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2076A -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 필름 - Google Patents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2076A
KR20120112076A KR1020120030371A KR20120030371A KR20120112076A KR 20120112076 A KR20120112076 A KR 20120112076A KR 1020120030371 A KR1020120030371 A KR 1020120030371A KR 20120030371 A KR20120030371 A KR 20120030371A KR 20120112076 A KR20120112076 A KR 20120112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weight
propylene
ethylene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0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7778B1 (ko
Inventor
겐스케 오니시
시게키 기시로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12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2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7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K5/105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with phen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4Esters of phosphorous acids, e.g. of H3PO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과제
필름으로 하였을 때에, 내블로킹성, 저온에서의 내충격성, 히트시일 강도가 우수하고, 또한 열처리에 의한 오렌지 필의 발생이 경감되는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 필름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가 주된 구조 단위인 중합체 성분 50 ? 90 중량% 와,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20 ? 60 중량% 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50 ? 10 중량% 를 함유하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70 ? 90 중량%, 및 밀도가 900 ? 940 kg/㎥ 이고, 분자량 분포가 1 이상 3 미만인 에틸렌-α-올레핀계 공중합체 30 ? 10 중량% 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과, 상기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특정한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및/또는 특정한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0.01 ? 0.1 중량부를 함유하는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Description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 필름{PROPYLENE-BASED RESIN COMPOSITION AND FILM THEREOF}
본 발명은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 필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필름으로 하였을 때에, 내블로킹성, 저온에서의 내충격성, 히트시일 강도가 우수하고, 또한 그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포장체를 열처리하였을 때에 포장체 표면에 요철 (이하, 「오렌지 필」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이 발생하기 어려운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 필름에 관한 것이다.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내열성이나 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필름, 시트, 용기 등의 분야에서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최근, 식품 포장용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필름, 예를 들어, 레토르트 식품 포장체에 사용되는 필름에는, 내열성, 강성, 내블로킹성, 히트시일 강도를 겸비하고, 열처리 후의 외관이 양호한 필름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에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부텐-1 3 원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블록 공중합체에서 선택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97 ? 75 질량% 와, 싱글 사이트 촉매에 의해 에틸렌 및 α-올레핀을 중합하여 얻어진 밀도 0.860 ? 0.900 g/㎤, 극한 점도〔η〕1.0 ? 1.8 (㎗/g) 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3 ? 25 질량% 로 이루어지는 레토르트 식품 포장용 수지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는, 프로필렌계 블록 공중합체 70 ? 95 중량% 와, 밀도가 890 ? 925 kg/㎥ 이고, n-헥산 추출량이 0.01 ? 2.6 중량% 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5 ? 30 중량% 를 함유하는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단, 프로필렌계 블록 공중합체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함유량은,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의 전체 중량 100 중량% 를 기준으로 하고,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n-헥산 추출량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전체 중량 100 중량% 를 기준으로 한다) 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6422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61033호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에서는, 내블로킹성, 히트시일 강도, 열처리 후의 외관 불량, 저온에서의 내충격성이 아직 만족되는 것은 아니며, 추가적인 개량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필름으로 하였을 때에, 내블로킹성, 저온에서의 내충격성, 히트시일 강도가 우수하고, 또한 열처리에 의한 오렌지 필이 발생하기 어려운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본 발명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가 주된 구조 단위인 중합체 성분 (성분 A) 50 ? 90 중량% 와,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20 ? 60 중량% 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성분 B) 50 ? 10 중량% (단, 성분 A 와 성분 B 의 합계 중량을 100 중량% 로 한다) 를 함유하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중합체 (I)) 70 ? 90 중량%, 및,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와, 탄소수 4 ? 20 의 α-올레핀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갖고, 밀도가 900 ? 940 kg/㎥ 이고, 분자량 분포가 1 이상 3 미만인 에틸렌-α-올레핀계 공중합체 (중합체 (II)) 30 ? 10 중량% 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 (단, 중합체 (I) 과 중합체 (II) 의 합계 중량을 100 중량% 로 한다) 과,
상기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하기 식 (1) 로 나타내는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및/또는 하기 식 (2) 로 나타내는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0.01 ? 0.1 중량부를 함유하는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이다.
Figure pat00001
(식 중, R1 및 R2 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탄소수 6 ? 12 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7 ? 18 의 아르알킬기를 나타내고, R3 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3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4 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2
(식 중, R5, R6, R8 및 R9 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6 ? 12 의 알킬시클로알킬기,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R7 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X 는, 황 원자 혹은 -CHR10- 기 (R10 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낸다) 를 나타내고, n 은, 0 또는 1 이다. A 는, 탄소수 2 ? 8 의 알킬렌기 또는 *-CO(R11)m- 기 (R11 은 탄소수 1 ? 8 의 알킬렌기를, * 은, 산소 원자와의 결합 부위인 것을 나타내고, m 은 0 또는 1 이다) 를 나타낸다. Y, Z 는, 그 어느 일방이 하이드록실기, 탄소수 1 ? 8 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옥시기를 나타내고, 타방이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가 주된 구조 단위인 중합체 성분 (성분 A) 50 ? 90 중량% 와,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20 ? 60 중량% 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성분 B) 50 ? 10 중량% (단, 성분 A 와 성분 B 의 합계 중량을 100 중량% 로 한다) 를 함유하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중합체 (I)) 45 ? 90 중량%,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와, 탄소수 4 ? 20 의 α-올레핀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갖고, 밀도가 900 ? 940 kg/㎥ 이고, 분자량 분포가 1 이상 3 미만인 에틸렌-α-올레핀계 공중합체 (중합체 (II)) 30 ? 10 중량%, 및,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중합체 (III)) 를 25 중량% 이하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 (단, 중합체 (I) 과 중합체 (II) 와 중합체 (III) 의 합계 중량을 100 중량% 로 한다) 과,
상기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식 (1) 로 나타내는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및/또는 식 (2) 로 나타내는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0.01 ? 0.1 중량부를 함유하는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이다.
Figure pat00003
(식 중, R1 및 R2 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탄소수 6 ? 12 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7 ? 18 의 아르알킬기를 나타내고, R3 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3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4 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4
(식 중, R5, R6, R8 및 R9 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6 ? 12 의 알킬시클로알킬기,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R7 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X 는, 황 원자 혹은 -CHR10- 기 (R10 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낸다) 를 나타내고, n 은, 0 또는 1 이다. A 는, 탄소수 2 ? 8 의 알킬렌기 또는 *-CO(R11)m- 기 (R11 은 탄소수 1 ? 8 의 알킬렌기를, * 은, 산소 원자와의 결합 부위인 것을 나타내고, m 은 0 또는 1 이다) 를 나타낸다. Y, Z 는, 그 어느 일방이 하이드록실기, 탄소수 1 ? 8 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옥시기를 나타내고, 타방이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블로킹성, 저온에서의 내충격성, 히트시일 강도가 우수하고, 또한 열처리에 의한 오렌지 필이 발생하기 어려운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은,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가 주된 구조 단위인 중합체 성분 (이하, 「성분 A」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50 ? 90 중량% 와,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20 ? 60 중량% 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이하, 「성분 B」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50 ? 10 중량% (단, 성분 A 와 성분 B 의 합계 중량을 100 중량% 로 한다) 를 함유하는 프로필렌 공중합체 (이하, 「중합체 (I)」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70 ? 90 중량%, 및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와, 탄소수 4 ? 20 의 α-올레핀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갖고, 밀도가 900 ? 940 kg/㎥ 이고, 분자량 분포가 1 이상 3 미만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이하, 「중합체 (II)」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30 ? 10 중량% 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 (단, 중합체 (I) 과 중합체 (II) 의 합계 중량을 100 중량% 로 한다) 과,
상기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하기 식 (1) 로 나타내는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및/또는 하기 식 (2) 로 나타내는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0.01 ? 0.1 중량부를 함유한다.
Figure pat00005
(식 중, R1 및 R2 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탄소수 6 ? 12 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7 ? 18 의 아르알킬기를 나타내고, R3 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3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4 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6
(식 중, R5, R6, R8 및 R9 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6 ? 12 의 알킬시클로알킬기,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R7 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X 는, 황 원자 혹은 -CHR10- 기 (R10 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낸다) 를 나타내고, n 은, 0 또는 1 이다. A 는, 탄소수 2 ? 8 의 알킬렌기 또는 *-CO(R11)m- 기 (R11 은 탄소수 1 ? 8 의 알킬렌기를, * 은, 산소 원자와의 결합 부위인 것을 나타내고, m 은 0 또는 1 이다) 를 나타낸다. Y, Z 는, 그 어느 일방이 하이드록실기, 탄소수 1 ? 8 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옥시기를 나타내고, 타방이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중합체 (I) 의 성분 A 에 있어서의 「주된 구조 단위」란, 그 성분 A 의 90 중량% 이상을 차지하는 구조 단위를 의미하고,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가 성분 A 의 주된 구조 단위이다. 성분 A 에 있어서의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으로서, 바람직하게는 90 ? 100 중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 100 중량% 이다.
성분 A 는, 필요에 따라,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 ? 12 의 α-올레핀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 ? 12 의 α-올레핀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으로서,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중량% 이하이다. 탄소수 4 ? 12 의 α-올레핀으로는, 예를 들어, 1-부텐, 1-헥센, 1-옥텐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부텐이다.
중합체 (I) 성분 B 에 있어서의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은, 내블로킹성 및 저온에서의 내충격성이 우수한 관점에서, 20 ? 60 중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25 ? 50 중량% 이다 (단, 성분 B 의 전체 중량을 100 중량% 로 한다).
또, 성분 B 는,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외에,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갖고,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으로는, 80 ? 40 중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75 ? 50 중량% 이다 (단,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과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의 합계 중량을 100 중량% 로 한다).
중합체 (I) 에 있어서의 성분 A 와 성분 B 의 함유량으로는, 히트시일성 및 내블로킹성의 밸런스가 우수하다는 관점에서, 성분 A 의 함유량이 50 ? 90 중량% 이고, 성분 B 의 함유량이 50 ? 10 중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성분 A 의 함유량이 60 ? 85 중량% 이고, 성분 B 의 함유량이 40 ? 15 중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성분 A 의 함유량이 65 ? 80 중량% 이고, 성분 B 의 함유량이 35 ? 15 중량% 이다 (단, 성분 A 와 성분 B 의 합계 중량을 100 중량% 로 한다).
중합체 (I) 의 JIS K7210 에 따라 온도 230 ℃, 하중 21.18 N 으로 측정되는 멜트 플로우 레이트 (230 ℃) 로는, 필름의 가공성이나 위생성을 양호하게 한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5 ? 10 g/10 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5 g/10 분이다.
중합체 (I) 의 제조 방법으로는, 치글러?나타 촉매나, 메탈로센 촉매 등을 사용하여, 원료인 프로필렌이나 에틸렌 등을 중합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중합체 (I) 의 중합 방법으로는, 헥산, 헵탄, 톨루엔, 자일렌 등의 불활성 용제 중에서 프로필렌이나 에틸렌을 중합하는 방법, 액상의 프로필렌이나 에틸렌을 중합하는 방법, 기체인 프로필렌이나 에틸렌 중에 촉매를 첨가하여, 기상 (氣相) 상태로 프로필렌이나 에틸렌을 중합하는 방법, 또는 이들을 조합한 방법을 들 수 있다.
중합체 (I) 의 제조 방법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생산성의 관점에서, 실질적으로 불활성 용제의 부존재하에, 제 1 공정에서 성분 A 를 제조하고, 이어서, 제 2 공정에서 기상 중 프로필렌과 에틸렌을 중합하여, 성분 B 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중합체 (I) 의 성분 A 및 성분 B 의,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량의 조정 방법으로는, 중합시의 각 공정에서 수소 가스나 금속 화합물 등의 분자량 조절제 및 에틸렌을 적절한 양을 첨가하는 방법, 중합시의 온도?압력 등을 조절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중합체 (I) 의 성분 A 및 성분 B 의 비율은, 중합체 (I) 의 제조시의 중합 시간, 중합조의 크기, 중합조 안의 중합체의 유지량, 중합 온도, 중합 압력 등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폴리프로필렌의 잔류 용매나 제조시에 부생하는 초저분자량의 올리고머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폴리프로필렌이 융해되는 온도 이하의 온도에서 건조를 실시해도 된다. 건조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5-75410호, 일본 특허 제2565753호에 기재된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중합체 (II) 는,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와, 탄소수 4 ? 20 의 α-올레핀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가진다. 탄소수 4 ? 20 의 α-올레핀으로는,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노넨, 1-데센, 1-헥사데센, 1-에이코센, 4-메틸-1-펜텐, 4-메틸-1-헥센 등을 들 수 있다. 중합체 (II) 는, 탄소수 4 ? 20 의 α-올레핀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2 종류 이상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탄소수 4 ? 20 의 α-올레핀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히트시일 강도를 개량한다는 관점에서 1-헥센이다.
중합체 (II) 의 밀도는, 900 ? 940 kg/㎥ 이고, 바람직하게는 900 ? 930 kg/㎥ 이다. 중합체 (II) 의 밀도가 900 kg/㎥ 이상임으로써 강성의 관점에서 우수하고, 930 kg/㎥ 이하임으로써, 저온에서의 내충격성이 우수하다.
중합체 (II) 의 JIS K7210-1995 에 따라 온도 190 ℃, 하중 21.18 N 으로 측정되는 멜트 플로우 레이트 (190 ℃) 는, 바람직하게는 0.5 ? 30 g/10 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10 g/10 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5 g/10 분이다. 중합체 (II) 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가 0.5 g/10 분 이상인 경우, 오렌지 필이 보다 발생하기 어려워지고, 30 g/10 분 이하인 경우, 히트시일 강도가 보다 우수하다.
중합체 (II) 의 분자량 분포는, 1 이상 3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2.5 미만이다. 분자량 분포가 3 미만임으로써, 저온에서의 내충격성이 우수하다. 여기서 분자량 분포란,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 (이하, 「GPC」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에 의해 측정되는 중량 평균 분자량 (Mw) 의 수평균 분자량 (Mn) 에 대한 비 (Mw/Mn) 이다.
중합체 (II) 의 분자량 분포를 1 이상 3 미만으로 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에틸렌과 α-올레핀을 공중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메탈로센 촉매로는, 예를 들어, 시클로펜타디엔형 아니온 골격을 갖는 기를 가지는 천이 금속 화합물 (이하, 「메탈로센계 천이 금속 화합물」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올레핀 중합용 촉매를 들 수 있다.
메탈로센계 천이 금속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식 MLTX'Q -T (식 중, M 은, 원소의 주기율표의 제 4 족 또는 란타노이드 계열의 천이 금속 원자이다. L 은 시클로펜타디엔형 아니온 골격을 갖는 기 또는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기이고, 적어도 하나는 시클로펜타디엔형 아니온 골격을 갖는 기이다. 복수의 L 은, 서로 가교하고 있어도 된다. X' 는, 할로겐 원자,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 20 의 탄화수소기이다. Q 는, 천이 금속 원자의 원자가를 나타내고, T 는 0 < T ≤ Q 를 만족하는 정수이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식으로 나타내는 메탈로센계 천이 금속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비스(1,3-n-부틸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디클로라이드, 비스(1,3-n-프로필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디클로라이드, 비스(n-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디클로라이드, 비스(1,3-디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디클로라이드, 비스(1,3-디에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디클로라이드, 에틸렌비스(인데닐)지르코늄디클로라이드, 에틸렌비스(4-메틸-1-인데닐)지르코늄디클로라이드, 에틸렌비스(4,5,6,7-테트라하이드로-1-인데닐)지르코늄디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메탈로센계 천이 금속 화합물은, 활성화 보조 촉매와 접촉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화 보조 촉매로는, 예를 들어, 알루목산 화합물이나,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과 트리틸보레이트, 아닐리늄보레이트 등의 붕소 화합물을 병용하여 이루어지는 활성화 보조 촉매를 들 수 있다. 또 메탈로센계 천이 금속 화합물은, SiO2, Al2O3 등의 무기 담체, 에틸렌, 스티렌 등의 중합체 등의 유기 담체를 포함하는 입자상 담체와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중합체 (II) 의 밀도를 900 ? 940 kg/㎥ 로 하는 방법으로는, 에틸렌 및 α-올레핀을 공중합하는 비율을 조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수지 조성물은, 중합체 (I) 및 중합체 (II) 를 포함한다. 수지 조성물이 중합체 (I) 및 중합체 (II) 로 이루어지는 경우, 그 수지 조성물은, 중합체 (I) 70 ? 90 중량%, 및 중합체 (II) 30 ? 10 중량% 로 이루어지고, 중합체 (I) 75 ? 90 중량%, 및 중합체 (II) 25 ? 10 중량% 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중합체 (I) 과 중합체 (II) 의 합계 중량을 100 중량% 로 한다). 중합체 (I) 이 70 중량% 미만이면 (즉, 중합체 (II) 가 30 중량% 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필름의 히트시일성이 악화되고, 중합체 (I) 이 90 중량% 를 초과하면 (즉, 중합체 (II) 가 10 중량% 미만이면), 열처리에 의한 포장체 표면의 요철 (오렌지 필) 이 발생하여, 외관이 나빠진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수지 조성물은, 중합체 (I), 중합체 (II) 에 더하여, 추가로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중합체 (III)) 를 포함해도 된다. 수지 조성물이 중합체 (I), 중합체 (II) 및 중합체 (III) 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그 수지 조성물은, 중합체 (I), 중합체 (II) 및 중합체 (III) 의 합계 중량을 100 중량% 로 할 때, 중합체 (I) 45 ? 90 중량%, 중합체 (II) 30 ? 10 중량%, 중합체 (III) 25 중량% 이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중합체 (I) 50 ? 85 중량%, 중합체 (II) 30 ? 10 중량%, 중합체 (III) 20 ? 5 중량% 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중합체 (I) 50 ? 80 중량%, 중합체 (II) 30 ? 10 중량%, 중합체 (III) 20 ? 10 중량% 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수지 조성물이 중합체 (III) 을 포함하는 경우, 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은 열처리 후의 히트시일 강도와 열처리 전의 히트시일 강도의 차이가 작아진다.
중합체 (III) 은,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바람직하게는 3 ? 7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 ? 6 중량% 함유한다. 중합체 (III) 은,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바람직하게는 97 ? 93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96 ? 94 중량% 함유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하기 식 (1) 로 나타낸다.
Figure pat00007
(식 중, R1 및 R2 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탄소수 6 ? 12 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7 ? 18 의 아르알킬기를 나타내고, R3 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3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4 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R1 및 R2 에 있어서의,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sec-부틸기, t-부틸기, n-펜틸기, t-아밀기 (-C(CH3)2CH2CH3), 2-에틸헥실기, 시클로헥실기 등을 들 수 있고, 탄소수 6 ? 12 의 아릴기로는, 예를 들어, 페닐기 등을 들 수 있고, 탄소수 7 ? 18 의 아르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벤질기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4 ? 8 의 3 급 탄소를 갖는 알킬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t-부틸기 또는 t-아밀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t-아밀기 등이다.
R3 에 있어서의 탄소수 1 ? 3 의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한 R3 으로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R4 로서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이다.
상기 식 (1) 로 나타내는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2,4-디-t-부틸-6-[1-(3,5-디-t-부틸-2-하이드록시페닐)에틸]페닐아크릴레이트, 2,4-디-t-아밀-6-[1-(3,5-디-t-아밀-2-하이드록시페닐)에틸]페닐아크릴레이트, 2,4-디-t-부틸-6-(3,5-디-t-부틸-2-하이드록시-벤질)페닐메타크릴레이트, 2,4-디-t-부틸-6-[1-(3,5-디-t-부틸-2-하이드록시페닐)에틸]페닐메타크릴레이트, 2,4-디-t-아밀-6-[1-(3,5-디-t-아밀-2-하이드록시페닐)에틸]페닐메타크릴레이트, 2-t-부틸-6-(3-t-부틸-2-하이드록시-5-메틸벤질)-4-메틸페닐메타크릴레이트, 2-t-부틸-6-(3-t-부틸-2-하이드록시-5-메틸벤질)-4-메틸페닐아크릴레이트, 2-t-부틸-6-(3-t-부틸-2-하이드록시-5-메틸벤질)-4-에틸페닐메타크릴레이트, 2-t-아밀-6-(3-t-아밀-2-하이드록시-5-메틸벤질)-4-메틸페닐메타크릴레이트, 2-t-아밀-6-(3-t-아밀-2-하이드록시-5-메틸벤질)-4-메틸페닐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4-디-t-아밀-6-[1-(3,5-디-t-아밀-2-하이드록시페닐)에틸]페닐아크릴레이트이다.
상기 식 (1) 로 나타내는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제조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270310호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은, 하기 식 (2) 로 나타낸다.
Figure pat00008
(식 중, R5, R6, R8 및 R9 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6 ? 12 의 알킬시클로알킬기,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R7 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X 는, 황 원자 혹은 -CHR10- 기 (R10 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낸다) 를 나타내고, n 은, 0 또는 1 이다. A 는, 탄소수 2 ? 8 의 알킬렌기 또는 *-CO(R11)m- 기 (R11 은 탄소수 1 ? 8 의 알킬렌기를, * 은, 산소 원자와의 결합 부위인 것을 나타내고, m 은 0 또는 1 이다) 를 나타낸다. Y, Z 는, 그 어느 일방이 하이드록실기, 탄소수 1 ? 8 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옥시기를 나타내고, 타방이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R5, R6, R8 및 R9 에 있어서의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프로필기, n-부틸기, i-부틸기, sec-부틸기, t-부틸기, t-펜틸기, i-옥틸기, t-옥틸기, 2-에틸헥실기 등을 들 수 있고,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헵틸기, 시클로옥틸기 등을 들 수 있고, 탄소수 6 ? 12 의 알킬시클로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1-메틸시클로펜틸기, 1-메틸시클로헥실기, 1-메틸-4-i-프로필시클로헥실기 등을 들 수 있고,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벤질기, α-메틸벤질기, α,α-디메틸벤질기 등을 들 수 있다.
R5, R6, R8 로서,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탄소수 6 ? 12 의 알킬시클로알킬기이다. 그 중에서도, R5, R8 로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t-부틸기, t-펜틸기, t-옥틸기 등의 t-알킬기, 시클로헥실기 또는 1-메틸시클로헥실기이다.
R6 으로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 5 의 알킬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프로필기, n-부틸기, i-부틸기, sec-부틸기, t-부틸기 또는 t-펜틸기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메틸기, t-부틸기 또는 t-펜틸기이다.
R9 로서,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 5 의 알킬기이고,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프로필기, n-부틸기, i-부틸기, sec-부틸기, t-부틸기 또는 t-펜틸기이다.
R7 에 있어서의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상기와 동일한 알킬기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5 의 알킬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또 치환기 X 는, n 이 0 인 경우, 2 개의 페녹시기 골격을 갖는 기가 직접 결합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n 이 1 인 경우, 황 원자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혹은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가 치환하고 있는 경우도 있는 메틸렌기를 나타낸다. 여기서, 메틸렌기로 치환하고 있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로는, 각각 상기와 동일한 알킬기, 시클로알킬기를 들 수 있다. 치환기 X 로서, 바람직하게는 n 이 0 이고, 2 개의 페녹시기 골격을 갖는 기가 직접 결합하고 있는 것, 또는, n 이 1 이고, 메틸렌기 또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프로필기, n-부틸기, i-부틸기, t-부틸기 등이 치환한 메틸렌기이다.
또 치환기 A 는, 탄소수 2 ? 8 의 알킬렌기 또는 *-CO(R11)m- 기 (R11 은 탄소수 1 ? 8 의 알킬렌기를, * 은 산소 원자와의 결합 부위인 것을 나타내고, m 은 0 또는 1 이다) 를 나타낸다.
여기서, 탄소수 2 ? 8 의 알킬렌기의 대표예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부틸렌기, 펜타메틸렌기, 헥사메틸렌기, 옥타메틸렌기, 2,2-디메틸-1,3-프로필렌기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기이다. 또 *-CO(R11)m- 기에 있어서의 * 은, 카르보닐기가 포스파이트기의 산소 원자와 결합하는 부분인 것을 나타낸다. R11 에 있어서의, 탄소수 1 ? 8 의 알킬렌기의 대표예로는, 예를 들어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부틸렌기, 펜타메틸렌기, 헥사메틸렌기, 옥타메틸렌기, 2,2-디메틸-1,3-프로필렌기 등을 들 수 있다. *-CO(R11)m- 기로서 바람직하게는 m 이 0 인 *-CO- 기, 또는, m 이 1 이고 R11 은 에틸렌인 *-CO(CH2CH2)- 기이다.
Y, Z 는, 그 어느 일방이 하이드록실기, 탄소수 1 ? 8 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옥시기를 나타내고, 타방이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여기서,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상기와 동일한 알킬기를 들 수 있고, 탄소수 1 ? 8 의 알콕시기로는, 예를 들어 알킬 부분이 상기 탄소수 1 ? 8 의 알킬과 동일한 알킬인 알콕시기를 들 수 있다. 또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옥시기로는, 예를 들어 아르알킬 부분이 상기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과 동일한 아르알킬인 아르알킬옥시기를 들 수 있다.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로서, 바람직하게는 이하의 화합물 1 이다.
화합물 1 : 2,4,8,10-테트라-t-부틸-6-[3-(3-메틸-4-하이드록시-5-t-부틸페닐)프로폭시]디벤조[d,f][1,3,2]디옥사포스페핀
Figure pat00009
상기 식 (2) 로 나타내는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의 제조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273494호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식 (1) 로 나타내는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과, 상기 식 (2) 로 나타내는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을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4-디-t-아밀-6-[1-(3,5-디-t-아밀-2-하이드록시페닐)에틸]페닐아크릴레이트와, 2,4,8,10-테트라-t-부틸-6-[3-(3-메틸-4-하이드록시-5-t-부틸페닐)프로폭시]디벤조[d,f][1,3,2]디옥사포스페핀을 병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 조성물이 중합체 (I) 및 중합체 (II) 로 이루어지는 경우,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식 (1) 로 나타내는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및/또는 상기 식 (2) 로 나타내는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의 함유량은, 그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0.01 ? 0.1 중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0.03 ? 0.07 중량부이다.
수지 조성물이 중합체 (I), 중합체 (II) 및 중합체 (III) 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식 (1) 로 나타내는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및/또는 상기 식 (2) 로 나타내는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의 함유량은, 그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0.01 ? 0.1 중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0.03 ? 0.07 중량부이다.
상기 식 (1) 로 나타내는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및/또는 상기 식 (2) 로 나타내는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의 배합량이 0.01 중량부 미만인 경우, 히트시일 강도가 불충분한 경우가 있고, 0.1 중량부를 초과한 경우, 본 발명의 효과는 포화되어, 비경제적일 뿐이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은, 중합체 (I), 중합체 (II), 상기 식 (1) 로 나타내는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상기 식 (2) 로 나타내는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임의로 중합체 (III) 을 혼합하고, 용융 혼련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용융 혼련은, 종래 공지된 방법 및 장치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을, 헨셸 믹서, 리본 블렌더, 텀블 믹서 등의 혼합 장치를 사용하여 혼합한 후, 용융 혼련하는 방법 ; 정량 공급기를 사용하여, 일정한 비율로,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을 각각 연속적으로 혼합함으로써 균질의 혼합물을 얻은 후, 그 혼합물을, 단축 또는 2 축 이상의 압출기, 밴버리 믹서, 롤식 혼련기 등을 사용하여, 용융 혼련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용융 혼련의 온도로서, 바람직하게는 180 ℃ ? 35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 ℃ ? 320 ℃ 이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첨가제나 그 밖의 수지를 첨가해도 된다.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대전 방지제, 활제, 조핵제, 점착제, 방담제, 안티 블로킹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수지로는, 올레핀계 수지, 에틸렌과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인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불균일계 촉매로 제조된 것이어도 되고, 균일계 촉매 (예를 들어, 메탈로센 촉매 등) 로 제조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나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를 수첨한 스티렌계 공중합체 고무 등의 엘라스토머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은, 필름의 재료로서 바람직하다.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는, 공지된 필름 제조 방법을 들 수 있고, 예를 들어, T 다이법, 튜블러법 등을 들 수 있다.
미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바람직하게는 T 다이법이다.
본 발명의 필름은, 두께가 5 ? 5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 15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필름의 용도로는, 포장 용도 등을 들 수 있고, 예를 들어, 식품, 섬유, 잡화 등의 포장 용도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레토르트 식품 포장용 필름이다.
본 발명의 필름에는, 통상 공업적으로 채용되고 있는 방법에 의해, 코로나 방전 처리, 화염 처리, 플라스마 처리, 오존 처리 등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필름과, 그 밖의 필름을 적층해도 된다.
그 밖의 필름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2 축 연신 필름, 연신 나일론 필름, 연신 폴리테레프탈산에틸 필름이나 알루미늄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과 그 밖의 필름을 적층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이나 압출 라미네이트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의 용도로는, 바람직하게는 중량물 포장 용도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실시예 및 비교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각 항목의 측정값은, 하기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1) 중합체 (I) 의 성분 A 및 성분 B 의 함유량 (단위 : 중량%)
성분 A 및 성분 B 를 제조할 때의 물질 수지로부터, 중합체 (I) 의 성분 A 의 함유량 (PA), 성분 B 의 함유량 (PB) 을 구하였다.
(2) 중합체 (I) 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성분 B) 에 함유되는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 (단위 : 중량%)
중합체 (I) 의 IR 스펙트럼 측정을 실시하여, 고분자 분석 핸드북 (1995년, 키노쿠니야 서점 발행) 의 616 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는 (ii) 블록 공중합체에 관한 방법에 따라 중합체 (I) 의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을 구하고, 하기 식 (1) 에 의해 성분 B 에 함유되는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을 구하였다.
EB = ET/PB 식 (1)
(단, ET 및 EB 는, 각각 중합체 (I) 및 중합체 (I) 중의 성분 B 에 있어서의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을 나타내고, PB 는 중합체 (I) 중의 성분 B 의 함유량을 나타낸다)
(3) 멜트 플로우 레이트 (MFR, 단위 : g/10 분)
중합체 (I) 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는 JIS K7210 에 따라, 온도 230 ℃, 하중 21.18 N 으로 측정하였다. 중합체 (II) 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는, JIS K7210-1995 에 규정된 방법에 있어서, 온도 190 ℃, 하중 21.18 N 으로 측정하였다.
(4) 밀도 (단위 : kg/㎥)
중합체 (II) 의 밀도는, JIS K7112-1980 중, A 법에 규정된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또한, 시료에는, JIS K6760-1995 에 기재된 어닐링을 실시하였다.
(5) 분자량 분포 (Mw/Mn)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 (GPC) 법을 사용하여, 하기의 조건에 의해, 중합체 (II) 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 과 수평균 분자량 (Mn) 을 측정하고, Mw/Mn 을 구하였다. 크로마토그램 상의 베이스 라인은, 시료 용출 피크가 현출되는 것보다 충분히 유지 시간이 짧은 안정적인 수평한 영역의 점과, 용매 용출 피크가 관측된 것보다 충분히 유지 시간이 긴 안정적인 수평의 영역의 점을 연결하여 생기는 직선으로 하였다.
장치 : WAters 제조 WAters150C
분리 칼럼 : TOSOH TSK-GEL GMH6-HT
측정 온도 : 140 ℃
캐리어 : 오르토디클로로벤젠
유량 : 1.0 mL/분
주입량 : 500 μL
검출기 : 시차 굴절
분자량 표준 물질 : 표준 폴리스티렌
(6) 히트시일 강도 (단위 : 폭 N/15 mm)
도요 테스터 공업 (주) 제조 히트시일러를 사용하여 다음의 조건으로 필름을 시일하였다. 시일편을 폭 15 mm 로 자르고, 박리각 90° 로 오리엔테크 제조 텐실론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시일 바 : 평면 양면 가열
시일 온도 : 200 ℃
시일 압력 : 1.0 kg/㎠
시일 시간 : 1.0 sec
(7) 내블로킹성 (단위 : N/12 ㎠)
150 mm × 30 mm 의 필름 (제막 (製膜) 방향과 장변 방향이 일치하도록 채취하였다) 을 사용하여, 필름끼리를 중첩하고, 40 mm × 30 mm 의 범위로 500 g 의 하중을 가하여 80 ℃ 에서 24 시간 상태 조정을 실시하였다. 그 후, 23 ℃, 습도 50 % 의 분위기하에 그 필름을 30 분 이상 방치하고, 도요 정기 제조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200 mm/분의 속도로 박리를 실시하여, 시료의 박리에 요하는 강도를 측정하였다.
(8) 내충격성 (단위 : kJ/m)
-15 ℃ 에 있어서, 도요 정기 제조 필름 임펙트 테스터를 사용하고, 직경 15 mm 의 반구상 충격 헤드를 사용하여, 필름의 충격 강도를 측정하였다.
(9) 오렌지 필 평가
ALP 제조 소형 레토르트 멸균기를 사용하여, 120 ℃ 조건하에서 30 분 레토르트 처리를 행하고, 레토르트 처리 후의 포장 봉지의 표면층의 요철 상태 (오렌지 필) 를 이하의 기준에 의한 4 단계법으로 육안 판정하였다.
1???오렌지 필이 약간 발생하고 있지만, 거의 보이지 않는다.
2???약간의 오렌지 필이 관찰되지만, 실용에는 전혀 영향은 없다.
3???오렌지 필이 관찰되지만, 실용에 견딜 수 있다.
4???오렌지 필이 상당히 관찰되어, 실용에 견딜 수 없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및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은, 이하와 같았다.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2,4-디-t-아밀-6-[1-(3,5-디-t-아밀-2-하이드록시페닐)에틸]페닐아크릴레이트인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의 스미라이저 [등록 상표] GS 를 사용하였다. 이하, 「화합물 C」라고 칭한다.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2,4,8,10-테트라-t-부틸-6-[3-(3-메틸-4-하이드록시-5-t-부틸페닐)프로폭시]디벤조[d,f][1,3,2]디옥사포스페핀인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의 스미라이저 [등록 상표] GP 를 사용하였다. 이하, 「화합물 D」라고 칭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중합체는, 이하와 같았다.
[프로필렌 공중합체 (1)]
치글러?나타형 촉매를 사용하여 제 1 공정에서 기상 중에서 프로필렌을 중합하여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성분 (성분 A) 을 얻고, 이어서 제 2 공정에서 기상 중에서 프로필렌과 에틸렌을 공중합하여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공중합체 성분 (성분 B) 을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체는, 성분 A 의 함유량이 78 중량%, 성분 B 의 함유량이 22 중량%, 성분 B 에 함유되는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31 중량% 였다.
상기 공중합체 분말 100 중량부에 수산화칼슘 0.01 중량부, BASF 사 제조 이르가녹스 [등록 상표] 1010 (이하, 「화합물 A」라고 칭한다) 0.2 중량부, BASF 사 제조 이르가녹스 [등록 상표] 168 (이하, 「화합물 B」라고 칭한다) 0.05 중량부, 하야시 화성 주식회사 제조 미크론 화이트 [등록 상표] 5000S 및 멜트 플로우 레이트 조정제로서 2,5-디메틸-2,5디(터셔리부틸퍼옥시)헥산 적당량을 헨셸 믹서로 혼합한 후, 그 혼합물을 용융 압출하여 펠릿을 얻었다. 얻어진 펠릿의 230 ℃ 에서 측정한 멜트 플로우 레이트는 3 g/10 분이었다. 이하, 그 펠릿을 「PP1」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프로필렌 공중합체 (2)]
치글러?나타형 촉매를 사용하여 제 1 공정에서 기상 중에서 프로필렌을 중합하여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성분 (성분 A) 을 얻고, 이어서 제 2 공정에서 기상 중에서 프로필렌과 에틸렌을 공중합하여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공중합체 성분 (성분 B) 을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체는, 성분 A 의 함유량이 77 중량%, 성분 B 의 함유량이 23 중량%, 성분 B 에 함유되는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30 중량% 였다.
상기 공중합체 분말 100 중량부에 수산화칼슘 0.01 중량부, 화합물 C 0.03 중량부, 화합물 D 0.075 중량부, 및 멜트 플로우 레이트 조정제로서 2,5-디메틸-2,5디(터셔리부틸퍼옥시)헥산 적당량을 헨셸 믹서로 혼합한 후, 그 혼합물을 용융 압출하여 펠릿을 얻었다. 얻어진 펠릿의 230 ℃ 에서 측정한 멜트 플로우 레이트는 2.5 g/10 분이었다. 이하, 그 펠릿을 「PP2」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1)]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는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의 노브렌 [등록 상표] S131 을 사용하였다. 그 공중합체는,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5.6 중량% 함유하고 있었다. 이하, 그 공중합체를 「PP3」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2)]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는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의 노브렌 [등록 상표] WF577PG11 을 사용하였다. 그 공중합체는,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4.0 중량% 함유하고 있었다. 이하, 그 공중합체를 「PP4」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
에틸렌-헥센-1 공중합체인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의 스미카센 [등록 상표] EFV401 을 사용하였다. 190 ℃ 에서 측정한 멜트 플로우 레이트는 3.8 g/10 분이고, 밀도는 902 kg/㎥, 분자량 분포 (Mw/Mn) 는 2.1 이었다. 이하, 그 공중합체를 「PE1」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2)]
에틸렌-헥센-1 공중합체인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의 스미카센 [등록 상표] EFV402 를 사용하였다. 190 ℃ 에서 측정한 멜트 플로우 레이트는 3.8 g/10 분이고, 밀도는 913 kg/㎥, 분자량 분포 (Mw/Mn) 는 2.0 이었다. 이하, 그 공중합체를 「PE2」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3)]
에틸렌-헥센-1 공중합체인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의 스미카센 [등록 상표] EFV405 를 사용하였다. 190 ℃ 에서 측정한 멜트 플로우 레이트는 3.8 g/10 분이고, 밀도는 924 kg/㎥, 분자량 분포 (Mw/Mn) 는 2.2 였다. 이하, 그 공중합체를 「PE3」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4)]
에틸렌-헥센-1 공중합체인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의 스미카센 [등록 상표] EFV203 을 사용하였다. 190 ℃ 에서 측정한 멜트 플로우 레이트는 2.0 g/10 분이고, 밀도는 913 kg/㎥, 분자량 분포 (Mw/Mn) 는 2.0 이었다. 이하, 그 공중합체를 「PE4」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5)]
에틸렌-헥센-1 공중합체인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의 스미카센 [등록 상표] EFV205 를 사용하였다. 190 ℃ 에서 측정한 멜트 플로우 레이트는 2.0 g/10 분이고, 밀도는 922 kg/㎥, 분자량 분포 (Mw/Mn) 는 2.1 이었다. 이하, 그 공중합체를 「PE5」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6)]
에틸렌-부텐-1 공중합체인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의 스미카센 [등록 상표] LFS150 을 사용하였다. 190 ℃ 에서 측정한 멜트 플로우 레이트는 1.1 g/10 분이고, 밀도는 922 kg/㎥, 분자량 분포 (Mw/Mn) 는 3.4 였다. 이하, 그 공중합체를 「PE6」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7)]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인 미츠이 화학 주식회사 제조의 타프머 [등록 상표] P0680 을 사용하였다. 190 ℃ 에서 측정한 멜트 플로우 레이트는 0.4 g/10 분이고, 밀도는 885 kg/㎥, 분자량 분포 (Mw/Mn) 는 1.9 였다. 이하, 그 공중합체를 「PE7」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실시예 1]
프로필렌 공중합체 (1) 85 중량% 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 15 중량% 를 펠릿 블렌드한 혼합물을 얻었다. 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화합물 C 0.05 중량부, 화합물 D 0.05 중량부를 첨가한 혼합물을, 여과 정밀도 40 ㎛ 의 금속 필터를 구비한 90 mmφ 압출기, 및 2 대의 65 mmφ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혼련하고, 피드 블록형의 T 다이 (다이 폭 1250 mm, 립 개도 1.5 mm) 에 도입하여, 다이 온도 240 ℃ 에서 용융 압출을 실시하였다.
압출된 용융막을, 50 m/분으로 회전하는 냉각 온도 40 ℃ 의 칠롤로 냉각 고화시켜, 두께 70 ㎛ 의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 미연신 필름을 사용하여 필름의 블로킹성을 측정하였다.
계속해서, 얻어진 미연신 필름과, 두께 7 ㎛ 의 알루미늄박 및 두께 12 ㎛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으로 적층하였다. 이 적층체의 히트시일 강도를 측정하였다.
또, 이 적층체에 항온조에서 120 ℃ 하에서 30 분 열처리를 실시하고, 열처리한 적층체의 히트시일 강도도 측정하였다.
또한 적층체를, 미연신 필름이 봉지의 내측이 되도록 사용하여, 15 cm × 18 cm 의 포장 봉지를 제조하였다. 시판되는 레토르트 식품인 오오츠카 식품 주식회사 제조 「본 카레 골드 [등록 상표] 매운맛」을 그 포장 봉지에 넣었다. 미연신 필름끼리를 히트시일하였다. 이 포장 봉지를 사용하여 오렌지 필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2]
프로필렌 공중합체 (1) 80 중량% 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 20 중량% 를 펠릿 블렌드한 혼합물을 얻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미연신 필름, 적층체 및 포장 봉지를 얻었다. 미연신 필름의 블로킹성, 적층체의 히트시일 강도를 측정하여, 포장 봉지의 오렌지 필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2) 15 중량%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미연신 필름, 적층체 및 포장 봉지를 얻었다. 미연신 필름의 블로킹성, 적층체의 히트시일 강도를 측정하여, 포장 봉지의 오렌지 필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3) 15 중량%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미연신 필름, 적층체 및 포장 봉지를 얻었다. 미연신 필름의 블로킹성, 적층체의 히트시일 강도를 측정하여, 포장 봉지의 오렌지 필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4) 15 중량%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미연신 필름, 적층체 및 포장 봉지를 얻었다. 미연신 필름의 블로킹성, 적층체의 히트시일 강도를 측정하여, 포장 봉지의 오렌지 필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6]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5) 15 중량%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미연신 필름, 적층체 및 포장 봉지를 얻었다. 미연신 필름의 블로킹성, 적층체의 히트시일 강도를 측정하여, 포장 봉지의 오렌지 필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7]
프로필렌 공중합체 (1) 85 중량% 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 15 중량% 를 펠릿 블렌드한 혼합물을 얻었다. 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화합물 C 0.05 중량부를 첨가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미연신 필름, 적층체 및 포장 봉지를 얻었다. 미연신 필름의 블로킹성, 적층체의 히트시일 강도를 측정하여, 포장 봉지의 오렌지 필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8]
프로필렌 공중합체 (1) 85 중량% 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 15 중량% 를 펠릿 블렌드한 혼합물을 얻었다. 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화합물 D 0.05 중량% 를 첨가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미연신 필름, 적층체 및 포장 봉지를 얻었다. 미연신 필름의 블로킹성, 적층체의 히트시일 강도를 측정하여, 포장 봉지의 오렌지 필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9]
프로필렌 공중합체로서, 프로필렌 공중합체 (2) 85 중량%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미연신 필름, 적층체 및 포장 봉지를 얻었다. 미연신 필름의 블로킹성, 적층체의 히트시일 강도를 측정하여, 포장 봉지의 오렌지 필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10]
프로필렌 공중합체 (1) 72 중량% 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3) 20 중량% 와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1) 8 중량% 를 펠릿 블렌드한 혼합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미연신 필름, 적층체 및 포장 봉지를 얻었다. 미연신 필름의 블로킹성, 적층체의 히트시일 강도를 측정하여, 포장 봉지의 오렌지 필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11]
프로필렌 공중합체 (1) 64 중량% 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3) 20 중량% 와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1) 16 중량% 를 펠릿 블렌드한 혼합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미연신 필름, 적층체 및 포장 봉지를 얻었다. 미연신 필름의 블로킹성, 적층체의 히트시일 강도를 측정하여, 포장 봉지의 오렌지 필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12]
프로필렌 공중합체 (1) 64 중량% 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3) 20 중량% 와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2) 16 중량% 를 펠릿 블렌드한 혼합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미연신 필름, 적층체 및 포장 봉지를 얻었다. 미연신 필름의 블로킹성, 적층체의 히트시일 강도를 측정하여, 포장 봉지의 오렌지 필 평가를 실시하였다.
[비교예 1]
프로필렌 공중합체 (1) 100 중량% 로 이루어지는 미연신 필름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또한 그 미연신 필름을 사용하여, 적층체 및 포장 봉지를 얻었다. 미연신 필름의 블로킹성, 적층체의 히트시일 강도를 측정하여, 포장 봉지의 오렌지 필 평가를 실시하였다.
[비교예 2]
프로필렌 공중합체 (1) 85 중량% 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 15 중량% 를 펠릿 블렌드한 혼합물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용융 혼련하여,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또한 그 미연신 필름을 사용하여, 적층체 및 포장 봉지를 얻었다. 미연신 필름의 블로킹성, 적층체의 히트시일 강도를 측정하여, 포장 봉지의 오렌지 필 평가를 실시하였다.
[비교예 3]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6) 15 중량%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미연신 필름, 적층체 및 포장 봉지를 얻었다. 미연신 필름의 블로킹성, 적층체의 히트시일 강도를 측정하여, 포장 봉지의 오렌지 필 평가를 실시하였다.
[비교예 4]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7) 15 중량%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미연신 필름, 적층체 및 포장 봉지를 얻었다. 미연신 필름의 블로킹성, 적층체의 히트시일 강도를 측정하여, 포장 봉지의 오렌지 필 평가를 실시하였다.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표 2 의 결과로부터 에틸렌-α-올레핀계 공중합체를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 에서는, 오렌지 필 평가가 나쁘고,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및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2 에서는, 히트시일 강도가 떨어지고, 분자량 분포가 본원 발명의 요건을 만족하지 않는 에틸렌-α-올레핀계 공중합체를 사용한 비교예 3 에서는, 내충격성이 떨어지며, 밀도가 본원 발명의 요건을 만족하지 않는 에틸렌-α-올레핀계 공중합체를 사용한 비교예 4 에서는, 내블로킹성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6)

  1.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가 주된 구조 단위인 중합체 성분 (성분 A) 50 ? 90 중량% 와,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20 ? 60 중량% 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성분 B) 50 ? 10 중량% (단, 성분 A 와 성분 B 의 합계 중량을 100 중량% 로 한다) 를 함유하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중합체 (I)) 70 ? 90 중량%, 및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와, 탄소수 4 ? 20 의 α-올레핀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함유하고, 밀도가 900 ? 940 kg/㎥ 이고, 분자량 분포가 1 이상 3 미만인 에틸렌-α-올레핀계 공중합체 (중합체 (II)) 30 ? 10 중량% 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 (단, 중합체 (I) 과 중합체 (II) 의 합계 중량을 100 중량% 로 한다) 과,
    상기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하기 식 (1) 로 나타내는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또는 하기 식 (2) 로 나타내는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0.01 ? 0.1 중량부를 함유하는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Figure pat00012

    (식 중, R1 및 R2 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탄소수 6 ? 12 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7 ? 18 의 아르알킬기를 나타내고, R3 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3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4 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13

    (식 중, R5, R6, R8 및 R9 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6 ? 12 의 알킬시클로알킬기,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R7 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X 는, 황 원자 혹은 -CHR10- 기 (R10 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낸다) 를 나타내고, n 은, 0 또는 1 이다. A 는, 탄소수 2 ? 8 의 알킬렌기 또는 *-CO(R11)m- 기 (R11 은 탄소수 1 ? 8 의 알킬렌기를, * 은, 산소 원자와의 결합 부위인 것을 나타내고, m 은 0 또는 1 이다) 를 나타낸다. Y, Z 는, 그 어느 일방이 하이드록실기, 탄소수 1 ? 8 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옥시기를 나타내고, 타방이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2.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가 주된 구조 단위인 중합체 성분 (성분 A) 50 ? 90 중량% 와,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20 ? 60 중량% 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성분 B) 50 ? 10 중량% (단, 성분 A 와 성분 B 의 합계 중량을 100 중량% 로 한다) 를 함유하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중합체 (I)) 45 ? 90 중량%,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와, 탄소수 4 ? 20 의 α-올레핀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함유하고, 밀도가 900 ? 940 kg/㎥ 이고, 분자량 분포가 1 이상 3 미만인 에틸렌-α-올레핀계 공중합체 (중합체 (II)) 30 ? 10 중량%, 및,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중합체 (III)) 25 중량% 이하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 (단, 중합체 (I) 과 중합체 (II) 와 중합체 (III) 의 합계 중량을 100 중량% 로 한다) 과,
    상기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식 (1) 로 나타내는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및/또는 식 (2) 로 나타내는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0.01 ? 0.1 중량부를 함유하는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Figure pat00014

    (식 중, R1 및 R2 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탄소수 6 ? 12 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7 ? 18 의 아르알킬기를 나타내고, R3 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3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4 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15

    (식 중, R5, R6, R8 및 R9 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6 ? 12 의 알킬시클로알킬기,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R7 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X 는, 황 원자 혹은 -CHR10- 기 (R10 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낸다) 를 나타내고, n 은, 0 또는 1 이다. A 는, 탄소수 2 ? 8 의 알킬렌기 또는 *-CO(R11)m- 기 (R11 은 탄소수 1 ? 8 의 알킬렌기를, * 은, 산소 원자와의 결합 부위인 것을 나타내고, m 은 0 또는 1 이다) 를 나타낸다. Y, Z 는, 그 어느 일방이 하이드록실기, 탄소수 1 ? 8 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옥시기를 나타내고, 타방이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3. 제 2 항에 있어서,
    중합체 (III) 이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3 ? 7 중량% 함유하는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식 (1) 로 나타내는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이, 2,4-디-t-아밀-6-[1-(3,5-디-t-아밀-2-하이드록시페닐)에틸]페닐아크릴레이트인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식 (2) 로 나타내는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이, 2,4,8,10-테트라-t-부틸-6-[3-(3-메틸-4-하이드록시-5-t-부틸페닐)프로폭시]디벤조[d,f][1,3,2]디옥사포스페핀인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필름.
KR1020120030371A 2011-03-29 2012-03-26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 필름 KR1017977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71893 2011-03-29
JPJP-P-2011-071893 2011-03-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2076A true KR20120112076A (ko) 2012-10-11
KR101797778B1 KR101797778B1 (ko) 2017-11-14

Family

ID=46988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0371A KR101797778B1 (ko) 2011-03-29 2012-03-26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 필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880153B2 (ko)
KR (1) KR101797778B1 (ko)
CN (1) CN102731953B (ko)
TW (1) TWI6132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01839B2 (ja) * 2012-10-03 2018-03-28 サンアロマー株式会社 レトルトフィルム用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CN113105690B (zh) 2019-12-24 2024-03-01 住友化学株式会社 多相丙烯聚合材料及其利用
JP2023131426A (ja) * 2022-03-09 2023-09-22 住友化学株式会社 樹脂組成物、フィルム、および、多層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86276B2 (ja) * 1998-11-05 2008-11-26 東洋紡績株式会社 食品包装用フィルム
SG90266A1 (en) * 2000-10-13 2002-07-23 Sumitomo Chemical Co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for metallized film and metallized film prepared therefrom
JP3941447B2 (ja) 2000-10-13 2007-07-04 住友化学株式会社 蒸着フィルム用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フィルム
JP4314146B2 (ja) * 2004-04-26 2009-08-12 三井化学株式会社 シーラント用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から得られる易ヒートシール性シーラントフィルム
CN101319070B (zh) * 2007-06-06 2012-10-03 住友化学株式会社 聚丙烯树脂组合物及其拉伸膜
JP5395337B2 (ja) * 2007-07-06 2014-01-22 住友化学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フィルム
WO2009073685A1 (en) * 2007-12-05 2009-06-11 Dow Global Technologies Inc. Polypropylene melt-blown sealant films for retort packaging
JP5100628B2 (ja) 2008-12-22 2012-12-19 住友化学株式会社 粒状ポリマー安定剤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00093904A1 (en) * 2008-10-06 2010-04-15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Granular stabilizer for polymer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JP2010155965A (ja) * 2008-12-02 2010-07-15 Sumitomo Chemical Co Ltd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214710A (ja) 2012-11-08
CN102731953B (zh) 2019-05-10
JP5880153B2 (ja) 2016-03-08
KR101797778B1 (ko) 2017-11-14
CN102731953A (zh) 2012-10-17
TW201302891A (zh) 2013-01-16
TWI613243B (zh) 2018-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2886B1 (en)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 and films made therefrom
EP2743293B1 (en) Easy tear polypropylene film without notch
JP4857093B2 (ja) 深絞り容器
JP2009209357A (ja)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JP6331720B2 (ja) 電池包装用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フィルム
WO2017051778A1 (ja) 繊維強化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JP2005132992A (ja) プロピレン−エチレンランダムブロック共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20112076A (ko)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 필름
JP6394473B2 (ja) 押出ラミネート用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積層体
JP6492911B2 (ja) 積層フィルム
EP2418237A1 (en) Easy tear polypropylene film without notch
JP5786608B2 (ja) 積層フィルム
JP2017105174A (ja) 多層フィルム
JP2014172915A (ja) 発泡用繊維強化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発泡成形してなる成形体
JP2021191843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積層体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6340953B2 (ja) 低温ヒートシール性と高剛性に優れた多層フィルム
JPH11245351A (ja) ポリオレフィン系積層フィルム
JP2006307121A (ja) ポリオレフィン系シート
JP2001260291A (ja) ポリプロピレン系多層フィルム
KR102649475B1 (ko)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및 이들의 용도
JP2013233694A (ja) 成形体
JP2006130851A (ja) ポリオレフィン系多層フィルム又は多層シート
JP2023081869A (ja) 押出ラミネート用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積層体並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JP2006056937A (ja)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該樹脂組成物からなるフィルム
JP2022143003A (ja)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