 해당하는 제1 나노 격자 영역 및 상기 기설정된 심볼의 외부 영역에 해당하는 제2 나노 격자 영역을 포함하는 나노 격자층을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나노 격자 영역 및 상기 제2 나노 격자 영역은 서로 상이한 피치(pitch)로 배열되는 3차원 나노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볼 제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노 격자 영역은,
    제1 피치로 배열되는 슬릿 형상의 3차원 나노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나노 격자 영역은,
    상기 제1 피치와 상이한 제2 피치로 배열되는 슬릿 형상의 3차원 나노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볼 제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노 격자 영역은,
    제1 피치로 배열되는 막대 형상의 3차원 나노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나노 격자 영역은,
    상기 제1 피치와 상이한 제2 피치로 배열되는 막대 형상의 3차원 나노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볼 제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노 격자 영역 및 상기 제2 나노 격자 영역은,
    상기 서로 상이한 피치(pitch)로 배열되는 3차원 나노 구조물에 의한 표면 플라즈몬 공명(surface plasmon resonanace) 현상을 이용하여 서로 상이한 컬러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볼 제작 방법.
  5. 외부에 제작된 심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지지층; 및
    상기 지지층 상에 형성된, 기설정된 심볼에 해당하는 제1 나노 격자 영역 및 상기 기설정된 심볼의 외부 영역에 해당하는 제2 나노 격자 영역을 포함하는 나노 격자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나노 격자 영역 및 상기 제2 나노 격자 영역은 서로 상이한 피치(pitch)로 배열되는 3차원 나노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노 격자 영역은,
    제1 피치로 배열되는 슬릿 형상의 3차원 나노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나노 격자 영역은,
    상기 제1 피치와 상이한 제2 피치로 배열되는 슬릿 형상의 3차원 나노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노 격자 영역은,
    제1 피치로 배열되는 막대 형상의 3차원 나노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나노 격자 영역은,
    상기 제1 피치와 상이한 제2 피치로 배열되는 막대 형상의 3차원 나노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노 격자 영역 및 상기 제2 나노 격자 영역은,
    상기 서로 상이한 피치(pitch)로 배열되는 3차원 나노 구조물에 의한 표면 플라즈몬 공명(surface plasmon resonanace) 현상을 이용하여 서로 상이한 컬러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KR1020110090326A 2011-09-06 2011-09-06 전자 장치 및 그 외부 심볼 제작 방법 KR2013002688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326A KR20130026883A (ko) 2011-09-06 2011-09-06 전자 장치 및 그 외부 심볼 제작 방법
EP12161844.1A EP2568340A3 (en) 2011-09-06 2012-03-28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ymbol on exterior of electronic device
CN2012102987593A CN102982734A (zh) 2011-09-06 2012-08-21 电子装置和在电子装置的外部上制造符号的方法
US13/604,698 US8945406B2 (en) 2011-09-06 2012-09-06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ymbol on exterior of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326A KR20130026883A (ko) 2011-09-06 2011-09-06 전자 장치 및 그 외부 심볼 제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6883A true KR20130026883A (ko) 2013-03-14

Family

ID=46062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0326A KR20130026883A (ko) 2011-09-06 2011-09-06 전자 장치 및 그 외부 심볼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945406B2 (ko)
EP (1) EP2568340A3 (ko)
KR (1) KR20130026883A (ko)
CN (1) CN10298273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16399B (zh) * 2014-09-26 2019-01-22 南昌欧菲光学技术有限公司 标识、手机的玻璃盖板及带标识的基板的制作方法
DE102015100280A1 (de) * 2015-01-09 2016-07-14 Ovd Kinegram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icherheitselementen sowie Sicherheitselemente
CN109624589A (zh) * 2018-12-17 2019-04-16 佛山市易晟达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光栅图案的盖板及其制造方法
CN109677176A (zh) * 2018-12-17 2019-04-26 佛山市易晟达科技有限公司 一种贴膜盖板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34682B2 (ja) * 2002-10-21 2008-01-16 株式会社東芝 半導体ウェーハ及び半導体ウェーハ製造方法
KR100682887B1 (ko) * 2004-01-30 2007-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나노구조 형성방법
US20080291815A1 (en) * 2007-05-23 2008-11-27 Imation Corp. Topographical surface label formed in an optical disk substrate
US8080480B2 (en) * 2007-09-28 2011-12-20 Samsung Led Co., Ltd. Method of forming fine patterns and manufactur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JP5294600B2 (ja) * 2007-09-28 2013-09-18 キヤノン株式会社 標的物質検出装置、及び標的物質検出方法
WO2010064344A1 (ja) * 2008-12-04 2010-06-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外装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272052B1 (ko) * 2009-12-18 2013-06-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면 플라즈몬을 이용한 컬러필터 및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20120025156A (ko) * 2010-09-07 2012-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출물의 외관 표면 처리 방법
KR20120027713A (ko) * 2010-09-13 2012-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표면 플라즈몬 밴드-에지 레이저
US8659221B2 (en) * 2011-08-26 2014-02-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LED light extraction film with multi-periodic zones of nanostructures
KR101872788B1 (ko) * 2011-09-16 2018-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 소자 및 광학 소자로부터의 광의 진행방향을 제어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56437A1 (en) 2013-03-07
CN102982734A (zh) 2013-03-20
EP2568340A3 (en) 2016-09-14
EP2568340A2 (en) 2013-03-13
US8945406B2 (en) 2015-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84059B (zh) 用於製造透明光罩之方法及藉由該方法所製造之透明光罩、以及使用透明光罩製造導電網格圖案之方法
Brongersma et al. Light management for photovoltaics using high-index nanostructures
Dhindsa et al. Highly ordered vertical GaAs nanowire arrays with dry etching and their optical properties
TWI505336B (zh) 金屬光柵的製備方法
KR20130026883A (ko) 전자 장치 및 그 외부 심볼 제작 방법
CN104781941A (zh) 光学基板、半导体发光元件及其制造方法
Azimi et al. Fabrication of complex curved three-dimensional silicon microstructures using ion irradiation
CN105845791A (zh) 一种高效率纳米结构led及其设计和制备方法
Diana et al. Photonic crystal-assisted light extraction from a colloidal quantum dot/GaN hybrid structure
CN109095435A (zh) 一种三维全金属微腔结构表面等离激元阵列加工方法
Choi et al. A flexible metamaterial with negative refractive index at visible wavelength
Meng et al.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integratable photonic crystal nanobeam all-optical switching with ultrafast response and ultralow switching energy
KR20160017292A (ko) 노광용 마스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판의 제조 방법
Laney et al. Spacer-defined intrinsic multiple patterning
Wang et al. Fabrication of Fabry–Perot-cavity-based monolithic full-color filter arrays using a template-confined micro-reflow process
KR101262673B1 (ko) Oled 조명용 고효율 광 추출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
Chen et al. Flat metallic surface gratings with sub-10 nm gaps controlled by atomic-layer deposition
Li et al. Numerical and experimental study of the structural color by widening the pore size of nanoporous anodic alumina
KR20140033595A (ko) 레이저 간섭 리소그래피를 이용한 표면 플라즈모닉 컬러 필터의 제조 방법
Chen et al. Enhanced transmission of a plasmonic ellipsoid array via combining with double continuous metal films
Zhao et al. Metamaterial study of quasi-three-dimensional bowtie nanoantennas at visible wavelengths
TWI508148B (zh) 金屬光柵的製備方法
Zhang et al. Scalable Nanostructured Silicon with All‐Dielectric Standard RGB Color
Li et al. The fabrication of nanostructures with a large range of dimensions and the potential application for light outcoupling in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Yang et al. Nano-fabrication of depth-varying amorphous silicon crescent shell array for light trapp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