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1389A - 수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1389A
KR20120021389A KR1020100073323A KR20100073323A KR20120021389A KR 20120021389 A KR20120021389 A KR 20120021389A KR 1020100073323 A KR1020100073323 A KR 1020100073323A KR 20100073323 A KR20100073323 A KR 20100073323A KR 20120021389 A KR20120021389 A KR 20120021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orghum
inhibitory activity
moench
amyl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3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6824B1 (ko
Inventor
김영호
오인택
이동규
전도연
서명철
남민희
오병근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73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6824B1/ko
Publication of KR20120021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1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6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6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수수 추출물의 탄수화물 소화효소인 α-아밀라아제 및 α-글루코시다제에 대한 탁월한 저해활성 및 식후 혈당 증가 완화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의 제공으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Sorghum bicolor L. Moench as an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
본 발명은 수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Brands K, Colvin E, Williams LJ., Wang R, Lock RB, Tuch BE. (2008) Reduced immunogenicity of first-trimester human fetal pancreas. Diabetes 57:627-634
[문헌 2] Brunmair B, Gras F, Neschen S, Roden M, Wagner L, Waldhausl W, Furnsinn C. (2001) Direct thiazolidinedione action on isolated rat skeletal muscle fuel handling is independent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γ-mediated changes in gene expression. Diabetes 50:2309-2315
[문헌 3] Chen X, Zheng Y, Shen Y. (2006) Voglibose (Basen, AO-128), one of the most important α-glucosidase inhibitors. Curr Med Chem. 13:109-116
[문헌 4] Cryer DR, Nicholas SP, Henry DH, Mills DJ, Stadel BV. (2005) Comparative outcomes study of metformin intervention versus conventional approach the COSMIC Approach Study. Diabetes Care 28:539-543
[문헌 5] Fineman MS, Bicsak TA, Shen LZ, Taylor K, Gaines E, Varns A, Kim D, Baron AD. (2003) Effect on glycemic control of exenatide (synthetic exendin-4) additive to existing metformin and/or sulfonylurea treatment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Diabetes Care 26:2370-2377
[문헌 6]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239-243
[문헌 7] Jeong IK, Chung JH, Min YK, Lee MS, Lee MK, Kim KW, Chung YE, Park JY, Hong SK, Lee KU. (2002) Comparative study about the effects of acarbose and voglibose in type 2 diabetic patients. Korean Diabetes J. 26;134-146
[문헌 8] Kim YM, Jeong YK, Wang MH, Lee WY, Rhee HI. (2005) Inhibitory effect of pine extract on alpha-glucosidase activity and postprandial hyperglycemia. Nutrition 21:756-761
[문헌 9] Large V, Beylot M. (1999) Modifications of citric acid cycle activity and gluconeogenesi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es and effects of metformin. Diabetes 48:1251-1257
[문헌 10] Laube H. (2002) Acarbose: an update of its therapeutic use in diabetes treatment. Clin Drug Invest. 22:141-156
[문헌 11] Lee BB, Park SR, Han CS, Han DY, Park E, Park HY, Lee SC. (2008)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ion activity against α-amylase and α-glucosidase of Viola mandshurica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405-409
[문헌 12] Moller DE. (2001) New drug targets for type 2 diabetes and the metabolic syndrome. Nature 414, 821-827
[문헌 13] Musi N, Hirshman MF, Nygren J, Svanfeldt M, Bavenholm P, Rooyackers O, Zhou G, Williamson JM, Ljunqvist O, Efendic S, Moller DE, Thorell A, Goodyear LJ. (2002) Metformin increases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ctivity in skeletal muscle of subjects with type 2 diabetes. Diabetes 51:2074-2081
[문헌 14] Park H, Hwang KY, Kim YH, Oh KH, Lee JY, Kim K. (2008) Discovery and biological evaluation of novel alpha-glucosidase inhibitors with in vivo antidiabetic effect. Bioorg Med Chem Lett. 18:3711-3715
[문헌 15] Soh H, Lee S, Ha Y. (2002) Total lipid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Setaria italica, Panicum miliaceum and Sorghum bicolo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2:123-128
[문헌 16] Tosi F, Muggeo M, Brun E, Spiazzi G, Perobelli L, Zanolin E, Gori M, Coppini A, Moghetti P. (2003) Combination treatment with metformin and glibenclamide versus single-drug therapies in type 2 diabetes mellitus: a randomized, double-blind, comparative study. Metabolism 52:862-867
[문헌 17] United Kingdom Prospective Diabetes Study (UKPDS) Group (1998) Intensive blood-glucose control with sulphonylureas or insulin compared with conventional treatment and risk of complications in subjects with type 2 diabetes (UKPDS 33). Lancet 352:837-853
[문헌 18] Vidal-Puig A, O'Rahilly S. (2001) Metabolism. Controlling the glucose factory. Nature 413:125-126
[문헌 19] Wilson JJ, Ingledew WM. (1982)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chwanniomyces alluvius amylolytic enzymes. Appl Environ Microbiol. 44:301-307
[문헌 20]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작물정보센터
당뇨병은 혈중 포도당 수준이 높은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대사질환이다. 전 세계적으로 당뇨병은 1억 8천만 명의 사람들이 앓고 있으며, 2030년에는 두 배 이상으로 환자수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최근에는 당뇨병 환자수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발병 연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당뇨병은 2가지로 분류되고 있는데, 제 1형 당뇨병은 췌장에서 인슐린의 생성과 분비를 담당하는 β세포가 자가면역질환에 의하여 손상을 입어 인슐린이 분비되지 않는 것이 그 원인이다. 따라서 혈중 포도당이 세포내로 흡수가 일어나지 않아 당뇨병으로 연결된다 (Brands et al., 2008). 반면에, 전체 당뇨병의 약 90%를 차지하고 있는 제 2형 당뇨병은 췌장의 β세포에 의해 인슐린의 분비는 정상적으로 일어나지만, 인슐린의 활성 또는 간이나 근육세포에 대한 인슐린의 작용력이 떨어져서 혈당 강하작용이 제대로 일어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질환이다. 제 1형 당뇨병을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제 2형 당뇨병을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이라고 한다 (Moller, 2001; Vidal-Puig et al., 2001).
현재 임상에서 당뇨병의 치료제로는 설포닐우레아 (sulfonylurea)계통, 비구아니드 (biguanide)계통, 치아졸리딘다이온 (thiazolidinedione)계통, 그리고 α-아밀라아제 (amylase) 저해제 및 α-글루코시다제 (glucosidase) 저해제 계통의 약제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 작용기전으로서, 설포닐우레아 (Sulfonylurea) 계통의 약제는 췌장의 β세포의 수용체와 결합하여 세포내에 Ca2 +를 증가시키고 그 결과 사이토스켈레톤 (cytoskeleton)에 영향을 미쳐 세포 밖으로의 인슐린 과립의 유출을 자극하여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킨다 (UKPDS group, 1998; Fineman et al., 2003). 비구아니드 (Biguanide)계통의 약제는 간에서의 포도당신생 (gluconeogenesis)을 감소시키고 근육세포에서의 AMP 키나아제(kinase) (AMPK) 활성을 증대시켜 글루코오스 (glucose)의 소비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Large et al., 1999; Cryer et al., 2005; Musi et al., 2002). 치아졸리딘다이온 (Thiazolidinedione)계통의 약제는 인슐린 표적세포의 핵내에 존재하는 전사인자인 PPAR-γ와 결합하여 인슐린에 반응하는 여러 종류의 단백질 합성을 촉진시켜 인슐린의 작용을 증진시키는 작용을 한다 (Brunmair et al., 2001; Moller, 2001). 이를 통해 제2형 당뇨병의 주된 원인인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해 준다. 또한, α-아밀라아제 (amylase) 저해제 및 α-글루코시다제 (glucosidase) 저해제 계통의 약제는 탄수화물이 소화효소에 의해 단당류로 가수분해되는 것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므로 식후 혈당 상승을 완만하게 한다 (Chen et al., 2006; Moller, 2001). 대부분 당뇨병 치료과정에 있어서는 이러한 약제들을 두 가지 이상 동시에 조합하여 사용하여, 그 결과 약제 서로간의 상승효과에 의해 혈당이 효과적으로 저하되도록 한다 (Tosi et al., 2003).
한편, α-아밀라아제 (amylase) 저해제 및 α-글루코시다제 (glucosidase) 저해제와 같은 탄수화물 소화 억제제는 식후 체내 혈당의 급격한 상승을 완화시키므로 당뇨병 환자의 치료에 유용한 약제로 알려져 있다. 현재 당뇨병 치료를 위해 상용되는 탄수화물 소화 억제제로는 아카보스 (acarbose) (도 1A 참조)와 보글리보스 (voglibose) (도 1B 참조)가 알려져 있다. 아카보스 (acarbose)는 슈도테트라사카라이드 (pseudotetrasaccharide)의 일종으로 올리고사카라이드 (oligosaccharide)와 유사한 구조를 지니고 있어서 탄수화물 분해효소인 α-아밀라아제 (amylase), 글루코아밀라아제 (glucoamylase), 인베르타아제 (invertase), 덱스트라나아제 (dextranase), α-글루코시다제 (glucosidase), 말타아제 (maltase)의 기질에 대한 효소작용을 경쟁적으로 저해하며, 각 효소들과의 친화력은 왼쪽의 α-아밀라아제 (amylase)의 경우가 가장 강하며 오른쪽 α-글루코시다제 (glucosidase) (maltase)의 경우는 가장 약하다. 또한, 아카보스 (acarbose)는 인베르타아제 (invertase)에 대한 친화력이 수크로오스 (sucrose)에 비해 104~105배 정도 강하지만, 아이소말타아제 (isomaltase) 및 β-글루코시다제 (glucosidase)와는 친화력이 매우 낮거나 없어서 아이소말타아제 (isomaltase)와 β-글루코시다제 (glucosidase)에 대한 저해효과는 크지 않다 (Laube, 2002). 한편, 보글리보스 (voglibose)는 발리올아민 (valiolamine) 유도체의 일종으로 모노사카라이드 (monosaccharide)와 유사한 구조이며 α-글루코시다제 (glucosidase)는 효과적으로 저해하지만 α-아밀라아제 (amylase)는 저해하지 못한다 (Chen et al., 2006).
식후 혈당의 갑작스런 증가를 완화하기 위해 α-아밀라아제 (amylase) 저해제 및 α-글루코시다제 (glucosidase) 저해제를 복용하면 그 영향으로 탄수화물의 소화 및 흡수가 원활하지 못하므로 소화되지 못한 탄수화물을 이용하는 장내 세균의 수가 증가한다. 또한 소화되지 못한 탄수화물과 당류는 결장의 세균 유래 효소에 의해 분해된 뒤 대사되어 아세틱엑시드 (acetic acid), 뷰티릭엑시드 (butyric acid), 락틱엑시드 (lactic acid)와 같은 유기산 생성에 관여하게 된다. 생성된 유기산들은 장내의 pH를 저하시키며 삼투압을 증가시켜 설사와 복통을 유발할 수 있으며, 또 다른 대사부산물인 이산화탄소, 메탄 등의 기체는 복부 팽만감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Jeong et al., 2002).
수수 (Sorghum bicolor L. Moench)는 일년생 혹은 다년생 화본과작물로 종실은 영과 (穎果)이며 단단하고 광택 있는 받침껍질에 싸여 있다. 종근은 1본이며, 제4엽이 신장할 때부터 최하절에서 관근이 발생하고 심근성이며 흡비력, 내건성이 강하다. 줄기와 잎은 단간인 것은 간장이 1m 내외이고, 장간인 것은 2?3m에 달한다. 절수는 8?13마디로서 보통 10마디 내외이고, 줄기의 내부에는 속이 차있다. 줄기의 표면은 지압이 현저하고, 충해나 상처를 입은 곳에는 적갈색의 색소가 형성된다. 잎이 크며 길이가 1m, 나비는 5㎝정도이며, 중륵이 희고 뚜렷하다. 엽이는 없고 엽설은 흑갈색의 환장막편이며, 립모가 있다. 이삭은 수경은 굵은 것이 많으며, 약 10마디가 있는데, 각 마디에서 5?6개의 지경이 윤생하고, 다시 2?3차의 지경이 착생하여 소수를 단다. 일수립수는 1,462?3,985립이고 평균 2,747립 정도라고 한다.
품종은 정리되어 있지 않으며 재래종이 재배되고 있다. 비교적 키가 크며, 이삭은 개산형인 것부터 밀수형인 것까지 있고, 찰수수와 메수수가 있다. 황금찰수수 (黃金)는 재래종으로부터 순계 분리된 품종으로 2004년 육성 되었다. 찰수수로 조생종에 속하며, 키는 160cm정도며, 이색의 형태는 밀수형이고, 종실의 색은 붉은색이다. 대풍수수 (大豊)는 재래종으로부터 순계 분리된 품종으로 2007년 육성되었다. 메수수로 형태적 특성은 황금찰수수와 비슷하나 키가 20cm 정도 더 크다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작물정보센터 http://www.nics.go.kr/).
우리나라는 현재 논농사 위주의 농업형태를 취하고 있으므로 전통 잡곡류의 재배 및 수확은 미약하며, 잡곡류는 별식이나 주식의 혼반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Soh et al., 2002). 최근 들어 건강기능성 웰빙식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잡곡류의 기능성에 대한 관심, 잡곡의 재배 및 소비도 증가 추세에 있다. 그러나 잡곡류의 생리활성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매우 부족하며, 특히 비만 및 당뇨병과 관련된 잡곡류의 효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생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식후 급격한 혈당 상승을 억제하는 작용이 우수한 물질을 찾고자, 수수 추출물의 약리학적 효과를 실험한 결과, 수수 추출물의 탁월한 α-아밀라아제 (amylase)와 α-글루코시다제 (glucosidase) 저해 활성 및 식후 혈당 상승 억제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수수(Sorghum bicolor L. Moench)는 찰수수 (Sorghum bicolor L. Moench var. Chal), 황금찰수수 (Sorghum bicolor L. Moench var. Hwanggeumchal) 및 흰찰수수 (Sorghum bicolor L. Moench var. Huinchal)을 포함하는 수수의 조추출물,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조추출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60~90% 에탄올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은 물, 메탄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되어진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부탄올, 보다 바람직하게는 부탄올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은 헥산, 메틸렌 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바람직하게는 헥산, 메틸렌 클로라이드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보다 바람직하게는, 헥산 또는 메틸렌 클로라이드 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당뇨병은 제1형 또는 제2형 당뇨병, 바람직하게는 제2형 당뇨병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수수 추출물은 하기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수수를 세척 및 세절 후 1분 내지 30분, 바람직하게는 5분 내지 20분간 마쇄하여 60% 내지 90% 에탄올을 수회 섞은 다음에 3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의 온도에서 환류추출하여 얻은 상기 추출액을 1,000rpm 내지 20,000rpm, 바람직하게는 5,000rpm 내지 15,000rpm의 속도로 5분 내지 30분, 바람직하게는 10분 내지 2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만을 따로 모아 감압 농축, 건조하여 본 발명의 수수 조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극성용매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은 상기에서 얻은 조추출물,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0% 에탄올 조추출물 중량의 약 0.0005 내지 0.005배,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5배 부피 (v/w%)의 물을 가한 후, n-헥산, 메틸렌 클로라이드, 에틸 아세테이트 및 부탄올을 이용한 통상적인 분획과정을 수행하여 n-헥산, 메틸렌 클로라이드, 에틸 아세테이트 등의 비극성 용매에 가용한 비극성 용매 가용 추출 분획물; 및 부탄올, 물 등의 극성용매에 가용한 극성용매 가용 추출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수득되는 수수 추출물을 대상으로 한 α-아밀라아제 (amylase) 및 α-글루코시다제 (glucosidase)의 탁월한 저해활성 효과 확인 및 식후 혈당 상승 억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의 제공에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수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수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수수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1 내지 50중량%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수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분획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 (sucrose) 또는 락토오스 (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일 0.5 g/kg 내지 5 g/kg으로, 바람직하게는 1 g/kg 내지 3 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당뇨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1 내지 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수수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수 추출물은 탄수화물의 소화효소인 α-아밀라아제 (amylase) 및 α-글루코시다제 (glucosidase)의 효소작용을 탁월하게 억제하는 효과 및 식후 혈당 증가를 완화하는 효과를 보여 당뇨병의 치료 및 예방의 유용한 약학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아카보스 (acarbose) 와 보글리보스 (voglibose)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2는 다양한 용매를 이용한 80% 에탄올 추출물의 분류 도식을 나타내는 도이고,
도 3은 α-아밀라아제 (amylase)에 대한 다양한 잡곡의 80% 에탄올 추출물의 저해활성을 나타내는 도이고,
도 4는 0.125 ~ 1 mg/ml 농도에서 α-아밀라아제 (amylase)에 대한 (A) 찰수수와 기장 (B) 흰찰수수와 메조의 80% 에탄올 추출물의 저해활성을 나타내는 도이고,
도 5는 α-아밀라아제 (amylase)에 대한 (A) 찰수수와 기장 (B) 흰찰수수와 메조의 유기 용매 분획물의 저해활성을 나타내는 도이고,
도 6은 찰수수의 메틸렌 클로라이드 (methylene chloride) 분획물의 열에 대한 안정성 조사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7은 찰수수의 메틸렌 클로라이드 (methylene chloride) 분획물의 산에 대한 안정성 조사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8은 α-글루코시다제 (glucosidase)에 대한 수수 및 다양한 잡곡의 에탄올 추출물의 저해활성을 나타내는 도이고,
도 9는 다양한 농도에서 α-글루코시다제 (glucosidase)에 대한 황금찰수수의 에탄올 추출물의 저해활성을 나타내는 도이고,
도 10은 α-글루코시다제 (glucosidase)에 대한 황금찰수수의 유기 용매 분획물의 저해활성을 나타내는 도이고,
도 11은 α-글루코시다제 (glucosidase)에 대한 찰수수와 식용피의 유기 용매 분획물의 저해활성을 나타내는 도이고,
도 12는 (A) 다양한 곡물의 80% 에탄올 추출물 (B) 찰수수, 황금찰수수, 식용피, 메조의 유기 용매 분획물에서 총 페놀화합물의 정량을 나타내는 도이고,
도 13은 황금찰수수의 80% 에탄올 추출물의 식후 혈당 수준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참고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시약 및 기기
1-1. 수수 조추출물 추출 시 사용한 시약 및 기기
수수의 추출과 분획에 사용한 용매는 (95% ethanol (Duksan), 99.5% methylene chloride, 99.5% ethyl acetate, 96.0% n-hexane, 99.0% n-butanol (동양제철화학))을 사용하였으며, 사용한 기기는 회전 감압농축기(Rotary vacuum evaporator; Heidolph LR 4000, Germany), aspirator (Eyela A-3S, Japan)를 사용하였다.
1-2. 실험에 사용한 작물의 획득
실험에 사용한 수수는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경남 밀양)로부터 제공받았다. 수수는 종자와 피가 있는 조곡의 형태와 피를 벗기고 종자만 남은 정곡의 형태로 분류하였다. 찰수수 (정곡), 황금찰수수 (조곡), 흰찰수수 (조곡)를 각각 1 kg씩 제공받았다(표 1 참조).
No 작물명 시료형태 시료량(kg)
1 기장 정곡 1
2 노랑찰기장 조곡 1
3 찰수수 정곡 1
4 황금찰수수 조곡 1
5 흰찰수수 조곡 1
6 노란차조 정곡 0.4
7 메조 정곡 1
8 청차조 정곡 1
9 청차조 조곡 1
10 황금조 조곡 1
11 식용피 조곡 0.1
12 율무 정곡 1
13 정곡 1
실시예 1. 수수의 추출 및 분획
1-1. 수수 조추출물의 분리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경남 밀양)로부터 제공받은 수수의 종자 250~500g을 세척 후 Blender 7012 (Dynamics Corporation, USA)로 10분간 마쇄하여 80% 에탄올 1000ml를 3회 (1회에 3시간씩) 섞은 다음에 80℃의 온도에서 환류냉각장치 (Corning 2560-400, USA)를 이용한 환류추출법을 수행하여 얻은 상기 추출액을 10,000 rpm의 속도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만 따로 모아 회전식 감압농축기 (rotary vacuum evaporator, Heidolph LR 4000, Germany)로 감압 농축, 건조하여 80% 에탄올 수수 추출물(이하 “SS-2” 라 명명 함) 23g(수율 5.75%)을 수득하였다 (도 2 ; 표 2 참조).
1-2. 극성 용매 및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의 분획
실시예 1-1에서 얻은 80% 에탄올 추출물의 소량을 남기고 나머지를 물 500 ml에 녹여서 (녹지 않는 부분을 n-헥산에 녹여 수층에 넣고 계속 분획하였다.) n-헥산 (500 ml × 3 회)을 붓고, 분별이 이루어진 후에 n-헥산층을 농축하여 n-헥산 분획 (이하 “SS-2HE” 라 명명 함)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 수층을 메틸렌 클로라이드 (500 ml × 3 회)로 추출하였으며, 메틸렌 클로라이드 층을 농축하여 메틸렌 클로라이드 분획 (이하 “SS-2MC” 라 명명 함)을 얻었다. 이어서 수층을 에틸 아세테이트 (500 ml × 3 회)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농축하여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 (이하 “SS-2EA” 라 명명 함)을 각각 얻었다. 이어서 상기 수층을 n-부탄올 (500 ml × 3 회)로 추출하여 농축하여 n-부탄올 분획(이하 “SS-2BU” 라 명명 함)을 얻었다. 최종적으로 남은 상기 수층 또한 농축하여 수층분획 (이하 “SS-2WA” 라 명명 함)을 얻었다 (도 2 ; 표 2 참조).
** Dry weight of ethanol extracts and various organic solvent fractions (gram)
No 잡 곡 추출량 Ethanol Hexane Methylene chloride Ethyl acetate n-Butanol d'H 2 O
1 기장 정곡 500 28.3 - 3.81 0.05 0.48 0.62
2 노랑찰기장 조곡 500 26.48 3.08 0.75 0.97 0.80 1.10
3 찰수수 정곡 400 23.31 1.82 1.25 0.18 0.83 0.66
4 황금찰수수 조곡 400 23.24 2.28 0.34 0.77 1.52 4.49
5 흰찰수수 조곡 500 22.17 2.45 1.75 0.27 1.40 2.71
6 노란차조 정곡 250 15.01 1.23 0.79 0.67 2.61 1.28
7 메조 정곡 500 34.3 2.86 7.18 1.69 1.99 1.09
8 청차조 정곡 500 40.34 3.04 3.68 0.60 9.32 5.93
9 청차조 조곡 500 17.63 2.29 0.85 0.33 3.19 3.16
10 황금조 조곡 500 29.01 1.47 0.51 0.31 1.37 1.79
11 식용피 조곡 63 2.24 0.58 0.27 0.13 0.54 0.77
12 율무 정곡 500 37.96 0.89 1.65 0.72 0.68 2.32
13 팥 정곡 500 24.75 0.15 6.34 0.19 1.57 10.2
참고예 2. 시약 및 기기
2-1. 탄수화물 소화효소 실험에 사용한 물질 및 기기
α-Amylase (from human salivary, A1031), α-glucosidase (from Brewer's yeast, G4634), 기질로 사용한 soluble starch, p-nitrophenyl-a-D-glucopyranoside와 이 두 효소의 저해제로 알려진 표준물질인 아카보스 (acarbose, A8980)는 Sigma (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수수의 추출물에 함유된 폴리페놀화합물의 정량에 사용한 Folin-Ciocalteu's phenol reagent는 Fluka (Sigma-Aldrich, Schweiz, Switzerland)에서 구입하였고, 폴리페놀화합물 표준물질로 사용한 tannic acid는 Avondale Laboratories (Oxon, England)로부터 구입하였다.
2-2. 식후 혈당 상승 억제 효과 실험에 사용한 실험동물의 준비
6 주령의 웅성 ICR 마우스는 효창바이오사이언스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동물은 공복 혈당 측정 전에 16시간 동안 절식시켰다. 음수공급은 절식하는 동안에도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동물은 아래와 같이 3개의 실험군으로 나누었으며, 각 실험군은 group 당 5마리의 마우스로 구성되었다.
- Group 1: 대조군 (가용성 전분: 2 g/kg)
- Group 2: 가용성 전분 (2 g/kg)과 황금찰수수 (조곡)의 에탄올 추출물
(100 mg/kg) 투여군
- Group 3: 가용성 전분 (2 g/kg)과 아카보스 (100 mg/kg) 투여군.
실험예 1. α- 아밀라아제 저해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시료들의 α-아밀라아제 저해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문헌에 개시된 방법을 응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Wilson et al., 1982).
1-1. 수수 에탄올 추출물의 α- 아밀라아제 저해활성
인체 타액 유래의 α-아밀라아제는 PBS (Gibco 21600-010, USA)에 40 unit/ml로 용해시키고, α-아밀라아제의 기질로써 가용성 전분을 PBS에 1% 농도로 녹여서 사용하였으며, 또한 α-아밀라아제에 대한 저해제로써 수수의 에탄올 추출물과 각 유기용매 분획물을 1 mg/ml 농도로 디메틸설폭사이드 (Dimethylsulfoxide; DMSO, Kanto chemical 10378-73, Japan)에 녹여 사용하였다. α-아밀라아제에 대한 저해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290 μl PBS, 10 μl α-아밀라아제 용액 (40 unit/ml) 및 50 μl 수수 추출물 (1 mg/ml)을 혼합한 후 37℃에서 10분간 전배양 (preincubation)을 실시하였다. 이후 기질인 1% 가용성 전분 용액을 350 μl를 첨가하고, 37℃의 온도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잔존하는 가용성 전분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반응액 (700 μl)에 5% 요오드화 칼륨 (potassium iodide)용액에 요오드 (I2)를 0.5%가 되도록 용해시킨 후, 0.05 N HCl 용액에 50배로 희석한 요오드 용액 (0.1% KI + 0.01% I2/0.05N HCl) 300 μl을 가하여 발색시키고 분광광도계 (Shimadzu UV-1650PC, Japan)를 이용하여 620 nm에서 흡광도 (optical density)를 측정하여 α-아밀라아제 저해활성을 조사하였다 (표 3 참조). 대조군 (control)은 기질인 가용성 전분과 효소인 α-아밀라아제, 그리고 수수 유래 에탄올 추출물 및 각 유기용매 분획 대신에 추출물을 녹이는데 사용한 용매인 DMSO를 가하였고, 시료군 (sample)에는 기질인 가용성 전분과 효소인 α-아밀라아제, 그리고 수수 유래 에탄올 추출물 및 각 유기용매 분획을 가하였다. 또한 블랭크 1 (blank 1)에는 기질인 가용성 전분과 수수 유래 80% EtOH 추출물 및 각 유기용매 분획 대신에 추출물을 녹이는데 사용한 용매인 DMSO를 가하였고, 블랭크 2 (blank 2)에는 기질인 가용성 전분과 수수 유래 에탄올 추출물 및 각 유기용매 분획을 가하였다. 한편, α-아밀라아제 저해제의 표준물질로서 아카보스도 50, 100 및 200 μg/ml의 농도로 DMSO에 녹여서 수수 유래 시료 대신에 가하여 α-아밀라아제 저해활성을 시료들과 비교 조사하였다. 그 결과, α-아밀라아제 저해활성은은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대조군 (control)의 흡광도와 블랭크 1 (blank 1)의 흡광도 차이에 대한 시료군 (sample)의 흡광도와 블랭크 2 (blank 2)의 흡광도의 차이의 비율을 먼저 계산한 다음, 그 값을 1에서 감한 후 100을 곱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Control Sample Blank 1 Blank 2
α-Amylase solution 10 μl 10 μl - -
PBS 290 μl 290 μl 300 μl 300 μl
Inhibitor (Cereal extract) - 50 μl - 50 μl
DMSO 50 μl - 50 μl -
Preincubate at 37℃ for 10 min
1% Soluble starch solution 350 μl 350 μl 350 μl 350 μl
Incubate at 37℃ for 30 min
I2 solution
(0.1% KI + 0.01% I2/0.05N HCl)
300 μl 300 μl 300 μl 300 μl
Read OD at 620 nm
Figure pat00001
상기 실험 결과, DMSO만을 첨가한 control 군에 비하여 찰수수의 에탄올 추출물 (1 mg/ml)은 α-아밀라아제에 대해 71.4%의 저해활성을 보여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도 3 참조).
이 중 찰수수 (정곡), 흰찰수수 (조곡)의 추출물을 각각 0.125 mg/ml ~ 1 mg/ml의 농도로 처리하여 농도별로 α-아밀라아제의 저해활성을 알아보았다. 찰수수 (정곡)의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0.125 mg/ml에서 3.9%, 0.25 mg/ml에서 11.7%, 0.5 mg/ml은 29.6%, 1 mg/ml에서 53.0%의 저해활성을 보였으며, 흰찰수수 (조곡)의 에탄올 추출물도 농도별로 실험하였을 때 흰찰수수 (조곡)는 각각 0.125 mg/ml, 0.25 mg/ml, 0.5 mg/ml, 1 mg/ml에서의 저해활성이 4.3%, 8.6%, 19.7%, 42.3%로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도 4B 참조).
1-2. 수수의 유기용매 분획물의 α- 아밀라아제 저해활성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한 실험에서 α-아밀라아제 저해율이 가장 높은 찰수수 (정곡)를 유기용매별로 분획한 다음, 그 분획물을 1 mg/ml 농도로 처리하여 실험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 찰수수 (정곡)의 유기용매별 분획물을 각각 1 mg/ml의 농도로 처리한 실험에서 에탄올 추출물이 61.7%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고, n-헥산과 메틸렌 클로라이드 분획물은 97.7%, 99.5%로 이 두 분획물은 α-아밀라아제의 활성을 강하게 저해하였으나 에틸 아세테이트 (EtOAc), n-부탄올 (BuOH) 분획물의 경우에는 각각 25.9%, 5.2%의 활성을 나타내어, n-헥산과 메틸렌 클로라이드 분획물보다 훨씬 낮은 저해활성을 보였고, 수층은 저해활성이 없었다 (도 5 참조).
또한 흰찰수수 (조곡)도 분획별 1 mg/ml 농도에서 α-아밀라아제 저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흰찰수수 (조곡)는 에탄올, n-헥산, 메틸렌 클로라이드, 에틸 아세테이트, 부탄올 분획물의 저해활성이 각각 46.6%, 93.5%, 95.9%, 63.2%, 13.8%로 나타났으며, 흰찰수수의 수층은 모두 α-아밀라아제에 대한 저해활성이 없었다 (도 5B 참조).
1-3. 찰수수의 메틸렌 클로라이드 분획물의 열과 산에 대한 안정성 조사
에탄올 추출물과 유기용매별 분획실험에서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던 찰수수 (정곡)의 메틸렌 클로라이드 분획물과 아카보스 200 μg/ml을 각각 15~60 분간 열처리하여 열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α-아밀라아제 저해율이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 실험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 찰수수의 메틸렌 클로라이드 분획물을 열처리한 시간과는 상관없이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열처리는 수수 메틸렌 클로라이드 분획물의 α-아밀라아제 저해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6 참조).
산 처리 (pH 2) 시간별로 찰수수 (정곡)의 메틸렌 클로라이드 분획물의 α-아밀라아제 저해 활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메틸렌 클로라이드 분획물과 아카보스 200 μg/ml을 각각 1 시간 또는 2 시간 동안 37℃의 온도에서 산 처리를 한 후 반응을 하였다. 산 처리 시간별로 α-아밀라아제의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α-아밀라아제의 활성은 산 처리에 의해 감소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써 찰수수의 메틸렌 클로라이드 분획물과 아카보스는 강한 산과 높은 온도에서도 α-아밀라아제에 대한 저해활성을 잃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7 참조).
실험예 2. α- 글루코시다제 ( glucosidase ) 저해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시료들의 α-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문헌에 개시된 방법을 응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Kim et al., 2005; Park et al., 2008; Lee et al., 2008).
2-1. 수수 에탄올 추출물의 α- 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
α-글루코시다제는 50 mM sodium phosphate buffer (pH 6.8) (Dawson 외, Data for biochimecal research 참조하여 제조) 에 10 unit/ml의 농도로 stock soltion을 만들고, 처리 시 0.25 unit/ml의 농도로 희석한 다음 20 μl 씩 처리하였다. 기질은 p-니트로페닐 (nitrophenyl)-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 (glucopyranoside)를 sodium phosphate buffer (50 mM, pH 6.8)에 3 mM의 농도로 녹여서 반응시켰다. 또한 α-글루코시다제에 대한 저해제로써 수수의 에탄올 추출물을 10 mg/ml의 농도로 DMSO에 용해시켜 사용하였다. 먼저, 96-well plate (Corning CLS3595, USA)에서 20 μl α-글루코시다제 희석액과 65 μl sodium phosphate buffer (50 mM, pH 6.8), 15μl 수수 에탄올 추출물을 혼합하고 37℃의 온도에서 10 분간 전 배양을 실시한 후 기질인 3 mM p-니트로페닐(nitrophenyl)-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 (glucopyranoside)용액 100 μl를 첨가하여 37℃의 온도에서 30분간 반응 하였다 (표4 참조). 반응 후에 microplate leader (Molecular devices Thermo max, USA)를 이용하여 405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저해율을 비교하였다. 이 때, 대조군(control)은 기질인 p-니트로페닐(nitrophenyl)-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 (glucopyranoside)와 효소인 α-글루코시다제, 그리고 수수 에탄올 추출물 및 각 유기용매 분획 대신 용매인 DMSO를 가하였고, 시료군 (sample) 에는 기질인 p-니트로페닐(nitrophenyl)-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 (glucopyranoside)와 효소인 α-글루코시다제, 그리고 수수 에탄올 추출물을 가하였다. 또한 블랭크 1 (blank 1)에는 기질인 p-니트로페닐(nitrophenyl)-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 (glucopyranoside)와 수수 에탄올 추출물 및 각 유기용매 분획 대신 용매인 DMSO를 가하였고, 블랭크 2 (blank 2)에는 기질인 p-니트로페닐(nitrophenyl)-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 (glucopyranoside)와 수수 에탄올 추출물을 가하였다. 한편, α-글루코시다제 저해제의 표준물질로써 아카보스도 5 mg/ml, 10 mg/ml의 농도로 DMSO에 녹여서 잡곡 유래의 시료 대신에 가하여 α-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을 시료들과 비교 조사하였다. 이때, 시료의 α-글루코시다제 저해능은 대조군 (control)의 흡광도와 블랭크 1 (blank 1)의 흡광도 차이에 대한 시료군 (sample)의 흡광도 블랭크 2 (blank 2)의 흡광도 차이의 비율을 먼저 계산한 다음, 그 값을 1에서 감한 후 100을 곱하여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백분율을 계산하여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Control Sample Blank 1 Blank 2
α-Glucosidase solution 20 μl 20 μl - -
Phosphate buffer (pH 6.8) 65 μl 65 μl 85 μl 85 μl
Inhibitor (Cereal extract) - 15 μl - 15 μl
DMSO 15 μl - 15 μl -
Preincubate at 37℃ for 10 min
3 mM p-Nitrophenyl-a-
D-glucopyranoside
100 μl 100 μl 100 μl 100 μl
Incubate at 37℃ for 30 min
Read OD at 405 nm
Figure pat00002
상기 실험 결과, 수수 80% 에탄올 추출물을 10 mg/ml로 처리하여 α-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을 비교해 본 결과 황금찰수수 (조곡)의 에탄올 추출물의 α-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이 90.8%의 저해활성을 보였으며 같은 양의 표준물질인 아카보스 (10 mg/ml)의 저해율인 51.6%보다 약 1.75 배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황금찰수수 (조곡)의 에탄올 추출물을 5 mg/ml의 농도로 처리하여 저해율을 확인한 결과 아카보스 5 mg/ml의 저해율 44.1%와 비슷한 47.0%의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도 8 참조).
에탄올 추출물 실험에서 가장 활성이 높았던 황금찰수수 (조곡)의 에탄올 추출물을 1.25, 2.5, 5, 10 mg/ml의 농도로 각각 처리하여 α-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을 알아보았다. 표준물질인 아카보스도 각각 5 mg/ml과 10 mg/ml의 농도로 처리하여 같이 반응을 시켰다. 그 결과 1.25 mg/ml의 농도에서는 9.4%, 2.5 mg/ml은 30.4%, 5 mg/ml은 39.0%, 10 mg/ml은 76.0%의 저해율을 보였으며, 이때 아카보스는 5 mg/ml에서 36.2%, 10 mg/ml은 51.1%의 저해율을 보였다. 황금찰수수 (조곡)의 에탄올 추출물은 10 mg/ml 농도에서 같은 농도의 아카보스에 비해 α-글루코시다제에 대한 저해활성이 약 1.5배 더 높았으며, 그리고 5 mg/ml에서는 아카보스 5 mg/ml 농도와 거의 유사한 저해활성을 보였다(도 9 참조).
2-2. 수수 유기용매 분획물의 α- 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
황금찰수수 (조곡)의 에탄올 추출물과 각 유기용매별 분획물을 120, 60, 30, 15 ㎍/㎖로 처리하여 각 분획별 저해활성을 확인하였다. 120 ㎍/㎖에서는 모든 분획물에서 α-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이 모두 60%이상 나타나 어느 분획의 활성이 가장 뛰어난지 명확하게 확인하기 위하여 60, 30 15 ㎍/㎖의 농도로 순차적으로 희석하여 활성을 비교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 30 ㎍/㎖으로 처리하여 활성을 비교해 본 결과, n-헥산 분획물이 86.8%, 메틸렌 클로라이드 분획물이 82.1%의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약 170배 더 진한 농도의 아카보스 5 mg/ml의 저해활성 24.3%보다도 약 3배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각 유기용매 분획물을 15 mg/ml로 희석하여 처리한 실험에서 n-헥산과 메틸렌 클로라이드 분획물의 저해활성은 각각 31.9%, 30.8%로 약 340배 높은 농도의 아카보스 5 mg/ml의 저해활성 28.4%와 비슷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로써, 황금찰수수의 유기용매 분획물은 여러 가지 물질들이 혼합된 혼합물임에도 단일물질인 아카보스 보다 약 340배 더 강력한 α-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을 나타냄을 보여주었다 (도 10 참조).
2-3. 찰수수의 유기용매 분획의 α- 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
α-아밀라아제 저해활성 실험에서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보인 찰수수 (정곡)의 유기용매 분획을 10, 5, 2.5 mg/ml로 각각 처리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 찰수수 (정곡)의 80% 에탄올 추출물은 10 mg/ml에서 18.3%의 저해활성을 나타낸 반면, 같은 농도의 n-헥산, 메틸렌 클로라이드,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은 각각 89.3%, 81.4%, 91.2%으로 같은 농도의 단일물질인 아카보스 10 mg/ml의 저해활성 58.9%에 비하여 약 1.5배 강한 활성을 보여주었다. 부탄올과 수층 분획물은 각각 14.7%, 24.5%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낮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도 11 참조).
실험예 3. 수수 추출물의 페놀화합물 정량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시료들의 80% 에탄올 추출물에 함유된 페놀화합물의 양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문헌에 개시된 방법을 응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Folin and Denis, 1912).
수수의 80% 에탄올 추출물 및 각 유기용매 분획물을 100 μl씩 분주한 후, Folin-Ciocalteu's phenol reagent (Sigma-Aldrich, Schweiz, Switzerland)를 500 μl씩 첨가하였다. 이 혼합액을 상온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 7.5%의 Na2CO3 (Hanawa 190-01825, Japan)용액을 400 μl씩 첨가하였다. 이 혼합액을 50℃에서 5 분간 반응시킨 후 13,200 rpm에서 2분간 원심분리기 (Eppendorf 5415R, Germany)로 원심분리하여 생성된 불용성 침전물을 제거하였다. 침전물이 제거된 용액을 분광광도계 (Shimadzu UV-1650PC, Japan)로 760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탄닌산 (tannic acid)을 표준물질로 이용하여 표준곡선 (standard curve)을 작성한 후, 수수 추출물의 흡광도를 공식에 대입하여 페놀화합물 (phenolic compounds)을 정량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 황금찰수수 (조곡)의 페놀화합물의 양이 121.1 μg/mg으로 가장 높은 페놀화합물이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찰수수 (정곡)에는 42.7 μg/mg의 페놀화합물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도 12A 참조). 황금찰수수 (조곡)와 찰수수 (정곡)의 유기용매 분획별 페놀화합물의 함량은 에틸 아세테이트와 부탄올 분획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α-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 실험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던 황금찰수수 (조곡)의 n-헥산, 메틸렌 클로라이드 분획물의 페놀화합물의 함량은 각각 56.2 μg/mg, 60.1 μg/mg로 상대적으로 α-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이 낮았던 에틸 아세테이트, 부탄올 분획의 255.2 μg/mg, 244.1 μg/mg에 비하여 4~5배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도 12B 참조). α-아밀라아제 저해활성이 높았던 찰수수의 n-헥산, 메틸 클로라이드 분획물의 페놀화합물의 함량은 각각 7.6 μg/mg, 14.6 μg/mg으로 상대적으로 저해활성이 낮았던 에틸 아세테이트, 부탄올 분획의 248.4 mg/mg, 159.5 mg/mg에 비하여 약 10배~30배 정도 적은 페놀화합물 함량을 나타내었다. 페놀화합물 정량결과와 α-아밀라아제 및 α-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을 비교해 보았을 때, 페놀화합물 함량이 높은 분획과 α-아밀라아제 및 α-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이 높은 분획이 일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수수 추출물에 함유된 성분으로서 α-아밀라아제 및 α-글루코시다제의 저해활성을 가지는 물질은 페놀화합물의 일종이 아님을 시사한다.
실험예 4. 황금찰수수의 80% 에탄올 추출물의 식후 혈당 상승 억제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시료들의 식후 혈당 상승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문헌에 개시된 방법을 응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Heo et al., 2009; Bagri et al., 2009; Kim et al., 2005).
황금찰수수 (조곡)의 80% 에탄올 추출물 (100 mg/kg body weight) 및 아카보스 (100 mg/kg body weight)는 가용성 전분 (2 g/kg body weight)과 함께 경구 투여하였다. 경구투여 후 0, 30, 60, 120 분에 마우스의 꼬리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식후혈당의 변화량을 측정하였다. 혈당 측정은 간이혈당계 (Accu Chek active Roche, 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상기 실험 결과, 가용성 전분만을 투여한 대조군의 혈당은 30분 후에 190.6 mg/dl, 60분 후에는 236.0 mg/dl까지 상승하였으며, 120분 후에 143.8 mg/dl로 감소하였다. 반면에 황금찰수수 (조곡)의 에탄올 추출물을 가용성 전분과 함께 투여한 실험군의 혈당은 30분 후에는 139.3 mg/dl이었고, 60분 후에는 183.0 mg/dl까지 상승하였으며, 120분 후에는 125.8 mg/dl까지 감소하여 가용성 전분만을 경구투여한 대조군과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아카보스를 100 mg/kg body weight의 용량으로 가용성 전분과 함께 투여한 실험군은 30분 후의 혈당이 121.0 mg/dl, 60분 후에는 130.3 mg/dl 120분 후에는 118.8 mg/dl로 나타나 아카보스는 식후혈당강하효과가 강한 것을 확인하였다 (도 13 참조).
하기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SS-2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SS-2HE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SS-2EA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SS-2MC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 (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SS-2WA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SS-2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SS-2HE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8)

  1. 수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수(Sorghum bicolor L. Moench)는 찰수수(Sorghum bicolor L. Moench var. Chal), 황금찰수수(Sorghum bicolor L. Moench var. Hwanggeumchal) 또는 흰찰수수(Sorghum bicolor L. Moench var. Huinchal)인 약학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수수의 조추출물,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추출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로부터 가용한 추출물인 약학조성물.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은 물, 에탄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되어진 용매로부터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은 헥산, 메틸렌 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또는 에틸아세테이트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7. 수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8. 제 7항에 있어서,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제 또는 음료인 건강기능식품.
KR1020100073323A 2010-07-29 2010-07-29 수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226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323A KR101226824B1 (ko) 2010-07-29 2010-07-29 수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323A KR101226824B1 (ko) 2010-07-29 2010-07-29 수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389A true KR20120021389A (ko) 2012-03-09
KR101226824B1 KR101226824B1 (ko) 2013-01-25

Family

ID=46129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3323A KR101226824B1 (ko) 2010-07-29 2010-07-29 수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682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200159A1 (ko) * 2013-06-13 2014-12-1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황금찰수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형성 및 뼈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1492798B1 (ko) * 2013-03-19 2015-02-13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수 종자의 혈당 강하 관련 펩티드 마커 및 이를 이용한 혈당 강하 수수종자 검정 방법
KR20190053731A (ko) 2017-11-10 2019-05-2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피수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74858B1 (ko) * 2021-10-25 2022-12-0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잡곡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당뇨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509276T1 (de) * 2003-08-13 2011-05-15 Ceapro Inc Diagnostische zusammensetzung für typ-2-diabetes und beeinträchtigte glucosetoleranz sowie verwendungsverfahren
US20080241282A1 (en) * 2006-06-21 2008-10-02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Sorghum Extract Composition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798B1 (ko) * 2013-03-19 2015-02-13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수 종자의 혈당 강하 관련 펩티드 마커 및 이를 이용한 혈당 강하 수수종자 검정 방법
WO2014200159A1 (ko) * 2013-06-13 2014-12-1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황금찰수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형성 및 뼈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20190053731A (ko) 2017-11-10 2019-05-2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피수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74858B1 (ko) * 2021-10-25 2022-12-0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잡곡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당뇨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6824B1 (ko) 2013-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25155A (ko) 무청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성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26824B1 (ko) 수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160141027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101282371B1 (ko) 자색고구마 추출물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 생성 및 축적 저해용 조성물
KR101070476B1 (ko) 흑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풍 또는 고요산혈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22779B1 (ko) 식용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070097868A (ko) 양파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1226881B1 (ko) 기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808808B1 (ko) 벌나무 및 후박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99398B1 (ko) 액상발효법을 이용한 산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산마늘 발효물을 포함하는 당뇨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34781B1 (ko) 파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50003665A (ko) 식방풍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조성물
KR102474858B1 (ko) 잡곡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당뇨용 조성물
KR20200101114A (ko) 구절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세포 보호용 건강기능식품
KR20130082249A (ko) 담쟁이 덩쿨 추출물을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US10961176B2 (en) Compound hexadecaphlorethol isolated from Ishige okamurae and use thereof
KR101370679B1 (ko) 고상발효법을 이용한 산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산마늘 발효물을 포함하는 당뇨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25572B1 (ko) 고욤나무 잎 및 포도송이 줄기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94302B1 (ko) 당뇨병 또는 고지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효한 매엽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포함된 조성물
KR100847355B1 (ko) 장군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30045344A (ko) 혈당강하 또는 항산화용 엉겅퀴 발효물, 이를 함유하는 당뇨 개선용 조성물
KR20100128668A (ko) 붉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240099515A (ko) 수수 추출물 및 메트포르민을 포함하는 항당뇨용 조성물
KR20240073215A (ko) 잡곡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고혈압용 조성물
KR20050003669A (ko) 종대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