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6330A - 몰드 모터 - Google Patents

몰드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6330A
KR20120076330A KR1020110146084A KR20110146084A KR20120076330A KR 20120076330 A KR20120076330 A KR 20120076330A KR 1020110146084 A KR1020110146084 A KR 1020110146084A KR 20110146084 A KR20110146084 A KR 20110146084A KR 20120076330 A KR20120076330 A KR 20120076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cover
casing
motor
bearing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6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6384B1 (ko
Inventor
히로시 요시다
아키토시 마에노
주니치 사토
다츠야 요시다
Original Assignee
니혼 덴산 테크노 모터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74792A external-priority patent/JP5289521B2/ja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덴산 테크노 모터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덴산 테크노 모터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76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6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6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6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61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02K11/33Drive circuits, e.g. power electroni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08Insulating cas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0Applying solid insulation to windings, stators or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3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 H02K3/3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conductors or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 H02K3/345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conductors or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몰드 모터는 고정자와, 수지제의 케이싱과, 회전자와, 한 쌍의 베어링과, 한 쌍의 베어링 유지기와, 수지제의 브래킷 커버와, 제어용 기판을 포함한다. 한 쌍의 베어링은 샤프트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한 쌍의 베어링 유지기는 절연성을 갖는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베어링을 직경방향 외측으로부터 덮어 유지한다. 수지제의 브래킷 커버는 케이싱의 개구측을 덮는다. 베어링 중의 한쪽은 베어링 유지기를 거쳐서 브래킷 커버에 부착된다. 베어링 중의 다른 쪽은 베어링 유지기를 거쳐서 케이싱의 저벽부에 부착된다.

Description

몰드 모터{MOLDED MOTOR}
본 발명은 몰드 모터에 관한 기술분야에 속한다.
종래부터, 축방향의 일단측이 개구된 수지제의 케이싱과, 케이싱내에 수지로 덮여 매설된 고정자를 포함하는 몰드 모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2-335649 호 참조). 상기 고정자는 금속제의 고정자 코어를 포함하고, 고정자 코어의 각 티스부에 고정자 코일이 감긴다. 상기 고정자의 직경방향 내측에 샤프트를 포함하는 회전자가 배치된다. 샤프트는 한 쌍의 베어링에 의해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케이싱의 저벽부에는 원통형상의 베어링 하우징이 케이싱과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베어링 중의 한쪽이 베어링 하우징내에 끼워진다. 상기 케이싱의 개구측은 금속제의 브래킷 커버에 의해 덮인다. 브래킷 커버는 원통형상의 베어링 하우징을 포함한다. 원통형상의 베어링 하우징에 다른 쪽의 베어링이 끼워 맞춰진다.
그런데, 상기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2-335649 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래킷 커버는 고강성이고 가공성이 우수한 금속제 재료를 이용하고 있다. 그 때문에, 베어링은 브래킷 커버에 대해 고밀도로 조립된다. 이에 따라, 샤프트의 축 어긋남이 방지되고, 회전자의 회전 정밀도가 향상한다.
그러나, 이 경우, 금속제의 브래킷 커버와 금속제의 고정자 코어가 유전체인 수지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모터를 PWM 제어한 경우에, 브래킷 커버와 고정자 코어의 사이에 전위차가 생긴다. 그리고, 고정자 철심→고정자 코일→베어링→샤프트→회전자→고정자 철심의 경로로 전류가 순환한다. 그 결과, 베어링이 전식(電蝕))에 의해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몰드 모터는 고정자와, 수지제의 케이싱과, 회전자와, 한 쌍의 베어링과, 한 쌍의 베어링 유지기와, 수지제의 브래킷 커버와, 제어용 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자는 링형상의 고정자 코어에 형성된 티스에 고정자 코일을 감아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지제의 케이싱은 축방향의 일측이 개구된 바닥을 갖는 통형상을 이루고, 상기 고정자를 수지로 덮어 매립하는 것에 의해 일체 고정된다. 상기 회전자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자의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베어링은 상기 샤프트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한 쌍의 베어링 유지기는 절연성을 갖는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어링을 직경방향 외측으로부터 덮어 유지한다. 상기 수지제의 브래킷 커버는 상기 케이싱의 개구측을 덮는다. 상기 제어용 기판은 상기 고정자 코일에 대해 공급되는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베어링 중의 한쪽은 상기 베어링 유지기를 거쳐서 상기 브래킷 커버에 부착된다. 다른 쪽의 베어링은 상기 베어링 유지기를 거쳐서 상기 케이싱의 저벽부에 부착된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따른 몰드 모터의 단면도의 바람직한 일예이다.
도 2는 크로스 플로 팬(cross flow fan)에 몰드 모터를 연결한 상태의 개략도의 바람직한 일예이다.
도 3의 (a)는 브래킷 커버를 모터 안쪽측 부근에서 본 사시도의 바람직한 일예이다.
도 3의 (b)는 브래킷 커버를 모터 바깥쪽측 부근에서 본 사시도의 바람직한 일예이다.
도 4는 브래킷 커버를 모터 안쪽측에서 본 평면도의 바람직한 일예이다.
도 5는 브래킷 커버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의 바람직한 일예이다.
도 6은 브래킷 커버를 떼어낸 모터를 축방향에서 본 평면도의 바람직한 일예이다.
도 7은 케이싱을 개구측 또한 직경방향 외측에서 본 사시도의 바람직한 일예이다.
도 8은 케이싱을 개구측에서 본 평면도의 바람직한 일예이다.
도 9는 슬리브 베어링을 모터 안쪽측 부근에서 본 사시도의 바람직한 일예이다.
도 10의 (a)는 베어링 유지기를 그 선단측 부근(모터 안쪽측 부근)에서 본 사시도의 바람직한 일예이다.
도 10의 (b)는 베어링 유지기를 그 기단측 부근(모터 바깥쪽측 부근)에서 본 사시도의 바람직한 일예이다.
도 11은 실시형태 2의 몰드 모터의 단면도의 바람직한 일예이다.
도 12는 실시형태 3의 몰드 모터의 단면도의 바람직한 일예이다.
도 13은 실시형태 5의 브래킷 커버의 부착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의 바람직한 일예이다.
도 14는 실시형태 6의 브래킷 커버의 부착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의 바람직한 일예이다.
도 15는 실시형태 7의 브래킷 커버의 부착 구조를 도시하는 모터 축방향에서 본 평면도의 바람직한 일예이다.
도 16은 실시형태 7의 브래킷 커버의 부착 구조를 도시하는 도 15의 XVI-XVI선 단면도의 바람직한 일예이다.
도 17은 실시형태 7의 모터의 고정자를 축방향에서 본 평면도의 바람직한 일예이다.
도 18은 실시형태 7의 케이싱을 개구측에서 본 평면도의 바람직한 일예이다.
도 19는 실시형태 7의 모터의 케이싱의 성형용 금형의 일부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의 바람직한 일예이다.
도 20은 실시형태 7의 모터의 브래킷 커버를 축방향의 안쪽측에서 본 평면도의 바람직한 일예이다.
도 21은 실시형태 7의 브래킷 커버의 성형용 금형을 도시하는 부분단면도의 바람직한 일예이다.
도 22는 실시형태 7의 고정용 연장 설치부의 발톱부와 브래킷 커버의 발톱부의 계합(걸어맞춤) 과정을 도시하는 개략도의 바람직한 일예이다.
도 23의 (a)는 실시형태 6에 관한 브래킷 커버의 부착 구조를 채용한 경우의 관리 치수를 도시하는 도면의 바람직한 일예이다.
도 23의 (b)는 실시형태 7에 관한 브래킷 커버의 부착 구조를 채용한 경우의 관리 치수를 도시하는 도면의 바람직한 일예이다.
도 24는 실시형태 7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브래킷 커버의 부착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의 바람직한 일예이다.
도 25는 실시형태 8의 브래킷 커버의 부착 구조를 브래킷 커버의 직경방향에서 본 측면도의 바람직한 일예로서 (a)는 브래킷 커버를 부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b)는 브래킷 커버를 부착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고, (c)는 브래킷 커버의 부착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6은 실시형태 8의 브래킷 커버의 부착 구조를 모터 직경방향을 따른 단면도의 바람직한 일예로서, (a)는 브래킷 커버를 부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b)는 브래킷 커버를 부착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고, (c)는 브래킷 커버의 부착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7은 실시형태 8의 브래킷 커버의 부착 구조의 도 25의 XXVII-XXVII선 단면도의 바람직한 일예로서, (a)는 브래킷 커버를 부착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고, (b)는 브래킷 커버의 부착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8은 실시형태 9의 브래킷 커버의 부착 구조를 브래킷 커버의 직경방향에서 본 측면도의 바람직한 일예로서, (a)는 브래킷 커버를 부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b)는 브래킷 커버의 부착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9는 실시형태 9를 도시하는 브래킷 커버의 부착 구조를 도시하는 선단면도의 바람직한 일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 그 적용물 혹은 그 용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몰드 모터(1)(이하, 단지 모터(1)라 함)의 바람직한 일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크로스 플로 팬에 몰드 모터를 연결한 상태의 개략도의 바람직한 일예를 나타내고 있다. 모터(1)는 브러시리스 DC모터이다. 모터(1)는 에어컨 실내기(100)의 크로스 플로 팬(101)을 구동시키기 위해 사용된다(도 2 참조).
모터(1)는 원통형의 고정자(2)를 포함한다. 모터(1)는 내부에 회전자(3)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4)이 형성된 모터 하우징(5)을 포함한다. 모터 하우징(5)은 축방향의 일측이 개구된 바닥을 갖는 통형상(바람직하게는 바닥을 갖는 원통형상)의 케이싱(6)과, 케이싱(6)의 개구측을 덮는 원반형상의 브래킷 커버(7)를 포함한다. 브래킷 커버(7)의 형상은 원반형상이 아니어도 좋으며, 필요에 따른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케이싱(6)은 수지로 형성되며, 고정자(2)를 덮어 매립하고 있다. 케이싱(6)은 고정자(2)에 일체로 성형된다. 고정자(2)의 내주면은 노출되어 있다. 회전자(3)는 환상의 고정자(2)와 동축이며, 고정자(2)의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회전자(3)는 샤프트(8)를 포함한다. 샤프트(8)는 한 쌍의 베어링(9a, 9b)을 거쳐서 모터 하우징(5)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각 베어링(9)은 베어링 유지기(15)에 의해 직경방향 외측으로부터 덮어 유지되어 있다. 한쪽의 베어링(9a)은 케이싱(6)의 저벽부(16)에 베어링 유지기(15)를 거쳐서 부착된다. 다른 쪽의 베어링(9b)은 브래킷 커버(7)에 베어링 유지기(15)를 거쳐서 부착되어 있다. 샤프트(8)의 선단부는 크로스 플로 팬(101)의 지지 샤프트(102)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크로스 플로 팬(101)의 지지 샤프트(102)는 그 일단부가 팬 베어링(104)에 의해 축지지되어 있다.
고정자(2)는 링형상의 고정자 코어(17)를 포함한다. 고정자 코어(17)는 소정 형상으로 펀칭된 복수의 강판을 적층한 것이다. 고정자 코어(17)는 둘레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티스부(18)를 포함한다. 고정자 코어(17)에 있어서의 내주면 및 외주면을 제외한 부분은 인슐레이터(19)로 피복되어 있다. 각 티스부(18)에는 인슐레이터(19)를 거쳐서 고정자 코일(21)이 감겨 있다. 또한, 인슐레이터(19)는 고정자 코어(17)에 있어서의 고정자 코일(21)이 감기는 부분을 피복하고 있으면 어떤 형상이라도 좋다.
케이싱(6)은 전체가 수지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싱(6)은 원통부(22)와, 원반형상의 저벽부(16)와, 링형상의 모터 피복부(23)를 포함한다. 원통부(22)는 고정자(2)의 외주를 둘러싼다. 저벽부(16)는 원통부(22)의 축방향의 일측을 폐색한다. 모터 피복부(23)는 고정자(2)의 브래킷 커버(7)측을 덮는다. 고정자(2)는 원통부(22)의 내주면과 저벽부(16)와 모터 피복부(23)로 둘러싸여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람직한 일예의 수지로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고 있다.
케이싱(6)의 저벽부(16)의 중심부에는 모터 외측으로 돌출된 보스부(25)가 형성되어 있다. 보스부(25)의 축심부에는 관통 구멍(31)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31)에 베어링 유지기(15)가 배치된다. 한쪽의 베어링(9a)은 베어링 유지기(15)와 함께 관통 구멍(31)에 삽입된다. 그리고, 베어링(9a)은 보스부(25)로 지지된다. 보스부(25)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모터 안쪽측의 단부 근방에는 직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링형상의 돌출부(3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돌출부(32)가, 베어링 유지기(15)의 외주면에 형성된 빠짐방지 홈(33)에 계합된다. 그것에 의해, 베어링 유지기(15)는 모터 축방향(샤프트(8)의 축방향)의 이동을 규제받는다.
마찬가지로, 브래킷 커버(7)의 중심부에는 모터 외측으로 돌출된 보스부(34)가 형성되어 있다. 보스부(34)의 축심부에는 관통 구멍(35)이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9b)은 베어링 유지기(15)와 함께 관통 구멍(35)에 삽입되고, 보스부(34)로 지지된다. 보스부(34)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모터 안쪽측의 단부에도 링형상 돌출부(36)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 (36)은 베어링 유지기(15)의 외주면에 형성된 빠짐방지부재 (33)과 결합한다.그것에 의해, 베어링 유지기(15)는 모터 축방향의 이동을 규제된다.
브래킷 커버(7)는 전체가 수지재료이며, 사출 성형된다. 브래킷 커버(7)의 수지재는 케이싱(6)과 동일 재질의 수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하게는 브래킷 커버(7)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스부(34) 이외에, 원통형상부(37)와, 두께가 얇은 연결판부(38)를 포함한다. 원통형상부(37)는 케이싱(6)(원통부(22))의 개구측의 단부의 내주면에 압입 고정된다. 연결판부(38)는 보스부(34) 및 원통형상부(37)를 연결한다.
원통형상부(37)의 모터 바깥쪽측의 단부에는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판부(39)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판부(39)는 브래킷 커버(7)가 케이싱(6)에 장착된 상태에서, 케이싱(6)(원통부(22))의 개구측의 단면에 맞닿는다. 이에 따라, 브래킷 커버(7)를 케이싱(6)에 압입할 때에, 브래킷 커버(7)는 압입되는 모터 축방향의 위치가 용이하게 조정된다.
또한, 플랜지판부(39)에 있어서의 케이싱(6)의 단면과의 맞닿음면에 3개의 위치결정 블럭(80)이 형성되어 있다(도 3의 (a) 내지 도 4 참조). 3개의 위치결정 블럭(80)은 둘레방향으로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케이싱(6)의 개구측의 단면에는 3개의 위치결정 오목부(81)(도 6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3개의 위치결정 블럭(80)은 3개의 위치결정 오목부(81)에 대해 각각 압입되어 계합된다. 이와 같이 해서, 브래킷 커버(7)는 둘레방향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각 위치결정 블럭(8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형상부(37)의 외주면에서 직경방향 외측을 향해 플랜지판부(39)의 외주연(바깥둘레가장자리)까지 연장되어 있다. 각 위치결정 블럭(80)의 높이는 원통형상부(37)의 높이와 동일하다. 위치결정 블럭(80) 및 원통형상부(37)의 모터 안쪽측의 단면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면일치로 되어 있다.
각 위치결정 블럭(80)은 브래킷 커버(7)의 축방향에서 보아 둘레방향으로 긴 직사각형형상을 이루고 있다. 단, 위치결정 블럭(80)은 직사각형형상이 아니어도 좋으며, 정방형상이나 사다리꼴형상이어도 좋다. 각 위치결정 블럭(80)의 폭방향의 양 측면은 브래킷 커버(7)의 직경방향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 둘레방향의 외측을 향해 경사져 있다. 경사각 α(도 4 참조)는 예를 들면 2°?5°의 범위내이다. 마찬가지로, 케이싱(6)의 위치결정 오목부(81)의 둘레방향의 양 측면이 케이싱(6)의 직경방향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 폭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져 있다. 경사각 β(도 6 참조)는 경사각 α보다도 약간 작다. 이와 같이, 위치결정 블럭(80)의 둘레방향의 양 측면을 경사지게 하는 것에 의해, 위치결정 블럭(80)은 위치결정 오목부(81)에 대해 쐐기 효과에 의해 강고하게 고정된다.
연결판부(38)의 모터 바깥쪽측의 면에는 보스부(34)의 외주면에서 원통형상부(37)의 내주면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리브(41)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리브(41)는 보스부(34)를 중심으로 해서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리브(41)에 의해, 브래킷 커버(7)의 강성이 높아져, 샤프트(8)의 회전시에 있어서의 축 어긋남이 억제된다.
다음에, 브래킷 커버(7)의 제법의 바람직한 일예에 대해 설명한다. 브래킷 커버(7)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틀(105)과 하부틀(106)의 사이의 캐비티(107)에 열경화성의 수지재료를 사출해서 성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부틀(105) 및 하부틀(106)은 양자의 맞춤면(108)이 정확하게 브래킷 커버(7)의 돌출부(36)의 두께방향의 중앙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성형품에 생기는 파팅 라인<parting line>이 관통 구멍(35)의 내주면에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베어링 유지기(15)의 브래킷 커버(7)에의 조립 정밀도(더 나아가서는 베어링(9b)의 조립 정밀도)가 향상한다. 따라서, 샤프트(8)의 축 어긋남이 방지된다.
그런데, 금속재료의 브래킷 커버는 통상, 제조 비용 및 양산 성능의 관점에서 프레스 성형된다. 이 경우, 돌출부를 프레스 성형하고자 하면, 제법상의 관점에서, 돌출부를 관통 구멍의 내주면에 성형하기 때문에 금형의 스테이지수가 대폭 필요하게 된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브래킷 커버(7)를 수지재료로 성형하도록 하였다. 그 때문에, 돌출부(36)는 관통 구멍(35)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축방향의 중앙위치(베어링(9b))보다도 모터 내측 부근에 용이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베어링 유지기(15)에 있어서의 베어링(9b)의 외주측 부분의 두께가 충분히 확보된다. 이에 따라, 베어링 유지기(15)에 의한 샤프트(8)의 정렬 작용 및 방진 효과가 가급적 향상한다.
또한, 금속재료를 프레스 성형한 경우, 그 제법상, 돌출부(36)의 두께방향의 양측면이 선단측일수록 두께방향의 내측으로 쓰러진다. 즉, 돌출부(36)의 단면이 사다리꼴형상이 된다. 이 때문에, 돌출부(36)에 의한 베어링 유지기(15)의 축방향의 위치결정 기능이 저하한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브래킷 커버(7)를 수지재료로 성형함으로써, 돌출부(36)의 두께방향의 양 측면의 쓰러짐이 방지된다. 또한, 베어링 유지기(15)의 축방향의 위치 어긋남이 방지된다.
또한, 상술한 열경화성 수지에 의한 제법에서는 열경화성 수지가 캐비티내에서 경화할 때, 보스부(34)에 직경방향의 쓰러져 변형이 생겨, 그 내측에 형성되는 관통 구멍(35)의 원통도가 저하한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의 모터는 브래킷 커버(7)의 연결판부(38)의 내주측 가장자리부에, 보스부(34)의 돌출측으로 솟아 오른 리브부(83)를 구비한다. 그리고, 리브부(83)는 보스부(34)의 기단부를 지지한다. 이와 같이, 리브부(83)에 의해서, 보스부(34)의 경화시의 쓰러짐이 방지된다. 또한, 보스부(34)의 래이디얼방향의 강성이 가급적 높아진다. 여기서, 리브부(83)의 배면에는 오목부(84)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리브부(83)의 두께가 너무 커지지 않기 때문에, 리브부(83)에 침하(sink) 등의 성형 불량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브래킷 커버(7)의 보스부(34) 및 케이싱(6)의 보스부(25)에는 각각, 고무 부재로 이루어지는 방진 부재(40)가 끼워져 있다. 방진 부재(40)는 링형상의 방진 본체부(42)와, 플랜지부(43)를 포함한다. 방진 본체부(42)는 내주면이 보스부(25)의 외주면에 밀착한다. 플랜지부(43)는 방진 본체부(42)의 축방향의 일단부에서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모터(1)는 피구동 기기 부근에 배치된 한 쌍의 모터 고정용 브래킷(44)에 대해, 방진 부재(40)를 거쳐서 지지된다.
회전자(3)는 원통형상의 내주측 통부(45)와, 원통형상의 외주측 통부(46)와, 원반형상의 연결판부(47)를 포함한다. 내주측 통부(45)는 샤프트(8)에 고착된다. 외주측 통부(46)는 고정자 코일(21)로부터의 자력이 직접적으로 작용한다. 연결판부(47)는 통부(45)와 통부(46)를 연결한다. 회전자(3)는 플라스틱 배합의 마그네트 수지로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자(3)는 예를 들면 복수로 분할된 소결 마그네트를, 원통형상의 요크의 외주면에 접착제 등에 의해 맞붙여서 형성되는 것이어도 좋다. 내주측 통부(45) 및 외주측 통부(46)는 모두, 연결판부(47)와의 연결부에 있어서 두께가 가장 크다. 그리고, 내주측 통부(45) 및 외주측 통부(46)는 축방향의 양단측을 향함에 따라 두께가 서서히 감소한다.
샤프트(8)에 있어서의 회전자(3)와의 고착면에는 나선형상의 홈부(48)가 형성되어 있다. 홈부(48)에는 회전자(3)를 사출 성형할 때에 마그네트 수지가 유입된다. 그리고, 샤프트(8)와 회전자(3)가 고착된다. 이에 따라, 회전자(3)는 샤프트(8)에 대해 강고하게 고착되며, 샤프트(8) 주위에 미끄러져 헛도는 것이 방지된다. 샤프트(8)의 선단부는 샤프트(8)를 피구동 기기에 연결하기 위한 부착부(49)가 형성되어 있다. 부착부(49)의 형상(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차형상)은 상대측의 부착부의 형상에 따라 임의의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브래킷 커버(7)와 회전자(3)의 사이에는 제어용 기판(51)이 배치되어 있다. 제어용 기판(51)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 피복부(23)로부터 브래킷 커버(7)측으로 돌출된 2개의 돌기(85)의 발톱부(85a)에 의해 계지(걸어고정)되어 있다. 각 돌기(85)는 인슐레이터(19)에 일체 성형되어 있다. 발톱부(85a)는 돌기(85)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어용 기판(51)에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를 실행하여 모터(1)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구동 회로(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모터 구동 회로는 인버터 회로와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인버터 회로(도시 생략)는 모터(1)의 각 고정자 코일(21)에 구동 전류를 공급한다. 제어 회로는 인버터 회로를 제어한다. 제어용 기판(51)은 기판면(52)을 브래킷 커버(7)의 모터 안쪽측의 면에 대면시킨 자세에서 모터(1)에 배치되어 있다. 기판면(52)은 모터 구동 회로가 배치되는 측의 면이다. 제어용 기판(51)의 기판면(52)에는 상기 제어 회로와, 직방체의 박스형상의 제어용 IC(53)를 포함한다. 제어용 IC(53)는 브래킷 커버(7)를 케이싱(6)에 부착한 상태에 있어서, 브래킷 커버(7)의 모터 안쪽측의 면에 접해 있어도 좋다.
제어용 기판(51)에는 회전자(3)의 내주측 통부(45)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원 구멍(54)이 형성되어 있다. 내주측 통부(45)는 원 구멍(54)내를 통과해서 기판(51)보다도 브래킷 커버(7)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어용 기판(51)에는 3개의 핀 구멍(91)과, 4개의 위치결정 구멍(92)이 형성되어 있다. 핀 구멍(91)은 전기적인 접속 단자로서 기능한다. 위치결정 구멍(92)은 위치결정용에 사용된다. 4개의 위치결정 핀(93)은 모터 피복부(23)의 브래킷 커버(7)측의 면으로부터 돌출된다. 그리고, 4개의 위치결정 구멍(92)에는 각각, 4개의 위치결정 핀(93)이 꽂아 넣어진다(도 6?도 8 참조). 이에 따라, 제어용 기판(51)은 샤프트(8)에 수직인 평면내에 있어서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3개의 배선 핀(94)이 모터 피복부(23)의 브래킷 커버(7)측의 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제어용 기판(51)의 3개의 핀 구멍(91)에는 3개의 배선 핀(94)이 각각 삽입된다. 3개의 배선 핀(94)은 고정자 코일(21)에 접속되어 있다. 3개의 배선 핀(94)을, 제어용 기판(51)의 소정의 도전 패턴에 납땜함으로써, 모터 구동 회로와 고정자 코일(21)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어용 기판(51)에는 또한, 제어용 기판(51)상의 각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리드선(55)이 접속되어 있다. 리드선(55)은 케이싱(6)과 브래킷 커버(7)의 사이로부터 모터(1) 밖으로 인출된다. 그리고, 리드선(55)은 전원에 커넥터를 거쳐서 접속된다(도 6 참조). 케이싱(6)과 브래킷 커버(7)의 사이에는 한 쌍의 부싱(56a, 56b)이 마련되어 있다. 부싱(56a, 56b)은 리드선(55)을 직경방향으로부터 끼워 넣어 고정한다. 한 쌍의 부싱(56a, 56b)이 서로 대향하는 면에는 각각, 단면 반원형의 배선 홈(57)이 형성되어 있다. 배선 홈(57)에 리드선(55)을 끼워 넣은 상태에서 리드선(55)이 모터 밖으로 인출된다. 그 때문에, 리드선(55)은 배선 홈(57)에 확실하게 고정되고, 소정의 방향으로 배선 가능하다. 각 부싱(56a, 56b)에 있어서의 배선 홈(57)이 형성되는 측과는 반대측의 면에는 계합 홈(58)이 형성되어 있다. 부싱(56a)은 계합 홈(58)을 케이싱(6)의 외주부에 형성된 계합 볼록부(59a)에 계합시켜, 케이싱(6)에 고정되어 있다. 부싱(56b)은 계합 홈(58)을 브래킷 커버(7)의 외주부에 형성된 계합 볼록부(59b)에 계합시켜, 브래킷 커버(7)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해서, 각 부싱(56a, 56b)의 모터 직경방향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져 있다.
베어링(9a, 9b)은 수지제의 슬리브 베어링(슬라이드 베어링)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베어링(9a, 9b)은 내부에 구리스(grease)가 봉입된 중공 통형상의 슬리브 본체(61)를 갖고 있다. 슬리브 본체(61)의 외주면은 적어도 일부가 구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슬리브 본체(61)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축방향의 양단부에는 구면부(97)가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 본체(61)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양 구면부(97)의 사이의 중간부는 원통면(98)이 형성되어 있다(도 9 참조).
슬리브 본체(61)의 내주면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8)는 슬리브 본체(61)의 내주면에 대해 미소한 간극을 갖고 지지되어 있다. 슬리브 본체(61)의 내주면에는 미세 구멍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 미세 구멍을 거쳐서 샤프트(8)의 슬라이딩면에 구리스가 공급된다.
베어링 유지기(15)는 고무 부재와 같은 탄성체로 구성되어 있다. 고무 부재의 경도는 40?80HsA(JIS K 6253 듀로미터(durometer) 타입 A)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60HsA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베어링 유지기(15)는 고무 재료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일래스토머(elastomer)을 갖는 수지재료이어도 좋다.
베어링 유지기(15)는 대직경 통부(65)와 소직경 통부(66)를 포함한다. 대직경 통부(65)는 케이싱(6)의 관통 구멍(31), 또는 브래킷 커버(7)의 관통 구멍(35)에 압입된다. 소직경 통부(66)의 중심축은 대직경 통부(65)의 중심축에 일치하고 있다. 대직경 통부(65)의 외주부에는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주상(기둥형상)부(65a)(도 10의 (a) 및 도 10의 (b)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주상부(65a)는 대직경 통부(65)의 둘레방향으로 서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대직경 통부(65)의 외주면은 스플라인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대직경 통부(65)를 관통 구멍(31, 35)에 압입할 때에, 대직경 통부(65)의 외주면과 관통 구멍(31, 35)의 내주면의 슬라이딩 저항이 극력 저감된다. 그리고, 대직경 통부(65)의 압입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대직경 통부(65)의 내주면에는 베어링(9a, 9b)(슬리브 본체(61))의 외주면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하는 구면 유지부(77)가 형성되어 있다. 소직경 통부(66)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대직경 통부(65)에 인접하는 부분에는 전체 주위에 걸쳐 빠짐방지 홈(33)이 형성되어 있다. 소직경 통부(66)의 선단부에는 모따기부(68)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베어링 유지기(15)의 조립시에, 선단부가 돌출부(32, 36)의 안쪽측을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다. 소직경 통부(66)의 선단면에는 나일론제의 워셔(69)를 끼워 넣기 위한 원형 구멍(75)이 형성되어 있다. 끼워 넣은 워셔(69)는 계지편(76)에 의해서 계지된다. 계지편(76)은 소직경 통부(66)의 선단면에 있어서 원형 구멍(75)의 직경방향 내측으로 약간 돌출된다. 또한, 워셔(69)는 반드시 나일론제일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제 등이어도 좋다.
회전자(3)에 있어서의 내주측 통부(45)의 브래킷 커버(7)측의 단면(45a)과, 단면(45a)에 서로 대향하는 워셔(69)의 거리는 회전자(3)의 외주측 통부(46)와 기판(51)의 거리보다도 작다. 회전자(3)에 있어서의 내주측 통부(45)의 케이싱 저벽부측의 단면(45b)과, 단면(45b)에 서로 대향하는 워셔(69)의 거리는 회전자(3)의 외주측 통부(46)와 저벽부(16)의 거리보다도 작다.
모터(1)를 조립할 때에 작업자는 우선, 고정자(2)를 수지로 덮어 매립한 케이싱(6)을 준비한다. 이어서, 작업자는 베어링(9a)과 워셔(69)를 베어링 유지기(15)에 조립한다. 다음에, 작업자는 그 상태인 채로 베어링 유지기(15)를, 케이싱(6)의 보스부(25)의 관통 구멍(31)에, 모터 축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압입한다. 작업자는 베어링 유지기(15)의 빠짐방지 홈(33)에 돌출부(32)를 계합시킴으로써, 베어링 유지기(15)의 압입 작업이 종료한다. 다음에, 작업자는 회전자(3)가 일체로 고정된 샤프트(8)를, 이미 조립이 완료된 베어링(9a)의 내주면에 삽입한다. 작업자는 베어링(9a)에 샤프트(8)를 조리한 후에, 제어용 기판(51)을 모터 축방향의 타측으로부터 케이싱(6)에 조립한다. 그와 함께, 작업자는 한쪽의 부싱(56a)을 케이싱(6)에 조립한다. 그리고, 배선 홈(57)에 리드선(55)이 끼워 넣어진다. 리드선(55)의 배선이 완료된 후에, 작업자는 다른쪽의 부싱(56b)을, 리드선(55)을 덮도록 한쪽의 부싱(56a)에 조립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조립한 부싱(56a, 56b)이 어긋나지 않도록 하면서, 브래킷 커버(7)를 케이싱(6)의 개구측을 덮도록 모터 축방향의 타측으로부터 조립한다. 이 때, 브래킷 커버(7)에는 베어링(9b) 및 워셔(69)를 유지한 베어링 유지기(15)가 미리 조립되어 있으면 좋다. 이에 따라, 브래킷 커버(7)를 케이싱(6)에 조립하는 동시에, 베어링(9b)의 내주면에 샤프트(8)가 끼워 넣어져, 모터(1)의 조립이 완료된다. 여기서, 조립의 작업은 사람에 의한 조립을 기재했지만, 기계에 의한 조립이어도 좋다.
여기서, 종래의 몰드 모터와 같이 브래킷 커버가 금속재료인 경우에는 PWM 제어에 의한 전압변화에 의해서 베어링이 전식에 이를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해, 실시형태에서는 브래킷 커버(7)를 수지재료(즉, 절연재료)로 구성하도록 한 것에 의해, 브래킷 커버(7)와 고정자 코어(17)의 사이에 전위차가 생겨 베어링(9b)이 전식에 이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베어링 유지기(15)를 절연체인 고무 재료로 구성하는 동시에, 베어링(9b)을 수지 재료로 구성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베어링(9b)의 전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브래킷 커버(7)를 수지 재료로 구성한 경우에는 브래킷 커버(7)를 금속 재료로 구성한 경우에 비해 가공 정밀도가 뒤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브래킷 커버(7)의 원통형상부(37)의 외경 정밀도가 저하하여, 케이싱(6)에 대한 브래킷 커버(7)의 조립 오차(예를 들면 동심도의 어긋남)가 증가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브래킷 커버(7)에 베어링(9b)을 부착하기 위한 관통 구멍(35)의 구멍직경 정밀도도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브래킷 커버(7)에 대한 베어링(9b)의 조립 오차도 증가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수지제의 브래킷 커버(7)를 채용한 경우, 이들 조립 오차가 집적하여, 샤프트(8)의 축 어긋남이 허용 레벨을 초과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샤프트(8)의 회전 정밀도가 현저하게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해, 실시형태에서는 베어링(9b)의 외주면을 구면형상으로 형성해서 베어링 유지기(15)의 구면유지부(77)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샤프트(8)의 축 어긋남이 발생했다고 해도, 자동적으로 정렬된다. 따라서, 샤프트(8)의 회전 정밀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공 정밀도가 뒤떨어지는 것에 의한 케이싱(6)과 베어링(9a)의 끼워맞춤 오차, 베어링(9b)과 브래킷 커버(7)의 끼워맞춤 오차는 베어링 유지기(15)의 탄성력에 의해서 흡수된다. 고정자(2)와 회전자(3)는 반발하는 자력과 서로 흡인하는 자력의 둘레방향의 밸런스에 의해, 회전축의 중앙에 정렬된다. 이 때, 베어링 유지기(15)가 탄성체로 구성됨으로써, 회전자(3)가 정렬되는 방향으로 베어링 유지기(15)가 변형된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베어링(9a, 9b)으로서 슬리브 베어링(슬라이드 베어링)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그 때문에, 롤링(rolling) 베어링을 사용하도록 한 경우에 비해, 모터 작동시에 생기는 소음이 저감한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싱(6)과 브래킷 커버(7)가 동일한 수지재료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양자의 선팽창계수가 동등하게 설정된다. 따라서, 모터 작동시의 발열(베어링(9a, 9b)의 마찰열 등)에 의해서, 케이싱(6) 및 브래킷 커버(7)의 직경방향 치수가 변화되었다고 해도, 양자의 끼워맞춤 정밀도를 일정한 관계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양자의 끼워맞춤 정밀도가 저하하는 것에 의해 따른 샤프트(8)의 회전 정밀도의 저하 및 끼워맞춤 강도의 저하를 방지한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베어링 유지기(15)의 선단면에 나일론제의 워셔(69)가 마련된다. 예를 들면, 샤프트(8)에 대해 피구동 기기로부터 모터 축방향의 하중이 작용하여, 회전자(3)가 샤프트(8)와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했다고 해도, 회전자(3)가 워셔(69)에 대해 슬라이딩하면서 맞닿는다. 따라서, 회전자(3)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시에, 회전자(3)가 케이싱(6)의 저벽부(16)에 맞닿아 이음(異音)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는 회전자(3)가 제어용 기판(51)에 맞닿아 기판(51)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베어링 유지기(15)의 경도를 40?80HsA(더욱 바람직하게는, 60HsA)로 설정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베어링 유지기(15)에 의한 샤프트(8)의 정렬 효과가 가급적 높아진다. 즉, 발명자들은 베어링 유지기(15)의 경도가 너무 높으면, 베어링(9a, 9b)의 구면부(97)가 구면 유지부(77)내에서 슬라이딩하기 어려워지는 것을 찾아내었다. 한편, 발명자들은 베어링 유지기(15)의 경도가 너무 낮으면, 베어링(9a, 9b)의 구면부(97)가 구면유지부(77)내에서 너무 슬라이딩하여 원하는 정렬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것을 찾아내었다. 그리고,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 끝에, 베어링 유지기(15)의 경도를 40?80HsA로 설정함으로써, 샤프트(8)의 정렬 효과가 현격하게 향상한다고 하는 시험 결과를 얻었다. 그리고, 실시형태의 모터는 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베어링 유지기(15)의 경도를 60HsA로 설정함으로써, 수지제의 브래킷 커버(7)를 채용하는 것에 의한 샤프트(8)의 축 어긋남 오차의 증대를 보충해서 높은 회전 정밀도를 실현하고 있다.
(실시형태 2)
도 11은 실시형태 2의 바람직한 일예를 나타낸다. 실시형태 2의 모터는 베어링 유지기(15), 브래킷 커버(7), 및 케이싱(6)의 구성을 실시형태 1과는 다르게 한 것이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즉, 실시형태 2에서는 베어링 유지기(15)는 실시형태 1과는 달리, 외경이 일정한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베어링 유지기(15)의 외주면에 빠짐방지 홈(33)을 갖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브래킷 커버(7)에 있어서의 보스부(34)의 모터 바깥쪽측의 단부에는 원판형상의 접촉판부(95)가 형성되어 있다. 원판형상의 접촉판부(95)는 직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해서 베어링 유지기(15)의 단면에 맞닿는다. 마찬가지로, 케이싱(6)에 있어서의 보스부(25)의 모터 바깥쪽측의 단부에도 직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접촉판부(96)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실시형태 2에 관한 모터(1)의 조립 작업의 바람직한 일예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실시형태 1과 중복된 작업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작업자는 고정자(2)를 수지로 덮어 매립하고, 일체로 성형된 케이싱(6)을 준비한다. 다음에, 작업자는 베어링(9a)과 워셔(69)를 조립한 베어링 유지기(15)를, 케이싱(6)의 보스부(25)의 관통 구멍(31)에, 모터 축방향의 타측에서 일측을 향해 압입한다. 베어링 유지기(15)의 단면이 케이싱(6)의 접촉판부(96)에 맞닿게 함으로써 베어링 유지기(15)의 압입 작업이 종료한다. 다음에, 작업자는 회전자(3)에 일체로 고정된 샤프트(8)를, 이미 조립이 완료된 베어링(9a)의 내주면에 삽입한다. 작업자는 베어링(9a)에 샤프트(8)를 조립한 후에, 제어용 기판(51) 및 부싱(56)을, 케이싱(6)에 대해 모터 축방향의 타측으로부터 조립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조립한 부싱(56)이 어긋나지 않도록 하면서, 브래킷 커버(7)를, 모터 축방향의 타측으로부터 케이싱(6)의 개구측을 덮도록 조립한다. 이 때, 브래킷 커버(7)에는 베어링(9b) 및 워셔(69)를 유지한 베어링 유지기(15)가 미리 조립되어 있으면 좋다. 이에 따라, 브래킷 커버(7)가 케이싱(6)에 조립되는 동시에, 베어링(9b)의 내주면에 샤프트(8)가 끼워 넣어져, 모터(1)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2는 조립 작업의 전부를, 모터 축방향의 동일 측(모터 축방향의 타측)으로부터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1)의 조립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실시형태 2에 있어서도, 조립의 작업은 사람에 의한 조립에 의거하여 기재했지만, 기계에 의한 조립이어도, 본질적으로는 변하지 않는다.
(실시형태 3)
도 12는 실시형태 3을 나타내고, 방진 부재(40)의 구성을 실시형태 1과는 다르게 한 것이다. 즉, 실시형태 3의 모터(1)는 베어링 유지기(15)와 방진 부재(40)가 일체화된 연결 고무부(99)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모터의 조립 공정수 및 부품점수가 삭감되고, 모터(1)가 저비용으로 된다.
(실시형태 4)
실시형태 4는 베어링(9a, 9b)을 유지하는 한 쌍의 베어링 유지기(15a, 15b)와 팬 베어링(104)의 베어링 유지기(15c)의 경도의 관계를 상기 각 실시형태와는 다르게 한 것이다.
각각의 베어링 유지기(15)((15a, 15b, 15c))의 경도를 비교하면, 샤프트(8)의 기단부를 지지하는 베어링(9a)의 베어링 유지기(15a)와, 팬 베어링(104)의 베어링 유지기(15c)의 경도는 동일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팬 베어링(104)과 베어링(9a)의 중간에 위치하는 베어링(9b)의 베어링 유지기(15b)의 경도는 베어링 유지부(15c)의 경도보다도 낮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베어링(9a)측 및 팬 베어링(104)측(모터 축방향의 양단측)이 축심의 기준으로 된다. 그 결과, 한가운데의 베어링(9b)이 샤프트(8)의 정렬 기능을 갖고, 샤프트(8)의 회전 정밀도가 가급적 향상한다.
(실시형태 5)
도 13은 실시형태 5의 바람직한 일예를 나타내고, 케이싱(6)에 대한 브래킷 커버(7)의 부착 구조가 각 실시형태와는 다른 것이다.
즉, 실시형태 5에서는 케이싱(6)의 외주면에 전체둘레에 걸쳐 단면 삼각형상의 계합 돌출부(111)가 형성된다. 그리고, 브래킷 커버(7)의 외주부에 계합 돌출부(111)에 계합하는 계합편(112)이 마련된다. 도 13의 예에서는 계합 돌출부(111)는 케이싱(6)에 대해 일체 성형되어 있다. 계합편(112)은 브래킷 커버(7)에 대해 인서트 성형(또는 접착)에 의해 고정된다.
실시형태 5에 의하면, 케이싱(6)에 대해 브래킷 커버(7)가 가일층 강고하게 고정된다.
(실시형태 6)
도 14는 실시형태 6의 바람직한 일예를 나타내고, 케이싱(6)에 대한 브래킷 커버(7)의 부착 구조가 각 실시형태와는 다른 것이다.
즉, 실시형태 6에서는 케이싱(6)에 대해 브래킷 커버(7)를 압입한 상태에서, 고정용 부재(113)가 케이싱(6) 및 브래킷 커버(7)에 대해 직경방향 외측으로부터 장착된다. 이 예에서는 고정용 부재(113)는 띠형상 플레이트(114)와, 한 쌍의 고정편(115)을 포함한다. 띠형상 플레이트(114)는 케이싱(6)의 외주면을 따라 모터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고정편(115)은 띠형상 플레이트(114)의 긴쪽방향의 양단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고정편(115)은 케이싱(6)의 저벽부(16)와 브래킷 커버(7)를 모터 축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끼워 넣는다. 고정용 부재(113)는 예를 들면 수지재료에 의해 사출 성형된다. 이에 따라, 실시형태 5와 마찬가지로, 케이싱(6)에 대해 브래킷 커버(7)가 가일층 강고하게 고정된다.
(실시형태 7)
도 15 및 도 16은 실시형태 7의 바람직한 일예를 나타내고, 케이싱(6)에 대한 브래킷 커버(7)의 부착 구조가 각 실시형태와는 다른 것이다.
즉, 실시형태 7에서는 고정자 코어(17)를 덮는 인슐레이터(19)에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도 16 참조)가 형성된다.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선단에 발톱부(161)가 형성된다. 발톱부(161)를 이용하여, 케이싱(6)에 대해 브래킷 커버(7)가 고정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축방향의 「바깥쪽측」, 「안쪽측」은 각각, 모터 축방향의 「모터 바깥쪽측」, 「모터 안쪽측」을 의미한다. 또한, 「직경방향 외측」, 「직경방향 내측」은 각각, 「모터 직경방향 외측」, 「모터 직경방향 내측」을 의미한다. 또한, 특별한 기재가 없는 경우, 케이싱(6)에 브래킷 커버(7)가 부착된 상태에 있는 것으로 해서 설명을 한다.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 직경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2개의 인슐레이터(19a)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각 인슐레이터(19a)는 고정자 코어(17)를 축방향에서 보아 T자형상의 인슐레이터 본체(122)를 갖고 있다.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는 인슐레이터 본체(122)의 단면(122a)으로부터 축방향의 브래킷 커버(7)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인슐레이터 본체(122)와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는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다.
케이싱(6)의 개구측의 단면에는,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위치결정 오목부(81)가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위치결정 오목부(81)는 축방향에서 보아, 2개의 인슐레이터(19a)와 모터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동일한 위상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위치결정 오목부(81)의 저벽면(박벽부(123)의 선단면(123a))에는 위치결정 블럭(80)의 선단면이 맞닿아 있다(도 16 참조). 케이싱(6)의 외주벽은 위치결정 오목부(81)가 형성된 부분에 있어서, 그 밖의 부분보다도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다.
각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는 박벽부(薄壁部)(123)의 직경방향 내측에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는 위치결정 오목부(81)내에 위치하고 있다(도 18 참조).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는 단면 직사각형형상의 주상체로 구성되고, 그 두께방향이 모터 직경방향에 일치하고 있다.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와 직경방향 외측의 박벽부(123)의 사이에는 간극(124)(도 16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간극(124)에는 케이싱(6)이 사출 성형될 때에 금형(125)의 일부가 삽입된다. 즉,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형(125)의 성형면에는 케이싱(6)이 사출 성형될 때에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주위를 둘러싸는 주위벽부(126)가 마련되어 있다. 주위벽부(126)는 사출 성형시에 간극(124)에 삽입된다. 주위벽부(126)의 선단면이 인슐레이터 본체(122)의 단면(122a)에 밀착한다. 이에 따라,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주위공간(127)과 수지 충전용의 캐비티(128)가 주위벽부(126)에 의해서 분리된다. 그 때문에, 수지로 성형할 때에, 캐비티(128)에 수지가 충전되어도,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주위공간(127)에 수지가 충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표면 전체가 수지에 의해서 피복되지 않고 노출된다.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는 그 기단부를 지점으로 해서, 적어도,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에 교차하는 소정방향으로의 가요성(탄성변형성)을 갖고 있다. 실시형태 7에 있어서는 가요하는 소정 방향은 직경방향이다. 실시형태 7에서는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는 인슐레이터 본체(122)와 함께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다.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직경방향 외측의 면(120a)과, 인슐레이터 본체(122)의 브래킷 커버(7)측의 단면(122a)의 접속부(170)는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모터 직경방향을 따른 단면에서 보아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16 참조).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직경방향 외측의 면(120a)에는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발톱부(161)가 일체 성형되어 있다. 발톱부(161)는 경사면(129)과 수직면(131)을 갖는다. 발톱부(161)는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모터 직경방향을 따른 단면에서 보아 삼각형상을 이루고 있다. 수직면(131)은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직경방향 외측의 면(120a)에 대해 수직으로 접속되어 있다. 경사면(129)은 수직면(131)의 선단(모터 직경방향 외측의 단가장자리)으로부터,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선단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경사면(129)은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선단측에서 기단측을 향해, 소정 방향의 일측으로 경사진다. 실시형태 7에서는 경사면(129)은 직경방향 외측으로 경사져 있다.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선단면은,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싱(6)의 박벽부(123)의 선단면(123a)보다도 축방향의 바깥쪽측에 위치하고 있다. 박벽부(123)의 선단면(123a)에서 발톱부(161)의 수직면(131)까지의 거리는 d1로 한다. 선단면(123a)에서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기단(즉, 인슐레이터 본체(122)의 브래킷 커버(7)측의 단면(122a))까지의 거리는 d2로 한다. 이 때에, d1과 d2의 관계는 d1<d2이다.
브래킷 커버(7)의 외주부에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싱(6)의 2개의 위치결정 오목부(81)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위치결정 블럭(80)이 형성되어 있다. 각 위치결정 블럭(80)에는 그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133)이 형성되어 있다. 위치결정 블럭(80)의 각 관통 구멍(133)에 위치하는 내벽면에는 커버 발톱부(16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싱(6)에 브래킷 커버(7)를 부착한 상태에서는 각 관통 구멍(133)에 각각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가 삽입된다.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선단부의 발톱부(161)가 관통 구멍(133)내의 커버 발톱부(162)에 계합된다.
구체적으로는, 브래킷 커버(7)측의 커버 발톱부(162)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133)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모터 직경방향 외측의 단부이고 또한 모터 안쪽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커버 발톱부(162)는 관통 구멍(133)의 내주면에서 직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커버 발톱부(162)는 경사면(134)과 수직면(135)을 갖고 있다. 커버 발톱부(162)는 모터 직경방향을 따른 단면에서 보아 삼각형상을 이루고 있다. 수직면(135)은 관통 구멍(133)의 내벽면에 대해 수직(관통 구멍(133의 축심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134)은 수직면(135)의 선단 가장자리로부터, 축방향의 안쪽측을 향해 모터 직경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져 있다. 경사면(134)은 케이싱(6)의 박벽부(123)보다도 직경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경사면(134)은 브래킷 커버(7)를 케이싱(6)에 대해 축방향의 일측으로부터 부착할 때에,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발톱부(161)의 경사면(129)에 맞닿아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를 소정 방향의 일측과 반대측의 타측으로 휘게 한다.
브래킷 커버(7)는 실시형태 7에서는 케이싱(6)과 동일한 열경화성 수지에 의해 사출 성형된다. 이에 따라, 케이싱(6)이 필요한 강도를 충분히 확보하면서, 모터 작동시의 발열에 기인하는 케이싱(6)과 브래킷 커버(7)의 끼워맞춤 정밀도의 저하가 극력 억제된다. 브래킷 커버(7)는 실시형태 1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틀(105)과 하부틀(106)의 사이에 형성되는 캐비티(107)에 수지 재료(열경화성 수지)를 사출해서 고화시켜 형성된다. 실시형태 1과 다른 점은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틀(105)에 제 1 돌출부(141)가 형성되는 점과, 하부틀(106)에 제 2 돌출부(142)가 형성되는 점이다. 제 1 돌출부(141)는 브래킷 커버(7)의 커버 발톱부(162)의 수직면(135)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제 2 돌출부(142)는 커버 발톱부(162)의 경사면(134)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제 1 돌출부(141)와 제 2 돌출부(142)는 상부틀(105)과 하부틀(106)이 틀 체결된 상태에 있어서, 그 선단면끼리가 맞닿아 캐비티(107)내를 상하로 관통한다. 이 때문에, 캐비티(107)내에 있어서의 양 돌출부(141, 142)가 관통하는 부분에는 수지가 충전되지 않는다. 이 수지가 충전되지 않는 부분이 브래킷 커버(7)의 관통 구멍(133)으로서 남는다. 관통 구멍(133)을 그대로 해 두면, 그곳으로부터 모터(1)내에 물방울이나 분진이 침입하여, 모터(1)의 고장의 원인으로 된다. 실시형태 7에서는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브래킷 커버(7)의 관통 구멍(133)을 예를 들면 실리콘 수지로 묻거나, 혹은 테이프나 시일 등으로 관통 구멍(133)을 봉하도록 하고 있다.
작업자가, 브래킷 커버(7)를 케이싱(6)에 조립할 때에는 우선, 브래킷 커버(7)를 케이싱(6)의 개구측의 단면에서 약간 떨어진 위치에 유지해 둔다. 그 상태에서, 작업자는 브래킷 커버(7)의 위치결정 블럭(80)(도 20 참조)의 위치를, 케이싱(6)의 개구측의 단면에 형성된 2개의 위치결정 오목부(81)(도 18 참조)의 위치에 맞춘다. 그와 같이 하여, 작업자는 브래킷 커버(7)의 위치조정을 실행한 후에, 브래킷 커버(7)를 케이싱(6)의 개구측으로 근접해 간다. 그러면, 케이싱(6)측에 마련된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가 브래킷 커버(7)의 위치결정 블럭(80)에 형성된 관통 구멍(133)에 삽입된다. 그리고,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선단에 마련된 발톱부(161)가 관통 구멍(133)내에 마련된 커버 발톱부(162)에 계합된다. 그렇게 해서, 브래킷 커버(7)의 케이싱(6)에의 조립이 완료된다.
양 발톱부(161, 162)의 계합 과정의 바람직한 일예를, 도 2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처음에는 브래킷 커버(7)의 커버 발톱부(162)는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선단의 발톱부(161)에 대해 소정의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도 22의 (a) 참조). 그리고, 브래킷 커버(7)가 케이싱(6)측으로 추진되면, 브래킷 커버(7)의 커버 발톱부(162)의 경사면(134)이,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발톱부의 경사면(129)에 맞닿아 슬라이딩하면서 진행한다. 이것으로,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선단부에는 모터 직경방향의 내측을 향하는 가압력이 작용한다.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는 그 기단부를 지점으로 해서 모터 직경방향의 내측으로 휜다(도 22B 참조). 그리고, 브래킷 커버(7)가 케이싱(6)측으로 더욱 추진되면, 브래킷 커버(7)의 커버 발톱부(162)가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발톱부(161)를 타고 넘는다(도 22의 (c) 참조). 그 결과,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는 자신의 복원력에 의해서 원래의 상태(휘기 전의 상태)로 되돌아오고, 브래킷 커버(7)의 커버 발톱부(162)와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발톱부(161)가 서로 계합한다.
브래킷 커버(7)의 커버 발톱부(162)와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발톱부(161)가 계합된 상태에서는 2개의 발톱부(161, 162)의 수직면(131, 135)은 서로 접촉하고 있다. 예를 들면, 모터 작동시의 발열에 의해, 케이싱(6) 및 브래킷 커버(7)의 직경방향 치수가 변화하여 양자의 감합(끼워맞춤) 정밀도가 저하했다고 해도, 2개의 수직면(131, 135)이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브래킷 커버(7)가 케이싱(6)으로부터 탈락하는 일도 없다.
또한, 실시형태 7에서는 실시형태 5 및 6과 같이 계합편(112)이나 고정용 부재(113)를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적은 부품점수로 브래킷 커버(7)가 케이싱(6)에 대해 강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실시형태 7에서는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를 인슐레이터 본체(122)와 일체 성형하도록 한 것으로, 실시형태 5 및 6과 같이 별도의 부재를 사용해서 브래킷 커버(7)를 케이싱(6)에 고정시킨 경우에 비해, 적은 부품점수로 브래킷 커버(7)가 케이싱(6)에 고정된다.
또한, 실시형태 7에서는 실시형태 5 및 6과 같이 별도의 부재를 사용해서 브래킷 커버(7)를 케이싱(6)에 고정시키는 경우에 비해, 각 수지성형품에 요구되는 치수정밀도가 낮아도 좋기 때문에 그 치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실시형태 6에서는, 도 23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용 부재(113)가 어긋나지 않도록, 플랜지판부(39)의 두께 K1과, 케이싱(6)의 축방향의 길이 K2와, 고정용 부재(113)의 고정편(115)끼리의 거리 K3의 3개의 치수가 정밀도 높게 관리될 필요가 있다. 치수 정밀도의 관리가 나쁘면, 고정용 부재(113) 자신이 케이싱(6)으로부터 어긋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실시형태 7에서는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선단부의 발톱부(161)와, 브래킷 커버(7)의 커버 발톱부(162)의 사이에 다소의 간극 K4(도 23의 (b) 참조)가 있어도, 이 간극 K4분만큼 브래킷 커버(7)와 케이싱(6)의 사이에 축방향의 덜컹거림(chattering)이 생길 뿐, 브래킷 커버(7)가 케이싱(6)으로부터 어긋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실시형태 6과 같이 각 수지성형 품의 치수를 엄밀하게 관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모터(1)의 양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7에서는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발톱부(161)에 계합하는 브래킷 커버(7)측의 커버 발톱부(162)가, 브래킷 커버(7)의 관통 구멍(133)내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브래킷 커버(7)를 케이싱(6)에 조립한 상태에서는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선단의 발톱부(161)가 관통 구멍(133)내에 들어간다. 그 때문에, 모터(1)를 기기류에 부착할 때에 발톱부(161)가 방해로 되는 일도 없다. 따라서, 모터(1)를 기기류에 부착하는 작업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브래킷 커버(7)를 케이싱(6)에 조립할 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가 그 기단부를 지점으로 해서 모터 직경방향의 내측으로 휜다. 이 때문에,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기단부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기단부에 있어서 충분한 강도 및 가요성(탄성변형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 실시형태 7에서는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기단부의 표면을 수지에 의해서 피복하지 않고 노출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기단부가 수지에 의해서 피복되지 않는 분만큼, 인슐레이터 본체(122)에 대한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지지 강성은 저하한다. 그 결과,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모터 직경방향으로의 가요성(변형성)이 향상한다. 또한, 케이싱(6)의 박벽부(123)의 선단면(123a)에서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기단면까지의 거리 d2, 케이싱(6)의 박벽부(123)의 선단면(123a)에서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발톱부(161)의 수직면(131)까지의 거리 d1로 한다. 실시형태 7에서는 거리 d1보다도 거리 d2를 길게 하는 것에 의해,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가요성이 더욱 향상한다.
또한, 인슐레이터 본체(122)의 재료는 얇고 또한 변형되기 쉬운 재료라는 것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가 좋다. 열가소성 수지로 함으로써 인슐레이터 본체(122)의 두께가 극력 얇게 형성된다. 그 결과, 인슐레이터 본체(122)를 거쳐서 고정자 코어(17)의 티스부(18)에 감기는 고정자 코일(21)(도 16 참조)의 점유율이 향상하고, 모터 성능이 향상한다. 그리고, 실시형태 7에서는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는 인슐레이터 본체(122)와 동일한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서 일체 성형된다.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는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요성이 높다. 또한, 인슐레이터(19a)는 케이싱(6) 중에 매립되어 성형되어 있다.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는 인슐레이터 본체(122)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축방향으로의 인장에 대한 허용 응력이 높아진다. 그리고,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는 축방향에 하중이 걸려 브래킷 커버(7)를 어긋나게 하려고 하는 힘에 대해 강하다.
또한,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가 모터 직경방향의 내측으로 휠 때에 인장 응력이 작용한다. 그 때문에,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직경방향 외측의 면(120a)과, 인슐레이터 본체(122)의 브래킷 커버(7)측의 단면(122a)의 접속부(170)에 있어서, 균열이 발생하기 쉽다. 이에 대해, 실시형태 7에서는 접속부(170)는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모터 직경방향을 따른 단면에서 보아 원호형상(단면 R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접속부(170)의 모터 직경방향의 두께를 조금이라도 크게 취해서 그 강도가 향상한다. 그와 함께, 접속부(170)의 응력집중이 완화한다. 따라서, 브래킷 커버(7)를 케이싱(6)에 조립할 때에,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기단부가 잘 파손되지 않는다.
(변형예)
도 24는 실시형태 7의 변형예의 바람직한 일예를 나타낸다. 이 변형예는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발톱부(161)와 브래킷 커버(7)의 계합 구조를 상기 실시형태 7과는 다르게 한 것이다. 또한, 도 16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즉, 도 24에 도시하는 변형예에서는 브래킷 커버(7)를 케이싱(6)에 조립한 상태에 있어서,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선단부의 발톱부(161)가 브래킷 커버(7)의 관통 구멍(133)으로부터 모터 바깥쪽측으로 돌출한다. 그리고, 발톱부(161)가 관통 구멍(133)의 가장자리부에 계합하고 있다. 브래킷 커버(7)의 관통 구멍(133)에 위치하는 내벽면에 있어서의 모터 직경방향의 외측 단부에는 경사면(133a)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133a)은 축방향의 안쪽측에서 바깥쪽측을 향해 직경방향 내측으로 경사진다. 브래킷 커버(7)의 조립시에, 브래킷 커버(7)를 케이싱(6)측으로 접근시킨다. 그러면,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발톱부(161)의 경사면(129)이 브래킷 커버(7)의 경사면(133a)에 맞닿는다. 브래킷 커버(7)를 케이싱(6)측으로 더욱 추진해 가면, 브래킷 커버(7)는 경사면(133a)이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발톱부(161)의 경사면(129)을 슬라이딩하면서 진행한다. 이에 따라,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선단부에는 모터 직경방향의 내측을 향하는 압압력이 작용한다. 그것에 의해,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가 그 기단부를 지점으로 해서 직경방향 내측으로 휜다. 그리고, 브래킷 커버(7)를 케이싱(6)측으로 더욱 추진해 가면,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발톱부(161)가 관통 구멍(133)으로부터 모터 외측으로 빠져 나온다. 이에 따라,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가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온다.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발톱부(161)가 관통 구멍(133)의 가장자리부에 계합된다. 그렇게 해서, 브래킷 커버(7)의 케이싱(6)에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 변형예에 의하면, 브래킷 커버(7)의 관통 구멍(133)에 위치하는 개소에 커버 발톱부(162)를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그 때문에, 브래킷 커버(7)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 구조가 간소화되고, 실시형태 7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형태 8)
도 25 및 도 26은 실시형태 8의 바람직한 일예를 나타내고, 케이싱(6)에 대한 브래킷 커버(7)의 고정 구조가 실시형태 7과는 다른 것이다.
즉, 실시형태 8에서는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발톱부(161)는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직경방향 내측의 면(120b)으로부터 직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는 브래킷 커버(7)를 부착할 때에는 그 기단부를 지점으로 해서 모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휜다.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직경방향 내측의 면(120b)과, 인슐레이터 본체(122)의 브래킷 커버(7)측의 단면(122a)의 접속부(170)는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모터 직경방향을 따른 단면에서 보아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 커버(7)의 원통형상부(37)의 외주면에는 2개의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에 대응해서 2개의 경사면부(145)(도 25 및 도 26에서는 한쪽의 경사면부(145)만을 나타냄)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부(145)는 원통형상부(37)의 선단면(37a)(축방향측의 단면)의 외주연부에 형성되어 있다. 2개의 경사면부(145)는 원통형상부(37)의 직경방향에 있어서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경사면부(145)는 원통형상부(37)의 선단측에서 기단측을 향해 직경방향 외측으로 경사져 있다. 이 경사각은 예를 들면 40°?60°이다.
원통형상부(37)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경사면부(145)의 둘레방향의 일측에는 경사면부(145)에 인접하는 위치결정편부(146)가 형성되어 있다. 각 위치결정편부(146)는 원통형상부(37)의 외주면을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하고 또한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판형상편으로 이루어진다.
원통형상부(37)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각 경사면부(145)의 둘레방향의 타측에는 경사면부(145)에 인접하는 계합 구멍부(147)가 형성되어 있다. 계합 구멍부(147)는 경사면부(145)에 대해, 원통형상부(37)의 기단부측(플랜지판부(39)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도 25 참조). 계합 구멍부(147)는 원통형상부(37)의 직경방향에서 보아 직사각형형상을 이루고 있다. 계합 구멍부(147)의 내벽면은 원통형상부(37)의 축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면(147a, 147b)을 포함하고 있다. 측벽면(147a)은 원통형상부(37)의 선단측(인슐레이터 본체(122)측)에 위치한다. 측벽면(147a)은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발톱부(161)와의 계합면으로서 기능한다. 이 계합면은 원통형상부(37)의 축심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작업자가, 브래킷 커버(7)를 조립할 때에는 우선, 브래킷 커버(7)를 케이싱(6)의 개구측의 단면에서 조금 떨어진 위치에 유지한다. 그 상태에서, 작업자는 원통형상부(37)에 마련된 2개의 경사면부(145)의 위치를, 케이싱(6)에 마련된 2개의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위치에 맞춘다. 그리고, 작업자는 이 위치맞춤을 실행한 후에, 브래킷 커버(7)를 케이싱(6)의 개구측에 근접시킨다. 그리고, 브래킷 커버(7)의 플랜지판부(39)가 케이싱(6)의 단면에 맞닿은 곳에서, 작업자는 브래킷 커버(7)를 둘레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선단부의 발톱부(161)가 계합 구멍부(147)에 계합된다. 그리고, 브래킷 커버(7)의 케이싱(6)에의 조립이 완료된다. 발톱부(161)의 계합 과정의 바람직한 일예를 도 25?도 27을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처음에는 브래킷 커버(7)의 원통형상부(37)의 경사면부(145)가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선단의 발톱부(161)의 경사면(129)으로부터 조금 떨어진 위치에 있다(도 25의 (a), 도 26의 (a) 참조). 브래킷 커버(7)가 케이싱(6)측으로 추진되면,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발톱부(161)의 경사면(129)이 브래킷 커버(7)의 원통형상부(37)의 경사면부(145)에 맞닿아 슬라이딩하면서 진행한다. 이에 따라,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선단부는 직경방향 외측을 향하는 압압력이 작용한다.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는 그 기단부를 지점으로 해서 직경방향 외측으로 휜다. 또한, 브래킷 커버(7)를 케이싱(6)측으로 추진하면,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발톱부(161)가 원통형상부(37)의 경사면부(145)보다도 기단측의 원통면부(149)에 올라앉는다(도 25의 (b) 및 도 26의 (b) 참조). 이 상태에서 브래킷 커버(7)를 회전시키면, 원통형상부(37)에 마련된 위치결정편부(146)가 위치결정 오목부(81)의 측단면(81a)에 맞닿는다. 위치결정편부(146)가 측단면(81a)에 맞닿은 곳에서,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발톱부(161)가 계합 구멍부(147)에 도달한다(도 27의 (b) 참조). 그리고,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가 자신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온다. 그와 동시에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선단부의 발톱부(161)가 계합 구멍부(147)에 계합하여, 브래킷 커버(7)의 조립이 완료된 다. (도 25의 (c) 및 도 26의 (c) 참조).
이 구성에 의하면, 실시형태 6 및 실시형태 7과 같이 브래킷 커버(7)에 관통 구멍(133)을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그 때문에, 관통 구멍(133)으로부터의 이물의 침입의 문제가 해소된다. 또한, 관통 구멍(133)을 실리콘 등으로 막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실시형태 8의 모터는 양산성이 좋고, 그만큼, 모터 비용이 저감한다.
(실시형태 9)
도 28 및 도 29는 실시형태 9의 바람직한 일예를 나타내고, 케이싱(6)에 대한 브래킷 커버(7)의 고정 구조를 실시형태 7 및 실시형태 8과는 다르게 한 것이다.
즉, 실시형태 9에서는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발톱부(161)는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선단부의 직경방향 내측의 면(120b)으로부터 직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다. 발톱부(161)는 모터 직경방향을 따른 단면에서 보아 직사각형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수직면(131)을 갖고 있다.
브래킷 커버(7)의 원통형상부(37)의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연장하고 또한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판형상의 돌출편부(151)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편부(151)의 두께방향에 표리 한 쌍으로 구비되는 측면(151a, 151b) 중 한쪽의 측면(151b)은 원통형상부(37)의 기단부측(플랜지판부(39)측)이다. 한쪽의 측면(151b)은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발톱부(161)와의 계합면으로서 기능한다. 이 계합면은 원통형상부(37)의 축심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편부(151)(계합면)와 브래킷 커버(7)의 플랜지판부(39)의 사이에는 발톱부(161)를 받아들이는 공극부(143)가 형성되어 있다.
작업자가, 브래킷 커버(7)를 부착할 때에는 우선, 브래킷 커버(7)를 케이싱(6)의 개구측의 단면으로부터 조금 떨어진 위치에 유지해 둔다. 그리고, 작업자는 브래킷 커버(7)를 축심 주위로 회전시킨다. 그렇게 해서, 작업자는 원통형상부(37)에 마련된 돌출편부(151)의 위치를,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에 대해 둘레방향으로 약간 어긋난 위치로 조정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위치 조정을 실행한 후에, 브래킷 커버(7)를 케이싱(6)의 개구측에 접근시켜 간다. 그리고, 브래킷 커버(7)의 플랜지판부(39)가 케이싱(6)의 단면에 맞닿은 곳에서, 작업자는 브래킷 커버(7)를 둘레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원통형상부(37)의 돌출편부(151)와 브래킷 커버(7)의 플랜지판부(39)의 사이의 공극부(143)에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발톱부(161)가 들어간다(도 28의 (b) 참조). 그리고, 돌출편부(151)와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발톱부(161)가 계합한다. 그렇게 해서, 브래킷 커버(7)의 케이싱(6)에의 조립이 완료된다.
실시형태 9에서는, 실시형태 6 및 실시형태 7과 같이, 브래킷 커버(7)를 케이싱(6)에 조립할 때에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가 직경방향으로 휘는 일도 없다. 따라서, 브래킷 커버(7)를 조립할 때의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8과 마찬가지로, 브래킷 커버(7)에 관통 구멍(133)을 형성할 필요도 없기 때문에, 관통 구멍(133)으로부터의 이물의 침입의 문제가 해소된다.
또한, 실시형태 9의 모터는, 실시형태 6 및 실시형태 7과 같이,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발톱부(161)에 경사면(129)을 형성할 필요도 없고,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의 형상이 간단하게 된다.
(다른 실시형태)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밖의 각종 구성을 포함하는 것이다. 즉, 상기 각 실시형태의 모터는 수지로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수지재료를 사용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회전자(3)가 모터 축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 워셔(69)를 회전자(3)에 맞닿게 하는 것에 의해 회전자(3)의 이동이 규제된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워셔(69)를 마련하지 않고, 회전자(3)가 베어링 유지기(15)의 선단면에 직접 맞닿도록 해도 좋다. 또한, 베어링 유지기(15)의 선단면에 회전자(3)의 내주측 통부(45보다도 대직경의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해도 좋다. 이에 따라, 회전자(3)가 모터 축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내주측 통부(45)가 이 개구부를 통과해서 베어링(9a, 9b)의 단면에 맞닿는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베어링 유지기(15)의 축방향의 위치결정을 실행하기 위해, 브래킷 커버(7)의 보스부(34)의 내주면에 빠짐방지 홈(33)에 계합하는 돌출부(36)가 마련되거나, 베어링 유지기(15)의 단면에 맞닿는 접촉판부(95, 96)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보스부(34)의 내주면에 또한, 직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고, 베어링 유지기(15)의 외주면에 해당 돌기부에 계합하는 계합 오목부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돌기부가 베어링 유지기(15)의 축심 주위의 회전방지로서 기능한다. 돌기부의 형상은 예를 들면 구면형상이나 원통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어링 유지기(15)가 모터 작동시에 그 축심 주위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베어링 유지기(15)의 외주면이 보스부(34)의 내주면(관통 구멍(35)의 내주면)에 스쳐서 마모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베어링 유지기(15)가 모터 작동 중에 움직여 버리는 것에 의해 그 정렬 기능이 저하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는 케이싱(6)의 축방향의 일측이 개구되어 있어, 해당 개구가 브래킷 커버(7)로 덮이는 예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케이싱(6)의 축방향의 양측이 개구되어 있어, 해당 양 개구가 각각 브래킷 커버(7)로 덮이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베어링(9a, 9b)이 모두, 브래킷 커버(7)에 대해 베어링 유지기(15)를 거쳐서 지지되도록 하면 좋다.
또한, 브래킷 커버(7)를 금속부재로 하는 구성은 본 발명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베어링 유지기(15)의 강성 설정에 궁리하는 것에 의한 정렬 기능의 향상 효과, 브래킷 커버(7)의 위치결정 블럭(80)의 형상에 궁리하는 것에 의한 쐐기 효과, 워셔(69)에 의한 회전자(3)의 위치 규제 효과, 및 모터(1)의 조립성의 향상 효과는 가령, 브래킷 커버(7)를 금속재료로 구성했다고 해도 소실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형태 7 내지 9에서는 브래킷 커버(7)의 부착시에, 고정용 연장 설치부(120)가 모터 직경방향으로 휘는 예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모터 둘레방향으로 휘는 것이라도 좋다.
케이싱내에 고정자를 수지로 덮어 매립하는 것에 의해 일체 고정시킨 몰드 모터에 유용하다. 특히, 성형용의 수지로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를 채용한 몰드 모터에 유용하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브래킷 커버를 금속재료가 아닌 수지재료로 구성한 것에 의해, 브래킷 커버와 고정자 코어의 사이에 전위차가 생겨 베어링이 전식에 이르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수지재료는 금속재료에 비해 가공 정밀도가 뒤떨어지기 때문에, 브래킷 커버의 재료를 단지 금속재료에서 수지재료로 변경한 것만으로는 케이싱에의 브래킷 커버의 조립 정밀도나, 브래킷 커버에의 베어링의 부착 정밀도가 저하한다. 그리고, 샤프트의 축 어긋남 등이 발생하고, 샤프트의 회전 정밀도가 저하한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서는 샤프트를 지지하는 베어링을,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베어링 유지기에 의해 직경방향 외측으로부터 덮어 유지해서 해당 베어링 유지기를 거쳐서 브래킷 커버 또는 케이싱에 부착하도록 하였다. 그렇게 함으로써, 베어링 유지기의 탄성작용을 이용하여 샤프트의 축 어긋남이 흡수된다. 이렇게 해서, 본 발명에서는 샤프트의 회전 정밀도를 저하시키는 일없이, 베어링이 전식에 이르는 것을 방지한다.

Claims (23)

  1. 몰드 모터로서,
    링형상의 고정자 코어에 형성된 티스에 고정자 코일을 감아서 이루어진 고정자와,
    축방향의 일측이 개구된 바닥을 갖는 통형상을 이루고, 상기 고정자를 수지로 덮어 매립하는 것에 의해 일체 고정되는 수지제의 케이싱과,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자의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회전자와,
    상기 샤프트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베어링과,
    절연성을 갖는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베어링을 직경방향 외측으로부터 덮어 유지하는 한 쌍의 베어링 유지기와,
    상기 케이싱의 개구측을 덮는 수지제의 브래킷 커버와,
    상기 고정자 코일에 대해 공급되는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제어용 기판
    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베어링 중의 한쪽은 상기 베어링 유지기 중 한쪽을 사이에 두고 상기 브래킷 커버에 부착되고, 다른 쪽의 베어링은 상기 다른 쪽의 베어링 유지기를 사이에 두고 상기 케이싱의 저벽부에 부착되는
    몰드 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수지제의 슬라이드 베어링인 몰드 모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커버는 상기 케이싱과 동일한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몰드 모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베어링은 중공 통형상의 슬리브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 본체의 내주면에 대해 상기 샤프트가 지지되고,
    상기 슬리브 본체의 외주면은 적어도 일부가 구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어링 유지기는 슬리브 본체의 외주면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하는 구면 유지부를 갖는
    몰드 모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베어링은 중공 통형상의 슬리브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 본체의 내주면에 대해 상기 샤프트가 지지되고,
    상기 슬리브 본체의 외주면은 적어도 일부가 구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어링 유지기는 슬리브 본체의 외주면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하는 구면 유지부를 갖는
    몰드 모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 코일은 인슐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상기 티스에 감기고,
    상기 인슐레이터는 인슐레이터 본체와, 고정용 연장 설치부가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인슐레이터 본체는 상기 티스의 표면을 덮고,
    상기 고정용 연장 설치부는 상기 인슐레이터 본체의 단면에서 브래킷 커버측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고정용 연장 설치부의 선단부에는 발톱부가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 커버에는 상기 브래킷 커버를 상기 케이싱에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용 연장 설치부의 발톱부에 계합하는 커버 발톱부가 형성되는
    몰드 모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연장 설치부는 그 기단부를 지점으로 해서, 적어도, 상기 고정용 연장 설치부에 교차하는 소정 방향으로 가요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고정용 연장 설치부의 발톱부는 상기 고정용 연장 설치부의 선단측에서 기단측을 향해, 상기 소정 방향의 일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갖고,
    상기 브래킷 커버의 커버 발톱부는
    상기 브래킷 커버를 상기 케이싱에 대해 축방향의 일측으로부터 부착할 때에, 상기 고정용 연장 설치부의 발톱부의 경사면에 맞닿아 상기 고정용 연장 설치부를 상기 소정 방향의 일측과는 반대측의 타측으로 휘게 하는 경사면을 갖고 있는
    몰드 모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방향은 모터 직경방향 또는 모터 둘레방향인 몰드 모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커버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 커버의 커버 발톱부는 상기 관통 구멍의 내벽면에 형성되는
    몰드 모터.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커버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 커버의 커버 발톱부는 상기 관통 구멍의 내벽면에 형성되는
    몰드 모터.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커버 및 상기 케이싱은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용 연장 설치부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몰드 모터.
  12. 제 7 항 내지 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커버 및 상기 케이싱은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용 연장 설치부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몰드 모터.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연장 설치부의 기단부는 수지로 피복되지 않고 노출되어 있는 몰드 모터.
  14. 제 7 항 내지 제 9 항 및 제 11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연장 설치부의 기단부는 수지로 피복되지 않고 노출되어 있는 몰드 모터.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단면에는 위치결정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 커버는
    상기 케이싱의 개구측의 단부의 내주면에 압입되는 원통형상부와,
    상기 원통형상부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케이싱의 단면에 맞닿는 플랜지판부와,
    상기 플랜지판부에 마련되고, 상기 위치결정 오목부에 계합하는 위치결정 블럭을 갖고,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브래킷 커버의 위치결정 블럭에 형성되어 있는
    몰드 모터.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단면에는 위치결정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 커버는
    상기 케이싱의 개구측의 단부의 내주면에 압입되는 원통형상부와,
    상기 원통형상부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케이싱의 단면에 맞닿는 플랜지판부와,
    상기 플랜지판부에 마련되고, 상기 위치결정 오목부에 계합하는 위치 결정 블럭을 갖고,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브래킷 커버의 위치결정 블럭에 형성되어 있는
    몰드 모터.
  1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연장 설치부의 선단면은 상기 케이싱의 축방향 단면보다도 축방향 바깥쪽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케이싱의 단면에서 상기 고정용 연장 설치부의 기단부까지의 거리가 상기 단면에서 고정용 연장 설치부의 선단면까지의 거리보다도 긴
    몰드 모터.
  18. 제 7 항 내지 제 9 항, 제 11 항, 제 13항 및 제 15 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연장 설치부의 선단면은 상기 케이싱의 축방향 단면보다도 축방향 바깥쪽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케이싱의 단면에서 상기 고정용 연장 설치부의 기단부까지의 거리가 상기 단면에서 고정용 연장 설치부의 선단면까지의 거리보다도 긴
    몰드 모터.
  1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연장 설치부에 있어서의 상기 소정 방향의 일측의 면과 상기 인슐레이터 본체의 브래킷 커버측의 단면의 접속부는 모터 직경방향을 따른 단면에서 보아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몰드 모터.
  2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은 실리콘 수지 또는 테이프에 의해 폐색되어 있는 몰드 모터.
  2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은 실리콘 수지 또는 테이프에 의해 폐색되어 있는 몰드 모터.
  2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커버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 커버의 커버 발톱부는 상기 관통 구멍의 가장자리부로 이루어지는 몰드 모터.
  23. 몰드 모터로서,
    링형상의 고정자 코어에 형성된 티스에 고정자 코일을 감아서 이루어지는 고정자와, 축방향의 양측이 개구된 통형상을 이루고, 상기 고정자를 수지로 덮어 매립하는 것에 의해 일체 고정되는 수지제의 케이싱과,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자의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회전자와, 상기 샤프트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베어링과, 절연성을 갖는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어링을 직경방향 외측으로부터 덮어서 유지하는 한 쌍의 베어링 유지기와, 상기 케이싱의 축방향의 양측을 덮는 수지제의 브래킷 커버와, 상기 고정자 코일에 대해 공급되는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제어용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베어링 중의 한쪽은 상기 베어링 유지기 중 한 쪽을 거쳐서 상기 브래킷 커버에 부착되고, 다른 쪽의 베어링은 상기 다른 쪽의 베어링 유지기를 거쳐서 상기 케이싱의 저벽부에 부착되는
    몰드 모터.
KR1020110146084A 2010-12-29 2011-12-29 몰드 모터 KR1014463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94468 2010-12-29
JP2010294468 2010-12-29
JPJP-P-2011-174792 2011-08-10
JP2011174792A JP5289521B2 (ja) 2010-12-29 2011-08-10 モールドモー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330A true KR20120076330A (ko) 2012-07-09
KR101446384B1 KR101446384B1 (ko) 2014-10-01

Family

ID=46351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6084A KR101446384B1 (ko) 2010-12-29 2011-12-29 몰드 모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46384B1 (ko)
CN (1) CN1025454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14850A1 (de) * 2012-08-21 2014-03-20 Stabilus Gmbh Elektromotor und Motor-Getriebe-Baugruppe sowie längenveränderbare Antriebseinrichtung mit einem derartigen Elektromotor
JP5773499B2 (ja) * 2012-12-11 2015-09-02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アキシャルギャップ型発電体
JP6157940B2 (ja) * 2013-06-12 2017-07-05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モータ
JP6109312B2 (ja) * 2013-07-03 2017-04-05 三菱電機株式会社 モータ及び空気調和装置
CN106160310A (zh) * 2015-04-03 2016-11-23 博世汽车部件(长沙)有限公司 电机转子轴支承组件以及电机
JP2016200251A (ja) * 2015-04-14 2016-12-01 日本電産テクノモータ株式会社 軸受装置およびモータ
JP5990346B1 (ja) * 2016-01-15 2016-09-14 山洋電気株式会社 モータ
US20170366062A1 (en) * 2016-06-17 2017-12-21 Nidec Corporation Motor
EP3576259B1 (en) * 2017-01-27 2023-05-03 Hitachi Industrial Equipment Systems Co., Ltd. Axial gap-type rotary electric machin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WO2018138852A1 (ja) * 2017-01-27 2018-08-02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回転電機
DE102017104837A1 (de) * 2017-03-08 2018-09-13 HELLA GmbH & Co. KGaA Pumpe
JP2020005460A (ja) * 2018-06-29 2020-01-09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JP2020108183A (ja) * 2018-12-26 2020-07-09 日本電産テクノモータ株式会社 モータ
DE102019119224A1 (de) * 2019-07-16 2021-01-21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Lagerdeckel
CN116707201A (zh) * 2021-11-18 2023-09-05 浙江东政电机有限公司 一种电机安装和拆卸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46750A (ja) * 1989-03-17 1990-10-02 Shibaura Eng Works Co Ltd モールドモータ
JP2510896B2 (ja) * 1991-02-28 1996-06-26 西陣電子紋匠協業株式会社 有杼織における杼の交換の自動組立法
JP3168028B2 (ja) * 1991-07-15 2001-05-21 松下電工株式会社 モータの軸受装置
US5783888A (en) * 1994-03-17 1998-07-21 Fuji Electric Co., Ltd. Rotary electric machine
CN1069791C (zh) * 1996-01-23 2001-08-15 精工爱普生株式会社 电动机壳体及其制造方法
JPH09238442A (ja) * 1996-03-01 1997-09-09 Jidosha Denki Kogyo Co Ltd アクチュエータ駆動用モータ
JP4693278B2 (ja) * 2001-05-09 2011-06-01 日本電産シバウラ株式会社 モールドモータ
JP2003339134A (ja) 2002-05-17 2003-11-28 Sanwa Techno Kk 電動機の軸受装置
JP3900172B2 (ja) * 2004-06-25 2007-04-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動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45460B (zh) 2015-10-07
CN102545460A (zh) 2012-07-04
KR101446384B1 (ko) 2014-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76330A (ko) 몰드 모터
JP5289521B2 (ja) モールドモータ
KR101955729B1 (ko) 몰드 모터
JP5775853B2 (ja) モールドモータ
CN108233582B (zh) 定子单元、马达、及定子单元的制造方法
KR101708968B1 (ko) 모터
CN104283392A (zh) 马达以及直流无刷马达
US10855134B2 (en) Motor a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7033810B2 (ja) ブラシ付き永久磁石マイクロモータ及びその組立方法
JP6042302B2 (ja) モータ
US20180076696A1 (en) Mo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6521137B2 (ja) モータ
JP2018178898A (ja) 送風装置、送風ユニット、及び、送風装置の製造方法
US9118222B2 (en) Outer rotor-type brushless motor
US20190027993A1 (en) Light weight motor housing
JP5983245B2 (ja) モールドモータ
KR20180053866A (ko) 로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JPWO2018235184A1 (ja) 電動機及び電動機の組立方法
KR200475473Y1 (ko) 브러쉬리스 모터의 회로기판 커넥터 접속장치
JP2018093575A (ja) ステータユニットおよびモータ
JP5318849B2 (ja) モータ及び送風ファン
JP2020108183A (ja) モータ
CN112544029A (zh) 旋转电机
JP2019205217A (ja) ブラシモータ
JP6087315B2 (ja) 電動機の回転子、電動機、空気調和機、および電動機の回転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