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8224A -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 - Google Patents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8224A
KR20120048224A KR1020100109744A KR20100109744A KR20120048224A KR 20120048224 A KR20120048224 A KR 20120048224A KR 1020100109744 A KR1020100109744 A KR 1020100109744A KR 20100109744 A KR20100109744 A KR 20100109744A KR 20120048224 A KR20120048224 A KR 20120048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screw
mandrel
blade
jui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9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8596B1 (ko
Inventor
김영기
Original Assignee
김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기 filed Critical 김영기
Priority to KR1020100109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8596B1/ko
Publication of KR20120048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8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8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8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에 관한 것으로서, 투입구가 형성되는 뚜껑; 외측에 스크류날이 형성되고, 회전축이 수직으로 형성되며, 저면 테두리에 스크류배출부가 형성되는 스크류; 스크류를 둘러싸는 측벽의 전부 또는 일부가 망 형태로 형성되고, 하측에 스크류배출부에 대향하는 망드럼배출부가 형성되며, 망드럼배출부 일측에는 망드럼배출공이 형성되는 망드럼; 내부에서 스크류 및 망드럼이 조립되고, 외측벽에 즙배출구가 형성되며, 일측에 망드럼배출공과 연통되는 찌꺼기배출구가 형성되어, 뚜껑 하측에 결합되는 하우징; 및 상측에 하우징이 놓이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안착부 중앙에는 회전축과 연결되어 스크류를 구동시키는 구동축이 형성되는 구동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스크류배출부 상에서 돌출되어 내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스크류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외측부분이 연속적으로 후방에 위치하는 제1배출날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가 구비된 주스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투입구가 형성되는 뚜껑; 외측에 스크류날이 형성되고, 회전축이 수직으로 형성되며, 저면 테두리에 스크류배출부가 형성되는 스크류; 스크류를 둘러싸는 측벽의 전부 또는 일부가 망 형태로 형성되고, 하측에 스크류배출부에 대향하는 망드럼배출부가 형성되며, 망드럼배출부 일측에는 망드럼배출공이 형성되는 망드럼; 내부에서 스크류 및 망드럼이 조립되고, 외측벽에 즙배출구가 형성되며, 일측에 망드럼배출공과 연통되는 찌꺼기배출구가 형성되어, 뚜껑 하측에 결합되는 하우징; 및 상측에 하우징이 놓이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안착부 중앙에는 회전축과 연결되어 스크류를 구동시키는 구동축이 형성되는 구동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망드럼배출부 상에서 돌출되어 내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스크류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외측부분이 연속적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제2배출날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A JUICER HAVING PUSHING BLADES}
본 발명은 주스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야채나 과일 등으로 녹즙과 주스를 만들거나 콩으로 두유를 만들 수 있으며, 투입되는 재료의 종류에 관계없이 탁월한 착즙 주스기능을 발휘하면서 저속회전방식으로 녹즙이나 주스의 신선도를 최대로 유지하고, 조립, 분해, 세척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주스기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주스기는 재료를 투입구에 넣고 눌러서 고속으로 파쇄하여 원심분리방식으로 주스를 만드는 것으로서, 고속 파쇄하는 과정에 과일의 고유의 맛과 영양소가 파괴될 수 있고, 줄기나 잎으로 된 야채로는 녹즙을 만들기가 어려웠고, 점도가 높은 키위나 딸기 같은 과일로도 주스를 만들기 어려울 뿐 아니라 콩으로 두유를 만드는 것은 아예 불가능하였다. 그리고 주스를 계속해서 만들려고 하면 수시로 기기를 분해하여 망공에 끼인 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세척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과 같은 식품가공기기에 있어서 기기 내부의 청결유지는 필수조건이며, 세척 및 세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기기 내부에 음식물이 묻어 있거나 때가 끼어 있으면 쉽게 부패 되고 세균이 번식하게 되므로 내부 구성품의 분해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190676호(착즙 겸용 분쇄기)는 본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되어 등록된 발명으로서, 이에 따른 착즙기는 길게 생긴 스크류가 착즙망, 드럼캡과 함께 드럼에 수평으로 조립되어 구동부의 측면에 결착되도록 되어 있어서, 전체의 길이가 길고 투입구에 재료를 투입하면 수평으로 천천히 이송되면서 착즙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착즙기를 사용하거나 보관할 때 넓은 공간이 필요하고, 재료가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착즙되므로 착즙 속도가 느리고, 점도가 높은 걸쭉한 즙은 잘 흘러내리지 못하고 드럼에 고이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스크류의 일측에는 회전축이 없으므로 회전축이 없는 일측의 스크류는 회전시 흔들리고 착즙망 내벽의 벽면날에 부딪혀 소음과 마모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착즙기 등은 남아있는 음식물에 의하여 유발될 수 있는 위생상의 문제와 장치의 손상 방지의 요구에 따라 사용 후 분리세척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분해 조립에 있어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의 방지 또는 장치의 내구성 확보 등의 필요에 따라 지속적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93852호는 착즙주스기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며, 이는 역시 본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되어 등록된 특허인데, 이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무엇보다도 콩을 마치 맷돌로 갈아서 눌러 짜는 원리를 이용하여 두유로 만들고 토마토, 키위나 딸기와 같이 점도가 높은 과일 등을 강판에 갈아서 눌러 짜는 방식으로 주스를 만드는 작용효과가 있으며, 착즙주스기의 하우징이 구동부 상측에 수직으로 조립되므로, 사용이나 보관시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즙 배출구가 종래기술에 비하여 높은 곳에 위치하게 되므로 다양한 종류의 컵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그리고 착즙주스기의 하우징이 구동부 상측에 수직으로 조립되므로, 재료가 중력과 스크류의 회전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아래로 내려가고, 착즙속도가 빠르고 즙 고임 현상이 없기 때문에 어떠한 종류의 야채나 과일도 신속하게 착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93852호에 따른 착즙주스기에 의하면, 구조가 간단하고 분해, 조립이 용이하여 주스기 내부 청소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등록특허의 구조적인 특징에 따라 착즙주스기의 세척에 있어서 현저히 향상된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으나, 착즙주스기 내부에 남아있는 음식물에 의하여 유발될 수 있는 위생상의 문제점 해결을 위해서, 또는 한 종류의 주스를 만든 후 다른 종류의 주스를 만들고자 할 때는 착즙주스기를 분해하여 세척한 후 다시 조립을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보다 용이한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개선된 형태의 착즙기가 요구된다.
그리고 본 출원인은 본 출원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93852호에 따른 착즙주스기는, 착즙시 찌꺼기가 압력 배출로 쪽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망드럼의 바닥면과 스크류의 저면 형상이 굴곡지게 형성되어 비교적 복잡한 형태를 이루고 있다.
이 경우, 찌꺼기가 압력배출로 쪽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는 탁월하나, 찌꺼기가 스크류 하부면과 망드럼 바닥 사이에 누적이 되어 쉽게 빠져나가지 못하는 문제점이 유발될 수 있다.
망드럼 바닥과 스크류 하부면 사이에 찌꺼기가 과다하게 누적되면, 망드럼 바닥면과 스크류 하부면 사이 간격이 벌어지고, 나아가 스크류 상부가 뚜껑을 강하게 밀어 올리게 되어 뚜껑이 하우징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또한, 찌꺼기가 누적되어 압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기기의 작동이 지속되는 경우, 마찰열에 의한 부품 손상이 유발될 수 있으며, 원활한 기기작동을 기대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찌꺼기가 누적되기 쉬운 지점인 망드럼과 스크류의 하측 부분에서 스크류의 회전을 이용하여 찌꺼기가 용이하게 밀려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유입된 음식물을 착즙함에 있어서, 적당한 착즙 및 정량의 주스를 제공할 수 있고, 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는 투입구가 형성되는 뚜껑; 외측에 스크류날이 형성되고, 회전축이 수직으로 형성되며, 저면 테두리에 스크류배출부가 형성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를 둘러싸는 측벽의 전부 또는 일부가 망 형태로 형성되고, 하측에 상기 스크류배출부에 대향하는 망드럼배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망드럼배출부 일측에는 망드럼배출공이 형성되는 망드럼; 내부에서 상기 스크류 및 망드럼이 조립되고, 외측벽에 즙배출구가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망드럼배출공과 연통되는 찌꺼기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뚜껑 하측에 결합되는 하우징; 및 상측에 상기 하우징이 놓이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 중앙에는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를 구동시키는 구동축이 형성되는 구동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스크류배출부 상에서 돌출되어 내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스크류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외측부분이 연속적으로 후방에 위치하는 제1배출날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망드럼배출부 상에서 돌출되어 내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스크류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외측부분이 연속적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제2배출날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는 투입구가 형성되는 뚜껑; 외측에 스크류날이 형성되고, 회전축이 수직으로 형성되며, 저면 테두리에 스크류배출부가 형성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를 둘러싸는 측벽의 전부 또는 일부가 망형태로 형성되고, 하측에 상기 스크류배출부에 대향하는 망드럼배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망드럼배출부 일측에는 망드럼배출공이 형성되는 망드럼; 내부에서 상기 스크류 및 망드럼이 조립되고, 외측벽에 즙배출구가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망드럼배출공과 연통되는 찌꺼기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뚜껑 하측에 결합되는 하우징; 및 상측에 상기 하우징이 놓이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 중앙에는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를 구동시키는 구동축이 형성되는 구동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망드럼배출부 상에서 돌출되어 내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스크류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외측부분이 연속적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제2배출날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망드럼배출부 일측에는, 상기 제2배출날 외측 단부 바깥쪽으로 찌꺼기배출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배출부 및 망드럼배출부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배출날 및 제2배출날은, 서로 근접하거나 밀착되게 형성되고, 외측부분의 돌출 정도가 증가한다.
아울러, 상기 제1배출날 및 제2배출날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접선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는, 상기 하우징과 망드럼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스크류와 연동하여 회전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벽 또는 상기 망드럼의 외벽을 쓸도록 이루어진 브러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즙배출구를 개폐하는 즙개폐기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첫째, 스크류배출부 상에 형성된 제1배출날이 회전하는 경우, 스크류배출부와 망드럼배출부 사이로 유입되는 찌꺼기는 제1배출날에 의해 밀려 바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찌꺼기가 찌꺼기배출구를 통하여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둘째, 망드럼배출부 상에 형성된 제2배출날이 회전하는 경우에도, 스크류배출부와 망드럼배출부 사이로 유입되는 찌꺼기는 제2배출날에 의해 밀려 바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찌꺼기가 찌꺼기배출구를 통하여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셋째, 제1배출날과 제2배출날이 모두 함께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1배출날과 제2배출날이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어, 제1배출날에 의하여 바깥으로 밀리는 찌꺼기는 제1배출날 및 제2배출날의 일측 벽을 타고 이동하게 되므로, 찌꺼기가 제1배출날에 붙어 함께 이동하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찌꺼기는 매우 신속하게 바깥으로 밀려 배출될 수 있고, 스크류 저면과 망드럼 바닥 사이에 찌꺼기가 끼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제2배출날 바깥쪽으로 찌거기배출로가 형성되도록 하여, 찌꺼기가 망드럼배출공을 통하여 쉽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다섯째, 스크류배출부 및 망드럼배출부를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찌꺼기가 압력배출로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찌꺼기가 바깥으로 흘러내리게 할 수 있으며, 제1배출날 및 제2배출날에 의한 찌꺼기 제거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여섯째, 제1배출날 및 제2배출날의 돌출 정도가 내측으로 갈수록 감소하도록 하여, 입자가 큰 찌꺼기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크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망드럼을 도시한 사시도,
도 4a와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망드럼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스크류와 망드럼의 제1배출날 및 제2배출날의 방향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스크류와 망드럼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1)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1)는 기본적으로, 뚜껑(10), 스크류(40), 하우징(20), 망드럼(50) 및 구동몸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1)는 브러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1)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투입되는 과일 등에서 즙과 찌꺼기를 구분하여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주스기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주스기(1)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뚜껑(10)은 본 발명인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1) 내부로 야채, 과일과 같은 대상물이 투입되는 부분이며, 투입구(13)가 구비되어 본 발명인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1)의 최상부를 구성한다. 상기 뚜껑(10)은 투입되는 대상물이 일정량씩 지속적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외부와 완전히 차단된 구조가 아니라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10) 하단에는 상기 하우징(20)이 밀착결합된다.
상기 하우징(20)은 전체적인 형상이 용기형상을 가지며 즙을 모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20)의 외측으로는 상기 즙배출구(21) 및 찌꺼기배출구(22)가 형성되어, 상기 즙배출구(21)로는 즙이, 상기 찌꺼기배출구(22)를 통하여는 투입되는 재료로부터 즙이 제거된 찌꺼기가 배출된다.
상기 즙배출구(21)를 통하여는 상기 망드럼(50)의 측면을 통하여 흘러내린 즙이 배출되도록, 상기 찌꺼기배출구(22)를 통하여는 상기 망드럼(50)의 하측을 통하여 전달되는 찌꺼기가 밀려 방출되도록, 상기 즙배출구(21)와 찌꺼기배출구(22)는 서로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상기 망드럼(50)은 상기 즙배출구(21) 및 찌꺼기배출구(22)를 구분하는 기준으로서의 역할을 하며, 상기 하우징(20)에서, 상기 망드럼(50)의 외측 부분을 구성하는 공간은 상기 즙배출구(21)와 연통되며, 상기 망드럼(50)의 내측 부분을 구성하는 공간은 상기 찌꺼기배출구(22)와 연통된다. 즉, 상기 망드럼(50) 내측으로 투입된 과일 등이 분쇄?압착되는 과정에서, 즙은 상기 망드럼(50)을 빠져나가 상기 즙배출구(21)로 배출되고, 나머지 찌꺼기는 상기 망드럼(50) 내부에 잔류하며 상기 망드럼배출공(54)을 거쳐 상기 찌꺼기배출구(2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하우징(20)의 저면 중앙에는 상방으로 다소 돌출형성된 방수부(23)가 구비될 수 있으며, 관통공(23a)은 상기 방수부(23)의 중앙에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3a)을 통하여 회전축(41)의 하단이 하방으로 삽입되어 구동축(32)에 연결된다. 상기 방수부(23)는 상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즙이 상기 관통공(23a)을 통하여 상기 구동몸체(30)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관통공(23a)에는 고무 내지는 실리콘 등으로 형성되는 관통공패킹(25)이 형성되며, 즙이 구동몸체(30) 내부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상기 하우징(20)의 저면 바닥에는 상기 방수부(23) 테두리에 바로 인접하여 압력배출로(2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력배출로(27)는 하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40)의 하단이 삽입되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압력배출로(27)와 상기 하우징(20)의 테두리벽 사이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안내턱(28)이 원형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턱(28) 상에 상기 망드럼(50)의 하단이 안착되며, 서로 꼭 맞도록 형성된다.
상기 안내턱(28)에 의해 상기 하우징(20)의 바닥면에는 공간이 나뉘며, 내측으로는 상기 스크류(40) 및 망드럼(50)이 위치하며, 외측으로는 대부분의 즙이 고여 배출되는 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즙배출구(21)는 상기 하우징(20)의 하단 테두리에 형성되어 즙이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즙배출구(21)는 약간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즙이 고이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20)의 바닥면에는 아래로 관통형성된 하우징배출공(29)이 형성된다. 상기 찌꺼기배출구(22)는 상기 하우징배출공(29)에 연결되며, 이를 통하여 즙이 제거된 찌꺼기가 배출된다. 즉, 상기 찌꺼기배출구(22)는 상기 하우징배출공(29)에서 시작되어 상기 하우징(20) 외측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상기 망드럼(50)의 하단에는, 상기 하우징배출공(29)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망드럼배출공(54)이 형성된다. 즉, 분리된 찌꺼기가 상기 망드럼배출공(54) 및 하우징배출공(29)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찌꺼기배출구(22)로 빠져나가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배출공(29)에는 경로를 차단하는, 고무 내지는 실리콘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찌꺼기패킹(90)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찌꺼기패킹(90)은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망드럼배출공(54) 내지 하우징배출공(29)을 폐쇄하고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특히, 상측에서 하측으로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탄성변형되어 상기 하우징배출공(29)을 개방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구동몸체(30)에는 상측에 안착부(31)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31) 중앙에는 상기 구동축(32)이 형성된다. 상기 구동몸체(30)는 본 발명인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1)의 동력이 발생하는 부분이며, 내부에 상기 구동축(32)이 연결되는 모터 및 감속기가 마련된다.
상기 안착부(31) 상에는 상기 하우징(20)이 그 하단면이 밀착되게 놓이고, 상기 구동축(32)은 모터 및 감속기에 의해 저속회전을 하며 상기 스크류(40)를 회전시킨다.
상기 스크류(40)에는 상기 회전축(41)과, 상기 회전축(41) 주변으로 형성된 스크류몸체(48) 및 스크류날(42)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41)은 상단이 상기 뚜껑(10)에 의해 지지되고, 하단은 상기 구동축(32)에 연결된다. 상기 뚜껑(10)의 배면 중앙에는 상기 회전축(41)의 상단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회전축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41)의 하단은 상기 구동축(32)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축(3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크류(40)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41)은 상기 구동축(32)과 결합 후 미끄러짐 없이 상기 구동축(32)과 일체로 회전되어야 한다. 상기 구동축(32)은 각기둥의 형상으로, 상기 회전축(41)의 하단은 상기 구동축(32)이 꼭 맞게 삽입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크류날(42)은 상기 회전축(41) 주변에서 나선형태를 이루며 형성된다. 상기 스크류몸체(48)는 전체적으로 두툼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스크류날(42)과 상기 스크류날(42) 사이의 이음부가 투입되는 음식물을 눌러 짤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스크류몸체(48)는 상측은 직경이 작고, 대체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크류몸체(48)의 상측은 상기 망드럼(50)과 다소 이격된 형태로 공간을 형성하고 하측은 상기 망드럼(50)과 근접한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상기 스크류몸체(48) 및 스크류날(42)의 연동작용에 의하여, 투입된 과일 등은 자연스럽게 하측으로 이송되면서 압착되게 된다.
상기 스크류(40)의 하측에는 상기 회전축(41)의 주변에서 상측 방향으로 함입되어 형성된 하부공간(43)이 마련된다. 상기 하부공간(43) 내부로 상기 방수부(23)의 상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스크류(40)와 하우징(20)이 맞물리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스크류(40)에 의해 형성되는 즙이 상기 관통공(23a)을 통하여 상기 구동몸체(30)로 흘러들어가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40)의 하측에서 상기 하부공간(43)의 주변으로는 내부링(44)이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링(44) 외측으로 스크류배출부(45)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배출부(45) 상에는 제1배출날(46)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링(44) 하측으로 스크류기어(47)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스크류기어(47)는 상기 압력배출로(27)에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20)의 저면에는 중간기어(미도시)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데, 상기 스크류기어(47)는 상기 중간기어와 맞물린다. 상기 스크류(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크류기어(47)와 맞물려있는 상기 중간기어가 회전하고, 상기 중간기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브러쉬(60)를 회전시키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상기 망드럼(50)은 상기 스크류(40)를 둘러싸도록 이루어지며,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망드럼(50)의 측벽에 다수의 망공이 형성된 형태에 대하여 추가설명한다.
상기 망드럼(50)은 상측에 상부망(55)이 형성되고, 하측에 하부망(56)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망(55)과 하부망(56)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데, 상부망(55)에는 비교적 큰 구멍이 형성되고 하부망(56)에는 상대적으로 작고 촘촘한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망드럼(50)의 내측벽에는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벽면날(59)이 형성된다. 상기 벽면날(59)은 상기 스크류날(42)의 단부에 밀착되거나 근접하도록 형성되며, 투입된 음식물이 하측으로 이동하는데 가이드역할을 담당한다. 즉, 상기 스크류(40)의 회전시 상기 스크류날(42)에 의해 가압되는 음식물은, 회전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벽면날(59)의 측벽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신속하게 압착, 분쇄되며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망드럼(50)의 하단 바닥부분 중앙은 개방되도록 이루어져 내부링삽입공(58)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링삽입공(58)을 통하여 상기 스크류(40) 하측에 형성된 상기 내부링(44)이 삽입되며, 상기 스크류기어(47)가 상기 압력배출로(27)에 삽입되게 된다.
상기 내부링삽입공(58) 주변으로는 망드럼배출부(51)가 형성되고, 상기 망드럼배출부(51) 상에는 제2배출날(52)이 형성된다.
상기 망드럼(50)의 저면에서 상기 망드럼배출부(51) 외측으로는 찌꺼기배출로(53)가 형성되며, 상기 망드럼(50)의 저면 일측에는 하측으로 관통되어 이루어진 망드럼배출공(54)이 형성된다. 상기 망드럼배출공(54)은 상기 망드럼(50) 하측으로 약간 돌출되게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하우징배출공(29)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스크류(40)와 망드럼(50)이 결합된 상태에서 즙이 제거된 찌꺼기는 상기 망드럼(50)의 측면을 통하여 배출되지 않고 아래로 이동하여 상기 찌꺼기배출로(53) 상에 쌓이고, 상기 망드럼배출공(54)을 통하여 상기 망드럼(50)을 빠져나갈 수밖에 없으며, 결국 상기 하우징배출공(29), 찌꺼기배출구(22)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브러쉬(60)는 상기 하우징(20)과 망드럼(50) 사이에 장착된다. 상기 브러쉬(60)는 브러쉬홀더(61)와, 상기 브러쉬홀더(61)의 하단에 형성된 브러쉬기어(62), 상기 브러쉬홀더(61)의 측방에 결합된 망브러쉬(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브러쉬홀더(61) 자체는 상기 하우징(20) 및 망드럼(50)과 밀착되지 않으며 이격되게 이루어진다. 상기 브러쉬기어(62)는 상기 중간기어(미도시)와 맞물리도록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상기 스크류(40)가 회전시,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망브러쉬(63)는 상기 브러쉬홀더(61)에 고정되어 외측 단부가 상기 하우징(20)의 내벽에, 내측 단부가 상기 망드럼(50)의 외벽에 닿도록 이루어져, 상기 브러쉬(60)의 회전시 상기 하우징(20)의 내벽, 상기 망드럼(50)의 외벽을 쓸어내리며 즙이 잘 흘러내리도록 한다.
상기 브러쉬(60)는 세척을 위한 경우에 세척을 위한 수단으로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즉, 상기 망드럼(50) 및 하우징(20)에는 즙 내지는 찌꺼기 등이 끼여있거나 들러붙게 되는데, 세척을 위하여 물이 유입된 상태에서의 회전은 찌꺼기 등이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도록 하며, 세척용 브러쉬로서 기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1)는 기본적으로 즙과 찌꺼기가 분리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크류(4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망드럼(50)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a 와 도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망드럼(50)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스크류(40)와 망드럼(50)의 제1배출날(46) 및 제2배출날(52)의 형성 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스크류(40)의 저면에서 상기 내부링의 주변으로는 상기 스크류배출부(45)가 형성되며, 상기 스크류배출부(45) 상에는 상기 제1배출날(46)이 형성된다. 상기 스크류배출부(45)는 내측 부분이 다소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며, 외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배출날(46)은 상기 내부링에서 시작되어 상기 스크류(40)의 저면 외측까지 이어지며, 상기 스크류배출부(45) 전체에 걸쳐 다수개로 형성된다.
상기 제1배출날(46)은 상기 스크류(40)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외측부분이 후방에 위치하게 형성된다. 즉,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상기 스크류(40)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뒤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배출날(46)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배출날(46)의 외측이 연속하여 후방에 위치하는 범위 내에서, 곡선의 형태와 같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배출날(46)은 상기 스크류배출부(45) 상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비교적 폭이 좁고 길게 형성된다.
상기 스크류(40)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망드럼배출부(51)와의 마찰력 등으로 인하여 상기 스크류배출부(45)에 인접하여 붙어 있는 찌꺼기는 상기 제1배출날(46)을 타고 외측으로 밀려나게 되며, 상기 찌꺼기배출로(53)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배출부(45)는 상기 망드럼배출부(51)와 대향하도록 형성되는데, 찌꺼기가 압력배출로(27)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배출날(46)은 상기 망드럼배출부(51)(제2배출날(52)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2배출날(52)과 밀착됨)과 밀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배출날(46)을 형성함으로써, 찌꺼기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상기 망드럼배출부(51)과의 접촉 면적을 줄여 불필요한 마찰을 방지하여 장치의 보다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1)는, 상기 스크류배출부(45) 상에 형성된 상기 제1배출날(46)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스크류배출부(45)와 망드럼배출부(51) 사이로 유입되는 찌꺼기는 상기 제1배출날(46)에 의해 밀려 바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찌꺼기가 상기 찌꺼기배출구(22)를 통하여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망드럼(50)의 바닥면에서 상기 내부링삽입공(58)의 주변으로는 상기 망드럼배출부(51)가 형성되며, 상기 망드럼배출부(51) 상에는 상기 제2배출날(52)이 형성된다. 상기 망드럼배출부(51)는 내측 부분이 다소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외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배출날(52)은 상기 망드럼배출부(51)의 내측에서 시작되어 외측으로 이어지며, 상기 망드럼배출부(51) 전체에 걸쳐 다수개로 형성된다. 다만, 상기 제2배출날(52)의 외측 단부는 상기 망드럼(50)의 측벽에 닿을 정도로 형성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찌꺼기배출로(53)의 경로로 형성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2배출날(52)은 상기 스크류(40)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외측부분이 전방에 위치하게 형성된다. 즉,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상기 스크류(40)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앞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배출날(5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배출날(52)의 외측이 연속하여 전방에 위치하는 범위 내에서, 곡선의 형태와 같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배출날(46) 또한 곡선의 형태와 같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2배출날(52)은 상기 망드럼배출부(51) 상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비교적 폭이 좁고 길게 형성된다.
상기 스크류(40)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스크류배출부(45)와의 마찰력 등으로 인하여 상기 망드럼배출부(51)에 인접하여 붙어 있는 찌꺼기는 상기 제2배출날(52)을 타고 외측으로 밀려나게 되며, 상기 찌꺼기배출로(53)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역시 상기 망드럼배출부(51)는 상기 스크류배출부(45)와 대향하도록 형성되는데, 찌꺼기가 압력배출로(27)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배출날(52)은 상기 스크류(40)와 밀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배출날(52)을 형성함으로써, 찌꺼기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상기 스크류(40)와의 접촉 면적을 줄여 불필요한 마찰을 방지하여 장치의 보다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망드럼배출부(51) 상에 형성된 상기 제2배출날(52)이 회전하는 경우에도, 상기 스크류배출부(45)와 망드럼배출부(51) 사이로 유입되는 찌꺼기는 상기 제2배출날(52)에 의해 밀려 바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찌꺼기가 상기 찌꺼기배출구(22)를 통하여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찌꺼기배출로(53)는 상기 망드럼(50)의 바닥면에서, 상기 망드럼배출부(51) 주변으로 원형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찌꺼기배출로(53) 쪽으로 밀린 찌꺼기는 상기 스크류날(42)의 하단부에 의해 회전방향으로 밀리면서 상기 망드럼배출공(54) 쪽으로 이동하여 배출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제1배출날(46)과 제2배출날(52)이 모두 함께 형성되는 경우에는 찌꺼기배출의 효과가 배가되며, 그 작용은 다음과 같다.
상기 제1배출날(46)과 제2배출날(52)은 상기 스크류(40)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서로 엇갈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배출날(46)과 제2배출날(52)은 모두 찌꺼기를 외측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형성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배출날(46)에 의하여 바깥으로 밀리는 찌꺼기는 상기 제1배출날(46) 및 제2배출날(52)의 일측 벽을 타고 이동하게 되므로, 찌꺼기가 상기 제1배출날(46)에 붙어 함께 이동하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찌꺼기는 매우 신속하게 바깥으로 밀려 배출될 수 있고, 상기 스크류(40) 저면과 망드럼(50) 바닥 사이에 찌꺼기가 끼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스크류(40)와 망드럼(50)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1)에서, 상기 스크류배출부(45) 및 망드럼배출부(51)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단면상 내측이 높고 외측이 낮은 형태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즙 또는 찌꺼기가 장치 중심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배출날(46) 및 제2배출날(52)에 의한 찌꺼기의 제거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배출날(46) 및 제2배출날(52)은 서로 근접하거나 밀착되게 형성되며, 또한 외측 부분의 돌출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입자가 큰 찌꺼기가 상기 제1배출날(46) 및 제2배출날(52)의 내측으로 가압되어 이동하는 경우, 찌꺼기는 상기 제1배출날(46) 및 제2배출날(52)의 측벽에 걸리게 되고 외측으로 밀려 이동하게 되며, 자연스럽게 외측으로 쓸려 밀려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제1배출날(46) 및 제2배출날(52)의 돌출 정도가 내측으로 갈수록 감소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입자가 큰 찌꺼기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찌꺼기의 효과적인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1)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7a는 즙배출구(21)를 기준으로 한 단면도이고, 도 7b는 찌꺼기배출구(22)를 기준으로 한 단면도이다.
상기 즙배출구(21)의 단부에는 즙개폐기구(70)가 결합되며, 상기 즙배출구(21)를 통하여 즙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즙개폐기구(70)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즙배출구(21) 일측에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즙배출구(21)를 포함한 상기 하우징(20)에서 완전히 분리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즙개폐기구(70)는 상기 즙배출구(21)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즙개폐기구(70)는 수도용 밸브 또는 냉온수기용 밸브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즙배출구(21)의 개폐의 용이는 물론, 식품가공기기로서의 본 발명에 따른 주스기(1)의 세척 및 세정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이에 적합한 형태의 즙개폐기구(70)를 도출하였으며, 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즙개폐기구(70)는 기본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주스기(1)의 내부를 세척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즙개폐기구(70)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스기(1)의 세척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즙개폐기구(70)가 상기 즙배출구(21)를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투입구(13)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20) 내부에 물을 유입시킨 후, 주스기(1)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물은 상기 스크류(40)에 의해 가압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찌꺼기배출구(22)는 상기 찌꺼기패킹(90)이 경로를 차단하게 되고 상기 하우징배출공(29)은 개방되지 않게 되며, 밀폐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20) 내부에서 상기 스크류(40) 및 브러쉬(60)는 지속적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하우징(20) 내부의 물을 순환시키고, 상기 브러쉬(60)는 상기 하우징(20)의 내벽, 상기 망드럼(50)의 외벽을 쓸어내리며 들러붙어 있는 착즙 및 찌꺼기를 분리시키면서 세척력을 발생시키게 되며, 내부 부품에 부착되어 있는 찌꺼기 등이 물에 의하여 제거되게 된다.
즉, 부품 사이에 끼여있거나 부착되어 있는 찌꺼기 등은 상기 브러쉬(60)의 세척작용에 의해 분리되게 되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주스기(1)를 일정 시간 작동시킨 후 물을 배출시키는 간단한 방법으로 주스기(1)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하우징(20)의 즙배출구(21)에 물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즙개폐기구(70)가 설치되므로, 주스기(1) 내부에서 회전하는 스크류(40) 및 브러쉬(50)를 이용하여 주스기(1)를 분해하지 않고도 내부의 부품들이 양호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되고, 특히 하우징(20)의 내벽과 망드럼(50)의 외벽을 쓸어내리는 브러쉬(60)를 포함하여, 스크류(40)와 연동하여 세척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1)에 의하면, 상기 즙개폐기구(70)에 의하여 상기 즙배출구(21)가 차폐되도록 한 상태에서 주스기(1)를 작동시키면, 여러 종류의 주스가 상기 하우징(20) 내에서 상기 브러쉬(60)의 회전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혼합되어 균질한 혼합형태의 주스를 얻을 수 있고 원하는 만큼의 양의 주스를 컵에 담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과일 등에 우유나 아이스크림을 넣어 제조되는 스무디의 제공에도 적합하게 이루어지며, 특히 찌꺼기가 배제된 부드러운 스무디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1 :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 10 : 뚜껑
13 : 투입구
20 : 하우징 21 : 즙배출구
22: 찌꺼기배출구 23 : 방수부
23a : 관통공 25 : 관통공패킹
27 : 압력배출로 28 : 안내턱
29 : 하우징배출공 30 : 구동몸체
31 : 안착부 32 : 구동축
40 : 스크류 41 : 회전축
42 : 스크류날 43 : 하부공간
44 : 내부링 45 : 스크류배출부
46 : 제1배출날 47 : 스크류기어
48 : 스크류몸체
50 : 망드럼 51 : 망드럼배출부
52 : 제2배출날 53 : 찌꺼기배출로
54 : 망드럼배출공
55 : 상부망 56 : 하부망
58 : 내부링삽입공 59 : 벽면날
60 : 브러쉬 61 : 브러쉬홀더
62 : 브러쉬기어 63 : 망브러쉬
70 : 즙개폐기구
90 : 찌꺼기패킹

Claims (10)

  1. 투입구가 형성되는 뚜껑;
    외측에 스크류날이 형성되고, 회전축이 수직으로 형성되며, 저면 테두리에 스크류배출부가 형성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를 둘러싸는 측벽의 전부 또는 일부가 망 형태로 형성되고, 하측에 상기 스크류배출부에 대향하는 망드럼배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망드럼배출부 일측에는 망드럼배출공이 형성되는 망드럼;
    내부에서 상기 스크류 및 망드럼이 조립되고, 외측벽에 즙배출구가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망드럼배출공과 연통되는 찌꺼기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뚜껑 하측에 결합되는 하우징; 및
    상측에 상기 하우징이 놓이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 중앙에는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를 구동시키는 구동축이 형성되는 구동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스크류배출부 상에서 돌출되어 내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스크류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외측부분이 연속적으로 후방에 위치하는 제1배출날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
  2. 투입구가 형성되는 뚜껑;
    외측에 스크류날이 형성되고, 회전축이 수직으로 형성되며, 저면 테두리에 스크류배출부가 형성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를 둘러싸는 측벽의 전부 또는 일부가 망형태로 형성되고, 하측에 상기 스크류배출부에 대향하는 망드럼배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망드럼배출부 일측에는 망드럼배출공이 형성되는 망드럼;
    내부에서 상기 스크류 및 망드럼이 조립되고, 외측벽에 즙배출구가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망드럼배출공과 연통되는 찌꺼기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뚜껑 하측에 결합되는 하우징; 및
    상측에 상기 하우징이 놓이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 중앙에는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를 구동시키는 구동축이 형성되는 구동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망드럼배출부 상에서 돌출되어 내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스크류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외측부분이 연속적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제2배출날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망드럼배출부 상에서 돌출되어 내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스크류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외측부분이 연속적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제2배출날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망드럼배출부 일측에는, 상기 제2배출날 외측 단부 바깥쪽으로 찌꺼기배출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배출부 및 망드럼배출부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배출부 및 망드럼배출부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날 및 제2배출날은, 서로 근접하거나 밀착되게 형성되고, 내측부분의 돌출 정도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날 및 제2배출날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접선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망드럼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스크류와 연동하여 회전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벽 또는 상기 망드럼의 외벽을 쓸도록 이루어진 브러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즙배출구를 개폐하는 즙개폐기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
KR1020100109744A 2010-11-05 2010-11-05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 KR101278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744A KR101278596B1 (ko) 2010-11-05 2010-11-05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744A KR101278596B1 (ko) 2010-11-05 2010-11-05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450A Division KR101278698B1 (ko) 2013-02-19 2013-02-19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
KR1020130017451A Division KR101278697B1 (ko) 2013-02-19 2013-02-19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224A true KR20120048224A (ko) 2012-05-15
KR101278596B1 KR101278596B1 (ko) 2013-06-25

Family

ID=46266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9744A KR101278596B1 (ko) 2010-11-05 2010-11-05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859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867Y1 (ko) * 2012-12-06 2014-05-27 김성문 음식재료가공장치
CN104083066A (zh) * 2014-07-08 2014-10-08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螺杆挤压式榨汁机
WO2014196691A1 (ko) * 2013-06-07 2014-12-11 Kim Jae-Won 착즙 주서기
WO2014196690A1 (ko) * 2013-06-07 2014-12-11 Kim Jae-Won 착즙 주서기
CN105395025A (zh) * 2015-12-18 2016-03-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原汁机
US20160088969A1 (en) * 2013-05-27 2016-03-31 Jae-won Kim Net drum and juicer for juice extraction comprising same
CN106264045A (zh) * 2015-06-09 2017-01-04 宁波泰瑞电器有限公司 一种大口径榨汁机结构
WO2020178386A1 (fr) * 2019-03-06 2020-09-10 Photo-Me Limited Dispositif d'extraction du jus de fruits et/ou de legum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24495B2 (en) 2014-07-22 2020-01-07 Nuc Electronics Co., Ltd. Juice extraction module for ju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852B1 (ko) * 2005-03-21 2008-01-11 김영기 착즙주스기
KR100755440B1 (ko) * 2006-06-21 2007-09-05 김영기 착즙주스기
KR20090011772U (ko) * 2008-05-15 2009-11-19 정형교 주서기 배출밸브
KR200460851Y1 (ko) * 2009-03-02 2012-06-11 김영기 원액기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867Y1 (ko) * 2012-12-06 2014-05-27 김성문 음식재료가공장치
US20160088969A1 (en) * 2013-05-27 2016-03-31 Jae-won Kim Net drum and juicer for juice extraction comprising same
US11291326B2 (en) * 2013-05-27 2022-04-05 Hurom Co., Ltd. Net drum and juicer for juice extraction comprising same
US10448775B2 (en) 2013-06-07 2019-10-22 Hurom Co., Ltd. Juice extractor
WO2014196690A1 (ko) * 2013-06-07 2014-12-11 Kim Jae-Won 착즙 주서기
US10299620B2 (en) 2013-06-07 2019-05-28 Jae-won Kim Juice extractor
WO2014196691A1 (ko) * 2013-06-07 2014-12-11 Kim Jae-Won 착즙 주서기
CN104083066A (zh) * 2014-07-08 2014-10-08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螺杆挤压式榨汁机
CN106264045A (zh) * 2015-06-09 2017-01-04 宁波泰瑞电器有限公司 一种大口径榨汁机结构
CN106264045B (zh) * 2015-06-09 2018-05-08 宁波泰瑞电器有限公司 一种大口径榨汁机结构
CN105395025A (zh) * 2015-12-18 2016-03-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原汁机
WO2020178386A1 (fr) * 2019-03-06 2020-09-10 Photo-Me Limited Dispositif d'extraction du jus de fruits et/ou de legumes
FR3093416A1 (fr) * 2019-03-06 2020-09-11 Photo-Me Limited Dispositif d’extraction du jus de fruits et/ou de légumes
CN113490441A (zh) * 2019-03-06 2021-10-08 影美有限公司 用于从水果和/或蔬菜中提取汁液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8596B1 (ko) 201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8596B1 (ko)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
KR101159176B1 (ko) 찌꺼기개폐기구가 구비된 주스기
KR101159177B1 (ko) 세척장치가 구비되는 착즙기
KR101202775B1 (ko) 분쇄기 겸용 주스기 및 이에 사용되는 분쇄용 드럼
KR100755440B1 (ko) 착즙주스기
KR101220996B1 (ko) 세척장치가 구비되는 착즙기
CA2876055C (en) Juicer
JP5535335B2 (ja) スムージーメーカー兼用のジューサー
KR101373608B1 (ko) 찌꺼기 개폐기구가 구비된 주스기
KR101102902B1 (ko) 스무디기 겸용 주스기
KR101291738B1 (ko) 스무디기 겸용 주스기
KR101343600B1 (ko) 착즙 주서기
TW201444507A (zh) 網格筒以及包含此網格筒的榨汁機
KR101142407B1 (ko) 주스기
KR101278697B1 (ko)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
KR20140001804A (ko) 찌꺼기개폐기구가 구비된 주스기
KR20120054572A (ko) 찌꺼기개폐기구가 구비된 주스기
KR101278698B1 (ko)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
KR102261147B1 (ko) 착즙망 세척용 브러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30028762A (ko) 스무디기 겸용 주스기
TWI411405B (zh) 榨汁機
KR102364079B1 (ko) 착즙 드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