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7893A - 패널의 접착 방법 및 접착 장치 - Google Patents

패널의 접착 방법 및 접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7893A
KR20120087893A KR1020127005219A KR20127005219A KR20120087893A KR 20120087893 A KR20120087893 A KR 20120087893A KR 1020127005219 A KR1020127005219 A KR 1020127005219A KR 20127005219 A KR20127005219 A KR 20127005219A KR 20120087893 A KR20120087893 A KR 20120087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end side
bonding
holding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5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8049B1 (ko
Inventor
쇼키치 하마노
마사노리 쿠보타
Original Assignee
교도 기큰 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도 기큰 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도 기큰 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87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7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2Antiglare, refractive index matching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02F2201/503Arrangements improving the resistance to shock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면에 기포를 발생시키지 않고 투명 보호 패널을 접착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보호 패널의 접착면에 점탄성체로부터 이루어지는 완충층이 형성된 상기 양 패널을, 점도 10~100cps의 탈기조제를 사용하여 접착할 때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투명 보호 패널의 어느 쪽이든 한쪽 (제1패널(40))상에 다른 쪽(제2패널(50))을, 양 패널의 끝변(40a, 50a)을 접촉 내지는 근접 배치한 상태로 접착면이 예각을 이루도록 배치해, 양 패널간에 탈기조제를 도입하면서, 제2패널의 다른 끝변(50b)을 제1패널의 다른 끝변(40b)에 가까워지도록 제2패널을 요동시켜 접착한다. 접착은, 제1패널을, 다른 끝변(40b)을 위를 향하도록 경사시킨 상태로 실시하고, 탈기조제의 도입을 제1패널의 한쪽 끝변 측에서 개시해, 제2패널의 다른 끝변이 제1패널의 다른 끝변에 가까워짐에 따라, 이 도입 위치를 제1패널의 다른 끝변 측으로 이동한다.

Description

패널의 접착 방법 및 접착 장치 {PANEL ATTACHING METHOD AND PANEL ATTACHING DEVICE}
본 발명은 패널의 접착(貼着;attachment) 방법 및 접착(貼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텔레비젼, 컴퓨터(데스크탑, 노트북), 휴대전화 그 외의 PDA 등에 이용되는 액정 디스플레이나 플라즈마(plasma) 디스플레이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투명 보호 패널을 접착하기 위한 패널의 접착 방법 및 접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일례로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은, 일례로서 도 14에 나타나 있듯이 산화 금속의 피막 등에 의해 형성된 투명 전극(203, 204)을 갖춘 2장의 유리 기판(201, 202)을, 스페이서(spacer)(205) 등을 개입시켜 수μm정도의 갭(gap)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해, 이 갭 내에 액정 조성물(206)을 충전한 기본 구조를 갖추고, 상기한 투명 전극(203, 204)에 전압을 넣어 액정의 배향 상태를 변화시킴으로써, 표시면 측과는 반대 측에 배치된 백라이트(backlight)(207)로부터의 빛이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통과하는 상태를 제어하는 것으로, 표시면 측에 나타나는 빛의 패턴(화상 패턴)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그 표면을 아크릴이나 유리 등의 투명한 보호 패널(210)로 덮음으로써, 이를 보호하는 조치가 행해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보호 패널(210)로서는, 터치 펜의 펜 끝이나 손가락 끝으로 화면위를 압압(押壓)하는 것에 의해 화면상의 위치 정보 등을 취득 가능하게 한 하부(下部) 전극 기판(210a)이 디스플레이 패널(200)과의 접착면 측에 설치된 터치 패널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표면을 덮는 보호 패널(210)은,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이 더해졌을 때에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매우 적합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200)과 보호 패널(210)간에 스페이서(211)를 배치하는 등으로 해서 양자간에 적당한 간격 G를 개입시켜 장착되어 있는, 보호 패널(210)에 대해 충격이 가해진 경우라도, 이 충격이 상기 간격 G에 의해 완충되어 직접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가해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한 하부 전극 기판(210a)을 갖춘 터치 패널로서의 보호 패널(210)에서는, 보호 패널(210)에는 터치 펜의 펜 끝이나 손가락 끝에 의한 누름 압력이 가해지는 것으로부터, 이러한 완충의 필요성이 높다.
그러나, 상기한 간격 G의 형성은, 충격 등을 완충 하는데 있어서는 유효하지만, 이 간격 G에 봉입된 공기에 의해 공기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보호 패널(210)의 굴절률과 공기층의 굴절률의 상위(相違) 등에 기인하는 광량 손실이 액정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에 있어서의 광학 특성을 저하시키며, 특히 옥외(태양광 하)에서의 시인성(視認性)을 저하시킨다.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서, 백라이트(207)의 휘도(輝度)를 올려 시인성을 확보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배터리를 전원으로 하는 휴대전화, 디지털카메라, 전자 수첩 등에 대해, 백라이트(207)의 휘도를 올리는 것은 전력 소비의 증가로 연결되며, 배터리를 대형화하여 이것에 대응할 것인가, 또는, 사용 가능 시간이 짧아지는 것을 용인할 것인가라고 하는 선택에 직면하게 되어, 박형경량화(薄型輕量化)와 연속 사용시간의 장시간화가 요구되는 상기 제품에 대해, 상기한 대응은 시장의 요구에 역행한다.
그 때문에, 상기한 충격 흡수를 가능하게 하면서, 옥외 등에 있어서의 시인성의 향상을 얻을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보호 패널(210)과 디스플레이 패널(200)간의 간격 G에, 투명한 실리콘 겔을 충전하는 등으로 공기층을 대신해 실리콘 겔을 완충층으로 형성함으로써, 충격의 흡수를 가능하게 하면서 공기층을 없애 보호 패널의 굴절률과, 상기 간격에 배치된 실리콘 겔의 굴절률을 가까워지게 해,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면에 있어서의 광학 특성의 저하나 화질의 열화를 방지하는 것도 제안되고 있다(특허 문헌 1의 종래 기술).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보호 패널(210)과 실리콘 겔 사이, 및/또는 디스플레이 패널(200)과 실리콘 겔 사이에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각각을 맞춰 붙이는 것이 어렵고, 기포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제품의 모양이 나쁠 뿐만 아니라,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면 측에 부분적인 광학 특성의 저하가 생기기 때문에 시인성의 저하가 생긴다.
이러한 기포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 패널(200)과 보호 패널(210)간에, 완충층으로서 가소제(可塑劑) 함유의 폴리머(polymer)로 이루어지는 투명수지 시트(약 접착성의 투명 수지 시트)를 접착할 때에, 투명 수지 시트와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 투명 수지 시트와 투명 보호 패널 사이의 한쪽, 또는 양쪽에, 물, 특히 증류수나 이온 교환수나 초순수(超純水, ultrapure water), 또는 물?알코올 혼합액 등의 휘발성 액체를 배치한 상태로, 액정 패널의 시인 측과 투명 보호 패널을 밀착시키는 것도 제안되고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일본 특개평 9-197387호 공보 일본특개 2007-238754호 공보
이상과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과 투명 보호 패널간에 실리콘 겔 등을 충전해 공기층을 배제한 구성에서는, 굴절률의 상위 등에 따라 발생하는 광학 특성의 저하나 화질의 열화의 발생을 경감할 수 있지만, 접착 시에 공기가 들어가기 쉽고, 이것에 의해 접합면에 기포가 발생한다고 하는 새로운 과제가 생긴다.
이것에 대해, 상기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약점착성의 투명 수지 필름 사이, 및/또는 투명 보호 패널과 투명 수지 필름 사이에, 물 등의 휘발성 액체를 배치함으로써, 이것들 사이에 기포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여기서, 특허 문헌 1에서 예정하는 수서입력식(手書入力式)의 입출력 단말이나 자동차 내비게이션 시스템(특허 문헌 1의 「0032」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처럼, 비교적 소형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대상으로 한다면, 물 등의 휘발성 액체를 배치하는 것으로 기포의 발생을 억제할 수도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투명 보호 패널을 접착하는 대상이 예를 들면 큰 화면 TV 등의 비교적 대형 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 단지 물 등의 휘발성 액체를 접착면에 배치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 만으로는, 기포의 발생을 완전하게는 방지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이러한 기포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이 기포를 제거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투명 보호 패널 상에서 헤라(ヘラ)를 꽉 누르는 등으로 해서, 투명 보호 패널의 주연(周緣) 측으로 기포를 훑어내는 작업이 필요하는 등, 번잡한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가소제 함유 폴리머로부터 이루어진 약 점착성의 점착 시트와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투명 보호 패널 사이에 도입된 물 등의 휘발성 액체가, 접착시의 압력에 의해 접착면에서 밀려 나오던지, 또는, 접착면에 남았을 경우라도, 증발 등에 의해 접합면에서 제거되는 것이 전제가 되고 있지만, 휘발성 액체의 휘발은 패널의 주연부에서 행해지기 때문에, 패널의 주연부의 휘발성 액체가 증발해 이 부분에서 점착 시트가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보호 패널의 표면에 직접 접착되면, 그 안쪽에 남는 휘발성 액체는 도망갈 장소를 잃어 증발 하기 어려워지고, 오랜 기간에 걸쳐 접착면에 남게 되어, 특히, 상기한 것처럼 큰 화면 TV 등의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보호 패널의 접착을 실시하는 경우, 중앙 부분에 도입된 휘발성 액체는 증발하지 않고 접합면에 장시간 남아 있을 수 있다.
그 때문에, 이러한 휘발성 액체를 사용해 접착을 실시하는 경우, 휘발성 액체가 부분적으로 남으면, 휘발성 액체의 잔류 부분과 휘발성 액체가 제거된 부분이 육안에 의해 확인되며, 모양이 나쁠 뿐만 아니라, 각 부분에서 광학 특성에 차이가 생기며 표시되는 화상(畵像)의 열화 등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기포의 발생을 방지하고, 또는, 접착면에 남은 물의 제거를 완전하게 실시하자고 하면, 예를 들면 투명 보호 패널을 접착한 후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압력용기 내에 넣어 이 압력용기 내를 진공 흡착하여 기포나 물을 제거하거나, 또는, 투명 보호 패널의 접착 작업 자체를 진공 하에서 실시하도록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온도를 비교적 낮은 온도로 유지한 채로 물 등을 증발시킬 수 있지만, 장치 구성이 대규모가 되어 엄청난 초기 투자가 필요해질 뿐만 아니라, 진공 하에 두는 것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서 데미지를 줄 우려가 있다.
게다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높은 시인성을 확보하고자 한다면, 상기한 공기층을 대신해 완충층이 되는 투명 수지 시트 자체의 투명성도 높은 것이 요구되며, 이러한 수지로서 아크릴계 수지의 점탄성체의 사용도 시야에 들어온다.
그러나, 아크릴계의 점탄성체에서는, 이것을 보호 패널, 특히 아크릴성의 보호 패널에 접착하면, 미세한 기포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 현상은, 아크릴계의 점탄성체에 가교제로서 사용되고 있는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 디페닐 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MDI) 등의 미가교 성분인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와 보호 패널의 수산기(아크릴 수지에 포함되는 수분)와의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것이라고 생각되며, 이소시아네이트기(基)는 물과 반응해 카바민산(carbamine酸)이 되어, 탄산 가스를 발생해 아민(amine)을 형성한다. 기포는, 이 반응 시에 생긴 탄산 가스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렇다면, 시인성의 향상을 얻기 위해서 아크릴계 수지의 점탄성체와의 접착도 시야에 넣고 생각할 경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물의 사용이, 오히려 기포의 발생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이상의 점에 비추어 보면, 본 발명의 발명자 등은, 기포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탈기조제(脫氣助劑)로서 소수성(疎水性)의 포화 지방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저분자의 액상인 겔의 사용을 시도했다.
그러나, 물(점도 1cps:20℃)과 비교해 점성이 높은 상기한 액상인 겔(일례로서 10~100cps)을 탈기조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면 도 15(A)~(C)에 나타나 있듯이 한쪽의 패널(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표면 중앙부에 탈기조제를 배치하고, 이것에 다른 쪽의 패널(예를 들면 투명 보호 패널(210))을 서로 겹쳐서 압압하여, 양패널(200, 210)의 주연방향으로 탈기조제를 밀어 내면서 공기의 배출을 시도해봐도, 도 15(C)에 나타나 있듯이 탈기조제가 공기를 말려 들어가게 해 버려, 공기를 완전하게 배출하지 못하고, 기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없었다. 특히, 처리 대상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대형화하면 할수록, 이러한 기포의 발생이 생기기 쉽다.
게다가, 일단 기포가 발생하면, 발생한 기포는 점성이 높은 탈기조제 내를 이동하기 어렵고, 상술했듯이 헤라 등에 의해 기포를 패널의 주연 측을 향해 훑어내는 등의 작업도 곤란해진다.
그 때문에, 이러한 점성 액체를 탈기조제로서 사용한 경우라도, 기포를 발생시키지 않고 접착을 실시할 수 있는 패널 접착 방법 및 패널 접착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이상에서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보호 패널을 접착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서도 보호 패널을 접착하고자 했을 경우에는 같은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창안된 것이며, 비교적 간단한 구성이면서, 한쪽의 패널에 투명한 점탄성체에 의한 완충층이 형성된 패널을 맞춰 붙이는 것을, 점성이 비교적 높은 탈기조제를 사용하고, 또한, 대기압 하에서 실시했을 경우라도, 기포의 발생이 없고, 또한, 큰 화면 TV등의 대형의 디스플레이에 대해서도 비교적 용이하게 보호 패널의 접착을 실시할 수 있는 보호 패널의 접착 장치, 및 접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에,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서 사용하는 부호와 함께 기재한다. 이 부호는, 특허 청구 범위의 기재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의 기재와의 대응을 분명히 하기 위한 것이며, 말할 필요도 없이, 본원 발명의 기술적 범위의 해석에 제한적으로 이용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패널의 접착 방법은,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착하는 바람직하게는 경질의 투명 보호 패널의 적어도 어느 쪽이든 한쪽의 접착면에, 투명의 점탄성체로 된 완충층을 형성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투명 보호 패널을 접착대상으로 하는 패널 접착방법에 있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투명 보호 패널의 어느 쪽이든 한쪽인 제1패널(40)의 한쪽 끝변(40a)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투명 보호 패널의 한쪽인 제2패널(50)의 한쪽 끝변(50a)을 접촉, 또는 탈기조제의 충전 간격 δ을 개입시켜 근접 배치 함과 동시에, 상기 제1패널(40)의 다른 끝변(40b)과 상기 제2패널(50)의 다른 끝변(50b)을 소정의 간격을 개입해 이간(離間)시켜 상기 제1패널(40)의 접착면과 상기 제2패널(50)의 접착면이 소정의 예각(銳角)(도시의 예에서는 20°)이 되도록 상기 제1패널(40)상에 상기 제2패널(50)을 배치한 접착 개시 위치[도 1(C) 참조]에 상기 제1, 제2패널(40, 50)을 배치하고,
상기 제1, 제2패널(40, 50)간에 있어서 10~100cps의 점도를 가지는 상기 탈기조제를 상기 제1패널(40)상에 계속 도입하여, 상기 제2패널(50)의 상기 다른 끝변(50b)을 상기 제1패널(40)의 상기 다른 끝변(40b)에 서서히 가까워지게 해 상기 제1패널(40)과 상기 제2패널(50)이 상기 탈기조제를 개입시켜 서로 겹치는 접착 완료 위치[도 1(C) 참조]에 상기 제2패널(50)을 요동시켜 접착을 실시하며, 이 접착 때,
상기 제1패널(40)을 해(該) 제1패널(40)의 상기 다른 끝변(40b) 측을 수직 방향으로 수평 방향의 위쪽, 즉, 상기 다른 끝변(40b) 측이 위를 향하도록 경사시킨 상태로 하고,
상기 제1, 제2패널(40, 50) 사이에 있어서 상기 탈기조제의 도입을, 상기 접착 개시 위치에 있어 상기 제1패널(40)의 상기 한쪽 끝변(40a) 측에서 개시해, 상기 제2패널(50)의 상기 다른 끝변(50b)을 상기 제1패널(40)의 상기 다른 끝변(40b)으로 가까워지게 함에 따라, 상기 탈기조제의 도입 위치를 상기 제1패널(40)의 상기 다른 끝변(40b) 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청구항 1).
상기의 패널 접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패널(40)의 경사각은, 4°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각이 4°이하이면 탈기가 불완전하게 이루어지기 쉽고, 게다가 적층시간(積層時間)도 2~3배가 된다(청구항 2).
또한, 상기 탈기조제의 도입 위치를, 상기 제1패널(40)의 상기 한쪽 끝변(40a)의 긴 길이 방향 중앙부와 상기 다른 끝변(40b)의 중앙부간에서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3).
이 경우, 상기 제2패널(50)의 상기 한쪽 끝변(50a)과 직교 방향을 이루는 상기 제2패널(50)의 중앙부C(도 12, 13 참조) 측이 아래를 향하여 팽출한 것처럼 휘게 한 상태로 상기 제2패널(50)을 요동시키는 것도 효과적이다(청구항 4).
상기 탈기조제의 도포 두께는 40μm이상으로(청구항 5), 탈기 효과인 탈기조제의 유동 촉진을 얻기 위해서는 100~600μm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완충층을 이루는 점탄성체를 아크릴계 수지 또는 우레탄계 수지로 하여 두께는 10~1000μm로, 고정성때문에 바람직하게는 50~600μm이다. 이 점탄성체의 표면에 탈기보조의 통로로서 깊이 4μm이하, 폭 8μm이하의 V자 모양의 구조(溝條)를 간격 0. 5~3 mm로 형성해도 좋고, 이 때의 타흔(打痕)의 패턴은 세로 방향, 가로 방향으로 직교하는 것이어도 좋다. 상기 탈기조제는 소수성의 포화 지방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저분자의 액상으로 할 수 있다(청구항 6).
또, 상기 패널 접착 방법으로 사용되는 본 발명의 패널 접착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면에 접착되는 경질의 투명 보호 패널의 어느 쪽이든 한쪽의 접착면에, 투명의 점탄성체로 된 완충층이 형성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투명 보호 패널과의 접착에 사용하는 패널 접착 장치(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투명 보호 패널의 어느 쪽이든 한쪽인 제1패널(40)을, 동 제1패널(40)의 한쪽 끝변(40a)에 대해서 다른 끝변(40b)이 상기 위를 향하도록 경사시킨 자세로 재치(載置) 가능한 재치대(20)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투명 보호 패널의 다른 쪽인 제2패널(50)을 보관 유지하는 유지 테두리(30)와,
상기 제1패널(40)의 한쪽 끝변(40a)과, 상기 제2패널(50)의 한쪽 끝변(50a)을 접촉 또는 탈기조제의 충전 간격 δ을 개입시켜 근접 배치 함과 동시에, 상기 제1패널(40)의 다른 끝변(40b)과 상기 제2패널(50)의 다른 끝변(50b)을 소정의 간격을 개입해 이간시키고 상기 제1패널(40)의 접착면과 상기 제2패널(50)의 접착면이 소정의 예각 (도시의 예에서는 20°)이 되도록 상기 제1패널(40)상에 상기 제2패널(50)을 배치한 접착 개시 위치와, 상기 제2패널(50)의 상기 다른 끝변(50b)을 상기 제1패널(40)의 상기 다른 끝변(40b)으로 가까워지게 해 상기 제1패널(40)과 상기 제2패널(50)이 상기 탈기조제를 개입시켜 서로 겹치는 접착 완료 위치 사이에서 상기 유지 테두리(30)를 요동 가능하게 축지(軸支)하는 유지 테두리 축지 기구(80)와,
상기 유지 테두리(30)을 상기 접착 개시 위치로부터 상기 접착 완료 위치로 요동시키는 유지 테두리 요동 기구(90)와,
상기 탈기조제를 분사하면서, 상기 유지 테두리 요동 기구(90)에 의한 상기 유지 테두리의 요동 량에 따라 상기 재치대(20)에 재치된 상기 제1패널(40) 상을 동 제1패널(40)의 상기 한쪽 끝변(40a) 측으로부터 다른 끝변(40b)으로 향해 이동하는 분사노즐(60)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청구항 7).
상기 구성의 패널 접착장치(1)에 있어서, 또한, 상기 재치대(20)를, 상기 제1패널(40)을 수평으로 재치하는 수평위치와, 상기 제1패널(40)의 끝변(40a)에 대해서 다른 끝변(40b)이 상기 위를 향하도록 경사시킨 자세로 재치하는 경사 위치간에서 자세 변화시키는 자세 변화 기구(7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8).
또, 상기 분사노즐(60)을, 상기 제1패널(40)의 상기 한쪽 끝변(40a)과 직교 방향을 이루는 제1패널의 중심선상을 이동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9).
이 경우, 상기 유지 테두리(30)가 상기 접착 개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패널(50)의 상기 한쪽 끝변(50a)과 직교 방향을 이루는 상기 제2패널(50)의 중앙부C가 자중(自重)에 의해 아래를 향해 팽출한 상태로 휘도록 상기 제2패널을 보관유지하는 보관 유지 기구를 상기 유지 테두리에 설치할 수도 있다(청구항 10).
또한, 상기 유지 테두리(30)를, 또한, 상기 제2패널(50)의 보관 유지면을 위로 향한 준비 위치와, 상기 접착 개시 위치 간에서 요동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으로해도 좋다(청구항 11).
이상 설명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패널 접착 방법에 의하면, 어느 쪽이든 한쪽에 투명 점탄성체로 된 완충층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과 투명 보호 패널간의 접착을, 대기압 하에서, 또한, 10~100cps의 점도를 가지는 탈기조제를 사용했을 경우라 하더라도,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매우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었다.
특히, 제1패널(40)의 경사각을 4°이상으로 한 경우에는, 기포의 발생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었다.
탈기조제의 도입 위치를, 상기 제1패널(40)의 상기 한쪽 끝변(40a)의 긴 길이방향 중심 측으로부터 상기 다른 끝변의 중심 측을 향해 이동시킨 구성에 있어서는, 제2패널의 요동에 따라 도입된 탈기조제가 제1, 제2패널(40, 50)의 한쪽 끝변(40a, 50a) 측으로부터 다른 끝변(40b, 50b) 측으로 밀어 내질 뿐만 아니라, 중앙 측으로부터 폭 방향의 양단 측을 향해 밀어내는 작용도 가해지는 것으로, 공기를 매우 적합하게 밀어낼 수 있었다.
특히, 상기 탈기조제의 도입 위치에 더해서, 제2패널(50)의 상기 한쪽 끝변과 직교 방향을 이루는 중심C를 아래를 향해 팽출한 것같이 휜 상태로 상기 제2패널(50)을 요동시킨 구성에 있어서는, 제2패널(50)이 제1패널(40)상에 재치되어 제2패널의 휘어짐이 해소되어 평탄한 형상으로 돌아옴에 따라, 상기한 탈기조제를 양 패널의 중앙 측으로부터 폭 방향의 양단 측으로 밀어내는 작용을 보다 매우 적합하게 발휘시킬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완충층을 이루는 점탄성체를 아크릴계의 수지로 하고, 상기 탈기조제를 소수성의 포화 지방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저분자의 액상으로 했을 경우에는, 상기한 탄산 가스에 의한 기포의 발생도 없고, 또한, 접착 종료 후, 탈기조제가 완충층에 흡수되어 겔화 함으로써, 제1, 제2패널(40, 50)간의 매우 적합한 접착력을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완충층과 탈기조제와의 사이의 구조상의 절단이 없어져,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면에 있어서의 광학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었다.
또, 본 발명의 패널 접착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한 구성에 의해, 상기한 본 발명의 패널 접착 방법을 비교적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었다.
특히, 재치대를 수평 위치와 상기 제1패널(40)의 경사한 재치를 가능하게 하는 경사 위치간에서 자세 변화시키는 자세 변화 기구를 설치한 구성에 있어서는, 제1패널(40)을 경사시킨 상태에서 양 패널의 접착을 실시한 후, 제1패널(40)이 수평이 되는 위치에 재치대의 자세를 변화시킴으로써, 탈기조제가 경화하기 전에 유지 테두리(30)에 의한 제2패널(50)의 보관 유지를 해제했을 경우라 하더라도, 제2패널(50)이 중력에 의해 상기 경사를 따라 미끄러지는 등으로 인하여 양 패널간에 위치 차이가 생기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도 매우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유지 테두리(30)를 상기 제2패널의 보관 유지면을 위로 향한 준비 위치와, 상기 접착 개시 위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한 구성에 있어서는, 준비 위치에 있어 유지 테두리(30)상에 제2패널(50)을 재치한 상태로 설치 작업을 행할 수 있으며, 유지 테두리(30)에 대한 제2패널(50)의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패널 접착 방법의 설명도이며, (A)는 사전 준비로서 실시하는 완충층의 형성예, (B)는 접착 대상으로 하는 2매의 패널을 접착 개시 위치로 한 상태, (C)는 접착 종료 위치로 한 상태를 각각 가리킨다.
도 2는 기포의 발생 원인과 그 해소 방법을 설명한 모식도이며, (A), (B)는, 탈기조제의 도입 위치의 이동 유무에 따른 기포의 발생 유무의 설명도, (C), (D)는 제1패널의 경사의 유무에 따른 기포의 발생 유무의 설명도.
도 3은 패널 접착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패널 접착 장치의 정면도.
도 5는 패널 접착 장치의 측면도.
도 6은 패널 접착 장치의 사시도.
도 7은 재치대와 유지 테두리 요동 기구인 (A)는 평면도, (B)는 표면측에서 본 사시도, (C)는 저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8은 유지 테두리의 사시도.
도 9는 진공 흡인 패드(유지 테두리의 패널 보관 유지 기구)의 개략 정면도.
도 10은 접착 개시까지의 준비 단계를 설명한 플로우(flow)도.
도 11은 접착 개시부터 접착 완료까지를 설명한 플로우도.
도 12는 유지 테두리의 패널 보관 유지 기구(진공 흡인 패드)에 있어서 제2패널에 휘어짐이 생기는 원리의 설명도.
도 13은 제2패널의 요동에 따른 탈기조제의 확대를 설명한 설명도.
도 14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보호 패널의 접착 상태의 설명도(종래).
도 15는 점성이 높은 탈기조제를 사용했을 경우에 있어서의 기포의 발생 예의 설명도.
이하에, 본 발명의 매우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패널 접착 방법 및 패널 접착 장치를, 액정 디스플레이의 액정 셀(디스플레이 패널)과 투명 보호 패널을 접착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액정 디스플레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의 그 외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서 투명 보호 패널을 접착할 때에도 적용할 수 있다.
[패널 접착 방법의 개설]
상기한 것처럼, 본 발명의 패널 접착 방법은,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투명 보호 패널을 접착할 때, 종래, 완충용으로 설치되고 있던 공기층을 대신해 투명의 점탄성체에 의한 완충층을 설치한 상태로 양 패널을 접착하기 위한 접착 방법이며, 사전에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착하는 경질의 투명 보호 패널의 어느 쪽이든 한쪽의 접합면에, 투명의 점탄성체로 된 완충층이 형성된 것을 접합의 대상으로 한다.
이러한 완충층의 형성은, 어떤 방법에 의해 실시해도 좋고, 그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례로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접착 대상으로 하는 패널의 사이즈에 대응한 형상의 투명 점탄성 필름을 2매의 길이가 긴 세퍼레이터(separator) 필름 사이에 협지(挾持)해 이것을 롤(roll) 모양으로 감아두고, 이 롤을 끌어 내면서, 도 1(A)에 나타나 있듯이 투명 보호 패널에 접착함으로서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 완충층의 형성에, 아크릴계 수지의 점탄성체를 사용하여, 투명 보호 패널 측에 완충층을 형성하고 있지만, 이 완충층은, 아크릴계 수지로 한정되지 않고, 기존의 각종의 투명한 점탄성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 완충층의 형성은, 투명 보호 패널 측에 형성하는 경우로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 패널 측에 실시해도 좋다.
또, 상기 점탄성체의 표면에 탈기보조의 통로로서 깊이 4μm이하, 폭 8μm이하의 V자 모양의 구조를 간격 0. 5~3mm로 타흔(打痕) 또는 적당한 치구(治具)에 의해 압압하여 형성한다. 이 구조패턴은 세로방향, 가로방향으로 직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해,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투명 보호 패널의 어느 쪽이든 한쪽의 접착면에 대해, 완충층을 형성한 후, 디스플레이 패널과 투명 보호 패널과의 접착을 실시한다.
접착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투명 보호 패널 중 어느 쪽이든 한쪽을 제1패널(40)로 하고, 이 제1패널(40)을 한쪽 끝변(40a)에 대해 다른 끝변(40b)을 수직 방향에서 수평 방향의 윗쪽, 즉, 상기 다른 끝변(40b) 측이 위를 향하도록 도 1(B)에 나타나 있듯이, 4°이상의 경사각, 도시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20°의 경사각으로 배치한다.
그리고, 이 제1패널(40)상에,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투명 보호 패널의 한쪽인 제2패널(50)을, 제1패널(40)의 한쪽 끝변(40a)과, 제2패널(50)의 한쪽 끝변(50a)을 접촉시킨 상태, 또는, 후술하는 탈기조제의 충전 간격 δ을 개입시켜 근접 배치한 상태로, 또한, 상기 제1패널(40)의 다른 끝변(40b)과 상기 제2패널(50)의 다른 끝변(50b)을 소정의 간격을 개입해 이간시키고 상기 제1패널(40)의 접착면과 상기 제2패널(50)의 접착면이 소정의 예각(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20°)이 되는 위치(접착 개시 위치)로 배치한다.
그리고, 제1, 제2패널(40, 50)간에 있어 10~100cps의 점도를 가지는 상기 탈기조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일례로서 소수성의 포화 지방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저분자의 액상을 제1패널(40)상에 도입하면서, 제2패널(50)의 다른 끝변(50b)을 상기 제1패널(40)의 다른 끝변(40b)로 서서히 가까워지게 해 제2패널을 요동시켜, 최종적으로, 도 1(C)에 나타나 있듯이 상기 제1패널(40)과 상기 제2패널(50)이 상기 탈기조제를 개입시켜 서로 겹치는 접착 완료 위치까지 요동시킨다.
이 때, 제1, 제2패널(40, 50) 사이에 대한 상기 탈기조제의 도입은, 상기 접착 개시 위치[도 1(B) 참조]에서 상기 제1패널(40)의 상기 한쪽 끝변(40a) 측으로부터 개시해, 상기 제2패널(50)의 상기 다른 끝변(50b)을 상기 제1패널(40)의 상기 끝변(40b)으로 가깝게 함에 따라, 이 도입 위치를 상기 제1패널(40)의 상기 다른 끝변(40b) 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상과 같이, 제2패널(50)을 요동 시키면서 접착을 실시함으로써, 제1패널(40)상에 도입된 탈기조제는, 제2패널(50)에 의해 눌려 으깨지면서 공기와 함께 제1패널(40)의 다른 끝변(40b) 측을 향해 밀어 내져, 공기의 배출이 실시된다.
여기서, 기포가 말려 들어가는 것이 생기는 원인을 생각하면, 이처럼 기포가 말려 들어가는 것은, 패널(40, 50)간에 존재하는 공기가 배출되기 전에 탈기조제와 패널의 접착면이 접촉함으로서 공기가 도망갈 길을 잃는 것에 의해 생긴다.
그 때문에, 상기 본원 발명의 구성과 같이, 제2패널(50)을 접착 개시 위치로부터 접착 완료 위치로 서서히 요동시키는 구성을 채용한 것만으로, 탈기조제의 도입 위치를 이동시키는 일 없이 예를 들면 접착면에 대해서 미리 탈기조제를 도포 한 상태에서 실시하면, 도 2(A)에 나타나 있듯이 점성이 높은 탈기조제의 표면에 생긴 요철 등에 의해 공기의 도망갈 길이 탈기조제에 의해서 막혀 버리는 경우가 있어, 공기가 말려 들어가는 것을 완전하게 방지하는 것이 어렵다.
그러나, 본원 발명에서는, 상기한 것처럼, 제2패널(50)을 서서히 요동시켜 제1패널(40)에 접착하는 구성에, 추가적으로 탈기조제의 도입 위치를 이동시키는 구성을 채용함에 따라, 도 2(B)에 나타나 있듯이 탈기조제나 공기를 밀어내는 방향 전방(前方)(도면 중 우측)에는 아직도 탈기조제가 존재하고 있지 않고, 그 결과, 공기의 도망갈 길이 탈기조제에 의해 막히는 일이 없기 때문에, 도 2(A)에서 설명한 원리로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제2패널(50)의 접착면, 예를 들면 제2패널에 설치한 완충층의 표면에 요철이 생기는 경우, 도 2(C)에 나타나 있듯이, 상기 제2패널(50)의 요동과 탈기조제의 도입 위치의 이동을 조합해 접착을 실시했을 경우라 하더라도, 제1패널(40)을 수평인 상태로 해서 접착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탈기조제가 제1패널(40)상에 쌓여 갈 때에, 철부(凹部)의 하단 개구연(開口緣)을 막아 버려, 철부 내의 공기를 배출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본원 발명의 방법에서는, 도 2(D)에 나타나 있듯이 상기 구성에 더해, 또한 제1패널(40)을 경사시킨 상태로 접착을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제2패널(50)의 접착면에 요철이 생김에 따라 공기가 고일 수 있는 공간이 생기는 경우라 하더라도, 탈기조제가 제1, 제2패널(40, 50) 사이의 간격을 채워 갈 때에 공기를 공간으로부터 내쫓아 윗쪽으로 도피시킬 수 있어, 이러한 상황에 있어서도 공기가 말려 들어가는 것이 생기기 어렵도록 되어 있다.
[패널 접착장치]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패널 접착 방법은, 일례로서 이하의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의 패널 접착 장치(1)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패널 접착 장치의 전체 구성
도 3~6에 있어서, 부호 1은,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동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면에 접착되는 유리판이나 아크릴판 등의 투명 보호 패널을 접착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패널 접착 장치이며, 이 패널 접착 장치(1)는, 각 구성 부재의 지지 구조 부재인 프레임(10)과 이 프레임(10)상에 설치된 재치대(載置台; 20)를 갖춤과 동시에, 상기 재치대(20)상에 재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투명 보호 패널의 어느 쪽이든 한쪽인 제1패널 (도시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 패널)(40)에 대해서 접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투명 보호 패널의 다른 편인 제2패널 (도시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투명 보호 패널)(50)을 보관 유지하기 위한 유지 테두리(30), 및, 접착되는 제1, 제2패널(40, 50) 사이에, 점도 10~100cps의 탈기조제를 도입하는 분사노즐(60), 그 외, 이러한 각 부에 필요한 동작을 실시하게 하기 위해 필요한 기구를 갖추고 있다.
프레임
상기한 프레임(10)은, 본 발명의 패널 접착 장치(1)인 구성부품의 소정의 배치와 설치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면 어떤 구성의 것으로 해도 좋지만, 도시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일례로서 금속제의 빔재(beam材)를 조합해 형성한 틀로서 이 프레임(10)을 형성하고 있다.
도시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 프레임(10)에는, 재치대(20)가 재치되어 패널의 접착 작업을 실시하는 접착 작업부(11)와 후술하는 유지 테두리(30)에 대해서 제2패널(50)의 설치 작업을 실시하는 준비 작업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시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힌지(13)를 개입시켜 준비 작업부(12)를 구성하는 빔재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 준비 작업부(12)를 불요 시에는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도 4 참조).
재치대
프레임(10)의 상기 접착 작업부(11) 상에는, 상기한 제1패널(40)을 재치하는 재치대(20)가 설치되고 있다.
이 재치대(20)는, 제1패널(40)을 재치대(20)상의 소정의 위치에 정확하게 재치할 수 있도록, 제1패널(40)의 재치면에 위치 결정편(21) 등을 설치해도 좋고(도 3, 6 참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패널(40)의 다른 끝변(40b)을 이 위치 결정편(21)과 접촉시켜 재치함으로써, 재치대(20) 상의 정확한 위치에 제1패널(40)을 배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위치 결정편(21)은, 접착 대상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인치수(inch數)등에 의해 정해지는, 제1패널(40)의 사이즈에 대응해 그 설치 위치를 가변(可變)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재치대(20)의 한쪽 끝변(20a) 측은, 도 4 중의 확대도에서 가리키듯이 프레임(10)의 접착 작업부(11)상에 지축(支軸; 22)을 개입시켜 요동 가능하게 축지 되어 있으며, 이 재치대(20)의 자세를 도 2에 나타나 있듯이 상기 재치대(20)의 상기 한쪽 끝변(20a)과 대향하는 다른 끝변(20b) 측을 상기 위를 향하도록 하여 경사시킨 경사 위치와 프레임(10)의 표면과 평행을 이루는 수평 위치로 요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져 있음과 동시에, 이 재치대(20)를 요동시켜, 재치대(20), 따라서 재치대(20)상에 재치되는 제1패널(40)의 자세를 변화시키는 자세 변화 기구(70)(도 5, 6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자세 변화 기구
상기한 재치대(20)의 자세를 변화시키는 자세 변화 기구(70)는, 재치대(20)의 자세를 프레임(10)의 윗면에 대해 평행을 이루는 위치(0°)로부터, 재치대(20)의 다른 끝변(20b) 측을 상기 위를 향하도록 한 소정의 각도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최대 20°)의 범위로 경사시킴과 동시에, 각 위치에 있어서 재치대(20)의 자세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구성의 것이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 자세 변화 기구(70)로서, 2개의 빔(71a, 71b)의 중간 위치를 지축(71c)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축지 한 X자 모양 암(arm)(71)과 핸들(72), 및 핸들(72)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X자 모양 암(71)의 빔(71a, 71b)의 하단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키는 나사대(screw rod)(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성되어, 상기 핸들(72)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X자 모양 암(71)을 구성하는 빔(71a, 71b)의 하단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X자 모양 암(71)의 전체 높이(全高)를 변화시켜, 이것에 의해 X자 모양 암(71)의 상단에서 재치대(20)의 다른 끝변(20b) 측에 있어서 이면(裏面)을 밀어 올리거나,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상기한 범위에 있어서 재치대(20)의 자세를 변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유지 테두리
이상과 같이 구성된 재치대(20)상에 재치된 제1패널(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 패널)(40)에 있어서 접착되는 제2패널(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투명 보호 패널)(50)을 보관 유지하는 유지 테두리(30)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8에 나타나 있듯이 직사각형(矩形) 모양으로 짜여진 틀(31) 내에, 격자 모양으로 지지간(支持杆)(32) 및 보강간(補强杆)(33)을 설치한 구조를 가지며, 이 지지간(32)의 소정 위치에, 도 9에 나타난 진공 흡인 패드(34)를 설치함으로써, 제2패널(50)을 보관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도시한 구성에서는, 소정의 배열로 복수 장착된 진공 흡인 패드(34)군(群)에 의해 제2패널(50)의 보관 유지 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 진공 흡인 패드(34)의 탈기구(34a)는, 도시하지 않은 호스 등을 개입시켜 진공펌프(38)로 연통되어 있고, 진공펌프(38)에 의한 흡인에 의해 고무 등의 가효성 재료에 의해서 형성된 스커트부(34b) 내의 공기가 흡인되게끔 되어 있어, 이 스커트부(34b)에 제2패널(50)의 접착면과 반대측의 면을 꽉 누른 상태로 진공펌프(38)에 의한 흡인을 실시하는 것으로, 제2패널(50)을 흡착 보관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유지 테두리(30)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4 및 도 6에 나타나 있듯이 준비 작업부(12) 쪽의 접착 작업부(11)상에 설치된 유지 테두리 축지기구(80)에 의해, 제2패널(50)의 설치면을 위를 향하도록 하여 상기 준비 작업부(12)상에 재치된 준비 위치, 도 4에 나타내는 접착 개시 위치, 및, 상기 접착 개시 위치로부터 상기 재치대(20)를 향해 요동하여, 제1패널(40)과 제2패널(50)의 접착이 완료되는 접착 완료 위치로 각각 요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시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한 유지 테두리(30)의 축지 기구(80)로서 프레임(10)에 설치된 기대(基台)(81)와 동 기대(81)에 대해서 제1지축(82)을 개입시켜 한쪽 끝을 요동 가능하게 축지된 연결 암(83)을 갖추고, 이 연결 암(83)의 다른 끝에 제2지축(84)을 개입시켜 상기한 유지 테두리(30)의 한쪽 끝변(30a) 측의 단부를 요동 가능하게 축지함으로써, 상기 제1지축(82)을 중심으로 해서 유지 테두리(30)를 연결 암(83)과 함께 요동시키는 것으로 유지 테두리(30)를 상기 준비 위치로부터 접착 개시 위치로 요동시킬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상기 제2지축(84)을 중심으로 한 유지 테두리(30)의 요동에 의해 유지 테두리(30)가 상기 접착 개시 위치로부터 접착 종료 위치로 요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유지 테두리 요동 기구
상기한 제1지축(82)를 중심으로 하여 유지 테두리(30)를 요동 시켰을 때, 유지 테두리(30)를 상기한 접착 개시 위치, 즉, 상기 재치대(20)의 한쪽 끝변(20a) 측에 배치된 제1패널(40)의 상기 한쪽 끝변(40a)과 유지 테두리(30)의 한쪽 끝변(30a) 측에 배치된 제2패널(50)의 한쪽 끝변(50a)을 접촉 내지는 탈기조제의 충전 간격 δ을 개입시켜 근접 배치된 상태에서, 또한, 양패널(40, 50)의 다른 끝변(40b, 50b) 간을 이간하여 제1패널(40)의 접착면과 제2패널(50)의 접착면이 소정의 예각(도시의 예에서는 20°)을 이루도록 배치된 위치로 할 수 있도록, 준비 작업부(12)상에 재치된 상태로부터, 도 4 중 시계 회전 방향으로 유지 테두리(30)를 요동시키면, 이 유지 테두리(30)의 다른 끝변(30b) 측에 설치한 롤러(roller) 모양의 돌기(35)(도 8 참조)가, 유지 테두리 요동 기구(90)에 설치된 승강대(93)[도 7(B), (C) 참조]상에 재치되어 유지 테두리(30)를 상기한 접착 개시 위치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유지 테두리 요동 기구(90)는, 유지 테두리(30)를 상기한 접착 개시 위치와 접착 종료 위치 사이에서 요동시키는 것으로, 유지 테두리(30)에 이 동작을 실시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면 어떤 구성의 것이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7(B), (C)에 나타나 있듯이 상기한 재치대(20)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대칭 위치에, 재치대에 대해서 직교 방향의 길이 방향을 가지는 가이드 레일(91, 91)을 배치함과 동시에, 이 가이드 레일(91, 91)에 따라 승강 이동하는 승강판(92, 92)을 각각 설치하고, 동 승강판(92, 92)의 상단에, 각각 한쪽의 승강판 측을 향해 선반 모양의 판체를 밀어내어 이것을 유지 테두리(30)에 설치한 돌기(35)를 재치하는 승강대(93)로 하였다.
그리고, 재치대(20)의 이면 측에 있어 상기 승강판(92, 92)의 하단 간을 가교판(94)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재치대(20)의 이면 측에 있어 상기 가이드 레일(91, 91)의 하단 사이에 대해서도 가교간(架橋杆; 95)으로 연결해, 상기 가교간(95)에 설치된 공기압 실린더(96)의 피스톤 로드(piston rod)(96a)를 상기 가교판(94)에 연결하는 것으로, 공기압 실린더(96)에 대한 압축 공기의 도입?배출을 제어함으로써, 승강대(93)를 승강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하여 승강대(93)를 승강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승강대(93)상에 재치된 돌기(35)를 개입시켜 유지 테두리(30)에 대해서도 요동시킬 수 있는 구조가 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 유지 테두리 요동기구(90)에 상기한 승강대(93)가 이동 상한 위치, 및 이동 하한 위치에 있는 것을 검지하는 도시하지 않은 위치 센서를 승강대(93)의 위치 검출 수단으로서 설치하고 있다.
이 위치센서는, 승강대(93)의 위치를 직접 검지(檢知)하는 것이어도 좋고, 또는, 예를 들면 공기압 실린더(96)의 피스톤 로드의 진퇴 위치를 검지하는 등으로 해서, 승강대(93)의 위치를 검지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도 4, 도 6 중, 부호 97은 스피드 컨트롤러이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 스피드 컨트롤러(97)에 설치한 스피드 조정용 손잡이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유지 테두리(30)의 요동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분사노즐
도 7(A), (B)에 나타나 있듯이, 상기 재치대(20)의 표면에는, 상기 재치대(20)의 한쪽 끝변(20a) 및 다른 끝변(20b)에 대해 직교 방향을 이루는 끝변(20c, 20d)과 평행으로, 각각 가이드 레일(23, 23)이 설치되어 있고, 이 가이드 레일(23, 23)로 안내되어 재치대(20) 상을 이동하는 한 쌍의 슬라이더(24, 24)가 설치되어 있다.
이 한 쌍의 슬라이더(24, 24)는, 연결간(25)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이 연결간(25)의 중간 위치에, 탱크(61)(도 3~6 참조)에서 공급된 탈기조제를 제1패널(40)상에 분사하는 상기한 분사노즐(60)이 장착되어 있다.
이 슬라이더(24, 24)는, 체인과 스프로킷(sprocket), 풀리(pulley)와 풀리 벨트등의 도시하지 않은 동력 전달 기구에 의해, 모터(도시하지 않음) 등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 레일(23, 23) 상을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상기한 분사노즐(60)이, 재치대(20)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위치를, 재치대(20)의 한쪽 끝변(20a) 측과 다른 끝변(20b) 측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노즐(60)은, 분사 방향을, 재치대(20)의 한쪽 끝변(20a) 측을 향하여 배치되어져 있고, 상기한 것처럼 유지 테두리(30)가 접착 개시 위치로부터 접착 종료 위치를 향하여 요동하고 제1패널(40)과 제2패널(50)간의 간격이 좁아짐에 따라, 탈기조제의 분사 방향과 반대 방향 (재치대(20)의 다른 끝변(20b) 측)을 향해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분사노즐(60)은, 원통형으로 형성된 분사구를 설치해도 좋고, 또는, 분사 방향 전방 측을 향해 구경(口徑)을 넓히는 형상의 분사구를 설치해도 좋으며, 제1패널(40)상에 소망하는 양의 탈기조제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이면, 그 형태는 다양하게 각종의 것으로 형성하여 채용할 수 있다.
무엇보다, 접착 대상으로 하는 제1, 제2패널(40, 50)이 비교적 대형의 것인 경우 등에는, 상기한 구성 중, 선단을 향해 구경을 넓히는 분사구를 갖춘 분사노즐(60)을 사용하는 등으로 하여, 탈기조제의 도입 범위를 제1패널(40)의 폭방향으로 확대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7(A)에 나타난 분사노즐(60)의 이동 개시 위치(P1), 분사 종료 위치(P2), 이동 종료 위치(P3)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슬라이더(24)를 검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23)의 긴 길이 방향 양단 및 중간 위치 (제1패널(40)의 다른 끝변(40b)의 배치 위치에 대응한 위치)에서 가이드 레일(23)을 향해 광 센서나 자기 센서 등의 도시하지 않은 위치 검출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각 위치에 슬라이더(24)가 도달하면, 이것을 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이 위치 검출 수단의 검지 신호를 후술하는 전자 제어장치에 의한 제어 시에 이용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한 분사 종료 위치(P2)를 검출하는 센서에 대해서는, 접착의 대상으로 하는 제1, 제2패널(40, 50)의 사이즈 변경 등에 대응해, 그 위치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그 외
또한, 도 5 중 부호 38은, 도시하지 않은 공기 회로에 의해서 상기한 유지 테두리(30)에 설치된 각 진공 흡인 패드(34)에 연통된 진공펌프이며, 진공 흡인 패드(34)에 설치되어 있는 고무 등의 가효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 스커트부(34b)를 제2패널(50)의 접착면과 반대 측의 면에 대해서 접촉시킨 상태로 이 진공펌프(38)를 구동하면, 유지 테두리(30)에 대해서 제2패널(50)을 흡착?보관 유지시킬 수가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진공펌프(38)와 상기 진공 흡인 패드(34)간을 연통하는 도시하지 않은 공기 회로에는, 진공펌프(38)의 정지 후에도, 일정시간, 또는 소정의 조작을 실시하기까지의 사이, 상기 진공 흡인 패드(34)에 의한 제2패널(50)의 흡착 상태를 유지하는 안전 장치를 설치하여, 예를 들면 예상하지 않은 진공펌프(38)의 정지 등에 의해서도, 진공 흡인 패드(34)가 즉시 보관 유지력을 잃지 않고, 따라서 유지 테두리(30)에 보관 유지된 제2패널(50)이 낙하하는 등의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동 회로 내에는, 동 회로 내의 압력을 검지하는 도시하지 않은 압력 센서나 압력 스위치 등을 설치해, 진공펌프(38)을 ON으로 해도, 회로 내의 압력이 소정의 부압(負壓)이 되기까지, 즉, 제2패널(50)의 흡착이 확실히 행해질 때까지는, 경고 등의 점등이나 경고음의 발생 등에 의해 오퍼레이터에게 이후의 조작을 실시하지 않도록 경고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도 3~6 중 부호 100은 컨트롤 패널이며, 이 컨트롤 패널에 설치한 스위치류의 조작에 의해, 본 패널 접착 장치(1)의 시동, 정지 등을 실시할 수가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컨트롤 패널(100)에는, 예를 들면 각종 설정의 변경, 예를 들면 접착 대상으로 하는 패널의 사이즈 변경에 따르는 각 부의 동작 속도, 접착 보조제의 공급량의 조정 등을 행하기 위한 스위치류 등을 마련해도 좋고, 더욱이 에러 표시, 예를 들면 상기한 제2패널의 흡인 부압이 소정의 압력이 되지 않은 것 등의 경고나, 압력 자체의 표시 등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좋다.
[사용 방법 및 작용 등]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패널 접착 장치(1)를 사용한 패널의 접착은, 일례로서 이하와 같이 해서 행해진다.
사전 준비
디스플레이 패널 및 투명 보호 패널을 본 발명의 패널 접착장치(1)에 세팅할 때, 유지 테두리(30)가 예를 들면 접착 개시 위치나 접착 종료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이것을 요동시켜, 프레임(10)의 준비 작업부(12)상에 재치된 위치(준비 위치)로 이동하게 해둔다.
또, 처리 대상으로 하는 패널의 사이즈를 변경하는 경우 등, 필요하면 진공 흡인 패드(34)의 설치 위치를 이동시키는 등, 사이즈 변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해둔다.
또, 재치대(20)의 표면에 위치 결정편(21) 등이 설치되어져 있는 경우에는, 똑같이 필요에 따라서 패널의 사이즈에 대응해 위치 결정편(21)의 설치 위치를 이동시키고, 또, 분사노즐의 위치 검출 수단으로서 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중, 분사 종료 위치(P2)(제1패널의 다른 끝변의 배치 위치)에 있는 것을 검지하는 센서의 위치를, 패널의 사이즈에 대응해 이동해 둔다.
또한, 재치대(20)가 경사한 상태로 있는 경우에는, 핸들(72)을 회전시켜, 재치대(20)를 수평인 상태에 되돌려 둔다.
접착 준비
이상과 같이 해, 사전 준비가 완료된 후, 도 10에 나타난 흐름에 따라 접착 준비를 실시한다.
접착할 때, 먼저, 재치대(20)상에 제1패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 패널)(40)을 재치 함과 동시에, 유지 테두리(30)에 제2패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투명 보호 패널)(50)을 재치한다(STEP1).
여기서, 상기한 디스플레이 패널과 투명 보호 패널 중 어느 것을 제1, 또는 제2패널로 해도 무방하며,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재치대(20)상에 재치하는 제1패널(40)을 투명 보호 패널로 하고, 유지 테두리(30)로 유지하는 제2패널을 디스플레이 패널로 하는 경우에는, 접착 시에 양 패널의 주연부에서 넘쳐 나온 탈기조제가, 위쪽에 배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연부에 설치되어 있는 기판이나 배선 등을 오염시키기 어렵게 하는 메리트가 있으며, 한편, 반대로 재치대(20)에 재치되는 제1패널(40)을 디스플레이 패널로 하고, 유지 테두리(30)로 유지하는 제2패널(50)을 투명 보호 패널로 하는 경우에는, 접착 시, 및 접착 완료 후에, 투명 보호 패널을 투과해 기포의 발생의 유무 등, 접착 불량의 발생을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다 라고 하는 메리트가 있다.
따라서, 이것들을 비교 평가한 다음 어느 것을 제1 또는 제2패널로 할지를 결정해도 좋다.
재치대(20)에 대한 제1패널(40)의 재치 후, 상기한 자세 변화 기구(70)의 핸들(72)을 회전시켜, 재치된 제1패널이 4°이상의 경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20°의 각도에서 경사하도록, 재치대(20)를 경사시킨다.
이상과 같이 해, 제1, 제2패널(40, 50)의 재치가 완료한 상태로, 예를 들면 컨트롤러(100)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진공펌프(38)를 시동시키면(STEP2), 진공펌프(38)와 진공 흡인 패드(34)간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공기 회로 중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압력 센서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근거하여, 예를 들면 컨트롤 패널(100) 내에 설치한 전자 제어장치가, 동 회로 내의 압력이 소정의 진공 상태로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TEP3).
또한, 이 판단은 예를 들면 진공펌프(38)의 시동 후, 내장된 타이머가 일정시간 카운트한 후에 실시하도록 해도 좋다.
전자 제어 장치는, 압력 센서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근거해 상기한 공기 회로 내의 압력이 소정의 진공 상태로 되어 있지 않다(No) 라고 판단하면, 진공펌프(38)를 정지해(STEP4), 예를 들면 컨트롤 패널(100)에 설치한 경고등 등을 점등하는 등으로 해서, 오퍼레이터에게 경고한다.
이 경고에 근거하여, 오퍼레이터는 예를 들면 진공 흡인 패드(34)상에 올바르게 제2패널(50)이 재치되어 있는지 아닌지 등을 확인해, 필요에 따라서 제2패널(50)의 재치 위치나 진공 흡인 패드(34)의 설치 위치 등을 조정한 다음, 재차, 컨트롤 패널(100)에 설치한 스위치를 조작하는 등으로 해서 진공펌프(38)를 구동한다(STEP2).
상기 공기 회로 내의 압력이 소정의 진공 상태가 되었다고 판단하면(STEP3의 Yes), 전자 제어 장치는, 도시하지 않은 센서에 의해서 구성된 상기한 분사노즐 위치 검출 수단, 및 승강대 위치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근거해, 분사노즐(60)이 이동 종료 위치(P3)에 있는지 아닌지(STEP5) 및 승강대(93)가 상한 위치에 있는지 아닌지(STEP7)를 판단해, 각각 소정의 위치에 없는 경우에는, 분사노즐(60)이 이동 종료 위치(P3)에 도달한 것이 검출될 때까지, 분사노즐(60)을 이동 종단 위치로 향해 이동시키고(STEP6), 또, 승강대(93)가 상단 위치에 도달한 것이 검출될 때까지, 승강대(93)를 상단 위치로 향해 이동시킨다(STEP8).
이상과 같이 해, 각 부가 소정의 상태 내지는 위치에 있다고 판단하면, 전자 제어 장치는, 예를 들면 컨트롤 패널(100)에 설치한 표시등 등의 표시 수단에 의해 작업 준비의 완료를 오퍼레이터에게 알리고, 이 표시를 확인한 오퍼레이터는, 유지 테두리(30)를, 유지 테두리(30)에 설치한 롤러 모양의 돌기(35)가 승강대(93)의 표면에 접촉?재치될 때까지, 유지 테두리 축지 기구(80)에 설치한 제1지축(82)을 중심으로 유지 테두리(30)를 요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유지 테두리(30)는, 제1패널(40)의 한쪽 끝변(40a)과 제2패널(50)의 한쪽 끝변(50a)이 접촉한, 혹은 탈기조제의 충전 간격 δ인 아주 작은 간격을 개입시켜 근접 배치된 상태에서, 또한, 제1패널(40)의 다른 끝변(40b)과 제2패널(50)의 다른 끝변(50b)이 소정의 간격을 개입시켜 이격되어, 제1패널(40)의 접착면과 제2패널(50)의 접착면이 소정의 예각(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20°)을 이루는, 접착 개시 위치에 배치된다(STEP9).
또한, 진공 흡인 패드(34)에 의해 제2패널(50)을 흡착 보관 유지하도록 한 상기한 유지 테두리(30)의 구성에서는, 진공 흡인 패드(34)의 스커트부(34b)에 의해 제2패널(50)을 매단 상태로 유지하면, 고무 등의 가효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 진공 흡인 패드(34)의 스커트부(34b)는, 제2패널(50)의 중량감에 의해 아주 약간 아래를 향하여 늘어난다.
이 때, 제2패널(50)의 폭방향 양단 근방과 중앙부를 각각 진공 흡인 패드(34)에 의해 흡착한 도시의 구성에서는, 도 12에 나타나 있듯이, 중앙에 배치된 진공 흡인 패드(34)가 지지하는 하중이 가장 크고, 스커트부(34b)의 늘어남이 다른 진공 흡인 패드(34)와 비교해 커지며, 제2패널(50)이 대형의 것인 경우에는, 제2패널(50)이 자중에 의해 중앙부가 아래를 향하여 팽출한 것처럼 휜 상태가 된다.
접착 작업
이상과 같이 해, 유지 테두리(30)를 접착 개시 위치에 요동시킨 후의 동작을, 도 11을 참조해 설명한다.
유지 테두리(30)를 접착 개시 위치에 요동시킨 후, 오퍼레이터가 컨트롤 패널(100)에 설치된 스위치를 조작하는 등으로 하여 접착 개시를 지령하면, 전자 제어장치는, 분사노즐(60)이 도 7(A)에 나타난 이동 개시 위치(P1)로 이동한 것을 분사노즐 위치 검출 수단이 검지할 때까지, 노즐(60)을 재치대(20)의 한쪽 끝변(20a) 측을 향해 이동시키고(STEP10, 11), 상기 노즐 위치 센서로부터의 검지 신호의 수신에 의해, 노즐의 이동을 정지함과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컴프레서(compressor)로부터의 압축 공기를 조제(助劑) 탱크(61)로 도입해, 분사노즐(60)을 개입시켜 탈기조제의 분사를 개시한다(STEP12).
이 때, 탈기조제의 도입 개시부터, 소정 시간, 노즐(60)의 이동을 개시하지 않고, 노즐(60)을 이동 개시 위치(P1)로 유지해(STEP13), 이동 개시 위치(P1)에 대해 제1, 제2패널(40, 50) 사이에 어느 정도 탈기조제가 쌓인 상태로부터 노즐(60)의 이동을 개시시키도록 해도 좋다.
상기한 설정 시간의 경과 후, 노즐(60)은, 탈기조제를 분사하면서 제1패널(40)상을 재치대(20)의 다른 끝변(20b) 측을 향해 이동을 개시함과 동시에(STEP14), 유지 테두리 요동 기구(90)에 설치된 승강대(93)가 공기압 실린더(96)에 의해 하강을 개시하고(STEP15), 이 승강대(93)의 하강에 따라 유지 테두리(30)가 제2지축(84)을 중심으로 도 4 중 시계 회전 방향으로 요동함으로써, 제2패널(50)은, 양 패널(40, 50)의 한쪽 끝변(40a, 50a)간의 간격을 탈기조제의 충전에 필요한 아주 작은 간격으로 유지한 채, 다른 끝변(50b)을 제1패널(40)의 다른 끝변(40b)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해, 제1패널(40)과 제2패널(50)의 접착면간이 이루는 각이 보다 예각적인 것으로 변화한다.
이 동작에 의해, 제1패널(40)상에 도입된 탈기조제가, 제2패널(50)에 의해 눌려 으깨지면서 공기와 함께 제1패널(40)의 다른 끝변(40b) 측을 향해 밀어 내져 기포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한 것처럼, 유지 테두리(30)에 설치된 제2패널(50)의 보관 유지 기구인 상기한 진공 흡인 패드(34)가, 제2패널(50)을 아래를 향하게 매달리도록 배치했을 때에, 제2패널(50)의 폭 방향의 중앙부 C가 아래를 향하여 팽출한 것처럼 제2패널(50)을 보관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유지 테두리(30)의 요동에 의해 제2패널(50)은 먼저, 제2패널의 폭 방향 중앙부 C에 있어 제1패널(40)의 표면으로 접근해, 이 부분이 탈기조제를 개입시켜 제1패널(40)상으로 겹쳐진 후에, 이것에 아주 조금 늦게, 제2패널(50)의 폭방향의 양 단측이 제1패널(40)에 대해 근접하는 것이 되기 위해서, 제1, 제2패널(40, 50)간의 공기를, 탈기조제와 함께, 도 13에 나타나 있듯이 폭 방향의 중앙 측으로부터, 폭 방향의 양단 측으로 향해서도 탈기조제와 함께 공기를 밀어 내는 것 같은 동작이 가해지기 때문에, 기포의 발생은 더욱 생기기 어려운 것이 되고 있다.
이상과 같이 해, 유지 테두리(30)의 요동에 연동해 분사노즐(60)을 이동시키면서 접착을 실시하여, 노즐(60)이 제1패널(40)의 다른 끝변(40b)의 위치 내지는 그 근방으로 설정한 도 7(A)에 나타난 접착제의 분사 종료 위치(P2)로 이동하고, 이 위치에 분사노즐(60)이 이동한 것을 분사노즐 위치 검출 수단이 검출하면(STEP16의 Yes), 전자 제어장치는 조제탱크(61)에 대한 압축 공기의 도입을 정지해서, 분사노즐(60)에 의한 탈기조제의 분사를 종료한다(STEP17).
분사노즐(60)은, 탈기조제의 분사 종료 후에도, 재치대(20)의 다른 끝변(20b) 측으로의 이동을 계속해, 소정의 이동 종료 위치(P3)로 이동했던 것이 분사노즐 위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될 때까지 계속 이동함과 동시에(STEP18), 분사노즐 위치 검출 수단에 의해 소정의 이동 종료 위치(P3)로 이동했던 것이 검출되면(STEP18의 Yes), 전자 제어장치는 분사노즐(60)의 이동을 정지한다(STEP19).
분사노즐(60)이 이동 종료 위치(P3)로 이동하면, 유지 테두리(30)가 제1패널(40)의 다른 끝변(40b)을 제2패널(50)의 다른 끝변(50b)에 대해, 탈기조제의 충전 간격인 아주 작은 틈이 되기까지 가까워지는 위치까지 요동해도, 제1, 제2패널(40, 50) 및 유지 테두리(30)과 분사노즐(60)과의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되어 있고, 이와 같이 하여 분사노즐(60)이 이동 종료 위치(P3)로 이동해, 제1, 제2패널(40, 50)간의 간격에서 후퇴한 후, 전자 제어장치는, 승강대 위치 검출 수단에 의해 승강대(93)가 하한 위치에 다다른 것을 검출할 때까지 유지 테두리 요동 기구(90)로 승강대(93)의 하강을 계속시켜(STEP20), 동 센서의 검지 신호의 수신에 의해 유지 테두리 요동 기구(90)에 의한 승강대(93)의 하강을 정지한다(STEP21).
유지 테두리 요동 기구(90)의 승강대(93)가 하한 위치까지 하강하면, 유지 테두리(30)는 접착 종료 위치로 이동한 상태로 있고, 이것에 의해 제1패널(40)과 제2패널(50)의 접착이 종료된다.
이와 같이 해, 접착이 완료된 후, 오퍼레이터는, 자세 변화 기구(70)의 핸들(72)을 조작해, 재치대(20)를 수평인 위치로 요동시킨 후, 상기한 컨트롤 패널(100)에 설치된 스위치를 조작하는 등으로 하여, 진공 흡착 패드(34)에 의한 제2패널(50)의 흡착을 해제한다.
이와 같이 해, 재치대(20)의 자세를 수평인 상태로 되돌린 후에, 유지 테두리(30)에 의한 제2패널(50)의 보관 유지를 해제하는 것으로, 미경화 상태의 탈기조제 위에 뜬 상태로 있는 제2패널이 제1패널 위을 미끄러져 양자에게 차이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접착면에 협지된 탈기조제는, 그 재질에 따라 이것을 경화시키지 않고 패널의 주연부를 봉지(封止)하는 등으로 해서 겔상의 액체인 채로 접착면간을 봉지하는 것으로 해도 좋고, 또는, 전체 또는 부분적(예를 들면, 패널 주연부)으로 경화시키는 등으로 해도 좋다.
상기한 것처럼, 완충층을 이루는 점탄성체로서 아크릴계 수지의 점탄성체를 사용해, 상기한 탈기조제로서 소수성의 포화 지방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저분자의 액상을 사용하는 경우, 접착 후 15분 정도로 탈기조제의 완충층에 대한 흡수가 시작되고, 약 60분 정도의 방치에 의해 탈기조제가 겔화해 제1, 제2패널(40, 50) 간의 매우 적합한 접착력을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완충층과의 사이에 구조상의 절단이 없어져,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면에 있어서의 광학 특성의 보다 큰 향상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접착 후의 경과시간이 15분 이내이면, 제1, 제2패널(40, 50)간을 박리하는 것이 가능하며, 접착 시에 위치 차이 등이 생긴 경우에도, 고가의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투명 보호 패널이 쓸모없게 되는 일이 없고, 제품화 비율이 좋다.
따라서,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특정의 수단만으로 구성된 기구, 기기, 기계, 장치 혹은, 공정 또는 방법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특허 청구의 범위는, 이 획기적인 발명의 핵심 또는 본질을 보호하는 것이 의도된다. 본 발명은 분명하게 신규성을 가지며, 또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어진 시점에서, 본 발명은 당업자에게 있어 종래 기술을 참조한 자명한 것이 아니고, 또, 본 발명의 대변혁을 초래하는 특징에 비춰 보면, 본 발명은, 해당 기술 분야에 있어 분명하게 선구적인 발명이다. 법적인 문제로서는, 본 발명의 핵심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는 지극히 넓게 해석되지 않으면 안 된다.
따라서, 상술된 상기의 기재로부터 밝혀지는 목적은 효율적으로 달성되어 상기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 어느 정도의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한 기재 또는 첨부 도면에 포함되는 모든 내용은, 한정적인 의미가 아닌 예시적으로 해석되는 것이 의도된다.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는, 여기에 기재하는 본 발명의 포괄적 또한 고유의 특징 모두를 포함하는 것이 의도되며, 언어의 문제로서, 본 발명의 범위에 대한 다른 모든 표현은,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한다, 라고 할 수 있는 것을 이해받고 싶다.
1 패널 접착 장치
10 프레임
11 접착 작업부
12 준비 작업부
13 힌지
20 재치대
20a 한쪽 끝변(재치대의)
20b 다른 끝변(재치대의)
20 c, 20 d 끝변(재치대의)
21 위치 결정편
22 지축
23 가이드 레일
24 슬라이더
25 연결간
30 유지 테두리
30a 한쪽 끝변(유지 테두리의)
30b 다른 끝변(유지 테두리의)
31 틀
32 지지간
33 보강간
34 진공 흡인 패드
34a 탈기구
34b 스커트부
35 돌기
38 진공펌프
40 제1패널
40a 한쪽 끝변(제1패널의)
40b 다른 끝변(제2패널의)
50 제2패널
50a 한쪽 끝변(제2패널의)
50b 다른 끝변(제2패널의)
60 분사노즐
61 조제탱크
70 자세 변화 기구
71 X자 모양 암
71 a, 71 b 빔
71c 지축
72 핸들
80 유지 테두리 축지 기구
81 기대
82 제1지축
83 연결 암
84 제2지축
90 유지 테두리 요동 기구
91 가이드 레일
92 승강판
93 승강대
94 가교판
95 가교간
96 공기압 실린더
96a 피스톤 라드
97 스피드 컨트롤러
100 컨트롤 패널
P1 이동 개시 위치(분사노즐의)
P2 분사 종료 위치(분사노즐의)
P3 이동 종료 위치(분사노즐의)
200 디스플레이 패널
201, 202 유리 기판
203, 204 투명 전극
205 스페이서
206 액정 조성물
207 백라이트
210 보호 패널
210a 하부 전극 기판
211 스페이서

Claims (11)

  1.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착하는 투명 보호 패널의 어느 쪽이든 한편의 맞춰 붙이는 면에, 투명의 점탄성체로 된 완충층을 형성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투명 보호 패널을 접착 대상으로 하는 패널 접착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투명 보호 패널의 어느 쪽이든 한쪽인 제1패널의 한쪽 끝변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투명 보호 패널의 다른 쪽인 제2패널의 한쪽 끝변을 접촉, 또는 탈기조제의 충전 간격을 개입시켜 근접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1패널의 다른 끝변과 상기 제2패널의 다른 끝변을 소정의 간격을 개입해 이간시켜 상기 제1패널의 접착면과 상기 제2패널의 접착면이 소정의 예각이 되도록 상기 제1패널상에 상기 제2패널을 배치한 접착 개시 위치에 상기 제 1, 제2패널을 배치하고,
    상기 제1, 제2패널 사이에 있어 10~100cps의 점도를 가지는 상기 탈기조제를 상기 제1패널상에 도입하면서, 상기 제2패널의 상기 다른 끝변을 상기 제1패널의 상기 다른 끝변에 서서히 가까워지게 해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패널이 상기 탈기조제를 개입시켜 서로 겹치는 접착 완료 위치에 상기 제2패널을 요동시켜 접착을 실시하며, 이 접착 때,
    상기 제1패널을 동 제1패널의 상기 다른 끝변 측이 위를 향하도록 경사시킨 상태로 해,
    상기 제1, 제2패널 사이에 대한 상기 탈기조제의 도입을, 상기 접착 개시 위치에 있어 상기 제1패널의 상기 한쪽 끝변 측에서 개시해, 상기 제2패널의 상기 다른 끝변을 상기 제1패널의 상기 다른 끝변에 가깝게 함에 따라, 상기 탈기조제의 도입 위치를 상기 제1패널의 상기 다른 끝변 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접착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패널의 경사각을 4°이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접착 방법.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탈기조제의 도입 위치를, 상기 제1패널의 상기 한쪽 끝변의 긴 길이 방향 중앙부와 상기 다른 끝변의 중앙부간에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접착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패널의 상기 한쪽 끝변과 직교 방향을 이루는 상기 제2패널의 중앙부측이 아래를 향하여 팽출한 것처럼 휘게 한 상태로 상기 제2패널을 요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패널 접착 방법.
  5.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조제의 두께가 40μm 이상이 되도록 상기 탈기조제의 도입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접착 방법.
  6.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을 이루는 점탄성체는 아크릴계 수지로 하고, 상기 탈기조제는 소수성의 포화 지방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저분자의 액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접착 방법.
  7.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면에 접착되는 경질의 투명 보호 패널의 어느 쪽이든 한쪽의 접착면에, 투명의 점탄성체로 된 완충층이 형성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투명 보호 패널과의 접착에 사용하는 패널 접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투명 보호 패널의 어느 쪽이든 한쪽인 제1패널을, 동 제1패널의 한쪽 끝변에 대해서 다른 끝변이 위를 향하도록 경사시킨 자세에서 재치 가능한 재치대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투명 보호 패널의 다른 쪽인 제2패널을 보관 유지하는 유지 테두리와,
    상기 제1패널의 한쪽 끝변과, 상기 제2패널의 한쪽 끝변을 접촉 또는 탈기조제의 충전 간격을 개입시켜 근접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1패널의 다른 끝변과 상기 제2패널의 다른 끝변을 소정의 간격을 개입해 이간시켜 상기 제1패널의 접착면과 상기 제2패널의 접착면이 소정의 예각이 되도록 상기 제1패널상에 상기 제2패널을 배치한 접착 개시 위치와, 상기 제2패널의 상기 다른 끝변을 상기 제1패널의 상기 다른 끝변에 가까워지게 해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패널이 상기 탈기조제를 개입시켜 서로 겹치는 접착 완료 위치 사이에서 상기 유지 테두리를 요동 가능하게 축지하는 유지 테두리 축지 기구와,
    상기 유지 테두리를 상기 접착 개시 위치로부터 상기 접착 완료 위치로 요동 시키는 유지 테두리 요동 기구와,
    상기 탈기조제를 분사하면서, 상기 유지 테두리 요동 기구에 의한 상기 유지 테두리의 요동 량에 따라 상기 재치대에 재치된 상기 제1패널상을 동 제1패널의 상기 한쪽 끝변 측으로부터 다른 끝변을 향해 이동하는 분사노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접착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재치대를, 상기 제1패널을 수평으로 재치하는 수평 위치와, 상기 제1패널의 상기 한쪽 끝변에 대해서 상기 다른 끝변이 위를 향하도록 경사시킨 자세로 재치하는 경사 위치 간에서 자세 변화시키는 자세 변화 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접착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을, 상기 제1패널의 상기 한쪽 끝변과 직교 방향을 이루는 제1패널의 중심 선상을 이동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접착 장치.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유지 테두리가 상기 접착 개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패널의 상기 한쪽 끝변과 직교 방향을 이루는 상기 제2패널의 중앙부가 자중에 의해 아래를 향하여 팽출한 상태로 휘도록 상기 제2패널을 보관 유지하는 보관 유지 기구를 상기 유지 테두리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접착 장치.
  11. 청구항 7~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테두리를, 상기 제2패널의 보관 유지면을 위로 향한 준비 위치와, 상기 접착 개시 위치 간에서 요동 가능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접착 장치.
KR1020127005219A 2009-10-23 2010-10-22 패널의 접착 방법 및 접착 장치 KR1016980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44787 2009-10-23
JP2009244787 2009-10-23
PCT/JP2010/068687 WO2011049197A1 (ja) 2009-10-23 2010-10-22 パネルの貼着方法及び貼着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893A true KR20120087893A (ko) 2012-08-07
KR101698049B1 KR101698049B1 (ko) 2017-01-19

Family

ID=43900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5219A KR101698049B1 (ko) 2009-10-23 2010-10-22 패널의 접착 방법 및 접착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622741B2 (ko)
KR (1) KR101698049B1 (ko)
CN (1) CN102598092B (ko)
HK (1) HK1170592A1 (ko)
WO (1) WO20110491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18397B2 (ja) * 2012-04-09 2016-11-02 共同技研化学株式会社 情報表示面用の両面粘着シート,情報表示面の保護シート,及び前記両面粘着シート及び保護シートの製造方法
DE102012112386B4 (de) 2012-08-07 2018-08-30 Pioptix Gmbh Verfahren zur durchsichtigen Verklebung von transparenten Schichten sowie mit dem Verfahren hergestellte Displayvorrichtung
DE102013114856A1 (de) 2013-12-23 2015-06-25 Thomas Hofberger GmbH Schichtenverbund mit mineralischem Werkstoff und Glas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6151288B2 (ja) * 2015-02-17 2017-06-21 クライムプロダクツ株式会社 表示パネルの貼合装置、および貼合方法
US9913392B2 (en) * 2016-04-13 2018-03-06 Motorola Mobility Llc Flexible display stack-up and method for arranging
KR20180077929A (ko) * 2016-12-29 2018-07-09 인베니아 주식회사 기판-글래스 합착 장치
KR20180077928A (ko) * 2016-12-29 2018-07-09 인베니아 주식회사 기판-글래스 합착 방법
KR20180077932A (ko) * 2016-12-29 2018-07-09 인베니아 주식회사 기판-글래스 합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착 방법
KR20180077931A (ko) * 2016-12-29 2018-07-09 인베니아 주식회사 기판-글래스 합착 장치
KR20180077930A (ko) * 2016-12-29 2018-07-09 인베니아 주식회사 기판-글래스 합착 방법
CN107065249B (zh) * 2017-06-12 2023-12-19 深圳市宝德自动化精密设备有限公司 一种贴合***及其贴合方法
CN107908024B (zh) * 2017-10-31 2021-07-06 Tcl王牌电器(惠州)有限公司 液晶面板与显示背板的装配治具及装配工艺
CN108089353B (zh) * 2018-01-16 2021-01-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贴附设备及贴附方法
CN110890018A (zh) * 2018-09-07 2020-03-17 万达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治具、全贴合设备及全贴合方法
CN111694454B (zh) * 2019-03-15 2022-08-12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触控板模块以及具有触控板模块的电子计算机
CN114434787B (zh) * 2022-01-19 2022-11-25 深圳市创新精细玻璃有限公司 一种3d防爆钢化玻璃膜加工装置及其加工工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3098A (ja) * 1991-08-28 1993-03-05 Dainippon Ink & Chem Inc 液晶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H06337411A (ja) * 1993-04-01 1994-12-06 Suzuki Sogyo Co Ltd 液晶表示装置における光錯乱防止構造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H09197387A (ja) 1996-01-23 1997-07-31 Nitto Denko Corp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06292993A (ja) * 2005-04-11 2006-10-26 Mitsubishi Electric Corp 貼り合わせ装置
JP2007238754A (ja) 2006-03-08 2007-09-20 Kyodo Giken Kagaku Kk 情報表示面の保護シート及び保護シート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1437A (ja) * 1996-02-02 1997-08-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と製造装置
JP2001066575A (ja) * 1999-06-22 2001-03-16 Sony Corp 液晶表示装置の防塵ガラス接合方法
JP5125345B2 (ja) * 2007-09-19 2013-01-23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CN101883829A (zh) * 2007-12-14 2010-11-10 夏普株式会社 粘合片和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3098A (ja) * 1991-08-28 1993-03-05 Dainippon Ink & Chem Inc 液晶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H06337411A (ja) * 1993-04-01 1994-12-06 Suzuki Sogyo Co Ltd 液晶表示装置における光錯乱防止構造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H09197387A (ja) 1996-01-23 1997-07-31 Nitto Denko Corp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06292993A (ja) * 2005-04-11 2006-10-26 Mitsubishi Electric Corp 貼り合わせ装置
JP2007238754A (ja) 2006-03-08 2007-09-20 Kyodo Giken Kagaku Kk 情報表示面の保護シート及び保護シート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22741B2 (ja) 2014-11-12
HK1170592A1 (en) 2013-03-01
CN102598092B (zh) 2015-01-07
WO2011049197A1 (ja) 2011-04-28
KR101698049B1 (ko) 2017-01-19
JPWO2011049197A1 (ja) 2013-03-14
CN102598092A (zh) 201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87893A (ko) 패널의 접착 방법 및 접착 장치
KR101380978B1 (ko) 합착장치
JP4717921B2 (ja) 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貼り合わせ方法
TWI538812B (zh) Panel attachment method and panel attachment
CN107015675B (zh) 基板贴合装置及方法
JP5784903B2 (ja) 板状接合体の製造方法及び板状体の接合装置
US20110155317A1 (en) Manufacturing method of flat-panel display device and bonding press apparatus therefor
CN102830524A (zh) 一种模组组装设备
KR101764710B1 (ko) 필름 부착 장치 및 방법
KR101523986B1 (ko) 대면적 기판 합착장치
JP5358847B2 (ja) 板状部材の貼り合せ方法及び貼り合せ装置
KR100643405B1 (ko) 프린팅 장치, 이의 제어방법과 이를 이용한 평판표시장치의제조방법
JP2014157167A (ja) 積層基板の剥離方法
KR102032721B1 (ko) 액정표시장치용 자동 접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접착방법
KR101689057B1 (ko) 합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착 방법
JP4933368B2 (ja) 液晶部品の製造方法
KR20140007697A (ko)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패널 접착장치
KR20180077928A (ko) 기판-글래스 합착 방법
KR102571054B1 (ko) 패널 합착 장치 및 방법
JP4592971B2 (ja) 液晶表示パネルの製造装置
KR101397093B1 (ko) 라미네이팅 장치
KR102648622B1 (ko) 기판 합착 장치 및 기판 합착 방법
KR102217249B1 (ko) 커브드 기판 합착 장치
KR101309699B1 (ko) 라미네이팅 장치 및 라미네이팅 방법
KR102334050B1 (ko) 접이식 표시 단말기를 위한 라미네이팅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