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7539A - 외장재 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외장재 설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7539A
KR20120107539A KR1020107029628A KR20107029628A KR20120107539A KR 20120107539 A KR20120107539 A KR 20120107539A KR 1020107029628 A KR1020107029628 A KR 1020107029628A KR 20107029628 A KR20107029628 A KR 20107029628A KR 20120107539 A KR20120107539 A KR 20120107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ior
side connector
runner
holding member
engagemen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9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오 사토
코이치 오쿠노기
마사후미 오카와
Original Assignee
키쿠카와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쿠카와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키쿠카와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07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75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 E04F13/0807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 E04F13/0808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adjustable in several directions one of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04F13/082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engaging side grooves running along the whole length of the cover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0/00Solar heat collecto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environments
    • F24S20/60Solar heat collectors integrated in fixed constructions, e.g. in buildings
    • F24S20/66Solar heat collectors integrated in fixed constructions, e.g. in buildings in the form of facade constructions, e.g. wall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5/0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20Peripheral frames for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6Building materials integrated with PV modules, e.g. façade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20Solar therm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4Heat exchange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7Mountings or trac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ishing Wall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장재의 상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하면서 외장재를 벽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외장재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외장재 설치구조에 따르면, 외장재인 복수의 솔라패널(3)과, 벽면(W)에 고정되고, 복수의 솔라패널(3)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하측의 런너(2)와, 벽면(W)에 고정되고, 복수의 솔라패널(3)을 상측에서 지지하는 상측의 런너(2)를 구비하는 외장재 설치구조(1)로서, 상기 상측의 런너(2)는 벽면(W)에 고정되는 고정부(21)와, 기단측이 고정부(21)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회동부(22)와, 회동부(22)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회동부(22)를 하향으로 회동시키면 솔라패널(3)에 계합하고, 회동부(22)를 상향으로 회동시키면 솔라패널(3)로부터 이탈하는 상측 계합부(2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외장재 설치 구조 {EXTERNAL FACING MATERIAL INSTALL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외장재를 건물 벽면에 설치하기 위한 외장재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건물의 벽면을 외장재로 피복하여서 장식하는 일이 수행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외장재에 태양전지소자를 장착하여서 소위 솔라패널을 형성하고, 장식과 동시에 발전(發電)을 하는 경우가 수행되고 있다. 특히 태양광 발전은 화석연료에 의존하지 않는 에콜로지 에너지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예를 들면, 종래문헌(특허문헌1)에서는 단면에서 보아 대략 L자 형상을 띠는 유지부재를 건물의 벽면에 상하 2단으로 고정하면서 해당 유지부재의 상단부에 복수의 커넥터를 설치하는 한편 태양전지소자를 결합한 외장재(솔라패널)의 배면에 유지부재의 상단부에 계합하는 계합편(係合片)을 상하 2단으로 설치하면서 해당 계합편에 유지부재의 커넥터와 접속하는 출력단자를 설치하고, 그리고 복수의 커넥터들을 접속하는 집전선을 유지부재를 따라 배선하고, 복수의 외장재를 계합편을 통하여 유지부재에 기계적으로 고정하는 동시에 복수의 외장재의 태양전지소자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외장재 설치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실용신안공개공보 실개소63-22755호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특허문헌1)에 기재된 외장재 설치구조에서는 대략 L자형상을 띠는 유지부재의 상단부에 외장재의 배면에서 하향으로 돌출한 계합편의 오목 홈을 위에서 끼워넣는 구조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지진이 일어났을 때에 상방향의 하중이 벽에 작용했을 경우에는 유지부재와 계합편의 결합이 벗어날 우려가 있다.
또한 만약 외장재의 상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유지부재 이외에 별도 설치하면 고정수단을 시공하는 만큼의 번거로움이 발생되고 시공비나 재료비의 증대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 종래기술(특허문헌1)의 구조에서는 대략 L자형상을 띠는 유지부재의 상단부에 커넥터가 설치되어 있으면서 유지부재에 계합하는 외장재의 계합편에 출력단자가 설치되어 있어서 유지부재와 계합편의 결합이 풀리면, 커넥터와 출려단자의 접속도 빠져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출력단자의 둘레로 방수 씰 등을 시공하는 것이 번잡하고 곤란하며, 방수성에 문제가 있다. 또한 만약 방수 씰을 시공한 경우에는 유지부재와 계합편 사이에 방수 씰이 개재되게 되어 유지부재와 계합편의 기계적인 접속강도의 저하나 커넥터와 출력단자의 전기적인 접속강도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들을 감안하여서 이루어진 것으로 외장재의 상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하면서 외장재를 벽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외장재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외장재와, 건물의 벽면에 고정되어 상기 복수의 외장재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하측 유지부재와, 상기 건물의 벽면에 고정되어 상기 복수의 외장재를 상측에서 지지하는 상측 유지부재를 구비하는 외장재 설치 구조로서 상기 상측 유지부재는 상기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기단측이 상기 고정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를 하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외장재에 계합되고, 상기 회동부를 상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외장재로부터 이탈하는 상측 계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본 발명은 복수의 외장재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하측유지부재와, 복수의 외장재를 상측에서 지지하는 상측 유지부재를 구비하고 있어서 외장재를 하측에서뿐만 아니라 상측에서도 지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지지 등에 의해 솔라패널에 상향의 하중이 작용했을 경우에도 외장재의 상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측 유지부재는 회동부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회동부를 하향으로 회동시키면 외장재에 계합되고, 회동부를 상향으로 회동시키면 외장재로부터 이탈하는 상측 계합부를 가지고 있어서 하측 유지부재에 외장재를 하측에서 유지시킬 때에 회동부를 상향으로 회동시켜둠으로써 상측 유지부재가 설치에 방해가 되는 일이 없으며 그 후에 회동부를 하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회동부의 선단에 설치된 상측 계합부를 외장재에 용이하게 계합할 수 있다. 또한 회동부를 하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상측 계합부와 외장재 사이의 간극을 작게 하여 덜컹거림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측 유지부재는 상기 외장재에 계합하는 하측 계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각 외장재는 상기 상측 계합부에 계합하는 상측 피계합부와, 상기 하측 계합부에 계합하는 하측 피계합부를 갖으며, 상기 상측 계합부 및 상기 상측 피계합부 중 한쪽에는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측 계합부 및 상기 상측 피계합부 중 다른 한쪽에는 상기 오목홈과 결합하는 돌출부(突條)가 형성되며, 상기 하측 계합부 및 상기 하측 피계합부 중 한쪽에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측 계합부 및 상기 하측 피계합부 중 다른 쪽에는 상기 오목홈에 결합하는 돌출부(突條)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오목홈에 돌출부를 계합시킴으로써, 상측 계합부와 상측 피계합부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으면서 하측 계합부와 하측 피계합부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 계합부 및 상기 피계합부 중 한쪽에 형성된 상기 오목홈 내부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측 계합부 및 상기 상측 피계합부 중 다른 쪽에 형성된 돌출부에는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돌기와 결합하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측 계합부 및 상측 피계합부 중 한쪽에 형성된 오목홈 내부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측 계합부 및 상측 피계합부 중 다른 쪽에 형성된 돌출부에는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돌기와 결합하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지진 등에 의해 외장재에 수평방향의 힘이 작용했을 때에 돌기와 절결부가 맞물려 상측 유지부재에 대하여 외장재가 수평방향으로 벗어나는 일이 없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외장재를 솔라패널로 하여서 상측 유지부재에 솔라패널(패널측 커넥터)과 접속하는 유지부재측 커넥터에 설치한 경우에 유지부재측 커넥터와 솔라패널이 빠져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하측 유지부재와 외장재 사이에 관해서는 수평방향의 상대 이동을 허용함으로써 지진의 힘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외장재를 솔라패널로 하여서 상측 유지부재에 솔라패널과 접속하는 유지부재측 커넥터를 설치한 경우에는 하측 유지부재를 따라서 솔라패널을 미끄러지게 할 수 있어 조립시에 유지부재측 커넥터에 대하여 솔라패널의 위치를 맞추는 것이 쉬워진다.
또한 상측 유지부재는 상기 회동부의 선단측에 해당 상측 유지부재의 상방에 설치되는 다른 복수의 외장재에 결합하는 하측 계합부를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측 유지부재가 하측 유지부재를 겸용할 수 있어서 상측 유지부재의 상방에 다른 복수의 외장재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부품의 종류를 적게 하면서 복수의 외장재를 수평방향뿐만 아니라 상하방향으로도 인접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외장재는 서로 공간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상측 유지부재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외장재들 사이의 간극에 대응하는 위치에 발판 이음재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측 유지부재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외장재끼리의 간극에 대응하는 위치에 발판 이음재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가지고 있어서 건물의 벽면에 외장재를 설치할 때에 가설되는 발판을 발판 이음재를 통하여 상측 유지부재에 쉽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장재는 태양전지소자를 갖는 솔라패널이며, 상기 상측 유지부재는 상기 고정부에 장착되며, 상기 복수의 솔라패널에 각각 접속하는 복수의 유지부재측 커넥터와, 상기 복수의 유지부재측 커넥터끼리를 접속하는 집전선을 더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유지부재측 커넥터는 고정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측 계합부와는 별도로 설치되어 있어서 유지부재측 커넥터와 솔라패널의 전기적인 접속을 확실하게 수행한 후에 회동부를 하향으로 회동시켜서 솔라패널과 상측 계합부와의 기계적인 접속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측 유지부재는 하향으로 회동한 상기 회동부와 상기 고정부에 의해 둘러싸인 중공부를 갖으며 상기 중공부에 상기 집전선이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하향으로 회동한 회동부와 고정부에 의해 둘러싸인 중공부에 집전선이 설치되어 있어서 회동부를 상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중공부를 개방하여서 집전선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면서 회동부를 하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집전선의 보호를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솔라패널은 상기 유지부재측 커넥터에 접속하는 패널측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부재측 커넥터 및 상기 패널측 커넥터는 서로 접속하는 접속단자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유지부재측 커넥터 및 상기 패널측 커넥터 중 한쪽은 상기 접속단자의 주위를 둘러싸고, 상기 유지부재측 커넥터 및 상기 패널측 커넥터 중 다른 쪽에 맞닿는 제1씰부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유지부재측 커넥터 또는 패널측 커넥터의 접속단자의 주위에 제1씰부재가 설치되어 있어서 접속단자를 확실하게 방수할 수 있다.
또한 유지부재측 커넥터는 상측 계합부와는 별개로 형성된 고정부에 설치되어 있어서 상측 계합부와 솔라패널 사이에 제1씰부재가 개재되는 일이 없다. 그 때문에 상측 계합부와 솔라패널과의 기계적인 접속 강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측 유지부재의 회동부를 하향으로 회동하여서 솔라패널에 상측에서 결합시킴으로써 솔라패널이 상측 유지부재에 바싹 끌어 당겨지기 때문에 상기 제1씰부재의 특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지부재측 커넥터 및 상기 패널측 커넥터 중 한쪽은 상기 제1씰부재의 상방에 연장되며 상기 유지부재측 커넥터 및 상기 패널측 커넥터의 다른 쪽에 맞닿는 제2씰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씰부재는 중앙부에서 양단부로 향할수록 상기 제1씰부재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1씰부재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씰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어서 제1씰부재에 빗물 등이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여서 유지부재측 커넥터 및 패널측 커넥터의 접속단자의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씰부재는 중앙부에서 양단부로 향할수록 상기 제1씰부재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어서 빗물 등을 효과적으로 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장재의 상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하면서 외장재를 벽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외장재 설치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외장재 설치구조의 일부를 분해하여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Ⅰ-Ⅰ선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3은 도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4는 런너측 커넥터의 구조도이며, (a)솔라패널측에서 본 측면도, (b)는 (a)의 Ⅱ-Ⅱ선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5의 (a)는 솔라 패널의 상변 부근의 확대 단면도이고, (b)는 (a)의 Ⅲ-Ⅲ선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6은 패널측 커넥터의 구조도이며, (a)는 벽면측에서 본 측면도, (b)는 (a)의 Ⅳ-Ⅳ선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7의 (a)는 상측 계합부 부근의 확대 단면도이고, (b)는 상측 계합부 부근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에서 동일 요소에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건물인 빌딩 벽면에 외장재인 솔라 패널을 부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1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외장재 설치구조의 일부를 분해해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외장재설치구조(1)는 태양전지소자(31)를 갖는 복수의 솔라패널(3)을 빌딩(BD)의 벽면(W)에 설치하기 위한 구조이며, 예를 들면 빌딩(BD)의 창과 창 사이의 벽면(W)를 덮어 빌딩(BD)의 외관을 장식하면서 태양광 발전으로 빌딩(BD)의 에너지 절약을 꾀하는 것이다.
외장재 설치구조(1)는 기본적으로 서로 상하로 간격을 두고 벽면(W)에 부착된 한 쌍의 런너(2)와, 이 한 쌍의 런너(2) 사이에 부착되어서 수평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된 복수의 솔라패널(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런너(2A,2B,2C,2D)와, 3단의 솔라패널군(3A,3B,3C)에 의해 세 개의 외장재 설치구조(1)가 구성되어 있다.
4개의 런너(2) 중에서 중앙의 두 개의 런너(2B,2C)는 각각 청구범위에서의 「상측 유지부재」와 「하측 유지부재」를 겸한다. 즉, 중앙의 두 개의 런너(2B,2C)는 그 하측에 설치된 솔라패널(3)을 상측에서 지지하고 있으면서, 그 상측에 설치된 솔라패널(3)을 하측에서 지지한다.
또한 도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런너(2)는 복수의 솔라패널(3)과 각각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런너측 커넥터(4)와, 이들 복수의 런너측 커넥터(4)를 (더 나아가서는 수평방향으로 인접하는 복수의 솔라패널(3)을) 직렬로 접속하는 집전선(6)을 갖는다. 그리고 또한 각 솔라패널(3)은 벽면(W)측의 면(배면)의 상연 부근에서 런너측 커넥터(4)와 접속하는 패널측 커넥터(5)를 갖는다.
도2는 도1의 Ⅰ-Ⅰ선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3은 도2의 A부분을 확대하여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2, 도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런너(2)는 외장재인 솔라패널(3)을 벽면(W)에 고정하기 위한 소위 베이스재(胴緣)로서 기능하는 것이며, 벽면(W)에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런너(2)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재나 스테인레이스재를 압출 성형하여서 제조한 장척의 부재이고, 단면으로 보아 대략 사각 통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런너(2)는 대략 역 L자 형상을 띠는 파스너(7)를 통하여 벽면(W)에 고정되어 있다. 파스너(7)에 관해서는 뒤에서 설명한다.
도3에서와 같이 런너(2)는 파스너(7)를 통해서 벽면(W)에 고정되는 고정부(21)와, 기단측이 고정부(21)에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고정된 회동부(22)와, 회동부(22)의 선단측에 설치된 상측 계합부(23)와, 회동부(22)의 선단측으로 상측 계합부(23)의 상방에 설치된 하측 계합부(24)를 주로 구비한다.
고정부(21)는 바닥벽(21a)과 바닥벽(21a)의 벽면(W)측의 단부에서 일어서는 후벽(21b)과, 바닥벽(21a)의 솔라패널(3)측의 단부에서 일어서는 앞벽(21c)을 구비하며 단면에서 보아 대략 요(凹)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후벽(21b)의 상단부에는 벽면(W)와 반대측을 향하여 팽출(膨出)되는 팽출부(21d)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팽출부(21d)의 상부에는 단면에서 보아 대략 원호형상을 띠는 힌지홈(21e)이 형성되어 있다. 힌지홈(21e)은 후기될 회동부(22)의 기단측(벽면W측)을 회동 자유롭게 지지한다.
앞벽(21c)은 후벽(21b)의 대략 반 정도 높이의 치수로 이루어져 있다. 앞벽(21c)의 상단부에는 후기될 회동부(22)의 선단측에 맞닿는 당접부(21f)가 형성된다. 당접부(21f)는 앞벽(21c)의 상단부에서 솔라패널(3)측과 벽면(W)측 양쪽을 향하여 각각 연장 설치된다. 당접부(21f)중 벽면(W)측을 향하여 연장된 부분에는 후기하는 회동부(22)에 부분적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홈(21g)이 형성된다.
회동부(22)는 상벽(22a)과, 상벽(22a)의 솔라패널(3)측의 단부에서 매달리는 수벽(hanging wall)(22b)과, 수벽(22b)의 하단부에서 솔라패널(3)측으로 연장되는 연출부(22c)를 주로 구비하며, 단면에서 보아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벽(22a)의 벽면(W)측의 단부에는 하방을 향하여 힌지부(22d)가 돌출 형성된다. 힌지부(22d)의 선단부는 단면에서 보아 대략 원(圓)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고정부(21)에 형성된 힌지홈(21e)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연출부(22c)의 단면(W)측의 단부에는 회동부(22)를 하향으로 회동했을 때에 고정부(21)에 형성된 결합홈(21g)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부(22e)가 하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측 계합부(23)는 런너(2)의 하측에 설치되는 솔라패널(3)의 상단부를 상측에서 지지하는 부분이며, 연출부(22c)의 솔라패널(3)측의 단부에 설치된다.
상측 계합부(23)는 연출부(22c)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향하여 돌출하여 설치된 한 쌍의 돌출부(23a)와, 이 한 쌍의 돌출부(23a) 사이에 형성된 오목홈(23b)으로 구성된다.
한 쌍의 돌출부(23a)의 선단부는 단면에서 보아 대략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둘레면에는 완충용의 수지 피막이 코팅되어 있다. 오목홈(23b)은 회동부(22)을 하향으로 회동했을 때에 후술되는 솔라패널(3)의 상변에 설치된 상측 피계합부(36)(도2참조)를 계합되고, 회동부(22)를 상향으로 회동했을 때에 상측 피계합부(36)로부터 이탈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하측 계합부(24)는 런너(2)의 상측에 설치되는 솔라패널(3)의 하단부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부분이며, 연출부(22c)의 솔라패널(3)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하측 계합부(24)는 연출부(22c)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향하여 돌출하여 설치된 한 쌍의 돌출부(24a)와, 이 한 쌍의 돌출부(24a) 사이에 형성된 오목홈(24b)로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돌출부(24a)의 선단부는 단면에서 보아 대략 원(圓)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둘레면에는 완충용의 수지 피막이 코팅되어 있다. 오목홈(24b)은 후술되는 솔라패널(3)의 하변에 설치된 하측 피계합부(37)에 계합된다.
런너(2)는 하향으로 회동한 회동부(22)와 고정부(21)에 의해 주위를 둘러싸인 중공부(25)를 갖는다. 중공부(25)의 내부에는 후술되는 런너측 커넥터(4)들을 접속하는 집전선(6)이 배치되어 있다. 중공부(25)는 도3에서 2점쇄선으로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회동부(22)를 상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길이방향으로 개방할 수 있어서 집전선(6)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집전선(6)은 현장에서의 시공 부담을 경감하기 위하여 런너(2)를 제조하는 공장에서 중공부(25)내에 미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런너(2)의 바닥벽(21a)의 대략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개구되는 슬릿(21h)이 형성된다. 또한 바닥벽(21a)의 상면에는 슬릿(21h)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세로벽(21i)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세로벽(21i)의 상단은 가로벽(21j)에 의해 연결되어서 폐쇄되어 있다. 이들 슬릿(21h)과 한 쌍의 세로벽(21i)과 가로벽(21j)에 의해 파스너(7)를 체결하는 볼트(B)를 걸리게 하기 위한 걸림홈(21k)이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가로벽(21i) 간격은 파스너(7)를 체결하기 위한 볼트(B)의 머리부의 폭치수와 대략 같은 치수로 형성되어 있으며, 슬릿(21h)의 폭 치수는 해당 볼트(B)의 머리부의 폭 치수보다도 작은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즉, 걸림홈(21k)은 파스너(7)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B)의 회전저지 기능과 빠짐 방지 기능을 갖는다.
이어서 파스너(7)에 관하여 도3을 참조하여서 설명한다.
파스너(7)는 런너(2)를 벽면(W)에 고정하기 위한 부재이며, 벽면(W)에 타설된 앵커볼트(71)와, 수직편(72a)과 수평편(72b)에 의해 측면에서 보아 역 L자형상으로 형성된 브래킷(72)과, 벽면(W)과 브랫킷(72) 사이에 개설된 조정용 와셔(73)를 주로 구비한다.
파스너(7)는 브래킷(72)의 수직편(72a)과 조정용 와셔(73)를 앵커볼트(71)에 삽입 통과시켜 너트(N)로 체결함으로써 벽면(W)에 고정된다. 또한 파스너(7)는 런너(2)의 걸림홈(21k)에 설치한 볼트(B)를 브래킷(72)의 수평편(72b)에 삽입 통과시켜서 너트(N)로 체결함으로써 런너(2)를 고정한다.
파스너(7)은 벽면(W)에 대한 브래킷(72)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기능을 가지고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정용 와셔(73)의 벽면(W)과 반대측 면에는 중심축을 수평방향으로 하는 원호형상의 볼록 곡면(73a)이 형성되어 있으며, 브래킷(72)의 수직편(72a)의 벽면(W)측의 면에는 상기 볼록 곡면(73a)에 대응하는 원호형상의 오목 곡면(72c)이 형성되어 있다. 수직편(72a)에는 앵커볼트(71)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긴 구멍(도시생략)이 상하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으며 조정용 와셔(73)의 볼록 곡면(73a)에 대하여 브래킷(72)의 오목 곡면(72c)를 상하로 비켜서 놓아서 수평편(72b)의 상면의 경사를 조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벽면(W)이 시공 오차에 의해 기울어져 있는 경우에도 브래킷(72)의 기울기를 조정하여서 런너(2)를 수평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볼록 곡면(73a)과 오목 곡면(72c)에는 서로 맞물리는 돌출부(73b,72d)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조정용 와셔(73)에 대하여 브래킷(72)을 비켜서 조정한 후, 앵커볼트(71)에 대하여 너트(N)를 나사 장착할 동안에 브래킷(72)이 미끄러져 벗어나는 일은 없다. 또한 체결 후에도 진동 등에 의해 벗어나 버리는 일이 없다.
또한 수평편(72b)의 상면과 런너(2)의 바닥벽(21a)의 하면에도 서로 맞물리는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3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런너(2)의 앞벽(21c)에는 작업발판(미도시)을 고정하기 위한 발판이음재(8)가 장착되어 있다. 발판이음재(8)는 둥근 봉 형상의 금속제 부재이며,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솔라패널(3)들 사이에 설치된다. 발판이음재(8)의 벽면(W)측의 단부는 런너(2)의 중공부(25)내에 설치된 너트(N)에 연결된다. 또 런너(2)의 앞벽(21c)은 바닥벽(21a)으로부터 상방으로 사이를 둔 위치에 가로벽(21n)을 갖는다. 또한 앞벽(21c)은 발판이음재(8)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홀(21o)을 갖는다. 바닥벽(21a)과 가로벽(21n)에 의해 회전 저지된 너트(N)와 관통홀(21o)에 의해 런너(2)에 발판이음재(8)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21p)가 구성되어 있다.
도4는 런너측 커넥터의 구조도로, (a)는 솔라패널측에서 본 측면도, (b)는 (a)의 Ⅱ-Ⅱ선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2, 도4에서와 같이 런너(2)의 고정부(21)의 하측에는 런너측 커넥터(4)가 장착되어 있다.
런너측 커넥터(4)는 커넥터본체(41)와, 솔라패널(3)과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자(42)와, 벽면(W)에 대하여 커넥터본체(41)를 지지하기 위한 플레이트(43) 및 조정나사(44)를 구비한다.
커넥터본체(41)는 접속단자(42)를 수용하는 상자 모양의 수지제부재이며, 그 상단부의 양측에는 런너(2)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돌출하는 플랜지부(41a)를 갖는다. 플랜지부(41a)에는 고정용의 볼트(B)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홀(도시생략)이 형성된다. 또한 런너(2)의 바닥벽(21a)에는 후술되는 런너측 커넥터(4)의 설치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 볼트(B)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홀(도시생략)이 형성된다.
커넥터본체(41)는 런너(2)의 바닥벽(21a)에 설치한 관통홀과 플랜지부(41a)에 설치한 관통홀에 삽입 통과된 볼트(B)에 너트(N)를 나사 장착함으로써 런너(2)의 고정부(21)에 체결된다.
또한 바닥벽(21a)의 상면에는 커넥터본체(41)를 체결하기 위한 너트(N)의 회동 저지로서 앞벽(21c)으로부터 벽면(W)측으로 떨어진 위치에 세로벽(21m)(도3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본체(41)의 솔라패널(3)측의 면에는 오목부(41b)가 형성되어 있으며, 오목부(41b)의 내부에는 접속단자(42)의 일단측(42a)이 노출되어 있다. 접속단자(42)의 타단측(42b)는 커넥터본체(4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여 런너(2)의 바닥벽(21a)에 설치된 개구부(도시생략)를 통해서 중공부(25)내에 배치되고 집전선(6)에 접속된다.
도4(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본체(41)의 벽면(W)측의 측면에는 플레이트(43)가 설치되어 있다. 플레이트(43)의 하단부는 커넥터본체(41)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플레이트(43)의 하단부에는 나사홀(43a)이 형성되어 있으며, 조정나사(44)가 나사 장착되어 있다. 조정나사(44)의 선단부는 벽면(W)에 맞닿아져 있다. 이에 따라 풍압에 의해 솔라패널(3)이 벽면(W)을 향해서 가압됐을 때에 플레이트(43) 및 조정나사(44)에 의해 커넥터 본체(41)가 벽면(W)에 지지되어서 런너(2)와 커넥터본체(41)의 접속부에 작용하는 하중이 완화되게 된다. 또한 조정나사(44)를 회전시킴으로써 플레이트(43)와 벽면(W) 간격에 맞춰서 조정나사(44)의 플레이트(43)로부터의 돌출량을 조정할 수 있다.
이어서 솔라패널(3)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5의 (a)는 솔라패널의 상변 부근의 확대 단면도이며, (b)는 (a)의 Ⅲ-Ⅲ선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1, 도5에서와 같이 솔라패널(3)은 벽면(W)을 피복하여 장식하면서 발전을 행하는 외장재로, 태양전지소자(31)와, 태양전지소자(31)의 주위에 설치된 프레임부재(32)와, 태양전지소자(31)로 발전된 전력을 출력하기 위한 패널측 커넥터(5)를 주로 구비한다.
태양전지소자(31)는 받아들인 빛을 전력으로 변환하는 패널 모양의 장치이다. 태양전지소자(31)는 케이블(31a)을 통해서 패널측 커넥터(5)에 접속된다.
프레임부재(32)는 도1에서와 같이 태양전지소자(31)의 주위를 유지하는 사각 틀 형상의 금속제 부재이다. 프레임부재(32)는 도1 및 도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네 개의 프레임편(34)과,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네 개의 연결편(35)을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네 개의 프레임편(34) 중, 태양전지소자(31)의 상연부에 설치되는 프레임편(34)을 예로 설명한다.
프레임편(34)은 도5(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태양전지소자(31)의 가장자리부에 결합하는 홈부(341)와, 연결편(35)에 결합하는 결합부(342)와, 런너(2)의 상측 계합부(23)에 결합하는 상측 피계합부가 되는 돌출부(343)를 갖는다. 프레임편(34)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재나 스테인레이스재를 압출 성형하여서 제조한 부재이다. 도5(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편(34)의 길이방향으로 단부(34a)는 45도로 경사져 잘라 내어진다.
홈부(341)는 도5(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벽(341a)과, 앞벽(341a)의 상단부에서 벽면(W)측으로 연장되는 상벽(341b)과, 상벽(341b)의 벽면(W)측의 단부에서 비스듬히 하방으로 연장되는 후벽(341c)에 의해 하향으로(태양전지소자(31)을 향하여) 개구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결합부(342)는 후벽(341c)의 하단부에서 벽면(W)측으로 연장되는 상벽(342a)와, 상벽(342a)의 태양전지소자(31)측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앞벽(342b)과, 앞벽(342a)의 벽면(W)측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후벽(342c)과, 앞벽(342b)의 하단부에서 벽면(W)측으로 연장되는 반환부(342d)와, 후벽(342c)의 하단부에서 태양전지소자(31)측으로 연장되는 반환부(342e)와, 반환부(342d,342e) 사이에 형성된 슬릿(342f)을 구비한다. 결합부(324)의 길이방향의 단부에는 후술되는 연결편(35)이 삽입된다.
돌출부(343)는 결합부(342)의 상벽(342a)의 벽면(W)측의 단부에서 상방으로 일어서는 벽 형상 부분이다.
연결편(35)은 도5(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편(34)들을 직각으로 접속하는 부재이며, 측면에서 보아 L자형상을 나타낸다. 연결편(35)은 프레임편(34)의 결합부(342)와 대략 동등한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며, 결합부(342)에 압입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프레임편(34)을 태양전지소자(31)의 사방으로 배치하여서 연결편(35)에 의해 프레임편(34)들을 직각으로 연결함으로써 사각틀 모양의 프레임부재(32)가 형성된다. 또한 각 프레임편(34)의 홈부(341)에 태양전지소자(31)의 각 가장자리부가 끼워넣어져 고정된다. 이에 의해 솔라패널(3)이 구성되게 된다.
또한, 태양전지소자(31)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설치된 프레임편(34)의 돌출부(343)에 의해 솔라패널(3)의 상측 피계합부(36)가 구성되며, 태양전지소자(31)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설치된 프레임편(34)의 돌출부(343)에 의해 솔라패널(3)의 하측 피결합부(37)가 구성되게 된다.
도6은 패널측 커넥터의 구조도로, (a)는 벽면측에서 본 측면도, (b)는 (a)의 Ⅳ-Ⅳ선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널측 커넥터(5)는 수지제의 커넥터본체(51)와, 런너측 커넥터(4)와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자(52)와, 접속단자(52)의 주위를 둘러싸는 제1씰부재(53)와, 제1씰부재(53)의 상방에 설치된 제2씰부재(54)를 구비한다.
커넥터본체(51)는 접속단자(52)를 수용하는 상자모양의 수지제 부재이며, 그 상단부의 양측에는 상측의 프레임편(34)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돌출하는 플랜지부(51a)를 갖는다. 플랜지부(51a)에는 볼트(B)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홀이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본체(51)는 나사홀을 형성한 플레이트(51b)를 상측의 프레임편(34)의 결합부(342)에 설치하여 플랜지부(51a)의 관통홀에 삽입 관통된 볼트(B)를 플레이트(51b)의 나사홀에 나사 장착함으로써 상측의 프레임편(34)의 하방에 고정되어 있다.
접속단자(52)의 일단측(52a)은 커넥터본체(51)의 벽면(W)측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패널측 커넥터(5)를 런너측 커넥터(4)에 접속했을 때에 런너측 커넥터(4)의 접속단자(42)에 접속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접속단자(52)의 타단측(52b)은 커넥터본체(51)의 하면에서 돌출되어 태양전지소자(31)의 출력 케이블에 접속된다.
또 커넥터 본체(51)의 벽면(W)측의 측면에는 사각 통모양의 둘레벽(51c)이 형성되어 있어 접속단자(52)의 일단측(52a)을 둘러싸고 있다. 둘레벽(51c)은 패널측 커넥터(5)를 런너측 커넥터(4)에 접속했을 때에 오목부(41b)로 끼워 넣어진다.
제1씰부재(53)는 예를 들면 고무 등으로 형성된 고리모양의 탄성부재이며, 커넥터 본체(51)의 벽면((W)측의 측면에 접속단자(52)의 주위(보다 상세하게는 둘레벽(51c)의 주위)를 에워싸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1씰부재(53)는 패널측 커넥터(5)를 런너측 커넥터(4)에 접속했을 때에 런너측 커넥터(4)에 맞닿아 양자의 간극을 밀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씰부재(54)는 예를 들면 고무 등으로 형성된 선상의 탄성부재이며, 커넥터본체(51)의 벽면(W)측의 측면으로서 제1씰부재(53)의 상방에 설치된다. 제2씰부재(54)는 패널측 커넥터(5)를 런너측 커넥터(4)에 접속했을 때에 런너측 커넥터(4)에 맞닿아서 양자의 간극을 밀봉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제2씰부재(54)는 도6(a)에서와 같이 중앙부(54a)에서 양단부(54b)를 향할수록 제1씰부재(53)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 그 때문에 제2씰부재(54)상에 도달된 빗물을 제2씰부재(54)의 양단부로부터 배출할 수 있어서 제1씰부재(53)에 빗물이 도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어서 도7을 참조하여 솔라패널(3)이 옆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기구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7(a)는 상측 계합부 부근의 확대단면도이며, (b)는 상측 계합부 부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7(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계합부(23)의 오목홈(23b)의 내부에는 원통모양의 돌기부재(23c)가 배치되어 있다. 돌기부재(23c)의 중공부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측 계합부(23)의 벽면(W)측의 돌출부(23a)에는 관통홀(23d)이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재(23c)는, 관통홀(23d)에 삽입 통과된 나사(23e)를 중공부의 암나사에 나사 장착시킴으로써 오목홈(23b)의 내부에 고정된다.
한편, 솔라패널(3)의 상측 피계합부(36)를 구성하는 프레임편(34)의 돌출부(343)는 오목홈(23b)의 내부에 고정된 돌기부재(23c)에 대응하는 위치에 절결부(343a)를 갖는다. 이에 의해 회동부(22)를 하향으로(솔라패널3을 향하여) 회동시켜서 상측 계합부(23)를 상측 피계합부인 돌출부(343)에 결합시켰을 때에 돌기부재(23c)가 절결부(343a)로 끼어넣어지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외장재설치구조(1)는 기본적으로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것이며, 이어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외장재설치구조(1)의 조립방법과 작용효과에 관해 도1 내지 도7을 참조하여서 설명한다.
우선, 런너(2)를 제조하는 공장에서 런너(2)의 하측의 소정부위에 복수의 런너측 커넥터(4)(도2,도4참조)를 설치하면서 런너(2)의 중공부(25)에 집전선(6)을 배치하고, 집전선(6)을 통하여 복수의 런너측 커넥터(4)를 직렬로 접속한다. 이때, 런너(2)의 중공부(25)는 회동부(22)를 상방으로 회동시킴으로써 길이방향으로 넓게 개방되기 때문에 런너측 커넥터(4)와 집전선(6)의 접속이나, 집전선(6)의 중공부(25)로의 배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집전선(6)이 중공부(25)에 배치되기 때문에 집전선(6)과 런너측 커넥터(4)의 접속부위의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런너측 커넥터(4) 및 집전선(6)의 설치작업은 공장에서 행하는 경우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시공현장에서 이루어져도 된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이 당연하다.
이어서 도2에서 나타내는 빌딩(BD)의 벽면(W)에 서로 상하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한 쌍의 런너(2)를 설치한다. 이때, 런너(2)의 설치 개소에 대응하는 부분에 미리 파스너(7)를 설치한다. 또한 파스너(7)는 도3에서와 같이 브래킷(72)의 수평편(72b)이 수평이 되도록 조정용 와셔(73)의 볼록 곡면(73a)에 대해서 브래킷(72)의 오목 곡면(72c)을 벗어나게 조정한다. 또한 런너(2)의 걸림홈(21k)에 파스너(7)를 체결하기 위한 볼트(B)를 미리 설치한다. 이에 의해 런너(2)를 벽면(W)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어서 도2, 도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런너(2) 중, 하측 유지부재가 되는 하측의 런너(2)의 하측 계합부(24)의 오목홈(24b)에 솔라패널(3)의 하측 피계합부(37)가 되는 돌출부(343)(도5참조)를 삽입한다. 이에 의해 솔라패널(3)은 하측 유지부재가 되는 런너(2)에 의해 하측에서 지지되게 된다.
이때, 한 쌍의 런너(2) 중, 하측 유지부재가 되는 상측의 런너(2)의 회동부(22)를 상향으로 회동시켜두면, 솔라패널(3)의 상변이 상측의 런너(2)에 맞닿는 일이 없다. 그 때문에 하측의 런너(2)의 하측 계합부(24)와 솔라패널(3)의 하측 피계합부(37)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2, 도4, 도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솔라패널(3)의 패널측 커넥터(5)를 런너(2)의 런너측 커넥터(4)로 밀어붙이도록 하여서 둘레벽(51c)을 오목부(41b)로 삽입하면서 접속단자(52)를 접속단자(42)에 접속한다.
이때, 상측의 런너(2)의 회동부(22)는 상향으로 회동하여 있기 때문에, 패널측 커넥터(5)와 런너측 커넥터(4)의 접속을 눈으로 확인하면서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패널측 커넥터(5)의 벽면(W)측의 측면에 설치된 제1씰부재(53) 및 제2씰부재(54)가 런너측 커넥터(4)에 꽉 눌려서 접속단자(52,42)의 주위가 밀봉되게 된다.
이어서 도2, 도3에서와 같이 상측의 런너(2)의 회동부(22)를 하향으로 회동시킴에 따라서 상측 계합부(23)의 오목홈(23b)에 상측 피계합부(36)를 구성하는 돌출부(343)(도5참조)를 끼워 넣는다. 이에 의해 솔라패널(3)은 상측 유지부재가 되는 런너(2)에 의해 상측에서 지지되게 된다. 그 때문에 지진 등에 의해 솔라패널(3)에 상향의 하중이 작용했을 경우에도 솔라패널(3)이 상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억제되어 런너(2)로부터 벗어나기 힘들어진다.
또한 상측의 런너(2)의 회동부(22)를 하향으로 회동시켜서 상측 계합부(23)의 오목홈(23b)에 상측 피계합부(36)를 구성하는 돌출부(343)(도5참조)를 끼워넣을 때에 솔라패널(3)이 런너(2)에 대해서 제1씰부재(53) 및 제2씰부재(54)의 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7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의 런너(2)의 회동부(22)를 하향으로 회동시켜서 상측 계합부(23)의 오목홈(23b)에 상측 피계합부(36)를 구성하는 돌출부(343)(도5참조)를 끼워넣으면 오목홈(23b)내에 설치된 돌기부재(23c)가 돌출부(343)에 설치된 절결부(343a)에 삽입되게 된다. 이에 의해 상측 유지부재가 되는 상측의 런너(2)에 대해서 솔라패널(3)이 런너(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지진 등에 의해 솔라패널(3)에 수평방향의 하중이 작용했을 경우에 상측 유지부재가 되는 상측의 런너(2)에 대해서 솔라패널(3)이 이동하지 못하기 때문에, 패널측 커넥터(5)와 런너측 커넥터(4)의 접속부위에 큰 하중이 작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패널측 커넥터(5) 및 런너측 커넥터(4)의 탈락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솔라패널(3)은 하측 유지부재가 되는 하측의 런너(2)에 대해서 런너(2)의 길이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가능(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서 예를 들면 지진 등에 의해 솔라패널(3)에 수평방향의 하중이 작용했을 경우에 하측의 런너(2)에 대해서 솔라패널(3)이 상대 이동함으로써 지진의 힘을 놓쳐서 각 부재들의 연결부위에 작용하는 하중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솔라패널(3)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서 복수의 솔라패널(3)을 수평방향으로 인접해 배치함으로써 일단면의 외장재 설치구조(1)가 완성된다.
또한 상측 유지부재가 되는 상측의 런너(2)는 하측 계합부(24)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해당 런너(2)를 하측 유지부재로 간주하여 런너(2)의 상측에 다른 솔라패널(3)을 더 설치하여서 2단, 3단의 외장재 설치구조(1)를 차례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런너(2)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솔라패널(3)들의 간극에 대응하는 위치에 발판이음재(8)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21p)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런너(2) 및 파스너(7)를 통하여 발판이음재(8)를 벽면(W)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장재로서 솔라패널(3)을 이용하였는데, 태양전지소자를 갖지 않는 외장재를 벽면(W)에 설치하는 경우에 적용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런너(2)의 회동부(22)를 하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외장재를 상측에서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런너(2)는 상측 계합부(23) 및 하측 계합부(24) 양쪽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예를 들면 외장재설치구조(1)를 1단만 설치하는 경우에는 솔라패널(3)의 하측에 설치하는 런너(2)(청구의 범위에서의 「하측 유지부재」에 상당한다)에는 상측 계합부(23)를 설치할 필요는 없고, 또한 솔라패널(3)의 상측에 설치하는 런너(2)(청구의 범위에서의 「상측 유지부재」에 상당한다)에는 하측 계합부(24)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런너(2)의 상측 계합부(23) 및 하측 계합부(24)로서 오목홈(23b,24b)를 설치하고, 솔라패널(3)의 상측 피계합부(36) 및 하측 피계합부(37)로서 돌출부(343)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였는데, 런너(2)의 상측 계합부(23) 및 하측 계합부(24)를 돌출 형상으로 구성하고, 솔라패널(3)의 상측 피계합부(36) 및 하측 피계합부(37)를 오목홈 형상으로 구성해도 된다.
1; 외장재 설치구조
2; 런너
21; 고정부
22; 회동부
23; 상측 계합부
23b; 오목홈
23c; 돌기부재
24; 하측 계합부
24b; 오목홈
25; 중공부
3; 솔라패널
31; 태양전지소자
32; 프레임부재
34; 프레임편
341; 홈부
342; 결합부
343; 돌출부
35; 연결편
36; 상측 피계합부
37; 하측 피계합부
4; 런너측 커넥터
42; 접속단자
5; 패널측 커넥터
52; 접속단자
53; 제1씰부재
54; 제2씰부재
6; 집전선
7; 파스너
8; 발판이음재
W; 벽면

Claims (9)

  1. 복수의 외장재와,
    건물의 벽면에 고정되어, 상기 복수의 외장재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하측 유지부재와,
    상기 건물의 벽면에 고정되어, 상기 복수의 외장재를 상측에서 지지하는 상측 유지부재를 구비하는 외장재 설치구조로서,
    상기 상측 유지부재는
    상기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기단측이 상기 고정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를 하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외장재에 계합하고, 상기 회동부를 상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외장재로부터 이탈하는 상측 계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재 설치구조.
  2.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유지부재는 상기 외장재에 결합하는 하측 계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 외장재는 상기 상측 계합부에 계합하는 상측 피계합부와, 상기 하측 계합부에 결합하는 하측 피계합부를 갖으며,
    상기 상측 계합부 및 상기 상측 피계합부 중 한쪽에는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측 계합부 및 상측 피계합부 중 다른 쪽에는 상기 오목홈에 결합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측 계합부 및 상기 하측 피계합부 중 한쪽에는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측 계합부 및 하측 피계합부 중 다른 쪽에는 상기 오목홈에 결합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재 설치 구조.
  3. 상기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계합부 및 상측 피계합부 중 한쪽에 형성된 상기 오목홈 내부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측 계합부 및 상측 피계합부 중 다른 쪽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돌기와 끼워 맞추어지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재 설치 구조.
  4. 상기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유지부재는 상기 회동부의 선단측에 해당 상측 유지부재의 상방에 설치되는 다른 복수의 외장재에 계합하는 하측 계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재 설치구조.
  5. 상기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외장재는 서로 간극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상측 유지부재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외장재들 사이 간극에 대응하는 위치에 발판이음재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재 설치 구조.
  6. 상기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는 태양전지소자를 갖는 솔라패널이며, 상기 상측 유지부재는 상기 고정부에 장착되며, 상기 복수의 솔라패널에 각각 접속하는 복수의 유지부재측 커텍터와, 상기 복수의 유지부재측 커넥터들을 접속하는 집전선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재 설치구조.
  7. 상기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유지부재는 하향으로 회동한 상기 회동부와 상기 고정부의 의해 둘러싸이는 중공부를 갖으며, 상기 중공부에 상기 집전선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재 설치구조.
  8. 상기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솔라패널은 상기 유지부재측 커넥터에 접속하는 패널측 커넥터를 구비하며,
    상기 유지부재측 커넥터 및 상기 패널측 커넥터는 서로 접속하는 접속단자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유지부재측 커넥터 및 상기 패널측 커넥터 중 한쪽은 상기 접속단자의 주위를 둘러싸고, 상기 유지부재측 커넥터 및 상기 패널측 커넥터중 다른 쪽에 맞닿는 제1씰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재 설치구조.
  9. 상기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재측 커넥터 및 상기 패널측 커넥터 중 한쪽은 상기 제1씰부재의 상방에 연장되며, 상기 유지부재측 커넥터 및 상기 패널측 커넥터 중 다른 쪽에 맞닿는 제2씰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씰부재는 중앙부에서 양단부를 향할수록 상기 제1씰부재에 가까워지도록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재 설치구조.
KR1020107029628A 2010-01-15 2010-09-21 외장재 설치 구조 KR201201075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07044 2010-01-15
JP2010007044A JP5566706B2 (ja) 2010-01-15 2010-01-15 外装材設置構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539A true KR20120107539A (ko) 2012-10-04

Family

ID=42253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9628A KR20120107539A (ko) 2010-01-15 2010-09-21 외장재 설치 구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336264B2 (ko)
EP (1) EP2525017A4 (ko)
JP (1) JP5566706B2 (ko)
KR (1) KR20120107539A (ko)
CN (1) CN102257227A (ko)
TW (1) TW201124599A (ko)
WO (1) WO201108672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8689A (ko) * 2020-08-07 2022-02-15 현대건설주식회사 클립형 태양광 모듈 지지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85042A1 (en) * 2005-11-14 2012-04-12 Macdonald Robert B Wall Panel Systems for Rigid Wall Panels
US8690110B2 (en) * 2009-05-25 2014-04-08 Solaredge Technologies Ltd. Bracket for connection of a junction box to photovoltaic panels
KR100971502B1 (ko) * 2009-09-15 2010-07-21 (주)아성삼디프로젝트 태양광 집광 장치
US8806826B2 (en) 2010-07-09 2014-08-19 Matthew Mann Locking panel veneer system
US9267295B2 (en) * 2010-07-09 2016-02-23 Matthew Mann Suspension rails for panel veneer systems
US8997423B2 (en) 2010-07-09 2015-04-07 Matthew Mann Panel veneer system with cage-type embedded rail
JP2012043989A (ja) * 2010-08-19 2012-03-01 Kikukawa Kogyo Kk 太陽光発電パネル用コネクタ構造
JP2012162935A (ja) * 2011-02-08 2012-08-30 Toyota Home Kk 建物
US9093584B2 (en) 2011-06-03 2015-07-28 Kyocera Corporation Solar cell array
EP2551421B1 (en) * 2011-07-26 2016-07-06 Cappello Alluminio S.r.l. A photovoltaic module which can be installed on a vertical and/or inclined wall
JP5827071B2 (ja) * 2011-08-17 2015-12-02 株式会社エクソル 屋根又は壁一体型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太陽電池アレイの施工方法
US8984838B2 (en) * 2011-11-09 2015-03-24 Robert B. Bordener Kit and assembly for compensating for coefficients of thermal expansion of decorative mounted panels
US20130205695A1 (en) * 2011-12-07 2013-08-15 Brian Geofrey Newell Access
JP5869331B2 (ja) * 2011-12-09 2016-02-24 アーキヤマデ株式会社 ソーラパネル取付方法
GB2497796A (en) * 2011-12-21 2013-06-26 Hardie James Technology Ltd Thermally Efficient Façade
US8931231B2 (en) * 2012-01-12 2015-01-13 Eps Specialties Ltd., Inc. Panel mounting system with removable security cleat
US8898968B2 (en) * 2012-07-09 2014-12-02 Alexander Freimark Keller Solar power unit and system
EP2917427A4 (en) * 2012-11-06 2016-07-27 Simon Day PANEL ARRANGEMENT
KR20140082900A (ko) * 2012-12-24 2014-07-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장치
JP6190613B2 (ja) * 2013-04-11 2017-08-30 ケーファクトリー株式会社 ソーラーパネルの取付構造
US20140318605A1 (en) * 2013-04-30 2014-10-30 Northern States Metals Company Panel rack support and protective system for stacking
US8898975B2 (en) * 2013-05-02 2014-12-02 Che-An Tsai Dry-hang wall panel using a thin stone slab
US8938932B1 (en) * 2013-12-13 2015-01-27 Quality Product Llc Rail-less roof mounting system
US9631373B2 (en) 2014-05-29 2017-04-25 Stephen N. Loyd Irrevocable Family Trust Curtain wall system and method
US10938337B1 (en) 2015-09-26 2021-03-02 Thomas E. Carleton System for guidance and deployment of active panels on building walls
WO2017073576A1 (ja) 2015-10-27 2017-05-04 株式会社カネカ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取付構造、並びに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取付方法
JP6905936B2 (ja) 2015-11-13 2021-07-21 株式会社カネカ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敷設構造、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設置方法
US10907362B2 (en) 2016-05-18 2021-02-02 Stephen N. Loyd Irrevocable Family Trust Clip for curtain wall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for installation
AU2017268709B2 (en) * 2016-05-25 2022-12-01 Lee, Duane A cladding assembly
US9903570B2 (en) 2016-07-22 2018-02-27 Kristin Snowden Decorative paneling assembly
JP2018033285A (ja) * 2016-08-26 2018-03-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連結部材、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CN106639119B (zh) * 2016-11-01 2022-03-15 苏州美瑞德建筑装饰有限公司 大规格异型纤维石膏造型吊顶安装结构
CN106788151A (zh) * 2016-11-11 2017-05-31 深圳建溢宝电子有限公司 太阳能屋顶发电装置
JP7203502B2 (ja) * 2018-03-20 2023-01-13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外装材の取付け構造と取付け方法
DE102019107926A1 (de) * 2019-03-27 2020-10-01 Mathias Beyersdorffer Befestigungssystem für ein Hybridsolarmodulsystem sowie Hybridsolarmodulsystem und Befestigungsverfahren
CN110206261B (zh) * 2019-05-23 2024-03-26 苏州金螳螂建筑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装配式隔断***
BE1027826B1 (nl) * 2019-12-05 2021-07-06 Helios Trading Nv Profiel voor het vastzetten van een zonnepaneel
JP7363436B2 (ja) * 2019-12-06 2023-10-18 積水ハウス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建物並びに太陽電池モジュール取付方法
JP7352180B2 (ja) * 2020-01-29 2023-09-28 積水ハウス株式会社 建材の保持構造
CN111749409A (zh) * 2020-08-04 2020-10-09 南京至美畅和科技会展股份有限公司 一种嵌入式装饰墙体
US11536023B2 (en) 2020-10-23 2022-12-27 Stephen N. Loyd Irrevocable Family Trust Panel installation system and method
CN112854523A (zh) * 2021-03-24 2021-05-28 湖北惠森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外墙承重板连接结构
JP7108954B1 (ja) * 2021-08-18 2022-07-29 ドヨン キム 建築物仕上げ材用太陽光モジュール組立体
CN115110662B (zh) * 2022-07-19 2023-11-17 赖芳 一种光伏装配式外墙结构
EP4312363A1 (en) * 2022-07-29 2024-01-31 Stoa Ood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photovoltaic panels to a building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58123A (en) 1976-11-06 1978-05-25 Kinsho Kagaku Method of forming and executing decorated wall surface for building and facing wall plate
US4483122A (en) * 1979-08-09 1984-11-20 Ppg Industries, Inc. Replacement panel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in a curtainwall
JPS601808U (ja) * 1983-06-20 1985-01-09 神鋼ノ−ス株式会社 建物の外壁支持構造
JPH0739248Y2 (ja) 1986-07-30 1995-09-06 三洋電機株式会社 太陽電池の壁面敷設構造
JPH0241210A (ja) 1988-08-01 1990-02-09 Calp Corp 高機能複合材料及びその成形品
JP2558865B2 (ja) * 1989-03-01 1996-11-27 鹿島建設株式会社 平板の取付け方法
SE505797C2 (sv) * 1991-12-30 1997-10-13 Nils Gunnar Jansson Anordning för uppsättande av fasadelement av glas
JPH0739248A (ja) 1993-07-28 1995-02-10 Kiyomitsu Inoue ササクレヒトヨタケの栽培方法
JPH07119275A (ja) 1993-10-20 1995-05-09 Tateyama Alum Ind Co Ltd タイル壁構築装置
US6170214B1 (en) * 1998-06-09 2001-01-09 Kenneth Treister Cladding system
US6098364A (en) * 1998-07-01 2000-08-08 Liu; Hsin-Chin Prefabricated outer wall structure with stress rupture resistance
WO2002004761A1 (fr) * 2000-07-12 2002-01-17 Kaneka Corporation Module de batterie solaire, structure d'installation pour module de batterie solaire, toit a fonction de production d'energie de la structure d'installation et procede d'installation d'un module de batterie solaire
CN2503141Y (zh) * 2001-10-01 2002-07-31 江苏省建伟幕墙装饰工程有限公司 建筑外金属环抱帷幕墙单元板片与***主体结构之外连接结构
CN1152180C (zh) * 2001-10-01 2004-06-02 江苏省建伟幕墙装饰工程有限公司 建筑外金属环抱帷幕墙单元板片与***主体结构之外连接技术
ATE443188T1 (de) * 2002-02-14 2009-10-15 Eurogramco Sl Verkleidungssystem für fassaden von bauwerken
US8051623B2 (en) * 2004-04-26 2011-11-08 Stephen N. Loyd Irrevocable Family Trust Curtain wall system and method
US20050246983A1 (en) * 2004-04-26 2005-11-10 Loyd Stephen N Curtain wall system and method
US7472521B2 (en) * 2006-12-24 2009-01-06 Bilge Henry H System for mounting wall panels to a wall structure
CA2716222A1 (en) * 2007-02-19 2008-08-28 Dmytro Lysyuk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cladding to structur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8689A (ko) * 2020-08-07 2022-02-15 현대건설주식회사 클립형 태양광 모듈 지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86729A1 (ja) 2011-07-21
US8336264B2 (en) 2012-12-25
EP2525017A1 (en) 2012-11-21
CN102257227A (zh) 2011-11-23
JP5566706B2 (ja) 2014-08-06
EP2525017A4 (en) 2014-08-27
US20110283635A1 (en) 2011-11-24
TW201124599A (en) 2011-07-16
JP2010090701A (ja) 201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07539A (ko) 외장재 설치 구조
US8495839B2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solar cell module
JP4684874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枠体
AU2007355014B2 (en) Fixing structure of solar battery module, frame for the solar battery module, and fixing member
JP6686250B2 (ja) 締結具組立体
JP4465406B1 (ja) 連結部材
CN102282326B (zh) 太阳电池组件的固定构造、太阳电池组件用的框架及固定构件
EP2518235A1 (en) Auxiliary members
JP4041805B2 (ja) 屋根パネルを用いた外装構造
JPH112004A (ja) パネル構造体固定用の架台及びパネル構造体の集合施工方法
JP5404354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水切り構造
WO2014076954A1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群
WO2014076956A1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群
JP7018845B2 (ja) ボルトクリ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アレイ
JP4448190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固定部材
KR101421808B1 (ko) 태양광 모듈 설치를 위한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모듈 설치 구조
JP6050604B2 (ja) 軒先カバー取付機構及びこれに用いる軒先カバー
JP5227371B2 (ja) 手摺
JP4724235B2 (ja) 太陽電池パネル
JP2012043989A (ja) 太陽光発電パネル用コネクタ構造
JP2006120959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装置
JP5701276B2 (ja) 屋根材型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取付構造
JP7369043B2 (ja) 太陽電池取付構造
JP6707086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の設置構造
JP5530502B2 (ja) 瓦棒葺屋根用支持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