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4110U - 고중량 용접기용 받침장치 - Google Patents

고중량 용접기용 받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4110U
KR20130004110U KR2020110011619U KR20110011619U KR20130004110U KR 20130004110 U KR20130004110 U KR 20130004110U KR 2020110011619 U KR2020110011619 U KR 2020110011619U KR 20110011619 U KR20110011619 U KR 20110011619U KR 20130004110 U KR20130004110 U KR 2013000411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eavy
support leg
welder
hydraulic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16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병환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116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4110U/ko
Publication of KR201300041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11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2Carriages forming part of a weld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47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94Transport carriages or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몸체의 하단부에 바퀴가 복수개 설치된 고중량 용접기의 하단부가 안치하도록 수평으로 두 개의 봉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몸체의 중단부에 교차되게 연결봉으로 결합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각단부에 그 몸체의 상단부가 일체로 각기 결합되고 그 몸체의 중단부에 유압실린더부재가 각기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다리부재와; 상기 지지다리부재의 하단부가 용접에 의해 각기 결합되어 지지다리부재를 지지해주며, 그 상부에 유압실린더부재로 유압케이블을 통해 유압을 공급시키는 유압펌프부재가 안치되어 있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중량 용접기용 받침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지지판의 상면에 복수개 설치된 지지다리부재의 몸체내에 유압실린더부재를 설치하고 고중량 용접기 수리시 유압실린더부재를 상,하 유동시키므로써, 고중량 용접기 수리시 그 고중량 용접기를 고정부재에 안치시킨상태에서 지지다리부재내에 설치된 유압실린더부재를 구동시켜 원하는 높이까지 이동하여 수리하게 되므로 그에 따라 수리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중량 용접기용 받침장치{support device for a high weight welding machine}
본 고안은 고중량 용접기용 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지판의 상면에 복수개 설치된 지지다리부재의 몸체내에 유압실린더부재를 설치하고 티그용접기 수리시 유압실린더부재를 상,하 유동시키므로써, 수리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키는 고중량 용접기용 받침장치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산업 현장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용접기 특히, 전기 용접기의 경우 전기 용접을 위해서는 어스선을 용접물에 접지시키고 용접용 선을 용접기로 부터 연결시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용접기의 사용에 있어 소규모 작업장에서는 소형 용량의 전기 용접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별다른 문제가 없으나 선박을 제조하는 대형 사업장의 경우 예컨대, 티그용접기나 이산화탄소용접기와 같은 고중량의 용접기를 다수개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고중량으로 인해 이송에 어려움을 겪게 되므로 그러한 문제를 개선하려고 많은 시도가 현재 행해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용접기 받침장치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주식회사 중앙공사씨스템에 의해 등록된 한국특허등록 제10-885674호 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종래 이송기능이 구비된 고중량 용접기의 구조는 도 1을 참고로 설명하면, 용접대상에 대해 용접을 실행하는 고중량 용접기(70)와;
상기 고중량 용접기(70)의 하단부에 복수개 설치되어 고중량 용접기(70)를 이용시키는 바퀴(1a-n)부(7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종래 이송기능이 구비된 고중량 용접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고중량 용접기(70) 예컨대, 티그용접기나 이산화탄수용접기를 이송할 필요가 있을 경우 그 고중량 용접기(70)에 끈을 묶어 작업자가 앞에서 끝고 다른 작업자는 앞에서 밀는 방식으로 이송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와 같은 이송은 그 고중량 용접기(7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바퀴(1a-n)부(71)의 바퀴(1a-n)들(72a-d)을 매개로 이송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송시킨후 용접작업을 하게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이송과정중에 바퀴(1a-n)부(71)가 고장날 경우 그 고중량 용접기(70)를 들어올려야하는데, 이때 지게차(73)의 포크부재(74)를 고중량 용접기(70)의 하단부로 밀어넣어 고정한후 수리자가 바퀴(1a-n)(72a-d)를 수리할 수 있는 높이까지 들어올린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지게차가 고중량 용접기(70)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수리자가 바퀴(1a-n)부(71)의 하단부를 보면서 수리작업을 실행하게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이송기능이 구비된 고중량 용접기는 고중량용접기의 하부에 설치된 바퀴(1a-n)부가 그 고중량의 무게를 견디지못해 자주 고장나기 때문에 이를 크레인과 같은 장비로 들어올린후 그 하부를 고쳐야하는데, 그 고중량 용접기를 들어 올린 장비가 주변에 없을 경우 해당 장비가 확보될 때까지 계속 기다려야하므로 그에 따라 작업의 연속성이 매우 저하되었으며, 또한 상기와 같은 고중량 용접기를 지게차를 통해 들어올릴 경우 해당 고중량용접기의 바퀴(1a-n)를 고칠때까지 지계차를 전혀 사용할 수가 없기 때문에 그에 따라 사용의 편의성도 상당히 저하되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고안된 것으로, 고중량 용접기 수리시 그 고중량 용접기를 고정부재에 안치시킨상태에서 지지다리부재내에 설치된 유압실린더부재를 구동시켜 원하는 높이까지 이동하여 수리하는 고중량 용접기용 받침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지지다리부재의 몸체내에 스텝핑모터부재를 설치하고 고중량 용접기 수리시 작업자의 별도 조작없이도 이 스텝핑모터부재만을 상,하 유동시켜 그 상,하 높이를 정밀하게 자동 조절할 수 있는 고중량 용접기용 받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몸체의 하단부에 바퀴(1a-n)가 복수개 설치된 고중량 용접기의 하단부가 안치하도록 수평으로 두 개의 봉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몸체의 중단부에 교차되게 연결봉으로 결합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각단부에 그 몸체의 상단부가 일체로 각기 결합되고 그 몸체의 중단부에 유압실린더부재가 각기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다리부재와;
상기 지지다리부재의 하단부가 용접에 의해 각기 결합되어 지지다리부재를 지지해주며, 그 상부에 유압실린더부재로 유압케이블을 통해 유압을 공급시키는 유압펌프부재가 안치되어 있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중량 용접기용 받침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몸체의 하단부에 바퀴(1a-n)가 복수개 설치된 고중량 용접기의 하단부가 안치하도록 수평으로 두 개의 봉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몸체의 중단부에 교차되게 연결봉으로 결합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각단부에 그 몸체의 상단부가 일체로 각기 결합되고 그 몸체의 내부 양측에 제1 기어부재가 각기 형성되며, 그 몸체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유동홈이 형성되고, 그 몸체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다리부재와;
상기 지지다리부재의 수납공간으로 삽입되어 지지다리부재의 기어부재와 연동되는 제2 기어부재가 그 몸체 상단부에 회전되게 결합되며, 상기 수납공간을 상,하로 유동하는 수납부재와;
상기 수납부재의 제2 기어부재를 회전시켜 제2 기어부재가 유동홈을 매개로 지지다리부재내에 형성된 제1 기어부재를 따라 수납부재가 상기 수납공간을 상,하 유동되도록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수납부재의 하단부가 용접에 의해 각기 결합되어 수납부재를 지지해주며, 그 상부에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구동부재가 안치되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중량 용접기용 받침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지지판의 상면에 복수개 설치된 지지다리부재의 몸체내에 유압실린더부재를 설치하고 티그용접기 수리시 유압실린더부재를 상,하 유동시키므로써, 고중량 용접기 수리시 그 고중량 용접기를 고정부재에 안치시킨상태에서 지지다리부재내에 설치된 유압실린더부재를 구동시켜 원하는 높이까지 이동하여 수리하게 되므로 그에 따라 수리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지지다리부재의 몸체내에 스텝핑모터부재를 설치하고 고중량 용접기 수리시 작업자의 별도 조작없이도 이 스텝핑모터부재만을 상,하 유동시켜 그 상,하 높이를 정밀하게 자동 조절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받침부재의 기능성도 상당히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이송기능이 구비된 고중량 용접기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본 고안 제1 실시예에 의한 고중량 용접기용 받침장치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3은 본 고안 제1 실시예에 의한 고중량 용접기용 받침장치를 비스듬이 바라본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4는 본 고안 제2 실시예에 의한 고중량 용접기용 받침장치를 설명하는 설명도.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본 고안 제1 실시예의 받침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의 하단부에 바퀴(1a)가 복수개 설치된 고중량 용접기(2)의 하단부가 안치하도록 수평으로 두 개의 봉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몸체의 중단부에 교차되게 연결봉(3)으로 결합되는 지지부재(4)와;
상기 지지부재(4)의 각단부에 그 몸체의 상단부가 일체로 각기 결합되고 그 몸체의 중단부에 유압실린더부재(5)가 각기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다리부재(6a-d)와;
상기 지지다리부재(6a-d)의 하단부가 용접에 의해 각기 결합되어 지지다리부재(6a-d)를 지지해주며, 그 상부에 유압실린더부재(5)로 유압케이블(7)을 통해 유압을 공급시키는 유압펌프부재(8)가 안치되어 있는 지지판(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압실린더부재(5)는 그 몸체의 상부에 지지다리부재(6a-d)의 몸체와 결합되어 지지다리부재(6a-d)를 상,하로 유동시키는 실린더로드부재(10)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로드부재(10)의 유동을 공급된 유압에 의해 실행하는 유압실린더(11)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고안 제1 실시예의 받침장치(12a)의 동작을 살펴보면, 고중량 용접기(2) 예컨대, 티그용접기나 이산화탄수용접기를 그 몸체의 하부에 설치된 바퀴(1a)를 사용하여 용접이 필요한 위치로 이송한후 용접작업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고중량 용접기(2)의 이송과정중에 고중량 용접기(2)의 하단 몸체에 설치된 바퀴(1a)가 고장이 날 경우 본 고안 제1 실시예의 받침장치(12a)의 지지다리부재(6a-d)에 각기 구비된 즉, 4개가 구비된 유압실린더부재(5)에 유압펌프부재(8)를 통해 유압을 빼내 그 유압실린더부재(5)의 실린더로드부재(10)가 최하단 위치로 이송되게 한다. 그러면 상기 실린더로드부재(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지지다리부재(6a-d) 역시 하단으로 하강하고 그에 따라 지지다리부재(6a-d)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지지부재(4) 역시 지면과 가까이 하강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하단으로 하강한 봉형상의 지지부재(4)의 상부측으로 그 고장된 고중량 용접기(2)를 안치시킨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고중량 용접기(2)가 지지부재(4)의 상면으로 안치되면 유압펌프부재(8)를 통해 유압실린더부재(5)의 유압실린더(11)로 유압을 공급시킨다. 그러면 상기 유압실린더부재(5)의 유압실린더(11)가 유압작용에 의해 그 연동되는 실린더로드부재(10)를 최상단 위치로 상승시킨다.
그러면 상기 실린더로드부재(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지지다리부재(6a-d) 역시 상방향으로 상승하게 되고 그에 따라 지지다리부재(6a-d)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지지부재(4) 역시 상부방향으로 상승하게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지지부재(4)가 최상단의 위치로 상승할 경우 이 지지부재(4)의 상면에 위치한 고중량 용접기(2) 역시 상승하여 그 밑바닥이 완전히 들어나 수리작업자가 그 밑으로 들어가 그 고장난 바퀴(1a)를 수리하게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본 고안 제1 실시예의 받침장치(12a)의 상승작용에 의해 고중량 용접기(2)의 바퀴(1a)가 수리될 경우 상기 받침장치(12a)의 상승과정과는 반대로 동작시켜 지지부재(4)를 최하단 위치로 하강시킨다음 그 수리된 고중량 용접기(2)를 옮겨 그 수리된 바퀴(1a)를 통해 고중량 용접기(2)를 이송시키면 된다.
제2 실시예
본 고안 제2 실시예의 받침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의 하단부에 바퀴(1n)가 복수개 설치된 고중량 용접기(2)의 하단부가 안치하도록 수평으로 두 개의 봉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몸체의 중단부에 교차되게 연결봉(3)으로 결합되는 지지부재(4)와;
상기 지지부재(4)의 각단부에 그 몸체의 상단부가 일체로 각기 결합되고 그 몸체의 내부 양측에 제1 기어부재(13) 예컨대, 래크기어가 각기 형성되며, 그 몸체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유동홈(14)이 형성되고, 그 몸체 내부에 수납공간(15)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다리부재(6a-d)와;
상기 지지다리부재(6a-d)의 수납공간(15)으로 삽입되어 지지다리부재(6a-d)의 제1 기어부재(13)와 연동되는 제2 기어부재(16) 예컨대, 피니언기어가 그 몸체 상단부에 회전되게 결합되며, 상기 수납공간(15)을 상,하로 유동하는 수납부재(17)와;
상기 수납부재(17)의 제2 기어부재(16)를 회전시켜 제2 기어부재(16)가 유동홈(14)을 매개로 지지다리부재(6a-d)내에 형성된 제1 기어부재(13)를 따라 수납부재(17)가 상기 수납공간(15)을 상,하 유동되도록 구동하는 구동모터(18)와;
상기 수납부재(17)의 하단부가 용접에 의해 각기 결합되어 수납부재(17)를 지지해주며, 그 상부에 구동모터(18)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구동부(19)가 안치되는 지지판(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18)는 수납부재(17)에 선택적으로 예컨대, 4개의 수납부재(17)중 2개의 수납부재(17)에만 설치하여 사용할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18)는 스텝핑모터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고안 제2 실시예의 받침장치(12b)의 동작을 살펴보면, 고중량 용접기(2) 예컨대, 티그용접기나 이산화탄수용접기를 그 몸체의 하부에 설치된 바퀴(1a-n)를 사용하여 용접이 필요한 위치로 이송한후 용접작업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고중량 용접기(2)의 이송과정중에 고중량 용접기(2)의 하단 몸체에 설치된 바퀴(1n)가 고장이 날 경우 본 고안 제2 실시예의 받침장치(12b)의 지지판(9)에 구비된 모터구동부(19)를 구동하여 상기 수납부재(17)의 제2 기어부재(16)의 회전축(20)에 각기 결합되어 있는 구동모터(18) 예컨대, 스텝핑모터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구동모터(18)의 구동에 의해 수납부재(17)의 제2 기어부재(16)가 회전을 하게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2 기어부재 예컨대, 피니언기어가 그 결합되어 있는 지지다리부재(6a-d)의 제1 기어부재(13) 예컨대, 래크기어의 톱니를 따라 하부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수납부재(17)는 지지다리부재(6a-d)의 수납공간(15)을 따라 이동하여 그 몸체가 최하단 위치까지 이동하므로 그에 따라 상기 지지다리부재(6a-d)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지지부재(4) 역시 지면과 가까이 하강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하단으로 하강한 봉형상의 지지부재(4)의 상부측으로 그 고장된 고중량 용접기(2)를 안치시킨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고중량 용접기(2)가 지지부재(4)의 상면으로 안치되면 구동모터구동부(19)를 통해 구동모터(18)를 하강동작과는 반대로 역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구동모터(18)의 역회전에 의해 제2 기어부재(16)인 피니언기어가 제1 기어부재(13)인 레크를 따라 이동되므로 상기 제2 기어부재(16)와 결합되어 있는 수납부재(17)도 지지다리부재(6a-d)의 수납공간(15)을 따라 최상단 위치까지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수납부재(17)가 최상단 위치까지 도달될 경우 그와 연동되는 지지다리부재(6a-d)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지지부재(4) 역시 최상단 위치로 상승하게된다.
그러므로 상기 지지부재(4)의 상면에 안치된 고중량 용접기(2) 역시 상승하여 그 밑바닥이 완전히 들어나게되므로 수리작업자가 그 밑이 완전히 들어난 고중량 용접기(2)의 밑면으로 들어가 그 고장난 바퀴(1n)를 수리하게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본 고안 제2 실시예의 받침장치(12b)의 상승작용하는 동안 고중량 용접기(2)의 바퀴(1n)가 수리완료될 경우 상기 받침장치(12b)의 상승과정과는 반대로 동작시켜 지지부재(4)를 최하단 위치로 하강시킨다음 그 수리된 고중량 용접기(2)를 옮겨 그 수리된 바퀴(1n)를 통해 고중량 용접기(2)를 이송시키면 된다.
1a-n: 바퀴 2 : 고중량 용접기
3 : 연결봉 4 : 지지부재
5 : 유압실린더부재 6 : 지지다리부재
7 : 유압케이블 8 : 유압펌프부재
9 : 지지판 10: 실린더로드부재
11: 유압실린더 12a-b: 받침장치
13: 제1 기어부재 14: 유동홈
15: 수납공간 16: 제2 기어부재
17: 수납부재 18: 구동모터
19: 모터구동부 20: 회전축

Claims (7)

  1. 몸체의 하단부에 바퀴가 복수개 설치된 고중량 용접기의 하단부가 안치하도록 수평으로 두 개의 봉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몸체의 중단부에 교차되게 연결봉으로 결합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각단부에 그 몸체의 상단부가 일체로 각기 결합되고 그 몸체의 중단부에 유압실린더부재가 각기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다리부재와;
    상기 지지다리부재의 하단부가 용접에 의해 각기 결합되어 지지다리부재를 지지해주며, 그 상부에 유압실린더부재로 유압케이블을 통해 유압을 공급시키는 유압펌프부재가 안치되어 있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중량 용접기용 받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부재는 그 몸체의 상부에 지지다리부재의 몸체와 결합되어 지지다리부재를 상,하로 유동시키는 실린더로드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로드부재의 유동을 공급된 유압에 의해 실행하는 유압실린더0로 이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중량 용접기용 받침장치.
  3. 몸체의 하단부에 바퀴가 복수개 설치된 고중량 용접기의 하단부가 안치하도록 수평으로 두 개의 봉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몸체의 중단부에 교차되게 연결봉으로 결합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각단부에 그 몸체의 상단부가 일체로 각기 결합되고 그 몸체의 내부 양측에 제1 기어부재가 각기 형성되며, 그 몸체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유동홈이 형성되고, 그 몸체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다리부재와;
    상기 지지다리부재의 수납공간으로 삽입되어 지지다리부재의 기어부재와 연동되는 제2 기어부재가 그 몸체 상단부에 회전되게 결합되며, 상기 수납공간을 상,하로 유동하는 수납부재와;
    상기 수납부재의 제2 기어부재를 회전시켜 제2 기어부재가 유동홈을 매개로 지지다리부재내에 형성된 제1 기어부재를 따라 수납부재가 상기 수납공간을 상,하 유동되도록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수납부재의 하단부가 용접에 의해 각기 결합되어 수납부재를 지지해주며, 그 상부에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구동부재가 안치되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중량 용접기용 받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부재는 래크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중량 용접기용 받침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어부재는 피니언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중량 용접기용 받침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스텝핑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중량 용접기용 받침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수납부재에 2개이상을 선택적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중량 용접기용 받침장치.
KR2020110011619U 2011-12-27 2011-12-27 고중량 용접기용 받침장치 KR2013000411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619U KR20130004110U (ko) 2011-12-27 2011-12-27 고중량 용접기용 받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619U KR20130004110U (ko) 2011-12-27 2011-12-27 고중량 용접기용 받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110U true KR20130004110U (ko) 2013-07-05

Family

ID=53683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1619U KR20130004110U (ko) 2011-12-27 2011-12-27 고중량 용접기용 받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411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69929A (zh) * 2019-06-20 2019-10-25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耳板定位工装
KR102128449B1 (ko) 2019-07-30 2020-06-30 정한택 하수처리장 최종침전지 커버겸용 태양광 발전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하수처리장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69929A (zh) * 2019-06-20 2019-10-25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耳板定位工装
CN110369929B (zh) * 2019-06-20 2021-02-26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耳板定位工装
KR102128449B1 (ko) 2019-07-30 2020-06-30 정한택 하수처리장 최종침전지 커버겸용 태양광 발전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하수처리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80583B (zh) 平台升降型筒体环缝纵缝焊接机
CN103111778B (zh) 吸盘吊装装置及板件拼焊物流输送***
CN201592305U (zh) 平台升降型筒体环缝纵缝焊接机
CN203045200U (zh) 吸盘吊装装置及板件拼焊物流输送***
KR20160119125A (ko) 배관장치 및 배관방법
CN107472986A (zh) 一种放线架及线缆制造设备
KR20140086385A (ko) 선박용 모터의 커플링 조립장치
KR20130004110U (ko) 고중량 용접기용 받침장치
KR20150065074A (ko) 강관 내부 청소 유닛
KR101866656B1 (ko) 고소 작업 장치
US20170314229A1 (en) Frame Assembly for Heavy Duty Vehicles
JP5490520B2 (ja) 荷受台昇降装置
KR200467068Y1 (ko) 자동용접장치
CN109319695A (zh) 一种适用于工业车辆的顶升立柱
JP2017020603A (ja) 流体機材搬出設備及び流体機材搬出方法
KR20130059690A (ko) 승강이송로봇용 부품교체장치
CN216341258U (zh) 用于安装动臂销轴的工作站
JP6366312B2 (ja) 建設機械
JP7009037B2 (ja) 杭打機の作業装置着脱方法
KR20170116696A (ko) 전동 지게차 배터리 교환장치
JP6727685B1 (ja) 垂直昇降型高所作業台装置
CN107381208A (zh) 一种线缆制造设备
JP7314017B2 (ja) 杭打機
KR101323760B1 (ko) 러그 취부 장치
CN206574542U (zh) 线缆制造设备及其放线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