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4649A -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 및 전자 패스포트 - Google Patents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 및 전자 패스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4649A
KR20120064649A KR1020117021642A KR20117021642A KR20120064649A KR 20120064649 A KR20120064649 A KR 20120064649A KR 1020117021642 A KR1020117021642 A KR 1020117021642A KR 20117021642 A KR20117021642 A KR 20117021642A KR 20120064649 A KR20120064649 A KR 20120064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ultilayer
layer
laser marking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1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0345B1 (ko
Inventor
도시노리 사카가미
다카시 와타나베
유키 스에이시
아키라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니혼 칼라링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칼라링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칼라링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64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4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2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use or purpose
    • B42D25/24Pass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impregnant, bonding, or embedding sub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3/00Loose leaves modified for bind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40Manufacture
    • B42D25/405Marking
    • B42D25/41Marking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40Manufacture
    • B42D25/45Associating two or more layers
    • B42D25/455Associating two or more layers using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40Manufacture
    • B42D25/45Associating two or more layers
    • B42D25/46Associating two or more layers using pres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5Thickness [relative or absolu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of base or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861Coated or impregnated synthetic organic fiber fabric
    • Y10T442/2893Coated or impregnated polyamide fiber fab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861Coated or impregnated synthetic organic fiber fabric
    • Y10T442/291Coated or impregnated polyolefin fiber fabric
    • Y10T442/2918Polypropylene fiber fab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 Treatments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개구부를 구비하는 직물상 시트 (3)의 양면에,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층 (5)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복합 힌지 시트로서, 직물상 시트 (3)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직물 또는 부직포를 포함하고, 열가소성 수지층 (5)는, 표면 경도 쇼어 A가 85 이상, 쇼어 D가 70 미만인 유연성을 갖는 수지를 원료로 하여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열가소성 수지의 일부가 직물상 시트 (5)의 개구부에 침입하여 개구부의 모두를 폐색하여 직물상 시트 (3)에 열가소성 수지층 (5)가 일체화되어 이루어지는 복합 힌지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인열, 인장 강도가 우수하고, 이 매기부가 내광, 내열성을 갖고, 반복 구부림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한 복합 힌지 시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 및 전자 패스포트{COMPOSITE HINGE SHEET FOR LASER-MARKING MULTILAYER LAMINATE FOR ELECTRONIC PASSPORT, LASER-MARKING MULTILAYER LAMINATE FOR ELECTRONIC PASSPORT, AND ELECTRONIC PASSPORT}
본 발명은 전자 패스포트에 이용되는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 상기 복합 힌지 시트를 이용한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 및 전자 패스포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가열 융착성, 내구성, 절곡성, 가공성이 우수한 복합 힌지 시트, 및 레이저 광선 조사에 의해 다층 시트에 손상없이 마킹되고, 생지색(生地色)과 인자부(印字部)와의 콘트라스트가 높아, 선명한 문자, 기호, 화상이 얻어지고, 내열성 및 생산성도 우수한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 및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를 이용한 전자 패스포트에 관한 것이다.
국제 교류가 진전되는 속에서, 인재의 이동도 활발화해지고 있는 요즘, 개인을 특정하여 신원을 증명하는 수단으로서 개인 정보를 기록한 패스포트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패스포트는, 공적 기관이기도 하면서 신뢰성을 갖는 국가가 발행하는 이른바 신분증(신원 증명서 등)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2001년 9월 세계 동시 다발 테러 사건 이후, 각국의 입출국 관리를 엄격하게 하기 위해서, UN의 전문 기관 ICAO(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가 표준 규격을 제정하여, 전자 패스포트 도입에 대한 시도가 개시되었다. 이러한 시도 속에서 위조 방지가 중요하고, 그 때문에 개인명, 기호, 문자, 사진 등을 레이저 마킹하는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그런데, 이 전자 패스포트는 개인을 특정하고 증명할 수 있는 것이므로, 국가(또는 국가의 대행 기관) 이외의 제삼자가 개인 정보의 개찬이나 위조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면, 신분증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져, 국제 교류의 진전이나 인재의 세계적 규모에서의 이동에 지장이 생기게 될지도 모른다.
따라서 상술한 전자 패스포트에서는, 어떻게 개찬이나 위조를 방지하는가가 중요한 문제로 되어 있다. 또한, 전자 패스포트는 경박단소의 규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개인명, 기호, 문자, 사진 등을 어떻게 콘트라스트를 높여 선명하게 표시할 수 있는가가 중요해진다. 또한, 콘트라스트를 높여 선명한 표시를 실현할 수 있는가는, 개찬이나 위조 등의 미연 방지로도 이어지기 때문에, 시장의 기대도 크다.
또한, 개찬이나 위조 등에 추가로, 전자 패스포트는 세계 도처에서 휴대하는 것으로서, 내구성이 요구된다. 특히 힌지 시트를 통해 개인을 특정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전자 패스포트에 내장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힌지 시트가 손상되기 어려운 내구성을 구비할 것이 요구된다. 즉, 힌지 시트가 전자 패스포트 본체로부터 뜯겨지는 등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힌지 시트 등에 내구성을 구비시킬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내구성을 구비시킴으로써, 발행자인 공적 기관 등을 제외한 제삼자가 힌지 시트 등을 의도적으로(고의로) 다른 것으로 교환하는 것 등과 같은 개찬이나 위조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빠른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개인명, 기호, 문자, 사진 등을 레이저 마킹하는 기술, 구체적으로는 레이저 마킹용 적층체가 주목받고 있다. 예를 들면, 이하의 특허문헌 1, 2가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외관의 손상이 없고, 콘트라스트가 양호하고, 표면 평활성이 우수한 레이저 마킹할 수 있는 다층 시트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적어도 표층 및 내층을 포함하는 다층 시트로서, (A)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표층과, (B) (b-1)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b-2) 레이저 광선을 흡수하는 에너지 흡수체 0.01 내지 5 중량부 및 (b-3) 착색제 0.5 내지 7 중량부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내층을, 용융 공압출로 형성한 레이저 마킹용 다층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서는, 외관의 손상이 없고, 콘트라스트가 양호하고, 표면 평활성이 우수하며, 레이저 마킹할 수 있고, 내열성이 우수한 다층 시트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제1 표층/내층/제2 표층을 포함하는 다층 시트로서, (A)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운모 및 카본블랙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0.001 내지 5 중량부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투명한 제1 및 제2 표층과, (B)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레이저 광선을 흡수하는 에너지 흡수체 0.001 내지 3 중량부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내층으로 형성되고, 제1 표층/내층/제2 표층의 시트의 두께 구성비가 1:4:1 내지 1:10:1이고, 제1 표층/내층/제2 표층을 용융 공압출로 형성한 레이저 마킹용 다층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힌지 시트가, 정보 페이지를 다른 페이지 등과 표지에 철하기 위한 시트로서 개시된, 예를 들면 이하의 특허문헌 3 내지 9가 있다.
특허문헌 3에서는, 인쇄물 시트 등을 실매기 할 때에 매기 마진을 두어 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4에서는, 투명층/착색층/투명층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정보 페이지를 맬 때에, 투명층/착색층/투명층의 양 외층인 투명층을 돌출시켜 좁히고, 이 부분을 매기 마진으로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5에서는, 페이스 필름과 백 필름을 좁히고, 그 좁힌 부분을 매기 마진으로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6에서는, 플라스틱 시트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인레이(inlay)를 둘러 싸는 커버 호일을 포함하는 정보 페이지를 다른 페이지와 함께 철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7에서는, 수매의 종이 시트를 표지에 철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8, 9에서는, 적층체의 중앙부에 철하기 위한 시트, 즉 힌지 시트를 설치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73832호 공보 일본 특허 제388943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09-123636호 공보 국제 공개 제98/1987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13072호 공보 미국 특허 제006135503호 명세서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03174호 공보 유럽 특허 제1592565호 명세서 유럽 특허 제1502765호 명세서
확실히, 특허문헌 1, 2에 있어서의 레이저 마킹용 다층 시트에서는, 이들 다층 시트끼리나, 예를 들면 PETG 시트나 ABS 수지 시트 등의 열가소성 수지 시트와의 가열 융착성이 우수하여, 레이저광 조사에 의한 레이저 마킹에 의해 문자, 숫자를 인자하는 데 충분한 인자성을 얻을 수 있어 평가할만하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서는, 내층에 착색제 0.5 내지 7 중량부를 함유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개인 정보를 기록한 패스포트와 같은, 이른바 신분증에서는, 중간층인 인레이층에 인쇄를 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 경우에, 최외층(오버레이(overlay))에 상기 다층 시트를 이용하면, 착색제 함유의 영향으로 투명성이 충분하지 않다. 그 때문에, 인쇄 부분의 화상 선명성이 저해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의 다층 시트에서는, 표층에도 레이저광 흡수제인 운모 및 카본블랙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함유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개인 정보를 기록한 패스포트와 같은, 이른바 신분증의 최외층(오버레이)에 상기 다층 시트를 이용하면, 레이저광 조사에 의해 표층에 함유되어 있는 레이저광 흡수제가 레이저광 에너지를 흡수하여 발포 등의 현상이 생긴다. 그 결과, 표면의 평활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3에서는, 적층체를 다른 시트와 함께 철하는 기술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특허문헌 4에서는, 투명층/착색층/투명층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두께와, 매기 마진부의 두께가 상이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적층체를 대량으로 안정적으로 생산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특허문헌 5에서는, 이 기술에 대해서도 그의 제조 방법에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가 있어, 이와 같은 적층체를 대량으로 안정적으로 생산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특허문헌 6에서는, 정보 페이지부로부터 커버 호일을 복수매 돌출시켜 좁힘 매기부(narrow binding part)로 하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7에서는, 수매의 종이의 시트를 합성 수지의 밴드로 표지에 부착함으로써 매기부가 두껍게 되어, 제본했을 때에 열리게 되는 문제가 있어, 패스포트처럼 대량의 제본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특허문헌 8에서는, 다른 것과 접속하기 위한 시트가 적층체의 중앙부이기는 하지만 부분 삽입밖에 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부분 삽입에서는, 적층체를 가열 적층 시에 접속하기 위한 시트의, 삽입된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에서 두께 차가 생긴다. 다시 말해서, 접속하기 위한 시트가 삽입된 부분은, 그렇지 않은 부분보다 부풀어오르게 된다. 그리고, 이것이 원인이 되어 제본된 패스포트가 의도하지 않게 자연적으로 열려 버리거나, 제본된 패스포트를 복수권 세웠을 때에 부채형이 되어 버리기나 하여, 패스포트를 1권씩 후속 공정인 인자 공정에 보낼 때에 보낼 수 없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또한, 일반적인 층 구조로 구성됨과 동시에, 접합부의 시트 재료로서, 그의 표층이 PE, 코어층이 PET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정보 페이지의 시트 재료가 PC라고 기재되어 있다. 이것으로부터, PC 시트와 접합부의 표층 PE는 가열접착하지 않기 때문에, 그의 접착에는 어떠한 접착제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그것에 대해서는 특별히 기재가 없고, 표지 등과 고온 활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는 취지의 기재뿐이다. 따라서, 해당 개시 기술에서는, 어떠한 접착제를 접합부의 시트 재료의 양면의 표면에 미리 도포하여 두는 등의 방법이 필요하여, 생산 공정상 번잡해진다. 게다가, 이 부분의 접착 강도에 대한 기재가 없어, 개시 기술로서는 불명확하다.
또한 특허문헌 9에서는, 개구부를 갖는 가요성층을 적층체의 중앙부 전체면 또는 부분적으로 삽입하는 기술, 또는 가요성층을 적층체의 최외층에 설치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가요성층의 부분 삽입 및 가요성층의 적층체의 최외층에 설치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상기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음은 이미 언급하였다. 여기서, 개구부를 갖는 가요성층을 적층체의 중앙부 전체면에 설치하는 기술에 대해서, 개구부를 갖는 가요성층으로서 직물을 사용하는 취지가 해당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그 직물을 특정 크기로 절단하는 경우 절단부의 실이 풀리는 문제가 있어, 그대로는 사용할 수 없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절단 시에 실이 풀리지 않도록, 접착제를 도포하는 방법, 고온에서 실을 녹여 접착하여 실 풀림을 방지하는 방법 등에 의해서 대응할 필요가 생겨, 생산상 문제가 된다. 또한, 일정한 치수로 절단할 때에도, 직물이기 때문에 치수 정밀도가 나쁘다는 등의 문제가 있어, 이것이 적층체의 치수 정밀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으로도 되어, 마찬가지로 생산상 문제가 된다. 또한, 해당 특허에는, 매기부의 기술인, 개구부를 갖는 가요성층의 기술은 개시되어 있지만, 적층체의 기술은 거의 개시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이, 어느 특허문헌에서도 충분한 문제 해결에는 이르고 있지 못하여, 조기 개량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가열 융착성, 및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의 치수 정밀도가 우수하고, 표지 등과 철하여 제본한 후에 유연하고 반복 구부림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고, 추가로, 매기부의 인열, 인장 강도가 우수하고, 실제 사용시에 내광 열화성 등의 경시 안정성이 우수한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복층 구조의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이저 마킹성이 우수하고, 생지색과 인자부와의 콘트라스트가 높아, 선명한 문자, 기호, 화상이 얻어짐과 동시에, 다층 시트의 적층 공정에서의 가열 융착성이 우수하고, 전체 광선 투과율의 관점에서의 투명성의 향상, 시트의 반송성, 열 프레스 후의 금형으로부터의 이형성, 내열성, 절곡성, 내마모성을 겸비하여 갖춘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그와 같은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를 사용한 전자 패스포트를 제공한다. 특히, 개찬 방지, 위조 방지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를 사용하여 전자 패스포트를 제조할 때에, 미싱하기 등의 간단한 제조 공정으로 전자 패스포트 표지 또는 뒷표지에 철하기 위해서,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의 중심부에 강도성, 유연성 및 투명성을 갖는 라미네이트 필름을 이용한 적층 구조를 갖는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 및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를 이용한 전자 패스포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이하의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 및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 및 전자 패스포트가 제공된다.
[1] 다수의 개구부를 구비하는 직물상 시트의 양면에 열가소성 수지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복합 힌지 시트이며, 상기 직물상 시트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열가소성 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으로 형성되는 직물 또는 부직포를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은 표면 경도 쇼어 A가 85 이상, 쇼어 D가 70 미만인 유연성을 갖는 수지를 원료로 하여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일부가 상기 직물상 시트의 상기 개구부에 침입하여, 상기 개구부의 모두를 폐색하여 상기 직물상 시트에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이 일체화되어 이루어지는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
[2] 상기 직물상 시트의 두께가 60 ㎛ 이상 200 ㎛ 이하이고, 선 직경이 40 내지 100 ㎛이고, 개구율이 50% 이상 80% 미만인 [1]에 기재된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
[3]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시트상으로 용융 압출 성형시킨 직후에 상기 직물상 시트와 열라미네이트함으로써, 상기 직물상 시트에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이 일체화되어 이루어지는 [1] 또는 [2]에 기재된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
[4] 또한 상기 직물상 시트의 양면의 표면에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이 균일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
[5]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이 QUV 촉진 내후성 시험에 있어서 100시간 경과 후의 색차 △E가 6 이하인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
[6] 시트 A/다층 시트 B/[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의 3개의 시트를 기본 구성 단위로 하여 이루어지는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
[7] 시트 A/다층 시트 B/[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다층 시트 B/시트 A의 5개의 시트를 기본 구성 단위로 하여 이루어지는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
[8] 상기 시트 A는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레이저광 에너지 흡수재를 포함하는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단층 시트로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시트 A는 스킨층과 코어층을 갖고, 양 최외층인 상기 스킨층이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층이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레이저광 에너지 흡수재를 포함하는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 A의 전체 두께가 50 내지 200 ㎛, 코어층 두께 비율이 30 내지 85% 미만인 다층 시트 1로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시트 A는 스킨층과 코어층을 갖고, 양 최외층인 상기 스킨층이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층이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레이저광 에너지 흡수재를 포함하는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 A의 전체 두께가 50 내지 200 ㎛, 코어층 두께 비율이 30 내지 85% 미만인 다층 시트 2로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다층 시트 B는 스킨층과 코어층을 갖고, 양 최외층인 상기 스킨층이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다층 시트 B의 코어층이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투명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다층 시트 B의 스킨층 및 코어층의 적어도 한층은 착색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다층 시트 B의 전체 두께가 100 내지 300 ㎛임과 동시에, 상기 코어층의 두께의, 상기 다층 시트 B의 전체 두께에 대하여 차지하는 두께 비율이 30% 이상 85% 미만인 착색 다층 시트로서 구성되고, 상기 복합 힌지 시트의 두께가 80 내지 250 ㎛인 [6] 또는 [7]에 기재된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
[9] [6]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로서, 시트 A/시트 B/인렛(inlet)을 포함하는 상기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시트 B/시트 A의 5개의 시트를 적층하여 구성되는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
[10] [6]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에 인렛 시트를 사용하여, 시트 A/다층 시트 B/상기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인렛 시트/다층 시트 B/시트 A의 6개의 시트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
[11] 상기 시트 A, 다층 시트 B, 및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 중 적어도 1개의 시트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평균 조도(Ra) 0.1 내지 5 ㎛의 매트 가공(matting)이 실시되어 있는 [6]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
[12] [6]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를 사용하여 성형되는 전자 패스포트로서, 상기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의 일단이 상기 시트 A 및 상기 다층 시트 B보다 5 내지 100 mm 긴 돌출부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돌출부가 전자 패스포트의 표지 또는 뒷표지에 미싱 매기 또는 접착하여 이루어지거나, 또는 미싱 매기 및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전자 패스포트.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 융착성, 치수 정밀도, 유연성, 반복 구부림 저항성, 인열, 인장 등의 강도 특성, 경시 열화 안정성이 우수한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 및 전자 패스포트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마킹성이 우수하고, 생지색과 인자부와의 콘트라스트가 높아, 선명한 문자, 기호, 화상이 얻어짐과 동시에, 다층 시트의 적층 공정에서의 가열 융착성이 우수하고, 전체 광선 투과율의 관점에서의 투명성을 향상시키고, 시트의 반송성, 열 프레스 후의 금형으로부터의 이형성, 내열성, 절곡성, 내마모성을 겸비하여 갖춘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 및 전자 패스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특히, 개찬 방지, 위조 방지가 우수하다.
추가로, 상술한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를 사용하여 전자 패스포트를 제조할 때, 미싱하기 등의 간단한 제조 공정으로 전자 패스포트 표지 또는 뒷표지에 철하기 위해,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의 중심부에 강도성, 유연성 및 투명성을 갖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나 열가소성 폴리아미드의 직물, 또는 부직포를 이용한 적층 구조를 갖는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 및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를 이용한 전자 패스포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직물상 시트에 열가소성 수지층을 일체화시킨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직물상 시트의 평면도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되는 A-A'선에서 단면했을 때의 직물상 시트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모식도로서, 시트 A/다층 시트 B/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의 3개의 시트를 기본 구성 단위로 하여 이루어지는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모식도로서, 시트 A가 단층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레이저 마킹 시트이며,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의 별도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모식도로서, 시트 A가 3층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레이저 마킹 시트이며,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의 별도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모식도로서, 시트 A가 3층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레이저 마킹 시트이며,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에 돌출부를 설치한 상태를 단면으로 나타냄과 동시에,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를 e-Card 타입의 패스포트에 사용하는 경우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를 e-Cover 타입의 패스포트에 사용하는 경우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0a는 시트의 유연성을 측정하는 양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b는 시트의 유연성을 측정하는 양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미싱부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인장 시험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2a는 직물상 시트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개구율을 구하는 방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b는 도 12a의 모식도를 부분적으로 확대함과 함께, 일부 생략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 및 전자 패스포트를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그 발명의 특정 사항을 구비하는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 및 전자 패스포트를 넓게 포함하는 것이고, 이하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본 발명의 복합 힌지 시트의 구성:
본 발명의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개구부를 구비하는 직물상 시트 (3)의 양면에 열가소성 수지층 (5)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복합 힌지 시트이다. 상기 직물상 시트 (3)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열가소성 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으로 형성되는 직물 또는 부직포를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 (5)는 표면 경도 쇼어 A가 85 이상, 쇼어 D가 70 미만인 유연성을 갖는 수지를 원료로 하여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일부가 상기 직물상 시트 (5)의 상기 개구부에 침입하여, 상기 개구부의 모두를 폐색하여 상기 직물상 시트 (3)에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 (5)가 일체화되어 이루어지는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로서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는, 힌지 시트를 통해 개인을 특정할 수 있는 데이터 등을 구비시키는 (후술하는)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를 전자 패스포트에 철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이하, 직물상 시트, 열가소성 수지층을 설명한 후, 각각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1-1] 직물상 시트:
본 발명의 복합 힌지 시트를 구성하는 직물상 시트는 다수의 개구부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다수의 개구부를 구비함으로써 후술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일부가 다수의 개구부에 침입하여, 개구부의 모두를 폐색하기 쉽게 되어, 직물상 시트와 일체화시키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즉, 후술하는 용융 열가소성 수지의 일부를, 직물상 시트의 개구부에 용융 상태로 하여 가압하여 침입시킨다. 이것에 의해서, 직물상 시트의 개구부에 침입한 열가소성 수지가 개구부를 통해 직물상 시트의 양면에 열가소성 수지의 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직물상 시트와 열가소성 수지가 일체화한, 평탄한 표면을 갖는 신규 복합 시트가 얻어진다.
여기서, 「개구부」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사각형 그물눈상(사각형 메쉬상)의 것, 육각형 그물눈상(육각형 메쉬상)의 것, 구멍 형상의 천공 시트 등이 포함된다. 또한, 개구부는 직물상 시트를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의 면을 향해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직물상 시트의 그물눈 모양으로 형성되는 간극을 경유하여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직물상 시트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열가소성 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직물(메쉬 크로스(mesh cloth)라고도 함) 또는 부직포로부터 형성된다. 전자 패스포트의 힌지부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가열 융착성, 가공성이 우수할 뿐만아니라, 내구성, 절곡성도 우수한 것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또한 직물상 시트가, 상술한 재료로부터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복합 힌지 시트를 실현하기 쉽게 하기 때문이다. 또한, 직물상 시트가 원하는 재료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직물 또는 부직포로서 형성되고, 다수의 개구부를 구비시킴으로써, 후술하는 용융 열가소성 수지와 일체화시키기 쉬워진다.
구체적으로는, 직물상 시트로서는, 시트 표면에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물눈상(메쉬상)으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는, 직물상 시트의 평면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되는 A-A'선에서 단면했을 때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다만, 이러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직물상 시트는 (개구부의) 개구율이 충분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직물상 시트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개구율은 직물상 시트와 열가소성 수지층을 복합화(일체화)시키는 데 있어서 중요하다. 이 개구율이 작으면, 용융 상태의 열가소성 수지가 개구부에 침입할 때의 저항이 커져서, 직물상 시트의 개구부 전부에 충분히 침입할 수 없다. 그 때문에, 개구부를 폐색할 수 없다. 그 결과, 직물상 시트의 한쪽에 열가소성 수지가 시트상으로 부착된 구조 밖에 형성할 수 없다. 또는, 열가소성 수지가 개구부에 침입할 수 있었다고 해도, 그의 반대면까지 열가소성 수지가 침입할 수 없어, 개구부 모두를 폐색할 수 없다. 따라서, 복합 시트의 표면은 열가소성 수지의 층이 두껍게 형성되어 있는 면과, 직물상 시트의 그물면이 잔존하고 있는 요철면이 되어, 불균일한 면으로 이루어지는 복합 시트밖에 얻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은 복합 시트에서는, 가열 적층 공정에서의 가열 융착성에 변동이 생기거나,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를 성형할 때에 그의 총두께가 감소되는 것 등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게다가, 복합 시트가 휘어지기 쉽고, 재단 공정에서, 복합 시트의 단부로부터 직물이 풀리거나 열가소성 수지층과 직물의 박리 등이 생기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 (69)의 주위를 섬유 (71)로 둘러싸도록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는 직물상 시트 (3)의 경우에는, 이 개구율은 도 12b의 굵은 선으로 둘러싸인 사각형의, 파선으로 둘러싸인 사각형에 대한 비율이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 (69)(opening)의 세로변의 길이를 P1, 개구부의 가로변의 길이를 P2로 나타내고, 개구부 (69)의 주위에 배치되는 섬유의 직경(섬유 직경)을 L로 나타낸 경우, 하기의 수학식 1로 구해진다.
Figure pct00001
또한 상기 수학식 1에 있어서의 「L/2」는 섬유의 중심까지의 길이, 즉, 섬유 직경의 1/2의 길이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에서의, 개구부 (69)의 면적의 비율을 구함으로써 개구율을 구할 수 있다.
또한 도 12a는, 직물상 시트의 평면도이며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12b는 도 12a의 부분적 확대도이며, 섬유의 중첩 부분을 일부 생략하여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이와 같이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직물상 시트와 열가소성 수지(열가소성 수지층 또는 열가소성 수지 시트)를 미리 일체화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후술하는 시트 A/다층 시트 B 등을 일체화하기 위한 열처리를 행하더라도, 힌지 시트에 두께 변형을 발생시키는 경우도 없다. 즉, 힌지 시트를 직물상 시트로서 구성하는 경우에는, 소위 인레이, 오버레이와의 열 프레스 처리에 의한 일체화 시에 두께 변형이 생긴다. 그 때문에 두께의 변동이 생기게 되어, 성형품의 규격이 엄격하게 요구되는 패스포트를 제조하는 데 있어서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원하는 두께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없앨 수 있다.
[1-2] 열가소성 수지층:
본 발명의 복합 힌지 시트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층은 표면 경도 쇼어 A가 85 이상, 쇼어 D가 70 미만인 유연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를 원료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직물상 시트와 일체화시킨 복합 시트에 유연성 및 저온 시의 유연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를 성형할 때의, 가열 프레스 공정에서, 다층 시트 B와의 가열 융착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 열가소성 수지층은 직물상 시트의 개구부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용융 충전한 후, 비개구화된 직물상 시트의 양면에 층상이 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표면 경도 쇼어 A가 85 이상, 쇼어 D가 70 미만인 유연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TPU), 수소 첨가 스티렌계 엘라스토머(SEPS)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층을 형성할 때 그의 기능을 저해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무기 충전제, 유기 충전제, 다른 열가소성 수지 등을 혼합할 수도 있다. 또한, 윤활제, 안정제, 광안정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안료, 염료 등의 착색제 등을 첨가, 혼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무기 충전제로서는 운모, 마이카, 마이크로마이카, 실리카, 탄산칼슘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충전제로서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PPS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등의 유기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수지(AS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ABS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재단 가공성 및 내열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AS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ABS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을 소량 배합하는 경우가 있다. 또는 무기 충전제로서, 운모, 마이카, 마이크로마이카, 실리카를 동일 목적으로 배합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착색의 목적으로, 안료, 염료 등의 착색제를 배합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성형 가공 시나 사용 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윤활제, 안정제, 광안정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등을 배합하는 경우가 있다.
[1-3] 복합 힌지 시트:
본 실시 형태의 복합 힌지 시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직물상 시트와 열가소성 수지층으로 구성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복합 힌지 시트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직물상 시트의 개구부에 열가소성 수지가 용융 상태에서 침입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양자의 특성을 겸비한 복합 시트가 형성된다. 바꾸어 말하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열가소성 수지가 구비하는 유연성과 직물상 시트가 구비하는 강도, 강성 및 내열성이 양립하여 이루어지는 신규 복합 시트이다.
이 복합 힌지 시트는, 레이저 마킹에 의해 화상, 문자 등의 정보를 기록한 (후술하는) 시트 A와, 인쇄 등에 의해 화상, 문자 등의 정보를 인쇄한 (후술하는) 시트 B와, 각종 정보 등을 IC칩 등의 기억 매체에 기억시켜 배치한, 이른바 인렛 시트를 패스포트의 표지와 그외 비자 시트 등과 일체로 견고하게 철하기 위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시트이다. 그 때문에, 복합 힌지 시트는 시트 B와의 견고한 철하기를 가능하게 하는 가열 융착성, 적절한 유연성, 가열 융착 공정에서의 내열성 등을 구비할 필요가 있다. 추가로, 예를 들면 이 복합 힌지 시트를 (패스포트의) 표지 등에 미싱 매기를 하는 경우, 미싱부의 인열, 인장 강도가 우수할 것, 이 매기부가 내광, 내열성을 갖고, 반복 구부림에 대한 저항성, 다시 말해서 힌지 특성이 우수할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러한 목적에 합치하는 상기 소재가 복합 힌지 시트에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바람직한 복합 힌지 시트의 구성으로서는, 직물상 시트의 개구부에 용융 상태의 열가소성 수지가 침입하여 비개구됨과 동시에, 직물상 시트의 양면에 열가소성 수지층이 형성되고, 직물상 시트와 열가소성 수지가 혼연일체화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직물상 시트에 의해 강화된, 소위 열가소성 복합 시트가 얻어진다. 또한, 직물상 시트가 갖는 강도, 강성, 내열성과 열가소성 수지가 갖는 유연성, 저온 특성, 열가소성을 겸비하는 신규 열가소성 복합 시트를 얻을 수 있다. 이 복합 힌지 시트는 다층 시트 B와의 가열 융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이 복합 힌지 시트를 후술하는 바와 같은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의 힌지 시트에 사용하면, 다층 시트 B/복합 힌지 시트/다층 시트 B 사이의 층간 박리 강도를 충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복합 힌지 시트를 통해 패스포트의 표지 등을 미싱 매기하는 경우, 미싱 매기하는 부분에서 반복 구부림을 행하더라도, 그의 반복 구부림에 견딜 수 있는 힌지 특성을 패스포트에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패스포트는 미싱부의 내파괴 강도가 우수한 것이 된다. 또한 국내외를 막론하고, 세계의 저온 지역에서의 패스포트 사용에 견딜 수 있다는 저온 시의 힌지 특성을 패스포트에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고온 지역에서의 힌지 특성이나 미싱부의 내파괴 강도가 우수한 패스포트가 된다. 추가로, 10년 사용 등의 장기간에 있어서도 경시 열화 안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모든 지역에서의 장기간의 사용에 견딜 수 있는 특성을 갖는 패스포트가 된다.
여기서 복합 시트의 제조법으로서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시트상으로 용융 압출 성형시킨 직후에 상기 직물상 시트와 열라미네이트함으로써, 상기 직물상 시트에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이 일체화되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예로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의 경우에는 170 내지 240℃에서 용융 압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합 힌지 시트의 형상, 크기 등은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를 철하기 쉬운 형상, 크기 등이면, 특별히 형상이나 길이 치수 등은 한정되지 않는다.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복합 힌지 시트를 패스포트에 사용하는 경우에도, 미리 복합 힌지 시트를 성형한 후에 그 성형한 복합 힌지 시트를 사용하여 패스포트 본체에 연결 등의 부착 처리를 행하면 된다.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를 구성하는 시트를 적층하여 가열하는 공정과 동시에 복합 힌지 시트를 성형하는 것에 비하여, 미리 성형한 복합 힌지 시트를 사용하여 연결 등의 부착을 행하는 쪽이,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의 총두께를 감소시키지 않기 때문에, 이점이 있다.
예를 들면, 직물상 시트만을 힌지 시트로서 사용하여 가열 프레스 처리하는 경우에는, 비교적 큰 압력으로 가열 적층한다. 이에 따라, 직물상 시트의 개구부에 이것과 인접하고 있는 시트의 일부가 침입하는 경우가 있다. 이 침입에 따라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의 총두께가 감소한다. 그 때문에, 가열 적층 시의 가압력의 변동에 의해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의 총두께의 변동이 커진다. 또한, 상술한 직물상 시트만을 힌지 시트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열 적층 시의 가압력이 부족하면, 직물상 시트와 인접하는 시트 사이(계면)가 점접촉에 가까운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이 직물상 시트와 인접하는 시트의 계면에서의 박리 강도가 크게 저하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직물상 시트만을 힌지 시트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 힌지 시트와 인접하는 시트와의 가열 융착은, 서로의 시트 재료인 열가소성 수지가 가열되어 연화함으로써 달성되게 된다. 그 때문에, 열가소성 수지는 가열 융착 온도에서는 연화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바꾸어 말하면,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되는 열가소성 수지 시트만을 힌지 시트에 사용한 경우에는, 가열 적층 시의 가압력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 시트가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로부터 비어져 나오게 된다. 그리고, 이 힌지 시트 이외의 시트로부터 비어져 나와 있는 부분(매기부)에 "주름"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미싱 매기에 지장이 생긴다. 또한, 이 매기부 이외의 부분에도 비어져 나오기가 발생하기 때문에, 치수 정밀도에도 문제가 생긴다. 이와 같이, 이 비어져 나오기가 있기 때문에,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의 총두께가 감소되기 쉽다.
한편, 본 실시 형태와 같은 복합 힌지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열 적층 공정에서 열가소성 수지가 연화하여 인접하는 다층 시트 B와 가열 융착하는 시점에, 열가소성 수지와 다층 시트 B의 스킨층 수지와의 상용성이 양호해진다. 그 때문에, 비교적 저압으로 가열 융착시킬 수 있다. 또한, 복합일체화되어 있는 직물상 시트는 연화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은 "수지의 비어져 나오기"가 없다. 그 때문에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의 총두께의 감소가 전혀 보이지 않는다.
여기서, 직물상 시트의 두께는 60 ㎛ 이상 200 ㎛ 이하가 바람직하다. 직물상 시트의 두께가 60 ㎛ 미만이면 복합 시트의 전체 부피 중의 직물상 시트의 점유율이 너무 작아, 복합 시트의 미싱부 강도, 강성, 내열성 부족이 생긴다. 또한, 직물상 시트의 두께가 200 ㎛를 초과하면,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의 총두께가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복합 힌지 시트의 두께 비율이 커진다. 이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시트 A 및 다층 시트 B를 적층시켜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로서 구성하는 경우에는, 시트 A 및 다층 시트 B를 얇게 해야 한다. 시트 A의 두께를 줄이면(얇게 하면) 레이저 발색성의 저하가 생기거나, 다층 시트 B의 두께를 줄이면(얇게 하면) 인쇄 공정에서의 시트 이송에 문제가 생기거나 하기 때문에, 은폐성의 부족이 생기거나 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직물상 시트의 개구율이 50% 이상 8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율이 50% 미만이면 직물상 시트의 개구부에 대한 열가소성 수지의 침입이 잘 되지 않아, 개구부가 일부 잔존하게 된다. 또한, 모든 개구부에 침입했다고 해도, 침입한 쪽의 반대측에(침입한 면과 반대측의 면에) 수지가 충분히 도달하지 않는다. 따라서, PET의 직물 또는 부직포와 TPU가 일체화한 복합 힌지 시트가 얻어지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재단 공정에서 절삭이 곤란하거나, 가열 적층 공정에서 복합 힌지 시트가 "컬"되거나 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개구율이 80%를 초과한 경우, 직물상 시트로서의 공업 제품은 존재하지 않는다. 아마, 개구부가 너무 넓어서 직조 공정에서 문제가 생기거나, 직물로서 얻어졌다고 해도 직물의 교점이 너무 적고, 직물의 교점이 어긋나는, 이른바 "눈이 어긋나기" 때문에 공업 제품으로는 되지 못하는 것이라고 추측된다.
또한, 선 직경(섬유 직경)은 약 40 내지 1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선 직경이 40 ㎛ 미만이면 PET의 직물 또는 부직포에 의한 강도성, 및 내열성 향상의 효과가 부족하다. 선 직경이 100 ㎛를 초과하면, 필연적으로 PET의 직물 또는 부직포의 두께가 200 ㎛를 초과하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보다 바람직한 것은, 상기 직물상 시트의 두께가 60 ㎛ 이상 200 ㎛ 이하이고, 선 직경이 40 내지 100 ㎛이고, 개구율이 50% 이상 80% 미만이고, 상기 직물상 시트의 상기 개구부는, 용융시킨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일부가 침입하여 비개구화됨과 동시에,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과 상기 직물상 시트의 계면의 일부가 혼연일체화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술한 원하는 두께, 원하는 선 직경, 원하는 개구율이면, 각각이 서로 어울려 확실하게 가열 융착성, 치수 정밀도, 유연성, 반복 구부림 저항성, 인열, 인장 등의 강도 특성, 경시 열화 안정성이 우수한 복합 힌지 시트를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여기서, 「직물상 시트의 개구부는, 용융시킨 열가소성 수지의 일부가 침입하여 비개구화되고」란, 직물상 시트에 형성된 다수의 개구부에 용융시킨 열가소성 수지의 일부가 침입하여, 모든 개구부를 막아 비개구화된 상태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에 있어서, 직물상 시트의 양면의 표면에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이 균일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복합 힌지 시트의 표면이 PET 등의 재질을 포함하는 직물, 또는 부직포였다면, 그의 표면은 요철이 된다. 이 경우에는, 복합 힌지 시트와 시트 B의 가열 융착 공정에서, 복합 힌지 시트 표면의 요철이 시트 B에 전사되어, 나아가서는 가열 적층체의 최외층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게 된다. 그 결과, 전자 패스포트용 적층체 데이터 페이지에 레이저로 개인 화상이나 문자 정보를 마킹한 경우, 화상, 문자의 가독성을 손상시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PET,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등의 실의 재질과, 시트 B의 스킨층과의 가열 융착성이 충분하지 않고, 그 결과 시트 B/시트 C의 박리 강도가 불충분해져서 바람직하지 않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 힌지 시트가 직물상 시트의 개구부에 열가소성 수지를 용융충전한 복합 시트로서, 열가소성 수지층/직물상 시트/열가소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체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복합 힌지 시트는, 소위 PET 직물의 개구부를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용융충전한 복합 힌지 시트이다. 또한, 상술한 열가소성 수지층이 복합 힌지 시트 양면의, 이를테면, 중합체층으로서 구성되는 것이다. 이 복합 힌지 시트에서는, 직물상 시트의 개구부에 용융시킨 열가소성 수지의 일부가 침입하여 비개구화되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계면(K1, K2)의 일부가 혼연일체화하여 형성되어 있다.
다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 전자 패스포트 등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복합 힌지 시트의 두께가 80 내지 250 ㎛,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 ㎛이다.
즉, PET의 직물 또는 부직포로서 공업적으로 제조되고 있는 최저 두께가 48 ㎛이기 때문에, 힌지 시트의 두께가 50 ㎛ 미만인 복합 힌지 시트를 성형할 수 없어, 성형 가능한 최저 두께는 80 ㎛가 된다. 또한, 힌지 시트의 두께가 얇으면, 취급 시, 또는 재단, 가열 적층 공정에서 주름 발생이 일어나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힌지 시트는 100 ㎛ 이상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힌지 시트의 두께가 300 ㎛ 이하로 형성되고, 데이터 페이지의 총두께가 500 ㎛ 전후, 또는 데이터 페이지의 총두께가 500 ㎛보다 얇게 형성되는 쪽이, 패스포트의 두께가 얇아 취급이 용이해져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전자 패스포트용 적층체는 개인 화상?문자 정보만 레이저 마킹하는 「Data-Page」라고 칭하는 것(1)과, IC-CHIP 및 ANTENNA가 삽입되어, 최외층에 개인 화상?문자 정보가 레이저 마킹된 「e-Card」라고 칭하는 것(2)이 포함된다. 이 「e-Card」 (2)는 총두께가 800 ㎛로 규정되어 있지만, 「Data-Page」 (1)는 특별히 총두께의 규정이 없고, 총두께가 얇은 쪽이 전자 패스포트의 취급상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한편, 힌지 시트가 두꺼우면 시트 A, 시트 B를 얇게 해야 한다. 그러나 시트 A가 너무 얇으면, 레이저 마킹한 인자 농도가 옅어지거나, 또는 시트 B가 너무 얇으면, 고정 정보를 인쇄기로 시트 B에 인쇄하는 경우 인쇄기로 양호한 인쇄를 할 수 없다. 따라서, 각 시트의 두께 하한에 대해서는, 시트 A는 약 70 ㎛, 시트 B는 약 110 ㎛라고 생각된다. 그렇게 하면, 시트 A는 전자 패스포트용 적층체의 상하로 약 140 ㎛, 시트 B는 전자 패스포트용 적층체의 상하로 약 220 ㎛가 되어, 4매의 시트의 합계 두께는 360 ㎛가 된다. 이때 힌지 시트가 300 ㎛이면 총합계가 660 ㎛가 되지만, 힌지 시트가 140 ㎛이면 총합계가 500 ㎛가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시트 A의 전체 두께가 50 내지 200 ㎛, 시트 B가 100 내지 300 ㎛의 규정을 넣어 계산하면, 힌지 시트를 제외한 다른 4매의 시트, 즉, 오버 시트/인레이 시트/(힌지 시트)/인레이 시트/오버 시트에서는, 50 ㎛/100 ㎛/(300 ㎛)/100 ㎛/50 ㎛의 합계=600 ㎛의 두께가 된다. 또한 힌지 시트가 250 ㎛이면, 50 ㎛/100 ㎛/(250 ㎛)/100 ㎛/50 ㎛의 합계=550 ㎛의 두께가 된다. 일반적으로, 「Data-Page」는 약 400 내지 600 ㎛가 바람직하기 때문에, 힌지 시트는 300 ㎛ 이하가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복합 힌지 시트의 두께가 80 내지 250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복합 힌지 시트의 두께가 80 내지 240 ㎛이다.
또한, 전자 패스포트의 개인 정보를 기재하는 플라스틱 시트에는 현재 몇가지 종류가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페이지, e-Card, e-Cover 등이 있다. 이 중e-Card만 800 ㎛ 전후로 결정되어 있지만, 각국에서 동일하다고까지는 할 수 없고 불확정 요소도 많다. 그러나, 이들은 가능한 한 얇은 쪽이 바람직하고, 그 때문에, 힌지 시트도 가능한 한 얇을 것이 요망되고 있다. 단, PET의 직물 또는 부직포는 그의 강도나 생산성 등으로부터, 두께가 48 ㎛ 미만인 것은 공업적으로 생산되고 있지 않다. 또한, 두께가 48 ㎛인 PET의 직물 또는 부직포를 사용하여 복합 힌지 시트를 성형하면, 공업적으로는 80 ㎛ 정도의 총두께가 된다. 또한, 작업성이나 재단 가공성 및 가열 적층 공정에서의 주름 발생 등을 고려하면, 100 ㎛의 두께가 필요해진다.
또한, 복합 힌지 시트의 일단이 시트 A 및 다층 시트 B보다 5 내지 100 mm 긴 돌출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8의 부호 (29)의 돌출부 참조). 복합 힌지 시트에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전자 패스포트에 조립하기 쉽게 되기 때문이다. 즉, 돌출부는, 복합 힌지 시트의 길이 방향의 일단을, 시트 A 및 다층 시트 B보다 긴 돌출부를 이용하여, 미싱 매기 또는 접착에 의해, 또는 미싱 매기 및 접착에 의해, 전자 패스포트에 조립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8의 부호 (27)은 미싱 매기부를 나타낸다.
복합 힌지 시트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경우, 돌출부의 길이는 미싱 매기 방법 또는 접착 작업성, 또는 미싱 매기 방법 및 접착 작업성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출부의 길이는 미싱 매기부의 강도 및 접착 강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합 힌지 시트가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 전자 패스포트 등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돌출부의 치수는 5 내지 100 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mm이다.
이와 같이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한층 (이 돌출부를 이용하여) 미싱 매기 또는 접착에 의해, 또는 미싱 매기 및 접착에 의해 전자 패스포트에 부착하기 쉬워진다.
또한, 복합 힌지 시트에 돌출부를 설치하면, 후술하는, 시트 A/다층 시트 B/복합 힌지 시트/다층 시트 B/시트 A의 5층 적층 시트, 또는 시트 A/다층 시트 B/인렛 시트 E/다층 시트 B/시트 A의 5층 적층 시트를 전자 패스포트 표지 또는 뒷표지에 미싱 매기 또는 접착하여 이루어지거나, 또는 미싱 매기 및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전자 패스포트로 성형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층은 QUV 촉진 내후성 시험에 있어서 100시간 경과 후의 색차 △E가 6 이하인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또는 비정질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시 열화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QUV 촉진 내후성 시험은 각종 재료, 제품의 내구성, 내광(내후)성을 평가하는 시험이다. QUV 촉진 내후성 시험로서는, 크세논 웨더 시험, 선샤인 웨더 시험, 자외선 형광 램프 시험 등을 들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의 QUV 촉진 내후성 시험은 Q-Panel사 제조의 시험기를 이용하여 자외선 형광 램프 시험에 의해서 QUV 촉진 내후성을 평가한다. 구체적으로, 자외선 형광 램프 시험은 시험편온도=50 내지 80℃에서의 자외선 조사와, 암흑 하 시험편 온도=40 내지 60℃에서의 결로 시험의 교대 사이클을 포함하는, 광과 결로에 의한 촉진 시험을 소정 시간 행하여 평가한다. 평가 방법으로서는, 시험편의 시험 전과 시험 후의 색차의 차이에 의해서, 시험편(시트)이 어느 정도 열화했는지를 관찰하여 평가한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은 열화가 개시되면 대부분 황변이 시작된다. 그리고 색차가 커진다는 것은, 플라스틱에 황변이 크게 시작되고 있다는 것이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색차 △E가 0.5 내지 0.7 정도이면 그 차이를 인식할 수 있고, 색차 △E가 6이나 되면 상당히 황변이 시작되어 있다는 것이 된다. 따라서 색차 △E는 6 이하로 하였다. 또한, 색차 △E가 6을 초과하면 외관이 나빠서, 제품으로서의 위화감이 생기기 때문에 사용할 만하지 않다.
또한, 이러한 QUV 촉진 내후성 시험과 병행하여 인장 파단 강도나 인장 파단 신도 등의 역학 특성을 평가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QUV 촉진 내후성 시험의 전후에 인장 파단 강도나 인장 파단 신도 등의 시험을 행하여, 시험편(시트)의 유지율이나 내구성을 평가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역학 특성에 있어서도 유지율은 적어도 60% 정도가 하한이라고 생각된다. 60% 미만이면 초기 성능이 반 정도로 저하되어 있기 때문에, 제품 사용상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2] 본 발명의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의 구성:
본 발명의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로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금까지 설명한 복합 힌지 시트 C를 사용하는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로서, 시트 A/다층 시트 B/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의 3개의 시트를 기본 구성 단위로 하여 이루어지는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 (11)로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후술하는 시트 A/다층 시트 B의 적층체 구성으로 함으로써 적어도 투명 레이저 마킹층과, 착색 시트(백색계를 포함함)층으로 이루어지는 2층 적층 구조를 구비하게 된다. 이러한 3개의 시트를 기본 구성 단위로 함으로써, 투명 레이저 마킹층과 백색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에 비하여 레이저 마킹에 있어서의 콘트라스트비가 보다 한층 향상하여 화상 등의 선명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로서는, 도 5,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금까지 설명한 복합 힌지 시트 C를 사용하는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로서, 시트 A/다층 시트 B/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다층 시트 B/시트 A의 5개의 시트를 기본 구성 단위로 하여 이루어지는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 (11A), (11B), (11C)로서 구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다층 시트 B의 한쪽면(시트 A 측)에는 5개의 시트를 적층하기 전에 고정 정보가 인쇄되어, 시트 A에는 개인 정보를 레이저 마킹할 수 있기 때문에, 소위 「Data-Page」의 양측에 상이하거나 동일한 고정 정보와 개인 정보를 인쇄할 수 있고 레이저 마킹으로 묘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트 A는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레이저광 에너지 흡수재를 포함하는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단층 시트로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시트 A는 스킨층과 코어층을 갖고, 양 최외층인 상기 스킨층이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층이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레이저광 에너지 흡수재를 포함하는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 A의 전체 두께가 50 내지 200 ㎛, 코어층 두께 비율이 30 내지 85% 미만인 다층 시트 1로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시트 A는 스킨층과 코어층을 갖고, 양 최외층인 상기 스킨층이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층이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레이저광 에너지 흡수재를 포함하는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 A의 전체 두께가 50 내지 200 ㎛, 코어층 두께 비율이 30 내지 85% 미만인 다층 시트 2로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다층 시트 B는 스킨층과 코어층을 갖고, 양 최외층인 상기 스킨층이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다층 시트 B의 코어층이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투명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층 시트 B의 스킨층 및 코어층의 적어도 한층은 착색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다층 시트 B의 전체 두께가 100 내지 300 ㎛임과 동시에, 상기 코어층의 두께의, 상기 다층 시트 B의 전체 두께에 대하여 차지하는 두께 비율이 30% 이상 85% 미만인 착색 다층 시트로서 구성되고, 상기 복합 힌지 시트의 두께가 80 내지 250 ㎛인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로서 구성되는 것이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금까지 설명한 복합 힌지 시트 C를 사용하는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로서, 시트 A/다층 시트 B/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의 적어도 3개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이고, 상기 시트 A(부호 (13))는,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레이저광 에너지 흡수재를 포함하는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단층 시트로서 구성되고, 상기 다층 시트 B(부호 (15))는, 스킨층 (15a)와 코어층 (15b)를 갖고, 양 최외층인 상기 스킨층 (15a)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다층 시트 B의 코어층 (15b)가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투명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다층 시트 B의 스킨층 (15a) 및 코어층 (15b)의 적어도 한층은 착색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다층 시트 B(부호 (15))의 전체 두께가 100 내지 300 ㎛임과 동시에, 상기 코어층의 두께의, 상기 다층 시트 B(부호 (15))의 전체 두께에 대하여 차지하는 두께 비율이 30% 이상 85% 미만인 착색 다층 시트로서 구성되고, 상기 복합 힌지 시트 C의 두께가 80 내지 250 ㎛인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 (11)로서 구성된다.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금까지 설명한 복합 힌지 시트 C를 사용하는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로서, 시트 A/다층 시트 B/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다층 시트 B/시트 A의 5개의 시트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이고, 상기 시트 A(부호 (13))는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레이저광 에너지 흡수재를 포함하는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단층 시트로서 구성되고, 상기 다층 시트 B(부호 (15))는 스킨층 (15a)와 코어층 (15b)를 갖고, 양 최외층인 상기 스킨층 (15a)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다층 시트 B의 코어층 (15b)가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투명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다층 시트 B의 스킨층 (15a) 및 코어층 (15b)의 적어도 한층은 착색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다층 시트 B(부호 (15))의 전체 두께가 100 내지 300 ㎛임과 동시에, 상기 코어층의 두께의, 상기 다층 시트 B(부호 (15))의 전체 두께에 대하여 차지하는 두께 비율이 30% 이상 85% 미만인 착색 다층 시트로서 구성되고, 상기 복합 힌지 시트 C의 두께가 80 내지 250 ㎛인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 (11A)로서 구성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금까지 설명한 복합 힌지 시트 C를 사용하는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로서, 시트 A/다층 시트 B/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의 적어도 3개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이고, 상기 시트 A(부호 (23))는 스킨층과 코어층을 갖고, 양 최외층인 상기 스킨층이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층이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레이저광 에너지 흡수재를 포함하는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 A의 전체 두께가 50 내지 200 ㎛, 코어층 두께 비율이 30 내지 85% 미만인 다층 시트 1로서 구성되고, 상기 다층 시트 B는 스킨층과 코어층을 갖고, 양 최외층인 상기 스킨층이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다층 시트 B의 코어층이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투명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다층 시트 B의 스킨층 및 코어층의 적어도 한층은 착색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다층 시트 B의 전체 두께가 100 내지 300 ㎛임과 동시에, 상기 코어층의 두께의, 상기 다층 시트 B의 전체 두께에 대하여 차지하는 두께 비율이 30% 이상 85% 미만인 착색 다층 시트로서 구성되고, 상기 복합 힌지 시트의 두께가 80 내지 250 ㎛인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 (11)로서 구성된다.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금까지 설명한 복합 힌지 시트 C를 사용하는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로서, 시트 A/다층 시트 B/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다층 시트 B/시트 A의 5개의 시트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이고, 상기 시트 A는 스킨층과 코어층을 갖고, 양 최외층인 상기 스킨층이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층이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레이저광 에너지 흡수재를 포함하는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 A의 전체 두께가 50 내지 200 ㎛, 코어층 두께 비율이 30 내지 85% 미만인 다층 시트 1로서 구성되고, 상기 다층 시트 B는 스킨층과 코어층을 갖고, 양 최외층인 상기 스킨층이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다층 시트 B의 코어층이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투명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다층 시트 B의 스킨층 및 코어층의 적어도 한층은 착색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다층 시트 B의 전체 두께가 100 내지 300 ㎛임과 동시에, 상기 코어층의 두께의, 상기 다층 시트 B의 전체 두께에 대하여 차지하는 두께 비율이 30% 이상 85% 미만인 착색 다층 시트로서 구성되고, 상기 복합 힌지 시트의 두께가 80 내지 250 ㎛인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 (11B)로서 구성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금까지 설명한 복합 힌지 시트 C를 사용하는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로서, 시트 A/다층 시트 B/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의 적어도 3개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이고, 상기 시트 A(부호 (33))는 스킨층과 코어층을 갖고, 양 최외층인 상기 스킨층이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층이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레이저광 에너지 흡수재를 포함하는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 A의 전체 두께가 50 내지 200 ㎛, 코어층 두께 비율이 30% 내지 85% 미만인 다층 시트 2로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다층 시트 B는 스킨층과 코어층을 갖고, 양 최외층인 상기 스킨층이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다층 시트 B의 코어층이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투명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다층 시트 B의 스킨층 및 코어층의 적어도 한층은 착색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다층 시트 B의 전체 두께가 100 내지 300 ㎛임과 함께, 상기 코어층의 두께의, 상기 다층 시트 B의 전체 두께에 대하여 차지하는 두께 비율이 30% 이상 85% 미만인 착색 다층 시트로서 구성되고, 상기 복합 힌지 시트의 두께가 80 내지 250 ㎛인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 (11)로서 구성된다.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금까지 설명한 복합 힌지 시트 C를 사용하는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로서, 시트 A/다층 시트 B/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다층 시트 B/시트 A의 5개의 시트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이고, 상기 시트 A(부호 (33))는 스킨층 (33a)와 코어층 (33b)를 갖고, 양 최외층인 상기 스킨층이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층이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레이저광 에너지 흡수재를 포함하는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 A의 전체 두께가 50 내지 200 ㎛, 코어층 두께 비율이 30% 내지 85% 미만인 다층 시트 2로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다층 시트 B는 스킨층과 코어층을 갖고, 양 최외층인 상기 스킨층이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다층 시트 B의 코어층이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투명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다층 시트 B의 스킨층 및 코어층의 적어도 한층은 착색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다층 시트 B의 전체 두께가 100 내지 300 ㎛임과 동시에, 상기 코어층의 두께의, 상기 다층 시트 B의 전체 두께에 대하여 차지하는 두께 비율이 30% 이상 85% 미만인 착색 다층 시트로서 구성되고, 상기 복합 힌지 시트의 두께가 80 내지 250 ㎛인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 (11C)로서 구성된다.
이하,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 (11) ((11A), (11B) 및 (11C))의 각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3개의 시트를 포함하는(5개의 시트를 적층하여 이루어짐)」 등으로 나타내는 경우에는, 3개의 시트(5개의 시트)가 적층된 후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표현으로서, 적층 방법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6개의 시트를 포함한다」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다층 시트」 또는 「3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시트」 등으로 나타내는 경우에도, 복수의 층(또는 3층)이 적층된 후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표현으로서, 적층 방법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도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경우에는 동일하다.
[A] 시트 A:
본 발명에서의 시트 A는 코어층만의 단층 투명 시트, 또는 스킨층과 코어층을 적어도 구비하는 투명 시트로서 구성된다. 이 시트 A는 레이저 조사에 의해 마킹부를 형성할 수 있는 투명 레이저 마킹 시트로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1] 시트 A의 구성:
시트 A가 단층 구조의 시트로서 구성되는 경우에는, 용융 압출 성형에 의해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시트 A가 단층 구조의 시트로서 구성되는 경우에는,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PC)로 형성된다. 또한, 이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후술하는 레이저광 에너지 흡수재를 포함하는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다. 특히, 투명한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투명 수지층, 투명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용융 부피 속도(melt volume rate)가 4 내지 20인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용융 부피 속도가 4 미만이면 시트의 인성이 향상된다는 점에서는 의미가 있지만, 성형 가공성이 떨어진다. 그 때문에, 실제 사용에 지장이 생겨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용융 부피 속도가 20을 초과하면, 시트의 인성이 떨어져서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이 시트 A를 폴리카보네이트 수지(PC)를 포함하는 투명 수지층으로 형성함으로써, 레이저광 조사에 의한 마킹부의 발포에 의한, 이른바 「팽창」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광 조사에 의한 마킹 부분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시트 A가 단층 구조의 시트로서 구성되는 경우에는, 높은 투명성을 갖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그 때문에, 이러한 단층 시트로서 구성되는 시트 A의 원료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투명성을 저해하지 않는 수지, 충전제 등이면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내상성을 향상시키거나 또는 내열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범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블렌드가 바람직하거나,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의 블렌드 등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것은, 시트 A는 스킨층과 코어층을 포함하는 「적어도 3층」 구조의 시트로서 구성되는 것이다. 다만, 이 「3층 시트」란 「적어도 3층」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3층 구조의 시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꾸어 말하면, 시트 A에서, 「3층 시트」라고 하는 것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는 것으로서, 「3층 시트」란 「적어도 3층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시트」를 의미하는 것으로, 「3층」으로 이루어지는 시트에 한정하는 취지가 아니다. 즉, 3층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면, 5층으로 구성되거나 7층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그 이상의 홀수층으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시트 A에 포함된다.
또한, 이 「3층 시트」는 스킨층과 코어층의 3층이 적층된 후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표현으로서, 적층 방법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시트 A가 스킨층과 코어층을 포함하는 「적어도 3층」 구조의 시트로서 구성되는 경우에는, 용융 압출 성형에 의해 적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술한 「적어도 3층」과 같은 다층 구조로 시트 A가 구성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시트 A의 스킨층은 다층 구조로 구성되는 시트의 가장 외측의 위치에 배치됨과 동시에, 그 시트의 양면에 배치될 필요가 있다. 또한, 양 스킨층(의 사이)에 코어층이 끼워지도록 배치될 필요가 있다. 또한, 시트 A의 스킨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보다 바람직한 것은 후술하는 소정 범위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다.
다만, 시트 A가 상술한 「그 이상의 홀수층」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너무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배치되는 스킨층과 코어층의 1층 당의 총두께가 너무 얇아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적층 시의 가열 프레스 공정에서의, 이른바 금형 고착(sticking)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것은 5층으로, 보다 바람직한 것은 3층으로 구성되는 다층 시트이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의 시트 A가 상술한 바와 같이 홀수층으로 구성되는 것은, 짝수층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시트는, 반드시 홀수층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시트와 동일 구성이 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4층으로 이루어지는 시트에서는, 스킨층(PETG)/코어층(PC)/코어층(PC)/스킨층(PETG)과 같은 층 배치가 되거나, 스킨층(PC)/코어층(PC)/코어층(PC)/스킨층(PC)과 같은 층 배치가 된다. 결국, 홀수층으로 구성되는 투명 레이저 마킹 시트와 동일한 구성이 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3층(이른바 「3층 시트」)로 구성되는 시트 A를 예로 들면, 스킨층(PETG)/코어층(PC)/스킨층(PETG)과 같은 층 배열이 이루어지도록, 또는 스킨층(PC)/코어층(PC)/스킨층(PC)과 같은 층 배열이 이루어지도록, 한쪽과 다른쪽의 양 최외측에 2개의 스킨층이 배치되어 다층 시트가 형성된다. 또한, 그 2개의 스킨층에 끼워지도록 코어층이 1층 배치되어 다층 시트가 형성된다. 또한, 5층으로 구성되는 다층 시트를 예로 들면, 스킨층(PETG)/코어층(PC)/스킨층(PETG)/코어층(PC)/스킨층(PETG)과 같은 층 배열이 이루어지도록, 또는 스킨층(PC)/코어층(PC)/스킨층(PC)/코어층(PC)/스킨층(PC)과 같은 층 배열이 이루어지도록, 한쪽과 다른쪽의 양 최외측에 2개의 스킨층이 배치되어 시트 A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교대로 스킨층과 코어층이 배열되어 시트 A가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시트 A가 상술한 바와 같이 코어층만의 단층 투명 레이저 마킹 시트로서 구성되어 있더라도, 충분한 레이저 발색성을 갖고,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만, 보다 바람직한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은 다층 구조를 갖는 다층 시트 1 또는 다층 시트 2로서 시트 A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다층 구조를 갖는 다층 시트 2로서 시트 A를 구성함으로써, 코어층만의 단층 시트로서 형성되는 투명 레이저 마킹 시트보다 더욱 고파워로 레이저광을 조사할 수 있어, 레이저 마킹부의 농도를 높일 수 있다. 추가로, 코어층에 있어서의 마킹부의 발포에 의한, 이른바 「팽창」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코어층의 표면 평활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코어층 마킹 부분의 상층에 스킨층이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스킨층이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마킹 부분의 내마모성이 보다 향상된다고 하는 상승 효과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다층 시트 1로서 시트 A를 구성함으로써 충분한 가열 융착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적층 공정에서의 시트의 반송성, 열 프레스 후의 금형으로부터의 이형성, 절곡성, 투명성 등의 점에서 미세조정이 가능해진다.
또한, 시트 A의 전체 두께(총두께)는 단층 시트 또는 3층 시트(다층 시트 1, 다층 시트 2) 중의 어느 것이든 50 내지 2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 A의 전체 두께가 50 ㎛ 미만이면 레이저 마킹성이 불충분해져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다층 시트 1의 경우에는, 다층 시트 적층 공정에서의 가열 융착 시에 금형에 다층 시트가 접착된다는, 이른바 금형 고착의 문제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러한 지장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가열 융착 온도나, 가열 융착 시의 프레스 압력, 가열 융착 시간 등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제어는 번잡해져서 성형 공정에 지장을 초래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시트 A의 전체 두께가 200 ㎛를 초과하면, 예를 들면 그 200 ㎛를 초과한 시트 A와 다층 시트 B를 사용하여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를 적층 성형한 경우에는, 일반적인 전자 패스포트의 전체 최대 두께를 초과하게 된다. 그 때문에, 실용성이 부족해진다. 직물상 시트의 두께도 너무 얇으면, 복합 시트의 총두께가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직물상 시트의 복합 효과(별도의 표현으로는 삽입이라고도 할 수 있음)는 작아진다. 한편, 직물상 시트가 너무 두꺼우면, 복합 시트의 총두께가 두꺼워져,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의 총두께 규정을 벗어나 버린다. 또한 예를 들면 IC칩과 안테나가 없는 이른바 「데이터 페이지」를 전자 패스포트(또는 전자 패스포트용 적층체)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자 패스포트의 취급때문에 가능한 한 얇은 쪽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힌지 시트를 제외한 다른 시트의 최저 두께도 고려하면, 전자 패스포트(또는 전자 패스포트용 적층체)의 두께가 500 ㎛ 전후가 되기 때문에, 힌지 시트는 최대라도 250 ㎛ 이하로 억제해야만 한다.
또한, 시트 A가 스킨층과 코어층을 포함하는 다층 시트(이른바 3층 시트)인 경우로서, 다층 시트 2의 경우에는, 시트 A의 전체 두께(총두께)는 50 내지 200 ㎛임과 동시에, 해당 다층 시트의 전체 시트 두께에 대하여 차지하는 상기 코어층의 두께의 비율이 30% 이상 85%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층의 두께가 30% 미만이면 레이저 마킹성이 떨어져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85% 이상이면, 스킨층이 너무 얇아진다. 그 때문에, 고파워로 레이저광을 조사한 경우에, 코어층에 배합한 레이저광 에너지 흡수제가 레이저광 에너지를 흡수하여 열로 변환함으로써 고열이 발생한다. 그 결과, 레이저광 조사부에서의, 이른바 「팽창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부족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가령 레이저광 에너지를 조정하여 바람직한 레이저 발색을 얻었다고 해도, 스킨층의 두께가 상술한 소망 범위 내인 것과 비교하여, 레이저 마킹부의 내마모성이 충분하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시트 A가 스킨층과 코어층을 포함하는 다층 시트(이른바 3층 시트)인 경우로서, 다층 시트 1의 경우에는, 시트 A의 전체 두께(총두께)는 50 내지 200 ㎛임과 동시에, 해당 다층 시트의 전체 시트 두께에 대하여 차지하는 상기 코어층의 두께의 비율이 30% 이상 85%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킨층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금형 고착의 발생 및 열융착성의 저하가 발생한다. 다른 한편, 스킨층의 두께가 너무 크면, 후술하는 코어층의 두께가 필연적으로 얇아진다. 코어층의 두께가 얇으면 레이저 마킹성이 떨어지거나, 다층 시트 적층 후에 휘어짐이 발생하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생겨서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이 단층 시트 또는 다층 시트 1, 2(3층 시트)를 포함하는 시트 A에서의 전체의 두께를 원하는 두께로 함으로써, 시트 A의 특성과 같은 국소적인 특성을 끌어내기 쉬워진다. 또한, 3층 시트를 구성하는 스킨층 및 코어층이 3층 시트에서 차지하는 두께의 비율도 상술한 희망 비율로 함으로써, 3층 시트 전체의 두께를 원하는 범위 내로 함과 함께, 레이저 마킹성을 향상시키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시트 A의 전체 광선 투과율이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것은 85% 이상이다.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의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를 전자 패스포트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 용도에서는 인쇄를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때문에, 시트 A의 하부에, 예를 들면 문자, 도형 등의 인쇄를 실시한 백색 시트(이하, 문자, 도형 등의 인쇄를 실시한 백색 시트의 인쇄를, 적절하게 「인쇄부」라 함)를 적층하는 등 하고, 최외층인 시트 A의 비인쇄부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흑색 발색시켜 화상이나 문자를 마킹한다. 이와 같이 하여, 인쇄부에서의 디자인성과, 레이저 마킹에 의한 위조 방지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이와 같이 조합하여 제조하여 사용함으로써 그의 바탕층이 백색이기 때문에, 인쇄부의 선명성 및 레이저 마킹부의 흑/백 콘트라스트에 의해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즉, 백색 시트 등을 적층하는 경우에는, 이 최외층의 투명성을 상술한 소망 범위의 전체 광선 투과율로 함으로써, 이들의 효과를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다(흑/백 콘트라스트의 선명성을 두드러지게 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이 최외층의 투명성은 인쇄부의 선명성 및 레이저 마킹부의 흑/백 콘트라스트의 선명성을 확보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하다. 전체 광선 투과율이 70% 미만이면 흑/백 콘트라스트가 불충분해져서, 충분한 마킹성을 확보할 수 없다. 또한, 인쇄는 바탕 백색 시트 상에 실시하기 때문에, 이 인쇄의 시인성에 문제가 생기게 된다.
여기서, 「전체 광선 투과율」이란 막 등에 입사한 광 중 투과하는 광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입사한 광이 전부 투과하는 경우의 전체 광선 투과율은 100%이다. 또한, 본 명세서 중의 「전체 광선 투과율」은 JIS-K7105(광선 투과율 및 전체 광선 반사율)에 준거하여 측정한 값을 나타낸 것으로, 이 전체 광선 투과율의 측정은, 예를 들면 닛본 덴쇼꾸 고교 제조의 헤이즈미터(상품명: 「NDH2000」), 분광 광도계(상품명 「EYE7000」 맥베스사 제조) 등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A-1-1] 시트 A에서의 스킨층:
시트 A에 스킨층을 형성하는 경우, 즉 「3층 구조」로서의 다층 구조로 다층 시트가 구성되는 경우에는, 그 스킨층은 다층 시트(3층 시트)의 외측에 배치되는 양 최외층으로서 구성된다. 즉, 이 스킨층은 후술하는 다층 시트에 있어서의 코어층의 양 단면측(외측)으로부터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되는 다층 시트(3층 시트)의 표층(양 최외층)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여기서, 스킨층의 두께는 각각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다층 시트 2를 구성하는 스킨층의 경우로서, 각각 다른 두께의 스킨층을 포함하는 다층 시트로서 시트 A를 구성하면,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나 카드에서는, 앞과 뒤에서 레이저 마킹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에, 상기 적층체의 최표층과 최배면층인 스킨층의 두께가 다르기 때문에, 레이저광 조사에 의한 코어층 마킹의 발포에 의한, 이른바 「팽창」 억제 효과, 및 마킹부의 내마모성 효과가 상이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예를 들면 스킨층(PC)/코어층(PC)/스킨층(PC)과 같은 3층을 포함하는 다층 시트로서 시트 A가 구성되는 경우로서, 코어층의 두께가 30% 이상 85% 미만인 경우에는, 스킨층은 양면에서 15% 이상 70% 미만이 된다. 스킨층의 두께가 15% 미만이면 레이저광 조사에 의한 코어층 마킹부의 발포에 의한, 이른바 「팽창」 억제 효과, 및 레이저광 조사에 의한 마킹 부분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충분하지 않다. 다른 한편, 스킨층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레이저 마킹층인 코어층의 두께가 필연적으로 얇아져, 레이저 마킹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예를 들면 다층 시트 1을 구성하는 스킨층의 경우로서, 각각 다른 두께의 스킨층으로부터 시트 A를 구성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다층 시트의 프레스 공정 등에서 시트의 휘어짐이 생겨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예를 들면 스킨층(PETG)/코어층(PC)/스킨층(PETG)과 같은 3층으로 시트 A가 구성되는 경우로서, 코어층의 두께가 30% 이상 85% 미만인 경우에는, 스킨층은 양면에서 15% 이상 70% 미만이 된다. 스킨층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금형 고착의 발생 및 열융착성의 저하가 생겨 바람직하지 않다. 다른 한편, 스킨층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후술하는 코어층의 두께가 필연적으로 얇아져, 레이저 마킹성이 떨어지거나, 다층 시트 적층 후에 휘어짐이 발생하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생겨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원하는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층 시트 2의 경우에는, 이 스킨층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PC), 특히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투명 수지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용융 부피 속도가 4 내지 20인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용융 부피 속도가 4 미만이면 시트의 인성이 향상된다는 점에서는 의미가 있지만, 성형 가공성이 떨어져 실제 사용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용융 부피 속도가 20을 초과하면, 시트의 인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이 스킨층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PC)를 주성분으로 하는 투명 수지층으로 형성함으로써, 레이저광 조사에 의한 코어층 마킹부의 발포에 의한, 이른바 「팽창」을 억제할 수 있고, 레이저광 조사에 의한 마킹 부분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층 시트 2의 경우에는, 스킨층은 높은 투명성을 갖고 있는 것이 중요하고,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투명성을 저해하지 않는 수지, 충전제 등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스킨층의 내상성을 향상시키거나 내열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범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블렌드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의 블렌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다층 시트 1의 경우에는, 스킨층을 형성하는 소재로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 즉, 후술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후술하는 윤활제로부터 제조한, 후술하는 실질적으로 비결정성의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소재를 포함하는 층으로서 스킨층이 형성된다.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다층 시트 1에 이용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비결정성의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의 주요한 성분으로서 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란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과 디올의 탈수축합체를 말하며, 본 발명에 이용되는 실질적으로 비결정성의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수지란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에서도 특히 결정성이 낮은 것을 말한다. 이들은, 가열 프레스 등으로 빈번하게 가열 성형 가공을 행하더라도, 결정화에 의한 백탁이나 융착성의 저하를 일으키지 않는 것이다. 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스킨층에는 테레프탈산 단위를 주로 하는 디카르복실산 단위와 에틸렌글리콜 단위(I), 및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단위(II)를 주로 하는 글리콜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로서, 에틸렌글리콜 단위(I)와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단위(II)가 (I)/(II)=90 내지 30/10 내지 70 몰%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사용된다. 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포함되는 에틸렌글리콜과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의 성분량을 조정하는 이유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있어서 에틸렌글리콜 성분의 치환량이 10 몰% 미만으로 얻어지는 수지로는 비정질성이 충분하지 않아, 열융착 후의 냉각 공정에서 재결정화가 진행되어 열융착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70 몰%를 초과하여 얻어지는 수지로는 비정질성이 충분하지 않아, 열융착 후의 냉각 공정에서 재결정화가 진행되어 열융착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에틸렌글리콜과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의 성분량을 조정하여 얻어지는 수지는 비정질성이 충분하여, 열융착성의 관점에서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한 수지라고 할 수 있다.
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있어서의 에틸렌글리콜 성분의 약 30 몰%를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로 치환한 실질적으로 비결정성인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약칭 「PETG」, (상품명 「이스타 코폴리에스테르」, 이스트만 케미컬사 제조))를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A-1-2] 시트 A에서의 코어층:
코어층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 A를 3층 시트(다층 시트 1, 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여, 최외층에 스킨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그 3층 시트의 중심에 배치되는, 이른바 핵층으로서 구성된다. 즉, 3층 시트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코어층은, 최외측에 배치된 2개의 스킨층에 끼워지도록 3층 시트의 중핵층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다층 시트 2의 코어층의 두께로서는, 전체 시트 중에 차지하는 두께의 비율이 30% 이상 85% 미만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층의 두께 비율이 30% 이상이 되면, 레이저광 조사에 의한 코어층 마킹부의 두께 효과에 의해 바탕 백색층에 의한 미발색부와의 콘트라스트가 높아져, 마킹부의 시인성, 선명성이 향상된다. 다른 한편, 코어층의 두께 비율이 85% 이상이면, 레이저광 조사에 의한 코어층 마킹의 발포에 의한, 이른바 「팽창」 억제 효과, 및 레이저광 조사에 의한 마킹 부분의 내마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충분하지 않다. 또한, 코어층의 두께 비율이 30% 미만이면 레이저 마킹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다층 시트 1의 코어층의 두께로서는, 전체 시트 중에 차지하는 두께의 비율이 30% 이상 85% 미만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층의 두께 비율이 85% 이상이 되면, 시트 A의 총두께가 50 내지 150 ㎛로 얇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스킨층도 얇아진다. 이 경우에는, 가령 스킨층에 윤활제가 혼합되어 있더라도, 적층 공정에서의 가열 프레스 공정에서 시트 A가 금형에 접착된다는 금형 고착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코어층의 두께 비율이 30% 미만이 되면, 적층 공정에서 스킨층이 두껍기 때문에 금형 고착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레이저 마킹성이 떨어지거나 내열성이 부족하게 되기 때문에 시트의 휘어짐이 생겨서 바람직하지 않다.
보다 바람직한 것은, 다층 시트 1, 2의 코어층의 두께가 전체 시트 중에서 차지하는 두께의 비율이 40% 이상 85% 미만인 것이다. 소위 3층 투명 레이저 오버 시트의 경우 코어층의 두께 비율은 레이저 발색성(콘트라스트성)의 주요 인자가 된다. 즉, PC/PC(레이저 마크 대응)/PC의 3층 구조이거나, PETG/PC(레이저 마크 대응)/PETG의 3층 구조이어도, 코어층 두께가 레이저 마킹성의 주인자이고, 레이저 마킹성으로부터는 코어층이 두꺼운 쪽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킨층의 두께는 인레이층과의 가열 융착성에 기여하기 때문에 얇은 쪽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3층 투명 레이저 마킹 오버 시트의 코어층 두께 비율은 40% 이상 85%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점, 85% 이상이 되는 3층 투명 레이저 마킹 오버 시트에서는 스킨층이 너무 얇아져, 2종 3층 공압출 성형에 있어서, 스킨층의 두께 제어가 곤란해져서, 안정적으로 성형하는 것은 곤란해진다.
코어층을 구성하는 재료(소재)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특히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사용된다. 다만,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용융 부피 속도가 4 내지 20인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용융 부피 속도가 4 미만이면 시트의 인성이 향상된다는 점에서는 의미가 있다. 그러나, 성형 가공성이 떨어져 실제 사용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용융 부피 속도가 20을 초과하면, 시트의 인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A-1-3] 레이저광 에너지 흡수재:
또한, 시트 A가 단층 구조인 단층 시트로서 구성되는 경우 시트 A에는, 또는 시트 A가 적어도 3층 시트인 다층 시트 1, 2로서 구성되는 경우 그의 코어층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투명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레이저광 에너지 흡수재가 0.0005 내지 1 질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레이저 마킹했을 때의 레이저 발색성이 우수하여, 생지색과 인자부와의 콘트라스트가 높아져, 선명한 문자, 기호, 화상이 얻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레이저광 에너지 흡수재로서는, 카본블랙, 티탄블랙, 금속 산화물, 금속 황화물 및 금속 질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것은, 레이저광 에너지 흡수재가, 단층 시트에 또는 다층 시트 1, 2의 코어층에 카본블랙, 티탄블랙 및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다층 시트 2에 첨가하는 카본블랙, 티탄블랙, 금속 산화물, 금속 황화물, 금속 질화물의 평균 입경은 150 n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것은 다층 시트 2에 첨가하는 카본블랙, 티탄블랙, 금속 산화물, 금속 황화물, 금속 질화물의 평균 입경이 100 nm 미만이다. 또한, 이들의 평균 입경이 10 내지 90 nm이고, 디부틸프탈레이트(DBT) 흡유량 60 내지 170 ml/100 gr의 카본블랙, 또는 상기 카본블랙과 평균 입경이 150 nm 미만인 티탄블랙 또는 금속 산화물의 병용이 바람직하다. 카본블랙, 티탄블랙, 금속 산화물, 금속 황화물, 금속 질화물의 평균 입경이 150 nm를 초과하면, 시트의 투명성이 저하되거나, 시트 표면에 큰 요철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카본블랙의 평균 입경이 10 nm 미만이면 레이저 발색성이 저하됨과 동시에, 너무 미세하여 취급에 어려움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DBT 흡유량이 60 ml/100 gr 미만이면 분산성이 나쁘고, 170 ml/100 gr을 초과하면 은폐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다층 시트 1에 첨가하는 티탄블랙, 금속 산화물, 금속 황화물, 금속 질화물의 평균 입경은 상술한 다층 시트 2와 동일한데, 다층 시트 1에 첨가하는 카본블랙의 평균 입경은 10 내지 90 nm이고, 디부틸프탈레이트(DBT) 흡유량 60 내지 170 ml/100 gr의 카본블랙이 바람직하다. 카본블랙의 평균 입경이 10 nm 미만이면 레이저 발색성이 저하함과 동시에, 너무 미세하여 취급에 어려움이 있고, 90 nm를 초과하면 시트의 투명성이 저하되거나, 시트 표면에 큰 요철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DBT 흡유량이 60 ml/100 gr 미만이면 분산성이 나쁘고, 170 ml/100 gr을 초과하면 은폐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다층 시트 1, 2에 첨가하는 금속 산화물로서는, 산화물을 형성하는 금속으로서 아연, 마그네슘, 알루미늄, 철, 티탄, 규소, 안티몬, 주석, 구리, 망간, 코발트, 바나듐, 비스무스, 니오븀, 몰리브덴, 루테늄, 텅스텐, 팔라듐, 은, 백금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복합 금속 산화물로서 ITO, ATO, AZO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다층 시트 1, 2에 첨가하는 금속 황화물로서는, 황화아연, 황화카드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금속 질화물로서는 질화티탄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층 시트 1, 2에 첨가하는 에너지 흡수체로서, 카본블랙, 금속 산화물 및 복합 금속 산화물이 바람직하게 이용되고, 각각 단독 또는 병용하여 이용된다.
또한 다층 시트 2에의 에너지 흡수체에는, 카본블랙이 0.0005 내지 1 질량부 첨가(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8 내지 0.1 질량부이다. 또한, 카본블랙과 평균 입경 150 nm 미만의 금속 산화물, 금속 황화물, 금속 질화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병용하는 경우에는, 그의 혼합물의 배합량이 0.0005 내지 1 질량부 배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한 것은 0.0008 내지 0.5 질량부이다.
여기서, 다층 시트 2에의 에너지 흡수체의 첨가량(배합량)을 소망량으로 조정하는 것은, 시트 A는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즉,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나 전자 패스포트에 사용하는 경우, 인쇄를 실시한 백색 시트(인레이라고 불리는 층) 상에, 투명 레이저 마킹 시트(오버레이라고 불리는 층)을 적층하는 등 하여 사용된다. 또한, 인쇄부가 가해지지 않은 부분의 오버레이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흑색 발색시켜 화상이나 문자를 마킹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인쇄부에서의 디자인성과 레이저 마킹에 의한 위조 방지 효과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이와 같이 조합하여 제조하여 사용함으로써 그의 바탕층이 백색이기 때문에, 인쇄부의 선명성 및 레이저 마킹부의 흑/백 콘트라스트에 의해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술한 인레이층 상에 적층되는 오버레이층의 투명성이 떨어지면, 인쇄된 화상, 문자 등이 불선명해진다. 또한, 레이저 마킹부의 흑/백 콘트라스트가 떨어지는 것 등으로부터 실용상 문제가 된다. 그 때문에, 평균 입경이 작은 카본블랙이 바람직하게 이용되고, 카본블랙과 다른 금속 산화물, 금속 황화물, 금속탄산염 및 금속규산염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과의 혼합물을 레이저 에너지 흡수제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도, 이들의 금속 산화물, 금속 황화물의 평균 입경을 적어도 150 nm 미만, 바람직하게는 100 nm 미만으로 한다.
따라서, 다층 시트 2에 첨가하는 상술한 레이저 에너지 흡수체의 평균 입경이 150 nm를 초과하면, 시트 A의 투명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이들의 레이저 에너지 흡수체의 배합량도 1 질량부를 초과하면, 시트 A(다층 시트)의 투명성이 저하된다. 또한 흡수 에너지량이 너무 많아져서 수지를 열화시켜 버린다. 그 결과, 충분한 콘트라스트가 얻어지지 않는다. 다른 한편, 레이저 에너지 흡수체의 첨가량이 0.0005 질량부 미만이면 충분한 콘트라스트가 얻어지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레이저 에너지 흡수체의 첨가량이 1 질량부를 초과하면, 시트 A의 투명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상한 발열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 결과, 수지의 분해?발포가 발생하여 원하는 레이저 마킹을 할 수 없다.
또한 다층 시트 1에의 에너지 흡수체에는, 카본블랙이 0.0001 내지 3 질량부 첨가(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1 질량부이다. 또한, 카본블랙과 평균 입경 150 nm 미만의 금속 산화물, 금속 황화물, 금속탄산염 및 금속 규산염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병용하는 경우에는, 그의 혼합물의 배합량이 0.0001 내지 6 질량부로 배합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3 질량부로 배합된다. 이와 같이, 에너지 흡수체의 첨가량(배합량)을 조정하는 것은 다음 이유 때문이다. 즉, 시트 A는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여, 시트 A의 하층인 착색 레이저 마킹 다층 시트 B에 인쇄를 실시하는 경우가 많다. 그 경우에 시트 A의 투명성이 떨어지면 인쇄된 화상, 문자 등이 불선명해져서 실용상 문제가 된다. 그 때문에 평균 입경이 작은 카본블랙이 바람직하게 이용되고, 카본블랙과 다른 금속 산화물, 금속 황화물, 금속탄산염 및 금속규산염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과의 혼합물을 레이저 에너지 흡수제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도, 이들 금속 산화물, 금속 황화물, 금속탄산염 및 금속규산염의 평균 입경을 적어도 150 nm 미만, 바람직하게는 100 nm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nm 미만으로 한다.
따라서, 다층 시트 1에 첨가하는 레이저 에너지 흡수제의 평균 입경이 150 nm를 초과하면, 시트 A의 투명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레이저 에너지 흡수제의 배합량도 6 질량부를 초과하면 시트 A(다층 시트 1)의 투명성이 저하함과 동시에, 흡수 에너지량이 너무 많아 수지를 열화시켜 충분한 콘트라스트가 얻어지지 않는다. 다른 한편, 레이저 에너지 흡수체의 첨가량이 0.0001 질량부 미만이면 충분한 콘트라스트가 얻어지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다.
[A-1-4] 윤활제, 산화 방지제 및 착색 방지제: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층 시트, 또는 다층 시트 1, 2로서 구성되는 시트 A에 윤활제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시트 A가 이른바 3층 시트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스킨층에 윤활제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윤활제를 함유시킴으로써 가열 프레스 시에 프레스판에 융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층 시트, 또는 다층 시트 1, 2로서 구성되는 시트 A에 필요에 따라서, 산화 방지제 및 착색 방지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및 자외선 흡수제 및 광안정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시트 A가 이른바 3층 시트(다층 시트)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스킨층 및 코어층의 적어도 1층에, 필요에 따라서 산화 방지제 및 착색 방지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및 자외선 흡수제 및 광안정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산화 방지제 및 착색 방지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첨가(배합)는, 성형 가공 시 분자량 저하에 의한 물성 저하 및 색상 안정화에 유효하게 작용한다. 이 산화 방지제 및 착색 방지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으로서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나 아인산에스테르계 착색 방지제가 사용된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 및 광안정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첨가(배합)는 시트 A의 보관 시, 및 최종 제품인 전자 패스포트의 실제 사용 시 내광 열화성의 억제에 유효하게 작용한다.
페놀계 산화 방지제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α-토코페롤, 부틸히드록시톨루엔, 시나필알코올, 비타민 E, n-옥타데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3-5-디-t-부틸-4-히드록시톨루엔; 펜타에리트리틸-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3-(3-t-부틸-5-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1,6-헥산디올-비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tert-부틸-6-(3'-tert-부틸-5'-메틸-2'-히드록시벤질)-4-메틸페닐아크릴레이트, 2,6-디-tert-부틸-4-(N,N-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디에틸에스테르, 2,2'-메틸렌비스(4-메틸-6-tert-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4-에틸-6-tert-부틸페놀), 4,4'-메틸렌비스(2,6-디-tert-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시클로헥실페놀), 2,2'-디메틸렌-비스(6-α-메틸-벤질-p-크레졸), 2,2'-에틸리덴-비스(4,6-디-tert-부틸페놀), 2,2'-부틸리덴-비스(4-메틸-6-tert-부틸페놀), 4,4'-부틸리덴비스(3-메틸-6-tert-부틸페놀), 트리에틸렌글리콜-N-비스-3-(3-ter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1,6-헥산디올비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비스[2-tert-부틸-4-메틸6-(3-tert-부틸-5-메틸-2-히드록시벤질)페닐]테레프탈레이트, 3,9-비스{2-[3-(3-ter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닐옥시]-1,1,-디메틸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4,4'-티오비스(6-tert-부틸-m-크레졸), 4,4'-티오비스(3-메틸-6-tert-부틸페놀), 2,2'-티오비스(4-메틸-6-tert-부틸페놀), 비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술피드, 4,4'-디-티오비스(2,6-디-tert-부틸페놀), 4,4'-트리-티오비스(2,6-디-tert-부틸페놀), 2,2-티오디에틸렌비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4-비스(n-옥틸티오)-6-(4-히드록시-3',5'-디-tert-부틸아닐리노)-1,3,5-트리아진, N,N'-헥사메틸렌비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미드), N,N'-비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히드라진, 1,1,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tert-부틸페닐)부탄,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트리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3,5-트리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3,5-트리스(4-tert-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3,5-트리스2[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및 테트라키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메틸] 메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예시 중에서도, 특히 n-옥타데실-3-(3,5-디-tert-부틸-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1,3,5-트리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테트라키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메틸]메탄이 바람직하고, 특히 n-옥타데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힌더드페놀계 산화 방지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인산에스테르계 착색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데실포스파이트, 트리옥틸포스파이트, 트리옥타데실포스파이트, 디데실모노페닐포스파이트, 디옥틸모노페닐포스파이트, 디이소프로필모노페닐포스파이트, 모노부틸디페닐포스파이트, 모노데실디페닐포스파이트, 모노옥틸디페닐포스파이트, 2,2-메틸렌비스(4,6-디-tert-부틸페닐)옥틸포스파이트, 트리스(디에틸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디-iso-프로필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디-n-부틸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2,6-디-ter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디스테아릴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tert-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2,6-디-tert-부틸-4-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2,6-디-tert-부틸-4-에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페닐비스페놀 A 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노닐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디시클로헥실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다른 포스파이트 화합물로서는 이가 페놀류와 반응하여 환상 구조를 갖는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2'-메틸렌비스(4,6-디-tert-부틸페닐) (2,4-디-tert-부틸페닐)포스파이트, 2,2'-메틸렌비스(4,6-디-tert-부틸페닐)(2-tert-부틸-4-메틸페닐)포스파이트, 2,2'-메틸렌비스(4-메틸-6-tert-부틸페닐)(2-tert-부틸-4-메틸페닐)포스파이트, 2,2'-에틸리덴비스(4-메틸-6-tert-부틸페닐)(2-tert-부틸-4-메틸페닐)포스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에서도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포스파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아인산에스테르계 착색 방지제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페놀계 산화 방지제와 병용할 수도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면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ert-아밀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비스(α,α'-디메틸벤질)페닐벤조트리아졸,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2H-벤조트리아졸-2-일)페놀], 메틸-3-[3-tert-부틸-5-(2H-벤조트리아졸-2-일)-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폴리에틸렌글리콜의 축합물로 대표되는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면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 2-(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 등의 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면 2,2'-p-페닐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m-페닐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및 2,2'-p,p'-디페닐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등의 환상 이미노에스테르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광안정제로서는,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테트라키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폴리{[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2,4-디일][(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이미노]헥사메틸렌[(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이미노]}, 폴리메틸프로필3-옥시-[4-(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디닐]실록산 등으로 대표되는 힌더드아민계의 것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광안정제는 상기 자외선 흡수제나 경우에 따라서는 각종 산화 방지제와의 병용에 있어서, 내후성 등의 점에서 보다 양호한 성능을 발휘한다.
윤활제로서는, 지방산에스테르, 지방산아미드, 지방산금속염을 들 수 있고, 이들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윤활제가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방산에스테르계 윤활제로서는, 부틸스테아레이트, 세틸팔미레이트, 스테아르산모노글리세라이드, 스테아르산디글리세라이드, 스테아르산트리글리세라이드, 몬탄왁스산의 에스테르, 로우에스테르, 디카르복실산에스테르, 복합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으며, 지방산아미드계 윤활제로서는, 스테아르산아미드, 에틸렌비스스테아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지방산금속염계 윤활제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스테아르산아연, 스테아르산알루미늄, 스테아르산바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 A의 단층 시트가 투명 열가소성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윤활제 0.01 내지 3 질량부를 함유함과 함께, 산화 방지제 및 착색 방지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0.1 내지 5 질량부, 및 자외선 흡수제 및 광안정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0.1 내지 5 질량부 함유하는 투명 레이저 마킹 시트, 또는 상기 시트 A의, 다층 시트 2에 있어서의 상기 스킨층이 투명 열가소성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윤활제 0.01 내지 3 질량부를 함유함과 함께, 레이저광 에너지 흡수재를 0.0005 내지 1 질량부, 산화 방지제 및 착색 방지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0.1 내지 5 질량부, 및 자외선 흡수제 및 광안정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0.1 내지 5 질량부 함유하는 투명 레이저 마킹 시트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윤활제의 첨가량으로서는, 단층 시트, 다층 시트 1, 2 모두 0.01 내지 3 질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5 질량부이다. 0.01 질량부 미만이면 가열 프레스 시에 프레스판에 융착되고, 3 질량부를 초과하면 전자 패스포트나 카드의 다층 적층 가열 프레스 시에 층간 열융착성에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산화 방지제 및 착색 방지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0.1 질량부 미만이면 용융하여 압출시켜 성형하는 공정에서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열 산화 반응 및 그것에 기인하는 열변색과 같은 문제점이 생기기 쉽고, 5 질량부를 초과하면, 이들 첨가제의 블리딩과 같은 문제점이 생기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 및 광안정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0.1 질량부 미만이면 그의 효과가 부족하여 내광 열화, 그에 따른 변색과 같은 문제점이 생기기 쉽고, 5 질량부를 초과하면, 이들 첨가제의 블리딩과 같은 문제점이 생기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B] 다층 시트 B의 구성:
본 발명의 다층 시트 B는 스킨층과 코어층을 포함하는 적어도 3층 구조의 시트로서 구성되고, 용융 압출 성형에 의해 적층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3층 시트는 「적어도 3층」으로서, 3층 구조의 시트에 한정된 것이 아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의 다층 시트 B에서, 「3층 시트」라고 하는 것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는 것으로서, 「3층 시트」란 「적어도 3층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시트」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3층」으로 이루어지는 시트로 한정하려는 취지가 아니다. 바꾸어 말하면, 3층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면, 5층으로 구성되거나, 7층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그 이상의 홀수층으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본 실시 형태의 다층 시트 B에 포함된다.
다만, 상술한 다층 구조로부터 본 실시 형태의 다층 시트 B가 구성되는 경우에도, 후술하는 스킨층은 다층 구조로 구성되는 시트의 가장 외측의 위치에 배치됨과 동시에, 그의 시트의 양면에 배치된다. 또한, 양 스킨층(의 사이)에 코어층이 끼워지도록 배치될 필요가 있다. 또한, 스킨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보다 바람직한 것은 후술하는 소정 범위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다.
다른 한편, 다층 시트 B가 상술한 「그 이상의 홀수층」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너무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배치되는 스킨층과 코어층의 1층 당의 층두께가 너무 얇아져, 시트 A와의 가열 융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바람직한 것은 5층으로, 보다 바람직한 것은 3층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다층 시트 B가 상술한 바와 같이 홀수층으로 구성되는 것은, 짝수층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시트는, 반드시 홀수층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시트와 동일 구성이 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4층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시트에서는 스킨층(PETG)/코어층(PC)/코어층(PC)/스킨층(PETG)과 같은 층의 배치가 되어, 결국 홀수층으로 구성되는 다층 시트와 동일한 구성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예를 들면 3층으로 구성되는 다층 시트를 예로 들면, 스킨층(PETG)/코어층(PC)/스킨층(PETG)과 같은 층 배열이 이루어지도록, 한쪽과 다른쪽의 양 최외측에 2개의 스킨층이 배치되고, 그의 2개의 스킨층에 끼워지도록 코어층이 1층 배치되어 다층 시트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5층으로 구성되는 다층 시트를 예로 들면, 스킨층(PETG)/코어층(PC)/스킨층(PETG)/코어층(PC)/스킨층(PETG)과 같은 층 배열이 이루어지도록, 한쪽과 다른쪽의 양 최외측에 2개의 스킨층이 배치되고, 교대로 스킨층과 코어층을 배열하여 다층 시트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다층 구조를 갖는 다층 시트를 형성함으로써 충분한 가열 융착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3층 시트(다층 시트 B)의 전체 두께(총두께)는, 전체 두께가 100 내지 300 ㎛이고, 코어층 두께의, 다층 시트 B의 전체 두께에 대하여 차지하는 두께 비율이 30% 이상 85%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3층 시트(다층 시트 B)의 전체 두께가 100 ㎛ 미만이면 필연적으로 다층 시트 B의 스킨층인 PETG층이 얇아진다. 그 때문에, 다층 시트 적층 공정에서의 가열 융착 시에, 최외층에 적층되는 시트 A(「단층 시트」 및 이른바 「3층 시트」의 양쪽을 포함함)와 다층 시트 B 사이의 가열 융착성을 확보할 수 없다. 또한, 3층 시트(다층 시트 B)의 전체 두께가 300 ㎛를 초과하면, 그 300 ㎛를 초과한 3층 시트를 이용하여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를 성형한 경우, 전체로서의 두께가 실용 가능한 범위를 초과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IC칩과 안테나가 없는 이른바 「데이터 페이지」에서는 전체 최대 두께가 400 내지 500 ㎛이고, IC칩과 안테나를 삽입한 인렛층을 갖는 경우에는 전체 최대 두께가 700 내지 800 ㎛이다. 이와 같이, 그의 전체 최대 두께를 초과하기 때문에 실용성이 부족하다. 또한, 다층 시트 B는 전체 두께에 대하여 차지하는 코어층의 두께의 비율이 30% 이상 85% 미만인 것이 바람직한 것은, 다층 시트 B 상에 인쇄하는 경우의 은폐성의 확보나, 마킹부의 시인성, 선명성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즉, 스킨층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다층 시트 적층 공정에서의 가열 융착 시에, 최외층에 적층되는 시트 A(「단층 시트」 및 이른바 「3층 시트」의 양쪽을 포함함)와 다층 시트 B 사이의 가열 융착성을 확보할 수 없다. 다른 한편, 스킨층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후술하는 코어층의 두께가 필연적으로 얇아진다. 그 때문에, 다층 시트 B 상에 인쇄하는 경우의 은폐성을 확보할 수 없다. 또한, 스킨층에 착색제를 넣지 않는 경우에는, 최외층인 투명 레이저 마킹 시트에 레이저광 조사에 의해 흑색 마킹을 행한 경우의 콘트라스트를 확보할 수 없고, 마킹부의 시인성, 선명성을 확보할 수 없다.
이와 같이 3층 시트 전체의 두께를 원하는 두께로 함으로써, 다층 시트 B의 특성과 같은 국소적인 특성을 끌어내기 쉬워질 뿐만아니라, 본 실시 형태의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의 특성을 끌어내기 쉬워진다. 또한, 이 3층 시트 전체의 총두께만 한정하지 않고, 3층 시트를 구성하는 스킨층 및 코어층이 3층 시트에서 차지하는 두께의 비율도 상술한 소망 비율로 함으로써, 3층 시트 전체의 두께를 소망 범위 내로 함과 동시에, 콘트라스트성을 향상시키기 쉬워지는 등,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다층 시트의 융착성과 은폐성, 및 (시트 A의) 레이저 마킹부와의 콘트라스트는 다층 시트의 실용화나 생산성, 시장의 필요에 응할 수 있는 것인지 등에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그 때문에, 더 후단에서 3층 시트 전체의 총두께와, 스킨층, 및 코어층의 두께와의 관계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시트 A와 같이, 「다층 시트」 또는 「3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시트」 등으로 나타내는 경우에는, 복수의 층(또는 3층)이 적층된 후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표현이며, 적층 방법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B-1] 다층 시트 B에서의 스킨층:
다층 시트 B에서의 스킨층은, 3층 시트의 외측에 배치되는 양 최외층으로서 구성된다. 즉, 이 스킨층은 후술하는 다층 시트 B에서의 코어층의 양 단면측(외측)으로부터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되는, 3층 시트의 표층(양 최외층)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스킨층의 두께는 각각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 다른 두께의 스킨층으로 다층 시트 B를 구성하면, 다층 시트 적층 공정에서의 가열 융착 시에, 최외층의 시트 A와 다층 시트 B 사이의 가열 융착성 변동의 요인이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게다가, 가열 프레스 후의 적층체(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에 "휘어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예를 들면 스킨층(PETG)/코어층(PC)/스킨층(PETG)과 같은 3층으로 다층 시트 B가 구성되는 경우로서, 코어층의 두께가 30% 이상 85% 미만인 경우에는, 스킨층은 양면에서 15% 이상 70% 미만이 된다. 스킨층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열융착성의 저하가 생긴다. 다른 한편, 스킨층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후술하는 코어층의 두께가 필연적으로 얇아진다. 이 경우에, 코어층에만 착색제를 배합하면, 착색제가 들어간 수지를 1대의 압출기에만 투입하는 것만으로 좋기 때문에, 스킨층과 코어층에 착색제를 배합한 경우보다도 압출기의 세정이 극단적으로 말하면 절반의 수고로 끝난다. 그러나, 다층 시트 B 상에, 부분 또는 전체면 인쇄한 경우의 은폐성이 부족하다. 또한, 스킨층과 코어층에 착색제를 배합하면, 상술한 은폐성의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예를 들면 2종의 수지에 의한 3층 시트 용융 압출 성형에는 2대의 압출기를 사용하는데, 이 2대의 압출기에는 착색제가 들어간 수지를 투입하게 된다. 그리고, 2종 3층 용융 압출 성형에 의해 성형된 시트의 생산 후, 압출기의 클린업에서는 착색제의 세정에 상당한 수고가 들어, 생산성과 비용적인 문제가 생기기 쉽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소망 범위 내에서 3층 시트(다층 시트 B)의 전체 두께(총두께) 및, 전체 두께에 대하여 차지하는 코어층의 두께의 비율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스킨층을 형성하는 소재로서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 즉, 후술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 이들 재료로부터 제조한, 후술하는 실질적으로 비결정성의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소재를 포함하는 층으로서, 스킨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B-1-1]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본 실시 형태에 이용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비결정성의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의 주요한 성분으로서 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란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과 디올의 탈수축합체를 말하며, 본 발명에 이용되는 실질적으로 비결정성의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수지란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에서도 특히 결정성이 낮은 것을 말한다. 이들은, 가열 프레스 등으로 빈번하게 가열 성형 가공을 행하더라도, 결정화에 의한 백탁이나 융착성의 저하를 일으키지 않는 것이다. 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스킨층에는, 테레프탈산 단위를 주로 하는 디카르복실산 단위 및 에틸렌글리콜 단위(I)[이하, 「에틸렌글리콜 단위(I)」라 함], 및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단위(II)를 주로 하는 글리콜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로서, 에틸렌글리콜 단위(I)와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단위(II)가 (I)/(II)=90 내지 30/10 내지 70 몰%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사용된다. 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포함되는 에틸렌글리콜과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의 성분량을 조정하는 이유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있어서 에틸렌글리콜 성분의 치환량이 10 몰% 미만에서 얻어지는 수지로는 비정질성이 충분하지 않아, 열융착 후의 냉각 공정에서 재결정화가 진행되어 열융착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70 몰%를 초과하여 얻어지는 수지에서는 비정질성이 충분하지 않아, 열융착 후의 냉각 공정에서 재결정화가 진행되어 열융착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에틸렌글리콜과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의 성분량을 조정하여 얻어지는 수지는 비정질성이 충분하여, 열융착성의 관점에서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한 수지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서 에틸렌글리콜 성분의 약 30 몰%를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로 치환한 실질적으로 비결정성의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약칭 「PETG」, (상품명 「이스타 코폴리에스테르」, 이스트만 케미컬사 제조))를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B-2] 다층 시트 B에서의 코어층:
코어층은 3층 시트의 중심에 배치되는, 이른바 핵층으로서 구성된다. 즉, 이 코어층은, 최외측에 배치된 2개의 스킨층에 끼워지도록 3층 시트의 중핵층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코어층의 두께로서는, 전체 시트 중에서 차지하는 두께의 비율이 30% 이상 85% 미만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것은 40% 이상 80% 미만이다. 코어층의 두께 비율이 85% 이상이 되면, 다층 시트 B의 총두께가 100 내지 300 ㎛로 얇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스킨층도 얇아진다. 그 때문에, 다층 시트 적층 공정에서의 가열 융착 시에, 최외층인 시트 A(「단층 시트」 및 이른바 「3층 시트」의 양쪽을 포함함)와 다층 시트 B 사이의 가열 융착성의 변동 요인이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코어층의 두께 비율이 30% 미만이면 다층 시트 B 상에 인쇄하는 경우의 은폐성을 확보할 수 없다. 또한, 최외층인 시트 A(「단층 시트」 및 이른바 「3층 시트」의 양쪽을 포함함)에, 레이저광 조사에 의해 흑색 마킹을 행한 경우의 콘트라스트를 확보할 수 없다. 또한, 마킹부의 시인성, 선명성을 확보할 수 없다.
코어층을 구성하는 재료(소재)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특히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사용된다. 다만,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용융 부피 속도가 4 내지 20인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용융 부피 속도가 4 미만이면 시트의 인성이 향상된다는 점에서는 의미가 있지만, 성형 가공성이 떨어져 실제 사용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용융 부피 속도가 20을 초과하면, 시트의 인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B-2-1] 염료, 안료 등의 수지의 착색제:
다층 시트 B는 착색 다층 시트이고, 다층 시트 B의 스킨층 및 코어층의 적어도 1층에는,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질량부 또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염료, 안료 등의 수지의 착색제 중의 적어도 1종 이상을 1 질량부 이상 함유시키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에서, 시트 A와 상이하다. 이와 같이 착색계 염료, 안료 등의 수지의 착색제를 1 질량부 이상 배합하는 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시트 A와 착색 다층 시트 B의 적층체 시트를 적층시킨 후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마킹하는 경우에 콘트라스트가 양호하게 되기 때문인 것과, 착색 다층 시트 B 상에 인쇄하는 경우의 은폐성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이 착색계 염료, 안료 등의 수지의 착색제로서는, 백색 안료, 황색 안료, 적색 안료, 청색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백색 안료로서 산화티탄, 산화바륨, 산화아연 등을 들 수 있다. 황색 안료로서 산화철, 티탄옐로우 등을 들 수 있다. 적색 안료로서, 산화철 등을 들 수 있다. 청색 안료로서 코발트블루 군청 등을 들 수 있다. 다만, 콘트라스트성을 높이기 위해서 옅은 색조, 담채색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것은, 콘트라스트성이 두드러지는, 백색계 염료, 안료 등의 수지의 착색제가 첨가되는 것이다.
[B-3] 윤활제, 산화 방지제 및 착색 방지제:
또한, 상술한 단층 시트 및 다층 시트(이른바 3층 시트)를 포함한 다층 시트 B의 코어층 및 스킨층의 적어도 1층이 열가소성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산화 방지제 및 착색 방지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0.1 내지 5 질량부, 및 자외선 흡수제 및 광안정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0.1 내지 5 질량부 함유하는 것도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이다. 산화 방지제 및 착색 방지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첨가(배합)시키는 경우에는, 성형 가공 시에 있어서의 분자량 저하에 의한 물성 저하 및 색상 안정화에 유효하게 작용한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 및 광안정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첨가(배합)시키는 경우에는,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의 보관 시 및 최종 제품인 전자 패스포트의 실제 사용 시 내광 열화성의 억제에 유효하게 작용한다. 즉,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적절하게 선택적으로 산화 방지제 및 착색 방지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및 자외선 흡수제 및 광안정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소망량으로 함유시킬 수 있다. 추가로, 적절하게 함유시킬 영역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시트 전체로서 상승적으로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다층 시트 B의 윤활제, 산화 방지제 및 착색 방지제는 시트 A에 함유되는 윤활제, 산화 방지제 및 착색 방지제와 동일하다. 따라서, 시트 A의 설명(윤활제, 산화 방지제 및 착색 방지제)를 참조하기 바란다.
[3] 시트 A와 다층 시트 B의 관계: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 A와 다층 시트 B를 적층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시트 A가 PC(레이저 마크 대응) 투명 단층 시트 또는 PC/PC(레이저 마크 대응)/PC로 이루어지는 투명한 레이저 마크 3층 시트(다층 시트 2)로서 구성되는 경우에, 그 시트 A의 레이저를 조사하는 면과 반대의 면에, 추가로 PETG/PC(백색계 착색제 배합)/PETG로 이루어지는 착색 다층 시트 B를 적층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층(시트 A)에 레이저 조사하여 코어층 PC가 흑색 발색한 경우에, 콘트라스트를 확보하여 마킹부의 시인성, 선명성을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최외층에 인쇄를 실시한 경우에는, 어떤 마찰, 마모가 발생한 경우에 인쇄부가 닳아 없어져 시인성이 크게 저하된다. 그러나, 시트 A의 하층인 다층 시트 B의 표면에 화상, 문자 등을 인쇄함으로써, 그의 인쇄 부분의 선명성이나 인쇄부의 보호도 가능해진다.
또한, 시트 A가 PETG/PC(레이저 마크 대응)/PETG로 이루어지는 투명한 레이저 마크 3층 시트로서 구성되는 경우에는, 그의 시트 A의 레이저를 조사하는 면과 반대의 면에, 추가로 PETG/PC(착색 레이저 마크 대응)/PETG로 이루어지는 착색 레이저 마크 다층 시트 B를 적층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층(시트 A)에 레이저 조사하여 코어층 PC가 흑색 발색하더라도, 레이저광은 더 통과하여 하층(다층 시트 B)의 코어층 PC도 흑색 발색한다. 이에 따라, 레이저광으로 발색한 부분의 흑화도가 향상된다.
이와 같이, 레이저 마킹에 의한 화상(예를 들면, 사람의 얼굴 등)의 선명성을 충분히 끌어내기 위해서는, 반사율이나 콘트라스트를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면, 반사율이 불충분하거나 콘트라스트가 낮거나 하면, 화상의 선명성이 저하된다. 또한, 예를 들면 상술한 시트 A(PETG/PC(레이저 마크 대응)/PETG(투명한 레이저 마크 3층 시트)에, 레이저 마크 대응이 아닌 PETG/PC(백)/PETG의 3층 시트를 가열 융착시켜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하층의 3층 시트에 PETG 투명층이 있기 때문에, 반사율이 불충분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반사율이나 콘트라스트를 고려하여, PC(백) 시트를 상술한 PETG/PC(백)/PETG의 3층 시트 대신에 시트 A의 하층에 이용하면, 반사율이 PETG/PC(백)/PETG의 3층 시트보다 향상된다. 또한, 상층(시트 A)의 레이저 마킹에 의한 흑색 발색과, 하층(PC 시트)의 백색의 콘트라스트가 향상됨으로써 화상의 선명성이 좋아진다. 그러나, 하층이 PC(백) 시트에서는 상층과의 가열 융착성의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120 내지 150℃ 정도의 저온에서의 가열 융착성이 나쁘다. 한편, 210 내지 240℃로 온도를 높이면 가열 융착하는데, 여기에서는 상층의 PETG층이 연화, 용융하게 되어,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하층도 레이저 마킹 대응으로 함으로써 상층에 레이저 조사하여 코어층 PC가 흑색 발색하더라도, 레이저광은 더 통과하여 하층의 코어층 PC도 흑색 발색을 생성한다. 이에 따라, 레이저광으로 발색한 부분의 흑화도가 향상된다. 또한, 하층에 PC(백) 시트를 사용한 경우와 동등한 콘트라스트가 얻어진다. 이들에 의해, 화상을 선명하게 할 수 있고, 더구나, 가열 융착성에 있어서의 문제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원하는 시트 A와 다층 시트 B의 조합에 의해 상승적으로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또한 상술에서는, 본 실시 형태체의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에 있어서, 시트 A의 하층에 다층 시트 B를 적층하는 배치 패턴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러한 배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반드시 상층에 시트 A를 배치하고, 하층에 다층 시트 B를 배치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시트 A를 하층에 배치하고, 다층 시트 B를 상층에 배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시트 A(또는 다층 시트 B)를 상층 또는 하층에 배치해도 되는 것은, 레이저 마킹한 화상 등을 시인하는 위치(방향)가 상하 방향에 한정되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패스포트와 같이 책자 형식으로 본 실시 형태체에 있어서의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를 사용하는 경우에, 좌우로 펼친 형상으로 하여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상층에 시트 A가 배치되고 하층에 다층 시트 B가 배치된다. 또한, 다음 페이지를 펼쳐서 평면에서 보면, 그 시트 A와 다층 시트 B의 배치 위치는 정확히 상층에 다층 시트 B가 배치되고, 하층에 시트 A가 배치된 것으로 된다. 따라서, 여기서의 상층, 하층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서 이용한 것으로서, 레이저 조사하는 측에 시트 A가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배치됨으로써, 레이저 마킹된 후의 시트 A와 다층 시트 B의, 화상 등의 선명성이나 고콘트라스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체에 있어서의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는 시트 A/다층 시트 B와 적층시키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층 시트 B의 표면에 각종 인쇄 등을 실시한 후, 시트 A/(인쇄한) 다층 시트 B/복합 힌지 시트 C/(인쇄한) 다층 시트 B/시트 A가 되도록 적층하는 경우도 포함된다. 또한, 시트 A/다층 시트 B/복합 힌지 시트 C/다층 시트 B/시트 A로 적층하는 경우도 포함된다. 또한, 다층 시트 B/힌지 시트 C/다층 시트 B의 적층체 시트를 가열 융착시키고, 이 적층체 시트 표면에 인쇄 등을 한 후, 추가로 시트 A/상기 적층체 시트/시트 A를 적층시키는 경우 등도 넓게 포함된다. 사용 목적이나 사용 방법에 따라서 유연하게 대응 가능해진다.
[4] 시트 A 및 다층 시트 B의 성형 방법:
본 발명에서, 시트 A 및 착색 다층 시트 B를 얻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각 층의 수지 조성물을 용융 압출 성형하여 적층하는 방법, 각 층을 필름상으로 형성하고, 이것을 라미네이트하는 방법, 2층을 용융 압출하여 형성하고, 이것에 별도 형성한 필름을 라미네이트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들 중에서도, 생산성, 비용의 면에서 용융 압출 성형에 의해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각 층의 수지 조성물을 각각 배합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서 펠릿형으로 하고, T 다이를 공유 연결한 3층 T 다이 압출기의 각 호퍼에 각각 투입한다. 또한, 온도 200℃ 내지 300℃의 범위에서 용융시켜 3층 T 다이 용융 압출 성형한다. 다음으로, 냉각 롤 등으로 냉각 고화한다. 이렇게 해서 3층 적층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시트 A 및 착색 다층 시트 B는 상기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10-71763호 공보 제(6) 내지 (7) 페이지의 기재에 따라서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얻어진 시트 A, 다층 시트 B를 소정의 치수로 절단한다. 그 후, 이들 시트를 적층하여, 원하는 시간, 원하는 압력, 원하는 온도에서 가열 융착 등에 의해서 접합하여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도 있다. 우선, 시트 A 및 다층 시트 B를 각각 용융 공압출 성형으로 2종 3층 시트를 압출 성형한다. 그 후, 롤상으로 권취한 롤상 시트를 소정 온도로 가열한 가열 롤러 사이에 통과시킨다. 예를 들면, 시트 A/다층 시트 B/시트 A, 또는 다층 시트 B/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등의 시트/다층 시트 B의 구성이 되도록 롤상 시트를 통해서 가열 롤러로 가열, 가압한다. 이에 따라 긴 적층체 시트를 제조한 후, 소정의 치수로 절단하는 등 하여 제조하면 된다. 또한 별도의 방법에 의해서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시트 A, 및 다층 시트 B를 소정의 치수로 절단한다. 그리고, 시트 A/다층 시트 B/시트 A의 구성이 되도록, 또는 시트 A/다층 시트 B/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등의 시트 또는 폴리에스테르의 직물 또는 부직포/다층 시트 B/시트 A의 구성이 되도록, 또는 다층 시트 B/다른 시트/다층 시트 B의 매엽 적층체 시트의 구성이 되도록 하여 가열 프레스기에 의해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조할 수도 있다.
여기서, 원하는 시간, 원하는 압력, 원하는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원하는 시간, 원하는 압력, 원하는 온도는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반적인 것으로서, 원하는 시간은 10초 내지 6분 정도, 원하는 압력은 1 내지 20MPa, 원하는 온도는 120 내지 170℃를 일례로서 들 수 있다.
[5] 그 밖의 적층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는 시트 A/다층 시트 B/복합 힌지 시트/다층 시트 B/시트 A로 이루어지는 5층 적층체로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시트 A/다층 시트 B의 적층체로서 구성함으로써 화상 등의 선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 패스포트에서는, 다층 시트 B의 한쪽면에(투명 레이저 마킹층 측에) 국가 등의 고유의 고정 정보를 인쇄한다. 그 경우, 백색계의 다층 시트 B 상에 인쇄된 쪽이 화상 등의 선명성이 두드러진다. 예를 들면, 갈색이나 흑색 등의 짙은 색계의 다층 시트 B 상에 인쇄하는 것보다, 전자쪽이 바탕색의 영향을 받지 않고 선명한 인쇄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이 고정 정보를 다층 시트 B 상에 인쇄한 후에, 투명 레이저 마킹층에 개인 정보나 개인 화상 등의 가변 정보를 레이저 마킹으로 흑색 발색시키는 경우에도, 고정 정보 인쇄를 백색 부분이 많은 담채색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바탕 담채색과의 콘트라스트가 커져, 선명한 화상과 문자가 얻어진다. 따라서, 착색된 다층 시트 B(착색 시트 B)의 색은 백색 등의 담채색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시트 A/다층 시트 B/복합 힌지 시트/다층 시트 B/시트 A의 5층 적층체로서 구성함으로써 표면 또는 이면의 어느 쪽으로부터도 레이저 마킹할 수 있다. 또한, 이들 5층 적층체를 가열 프레스 성형에 의해 가열 융착한 경우에, 얻어진 5층 적층체에는 휘어짐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도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각 층의 두께는 시트 A가 50 내지 200 ㎛, 다층 시트 B가 100 내지 300 ㎛, 복합 힌지 시트가 80 내지 2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것은, 시트 A/다층 시트 B/복합 힌지 시트/다층 시트 B/시트 A의 5층 적층체 구성으로서, 시트 A가 상술한 이른바 3층 구조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시트 A가 이른바 3층 구조를 포함하는 것에 대해서는 시트 A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또한 지금까지 설명한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로서, 시트 A/시트 B/인렛을 포함하는 상기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시트 B/시트 A의 5개의 시트를 적층하여 구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복합 힌지 시트에 IC칩과 안테나를 삽입한 인렛층을 가짐으로써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와 같은 5층 적층체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트 A/다층 시트 B/복합 힌지 시트/다층 시트 B/시트 A를 적층한 후, 가열 프레스로 열융착(열라미네이션)시킴으로써 5층 적층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적층체에 인쇄를 실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층 시트 B의 한쪽면에 광 또는 열경화형 잉크로 인쇄?경화시킨다. 그 후, 추가로 시트 A/인쇄 다층 시트 B/복합 힌지 시트/인쇄 다층 시트 B/시트 A를 적층한 후, 가열 프레스로 열융착(열라미네이션)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방법으로서, 다층 시트 B/복합 힌지 시트/다층 시트 B를 가열 프레스로 열융착에 의해 적층시킨다. 그 후, 이 적층체의 표면에 인쇄한다. 또한, 시트 A/(다층 시트 B/복합 힌지 시트/다층 시트 B) 적층체/시트 A와 적층하여 가열 프레스하는 것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다층 시트 B의 한쪽면에 광 또는 열경화형 잉크로 인쇄?경화한 후, 그의 인쇄면에 접착제의 1종인 바니시를 얇게 도포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건조시킨다. 그리고, 시트 A/바니시 도포 인쇄 다층 시트 B/복합 힌지 시트/바니시 도포 인쇄 다층 시트 B/시트 A를 적층하고 가열 프레스하는 것에 의해서 강고하게 가열 융착시킬 수 있다.
또한, 시트 A의 한쪽면(다층 시트 B의 인쇄면과 가열 융착시키는 면)에 열활성형 접착제를 3 내지 20 ㎛,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 ㎛,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의 건조 두께가 되도록 미리 도포하여 둔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시트 A(한쪽면 열활성형 접착제층)/다층 시트 B/복합 힌지 시트/다층 시트 B/시트 A(한쪽면 열활성형 접착제층)을 적층한 후, 가열 프레스로 열융착(열라미네이션)한다. 이에 따라 강고하게 가열 융착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적층체에 인쇄를 실시하는 경우에, 보다 바람직한 것은, 다층 시트 B의 한쪽면에 광 또는 열경화형 잉크로 인쇄?경화한 후, 시트 A/인쇄 다층 시트 B/복합 힌지 시트/인쇄 다층 시트 B/시트 A를 적층시키고, 그 후 가열 프레스로 열융착(열라미네이션)시켜서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별도의 방법도 있다. 다층 시트 B의 한쪽면에 광 또는 열경화형 잉크로 인쇄?경화시킨다. 그 후, 그의 인쇄면에 접착제의 1종인 바니시를 얇게 도포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건조시킨다. 그리고, 시트 A/바니시 도포 인쇄 다층 시트 B/복합 힌지 시트/바니시 도포 인쇄 다층 시트 B/시트 A 가 되도록 적층하여 가열 프레스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를 형성함으로써 성형 용이성 등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구성, 효과를 일탈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상술한 5층 적층체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열융착(열라미네이션)의 경우의 가열 프레스 온도는 복합 힌지 시트의 종류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100 내지 170℃,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160℃이다. 가열 프레스 온도가 100℃ 미만이면 접착 불량이 생기는 경우가 있고, 170℃를 초과하면 5층 적층체의 휘어짐, 오그라듦 또는 시트의 비어져나옴 등의 이상이 생겨서 바람직하지 않다.
[6] 매트 가공:
또한, 시트 A, 다층 시트 B 및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 중 적어도 1개의 시트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평균 조도(Ra) 0.1 내지 5 ㎛의 매트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술한 각각의 시트 표면에 적절하게 선택적으로 매트 가공을 하는 이유는, 시트 A와 다층 시트 B를 가열 프레스 성형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매트 가공이 실시되어 있으면, 시트 A와 다층 시트 B의 사이의 공기가 빠지기 쉽게 되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 적층 공정에 반송하는 경우에, 이들 시트가 매트 가공되어 있지 않으면, 흡인?흡착하여 반송되어, 이들 시트를 위치 정렬하여 적층한 후, 공기를 주입하여 다층 시트를 탈착할 때, 탈착이 곤란해진다. 가령, 탈착할 수 있더라도 적층 위치가 틀어지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생기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매트 가공의 평균 조도(Ra)가 5 ㎛를 초과하면, 시트 A와 다층 시트 B 사이의 열융착성이 저하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표면의 평균 조도(Ra)가 0.1 ㎛ 미만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 반송 시?적층 시에, 시트가 반송기에 접착된다는 문제 등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7] 인렛 시트:
또한, 필요에 따라서, 인렛 시트를 이용하여 IC칩(「IC-Chip」이라고도 함)과 안테나를 배치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통상 PETG 등의 원료로 성형되는 시트에, IC-Chip과 안테나(「Antenna」라고도 함)를 배치하고, 이것을 인렛 시트로서 사용한다. 또한, 이 인렛 시트를 복합 힌지 시트의 한쪽에 배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지금까지 설명한 복합 힌지 시트에, 직접 IC-Chip과 안테나를 배치한, 인렛 시트 겸용 복합 힌지 시트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IC칩 및 안테나를 배치시키기 쉽고, 또한 이른바 IC칩 내장형의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로서 대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200 내지 300 ㎛ 정도의 PETG 등의 열가소성 수지 시트를 절삭하고, IC-Chip과 Antenna를 삽입하여 인렛 시트를 제조한다. 그리고, 오버 시트(예를 들면 시트 A)/인레이 시트(예를 들면 시트 B)/인렛 시트/복합 힌지 시트/인레이 시트(예를 들면 시트 B)/오버 시트(예를 들면 시트 A)의 구성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오버 시트/인레이 시트/복합 힌지 시트/인렛 시트/인레이 시트/오버 시트의 구성으로서 e-Card 대응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지금까지 설명한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에 인렛 시트를 사용하여, 시트 A/다층 시트 B/상기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인렛 시트/다층 시트 B/시트 A의 6개의 시트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로서 구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인렛과 힌지 시트를 따로따로 만들면, 6개의 시트를 적층한 6층 적층체가 되어, 5개의 시트를 적층한 5층 적층체보다 1층이 많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지지만, 범용성도 있기 때문에,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인렛 시트를 상술한 인렛 시트 겸용 복합 힌지 시트와 같이 겸용으로서 구성하지 않고서, 별개의 부재로서 구성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실질적으로 비결정성의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또는 상기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시트를 인렛 시트의 기재로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테레프탈산 단위를 주로 하는 디카르복실산 단위와 에틸렌글리콜 단위(I), 및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단위(II)를 주로 하는 글리콜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로서, 에틸렌글리콜 단위(I)와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단위(II)가 (I)/(II)=90 내지 30/10 내지 70 몰%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시트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 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시트에, IC칩과 안테나를 배치한 시트를 배치하여 인렛 시트를 형성한다. 또한 그의 인렛 시트를, IC칩 및 안테나를 피복하도록 복합 힌지 시트의 한쪽면에 적층하여 인렛 시트를 형성한 후, 시트 A, 다층 시트 B의 각각을 적층시키고, 가열 프레스하면 적층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시트 A/다층 시트 B/복합 힌지 시트/인렛 시트 E/다층 시트 B/시트 A와 같이 구성한 후, 가열 프레스에 의한 적층체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가열 프레스 시의 응력이나 열 등으로부터 IC칩 및 안테나가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다만,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 수정이 행하여진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인렛 시트를 적층시키는 경우에는, 복합 힌지 시트(또는 인렛 시트 겸용 복합 힌지 시트)의 일단에, 시트 A 및 다층 시트 B보다 5 내지 100 mm 긴 돌출부를 구비하게 함과 동시에, 그 돌출부를 이용하여(통해) 인렛 시트가 전자 패스포트에 미싱 매기 또는 접착되거나, 또는 미싱 매기 및 접착되어 전자 패스포트에 조립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이다.
또한 인렛 시트의 재료로서, 상술한 실질적으로 비결정성의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또는 상기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시트, 구체적으로는 「테레프탈산 단위를 주로 하는 디카르복실산 단위와 에틸렌글리콜 단위(I), 및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단위(II)를 주로 하는 글리콜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로서, 에틸렌글리콜 단위(I)와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단위(II)가 (I)/(II)=90 내지 30/10 내지 70 몰%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대신에, 예를 들면 접착성 시트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 후의, 인렛 시트를 성형하는 가열 프레스 공정을 생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도한 가열 프레스 시에 부하되기 쉬운 응력이나 열 등으로부터, IC칩 및 안테나가 손상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접착성 시트로서는, 예를 들면 두께가 약 30 ㎛ 정도인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성 시트(예를 들면, 도아 고세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아론멜트 PES-111EE 시트)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러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술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접착성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인렛의 두께는 전체적으로 상술한 소망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금까지 상술한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로서, 다층 시트 B의 표면에 인쇄한 후, 상기 시트 A/다층 시트 B/복합 힌지 시트/다층 시트 B/시트 A의 5층 적층체, 또는 상기 시트 A/다층 시트 B/인렛 시트 E/복합 힌지 시트/다층 시트 B/시트 A의 6층 적층체로서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를 성형함으로써, 레이저 마킹성이 우수하고, 생지색과 인자부와의 콘트라스트가 높아, 선명한 문자, 기호, 화상이 얻어진다.
예를 들면 IC-Chip과 안테나를 배치한 e-카드(e-Card)에 있어서, IC-Chip과 안테나를 배치한 인렛 시트 E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인렛 시트 E는 이하와 같이 배치된다. 즉, 상술한 데이터 페이지에서의 기본 구성인 시트 A/다층 시트 B/힌지 시트/다층 시트 B/시트 A의 5층 적층체의 힌지 시트의 한쪽에 인렛 시트 E가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트 A/다층 시트 B/인렛 시트 E/힌지 시트/다층 시트 B/시트 A의 6층 적층체의 구성이 된다. 또한, 힌지 시트에 IC-Chip과 안테나를 배치하여 인렛 시트와 힌지 시트를 겸비한 힌지 시트(이하, 적절하게 힌지 시트 (2)라 함)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시트 A/다층 시트 B/인렛 시트 E/힌지 시트 (2)/다층 시트 B/시트 A의 5층 적층체로 할 수도 있다.
[8] 전자 패스포트:
또한, 상술한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를 사용하여 성형되는 전자 패스포트로서, 상기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의 일단이 상기 시트 A 및 상기 다층 시트 B보다 5 내지 100 mm 긴 돌출부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돌출부가 전자 패스포트의 표지 또는 뒷표지에 미싱 매기 또는 접착하여 이루어지거나, 또는 미싱 매기 및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전자 패스포트로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전자 패스포트를 성형하기 쉬워진다. 예를 들면, 상술한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를 이용함과 동시에, 상기 시트 A/다층 시트 B/복합 힌지 시트/다층 시트 B/시트 A의 5개의 시트를 적층한 5층 적층체로서 구성되는 경우에는, 복합 힌지 시트의 돌출부를 이용하여 전자 패스포트 표지 또는 뒷표지에 미싱 매기 또는 접착하여 이루어지거나, 또는 미싱 매기 및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전자 패스포트로서 성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술한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를 이용함과 동시에, 상기 시트 A/다층 시트 B/인렛 시트 E/복합 힌지 시트/다층 시트 B/시트 A의 6개의 시트를 적층한 6층 적층체로서 구성되는 경우에는, 복합 힌지 시트의 돌출부를 이용하여 전자 패스포트 표지 또는 뒷표지에 미싱 매기 또는 접착하여 이루어지거나, 또는 미싱 매기 및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전자 패스포트로서 성형할 수 있다.
[9] 위조 방지 형성부:
또한 위조 방지 형성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조 방지 형성부가 가해짐(설치됨)으로써, 상술한 것까지의 특징과 더불어, 확실하게 위조 등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위조 방지 형성부로서는, 레이저 조사에 의한 문자, 화상(인물 화상) 외에, 예를 들면 홀로그램, 마이크로문자, 마이크로웨이브 문자, 엠보싱 문자, 경사 인쇄(경사 문자 등), 렌티큘(lenticule), 블랙라이트 인쇄, 펄 인쇄(pearl printing) 등을 시트 A, 다층 시트 B, 복합 힌지 시트, 인렛 시트의 적어도 하나에 실시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10] 레이저 마킹 방법: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는 레이저 광선을 조사하여 발색시키는 것인데, 레이저광으로서는 He-Ne 레이저, Ar 레이저, CO2 레이저, 엑시머 레이저 등의 기체 레이저, YAG 레이저, Nd?YVO4 레이저 등의 고체 레이저, 반도체 레이저, 색소 레이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YAG 레이저, Nd?YVO4 레이저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지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서 그의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첨가제, 예를 들면 이형제, 안정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강화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레이저 마킹 방법에 있어서 레이저 광선으로서는, 레이저 빔이 싱글 모드거나 멀티 모드일 수도 있다. 또한, 빔 직경이 20 내지 40 ㎛와 같이 좁은 것 외에, 빔 직경이 80 내지 100 ㎛와 같이 넓은 것에 대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싱글 모드에서는 빔 직경이 20 내지 40 ㎛인 쪽이 인자 발색부와 바탕의 콘트라스트를 3 이상으로 할 수 있어, 콘트라스트가 양호한 인자 품질을 얻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에 레이저 광선을 조사하면, 단층 시트, 다층 시트 2의 경우에는, 레이저 마킹 다층 시트를 구성하는 시트 A가 발색한다. 이 시트 A는 내열성이 높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주성분이기 때문에, 고파워의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에 의하여 용이하고 보다 선명하게 화상 등을 그릴 수 있다. 특히, 시트 A를 PC/PC(레이저 발색층)/PC의 3층으로 하는 다층 시트 2의 경우에는, PC 레이저 발색층 상에 PC 투명 스킨층을 설치함으로써 더욱 선명하게 화상 등을 그릴 수 있다. 예를 들면, PC 레이저 발색층 단층에서는 더한층 고파워의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발포"가 생기고 이 발포에 의해서, 시트 표면의 「팽창」 현상이 발생하는 조건에서도 PC 레이저 발색층 상에 PC 투명 스킨층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PC 투명 스킨층 효과에 의해 「팽창」현상이 억제되기 때문이다. 이 PC 투명 스킨층 효과는 이에만 그치지 않으며, PC 레이저 발색층 단층의 경우에는 이 시트가 외부와의 마찰에 의해 마킹부가 직접 깎이게 된다. 이에 대하여, PC 투명 스킨층을 부여함으로써, PC 투명 스킨층이 깎이더라도 레이저 마킹부는 깎이지 않기 때문에, 레이저 마킹부의 내찰상성이나 내마모성은 보다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시트는 내열성이 높기 때문에, 이 수지 시트의 다층 적층체에서는 가열 융착 온도를 200 내지 230℃라는 고온으로 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가열 프레스 공정의 생산성에도 문제가 생긴다. 또한, 그것보다도, 통상 전자 패스포트의 플라스틱 데이터 시트에서는 인레이층이라고 하는 중간층 상에 다양한 인쇄를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에, 인레이층에 인쇄를 실시하고 나서 다층 적층 가열 프레스를 행하는 공정에서, 가열 융착 온도를 200 내지 230℃와 같은 고온으로 한 경우, 인쇄가 "변색하는" 경우가 많이 있고, 인쇄한 문자, 화상이 변퇴색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 문제에 대하여, 오버레이인 PC 레이저 발색층 투명 단층 시트 또는 PC/PC(레이저 발색층)/PC의 투명 3층 시트의 바탕층인 인레이에 본 발명의 PETG/PC(착색)/PETG 착색 3층 시트를 적층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PETG의 유리 전이 온도가 약 80℃여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 약 60 내지 70℃ 낮기 때문에, 가열 융착 온도를 150 내지 170℃로, 가열 융착 온도를 약 50 내지 60℃ 정도 낮출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인쇄층에 인쇄된 문자, 화상의 변퇴색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는 레이저 마킹성이 우수하고, 그의 표층, 또는 표층의 코어층에 레이저광 조사에 의해 흑색 발색을 시켜서 화상이나 문자를 마킹시키는데, 그 바탕층이 백색이기 때문에 흑/백 콘트라스트에 의해 더욱 선명한 문자, 화상을 그릴 수 있다.
또한 투명 레이저 마킹 오버 시트(오버레이)에, PETG/PC(레이저 발색층)/PETG의 3층 공압출 시트(다층 시트 1)를 이용함으로써, PETG 스킨층에 의한 코어층 PC(레이저 발색층)의 마킹의 내찰상성이나 내마모성이 우수하다. 또한, PETG 스킨층에 의한 인쇄 인레이층과의 가열 융착성이 우수하다. 특히, 150 내지 170℃에서의 비교적 낮은 가열 온도 하에서의 가열 융착성이 우수하다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투명 레이저 마킹 단층 및 다층 시트를 이용함으로써 레이저 마킹성이 우수하여, 투명 레이저 마킹층 자체에 깊게 마킹할 수 있어, 인자 농도 및 마킹부의 내찰상성이나 내마모성이 우수한 마킹이 가능해진다.
보다 바람직한 것은, 상술한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에 레이저 마킹하는 방법으로서, 도 5,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에 적층한(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를 구성하는) 시트 A 측으로부터(단층 시트, 또는 다층 시트 2의 시트 A 측으로부터), 레이저 광선을 조사하여 인자하는 것이다.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에 적층한(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를 구성하는) 시트 A 측으로부터(다층 시트 1의 시트 A 측으로부터), 레이저 광선을 조사하여 인자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투명 레이저 마킹(다층) 시트 측으로부터 원하는 레이저 광선 (7)을 조사함으로써, 용이하고 선명하게 화상 등을 그릴 수 있다. 따라서 단층 시트 또는 다층 시트 2를 사용함으로써, 다층 시트 B, 복합 힌지 시트, 인렛 시트 E와 더불어, 레이저 마킹성, 가열 융착성이 우수하고, 마킹부의 내마모성도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다층 시트 1을 사용함으로써, 다층 시트 B, 복합 힌지 시트 및 인렛 시트 E와 더불어, 레이저 마킹성이 우수하여, 그의 표면, 또는 지지체와 피복체의 계면부에 레이저 광선으로 흑 바탕에 백색 문자, 백색 기호 및 백색 무늬 등을 보다 한층 용이하고 선명하게 그릴 수 있다. 특히, 바코드 등의 정보 코드를 앙호한 해상도로 마킹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1] 용도: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는 전자 패스포트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9a, 도 9b에 도시되는 것과 같은 패스포트를 예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e-Card 타입의 패스포트의 경우에는, IC칩(IC-CHIP)과 안테나(ANTENNA)가 적층체 (51) 중에 인렛(Inlet)으로서 삽입되어 있고, 그의 적층체가 힌지부의 돌출부 (29)를 통해, 표지 (49)와 뒷표지 (50) 사이에 철되어 있는 패스포트를 예시할 수 있다. 적층체 (51)인 e-Card에는 개인 정보(얼굴 화상과 개인 정보)가 레이저 마킹으로 온디맨드(on-demand)로 기록된다. 즉, e-Card에 배치된 IC칩 및 플라스틱 시트(Plastic-sheet)에 온디맨드로 개인 정보가 기록되게 된다. 또한, 도면 중 부호 (53)은 비자 시트이다. 또한, 예를 들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e-Cover 타입의 패스포트의 경우에는, IC칩과 안테나가 표지 (49), 뒷표지 (50)에 첩부되어 있는 플라스틱 인레이 (52)(Plastic-Inlay) 중에 배치되고, 그 이외에 플라스틱 시트(Plastic-sheet)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페이지(Data-Page)라고 불리는 적층체 (54)가 힌지부의 돌출부 (29)를 통해 철되어 있다. e-Cover 타입의 경우에는, 개인 정보는 IC칩 및 데이터 페이지의 플라스틱 시트에 온디맨드로 기록되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에서의 각종 평가, 측정은 하기 방법에 의해 실시하였다.
[1] 복합 힌지 시트:
이하의 실시예 1 내지 6, 비교예 1 내지 6에 대해서, [1-1] 컷트 시트 작업성, [1-2] 시트의 유연성, [1-3] 미싱부 강도, [1-4] 시트의 휘어짐, [1-5] 시트 내열성, [1-6] 경시 열화 안정성에 대해서 하기의 실험을 행하였다. 또한, 가열 적층체에서의 평가도 행하기 위해서, [1-7] 가열 융착성, [1-8] 내열성, [1-9] 적층체의 두께 균일성의 실험을 행하였다.
[1-1] 컷트 시트 작업성:
110×300 mm에 펀칭 날로 컷트 시의 컷트성과 그 후의 가열 적층 공정에 반입할 때의 작업성을 이하의 판정 기준으로 평가하고, 컷트 시트 작업성을 평가하였다.
《판정 기준》
○: 컷트성과 작업성이 양호함.
△: 컷트성은 양호하지만, 작업성에 문제있음.
△△: 컷트성은 보통이고, 작업성에 문제있음.
×: 컷트성에 문제있음. 작업성은 문제없음.
××: 컷트성과 작업성에 문제있음.
[1-2] 시트의 유연성:
폭 10 mm×길이 100 mm의 컷트 시트를 제작하고, 그 컷트 시트를 도 10a과 같이 대(坮)로부터 5 cm의 길이로 돌출시킨 후, 시험편인 컷트 시트의 돌출부가 처지는 정도를 측정하여, 이하의 판정 기준으로 시트의 유연성을 평가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컷트 시트 (61)를 수평대 (63)에 올려 놓고, 그 컷트 시트 (61)의 상부를 지지판 (65)으로 눌러,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컷트 시트 (61)의 돌출부 (61a)의 처지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판정 기준》
◎: 시트의 "처짐"이 2 cm 이상이 되어 우수하다.
○: 시트의 "처짐"이 1 cm 내지 2 cm 미만이 되어 양호하다.
△: 시트의 "처짐"이 0.4 cm 내지 1 cm 미만이 되어 문제점이 생기기 쉽다.
×: 시트의 "처짐"이 0.4 cm 미만이 되어 나쁘다.
[1-3] 미싱부 강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100 mm의 힌지 시트 시험편을 제작하고, 그그 아래에 종이를 깔고, 공업용 미싱으로 피치=5 mm로 미싱 구멍 (67)을 뚫었다. 그 후 종이를 제거한 후, 시험 속도=300 mm/분으로 도면에 도시되는 화살표 X, Y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인장 시험을 행하여 미싱부 강도(N/cm)를 측정하고, 이하의 판정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판정 기준》
◎: 미싱부 강도=40(N/cm) 이상, 또는 미싱부 이외에서 파괴가 생기고, 그 강도가 강도=40(N/cm) 이상으로 매우 우수하다.
○: 미싱부 강도=20(N/cm) 이상 40(N/cm) 미만으로 양호하다.
△: 미싱부 강도=10(N/cm) 이상 20(N/cm) 미만으로 문제점이 생기기 쉽다.
△△: 미싱부 강도=10(N/cm) 이상 15(N/cm) 미만으로 문제점이 약간 보인다.
×: 미싱부 강도=10(N/cm) 미만으로 나쁘다.
[1-4] 시트의 휘어짐:
300×300 mm로 컷트한 후, 수평대 상에 시트를 두고, 단부가 수평대로부터 솟아오른 높이를 측정하고, 이하의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판정 기준》
◎: 각 단부의 높이가 0.1 mm 이하로 매우 우수하다.
○: 각 단부의 높이가 1 mm 미만으로 양호하다.
△: 각 단부의 높이가 3 mm 미만으로 문제점이 생기기 쉽다.
×: 각 단부의 높이가 3 mm 이상으로 나쁘다.
[1-5] 시트 내열성:
300×300 mm로 컷트한 후, 1 mm 두께의 테플론 시트의 위에 수평으로 시트를 두고, 150℃×10분 후의 상태를 관찰하고, 이하의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판정 기준》
◎: 시트에 전혀 "컬(curl)"이 보이지 않는다.
○: 시트에 약간 "컬"이 보이지만,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
△: 시트의 "컬"이 커서, 미싱 매기에 문제점이 생긴다.
△△: 통 형상으로 컬될 정도까지는 되지 않지만, 시트의 "컬"이 커서 미싱 매기에 문제점이 생겼다.
×: 시트가 "통 형상으로 컬"되어 사용 불가이다.
[1-6] 경시 열화 안정성:
50×90 mm로 컷트한 후, QUV 촉진 내후성 시험기를 이용하여 100시간 시험을 행한 후, 취출하여, 미시험품과의 색차(△E) 및 시트의 유연성을 지촉 시험에 의해 평가하고, 이하의 기준에 의해 경시 열화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이 QUV 촉진 내후성 시험 조건으로서는, 조사 에너지=1.6 mW/cm2, 온도=63℃에서 행하였다.
◎: △E가 3 미만으로 매우 우수하고, 유연성에 있어서도 매우 우수하다.
○: △E가 6 미만으로 좋고, 유연성도 좋다.
△: △E가 6 이상으로 문제점이 생기기 쉽지만, 유연성은 좋고, 전체로서 지장이 생기기 쉽거나, 또는 △E가 6 미만으로 좋지만, 유연성에서 문제점이 생기기 쉽고, 전체로서 지장이 생기기 쉽다.
×: △E가 6 이상으로 문제점이 생기기 쉽고, 유연성에 문제점이 생기기 쉽고, 전체로서 나쁘다.
또한, QUV 촉진 내후성 시험 후의 시트의 유연성은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판정 기준》
◎: 미시험품과 차가 보이지 않아 매우 우수하다.
○: 미시험품보다 약간 변화가 보이지만, 충분한 유연성을 가져 양호하다.
△: 미시험품과 비교하여 유연성의 변화가 커서 문제점이 생기기 쉽다.
×: 시트에 균열이 발생하여 취약하고 나쁘다.
[1-7] 가열 융착성:
시트 A와 다층 시트 B를 100×300 mm로 컷트하고, 힌지 시트를 110×300 mm로 컷트하였다. 다음으로, 시트 A 및 다층 시트 B의 일단에 이형제를 도포한 후, 시트 A/다층 시트 B/힌지 시트/다층 시트 B/시트 A의 5매의 시트를 2매의 크롬 도금 강판 사이에 두고, 로터리 진공 프레스기(닛세이 쥬시 고교 제조)를 이용하여, 100℃에서 90초간 예열 후, 160℃, 실면압력 20 kgf/cm2로 90초간 가압하였다. 또한, 90초간 냉각한 후, 적층체 시트를 취출하고, 이형제 도포 부분을 포함하여 폭 20 mm의 시험편을 잘라내고, 시험 속도 300 mm/분으로 박리 시험을 행하여, 힌지 시트와 다층 시트 B의 가열 융착성을 이하의 판정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시트 A로는 후술하는(제조예 1) 시트 A〔1〕을, 다층 시트 B로는 후술하는(제조예 11) 다층 시트 B〔1〕을 사용하였다.
《판정 기준》
◎: 박리 강도가 50 N/cm 이상 또는 시트의 재료 파괴가 보여 매우 양호하다.
○: 박리 강도가 20 N/cm 이상 50 N/cm 미만으로 양호하다.
△: 박리 강도가 10 N/cm 이상 20 N/cm 미만으로 문제점이 생기기 쉽다.
×: 박리 강도가 10 N/cm 미만으로 나쁘다.
××: 가열 융착되지 않아(손으로 간단하게 박리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할 수 없다.
[1-8] 내열성:
상기 가열 융착 시험 후의 적층체를 사용하여, 시트 A 및 다층 시트 B로부터 힌지 시트가 적층체의 일단에서 10 mm 돌출되어 있는 부분의 외관을 육안 평가하고, 가열 융착 적층 공정에서의 힌지 시트의 내열성을 평가하였다.
《판정 기준》
◎: 주름 발생도 보이지 않고 양호하다.
○: 약간 주름 발생이 보이지만, 문제가 없는 수준이다.
△: 주름 발생이 보인다.
△△: 주름 발생이 크게 보이고 일부 연화되어 있다.
×: 주름 발생 크고 또는 일부 연화되어 늘어짐이 보여 나쁘다.
××: 연화되어 늘어져 있기 때문에 매우 나쁘다.
[1-9] 적층체의 두께 균일성:
가열 융착 시험 후의 적층체를 사용하여, 적층체의 총두께를 측정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적층체의 두께 균일성을 평가하였다.
《판정 기준》
○: 총두께의 감소가 3% 미만으로 양호하다.
△: 3% 내지 6% 미만으로 지장이 생기기 쉽다.
×: 총두께의 감소가 6% 이상으로 나쁘다.
(실시예 1) 복합 힌지 시트〔1〕: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TPU)로서 닛본 미락트란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무황변 타입 「미락트란 XN-2004」, 경도(쇼어 A(이하, 적절하게 「Shore-A」라고도 함) 95를 사용함과 함께, 폴리에스테르의 직물(이하, 적절하게 「PET-mesh」 또는 「PET-mesh cloth」라고도 함)로서 니혼도꾸슈오리모노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모노필라멘트 폴리에스테르 「TNo-80-48」, 선 직경 48 ㎛, 두께 80 ㎛, 개구율 72%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TPU를 185℃에서 T 다이 압출기로부터 용융 압출함과 함께, T 다이 출구에서 PET-mesh와 롤압착시켜, TPU/PET-mesh를 포함하는 TPU가 PET-mesh와 완전일체화되어, PET-mesh의 양면에 TPU 스킨층을 형성한 총두께가 150 ㎛인 TPU/PET-mesh 복합 힌지 시트를 성형하였다.
(실시예 2) 복합 힌지 시트〔2〕:
실시예 1과 같은 TPU 및 PET-mesh를 사용하였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2대의 T 다이부 압출기를 이용하여, TPU를 185℃에서 T 다이 압출기로부터 용융 압출함과 함께, T 다이 출구 직후에 TPU/PET-mesh/TPU의 구성으로 롤압착시켜, TPU가 PET-mesh와 완전일체화된 총두께가 150 ㎛인 TPU/PET-mesh 복합 힌지 시트를 성형하였다.
(실시예 3) 복합 힌지 시트〔3〕:
실시예 1의 PET-mesh 대신에, 열가소성 폴리아미드의 직물(이하, 적절하게 「폴리아미드-mesh」라고도 함), 니혼도꾸슈오리모노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모노필라멘트 폴리아미드 「NNo-100M」, 선 직경 71 ㎛, 두께 125 ㎛, 개구율 52%를 사용하였다. 그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TPU/폴리아미드-mesh를 포함하는 완전일체화된 총두께가 150 ㎛인 TPU/폴리아미드-mesh 복합 힌지 시트를 성형하였다.
(실시예 4) 복합 힌지 시트〔4〕:
실시예 1의 TPU 대신에, 수소 첨가 스티렌계 엘라스토머(SEPS), 쿠라레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세프톤 2104」, 경도(Shore-A) 98을 이용함과 함께, 실시예 1의 PET-mesh를 사용하였다. 또한, 230℃에서 T 다이 압출기로부터 용융 압출함과 함께, T 다이 출구에서 PET-mesh와 롤압착시켜, SEPS/PET-mesh를 포함하는 완전일체화된 총두께가 150 ㎛인 SEPS/PET-mesh 복합 힌지 시트를 성형하였다.
(실시예 5) 복합 힌지 시트〔5〕:
니혼도꾸슈오리모노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모노필라멘트 폴리에스테르의 직물 「TNo-250SS」, 선 직경 30 ㎛, 개구율 50%, 두께 47 ㎛를 사용함과 함께, 실시예 1과 동일한 TPU를 사용하였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TPU가 PET-mesh와 완전일체화되어, PET-mesh의 양면에 TPU 스킨층을 형성한 총두께가 150 ㎛인 TPU/PET-mesh 복합 힌지 시트를 성형하였다.
(실시예 6) 힌지 시트〔6〕:
니혼도꾸슈오리모노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모노필라멘트 폴리에스테르의 직물 「TNo-250SS」, 선 직경 30 ㎛, 개구율 50%, 두께 47 ㎛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TPU와 PET-mesh cloth가 완전일체화되어, PET-mesh cloth의 양면에 TPU 스킨층을 형성한 총두께가 70 ㎛인 TPU/PET-mesh cloth 복합 힌지 시트를 성형하였다.
(비교예 1) 힌지 시트〔7〕:
니혼도꾸슈오리모노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모노필라멘트 폴리에스테르의 직물 「TNo-150℃」, 선 직경 54 ㎛, 개구율 46%, 두께 84 ㎛를 사용함과 함께, 실시예 1의 TPU를 사용하였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힌지 시트를 시험 제작했지만, 폴리에스테르의 직물의 개구율이 작기 때문에 직물의 개구부에 TPU가 충분 침입할 수 없어, TPU가 폴리에스테르의 직물의 개구부에 일부 침입했을 뿐 개구부의 모두가 폐색되지는 못한, TPU와 PET의 직물을 포함하는 2층 적층 구조에 가까운 적층 구조를 갖는, 총두께가 150 ㎛인 TPU/PET-mesh 힌지 시트를 성형하였다.
(비교예 2) 힌지 시트〔8〕:
실시예 1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TPU) 대신에, 특수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TAF) 스미또모 가가꾸(주) 「타프트렌 T3522」 경도(쇼어 D(이하, 적절하게 「Shore-D」라고도 함) 78을 사용함과 함께, 실시예 1의 PET-mesh를 사용하였다. 또한, 용융 압출 온도 200℃에서 T 다이 압출기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PETG가 PET-mesh와 완전일체화되어, PET-mesh의 양면에 TAF 스킨층을 형성한 총두께가 150 ㎛인 TAF/PET-mesh 힌지 시트를 성형하였다.
(비교예 3) 힌지 시트〔9〕: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TPU)로서 닛본 미락트란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무황변 타입 「미락트란 XN-2004」, 경도(Shore-A) 95를 사용하고, 185℃에서 T 다이 압출기로 두께 150 ㎛의 TPU 단독 시트로서의 힌지 시트를 얻었다.
(비교예 4) 힌지 시트〔10〕: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TPU)로서 닛본 미락트란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무황변 타입 「미락트란 XN-2004」, 경도(Shore-A) 95를 사용함과 함께, 폴리에스테르의 직물(PET-mesh)로서 니혼도꾸슈오리모노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모노필라멘트 폴리에스테르 「TNo-80-48」, 선 직경 48 ㎛, 두께 80 ㎛, 개구율 72%를 사용하였다. 또한, TPU를 185℃에서 T 다이 압출기로부터 용융 압출한 후, PET-mesh와 접촉시켜 가볍게 롤압착시킴으로써, TPU와 PET-mesh가 서로의 계면에서 접했을 뿐, TPU가 폴리에스테르의 직물의 개구부에 침입하지 못해 개구부가 폐색되지 않은 적층 구조를 갖는, 총두께가 150 ㎛인 적층 시트로서의 힌지 시트를 얻었다.
(비교예 5) 힌지 시트〔11〕: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TPEE)로서 듀퐁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하이트렐 7272」, 경도(Shore-D) 72를 사용함과 함께, 실시예 1의 PET-mesh를 사용하였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TPEE를 230℃에서 T 다이 압출기로부터 용융 압출함과 함께, T 다이 출구에서 PET-mesh와 롤압착시켜, TPEE/PET-mesh를 포함하는 TPU가 PET-mesh와 완전일체화된 총두께가 150 ㎛인 TPEE/PET-mesh 힌지 시트를 성형하였다.
(비교예 6) 힌지 시트〔12〕:
수소 첨가 스티렌계 엘라스토머(SEPS), 쿠라레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세프톤 4033」 경도(Shore-A) 76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의 PET-mesh를 사용하였다. 또한,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총두께가 150 ㎛인 SEPS/PET-mesh 힌지 시트를 성형하였다.
상술한 실시예 1 내지 6, 비교예 1 내지 6에 관하여, 상술한 [1-1] 내지 [1-9]의 각종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고찰 1)
표 1,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는 컷트 시트의 작업성이 우수하고, 시트의 유연성, 미싱부 강도가 우수하고, 시트의 휘어짐이 없고, 힌지 시트의 내열성도 우수하고, 경시 열화 안정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패스포트와 같이 10년간의 장기간에 걸쳐서 안심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었다. 또한 가열 적층 공정에서도, 가열 융착성, 내열성 및 두께 균일성이 우수하여, 패스포트용 적층체로서 실용화에 제공할 수 있는 것이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하여 실시예 5의 힌지 시트에서는,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선 직경이 작고, 두께도 얇기 때문에, TPU에의 폴리에스테르의 직물의 강화 효과가 부족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미싱부 강도가 떨어지는 것이어서, 가열 적층 공정에서는 내열성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실시예 6에서는, 층두께가 70 ㎛로 얇아 컷트 시트 작업성이 나쁘고, 미싱부 강도가 떨어지는 것이어서, 시트 내열성 및, 가열 적층 공정에서의 내열성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다만, 상술한 [1-1] 내지 [1-9]의 각종 평가에 있어서의 균형이라는 의미에서는 비교예보다 바람직하고, 이 점에서 실시예에 포함된다.
이에 비하여, 비교예 1의 힌지 시트에서는, 폴리에스테르의 직물의 개구율이 46%로 작기 때문에, 직물의 개구부에 TPU가 충분히 침입되어 있지 않다. 즉, TPU가 폴리에스테르의 직물의 개구부에 부분적으로 침입했을 뿐인 TPU와 PET의 직물을 포함하는 2층 적층 구조이기 때문에, 컷트 시트 작업성이 나쁘고, 더구나 힌지 시트의 휘어짐이 크다. 또한, 힌지 시트의 내열성 시험에서 큰 컬이 발생하기 때문에, 사용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그 때문에 가열 적층 공정에서는 내열성과 두께 균일성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비교예 2의 힌지 시트에서는, 경도가 높은 특수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TAF)를 TPU 대신에 사용했기 때문에, 힌지 시트의 유연성이 부족하고, 가열 융착성도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때문에, 미싱 매기로 제본하는 경우의 힌지 시트로서 실현성이 부족한 것이 실증되었다.
또한 비교예 3의 힌지 시트에서는, TPU 단독의 시트이기 때문에, 시트의 유연성이 우수하지만, 컷트 시트의 작업성과 가열 적층 공정에서의 내열성이 떨어진다. 그 때문에 실용이 곤란하다. 비교예 4의 힌지 시트에서는, TPU와 PET-mesh가 계면에서 접한 적층 구조 시트로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예 1의 힌지 시트와 마찬가지로, 컷트 시트 작업성이 나쁘고, 더구나 시트의 휘어짐이 크다. 또한, 시트의 내열성 시험에서 큰 컬이 발생하기 때문에, 가열 적층 공정에서의 내열성과 두께 균일성이 떨어져 실용에 적합하지 않았다. 비교예 5의 힌지 시트에서는, 실시예 1의 TPU 대신에 TPEE로서 하이트렐 7272를 사용했기 때문에, 경시 열화 안정성이 불충분하여 장기간에 걸쳐서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비교예 6의 힌지 시트에서는, 경도가 작은 SEPS를 실시예 1의 TPU 대신에 사용했기 때문에, 컷트 시트의 작업성이 나쁘고, 가열 적층 공정에서의 내열성이 떨어져 사용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이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6의 힌지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적층체의 제조 공정에서 문제가 생겨 실용화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가령 생산했다고 해도, 패스포트의 통상에 따른 페이지 등의 절첩 등 통상의 사용에 지장이 생길 뿐만 아니라, 경시 열화 안정성 등의 문제도 생길 수 있는 것이 상기 실험으로부터 실증되어 있어, 실현성이 부족한 것인 것이 확인되었다.
[2]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 및 전자 패스포트:
다음으로, 상술한 복합 힌지 시트와, 후술하는 시트 A, 다층 시트 B를 사용한 실시예 7 내지 13과, 비교예 7 내지 15에 대해서 하기의 실험을 행하였다.
[2-1] 시트 A의 투명성:
시트 A의 전체 광선 투과율을 분광 광도계(상품명 「EYE7000」맥베스사 제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판정 기준》
○: 전체 광선 투과율 80% 이상으로 양호함, △: 전체 광선 투과율 60% 이상 80% 미만으로 문제점이 생길 우려가 있음, ×: 전체 광선 투과율 60% 미만으로 나쁨.
[2-2] 시트의 반송성:
투명 레이저 마킹 시트를 100×300 mm로 컷트한 후, 시트 반송기로 반송하여 가열 프레스기 금형에 상기 시트를 소정 위치에 실을 때, 이하의 판정 기준으로 시트의 반송성을 평가하였다.
《판정 기준》
○: 양호하고 문제없음,
△: 시트를 흡착→ 반송→ 탈착 시, 시트가 흡착부로부터 탈착하기 어려워 시트가 어긋남,
×: 시트가 흡착부로부터 탈착 곤란함.
[2-3] 적층 가열 프레스 성형 후의 이형성:
진공 프레스기(닛세이 쥬시 고교 제조)를 이용하여, 적층한 시트를 2매의 크롬 도금 강판 사이에 끼우고, 프레스 온도 100℃에서 2분간 예열 후, 170℃, 실면압력 12 kgf/cm2로 2분간 유지하였다. 그 후, 실온까지 냉각한 후, 크롬 도금 강판 사이에 끼운 시료를 크롬 도금 강판마다 꺼내어, 시료로부터 크롬 도금 강판을 벗겼을 때의 금형 이형성을 이하와 같이 평가하였다.
《판정 기준》
○: 용이하게 박리 가능, △: 금형에 약간 부착되어, 박리는 가능하지만 시트 표면에 흠집이 생겨 사용 불가, ×: 금형에 부착.
[2-4] 팽창 빠짐성:
상기한 바와 같이 가열 프레스 후의 적층체 내의 잔존 팽창 상태를 관찰하여, 팽창 빠짐성을 이하와 같이 평가하였다.
《판정 기준》
○: 적층체 내에 기포없이 양호함, △: 적층체 내에 약간 기포가 잔존하여 문제점이 생기기 쉬움, ×: 적층체 내에 다량의 기포가 잔존하여 나쁨.
[2-5] 가열 융착성:
시트 A와 다층 시트 B의 일단에 이형제를 도포한 후, 시트 A/다층 시트 B/힌지 시트/다층 시트 B/시트 A의 5매의 시트를 2매의 크롬 도금 강판 사이에 끼우고, 진공 프레스기(닛세이 쥬시 고교 제조)를 이용하여 프레스 온도 100℃에서 2분간 예열 후, 160℃, 실면압력 12 kgf/cm2로 2분간 유지하였다. 그 후, 실온까지 냉각한 후, 적층체 시트를 꺼내고, 이형제 도포 부분으로부터 손으로 벗겨 적층체 사이의 가열 융착성을 이하와 같이 평가하였다.
《판정 기준》
◎: 박리가 없이 가열 융착성이 우수함, ○: 극히 일부를 박리할 수 있지만, 시트 파괴가 생김. (재료 파괴), △: 상당히 강한 힘으로는 박리 가능. ×: 전체면 박리, ××: 가열 프레스 후에 박리가 발생하거나, 또는 극히 작은 힘으로도 전체면 박리가 생김.
[2-6] 레이저 마킹성:
상기 가열 적층체 시트를 이용하여, Nd?YVO4 레이저(상품명 「LT-100SA」, 레이저 테크놀로지사 제조, 및 상품명 「RSM103D」, 러핀시나르사 제조)를 사용하여 레이저 마킹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레이저 마킹성은 400 mm/초의 레이저 조사 속도로 마킹을 행하여, 화상의 선명성과 마킹부의 표면 상태로 이하와 같이 판정하였다.
《판정 기준》
◎: 선명성이 우수하고, 레이저광 조사부의 팽창 등 이상 없음,
○: 선명성 양호, 레이저광 조사부의 팽창 등 이상 없음,
△: 선명성 불충분, 또는 레이저광 조사부에 약간의 팽창,
×: 선명성 나쁨, 또는 레이저광 조사부의 팽창 큼.
[2-7] 콘트라스트성:
다층 시트 B에 인쇄한 후, 상기 [2-5], [2-6]의 공정 처리를 하고, 레이저 마킹에 의한 화상 등과 인쇄에 의한 화상 등의 콘트라스트를 육안 평가로 판정하였다.
《판정 기준》
○: 레이저 마킹에 의한 화상과 인쇄에 의한 화상의 선명성, 시인성에 변화없음,
△: 레이저 마킹에 의한 화상과 인쇄에 의한 화상과의 선명성, 시인성 저하,
×: 레이저 마킹에 의한 화상과 인쇄에 의한 화상과의 선명성, 시인성 저하.
[2-8]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의 내마모성:
레이저광을 조사시켜 흑색 레이저 마킹부를 형성한 상기 [2-6]의 가열 융착 적층체의 내마모성을 시험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러빙 테스터(이모또 세이사꾸쇼 제조)를 이용하여, #00 스틸울(하중 500 gr)로 50회(25 왕복) 행하여, 테스트 전후의 상태를 육안 평가로 판정하였다.
《판정 기준》
◎: 마킹부의 이상이 보이지 않고, 화상의 선명성, 시인성에 변화없음,
○: 마킹부의 깎임은 있지만, 화상의 선명성, 시인성이 양호,
△: 마킹부의 깎임이 진행되고 있고, 화상의 선명성, 시인성이 저하,
×: 마킹부의 깎임이 크게 생겨, 화상의 선명성, 시인성이 현저히 저하.
(제조예 1) 시트 A〔1〕:
스킨층으로서, 폴리카보네이트(상품명 「타플론 FN2500A」 이데미쓰코산 제조, 용융 부피 속도=8 cm3/10분)을 이용하고, 코어층으로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에, 레이저 광선을 흡수하는 에너지 흡수체로서 카본블랙(미쯔비시 가가꾸 제조 #10, 평균 입경 75 nm, DBP 흡유량 86 ml/100 gr)을 0.0015 질량부 배합함과 함께, 페놀계 산화 방지제로서 n-옥타데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상품명 「이르가녹스 1076」, 시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사 제조))를 0.1부, 및 자외선 흡수제로서 2-(2'-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상품명 「티누빈 327」, 시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사 제조)를 0.2부 배합하고, T 다이 용융 압출 성형에 의해 스킨층/코어층/스킨층의 3층의 시트 A를 얻었다. 시트의 총두께는 100 ㎛이고, 표리의 스킨층의 두께를 동일 두께로 함과 동시에, 층의 구성을 스킨층(18 ㎛)/코어층(64 ㎛)/스킨층(18 ㎛)의 구성으로 하고, 코어층의 두께 비율을 64%로 하였다. 또한 양면의 평균 표면 조도(Ra)에 대해서는 0.5 내지 1.8 ㎛가 되도록 매트 가공이 실시된 3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시트 A〔1〕을 얻었다.
(제조예 2) 시트 A〔2〕:
시트의 총두께는 100 ㎛이고, 표리의 스킨층의 두께를 동일 두께로 함과 동시에, 층의 구성을 스킨층(28 ㎛)/코어층(44 ㎛)/스킨층(28 ㎛)의 구성으로 하고, 코어층의 두께 비율을 44%로 한 것 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시트 A〔2〕를 얻었다.
(제조예 3) 시트 A〔3〕:
시트의 총두께는 100 ㎛이고, 표리의 스킨층의 두께를 동일 두께로 함과 동시에 층의 구성을 스킨층(45 ㎛)/코어층(10 ㎛)/스킨층(45 ㎛)의 구성으로 하고, 코어층의 두께 비율을 10%로 한 것 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시트 A〔3〕을 얻었다.
(제조예 4) 시트 A(단층 시트 A)〔4〕:
폴리카보네이트(상품명 「타플론 FN2500A」이데미쓰코산 제조, 용융 부피 속도=8 cm3/10분)를 이용하고, 레이저 광선을 흡수하는 에너지 흡수체로서 카본블랙(미쯔비시 가가꾸 제조 #10, 평균 입경 75 nm, DBP 흡유량 86 ml/100 gr)을 0.0015 질량부 배합함과 함께, 페놀계 산화 방지제로서 (n-옥타데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이르가녹스 1076」 시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사 제조)를 0.1부, 및 자외선 흡수제로서 2-(2'-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상품명 「티누빈 327」, 시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사 제조) 0.2부를 배합하고, T 다이 용융 압출 성형에 의해 시트의 총두께가 100 ㎛인 투명 레이저 마킹 단층 시트를 얻었다. 또한 양면의 평균 표면 조도(Ra)에 대해서는 0.5 내지 1.8 ㎛가 되도록 매트 가공이 실시된 단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시트 A〔4〕를 얻었다.
(제조예 5) 시트 A〔5〕:
스킨층으로서,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상품명 「이스타 GN071」 이스트만 케미컬사 제조, EG/CHDM=70/30 몰%) 100 질량부에 윤활제로서 스테아르산칼슘 0.3 질량부를 배합하였다. 코어층으로서, 폴리카보네이트(상품명 「타플론 FN2500A」이데미쓰코산 제조, 용융 부피 속도=8 cm3/10분)를 이용하고, 레이저 광선을 흡수하는 에너지 흡수체로서 카본블랙(미쯔비시 가가꾸 제조 #10, 평균 입경 75 nm, DBP 흡유량 86 ml/100 gr)을 0.0015 질량부 배합함과 함께, 페놀계 산화 방지제로서 (n-옥타데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이르가녹스 1076」 시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사 제조)를 0.1부, 및 자외선 흡수제로서 2-(2'-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상품명 「티누빈 327」, 시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사 제조) 0.2부를 배합하고, T 다이 용융 압출 성형에 의해 스킨층/코어층/스킨층의 3층의 시트 A〔5〕를 얻었다. 또한, 시트의 총두께는 100 ㎛이고, 표리의 스킨층의 두께를 동일 두께로 함과 동시에, 층의 구성을 스킨층(18 ㎛)/코어층(64 ㎛)/스킨층(18 ㎛)의 구성으로 하고, 코어층의 두께 비율을 64%로 하였다. 또한 양면의 평균 표면 조도(Ra)에 대해서는 0.5 내지 1.8 ㎛가 되도록 매트 가공이 실시된 3층 시트 A〔5〕를 얻었다.
(제조예 6) 시트 A〔6〕:
제조예 5와 동일하게 하여, 시트의 총두께를 100 ㎛로 함과 동시에, 표리의 스킨층의 두께를 동일 두께로 하고, 층의 구성을 스킨층(40 ㎛)/코어층(20 ㎛)/스킨층(40 ㎛)으로 구성함과 함께, 코어층의 두께를 비율 20%로 하였다. 또한 양면의 평균 표면 조도(Ra)에 대해서는 0.5 내지 1.8 ㎛가 되도록 매트 가공이 실시된 3층 시트 A〔6〕를 얻었다.
(제조예 7) 시트 A〔7〕:
제조예 5에 있어서, 층의 구성을 스킨층(5 ㎛)/코어층(90 ㎛)/스킨층(5 ㎛)으로 구성함과 함께, 코어층의 두께를 비율 90%로 하여 3층 공압출을 시도했지만, 스킨층이 너무나 얇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이 층 구성으로 제조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제조예 8) 시트 A〔8〕:
제조예 5에 있어서,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에 윤활제를 가하지 않은 것 외에는, 제조예 5와 동일하게 하여 시트 A〔8〕을 얻었다.
(제조예 9) 시트 A〔9〕:
제조예 5에 있어서, 3층 시트의 코어층에 레이저광 에너지 흡수제 카본블랙을 배합하지 않은 것 외에는 제조예 5와 동일하게 하여 시트 A〔9〕를 얻었다.
(제조예 10) 시트 A〔10〕:
제조예 5에 있어서, 3층 시트의 코어층에 레이저광 에너지 흡수제 카본블랙 5 질량부를 배합한 것 외에는 제조예 5와 동일하게 하여 시트 A〔10〕을 얻었다.
(제조예 11)다층 시트 B〔1〕:
스킨층으로서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상품명 「이스타 GN071」 이스트만 케미컬사 제조, EG/CHDM=70/30 몰%)를, 코어층으로서 폴리카보네이트(상품명 「타플론 FN2500A」이데미쓰코산 제조, 용융 부피 속도=8 cm3/10분)를 이용하고, 또한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에 윤활제로서 스테아르산칼슘 0.3 질량부를 배합하였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에 페놀계 산화 방지제로서 (n-옥타데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이르가녹스 1076」 시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사 제조)를 0.1부, 및 자외선 흡수제로서 2-(2'-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상품명 「티누빈 327」, 시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사 제조) 0.2부, 및 산화티탄 5부를 배합하고, T 다이 용융 압출 성형에 의해 스킨층/코어층/스킨층의 3층의 다층 시트 B를 얻었다. 시트의 총두께를 200 ㎛로 함과 동시에, 표리의 스킨층의 두께를 동일 두께로 하여, 층의 구성을 스킨층(25 ㎛)/코어층(150 ㎛)/스킨층(25 ㎛)의 구성으로 함과 동시에, 코어층의 두께를 비율 75%로 하였다. 또한 양면의 평균 표면 조도(Ra)에 대해서는 0.5 내지 1.8 ㎛가 되도록 매트 가공이 실시된 다층 시트 B를 얻었다.
(제조예 12)다층 시트 B〔2〕:
상기 다층 시트 B에서, 시트 총두께를 200 ㎛로 하고, 층의 구성을 스킨층(12 ㎛)/코어층(176 ㎛)/스킨층(12 ㎛)의 구성으로 함과 동시에, 코어층의 두께를 비율 88%로 한 것 외에는 제조예 11과 같이 하여, 다층 시트 B〔2〕를 얻었다.
(제조예 13)다층 시트 B〔3〕:
상기 다층 시트 B에서, 시트 총두께를 200 ㎛로 하고, 층의 구성을 스킨층(80 ㎛)/코어층(40 ㎛)/스킨층(80 ㎛)의 구성으로 함과 동시에, 코어층의 두께를 비율 20%로 한 것 외에는 제조예 11과 같이 하여, 다층 시트 B〔3〕을 얻었다.
(제조예 14)다층 시트 B〔4〕:
스킨층으로서 폴리카보네이트(상품명 「타플론 FN2500A」이데미쓰코산 제조, 용융 부피 속도=8 cm3/10분)을 이용하고, 코어층으로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에, 산화티탄 5 질량부를 배합함과 함께, 페놀계 산화 방지제로서 n-옥타데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상품명 「이르가녹스 1076」, 시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사 제조))를 0.1부, 및 자외선 흡수제로서 2-(2'-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상품명 「티누빈 327」, 시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사 제조)을 0.2부 배합하고, T 다이 용융 압출 성형에 의해, 표리의 스킨층의 두께를 동일 두께로 함과 동시에, 시트 총두께를 200 ㎛로 하고, 층의 구성을 스킨층(40 ㎛)/코어층(120 ㎛)/스킨층(40 ㎛)의 구성으로 함과 동시에, 코어층의 두께를 비율 60%로 하였다. 또한 양면의 평균 표면 조도(Ra)에 대해서는 0.5 내지 1.8 ㎛가 되도록 매트 가공이 실시된 다층 시트 B〔4〕를 얻었다.
상술한 제조예 1 내지 14를 표 3 및 표 4에 나타내는 구성에 의해 실시예 7 내지 13, 및 비교예 7 내지 15로 하여, [2-1] 내지 [2-8]의 각종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또한, 시트 C는 실시예 1의, PET-mesh와 TPU를 복합일체화한 총두께가 150 ㎛인 TPU/PET-mesh 복합 힌지 시트(복합 힌지 시트 C〔1〕)를 성형하여 사용하였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고찰 2)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7 내지 13의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에서는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어, 어느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에 있어서도 투명성, 반송성, 이형성, 팽창 빠짐성에 있어서 우수한 것이다. 특히, 실시예 8, 10, 12, 13에 있어서는, 가열 융착성과 내마모성의 점에서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고, 실시예 9에 있어서는 가열 융착성과 레이저 마킹성의 점에서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비교예 7에서는, 시트 A〔3〕(제조예 3)의 코어층의 두께 비율을 10%로 했기 때문에, 레이저 마킹성, 콘트라스트성이 나쁘고, 이 코어층 두께 비율에서는 코어층의 두께가 극단적으로 얇기 때문에, 두께 비율을 제어하여 안정적인 3층 시트를 얻는 것이 어려워 공업 생산은 곤란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비교예 8에서는, 시트 A〔6〕(제조예 6)의 코어층의 두께를 비율 20%로 했기 때문에, 레이저 마킹성, 콘트라스트성이 나쁘다. 또한, 비교예 9에서는 시트 A〔7〕(제조예 7)의 코어층의 두께를 비율 90%로 하여 3층 공압출을 시도했지만, 스킨층이 너무나 얇기 때문에, 이 층을 포함하는 구성으로는 안정적으로 충분히 제조할 수 없기 때문에, 측정 불능이어서 표 4에는 「-」라고 기재하였다. 또한, 비교예 10에서는, 시트 A〔8〕(제조예 8)에 윤활제를 가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형성이 나쁘다. 또한, 비교예 11에서는, 시트 A〔9〕(제조예 9)에 레이저광 에너지 흡수제로서 카본블랙을 배합하지 않았기 때문에, 레이저 마킹성, 콘트라스트성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마찬가지로, 비교예 12에서는, 시트 A〔10〕(제조예 10)의 코어층에 레이저광 에너지 흡수제 카본블랙 5 질량부를 배합했기 때문에, 시트 자체가 흑색을 나타내고 있고, 그 결과로서, 투명성의 저하와 레이저광 조사에 의해 PC 수지의 변색과 발포가 발생하여, 아무리해도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없었다.
또한, 비교예 13에서는, 다층 시트 B〔2〕(제조예 12)의 코어층의 두께를 비율 88%로 했기 때문에, 가열 융착성이 불충분했지만, 애당초, 제조예 12의 3층 시트에서는 코어층 두께 비율이 88%로 높고, 그 때문에 총두께 200 ㎛라도 스킨층 두께가 12 ㎛밖에 되지 않아, 각 층의 두께를 제어하여 안정적으로 3층 시트를 생산하는 것이 어려워 공업 생산은 곤란하다고 생각된다. 비교예 14에서는, 다층 시트 B〔3〕(제조예 13)의 코어층 두께를 비율 20%로 했기 때문에, 은폐성이 떨어지고, 레이저 마킹부의 콘트라스트성이 떨어지는 결과가 되었다. 또한, 비교예 15에서는, 다층 시트 B〔4〕(제조예 14) PC/PC/PC 3층 시트를 사용했기 때문에, 오버 시트인 시트 A와의 가열 융착성 및 복합 힌지 시트와의 가열 융착성이 떨어지는 결과가 되었다.
본 발명의 복합 힌지 시트는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의 제조 시에, 가열 융착성 및 적층체의 치수 정밀도가 우수하고, 표지 등과 철하여 제본한 후에 유연하고 반복 구부림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며, 매기부의 인열, 인장 강도가 우수하여, 실 사용 시의 내광 열화성 등의 경시 안정성이 우수한 힌지 시트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는 시트 A 및 착색 레이저 마킹 다층 시트 B는 비PVC 계의 다층 시트이며, 시트 A/다층 시트 B/힌지 시트/다층 시트 B/시트 A의 적층체 구조로 함으로써, 레이저광 조사에 의해 문자, 숫자뿐만아니라 화상에 대해서도 선명하고 우수한 레이저 마킹성을 갖고, 다층 시트의 적층, 가열 프레스 공정에서도, 시트의 반송성, 적층성, 가열 융착성 및 적층체 시트의 변형 "휘어짐"도 없고 내열성이 우수한 다층 시트이고, 이들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를 전자 패스포트로 제본하는 것에 있어서도 미싱 매기 등의 간단한 방법으로 제본 가능하고, 레이저 마킹에 의해 위조 방지에 매우 유효한 것으로부터, 전자 패스포트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1, 1A, 1B, C: 복합 힌지 시트
3: 직물상 시트
5: 열가소성 수지 시트
11, 11A, 11B, 11C: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
13: 시트 A
13a: (시트 A의) 스킨층
13b: (시트 A의) 코어층
15: 다층 시트 B
15a: (다층 시트 B의) 스킨층
15b: (다층 시트 B의) 코어층
17: 레이저 광선
23: 시트 A
23a: (시트 A의) 스킨층
23b: (시트 A의) 코어층
27: 미싱 매기부
29: 돌출부
49: 표지
50: 뒷표지
51; 적층체
52: 플라스틱 인레이
53: 비자 시트
54: 적층체
61: 컷트 시트
61a: 돌출부
63: 수평대
65: 지지판
67: 미싱 구멍
69: 개구부
71: 섬유
C: 복합 힌지 시트.

Claims (12)

  1. 다수의 개구부를 구비하는 직물상 시트의 양면에 열가소성 수지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복합 힌지 시트이며,
    상기 직물상 시트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열가소성 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으로 형성되는 직물 또는 부직포를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은 표면 경도 쇼어 A가 85 이상, 쇼어 D가 70 미만인 유연성을 갖는 수지를 원료로 하여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일부가 상기 직물상 시트의 상기 개구부에 침입하여, 상기 개구부의 모두를 폐색하여 상기 직물상 시트에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이 일체화되어 이루어지는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상 시트의 두께가 60 ㎛ 이상 200 ㎛ 이하이고, 선 직경이 40 내지 100 ㎛이고, 개구율이 50% 이상 80% 미만인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시트상으로 용융 압출 성형시킨 직후에 상기 직물상 시트와 열라미네이트함으로써, 상기 직물상 시트에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이 일체화되어 이루어지는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직물상 시트의 양면의 표면에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이 균일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이 QUV 촉진 내후성 시험에서 100시간 경과 후의 색차 △E가 6 이하인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
  6. 시트 A/다층 시트 B/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의 3개의 시트를 기본 구성 단위로 하여 이루어지는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
  7. 시트 A/다층 시트 B/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다층 시트 B/시트 A의 5개의 시트를 기본 구성 단위로 하여 이루어지는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A는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레이저광 에너지 흡수재를 포함하는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단층 시트로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시트 A는 스킨층과 코어층을 갖고, 양 최외층인 상기 스킨층이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층이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레이저광 에너지 흡수재를 포함하는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 A의 전체 두께가 50 내지 200 ㎛, 코어층 두께 비율이 30 내지 85% 미만인 다층 시트 1로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시트 A는 스킨층과 코어층을 갖고, 양 최외층인 상기 스킨층이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층이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레이저광 에너지 흡수재를 포함하는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 A의 전체 두께가 50 내지 200 ㎛, 코어층 두께 비율이 30 내지 85% 미만인 다층 시트 2로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다층 시트 B는 스킨층과 코어층을 갖고, 양 최외층인 상기 스킨층이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다층 시트 B의 코어층이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투명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다층 시트 B의 스킨층 및 코어층의 적어도 한층은 착색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다층 시트 B의 전체 두께가 100 내지 300 ㎛임과 동시에, 상기 코어층의 두께의, 상기 다층 시트 B의 전체 두께에 대하여 차지하는 두께 비율이 30% 이상 85% 미만인 착색 다층 시트로서 구성되고,
    상기 복합 힌지 시트의 두께가 80 내지 250 ㎛인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트 A/시트 B/인렛(inlet)을 포함하는 상기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시트 B/시트 A의 5개의 시트를 적층하여 구성되는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
  10.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에 인렛 시트를 사용하여, 시트 A/다층 시트 B/상기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인렛 시트/다층 시트 B/시트 A의 6개의 시트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A, 다층 시트 B 및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 중 적어도 1개의 시트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평균 조도(Ra) 0.1 내지 5 ㎛의 매트 가공(matting)이 실시되어 있는 것인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
  12.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를 사용하여 성형되는 전자 패스포트이며, 상기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의 일단이 상기 시트 A 및 상기 다층 시트 B보다 5 내지 100 mm 긴 돌출부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돌출부가 전자 패스포트의 표지 또는 뒷표지에 미싱 매기 또는 접착하여 이루어지거나, 또는 미싱 매기 및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전자 패스포트.
KR1020117021642A 2009-10-09 2010-02-23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 및 전자 패스포트 KR1016903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35754A JP4456175B1 (ja) 2009-10-09 2009-10-09 電子パスポート用レーザーマーキング積層体用複合ヒンジシート及び電子パスポート用レーザーマーキング積層体及び電子パスポート
JPJP-P-2009-235754 2009-10-09
PCT/JP2010/052685 WO2011043087A1 (ja) 2009-10-09 2010-02-23 電子パスポート用レーザーマーキング多層積層体用複合ヒンジシート、電子パスポート用レーザーマーキング多層積層体及び電子パスポ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649A true KR20120064649A (ko) 2012-06-19
KR101690345B1 KR101690345B1 (ko) 2016-12-27

Family

ID=42260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1642A KR101690345B1 (ko) 2009-10-09 2010-02-23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 및 전자 패스포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187672A1 (ko)
EP (1) EP2487029B1 (ko)
JP (1) JP4456175B1 (ko)
KR (1) KR101690345B1 (ko)
CN (1) CN102481754B (ko)
WO (1) WO201104308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1319A (ko) * 2013-11-28 2016-08-02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투명 레이저 마킹 시트, 적층체 및 레이저 마킹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68696B2 (en) * 2012-06-04 2015-10-27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Marked thermoplastic compositions, methods of making and articles compris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JP5253368B2 (ja) * 2009-12-10 2013-07-31 日本カラリング株式会社 複合シート
JP5777714B2 (ja) * 2011-07-12 2015-09-09 リケンテクノス株式会社 フィルムで被覆された成形品の製造法
JP2013043305A (ja) 2011-08-22 2013-03-04 Keiwa Inc ヒンジシートの製造方法、ヒンジシート、無線通信情報保持シート体及び無線通信情報保持冊子
JP5981935B2 (ja) * 2011-10-19 2016-08-31 三菱樹脂株式会社 電子パスポート用コンビネーションシート、電子パスポート用レーザーマーキング多層シート、及び電子パスポート
MY151559A (en) * 2011-11-04 2014-06-11 Iris Corp Berhad Machine-readable passport with a polycarbonate (pc) datapag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2013146908A (ja) * 2012-01-18 2013-08-01 Keiwa Inc ヒンジシート、無線通信情報保持シート体、無線通信情報保持冊子及びヒンジシートの製造方法
JP5173085B1 (ja) * 2012-02-09 2013-03-27 日本カラリング株式会社 複合ヒンジシート、電子パスポート用レーザーマーキング多層シート及び電子パスポート
KR101417250B1 (ko) * 2012-02-20 2014-07-08 (주)엘지하우시스 고내열성 다층 광학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3176918A (ja) * 2012-02-28 2013-09-09 Keiwa Inc ヒンジシート、無線通信情報保持シート体、無線通信情報保持冊子及びヒンジシートの製造方法
US9662833B2 (en) 2012-06-04 2017-05-30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Marked thermoplastic compositions, methods of making and articles compris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US9209443B2 (en) 2013-01-10 2015-12-08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Laser-perforated porous solid-state films and applications thereof
US10406845B2 (en) * 2013-03-15 2019-09-10 Gemalto Sa Flexible hinge material comprising cross-linked polyurethane material
DE102014204657B4 (de) * 2013-04-30 2018-12-13 Bundesdruckerei Gmbh Sicherheitsdokument mit einem integrierten Textil
DE102013108420A1 (de) * 2013-08-05 2015-02-19 Bundesdruckerei Gmbh Einlageblatt, insbesondere für ein buchartiges Dokument, sowie buchartiges Dokument
DE102014110582A1 (de) * 2014-07-28 2016-01-28 Bundesdruckerei Gmbh Mehrschichtaufbau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für ein Einlageblatt sowie ein Einlageblatt und ein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ein Wert- und/oder Sicherheitsdokument
WO2016016129A1 (de) * 2014-07-28 2016-02-04 Bundesdruckerei Gmbh Mehrschichtverbund für ein sicherheits- und/oder wertdokument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E102014110585A1 (de) * 2014-07-28 2016-01-28 Bundesdruckerei Gmbh Datenblatt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sowie ein Wert- und/oder Sicherheitsdokument
FR3038865B1 (fr) * 2015-07-17 2018-05-18 Smart Packaging Solutions Insert pour page de donnees de livret passeport
US10974538B2 (en) 2015-07-21 2021-04-13 Dai Nippon Printing Co., Ltd. Laminated body
SI25121A (sl) * 2016-01-06 2017-07-31 Cetis, druĹľba za grafiÄŤne in dokumentacijske storitve, d.d. Laminiran nosilni list za lasersko graviranje z veznim elementom, nepoosebljena identifikacijska knjižica vsebujoča takšen nosilni list, in postopek za izdelavo takšne knjižice
JP2018008395A (ja) * 2016-07-12 2018-01-18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表示付与方法及び表示付与物品
DE102016218045B4 (de) * 2016-09-20 2020-11-12 Bundesdruckerei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Passbuchblocks für ein buchartigen Ausweis-, Wert- oder Sicherheitsdokument, System zur Herstellung eines buchartigen Ausweis-, Wert- oder Sicherheitsdokument und buchartiges Ausweis-, Wert- oder Sicherheitsdokument
DE102016218046B4 (de) * 2016-09-20 2021-09-16 Bundesdruckerei Gmbh Verfahren, Vorrichtung und System zur Herstellung eines buchartigen Ausweis-, Wert- oder Sicherheitsdokument und buchartiges Ausweis-, Wert- oder Sicherheitsdokument
DE102016014994A1 (de) 2016-12-16 2018-06-21 Veridos Gmbh Inlay für ein elektronisches Identifikationsdokument
DE102016125230B4 (de) * 2016-12-21 2022-08-04 Bundesdruckerei Gmbh Datenseite, Buchblock und buchartiges Dokument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E102017202267B4 (de) * 2017-02-13 2023-06-15 Bundesdruckerei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icherheitsmerkmals in einem Datenträger und ein Datenträger mit einem solchen Sicherheitsmerkmal
JP6623327B2 (ja) * 2017-10-16 2019-12-25 ジェイサイエンテック株式会社 複合シート
EP3473451B2 (en) * 2017-10-17 2024-05-01 HID Global Ireland Teoranta An inlay sheet for a book-like electronic identification document
JP7047893B2 (ja) * 2018-02-15 2022-04-0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モジュール
KR20190102627A (ko) 2018-02-26 2019-09-04 한국조폐공사 보안 요소가 포함된 힌지 구조체
DE102018123123B4 (de) * 2018-09-20 2021-06-24 Bundesdruckerei Gmbh Lasche, Datenseite, Buchblock und buchartiges Dokument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E102018123122A1 (de) * 2018-09-20 2020-03-26 Bundesdruckerei Gmbh Beschichtetes Trägermaterial, Lasche, Datenseite, Buchblock und Wert- und/oder Sicherheitsdokument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E102018123121B4 (de) * 2018-09-20 2021-07-01 Bundesdruckerei Gmbh Lasche, Datenseite, Buchblock und Wert- und/oder Sicherheitsdokument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WO2020116209A1 (ja) * 2018-12-03 2020-06-11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レーザー印刷用多層フィルム、電子パスポート用積層体、プラスチックカード用積層体、プラスチックカード用フィルム、プラスチックカード、電子パスポート用データシート、および、電子パスポート
JP7175185B2 (ja) * 2018-12-22 2022-11-18 太平化学製品株式会社 レーザーマーキング用樹脂組成物、およびレーザーマーキング用シート
KR20210142100A (ko) * 2019-03-07 2021-11-24 코베스트로 인텔렉쳐 프로퍼티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힌지를 제조하기 위한, 특히 다층 책 커버를 제조하기 위한 층 구조물
CN110901255B (zh) * 2019-12-20 2023-08-01 公安部交通管理科学研究所 一种非对称结构的防伪证卡与制作方法
CN110893732B (zh) * 2019-12-20 2023-07-28 公安部交通管理科学研究所 一种防伪证卡及其制作方法
JP7251662B2 (ja) * 2019-12-20 2023-04-04 東洋紡株式会社 レーザー印字可能な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
US11449108B2 (en) 2020-03-05 2022-09-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exible hinge device
KR102192763B1 (ko) * 2020-03-10 2020-12-21 성림첨단산업(주) 적층분할형 영구자석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영구자석
JP2024005039A (ja) * 2022-06-29 2024-01-17 マクセル株式会社 Icシート、このicシートを備える旅券および非接触icカード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3636A (ja) 1995-10-31 1997-05-13 Karuchi:Kk 製本印刷物およびその作成方法
WO1998019870A1 (en) 1996-11-01 1998-05-14 Setec Oy Passport
JP2000203174A (ja) 1998-12-18 2000-07-25 Enschede Sdu Bv 小冊子の製造方法および当該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小冊子
US6135503A (en) 1997-11-21 2000-10-24 Giesecke & Devrient Gmbh Identification document
JP2001213072A (ja) 2000-02-01 2001-08-07 Tadao Uno パスポート
JP2002273832A (ja) 2001-03-19 2002-09-25 Nippon Kararingu Kk レーザーマーキング用多層シート
EP1502765A1 (de) 2003-07-30 2005-02-02 Trüb AG Büchlein mit personalisiertem Datenblatt
EP1592565A1 (en) 2003-06-16 2005-11-09 Setec oy Method for producing data sheet, and data sheet
JP3889431B1 (ja) 2006-02-08 2007-03-07 日本カラリング株式会社 レーザーマーキング用多層シート及びレーザーマーキング方法
US20080169638A1 (en) * 2004-11-17 2008-07-17 Bundesdruckerei Gmbh Personal Document in the Form of a Book
JP2009510579A (ja) * 2005-09-26 2009-03-12 イギリス国 文書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25138A (ko) * 1967-12-13 1971-03-17
DE3130032A1 (de) * 1981-07-30 1983-02-17 Agfa-Gevaert Ag, 5090 Leverkusen Faelschungssicheres dokument
JPH0541009Y2 (ko) * 1988-06-13 1993-10-18
DE3939864A1 (de) * 1989-12-01 1991-06-06 Gao Ges Automation Org Mehrschichtige ausweiskarte mit langer lebensdauer
JPH1071763A (ja) 1996-05-24 1998-03-17 Gunze Ltd 水性インク印刷用シート
JP3113589B2 (ja) * 1996-10-28 2000-12-04 萩原工業株式会社 ラミネートシート
JP2000136482A (ja) * 1998-10-28 2000-05-16 Hagihara Industries Inc クロスシート
DE102004008840A1 (de) * 2004-02-20 2005-09-01 Bundesdruckerei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uchartigen Wertdokuments sowie ein buchartiges Wertdokument
DE102004016596B4 (de) * 2004-04-03 2006-07-27 Ovd Kinegram Ag Sicherheitselement in Form eines mehrschichtigen Folienkörpers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icherheitselements
DE102004039567A1 (de) * 2004-08-13 2006-02-23 Ovd Kinegram Ag Individualisiertes Sicherheitsdokument
RS52391B (sr) * 2005-01-31 2013-02-28 Trüb AG Postupak za proizvodnju knjižice, stranica sa podacima dobijena ovim postupkom i knjižica dobijena ovim postupkom
DE202005003644U1 (de) * 2005-03-03 2005-06-02 Bundesdruckerei Gmbh Buchartiges Dokument, insbesondere Identifikationsdokument
DE102005061661A1 (de) * 2005-03-17 2006-09-21 Giesecke & Devrient Gmbh Datenseite zur Einbindung in ein Passbuch
DE102007021496A1 (de) * 2007-05-08 2008-11-13 Giesecke & Devrien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atenblattes
JP4215816B1 (ja) * 2008-05-26 2009-01-28 日本カラリング株式会社 レーザーマーキング多層シート
JP4215817B1 (ja) * 2008-05-26 2009-01-28 日本カラリング株式会社 電子パスポート用レーザーマーキング多層シート及び電子パスポート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3636A (ja) 1995-10-31 1997-05-13 Karuchi:Kk 製本印刷物およびその作成方法
WO1998019870A1 (en) 1996-11-01 1998-05-14 Setec Oy Passport
US6135503A (en) 1997-11-21 2000-10-24 Giesecke & Devrient Gmbh Identification document
JP2000203174A (ja) 1998-12-18 2000-07-25 Enschede Sdu Bv 小冊子の製造方法および当該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小冊子
JP2001213072A (ja) 2000-02-01 2001-08-07 Tadao Uno パスポート
JP2002273832A (ja) 2001-03-19 2002-09-25 Nippon Kararingu Kk レーザーマーキング用多層シート
EP1592565A1 (en) 2003-06-16 2005-11-09 Setec oy Method for producing data sheet, and data sheet
EP1502765A1 (de) 2003-07-30 2005-02-02 Trüb AG Büchlein mit personalisiertem Datenblatt
US20080169638A1 (en) * 2004-11-17 2008-07-17 Bundesdruckerei Gmbh Personal Document in the Form of a Book
JP2009510579A (ja) * 2005-09-26 2009-03-12 イギリス国 文書及びその製造方法
JP3889431B1 (ja) 2006-02-08 2007-03-07 日本カラリング株式会社 レーザーマーキング用多層シート及びレーザーマーキング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1319A (ko) * 2013-11-28 2016-08-02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투명 레이저 마킹 시트, 적층체 및 레이저 마킹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87029A1 (en) 2012-08-15
JP2011079285A (ja) 2011-04-21
CN102481754A (zh) 2012-05-30
JP4456175B1 (ja) 2010-04-28
CN102481754B (zh) 2015-07-15
EP2487029B1 (en) 2019-07-31
KR101690345B1 (ko) 2016-12-27
EP2487029A4 (en) 2015-08-12
WO2011043087A1 (ja) 2011-04-14
US20120187672A1 (en) 201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64649A (ko)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용 복합 힌지 시트, 전자 패스포트용 레이저 마킹 다층 적층체 및 전자 패스포트
JP5581308B2 (ja) 電子パスポート用レーザーマーキング多層シート及び電子パスポート
JP4215817B1 (ja) 電子パスポート用レーザーマーキング多層シート及び電子パスポート
JP4215816B1 (ja) レーザーマーキング多層シート
KR102186392B1 (ko) 투명 레이저 마킹 시트, 적층체 및 레이저 마킹 방법
JP5173085B1 (ja) 複合ヒンジシート、電子パスポート用レーザーマーキング多層シート及び電子パスポート
JP2010194757A (ja) 透明レーザーマーキング多層シート
KR102010599B1 (ko) 전자 여권용 콤비네이션 시트, 전자 여권용 레이저 마킹 다층 시트 및 전자 여권
KR20100057825A (ko) 카드용 오버 시트
JP2013525138A (ja) Pet−cに基づくセキュリティーラミネート及び文書
JP2011079284A (ja) 積層ヒンジシート及び電子パスポート用レーザーマーキング積層体及び電子パスポート
JP5717690B2 (ja) 透明レーザーマーキングシート、積層体、及びレーザーマーキング方法
JP6504667B2 (ja) パスポートのデータページ用ヒンジシート、パスポート用データページ及びパスポートのデータページ用ヒンジシートの製造方法
KR102182042B1 (ko) 전자 여권용 프로텍트 시트 및 전자 여권
JP5253368B2 (ja) 複合シート
JP2012121313A (ja) 複合ヒンジシート、電子パスポート用レーザーマーキング多層シート及び電子パスポ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