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8798A - 폴리유산 복합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유산 복합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8798A
KR20120108798A KR1020110027121A KR20110027121A KR20120108798A KR 20120108798 A KR20120108798 A KR 20120108798A KR 1020110027121 A KR1020110027121 A KR 1020110027121A KR 20110027121 A KR20110027121 A KR 20110027121A KR 20120108798 A KR20120108798 A KR 20120108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lactic acid
resin
weight
acrylate
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7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4561B1 (ko
Inventor
홍채환
한도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7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4561B1/ko
Priority to US13/155,544 priority patent/US8378027B2/en
Priority to DE102011077447.5A priority patent/DE102011077447B4/de
Publication of KR20120108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8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5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6Making preforms by moulding the material
    • B29B11/08Inject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0Making granules by moulding the material, i.e. treating it in the molten s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05Processes for mixing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 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4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 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08L23/0884Epoxide containing 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유산 복합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학이성질 L타입 폴리유산 수지, 광학이성질 D타입 폴리유산 수지 및 폴리(에틸렌-알킬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를 190 ~ 195℃에서 용융 및 혼련한 후, 이를 100 ~ 110℃의 표면온도를 갖는 사출금형에 사출함으로써 폴리유산 복합재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학이성질 L타입 폴리유산 수지, 광학이성질 D타입 폴리유산 수지 및 폴리(에틸렌-알킬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를 특정 배합비율로 혼합하고 가공조건 및 성형조건을 제어함으로서 우수한 내열성, 충격강도 및 인장강도를 가진 소재를 얻을 수 있으므로, 기존의 자동차용 부품소재로 사용되어 온 석유자원 기반의 소재를 바이오매스 기반의 친환경적인 바이오 소재로 대체할 수 있으며, 제조된 폴리유산 복합재료 조성물은 자동차용 내외장재 등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유산 복합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Polylactic acid composites composition}
본 발명은 내열성 및 내충격 특성이 우수한 폴리유산 복합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문명의 발달은 에너지원으로서 화석연료, 특히 석유자원을 떼어 놓고 생각할 수 없다. 그러나, 석유자원은 기본적으로 재생이 불가능한 화석원료이며 매장량도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자원고갈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또한, 근래에는 인구증가와 더불어 급속한 산업발달로 인해 석유자원의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온실가스배출에 의한 지구온난화와 폐기물에 의한 환경오염의 심각성이 전 세계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식물유래 즉, 바이오매스 고분자는 옥수수, 콩, 사탕수수, 목재류 등의 재생가능한 식물 자원으로부터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소재로서 생분해성보다는 이산화탄소 저감에 의한 환경문제 대응효과에 중요성이 있다. 바이오매스 고분자 중에서 폴리유산(polylactic acid 또는 polylactide, 이하 PLA)은 선형적인 지방족 폴리에스터로서 옥수수 및 감자에서 얻어지는 전분(starch) 발효에 의해 얻어지거나, 식물계 셀룰로우스로부터 당화된 후 발효에 의해 얻어지는 당 단량체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소재로 탄소 중립적 환경친화적 열가소성 고분자 소재이다.
이러한 PLA는 1940년대 최초로 합성된 이후 높은 제조비용과 희귀성에 의해 봉합사와 약물전달시스템으로 용도가 제한적이었다. 1997년 미국 Cargill 社와 Dow Chemical 社는 50대50 합작 투자하여 Cargill Dow Polymer(2007년 12월 이후 NatureWorks 社)라는 벤처회사를 설립하였고, 2002년 기준 연간 140,000톤의 PLA 생산설비를 완성하여 필름, 컵, 식품용기, 패키징 등의 다양한 용도로 PLA제품을 대량 공급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 PLA 소재는 물성 측면에서 범용 고분자 재료 대비 열등하여 산업적으로 그 응용분야가 제한적이며, 특히 자동차용 소재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내열성 및 내충격성 향상이 선결 극복과제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10-0027438 호, 제 2011-0008248 호, 일본 공개특허 제 2008-0063356 호 등 에서는 광학이성질체 폴리유산을 블렌드함으로써 내열성을 향상시킨 소재를 제안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10-0079986 호, 제 2009-0024709 호 등에서는 폴리유산에 에틸렌-알킬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첨가함으로써 내충격성 면에서 개선된 물성을 보이는 폴리유산 조성물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자동차용 소재로 적용하기에는 내열성과 내충격성 면에서 만족할만한 물성치를 보이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기존 폴리유산 소재의 낮은 내열성을 개선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한 결과 광학이성질체 폴리유산을 블렌드 하는 경우 나노 기핵작용에 의해 결정성장 변화가 발생하여 스테레오 컴플렉스를 형성하며, 이로 인하여 높은 내열성 향상이 이루어지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스테레오 컴플렉스 결정구조의 안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용융 및 혼련 온도를 특정범위 내로 조절하며, 용융물을 특정 표면온도 범위를 갖는 사출금형에서 성형하면 결정화도가 향성되어 내열성 및 강도가 개선된 성형품을 얻을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에 내충격성 강화를 위해 폴리(에틸렌-알킬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를 블렌드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고내열성 및 고내충격성을 갖는 폴리유산 복합재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열성 및 내충격 특성이 우수하며 특히 기존에 공지된 광학이성질체 폴리유산을 블렌드 하는 기술보다 현저히 물성향상이 이루어진 소재를 제공함으로서 제조단가 저감 및 기계적 물성이 혁신적으로 향상되는 폴리유산 소재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광학이성질 L타입 폴리유산 수지 60 ~ 80 중량%, 광학이성질 D타입 폴리유산 수지 15 ~ 30 중량% 및 폴리(에틸렌-알킬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5 ~ 10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190 ~ 195℃에서 용융 및 혼련하여 용융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용융물을 표면온도가 100 ~ 110℃인 사출금형에서 성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폴리유산 복합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학이성질 L타입 폴리유산 수지, 광학이성질 D타입 폴리유산 수지 및 폴리(에틸렌-알킬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를 특정 배합비율로 혼합하고 가공조건 및 성형조건을 제어함으로서 우수한 내열성, 충격강도 및 인장강도를 가진 소재를 얻을 수 있으므로, 기존의 자동차용 부품소재로 사용되어 온 석유자원 기반의 범용 고분자 수지 및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를 바이오매스 기반의 친환경적인 바이오 소재로 대체할 수 있으며, 제조된 폴리유산 복합재료 조성물은 자동차용 내외장재 등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겠다.
본 발명은 광학이성질 L타입 폴리유산 수지, 광학이성질 D타입 폴리유산 수지 및 폴리(에틸렌-알킬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를 특정 온도에서 용융 및 혼련한 후, 이를 일정범위의 표면온도를 갖는 사출금형에 사출함으로써 폴리유산 복합재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학이성질 L타입 폴리유산 수지(PLLA)에 일정량의 광학이성질 D타입 폴리유산 수지(PDLA)를 접촉 반응시키면 스테레오 컴플렉스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두 가지 타입의 광학활성 재료의 결정 격자내 고분자 사슬의 평행한 패킹 및 CH3와 O=C 사이의 강한 반데르 발스 인력이 발생하여 결과적으로 결정화도가 향상하며 보다 치밀한 결정구조가 생성되기 때문에 열적 물성향상이 발생한다.
그러나 일반 사출 금형 조건에서 금형 표면 온도는 약 40℃ 수준이며 이 조건에서 폴리유산 수지는 낮은 결정화 속도로 인하여 상기 인력이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인력에 참여하지 않는 폴리유산 수지는 자체 결정화를 이루게 된다. 이때 결정화도가 크게 높아지지 않기 때문에 추가적 물성향상에 제약이 있다. 이를 극복하고자 금형 표면 온도를 100 ~ 110℃ 수준에서 유지하는 경우 폴리유산 사슬 유동성이 높아지고 따라서 라멜라 구조 형성이 용이하여 결과적으로 결정화도 상승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금형 표면온도가 상기 온도범위를 벗어나면 결정화 형성의 최적 조건에서 벗어나서 결과적으로 최종 제품의 내열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이 용융 블렌드 되는 과정에서 온도를 190 ~ 195℃로 유지함으로서 한번 생성된 스테레오 컴플렉스 결정체는 그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게 하여 최종 혼합물에 스테레오 컴플렉스 결정체 함량이 증대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상기 광학이성질 L타입 폴리유산 수지(PLLA)는 전분과 같은 바이오 매스로부터 합성되는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용융지수(MI)가 10 ~ 40 g/10분(190℃, 2.16kg 하중)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용융지수가 10 g/10분 미만이면 용융점도의 상승으로 가공시 과부하가 걸리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40 g/10분 을 초과하는 경우 낮은 용융점도로 인하여 압출성형이나 사출성형이 어렵다. 이러한 광학이성질 L타입 폴리유산 수지는 본 발명의 조성물 중 60 ~ 8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60 중량% 미만이면 상대적으로 광학이성질 D타입 폴리유산 수지의 사용량이 증가되어 산업적으로 경제성이 떨어지며, 함량이 80 중량%을 초과하게 되면 입체구조 형성이 불완전하게 이루어져서 내열성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다.
상기 광학이성질 D타입 폴리유산 수지(PDLA) 역시 전분과 같은 바이오 매스로부터 합성되는 중합체로, 용융지수(MI)가 30 ~ 70 g/10분(190℃, 2.16kg 하중)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용융지수가 30 g/10분 미만이면 용융점도 상승에 따라 가공상 문제가 있을 수 있고, 70 g/10분을 초과하는 경우 입체구조 형성이 불완전하게 이루어져 내열성 향상면에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D타입 폴리유산 수지는 본 발명의 조성물 중 15 ~ 3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좋다. 광학이성질 D타입 폴리유산 수지의 함량이 15 중량% 미만이면 입체구조 형성이 불완전하게 이루어져서 내열성 개선면에서 문제가 있을 수 있고, 반대로 30 중량%를 촉과하는 경우 PLLA 대비 고가의 PDLA의 함량이 증가되므로 경제성 면에서 문제가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알킬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는 에틸렌 공중합체로서, 에틸렌 75 ~ 85 중량%, 알킬아크릴레이트 8 ~ 15 중량% 및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3 ~ 1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킬아크릴레이트와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매트릭스 수지인 폴리유산과 분산상인 상기 물질의 계면 접착력 및 계면 접촉면적이 변화하여 충격보강 효과가 저하되기 때문에 상기 범위가 적절하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에틸렌 85 중량%, 알킬아크릴레이트 10 중량% 및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5 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알킬아크릴레이트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노말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노말옥틸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알킬아크릴레이트는 노말부틸아크릴레이트인 것이 좋다. 이러한 폴리(에틸렌-알킬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는 충격강도를 소재에 부여하기 위해 사용하며, 용융지수(MI)가 2 ~ 10 g/10분(190℃, 2.16 kg 하중)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용융지수가 2 g/10분 미만이면 복합재료 내에서 균일한 분산이 어렵고, 10 g/10분를 초과하면 인장물성 저하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 폴리(에틸렌-알킬아크릴에이트-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의 함량은 5 ~ 10 중량%가 좋다. 수지의 사용량이 5 중량% 미만이면 충격강도 향상이 현저히 저감하여 자동차용 부품으로 적용하기 곤란하며, 수지의 사용량이 10 중량%를 초과하면 과도한 충격강도 향상에 따른 인장물성 저하가 발생하여 산업적으로 응용 분야가 현저히 감소한다.
본 발명의 폴리유산 복합재료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등을 첨가할 수 있으며, 유기안료, 무기안료, 염료 등을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광학이성질 L타입 폴리유산 수지, 광학이성질 D타입 폴리유산 수지 및 폴리(에틸렌-알킬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가 혼합 블렌드 될 때 용융 혼련기의 온도를 190 ~ 195℃로 제한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 중 하나로 한다. 용융 및 혼련시 온도범위를 상기 범위로 특정함으로써 한번 형성된 스테레오 컴플렉스 결정체를 그대로 유지시켜 폴리유산 복합재료의 내열성을 강화시키게 된다. 이때 용융 및 혼련 온도가 195℃를 초과하면 스테레오 컴플렉스 결정체의 일부가 용융되어 스테레오 컴플렉스의 함량이 감소함에 따라 내열성 향상면에서 불리하며, 반대로 용융 및 혼련 온도가 190℃ 미만이면 혼련기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용융 및 혼련에 따른 용융물을 표면온도가 100 ~ 110℃인 사출금형에서 성형하는 것을 또다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조작을 통하여 최종 사출품인 폴리유산 복합재료 조성물의 결정화도를 향상시켜 내열성 및 인장강도를 한층 더 증대시키게 된다. 사출성형은 금형표면을 전열 등을 이용하여 폴리유산 수지의 결정화 온도인 100℃까지 급속 가열시킨 후, 용융물을 사출한 다음 1 ~ 3 분 가량 체류시키고, 이후 상온으로 냉각시키는 공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 때, 사출금형의 표면온도는 폴리유산 수지의 결정화 온도인 100℃ 이상으로 유지하여야 하나, 110℃를 초과하여도 효과상의 실익이 미미하며 표면온도 상승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만 증가되므로 사출금형의 온도는 100 ~ 110℃ 사이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또한 금형표면 온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수지의 결정화 거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어 결과적으로 내열성, 기계적 물성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폴리유산 복합재료 조성물은 광학이성질 L타입 폴리유산 수지와 광학이성질 D타입 폴리유산 수지의 혼합에 따라 스테레오 컴플렉스를 형성하며, 입체규칙성이 고도화된 결정구조 변화는 X-레이 회절에 의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결정화도 변화는 시차주사열량계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입체규칙성이 고도화된 폴리유산 복합수지 조성물은 내열성 및 기계적 물성, 특히 내충격 특성이 크게 향상되어 다양한 산업분야, 특히 자동차 부품 분야에 적용될 수 있어 향후 전지구적인 이산화탄소 저감 규제에 대응할 수 친환경 소재이며 자동차 친환경 이미지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어 산업적 파급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는바, 다음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광학이성질 L타입 폴리유산 수지, 광학이성질 D타입 폴리유산 수지 및 폴리(에틸렌-노말부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를 각각 건조한 상태에서 교반-혼합장치에서 교반 및 혼합시키고, 믹서를 사용하여 용융 및 혼련시켜 용융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광학이성질 D타입 폴리유산 수지 및 폴리(에틸렌-노말부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는 광학이성질 L타입 폴리유산 수지 내부로 분산되어 진다. 이후 용융물을 금형에 사출하고 1 ~ 3 분 가량 유지시킨 후 상온으로 냉각하여 폴리유산 복합재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 2, 비교예 3 및 비교예 5의 경우 사출금형 표면(가열코어)은 전열을 이용하여 15초 이내에 급속 가열시켰다. 구성성분의 함량, 용융 및 혼련 온도, 그리고 사출금형의 표면온도는 하기 표 1과 같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1 2 3 4 5
PLLA(중량%) 80 70 100 80 80 70 70
PDLA(중량%) 15 20 0 15 15 20 20
에틸렌공중합체(중량%) 5 10 0 5 5 10 10
용융혼련온도(℃) 190 195 220 190 220 190 220
사출금형 표면온도(℃) 100 100 - 40 110 40 110
PLLA : 광학이성질 L타입 폴리유산 수지[Ingeo 3251D; 미국 Nature Works(주)]
PDLA : 광학이성질 D타입 폴리유산 수지[네덜란드 퓨락㈜]
에틸렌공중합체 : 폴리(에틸렌-노말부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Elvaloy; 미국 듀폰(주)]
물성측정시험
상기 실시예 1 ~ 2 및 비교예 1 ~ 5 에 의하여 제조된 복합재료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 측정을 위하여 사출성형을 통하여 아래 측정법(ASTM D 638, ASTM D 256, ASTM D 648)에서 제시한 시편으로 성형한 후, 측정법에서 제시하는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인장물성 측정시편은 덤벨형 모양의 시편이며, 충격강도 측정시편은 시편에 노치가 형성된 시편의 모양을 사용하였다.
인장강도 측정방법
ASTM D 638 (Standard Test Method for Tensile Properties of Plastics)에 의거하여 측정용 시편을 만들어 만능시험기를 사용,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값을 측정하였다.(인장강도 [Pa] = 최대 load [N] / 초기 시료의 단면적 [m2])
충격강도 측정방법
ASTM D 256 (Standard Test Methods for Determining the Izod Pendulum Impact Resistance of Plastics)에 의거하여 측정용 시편을 만들어 아이조드 충격기를 사용, 충격강도(Impact Strength) 값을 측정하였다.
내열성 측정방법
ASTM D 648 (Standard Test Method for Deflection Temperature of Plastics Under Flexural Load in the Edgewise Position)에 의거하여 측정용 시편을 만들어 만능시험기를 사용, 내열성(heat distortion temperature)을 측정하였다.
구분 기계적 물성
인장강도(MPa) 충격강도(kgf cm/cm) 내열성 (℃)
실시예1 76 6.9 119
실시예2 77 7.0 120
비교예1 67 2.8 57
비교예2 66 3.8 56
비교예3 65 3.9 55
비교예4 66 3.8 57
비교예5 67 3.7 56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학이성질 L타입 폴리유산 수지와 광학이성질 D타입 폴리유산 수지 및 폴리(에틸렌-노말부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를 특정 배합비율로 혼합하되, 용융 및 혼련과정에서의 온도 조절 및 사출과정에서의 금형온도 조절을 한 본 발명의 실시예 1 ~ 2의 경우, 인장강도, 충격강도 및 내열성이 광학이성질 L타입 폴리유산 수지 단독으로 제조한 비교예 1 보다 크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2 및 4는 사출금형의 표면온도를 기존의 40℃로 유지한 결과 내열성 개선효과가 실시예 1 ~ 2에 미치지 못하였다. 이는 실시예 1 ~ 2 의 경우 사출금형의 온도조절을 통해 복합재료의 결정화 속도를 높여 결정화도를 향상시켰기 때문이다. 또한, 비교예 3 및 5는 용융 및 혼련온도를 220℃로 유지하여 제조한 복합재료의 물성시험 결과인데, 스테레오 컴플렉스 결정체가 용융으로 감소함에 따라 내열성 개선효과를 얻을 수 없었다. 또한, 충격강도 시험결과를 보면 비교예 2 ~ 5는 폴리(에틸렌-노말부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를 첨가함에 따라 비교예 1 보다 나은 물성값을 보였으나, 용융혼련 온도 및 사출금형 온도를 특정범위로 조정하지 않은 결과 실시예 1 ~ 2 의 물성값보다 크게 낮은 수치를 보였다. 이는 용융 및 혼련 온도를 조절하여 스테레오 컴플렉스 결정체의 함량을 유지하며, 또한 사출금형 온도를 조절하여 결정화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내열성 뿐만 아니라 충격강도 향상 면에서도 유리한 조작임을 보이는 결과이다. 인장강도의 경우, 사출금형의 표면온도를 조절한 비교예 3 및 5의 경우 비교예 2 및 4에 비추어 개선된 물성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비교예 2 ~ 5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비교예 3 및 5의 경우 고온의 용융 및 혼련온도를 적용함에 따라 스테레오 컴플렉스의 결정체의 함량 감소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Claims (5)

  1. 광학이성질 L타입 폴리유산 수지 60 ~ 80 중량%, 광학이성질 D타입 폴리유산 수지 15 ~ 30 중량% 및 폴리(에틸렌-알킬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5 ~ 10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190 ~ 195℃에서 용융 및 혼련하여 용융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용융물을 표면온도가 100 ~ 110℃인 사출금형에서 성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폴리유산 복합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이성질 L타입 폴리유산 수지는 용융지수(MI)가 10 ~ 40 g/10분(190℃, 2.16kg 하중)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유산 복합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이성질 D타입 폴리유산 수지는 용융지수(MI)가 30 ~ 70 g/10분(190℃, 2.16kg 하중)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유산 복합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알킬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중의 알킬아크릴레이트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노말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노말옥틸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유산 복합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알킬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는 에틸렌 75 ~ 85 중량%, 알킬아크릴레이트 8 ~ 15 중량% 및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3 ~ 1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유산 복합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10027121A 2011-03-25 2011-03-25 폴리유산 복합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734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121A KR101734561B1 (ko) 2011-03-25 2011-03-25 폴리유산 복합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US13/155,544 US8378027B2 (en) 2011-03-25 2011-06-08 Manufacturing method of polylactic acid composite composition
DE102011077447.5A DE102011077447B4 (de) 2011-03-25 2011-06-14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ormkörpers aus einer Polymilchsäure-Kompositzusammensetzung, Formkörper und Automobilte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121A KR101734561B1 (ko) 2011-03-25 2011-03-25 폴리유산 복합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798A true KR20120108798A (ko) 2012-10-05
KR101734561B1 KR101734561B1 (ko) 2017-05-11

Family

ID=46831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7121A KR101734561B1 (ko) 2011-03-25 2011-03-25 폴리유산 복합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378027B2 (ko)
KR (1) KR101734561B1 (ko)
DE (1) DE102011077447B4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16086A1 (en) 2013-06-19 2014-12-24 Lotte Chemical Corporation Polylactic Acid Stereocomplex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Crystallization Rate and Method for Molding the same
KR101509902B1 (ko) * 2013-07-19 2015-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친환경 자동차 부품용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수지 조성물
KR101526690B1 (ko) * 2013-10-07 2015-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내열 내충격성 폴리유산 복합재료 조성물
WO2023229219A1 (ko) * 2022-05-25 2023-11-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24410B (en) * 2012-10-26 2014-08-15 Stora Enso Oyj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biodegradable packaging material, biodegradable packaging material and packaging or container thereof
CN103252878B (zh) * 2013-04-28 2016-05-18 上海紫华包装有限公司 一种可生物降解的透明塑料包装罐的注塑成型方法
US9260550B1 (en) 2015-01-27 2016-02-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actide-based acrylate polymers
EP3162833A1 (en) 2015-11-01 2017-05-03 Bio Bond IVS Bio-based and biodegradable resin suitable for production of composite materials
JP2019514751A (ja) * 2016-05-03 2019-06-06 トタル リサーチ アンド テクノロジー フエリユイ 3dプリントで作られたpla物品
CN109096711A (zh) * 2018-07-04 2018-12-28 汕头卜高通美实业有限公司 一种大米粉改性聚乳酸复合材料及制备方法
CN111004483B (zh) * 2018-11-01 2022-07-22 江南大学 一种可降解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9553941B (zh) * 2018-11-16 2021-08-10 广东众塑降解材料有限公司 一种生物基全降解筷子材料及其制备方法
CN111393860A (zh) * 2020-04-30 2020-07-10 安徽宏飞钓具有限公司 一种海钓用可快速降解的仿生鱼饵及其生产工艺
CN111500002A (zh) * 2020-05-15 2020-08-07 无锡海特新材料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提高聚乳酸烟用丝束热稳定性的树脂及其制备方法
CN115368717B (zh) * 2022-09-16 2024-05-28 江南大学 一种高熔体强度聚乳酸组合物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54973B2 (en) * 2003-12-12 2008-04-08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oughened poly(lactic acid) compositions
FR2902434B1 (fr) * 2006-06-16 2008-08-01 Arkema France Composition d'acide polylactique presentant une resistance aux chocs amelioree
JP2008063356A (ja) 2006-09-04 2008-03-21 Teijin Ltd 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EP2112199A1 (en) 2008-04-21 2009-10-28 PURAC Biochem BV Polymer composition comprising polylactide
KR100989116B1 (ko) 2008-09-02 2010-10-20 제일모직주식회사 환경친화성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BRPI0921718A2 (pt) * 2008-11-05 2016-01-05 Teijin Chemicals Ltd composição, método para produzir uma composição, e, artigo moldado
KR101277726B1 (ko) 2008-11-17 2013-06-24 제일모직주식회사 천연섬유 강화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067141B1 (ko) 2008-12-31 2011-09-22 주식회사 삼양사 친환경 수지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16086A1 (en) 2013-06-19 2014-12-24 Lotte Chemical Corporation Polylactic Acid Stereocomplex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Crystallization Rate and Method for Molding the same
US9085689B2 (en) 2013-06-19 2015-07-21 Lotte Chemical Corporation Polylactic acid stereocomplex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crystallization rate and method for molding the same
KR101509902B1 (ko) * 2013-07-19 2015-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친환경 자동차 부품용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수지 조성물
KR101526690B1 (ko) * 2013-10-07 2015-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내열 내충격성 폴리유산 복합재료 조성물
WO2023229219A1 (ko) * 2022-05-25 2023-11-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4561B1 (ko) 2017-05-11
US20120245292A1 (en) 2012-09-27
US8378027B2 (en) 2013-02-19
DE102011077447A1 (de) 2012-09-27
DE102011077447B4 (de) 2021-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08798A (ko) 폴리유산 복합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Wu et al. Design of supertoughened and heat-resistant PLLA/elastomer blends by 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stereocomplex crystallites and the morphology
CN101602884B (zh) 一种耐热聚乳酸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im et al.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assava and pineapple flours-filled PLA bio-composites
KR101281834B1 (ko)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재
CN106751625B (zh) 一种可生物降解高阻隔型塑料制品及其制备方法
CN112029154A (zh) 一种生物降解材料及其制备方法
CN104072957A (zh) 一种食品级可生物降解聚乳酸基复合材料及其应用
CN101983986B (zh) 一种透明和增韧的聚乳酸树脂及其制备方法
KR101526690B1 (ko) 고내열 내충격성 폴리유산 복합재료 조성물
CN105038158A (zh) 一种食品级全降解耐高温型聚乳酸复合材料的制备方法
JP2006328163A (ja) ポリ乳酸系樹脂組成物、その成形体及びその成形方法
CN109504042A (zh) Pha改性的tps/pbat可生物降解树脂及其制备方法
CN102924892A (zh) 高耐热高韧性聚乳酸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
Bouzouita Elaboration of polylactide-based materials for automotive application: study of structure-process-properties interactions
KR101820247B1 (ko) 투명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유산 스테레오 콤플렉스 수지 조성물
KR102009819B1 (ko)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생분해성 시트
KR101526593B1 (ko) 폴리유산 복합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bd Rahman et al.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polylactic acid filled lignin powder biocomposite filaments with epoxidized palm oil for sustainable 3D printing application
CN111234471A (zh) 一种低线性热膨胀系数的pbt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6893276A (zh) 一种高柔韧性和耐热性聚乳酸改性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567196B1 (ko) 고강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폴리유산 복합재료 조성물
KR102269983B1 (ko) 상용성이 개선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101490951B1 (ko) 자동차 내외장재용 고분자 수지 조성물, 자동차 내외장재용 수지 성형품 및 이의 제조방법
Frącz et al. Selected properties of biocomposites on the basis of phbv with cellulose fill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