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8821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8821A
KR20120028821A KR1020110091244A KR20110091244A KR20120028821A KR 20120028821 A KR20120028821 A KR 20120028821A KR 1020110091244 A KR1020110091244 A KR 1020110091244A KR 20110091244 A KR20110091244 A KR 20110091244A KR 20120028821 A KR20120028821 A KR 20120028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ub
fitting
terminal
re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1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토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07162A external-priority patent/JP559400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07165A external-priority patent/JP5440462B2/ja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28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8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1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4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fro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커넥터는 제1 하우징(10), 상기 제1 하우징(10)의 내측에 서로 평행하게 수납된 한 쌍의 제1 단자 피팅(50), 상기 제1 하우징(10)의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단자 피팅(50)을 단락시키는 단락 단자(40), 절연성을 갖고 상기 단락 단자(40)를 유지하는 서브 하우징(30)을 구비한다. 상기 제1 하우징(10)의 내측에 형성된 수납 챔버(17)가 상기 제1 하우징(10)의 외측면에 장착/분리 개구부(18)로서 개구되어 있다. 상기 서브 하우징(30)은 상기 한 쌍의 제1 단자 피팅(50)이 배치되는 방향과 거의 평행하게 상기 수납 챔버(17)에 삽입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 제7,556,538호 및 미국 특허 제7,901,229호는, 서로 감합될 수 있는 제1 및 제2 하우징을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개시하고 있다. 제1 하우징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수형 단자 피팅을 구비한다. 제2 하우징은, 하우징들이 서로 감합될 때에 수형 단자 피팅과 맞물리는 위치에 장착된 암형 단자 피팅을 구비한다.
제1 하우징은 수형 단자 피팅의 전단에 탭을 둘러싸는 후드를 구비한다. 제1 하우징에 장착된 리테이너에 의해, 수형 단자 피팅이 제1 하우징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제2 하우징은 제2 단자 피팅을 수납하는 단자 피팅 수납부와 이 단자 피팅 수납부를 둘러싸는 관형 감합부(fit-on part)를 구비한다. 하우징들을 접속할 때에, 단자 피팅 수납부는 후드 내에 감합되고, 관형 감합부는 후드 상에 감합된다.
리테이너는, 제1 및 제2 하우징이 서로 감합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있다. 연장된 검출부가 리테이너에 캔틸레버 형태로 설치되어, 리테이너의 장착 상태를 검출하는 기능을 한다. 연장된 검출부는, 리테이너가 제1 하우징 상에 정확하게 장착되고 연장된 검출부가 관형 감합부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있을 때에 후드의 외면과 거의 동일 평면에 있다. 이에 따라, 문제없이 양 하우징을 서로 감합시킬 수 있다. 그러나 리테이너가 제1 하우징에 정확하게 장착되어 있지 않으면 하우징들을 서로 감합시킬 때에 연장된 검출부가 관형 감합부와 간섭한다. 이에 따라, 양 하우징을 서로에 대하여 감합하는 작업의 실시가 방지된다.
제1 하우징도 한 쌍의 단자 피팅을 단락시키도록 배치된 단락 단자를 수납하는 수납 챔버를 구비한다. 수납 챔버는 하우징의 외측면에 개구된 장착/분리 개구부를 갖는다. 단락 단자는 단자 피팅이 배치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하우징 내에 장착된다.
리테이너의 연장된 검출부는 판형의 캔틸레버 형태이다. 이에 따라, 연장된 검출부의 단부가 리테이너 장착 방향으로 변위되기 쉽다. 따라서 리테이너가 정확하게 장착된 경우에도, 하우징들을 서로 감합하는 중에 연장된 검출부가 관형 감합부와 간섭할 우려가 있다.
또한 전술한 구성은, 복수 쌍의 단자 피팅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고, 복수의 단락 단자가 각 쌍의 단자 피팅을 단락시키도록 제공되는 때에 문제가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락 단자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단락 단자를 정해진 위치에 유지하는 로킹부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단락 단자는, 단락 단자가 수납 챔버 내로 삽입되고 수납 챔버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로킹부를 지나서 이동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복수의 단락 단자를 하나의 장착/분리 개구부를 통하여 수납 챔버 내로 순차적으로 삽입할 수 없다.
로킹부에 의해 초래되는 전술한 문제들은, 격벽에 의해 서로 구획된 2개의 수납 챔버를 형성하고 각 수납 챔버의 하우징의 좌우 외측면에 별도의 장착/분리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그러나 단락 단자가 수납 챔버 내로 삽입된 후에 이물질이 단락 단자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단락 단자가 수납 챔버 내로 삽입된 후에 장착/분리 개구부를 커버로 폐쇄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수납 챔버에 2개의 커버가 필요하므로, 부품의 수가 증가한다.
특허문헌 1 : 미국 특허 제7,556,538호 특허문헌 2 : 미국 특허 제7,901,229호
본 발명은 이상의 상황을 기초로 하여 완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리테이너의 연장된 검출부에 의해 실행되는 검출 기능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 쌍의 단자 피팅이 단락 단자에 의해 단락될 수 있도록 일련의 단자 피팅이 배치되는 방향과 평행하게 단락 단자를 배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서로 감합될 수 있는 제1 및 제2 하우징을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각 하우징은 비도전성 재료로 형성된다. 제1 하우징에는 후드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하우징은, 후드 내에 감합될 수 있는 단자 피팅 수납부와 후드의 외부에 감합될 수 있는 관형 감합부를 구비한다.
수형 단자 피팅은 제1 하우징 내에 장착되고, 후드를 향하여 돌출하는 탭을 구비한다. 암형 단자 피팅은,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서로 감합시킬 때에 제2 하우징의 단자 피팅 수납부 내에 수납되어 수형 단자 피팅과 맞물린다.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서로 감합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 하우징 상에 리테이너가 장착된다. 리테이너는 수형 단자 피팅이 제1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판형의 연장된 검출부가 리테이너 상에 캔틸레버 형태로 있고,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서로 감합시킬 때에 관형 감합부의 내측에 수납된다. 연장된 검출부는 관형 감합부와 간섭한다. 리테이너가 제1 하우징 상에 부정확하게 장착되어 유지된 상태에서 하우징들을 서로 감합시키는 경우에는, 연장된 검출부가 관형 감합부와 간섭한다. 제1 하우징의 외면에 개구되어 감합 오목부가 형성된다. 연장된 검출부 상에 형성된 감합 볼록부는 기울어지지 않도록 감합 오목부에 감합될 수 있다.
연장된 검출부의 단부가 리테이너 장착 방향으로 부정확하게 변위되면 연장된 검출부의 근위단의 자세가 기울어진다. 이와 같이, 연장된 검출부의 자세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연장된 검출부의 단부가 부정확하게 변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점에 주목하여, 본 발명은, 연장된 검출부의 감합 볼록부를 감합 오목부에 감합시켜 감합 볼록부가 감합 오목부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써 연장된 검출부가 제1 하우징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 결과, 연장된 검출부의 단부가 부정확하게 변위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제1 하우징의 내측에 형성된 수납 챔버가 장착/분리 개구부에서 제1 하우징의 외면에 개구되어 있다. 커넥터 조립체는, 절연재로 형성되고 장착/분리 개구부에서 수납 챔버 내로 삽입되는 서브 하우징을 더 구비한다. 감합 오목부는 수납 챔버의 내면과 서브 하우징의 외면 사이의 간극에 의해 구획된다. 그 결과, 제1 하우징의 외면의 구성을 전용의 감합 오목부를 갖는 커넥터에 비하여 간단하게 할 수 있다.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는 로킹부가 서브 하우징의 외면 또는 수납 챔버의 내면에 형성되어 서브 하우징을 수납 챔버의 내측에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킹부는 서브 하우징을 수납 챔버 내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탄성적으로 휘어지고, 서브 하우징이 수납 챔버 내로 정확하게 삽입될 때에 원래의 상태로 탄성적으로 복원된다. 연장된 검출부에 형성된 검출부는, 리테이너가 제1 하우징 상에 정확하게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로킹부의 휨 공간 내로 이동할 수 있다.
검출부는, 로킹부가 원래의 상태로 탄성적으로 복원되고 리테이너가 제1 하우징 상에 정확하게 장착될 때에 휨 공간 내로 이동한다. 그러나 로킹부는, 리테이너가 제1 하우징 상에 부정확하게 장착된 때에는 탄성적으로 휘어진 상태로 유지되어, 검출부가 휨 공간으로 이동할 수 없다. 따라서 리테이너가 제1 하우징 상에 정확하게 장착되어 있는가의 여부에 따라 서브 하우징의 장착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커넥터 조립체는 한 쌍의 단자 피팅을 단락시키도록 제1 하우징의 내측에 장착된 단락 단자를 또한 구비한다. 단락 단자는 서브 하우징 내에 유지된다. 서브 하우징은, 단자 피팅이 배치되는 방향과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장착/분리 개구부 내로 삽입된다.
복수 쌍의 단자 피팅이 일렬로 배치될 수 있고, 각 쌍의 단자 피팅이 단락을 위한 수단을 필요로 한다. 이 상황에서, 서브 하우징들은 하나의 수납 챔버 내로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서브 하우징이 단락 단자를 개별적으로 유지한다. 수납 챔버 내로 삽입된 서브 하우징은 서로 접촉할 수 있다. 삽입 방향으로 수납 챔버의 내측에 배치된 서브 하우징이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장착/분리 개구부의 근처에 배치된 서브 하우징이 수납 챔버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모든 단락 단자는, 수납 챔버에 대하여 장착 및 분리되는 방향의 적소에 배치된다.
단락 단자는 바람직하게는 2개의 탄성 접촉편과, 탄성 접촉편을 서로 연결하는 접속부를 구비한다. 접속부는 서브 하우징 내측에 수납되고, 탄성 접촉편은 서브 하우징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여 두 단자 피팅을 접촉시킨다. 서브 하우징은 전체 단락 단자를 수납하는 경우에는 대형으로 될 수 있다. 그러나 탄성 접촉편이 서브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므로, 서브 하우징이 콤팩트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분리 방지부는 서브 하우징의 외면에서 돌출하고, 수납 챔버의 로킹부에 로크되어 서브 하우징이 수납 챔버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분리 방지부는 탄성 접촉편을 따라 배치된다. 이에 따라, 분리 방지부는 탄성 접촉편이 이물질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오삽입 방지부가 수납 챔버의 내면 및 서브 하우징의 외면에 각각 형성되고, 서브 하우징이 수납 챔버에 대하여 장착 및 분리되는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오삽입 방지부는, 서브 하우징이 수납 챔버와 정확한 위치 관계로 수납 챔버에 삽입될 때에만 요철 관계로 서로 감합된다.
서브 하우징이 부정확한 위치 관계로 수납 챔버 내에 삽입되는 때에는, 요철 형태의 오삽입 방지부는 서로 감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볼록한 오삽입 방지부가 상대 부재와 간섭하여, 부적절한 방위의 서브 하우징이 수납 챔버 내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테이너의 연장된 검출부에 의해 실행되는 검출 기능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제1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제2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B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서로 감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서로 감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7은 서브 하우징이 제1 하우징 상에 정확하게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8은 서브 하우징을 제1 하우징 상에 장착하는 작업을 실행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9는 리테이너가 제1 하우징 상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C-C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D-D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1 하우징의 좌측면도이다.
도 13은 서브 하우징의 좌측면도이다.
도 14는 서브 하우징의 우측면도이다.
도 15는 서브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E-E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서브 하우징의 바닥면도이다.
도 18은 단락 단자의 우측면도이다.
도 19는 단락 단자의 정면도이다.
도 20은 단락 단자의 바닥면도이다.
도 21은 리테이너의 좌측면도이다.
도 22는 리테이너의 정면도이다.
도 23은 리테이너의 우측면도이다.
도 24는 리테이너의 바닥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는 서로 감합될 수 있는 제1 하우징(10) 및 제2 하우징(80)을 구비한다. 2개의 서브 하우징(30), 2개의 단락 단자(40), 2쌍의 제1 단자 피팅(50) 및 리테이너(60)가 상기 제1 하우징(10) 상에 장착되어 있다.
제1 하우징(10)은 합성수지로 제조된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0)은 단자 피팅 유지부(11) 및 이 단자 피팅 유지부(11)와 일체의 대략 사각기둥 형상의 후드부(12)를 구비하고, 상기 후드부는 단자 피팅 유지부(11)의 전단부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캔틸레버 상태로 전방(도 2 및 도 5에 있어서 우측)으로 돌출한다. 단자 피팅 유지부(11)는 후드부(12)의 측면벽의 후단과 동일면에서 연속하는 측벽부(13)와, 상기 측벽부(13)의 상부 가장자리와 수직으로 연속하고 상기 후드부(12)의 상면벽과 동일면에서 연속하는 상벽부(14)와, 상기 측벽부(13)의 측부 가장자리와 수직으로 연속하는 후벽부(15)와, 상기 측벽부(13)의 하부 가장자리 및 후벽부(15)의 하부 가장자리와 수직으로 연속하는 하벽부(16)를 포함하고, 상기 하벽부는, 하벽부(16) 및 후드부(12)의 하면벽이 서로 단차를 두고 있는 상태로 후드부(12)의 하면벽과 평행하게 연속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자 피팅 유지부(11)는 4개의 벽부(13 내지 16)로 둘러싸여 있으므로, 박스 형상을 이룬다. 단자 피팅 유지부(11) 내측의 공간은 후술하는 서브 하우징(30)을 수납하는 수납 챔버(17)로서 형성된다. 수납 챔버(17)의 전방면은 후드부(12)의 내측과 연통한다. 도 7과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챔버(17)의 측면이 단자 피팅 유지부(11)의 외측에 개구되어 있다. 옆으로 개구된 수납 챔버(17)의 개구 부분은, 서브 하우징(30)을 제1 하우징(10)에 장착하고 서브 하우징(30)을 제1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는 장착/분리 개구부(18)로서 형성된다. 장착/분리 개구부(18)의 길이 방향[양 하우징(10, 80)을 서로 감합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개구 범위는, 후드부(12)의 측면의 후단부[즉, 양 하우징(10, 80)이 서로 감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2 하우징(80)의 관형 감합부(82)로 덮인 영역]까지 연장된다.
수납 챔버(17)의 내측에는, 좌우 방향[양 하우징(10, 80)이 서로 감합되는 방향에 수직하고, 서브 하우징(30)이 수납 챔버(17) 내측에 장착되고 수납 챔버(17)로부터 분리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전후 가이드 리브(19)가 후드부(12)의 하면벽 및 후벽부(15)의 하단의 후방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양 가이드 리브(19)와 하벽부(16) 사이에 한 쌍의 전후 가이드 홈(20)이 형성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분리 개구부(18)의 근처에 배치된 단부를 돌출시킴으로써 전후 가이드 홈(20)에 로킹부(21)가 형성된다. 도 2, 도 5 내지 도 9,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보강부(22)[본 발명의 구성 특징인 오삽입 방지부]가 길이 방향으로 대략 중심 위치로부터 약간 후방에 위치된 하벽부(16)의 위치를 국부적으로 아래로 오목하게 함으로써 하벽부(16) 상에 형성된다.
도 6, 도 7, 도 9,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챔버(17)의 후방에 배치되고 수납 챔버(17)의 내측을 향하는 단차면(23)이, 수납 챔버(17)의 하벽부(16)와 후드부(12)의 하면벽이 서로 단차를 두고 있는 단차부에 형성된다. 단차면(23)은 좌우 방향[후술하는 리테이너의 연장된 검출부(70)의 연장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다. 단차면(23)과 전방측 가이드 리브(19)는 거의 동일한 높이로 위치되어 있다. 전방측 가이드 리브(19)는 좌우 방향으로 장착/분리 개구부(18)의 근처에 배치된 부분에서 절결되어 있다. 이로써, 서브 하우징(30)을 수납 챔버(17) 내로 삽입할 때에, 서브 하우징(30)의 전단면의 일부는 길이 방향으로 단차면(23)과 마주치며,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하우징(30)의 전단면과 단차면(23) 사이의 수납 챔버(17)의 영역이 감합 오목부(24)로서 기능한다.
도 5, 도 7 내지 도 9,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벽부(15)의 영역으로부터 하단부를 제외하고 후방으로 돌출하는 블록형의 단자 피팅 삽입부(25)가 형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단자 피팅 삽입부(25)를 관통하고 수납 챔버(17)의 내측과 연통하는 2쌍의 단자 피팅 삽입구(26)가 단자 피팅 삽입부(25)의 내측에 형성된다. 2쌍의 단자 피팅 삽입구(26)는 좌우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후벽부(15)의 후단부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리브(27)가 형성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측벽부(13)의 후단부를 관통하는 도피 구멍(28)이 형성된다.
서브 하우징(30)은 합성수지로 제조된다. 도 13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하우징(30)은 전체적으로 블록 형상이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하우징(30)의 내측에는, 일측면[수납 챔버(17)의 장착/분리 개구부(18)측과 동일측의 측면]에 개구된 수납 오목부(31)가 형성된다. 하단부를 제외한 수납 오목부(31)의 전방면의 영역은 서브 하우징(30)의 전단면에 개구되어 있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오목부(31)와 연통하는 로킹 구멍(32)이 서브 하우징(30)의 바닥면에 형성된다.
도 2, 도 5,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좌우 단자 피팅 수납 구멍(33)이 수납 오목부(31) 위에 배치된 서브 하우징(30)의 부분을 관통하여 서브 하우징(30) 상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틸레버 형태로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하 방향[제1 단자 피팅(50)이 단자 피팅 수납 구멍(33) 내로 삽입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유연한 랜스(34; lance)가 단자 피팅 삽입 구멍(33)의 천장면에 형성된다. 서브 하우징(30)을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고 단자 피팅 수납 구멍(33)의 후단과 연통하는 관통 구멍(35)이 형성된다.
도 13, 도 14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하우징(30)의 전후 단부면의 하단부를 따라 한 쌍의 로킹부(36F, 36R)가 형성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부(36F, 36R)는 수납 오목부(31)가 좌우 방향으로 캔틸레버 상태로 개구되어 있는 측과 반대측까지 연장된다. 로킹부(36F, 36R)는 서브 하우징(30)을 향하여 길이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유연하다. 서브 하우징(30)의 외면과 로킹부(36F, 36R) 사이의 공간이 로킹부(36F, 36R)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휨 공간(37)으로서 형성된다. 서브 하우징(30)의 전후면에 대향하게 배치된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로킹 돌기(37)가 각 로킹부(36F, 36R)에 형성된다. 서브 하우징(30)의 바닥면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방지 리브(39)가 형성된다.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락 단자(40)는 대략 사각형의 수평판 형상의 기판부(41; 본 발명의 구성 특징인 접속부), 로킹 스트립(42), 한 쌍의 좌우 탄성 접촉편(43), 지그 접촉부(44) 및 보강부(45)를 구비한다. 로킹 스트립(42)은, 캔틸레버 상태로 하향으로 경사지게 옆으로 연장되도록 기판부(41)를 잘라 돌출되게 함으로써 형성된다. 탄성 접촉편(43)은 기판부(41)의 후방 가장자리로부터 상향으로 경사지게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하 방향[양 하우징(10, 80)이 서로 감합되는 방향과 교차하고 단락 단자(40)가 제1 단자 피팅(50)의 탭(52)과 접촉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유연하다. 각 탄성 접촉편(43)의 전단부는 산형(山形)으로 굴곡된 접촉부(46)로서 형성된다. 지그 접촉부(44)는 기판부(41)의 일측 가장자리의 후단으로부터 판형으로 기립되어 있다. 보강부(45)는 기판부(41)의 후방 가장자리로부터 기립되고 지그 접촉부(44)에 로킹되어, 지그 접촉부(44)의 낙하 변형을 방지한다.
도 2, 도 5, 도 13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락 단자(40)는 서브 하우징(30) 상에 장착된다. 단락 단자(40)를 서브 하우징(30) 상에 장착할 때에는, 단락 단자(40)를 옆의 개구부로부터 수납 오목부(31) 내로 얕게 삽입하고 탄성 접촉편(43)이 기판부(41)를 향해 휘어진 상태로 지그(도시 생략)를 지그 접촉부(44)에 대하여 가압함으로써 전체 단락 단자(40)가 수납 오목부(31) 내측에 수납된다. 단락 단자(40)가 통상의 수납 위치로 가압되면, 기판부(41)의 측부 가장자리 중 하나가 수납 오목부(31)의 측면에 접촉하고, 로킹 스트립(42)이 로킹 구멍(32)에 로크된다. 이로써, 단락 단자(40)는, 좌우 방향 및 길이 방향의 상대 변위가 방지되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에, 탄성 접촉편(43)은 수납 오목부(31)의 전방면에 배치된 개구부의 가장자리에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이로써, 단락 단자(40)가 서브 하우징(3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이 방지된다. 단락 단자(40)를 서브 하우징(30)에 장착하는 작업이 끝나면, 탄성 접촉편(43)의 접촉부(46)는 서브 하우징(30)으로부터 외측 전방으로 돌출한다. 전방 로킹부(36F)는 접촉부(46) 아래에 위치 결정된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자 피팅(50)은 사각기둥 형상의 단자 본체(51), 단자 본체(5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길고 협소한 탭(52), 그리고 단자 본체(5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개방된 통형의 크림핑부(53)를 구비하는 공지의 수형 단자 피팅이다. 제1 단자 피팅(50)이 서브 하우징(30)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 단자 피팅(50)은, 탭(52)이 후드부(12)에 의해 둘러싸인 상태로 단자 피팅 유지부(11)에 의해 유지된다.
리테이너(60)는 합성수지로 제조된다. 도 21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60)는 측판부(61)와, 측판부(61)의 상부 가장자리와 수직으로 연속하는 상판부(62)와, 측판부(61)로부터 옆으로[상판부(62)와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하고 폭방향으로 긴 프레임 형상의 분리 방지 프레임부(63)와, 측판부(61)의 하단으로부터 옆으로[상판부(62) 및 분리 방지 프레임부(63)와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하판부(64)를 구비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방지 프레임부(63)를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하나의 단자 피팅 관통부(65)가 형성된다. 단자 피팅 관통부(65)는 좌우 방향으로 크고 길다. 단자 피팅 관통부(65)의 가장자리는 제1 단자 피팅(50)에 로크되어 있다. 후방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힌지부(66)를 통하여 상판부(62)와 변위 가능하게 연속하여 전선 유지부(67)가 형성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부(64) 상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68)이 형성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부(64) 상에는 좌우 로킹 홈(69)도 형성되어 있다.
도 21,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의 연장된 검출부(70)는 측판부와 동일 평면에서 측판부(61)로부터 전방으로 캔틸레버 상태로 연장된다.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된 검출부(70)의 구성 및 사이즈는 수납 챔버(17)의 장착/분리 개구부(18) 전체를 덮도록 설정된다. 연장된 검출부(70)가 연장되는 방향은, 리테이너(60)가 수납 챔버(17)에 장착되는 방향과 수직하고,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80)이 서로 감합되는 방향과 평행하다. 연장된 검출부(70)의 연장 단부[양 하우징(10, 80)이 정상적으로 서로 감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2 하우징(80)의 관형 감합부(82)로 덮인 전단부의 영역]에 연장된 검출부(70)의 단부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리브 형상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감합 볼록부(71)가 형성되고, 이 감합 볼록부는 옆으로 내측으로 돌출한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된 검출부(70)와 감합 볼록부(71)는 바닥면도로 보아 대략 L형의 구조를 형성한다. 감합 볼록부(71)의 전후면은 좌우 방향[연장된 검출부(70)의 연장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21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판부(61)에는 그 하부 가장자리로부터 하향[로킹부(36F, 36R)가 탄성적으로 휘어지는 방향 및 리테이너(60)가 제1 하우징(10)에 장착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하는 길고 협소한 후방 검출부(72R)가 형성된다. 연장된 검출부(70)에는 그 하면으로부터 하향[후방 검출부(72R)에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길고 협소한 전방 검출부(72F)가 형성된다. 전방 검출부(72F)는 길이 방향으로 후방 검출부(72R)의 전방에 배치된다. 전방 검출부(72F)는 전후 방향(리테이너 장착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후방 검출부(72R)보다 내측의 위치에 배치된다.
제2 하우징(80)은 합성수지로 제조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80)은 블록 형상의 단자 피팅 수납부(81)와, 이 단자 피팅 수납부(81)와 일체의 관형 감합부(82)로 구성되고, 이 관형 감합부는 단자 피팅 수납부(81)를 둘러싼다. 단자 피팅 수납부(81)의 둘레와 관형 감합부(82)의 내주 사이에 전방(도 4 및 도 5에 있어서 좌측 방향)으로 개구된 관형의 감합 공간(83)이 형성된다. 2쌍의 공지의 암형 제2 단자 피팅(85)이 좌우 방향[양 하우징(10, 80)이 서로 감합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단자 피팅 수납부(81) 내에 수납된다. 단자 피팅 수납부(81)의 전방부에는, 제2 단자 피팅(85)보다 약간 전방에 배치된 리브형 부분이 단락 단자(40)에 의해 단락된 제1 단자 피팅(50)을 해제시키는 단락 해제부(84)로서 형성된다.
이하에서 제1 하우징(10) 상에 전술한 부품들을 조립하는 작업을 설명한다. 먼저, 하나의 단락 단자(40)를 2개의 서브 하우징(30) 각각에 장착한다. 그 후, 2개의 서브 하우징(30)을 제1 하우징(10)의 측면으로부터 장착/분리 개구부(18)에 통과시키고, 이어서 수납 챔버(17) 내로 삽입한다. 이때에, 도 2,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로킹부(36F, 36R)가 가이드 홈(20)에 각각 감합되고, 방지 리브(39)가 방지 홈(22)에 감합된다.
제1 서브 하우징(30)을 수납 챔버(17) 내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전후 로킹 돌기(38)가 대응 로킹부(21)와 간섭한다. 이에 따라, 전후 로킹부(36F, 36R)가 휨 공간(37)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진다. 로킹 돌기(38)가 로킹부(21)를 통과하면, 로킹부(36F, 36R)는 원래의 상태로 탄성적으로 복원된다. 제1 서브 하우징(30)이 수납 챔버(17)의 내측에 배치된 정상 삽입 위치로 가압되면, 제1 서브 하우징(30)이 측벽부(13)와 접촉한다. 그 결과, 제1 서브 하우징(30)이 삽입 방향으로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정지된다.
그 후, 제2 서브 하우징(30)을 수납 챔버(17) 내로 삽입한다. 제2 서브 하우징(30)을 수납 챔버(17) 내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로킹 돌기(38)는 로킹부(21)와 각각 간섭한다. 이에 따라, 로킹부(36F, 36R)가 탄성적으로 휘어진다. 제2 서브 하우징(30)이 정상 삽입 위치에 도달하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서브 하우징(30)은 제1 서브 하우징(30)의 측면과 접촉하고, 로킹 돌기(38)가 로킹부(21)를 각각 통과한다. 그 결과, 로킹부(36F, 36R)는 원래의 상태로 탄성적으로 복원된다. 그 후, 로킹 돌기(38)가 수납 챔버(17)의 내측으로부터 로킹부(21)에 각각 로킹된다.
제1 및 제2 서브 하우징(30)들 사이의 접촉의 결과로, 제2 서브 하우징(30)이 삽입 방향으로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억제된다. 로킹 돌기(38)가 로킹부(21)에 각각 로킹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서브 하우징(30)이 수납 챔버(17)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2 서브 하우징(30)이 장착/분리 개구부(18)의 근처의 위치에서 수납 챔버(17)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수납 챔버(17)의 내측[장착/분리 개구부(18)로부터 떨어진 측]에 배치된 제1 서브 하우징(30)도 수납 챔버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전술한 조작에 있어서, 2개의 서브 하우징(30)은, 장착/분리 개구부(18)를 통과한 후에 수납 챔버(17) 내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2개의 서브 하우징(30)이 수납 챔버(17)의 내측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하우징(30)의 2쌍의 단자 피팅 수납 구멍(33) 및 제1 하우징(10)의 2쌍의 단자 피팅 삽입구(26)는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서로 연통한다). 단자 피팅 수납 구멍(33)과 단자 피팅 삽입구(26)는 제1 단자 피팅(50)을 단자 피팅 유지부(11)의 내측에 수납하고 유지하기 위한 공간을 구성한다. 또한, 서브 하우징(30)의 관통 구멍(35) 및 제1 하우징(10)의 도피 구멍(28)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서브 하우징(30)이 수납 챔버(17)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납 챔버(17)의 내측에서, 제1 하우징(10)의 외측면에서 개구된 감합 오목부(24)는 제2 서브 하우징(30)의 전단면[장착/분리 개구부(18)의 근방측]과 단차면(23) 사이에 구성된다. 단차면(23)과 서브 하우징(30)의 전단면은 좌우 방향[연장된 검출부(70)가 연장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다. 감합 오목부(24)의 종방향의 길이는 리테이너(60)의 감합 볼록부(71)의 길이와 동일하다.
서브 하우징(30)을 수납 챔버(17)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장착할 때에, 도 8[단락 단자(40)는 도시 생략되어 있음]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로킹부(36F, 36R)를 전후 가이드 홈(20)에 각각 끼워 넣을 수 있다. 그러나 방지 리브(39)의 위치는 방지 홈(22)에 대하여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방지 리브(39)가 제1 하우징(10)의 하벽과 간섭한다. 이러한 간섭에 의해, 서브 하우징(30)이 잘못된 방위로 수납 챔버(17) 내측에 장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두 서브 하우징(30)이 수납 챔버(17)의 내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서브 하우징(30)의 수납 오목부(31)의 측면에 배치된 개구부는 좌우 방향으로 장착/분리 개구부(18)와 반대측을 향한다. 따라서 제1 서브 하우징(30)보다 장착/분리 개구부(18)에 근접하여 위치된 제2 서브 하우징(30)에 있어서는, 단락 단자(40)가 탄성 접촉편(43)의 접촉부(46)를 제외하고 제2 서브 하우징(30)의 내측에 숨겨진다. 이로써, 리테이너(60)를 제1 하우징(10)에 장착하기 전에 이물질이 단락 단자(40)와 간섭하는 것이 방지된다.
2개의 서브 하우징(30)을 수납 챔버(17)의 내측에 장착하는 작업이 종료된 후에는,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60)는 제1 하우징(10) 상에 옆으로 장착된다. 리테이너(60)를 제1 하우징(10) 상에 장착할 때에, 리테이너(60)의 안내 홈(68)은 제1 하우징(10)의 안내 리브(27)에 감합되고, 리테이너(60)의 상판부(62)는 상벽부(14)의 상면(외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고, 리테이너(60)의 분리 방지 프레임부(63)는 서브 하우징(30)의 관통 구멍(35) 내로 삽입된다. 이러한 감합, 슬라이드 이동 및 삽입으로 인하여, 리테이너(60)는 정확한 자세를 유지하면서 제1 하우징(10) 상에 장착된다. 리테이너(60)의 로킹 홈(69)은, 제1 하우징(10)의 단자 피팅 삽입부(25)의 하면에 형성된 돌출부(도시 생략)에 로킹된다. 이로써, 리테이너(60)는 제1 하우징(10)에 의해 임시 로킹 위치에 유지된다.
리테이너(60)가 임시 로킹 위치에 있으면, 리테이너(60)의 단자 피팅 관통부(65)는 2쌍의 단자 피팅 수납 구멍(33)과 2쌍의 단자 피팅 삽입 구멍(26)과 연통한다. 이때에, 단자 피팅 관통부(65)의 개구 영역은 단자 피팅 수납 구멍(33) 및 단자 피팅 삽입 구멍(26)의 전체 개구 영역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리테이너(60)는 제1 하우징(10)에 삽입된 제1 단자 피팅(50)과 간섭하지 않는다. 연장된 검출부(70)는 제1 하우징(10)의 외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위치에 위치된다. 양 하우징(10, 80)이 서로 감합되면, 돌출 위치의 연장된 검출부(70)가 관형 감합부(82)의 전단과 간섭할 수 있다. 리테이너(60)의 감합 볼록부(71)는 제1 하우징(10)의 감합 오목부(24)에 얕게 삽입되어 리테이너(60)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리테이너(60)가 임시 로킹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2쌍의 제1 단자 피팅(50)이 후방측으로부터 제1 하우징(10)에 삽입된다. 제1 단자 피팅(50)을 제1 하우징(10) 내로 삽입하는 중에, 각 제1 단자 피팅(50)의 전단에 배치된 탭(52)이 단자 피팅 삽입 구멍(26), 단자 피팅 수납 구멍(33) 및 단자 피팅 관통부(35)를 통과하고, 서브 하우징(30)의 랜스(34)가 단자 본체(51)와 간섭한다. 그 결과, 랜스(34)가 위로 탄성적으로 휘어진다. 제1 단자 피팅(50)이 정상 삽입 위치에 도달하면, 랜스(34)는 원래의 상태로 탄성적으로 복원되고, 단자 본체(51)를 후방측으로부터 로킹한다. 이러한 로킹 조작에 의해, 제1 단자 피팅(50)이 분리될 수 없는 상태로 유지된다. 한 쌍의 제1 단자 피팅(50)의 탭(52)은 위로부터, 대응하는 단락 단자(40)의 두 탄성 접촉편(43)의 접촉부(46)와 가압 접촉한다. 이로써, 2쌍의 제1 단자 피팅(50)이 단락 단자(40)를 통하여 단락된다.
모든 제1 단자 피팅(50)을 제1 하우징(10)에 삽입하는 작업이 종료된 후에, 리테이너(60)는 임시 로킹 위치로부터 메인 로킹 위치로 가압된다. 리테이너(60)가 메인 로킹 위치에 도달하면, 리테이너(60)의 로킹 홈(69)은 제1 하우징(10)의 돌출부(도시 생략)를 로킹한다. 이로써, 리테이너(60)가 메인 로킹 위치에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단자 피팅 관통부(65)의 가장자리가 후방측으로부터 단자 본체(51)를 로킹한다. 이러한 로킹 동작에 의해, 제1 단자 피팅(50)이 제1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써, 제1 단자 피팅(50)이 랜스(34) 및 리테이너(60)에 의해 제1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리테이너(60)가 메인 로킹 위치로 가압된 상태에서, 연장된 검출부(70)의 외면은 제1 하우징(10)의 외면과 동일 평면에 있으며, 감합 볼록부(71)가 느슨해지는 일 없이 감합 오목부(24)에 감합된다. 이때에, 감합 볼록부(71)의 전단면 및 후단면은 단차면(23) 및 서브 하우징(30)의 전단면과 각각 면 접촉한다. 좌우 방향[임시 로킹 위치로부터 메인 로킹 위치로의 리테이너(60)의 이동 방향]으로 감합 볼록부(71)와 감합 오목부(24) 사이의 감합 영역(감합 깊이)은, 리테이너(60)가 메인 로킹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때가 임시 로킹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때보다 더 크다. 감합 볼록부(71)가 감합 오목부(24)에 타이트하게 감합되기 때문에, 연장된 검출부(70)의 자세가 후단[측판부(61)와 연속하는 단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즉, 연장된 검출부(70)가 자세가 기울어진 상태로 제1 하우징(10)에 대하여 외측으로 변위되는 것이 방지된다.
리테이너(60)가 임시 로킹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측판부(61)와 연장된 검출부(70)가 장착/분리 개구부(18)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물질이 수납 챔버(17) 내로 통과하는 것이 방지된다. 리테이너(60)가 메인 로킹 위치로 가압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체 장착/분리 개구부(18)는 큰 간극 없이 측판부(61) 및 연장된 검출부(70)로 덮여 있다. 이에 따라, 서브 하우징(30)과 단락 단자(40)는 리테이너(60)에 의해 가려져 외부로부터의 이물질과 간섭하는 것이 방지된다.
리테이너를 임시 로킹 위치에 장착할 때에, 전방 검출부(72F)는 전방 로킹부(36F)의 휨 공간(37)에 감합된다. 리테이너(60)가 임시 로킹 위치에 유지되어 있으면, 후방 검출부(72R)는 후방 로킹부(36R) 내로 이동하지 않는다. 리테이너(60)가 메인 로킹 위치로 가압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검출부(72F)는 휨 공간(37)의 내측으로 이동하고, 후방 검출부(72R)는 후방 로킹부(36R)의 휨 공간(37)에 감합된다. 전방 검출부(72F)와 후방 검출부(72R)가 휨 공간(37) 내로 감합되기 때문에, 전방 로킹부(36F)와 후방 로킹부(36R)가 휨 공간(37) 내로 이동하여, 전방 로킹부(36F)와 후방 로킹부(36R)가 로킹부(21)로부터 로킹 해제되는 로킹 해제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써, 서브 하우징(30)은 수납 챔버(17) 내측에 수납된 상태로 확실하게 로크된다. 이에 따라, 서브 하우징(30)이 수납 챔버(17)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이 방지된다.
서브 하우징(30)이 수납 챔버(17) 내로 얕게 삽입되고 전방 로킹부(36F)와 후방 로킹부(36R)가 휨 공간(37) 내로 이동하면, 리테이너(60)를 임시 로킹 위치에 장착할 때에 전방 검출부(72F)가 전방 로킹부(36F)와 간섭한다. 이에 따라, 리테이너(60)를 임시 로킹 위치에 장착하는 동작이 쉽게 실행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써, 서브 하우징(30)이 수납 챔버(17) 내로 부정확하게 삽입된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전방 검출부(72F)가 전방 로킹부(36F)와 간섭하는 상태에서 리테이너(60)의 분리 방지 프레임부(63) 및 그 하판부(64)가 임시 로킹 위치로 강하게 가압되면, 연장된 검출부(70)의 자세가 기울어지고, 이에 따라 연장된 검출부(70)의 전단부가 제1 하우징(10)의 외측면으로부터 멀리 떨어진다. 이 상태를 관찰하여 서브 하우징(30)의 오장착을 검출할 수 있다. 서브 하우징(30)이 오장착 상태로 있으면, 장착 방향으로 연장된 검출부(70)의 전단부[전방 검출부(72F)]에 부여되는 가압력이 증가한다. 이로써 전방 검출부(72F)가 전방 로킹부(36F)를 압박한다. 이에 따라, 서브 하우징(30)을 정상 삽입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리테이너(60)를 제1 하우징(10) 상에 장착하는 동작이 종료되면,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80)은 서로 감합된다.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80)을 서로 감합할 때에, 단자 피팅 수납부(81)는 후드부(12)의 내부에 감합되고, 관형 감합부(82)는 후드부(12)의 외부에 감합된다. 즉, 후드부(12)가 감합 공간(83)에 감합된다.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80)이 서로 정상적으로 감합되면, 관형 감합부(82)의 전단부는 외측면으로부터 연장된 검출부(70)의 전단부에 근접하고 이에 대향한다. 달리 말하면, 연장된 검출부(70)의 전단부(연장 단부)가 관형 감합부(82) 내측에 수납된다. 이 때에, 관형 감합부(82)와 감합 오목부(24) 사이의 감합으로 인하여, 연장된 검출부(70)가 외면측으로 변위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리테이너(60)가 메인 로킹 위치에 정확하게 장착되면, 연장된 검출부(70)가 제1 하우징(10)의 외측면과 동일 평면으로 확실하게 유지되고, 양 하우징(10, 80)을 서로 감합하는 동작을 실행하는 중에 관형 감합부(82)와 간섭하지 않는다.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80)이 서로 정상적으로 감합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80)의 단락 해제부(84)가 단락 단자(40)의 접촉부(46)에 접촉하여, 접촉편(43)이 하향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진다. 이로써, 단락 단자(40)에 의해 단락된 제1 단자 피팅(50)이 해제된다. 단락 상태로부터 해제된 제1 단자 피팅(50)은 전기 도전되게 제2 단자 피팅에 접속된다.
일렬로 배열된 2쌍의 제1 단자 피팅(50)은 각각 2개의 단락 단자(40)에 의해 단락된다. 2개의 단락 단자(40)는 제1 단자 피팅(50)이 배치되는 방향(좌우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락 단자(40)를 배치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단락 단자(40)를 각각 유지하는 2개의 서브 하우징(30)이 제공된다. 제1 하우징(10)의 외측면 중 하나에만 개구되어 있는 하나의 수납 챔버(17)가 제1 하우징(10)의 내측에 장착/분리 개구부(18)로서 형성된다. 2개의 서브 하우징(30)은 제1 단자 피팅(50)이 배치되는 방향(좌우 방향)과 거의 평행하게 수납 챔버(17) 내에 삽입된다.
수납 챔버(17) 내에 삽입된 2개의 서브 하우징(30)은 절연성을 갖고 서로 접촉한다. 이에 따라, 수납 챔버(17)의 내측에 배치된 서브 하우징(30)이 삽입 방향으로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장착/분리 개구부(18)의 근방에 배치되는 서브 하우징(30)이 수납 챔버(17)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써, 모든 단락 단자(40)는, 단락 단자(40)가 수납 챔버(17)에 장착되고 수납 챔버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적소에 배치되어 있다. 단지 하나의 장착/분리 개구부(18)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분리 개구부(18)를 덮는 단 하나의 부재[리테이너(60)의 연장된 검출부(70)]가 필요하다.
단락 단자(40)는 한 쌍의 제1 단자 피팅(50)과 접촉하는 한 쌍의 탄성 접촉편(43)과, 한 쌍의 탄성 접촉편(43)을 연결하는 기판부(41; 연결부)를 구비한다. 서브 하우징(30)이 전체 단락 단자(40)를 내부에 수납하는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서브 하우징(30)을 대형으로 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실시예 1에서는, 기판부(41)가 서브 하우징(30)의 내측에 수납되어 있고, 한 쌍의 탄성 접촉편(43)의 접촉부(46)가 서브 하우징(30)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다. 따라서 서브 하우징(30)을 콤팩트하게 제조할 수 있다.
수납 챔버(17)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수납 챔버(17)의 로킹부(21)에 로크된 돌출 로킹부(36F; 분리 방지부)가, 탄성 접촉편(43)의 접촉부(46)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게 서브 하우징(30)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서브 하우징(30) 아래의 위치로부터 이물질이 접촉부(46)에 접촉하더라도, 이물질이 접촉부(46)에 도달하기 전에 로킹부(36F)가 이물질의 접근을 방지한다. 이로써, 접촉부(46)가 이물질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수납 챔버(17)의 내면과 서브 하우징(30)의 외면에는, 서브 하우징(30)이 장착/분리 방향과 평행하게(좌우 방향으로) 수납 챔버(17) 내로 삽입되고 서브 하우징(30)이 수납 챔버(17)와 정확한 위치 관계를 가질 때에만 요철 관계로 서로 감합되는 방지홈(22; 오삽입 방지부)과 방지 리브(39; 오삽입 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서브 하우징(30)을 수납 챔버(17)와 부정확한 위치 관계로 수납 챔버(17) 내에 삽입하는 동작을 실행할 때에는, 방지홈(22)과 방지 리브(39)는 서로 감합되지 않고, 볼록한 방지 리브(39)가 수납 챔버(17)의 장착/분리 개구부(18)의 가장자리와 간섭한다. 이에 따라, 서브 하우징(30)이 수납 챔버(17)에 삽입되는 동작이 방지된다. 이로써, 서브 하우징(30)이 부정확한 자세로 수납 챔버(17) 내로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서브 하우징(30)이 수납 챔버(17) 내측에 삽입되고 수납 챔버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좌우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방지홈(22; 오삽입 방지부)과 방지 리브(39; 오삽입 방지부)는 수납 챔버(17)의 내면과 서브 하우징(30)의 외면에 각각 형성된다. 서브 하우징(30)이 수납 챔버(17)와 정확한 위치 관계로 수납 챔버(17) 내에 삽입될 때에만 방지홈(22)과 방지 리브(39)가 요철 관계로 서로 감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수납 챔버(17)와 서브 하우징(30)이 부정확한 위치 관계로 있을 때에 서브 하우징(30)을 수납 챔버(17) 내에 삽입하는 동작이 실행되면, 방지홈(22)과 방지 리브(39)는 서로 감합되지 않고, 볼록한 방지 리브(39)가 수납 챔버(17)의 장착/분리 개구부(18)의 가장자리와 간섭한다. 이에 따라, 서브 하우징(30)이 수납 챔버(17) 내로 삽입되는 동작이 방지된다. 이로써, 서브 하우징(30)이 부정확한 자세로 수납 챔버(17) 내로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리테이너(60)에 형성된 연장된 검출부(70)가 실행하는 검출 기능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연장된 검출부(70)의 연장 단부(전단부)가 리테이너 장착 방향과 거의 평행한 좌우 방향으로 부정확하게 변위되면, 연장된 검출부(70)는 그 근위부(후단부)에서 좌우 방향[연장된 검출부(70)의 두께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연장된 검출부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연장된 검출부의 연장 단부가 부정확하게 변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점에 주목하여, 실시예 1에서는, 제1 하우징(10)이 그 외면에 개구된 감합 오목부(24)를 구비하고, 감합 오목부(24)에 감합될 수 있는 감합 볼록부(71)가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되는 상태로 연장된 검출부(7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연장된 검출부(70)의 연장 단부가 부정확하게 변위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되고, 연장된 검출부(70)에 의해 실행되는 검출의 신뢰성이 개선된다.
제1 하우징(10)은 그 외면에 개구된 수납 챔버(17)를 구비한다. 서브 하우징(30)이 수납 챔버(17)에 삽입된다. 이 점에 주목하여, 수납 챔버(17)의 내면[단차면(23)]과 서브 하우징(30)의 외면 사이의 간극이 감합 오목부(24)로서 형성된다. 실시예 1에서는 수납 챔버(17)의 내면[단차면(23)]과 서브 하우징(30)의 외면 사이의 간극이 감합 오목부(24)로서 효율적으로 활용되고 있기 때문에, 제1 하우징(10)의 외면의 구조를, 감합 오목부가 별도로 형성되어 있는 종래의 커넥터보다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서브 하우징(30)을 수납 챔버(17)의 내측에 유지하도록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는 로킹부(36F, 36R)가 서브 하우징(30)의 외면에 형성된다. 서브 하우징(30)을 수납 챔버(17) 내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로킹부(36F, 36R)는 탄성적으로 휘어진다. 서브 하우징(30)이 정확하게 수납 챔버(17) 내로 삽입되면, 로킹부(36F, 36R)가 원래의 상태로 탄성적으로 복원된다. 또한, 연장된 검출부(70)는, 리테이너(60)가 제1 하우징(10) 상에 정확하게 장착되는 때에 로킹부(36F, 36R)의 휨 공간(37) 내로 이동할 수 있는 전방 검출부(72F) 및 후방 검출부(72R)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로킹부(36F, 36R)가 원래의 상태로 탄성적으로 복원될 때에, 전방 검출부(72F) 및 후방 검출부(72R)가 휨 공간(37) 내로 이동하여, 리테이너가 제1 하우징(10) 상에 정확하게 장착된다. 로킹부(36F, 36R)가 탄성적으로 휘어진 상태로 있을 때, 전방 검출부(72F)와 후방 검출부(72R)는 휨 공간(37) 내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테이너(60)는 제1 하우징(10) 상에 정확하게 장착될 수 없다. 이에 따라, 실시예 1에서는, 리테이너(60)가 제1 하우징(10) 상에 정확하게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서브 하우징(30)의 장착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고로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하의 실시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포함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감합 볼록부가 연장된 검출부의 단부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감합 볼록부는 연장된 검출부의 단부에 대하여 근위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연장된 검출부 상에 형성되는 감합 볼록부의 수가 하나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복수의 감합 볼록부가 연장된 검출부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수납 챔버의 내면과 서브 하우징의 외면 사이의 간극이 감합 오목부로서 효율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제1 하우징의 외면에 전용의 감합 오목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리테이너가 임시 로킹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감합 볼록부가 감합 오목부에 얕게 감합되어 있다. 그러나 리테이너가 임시 로킹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감합 볼록부가 감합 오목부에 감합되지 않는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로킹부가 서브 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로킹부는 수납 챔버의 내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서브 하우징이 단락 단자를 유지하는 부재로서 기능한다. 그러나 서브 하우징은 단락 단자를 유지하는 기능 이외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2개의 서브 하우징이 하나의 수납 챔버의 내측에 수납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수납 챔버의 내측에 수납되는 서브 하우징의 수는 하나일 수도 있고 3개 이하일 수도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하우징의 내측에 하나의 수납 챔버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격벽에 의해 서로 구획된 2개의 수납 챔버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각 수납 챔버의 내측에 수납되는 서브 하우징의 수는 하나 이상일 수도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단락 단자의 탄성 접촉편이 서브 하우징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러나 서브 하우징이 전체 단락 단자를 수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단자 피팅과 탄성 접촉편은 서브 하우징 내에서 서로 접촉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서브 하우징의 분리를 방지하는 분리 방지부가, 탄성 접촉편이 이물질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도 작용한다. 그러나 이물질이 탄성 접촉편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는 전용의 수단이 분리 방지부와 별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분리 방지부는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는 반면에, 로킹부는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없다. 그러나 분리 방지부가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없는 반면에, 로킹부는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수납 챔버의 장착/분리 개구부가 리테이너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그러나 장착/분리 개구부를 리테이너 이외의 부재로 폐쇄할 수도 있다.

Claims (7)

  1. 후드(12)를 구비한 제1 하우징(10);
    전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탭(52)이 상기 후드(12)로 둘러싸여 있는 상태로 상기 제1 하우징(10)의 내측에 장착되는 수형 단자 피팅;
    상기 후드(12)의 내측에 감합되는 단자 피팅 수납부(81)와 상기 후드(12)의 외측에 감합되는 관형 감합부(82)를 구비하는 제2 하우징(80);
    상기 단자 피팅 수납부(81)의 내측에 수납된 암형 단자 피팅(85);
    상기 수형 단자 피칭이 상기 제1 하우징(10)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80)이 서로 감합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하우징(10) 상에 장착된 리테이너(60);
    상기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80)을 서로 감합할 때에 상기 관형 감합부(82)의 내측에 수납되도록 상기 리테이너(60) 상에 캔틸레버 형태로 지지된 판형의 연장된 검출부(70)로서, 상기 리테이너(60)가 제1 하우징(10) 상에 부정확하게 장착된 상태로 상기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80)을 함께 감합하는 작업이 실행될 때에 상기 관형 감합부(82)와 간섭하는 것인 연장된 검출부(70);
    상기 제1 하우징(10)의 외면 상에 형성된 감합 오목부(24);
    상기 연장된 검출부(70) 상에 형성되고, 상기 감합 오목부(24)에 감합되어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되는 것인 감합 볼록부(71)
    를 포함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10)의 상기 외면에 개구된 수납 챔버(17)가 상기 제1 하우징(10)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수납 챔버(17) 내에 서브 하우징(30)이 삽입되며;
    상기 수납 챔버(17)의 내면과 상기 서브 하우징(30)의 외면 사이의 갭이 상기 감합 오목부(24)로서 형성되는 것인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하우징(30)을 상기 수납 챔버(17) 내측에 유지하는 탄성적으로 유연한 로킹부(21)가 상기 서브 하우징(30)의 상기 외면 또는 상기 수납 챔버(17)의 상기 내면 상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킹부(21)는 상기 서브 하우징(30)을 상기 수납 챔버(17) 내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탄성적으로 휘어지고, 상기 서브 하우징(30)이 상기 수납 챔버(17) 내로 정확하게 삽입되면 원래의 상태로 탄성적으로 복원되며;
    상기 리테이너(60)가 상기 제1 하우징(10) 상에 정확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로킹부(21)의 휨 공간(37; flexing space)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검출부(72F)가 상기 연장된 검출부(70)에 형성되는 것인 커넥터.
  4. 절연성을 갖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에 서로 평행하게 수납된 적어도 한 쌍의 단자 피팅(50);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한 쌍의 단자 피팅(50)을 단락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단락 단자(40);
    절연성을 갖고 상기 단락 단자(40)를 유지하는 서브 하우징(30);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의 외측면에 장착/분리 개구부(18)로서 개구되는 수납 챔버(17)로서, 상기 서브 하우징(30)이 상기 한 쌍의 단자 피팅(50)이 배치되는 방향과 평행하게 삽입되는 것인 수납 챔버(17)
    를 포함하는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 단자(40)는 한 쌍의 상기 단자 피팅(50)과 접촉하는 2개의 탄성 접촉편(43)과 이들 탄성 접촉편(43)을 서로 접속시키는 접속부(41)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부(41)는 상기 서브 하우징(30) 내에 수납되고, 상기 탄성 접촉편(43)은 상기 서브 하우징(30)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인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접촉편(43)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상기 서브 하우징(30)의 외면에서 분리 방지부(36F, 36R)가 돌출하고, 이 분리 방지부(36F, 36R)는 상기 서브 하우징(30)이 상기 수납 챔버(17)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납 챔버(17)의 로킹부(21)에 로크되는 것인 커넥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챔버(17)의 내면 및 상기 서브 하우징(30)의 외면 각각에, 상기 서브 하우징(30)이 상기 수납 챔버(17)에 대하여 장착 및 분리되는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오삽입 방지부(22)가 형성되고, 이 오삽입 방지부(22)는, 상기 서브 하우징(30)이 정확한 위치 관계로 상기 수납 챔버(17) 내에 삽입될 때에만 요철 관계로 서로 감합되는 것인 커넥터.
KR1020110091244A 2010-09-15 2011-09-08 커넥터 KR201200288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07162 2010-09-15
JP2010207162A JP5594008B2 (ja) 2010-09-15 2010-09-15 コネクタ
JP2010207165A JP5440462B2 (ja) 2010-09-15 2010-09-15 コネクタ
JPJP-P-2010-207165 2010-09-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821A true KR20120028821A (ko) 2012-03-23

Family

ID=45885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1244A KR20120028821A (ko) 2010-09-15 2011-09-08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8366493B2 (ko)
KR (1) KR20120028821A (ko)
CN (1) CN1024036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40453B2 (ja) * 2010-09-01 2014-03-1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896754B2 (ja) * 2012-01-19 2016-03-3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3229154A (ja) * 2012-04-25 2013-11-07 Hirose Electric Co Ltd 電源電極用の接続部材
JP5947662B2 (ja) * 2012-08-09 2016-07-0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783468B2 (ja) * 2012-10-29 2015-09-2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5060628A (ja) * 2013-09-17 2015-03-3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5580216A (zh) * 2013-09-18 2016-05-11 富加宜(亚洲)私人有限公司 包括极性件的电连接器组件
JP6443098B2 (ja) * 2015-02-06 2018-12-2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JP6523221B2 (ja) * 2016-07-29 2019-05-2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27146B2 (ja) * 2016-07-29 2018-11-2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92042B2 (ja) * 2016-09-13 2019-03-2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11264754B2 (en) 2017-03-01 2022-03-01 Molex, Llc Electrical terminal and connector assembly
US10283904B2 (en) * 2017-08-04 2019-05-07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JP6839293B2 (ja) * 2017-08-31 2021-03-03 矢崎総業株式会社 部材の係止構造
CN109616829B (zh) * 2017-10-04 2020-04-24 矢崎总业株式会社 连接器
CH714248B1 (de) * 2017-10-16 2023-03-15 Landis & Gyr Ag Mehrteiliges Gehäuse für Verbrauchszähler sowie Sicherungseinrichtung für mehrteilige Gehäuse.
KR102647188B1 (ko) * 2018-11-14 2024-03-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장치
JP7236034B2 (ja) * 2019-10-23 2023-03-0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分岐用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4139B2 (ja) * 1993-11-26 1999-06-2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3391419B2 (ja) * 1994-04-20 2003-03-3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3278047B2 (ja) * 1997-08-18 2002-04-3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3327178B2 (ja) * 1997-08-26 2002-09-2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3852648B2 (ja) * 1998-12-09 2006-12-0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3502787B2 (ja) * 1999-05-19 2004-03-0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3494285B2 (ja) * 1999-10-21 2004-02-0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2042969A (ja) * 2000-07-26 2002-02-08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4089179B2 (ja) * 2001-06-06 2008-05-2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8140571A (ja) * 2006-11-30 2008-06-19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EP1986284B1 (en) 2007-04-23 2014-08-20 Sumitomo Wiring Systems, Ltd. A connector and an assembling method therefor
JP4636050B2 (ja) 2007-04-27 2011-02-2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1048945A (ja) * 2009-08-25 2011-03-10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66493B2 (en) 2013-02-05
US8485836B2 (en) 2013-07-16
US20130040488A1 (en) 2013-02-14
CN102403610A (zh) 2012-04-04
CN102403610B (zh) 2014-07-16
US20120225574A1 (en) 2012-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8821A (ko) 커넥터
US7618274B2 (en) Shorting terminal, a connector and an assembling method therefor
US9577382B2 (en) Connector
US7591668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JP5637023B2 (ja) ダミー栓
US7476123B2 (en) Connector with a connection detector having an operating plate that is pushed during connection
JP4985206B2 (ja) コネクタ及びショート端子
US6942510B2 (en) Connector and a connector system
KR20090059062A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CN110197969B (zh) 连接器
EP1801925B1 (en) A connector
KR20120036754A (ko) 커넥터
US9160084B2 (en) Connector
US11791584B2 (en) Connector having improved holding force for retainer
US20230042440A1 (en) Connector
KR101690801B1 (ko) 커넥터
JP5594008B2 (ja) コネクタ
US10741959B2 (en) Connector
US20230044751A1 (en) Connector
US20230029881A1 (en) Connector
US11296461B2 (en) Connector with first and second housings, a detector separate from the housings and a biasing member that accummulates a biasing force as the detector moves toward a detection position
JP5440462B2 (ja) コネクタ
US20210044062A1 (en) Connector
WO2019026563A1 (ja) コネクタ
JP2012238470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