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3871A - 철근받침구조체 - Google Patents

철근받침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3871A
KR20120133871A KR1020110052765A KR20110052765A KR20120133871A KR 20120133871 A KR20120133871 A KR 20120133871A KR 1020110052765 A KR1020110052765 A KR 1020110052765A KR 20110052765 A KR20110052765 A KR 20110052765A KR 20120133871 A KR20120133871 A KR 20120133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einforcing bar
support member
suppor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2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8399B1 (ko
Inventor
윤상문
최순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인과파트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인과파트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인과파트너
Priority to KR1020110052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8399B1/ko
Publication of KR20120133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3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8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8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02D27/08Reinforcements for flat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undations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기초공사에서 이용되는 철근받침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 철근의 처짐을 방지하면서 기초의 유효 깊이를 확보하여 구조체의 내력을 확보하고, 현장 작업자들이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단부가 상부철근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부가 고정되는 받침 상부판과 상기 받침 상부판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리부재가 형성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철근받침구조체{SUPPORT FOR A UPPER REINFORCING BAR OF FOOTINGS}
본 발명은 건축물의 기초공사에서 이용되는 철근받침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 철근의 처짐을 방지하면서 기초의 유효 깊이를 확보하여 구조체의 내력을 확보하고, 현장 작업자들이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철근받침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축조를 위한 기초공사에는 기초하부근과 기초상부근이 설치되는데, 최근 초고층 건물이 일반화되면서 매트(MAT) 기초의 깊이가 깊어짐에 따라 기초상부근이 기초 지반 상부에 타설되는 버림콘트리트층으로부터 높이 설치되고 기초공사에 소요되는 철근의 배근량이 증가함에 따라 기초상부근의 처짐을 방지하고 배근된 기초상부근 위에서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기초상부근의 하부에는 철근받침구조체의 설치가 요구되고 있다.
종래 철근받침 구조체는 도 1a 내지 도 1d와 같이 H 형강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H 형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버림 콘크리트 타설 후, 베이스플레이트를 설치하고 그 위에 H 형강을 정치한다.(1a) H 형각을 정치한 후에는 버림콘크리트 상부에 하부근을 배근하고(1b), H 형강 상부에 ㄷ 형강을 용접한다.(1c) 그리고 마지막으로, ㄷ 형강 상부에 상부 철근을 배근(1d)하고 최종 콘크리트 타설한다.
하지만, H 형강을 이용하는 경우에 하부철근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미리 설치된 H 형강으로 인해 배근하는 철근을 절단하고, 용접할 수 밖에 없는 과정을 거치고 되는점, 그리고, H 형강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는 경우에는 ㄷ 형강을 용접함에 있어 H 형강들의 높이를 수평으로 맞추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기초상부근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다량의 H 형강이 사용됨으로써 기초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초하부근을 자유롭게 배근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기초 하부근의 상부에 설치되고, 또한, 높이를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는 철근받침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철근받침구조체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단부가 상부철근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부가 고정되는 받침 상부판과 상기 받침 상부판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리부재로 형성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받침 상부판은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가 상부의 중앙부에 고정되고,
상기 다리부재는 상기 받침 상부판의 하부의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철근받침구조체는 판 형상으로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받침 상부판에 고정되는 서포트 바닥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는 상단부가 상기 철근을 지지하는 제 1 서포트;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서포트의 하단부에 삽입되고, 타단부가 상기 받침 상부판에 고정되는 제 2 서포트; 및 상기 제 2 서포트의 나사산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제 1 서포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철근받침구조체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단부가 상부철근을 지지하고, 하단부는 하부철근에 위치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가 관통하는 관통공을 형성하는 받침 상부판과 상기 받침 상부판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리부재를 형성하는 받침부재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받침부재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관으로, 상기 지지부재가 관통하도록 상기 받침부재에 형성되는 관통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철근받침구조체는 판 형상으로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하부철근의 상부에 고정되는 서포트 바닥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는 상단부가 상기 철근을 지지하는 제 1 서포트;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서포트의 하단부에 삽입되고, 타단부가 하부 철근에 위치하는 제 2 서포트; 및 상기 제 2 서포트의 나사산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제 1 서포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철근받침구조체를 이용한 기초공사방법은 지반 혹은 버림콘크리트층 상부에 하부철근을 배근하는 제 1 단계; 상기 하부 철근에 의해 형성된 철근들 사이로 철근받침구조체를 설치하는 제 2 단계; 상기 철근받침구조체의 상부에 가로 지지대를 설치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가로 지지대 상부에 상부 철근을 배근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2 단계는 받침 상부판과 상기 받침 상부판의 하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리부재로 형성된 받침 부재를 상기 하부 철근에 의해 형성된 철근들 사이로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받침 부재의 상부에 지지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받침구조체는 기초하부근의 배근을 용이하게 하고,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재료의 단가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도 1d는 종래기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받침구조체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받침구조체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받침구조체의 높이조절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받침구조체를 이용해 기초공사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받침부재가 하부철근에 설치된 상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이한 받침부재가 하부철근에 설치된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받침구조체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철근받침구조체는 지지부재(100)와 받침부재(200)를 포함한다.
지지부재(10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단부가 상부철근을 지지한다. 받침부재(200)는 지지부재(100)의 하단부가 고정되는 받침 상부판(210)과 받침 상부판(210)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리부재(220)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지지부재(100)는 관으로 형성될 수 있고, 특히 강관파이프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철근받침구조체는 건축물의 기초공사시에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매립되는 점에서 기성품 강관 파이프는 물론 기존에 이미 사용된 강관파이프를 재활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지지부재(100)는 제 1 서포트(110), 제 2 서포트(120) 및 높이조절수단(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서포트(110)는 상단부가 상부철근을 지지하고, 제 2 서포트(120)는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 1 서포트(110)의 하단부에 삽입되고, 타단부가 상기 받침 상부판(210)에 고정된다. 또한, 높이조절수단(130)은 제 2 서포트(120)의 나사산을 따라 회전하면서 제 1 서포트(110)의 높이를 조절한다.
여기서, 제 1 서포트(110)와 제 2 서포트(120)는 강관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고, 제 2 서포트(120)의 일단에는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고, 높이조절수단(130)은 회전하면서 나사산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제 1 서포트(110)의 높이를 조절한다.
제 1 서포트(110)의 높이조절에 의해 상부철근을 배근하기 전에 가로지지대를 설치하기 위해 지지부재(100)의 높이를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지부재(100)는 받침부재(200)의 받침 상부판(210)에 결합하여 고정되기 위해 서포트 바닥판(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지지부재(100)와 받침상부판(210)이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서포트 바닥판(140)을 이용해 결합할 수 있다.
서포트 바닥판(140)과 바닥 상부판(210)은 볼트너트 결합으로 고정될 수 있다.
받침부재(200)는 받침상부판(210)과 다리부재(220)로 구성될 수 있다. 받침상부판(210)과 다리부재(220)는 일체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은 물론 나사 결합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할 수 있다.
받침상부판(210)은 다각형의 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리부재(220)는 받침상부판(210)의 하부면에 고정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도 2a 등에서는 다리부재(220) 4 개가 상부받침판(210) 하부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 형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본원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개수 및 위치로 설치될 수 있다.
받침부재(200)의 다리부재(220)는 도 2c와 같이 버림콘크리트층 상부에 배근된 하부철근들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하부철근(10)을 배근하는 과정에서 철근받침구조로 인한 절단, 용접 등의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다리부재(220)가 하부철근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견고하게 고정되기 위해, 하부철근(10)과 다리부재(220)를 철선을 이용해 고정할 수 있다(미도시). 물론, 철선 외에도 다리부재(220)와 하부철근(10)의 고정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받침구조체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의한 철근받침구조체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와 같이, 지지부재(100) 및 받침부재(200)를 포함한다. 여기서는 제 1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제외하고 제 2 실시예만의 기술적 특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 2 실시예에 의한 철근받침구조체는 지지부재(100) 및 받침부재(200)로 구성되고, 지지부재(10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단부가 상부철근을 지지하고, 하단부는 하부철근에 위치하고, 받침부재(200)는 지지부재(100)가 관통하는 관통공을 형성하는 받침 상부판(210)과 받침 상부판(210)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리부재(220)를 포함한다.
제 1 실시예와 달리, 지지부재(100)는 받침부재(200)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지지부재(100)는 제 1 서포트(110), 제 2 서포트(120) 및 높이조절수단(130)으로 구성되고, 제 1 서포트(110)는 상단부가 상기 철근을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제 2 서포트(120)는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서포트의 하단부에 삽입되고, 타단부가 하부 철근에 위치한다. 또한, 높이조절수단(130)은 제 2 서포트(120)의 나사산을 따라 회전하면서 제 1 서포트(110)의 높이를 조절한다.
받침부재(200)는 관통공을 형성함과 동시에 지지부재(100) 특히 제 2 서포트(120)를 가이드하는 관통관(211)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관통관(211)은 관통공을 포함하면서 소정의 길이를 가진 관으로 형성되어, 지지부재(100)의 흔들림 등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제 2 실시예에 의한 철근받침구조체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00)의 하단부가 버림콘크리트층(1) 상부에 배근된 하부철근(10)에 위치한다. 이때, 하부철근(10)과 지지부재(100)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한편, 지지부재(100)의 하단부에는 서포트 바닥판(140)을 형성하고, 판 형상의 서포트 바닥판(140)이 하부철근(10)에 위치하면서 고정될 수도 있다.
철근받침구조체는 받침부재(200)의 다리부재(220)가 하부철근(10) 사이에 위치하고, 지지부재(100)의 하단부 혹은 서포트 바닥판(140)이 하부철근의 상부에 위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리부재(220)와 하부철근(10)은 철선 등을 이용해 고정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받침구조체의 높이조절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철근받침구조체를 이용해 상부철근의 처짐을 방지하면서 지지하기 위해, 후술할 도 5d와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철근받침구조체들의 상부에 가로 지지대(300)를 설치한다. 가로지지대는 일정한 방향으로 설치되므로, 복수의 철근받침구조체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높이 조절이 필요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수단(130)은 제 1 서포트(110)와 제 2 서포트(120) 사이에서 회전하면서 제 1 서포트(110)의 높이를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제 1 서포트(110)의 하단부는 적어도 개방되어 제 2 서포트(120)의 상단부에 형성된 수나사 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관 형상으로 구성되고, 기존의 강관파이프를 이용할 수 있다.
제 2 서포트(120)는 상단부에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수나사 부분을 구비한다.
따라서, 높이조절수단(130)은 내주면으로 상기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의 암나사 부분을 구비할 수 있고, 회전에 의해 나사산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높이 조절을 위해 돌출된 형태의 손잡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지지부재(100)의 상단부에는 상부철근의 하부에 위치하는 가로 지지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판(17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100)가 강관파이프 등과 같은 관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될 수 있도록 콘크리트 타설홈(160)을 구비할 수 있다.
지지판(170)은 상부면에 용접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콘크리트 타설홈(160)은 다양한 모양의 홈으로 상부면은 물론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받침구조체를 이용해 기초공사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받침구조체를 이용한 기초공사방법은 지반 혹은 버림콘크리트층(1) 상부에 하부철근(10)을 배근하는 제 1 단계(도 5a), 하부철근(10)에 의해 형성된 철근들 사이로 철근받침구조체를 설치하는 제 2 단계(도 5b, 도 5c), 철근받침구조체의 상부에 가로 지지대를 설치하는 제 3 단계(도 5d) 및 가로 지지대(300) 상부에 상부철근(400)을 배근하는 제 4 단계(도 5e)를 포함한다.
이때, 철근받침구조체를 설치하는 제 2 단계는 받침 상부판과 상기 받침 상부판의 하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리부재로 형성된 받침 부재를 상기 하부 철근에 의해 형성된 철근들 사이로 설치하는 단계(도 5b); 및 받침 부재의 상부에 지지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도 5c)로 나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a 는 버림콘크리트층(1) 상부에 하부철근(10)을 배근하는 과정으로, 버림콘크리트층(1)에는 철근받침구조체를 위한 별도의 과정을 더 포함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지반 상부에 버림콘크리트층(1)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하부철근을 배근한다.
도 5b는 철근받침구조체 중에서 받침부재를 먼저 설치하는 과정으로, 하부철근(10)이 배근된 후에 받침상부판(210)과 다리부재(220)로 구성된 받침부재(200)를 하부철근(10)에 설치한다. 이때, 다리부재(220)는 철근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에 위치하도록 하고, 하부철근(10)과 다리부재(220)는 철선 또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결합할 수 있다.
도 5c는 받침부재(200)에 지지부재(100)를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받침부재(200)와 지지부재(100)가 일체로 결합된 경우에는 도 5b와 도 5c가 분리되지 않고 하나의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실시예의 경우에는, 지지부재(100)의 하단부에 형성된 서포트 바닥판(140)과 받침부재(200)의 받침상부판(210)을 볼트 너트 결합으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제 2 실시예의 경우에는 지지부재(100)를 받침상부판(210)에 형성된 관통공 및 관통관을 통해 지지부재(100)의 하단부 혹은 서포트 바닥판(140)이 하부철근(10)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 2 실시예의 경우에는 받침부재(200)에 지지부재(100)를 관통한 상태에서 설치할 수도 있다.
도 5d는 철근받침구조체 상부에 가로 지지대(300)를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가로 지지대(300)는 일정한 간격으로 일정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가로 지지대(300)를 설치하기 위해 철근받침구조체의 높이는 일정해야 하므로 높이조절수단을 이용해 각 철근받침구조체의 높이를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다.
가로 지지대(300)는 철근받침구조체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가로 지지대(300)는 ㄷ 형강이 이용될 수 있다.
도 5e는 가로 지지대(300) 상부에 상부 철근을 배근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상부 철근의 배근은 기존에 이용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철근받침구조체 상호 간의 결합을 견고히 하기 위해 파이프클램프를 이용해 인접한 철근받침구조체 사이를 연결하여 결합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의한 받침부재가 하부철근에 설치된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 의한 받침부재는 다리부재가 하부철근의 배근된 철근 사이에 위치하고, 제 2 실시예 의한 받침부재는 다리부재가 하부철근의 배근된 철근 사이에 위치하는 것은 물론, 서포트 받침판이 하부철근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받침부재의 다리부재는 하부철근과 철선 등을 이용해고정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하여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 : 버림콘크리트층 10 : 하부철근
100 : 지지부재 110 : 제 1 서포트
120 : 제 2 서포트 130 : 높이조절수단
140 : 서포트 바닥판 170 : 지지판
160 : 콘크리트 타설홈 200 : 받침부재
210 : 받침상부판 220 : 다리부재
300 : 가로 지지대 400 : 상부철근

Claims (10)

  1.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단부가 상부철근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부가 고정되는 받침 상부판과 상기 받침 상부판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리부재가 형성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철근받침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상부판은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가 상부의 중앙부에 고정되고,
    상기 다리부재는 상기 받침 상부판의 하부의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받침구조체.
  3. 제 2 항에 있어서,
    판 형상으로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받침 상부판과 고정되는 서포트 바닥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받침구조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단부가 상기 철근을 지지하는 제 1 서포트;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서포트의 하단부에 삽입되고, 타단부가 상기 받침 상부판에 고정되는 제 2 서포트; 및
    상기 제 2 서포트의 나사산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제 1 서포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받침구조체.
  5.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단부가 상부철근을 지지하고, 하단부는 하부철근에 위치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가 관통하는 관통공을 형성하는 받침 상부판과 상기 받침 상부판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리부재를 형성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철근받침구조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관으로, 상기 지지부재가 관통하도록 상기 받침부재에 형성되는 관통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받침구조체.
  7. 제 6 항에 있어서,
    판 형상으로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하부철근의 상부에 고정되는 서포트 바닥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받침구조체.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단부가 상기 철근을 지지하는 제 1 서포트;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서포트의 하단부에 삽입되고, 타단부가 하부 철근에 위치하는 제 2 서포트; 및
    상기 제 2 서포트의 나사산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제 1 서포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받침구조체.
  9. 지반 혹은 버림콘크리트층 상부에 하부철근을 배근하는 제 1 단계;
    상기 하부 철근에 의해 형성된 철근들 사이로 철근받침구조체를 설치하는 제 2 단계;
    상기 철근받침구조체의 상부에 가로 지지대를 설치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가로 지지대 상부에 상부 철근을 배근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철근받침구조체를 이용한 기초공사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는
    받침 상부판과 상기 받침 상부판의 하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리부재로 형성된 받침 부재를 상기 하부 철근에 의해 형성된 철근들 사이로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받침 부재의 상부에 지지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받침구조체를 이용한 기초공사방법.
KR1020110052765A 2011-06-01 2011-06-01 철근받침구조체 KR101298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765A KR101298399B1 (ko) 2011-06-01 2011-06-01 철근받침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765A KR101298399B1 (ko) 2011-06-01 2011-06-01 철근받침구조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3236A Division KR20130059363A (ko) 2013-03-28 2013-03-28 철근받침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871A true KR20120133871A (ko) 2012-12-11
KR101298399B1 KR101298399B1 (ko) 2013-08-20

Family

ID=47517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2765A KR101298399B1 (ko) 2011-06-01 2011-06-01 철근받침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83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542B1 (ko) * 2016-05-11 2016-12-19 (주)한국환경종합건축사사무소 상부수평철근용 철근스페이서의 고정구조
KR101698991B1 (ko) * 2016-06-15 2017-01-25 (주)알씨에스코리아 대구경 철근용 철근배근유닛과 이를 이용한 철근배근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538U (ja) * 1992-07-20 1994-02-18 株式会社トーアツ 基礎用配筋支持金具
KR200231221Y1 (ko) 2001-02-08 2001-07-19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철근 배근 간격 조절이 용이한 철근 받침대
JP3090733U (ja) * 2002-06-14 2002-12-26 強 石橋 二段筋スラブ用鉄筋受け具
KR100762404B1 (ko) * 2006-09-29 2007-10-08 주식회사 일레븐이엔지 철근받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542B1 (ko) * 2016-05-11 2016-12-19 (주)한국환경종합건축사사무소 상부수평철근용 철근스페이서의 고정구조
KR101698991B1 (ko) * 2016-06-15 2017-01-25 (주)알씨에스코리아 대구경 철근용 철근배근유닛과 이를 이용한 철근배근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8399B1 (ko) 2013-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0484B1 (ko) 경량의 매입형 내부거푸집을 활용한 hpc기둥과 이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937680B1 (ko) 구조적 강성이 보강된 조립식 pc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191502B1 (ko) 트러스근 일체형 비대칭 에이치형강 합성보 및 엔드빔을 이용한 구조 시스템
KR101572245B1 (ko) 철근받침구조체
KR101249408B1 (ko) 매스 콘크리트 구조체용 철근 받침기둥 및 이를 이용한 매스 콘크리트 구조체의 상부철근 배근방법
KR101298399B1 (ko) 철근받침구조체
JP2005090116A (ja) 鉄骨柱の立設方法およびこれに使用する位置決め用枠体
JP6644600B2 (ja) 一体型基礎及び一体型基礎工法
KR101105883B1 (ko) 고층 콘크리트 건축물의 기초 매트 시공 방법
JP6632290B2 (ja) 鋼製柱の脚部構造及び鋼製柱脚部の施工方法
KR200352506Y1 (ko) 거푸집 지지구조
KR20130059363A (ko) 철근받침구조체
KR101473218B1 (ko) 지하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229093B1 (ko) 슬래브 개구부 마구리용 전용 거푸집패널
KR20100007721A (ko) 기둥 하부 기초의 펀칭 크랙 보강용 판형 합성 구조체
KR20180101678A (ko) 합벽지지대용 앙카볼트
JP6553855B2 (ja) 建物の基礎構造、および、建物の基礎の施工方法
JP6474572B2 (ja) 建物の基礎構造、および、建物の基礎の施工方法
JP2018017041A (ja) 基礎構造及びその基礎工法
KR101692151B1 (ko) 측압지지보 겸용 데크 지지프레임
KR101707376B1 (ko) 합성보를 이용한 지하 구조물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273580Y1 (ko) 강관말뚝의 머리부 보강장치
JP2016217126A (ja) 建設用の地面係合型支持装置
CN219219378U (zh) 一种可调节的装配式钢结构预埋件
KR101013028B1 (ko) 콘크리트말뚝용 두부보강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