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4846A -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4846A
KR20120104846A KR1020110022499A KR20110022499A KR20120104846A KR 20120104846 A KR20120104846 A KR 20120104846A KR 1020110022499 A KR1020110022499 A KR 1020110022499A KR 20110022499 A KR20110022499 A KR 20110022499A KR 20120104846 A KR20120104846 A KR 20120104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nductive layer
semiconductor
semiconductor layer
semiconductor wa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24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정현
Original Assignee
주성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주성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10022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4846A/en
Publication of KR20120104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484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01L31/022408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2425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4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 H01L31/03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crystalline structure or particular orientation of the crystalline planes
    • H01L31/0392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crystalline structure or particular orientation of the crystalline planes including thin films deposited on metallic or insulating substrates ; characterised by specific substrate materials or substrate features or by the presence of intermediate layers, e.g. barrier layers, on the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characterised by potential barriers
    • H01L31/06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characterised by potential barriers the potential barriers being only of the PN homojunction type, e.g. bulk silicon PN homojunction solar cells or thin film polycrystalline silicon PN homojunction solar cells
    • H01L31/068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characterised by potential barriers the potential barriers being only of the PN homojunction type, e.g. bulk silicon PN homojunction solar cells or thin film polycrystalline silicon PN homojunction solar cells double emitter cells, e.g. bifacial so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7Monocrystalline silicon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solar battery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not form a separating unit in a semiconductor wafer and an edge unit for preventing a short. CONSTITUTION: A first conductive layer(300) is formed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 first electrode(400) is formed 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miconductor wafer.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has different polarity with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 second conductive layer(600) is formed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 second electrode(700) is formed 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are formed in order not to contact each other in a side of the semiconductor wafer.

Description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태양전지(Solar Cell)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판형 태양전지와 박막형 태양전지를 조합한 태양전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ar cel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lar cell in which a substrate-type solar cell and a thin film-type solar cell are combined.

태양전지는 반도체의 성질을 이용하여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이다. Solar cells are devices that convert light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using the properties of semiconductors.

태양전지는 P(positive)형 반도체와 N(negative)형 반도체를 접합시킨 PN접합 구조를 하고 있으며, 이러한 구조의 태양전지에 태양광이 입사되면, 입사된 태양광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에 의해 상기 반도체 내에서 정공(hole) 및 전자(electron)가 발생하고, 이때, PN접합에서 발생한 전기장에 의해서 상기 정공(+)은 P형 반도체쪽으로 이동하고 상기 전자(-)는 N형 반도체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전위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전력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The solar cell has a PN junction structure in which a P (positive) type semiconductor and an N (negative) type semiconductor are bonded together. Holes and electrons are generated therein. At this time, the holes (+) move toward the P-type semiconductor and the electrons (-) move toward the N-type semiconductor due to the electric field generated in the PN junction. Can be generated to produce power.

이와 같은 태양전지는 일반적으로 기판형 태양전지와 박막형 태양전지로 구분할 수 있다. Such solar cells are generally classified into substrate type solar cells and thin film type solar cells.

상기 기판형 태양전지는 실리콘과 같은 반도체물질 자체를 기판으로 이용하여 태양전지를 제조한 것이고, 상기 박막형 태양전지는 유리 등과 같은 기판 상에 박막의 형태로 반도체를 형성하여 태양전지를 제조한 것이다. The substrate type solar cell is a solar cell manufactured using a semiconductor material such as silicon as a substrate, and the thin film type solar cell is a solar cell manufactured by forming a semiconductor in the form of a thin film on a substrate such as glass.

상기 기판형 태양전지는 상기 박막형 태양전지에 비하여 효율이 다소 우수한 장점이 있고, 상기 박막형 태양전지는 상기 기판형 태양전지에 비하여 제조비용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The substrate-type solar cell has an advantage that the efficiency is somewhat superior to the thin-film solar cell, the thin-film solar cell has the advantage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compared to the substrate-type solar cell.

이에, 상기 기판형 태양전지와 박막형 태양전지를 조합한 태양전지가 제안된 바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종래의 태양전지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Thus, a solar cell combining the substrate type solar cell and the thin film type solar cell has been proposed. Hereinafter, a conventional solar cel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기판형 태양전지와 박막형 태양전지를 조합한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 which a substrate type solar cell and a thin film type solar cell are combined.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는, 반도체 웨이퍼(10), 제1 반도체층(20), 제1 전극(40), 제2 반도체층(50), 및 제2 전극(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can be seen in Figure 1, the solar cell according to a conventional embodiment, the semiconductor wafer 10,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 the first electrode 40,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 and the second It comprises an electrode 70.

상기 제1 반도체층(20)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의 상면에 박막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반도체층(50)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의 하면에 박막 형태로 형성되며, 이와 같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 제1 반도체층(20), 및 제2 반도체층(50)의 조합에 의해 PN접합구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 is formed in the form of a thin fil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 is formed in the form of a thin film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 such as The PN junction structure is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

상기 제1 전극(40)은 상기 제1 반도체층(20)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전극(70)은 상기 제2 반도체층(50) 상에 형성되어, 각각 태양전지의 (+)전극 또는 (-)전극을 이루게 된다. The first electrode 40 is formed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 and the second electrode 70 is formed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 and each of the (+) electrodes of the solar cell. Or (-) electrode.

이와 같은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에 태양광이 입사되면 상기 반도체 웨이퍼(10)에서 정공(hole) 또는 전자(electron)와 같은 캐리어(carrier)가 생성되고, 이와 같은 캐리어는 상기 제1 반도체층(20)을 경유하여 상기 제1 전극(40)으로 이동함과 더불어 상기 제2 반도체층(50)을 경유하여 상기 제2 전극(70)으로 이동하게 된다. When sunlight is incident on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 carrier such as a hole or an electron is generated in the semiconductor wafer 10, and the carrier is the first carrier. The first electrode 40 is moved through the semiconductor layer 20, and the second electrode 70 is moved through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는 상기 반도체 웨이퍼(10)에서 생성된 정공 또는 전자와 같은 캐리어가 상기 제1 전극(40) 또는 제2 전극(70)으로 이동하는 이동성이 떨어져 태양전지의 효율에 한계가 있다. However,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low mobility in which carriers such as holes or electrons generated in the semiconductor wafer 10 move to the first electrode 40 or the second electrode 70. There is a limit to the efficiency of solar cells.

따라서, 상기 반도체 웨이퍼(10)에서 생성된 정공 또는 전자와 같은 캐리어가 상기 제1 전극(40) 또는 제2 전극(70)으로 이동하는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도전층을 추가로 적용한 태양전지가 제안된 바 있다. Therefore, the solar cell to which the conductive layer is further applied to improve the mobility of the carrier such as holes or electrons generated in the semiconductor wafer 10 to the first electrode 40 or the second electrode 70. Has been proposed.

도 2a 내지 도 2g는 기판형 태양전지와 박막형 태양전지를 조합한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개략적인 공정 단면도로서, 이는, 제1 반도체층(20)과 제1 전극(40) 사이 및 제2 반도체층(50)과 제2 전극(70) 사이에 도전층을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캐리어의 이동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2A to 2G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in which a substrate type solar cell and a thin film type solar cell are combined, which is formed betwee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 and the first electrode 40. And by further forming a conductive layer betwee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 and the second electrode 70.

우선, 도 2a에서 알 수 있듯이, 반도체 웨이퍼(10)의 상면에 제1 반도체층(20)을 형성한다. First, as shown in FIG. 2A,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

다음, 도 2b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1 반도체층(20) 상에 제1 도전층(30)을 형성한다. Next, as shown in FIG. 2B, a first conductive layer 30 is formed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

상기 제1 도전층(30)은 스퍼터링법(sputtering)을 이용하여 ITO(Indium Tin Oxide)와 같은 투명한 도전물질로 형성한다.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 is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ndium tin oxide (ITO) by sputtering.

이때, 도 2b에서 알 수 있듯이, 공정 특성상 상기 제1 도전층(30)은 상기 제1 반도체층(20)의 상면 뿐만 아니라 그 측면을 따라 상기 반도체 웨이퍼(10)의 측면에까지 형성된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2B,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 is formed not on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 but also on the sid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 along its side.

다음, 도 2c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1 도전층(30) 상에 제1 전극(40)을 형성한다. Next, as shown in FIG. 2C, a first electrode 40 is formed 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

다음, 도 2d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반도체 웨이퍼(10)의 하면에 제2 반도체층(50)을 형성한다. Next, as shown in FIG. 2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

다음, 도 2e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2 반도체층(50) 상에 제2 도전층(60)을 형성한다. Next, as shown in FIG. 2E, a second conductive layer 60 is formed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

상기 제2 도전층(60)은 스퍼터링법을 이용하여 ITO(Indium Tin Oxide)와 같은 투명한 도전물질로 형성한다.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 is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ndium tin oxide (ITO) by sputtering.

이때, 도 2e에서 알 수 있듯이, 공정 특성상 상기 제2 도전층(60)은 상기 제2 반도체층(50)의 하면 뿐만 아니라 그 측면을 따라 상기 반도체 웨이퍼(10)의 측면에까지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2E,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 is formed not only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 but also on the sid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 along the side surface thereof.

다음, 도 2f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2 도전층(60) 상에 제2 전극(70)을 형성한다. Next, as shown in FIG. 2F, a second electrode 70 is formed 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

다음, 도 2g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1 도전층(30), 제1 반도체층(20) 및 반도체 웨이퍼(10)의 가장자리 영역을 제거하여 분리부(80)를 형성한다. Next, as shown in FIG. 2G, the separation region 80 is formed by removing edge regions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 and the semiconductor wafer 10.

상기 분리부(80)를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제1 도전층(30)과 제2 도전층(60)이 공정 특성상 각각 반도체 웨이퍼(10)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서로 접하게 되어 쇼트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쇼트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The separation part 80 may be formed because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 extend along side surfaces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 due to process characteristics, so that the short may occur. This is to prevent such a short.

그러나, 이와 같이 제1 도전층(30), 제1 반도체층(20) 및 반도체 웨이퍼(10)의 가장자리 영역을 제거하여 분리부(80)를 형성하게 되면, 상기 분리부(80) 영역에서 전자 또는 홀과 같은 캐리어가 트랩(trap)됨으로써 태양전지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when the edge portions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 and the semiconductor wafer 10 are removed to form the separator 80, electrons are formed in the separator 80. Alternative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is lowered by trapping a carrier such as a hole.

또한, 상기 분리부(80)를 형성하기 위해서 레이저 공정이 추가되므로 그만큼 공정이 추가되고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laser process is added to form the separation unit 80,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ocess is added and the cost is increased.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태양전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도전층을 적용하여 캐리어의 이동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제1 및 제2 도전층이 반도체 웨이퍼의 측면에서 서로 접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반도체 웨이퍼의 가장자리 영역에 분리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는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solar cell, 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rrier layer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on the side of the semiconductor wafer while improving the mobility of the carri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olar cel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do not require forming a separate portion in the edge region of a semiconductor wafer.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소정의 전기전도 극성을 갖는 반도체 웨이퍼: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일면 상에 형성된 제1 반도체층; 상기 제1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제1 도전층; 상기 제1 도전층 상에 형성된 제1 전극;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타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상이한 극성을 갖는 제2 반도체층; 상기 제2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제2 도전층; 및 상기 제2 도전층 상에 형성된 제2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제1 도전층 및 제2 도전층 중 어느 하나의 도전층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측면 부위로 연장되어 있지 않고, 상기 제1 도전층 및 제2 도전층 중 나머지 하나의 도전층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측면 부위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도전층과 상기 제2 도전층이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측면 부위에서 서로 접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miconductor wafer having a predetermined conductivity polarity: a first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A first conductive layer formed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 first electrode formed 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and having a different polarity than that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 second conductive layer formed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formed 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wherein any one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does not extend to a sid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The other conductive layer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extends to the sid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and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do not contact each other at the sid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It provides a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측면 부위로 연장되어 있지 않은 도전층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conductive layer that does not extend to the sid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may be formed to have a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semiconductor wafer.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측면 부위로 연장된 도전층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폭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conductive layer extending to the sid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may be formed to have a width larger than that of the semiconductor wafer.

본 발명은 또한, 소정의 전기전도 극성을 갖는 반도체 웨이퍼: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일면 상에 형성된 제1 반도체층; 상기 제1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제1 도전층; 상기 제1 도전층 상에 형성된 제1 전극;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타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상이한 극성을 갖는 제2 반도체층; 상기 제2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제2 도전층; 및 상기 제2 도전층 상에 형성된 제2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제1 도전층과 상기 제2 도전층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측면 부위에서 서로 접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도전층 및 제2 도전층 중 어느 하나의 도전층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폭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emiconductor wafer having a predetermined conductivity polarity: a first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A first conductive layer formed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 first electrode formed 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and having a different polarity than that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 second conductive layer formed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formed 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wherein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are formed not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side portions of the semiconductor wafer. The conductive layer of any one of the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provides a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have a width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emiconductor wafer.

여기서, 상기 제1 도전층 및 제2 도전층 중 어느 하나의 도전층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측면 부위로 연장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Here, the conductive layer of any one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may not extend to the sid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상기 반도체 웨이퍼와 상기 제1 반도체층 사이 및 상기 반도체 웨이퍼와 상기 제2 반도체층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진성 반도체층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An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may be further formed between at least one of the semiconductor wafer and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between the semiconductor wafer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상기 제1 반도체층 및 제2 반도체층 중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층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 상에 형성된 저농도 도핑된 반도체층 및 상기 저농도 도핑된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고농도 도핑된 반도체층으로 이루질 수 이싸. At least one semiconductor layer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may be composed of a lightly doped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the semiconductor wafer and a heavily doped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the lightly doped semiconductor layer.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제1 도전층 사이 및 상기 제2 반도체층과 제2 도전층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반도체 웨이퍼에서 생성된 캐리어의 이동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극성을 띠는 보조층이 추가로 형성되고, 이때, 상기 보조층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에서 생성된 정공을 끌어당길 수 있도록 산소 풍부(oxygen-rich) 산화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극성을 띠는 제1 보조층, 및 상기 반도체 웨이퍼에서 생성된 전자를 끌어당길 수 있도록 산소 부족(oxygen-deficient) 산화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극성을 띠는 제2 보조층 중 적어도 하나의 보조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betwee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has an additional auxiliary layer having a polarity capable of enhancing the mobility of the carrier generated in the semiconductor wafer. Wherein the auxiliary layer comprises a first auxiliary layer having a negative polarity including an oxygen-rich oxide so as to attract holes generated in the semiconductor wafer, and the semiconductor wafer It may include at least one auxiliary layer of the (+) polar second auxiliary layer made of an oxygen-deficient oxide to attract electrons generated in the.

본 발명은 또한, 소정의 전기전도 극성을 갖는 반도체 웨이퍼의 일면 상에 제1 반도체층을 형성하고,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타면 상에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상이한 극성을 갖는 제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제1 반도체층 상에 제1 도전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반도체층 상에 제2 도전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제1 도전층 상에 제1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도전층 상에 제2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제1 도전층 및 제2 도전층 중 어느 하나의 도전층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측면 부위로 연장되지 않고, 상기 제1 도전층 및 제2 도전층 중 나머지 하나의 도전층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측면 부위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도전층과 상기 제2 도전층이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측면 부위에서 서로 접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forming a first semiconductor layer on one surface of a semiconductor wafer having a predetermined electrical conductivity polarity and forming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having a different polarity tha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fair; Forming a first conductive layer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forming a second conductive layer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forming a first electrode 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forming a second electrode 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wherein one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is formed. Does not extend to the side portions of the semiconductor wafer, and the other one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extends to the side portions of the semiconductor wafer, and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 first conductive layer 2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ductive layer is formed so as not to contact each other at the side portions of the semiconductor wafer.

본 발명은 또한, 소정의 전기전도 극성을 갖는 반도체 웨이퍼의 일면 상에 제1 반도체층을 형성하고,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타면 상에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상이한 극성을 갖는 제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제1 반도체층 상에 제1 도전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반도체층 상에 제2 도전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제1 도전층 상에 제1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도전층 상에 제2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제1 도전층과 상기 제2 도전층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측면 부위에서 서로 접하지 않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1 도전층 및 제2 도전층 중 어느 하나의 도전층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폭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forming a first semiconductor layer on one surface of a semiconductor wafer having a predetermined electrical conductivity polarity and forming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having a different polarity tha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fair; Forming a first conductive layer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forming a second conductive layer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forming a first electrode 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forming a second electrode 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wherein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are formed 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Forming so as not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e sid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the conductive layer of any one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is formed to have a width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emiconductor wafer Provide a method.

여기서, 상기 제1 도전층과 제2 도전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하나의 챔버에서 동시에 형성하되, 소정의 트레이 상에 상기 제1 반도체층 및 제2 반도체층이 형성된 반도체 웨이퍼를 위치시킨 후 상기 제1 반도체층 및 상기 제2 반도체층 상에 동시에 증착 공정을 수행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트레이에는 상기 반도체 웨이퍼 보다 작은 크기의 개구부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개구부에 의해서 상기 제1 반도체층 및 제2 반도체층 중 어느 하나의 반도체층의 일면 중앙부가 노출될 수 있다. Here, the step of forming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is formed in the same chamber at the same time, the semiconductor wafer on which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re formed on a predetermined tray and then the And a step of simultaneously depositing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wherein the tray is provided with an opening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semiconductor wafer, and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is formed by the opening. And a central portion of one surface of one of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s may be exposed.

본 발명은 또한, 소정의 전기전도 극성을 갖는 반도체 웨이퍼의 일면 상에 제1 반도체층을 형성하고,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타면 상에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상이한 극성을 갖는 제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제1 반도체층 상에 제1 도전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반도체층 상에 제2 도전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제1 도전층 상에 제1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도전층 상에 제2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제1 도전층 및 제2 도전층은 하나의 챔버에서 형성하되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측면 부위에서 서로 접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forming a first semiconductor layer on one surface of a semiconductor wafer having a predetermined electrical conductivity polarity and forming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having a different polarity tha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fair; Forming a first conductive layer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forming a second conductive layer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forming a first electrode 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forming a second electrode 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wherein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are formed of a single electrode. It is formed in the chamber but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not form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e sid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여기서, 상기 하나의 챔버에서 형성하는 공정은, 소정의 트레이 상에 상기 제1 반도체층 및 제2 반도체층이 형성된 반도체 웨이퍼를 위치시킨 후 상기 제1 반도체층 및 상기 제2 반도체층 상에 동시에 증착 공정을 수행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트레이에는 상기 반도체 웨이퍼 보다 작은 크기의 개구부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개구부에 의해서 상기 제1 반도체층 및 제2 반도체층 중 어느 하나의 반도체층의 일면 중앙부가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착 공정시 상기 제1 반도체층 및 제2 반도체층 중 나머지 하나의 반도체층의 일면 주변부를 가리는 마스크를 추가로 배치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추가로 배치하는 마스크는 상기 트레이와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process of forming in one chamber may be performed by placing a semiconductor wafer on which a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are formed on a predetermined tray, and simultaneously depositing the same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In this case, the tray is provided with an opening of a smaller size than the semiconductor wafer, and the opening has a central portion of one surface of any on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Can be exposed. In addition, during the deposition process, a mask may be further disposed to cover the periphery of one surface of the other semiconductor layer among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wherein the additional mask may have the same pattern as that of the tray. It can be formed as.

상기 제1 도전층 및 제2 도전층 중 어느 하나의 도전층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측면 부위로 연장되지 않고, 상기 제1 도전층 및 제2 도전층 중 나머지 하나의 도전층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측면 부위로 연장될 수 있다. The conductive layer of any one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does not extend to the sid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and the other conductive layer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is the side of the semiconductor wafer. May extend to the site.

상기 제1 도전층 및 제2 도전층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측면 부위로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may not extend to side portions of the semiconductor wafer.

상기 반도체 웨이퍼와 상기 제1 반도체층 사이 및 상기 반도체 웨이퍼와 상기 제2 반도체층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진성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forming an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between at least one of the semiconductor wafer and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between the semiconductor wafer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상기 제1 반도체층 및 제2 반도체층 중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 상에 저농도 도핑된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저농도 도핑된 반도체층 상에 고농도 도핑된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rocess of forming at least one semiconductor layer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may include forming a lightly doped semiconductor layer on the semiconductor wafer and a heavily doped semiconductor layer on the lightly doped semiconductor layer. It may be made of a forming process.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제1 도전층 사이 및 상기 제2 반도체층과 제2 도전층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반도체 웨이퍼에서 생성된 캐리어의 이동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극성을 띠는 보조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고, 이때, 상기 보조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에서 생성된 정공을 끌어당길 수 있도록 산소 풍부(oxygen-rich) 산화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극성을 띠는 제1 보조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반도체 웨이퍼에서 생성된 전자를 끌어당길 수 있도록 산소 부족(oxygen-deficient) 산화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극성을 띠는 제2 보조층을 형성하는 공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Forming an auxiliary layer having a polarity capable of enhancing mobility of carriers generated in the semiconductor wafer between at least on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betwee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In addition, the step of forming the auxiliary layer, wherein the step of forming a negative polarity (oxygen-rich) comprising an oxygen-rich (oxygen-rich) oxide to attract holes generated in the semiconductor wafer At least one of a step of forming an auxiliary layer and a step of forming a second auxiliary layer having a positive polarity including an oxygen-deficient oxide so as to attract electrons generated from the semiconductor wafer; It can be made including one process.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bove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도전층 및 제2 도전층 중 적어도 하나의 도전층은 반도체 웨이퍼의 측면 부위까지 연장되지 않는다. 따라서, 반도체 웨이퍼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도전층과 반도체 웨이퍼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2 도전층이 반도체 웨이퍼의 측면 부위에서 서로 접하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종래와 같이 쇼트 방지를 위해서 반도체 웨이퍼의 가장자리 부위에 분리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conductive layer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does not extend to the sid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Therefore, the first conductive layer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e side portions of the semiconductor wafer. There is no need to form a separator at the edge.

결국, 상기 분리부를 형성하기 위해 공정이 추가되고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해결되고, 또한 상기 분리부에서 캐리어가 트랩되어 태양전지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해결된다. As a result, the problem that the process is added and the cost is increased to form the separator is solved, and the problem that the carrier is trapped in the separator is reduced the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is solved.

도 1은 기판형 태양전지와 박막형 태양전지를 조합한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g는 기판형 태양전지와 박막형 태양전지를 조합한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개략적인 공정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개략적인 공정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개략적인 공정 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개략적인 공정 단면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개략적인 공정 단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도전층과 제2 도전층을 하나의 챔버에서 동시에 형성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개략적인 공정 단면도이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개략적인 공정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 which a substrate type solar cell and a thin film type solar cell are combined.
2A to 2G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in which a substrate type solar cell and a thin film type solar cell are combined.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C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to 8C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A to 9C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A to 10C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A and 11B are perspective and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simultaneously forming a first conductive layer and a second conductive layer in one chamber, respec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A to 14C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A to 15C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태양전지Solar cell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는, 반도체 웨이퍼(100), 제1 반도체층(200), 제1 도전층(300), 제1 전극(400), 제2 반도체층(500), 제2 도전층(600), 및 제2 전극(7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can be seen in Figure 3,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miconductor wafer 100,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the first electrode 400, And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a second conductive layer 600, and a second electrode 700.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는 소정의 전기전도 극성을 갖는다.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는 실리콘 웨이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N형 실리콘 웨이퍼 또는 P형 실리콘 웨이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반도체 웨이퍼(100)는 상기 제1 반도체층(200) 및 상기 제2 반도체층(500) 중 어느 하나의 반도체층과 동일한 극성으로 이루어진다. The semiconductor wafer 100 has a predetermined conductivity polarity. The semiconductor wafer 100 may be made of a silicon wafer, and specifically, may be made of an N-type silicon wafer or a P-type silicon wafer. The semiconductor wafer 100 has the same polarity as that of any on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상기 제1 반도체층(200)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 상에 박막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반도체층(200)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와 함께 PN접합을 형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가 N형 실리콘 웨이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1 반도체층(200)은 P형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반도체층(200)은 붕소(B)와 같은 3족 원소로 도핑된 P형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is formed in the form of a thin fil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may form a PN junction with the semiconductor wafer 100. Therefore, when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s made of an N-type silicon wafer,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may be formed. It may be made of a P-type semiconductor layer. In particular,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may be made of P-type amorphous silicon doped with a Group III element such as boron (B).

일반적으로, 정공의 드리프트 이동도(drift mobility)가 전자의 드리프트 이동도 보다 낮기 때문에 입사광에 의한 정공의 수집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P형 반도체층을 수광면에 가깝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따라서, 수광면에 가까운 상기 제1 반도체층(200)이 P형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In general, since the drift mobility of holes is lower than the drift mobility of electrons, it is preferable to form a P-type semiconductor layer close to the light-receiving surface in order to maximize hole collection efficiency due to incident light.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close to the surface is made of a P-type semiconductor layer.

상기 제1 도전층(300)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에서 생성된 캐리어, 예로서 정공을 수집하고 상기 수집한 캐리어를 상기 제1 전극(400)으로 이동시킨다.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collects carriers, for example, holes, generated in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moves the collected carriers to the first electrode 400.

이와 같은 제1 도전층(300)은 ITO(Indium Tin Oxide), ZnOH, ZnO:B, ZnO:Al, SnO2, SnO2:F 등과 같은 투명한 도전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ndium tin oxide (ITO), ZnOH, ZnO: B, ZnO: Al, SnO 2 , SnO 2 : F, or the like.

상기 제1 도전층(30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퍼터링법(sputtering)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공정 특성상 상기 제1 도전층(300)은 상기 제1 반도체층(200)의 상면 뿐만 아니라 그 측면을 따라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측면에까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도전층(300)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측면 일부 또는 측면 전체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may be formed using a sputtering method as described below. Therefore,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may be formed only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due to process characteristics. Rather, it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long its side. In this case,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may be form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side surface or the entire sid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상기 제1 전극(400)은 상기 제1 도전층(300) 상에 형성되어 태양전지의 맨 전면(前面)을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태양전지 내부로 태양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전극(400)은 소정 형태로 패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electrode 400 is formed 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to form a front surface of the solar cell. Therefore, the first electrode 400 is preferably form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so that sunlight can pass through the solar cell.

상기 제1 전극(400)은 Ag, Al, Ag+Al, Ag+Mg, Ag+Mn, Ag+Sb, Ag+Zn, Ag+Mo, Ag+Ni, Ag+Cu, Ag+Al+Zn 등과 같은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400 may include Ag, Al, Ag + Al, Ag + Mg, Ag + Mn, Ag + Sb, Ag + Zn, Ag + Mo, Ag + Ni, Ag + Cu, Ag + Al + Zn, or the like. The same conductivity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상기 제2 반도체층(500)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면 상에 박막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2 반도체층(500)은 상기 제1 반도체층(200)과 극성이 상이하게 형성되는데, 상기 제1 반도체층(200)이 붕소(B)와 같은 3족 원소로 도핑된 P형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2 반도체층(500)은 인(P)과 같은 5족 원소로 도핑된 N형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제2 반도체층(500)은 N형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is formed in the form of a thin film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is formed to have a different polarity from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is a P-type semiconductor layer doped with a Group III element such as boron (B). In this case,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is formed of an N-type semiconductor layer doped with a Group 5 element such as phosphorus (P). In particular,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may be made of N-type amorphous silicon.

상기 제2 도전층(600)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에서 생성된 캐리어, 예로서 전자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한 캐리어를 상기 제2 전극(700)으로 이동시킨다.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collects carriers, eg, electrons, generated in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moves the collected carriers to the second electrode 700.

이와 같은 제2 도전층(600)은 ITO(Indium Tin Oxide), ZnOH, ZnO:B, ZnO:Al, SnO2, SnO2:F 등과 같은 투명한 도전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ndium tin oxide (ITO), ZnOH, ZnO: B, ZnO: Al, SnO 2 , SnO 2 : F, or the like.

상기 제2 도전층(600)은 상기 제2 반도체층(500)의 하면 상에 형성되지만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측면 부위까지 연장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1 도전층(300)과 상기 제2 도전층(600)이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측면 부위에서 서로 접하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종래와 같이 쇼트 방지를 위해서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가장자리 부위에 분리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된다.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but does not extend to the sid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Therefore,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are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e sid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thus the semiconductor wafer 100 to prevent short as in the prior art. There is no need to form a separator at the edge of the).

이와 같은 제2 도전층(600)은 스퍼터링법(sputtering)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특히, 형성 공정시 마스크(Mask)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제2 도전층(600)이 상기 제2 반도체층(500)의 하면 상에만 형성되고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측면부위까지 연장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may be formed by sputtering, and in particular,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may be formed by using the mask during the formation process. It may be formed only on the lower surface of the 500 and may not extend to the side portions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한편, 상기 제2 도전층(600)의 폭(W1)은 상기 제1 도전층(300)의 폭(W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도전층(600)의 폭(W1)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폭(W3)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width W1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W2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In addition, the width W1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W3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상기 제2 전극(700)은 상기 제2 도전층(600)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제2 전극(700)은 태양전지의 맨 후면(後面)에 형성되기 때문에 제2 도전층(600)의 전면(全面)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반사되는 태양광이 태양전지의 후면을 통해 입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제2 전극(700)도 패턴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electrode 700 is formed 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The second electrode 700 may be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because the second electrode 700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olar cell. However, in order to allow the reflected sunlight to be incident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solar cell, the second electrode 700 may also be formed in a pattern.

상기 제2 전극(700)은 상기 제1 전극(400)과 마찬가지로, Ag, Al, Ag+Al, Ag+Mg, Ag+Mn, Ag+Sb, Ag+Zn, Ag+Mo, Ag+Ni, Ag+Cu, Ag+Al+Zn 등과 같은 금속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Like the first electrode 400, the second electrode 700 may include Ag, Al, Ag + Al, Ag + Mg, Ag + Mn, Ag + Sb, Ag + Zn, Ag + Mo, Ag + Ni, It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Ag + Cu, Ag + Al + Zn.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는 반도체 웨이퍼(100)와 제1 반도체층(200) 사이에 제1 진성 반도체층(150)이 추가로 형성됨과 더불어 반도체 웨이퍼(100)와 제2 반도체층(500) 사이에 제2 진성 반도체층(450)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3에 도시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first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150 is additionally formed between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The second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450 is additionally formed between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and is the same as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3. Therefo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nd repeated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will be omitted.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표면에 고농도의 도펀트 가스를 이용하여 제1 반도체층(200) 또는 제2 반도체층(500)을 형성하게 되면 상기 고농도의 도펀트 가스에 의해서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표면에 결함(Defect)이 발생할 수 있다. Whe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or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using a high concentration of dopant gas, th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s formed by the high concentration of dopant gas. Defects may occur.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에 제1 진성 반도체층(150)을 형성하고 그 후 상기 제1 진성 반도체층(150) 상에 제1 반도체층(20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에 결함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면에 제2 진성 반도체층(450)을 형성하고 그 후 상기 제2 진성 반도체층(450) 상에 제2 반도체층(50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면에 결함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Therefore,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4, the first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15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then the first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150 is formed on the first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150. The semiconductor layer 200 is formed to prevent defects from occurr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n addition, the semiconductor wafer 100 may be formed by forming a second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450 on a low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then forming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on the second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450. ) I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defects.

한편, 도 4에는 제1 진성 반도체층(150)과 제2 진성 반도체층(450)이 모두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였지만, 제1 진성 반도체층(150)과 제2 진성 반도체층(45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진성 반도체층 만을 형성할 수도 있다. Meanwhile, although FIG. 4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both the first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150 and the second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450 are formed, any one of the first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150 and the second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450 is shown. It is also possible to form only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s.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는 제1 반도체층(200) 및 제2 반도체층(500)의 구조가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3에 도시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FIG.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illustrated in FIG. 3 except that the structures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are changed. The same as that of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refo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nd repeated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will be omitted.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반도체층(200)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에 형성된 저농도 도핑된 제1 반도체층(200a) 및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1 반도체층(200a) 상에 형성된 고농도 도핑된 제1 반도체층(200b)으로 이루어진다. As can be seen in FIG. 5,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is a lightly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a and the lightly doped low concentrat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a heavily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b formed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a.

또한, 상기 제2 반도체층(500)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면에 형성된 저농도 도핑된 제2 반도체층(500a) 및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2 반도체층(500a) 상에 형성된 고농도 도핑된 제2 반도체층(500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may be a light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a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a heavi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a. It may be made of two semiconductor layers (500b).

본 명세서에서, 저농도 및 고농도는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1 반도체층(200a)은 상기 고농도 도핑된 제1 반도체층(200b)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도펀트의 농도가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low concentration and the high concentration are relative concepts, and the low concentration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a means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dopant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high concentration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b.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1 반도체층(200a) 및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2 반도체층(500a)은 각각 전술한 도 4에 도시한 제2 실시예에서의 제1 진성 반도체층(150)및 제2 진성 반도체층(450)과 유사한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lightly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a and the light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a are respectively the first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150 and the second intrinsic in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It may play a role similar to that of the semiconductor layer 450.

즉,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에 저농도 도핑된 제1 반도체층(200a)을 먼저 형성하고 그 후에 상기 고농도 도핑된 제1 반도체층(200b)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에 결함(Defect) 발생이 방지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면에 저농도 도핑된 제2 반도체층(500a)을 먼저 형성하고 그 후에 상기 고농도 도핑된 제2 반도체층(500b)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면에 결함(Defect)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by first forming a lightly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a on the top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then forming the first heavily doped semiconductor layer 200b, the top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s formed. Defects can be prevented, and a second light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a is first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then the second light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b is formed. Defects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by forming the semiconductor layer 100.

따라서,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1 반도체층(200a) 및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2 반도체층(500a)의 도펀트 농도는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표면에 결함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the dopant concentrations of the lightly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a and the light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a may be controlled to prevent defects on th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도 5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는 전술한 도 4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에 비하여 생산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has an advantage of higher productivity than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4 described above.

즉, 전술한 도 4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는 제1 진성 반도체층(150) 및 제2 진성 반도체층(450)을 형성하기 위해서 증착 장비가 추가되고 공정이 복잡해져서 생산성이 떨어질 수 있지만, 도 5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는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1 반도체층(200a)과 고농도 도핑된 제1 반도체층(200b)을 하나의 챔버 내에서 연속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2 반도체층(500a)과 고농도 도핑된 제2 반도체층(500b)을 하나의 챔버 내에서 연속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증착 장비나 공정이 추가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That is, in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4 described above, deposition equipment is added and the process is complicated to form the first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150 and the second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450. Although the productivity may be reduced,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includes a chamber in which the lightly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a and the heavily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b are formed in one chamber. It can be carried out in a continuous process in the inside, and the low concentration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a) and the high concentration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b) can be carried out in a continuous process in one chamber to separate deposition The advantage is that no equipment or process is added.

한편, 도 5에는 제1 반도체층(200)이 저농도 도핑된 제1 반도체층(200a)과 고농도 도핑된 제1 반도체층(200b)으로 이루어지고, 제2 반도체층(500)이 저농도 도핑된 제2 반도체층(500a)과 고농도 도핑된 제2 반도체층(500b)으로 이루어진 모습을 도시하였지만, 어느 하나의 반도체층 만이 저농도 도핑된 반도체층과 고농도 도핑된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Meanwhile, in FIG. 5,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includes a lightly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a and a heavily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b,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is lightly doped. Although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a and the heavi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b are illustrated, only one of the semiconductor layers may be formed of a lightly doped semiconductor layer and a heavily doped semiconductor layer.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는 제1 반도체층(200)과 제1 도전층(300) 사이에 제1 보조층(250)이 추가로 형성됨과 더불어 제2 반도체층(500)과 제2 도전층(600) 사이에 제2 보조층(550)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3에 도시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 four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first auxiliary layer 250 is additionally formed betwee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and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In addition, except that the second auxiliary layer 550 is further formed betwee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the same as that of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FIG. 3. Do. Therefo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nd repeated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will be omitted.

상기 제1 보조층(250)은 상기 제1 반도체층(200)과 제1 도전층(30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에서 생성된 캐리어, 예로서 정공(hole)이 상기 제1 도전층(300)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The first auxiliary layer 25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and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so that a carrier, eg, a hole, generated in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s formed in the first auxiliary layer 250. 1 serves to easily move to the conductive layer (300).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반도체층(200)이 P형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1 보조층(250)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에서 생성된 정공을 끌어당길 수 있도록 (-)극성을 띠는 물질층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극성을 띠는 물질층은 산소 풍부(oxygen-rich) 산화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Al2O3, Ga2O3, 또는 In2O3와 같은 3족 원소를 포함하는 산화물을 들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is formed of a P-type semiconductor layer, the first auxiliary layer 250 has a negative polarity so as to attract holes generated in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n particular, the material layer having a (-) polarity may include an oxygen-rich oxide, specifically, Al 2 O 3 , Ga 2 O 3 Or an oxide containing a Group 3 element such as In 2 O 3 .

상기 제2 보조층(550)은 상기 제2 반도체층(500)과 제2 도전층(60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에서 생성된 캐리어, 예로서 전자(electron)가 상기 제2 도전층(600)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The second auxiliary layer 550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so that a carrier, eg, an electron, generated in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s formed of the second auxiliary layer 550. 2 serves to easily move to the conductive layer 600.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 반도체층(500)이 N형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2 보조층(550)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에서 생성된 전자를 끌어당길 수 있도록 (+)극성을 띠는 물질층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극성을 띠는 물질층은 산소 부족(oxygen-deficient) 산화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SiOx, TiOx, ZrOx, 또는 HfOx와 같은 4족 원소를 포함하는 산화물을 들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is formed of an N-type semiconductor layer, the second auxiliary layer 550 has a positive polarity so as to attract electrons generated from the semiconductor wafer 100. Preferably, the material layer having a positive polarity may be formed of an oxygen-deficient oxide, specifically, SiOx, TiOx, ZrOx, or HfOx. And oxides containing the same Group 4 elements.

도 6에는 제1 보조층(250)과 제2 보조층(550)이 모두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였지만, 제1 보조층(250)과 제2 보조층(550) 중에서 어느 하나의 보조층 만을 형성할 수도 있다.Although FIG. 6 illustrates that both the first auxiliary layer 250 and the second auxiliary layer 550 are formed, only one of the first auxiliary layer 250 and the second auxiliary layer 550 may be formed. It may be.

한편,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태양광이 입사하지 않는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부 쪽에 형성되는 제2 도전층(600)이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측면에까지 연장되지 않도록 구성하였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태양광이 입사하는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부 쪽에 형성되는 제1 도전층(300)이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측면에까지 연장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 도전층(300)이 상기 제1 반도체층(200)의 상면에만 형성되고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측면에까지 연장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s not configured to exten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s not incident to sunligh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nto which the sunlight is incident may be formed so as not to exten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That is,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may be formed on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and may not exten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제1 도전층(300)은 반도체 웨이퍼(100)의 측면 부위까지 연장되지 않는 반면 제2 도전층(600)은 반도체 웨이퍼(100)의 측면 부위까지 연장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3에 도시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1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does not extend to the sid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while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is a semiconductor. Except for extending to the side portion of the wafer 100, the same as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Therefo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nd repeated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will be omitted.

도 12에서 알 수 있듯이, 제2 도전층(600)은 제2 반도체층(500)의 하면 상에 형성되고 그와 더불어 반도체 웨이퍼(100)의 측면 부위까지 연장된다. 이때, 상기 제2 도전층(600)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측면 일부 또는 측면 전체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As can be seen in FIG. 12,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and extends to the side portions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n this case,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may be form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side surface or the entire sid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그에 반하여, 제1 도전층(300)은 제1 반도체층(200)의 상면 상에 형성되지만 반도체 웨이퍼(100)의 측면 부위까지 연장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은 제1 도전층(300)은 마스크를 이용하여 스퍼터링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In contrast,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but does not extend to the sid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Such a first conductive layer 300 can be formed by a sputtering method using a mask.

따라서, 상기 제1 도전층(300)과 상기 제2 도전층(600)이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측면 부위에서 서로 접하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종래와 같이 쇼트 방지를 위해서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가장자리 부위에 분리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된다. Therefore,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are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e sid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thus the semiconductor wafer 100 to prevent short as in the prior art. There is no need to form a separator at the edge of the).

한편, 상기 제1 도전층(300)의 폭(W2)은 상기 제2 도전층(600)의 폭(W1)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도전층(300)의 폭(W2)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폭(W3)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width W2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W1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In addition, the width W2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W3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제1 도전층(300)의 형성 모습이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3에 도시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FIG. 1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that the formation state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is chang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Same as the battery. Therefo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nd repeated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will be omitted.

도 13에서 알 수 있듯이, 제1 도전층(300)은 제1 반도체층(200)의 상면 상에 형성되지만 반도체 웨이퍼(100)의 측면 부위까지 연장되지는 않는다. 즉, 제1 도전층(300) 및 제2 도전층(600) 모두 반도체 웨이퍼(100)의 측면 부위까지 연장되지는 않는다. As can be seen in FIG. 13,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but does not extend to the side portions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That is, neither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nor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extends to the side surfac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이와 같은 제1 도전층(300) 및 제2 도전층(600)은 마스크를 이용하여 스퍼터링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1 도전층(300) 및 제2 도전층(600)을 동일한 형태의 마스크를 이용하여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 도전층(300) 및 제2 도전층(600)을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상이한 형태의 마스크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제1 도전층(300) 및 제2 도전층(600)을 상이한 패턴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can be formed by a sputtering method using a mask. Meanwhile,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may be formed in the same pattern by forming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using the same mask. Although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may be formed in different patterns by using different types of masks.

상기 제1 도전층(300)의 폭(W2)과 상기 제2 도전층(600)의 폭(W1)은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도전층(300)의 폭(W2)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폭(W3)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도전층(600)의 폭(W2)도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폭(W3)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The width W2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and the width W1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may be the same or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addition, the width W2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W3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the width W2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may be the semiconductor. It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width W3 of the wafer 100.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12에 따른 태양전지에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태양전지 중 적어도 하나의 태양전지의 특징이 추가될 수도 있고, 도 13에 따른 태양전지에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태양전지 중 적어도 하나의 태양전지의 특징이 추가될 수도 있다. Although not shown, features of at least one of the solar cells shown in FIGS. 4 to 6 may be added to the solar cell according to FIG. 12, and the solar cell according to FIG. Features of at least one solar cell of the illustrated solar cells may be added.

태양전지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solar cell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개략적인 공정 단면도로서, 이는 전술한 도 3에 도시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7A to 7C are schematic process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relates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

우선, 도 7a에서 알 수 있듯이, 소정의 전기극성을 갖는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 상에 제1 반도체층(200)을 형성하고,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면 상에 제2 반도체층(500)을 형성한다. First, as shown in FIG. 7A,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having a predetermined electrical polarity,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 500).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는 N형 실리콘 웨이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miconductor wafer 100 may be made of an N-type silicon wafer.

상기 제1 반도체층(200)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 상에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법을 이용하여 P형 반도체층, 예로서 P형 비정질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a P-type semiconductor layer, for example, a P-type amorphous silicon laye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by using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It can be made to the process.

상기 제2 반도체층(500)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면 상에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법을 이용하여 N형 반도체층, 예로서 N형 비정질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an N-type semiconductor layer, for example, an N-type amorphous silicon layer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by using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It can be made to the process.

상기 제1 반도체층(200)의 형성 공정 및 제2 반도체층(500)의 형성 공정 사이에 특별한 순서가 있는 것은 아니다. There is no particular order between the process of forming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and the process of forming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다음, 도 7b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1 반도체층(200) 상에 제1 도전층(300)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반도체층(500) 상에 제2 도전층(600)을 형성한다. Next, as shown in FIG. 7B, a first conductive layer 300 is formed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and a second conductive layer 600 is formed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

상기 제1 도전층(300)을 형성하는 공정은 스퍼터링법을 이용하여 ITO(Indium Tin Oxide), ZnOH, ZnO:B, ZnO:Al, SnO2, SnO2:F 등과 같은 투명한 도전물질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rocess of forming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forms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yer such as indium tin oxide (ITO), ZnOH, ZnO: B, ZnO: Al, SnO 2 , SnO 2 : F, etc. by using a sputtering method. It can be made to the process.

상기 제1 도전층(300)은 상기 제1 반도체층(200)의 상면 뿐만 아니라 그 측면을 따라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측면 부위까지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may be formed to not only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but also side surfaces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long the side surface thereof.

상기 제2 도전층(600)을 형성하는 공정은 스퍼터링법을 이용하여 ITO(Indium Tin Oxide), ZnOH, ZnO:B, ZnO:Al, SnO2, SnO2:F 등과 같은 투명한 도전물질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rocess of forming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forms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yer such as indium tin oxide (ITO), ZnOH, ZnO: B, ZnO: Al, SnO 2 , SnO 2 : F, etc. by using a sputtering method. It can be made to the process.

상기 제2 도전층(600)은 상기 제2 반도체층(500)의 하면에 형성하지만, 그 형성 공정시 마스크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측면 부위까지 연장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1 도전층(300)과 상기 제2 도전층(600)이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측면 부위에서 서로 접하지 않게 된다.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but is not extend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by using a mask during the formation process. Therefore,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do not contact each other at the side portions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상기 제2 도전층(600)의 폭(W1)은 상기 제1 도전층(300)의 폭(W2)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2 도전층(600)의 폭(W1)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폭(W3)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The width W1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W2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and the width W1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may be It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width (W3)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이와 같은 제1 도전층(300)과 제2 도전층(600)은 하나의 챔버에서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may be simultaneously formed in one chamber.

도 11a 및 도 11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도전층(300)과 제2 도전층(600)을 하나의 챔버에서 동시에 형성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11A and 11B are perspective and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simultaneously forming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in one chamber, respec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a 및 도 11b에서 알 수 있듯이, 소정의 트레이(Tray)(800)를 준비하고, 상기 트레이(800) 상에 제1 반도체층(200) 및 제2 반도체층(500)이 형성된 반도체 웨이퍼(100)를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트레이(800)는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보다 작은 크기의 개구부(85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는 상기 개구부(850)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시킨다. 도면에는 개구부(850)가 2개 구비되고 따라서 반도체 웨이퍼(100) 2개가 상기 트레이(800) 상에 배치된 모습을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1A and 11B, a semiconductor wafer in which a predetermined tray 800 is prepared and a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and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are formed on the tray 800. 100). In this case, the tray 800 includes an opening 850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s position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850. In the drawing, two openings 850 are provided, and thus two semiconductor wafers 100 are disposed on the tray 80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와 같이 반도체 웨이퍼(100)가 배치된 트레이(800)를 공정 챔버 내에 로딩한 후 상기 제1 반도체층(200) 및 제2 반도체층(500) 상에 동시에 증착 공정, 예로서 스퍼터링 공정을 수행한다. 그리하면, 상기 제1 반도체층(200)의 상면에 제1 도전층(300)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2 반도체층(500)의 하면에 제2 도전층(600)이 형성된다. After loading the tray 800 on which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s disposed in the process chamber, the deposition process, for example, a sputtering process,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is performed simultaneously. . Then,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이때, 상기 제2 반도체층(500)의 하면 중앙부는 상기 개구부(850)에 의해 노출되지만 상기 제2 반도체층(500)의 하면 주변부는 상기 트레이(800)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상기 제2 도전층(600)은 상기 제2 반도체층(500)의 하면 중앙부에만 형성된다. 즉, 상기 트레이(800)가 마스크로 기능함으로써 상기 제2 도전층(600)이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측면에까지 연장되지 않게 된다. In this case, since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is exposed by the opening portion 850,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is blocked by the tray 800, and thus the second conductive portion is exposed. The layer 600 is formed only at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That is, since the tray 800 functions as a mask,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does not exten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그에 반하여, 상기 제1 반도체층(200)의 상면에는 별도의 마스크가 없기 때문에, 상기 제1 도전층(300)은 상기 제1 반도체층(200)의 상면 전체에 형성되고, 경우에 따라서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측면에까지 연장된다. 다만, 상기 제1 반도체층(200)의 상면 주변부에 별도의 마스크를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제1 도전층(300)이 상기 제1 반도체층(200)의 상면 중앙부에만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On the contrary, since there is no separate mask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is formed on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It extends to the side of the wafer 100. However, by placing a separate mask arou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may be formed only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다음, 도 7c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1 도전층(300) 상에 제1 전극(400)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도전층(600) 상에 제2 전극(700)을 형성한다. Next, as shown in FIG. 7C, a first electrode 400 is formed 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and a second electrode 700 is formed 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상기 제1 전극(400)은 태양전지 내로 태양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패턴 형성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400 may be formed in a pattern so that sunlight can be transmitted into the solar cell.

상기 제1 전극(400)은 Ag, Al, Ag+Al, Ag+Mg, Ag+Mn, Ag+Sb, Ag+Zn, Ag+Mo, Ag+Ni, Ag+Cu, Ag+Al+Zn 등과 같은 금속물질의 페이스트(Paste)를 이용하여 프린팅 공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프린팅 공정은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 잉크젯 프린팅(Inkjet Printing), 그라비아 프린팅(Gravure Printing), 그라비아 오프셋 프린팅(Gravure Offset Printing), 리버스 프린팅(Reverse Printing), 플렉소 프린팅(Flexo Printing), 또는 마이크로 콘택 프린팅(Micro Contact Printing) 방법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린팅 공정을 이용할 경우 한 번의 공정으로 상기 제1 전극(400)을 소정 간격으로 이격 되게 패턴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first electrode 400 may include Ag, Al, Ag + Al, Ag + Mg, Ag + Mn, Ag + Sb, Ag + Zn, Ag + Mo, Ag + Ni, Ag + Cu, Ag + Al + Zn, or the like. It may be formed by a printing process using a paste of the same metal material. In this case, the printing process may include screen printing, inkjet printing, gravure printing, gravure offset printing, reverse printing, flexo printing, Alternatively, the method may be a micro contact printing method. As such, when the printing process is used, the first electrode 400 may be patterned to be spac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one process.

상기 제2 전극(700)은 Ag, Al, Ag+Al, Ag+Mg, Ag+Mn, Ag+Sb, Ag+Zn, Ag+Mo, Ag+Ni, Ag+Cu, Ag+Al+Zn 등과 같은 금속물질을 스퍼터링(Sputtering)법 등을 이용하여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금속물질의 페이스트(Paste)를 전술한 프린팅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The second electrode 700 includes Ag, Al, Ag + Al, Ag + Mg, Ag + Mn, Ag + Sb, Ag + Zn, Ag + Mo, Ag + Ni, Ag + Cu, Ag + Al + Zn, or the like. The same metal material may be formed using a sputtering method or the like, or a paste of the metal material may be formed using the above-described printing process.

상기 제2 전극(7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도전층(600)의 전면(全面)에 형성할 수 있지만 태양광이 입사될 수 있도록 패턴 형성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econd electrode 700 may be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but may also be patterned to allow sunlight to be incident thereon.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개략적인 공정 단면도로서, 이는 전술한 도 4에 도시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동일한 공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8A to 8C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relates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process as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우선, 도 8a에서 알 수 있듯이, 소정의 전기전도 극성을 갖는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 상에 제1 진성 반도체층(150)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진성 반도체층(150) 상에 제1 반도체층(200)을 형성하고, 그와 더불어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면 상에 제2 진성 반도체층(450)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진성 반도체층(450) 상에 제2 반도체층(500)을 형성한다. First, as shown in FIG. 8A, a first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150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a semiconductor wafer 100 having a predetermined electrical conductivity polarity, and a first semiconductor is formed on the first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150. A layer 200 is formed, together with a second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450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on the second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450. To form.

상기 제1 진성 반도체층(150)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 상에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법을 이용하여 I(Intrinsic)형 비정질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150 may be formed by forming an intrinsic (I) -type amorphous silicon lay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by using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상기 제2 진성 반도체층(450)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면 상에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법을 이용하여 I(Intrinsic)형 비정질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cond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450 may be formed by forming an intrinsic (I) -type amorphous silicon layer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by using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상기 도 8a의 공정은,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 상에 제1 진성 반도체층(150)을 형성하고, 그 후에, 상기 제1 진성 반도체층(150) 상에 제1 반도체층(200)을 형성하고, 그 후에,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면 상에 제2 진성 반도체층(450)을 형성하고, 그 후에, 상기 제2 진성 반도체층(450) 상에 제2 반도체층(500)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process of FIG. 8A, the first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15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the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is formed on the first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150. After that, a second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45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thereafter,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is formed on the second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450. Although it may consist of a forming process,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예로서, 상기 도 8a의 공정은,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 상에 제1 진성 반도체층(150)을 형성하고, 그 후에,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면 상에 제2 진성 반도체층(450)을 형성하고, 그 후에, 상기 제1 진성 반도체층(150) 상에 제1 반도체층(200)을 형성하고, 그 후에, 상기 제2 진성 반도체층(450) 상에 제2 반도체층(500)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For example, in the process of FIG. 8A, the first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15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thereafter, the second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 450, and thereafter, a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is formed on the first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150, and thereafter,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 is formed on the second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450. 500 may be formed.

한편, 상기 제1 진성 반도체층(150)을 형성하는 공정 및 제2 진성 반도체층(450)을 형성하는 공정 중 어느 하나의 공정을 생략할 수도 있다. Meanwhile, any one of the steps of forming the first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150 and the step of forming the second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450 may be omitted.

다음, 도 8b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1 반도체층(200) 상에 제1 도전층(300)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반도체층(500) 상에 제2 도전층(600)을 형성한다. Next, as shown in FIG. 8B, a first conductive layer 300 is formed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and a second conductive layer 600 is formed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

다음, 도 8c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1 도전층(300) 상에 제1 전극(400)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도전층(600) 상에 제2 전극(700)을 형성한다. Next, as shown in FIG. 8C, a first electrode 400 is formed 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and a second electrode 700 is formed 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개략적인 공정 단면도로서, 이는 전술한 도 5에 도시한 제3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동일한 공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9A to 9C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relates to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 will b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process as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우선, 도 9a에서 알 수 있듯이, 소정의 전기전도 극성을 갖는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 상에 저농도 도핑된 제1 반도체층(200a)을 형성하고,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1 반도체층(200a) 상에 고농도 도핑된 제1 반도체층(200b)을 형성하고, 그와 더불어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면 상에 저농도 도핑된 제2 반도체층(500a)을 형성하고,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2 반도체층(500a) 상에 고농도 도핑된 제2 반도체층(500b)을 형성한다. First, as shown in FIG. 9A, a lightly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a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a semiconductor wafer 100 having a predetermined conductivity polarity, and the lightly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a is formed. A high concentration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b is formed thereon, and a light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a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the light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is formed. A heavi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b is formed on the layer 500a.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1 반도체층(200a)과 고농도 도핑된 제1 반도체층(200b)은 하나의 챔버 내에서 연속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하나의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챔버 내에서 붕소(B)와 같은 3족 원소의 도펀트 가스의 투입량을 조절하면서 상기 저농도 도핑된 P형의 제1 반도체층(200a)과 고농도 도핑된 P형의 제1 반도체층(200b)을 연속하여 형성할 수 있다. The lightly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a and the heavily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b may be performed in a continuous process in one chamber. That is, the doped P-type semiconductor layer 200a and the highly doped P-type semiconductor layer, such as boron (B), are controlled in a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chamber. The P-typ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b may be continuously formed.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대량생산하에서 최초의 태양전지 생산을 위한 공정에서는, 상기 챔버 내에 소정량의 B2H6가스를 투입하여 챔버 내부를 P형 도펀트 분위기로 조성한 후, SiH4 및 H2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저농도 도핑된 P형의 제1 반도체층(200a), 구체적으로는 저농도 도핑된 P형 비정질 실리콘층을 형성한다. 이어서, SiH4 및 H2 가스와 더불어 도펀트 가스로서 B2H6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고농도 도핑된 P형의 제1 반도체층(200b), 구체적으로는 고농도 도핑된 P형 비정질 실리콘층을 형성한다.Specifically, in a process for producing the first solar cell under mass production, a predetermined amount of B 2 H 6 gas is introduced into the chamber to form a P-type dopant atmosphere in the chamber, and then SiH 4 and H 2 gases are formed. Supplying to form the lightly doped P-type semiconductor layer 200a, specifically, the lightly doped P-type amorphous silicon layer. Subsequently, B 2 H 6 gas is supplied as a dopant gas together with SiH 4 and H 2 gases to form the first heavily doped P-type semiconductor layer 200b, specifically, the heavily doped P-type amorphous silicon layer. .

한편, 상기 고농도 도핑된 P형의 제1 반도체층(200b) 형성 공정을 완료한 이후 상기 챔버 내부에는 소정량의 B2H6가스가 잔존하게 된다. 따라서, 최초의 태양전지 생산 이후 두 번째 태양전지 생산부터는 챔버 내부가 이미 P형 도펀트 분위기로 조성되어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도펀트 가스, 즉, B2H6가스를 챔버 내부로 공급하지 않고 SiH4 및 H2 가스만을 공급하여 상기 저농도 도핑된 P형의 제1 반도체층(200a)을 형성할 수 있고, 이어서 SiH4 및 H2 가스와 더불어 B2H6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고농도 도핑된 P형의 제1 반도체층(200b)을 형성하게 된다. Meanwhile, after the process of forming the heavily doped P-typ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b is completed, a predetermined amount of B 2 H 6 gas remains in the chamber. Therefore, since the production of the second solar cell after the production of the first solar cell, since the inside of the chamber is already formed in a P-type dopant atmosphere, SiH 4 and H 2 do not supply additional dopant gas, that is, B 2 H 6 gas into the chamber. By supplying only gas, the lightly doped P-type semiconductor layer 200a may be formed, followed by supplying B 2 H 6 gas together with SiH 4 and H 2 gas to supply the first heavily doped P-type. The semiconductor layer 200b is form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하나의 챔버 내에서 반응가스의 공급량 만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저농도 도핑된 P형의 제1 반도체층(200a) 및 고농도 도핑된 P형의 제1 반도체층(200b)을 연속하여 형성할 수 있어, 장비가 추가되거나 공정이 추가되지 않아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ly doped P-type semiconductor layer 200a and the heavily doped P-type semiconductor layer 200b are controlled by controlling only the supply amount of the reaction gas in one chamber. ) Can be formed continuous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productivity is improved because no equipment or additional process is added.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2 반도체층(500a)과 고농도 도핑된 제2 반도체층(500b)은 전술한 저농도 도핑된 제1 반도체층(200a)과 고농도 도핑된 제1 반도체층(200b)과 유사하게 하나의 챔버 내에서 연속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하나의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챔버 내에서 인(P)과 같은 5족 원소의 도펀트 가스의 투입량을 조절하면서 상기 저농도 도핑된 N형의 제2 반도체층(500a)과 고농도 도핑된 N형의 제2 반도체층(500b)을 연속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light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a and the heavi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b are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lightly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a and heavily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b. It can be carried out in a continuous process in the chamber of. That is, the low-doped N-typ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a and the high-doped semiconductor layer may be controlled in a single PECVD chamber using a dopant gas of a Group 5 element such as phosphorus (P). The N-typ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b may be continuously form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1 반도체층(200a) 및 저농도 도핑된 제2 반도체층(500a) 중 어느 하나의 공정은 생략할 수도 있다. Meanwhile, any one of the lightly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a and the light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a may be omitted.

다음, 도 9b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1 반도체층(200) 상에 제1 도전층(300)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반도체층(500) 상에 제2 도전층(600)을 형성한다. Next, as shown in FIG. 9B, a first conductive layer 300 is formed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and a second conductive layer 600 is formed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

다음, 도 9c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1 도전층(300) 상에 제1 전극(400)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도전층(600) 상에 제2 전극(700)을 형성한다. Next, as shown in FIG. 9C, a first electrode 400 is formed 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and a second electrode 700 is formed 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개략적인 공정 단면도로서, 이는 전술한 도 6에 도시한 제4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동일한 공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10A to 10C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relates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shown in FIG. will b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process as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우선, 도 10a에서 알 수 있듯이, 소정의 전기전도 극성을 갖는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 상에 제1 반도체층(200)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반도체층(200) 상에 제1 보조층(250)을 형성하고, 그와 더불어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면 상에 제2 반도체층(500)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반도체층(500) 상에 제2 보조층(550)을 형성한다. First, as shown in FIG. 10A, a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a semiconductor wafer 100 having a predetermined conductivity polarity, and a first auxiliary layer (eg,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is formed. 250,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a second auxiliary layer 550 is formed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

상기 제1 보조층(250)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제1 반도체층(200) 상에 MOCVD(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법을 이용하여 (-)극성을 띠는 물질층, 예로서, Al2O3, Ga2O3, 또는 In2O3와 같은 3족 원소를 포함하는 산소 풍부(oxygen-rich) 산화물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rocess of forming the first auxiliary layer 250 may include a material layer having a negative polarity (eg, Al)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by using a 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OCVD) method. It may be made of a process of forming an oxygen-rich oxide layer containing a Group 3 element, such as 2 O 3 , Ga 2 O 3 , or In 2 O 3 .

상기 제2 보조층(550)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제2 반도체층(500) 상에 MOCVD(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법을 이용하여 (+)극성을 띠는 물질층, 예로서, SiOx, TiOx, ZrOx, 또는 HfOx와 같은 4족 원소를 포함하는 산소 부족(oxygen-deficient) 산화물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rocess of forming the second auxiliary layer 550 may include a material layer having positive polarity (eg, SiOx)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by using a 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OCVD) method. , TiOx, ZrOx, or HfOx may be formed of a process for forming an oxygen-deficient oxide layer containing a group 4 element.

한편, 상기 제1 보조층(250) 및 제2 보조층(550) 중 어느 하나의 공정은 생략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process of any one of the first auxiliary layer 250 and the second auxiliary layer 550 may be omitted.

다음, 도 10b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1 보조층(250) 상에 제1 도전층(300)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보조층(550) 상에 제2 도전층(600)을 형성한다. Next, as shown in FIG. 10B, a first conductive layer 300 is formed on the first auxiliary layer 250, and a second conductive layer 600 is formed on the second auxiliary layer 550. .

다음, 도 10c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1 도전층(300) 상에 제1 전극(400)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도전층(600) 상에 제2 전극(700)을 형성한다. Next, as shown in FIG. 10C, a first electrode 400 is formed 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and a second electrode 700 is formed 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개략적인 공정 단면도로서, 이는 전술한 도 12에 도시한 제5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동일한 공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14A to 14C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relates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shown in FIG. will b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process as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우선, 도 14a에서 알 수 있듯이, 소정의 전기전도 극성을 갖는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 상에 제1 반도체층(200)을 형성하고,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면 상에 제2 반도체층(500)을 형성한다. First, as shown in FIG. 14A, a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a semiconductor wafer 100 having a predetermined conductivity polarity, and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Form 500.

다음, 도 14b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1 반도체층(200) 상에 제1 도전층(300)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반도체층(500) 상에 제2 도전층(600)을 형성한다. Next, as shown in FIG. 14B, a first conductive layer 300 is formed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and a second conductive layer 600 is formed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

상기 제2 도전층(600)은 스퍼터링법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반도체층(500)의 하면 뿐만 아니라 그 측면을 따라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측면 부위까지 형성할 수 있다.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may be formed to not only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but also side surfaces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long the side surface by using a sputtering method.

상기 제1 도전층(300)은 스퍼터링법을 이용하되 마스크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제1 반도체층(200)의 상면에 형성하지만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측면에까지 연장되지 않도록 형성할 수 있다.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may be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by using a sputtering method but applying a mask, but may not exten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이와 같은 제1 도전층(300)과 제2 도전층(600)은 전술한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챔버에서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may be simultaneously formed in one chamber as shown in FIGS. 11A and 11B.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음, 도 14c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1 도전층(300) 상에 제1 전극(400)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도전층(600) 상에 제2 전극(700)을 형성한다. Next, as shown in FIG. 14C, a first electrode 400 is formed 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and a second electrode 700 is formed 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개략적인 공정 단면도로서, 이는 전술한 도 13에 도시한 제6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동일한 공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15A to 15C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relates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shown in FIG. will b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process as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우선, 도 15a에서 알 수 있듯이, 소정의 전기전도 극성을 갖는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 상에 제1 반도체층(200)을 형성하고,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면 상에 제2 반도체층(500)을 형성한다. First, as shown in FIG. 15A, a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a semiconductor wafer 100 having a predetermined conductivity polarity, and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Form 500.

다음, 도 15b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1 반도체층(200) 상에 제1 도전층(300)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반도체층(500) 상에 제2 도전층(600)을 형성한다. Next, as shown in FIG. 15B, a first conductive layer 300 is formed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and a second conductive layer 600 is formed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

상기 제1 도전층(300) 및 제2 도전층(600) 모두 스퍼터링법을 이용하되 마스크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측면에까지 연장되지 않도록 형성할 수 있다. Both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may be formed using a sputtering method so as not to exten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by applying a mask.

이와 같은 제1 도전층(300)과 제2 도전층(600)은 하나의 챔버에서 동시에 형성할 수 있는데, 그 방법으로는, 전술한 도 11a 및 도 11b에 따른 방법에 별도의 추가마스크를 적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can be simultaneously formed in one chamber. As a method, a separate additional mask is applied to the method according to FIGS. 11A and 11B. How to do this.

즉, 도 11a 및 도 11b에 따른 방법에서, 제1 반도체층(200)의 주변부를 가리는 마스크를 제1 반도체층(200)의 상부에 추가로 배치할 경우, 도 15b와 같은 제1 도전층(300) 및 제2 도전층(600)을 얻을 수 있다. That is, in the method according to FIGS. 11A and 11B, when a mask covering the periphery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is further disposed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the first conductive layer ( 30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can be obtained.

이때, 상기 추가로 배치하는 마스크를 트레이(800)와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함으로써, 제1 도전층(300)과 제2 도전층(600)을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may be formed in the same pattern by forming the additionally disposed mask in the same pattern as the tray 800.

다음, 도 15c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1 도전층(300) 상에 제1 전극(400)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도전층(600) 상에 제2 전극(700)을 형성한다. Next, as shown in FIG. 15C, a first electrode 400 is formed 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and a second electrode 700 is formed 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한편, 이상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로서 N형 반도체 웨이퍼를 이용하고, 상기 제1 반도체층(200)을 P형 반도체층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2 반도체층(500)을 N형 반도체층으로 형성한 경우에 대해서 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은 PN접합구조를 이루면서 반도체 웨이퍼와 박막의 반도체층으로 구성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이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로서 P형 반도체 웨이퍼를 이용하고, 상기 제1 반도체층(200)을 N형 반도체층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2 반도체층(500)을 P형 반도체층으로 형성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In the above, the N-type semiconductor wafer is used as the semiconductor wafer 100,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is formed of a P-typ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is an N-type semiconductor layer.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inly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s long as it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including a semiconductor wafer and a thin film semiconductor layer while forming a PN junction structure. will be. For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a P-type semiconductor wafer is used as the semiconductor wafer 100,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is formed of an N-typ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is of a P-type. It also includes the case of forming with a semiconductor layer.

100: 반도체 웨이퍼 150: 제1 진성 반도체층
200: 제1 반도체층 200a: 저농도 도핑된 제1 반도체층
200b: 고농도 도핑된 제1 반도체층 250: 제1 보조층
300: 제1 도전층 400: 제1 전극
450: 제2 진성 반도체층 500: 제2 반도체층
500a: 저농도 도핑된 제2 반도체층 500b: 고농도 도핑된 제2 반도체층
550: 제2 보조층 600: 제2 도전층
700: 제2 전극 800: 트레이
850: 개구부
100 semiconductor wafer 150 first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200: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a: lightly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b: heavily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50: first auxiliary layer
300: first conductive layer 400: first electrode
450: second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500: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a: light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b: light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550: second auxiliary layer 600: second conductive layer
700: second electrode 800: tray
850: opening

Claims (20)

소정의 전기전도 극성을 갖는 반도체 웨이퍼: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일면 상에 형성된 제1 반도체층;
상기 제1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제1 도전층;
상기 제1 도전층 상에 형성된 제1 전극;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타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상이한 극성을 갖는 제2 반도체층;
상기 제2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제2 도전층; 및
상기 제2 도전층 상에 형성된 제2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제1 도전층 및 제2 도전층 중 어느 하나의 도전층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측면 부위로 연장되어 있지 않고, 상기 제1 도전층 및 제2 도전층 중 나머지 하나의 도전층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측면 부위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도전층과 상기 제2 도전층이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측면 부위에서 서로 접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A semiconductor wafer having a predetermined conductivity polarity:
A first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A first conductive layer formed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 first electrode formed 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and having a different polarity than that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 second conductive layer formed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It comprises a second electrode formed 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In this case, any one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does not extend to the sid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and the other conductive layer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is the semiconductor. A solar cell extending to a side portion of the wafer, wherein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are formed so as not to contact each other at the sid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측면 부위로 연장되어 있지 않은 도전층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ductive layer that does not extend to the sid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is formed to have a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semiconductor waf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측면 부위로 연장된 도전층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폭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ductive layer extending to the sid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is formed to have a width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emiconductor wafer.
소정의 전기전도 극성을 갖는 반도체 웨이퍼: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일면 상에 형성된 제1 반도체층;
상기 제1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제1 도전층;
상기 제1 도전층 상에 형성된 제1 전극;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타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상이한 극성을 갖는 제2 반도체층;
상기 제2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제2 도전층; 및
상기 제2 도전층 상에 형성된 제2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제1 도전층과 상기 제2 도전층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측면 부위에서 서로 접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도전층 및 제2 도전층 중 어느 하나의 도전층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폭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A semiconductor wafer having a predetermined conductivity polarity:
A first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A first conductive layer formed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 first electrode formed 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and having a different polarity than that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 second conductive layer formed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It comprises a second electrode formed 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In this case,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are formed not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e sid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and any one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is formed of the semiconductor wafer. A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have a width greater than the width.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층 및 제2 도전층 중 어느 하나의 도전층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측면 부위로 연장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olar cell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does not extend to the sid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웨이퍼와 상기 제1 반도체층 사이 및 상기 반도체 웨이퍼와 상기 제2 반도체층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진성 반도체층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n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is further formed between at least one of the semiconductor wafer and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between the semiconductor wafer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도체층 및 제2 반도체층 중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층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 상에 형성된 저농도 도핑된 반도체층 및 상기 저농도 도핑된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고농도 도핑된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t least one semiconductor layer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lightly doped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the semiconductor wafer and a lightly doped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the lightly doped semiconductor layer. battery.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제1 도전층 사이 및 상기 제2 반도체층과 제2 도전층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반도체 웨이퍼에서 생성된 캐리어의 이동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극성을 띠는 보조층이 추가로 형성되고,
이때, 상기 보조층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에서 생성된 정공을 끌어당길 수 있도록 산소 풍부(oxygen-rich) 산화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극성을 띠는 제1 보조층, 및 상기 반도체 웨이퍼에서 생성된 전자를 끌어당길 수 있도록 산소 부족(oxygen-deficient) 산화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극성을 띠는 제2 보조층 중 적어도 하나의 보조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t least on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betwee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has an additional auxiliary layer having a polarity capable of enhancing the mobility of the carrier generated in the semiconductor wafer. Formed into,
At this time, the auxiliary layer is a (-) polarity of the first auxiliary layer made of an oxygen-rich oxide (oxygen-rich) oxide to attract holes generated in the semiconductor wafer, and the electrons generated in the semiconductor wafer A solar cell comprising at least one auxiliary layer of the second auxiliary layer having a (+) polarity made of an oxygen-deficient oxide to attract the.
소정의 전기전도 극성을 갖는 반도체 웨이퍼의 일면 상에 제1 반도체층을 형성하고,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타면 상에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상이한 극성을 갖는 제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제1 반도체층 상에 제1 도전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반도체층 상에 제2 도전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제1 도전층 상에 제1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도전층 상에 제2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제1 도전층 및 제2 도전층 중 어느 하나의 도전층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측면 부위로 연장되지 않고, 상기 제1 도전층 및 제2 도전층 중 나머지 하나의 도전층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측면 부위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도전층과 상기 제2 도전층이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측면 부위에서 서로 접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Forming a first semiconductor layer on on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having a predetermined conductivity polarity, and forming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having a different polarity from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Forming a first conductive layer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forming a second conductive layer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Forming a first electrode 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forming a second electrode 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In this case, the conductive layer of any one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does not extend to the sid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and the other conductive layer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is the semiconductor wafer. Extending to side portions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so as not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e side portions of the semiconductor wafer.
소정의 전기전도 극성을 갖는 반도체 웨이퍼의 일면 상에 제1 반도체층을 형성하고,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타면 상에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상이한 극성을 갖는 제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제1 반도체층 상에 제1 도전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반도체층 상에 제2 도전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제1 도전층 상에 제1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도전층 상에 제2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제1 도전층과 상기 제2 도전층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측면 부위에서 서로 접하지 않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1 도전층 및 제2 도전층 중 어느 하나의 도전층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폭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Forming a first semiconductor layer on on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having a predetermined conductivity polarity, and forming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having a different polarity from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Forming a first conductive layer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forming a second conductive layer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Forming a first electrode 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forming a second electrode 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In this case,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are formed not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e sid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and any one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is the width of the semiconductor wafer. Method for producing a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have a larger width.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층과 제2 도전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하나의 챔버에서 동시에 형성하되, 소정의 트레이 상에 상기 제1 반도체층 및 제2 반도체층이 형성된 반도체 웨이퍼를 위치시킨 후 상기 제1 반도체층 및 상기 제2 반도체층 상에 동시에 증착 공정을 수행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트레이에는 상기 반도체 웨이퍼 보다 작은 크기의 개구부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개구부에 의해서 상기 제1 반도체층 및 제2 반도체층 중 어느 하나의 반도체층의 일면 중앙부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The process of forming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may be simultaneously performed in one chamber, but after placing the semiconductor wafer on which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re formed on a predetermined tray, the first conductive layer may be formed. Comprising a process for performing a deposition process on th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t the same time,
In this case, the tray is provided with an opening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semiconductor wafer, and the central portion of one surface of any on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is exposed by the opening. Manufacturing method.
소정의 전기전도 극성을 갖는 반도체 웨이퍼의 일면 상에 제1 반도체층을 형성하고,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타면 상에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상이한 극성을 갖는 제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제1 반도체층 상에 제1 도전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반도체층 상에 제2 도전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제1 도전층 상에 제1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도전층 상에 제2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제1 도전층 및 제2 도전층은 하나의 챔버에서 형성하되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측면 부위에서 서로 접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Forming a first semiconductor layer on on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having a predetermined conductivity polarity, and forming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having a different polarity from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Forming a first conductive layer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forming a second conductive layer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Forming a first electrode 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forming a second electrode 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In this case,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is formed in one chamber, but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not form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e sid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챔버에서 형성하는 공정은, 소정의 트레이 상에 상기 제1 반도체층 및 제2 반도체층이 형성된 반도체 웨이퍼를 위치시킨 후 상기 제1 반도체층 및 상기 제2 반도체층 상에 동시에 증착 공정을 수행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트레이에는 상기 반도체 웨이퍼 보다 작은 크기의 개구부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개구부에 의해서 상기 제1 반도체층 및 제2 반도체층 중 어느 하나의 반도체층의 일면 중앙부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process of forming the chamber comprises placing a semiconductor wafer on which a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are formed on a predetermined tray, and then simultaneously depositing the same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Is a process to perform,
In this case, the tray is provided with an opening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semiconductor wafer, and the central portion of one surface of any on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is exposed by the opening. Manufacturing metho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 공정시 상기 제1 반도체층 및 제2 반도체층 중 나머지 하나의 반도체층의 일면 주변부를 가리는 마스크를 추가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And a mask covering a peripheral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other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during the deposition process.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로 배치하는 마스크는 상기 트레이와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additionally disposed mask is a solar cell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same pattern as the tray.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층 및 제2 도전층 중 어느 하나의 도전층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측면 부위로 연장되지 않고, 상기 제1 도전층 및 제2 도전층 중 나머지 하나의 도전층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측면 부위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nductive layer of any one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does not extend to the sid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and the other conductive layer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is the side of the semiconductor wafer. Method for manufacturing a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extending to the sit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층 및 제2 도전층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측면 부위로 연장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does not extend to the sid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manufacturing method of a solar cell.
제9항, 제10항, 및 제12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웨이퍼와 상기 제1 반도체층 사이 및 상기 반도체 웨이퍼와 상기 제2 반도체층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진성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10, and 12 to 17,
And forming an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between at least one of the semiconductor wafer and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between the semiconductor wafer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제9항, 제10항, 및 제12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도체층 및 제2 반도체층 중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 상에 저농도 도핑된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저농도 도핑된 반도체층 상에 고농도 도핑된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10, and 12 to 17,
The process of forming at least one semiconductor layer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may include forming a lightly doped semiconductor layer on the semiconductor wafer and a heavily doped semiconductor layer on the lightly doped semiconductor layer. Method for producing a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tep of forming.
제9항, 제10항, 및 제12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제1 도전층 사이 및 상기 제2 반도체층과 제2 도전층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반도체 웨이퍼에서 생성된 캐리어의 이동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극성을 띠는 보조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고,
이때, 상기 보조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에서 생성된 정공을 끌어당길 수 있도록 산소 풍부(oxygen-rich) 산화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극성을 띠는 제1 보조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반도체 웨이퍼에서 생성된 전자를 끌어당길 수 있도록 산소 부족(oxygen-deficient) 산화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극성을 띠는 제2 보조층을 형성하는 공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10, and 12 to 17,
Forming an auxiliary layer having a polarity capable of enhancing mobility of carriers generated in the semiconductor wafer between at least on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betwee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Further comprises a process for
The forming of the auxiliary layer may include forming a first auxiliary layer having a negative polarity including an oxygen-rich oxide to attract holes generated in the semiconductor wafer, And forming a second positive layer having a positive polarity including an oxygen-deficient oxide so as to attract electrons generated from the semiconductor wafer. Method for manufacturing a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KR1020110022499A 2011-03-14 2011-03-14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2010484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499A KR20120104846A (en) 2011-03-14 2011-03-14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499A KR20120104846A (en) 2011-03-14 2011-03-14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4846A true KR20120104846A (en) 2012-09-24

Family

ID=47112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2499A KR20120104846A (en) 2011-03-14 2011-03-14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4846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96945A1 (en) * 2016-01-20 2017-07-26 Lg Electronics Inc. Solar cell
KR20180058099A (en) * 2016-11-23 2018-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10400854A (en) * 2018-04-25 2019-11-01 君泰创新(北京)科技有限公司 Heterojunction solar batter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10556432A (en) * 2018-06-01 2019-12-10 君泰创新(北京)科技有限公司 solar cell,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welding device
EP4105858A1 (en) * 2014-05-27 2022-12-21 Maxeon Solar Pte. Ltd. Shingled solar cell module
US11942561B2 (en) 2014-05-27 2024-03-26 Maxeon Solar Pte. Ltd. Shingled solar cell module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05858A1 (en) * 2014-05-27 2022-12-21 Maxeon Solar Pte. Ltd. Shingled solar cell module
EP4120155A1 (en) * 2014-05-27 2023-01-18 Maxeon Solar Pte. Ltd. Shingled solar cell module
US11942561B2 (en) 2014-05-27 2024-03-26 Maxeon Solar Pte. Ltd. Shingled solar cell module
US11949026B2 (en) 2014-05-27 2024-04-02 Maxeon Solar Pte. Ltd. Shingled solar cell module
EP3196945A1 (en) * 2016-01-20 2017-07-26 Lg Electronics Inc. Solar cell
JP2017130664A (en) * 2016-01-20 2017-07-27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Solar cell
CN106997906A (en) * 2016-01-20 2017-08-01 Lg电子株式会社 Solar cell
EP3544059A1 (en) * 2016-01-20 2019-09-25 Lg Electronics Inc. Solar cell
KR20180058099A (en) * 2016-11-23 2018-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10400854A (en) * 2018-04-25 2019-11-01 君泰创新(北京)科技有限公司 Heterojunction solar batter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10556432A (en) * 2018-06-01 2019-12-10 君泰创新(北京)科技有限公司 solar cell,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weld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664B1 (e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in film type Solar Cell, and Thin film type Solar Cell made by the method
KR101031246B1 (en) Thin film type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mae, and Thin film type solar cell module a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same
KR20140135881A (en)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30012368A (en) Solar cell
JP5628952B2 (en) Solar cell
KR20120104846A (en)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368904B1 (en) Thin film type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676368B1 (en)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20264253A1 (en) Method of fabricating solar cell
CN103928567A (en)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10130191A (en)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863068B1 (en)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10043147A (en) Hetero juction type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15322B1 (en) Thin film type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30022097A (en)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25890B1 (en) Thin film type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40074B1 (en)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769777B1 (en)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20062432A (en)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854236B1 (en)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813123B1 (en)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641929B1 (en) Sola Cell of Thin Film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332667B1 (en)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854241B1 (en)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397159B1 (en) Thin film type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