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40214A - 염제거율 및 투과유량 특성이 우수한 역삼투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염제거율 및 투과유량 특성이 우수한 역삼투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40214A
KR20120140214A KR1020120065694A KR20120065694A KR20120140214A KR 20120140214 A KR20120140214 A KR 20120140214A KR 1020120065694 A KR1020120065694 A KR 1020120065694A KR 20120065694 A KR20120065694 A KR 20120065694A KR 20120140214 A KR20120140214 A KR 20120140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verse osmosis
osmosis membrane
graphene
phenylenediamine
polyam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5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2218B1 (ko
Inventor
이필
신정규
유정은
정승표
이영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JP2013548372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14501614A/ja
Priority to EP12802905.5A priority patent/EP2722100A4/en
Priority to CN2012800063531A priority patent/CN103338845A/zh
Priority to PCT/KR2012/004843 priority patent/WO2012177033A2/ko
Publication of KR20120140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40214A/ko
Priority to US13/933,762 priority patent/US20130284665A1/en
Priority to US14/323,882 priority patent/US2014032244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2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2218B1/ko
Priority to JP2015142123A priority patent/JP6132276B2/ja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79Manufacture of membranes comprising organic and inorganic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6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chemical rea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79Manufacture of membranes comprising organic and inorganic components
    • B01D67/00793Dispersing a component, e.g. as particles or powder, in another compon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2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0Supported membranes; Membrane supports
    • B01D69/107Organic suppor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13Laminate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5In situ manufacturing by polymerisation, polycondensation, cross-linking or chemical re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5In situ manufacturing by polymerisation, polycondensation, cross-linking or chemical reaction
    • B01D69/1251In situ manufacturing by polymerisation, polycondensation, cross-linking or chemical reaction by interfacial polymer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4Dynamic membranes
    • B01D69/141Heterogeneous membranes, e.g. containing dispersed material; Mixed matrix membranes
    • B01D69/148Organic/inorganic mixed matrix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2Inorganic material
    • B01D71/021Carbon
    • B01D71/0211Graphene or derivat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56Polyamides, e.g. polyester-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12Specific ratios of components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20Specific permeability or cut-off r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2Inorganic material
    • B01D71/021Carb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Nanotechnolog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 다공성 지지층; 및 상기 미세 다공성 지지층 상에 형성되며, 1종 이상의 그라핀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드계 활성층을 포함하는 역삼투 분리막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염제거율 및 투과유량 특성이 우수한 역삼투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REVERES OSMOSIS MEMBRANE HAVING PROPERTIES OF HIGH SALT REJECTION AND HIGH FLUX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역삼투 분리막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염제거율과 투과유량 특성이 향상된 역삼투 분리막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투과성막으로 격리된 두 용액 사이에서 용매가 용질의 농도가 낮은 용액에서 높은 용액 쪽으로 분리막을 통과하여 이동하는 현상을 삼투 현상이라 하며, 이때 용매의 이동으로 용질의 농도가 높은 용액 측에 작용하는 압력을 삼투압이라고 한다. 그런데 삼투압보다 높은 외부 압력을 걸어주면 용매는 용질의 농도가 낮은 용액 쪽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현상을 역삼투라고 한다. 역삼투 원리를 이용하여 압력 구배를 구동력으로 해서 반투과성 막을 통해 각종 염이나 유기 물질을 분리해낼 수 있다. 이러한 역삼투 현상을 이용한 역삼투 분리막은 분자 수준의 물질을 분리하고, 염수 또는 해수에서 염을 제거하여 가정용 및 건축용, 산업용 용수를 공급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역삼투 분리막의 대표적인 예로는, 폴리아미드계 역삼투 분리막을 들 수 있으며, 폴리아미드계 역삼투 분리막은 미세 다공층 지지체 상에 폴리아미드 활성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제조되고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부직포 위에 폴리설폰층을 형성하여 미세 다공성 지지체를 형성하고, 이 미세 다공성 지지체를 m-페닐렌 디아민(m-Phenylene Diamine; mPD) 수용액에 침지시켜 mPD층을 형성하고, 이를 다시 트리메조일클로라이드(TriMesoyl Chloride, TMC) 유기 용매에 침지시켜 mPD층을 TMC와 접촉시켜 계면 중합시킴으로써 폴리아미드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제조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역삼투 분리막이 상업적으로 이용되어 대량으로 탈염화하기 위해서는 염제거율이 높아야 하며, 비교적 낮은 압력에서에서도 과량의 물을 통과시킬 수 있는 투과유량 특성이 우수해야 한다. 따라서, 역삼투 분리막의 염제거율과 투과유량 특성을 한층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활성층에 그라핀 함유 화합물을 포함시켜 염제거율과 투과유량 특성이 향상된 역삼투 분리막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미세 다공성 지지층; 및 상기 미세 다공성 지지층 상에 형성되며, 1종 이상의 그라핀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드계 활성층을 포함하는 역삼투 분리막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미세 다공성 지지체는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메틸클로라이드 및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아미드계 활성층은 아민 화합물과 아실 할라이드 화합물의 계면 중합체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아민 화합물은 m-페닐렌디아민, p-페닐렌디아민, 1,3,6-벤젠트리아민, 4-클로로-1,3-페닐렌디아민, 6-클로로-1,3-페닐렌디아민, 3-클로로-1,4-페닐렌 디아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아실 할라이드 화합물은 트리메조일클로라이드, 이소프탈로일클로라이트 및 테레프탈로일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미세 다공성 지지체를 1종 이상의 그라핀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아민 수용액으로 코팅하는 단계; 상기 지지체 상의 과잉의 아민 수용액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아민 수용액이 도포된 미세다공성 지지체 상에 아실할라이드를 포함하는 지방족 탄화 수소계 유기 용액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역삼투 분리막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그라핀 옥사이드는 아민 수용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05 내지 0.0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층에 그라핀 함유 화합물이 첨가된 본 발명의 역삼투 분리막은 종래의 역삼투 분리막에 비해 우수한 염제거율 및 투과유량 특성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역삼투 분리막은 미세 다공성 지지층 및 폴리아미드계 활성층을 포함하며, 상기 폴리아미드계 활성층 내에 그라핀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한편, 그라핀(Graphene)은 탄소 원자가 6각형의 그물 모양으로 배열된 구조가 연속적으로 이어진 물질로, 2차원 평면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두께는 0.2nm로 매우 얇고 물리적, 화학적 안정성이 높은 물질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역삼투 분리막의 염제거율 및 투과유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부단한 연구를 거듭한 결과, 역삼투 분리막의 활성층에 그라핀 함유 화합물을 첨가할 경우, 종래에 비해 우수한 염제거율 및 투과유량 특성을 갖는 역삼투 분리막을 제조할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그라핀 함유 화합물은 그라핀을 함유하고 있기만 하면 되고,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그라핀, 그라핀 옥사이드 등일 수 있다. 상기 그라핀 함유 화합물들은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층 내에 단독으로 포함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혼합되어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미세 다공성 지지체로는 부직포 상에 고분자 재료가 캐스팅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고분자 재료로는,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메틸클로라이드 및 폴리비닐리젠플루오라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특히 폴리설폰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아미드계 활성층은 아민 화합물과 아실 할라이드 화합물의 계면 중합체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아민 화합물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m-페닐렌디아민, p-페닐렌디아민, 1,3,6-벤젠트리아민, 4-클로로-1,3-페닐렌디아민, 6-클로로-1,3-페닐렌디아민, 3-클로로-1,4-페닐렌 디아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실 할라이드 화합물은, 이로써 제한 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트리메조일클로라이드, 이소프탈로일클로라이드, 테레프탈로일클로라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역삼투 분리막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역삼투 분리막은 (i) 미세 다공성 지지체를 1종 이상의 그라핀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아민 수용액으로 코팅하는 단계, (ii) 상기 지지체 상의 과잉의 아민 수용액을 제거하는 단계 및 (iii) 상기 아민 수용액이 도포된 미세다공성 지지체를 아실할라이드를 포함하는 지방족 탄화 수소계 유기 용액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미세 다공성 지지체를 1종 이상의 그라핀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아민 수용액으로 코팅한다. 이때, 상기 그라핀 함유 화합물은 상기에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코팅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미세 다공성 지지체를 아민 수용액에 침지시키는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침지는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1 내지 10분 정도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미세 다공성 지지체는, 상기한 바와 같이, 부직포 상에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메틸클로라이드 또는 폴리비닐리젠플루오라이드와 같은 고분자 재료가 캐스팅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민 수용액은 m-페닐렌디아민, p-페닐렌디아민, 1,3,6-벤젠트리아민, 4-클로로-1,3-페닐렌디아민, 6-클로로-1,3-페닐렌디아민, 3-클로로-1,4-페닐렌 디아민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아민 화합물과 그라핀 및/또는 그라핀 옥사이드를 포함하는 수용액이다.
이때, 상기 아민 수용액 내의 아민 화합물의 함량은 0.5 내지 5중량%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민 화합물의 함량이 0.5 중량% 미만이면, 막이 충분히 형성되지 못해 염 제거율이 낮아지고, 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물 투과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아민 수용액 내의 그라핀 함유 화합물의 함량은,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0.0005 내지 0.05중량%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라핀 함유 화합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일 때 우수한 염제거율과 투과 유량 특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물성을 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아민 수용액에는 아민 화합물과 아실 할라이드의 계면 중합을 돕는 극성 화합물이나, 첨가제 등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아민 수용액으로 코팅한 다음, 롤러, 에어나이프 또는 스폰지 등을 이용하여 지지체 표면으로부터 과잉의 아민 수용액을 제거하고, 이어서 아실할라이드를 포함하는 지방족 탄화 수소계 유기 용액에 접촉시킨다. 이 과정에서 표면에 코팅된 아민 화합물과 아실 할라이드 화합물이 반응하면서 계면 중합에 의해 폴리아미드를 생성하고, 미세 다공성 지지체에 흡착되어 박막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아실할라이드를 포함하는 지방족 탄화 수소계 유기 용액은 트리메조일 클로라이드, 이소프탈로일클로라이드 및 테레프탈로일클로라이드와 같은 아실할라이드 화합물을 0.05 내지 1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실할라이드 화합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일 때, 우수한 염제거율과 투과 유량 특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유기 용매로는 계면 중합 반응에 참가하지 않고, 아실 할라이드 화합물과 화학적 결합을 형성하지 않고, 다공성 지지층에 손상을 입히지 않는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IsoPar(Exxon), ISOL-C(SK Chem), ISOL-G(SK Chem)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미세다공성 지지체 상에 폴리아미드계 박막이 형성되면 이를 건조하고 세척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건조는 45℃ 내지 80℃에서 1분 내지 10분 정도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척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염기성 수용액에서 세척할 수 있다. 사용가능한 염기성 수용액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탄산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30℃의 탄산나트륨 수용액에서 1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역삼투 분리막은, 활성층에 1종 이상의 그라핀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게 되며, 실험 결과 염제거율 및 투과 유량에 있어서 종래에 비해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DMF(N,N-디메틸포름아미드) 용액에 18중량%의 폴리술폰 고형분을 넣고 80℃에서 12시간 이상 녹여 균일한 액상이 얻었다. 이 용액을 폴리에스테르 재질의 95 ~ 100㎛ 두께의 부직포 위에 45 ~ 50㎛ 두께로 캐스팅하여 다공성 폴리술폰 지지체를 형성하였다.
NaNO3 2g과 KMnO4 12g을 녹인 H2SO4용액 92mL에 그래파이트 플레이트 4g을 넣고 3시간동안 격렬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5중량%의 H2SO4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30중량% 과수에 넣고 색이 없어질 때까지 기다렸다. 필터 페이퍼로 그라핀 옥사이드 분산액을 거른 후, pH가 7이 될 때까지 정제수로 세척한 다음, 60℃에서 건조시켜 그라핀 옥사이드 분말을 얻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다공성 폴리술폰 지지체를 2중량%의 메타페닐렌디아민과 0.0005중량%의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그라핀 옥사이드 분말을 포함하는 수용액에 2분 동안 담갔다 꺼낸 후, 지지체 상의 과잉의 수용액을 25psi 롤러를 이용하여 제거하고, 상온에서 1분간 건조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지지체를 ISOL-C(SK Chem)용매를 사용한 0.1중량%의 트리메조일클로라이드 유기 용액에 1분간 담갔다가 꺼내고, 60℃ 오븐에서 10분간 건조하였다. 그런 다음, 0.2중량% 탄산나트륨 수용액에서 상온에서 2시간 이상 수세하킨 후, 증류수로 수세하여, 1㎛이하 두께의 활성층을 갖는 역삼투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그라핀 옥사이드의 함량을 0.005중량%로 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역삼투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그라핀 옥사이드의 함량을 0.05중량%로 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역삼투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그라핀 옥사이드를 첨가하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역삼투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 3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역삼투 분리막의 초기 염제거율과 초기 투과 유량을 측정하였다. 초기 염제거율과 초기 투과 유량은 평판형 투과셀과 고압 펌프, 저장조, 그리고 냉각 장치를 포함하는 역삼투막 셀 장치(GE Osmosis의 Sepa CF II 셀)에 상기 실시예 1 ~ 3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역삼투 분리막을 장착시킨 후, 25℃에서 32,000ppm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1400mL/min의 유량으로 투과시키면서 측정하였다. 상기 평판형 투과 셀은 크로스-플로우 방식으로, 유효 투과 면적은 140cm2이다. 역삼투 분리막을 투과 셀에 설치한 다음, 평가 장비의 안정화를 위해 3차 증류수를 이용하여 1시간 정도 충분히 예비 운전을 실시하였다. 그런 다음, 32,000ppm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투입하고, 압력과 투과 유량이 정상 상태에 이를 때까지 1시간 정도 운전한 다음, 10분간 투과되는 물의 양을 측정하여 투과 유량을 계산하였으며, 전도도 미터(Conductivity Meter)를 사용하여 투과 전후의 염 농도를 분석하여 염 배제율을 계산하였다. 측정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염배제율(%) 투과유량(gallon/ft2?day)
실시예 1 97.23 23.72
실시예 2 98.34 24.67
실시예 3 98.78 26.54
비교예 96.76 19.82

Claims (12)

  1. 미세 다공성 지지층; 및
    상기 미세 다공성 지지층 상에 형성되며, 1종 이상의 그라핀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드계 활성층을 포함하는 역삼투 분리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핀 함유 화합물은 그라핀 및 그라핀 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폴리아미드계 활성층을 포함하는 역삼투 분리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다공성 지지체는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메틸클로라이드 및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역삼투 분리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계 활성층은 아민 화합물과 아실 할라이드 화합물의 계면 중합체 의해 형성되는 것인 역삼투 분리막.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 화합물은 m-페닐렌디아민, p-페닐렌디아민, 1,3,6-벤젠트리아민, 4-클로로-1,3-페닐렌디아민, 6-클로로-1,3-페닐렌디아민, 3-클로로-1,4-페닐렌 디아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역삼투 분리막.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실 할라이드 화합물은 트리메조일클로라이드, 이소프탈로일클로라이트 및 테레프탈로일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역삼투 분리막.
  7. 미세 다공성 지지체를 1종 이상의 그라핀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아민 수용액으로 코팅하는 단계;
    상기 지지체 상의 과잉의 아민 수용액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아민 수용액이 도포된 미세다공성 지지체 상에 아실할라이드를 포함하는 지방족 탄화 수소계 유기 용액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역삼투 분리막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핀 함유 화합물은 그라핀 및 그라핀 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폴리아미드계 활성층을 포함하는 역삼투 분리막의 제조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핀 함유 화합물은 아민 수용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05 내지 0.0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역삼투 분리막의 제조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다공성 지지체는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메틸클로라이드 및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역삼투 분리막의 제조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 수용액은 m-페닐렌디아민, p-페닐렌디아민, 1,3,6-벤젠트리아민, 4-클로로-1,3-페닐렌디아민, 6-클로로-1,3-페닐렌디아민, 3-클로로-1,4-페닐렌 디아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역삼투 분리막의 제조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아실할라이드를 포함하는 지방족 탄화 수소계 유기 용액은 트리메조일클로라이드, 이소탈로일클로라이트 및 테레프탈로일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역삼투 분리막의 제조 방법.
KR1020120065694A 2011-06-20 2012-06-19 염제거율 및 투과유량 특성이 우수한 역삼투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KR101432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548372A JP2014501614A (ja) 2011-06-20 2012-06-19 塩除去率及び透過流量特性に優れた逆浸透分離膜及びその製造方法
EP12802905.5A EP2722100A4 (en) 2011-06-20 2012-06-19 REVERSE OSMOSEMEMBRANE WITH EXCELLENT SALT SUPPRESSION AND PERMEATE FLUID CHARACTERISTIC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CN2012800063531A CN103338845A (zh) 2011-06-20 2012-06-19 具有高脱盐率和高渗透通量的反渗透分离膜及其制造方法
PCT/KR2012/004843 WO2012177033A2 (ko) 2011-06-20 2012-06-19 염제거율 및 투과유량 특성이 우수한 역삼투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US13/933,762 US20130284665A1 (en) 2011-06-20 2013-07-02 Reverse osmosis separation membrane having high degree of salt rejection and high permeation flux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4/323,882 US20140322443A1 (en) 2011-06-20 2014-07-03 Reverse osmosis separtion membrane having high degree of salt rejection and high permeation flux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5142123A JP6132276B2 (ja) 2011-06-20 2015-07-16 塩除去率及び透過流量特性に優れた逆浸透分離膜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59810 2011-06-20
KR1020110059810 2011-06-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40214A true KR20120140214A (ko) 2012-12-28
KR101432218B1 KR101432218B1 (ko) 2014-09-19

Family

ID=47906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5694A KR101432218B1 (ko) 2011-06-20 2012-06-19 염제거율 및 투과유량 특성이 우수한 역삼투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30284665A1 (ko)
EP (1) EP2722100A4 (ko)
JP (2) JP2014501614A (ko)
KR (1) KR101432218B1 (ko)
CN (1) CN103338845A (ko)
WO (1) WO2012177033A2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01758A (zh) * 2013-05-20 2013-09-18 哈尔滨工业大学 一种石墨烯/聚吡咯复合正渗透膜的制备方法
KR20140092980A (ko) * 2013-01-16 2014-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관능화 그래핀 플레이크 함유 필름을 포함하는 분리막
KR101421219B1 (ko) * 2013-04-24 2014-07-3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래핀 옥사이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복합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KR101437442B1 (ko) * 2013-01-23 2014-09-11 전자부품연구원 수처리용 그래핀-카본나노튜브 복합 구조체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멤브레인 제조방법
WO2014137049A1 (ko) * 2013-03-07 2014-09-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오염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계 수처리 분리막 및 그 제조 방법
WO2014168629A1 (en) * 2013-04-12 2014-10-16 General Electric Company Membranes comprising graphene
WO2014171599A1 (ko) * 2013-04-17 2014-10-2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래핀 옥사이드/담즙산 또는 그의 염 코팅층을 포함하는 복합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47053A (ko) * 2013-06-18 2014-12-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염제거율 및 투과유량 특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계 역삼투 분리막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역삼투 분리막
KR101522681B1 (ko) * 2013-10-29 2015-05-26 한국화학연구원 그래핀 옥사이드가 함침된 나노복합막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나노복합막
WO2015137678A1 (ko) * 2014-03-12 2015-09-1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산화그래핀 코팅층을 포함하는 복합막, 이를 포함하는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108631A (ko) * 2014-03-18 2015-09-3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정성이 향상된 산화그래핀 코팅층을 포함하는 복합막 및 그 제조방법
WO2018009000A1 (ko) * 2016-07-07 2018-01-11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역삼투막
CN111530303A (zh) * 2020-04-15 2020-08-14 南通强生石墨烯科技有限公司 一种石墨烯复合pp过滤膜的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53824B2 (en) 2012-05-25 2020-05-19 Lockheed Martin Corporation Two-dimensional materials and uses thereof
US10203295B2 (en) 2016-04-14 2019-02-12 Lockheed Martin Corporation Methods for in situ monitoring and control of defect formation or healing
CN103084074B (zh) * 2013-01-16 2014-09-03 天津工业大学 一种亲水性聚偏氟乙烯改性分离膜及其制备方法
US9592475B2 (en) 2013-03-12 2017-03-14 Lockheed Martin Corporation Method for forming perforated graphene with uniform aperture size
US9572918B2 (en) 2013-06-21 2017-02-21 Lockheed Martin Corporation Graphene-based filter for isolating a substance from blood
AU2015210875A1 (en) 2014-01-31 2016-09-15 Lockheed Martin Corporation Processes for forming composite structures with a two-dimensional material using a porous, non-sacrificial supporting layer
JP6545688B2 (ja) * 2014-08-11 2019-07-17 国立大学法人信州大学 フィルター成形体の製造方法
CN104722215B (zh) * 2014-10-08 2017-04-12 南京工业大学 基于石墨烯材料的二氧化碳气体分离膜的制备方法
CN104524995B (zh) * 2014-12-23 2017-01-04 大连理工大学 一种稳态结构分离膜及其制备方法
CN107530642B (zh) * 2015-04-20 2021-05-07 义安理工学院 官能化单层石墨烯基薄膜复合材料及其制造方法
DE102015005732A1 (de) * 2015-05-07 2016-11-10 Forschungszentrum Jülich GmbH Kohlenstoffhaltige Membrane für die Wasser- und Gastrennung
AU2016303048A1 (en) 2015-08-05 2018-03-01 Lockheed Martin Corporation Perforatable sheets of graphene-based material
JP2018530499A (ja) 2015-08-06 2018-10-18 ロッキード・マーチン・コーポレーション グラフェンのナノ粒子変性及び穿孔
US20170113190A1 (en) * 2015-10-22 2017-04-27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Water separation composite membrane
CN109219479B (zh) * 2015-12-17 2022-01-04 日东电工株式会社 选择性渗透的氧化石墨烯膜
CN105688694A (zh) * 2016-01-22 2016-06-22 唐山海清源科技股份有限公司 高亲水性复合反渗透膜及其制备方法
WO2017180135A1 (en) 2016-04-14 2017-10-19 Lockheed Martin Corporation Membranes with tunable selectivity
KR20190018411A (ko) 2016-04-14 2019-02-22 록히드 마틴 코포레이션 그래핀 결함의 선택적 계면 완화
WO2017180139A1 (en) 2016-04-14 2017-10-19 Lockheed Martin Corporation Two-dimensional membrane structures having flow passages
WO2017180134A1 (en) 2016-04-14 2017-10-19 Lockheed Martin Corporation Methods for in vivo and in vitro use of graphene and other two-dimensional materials
CN105854630B (zh) * 2016-05-11 2019-03-29 黑龙江八一农垦大学 一种正渗透膜及其制备方法
CA3024857C (en) * 2016-05-20 2021-01-19 Nitto Denko Corporation Selectively permeable graphene oxide membrane
CA3036369A1 (en) * 2016-09-08 2018-03-15 Nitto Denko Corporation Anti-microbial membrane comprising a graphene oxide compound and a lignosulfonate crosslinker
US20180071684A1 (en) 2016-09-12 2018-03-15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Black Liquor Concentration by a Membrane Comprising Graphene Oxide on Porous Polymer
CN106268379B (zh) * 2016-09-23 2019-07-02 北京碧水源膜科技有限公司 一种酰氯化氧化石墨烯改性的聚酰胺反渗透膜的制备方法、所述改性反渗透膜及其应用
EP3600635A1 (en) * 2017-03-24 2020-02-05 Nitto Denko Corporation Selectively permeable graphene oxide membrane
CN106914153B (zh) * 2017-04-12 2018-10-02 江苏拓邦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反渗透膜
US11173455B2 (en) 2017-04-19 2021-11-16 Lg Chem, Ltd. Water treatment membra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06964263A (zh) * 2017-04-27 2017-07-21 山东金城石墨烯科技有限公司 一种耐溶剂耐污的石墨烯纳滤膜的制备方法及应用
CN107126851B (zh) * 2017-05-03 2018-03-06 江苏拓邦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反渗透膜及其制备方法
WO2018205251A1 (en) * 2017-05-12 2018-11-1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High flux permeable reverse osmosis membrane and process of making the same
CN109224888A (zh) * 2017-07-10 2019-01-18 浙江工业大学 一种氧化石墨烯框架改性聚酰胺反渗透膜及其应用
CN107158960A (zh) * 2017-07-13 2017-09-15 中国科学院生态环境研究中心 一种高通量和抗污染的聚间苯二甲酰间苯二胺纳滤膜的制备方法
CN109304103B (zh) * 2017-07-28 2021-11-02 中国科学院宁波材料技术与工程研究所 一种疏松型大通量海水淡化膜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7469644A (zh) * 2017-09-08 2017-12-15 中国科学技术大学 一种电纳滤膜及其制备方法
CN108325399B (zh) * 2018-01-12 2020-12-22 时代沃顿科技有限公司 一种石墨烯聚酰胺反渗透膜的制备方法
CN108246130B (zh) * 2018-01-31 2020-06-09 江苏大学 一种GO/SiO2改性的纳米复合薄膜的制备方法
WO2019155946A1 (ja) * 2018-02-07 2019-08-15 国立大学法人神戸大学 複合分離膜
CN108246113A (zh) * 2018-03-16 2018-07-06 深圳市海通膜科技有限公司 一种大通量复合反渗透膜的制备方法
CN108568217A (zh) * 2018-03-29 2018-09-25 同济大学 一种改性全芳香聚酰胺膜及其制备方法
CN108404688A (zh) * 2018-03-29 2018-08-17 同济大学 一种改性半芳香聚酰胺膜及其制备方法
CN112449614A (zh) * 2018-06-21 2021-03-05 日东电工株式会社 用于气体脱水的选择性渗透的氧化石墨烯隔膜
CN108854602A (zh) * 2018-06-28 2018-11-23 江苏泓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增强型中空纤维超滤膜及其制备方法
CN110882632B (zh) * 2018-09-10 2022-03-11 新奥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反渗透膜及其制备方法
CN109433030B (zh) * 2018-11-23 2021-08-10 山东大学 一种氧化石墨烯量子点-磷酸银复合材料改性的反渗透复合膜的制备方法
CN109876666B (zh) * 2019-03-19 2021-10-26 暨南大学 一种聚酰胺-氧化石墨烯复合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11772047B2 (en) 2019-06-11 2023-10-03 Eden Technologies, Inc. Reverse osmosis centrifuge
US20200391158A1 (en) * 2019-06-11 2020-12-17 Eden Technologies, LLC Reverse osmosis centrifuge
CN110180402B (zh) * 2019-07-08 2020-08-04 清华大学 一种基于界面聚合制备松散纳滤膜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587B1 (ko) * 1998-11-09 2005-07-18 주식회사 새 한 폴리아미드계 복합소재 분리막 제조방법
KR100583136B1 (ko) * 2004-04-27 2006-05-23 한국전력공사 실란-폴리아미드 복합막 및 그 제조방법
KR100680109B1 (ko) * 2005-07-27 2007-02-0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폴리아미드 역삼투 복합막 및 그 제조방법
WO2008118228A2 (en) * 2006-12-05 2008-10-02 Stonybrook Water Purification Articles comprising a fibrous support
KR100781625B1 (ko) * 2006-12-11 2007-12-05 주식회사 새 한 내오염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폴리아마이드 역삼투분리막의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역삼투분리막
CN101720257B (zh) * 2007-05-26 2013-03-27 纽约州立大学研究基金会 包含纤维素或纤维素衍生物层的高通量流体分离膜
WO2009035415A1 (en) * 2007-09-10 2009-03-19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Polymeric membranes incorporating nanotubes
WO2009129354A2 (en) * 2008-04-15 2009-10-22 Nanoh2O, Inc. Hybrid nanoparticle tfc membranes
US8177978B2 (en) * 2008-04-15 2012-05-15 Nanoh20, Inc. Reverse osmosis membranes
CN101601975A (zh) * 2008-06-10 2009-12-16 贵阳时代汇通膜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反渗透膜
US7993524B2 (en) * 2008-06-30 2011-08-09 Nanoasis Technologies, Inc. Membranes with embedded nanotubes for selective permeability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2980A (ko) * 2013-01-16 2014-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관능화 그래핀 플레이크 함유 필름을 포함하는 분리막
KR101437442B1 (ko) * 2013-01-23 2014-09-11 전자부품연구원 수처리용 그래핀-카본나노튜브 복합 구조체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멤브레인 제조방법
WO2014137049A1 (ko) * 2013-03-07 2014-09-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오염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계 수처리 분리막 및 그 제조 방법
CN105073235B (zh) * 2013-04-12 2018-02-06 通用电气公司 包含石墨烯的膜
CN105073235A (zh) * 2013-04-12 2015-11-18 通用电气公司 包含石墨烯的膜
WO2014168629A1 (en) * 2013-04-12 2014-10-16 General Electric Company Membranes comprising graphene
WO2014171599A1 (ko) * 2013-04-17 2014-10-2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래핀 옥사이드/담즙산 또는 그의 염 코팅층을 포함하는 복합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US9833749B2 (en) 2013-04-17 2017-12-05 Iucf-Hyu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Composite separation membrane including coating layer of graphene oxide/bile acid or salt thereof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4175517A1 (ko) * 2013-04-24 2014-10-3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래핀 옥사이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복합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US10232322B2 (en) 2013-04-24 2019-03-19 Iucf-Hyu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Composite separation membrane including graphene oxide coating lay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21219B1 (ko) * 2013-04-24 2014-07-3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래핀 옥사이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복합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CN103301758B (zh) * 2013-05-20 2015-02-11 哈尔滨工业大学 一种石墨烯/聚吡咯复合正渗透膜的制备方法
CN103301758A (zh) * 2013-05-20 2013-09-18 哈尔滨工业大学 一种石墨烯/聚吡咯复合正渗透膜的制备方法
KR20140147053A (ko) * 2013-06-18 2014-12-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염제거율 및 투과유량 특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계 역삼투 분리막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역삼투 분리막
KR101522681B1 (ko) * 2013-10-29 2015-05-26 한국화학연구원 그래핀 옥사이드가 함침된 나노복합막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나노복합막
WO2015137678A1 (ko) * 2014-03-12 2015-09-1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산화그래핀 코팅층을 포함하는 복합막, 이를 포함하는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US10668694B2 (en) 2014-03-12 2020-06-02 Iucf-Hyu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Composite film including a graphene oxide coating layer, a porous polymer support includ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20150108631A (ko) * 2014-03-18 2015-09-3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정성이 향상된 산화그래핀 코팅층을 포함하는 복합막 및 그 제조방법
WO2018009000A1 (ko) * 2016-07-07 2018-01-11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역삼투막
CN111530303A (zh) * 2020-04-15 2020-08-14 南通强生石墨烯科技有限公司 一种石墨烯复合pp过滤膜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22100A2 (en) 2014-04-23
US20130284665A1 (en) 2013-10-31
CN103338845A (zh) 2013-10-02
WO2012177033A3 (ko) 2013-04-04
JP6132276B2 (ja) 2017-05-24
JP2015231624A (ja) 2015-12-24
WO2012177033A2 (ko) 2012-12-27
US20140322443A1 (en) 2014-10-30
JP2014501614A (ja) 2014-01-23
KR101432218B1 (ko) 2014-09-19
EP2722100A4 (en) 201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2218B1 (ko) 염제거율 및 투과유량 특성이 우수한 역삼투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KR101517686B1 (ko) 내오염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계 수처리 분리막 및 그 제조 방법
KR101733264B1 (ko) 염제거율 및 투과유량 특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계 수처리 분리막 및 그 제조 방법
JP5923793B2 (ja) カルボジイミド系化合物を含む高透過逆浸透膜及びこれを製造する方法
KR20130131259A (ko) 초기 투과 유량이 우수한 폴리아미드계 역삼투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40970B1 (ko) 역삼투 분리막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역삼투 분리막
JP2015506831A (ja) 耐塩素性高透過水処理分離膜及びその製造方法
JP6642860B2 (ja) 水処理分離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66683A (ko) 폴리아마이드 역삼투 분리막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폴리아마이드 역삼투 분리막
KR101659122B1 (ko) 염제거율 및 투과유량 특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계 수처리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KR101477848B1 (ko) 초친수층을 포함하는 역삼투막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78822A (ko) 폴리아마이드계 역삼투분리막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폴리아마이드계 역삼투분리막
KR101517653B1 (ko) 크산텐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투과 유량 역삼투 분리막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41657B1 (ko) 수처리 분리막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수처리 분리막 및 수처리 분리막을 포함하는 수처리 모듈
KR101653414B1 (ko) 내오염성이 우수한 폴리아마이드계 역삼투 분리막의 제조 방법
KR101778351B1 (ko) 수처리 분리막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수처리 분리막
KR102212132B1 (ko) 분리막, 분리막의 활성층 형성용 조성물 및 분리막의 제조방법
KR101474062B1 (ko) 역삼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20150B1 (ko) 고유량 역삼투 분리막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13744A (ko) 수처리 분리막의 제조방법, 수처리 분리막 및 수처리 모듈
KR20030022915A (ko) 폴리아마이드 복합소재 역삼투 분리막 제조방법
US20140034569A1 (en) Reverse osmosis membrane having high initial permeate flux
KR20170104831A (ko) 폴리아미드 계면중합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역삼투막의 제조방법 및 역삼투막 및 수처리 모듈
KR20190071188A (ko) 수처리 분리막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수처리 분리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