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1042A - 항아폽토시스 단백질의 나프탈렌계 억제제 - Google Patents

항아폽토시스 단백질의 나프탈렌계 억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1042A
KR20120011042A KR1020117027167A KR20117027167A KR20120011042A KR 20120011042 A KR20120011042 A KR 20120011042A KR 1020117027167 A KR1020117027167 A KR 1020117027167A KR 20117027167 A KR20117027167 A KR 20117027167A KR 20120011042 A KR20120011042 A KR 20120011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bcl
subject
treatment
dis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7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우리치오 펠레치아
Original Assignee
샌포드-번햄 메디칼 리서치 인스티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샌포드-번햄 메디칼 리서치 인스티튜트 filed Critical 샌포드-번햄 메디칼 리서치 인스티튜트
Publication of KR20120011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0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9/00Ketones; Ketenes; Dimeric ketenes; Ketonic chelates
    • C07C49/76Ketones containing a keto group bound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49/82Ketones containing a keto group bound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containing hydroxy grou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pre-existing immune complex or autoimmune disease, i.e.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rheumatoid arthritis, multiple sclerosis, rheumatoid factors or complement components C1-C9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61P2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for myasthenia gra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6Antianaem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5/00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oxygen atoms
    • C07C235/42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oxygen atom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and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35/66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oxygen atom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and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with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being part of condensed ring systems and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1/00Amides of sulfonic acids, i.e. compounds having singly-bound oxygen atoms of sulfo groups replaced by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311/22Sulfon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 C07C311/29Sulfon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having the sulfur atom of at least one of the sulfon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9/00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hydroxy or O-meta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39/12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hydroxy or O-meta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polycyclic with no unsaturation outside the aromatic rings
    • C07C39/14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hydroxy or O-meta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polycyclic with no unsaturation outside the aromatic rings with at least one hydroxy group on a condensed ring system containing tw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9/00Ketones; Ketenes; Dimeric ketenes; Ketonic chelates
    • C07C49/76Ketones containing a keto group bound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49/82Ketones containing a keto group bound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containing hydroxy groups
    • C07C49/83Ketones containing a keto group bound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containing hydroxy groups polycyclic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7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 C07D277/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77/62Benzothiazoles
    • C07D277/64Benzothiazoles with only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in position 2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7/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aromatic r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01N33/57407Specifically defined canc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1/00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 C07C2601/02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with a three-membered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1/00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 C07C2601/06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with a five-membered ring
    • C07C2601/08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with a five-membered ring the ring being satur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1/00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 C07C2601/12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with a six-membered ring
    • C07C2601/14The ring being satur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2/00Systems containing two condensed rings
    • C07C2602/02Systems containing two condensed rings the rings having only two atoms in common
    • C07C2602/04One of the condensed rings being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602/08One of the condensed rings being a six-membered aromatic ring the other ring being five-membered, e.g. indan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12Q1/688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for canc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04Endocrine or metabolic disorders
    • G01N2800/042Disorders of carbohydrate metabolism, e.g. diabetes, glucose metabolis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04Endocrine or metabolic disorders
    • G01N2800/046Thyroid disor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06Gastro-intestinal diseases
    • G01N2800/065Bowel diseases, e.g. Crohn, ulcerative colitis, IB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10Musculoskeletal or connective tissue disor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10Musculoskeletal or connective tissue disorders
    • G01N2800/101Diffuse connective tissue disease, e.g. Sjögren, Wegener's granulomato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10Musculoskeletal or connective tissue disorders
    • G01N2800/101Diffuse connective tissue disease, e.g. Sjögren, Wegener's granulomatosis
    • G01N2800/102Arthritis; Rheumatoid arthritis, i.e. inflammation of peripheral joi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10Musculoskeletal or connective tissue disorders
    • G01N2800/101Diffuse connective tissue disease, e.g. Sjögren, Wegener's granulomatosis
    • G01N2800/104Lupus erythematosus [S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10Musculoskeletal or connective tissue disorders
    • G01N2800/105Osteoarthritis, e.g. cartilage alteration, hypertrophy of bo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12Pulmonary diseases
    • G01N2800/122Chronic or obstructive airway disorders, e.g. asthma COP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12Pulmonary diseases
    • G01N2800/127Bronchit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20Dermatological disorders
    • G01N2800/202Dermatit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20Dermatological disorders
    • G01N2800/205Scaling palpular diseases, e.g. psoriasis, pytiria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22Haematology
    • G01N2800/222Platelet disor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22Haematology
    • G01N2800/226Thrombotic disorders, i.e. thrombo-embolism irrespective of location/organ involved, e.g. renal vein thrombosis, venous thrombo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24Immunology or allergic disor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28Neurological disor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28Neurological disorders
    • G01N2800/2814Dementia; Cognitive disorders
    • G01N2800/2821Alzheim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28Neurological disorders
    • G01N2800/285Demyelinating diseases; Multipel sclero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32Cardiovascular disor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32Cardiovascular disorders
    • G01N2800/325Heart failure or cardiac arrest, e.g. cardiomyopathy, congestive heart fail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32Cardiovascular disorders
    • G01N2800/328Vasculitis, i.e. inflammation of blood vess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34Genitourinary disorders
    • G01N2800/347Renal failures; Glomerular diseases; Tubulointerstitial diseases, e.g. nephritic syndrome, glomerulonephritis; Renovascular diseases, e.g. renal artery occlusion, nephropath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52Predicting or monitoring the response to treatment, e.g. for selection of therapy based on assay results in personalised medicine; Prognosis

Abstract

염증을 치료하기 위해 아포고시폴 및 이의 유도체를 사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하기 구조 A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95

[상기 식 중,
R은 각각 독립적으로 H, C(O)X, C(O)NHX, NH(CO)X, SO2NHX 또는 NHSO2X이고;
X는 수소, 알킬, 치환 알킬, 아릴, 치환 아릴, 알킬아릴, 치환 알킬아릴, 헤테로사이클 또는 치환 헤테로사이클이다].
A 기의 화합물을 다양한 질환 또는 장애, 예컨대 암을 치료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항아폽토시스 단백질의 나프탈렌계 억제제{NAPHTHALENE-BASED INHIBITORS OF ANTI-APOPTOTIC PROTEINS}
본 공개내용은 일반적으로 각종 장애, 질환 및 병리학적 병증을 치료하기 위한, 더 구체적으로 암, 자가면역 질환 및/또는 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나프탈렌으로부터 유도된 화합물 종류, 예컨대 아포고시폴 및 이의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세포에서의 아폽토시스 캐스케이드는 세포 사멸을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항아폽토시스 단백질, 예컨대 BCL-2 패밀리 단백질이 세포에 의해 과생산될 때, 조절되지 않는 세포 성장이 뒤따라 잠재적으로 다양한 심각한 질환, 장애 및 병리학, 특히 암을 전개시킬 수 있다. 프로그래밍된 세포 사멸(아폽토시스)은 정상 조직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여, 세포 생성 및 세포 손실의 적절한 균형을 보장한다. 프로그래밍된 세포 사멸의 조절 결함이 종양생성을 촉진하고, 또한 항암제내성에 현저히 기여한다. Bcl-2(B 세포 림프종/백혈병-2) 패밀리 단백질은 아폽토시스의 중요한 조절제이다. 인간에서, Bcl-2, Bcl-XL, Mcl-1, Bfl-1, Bcl-W 및 Bcl-B를 포함하는 Bcl-2 패밀리의 6개의 항아폽토시스 구성원이 지금까지 확인되고 규명되었다. 많은 인간 암 및 백혈병에서 항아폽토시스 Bcl-2 패밀리 단백질의 과발현이 발생하고, 따라서 이러한 단백질은 신규한 항암제의 개발에 매우 매력적인 표적이다. Bcl-2 패밀리 단백질의 구성원은 또한 전아폽토시스 이팩터, 예컨대 Bak, Bax, Bad, Bim 및 Bid를 포함한다. 항아폽토시스 및 전아폽토시스 Bcl-2 패밀리 단백질은 이량체화하고 각각의 다른 것의 기능을 무효화한다. 구조 연구는 전아폽토시스 패밀리 구성원의 BH3 이량체화 도메인에 결합하는 항아폽토시스 Bcl-2 패밀리 단백질의 표면 상의 소수성 틈을 밝혀냈다. 따라서, 전아폽토시스 단백질의 BH3 도메인을 모방하는 분자는 아폽토시스를 유도하고/하거나 항아폽토시스 Bcl-2 단백질이 암 세포 사멸을 억제하는 능력을 폐지한다.
아폽토시스는 전개 동안 및 숙주 방어 메커니즘에서 원치않는 세포의 생리학적 제거에 대해 조직 항상성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단백질의 BCL-2 패밀리는 아폽토시스의 조절에서 관여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구체적으로, BCL-2 유전자 패밀리의 구성원은 프로그래밍된 세포 사멸(예를 들면, BCL-2, Bcl-XL, ced-9)을 억제하거나 세포 사멸(예를 들면, Bax, Bak, BCL-XS)을 촉진하도록 작용할 수 있다. Bcl-XL과 같은 이 패밀리의 전생존 구성원은 전아폽토시스 카운터파트(counterpart)의 BH3 도메인의 결합을 허용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소수성 홈을 표면 상에 포함한다. 이 결합은 아폽토시스 조절에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사실 전생존 및 항생존 단백질은 이량체화를 통해 각각의 다른 기능을 바꿀 수 있다.
따라서, 항아폽토시스 단백질, 예컨대 BCL-2 패밀리 단백질을 억제하기 위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다양한 잠재적 BCL-2 길항제가 이전에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화합물 중 어느 것도 BCL-2 패밀리 내 모든 6개의 단백질, 즉, Bcl-XL, BCL-2, BCL-W, BCL-B, BFL-1 및 MCL-1의 단백질 모두를 억제하지 못한다. 예를 들면, 이전에 확인된 합성 BCL-2 길항제의 어느 것도 단백질 BFL-1을 억제하는 데 효과적이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길항제의 효율은 원하는 만큼 높지 않다. 또한, 기존의 길항제는 불충분성 또는 안전성 문제와 같은 다른 단점을 특징으로 한다.
프로그래밍된 세포 사멸의 조절 결함이 종양생성을 촉진할 수 있고, 또한 항암제내성에 현저히 기여한다. 많은 인간 암 및 백혈병에서 항아폽토시스 BCL-2 패밀리 단백질의 과발현이 발생하고, 따라서 이러한 단백질은 신규한 항암제의 개발에 대한 표적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구조 연구는 전아폽토시스 패밀리 구성원의 BH3 이량체화 도메인에 결합하는 항아폽토시스 BCL-2 패밀리 단백질의 표면 상의 소수성 틈을 밝혀냈다. 따라서, 전아폽토시스 단백질의 BH3 도메인을 모방하는 분자는 아폽토시스를 유도하고/하거나 항아폽토시스 BCL-2 단백질이 암 세포 사멸을 억제하는 능력을 폐지한다.
도 1a에 도시된 천연 생성물 고시폴이 BH3 모방제로서 작용하는 BCL-2, Bcl-XL 및 MCL-1의 억제제라는 것이 이전에 확인되었다. (-) 고시폴은 현재 임상 연구 중에 있고, 진행성 악성종양을 갖는 환자에서 단일 물질 함암 활성을 나타낸다. 고시폴이 마찬가지로 2개의 반응성 알데하이드 기로 인해 독성 문제를 갖는 것을 고려하여,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알데하이드가 없지만, 실험실내 및 세포에서 항아폽토시스 BCL-2 패밀리 단백질에 대해 활성을 보유하는 것으로 또한 이전에 평가되었던 화합물인 아포고시폴을 제조하였다. 최근에, 고시폴 및 아포고시폴의 마우스에서의 효율 및 독성을 비교하였다. 전임상 생체내 데이터는 아포고시폴이 고시폴과 비교하여 더 우수한 효율 및 감소된 독성 및 더 느린 청소율로 인해 고시폴과 비교하여 시간에 따른 더 높은 혈액 농도를 비롯한 더 우수한 단일 용량 약동학적 특성을 갖는 것을 나타냈다. 이러한 관찰은 아포고시폴이 암 치료에 대한 선도적인 주요 화합물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BCL-2 패밀리 구성원은 또한 염증성 장애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예를 들면, BCL-2 패밀리 구성원은 호중구 아폽토시스 및 염증성 축적에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러 염증성 질환에서, 호중구 아폽토시스 지연은 전아폽토시스 BCL-2 패밀리 구성원 BAX의 수치 감소와 관련된다. 또한, 급성 천식을 앓는 어린이로부터 분리된 호산구가 항아폽토시스 단백질 BCL-2의 발현 증가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 발현 증가는 호기 속도와 역상관된다. BCL-2 패밀리 단백질은 또한 크론씨병과 관련된다. 크론씨병을 앓는 환자로부터 얻은 프로프리아층으로부터 분리된 T 세포에서 BAX 발현은 감소하고 Bcl-XL 발현은 증가하였다. 이것은 전생존 및 항아폽토시스 신호 전달 메커니즘에 의한 염증성 세포 생존이 염증성 질환 발병에 관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루푸스는 높은 수치의 항DNA 및 항사구체 자가 항체, 활성화된 B 및 T 세포 및 사구체신염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신 자가면역 질환이다. 루푸스 감수성 마우스로부터 얻은 호중구는 아폽토시스 속도 감소를 나타냈다. 아폽토시스 감소는 루푸스 감수성 마우스에서 호중구의 더 많은 축적에 기여하는 BCL-2 패밀리 단백질의 발현 변경과 관련된다. 여러 상이한 루푸스 균주를 사용한 신호 전달 연구는 BCL-2 및 Bcl-XL의 활성화를 비롯한 다중 신호 전달 경로가 질환이 진행되면서 림프구 및 비림프구에서 상향 조절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항아폽토시스 분자는 자가 반응 B 및 T 세포를 비롯한 모든 세포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의 BCL-2 억제제의 이러한 단점 및 결점을 고려하여, 항아폽토시스 단백질, 예컨대 BCL-2 패밀리 단백질의 신규한 길항제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신규한 길항제가 기존의 화합물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공개내용은 단백질의 BCL-2 패밀리를 포함하는 항아폽토시스 단백질의 신규한 길항제를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필요성을 해소하는 것이다. 따라서, 일 실시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하기 구조 A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1
[상기 식 중,
R은 각각 독립적으로 H, C(O)X, C(O)NHX, NH(CO)X, SO2NHX 또는 NHSO2X이고;
하이드록실, 알킬, 치환 알킬, 아릴, 치환 아릴, 알킬아릴, 치환 알킬아릴, 헤테로사이클 또는 치환 헤테로사이클이다].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공개내용은 하기 구조 A를 갖는 화합물의 종인 화합물, 특정한 화학식 I을 갖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2
.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공개내용은 치료학적 유효량의 구조 A를 갖는 화합물(I 종 포함),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게 투여함으로써 암 또는 자가면역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공개내용은 또한 염증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본 공개내용은 염증 치료를 위한 아포고시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염증을 치료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방법은 하기 구조 B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염증을 감소시키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Figure pct00003
[상기 식 중,
R6, R8, R9 및 R10은 각각 수소, 하이드록실, -(C1-C6)알킬, -O(C1-C6)알킬, -(C1-C6)알킬할로, -OC(O)(C1-C6)알킬 및 할로이고;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6)알킬, -(C3-C8)사이클로알킬, -(C6-C10)아릴 및 -(C1-C6)알킬(C6-C10)아릴, C(O)X, C(O)NHX, NH(CO)X, SO2NHX 및 NHSO2X이고, X는 하이드록실, 알킬, 치환 알킬, 아릴, 치환 아릴, 알킬아릴, 치환 알킬아릴, 헤테로사이클 또는 치환 헤테로사이클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염증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하는 화합물은 아포고시폴, 예를 들면 (+) 아포고시폴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 아포고시폴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시폴, 아포고시폴, L-아포고시폴, 아포고시폴의 유도체, 테아플라빈, 테아플라빈-3'-갈레이트, 테아플라바닌, (-) 갈로카테킨-3-갈레이트(GCG), (-)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EGCG), (-) 카테킨-3-갈레이트(CG), (-) 에피카테킨-3-갈레이트(ECG), 푸르푸로갈린의 유도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소염제를 피험체에게 투여함으로써 피험체에서 염증을 치료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본 공개내용은 염증성 질환 염증을 앓는 포유동물에서 아폽토시스를 유도하거나, 카스파제 활성을 조절하거나,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포유동물을 아폽토시스를 유도하거나, 카스파제 활성을 조절하거나, 표적 세포의 세포 사멸을 유도하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본원에 기재된 구조 B를 갖는 화합물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도 1은 고시폴 및 아포고시폴(A)의 구조; 본 공개내용의 화합물(B)의 구조; 및 분자 도킹 연구(C, D)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NMR 결합 연구(A) 및 여러 본 공개내용의 화합물(B)의 억제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BCL-2 마우스 비장의 수축에 미치는 본 공개내용의 화합물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Bcl-XL을 사용하는 본 공개내용의 화합물의 FP 경쟁적 결합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고시폴 대 아포고시폴의 독성 프로파일을 도시한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아포고시폴 또는 고시폴로 치료된 마우스의 혈액 프로파일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아포고시폴 또는 고시폴로 치료된 마우스의 반응성 혈액 화학 프로파일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아포고시폴 및 고시폴에 의한 DOHH2, RS11846 및 380을 비롯한 NHL B 세포주의 아폽토시스 유도의 비교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형질전환 마우스(BCL-2 대 BCL-2/TRAF2DN)로부터 배양된 쥐과 B 세포에 대한 고시폴 및 아포고시폴의 활성의 비교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배양된 CLL B 세포의 아폽토시스의 아포고시폴 및 고시폴 유도의 비교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BCL-2 형질전환 마우스에서 아포고시폴 활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여러 본 공개내용의 화합물을 합성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합성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 (A) 고시폴(1), 아포고시폴(2) 및 BI79D10(3)의 구조. (B) 5,5' 치환 아포고시폴 유도체의 구조. (C) 및 (D), 분자 도킹 연구. (C) 화합물 2(아포고시폴) 및 (D) 화합물 8r의 Bcl-2(PDB ID:1YSW)로의 도킹된 구조의 입체도.
도 14: (A) NMR 결합 연구. 화합물 8m(200 μM, 회색), 화합물 8q(200 μM, 청색) 및 화합물 8r(200 μM, 적색)의 존재 하에 Bcl-XL(25 μM, 검정색) 및 Bcl-XL1H NMR 스펙트럼의 지방족 영역. (B) Bcl-2를 사용한 8m(채운 사각형), 8q(채운 상방 삼각형), 8r(채운 하방 삼각형) 및 2(아포고시폴)(채운 점)의 형광 편광 기반 경쟁적 결합 곡선. (C) H460 인간 폐 세포주에서 화합물 8m(적색 사각형), 8q(녹색 삼각형), 8r(청색 마름모꼴), 8p(어두운 삼각형) 및 2(아포고시폴)(어두운 점)에 의한 세포 성장의 억제. 세포를 3일 처리하고 ATP-LITE 분석을 이용하여 세포 생존율을 평가한다. (D) 아생형(MEF/WT; 청색 막대) 또는 bax-/-bak-/- 2중 넛아웃(적색 막대) 유전자형을 갖는 마우스 배아 섬유아세포를 다양한 5,5' 치환 아포고시폴 유도체로 10 μM에서 처리하고 Annexin V-FITC 분석을 이용하여 아폽토시스를 모니터링한다.
도 15: (A) 실온에서 분말 형태로 정치하였을 때 아포고시폴 유도체의 화학 안정성: 8m(적색 점), 8p(녹색 사각형), 8q(자주색 점), 8r(청색 삼각형), 8k(분홍색 점), 12e(어두운 점), 2(아포고시폴과 아스코르브산, 어두운 사각형) 및 2(아포고시폴, 어두운 삼각형). 공기 중에서 실온에서 60일 동안 화학 안정성을 평가한다. HPLC 및 LCMS의 조합을 이용하여 안정성을 모니터링한다. (B) 0.072 mmol/㎏의 단일 복강내 주사 용량에서 Bcl-2 마우스 비장의 수축에 미치는 5,5' 치환 아포고시폴 유도체의 효과. 모든 수축 데이터는 마우스 비장 크기의 최대 감소의 백분율이다. (C) 다양한 양의 화합물 8r의 단일 ip 주사에 의해 유도되는 마우스에서의 중량% 손실. (D) 단일 복강내 주사에 이한 6마리의 Bcl-2 마우스 치료의 비장 중량의 감소에 미치는 42 ㎎/㎏(0.06 mmol/㎏)에서의 화합물 8r의 효과. 데이터를 평균±S.E.(n=6)로 나타냄. P<0.0001.
도 16은 본 공개내용의 화합물 중 몇몇을 합성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합성식을 보여준다.
도 17은 본 공개내용의 화합물 중 몇몇을 합성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합성식을 보여준다.
도 18은 본 공개내용의 화합물 중 몇몇을 합성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합성식을 보여준다.
도 19는 5,5' 치환 아포고시폴 유도체의 ITC 연구를 보여준다.
도 20: (A) 화합물 8r은 FITC-Bim BH3 펩타이드에 대한 Bcl-2 패밀리 단백질의 결합과 경쟁한다; (B) Annexin V-FITC 및 프로피듐 요오다이드 분석을 이용한 BP3에 대한 ABT-737의 세포독성 분석.
도 21은 Annexin V-FITC 및 프로피듐 요오다이드 분석을 이용한 (A) BP3 세포 및 (B) RS11846 암 세포주에 대한 5,5' 치환 아포고시폴 유도체의 세포독성 분석을 보여준다.
달리 정의되지 않은 한, 본 공개내용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과학적 및 기술적 용어는 당업자가 통상 이해하는 의미를 가져야 한다. 추가로, 달리 상황에 의해 필요하지 않는 한, 단수 용어는 복수를 포함해야 하고 복수 용어는 단수를 포함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세포 및 조직 배양, 분자 생물학 및 단백질 및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또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화학 및 하이브리드화와 관련하여 그리고 이들의 기술에서 사용되는 명명법은 널리 공지되어 있고 당해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것이다. 재조합 DNA,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합성 및 조직 배양 및 형질전환(예를 들면, 전기천공, 리포펙션)에 대해 표준 기술을 이용한다. 제조업자의 명세서에 따라 또는 당해 분야에서 통상 수행되거나 본원에 기재된 바대로 효소 반응 및 정제 기술을 수행한다. 본원에 기재된 분석 화학, 합성 유기 화학 및 의학 및 약학 화학과 관련하여 그리고 그들의 실험실 절차 및 기술에서 사용되는 명명법은 널리 공지되어 있고 당해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것이다. 화학물질 합성, 화학물질 분석, 약학 제제, 제제 및 전달 및 환자의 치료에 표준 기술을 이용한다.
다음의 용어, 정의 및 약어가 추가로 적용된다:
"환자"란 용어는 본 공개내용의 방법에 의해 치료되는 유기체를 의미한다. 이러한 유기체로는 인간 및 다른 포유동물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공개내용에 있어서, "피험체"란 용어는 일반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치료(예를 들면, 본 공개내용의 화합물 및 임의로 하나 이상의 추가의 치료제의 투여)를 받을 또는 받은 개체를 의미한다.
"단백질의 BCL-2 패밀리"란 용어는 현재 적어도 Bcl-XL, BCL-2, BCL-W, BCL-B, BFL-1 및 MCL-1의 6개의 단백질을 포함하는 단백질의 패밀리를 의미한다.
치환기를 이의 종래 화학식으로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기재하여 표시할 때, 이것은 오른쪽으로부터 왼쪽으로 쓰인 구조와 화학적으로 동일한 치환기를 동일하게 포함한다, 예를 들면 =CH2O=는 =OCH2=와 같다.
"알킬"이란 용어는 그 자체로 또는 다른 치환기의 일부로서, 달리 기재되지 않는 한, 완전 포화, 단일불포화 또는 다불포화될 수 있는 직쇄(즉, 비분지) 또는 분지쇄 또는 사이클릭 탄화수소 라디칼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의미하고, 표시된 탄소 원자의 수를 갖는 (즉, C1-C10은 1개 내지 10개의 탄소를 의미함) 2가 및 다가 라디칼을 포함할 수 있다. 포화 탄화수소 라디칼의 예로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t-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사이클로헥실, (사이클로헥실)메틸, 사이클로프로필메틸, 예를 들면 n-펜틸, n-헥실, n-헵틸, n-옥틸의 동족체 및 이성체 등과 같은 기를 들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불포화 알킬 기는 하나 이상의 2중 결합 또는 삼중 결합을 갖는 것이다. 불포화 알킬 기의 예로는 비닐, 2-프로페닐, 크로틸, 2-이소펜테닐, 2-(부타디에닐), 2,4-펜타디에닐, 3-(1,4-펜타디에닐), 에티닐, 1-및 3-프로피닐, 3-부티닐 및 더 고급의 동족체 및 이성체를 들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탄화수소 기로 제한된 알킬 기는 "호모알킬"이라 칭한다.
기, 치환기 및 범위에 대해 본원에 기재된 특정한 값은 예시를 위한 것이고; 이것은 다른 정의된 값 또는 기 및 치환기에 대해 정의된 범위 내의 다른 값을 배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알킬"은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펜틸, 3-펜틸 또는 헥실일 수 있고; 사이클로알킬은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또는 사이클로헥실일 수 있고; "-O(C1-C6)알킬(알콕시)"는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이소-부톡시, sec-부톡시, 펜톡시, 3-펜톡시 또는 헥실옥시일 수 있다.
"알킬렌"란 용어는 그 자체로 또는 다른 치환기의 일부로서 =CH2CH2CH2CH2=, =CH2CH=CHCH2=, =CH2C≡CCH2=, =CH2CH2CH(CH2CH2CH3)CH2=(이들로 제한되지는 않음)로 예시되는 알킬로부터 유도된 2가 라디칼을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알킬(또는 알킬렌) 기는 1개 내지 24개의 탄소 원자를 가질 것이고, 이것은 10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기를 포함한다. "더 저급의 알킬" 또는 "더 저급의 알킬렌"은 일반적으로 8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더 짧은 사슬 알킬 또는 알킬렌 기이다.
"알킬, 알콕시, 알케닐, 알키닐" 등의 용어는 직쇄 및 분지쇄 기 둘 다를 의미하지만; "프로필"과 같은 개별 기에 대한 언급은 직쇄 기를 포함하고, "이소프로필"과 같은 분지쇄 이성체가 구체적으로 언급된다.
"헤테로알킬"이란 용어는 그 자체로 또는 다른 용어와 조합되어, 달리 기재되지 않는 한, 하나 이상의 탄소 원자 및 O, N, P, Si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이종원자로 이루어지는 안정한 직쇄 또는 분지쇄 사슬 또는 사이클릭 탄화수소 라디칼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의미하고, 질소, 인 및 황 원자는 임의로 산화될 수 있고 질소 이종원자는 임의로 4급화될 수 있다. 이종원자(들) O, N, P 및 S 및 Si는 헤테로알킬 기의 임의의 내부 위치에 또는 알킬 기가 분자의 나머지에 부착되는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 예로는 =CH2=CH2=O=CH3, =CH2=CH2=NH=CH3, =CH2=CH2=N(CH3)=CH3, =CH2=S=CH2=CH3, =CH2=CH2, =S(O)=CH3, =CH2=CH2=S(O)2=CH3, =CH=CH=O=CH3, =Si(CH3)3, =CH2=CH=N=OCH3, =CH=CH=N(CH3)=CH3, O=CH3, =O=CH2=CH3 및 =CN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CH2=NH=OCH3 및 =CH2=O=Si(CH3)3 등과 같이 2개의 또는 3개까지의 이종원자가 연속할 수 있다. 유사하게, "헤테로알킬렌"이란 용어는 그 자체로 또는 다른 치환기의 일부로서 =CH2=CH2=S=CH2=CH2= 및 =CH2=S=CH2=CH2=NH=CH2=(이들로 제한되지는 않음)로 예시되는 헤테로알킬로부터 유도된 2가 라디칼을 의미한다. 헤테로알킬렌 기의 경우, 이종원자는 또한 사슬 말단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를 차지할 수 있다(예를 들면, 알킬렌옥소, 알킬렌디옥소, 알킬렌아미노, 알킬렌디아미노 등). 더 추가로, 알킬렌 및 헤테로알킬렌 연결 기의 경우, 연결 기의 배향이 연결 기의 화학식이 쓰이는 방향에 의해 암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화학식 =C(O)OR'=는 =C(O)OR'= 및 =R'OC(O)= 둘 다를 나타낸다. 상기 기재된 바대로, 본원에서 사용되는 헤테로알킬 기는 이종원자를 통해 분자의 나머지에 부착하는 기, 예컨대 =C(O)R', =C(O)NR', =NR'R', =OR', =SR' 및/또는 =SO2R'를 포함한다. =NR'R'' 등과 같이 특정한 헤테로알킬 기의 언급에 뒤따라 "헤테로알킬"를 언급할 때, 용어 헤테로알킬 및 =NR'R''는 불필요하지 않거나 상호 배타적인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오히려, 특정한 헤테로알킬 기가 명확성을 위해 언급된다. 따라서, "헤테로알킬"이란 용어는 등과 같은 특정한 헤테로알킬 기를 배제하는 것으로 본원에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사이클로알킬" 및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란 용어는 그 자체로 또는 다른 용어와 조합되어, 달리 기재되지 않는 한, 각각 "알킬" 및 "헤테로알킬"의 사이클릭 버전을 나타낸다. 추가로,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의 경우, 이종원자는 헤테로사이클이 분자의 나머지에 부착되는 위치를 차지할 수 있다. 사이클로알킬의 예로는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1-사이클로헥세닐, 3-사이클로헥세닐, 사이클로헵틸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의 예로는 1-(1,2,5,6-테트라하이드로피리딜), 1-피페리디닐, 2-피페리디닐, 3-피페리디닐, 4-모르폴리닐, 3-모르폴리닐, 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 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테트라하이드로티엔-2-일, 테트라하이드로티엔-3-일, 1-피페라지닐, 2-피페라지닐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사이클로알킬렌" 및 "헤테로사이클로알킬렌"이란 용어는 각각 사이클로알킬 및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의 2가 유도체를 의미한다.
더 구체적으로, "알킬"이란 용어는 1개 내지 6개의 탄소 원자의 분지 또는 비분지 포화 탄화수소 기, 예컨대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t-부틸, 펜틸 등을 의미한다. 본원에서의 알킬 기는 1개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알킬"이란 용어는 또한 3개, 5개 또는 6개의 탄소 원자를 비롯하여 3개 내지 8개의 사이클릭 알킬 기를 의미하는 "사이클로알킬"이란 용어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사이클로알킬렌"이란 용어는 2가 사이클릭 알킬렌 기, 통상적으로 3원, 5원, 6원 또는 8원 고리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알콕시"란 용어는 단일 말단 에테르 결합을 통해 결합된 알킬 기를 의미하고, 즉, "알콕시" 기는 -OR(여기서, R은 본원에 정의된 알킬임)로서 정의될 수 있다. "더 저급의 알콕시" 기는 1개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콕시 기를 의미한다.
"아릴"이란 용어는, 달리 기재되지 않는 한, 함께 축합 또는 공유 결합된 단일 고리 또는 다중 고리(1개 내지 3개의 고리)일 수 있는 다불포화, 방향족, 탄화수소 치환기를 의미한다. "헤테로아릴"이란 용어는 (다중 고리의 경우 각각의 별도의 고리에서) N, O 및 S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4개의 이종원자를 포함하는 아릴 기(또는 고리)를 의미하고, 질소 및 황 원자는 임의로 산화되고, 질소 원자(들)은 임의로 4급화된다. 헤테로아릴 기는 탄소 또는 이종원자를 통해 분자의 나머지에 부착할 수 있다. 아릴 및 헤테로아릴 기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페닐, 1-나프틸, 2-나프틸, 4-비페닐, 1-피롤릴, 2-피롤릴, 3-피롤릴, 3-피라졸릴, 2-이미다졸릴, 4-이미다졸릴, 피라지닐, 2-옥사졸릴, 4-옥사졸릴, 2-페닐-4-옥사졸릴, 5-옥사졸릴, 3-이속사졸릴, 4-이속사졸릴, 5-이속사졸릴, 2-티아졸릴, 4-티아졸릴, 5-티아졸릴, 2-푸릴, 3-푸릴, 2-티에닐, 3-티에닐, 2-피리딜, 3-피리딜, 4-피리딜, 2-피리미딜, 4-피리미딜, 5-벤조티아졸릴, 푸리닐, 2-벤즈이미다졸릴, 5-인돌릴, 1-이소퀴놀릴, 5-이소퀴놀릴, 2-퀴녹살리닐, 5-퀴녹살리닐, 3-퀴놀릴 및 6-퀴놀릴을 들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아릴 및 헤테로아릴 고리계 각각에 대한 치환기는 하기 기재된 허용되는 치환기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아릴렌" 및 "헤테로아릴렌"이란 용어는 각각 아릴 및 헤테로아릴의 2가 라디칼을 의미한다.
간결히 말하면, "아릴"이라 용어가 다른 용어와 조합되어 사용될 때(예를 들면, 아릴옥소, 아릴티옥소, 아릴알킬) 상기 정의된 아릴 및 헤테로아릴 고리 둘 다를 포함한다. 따라서, "아릴알킬"이란 용어는 탄소 원자(예를 들면, 메틸렌 기)가, 예를 들면 산소 원자(예를 들면, 페녹시메틸, 2-피리딜옥시메틸, 3-(1-나프틸옥시)프로필 등)로 치환된 알킬 기를 비롯하여 아릴 기가 알킬 기(예를 들면, 벤질, 펜에틸, 피리딜메틸 등)에 부착된 라디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그러나, 본원에서 사용되는 "할로아릴"이란 용어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아릴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아릴"이란 용어는 하나 이상의 고리가 방향족인 방향족 탄소환식 고리, 통상적으로 6원 또는 10원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아릴"은 하나 이상의 고리가 방향족인 약 9개 내지 10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오르토 축합된 이환식 탄소환식 기 또는 페닐 기를 의미한다.
"헤테로아릴"은 탄소 및 각각 독립적으로 비-퍼옥사이드 산소, 황 및 N(X)(여기서, X는 부재하거나 H, O, (C1-C4)알킬, 페닐 또는 벤질임)일 수 있는 1개 내지 4개의 이종원자로 이루어지는 5개 또는 6개의 고리 원자를 포함하는 단환식 방향족 고리의 고리 탄소를 통해 부착된 기 및 이들로부터 유도된 약 8개 내지 10개의 고리 원자의 오르토 축합된 이환식 헤테로사이클의 기, 특히 벤즈 유도체 또는 프로필렌, 트리메틸렌 또는 테트라메틸렌 기가 이들에 축합하여 유도된 것을 포함한다.
헤테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아릴이 특정한 원의 수를 포함하는 경우(예를 들면, "3원 내지 7원"), "원"이란 용어는 탄소 또는 이종원자를 의미한다.
"할로" 또는 "할로겐"이란 용어는 그 자체로 또는 다른 치환기의 일부로서, 달리 기재되지 않는 한,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 원자를 의미한다. 추가로, 예컨대 "할로알킬"이란 용어는 모노할로알킬 및 폴리할로알킬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면, "할로(C1-C4)알킬"이란 용어는 트리플루오로메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4-클로로부틸, 3-브로모프로필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 것으로 의도된다. 용어 "할로" 또한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또는 요오도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옥소"이란 용어는 탄소 원자에 2중 결합된 산소를 의미한다.
상기 용어(예를 들면, "알킬", "헤테로알킬", "사이클로알킬" 및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및 이들의 2가 라디칼 유도체) 각각은 표시된 라디칼의 치환 및 비치환 형태 둘 다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각 유형의 라디칼에 대한 치환기를 하기 기재하였다.
(알킬렌, 알케닐, 헤테로알킬렌, 헤테로알케닐, 알키닐,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케닐 및 헤테로사이클로알케닐이라 종종 칭하는 기를 비롯하여) 알킬, 헤테로알킬,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1가 및 2가 유도체 라디칼에 대한 치환기는 0 내지 (2 m'+1) 범위의 수(여기서, m'는 이 라디칼 내 탄소 원자의 전체 수임)의 =OR', =O, =NR', =N=OR', =NR'R'', =SR', -할로겐, =SiR'R''R''', =OC(O)R', =C(O)R', =CO2R', =C(O)NR'R'', =OC(O)NR'R'', =NR''C(O)R', =NR'=C(O)NR''R''', =NR''C(O)OR', =NR=C(NR'R'')=NR''', =S(O)R', =S(O)2R', =S(O)2NR'R'', =NRSO2R', =CN 및 =NO2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각종 기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R', R'', R''' 및 R''''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 헤테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 사이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 아릴(예를 들면, 1개~3개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 알킬, 알콕시 또는 티오알콕시 기 또는 아릴알킬 기를 의미한다. 본 공개내용의 화합물이 하나 이상의 R 기를 포함할 때, 예를 들면 이러한 하나 이상의 기가 각각의 R', R'', R''' 및 R'''' 기로서 선택되면서 R 기가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R' 및 R'''가 동일한 질소 원자에 부착될 때, 이것은 질소 원자와 조합되어 4원, 5원, 6원 또는 7원 고리를 형성한다. 예를 들면, =NR'R''는 1-피롤리디닐 및 4-모르폴리닐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된다. 상기 치환기 논의로부터, 당업자라면 "알킬"이란 용어가 할로알킬(예를 들면, =CF3 및 =CH2CF3) 및 아실(예를 들면, =C(O)CH=, =C(O)CF3, =C(O)CH2OCH3 등)과 같은 수소 기가 아닌 기에 결합된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상기 알킬 라디칼에 기재된 치환기와 유사하게, 아릴 및 헤테로아릴 기(및 이들의 2가 유도체)에 대한 예시적인 치환기는 변경될 수 있고, 예를 들면 방향족 고리계에서 열린 원자가의 0 내지 전체 수 범위의 수의 할로겐, =OR', =NR'R'', =SR', -할로겐, =SiR'R''R''', =OC(O)R', =C(O)R', =CO2R', =C(O)NR'R'', =OC(O)NR'R'', =NR''C(O)R', =NR'=C(O)NR''R''', =NR''C(O)OR', =NR=C(NR'R''R''')=NR'''', =NR=C(NR'R'')=NR''', =S(O)R', =S(O)2R', =S(O)2NR'R'', =NRSO2R', =CN 및 =NO2, =R', =N3, =CH(Ph)2, 플루오로(C1-C4)알콕시소 및 플루오로(C1-C4)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 R'', R''' 및 R''''는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 헤테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 사이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 아릴 및 치환 또는 비치환 헤테로아릴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본 공개내용의 화합물이 하나 이상의 R' 기를 포함할 때, 예를 들면 이러한 하나 이상의 기가 각각의 R', R'', R''' 및 R'''' 기로서 선택되면서 R 기가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고리의 인접 원자 상에 2개의 치환기는 임의로 화학식 -T-C(O)=(CRR')q=U=의 고리(여기서, T 및 U는 독립적으로 =NR=, =O=, =CRR'= 또는 단일 결합이고, q는 0 내지 3의 정수임)를 형성한다. 대안적으로,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고리의 인접 원자 상에 2개의 치환기는 임의로 화학식 -A-(CH2)R=B=의 치환기(여기서, A 및 B는 독립적으로 =CRR'=, =O=, =NR=, =S=, =S(O)=, =S(O)2=, =S(O)2NR'= 또는 단일 결합이고, r은 1 내지 4의 정수임)로 치환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새로운 고리의 단일 결합 중 1개가 임의로 2중 결합으로 대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고리의 인접 원자 상의 2개의 치환기는 임의로 화학식 =(CRR')5=X'=(C''R''')d=의 치환기(여기서, d는 독립적으로 0 내지 3의 정수이고, X'는 =O=, =NR'=, =S=, =S(O)=, =S(O)2= 또는 =S(O)2NR'=임)로 대체될 수 있다. 치환기 R, R', R'' 및 R'''는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 사이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 아릴 및 치환 또는 비치환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이종원자" 또는 "고리 이종원자"란 용어는 산소(O), 질소(N), 황(S), 인(P) 및 규소(Si)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아미노알킬"은 알킬렌 링커에 공유 결합된 아미노 기를 의미한다. 아미노 기는 =NR'R''이고, 여기서 R' 및 R''는 통상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 헤테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 사이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 아릴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치환기"는 다음의 부분으로부터 선택되는 기를 의미한다:
(A) =OH, =NH2, =SH, =CN, =CF3, =NO2, 옥소, 할로겐, 비치환 알킬, 비치환 헤테로알킬, 비치환 사이클로알킬, 비치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비치환 아릴, 비치환 헤테로아릴 및
(B) (i) 옥소, =OH, =NH2, =SH, =CN, =CF3, =NO2, 할로겐, 비치환 알킬, 비치환 헤테로알킬, 비치환 사이클로알킬, 비치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비치환 아릴, 비치환 헤테로아릴 및 (ii) (a) 옥소, =OH, =NH2, =SH, =CN, =CF3, =NO2, 할로겐, 비치환 알킬, 비치환 헤테로알킬, 비치환 사이클로알킬, 비치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비치환 아릴, 비치환 헤테로아릴 및 (b) 옥소, =OH, =NH2, =SH, =CN, =CF3, =NO2, 할로겐, 비치환 알킬, 비치환 헤테로알킬, 비치환 사이클로알킬, 비치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비치환 아릴 및 비치환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알킬, 헤테로알킬,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알킬, 헤테로알킬,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알킬, 헤테로알킬,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및 헤테로아릴.
본원에서 사용되는 "크기 제한 치환기"는 "치환기"에 대해 상기 기재된 치환기 모두로부터 선택되는 기를 의미하고, 여기서 각각의 치환 또는 비치환 알킬은 치환 또는 비치환 C1-C20 알킬이고, 각각의 치환 또는 비치환 헤테로알킬은 치환 또는 비치환 2원 내지 20원 헤테로알킬이고, 각각의 치환 또는 비치환 사이클로알킬은 치환 또는 비치환 C4-C8 사이클로알킬이고, 각각의 치환 또는 비치환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치환 또는 비치환 4원 내지 8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더 저급의 치환기"는 "치환기"에 대해 상기 기재된 치환기 모두로부터 선택되는 기를 의미하고, 여기서 각각의 치환 또는 비치환 알킬은 치환 또는 비치환 C1-C8 알킬이고, 각각의 치환 또는 비치환 헤테로알킬은 치환 또는 비치환 2원 내지 8원 헤테로알킬이고, 각각의 치환 또는 비치환 사이클로알킬은 치환 또는 비치환 C5-C7 사이클로알킬이고, 각각의 치환 또는 비치환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치환 또는 비치환 5원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다.
본 공개내용의 화합물은 염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공개내용은 그러한 염을 포함한다. 이용 가능한 염 형태의 예로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설페이트, 메탄설포네이트, 니트레이트, 말레에이트, 아세테이트, 시트레이트, 푸마레이트, 타르트레이트(예를 들면, (+)-타르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또는 라세미 혼합물을 비롯한 이들의 혼합물, 숙시네이트, 벤조에이트 및 아미노산과의 염, 예컨대 글루탐산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염을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나트륨, 칼슘, 칼슘, 암모늄, 유기 아미노 또는 마그네슘 염 또는 유사한 염과 같은 염기 부가염이 포함된다. 본 공개내용의 화합물이 비교적 염기성 작용기를 포함할 때, 이러한 화합물의 중성 형태를 그대로의 또는 적합한 불활성 용매 중의 원하는 산의 충분한 양과 접촉시켜 산 부가염을 얻을 수 있다. 산 부가염의 예로는 허용되는 염산, 브롬화수소산, 질산, 탄산, 모노수소카본산, 인산, 모노수소인산, 디수소인산, 황산, 모노수소황산, 요오드화수소산 또는 인산 등과 같은 무기산으로부터 유도된 것 및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이소부티르산, 말레산, 말론산, 벤조산, 숙신산, 수베르산, 푸마르산, 락트산, 만델산, 프탈산, 벤젠설폰산, p-톨릴설폰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메탄설폰산 등과 같은 유기산으로부터 유도된 염을 들 수 있다. 또한, 아르기네이트 등과 같은 아미노산의 염 및 글루쿠론산 또는 갈락투론산 등과 같은 유기산의 염이 포함된다. 본 공개내용의 특정한 구체적인 화합물은 화합물이 염기 또는 산 부가염으로 전환되게 하는 염기성 및 산성 작용기 둘 다를 포함한다.
염을 염기 또는 산과 접촉시키고 모 화합물을 종래 방식으로 분리하여 화합물의 중성 형태를 재생성시킬 수 있다. 화합물의 모 형태는 극성 용매 중의 용해도와 같은 특정한 물리적 특성에서 다양한 염 형태와 다르다.
본 공개내용의 특정한 화합물은 수화 형태를 비롯하여 비용매화 형태 및 용매화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용매화 형태는 비용매화 형태와 동일하고 본 공개내용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본 공개내용의 특정한 화합물은 다수의 결정질 또는 비정질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든 물리적 형태는 본 공개내용에 고려되는 용도에 상당하고 본 공개내용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공개내용의 특정한 화합물은 비대칭 탄소 원자(광학 또는 키랄 중심) 또는 2중 결합; (R)- 또는 (S)-로서 또는, 아미노산에 대해서는 (D)- 또는 (L)-로서 절대 입체화학 면에서 정의될 수 있는 거울상 이성체, 라세메이트, 부분입체이성체, 호변이체, 기하 이성체, 입체이성체 형태를 포함하고, 개별적인 이성체는 본 공개내용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본 공개내용의 화합물은 당해 분야에서 합성하고/하거나 분리하기에 너무 불안정한 것으로 공지된 것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공개내용은 라세미 및 광학적으로 순수한 형태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광학적으로 활성인 (R)- 및 (S)- 또는 (D)- 및 (L)-이성체는 키랄 신톤 또는 키랄 시약을 사용하여 제조하거나, 종래 기술을 이용하여 분할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이 올레핀 결합 또는 기하 비대칭의 다른 중심을 포함할 때, 달리 기재되지 않은 한, 그 화합물이 E 및 Z 기하 이성체 둘 다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호변이체"란 용어는 평형상태로 존재하고 하나의 이성체 형태로부터 다른 이성체 형태로 용이하게 전환되는 2개 이상의 구조 이성체 중 하나를 의미한다.
본 공개내용의 특정한 화합물이 호변이체 형태로 존재할 수 있고, 이러한 화합물의 모든 호변이체 형태가 본 공개내용의 범위 내에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는 명확할 것이다.
달리 기재되지 않는 한, 본원에 도시된 구조는 또한 그 구조의 모든 입체화학 형태; 즉, 각각의 비대칭 중심에 대해 R 및 S 배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따라서, 상기 화합물의 단일 입체화학물질 이성체 및 거울상 이성체 및 부분입체이성체 혼합물이 본 공개내용의 범위 내에 있다.
달리 기재되지 않는 한, 본원에 도시된 구조는 또한 하나 이상의 등방성 풍부 원자의 존재가 다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면, 중수소 또는 삼중수소에 의한 수소의 대체 또는 13C= 또는 14C 풍부 탄소에 의한 탄소의 대체를 제외한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 본 공개내용의 범위 내에 있다.
본 공개내용의 화합물은 또한 이러한 화합물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원자에서의 원자 동위원소의 비천연 비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화합물을 방사선 활성 동위원소, 예컨대, 예를 들면 삼중수소(3H), 요오드-125(125I) 또는 탄소-14(14C)로 방사선 표지할 수 있다. 본 공개내용의 화합물의 모든 동위원소 변형이, 방사선 활성이든 또는 아니든, 본 공개내용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란 용어는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에서 발견되는 특정한 치환기 부분에 따라 비교적 비독성 산 또는 염기에 의해 제조되는 활성 화합물의 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공개내용의 화합물이 비교적 산성 작용기를 포함할 때, 이러한 화합물의 중성 형태를 그대로의 또는 적합한 불활성 용매 중의 원하는 염기의 충분한 양과 접촉시켜 염기 부가염을 얻을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기 부가염의 예로는 나트륨, 칼슘, 칼슘, 암모늄, 유기 아미노 또는 마그네슘 염 또는 유사한 염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공개내용의 화합물이 비교적 염기성 작용기를 포함할 때, 이러한 화합물의 중성 형태를 그대로의 또는 적합한 불활성 용매 중의 원하는 산의 충분한 양과 접촉시켜 산 부가염을 얻을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의 예로는 허용되는 염산, 브롬화수소산, 질산, 탄산, 모노수소카본산, 인산, 모노수소인산, 디수소인산, 황산, 모노수소황산, 요오드화수소산 또는 인산 등과 같은 무기산으로부터 유도된 것 및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이소부티르산, 말레산, 말론산, 벤조산, 숙신산, 수베르산, 푸마르산, 락트산, 만델산, 프탈산, 벤젠설폰산, p-톨릴설폰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메탄설폰산 등과 같은 비교적 비독성 유기산으로부터 유도된 염을 들 수 있다. 또한, 아르기네이트 등과 같은 아미노산의 염 및 글루쿠론산 또는 갈락투론산 등과 같은 유기산의 염이 포함된다(예를 들면, 문헌[Berge et al., "Pharmaceutical Salts",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 1977, 66, 1-19] 참조). 본 공개내용의 특정한 구체적인 화합물은 화합물이 염기 또는 산 부가염으로 전환되게 하는 염기성 및 산성 작용기 둘 다를 포함한다.
염 형태 이외에, 본 공개내용은 프로드럭 형태인 화합물을 제공한다.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의 프로드럭은 생리 조건 하에 용이하게 화학 변경되어 본 공개내용의 화합물을 제공하는 화합물이다. 추가로, 프로드럭은 생체외 환경 하에 화학 또는 생화학 방법에 의해 본 공개내용의 화합물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드럭은 적합한 효소 또는 화학물질 시약과 경피 패치 저장소에 위치할 때 본 공개내용의 화합물로 천천히 전환될 수 있다.
단수 용어가 본원에서의 치환기의 기를 언급할 때 하나 이상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화합물이 알킬 또는 아릴로 치환될 때, 그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알킬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아릴로 임의로 치환된다. 더욱이, 부분이 R 치환기로 치환될 때, 그 기는 "R 치환된"이라 칭할 수 있다. 부분이 R 치환될 때, 그 부분은 하나 이상의 R 치환기로 치환되고 각각의 R 치환기는 임의로 상이하다.
본 공개내용의 화합물의 설명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화학 결합의 원칙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기가 하나 이상의 수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을 때, 화학 결합의 원칙에 부합하고 본래 불안정하지 않고/않거나 마찬가지로 주변 조건, 예컨대 수성, 중성 및 여러 공지된 생리 조건 하에 불안정한 것으로 당업자에게 공지되지 않은 화합물을 생성시키도록 그러한 치환을 선택한다. 예를 들면,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아릴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화학 결합의 원칙과 부합하게 고리 이종원자를 통해 분자의 나머지에 부착하여 본래 불안정한 화합물을 회피한다.
특정한 질환과 관련하여 "치료하는" 또는 "치료"란 용어는 질환의 예방을 포함한다.
"프로드럭"이란 용어는 생체내 모 약물로 전환되는 물질을 의미한다. 여러 경우에, 프로드럭을 모 약물보다 투여하기 더 용이할 있으므로, 프로드럭이 종종 유용하다. 모 화합물이 경구 투여에 의해 생체 이용가능하지 않더라도 프로드럭은, 예를 들면 그럴 수 있다. 프로드럭은 또한 모 약물에 비해 약학 조성물에서 개선된 용해도를 가질 수 있거나, 감칠맛 증가를 나타내거나 제제화하기 더 용이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아포고시폴"이란 용어는, 제한 없이, L-아포고시폴, D-아포고시폴, 라세미 아포고시폴, S-아포고시폴, R-아포고시폴, (-) 아포고시폴 및 (+) 아포고시폴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용어이고, (+)아포고시폴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아포고시폴을 포함한다.
본 공개내용에서, 특정한 화합물이 아포고시폴과 같이 명칭으로 언급될 때, 예를 들면 본 공개내용의 범위는 명칭된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에스테르, 아미드, 대사체 또는 프로드럭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키랄 중심을 갖는 본 공개내용의 화합물이 존재할 수 있고 광학적으로 활성 및 라세미 형태로 분리할 수 있는 것으로 당업자가 이해할 것이다. 여러 화합물이 다형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공개내용은 본원에 기재된 유용한 특성을 보유하는 본 공개내용의 화합물의 임의의 라세미, 광학적으로 활성인, 다형 또는 입체이성체 형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명칭된 화합물이 키랄 중심을 포함하는 경우, 본 공개내용의 범위는 또한 2개의 거울상 이성체의 라세미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개별적으로 다른 거울상 이성체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각각의 거울상 이성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R 거울상 이성체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S 거울상 이성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S 거울상 이성체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R 거울상 이성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본원에 고려된다.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이란 조성물이 마이너 거울상 이성체의 10% 미만 또는 8% 이하 또는 5% 이하 또는 3% 이하 또는 1% 이하를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명칭된 화합물이 하나 이상의 키랄 중심을 포함하는 경우, 본 공개내용의 범위는 또한 다양한 부분입체이성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다른 부분입체이성체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각각의 부분입체이성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한 아포고시폴은 2개의 별개의 거울상 이성체를 포함하는 라세미 혼합물이다. 본 공개내용에 있어서 "아포고시폴"의 언급은 아포고시폴의 라세미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 거울상 이성체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 거울상 이성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 거울상 이성체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 거울상 이성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한다.
광학적으로 활성인 형태(예를 들면, 재결정화 기술에 의한, 광학적으로 활성인 출발 물질로부터의 합성에 의한, 키랄 합성에 의한 또는 키랄 정지상을 이용한 크로마토그래피 분리에 의한 라세미 형태의 분할)를 어떻게 제조하는지 및 본원에 기재된 표준 시험을 이용하여 또는 당해 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다른 유사한 시험을 이용하여 어떻게 항암 활성을 결정하는지가 당해 분야에서 널리 공지되어 있다.
"약학 조성물"이란 용어는 화합물과 다른 화학 성분, 예컨대 희석제 또는 담체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약학 조성물은 유기체에의 화합물의 투여를 촉진한다. 경구, 주사, 에어로졸, 비경구 및 국소 투여(이들로 제한되지는 않음)를 비롯한 여러 화합물 투여 기술이 당해 분야에 존재한다. 화합물을 무기산 또는 유기산, 예컨대 염산, 하이드로브롬산, 황산, 질산, 인산,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살리실산 등과 반응시켜 약학 조성물을 또한 얻을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란 용어는 투여되는 유기체에 현저한 자극을 야기하지 않고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없애지 않는 화합물의 제제를 의미한다. 본 공개내용의 화합물을 염산, 하이드로브롬산, 황산, 질산, 인산,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살리실산 등과 같은 무기산과 반응시켜 약학 염을 얻을 수 있다. 본 공개내용의 화합물을 염기와 반응시켜 암모늄염과 같은 염, 나트륨염 또는 칼슘염과 같은 알칼리 금속염, 칼슘염 또는 마그네슘염과 같은 알칼리 토금속염, 디사이클로헥실아민, N-메틸-D-글루카민,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 메틸아민과 같은 유기 염기의 염 및 아미노산, 예컨대 아르기닌, 리신 등과의 이의 염을 형성함으로써 약학 염을 또한 얻을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염증"은 물리적 손상, 감염 또는 국소 면역 반응에 의해 자극되는 유체, 혈장 단백질 및 백혈구 세포의 국소 축적에 대한 일반적인 용어이다. 많은 상이한 형태의 염증이 상이한 질환과 관련된다. "염증 관련" 질환으로는, 예를 들면 루푸스, 건선, 류마티스성 관절염 및 염증성 장 질환을 들 수 있다. 다른 염증 관련 질환이 본원에 기재되어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소염제"란 용어는 염증 치료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소염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치료"는 질환의 예방, 경감 또는 치유를 위한 본 공개내용의 화합물의 치료학적 투여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약학 물질 또는 약물"이란 용어는 환자에게 적절하게 투여될 때 원하는 치료 효과를 유도할 수 있는 화학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실질적으로 순수한"은 대상 종이 주요 종(즉, 몰 기준으로 조성물 내 임의의 다른 개별 종보다 더 풍부함)이라는 것을 의미하고, 실질적으로 정제된 부분은 대상 종이 모든 거대분자 종의 적어도 약 50%(몰 기준으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일반적으로, 실질적으로 순수한 조성물은 조성물 내 약 80% 이상, 예를 들면 약 85%, 90%, 95% 및 99% 이상의 모든 거대분자 종을 포함한다. 대상 종을 또한 필수 동종성(종래 검출 방법에 의해 조성물 내 오염물 종이 검출될 수 없음)으로 정제할 수 있고, 여기서 조성물은 필수적으로 단일 종으로 이루어진다.
일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하기 구조 A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4
[상기 식 중,
R은 각각 독립적으로 H, C(O)X, C(O)NHX, NH(CO)X, SO2NHX 또는 NHSO2X이고;
X는 하이드록실, 알킬, 치환 알킬, 아릴, 치환 아릴, 알킬아릴, 치환 알킬아릴, 헤테로사이클 또는 치환 헤테로사이클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R이 각각 독립적으로 NH(CO)X이고; X가 알킬, 치환 알킬, 아릴, 치환 아릴, 알킬아릴, 치환 알킬아릴, 헤테로사이클 또는 치환 헤테로사이클인 구조 A를 갖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X가 (C1-C6)알킬, 치환 (C1-C6)알킬, (C3-C8)사이클로알킬, 치환 (C3-C8)사이클로알킬, 페닐, 치환 페닐, (C1-C6)알킬아릴 또는 치환 (C1-C6)알킬아릴이고, 치환기가 각각(C1-C6)알킬, 트리플루오로메틸, 할로겐, 페닐 또는 페녹시인 구조 A를 갖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R이 각각 독립적으로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인 구조 A를 갖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R이 각각 독립적으로 C(O)NHCH2CH(CH3)C6H5인 구조 A를 갖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X가 알킬아릴인 구조 A를 갖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X가 벤질인 구조 A를 갖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화합물이
Figure pct00009
인 구조 A를 갖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화합물이 하기 화합물 I 내지 XXII인 구조 A를 갖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Figure pct00018
Figure pct00019
Figure pct00020
Figure pct00021
Figure pct00022
Figure pct00023
Figure pct00025
Figure pct00026
Figure pct00027
Figure pct00028
Figure pct00029
Figure pct00030
Figure pct00031
.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하기 화합물 I인 구조 A를 갖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32
.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하기 화합물 XXI인 구조 A를 갖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33
.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하기 화합물 XXII인 구조 A를 갖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34
.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치료학적 유효량의 구조 A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조합,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게 투여하여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것을 포함하는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치료학적 유효량의 구조 A를 갖는 화합물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게 투여하여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질환 또는 장애가 암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치료학적 유효량의 구조 A를 갖는 화합물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게 투여하여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질환 또는 장애가 암이고, 암이 폐암, 유방암, 전립선암 또는 림프종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치료학적 유효량의 구조 A를 갖는 화합물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게 투여하여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치료가 1종 이상의 BCL-2 패밀리 단백질의 활성 억제를 포함하는 것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치료학적 유효량의 구조 A를 갖는 화합물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게 투여하여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구조 A를 갖는 화합물을 항암제와 조합하여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치료학적 유효량의 구조 A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조합,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피험체에게 투여하여 1종 이상의 BCL-2 패밀리 단백질 발현 수치 상승을 갖는 피험체에서 암 또는 자가면역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치료학적 유효량의 구조 A를 갖는 화합물을 피험체에게 투여하고, 피험체가 상기 화합물을 사용하는 치료에 반응성인지를 판단하고 피험체에서 1종 이상의 BCL-2 패밀리 단백질의 수치를 측정하여 정상 대조군 샘플과 비교하여 1종 이상의 BCL-2 패밀리 단백질 발현 수치 상승을 갖는 피험체에서 암 또는 자가면역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수치 상승은 피험체가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사용하는 치료에 반응성임을 나타내는 것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치료학적 유효량의 구조 A를 갖는 화합물을 피험체에게 투여하고, 피험체가 상기 화합물을 사용하는 치료에 반응성인지를 판단하고 피험체에서 1종 이상의 BCL-2 패밀리 단백질의 수치를 측정하여 정상 대조군 샘플과 비교하여 1종 이상의 BCL-2 패밀리 단백질 발현 수치 상승을 갖는 피험체에서 암 또는 자가면역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수치 상승은 피험체가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사용하는 치료에 반응성임을 나타내고, 상기 판단은 피험체로부터 얻은 샘플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피험체에서 1종 이상의 BCL-2 패밀리 단백질의 수치를 측정하여 정상 대조군 샘플과 비교함으로써 피험체가 구조 A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조합,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사용하는 치료에 반응성인지를 판단하는 방법으로서, 수치 상승은 피험체가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사용하는 치료에 반응성임을 나타내는 것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피험체에서 1종 이상의 BCL-2 패밀리 단백질의 수치를 측정하여 정상 대조군 샘플과 비교함으로써 피험체가 구조 A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조합,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사용하는 치료에 반응성인지를 판단하는 방법으로서, 수치 상승은 피험체가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사용하는 치료에 반응성임을 나타내고, 상기 판단은 피험체로부터 얻은 샘플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피험체에서 1종 이상의 BCL-2 패밀리 단백질의 수치를 측정하여 정상 대조군 샘플과 비교함으로써 피험체가 구조 A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조합,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사용하는 치료에 반응성인지를 판단하는 방법으로서, 수치 상승은 피험체가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사용하는 치료에 반응성임을 나타내고, 샘플은 체액 또는 종양 샘플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피험체에서 1종 이상의 BCL-2 패밀리 단백질의 수치를 측정하여 정상 대조군 샘플과 비교함으로써 피험체가 구조 A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조합,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사용하는 치료에 반응성인지를 판단하는 방법으로서, 수치 상승은 피험체가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사용하는 치료에 반응성임을 나타내고, BCL-2 패밀리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또는 폴리펩타이드는 BCL-2, Bcl-XL, BCL-W, MCL-1 및 BCL-A1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유효량의 구조 A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조합,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세포에 투여하여 세포에서 BCL-2 패밀리 단백질(들)의 수치를 감소시키고 아폽토시스를 유도함으로써 1종 이상의 BCL-2 패밀리 단백질 구성원의 수치가 대조군 세포에서의 수치보다 높은 세포에서 아폽토시스를 유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유효량의 구조 A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조합,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세포에 투여하여 세포에서 BCL-2 패밀리 단백질(들)의 수치를 감소시키고 아폽토시스를 유도함으로써 1종 이상의 BCL-2 패밀리 단백질 구성원의 수치가 대조군 세포에서의 수치보다 높은 세포에서 아폽토시스를 유도하는 방법으로서, 세포가 암 세포인 유도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유효량의 구조 A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조합,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세포에 투여하여 세포에서 BCL-2 패밀리 단백질(들)의 수치를 감소시키고 아폽토시스를 유도함으로써 1종 이상의 BCL-2 패밀리 단백질 구성원의 수치가 대조군 세포에서의 수치보다 높은 세포에서 아폽토시스를 유도하는 방법으로서, 암이 폐암, 유방암, 전립선암 또는 림프종인 유도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유효량의 구조 A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조합,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세포에 투여하여 세포에서 BCL-2 패밀리 단백질(들)의 수치를 감소시키고 아폽토시스를 유도함으로써 1종 이상의 BCL-2 패밀리 단백질 구성원의 수치가 대조군 세포에서의 수치보다 높은 세포에서 아폽토시스를 유도하는 방법으로서, 세포가 면역계의 세포인 유도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구조 A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에 의한 치료 전과 치료 중의 피험체의 세포에서의 BCL-2 패밀리 단백질의 수치를 비교함으로써 피험체에서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조합,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의 투여를 포함하는 치료 요법의 유효성을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BCL-2 패밀리 단백질의 수치 감소는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사용하는 치료가 유효성이 있음을 나타내는 것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구조 A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에 의한 치료 전과 치료 중의 피험체의 세포에서의 BCL-2 패밀리 단백질의 수치를 비교함으로써 피험체에서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조합,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의 투여를 포함하는 치료 요법의 유효성을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BCL-2 패밀리 단백질의 수치 감소는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사용하는 치료가 유효성이 있음을 나타내고, 피험체는 암을 앓는 것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구조 A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에 의한 치료 전과 치료 중의 피험체의 세포에서의 BCL-2 패밀리 단백질의 수치를 비교함으로써 피험체에서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조합,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의 투여를 포함하는 치료 요법의 유효성을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BCL-2 패밀리 단백질의 수치 감소는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사용하는 치료가 유효성이 있음을 나타내고, 피험체는 암을 앓고, 암은 폐암, 유방암, 전립선암 또는 림프종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구조 A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에 의한 치료 전과 치료 중의 피험체의 세포에서의 BCL-2 패밀리 단백질의 수치를 비교함으로써 피험체에서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조합,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의 투여를 포함하는 치료 요법의 유효성을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BCL-2 패밀리 단백질의 수치 감소는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사용하는 치료가 유효성이 있음을 나타내고, 피험체는 자가면역 질환을 앓는 것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약학적 유효량의 구조 B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게 투여하여 염증을 감소시킴으로써 피험체에서 염증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35
[상기 식 중, R6, R8, R9 및 R10은 각각 수소, 하이드록실, -(C1-C6)알킬, -O(C1-C6)알킬, -(C1-C6)알킬할로, -OC(O)(C1-C6)알킬 또는 할로이고;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6)알킬, -(C3-C8)사이클로알킬, -(C6-C10)아릴 및 -(C1-C6)알킬(C6-C10)아릴, C(O)X, C(O)NHX, NH(CO)X, SO2NHX 및 NHSO2X이고, X는 알킬, 치환 알킬, 아릴, 치환 아릴, 알킬아릴, 치환 알킬아릴, 헤테로사이클 또는 치환 헤테로사이클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구조 B를 갖는 화합물의 약학적 유효량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게 투여하여 피험체에서 염증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화합물이 아포고시폴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구조 B를 갖는 화합물의 약학적 유효량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게 투여하여 피험체에서 염증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화합물이 아포고시폴이고, 화합물이 (+) 아포고시폴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 아포고시폴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구조 B를 갖는 화합물의 약학적 유효량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게 투여하여 피험체에서 염증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R6, R8, R9 및 R10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OH, -OCH3, -CF3, -CH3, -OC2H5, -OC(O)CH3, F, Cl 또는 Br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구조 B를 갖는 화합물의 약학적 유효량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게 투여하여 피험체에서 염증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R7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tert-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또는 사이클로헥실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구조 B를 갖는 화합물의 약학적 유효량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게 투여하여 피험체에서 염증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R10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OH, -OCH3, -CF3, -CH3, -OC2H5, -OC(O)CH3, F, Cl 또는 Br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구조 B를 갖는 화합물의 약학적 유효량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게 투여하여 피험체에서 염증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R6, R8 및 R9가 각각 -OC(O)CH3이고, R7이 각각 이소-프로필이고; R10이 각각 -CH3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구조 B를 갖는 화합물의 약학적 유효량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게 투여하여 피험체에서 염증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화합물이 아포고시폴의 프로드럭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구조 B를 갖는 화합물의 약학적 유효량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게 투여하여 피험체에서 염증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화합물이 화합물 XXI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36
.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구조 B를 갖는 화합물의 약학적 유효량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게 투여하여 피험체에서 염증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화합물이 화합물 XXII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37
.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구조 B를 갖는 화합물의 약학적 유효량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게 투여하여 피험체에서 염증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피험체가 홍반성 낭창, 건선, 건선성 관절염, 낭창성 신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궤양성 대장염, 중증 근무력증, ITP, TTP, 그레이브스병, 하시모토 갑상선염, 크론씨병,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인슐린 의존 당뇨병, 사구체신염, 류마티스 열, 골관절염, 통풍성 관절염, 피부염, 기관지염, 비염, 천식, 쇼그렌 증후군, 뇌수막염, 부신백질이영양증, CNS 혈관염, 미토콘드리아 근병증,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 알츠하이머병 또는 종양인 병증을 앓는 것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구조 B를 갖는 화합물의 약학적 유효량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게 투여하여 피험체에서 염증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미토콘드리아 근병증이 MELAS 증후군, MERF 증후군, 레베르병, 베르니케 뇌증, 레트 증후군, 호모시스틴뇨증, 고프롤린혈증, 비케톤성 고글리신혈증, 하이드록시부티릭 아미노산뇨증, 아황산염 산화효소 결핍증 또는 복합계통병(B12 결핍증)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구조 B를 갖는 화합물의 약학적 유효량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게 투여하여 피험체에서 염증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소염제를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게 투여하여 염증을 치료함으로써 이러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서 염증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소염제가 고시폴, 아포고시폴, L-아포고시폴, 아포고시폴의 유도체, 테아플라빈, 테아플라빈-3'-갈레이트, 테아플라바닌, (-) 갈로카테킨-3-갈레이트(GCG), (-)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EGCG), (-) 카테킨-3-갈레이트(CG), (-) 에피카테킨-3-갈레이트(ECG) 또는 푸르푸로갈린의 유도체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소염제를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게 투여하여 염증을 치료하고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를 투여함으로써 이러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서 염증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소염제가 고시폴, 아포고시폴, L-아포고시폴, 아포고시폴의 유도체, 테아플라빈, 테아플라빈-3'-갈레이트, 테아플라바닌, (-) 갈로카테킨-3-갈레이트(GCG), (-)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EGCG), (-) 카테킨-3-갈레이트(CG), (-) 에피카테킨-3-갈레이트(ECG) 또는 푸르푸로갈린의 유도체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소염제를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게 투여하여 이러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서 염증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소염제가 아포고시폴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소염제를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게 투여하여 이러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서 염증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소염제가 (+) 아포고시폴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 아포고시폴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소염제를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게 투여하여 이러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서 염증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소염제가 아포고시폴의 유도체이고, 아포고시폴의 유도체가 구조 B를 갖는 화합물이고, 푸르푸로갈린의 유도체가 5D1, 1163 또는 1142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소염제를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게 투여하여 염증을 치료함으로써 이러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서 염증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소염제가 고시폴, 아포고시폴, L-아포고시폴, 아포고시폴의 유도체, 테아플라빈, 테아플라빈-3'-갈레이트, 테아플라바닌, (-) 갈로카테킨-3-갈레이트(GCG), (-)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EGCG), (-) 카테킨-3-갈레이트(CG), (-) 에피카테킨-3-갈레이트(ECG) 또는 푸르푸로갈린의 유도체이고, 염증이 홍반성 낭창, 건선, 건선성 관절염, 낭창성 신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궤양성 대장염, 중증 근무력증, ITP, TTP, 그레이브스병, 하시모토 갑상선염, 크론씨병,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인슐린 의존 당뇨병, 사구체신염, 류마티스 열, 골관절염, 통풍성 관절염, 피부염, 기관지염, 비염, 천식, 쇼그렌 증후군, 뇌수막염, 부신백질이영양증, CNS 혈관염, 미토콘드리아 근병증,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 알츠하이머병 또는 종양인 병증과 관련된 염증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소염제를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게 투여하여 염증을 치료함으로써 이러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서 염증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소염제가 고시폴, 아포고시폴, L-아포고시폴, 아포고시폴의 유도체, 테아플라빈, 테아플라빈-3'-갈레이트, 테아플라바닌, (-) 갈로카테킨-3-갈레이트(GCG), (-)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EGCG), (-) 카테킨-3-갈레이트(CG), (-) 에피카테킨-3-갈레이트(ECG) 또는 푸르푸로갈린의 유도체이고, 염증이 홍반성 낭창, 건선, 건선성 관절염, 낭창성 신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궤양성 대장염, 중증 근무력증, ITP, TTP, 그레이브스병, 하시모토 갑상선염, 크론씨병,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인슐린 의존 당뇨병, 사구체신염, 류마티스 열, 골관절염, 통풍성 관절염, 피부염, 기관지염, 비염, 천식, 쇼그렌 증후군, 뇌수막염, 부신백질이영양증, CNS 혈관염, 미토콘드리아 근병증,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 알츠하이머병 또는 종양인 병증과 관련된 염증이고, 미토콘드리아 근병증이 MELAS 증후군, MERF 증후군, 레베르병, 베르니케 뇌증, 레트 증후군, 호모시스틴뇨증, 고프롤린혈증, 비케톤성 고글리신혈증, 하이드록시부티릭 아미노산뇨증, 아황산염 산화효소 결핍증 또는 복합계통병(B12 결핍증)인 병증과 관련된 염증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치료학적 유효량의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이성체, 또는 이의 조합,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게 투여하여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함으로써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치료학적 유효량의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이성체, 또는 이의 조합,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게 투여하여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함으로써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질환 또는 장애가 암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치료학적 유효량의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이성체, 또는 이의 조합,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게 투여하여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함으로써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질환 또는 장애가 암이고, 암이 폐암, 유방암, 전립선암 또는 림프종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치료학적 유효량의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이성체, 또는 이의 조합,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게 투여하여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함으로써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치료가 1종 이상의 BCL-2 패밀리 단백질의 활성 억제를 포함하는 것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치료학적 유효량의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이성체, 또는 이의 조합,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게 투여하여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함으로써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화합물을 항암제와 조합하여 투여하는 것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치료학적 유효량의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이성체, 또는 이의 조합,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피험체에게 투여함으로써 1종 이상의 BCL-2 패밀리 단백질 발현 수치 상승을 갖는 피험체에서 암 또는 자가면역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치료학적 유효량의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이성체, 또는 이의 조합,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피험체에게 투여함으로써, 피험체에서 1종 이상의 BCL-2 패밀리 단백질의 수치를 측정하여 정상 대조군 샘플과 비교함으로써 피험체가 상기 화합물을 사용하는 치료에 반응성인지를 판단함으로써 1종 이상의 BCL-2 패밀리 단백질 발현 수치 상승을 갖는 피험체에서 암 또는 자가면역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수치 상승은 피험체가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사용하는 치료에 반응성임을 나타내는 것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치료학적 유효량의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이성체, 또는 이의 조합,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피험체에게 투여함으로써, 피험체에서 1종 이상의 BCL-2 패밀리 단백질의 수치를 측정하여 정상 대조군 샘플과 비교함으로써 피험체가 상기 화합물을 사용하는 치료에 반응성인지를 판단함으로써 1종 이상의 BCL-2 패밀리 단백질 발현 수치 상승을 갖는 피험체에서 암 또는 자가면역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수치 상승은 피험체가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사용하는 치료에 반응성임을 나타내고, 상기 판단은 피험체로부터 얻은 샘플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피험체에서 1종 이상의 BCL-2 패밀리 단백질의 수치를 측정하여 정상 대조군 샘플과 비교함으로써 피험체가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이성체, 또는 이의 조합,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사용하는 치료에 반응성인지를 판단하는 방법으로서, 수치 상승은 피험체가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사용하는 치료에 반응성임을 나타내는 것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피험체에서 1종 이상의 BCL-2 패밀리 단백질의 수치를 측정하여 정상 대조군 샘플과 비교함으로써 피험체가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이성체, 또는 이의 조합,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사용하는 치료에 반응성인지를 판단하는 방법으로서, 수치 상승은 피험체가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사용하는 치료에 반응성임을 나타내고, 상기 판단은 피험체로부터 얻은 샘플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피험체에서 1종 이상의 BCL-2 패밀리 단백질의 수치를 측정하여 정상 대조군 샘플과 비교함으로써 피험체가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이성체, 또는 이의 조합,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사용하는 치료에 반응성인지를 판단하는 방법으로서, 수치 상승은 피험체가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사용하는 치료에 반응성임을 나타내고, 샘플이 체액 또는 종양 샘플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피험체에서 1종 이상의 BCL-2 패밀리 단백질의 수치를 측정하여 정상 대조군 샘플과 비교함으로써 피험체가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이성체, 또는 이의 조합,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사용하는 치료에 반응성인지를 판단하는 방법으로서, 수치 상승은 피험체가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사용하는 치료에 반응성임을 나타내고, BCL-2 패밀리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또는 폴리펩타이드가 BCL-2, Bcl-XL, BCL-W, MCL-1 및 BCL-A1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유효량의 구조 A의 화합물 또는 이의 조합,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세포에 투여하여 세포에서 BCL-2 패밀리 단백질(들)의 수치를 감소시키고 아폽토시스를 유도함으로써 1종 이상의 BCL-2 패밀리 단백질 구성원의 수치가 대조군 세포에서의 수치보다 높은 세포에서 아폽토시스를 유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유효량의 구조 A의 화합물 또는 이의 조합,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세포에 투여하여 세포에서 BCL-2 패밀리 단백질(들)의 수치를 감소시키고 아폽토시스를 유도함으로써 1종 이상의 BCL-2 패밀리 단백질 구성원의 수치가 대조군 세포에서의 수치보다 높은 세포에서 아폽토시스를 유도하는 방법으로서, 세포가 암 세포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유효량의 구조 A의 화합물 또는 이의 조합,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세포에 투여하여 세포에서 BCL-2 패밀리 단백질(들)의 수치를 감소시키고 아폽토시스를 유도함으로써 1종 이상의 BCL-2 패밀리 단백질 구성원의 수치가 대조군 세포에서의 수치보다 높은 세포에서 아폽토시스를 유도하는 방법으로서, 세포가 암 세포이고, 암이 폐암, 유방암, 전립선암 또는 림프종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유효량의 구조 A의 화합물 또는 이의 조합,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세포에 투여하여 세포에서 BCL-2 패밀리 단백질(들)의 수치를 감소시키고 아폽토시스를 유도함으로써 1종 이상의 BCL-2 패밀리 단백질 구성원의 수치가 대조군 세포에서의 수치보다 높은 세포에서 아폽토시스를 유도하는 방법으로서, 세포가 면역계의 세포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에 의한 치료 전과 치료 중의 피험체의 세포에서의 BCL-2 패밀리 단백질의 수치를 비교함으로써 피험체에서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조합,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의 투여를 포함하는 치료 요법의 유효성을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BCL-2 패밀리 단백질의 수치 감소는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사용하는 치료가 유효성이 있음을 나타내는 것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에 의한 치료 전과 치료 중의 피험체의 세포에서의 BCL-2 패밀리 단백질의 수치를 비교함으로써 피험체에서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조합,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의 투여를 포함하는 치료 요법의 유효성을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BCL-2 패밀리 단백질의 수치 감소는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사용하는 치료가 유효성이 있음을 나타내고, 피험체는 암을 앓는 것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에 의한 치료 전과 치료 중의 피험체의 세포에서의 BCL-2 패밀리 단백질의 수치를 비교함으로써 피험체에서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조합,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의 투여를 포함하는 치료 요법의 유효성을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BCL-2 패밀리 단백질의 수치 감소는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사용하는 치료가 유효성이 있음을 나타내고, 피험체는 암을 앓고, 암이 폐암, 유방암, 전립선암 또는 림프종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에 의한 치료 전과 치료 중의 피험체의 세포에서의 BCL-2 패밀리 단백질의 수치를 비교함으로써 피험체에서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조합,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의 투여를 포함하는 치료 요법의 유효성을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BCL-2 패밀리 단백질의 수치 감소는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사용하는 치료가 유효성이 있음을 나타내고, 피험체가 자가면역 질환을 앓는 것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치료학적 유효량의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이성체, 또는 이의 조합,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게 투여하여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함으로써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피험체가 홍반성 낭창, 건선, 건선성 관절염, 낭창성 신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궤양성 대장염, 중증 근무력증, ITP, TTP, 그레이브스병, 하시모토 갑상선염, 크론씨병,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인슐린 의존 당뇨병, 사구체신염, 류마티스 열, 골관절염, 통풍성 관절염, 피부염, 기관지염, 비염, 천식, 쇼그렌 증후군, 뇌수막염, 부신백질이영양증, CNS 혈관염, 미토콘드리아 근병증,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 알츠하이머병 또는 종양인 병증을 앓는 것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치료학적 유효량의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이성체, 또는 이의 조합,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게 투여하여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함으로써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피험체가 홍반성 낭창, 건선, 건선성 관절염, 낭창성 신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궤양성 대장염, 중증 근무력증, ITP, TTP, 그레이브스병, 하시모토 갑상선염, 크론씨병,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인슐린 의존 당뇨병, 사구체신염, 류마티스 열, 골관절염, 통풍성 관절염, 피부염, 기관지염, 비염, 천식, 쇼그렌 증후군, 뇌수막염, 부신백질이영양증, CNS 혈관염, 미토콘드리아 근병증,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 알츠하이머병 또는 종양인 병증을 앓고, 미토콘드리아 근병증이 MELAS 증후군, MERF 증후군, 레베르병, 베르니케 뇌증, 레트 증후군, 호모시스틴뇨증, 고프롤린혈증, 비케톤성 고글리신혈증, 하이드록시부티릭 아미노산뇨증, 아황산염 산화효소 결핍증 또는 복합계통병(B12 결핍증)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에 의한 치료 전과 치료 중의 피험체의 세포에서의 BCL-2 패밀리 단백질의 수치를 비교함으로써 그리고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를 투여함으로써 피험체에서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조합,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의 투여를 포함하는 치료 요법의 유효성을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BCL-2 패밀리 단백질의 수치 감소는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사용하는 치료가 유효성이 있음을 나타내고, 피험체가 자가면역 질환을 앓고 것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소염제를 이러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게 투여하여 염증을 치료함으로써 피험체에서 염증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소염제가 고시폴, 아포고시폴, L-아포고시폴, 아포고시폴의 유도체 또는 입체이성체, 테아플라빈, 테아플라빈-3'-갈레이트, 테아플라바닌, (-) 갈로카테킨-3-갈레이트(GCG), (-)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EGCG), (-) 카테킨-3-갈레이트(CG), (-) 에피카테킨-3-갈레이트(ECG) 또는 푸르푸로갈린의 유도체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소염제를 이러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게 투여하여 염증을 치료함으로써 그리고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를 투여함으로써 피험체에서 염증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소염제가 고시폴, 아포고시폴, L-아포고시폴, 아포고시폴의 유도체 또는 입체이성체, 테아플라빈, 테아플라빈-3'-갈레이트, 테아플라바닌, (-) 갈로카테킨-3-갈레이트(GCG), (-)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EGCG), (-) 카테킨-3-갈레이트(CG), (-) 에피카테킨-3-갈레이트(ECG) 또는 푸르푸로갈린의 유도체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소염제를 이러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게 투여함으로써 피험체에서 염증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소염제가 아포고시폴의 입체이성체인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에 언급된 바대로, 염증 장애는 아폽토시스 조절물질의 활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아폽토시스 조절물질, 예컨대 BCL-2 단백질의 활성을 조절하는 화합물을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화합물은 본원에 기재되어 있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이러한 화합물의 결합은 항아폽토시스 BCL-2 패밀리 구성원과 전아폽토시스 BCL-2 패밀리 구성원과의 상호작용을 예방하여, 항아폽토시스 BCL-2 패밀리 구성원의 생물학적 활성을 감소시킨다. 그 결과, 항아폽토시스 BCL-2 단백질 활성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애를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양태에서, 관심 있는 화합물은 (+) 아포고시폴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 아포고시폴을 비롯한 아포고시폴 및 다양한 아포고시폴의 유도체 및 본원에 기재된 다른 관련 화합물을 포함한다. 홍반성 루푸스와 같은 염증과 관련된 병증을 발생시킬 높은 감수성을 갖는 환자에게 이러한 화합물을 투여하여, 환자가 이러한 병증을 발생시킬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바대로, 아포고시폴은 고시폴보다 더 효과적이지만, 덜 독성이다. 고시폴에서의 알데하이드는 이것이 화합물 반응성이게 만들어, 활성 약물의 이용 가능한 농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독성을 야기한다. 문제가 있는 알데하이드가 없는 고시폴 유사체인 아포고시폴은 항아폽토시스 BCL-2-패밀리 단백질에 대해 완전 활성을 보유한다. 본원의 실시예 부분에 더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1일 투약 연구는 마우스가 고시폴보다 약 2~4배 아포고시폴의 용량에 내약성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더욱이, 이 연구는 아포고시폴이 독성 및 효율과 관련하여 모 화합물 고시폴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원에 도시된 일반식 B에서, 사용될 수 있는 몇몇 특정한 R6, R8, R9 및 R10 기는 독립적으로 수소, -OH, -OCH3, -CF3, -CH3, -OC2H5, -OC(O)CH3, F, Cl 또는 Br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몇몇 특정한 R7 기는 독립적으로 수소, -C2H5, -i-Pr, n-Pr, n-Bu, t-Bu, i-Bu, s-Bu 또는 사이클로헥실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도시된 일반식 B의 화합물은 아포고시폴이다. 암을 치료하기 위한 아포고시폴의 용도는 2005년 6월 25일자에 출원된 PCT 공보 WO 2005/009434호에 기재되어 있고, 이것은 그 전문이 참조문헌으로 본원에 포함된다.
본원에 도시된 일반식 B로 기재된 본 공개내용의 하나의 특정한 화합물은 아세테이트 부분(-OC(O)CH3)으로서 R6, R8, R9 각각을 갖고, i-Pr로서 R7을 갖고, -CH3(아포고시폴 헥스아세테이트)로서 R10을 갖는다. 이 화합물을 또한 아포고시폴의 경구 투여를 위한 프로드럭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의 화합물은 R6 기 중 하나가 수소가 아닌 기인 화학식 B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화합물은 (-) 아포고시폴일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화합물은 (-) 아포고시폴, (+) 아포고시폴, 라세미 아포고시폴, S-아포고시폴, R-아포고시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화합물은 실질적으로 순수한 (-)아포고시폴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 아포고시폴은 조성물 내 모든 거대분자 종의 80% 이상, 예컨대 약 85%, 90%, 95% 및 99% 이상이다. 예를 들면, (-) 아포고시폴을 필수 동종성으로 정제할 수 있고, 여기서 조성물은 오로지 필수적으로 (-) 아포고시폴로 이루어진다. 다양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화합물은 (+) 아포고시폴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 아포고시폴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도시된 일반식 B의 화합물은 본원에 도시된 화합물 XXI 또는 XXII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도시된 일반식 B의 화합물은 약 50 중량% 이상의 아포고시폴의 (-) 거울상 이성체 및 약 50 중량% 이하의 아포고시폴의 (+) 거울상 이성체를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화합물은 약 60 중량% 이상의 아포고시폴의 (-) 거울상 이성체 및 약 40 중량% 이하의 아포고시폴의 (+) 거울상 이성체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화합물은 약 70 중량% 이상의 아포고시폴의 (-) 거울상 이성체 및 약 30 중량% 이하의 아포고시폴의 (+) 거울상 이성체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화합물은 약 80 중량% 이상의 아포고시폴의 (-) 거울상 이성체 및 약 20 중량% 이하의 아포고시폴의 (+) 거울상 이성체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화합물은 약 90 중량% 이상의 아포고시폴의 (-) 거울상 이성체 및 약 10 중량% 이하의 아포고시폴의 (+) 거울상 이성체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화합물은 약 95 중량% 이상의 아포고시폴의 (-) 거울상 이성체 및 약 5 중량% 이하의 아포고시폴의 (+) 거울상 이성체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아포고시폴은 약 99 중량% 이상의 아포고시폴의 (-) 거울상 이성체 및 약 1 중량% 이하의 아포고시폴의 (+) 거울상 이성체를 포함한다.
천연 생성물 고시폴(1)은 BH3 모방제로서 작용하는 Bcl-2, Bcl-XL 및 Mcl-1의 강력한 억제제이다. (-) 고시폴은 현재 2상 임상 연구 중에 있고, 진행성 악성종양을 갖는 환자에서 단일 물질 함암 활성을 나타낸다. 고시폴이 마찬가지로 2개의 반응성 알데하이드 기로 인해 독성 문제를 갖는 것을 고려하여,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알데하이드가 없지만, 실험실내 및 세포에서 항아폽토시스 Bcl-2 패밀리 단백질에 대해 활성을 보유하는 화합물인 아포고시폴을 설계하였다. 최근에, 본 발명자들은 고시폴 및 아포고시폴의 마우스에서의 효율 및 독성을 비교하였다. 본 발명자들의 전임상 생체내 데이터는 아포고시폴이 고시폴과 비교하여 더 우수한 효율 및 현저히 감소된 독성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마우스에서 아포고시폴의 단일 용량 약동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아포고시폴은 더 느린 청소율로 인해 고시폴과 비교하여 시간에 따른 더 높은 혈액 농도를 나타냈다. 이러한 관찰은 아포고시폴이 암 치료에 대한 선도적인 주요 화합물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최근에, 본 발명자들은 아포고시폴 아트로포이성체(atropoisomer)의 분리 및 특징을 보고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라세미 아포고시폴이 이의 개별 이성체만큼 효과적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추가로, 본 발명자들은 5,5' 케톤 치환된 아포고시폴 유도체의 합성 및 평가를 보고하였고 최고의 화합물 3(BI79D10)은 아포고시폴과 비교하여 개선된 실험실내 및 생체내 효율을 나타냈다. 그러나, 화합물 3은 형질전환 마우스 연구 과정 동안 보통의 GI 독성을 나타냈지만, 아포고시폴은 마찬가지로 화합물 3 내 비교적 활성인 케톤 기로 인한 현저한 독성 징후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국, 본 발명자들은 반응성 케톤 기를 5,5' 위치에서 더 약물로 가능한 아미드 및 알킬 기로 대체한 새로운 5,5' 치환 아포고시폴 유도체을 제조하고 이의 활성을 평가하는 데 주의를 기울였다.
아포고시폴은 개선된 생체내 효율을 갖는 Bcl-XL 및 Bcl-2의 유망한 억제제이고 고시폴과 비교하여 독성을 감소시킨다. Bcl-2 내 BH3 결합 홈으로의 아포고시폴의 분자 도킹 연구는 아포고시폴이 각각 1 및 1' 하이드록실 기를 통해 Bcl-2 내 잔기 Arg 143 및 Tyr 105와 2개의 수소 결합을 형성한다는 것을 제시한다. 또한, 아포고시폴은 오른쪽 나프탈렌 고리 상에 6' 하이드록실 기를 통해 Bcl-2 내 Trp141 및 Tyr 199와 수소 결합을 형성한다. 왼쪽 나프탈렌 고리 상의 이소프로필 기가 Bcl-2 내 제1 소수성 포켓(P1)으로 삽입되고, 오른쪽 나프탈렌 고리 상의 이소프로필 기가 소수성 포켓(P2)으로 삽입된다. 예상되는 결합 모델의 분석은 아포고시폴의 전체 코어 구조가 Bcl-2의 BH3 결합 홈에 오히려 잘 맞지만, 2개의 이소프로필 기는 소수성 포켓 P1 및 P2를 완전히 차지하지 않는다는 것을 명확히 나타낸다. 따라서, Bcl-2 상에 소수성 포켓을 더 효과적으로 차지할 수 있는 새로운 분자를 유도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소프로필 기를 적합한 치환기로 대체한 5,5' 치환 아포고시폴 유도체의 라이브러리를 설계하였다.
5,5' 위치에서 각종 아미드 기를 설치하기 위한 합성 경로를 개발하였다. 화합물 1(고시폴)을 90℃에서 NaOH 용액으로 처리하여 화합물 2(아포고시폴)를 얻고, 이것을 탄산칼슘의 존재 하에 황산디메틸로 용이하게 메틸화하여 화합물 4를 얻는다. 화합물 4와 TiCl4와, 이어서 디클로로메틸 메틸 에테르와 실온에서 반응시켜 이소프로필 기 소실 및 동시의 비스포밀화를 발생시켜 알데하이드 화합물 5를 생성시킨다. 화합물 5의 알데하이드 기를 차아염소산나트륨과의 온화한 산화에 의해 카르복실산 6으로 전환시킨다. 이후, 카르복실산 6을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EDCI)의 존재 하에 각종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한 아민과 실온에서 커플링하여 화합물 7을 생성시킨다. 후속하여 붕소 트리브로마이드를 사용하여 화합물 7을 탈메틸화하여 화합물 8을 생성시킨다. 5,5' 알킬 치환된 아포고시폴 유도체의 합성을 도 12 및 도 16~18에 도시하였다. 화합물 5를 상이한 그리나드 또는 리튬 시약으로 처리하여 2차 알콜 9를 생성시키고, 이것을 산화하여 피리디늄 클로로크로메이트에 의해 페논 10을 생성시킨다. 트리에틸실란은 페논 10을 알킬 화합물 11로 환원시키고 후속하여 붕소 트리브로마이드를 사용하여 탈메틸화하여 화합물 12를 생성시킨다. 5,5' 위치에서의 치환이 생물학적 활성을 증강시키는 데 중요한지 연구하기 위해 5,5' 위치에서 수소 원자 또는 카르복실산을 갖는 화합물 13 및 화합물 14를 합성한다. 화합물 4를 농축 황산으로 처리하여 이소프로필 기를 소실시켜 화합물 13을 합성한다. 이후, 얻어진 생성물 및 화합물 6을 개별적으로 붕소 트리브로마이드로 처리하여 각각 화합물 13 및 화합물 14를 생성시킨다.
합성된 5,5' 치환 아포고시폴 유도체를 Bcl-XL에 대해 1차원 1H 핵 자기 공명 분광학(1D 1H NMR) 결합 분석에 의해 우선 스크리닝한다. 이후, 1D 1H NMR 결합 분석에서의 활성 화합물을 선택하고 등온 적정 열 분석(ITC), 세포 생존율 분석 및 경쟁적 형광 편광 분석(FPA)에서 평가한다. 화합물 군(8r, 8q, 8m)은 이 분석에서 Bcl-XL에 대해 높은 결합 친화도를 나타낸다. 가장 강력한 화합물 8r은 Bcl-XL의 1차원 1H NMR 스펙트럼에서 활성 자리 메틸 기(-0.38 내지 0.42 ppm 영역) 내 현저한 화학 이동 변화를 유도하고 또한 FP 대체 분석에서 아포고시폴보다 5배 더 효과적인 0.76 μM의 IC50 값을 가진다. NMR 결합 데이터 및 FP 분석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추가로 ITC 분석을 이용하여 Bcl-XL에 대한 화합물 8r의 결합 친화도를 평가하였다. NMR 결합 및 FPA 데이터와 일치하게, 화합물 8r은 동일한 분석에서 아포고시폴(Kd = 1.7 μM)보다 15배 더 강력한 0.11 μM의 Kd 값으로 Bcl-XL에 대한 강력한 결합 친화도를 나타낸다. NMR 결합, FPA 및 ITC 데이터와 일치하게, 화합물 8r은 PC3ML 세포에서 세포 성장을 억제하는 데 있어서 강한 효율을 나타내고, 이것은 Bcl-XL의 높은 수준을 나타낸다. 8r의 EC50 값은 1.7 μM이므로, 아포고시폴(EC50 = 10.4 μM)보다 6배 더 강력하다. 화합물(8j-8)은 2.8 μM의 평균 IC50 값으로 이 분석에서 Bcl-XL에 대해 8r과 유사한 결합 친화도를 나타낸다.
Bcl-2 및 Mcl-1은 세포 아폽토시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Bfl-1은 최근에 Bcl-2 패밀리 단백질 중에서 많은 B 세포 림프종에서 중요한 항아폽토시스 인자인 것으로 제시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FP 분석을 이용한 Bcl-2, Mcl-1 및 Bfl-1에 대한 선택된 Bcl-XL 활성 5,5' 치환 아포고시폴 유도체의 결합 특성 및 특이성을 추가로 평가하였다. 화합물 8r은 Bcl-2, Mcl-1 및 Bfl-1에 대해 강한 결합 친화도를 나타낸다. 이것은 유사한 FP 분석에서 아포고시폴보다 대략 10배 더 강력한 각각 0.32, 0.28 및 0.73 μM의 IC50 값으로 Bcl-2, Mcl-1 및 Bfl-1을 억제한다. 각각 높은 수치의 Bcl-2, Mcl-1 및 Bfl-1을 발현하는 H460, H1299 및 BP3 세포주에 대해 화합물 8r을 추가로 평가한다. FPA 데이터와 일치하게, 화합물 8r은 아포고시폴보다 대략 7~10배 더 강력한 각각 0.33 μM 및 0.66 μM의 IC50 값으로 H460 및 BP3 세포에서 세포 성장을 억제하는 데 있어서 현저한 효율을 나타낸다. 화합물 8r의 분자 도킹 연구는 5,5' 위치에서의 2-페닐프로필 기가 Bcl-2에서의 소수성 포켓(P1 및 P2)으로 더 깊이 삽입되어, 아포고시폴의 이소프로필 기와 비교하여 더 효율적으로 이 영역을 차지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오른쪽 나프탈렌 고리 상의 카보닐 기는 또한 잔기 Tyr199와 추가의 수소 결합을 형성한다. 그러나, 화합물 8r은 아마도 상이한 세포주가 화합물 8r에 대해 상이한 민감성을 가지므로 아포고시폴과 비교하여 H1299 세포주에서 유사한 세포 활성을 나타낸다. 또한, 다른 5,5' 치환 아포고시폴 유도체, 예컨대 12e, 8n, 8p, 8q, 8k는 Bcl-2, Mcl-1 및 Bfl-1에 대해 강한 pan 활성 억제 특성을 나타낸다. 가장 강력한 화합물 8q는 FP 분석에서 각각 0.67, 0.59 및 1.3 μM의 IC50 값으로 Bcl-2, Mcl-1 및 Bfl-1에 결합한다. FPA와 일치하게, 이것은 각각 0.40, 0.36 및 0.20 μM의 IC50 값으로 H460, H1299 및 BP3 세포주에 대해 강력한 세포 억제 활성을 나타낸다.
합성된 5,5' 치환 아포고시폴 유도체의 구조 활성 관게(SAR)의 분석으로 5,5' 위치에서의 치환이 Bcl-2 패밀리 단백질에 대한 더 강한 결합 친화도를 성취하는 데 있어서 중요하다는 것이 나타난다. 따라서, 5,5' 위치 상에 수소 원자 또는 카르복실산 기를 갖는 화합물 13 및 화합물 14는 모든 분석에서 약한 억제를 나타내거나 나타내지 않는다. 5,5' 아미드 치환 아포고시폴 유도체의 SAR의 분석은 추가로 더 길고 유연한 소수성 기가 작고, 짧으며 딱딱한 소수성 기보다 우수한 효율을 나타낸다는 것을 나타낸다. 작은 메틸사이클로프로판(8l) 또는 짧은 사이클로펜틸(8b) 기의 더 긴 메틸사이클로헥실 기(8m)에 의한 대체는 세포 억제 효력을 현저히 증가시킨다. 또한, 5,5' 위치에서 펜에틸 기를 갖는 화합물(8n-8)은 각각 0.64 μM 및 2.6 μM의 평균 EC50 값으로 H460 및 PC3ML 세포주에서 강력한 세포 활성을 나타내지만, 페닐 기를 갖는 화합물(8a-8e)은 각각 8.6 μM 및 11.3 μM의 평균 EC50 값으로 비교적 약한 세포 활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자들의 모델 예측에 기초하여, 더 길고 유연한 기가 P1 및 P2 포켓으로 더 깊이 삽입할 수 있으므로 이것은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5,5' 알킬 치환 아포고시폴 유도체의 SAR를 조사하였다. 일반적으로, 더 긴 소수성 기가 또한 개선된 효력을 나타낸다. 이소부틸 및 이소펜틸 기를 갖는 화합물 12a 및 화합물 12b는 이소프로필 기를 갖는 아포고시폴과 비교하여 개선된 활성을 나타낸다. 다시 말하면, 펜에틸 기를 갖는 화합물 12e는 벤질 기를 갖는 화합물 12d보다 더 활성이다.
여러 그룹에서 H460 세포주를 연구하였다. GX15-070인 pan-Bcl-2 패밀리 억제제를 3.85 μM의 IC50 값으로 H460 세포주에서 시험하였다. BP3은 Bfl-1을 과발현하는 인간 미만성 거대 B 세포 림프종(DLBCL) 세포주이다. Bfl-1, Bcl-XL 및 Mcl-1의 mRNA 비는 대략 10:3:1이다. 본 발명자들은 BP3 세포가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대로 웨스턴 블롯 분석에 의해 높은 수치 Bfl-1 및 Mcl-1을 과발현한다고 결론지었다.
Figure pct00038
ABT737이 Mcl-1 및 Bfl-1에 대해 효과적이지 않으므로, 강력한 Bcl-XL 및 Bcl-2 길항제 ABT-737은 BP3 세포주에 대해 세포 활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자들은 다음에 높은 수치의 Bcl-2 및 Bcl-XL을 발현하는 인간 림프종 RS11846 세포주의 아폽토시스를 유도하는 5,5' 치환 아포고시폴 유도체의 능력을 평가하였다. 이 분석을 위해, 본 발명자들은 Annexin V-FITC 및 프로피듐 요오다이드(PI) 2중 염색에 이어, 유세포 분석을 이용하였다. 합성된 아포고시폴 유도체의 대부분이 용량 의존 방식으로 RS11846 세포주의 아폽토시스를 효과적으로 유도한다. 특히, 화합물 8q, 화합물 8r 및 화합물 8n은 3.0 내지 5.8 μM의 EC50 값으로 효과적이고, 이것은 인간 암 PC3ML 및 H460 세포주에서의 이전의 결과와 일치한다. 다시 말하면, 음성 대조군 화합물 13 및 화합물 14는 RS11846 세포주의 약한 아폽토시스를 유도하거나 유도하지 않는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5,5' 치환 아포고시폴 유도체가 항아폽토시스 Bcl-2 패밀리 단백질이 세포 보호 표현형이 부족한 Bax/Bak 2중 넛아웃(DKO) 마우스 배아 섬유아세포(MEF)에 대해 세포독성을 갖는지를 연구하였다. 여러 강력한 pan 활성 Bcl-2 화합물(8m, 8q, 8r, 8k, 8p, 12e)은 FITC-Annexin V/PI 분석을 이용하여 10 μM에서 이들 중 20~35%를 사멸시킴으로써 Bax/Bak 2중 넛아웃 마우스 배아 섬유아세포(MEF/DKO)에서 약간 세포독성을 나타내고, 이것은 이 화합물이 약간의 표적 이탈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 화합물은 10 μM에서 MEF 및 MEF/DKO 세포에서 매우 유사한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고시폴보다 감소된 표적 이탈 효과를 나타낸다. 비교하자면, 아포고시폴은 감소된 표적 이탈 효과를 갖지만, 5,5' 아미드 치환 아포고시폴 유도체와 비교하여 MEF 세포의 아폽토시스를 유도하는 더 약한 능력을 나타낸다.
아포고시폴은 퀴논으로 산화될 수 있는 나프탈렌 고리 상의 6 하이드록실 기를 갖는 폴리페놀 스캐폴드이다. 본 발명자들은 이전에 아포고시폴을 아스코르브산으로 공결정화하여 이것을 안정화시켰다. 나프탈렌 고리 상의 카보닐 기와 같은 전자 끌게 기를 도입함으로써 아포고시폴을 또한 안정화시킬 수 있는데, 왜냐하면 이것은 나프탈렌 고리 상의 전자 밀도를 감소시키고 후속적으로 산화 속도 및 다른 부작용을 느리게 하기 때문이다. 고체 화합물(8m, 8q, 8r, 8k, 8p, 12e)의 화학 안정성을 실온에서 평가한다. HPLC 및 LCMS의 조합을 이용하여 화합물의 안정성을 모니터링한다. 결국, 5,5' 아미드 치환 아포고시폴 유도체는 아포고시폴과 비교하여 더 우수한 화학 안정성을 나타낸다. 특히, 8r 및 8q는 실온에서 60일 후 10% 분해되지만, 아포고시폴은 아스코르브산의 부재 하에 동일한 조건 하에 거의 80% 분해된다. 5,5' 위치에서 펜에틸 기를 갖는 화합물 12e는 전자 끌게 기의 부족으로 인해 아미드 화합물보다 또한 덜 안정하다.
5,5' 치환 아포고시폴 유도체의 약리학적 특성을 시험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이것의 실험실내 혈장 안정성, 마이크로솜 안정성 및 세포막 투과성을 결정하였다. 이러한 연구로부터,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자들이 합성한 화합물이 아포고시폴보다 더 우수한 혈장 및 마이크로솜 안정성을 나타낸다고 결론지었다. 화합물 8r 및 8m은 랫트 혈장에서 1시간 항온처리 후 각각 4% 및 11% 분해되지만, 아포고시폴은 동일한 조건 하에 47% 분해된다. 또한, 화합물 8r 및 화합물 8m은 랫트 마이크로솜 제제에서 1시간 항온처리 후 각각 24% 및 10% 분해되지만, 아포고시폴은 동일한 조건 하에 36% 분해된다. 화합물 8r 및 화합물 8m은 또한 아포고시폴과 비교하여 유사한 또는 개선된 세포막 투과성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1D 1H NMR 결합 분석, FP 분석, ITC 분석, 세포독성 분석 및 사전 실험실내 ADME 데이터의 조합을 이용하여, B6Bcl-2 형질전환 마우스를 사용하는 추가의 생체내 연구에 화합물 8r 및 화합물 8q와 같은 화합물을 선택한다. B6Bcl-2 형질전환 마우스의 B 세포는 인간 Bcl-2를 과발현하고 마우스의 비장에서 축적된다. 본 발명자들이 비장 중량이 연령 및 성별 일치되는 Bcl-2-형질전환 마우스에서 매우 일치하고 가변성은 대조군 B6Bcl2 마우스 중에서 ±2% 내라는 것을 결정지으면서, 생체내 활성을 평가하기 위한 종점으로서 비장 중량을 이용한다. 본 발명자들은 우선 72 μmol/㎏에서 단일 복강내(ip) 주사를 갖는 단일 Bcl-2 형질전환 마우스에서 화합물 8r 및 화합물 8q와 같은 화합물과 아포고시폴 및 고시폴의 생체내 활성을 차례대로 스크리닝하였다. 모든 실험실내 데이터와 일치하게, 시험된 5,5' 아미드 치환 아포고시폴 유도체는 아포고시폴 및 고시폴과 비교하여 더 우수한 생체내 활성을 나타낸다. 특히, 화합물(8r, 8k 및 8p)은 40% 초과의 비장 중량 감소를 유도한다. 이 실험 모델에서 최대 비장 수축이 50% 초과가 아니므로, 이러한 화합물은 거의 최대(85~95%)의 생물학적 활성을 유도하지만, 아포고시폴 및 고시폴은 동일한 용량에서 비장 중량에서 최대 감소의 40%를 유도한다. 다시 말하면, 음성 대조군, 화합물 13은 예상된 바대로 형질전환 마우스 모델에서 활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결국, 시험된 5,5' 알킬 치환된 아포고시폴 유도체(12c 및 12e)는 5,5' 아미드 치환 아포고시폴 유도체와 비교하여 더 낮은 생체내 활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5,5' 알킬 치환된 아포고시폴은 72 μmol/㎏에서, 심지어 120 μmol/㎏에서 현저한 독성 징후를 나타내지 않지만, 5,5' 아미드 치환 아포고시폴은 하기 표 2에 기재된 바대로 72 μmol/㎏에서 독성 징후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39
화합물 8r로 치료된 마우스는 72 μmol/㎏(50 ㎎/㎏)에서 더 명확한 GI 독성 징후를 갖는다. 화합물 8r의 독성 및 효율을 균형이 되게 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다음에 5마리의 마우스 군을 사용하여 최대 허용 용량(MTD)을 연구하였다. 마우스를 100, 75, 50, 25 및 12.5 ㎎/㎏(ip)의 단일 용량으로 처리하고 이환율(체중 손실) 및 사망률의 14일 모니터링의 기간 동안 관찰하였다. 모든 마우스는 14일 후 살았고 최대 체중 손실이 14일 후 80~100% 회복을 겪은 5일 후에 관찰되었다. 25 및 12.5 ㎎/㎏로 투약받은 마우스는 체중 손실을 나타내지 않았지만, 50 ㎎/㎏로 투약받은 마우스는 거의 13% 체중 손실을 나타냈다. 따라서, 화합물 8r의 MTD는 마찬가지로 대략 25 ㎎ 내지 50 ㎎/㎏이었다. 본 발명자들은 다음에 각각 42 ㎎/㎏(60 μmol/㎏)의 용량에서 6마리의 마우스 군에서 화합물 8r의 생체내 활성 및 독성을 평가하였다. 단일 마우스 실험과 일치하게, 이 마우스의 화합물 8r 치료로 6마리의 마우스 대조군과 비교하여 비장 중량(P<0.0001)이 현저히(약 70%) 감소하였다. 모든 마우스는 치료에 매우 내약성이었고 및 경증의 GI 독성 징후가 관찰되었다. 마우스의 평균 체중 감소는 8r에 의한 이 연구 과정 동안 7.8%이었다.
요약하면, 5,5' 치환 아포고시폴 유도체의 라이브러리를 합성하고 각종 실험실내 및 생체내 분석에서 평가하였다. 가장 강력한 화합물인 8r은 각각 760 nM, 320 nM, 280 nM 및 730 nM의 IC50 값으로 Bcl-XL, Bcl-2, Mcl-1 및 Bfl-1에 결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상기 화합물은 또한 μM 이하 내지 나노몰 범위의 EC50 값으로 각각 Bcl-XL, Bcl-2, Mcl-1 및 Bfl-1을 발현하는 PC3ML, H460, H1299 및 BP3 암 세포주의 세포 배양에서 성장을 강력히 억제하였다. 화합물 8r은 효과적으로 용량 의존 방식으로 RS11846 인간 림프종 세포주의 아폽토시스를 유도하고 항아폽토시스 Bcl-2 패밀리 단백질이 세포보호 표현형이 결핍된 Bax/Bak 2중 넛아웃 마우스 배아 섬유아세포에 대해 세포독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았고, 이것은 화합물 8r이 표적 이탈 효과를 거의 갖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화합물 8r은 Bcl-2가 B 세포에서 과발현된 Bcl-2 형질전환 마우스에서 아포고시폴과 비교하여 바람직한 화학 안정성, 실험실내 ADME 특성 및 더 우수한 생체내 효율을 나타냈다. 항아폽토시스 Bcl-2 패밀리 단백질에 대한 8r의 종양생성, 항암제내성 및 강력한 억제 활성에서 항아폽토시스 Bcl-2 패밀리 단백질의 중요한 역할을 감안하여, 화합물 8r은 새로운 아폽토시스 기반 암 치료의 개발을 위한 실행 가능한 약물 후보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40
Figure pct00041
Figure pct00042
Figure pct00043
Figure pct00044
항아폽토시스 BCL-2 단백질에 대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의 결합은 아폽토시스를 유도하고 이에 의해 염증 및/또는 염증성 장애를 치료할 수 있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항아폽토시스 BCL-2 패밀리 단백질, 예를 들면 BCL-2 또는 Bcl-XL에 결합할 수 있다. 이 결합은 전아폽토시스 BCL-2 패밀리 구성원에 대한 항아폽토시스 BCL-2 패밀리 구성원의 결합을 억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의 결합은 항아폽토시스 BCL-2 단백질과 전아폽토시스 BCL-2 패밀리 구성원의 BH3 도메인 사이의 복합체의 형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핵 자기 공명(NMR) 결합 분석 및 컴퓨터 도킹 연구의 조합에 의해 지시되는 대로, 항아폽토시스 Bcl-2 패밀리 단백질의 강력한 pan-활성 억제제로서 일련의 5,5' 치환 아포고시폴 유도체를 합성한다. 가장 강력한 화합물 중 하나인 8r은 각각 0.76 μM, 0.32 μM, 0.28 μM 및 0.73 μM의 IC50 값으로 Bcl-XL, Bcl-2, Mcl-1 및 Bfl-1에 대한 BH3 펩타이드의 결합을 억제한다. 이 화합물은 또한 각각 0.33 μM 및 0.66 μM의 EC50 값으로 H460 인간 폐암 및 BP3 인간 B 세포 림프종 세포주에서 세포 성장을 강력하게 억제한다. 화합물 8r은 효과적으로 용량 의존 방식으로 RS11846 인간 림프종 세포주의 아폽토시스를 유도하고 항아폽토시스 Bcl-2 패밀리 단백질이 세포보호 표현형이 결핍된 bax-/-bak-/- 세포에 대해 세포독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았고, 이것은 화합물 8r이 표적 이탈 효과를 거의 갖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화합물 8r은 또한 Bcl-2가 비장 B 세포에서 과발현되는 형질전환 마우스에서 생체내 효율을 나타낸다. 아포고시폴에 비해 이의 개선된 화학, 혈장 및 마이크로솜 안정성과 함께, 화합물 8r은 암에 대한 새로운 아폽토시스 기반 치료를 나타낸다.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공개내용은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임의의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의 유효량을 이러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치료될 수 있는 질환 또는 장애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암 및 자가면역 질환을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공개내용은 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임의의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임의의 유형의 암을 치료하기 위해 임의의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몇몇 양태에서, 치료될 수 있는 암의 종류로는 폐암, 유방암, 전립선암 및 각종 림프종을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포유동물, 예컨대 인간에서 병리학적 병증 또는 증후군의 치료를 위한 의약의 제조에 임의의 개시된 화합물 사용할 수 있다. 의약은 본원에 기재된 제한 내에 암의 치료와 관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공개내용은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약학 조성물은 임의의 개시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희석제 또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암을 치료하기 위해 약학 조성물 사용할 수 있다. 약학 조성물은 추가로 임의로 (1) 알카로이드, 예를 들면 미세소관 억제제(예를 들면, 빈크리스틴, 빈블라스틴 및 빈데신 등), 미세소관 안정화제(예를 들면, 파클리탁셀 [탁솔] 및 도세탁셀, 탁소테레 등) 및 크로마틴 기능 억제제, 예를 들면 토포이소머라제 억제제, 예컨대 에피포도필로톡신(예를 들면, 에토포사이드[VP-16] 및 테니포사이드 [VM-26] 등) 및 표적 토포이소머라제 I을 표적으로 하는 물질(예를 들면, 캄포테신 및 이시리노테칸[CPT-11] 등); (2) 공유 DNA 결합 물질[알킬화제], 예를 들면 질소 머스타드(예를 들면, 메클로레타민, 클로람부실, 사이클로포스파미드, 이포스파미드 및 부술판[Myleran] 등), 니트로소우레아(예를 들면, 카르무스틴, 로무스틴 및 세무스틴 등) 및 다른 알킬화제(예를 들면, 다카르바진, 하이드록시메틸멜라민, 티오테파 및 미토사이신 등); (3) 비공유 DNA 결합 물질[함암 항생제], 예를 들면 핵산 억제제(예를 들면, 닥티노마이신 [악티노마이신 D] 등), 안트라사이클린(예를 들면, 다우노루비신[다우노마이신 및 세루비딘], 독소루비신[아드리아마이신] 및 이다루비신[이다마이신] 등), 안트라센디온(예를 들면, 안트라사이클린 유사체, 예컨대 [미톡산트론] 등), 블레오마이신(블레녹산) 등 및 필리카마이신(미트라마이신) 등; (4) 대사길항물질, 예를 들면 엽산길항제(예를 들면, 메토트렉세이트, 폴렉스 및 메세이트 등), 퓨린 대사길항물질(예를 들면, 6-머캅토퓨린 [6-MP, 퓨린톨], 6-티오구아닌 [6-TG], 아자티오프린, 아시클로버, 간시클로버, 클로로데옥시아데노신, 2-클로로데옥시아데노신[CdA] 및 2'-데옥시코포르마이신 [펜토스타틴] 등), 피리미딘 길항제(예를 들면, 플루오로피리미딘[예를 들면, 5-플루오로우라실(아드루실), 5-플루오로데옥시우리딘(FdUrd)(플록수리딘)] 등) 및 사이토신 아라비노사이드(예를 들면, 싸이토사유[ara-C] 및 플루다라빈 등); (5) 효소, 예를 들면 L-아스파라기나제 및 하이드록시우레아 등; (6) 호르몬, 예를 들면 클루코코르티코이드, 예컨대 항에스트로겐(예를 들면, 타목시펜 등), 비스테로이드성 항안드로젠(예를 들면, 플루타미드 등) 및 아로마타제 억제제(예를 들면, 아나스트로졸[아리미덱스] 등); (7) 백금 화합물(예를 들면, 시스플라틴 및 카보플라틴 등); (8) 항암 약물, 독소 및/또는 방사성 핵종 등과 콘쥬게이트된 단일클론 항체; (9) 생물학적 반응 변경 물질(예를 들면, 인터페론[예를 들면, IFN-알파 등] 및 인터류킨[예를 들면, IL-2 등] 등); (10) 양자 면역; (11) 혈액형성 성장 인자; (12) 종양 세포 분화를 유도하는 물질(예를 들면, 올-트랜스-레티노산 등); (13) 유전자 치료 물질; (14) 안티센스 치료 물질; (15) 종양 백신; (16) 종양 전이에 대해 관련된 물질(예를 들면, 바티미스타트 등); (17) 혈관생성의 억제제 및 (18)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이들로 제한되지는 않음)로서 이들과 같은 물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추가의 치료학적 항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적합한 SSRI의 반응성이지만 비제한적인 예로는 세르트랄린(예를 들면, 상품명 "Zoloft"[판매처: Pfizer, Inc.] 하에 판매되는 세르트랄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또는 세르트랄린 대사체, 플루복사민(예를 들면, 상품명 "Luvox"[판매처: Solvay Pharmaceuticals, Inc.] 하에 판매되는 플루복사민 말레이트), 파록세틴(예를 들면, 상품명 "Paxil"[판매처: SmithKline Beecham Pharmaceuticals, Inc.] 하에 판매되는 파록세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플루오섹틴(예를 들면, 상품명 "Prozac" 또는 "Sarafem"[판매처: Eli Lilly and Company] 하에 판매되는 플루오섹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및 시탈로프람(예를 들면, 상품명 "Celexa"[판매처: Forest Laboratories, Parke-Davis, Inc.] 하에 판매되는 시탈로프람 하이드로브로마이드) 및 이의 대사체를 들 수 있다. 추가의 예로는 벤라팍신(예를 들면, 상품명 "Effexor"[판매처: Wyeth-Ayerst Laboratories] 하에 판매되는 벤라팍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미르타자핀(예를 들면, 상품명 "Remeron"[판매처: Organon, Inc.] 하에 판매되는 것), 부스피론(예를 들면, 상품명 "Buspar"[판매처: Bristol-Myer Squibb] 하에 판매되는 부스피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트라조돈(예를 들면, 상품명 "Desyrel"[판매처: Bristol-Myer Squibb and Apothecon] 하에 판매되는 트라조돈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네파자돈(예를 들면, 상품명 "Serzon"[판매처: Bristol-Myer Squibb] 하에 판매되는 네파자돈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클로미프라민(예를 들면, 상품명 "Anafranil"[판매처: Novopharm, LTD, Ciba, and Taro Pharmaceuticals] 하에 판매되는 클로미프라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이미프라민(예를 들면, 상품명 "Tofranil"[판매처: Glaxo-Welcome, Inc.] 하에 판매되는 이미프라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노르트립틸린(예를 들면, 상품명 "Nortrinel"[판매처: Lundbeck] 하에 판매되는 노르트립틸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미안세린(예를 들면, "Tolvon"[판매처: Organon, Inc.] 하에 판매되는 것), 둘록세틴(예를 들면, Eli Lilly and Company가 판매하는 둘록세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다폭세틴(예를 들면, ALZA Corporation이 판매하는 다폭세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리톡세틴(예를 들면, Synthelabo Recherche(L.E.R.S.), Bagneux, France.가 판매하는 리톡세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페목세틴, 로페프라민(예를 들면, 상품명 "Gamonil"[판매처: MERCK & Co., Inc.] 하에 판매되는 것), 타목세틴(예를 들면, Eli Lilly and Company가 판매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공개내용은 현재 사용되는 SSRI 또는 후에 개발되거나 제제화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것을 비롯한 SSRI를 1일 약 2 ㎎ 내지 약 2,500 ㎎의 양으로 경구 투여할 수 있다.
광의에서, 본 공개내용의 실시양태에 따라 임의의 암 또는 종양(예를 들면, 혈액 및 고체 종양)을 치료할 수 있다. 본 공개내용의 실시양태에 따라 치료할 수 있는 예시적인 암으로는 두경부암, 뇌 암(예를 들면, 다형성 교모세포종) 유방암, 결장암, 식도암, 위암, 간암, 방광암,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폐암(비소세포), 난소암 및 다른 부인과 암(예를 들면, 난소 및 자궁의 종양), 췌장암, 전립선암, 신장암, 융모암(폐암), 피부암(예를 들면, 흑색종, 기저 세포 암종), 모발 세포 백혈병, 만성 림프성 백혈병, 급성 림프성 백혈병(유방 및 방광), 급성 골수성 백혈병, 수막 백혈병, 만성 골수성 백혈병 및 적백혈병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더욱 특히, 치료된 암으로는 백혈병 및 B 세포 암(예를 들면, 림프종, 다발성 골수종 및 MDS를 들 수 있다.
본 공개내용의 임의의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 및 방법을 사용하여 치료할 수 있는 자가면역 질환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류마티스성 관절염, 건선성 관절염, 소아 특발성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전신성 홍반성 낭창, 중증 근무력증, 소아 당뇨병, 사구체신염, 자가면역 갑상선염, 베체트병, 크론씨병, 궤양성 대장염, 수포성 유사천포창, 유육종증, 건선, 어린선, 그레이브스 안병증, 건선, 건선 염증성 장 질환 및 천식을 들 수 있다.
본원에 더 자세히 기재된 바대로, 몇몇 실시양태는 또한 다양한 염증성 장애, 질환 및 병증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염증성 장애, 질환 및 병증으로는 전신 자가면역 질환, 예를 들면 홍반성 낭창, 류마티스성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및 건선 등; 및 기관 특이적 자가면역 질환, 예컨대, 예를 들면 궤양성 대장염, 중증 근무력증, 그레이브스병, 하시모토 갑상선염, 크론씨병, 낭창성 신염,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면역 혈소판감소성 자반병(ITP), 혈전성 혈소판감소성 자반병(TTP), 인슐린 의존 당뇨병, 사구체신염 및 류마티스 열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공개내용에 따라 치료할 수 있는 다른 염증성 질환으로는 다른 염증성 관절염 병증, 예컨대 건선성 관절염, 골관절염 및 통풍성 관절염 및 손상, 알레르기, 감염, 미생물, 외상 또는 물리 또는 화학 물질에 의해 야기되는 다른 염증성 병증, 예컨대 결막염, 피부염, 기관지염, 비염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천식, 쇼그렌 증후군, 뇌수막염, 부신백질이영양증, CNS 혈관염, 미토콘드리아 근병증,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 알츠하이머병 또는 종양의 염증성 양태의 치료가 또한 본 공개내용의 일부로서 고려된다. 미토콘드리아 근병증의 예로는 MELAS 증후군, MERF 증후군, 레베르병, 베르니케 뇌증, 레트 증후군, 호모시스틴뇨증, 고프롤린혈증, 비케톤성 고글리신혈증, 하이드록시부티릭 아미노산뇨증, 아황산염 산화효소 결핍증 및 복합계통병(B12 결핍증)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예방 및/또는 치료와 관련하여,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에 의한 제조 물품, 조성물, 사용 방법 및 의학 치료가 또한 제공된다.
몇몇 경우에, 임의의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을 염으로서 투여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예로는 생리학적 허용되는 음이온을 형성하는 산에 의해 형성된 유기산 부가염, 예를 들면 토실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아세테이트, 시트레이트, 말로네이트, 타르트레이트, 숙시네이트, 벤조에이트, 아스코르베이트, 케토글루타레이트 및 글리세로포스페이트를 들 수 있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설페이트, 니트레이트, 비카보네이트 및 카보네이트 염을 비롯한 적합한 무기 염을 또한 형성할 수 있다. 당해 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표준 절차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임의의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을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을 제공하는 적합한 염기와 반응시킴으로써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얻을 수 있다. 카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예를 들면, 나트륨, 칼슘 또는 리튬) 또는 알칼리 토금속(예를 들면, 칼슘) 염을 또한 제조할 수 있다.
임의의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을 혼입하는 임의의 정제, 트로키제, 환제, 캡슐 등은 또한 결합제, 예컨대 검 트라가칸스, 아카시아, 옥수수 전분 또는 젤라틴; 부형제, 예컨대 디인산칼슘; 붕괴제, 예컨대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알긴산 등; 활택제, 예컨대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감미제, 예컨대 수크로스, 프럭토스, 락토스 또는 아스파탐 또는 향료, 예컨대 페퍼민트, 윈터그린 오일 또는 체리 향료를 포함할 수 있고 첨가할 수 있다. 임의의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의 단위 용량 형태가 존재할 때, 이것은, 본원에서의 형태의 물질 이외에, 액체 담체, 예컨대 식물성 오일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다른 물질은 코팅으로서 또는 그렇지 않으면 고체 단위 용량 형태의 물리적 형태를 변경하기 위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제, 환제 또는 캡슐을 젤라틴, 왁스, 쉘락 또는 당 등으로 코팅할 수 있다. 시럽 또는 엘릭시르는 활성 화합물, 감미제로서 수크로스 또는 프럭토스, 보존제로서 메틸 및 프로필파라벤, 염료 및 향료, 예컨대 체리 또는 오렌지색 항료를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단위 용량 형태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임의의 물질은 이용되는 양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고 실질적으로 비독성이어야 한다. 또한, 임의의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을 서방 제제 및 장치에 혼입할 수 있다.
임의의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을 또한 주입 또는 주사에 의해 정맥내 또는 복강내 투여할 수 있다. 임의의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의 용액을 비독성 계면활성제와 임의로 혼합하여 수 중에 제조할 수 있다. 분산액을 또한 글리세롤,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트리아세틴 및 이들의 혼합물 및 오일 중에 제조할 수 있다. 저장 및 사용의 통상의 조건 하에, 이 제제는 미생물의 성장을 예방하기 위해 보존제를 포함한다.
적절한 용매 중의 충분한 치료량의 임의의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을 필요한 바대로 본원에 열거된 다양한 다른 성분과 혼입하고 이후 필터 무균화하여 무균 주사액을 제조할 수 있다. 무균 주사액의 제조를 위한 무균 분말의 경우에, 제조 방법은 이미 무균 여과된 용액 중에 활성 성분 + 임의의 추가의 원하는 성분의 분말을 생성시키는 진공 건조 및 동결 건조 기술이다.
국소 투여를 위해, 임의의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을 순수한 형태로, 즉 이것이 액체일 때 도포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고체 또는 액체일 수 있는 피부용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조합하여 조성물 또는 제제로서 이것을 피부에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용한 고체 담체로는 미분된 고체, 예컨대 탈크, 점토, 마이크로결정질 셀룰로스, 실리카, 알루미나 등을 들 수 있다. 유용한 액체 담체로는 물, 알콜 또는 글리콜 또는 물-알콜/글리콜 블렌드(임의로 비독성 계면활성제의 도움으로 화합물이 효과적인 수준으로 용해 또는 분산될 수 있음)를 들 수 있다. 소정 용도를 위해 특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부형제 및 추가의 항미생물제를 첨가할 수 있다. 얻은 액체 조성물을 붕대 및 다른 드레싱을 함침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흡수제 패드로부터 도포할 수 있거나, 펌프형 또는 에어로졸 분무기를 사용하여 이환 부위에 분사할 수 있다.
증점제, 예컨대 합성 중합체, 지방산, 지방산 염 및 에스테르, 지방산 알콜, 개질 셀룰로스 또는 개질 미네랄 물질을 또한 당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대로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도포하기 위한 펴 바를 수 있는 페이스트, 겔, 연고, 솝(soap) 등을 형성하기 위해 액체 담체와 사용할 수 있다.
본 공개내용 또한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희석제 또는 담체의 조합의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추가로, 본 공개내용은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과 다른 공지된 소염 화합물과의 조합의 용도를 제공한다.
다양한 실시양태에서, 본 공개내용은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과 추가의 소염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조합의 유효량을 이러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에 의해 염증성 질환 및/또는 염증과 관련된 병증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염증성 질환 및/또는 염증과 관련된 병증을 예방하는 방법 또는 환자가 이러한 염증을 발전시킬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유효량을 이러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공개내용은 염증을 치료 또는 예방하도록 본원에 도시된 일반식 B의 하나 이상의 화합물, 일반식 B의 화합물의 단일 거울상 이성체, (+) 거울상 이성체와 (-) 거울상 이성체의 혼합물, 약 90 중량% 이상의 (-) 거울상 이성체와 약 10 중량% 이하의 (+) 거울상 이성체의 혼합물, 일반식 B의 화합물의 개별 부분입체이성체, 부분입체이성체의 혼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용매화물 또는 프로드럭에 의해 치료학적 유효량의 화합물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 피험체에게 투여하여 염증을 수반한 질환 또는 병증을 앓는 것으로 의심되거나 이의 경향이 있는 포유동물 피험체, 특히 인간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은 아포고시폴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염증을 예방하거나 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은 본원에 개시된 질환 또는 장애를 예방하거나 치료하기에 유용한 다른 치료제의 유효량의 투여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다른 치료제의 치료 효과가 발휘되는 시간은 아포고시폴 또는 유도체의 치료 효과가 발휘되는 시간과 중첩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다른 치료제는 소염제이다. 본원에 개시된 몇몇 실시양태에 따라 사용하기에 적합한 소염제의 예로는 스테로이드제(예를 들면, 코티솔, 코티손, 플루드로코티손, 프레드니손, 메틸프레드니솔론, 6-메틸프레드니손, 트리암시놀론, 베타메타손 또는 덱사메타손),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약물(NSAID(예를 들면, 아스피린, 아세트아미노펜, 톨메틴, 살리실레이트, 이부프로펜, 메페남산, 피록시캄, 나부메톤, 로페콕시브, 셀레콕시브, 에토돌락 또는 니메술리드)를 들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홍반성 낭창의 치료를 위해, 예를 들면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을 또한 항말라리아 약물, 예를 들면 하이드록시클로로퀴논 등과 조합하여 또는 세포독성 화학요법, 예를 들면 아자티오프린 및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등과 조합하여 투여할 수 있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다른 치료제는 항생제(예를 들면, 반코마이신, 페니실린, 아목시실린, 암피실린, 세폭탁심, 세프트리악손, 세픽심, 리팜핀 메트로니다졸, 독시사이클린 또는 스트렙토마이신)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다른 치료제는 PDE4 억제제(예를 들면, 로플루밀라스트 또는 롤리프람)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다른 치료제는 항히스타민제(예를 들면, 시클리진, 하이드록시진, 프로메타진 또는 디펜히드라민)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다른 치료제는 항말라리아제(예를 들면, 아르테미시닌, 아르테메테르, 아르트수네이트, 클로로퀸 포스페이트, 메플로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독시사이클린 하이클레이트, 프로구아닐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아토바쿠온 또는 할로판트린)이다.
본 공개내용의 치료와 조합하기에 유용한 다른 유형의 치료제는 항체, 예컨대 인간화 단일클론 항체이다. 비제한적인 예로는 항-CD99 항체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7,223,395호; 문헌[White et al., Annu. Rev. Med., 52:125(2001)]을 참조한다. 리툭시맙(Rituxan; Genetech, South San Francisco, CA)은 류마티스성 관절염을 치료하기 위해 본 공개내용의 컨쥬게이트에서 유용한 다른 치료제이다. 본 공개내용에서 유용한 다른 치료제는 또한, 본원에서 사용될 때,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세포 사멸을 촉진하는 임의의 분자인 세포독성 물질일 수 있다. 특정한 항암제로는 플라보피리돌, 아드리아마이신(독소루비신), VP16(에토포사이드), 탁솔(파클리탁셀), 시스플라틴 등을 들 수 있다.
화합물이 안정한 비독성 산 또는 염기 염을 형성하기에 충분히 염기성 또는 산성인 경우에, 염으로서의 화합물 투여가 적절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예로는 생리학적 허용되는 음이온을 형성하는 산에 의해 형성되는 유기산 부가염, 예를 들면 토실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아세테이트, 시트레이트, 말로네이트, 타르트레이트, 숙시네이트, 벤조에이트, 아스코르베이트, α-케토글루타레이트 및 α-글리세로포스페이트를 들 수 있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설페이트, 니트레이트, 비카보네이트 및 카보네이트 염을 비롯한 적합한 무기 염을 또한 형성할 수 있다.
당해 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표준 절차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충분히 염기성인 화합물, 예컨대 아민을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을 제공하는 적합한 산과 반응시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얻을 수 있다. 카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예를 들면, 나트륨, 칼슘 또는 리튬) 또는 알칼리 토금속(예를 들면, 칼슘) 염을 또한 제조할 수 있다.
본 공개내용을 실시하는 데 있어서 유용한 화합물을 약학 조성물로서 제제화하여 포유동물 숙주, 예컨대 인간 환자에게 선택된 투여 경로, 즉 경구 또는 비경구, 정맥내, 근육내, 국소 또는 피하 경로에 적합한 각종 형태로 투여할 수 있다.
화합물을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비히클, 예컨대 불활성 희석제 또는 동화 가능한 먹을 수 있는 담체와 조합하여, 예를 들면 경구로 전신 투여한다. 투여 경로는 경구 또는 정맥내이다. 다른 투여 경로로는, 예를 들면 비경구, 근육내, 국소 및 피하를 들 수 있다. 화합물을 경질 또는 연질 쉘 젤라틴 캡슐 중에 봉합하거나, 정제로 압축하거나, 환자의 식이의 음식물과 직접 도입할 수 있다. 경구 치료학적 투여를 위해, 활성 화합물을 하나 이상의 부형제와 조합하고 섭취 가능한 정제, 볼 정제, 트로키제, 캡슐, 엘릭시르, 현탁액, 시럽, 웨이퍼 등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 및 제제는 적어도 0.1%의 활성 화합물을 포함해야 한다. 상기 조성물 및 제제의 백분율은 물론 변할 수 있고 편리하게는 소정의 단위 용량 형태의 약 2 내지 약 60 중량%일 수 있다. 이러한 치료학적으로 유용한 조성물 내 활성 화합물의 양은 효과적인 용량 수준이 얻어지는 것이다.
일반적인 구조 A의 화합물의 경우에서처럼, 일반식 B의 화합물을 각종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제, 트로키제, 환제, 캡슐 등은 또한 결합제, 예컨대 검 트라가칸스, 아카시아, 옥수수 전분 또는 젤라틴; 부형제, 예컨대 디인산칼슘; 붕괴제, 예컨대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알긴산 등; 활택제, 예컨대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감미제, 예컨대 수크로스, 프럭토스, 락토스 또는 아스파탐 또는 향료, 예컨대 페퍼민트, 윈터그린 오일 또는 체리 향료를 포함할 수 있고 첨가할 수 있다. 단위 용량 형태가 캡슐일 때, 이것은, 본원에서의 형태의 물질 이외에, 액체 담체, 예컨대 식물성 오일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다른 물질은 코팅으로서 또는 그렇지 않으면 고체 단위 용량 형태의 물리적 형태를 변경하기 위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제, 환제 또는 캡슐을 젤라틴, 왁스, 쉘락 또는 당 등으로 코팅할 수 있다. 시럽 또는 엘릭시르는 활성 화합물, 감미제로서 수크로스 또는 프럭토스, 보존제로서 메틸 및 프로필파라벤, 염료 및 향료, 예컨대 체리 또는 오렌지색 항료를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단위 용량 형태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임의의 물질은 이용되는 양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고 실질적으로 비독성이어야 한다. 또한, 활성 화합물을 서방 제제 및 장치에 혼입할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을 또한 주입 또는 주사에 의해 정맥내 또는 복강내 투여할 수 있다. 활성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용액을 비독성 계면활성제와 임의로 혼합하여 수 중에 제조할 수 있다. 분산액을 또한 글리세롤,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트리아세틴 및 이들의 혼합물 및 오일 중에 제조할 수 있다. 저장 및 사용의 통상의 조건 하에, 이 제제는 미생물의 성장을 예방하기 위해 보존제를 포함한다.
주사 또는 주입에 적합한 약학 용량 형태는 임의로 리포솜에 봉합된 무균 주사용 또는 주입용 용액 또는 분산액의 즉석 제제에 이용되는 활성 성분에 의한 무균 수용액 또는 분산액 또는 무균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든 경우에, 최고의 용량 형태는 제조 및 저장 조건 하에 무균이고, 유동적이고, 안정적이어야 한다. 액체 담체 또는 비히클은, 예를 들면 물, 에탄올, 폴리올(예를 들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식물성 오일, 비독성 글리세릴 에스테르 및 적합한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용매 또는 액체 분산액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리포솜 형성에 의해, 분산액의 경우에서의 또는 계면활성제의 사용에 의한 원하는 입자 크기의 유지에 의해 적절한 유동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 다양한 항박테리아 및 항진균 물질, 예를 들면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소르브산, 티메로살 등에 의해 미생물의 작용을 예방할 수 있다. 많은 경우에, 등장화제, 예를 들면 당, 완충제 또는 염화나트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를 들면, 알루미늄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젤라틴과 같은 흡수를 지연시키는 물질의 조성물의 사용에 의해 주사용 조성물의 흡수를 연장할 수 있다.
적절한 용매 중의 필요한 양의 활성 화합물을 필요한 바대로 본원에 열거된 다양한 다른 성분과 혼입하고 이후 필터 무균화하여 무균 주사액을 제조한다. 무균 주사액의 제조를 위한 무균 분말의 경우에, 제조 방법은 이미 무균 여과된 용액 중에 활성 성분 + 임의의 추가의 원하는 성분의 분말을 생성시키는 진공 건조 및 동결 건조 기술이다.
국소 투여를 위해, 화합물을 순수한 형태로, 즉 이것이 액체일 때 도포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고체 또는 액체일 수 있는 피부용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조합하여 조성물 또는 제제로서 이것을 피부에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용한 고체 담체로는 미분된 고체, 예컨대 탈크, 점토, 마이크로결정질 셀룰로스, 실리카, 알루미나 등을 들 수 있다. 유용한 액체 담체로는 물, 알콜 또는 글리콜 또는 물-알콜/글리콜 블렌드(임의로 비독성 계면활성제의 도움으로 화합물이 효과적인 수준으로 용해 또는 분산될 수 있음)를 들 수 있다. 소정 용도를 위해 특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부형제, 예컨대 항료 및 추가의 항미생물제를 첨가할 수 있다. 얻은 액체 조성물을 붕대 및 다른 드레싱을 함침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흡수제 패드로부터 도포할 수 있거나, 펌프형 또는 에어로졸 분무기를 사용하여 이환 부위에 분사할 수 있다.
증점제, 예컨대 합성 중합체, 지방산, 지방산 염 및 에스테르, 지방산 알콜, 개질 셀룰로스 또는 개질 미네랄 물질을 또한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도포하기 위한 펴 바를 수 있는 페이스트, 겔, 연고, 솝 등을 형성하기 위해 액체 담체와 사용할 수 있다.
구조 A 또는 구조 B의 화합물을 피부에 도포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피부용 조성물의 예는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4,608,392호, 제4,992,478호, 제4,559,157호 및 제4,820,508호를 참조한다.
동물 모델에서 실험실내 활성 및 생체내 활성을 비교하여 화합물의 유용한 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마우스 및 다른 동물에서 인간에게 효과적인 용량의 외삽 방법이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4,938,949호를 참조한다.
일반적으로, 로션과 같은 액체 조성물 중의 일반식 B의 화합물의 농도는 약 0.1 내지 약 25.0 질량%, 예컨대 약 0.5 약 10.0 질량%일 수 있다. 겔 또는 분말과 같은 반고체 또는 고체 조성물에서의 농도는 약 0.1 내지 약 5.0 질량%, 예컨대 약 0.5 내지 2.5 질량%일 수 있다.
치료에 사용하기에 필요한 화합물 또는 이의 활성 염 또는 유도체의 양은 선택된 특정한 염뿐만 아니라 투여 경로, 치료하고자 하는 병증의 특성 및 환자의 연령 및 상태에 따라 달라지고, 궁극적으로 주치의 또는 임상의의 결정에 의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러나, 적합한 용량은 매일 약 0.2 내지 약 100.0 μmol/㎏ 범위일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용량은 매일, 예를 들면 약 0.2 내지 약 1.0 μmol/㎏일 수 있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적합한 용량은 매일 수혜자의 체중 ㎏당 약 0.5 내지 약 100 ㎎ 범위, 예를 들면 약 10 내지 약 75 ㎎ 범위, 예컨대 약 3 내지 약 50 ㎎ 범위, 예를 들면 약 6 내지 약 90 ㎎ 범위, 예컨대 약 15 내지 약 60 ㎎ 범위일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방법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약학 조성물은 활성 성분이 이의 의도하는 목적을 성취하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포함되는 조성물을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 치료학적 유효량은 질환의 증후군을 예방, 경감 또는 완화시키거나, 치료하고자 하는 피험체의 생존을 연장시키기에 효과적인 화합물의 양을 의미한다. 치료학적 유효량의 결정은 특히 본원에 제공된 자세한 본 공개내용의 견지에서 매우 당업자의 능력 내에 있다.
본원에 개시된 약학 조성물에 대한 정확한 제제, 투여 경로 및 용량을 환자의 상태의 관점에서 개인 주치의가 선택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환자에게 투여되는 조성물의 용량 범위는 환자의 체중 ㎏당 약 0.5 내지 약 1000 ㎎ 또는 약 1 내지 약 500 ㎎ 또는 약 10 내지 약 500 ㎎ 또는 약 50 내지 약 100 ㎎일 수 있다. 용량은 환자가 필요한 바대로 1일 이상 중에 제공되는 단일 용량 또는 일련의 2 이상의 용량일 수 있다. 인간 용량이 확립되지 않은 경우, ED50 또는 ID50 값 또는 동물에서 독성 연구 및 효율 연구로 적격인 실험실내 또는 생체내 연구로부터 유도된 다른 적절한 값으로부터 적합한 인간 용량을 추론할 수 있다.
정확한 용량을 약물-대-약물 기반으로 결정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에, 용량과 관련한 몇몇 일반화를 만들 수 있다. 성인 인간 환자에 대한 1일 용량 요법은, 예를 들면 각각의 성분의 약 0.1 ㎎ 내지 약 500 ㎎, 예컨대 약 1 ㎎ 내지 약 250 ㎎, 예를 들면 약 5 내지 약 200 ㎎의 경구 용량 또는 유리 염기로서 계산된 본원에 개시된 약학 조성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각각의 성분의 약 0.01 ㎎ 내지 약 100 ㎎, 예컨대 약 0.1 ㎎ 내지 약 60 ㎎, 예를 들면 약 1 내지 약 40 ㎎의 각각의 성분의 정맥내, 피하 또는 근육내 용량일 수 있고, 조성물을 매일 1회 내지 4회 투여한다. 대안적으로, 매일 400 ㎎ 이하의 각각의 성분의 연속 정맥내 주입에 의해 본원에 개시된 조성물을 투여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성분의 경구 투여에 의한 전체 1일 용량은 통상적으로 약 1 내지 약 2000 ㎎ 범위일 수 있고, 비경구 투여에 의한 전체 1일 용량은 통상적으로 약 0.1 내지 약 400 ㎎ 범위일 수 있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을 연속 치료 기간, 예를 들면 1주 또는 1달 동안 투여한다.
조절 효과 또는 최소 유효 농도(MEC)를 유지하는 데 충분한 활성 모이어티의 혈장 수준을 제공하기 위해 용량 양 및 간격을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MEC는 각각의 화합물에 대해 변할 수 있지만, 실험실내 데이터로부터 추산할 수 있다. MEC를 성취하는 데 필요한 용량은 개별 특성 및 투여 경로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나, 혈장 농도를 결정하기 위해 HPLC 분석 또는 생물검정을 이용할 수 있다.
MEC 값을 이용하여 용량 간격을 또한 결정할 수 있다. 시간의 10~90%, 예컨대 30~90%, 예를 들면 50~90% 동안 MEC 위의 혈장 수준을 유지하는 요법을 이용하여 조성물을 투여해야 한다. 국소 투여 또는 선택적 흡수의 경우에, 약물의 효과적인 국소 농도는 혈장 농도와 관련되지 않을 수 있다.
투여되는 조성물의 양은, 물론, 치료하고자 하는 피험체, 피험체의 체중, 병의 중증도, 투여 방식 및 처방의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양태에서,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단위 용량 형태를 포함할 수 있는 팩 또는 분배 장치에 조성물, 원하는 경우, 팩킹할 수 있다. 팩은, 예를 들면 금속 또는 플라스틱 호일, 예컨대 블리스터 팩을 포함할 수 있다. 팩 또는 분배 장치에 투여 설명서가 동봉될 수 있다. 팩 또는 분배기에 또한 의약의 제조, 사용 또는 판매를 규제하는 정부 기관이 지시한 형태의 컨테이너와 관련된 설명서가 동봉될 수 있고, 이 설명서는 인간 또는 가축 투여를 위한 약물의 형태의 기관에 의한 승인을 반영한다. 이 설명서는, 예를 들면 처방 약물에 대한 미국 식약청이 승인한 라벨링 또는 승인된 제품 인서트일 수 있다. 상용성 약학 담체 중에 제제화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또한 제조하고, 적절한 컨테이너에 배치하고, 적응증인 병증의 치료에 대해 라벨링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양태에서, 당해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본 공개내용의 화합물을 라벨링할 수 있다. 1개의 검출 가능한 기는 형광 기이다. 형광 기는 통상적으로 높은 신호 대 노이즈 비를 발생시켜, 검출 절차에서 해상도 및 민감성 증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형광 기는 약 300 ㎚ 이상, 예컨대 약 350 ㎚ 이상, 예를 들면 약 400 ㎚ 이상의 파장을 갖는 광을 흡수한다. 형광 기에 의해 방출되는 광의 파장은 약 310 ㎚ 이상, 예컨대 약 360 ㎚ 이상, 예를 들면 약 410 ㎚ 이상이다.
1- 및 2-아미노-나프탈렌, p,p'디아미노스틸벤, 피렌, 4급 페난트리딘 염, 9-아미노아크리딘, p,p'-디아미노벤조페논 이민, 안트라센, 옥사카보시아닌, 마로시아닌, 3-아미노에퀼레닌, 페릴렌, 비스벤즈옥사졸, 비스-p-옥사졸릴 벤젠, 1,2-벤조페나진, 레티놀, 비스-3-아미노피리디늄 염, 헬레브리제닌, 테트라사이클린, 스테로페놀, 벤즈이미다졸릴 페닐아민, 2-옥소-3-크로멘, 인돌, 크산텐, 7-하이드록시쿠마린, 페녹사진, 살리실레이트, 스트로판티딘, 포르피린, 트리아릴메탄, 플라빈, 크산텐 염료(예를 들면, 플루오레세인 및 로다민 염료); 시아닌 염료; 4,4-디플루오로-4-보라-3a, 4a-디아자-s-인다센 염료 및 형광 단백질(예를 들면, 그린 형광 단백질, 피코빌리단백질)의 비제한적인 예를 포함하는 각종 구조 클래스로부터 형광 검출 가능한 모이어티를 선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을 표지할 수 있고, 표지 기는 적합한 자극 도입시 자발적으로 신호를 방출하거나, 신호를 생성시킨다. 표지로는, 예를 들면 13C, 15N, 19F, 1H 등과 같은 원자를 들 수 있다. 다양한 실시양태에서, 예를 들면 단위 용량 형태당 약 5 내지 약 1,000 ㎎, 예컨대 약 10 내지 약 750 ㎎, 예를 들면 약 50 내지 약 500 ㎎의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단위 용량 형태로 화합물을 편리하게 투여할 수 있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약 0.5 내지 약 75 μM, 예컨대 약 1 내지 약 50 μM, 예를 들면 약 2 내지 약 30 μM의 활성 화합물의 피크 혈장 농도를 성취하기 위해 활성 성분을 투여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임의로 식염수 중에 활성 성분의 0.05 내지 5% 용액의 정맥내 주사에 의해 성취할 수 있거나, 약 1~100 ㎎의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볼루스로서 경구로 투여한다. 예를 들면, 약 0.01~5.0 ㎎/㎏/hr을 제공하기 위한 연속 주입에 의해 또는 약 0.4-15 ㎎/㎏의 활성 성분(들)을 포함하는 간헐 주입에 의해 바람직한 혈액 수준을 유지시킬 수 있다.
단일 용량으로 또는, 예를 들면 매일 2회, 3회, 4회 이상의 하위 용량으로 적절한 간격으로 투여되는 분할 용량으로 원하는 용량을 편리하게는 팩킹할 수 있다. 하위 용량 그 자체를, 예를 들면 여러 별개의 느슨한 간격 투여로, 예컨대 취입기로부터 여러 회 흡입으로 추가로 분할할 수 있다.
[실시예]
본 공개내용의 몇몇 양태를 다음의 비제한적인 예에 의해 추가로 예시할 수 있다.
실시예 1
분자 모델링
Linux 단말기 및 64 3.2 GHz CPU Linux 클러스터에서 분자 모델링 연구를 수행하였다. Bak 유도 펩타이드(단백질 데이터 뱅크 코드 1BXL)와 복합체된 Bcl-XL의 결정 구조를 사용하여 도킹 연구를 수행하였다. GOLD 도킹 프로그램에서의 득점 함수로서 ChemScore에 의해 펩타이드 결합 포켓 내에 5,5' 치환 아포고시폴 유도체의 도킹된 구조를 얻었다. Sybyl(Tripos, St. Louis)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MOLCAD로 단백질 표면을 제조하였다. 벤조티아졸 BH3 모방체 리간드(단백질 데이터 뱅크 코드 1YSW)와 복합체된 Bcl-2의 결정 구조를 사용하여 도킹 연구를 또한 수행하였다. 단백질 구조로부터 리간드를 추출하고 소분자에 대한 결합 자리를 규정하도록 사용하였다. 득점 함수로서 ChemScore를 이용하여 GOLD 도킹 프로그램에 의해 아포고시폴 및 이의 유도체를 Bcl-2 단백질로 도킹하였다. 활성 자리 반경을 10Å로 설정하고 각 분자에 10 GA 용액을 생성시켰다. GOLD에서의 GA 도킹 절차는 소분자가 최고의 결합 형태를 유연하게 조사하도록 하지만, 단백질 구조는 정적이었다. Sybyl(Tripos, St. Louis)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MOLCAD5로 단백질 표면을 제조하고 사용하여 연구된 소분자에 대한 결합 포즈를 분석하였다.
실시예 2
일반적인 화학 절차
달리 기재되지 않은 한, 상업적 공급원으로부터 모든 시약 및 무수 용매(CH2Cl2, THF, 디에틸 에테르 등)를 얻고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오븐 건조된 유리제품에서 모든 반응을 수행하였다. 공기 또는 수분 민감성 시약을 포함하는 모든 반응을 질소 분위기 하에 수행하였다. 각각 미리 충전된 실리카 겔 또는 C-18 카트리지(RediSep)를 사용하여 실리카 겔 또는 역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Atlantis T3 3 μM 4.6 mm×150 mm 역상 칼럼을 사용하여 Waters Co.로부터 구입한 HPLC Breeze에 의해 결정할 때 95% 초과의 순도로 모든 최종 화합물을 정제하였다. 다시 99% 초과의 순도로 분취용 HPLC를 사용하여 생체내 연구를 위한 화합물을 다시 정제하였다. 용리제는 15분 내 1 ㎖/분의 유속으로 50% A 및 50% B로부터 5% A 및 95% B로의 선형 구배이고, 이어서 100% B(용매 A: 0.1% TFA와 함께 H2O; 용매 B: 0.1% TFA와 함께 ACN)에서 5분이었다. λ = 254 ㎚에서 화합물을 검출하였다. Varian 300 또는 Bruker 600 MHz 장치에서 NMR 스펙트럼을 기록하였다. 화학 이동을 1H(0.00 ppm에서의 Me4Si)에 대해 ppm(δ)으로 기록하였다. 결합 상수(J)를 Hz 스루아웃(throughout)으로 기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데이터를 저해상도에 대해 Shimadzu LCMS-2010EV에서 얻고, 고해상도 또는 저해상도에 대해 Agilent ESI-TOF에서 얻었다.
실시예 3
본 공개내용의 화합물의 합성
5,5' 치환 아포고시폴 유도체에 대한 합성을 하기 도시하였다:
Figure pct00045
간단히 그리고 일반적으로 말하면, 고시폴 1을 NaOH 용액, 이어서 황산디메틸로 처리하여 메틸 아포고시폴을 얻었다. 메틸 아포고시폴을 TiCl4 및 디클로로메틸 메틸 에테르와 반응시켜 이소프로필 기를 손실시키고 동시에 비스포밀화하여 알데하이드 2를 생성시켰다. 화합물 2를 상이한 그리나드 또는 리튬 시약으로 처리하여 2차 알콜을 얻고, 이것을 피리디늄 클로로크로메이트를 사용하여 페논으로 산화시켰다. 후속적으로 페논을 탈메틸화하여 화합물 3을 얻었다.
더 구체적으로, 40% NaOH 50 ㎖ 중의 고시폴 아세트산 1(5 g, 8.65 mmol)을 암소에서 질소 하에 90℃에서 3.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얼음(300 ㎖) 및 농축 H2SO4(35 ㎖) 혼합물에 천천히 부어 백색의 침전물을 생성시켰다.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아포고시폴(3.8g, 95%)을 백색의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CDCl3) δ 7.61 (s, 2H), 7.50 (s, 2H), 5.93 (s, 2H), 5.27 (s, 2H), 5.13 (s, 2H), 3.88 (m, 2H), 2.12 (s, 6H), 1.55 (d, J = 5.5 Hz, 12H).
이후, 아포고시폴(3.8 g, 8.21 mmol)을 아세톤 200 ㎖ 중에 용해시켰다. K2CO3(23.9 g, 206.7 mmol) 및 황산디메틸(16.3 ㎖, 206.7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질소 하에 24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용액으로부터 분리된 고체를 여과로 수집하였다. 이것을 세척(아세톤 및 물)하고 건조시켜 메틸화 아포고시폴(93%) 4.2 g을 생성시켰다. 0℃에서의 건조 염화메틸(40 ㎖) 중의 메틸화 아포고시폴(1.6 g, 2.93 mmol)의 용액에 티탄 테트라클로라이드(14.3 g, 75.5 mmol)를 첨가하였다. 첨가를 완료한 후, 암적색 용액을 0℃에서 추가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디클로로메틸 메틸 에테르(2.93 g, 25.5 mmol)를 15분 동안 적하하고, 반응 혼합물을 질소 하에 주변 온도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얼음에 붓고 얻은 수성층을 염화메틸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부분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암적색 오일을 생성시켰다. 오일을 크로마토그래피(아세토니트릴/염화메틸)하고 이후 미정제 생성물을 디에틸 에테르로 분쇄하여 중간체 2(0.60 g, 40%)를 황색의 고체로서 얻었다.
중간체 2의 경우: 1H NMR: 8.47 (s, 1H), 7.29 (s, 1H), 7.05 (br, 1H), 2.79 (t, J = 7.35 Hz, 2H), 2.47 (s, 3H), 2.44 (s, 3H), 1.70 (m, 2H), 1.03 (t, J = 7.35 Hz, 3H).
실시예 4
본 공개내용의 화합물 I의 합성
Figure pct00046
본원에 도시된 화학식을 갖고, 1,1'-(1,1',6,6',7,7'-헥사하이드록시-3,3'-디메틸-2,2'-비나프틸-5,5'-디일)비스(2-페닐에타논)으로도 공지된 본 공개내용의 화합물 I를 다음과 같이 합성하였다. 실온에서 새로운 염화벤질마그네슘(5.4 mmol) 용액에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15 ㎖) 중의 알데하이드 2(1.0 g, 1.93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이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에 붓고 수성층을 디에틸 에테르로 2회 추출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켰다. 여과하고 이후 에테르를 증발시켜 황색의 오일을 생성시켰다. 건조 염화메틸(10 ㎖) 중의 황색의 오일의 용액을 건조 염화메틸(12 ㎖) 중의 피리디늄 클로로크로메이트(2.6 g, 12.1 mmol)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변 온도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고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시켰다.
여액을 크로마토그래피하여 메틸화 화합물 I(22%) 0.3 g을 얻었다. BBr3 용액(0.72 g, 2.88 mmol) 0.27 ㎖를 무수 CH2Cl2 8 ㎖ 중의 메틸화 화합물 I(120 ㎎, 0.17 mmol)의 용액에 -78℃에서 적하하였다. -78℃에서 1시간 동안, 0℃에서 1시간 동안, 주변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을 계속하였다. 6 M 염산 10 ㎖를 포함하는 얼음 50 그램을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수성층을 디클로로메탄(3×30 ㎖)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물,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켰다. 용매를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잔기를 C18 칼럼 크로마토그래피(H2O/아세토니트릴)로 정제하여 화합물 c I(77%) 80 ㎎을 오렌지색 고체로서 생성시켰다.
1H NMR (CD3OD) δ 7.61 (s, 2H), 7.30 (m, 8H), 7.22 (m, 2H), 6.97 (s, 2H), 4.40 (dd, J1 = 15.6 Hz, J2 = 22.8 Hz, 4H), 1.87 (s, 6H); 13C NMR ((CD3)2SO) δ 204.6, 149.4, 144.8, 144.5, 135.4, 134.2, 130.5, 128.6, 126.9, 126.3, 122.6, 119.4, 116.8, 115.0, 107.1, 51.0, 21.1; [C38H30O8+H]에 대해 계산된 HRMS 615.2019; 측정치 615.2013. HPLC는 99% 순수하다.
일반적인 구조 A에 포함되는 다른 유도체를 합성하고 규명하였다. 합성은, 필요한 조정을 가하여, 예컨대 알데하이드 중간체 화합물 2를 처리할 때 상이한 그리나드 또는 리튬 시약을 사용하여 실시예 3 및 4에 기재된 패턴을 따랐다. 상기 화합물의 스펙트럼 특성은 다음과 같다(로마 숫자는 본 공개내용의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에 해당함).
화합물 III . 1,1'-(1,1',6,6',7,7'- 헥사하이드록시 -3,3'-디메틸-2,2'- 비나프틸 -5,5'- 디일 ) 비스 (2- 메틸프로판 -1-온). 1H NMR (CDCl3) δ 12.38 (s, 2H), 7.99 (s, 2H), 7.82 (s, 2H), 7.44 (s, 2H), 6.18 (s, 2H), 5.41 (s, 2H), 3.86 (m, 2H), 2.13 (s, 6H), 1.33 (d, J = 9 Hz, 12H).
화합물 XVIII . 1,1'-(1,1',6,6',7,7'- 헥사하이드록시 -3,3'-디메틸-2,2'- 비나프틸 -5,5'- 디일 ) 비스 (2,2-디메틸프로판-1-온). 1H NMR (CD3OD) δ 7.56 (s, 2H), 6.78 (s, 2H), 1.95 (s, 6H), 1.34 (m, 18H).
화합물 IV . 1,1'-(1,1',6,6',7,7'- 헥사하이드록시 -3,3'-디메틸-2,2'- 비나프틸 -5,5'-디일) 비스 (3- 메틸부탄 -1-온). 1H NMR (CD3OD) δ 7.62 (s, 2H), 7.12 (s, 2H), 2.97 (d, J = 6.6 Hz, 4H), 2.32 (m, 2H), 1.96 (s, 6H), 1.03 (d, J = 3.6 Hz, 12H).
화합물 XX . 1,1'-(1,1',6,6',7,7'- 헥사하이드록시 -3,3'-디메틸-2,2'- 비나프틸 -5,5'-디일) 디펜탄 -1-온. 1H NMR (CD3OD) δ 7.62 (s, 2H), 7.07 (s, 2H), 3.07 (t, J1 = J2 = 6.6 Hz, 4H), 1.97 (s, 6H), 1.76 (m, 4H), 1.45 (m, 4H), 0.97 (t, J1 = J2 = 6.6 Hz, 6H).
화합물 XIX . 1,1'-(1,1',6,6',7,7'- 헥사하이드록시 -3,3'-디메틸-2,2'- 비나프틸 -5,5'- 디일 ) 비스 (2- 메틸부탄 -1-온). 1H NMR (CD3OD) δ 7.62 (s, 2H), 7.05 (s, 2H), 3.43 (m, 2H), 1.96 (s, 6H), 1.50 (m, 4H), 1.21 (d, J = 6.6 Hz, 6H), 0.99 (d, J = 7.2 Hz, 6H).
화합물 VII . (1,1',6,6',7,7'- 헥사하이드록시 -3,3'-디메틸-2,2'- 비나프틸 -5,5'-디일) 비스 ( 페닐메타논 ). 1H NMR (CD3OD) δ 7.89 (d, J = 6.6 Hz, 4H), 7.67 (s, 2H), 7.62 (s, 2H), 7.49 (s, 4H), 6.82 (s, 2H), 1.93 (s, 6H).
화합물 XVII . (1,1',6,6',7,7'- 헥사하이드록시 -3,3'-디메틸-2,2'- 비나프틸 -5,5'-디일) 비스 ( 벤조 [d]티아졸-2- 일메타논 ). 1H NMR (CD3OD) δ 8.14 (d, J = 4.8 Hz, 2H), 8.07 (s, 2H), 7.75 (s, 2H), 7.59 (t, J1 = J2 = 2.4 Hz, 4H), 7.03 (s, 2H), 1.93 (s, 6H).
화합물 VI . (1,1',6,6',7,7'- 헥사하이드록시 -3,3'-디메틸-2,2'- 비나프틸 -5,5'-디일) 비스 ( 사이클로펜틸메타논 ). 1H NMR (CD3OD) δ 7.62 (s, 2H), 7.05 (s, 2H), 3.84 (m, J1 = J2 = 7.2 Hz, 2H), 2.03 (m, 4H), 1.99 (s, 6H), 1.93 (m, 4H), 1.77 (m, 4H), 1.67 (m, 4H).
화합물 VIII . (1,1',6,6',7,7'- 헥사하이드록시 -3,3'-디메틸-2,2'- 비나프틸 -5,5'-디일) 비스 (나프탈렌-1- 일메타논 ). 1H NMR (CD3OD) δ 8.97 (d, J = 7.8 Hz, 2H), 8.07 (m, 2H), 7.98 (d, J = 7.8 Hz, 2H), 7.68 (m, 8H), 7.43 (m, 2H), 6.95 (s, 2H), 1.79 (s, 6H).
화합물 V. 1,1'-(1,1',6,6',7,7'- 헥사하이드록시 -3,3'-디메틸-2,2'- 비나프틸 -5,5'-디일) 비스 (3- 에틸헵탄 -1-온). 1H NMR ((CD3)2SO) δ 10.08 (s, 2H), 9.26 (s, 2H), 8.08 (s, 2H), 7.53 (s, 2H), 6.91 (s, 2H), 2.87 (d, J = 5.7 Hz, 4H), 1.98 (m, 2H), 1.85 (s, 6H), 1.30 (m, 16 H), 0.87 (t, J1 = J2 = 7.5 Hz, 12H).
화합물 IX . (1,1',6,6',7,7'- 헥사하이드록시 -3,3'-디메틸-2,2'- 비나프틸 -5,5'-디일) 비스 ( 페닐-4- 일메타논 ). 1H NMR (CD3OD) δ 7.97 (d, J = 8.1 Hz, 4H), 7.70 (m, 10H), 7.46 (m, 6H), 6.86 (s, 2H), 1.88 (s, 6H).
화합물 X. (1,1',6,6',7,7'- 헥사하이드록시 -3,3'-디메틸-2,2'- 비나프틸 -5,5'-디일) 비스 ((4- tert - 부틸페닐 ) 메타논 ). 1H NMR (CD3OD) δ 7.82 (d, J = 8.4 Hz, 4H), 7.65 (s, 2 H), 7.51 (d, J = 8.4 Hz, 4H), 6.80 (s, 2H), 1.86 (s, 6H), 1.34 (s, 18H).
화합물 XI . (1,1',6,6',7,7'- 헥사하이드록시 -3,3'-디메틸-2,2'- 비나프틸 -5,5'-디일) 비스 ((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메타논 ). 1H NMR (CD3OD) δ 8.04 (d, J = 7.8 Hz, 4H), 7.78 (d, J = 7.8 Hz, 4H), 7.69 (s, 2H), 6.87 (s, 2H), 1.88 (s, 6H).
화합물 II . (3,3'-디메틸-2,2'- 비나프틸 -1,1',6,6',7,7'- 헥사올 ). 1H NMR (CD3OD) δ 7.46 (s, 2H), 7.11 (s, 2H), 7.03 (s, 2H), 1.97 (s, 6H).
화합물 XVI . 1,1'-(1,1',6,6',7,7'- 헥사하이드록시 -3,3'-디메틸-2,2'- 비나프틸 -5,5'- 디일 ) 비스 (3-(4- 플루오로페닐 )프로판-1-온). 1H NMR (CD3OD) δ 7.62 (s, 2H), 7.27 (d, J = 5.4 Hz, 4H), 6.97 (m, 4H), 6.88 (s, 2H), 3.40 (t, J1 = J2 = 6.6 Hz, 4H), 3.10 (t, J1 = J2 = 6.6 Hz, 4H), 1.90 (s, 6H).
화합물 XII . 1,1'-(1,1',6,6',7,7'- 헥사하이드록시 -3,3'-디메틸-2,2'- 비나프틸 -5,5'- 디일 ) 비스 (2-p- 톨릴에타논 ). 1H NMR (CD3OD) δ 7.59 (s, 2H), 7.15 (d, J = 8.1 Hz, 4H), 7.05 (d, J = 8.1 Hz, 4H), 6.93 (s, 2H), 4.30 (dd, J1 = 15.6 Hz, J2 = 9.9 Hz, 4H), 2.27 (s, 6H), 1.85 (s, 6H).
화합물 XV . 1,1'-(1,1',6,6',7,7'- 헥사하이드록시 -3,3'-디메틸-2,2'- 비나프틸 -5,5'-디일) 비스 (2- 사이클로헥실에타논 ). 1H NMR (CD3OD) δ 7.61 (s, 2H), 7.10 (s, 2H), 2.95 (dd, J1 = 3.3 Hz, J2 = 3.0 Hz, 4H), 2.02 (m, 2H), 1.95 (s, 6H), 1.76 (m, 10H), 1.11 (m, 10H).
화합물 XIII . 1,1'-(1,1',6,6',7,7'- 헥사하이드록시 -3,3'-디메틸-2,2'- 비나프틸 -5,5'- 디일 ) 비스 (2-(3- 브로모페닐 ) 에타논 ). 1H NMR (CD3OD) δ 7.63 (s, 2H), 7.51 (s, 2H), 7.29 (m, 6H), 7.00 (s, 2H), 4.36 (dd, J1 = 8.1 Hz, J2 = 9.0 Hz, 4H), 1.91 (s, 6H).
화합물 XIV . 1,1'-(1,1',6,6',7,7'- 헥사하이드록시 -3,3'-디메틸-2,2'- 비나프틸 -5,5'- 디일 ) 비스 (2-(4-( 트리플루오로메톡시 ) 페닐 ) 에타논 ). 1H NMR (CD3OD) δ 7.63 (s, 2H), 7.41 (d, J = 4.2 Hz, 4H), 7.20 (d, J = 4.2 Hz, 4H), 6.99 (s, 2H), 4.40 (dd, J1 = 8.1 Hz, J2 = 7.2 Hz, 4H), 1.88 (s, 6H).
도 12(여기서, R은 CONX 또는 CONR1X이고, R 또는 R1은 알킬, 방향족 또는 헤테로사이클릭 기이고, X는 알킬, 치환 알킬, 아릴, 치환 아릴, 알킬아릴 및 헤테로사이클임)에 도시된 바대로 본 공개내용의 몇몇 화합물을 합성할 수 있다.
본 공개내용의 화합물과 관련하여 추가의 스펙트럼 데이터 및 순도에 대한 데이터를 표 7에 요약하였다.
Figure pct00047
실시예 5
5,5'- 디이소프로필 -3,3'-디메틸-2,2'- 비나프틸 -1,1',6,6',7,7'- 헥사놀(2)의 합성
40% NaOH 50 ㎖ 중의 고시폴 아세트산(1)(5 g, 8.65 mmol)을 암소에서 질소 하에 90℃에서 3.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얼음(300 ㎖) 및 농축 H2SO4(35 ㎖) 혼합물에 천천히 부어 백색의 침전물을 형성시켰다.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화합물 2(아포고시폴)(3.8 g, 95%)를 백색의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CDCl3) δ 7.61 (s, 2H), 7.50 (s, 2H), 5.93 (s, 2H), 5.27 (s, 2H), 5.13 (s, 2H), 3.88 (m, 2H), 2.12 (s, 6H), 1.55 (d, J = 5.5 Hz, 12H).
실시예 6
5,5'- 디이소프로필 -1,1',6,6',7,7'- 헥사메톡시 -3,3'-디메틸-2,2'- 비나프틸(4)의 합성
화합물 2(아포고시폴)(3.8 g, 8.21 mmol)를 아세톤 200 ㎖ 중에 용해시켰다. K2CO3(23.9 g, 206.7 mmol) 및 황산디메틸(16.3 ㎖, 206.7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질소 하에 24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고체를 여과로 수집하고 아세톤 및 물을 사용하여 세척하고 건조시켜 화합물 4 4.2 g을 백색의 고체(93%)로서 생성시켰다. 1H NMR (CDCl3) 7.83 (s, 2H), 7.43 (s, 2H), 3.98 (m, 8H), 3.94 (s, 6H), 3.57 (s, 6H), 2.20 (s, 6H), 1.56 (s, 12H).
실시예 7
1,1',6,6',7,7'- 헥사메톡시 -3,3'-디메틸-2,2'- 비나프틸 -5,5'- 디카브알데하이드(5)의 합성
0℃에서의 건조 염화메틸렌(40 ㎖) 중의 화합물 4(1.6 g, 2.93 mmol)의 용액에 티탄 테트라클로라이드(14.3 g, 75.5 mmol)를 첨가하였다. 첨가를 완료한 후, 암적색 용액을 0℃에서 추가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디클로로메틸 메틸 에테르(2.93 g, 25.5 mmol)를 15분 동안 적하하고, 반응 혼합물을 질소 하에 주변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얼음에 붓고 얻은 수성층을 염화메틸렌으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부분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암적색 오일을 생성시켰다. 오일을 크로마토그래피(아세토니트릴/염화메틸렌)하고 이후 미정제 생성물을 디에틸 에테르로 분쇄하여 화합물 5(0.60 g, 40%)를 황색의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CDCl3): 10.84 (s, 2H), 8.93 (s, 2H), 7.82 (s, 2H), 4.10 (s, 6H), 4.03 (s, 6H), 3.48 (s, 6H), 2.22 (s, 6H).
실시예 8
1,1',6,6',7,7'- 헥사메톡시 -3,3'-디메틸-2,2'- 비나프틸 -5,5'-디카르복실산(6)의 합성
얼음 욕 내에서 화합물 5(6.6 g, 12.7 mmol)를 아세토니트릴 40 ㎖ 및 THF 40 ㎖ 중에 용해시켰다. 인산이수소나트륨(876 ㎎, 6.35 mmol), 30% 과산화수소(2.6 ㎖, 25.4 mmol)를 첨가하였다. 물 20 ㎖ 중에 용해된 아염소산나트륨(4.14 g, 45.8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이후 6 M HCl 30 ㎖와 함께 얼음 100 g에 부었다. 용액을 에테르(3×100 ㎖)로 추출하였다. 에테르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시켰다. 용매를 진공 하에 증발시키고 잔기를 C18 칼럼 크로마토그래피(H2O/아세토니트릴)로 정제하여 화합물 6 5.9 g(85%)을 적색 고체로서 생성시켰다. 1H NMR (CD3OD) δ 8.0 (s, 2H), 7.68 (s, 2H), 4.1 (s, 6H), 4.06 (s, 6H), 3.54 (s, 6H), 2.21 (s, 6H).
실시예 9
1,1',6,6',7,7'- 헥사메톡시 -3,3'-디메틸- N 5 , N 5' - 비스 (2- 페닐프로필 )-2,2'- 비나프틸 -5,5'- 디카복사미드(7r)의 합성
화합물 6(500 ㎎, 0.907 mmol), EDCI(522 ㎎, 2.72 mmol) 및 HOBT(244 ㎎, 1.81 mmol)를 건조 CH2Cl2 15 ㎖ 중에 용해시키고 질소 분위기 하에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2-페닐-1-프로판아민(0.30 ㎖, 2.09 mmol) 및 Et3N(0.51 ㎖, 3.7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혼합물을 물 50 ㎖에 붓고 용액을 CH2Cl2(3×100 ㎖)로 추출하였다. 에테르 추출물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시켰다. 용매를 진공 하에 증발시키고 잔기를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7r 320 ㎎(45%)을 황색의 고체로서 생성시켰다. 1H NMR (CD3OD) δ 7.56 (s, 2H), 7.37 (m, 8H), 7.22 (m, 4H), 3.98 (s, 6H), 3.85 (s, 6H), 3.77 (m, 2H), 3.62 (m, 2H), 3.55 (s, 3H), 3.53 (s, 3H), 3.20 (m, 2H), 2.01 (s, 3H), 2.00 (s, 3H), 1.38 (s, 3H), 1.39 (s, 3H).
실시예 10
1,1',6,6',7,7'- 헥사하이드록시 -3,3'-디메틸- N 5 , N 5' - 비스 (2- 페닐프로필 )-2,2'-비나프틸-5,5'- 디카복사미드(8r)의 합성
BBr3 용액(1.18 g, 4.73 mmol) 0.45 ㎖를 -78℃에서 무수 CH2Cl2 20 ㎖ 중의 화합물 7(310 ㎎, 0.40 mmol)의 용액에 적하하였다. -78℃에서 1시간 동안, 0℃에서 2시간 동안 및 주변 온도에서 10분 동안 교반을 계속하였다. 6 M HCl 10 ㎖를 포함하는 얼음 50 그램을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수성층을 디클로로메탄(3×50 ㎖)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물,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켰다. 용매를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C18 칼럼 크로마토그래피(H2O/아세토니트릴)를 사용하여 잔기를 정제하여 화합물 8r(72%) 200 ㎎을 백색 내지 황색의 고체로서 생성시켰다. 1H NMR (CD3OD) δ 7.56 (s, 2H), 7.37 (d, J = 6.0 Hz, 4H), 7.32 (t, J1 = J2 = 7.2 Hz, 4H), 7.20 (t, J1 = J2 = 7.2 Hz, 2H), 7.06 (s, 1H), 6.98 (s, 1H), 3.75-3.59 (m, 4H), 3.19 (m, 2H), 1.88 (d, J = 3.0 Hz, 3H), 1.88 (d, J = 3.0 Hz, 3H), 1.41 (m, 6H).
본원에 언급된 절차 및 적절한 출발 물질 및 사용된 시약에 따라, 화합물(7a-7t, 8a-8t 및 14)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11
1,1',6,6',7,7'- 헥사메톡시 -3,3'-디메틸-5,5'- 디펜에틸 -2,2'- 비나프틸(11e)의 합성
실온에서의 새로운 염화벤질마그네슘(5.4 mmol) 용액에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15 ㎖) 중의 5(1.0 g, 1.93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이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에 붓고 수성층을 디에틸 에테르로 2회 추출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켰다. 여과하고 이후 에테르를 증발시켜 황색의 오일을 생성시켰다. 건조 염화메틸렌(10 ㎖) 중의 황색의 오일의 용액을 건조 염화메틸렌(12 ㎖) 중의 피리디늄 클로로크로메이트(2.6 g, 12.1 mmol)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변 온도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고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시켰다. 여액을 크로마토그래피하여 10e(22%) 0.3 g을 얻었다. 1H NMR (CDCl3) δ 7.54 (s, 2H), 7.32 (m, 10H), 7.14 (s, 2H), 4.29 (s, 4H), 4.02 (s, 6H), 3.96 (s, 6H), 3.49 (s, 6H), 2.02 (s, 6H). TFA 10 ㎖ 중의 화합물 10e(170 ㎎, 0.29 mmol)의 용액에 트리에틸실란 0.6 ㎖를 적하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이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화합물 11e를 무색의 오일(140 ㎎, 90%)로서 생성시켰다. 1H NMR (CDCl3) δ 7.67 (s, 2H), 7.44 (s, 2H), 7.35 (s, 8H), 7.25 (s, 2H), 4.04 (s, 6H), 3.95 (s, 6H), 3.60 (s, 6H), 3.41 (m, 4H), 3.02 (m, 4H), 2.18 (s, 6H).
실시예 12
3,3'-디메틸-5,5'- 디펜에틸 -2,2'- BIP나프틸 -1,1',6,6',7,7'- 헥사올(12e)의 합성
BBr3 용액(0.72 g, 2.88 mmol) 0.27 ㎖를 -78℃에서 무수 CH2Cl2 8 ㎖ 중의 11e(200 ㎎, 0.30 mmol)의 용액에 적하하였다. 각각 -78℃에서 1시간 동안, 0℃에서 1시간 동안, 주변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을 계속하였다. 6 M HCl 10 ㎖를 포함하는 얼음 100 그램을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수성층을 디클로로메탄(3×50 ㎖)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물,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켰다. 용매를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잔기를 C18 칼럼 크로마토그래피(H2O/아세토니트릴)로 정제하여 화합물 12e(75%) 128 ㎎을 오렌지색 고체로서 생성시켰다. 1H NMR (CDCl3) δ 7.52 (s, 2H), 7.44 (s, 2H), 7.30 (m, 10H), 5.35(, OH, 4H), 5.17(, OH, 2H), 3.37 (t, J1 = J2 = 6.6 Hz, 4H), 3.03 (t, J1 = J2 = 6.6 Hz, 4H), 2.13 (s, 6H).
실시예 13
화합물 11a-11e 및 12a-12e의 합성
본원에 언급된 절차 및 적절한 출발 물질 및 사용된 시약에 따라, 화합물(11a-11e 및 12a-12e)을 합성하였다.
1,1',6,6',7,7'- 헥사메톡시 -3,3'-디메틸- N 5 , N 5' - 디페닐 -2,2'- 비나프틸 -5,5'- 디카복사미드 (7a). 수율, 45%. 1H NMR (CD3OD) δ 7.76 (d, J = 7.8 Hz, 4H), 7.59 (s, 2H), 7.52 (s, 2H), 7.40 (t, J1 = J2 = 7.8 Hz, 4H), 7.18 (s, 2H), 4.04 (s, 6H), 4.00 (s, 6H), 3.63 (s, 6H), 2.11 (s, 6H).
N 5 , N 5' - 디사이클로펜틸 -1,1',6,6',7,7'- 헥사메톡시 -3,3'-디메틸-2,2'- 비나프틸 -5,5'-디 카복 사미드(7b). 수율, 40%. 1H NMR (CD3OD) δ 7.52 (s, 2H), 7.45 (s, 2H), 4.47 (m, 2H), 3.98 (s, 6H), 3.96 (s, 6H), 3.60 (s, 6H), 2.11 (m, 10H), 1.79 (s, 4H), 1.68 (s, 8H).
1,1',6,6',7,7'- 헥사메톡시 -3,3'-디메틸- N 5 , N 5' - 비스 (4- 페녹시페닐 )-2,2'- 비나프틸 -5,5'- 디카복사미드 (7c). 수율, 46%. 1H NMR (CD3OD) δ 7.76 (m, 6H), 7.59 (m, 2H), 7.53 (m, 2H), 7.35 (m, 2H), 7.11 (m, 2H), 7.03 (m, 8H), 4.00 (s, 6H), 4.00 (s, 6H), 3.63 (s, 6H), 2.12 (s, 6H).
N 5 , N 5' - 비스 (3- 에틸페닐 )-1,1',6,6',7,7'- 헥사메톡시 -3,3'-디메틸-2,2'- 비나프틸 -5,5'- 디카복사미드 (7d). 수율, 47%. 1H NMR (CD3OD) δ 7.62 (s, 2H), 7.58 (m, 4H), 7.52 (s, 2H), 7.30 (m, 2H), 7.05 (m, 2H), 4.04 (s, 6H), 3.99 (s, 6H), 3.63 (s, 6H), 2.54 (q, J1 = J2 = 8.4 Hz, 4H), 2.11 (s, 6H), 1.28 (t, J1 = J2 = 8.4 Hz, 6H).
1,1',6,6',7,7'- 헥사메톡시 -3,3'-디메틸- N 5 , N 5' -비스(3-(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2,2'- 비나프틸 -5,5'- 디카복사미드 (7e). 수율, 50%. 1H NMR (CD3OD) δ 7.88 (s, 2H), 7.77 (d, J = 6.6 Hz, 2H), 7.60 (m, 4H), 7.54 (s, 2H), 7.36 (s, 2H), 4.77 (s, 4H), 3.99 (s, 6H), 3.94 (s, 6H), 3.58 (s, 6H), 2.05 (s, 6H).
1,1',6,6',7,7'- 헥사메톡시 -3,3'-디메틸- N 5 , N 5' - 비스 (1- 페닐프로필 )-2,2'- 비나프틸 -5,5'- 디카복사미드 (7f). 수율, 46%. 1H NMR (CD3OD) δ 7.50 (m, 6H), 7.38 (m, 4H), 7.26 (m, 4H), 5.12 (s, 2H), 4.01 (s, 6H), 4.00 (s, 6H), 3.89 (s, 6H), 3.58 (s, 3H), 3.55 (s, 3H), 1.95 (m, 10H), 1.10 (s, 6H).
N 5 , N 5' - 디벤질 -1,1',6,6',7,7'- 헥사메톡시 -3,3'-디메틸-2,2'- 비나프틸 -5,5'- 디카복사미드 (7g). 수율, 46%. 1H NMR (CD3OD) δ 7.53 (m, 6H), 7.38 (m, 6H), 7.30 (m, 2H), 4.68 (s, 4H), 4.00 (s, 6H), 3.91 (s, 6H), 3.57 (s, 6H), 2.02 (s, 6H).
1,1',6,6',7,7'- 헥사메톡시 -3,3'-디메틸- N 5 , N 5' - 비스 (3- 메틸벤질 )-2,2'- 비나프틸 -5,5'- 디카복사미드 (7h). 수율, 43%. 1H NMR (CD3OD) δ 7.52 (s, 2H), 7.36 (d, J = 7.8 Hz, 4H), 7.29 (d, J = 7.8 Hz, 2H), 7.26 (t, J1 = 7.8 Hz, J2 = 7.2 Hz, 2H), 7.11 (d, J = 7.2 Hz, 2H), 4.64 (s, 4H), 4.00 (s, 6H), 3.92 (s, 6H), 3.57 (s, 6H), 2.37 (s, 6H), 2.02 (s, 6H).
N 5 , N 5' - 비스 (3- 클로로벤질 )-1,1',6,6',7,7'- 헥사메톡시 -3,3'-디메틸-2,2'- 비나프틸 -5,5'- 디카복사미드 (7i). 수율, 46%. 1H NMR (CD3OD) δ 7.61 (s, 2H), 7.53 (s, 2H), 7.42 (d, J = 6.6 Hz, 2H), 7.36 (m, 4H), 7.31 (d, J = 7.2 Hz, 2H), 4.68 (s, 4H), 4.00 (s, 6H), 3.98 (s, 6H), 3.58 (s, 6H), 2.07 (s, 6H).
1,1',6,6',7,7'- 헥사메톡시 -3,3'-디메틸- N 5 , N 5' - 비스 (2,4,6- 트리메틸벤질 )-2,2'-비나프틸-5,5'- 디카복사미드 (7j). 수율, 40%. 1H NMR (CD3OD) δ 7.48 (s, 2H), 7.41 (s, 2H), 6.96 (s, 2H), 6.88 (s, 2H), 3.92 (s, 6H), 3.87 (s, 6H), 3.55 (s, 6H), 3.39 (s, 6H), 2.46 (s, 6H), 2.27 (s, 6H), 2.05 (s, 6H).
N 5 , N 5' - 비스 (1-(4- 클로로페닐 )에틸)-1,1',6,6',7,7'- 헥사메톡시 -3,3'-디메틸-2,2'-비나프틸-5,5'- 디카복사미드 (7k). 수율, 49%. 1H NMR (CD3OD) δ 7.52 (m, 6H), 7.39 (m, 4H), 7.24 (s, 1H), 7.25 (s, 1H), 5.36 (m, 2H), 4.01 (s, 3H), 4.00 (s, 3H), 3.90 (s, 3H), 3.89 (s, 3H), 3.57 (s, 3H), 3.56 (s, 3H), 2.01 (s, 3H), 2.00 (s, 3H), 1.58 (s, 3H), 1.57 (s, 3H).
N 5 , N 5' - 비스 ( 사이클로프로필메틸 )-1,1',6,6',7,7'- 헥사메톡시 -3,3'-디메틸-2,2'-비나프틸-5,5'- 디카복사미드 (7l). 수율, 46%. 1H NMR (CD3OD) δ 7.52 (s, 2H), 7.49 (s, 2H), 4.00 (s, 6H), 3.96 (s, 6H), 3.59 (s, 6H), 3.37 (d, J = 6.9 Hz, 4H), 2.10 (s, 6H), 1.2 (m, 2H), 0.59 (m, 4H), 0.37 (m, 4H).
N 5 , N 5' - 비스 ( 사이클로헥실메틸 )-1,1',6,6',7,7'- 헥사메톡시 -3,3'-디메틸-2,2'-비나프틸-5,5'- 디카복사미드 (7m). 수율, 50%. 1H NMR (CD3OD) δ 7.52 (s, 2H), 7.45 (s, 2H), 4.02 (s, 6H), 3.94 (s, 6H), 3.59 (s, 6H), 3.33 (d, J = 17.4 Hz, 4H), 2.09 (s, 6H), 1.94 (d, J = 12.0 Hz, 4H), 1.80 (d, J = 12.0 Hz, 4H), 1.72 (d, J = 10.6 Hz, 4H), 1.39-1.07 (m, 10H).
1,1',6,6',7,7'- 헥사메톡시 -3,3'-디메틸- N 5 , N 5' - 디펜에틸 -2,2'- 비나프틸 -5,5'-디카복사미드(7n). 수율, 51%. 1H NMR (CD3OD) δ 7.51 (s, 2H), 7.36 (d, J = 7.2 Hz, 4H), 7.30 (m, 6H), 7.22 (t, J1 = J2 = 7.2 Hz, 2H), 4.00 (s, 6H), 3.89 (s, 6H), 3.78 (t, J1 = 7.2 Hz, J2 = 6.6 Hz, 4H), 3.57 (s, 6H), 3.02 (t, J1 = 6.6 Hz, J2 = 7.2 Hz, 4H), 2.04 (s, 6H).
1,1',6,6',7,7'- 헥사메톡시 -3,3'-디메틸- N 5 , N 5' - 비스 (3- 메틸펜에틸 )-2,2'- 비나프틸 -5,5'- 디카복사미드 (7o). 수율, 50%. 1H NMR (CD3OD) δ 7.51 (s, 2H), 7.28 (s, 2H), 7.23 (m, 4H), 7.12 (m, 4H), 3.97 (s, 6H), 3.89 (s, 6H), 3.75 (s, 6H), 3.58 (m, 4H), 2.97 (m, 4H), 2.29 (s, 6H), 2.02 (s, 6H).
N 5 , N 5' - 비스 (3- 클로로펜에틸 )-1,1',6,6',7,7'- 헥사메톡시 -3,3'-디메틸-2,2'- 비나프틸 -5,5'- 디카복사미드 (7p). 수율, 45%. 1H NMR (CD3OD) δ 7.51 (s, 2H), 7.39 (s, 2H), 7.30 (d, J = 4.2 Hz, 4H), 7.25 (m, 4H), 4.03 (s, 6H), 3.95 (s, 6H), 3.78 (m, 4H), 3.55 (s, 6H), 3.02 (t, J1 = J2 = 6.6 Hz, 4H), 2.04 (s, 6H).
N 5 , N 5' - 비스 (4- 에틸펜에틸 )-1,1',6,6',7,7'- 헥사메톡시 -3,3'-디메틸-2,2'- 비나프틸 -5,5'- 디카복사미드 (7q). 수율, 47%. 1H NMR (CD3OD) δ 7.52 (s, 2H), 7.27 (s, 2H), 7.23 (d, J = 7.8 Hz, 4H), 7.15 (d, J = 7.8 Hz, 4H), 4.02 (s, 6H), 3.92 (s, 6H), 3.91 (m, 4H), 3.49 (s, 6H), 3.01 (t, J1 = J2 = 6.6 Hz, 4H), 2.61 (q, J1 = J2 = 7.8 Hz, 6H), 2.11 (s, 6H), 1.21 (t, J1 = J2 = 7.8 Hz, 6H).
N 5 , N 5' - 비스 (2,3- 디하이드로 -1H- 인덴 -2-일)-1,1',6,6',7,7'- 헥사메톡시 -3,3'-디메틸-2,2'- 비나프틸 -5,5'- 디카복사미드 (7). 수율, 47%. 1H NMR (CD3OD) δ 7.50 (s, 2H), 7.45 (s, 2H), 7.26 (m, 4H), 7.15 (m, 4H), 4.94 (m, 2H), 3.99 (s, 6H), 3.90 (s, 6H), 3.56 (s, 6H), 3.43 (m, 4H), 3.07 (m, 4H), 2.08 (s, 6H).
1,1',6,6',7,7'- 헥사하이드록시 -3,3'-디메틸- N 5 , N 5' - 디페닐 -2,2'- 비나프틸 -5,5'-디 카복사 미드(8a). 수율, 75%. 1H NMR (CD3OD) δ 7.77 (d, J = 7.8 Hz, 4H), 7.63 (s, 2H), 7.38 (t, J1 = 7.8 Hz, J2 = 7.2 Hz, 4H), 7.28 (s, 2H), 7.16 (t, J1 = 7.8 Hz, J2 = 7.2 Hz, 2H), 2.01 (s, 6H).
N 5 , N 5' - 디사이클로펜틸 -1,1',6,6',7,7'- 헥사하이드록시 -3,3'-디메틸-2,2'- 비나프틸 -5,5'- 디카복사미드 (8b). 수율, 76%. 1H NMR (CD3OD) δ 7.57 (s, 2H), 7.19 (s, 2H), 4.46 (m, 2H), 2.09 (m, 4H), 1.97 (s, 6H), 1.80 (m, 4H), 1.69 (m, 8H).
1,1',6,6',7,7'- 헥사하이드록시 -3,3'-디메틸- N 5 , N 5' - 비스 (4- 페녹시페닐 )-2,2'-비나프틸-5,5'- 디카복사미드 (8c). 수율, 65%. 1H NMR (CD3OD) δ 7.78 (d, J = 8.4 Hz, 4H), 7.64 (s, 2H), 7.35 (t, J1 = 7.8 Hz, J2 = 7.8 Hz,4H), 7.28 (s, 2H), 7.08 (m, 2H), 7.02 (m, 8H), 2.01 (s, 6H).
N 5 , N 5' - 비스 (3- 에틸페닐 )-1,1',6,6',7,7'- 헥사하이드록시 -3,3'-디메틸-2,2'- 비나프틸 -5,5'- 디카복사미드 (8d). 수율, 69%. 1H NMR (CD3OD) δ7.63 (s, 4H), 7.60 (d, J = 7.8 Hz, 2H), 7.28 (m, 4H), 7.02 (d, J = 7.8 Hz, 2H), 2.68 (q, J1 = J2 = 8.4 Hz, 4H), 2.01 (s, 6H), 1.28 (t, J1 = J2 = 8.4 Hz, 6H).
1,1',6,6',7,7'- 헥사하이드록시 -3,3'-디메틸- N 5 , N 5' -비스(3-(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2,2'- 비나프틸 -5,5'- 디카복사미드 (8e). 수율, 69%. 1H NMR (CD3OD) δ 8.26 (s, 2H), 7.96 (d, J = 7.8 Hz, 2H), 7.65 (s, 2H), 7.57 (t, J1 = J2 = 6.6 Hz, 2H), 7.44 (d, J = 7.2 Hz, 2H), 7.27 (s, 2H), 2.01 (s, 6H).
1,1',6,6',7,7'- 헥사하이드록시 -3,3'-디메틸- N 5 , N 5' - 비스 (1- 페닐프로필 )-2,2'-비나프틸-5,5'- 디카복사미드 (8f). 수율, 70%. 1H NMR (CD3OD) δ 7.50 (m, 4H), 7.31 (m, 6H), 7.09 (s, 2H), 6.95 (s, 2H), 5.09 (m, 2H), 1.88 (m, 6H), 1.09 (m, 6H).
N 5 , N 5' - 디벤질 -1,1',6,6',7,7'- 헥사하이드록시 -3,3'-디메틸-2,2'- 비나프틸 -5,5'-디 카복사 미드(8g). 수율, 78%. 1H NMR (CD3OD) δ 7.58 (s, 2H), 7.54 (d, J = 7.2 Hz, 4H), 7.36 (t, J1 = J2 = 7.2 Hz, 4H), 7.27 (t, J1 = J2 = 7.2 Hz, 2H), 7.16 (s, 2H), 4.70 (s, 4H), 1.91 (s, 6H).
1,1',6,6',7,7'- 헥사하이드록시 -3,3'-디메틸- N 5 , N 5' - 비스 (3- 메틸벤질 )-2,2'- 비나프틸 -5,5'- 디카복사미드 (8h). 수율, 75%. 1H NMR (CD3OD) δ 7.58 (s, 1H), 7.36 (s, 2H), 7.30 (d, J = 7.8 Hz, 2H), 7.23 (t, J1 = 7.8 Hz, J2 = 7.2 Hz, 2H), 7.16 (s, 2H), 7.08 (d, J = 7.2 Hz, 2H), 4.65 (t, J1 = J2 = 15.0 Hz, 4H), 2.36 (s, 6H), 1.91 (s, 6H).
N 5 , N 5' - 비스 (3- 클로로벤질 )-1,1',6,6',7,7'- 헥사하이드록시 -3,3'-디메틸-2,2'-비나프틸-5,5'- 디카복사미드 (8i). 수율, 70%. 1H NMR (CD3OD) δ 7.59 (d, J = 4.2 Hz, 4H), 7.46 (d, J = 7.2 Hz, 2H), 7.35 (t, J1 = J2 = 7.2 Hz, 2H), 7.28 (d, J = 7.2 Hz, 2H), 7.15 (s, 2H), 4.68 (s, 4H), 1.93 (s, 6H).
1,1',6,6',7,7'- 헥사하이드록시 -3,3'-디메틸- N 5 , N 5' - 비스 (2,4,6- 트리메틸벤질 )-2,2'-비나프틸-5,5'- 디카복사미드 (8j). 수율, 70%. 1H NMR (CD3OD) δ 7.54 (s, 2H), 7.18 (s, 2H), 6.87 (s, 4H), 4.70 (s, 4H), 2.46 (s, 12H), 2.22 (s, 6H), 1.91 (s, 6H).
N 5 , N 5' - 비스 (1-(4- 클로로페닐 )에틸)-1,1',6,6',7,7'- 헥사하이드록시 -3,3'-디메틸-2,2'- 비나프틸 -5,5'- 디카복사미드 (8k). 수율, 73%. 1H NMR (CD3OD) δ 7.53 (m, 6H), 7.35 (m, 4H), 7.09 (s, 2H), 6.95 (s, 2H), 5.33 (m, 2H), 1.91 (s, 3H), 1.86 (s, 3H), 1.56 (m, 3H), 1.54 (m, 3H).
N 5 , N 5' - 비스 ( 사이클로프로필메틸 )-1,1',6,6',7,7'- 헥사하이드록시 -3,3'-디메틸-2,2'-비나프틸-5,5'- 디카복사미드 (8l). 수율, 70%. 1H NMR (CD3OD) δ 7.58 (s, 2H), 7.26 (s, 2H), 3.36 (m, 4H), 1.97 (s, 6H), 1.18 (m, 2H), 0.57 (d, J = 8.1 Hz, 4H), 0.37 (m, 4H).
N 5 , N 5' - 비스 ( 사이클로헥실메틸 )-1,1',6,6',7,7'- 헥사하이드록시 -3,3'-디메틸-2,2'-비나프틸-5,5'- 디카복사미드 (8m). 수율, 80%. 1H NMR (CD3OD) δ 7.58 (s, 2H), 7.22 (s, 2H), 3.32 (m, 4H), 1.96 (s, 6H), 1.79 (d, J = 7.2 Hz, 4H), 1.71 (d, J = 8.4 Hz, 4H), 1.39-1.08 (m, 14H).
1,1',6,6',7,7'- 헥사하이드록시 -3,3'-디메틸- N 5 , N 5' - 디펜에틸 -2,2'- 비나프틸 -5,5'-디 카복사 미드(8n). 수율, 80%. 1H NMR (CD3OD) δ 7.58 (s, 2H), 7.36 (d, J = 7.2 Hz, 4H), 7.31 (t, J1 = J2 = 7.2 Hz, 4H), 7.21 (t, J1 = J2 = 7.2 Hz, 2H), 7.09 (s, 2H), 3.74 (m, 4H), 3.01 (t, J1 = J2 = 7.2 Hz, 4H), 1.92 (s, 6H).
1,1',6,6',7,7'- 헥사하이드록시 -3,3'-디메틸- N 5 , N 5' - 비스 (3- 메틸펜에틸 )-2,2'-비나프틸-5,5'- 디카복사미드 (8o). 수율, 76%. 1H NMR (CD3OD) δ 7.57 (s, 2H), 7.23 (d, J = 7.8 Hz, 4H), 7.11 (d, J = 7.8 Hz, 4H), 7.06 (s, 2H), 3.80 (m, 4H), 2.96 (t, J1 = J2 = 7.2 Hz, 4H), 2.29 (s, 6H), 1.90 (s, 6H), 1.40 (s, 4H).
N 5 , N 5' - 비스 (3- 클로로펜에틸 )-1,1',6,6',7,7'- 헥사하이드록시 -3,3'-디메틸-2,2'-비나프틸-5,5'- 디카복사미드 (8p). 수율, 70%. 1H NMR (CD3OD) δ 7.57 (s, 2H), 7.39 (s, 2H), 7.30 (t, J1 = 7.2 Hz, J2 = 6.6 Hz, 4H), 7.21 (d, J = 6.6 Hz, 2H), 7.03 (s, 2H), 3.79 (m, 2H), 3.70 (m, 2H), 3.00 (m, 4H), 1.91 (s, 6H).
N 5 , N 5' - 비스 (4- 에틸펜에틸 )-1,1',6,6',7,7'- 헥사하이드록시 -3,3'-디메틸-2,2'-비나프틸-5,5'- 디카복사미드 (8q). 수율, 75%. 1H NMR (CD3OD) δ 7.58 (s, 2H), 7.26 (d, J = 7.8 Hz, 4H), 7.15 (d, J = 7.8 Hz, 4H), 7.10 (s, 2H), 3.75 (m, 2H), 3.70 (m, 2H), 2.98 (t, J1 = J2 = 7.2 Hz, 4H), 2.60 (q, J1 = 7.8 Hz, J2 = 7.2 Hz, 4H), 1.91 (s, 6H), 1.20 (t, J1 = 7.8 Hz, J2 = 7.2 Hz, 6H).
N 5 , N 5' - 비스 (2,3- 디하이드로 -1H- 인덴 -2-일)-1,1',6,6',7,7'- 헥사하이드록시 -3,3'-디메틸-2,2'- 비나프틸 -5,5'- 디카복사미드 (8). 수율, 72%. 1H NMR (CD3OD) δ 7.57 (s, 2H), 7.24 (s, 4H), 7.19 (s, 2H), 7.14 (s, 4H), 4.94 (m, 2H), 3.42 (m, 4H), 3.07 (m, 4H), 1.94 (s, 6H).
N 5 , N 5' - 비스 (4- 클로로펜에틸 )-1,1',6,6',7,7'- 헥사하이드록시 -3,3'-디메틸-2,2'-비나프틸-5,5'- 디카복사미드 (8t). 수율, 75%. 1H NMR (CD3OD) δ 7.57 (s, 2H), 7.35 (d, J = 7.8 Hz, 4H), 7.30 (d, J = 7.8 Hz, 4H), 7.02 (s, 2H), 3.76 (m, 2H), 3.71 (m, 2H), 2.99 (t, J1 = J2 = 6.6 Hz, 4H), 1.93 (s, 6H).
5,5'- 디이소부틸 -1,1',6,6',7,7'- 헥사메톡시 -3,3'-디메틸-2,2'- 비나프틸 (11a). 수율, 85%. 1H NMR (CDCl3) δ 7.60 (s, 2H), 7.41 (s, 2H), 3.99 (s, 6H), 3.90 (s, 6H), 3.57 (s, 6H), 2.97 (d, J = 7.2 Hz, 4H), 2.19 (s, 6H), 2.12 (m, 2H),1.03 (t, J1 = J2 = 6.0 Hz, 12H).
5,5'- 디이소펜틸 -1,1',6,6',7,7'- 헥사메톡시 -3,3'-디메틸-2,2'- 비나프틸 (11b). 수율, 81%. 1H NMR (CDCl3) δ 7.63 (s, 2H), 7.38 (s, 2H), 3.99 (s, 6H), 3.96 (s, 6H), 3.59 (s, 6H), 3.08 (m, 4H), 2.2 (s, 6H), 1.80 (m, 2H), 1.29 (m, 4H), 1.06 (m, 12H).
5,5'- 비스 ( 사이클로펜틸메틸 )-1,1',6,6',7,7'- 헥사메톡시 -3,3'-디메틸-2,2'-비나프틸(11c). 수율, 80%. 1H NMR (CDCl3) δ 7.65 (s, 2H), 7.40 (s, 2H), 3.99 (s, 6H), 3.90 (s, 6H), 3.58 (s, 6H), 3.09 (d, J = 7.2 Hz, 4H), 2.38 (m, 2H), 2.20 (s, 6H), 1.73 (m, 8H), 1.54 (m, 8H).
1,1',6,6',7,7'- 헥사메톡시 -3,3'-디메틸-2,2'- 비나프틸 (11e). 수율, 90%. 1H NMR (CDCl3) δ 7.46 (s, 2H), 7.45 (s, 2H), 7.14 (s, 2H), 4.04 (s, 6H), 4.02 (s, 6H), 3.57 (s, 6H), 2.18 (s, 6H).
5,5'- 디이소부틸 -3,3'-디메틸-2,2'- 비나프틸 -1,1',6,6',7,7'- 헥사올 (12a). 수율, 80%. 1H NMR (CD3OD) δ 7.44 (s, 2H), 7.34 (s, 2H), 2.95 (d, J = 7.2 Hz, 4H), 2.14 (m, 2H), 2.05 (s, 6H), 1.02 (d, J = 6.0 Hz, 6H), 1.00 (d, J = 6.0 Hz, 6H).
5,5'- 디이소펜틸 -3,3'-디메틸-2,2'- 비나프틸 -1,1',6,6',7,7'- 헥사올 (12b). 수율, 79%. 1H NMR (CD3OD) δ 7.42 (s, 2H), 7.34 (s, 2H), 3.04 (t, J1 = J2 = 5.4 Hz, 4H), 2.05 (s, 6H), 1.74 (m, 2H), 1.55 (m, 4H), 1.05 (d, J = 3.6 Hz, 6H), 1.04 (d, J = 3.6 Hz, 6H).
5,5'- 비스 ( 사이클로펜틸메틸 )-3,3'-디메틸-2,2'- 비나프틸 -1,1',6,6',7,7'- 헥사올 (12c). 수율, 78%. 1H NMR (CD3OD) δ 7.41 (s, 2H), 7.37 (s, 2H), 3.06 (d, J = 7.2 Hz, 4H), 2.36 (m, 2H), 2.03 (s, 6H), 1.72 (m, 8H), 1.50 (m, 8H).
5,5'- 디벤질 -3,3'-디메틸-2,2'- 비나프틸 -1,1',6,6',7,7'- 헥사올 (12d). 수율, 72%. 1H NMR ((CD3)2SO) δ 9.81 (s, 2H), 8.64 (s, 2H), 7.76 (s, 2H), 7.39 (s, 2H), 7.24 (m, 10H), 7.10 (m, 2H), 4.28 (dd, J1 = 15.0 Hz, J2 = 19.8 Hz, 4H), 1.94 (s, 6H). E1 13C NMR () δ 150.69, 145.86, 145.66, 143.20, 134.04, 126.97, 120.46, 119.85, 117.38, 116.13, 105.10, 101.09, 32.0, 22.5.
3,3'-디메틸-5,5'- 디펜에틸 -2,2'- 비나프틸 -1,1',6,6',7,7'- 헥사올 (12e). 수율, 73%. 1H NMR (CDCl3) δ 7.52 (s, 2H), 7.44 (s, 2H), 7.32 (d, J = 6.6 Hz, 4H), 7.29 (d, J = 7.2 Hz, 4H), 7.18 (t, J1 = 7.2 Hz, J1 = 6.6 Hz, 2H), 5.35 (s, 4H), 5.17 (s, 2H), 3.37 (t, J1 = J2 = 6.6 Hz, 4H), 3.03 (t, J1 = J2 = 6.6 Hz, 4H), 2.13 (s, 6H).
3,3'-디메틸-2,2'- 비나프틸 -1,1',6,6',7,7'- 헥사올 (13). 수율, 75%. 1H NMR (CD3OD) δ 7.46 (s, 2H), 7.11 (s, 2H), 7.02 (s, 2H), 1.97 (s, 6H).
1,1',6,6',7,7'- 헥사하이드록시 -3,3'-디메틸-2,2'- 비나프틸 -5,5'-디카르복실산(14). 수율, 70%. 1H NMR (CD3OD) δ 8.29 (s, 2H), 7.83 (s, 2H), 2.04 (s, 6H).
Figure pct00048
실시예 6
NMR 실험
첨가된 화합물의 부재 및 존재 하에 각각 200 μM 농도에서 25 μM 농도의 Bcl-XL의 500 ㎕ 용액으로 1차원 1H 실험을 NMR 기반 결합 분석을 수행하였다. 스펙트럼의 지방족 영역을 관찰함으로써, Ile, Leu, Thr, Val 또는 Ala의 활성 자리 메틸 기(-0.8 내지 0.3 ppm 영역)에서의 화학 이동 변경으로 인해 결합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었다. 4개의 rf 채널 및 z축 펄스장 경사가 구비된 600 MHz 분광기 Bruker Avance 600로 모든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7
형광 편광 분석( FPA )
Bak BH3 펩타이드(F-BakBH3)(GQVGRQLAIIGDDINR)를 플루오레세인 이소티오시아네이트(FITC)(Molecular Probes)로 N 말단에서 표지하고 HPLC로 정제하였다. 경쟁적 결합 분석을 위해, 100 nM GST-BCL-XL ΔδTM 단백질을 96웰 검정색 플레이트 내에서 47.5 ㎕ PBS(pH = 7.4) 중의 여러 농도의 시험된 화합물로 실온에서 10분 동안 사전 항온처리하고, 이후 100 nM FITC 표지 Bak BH3 펩타이드 2.5 ㎕를 첨가하여 최종 용적을 50 ㎕ 만들었다. 아생형 및 돌연변이체 Bak BH3 펩타이드가 각각 양성 및 음성 대조군으로서 각각의 분석 플레이트 내에 포함되었다. 실온에서 30분 항온처리 후, 멀티라벨 플레이트 리더(PerkinElmer)로 480/535 ㎚의 여기/방출 파장에서 밀리편광 단위의 편광 값을 측정하였다. 실험 데이터를 S자형 용량-반응 비선형 회귀 모델(SigmaPlot 10.0.1, Systat Software, Inc., San Jose, CA, USA)에 적용하여 IC50을 결정하였다. 보고된 데이터는 3개의 독립 실험±표준 오차(SE)의 평균이다. BCL-2 및 Mcl-1 FPA의 성능은 유사하였다. 간단히 말하면, 50 nM의 GST-BCL-2 또는 -Mcl-1을 다양한 농도 아포고시폴 또는 이의 5,5' 치환 유도체와 2분 동안 항온처리하고, 이후 15 nM FITC-접합-Bim BH3 펩타이드를 PBS 완충제 중에 첨가하였다. 10분 후 형광 편광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8
등온 적정 열량측정 분석( ITC )
Microcal(Northampton, MA)로부터 구입한 ITC200 열량계 또는 VP-ITC를 사용하여 적정을 수행하였다. BCL-XL를 25 내지 100 μM의 농도에서 20 mM 인산나트륨 완충제(pH 7.4) 및 5~10% DMSO 중에 사용하였다. 적정제를 동일한 완충제 중의 단백질 농도의 10~15배 농도로 사용하였다. 25℃에서 적정을 수행하였다. ITC 제조업자(Microcal, Northampton, MA)에 의해 제공되는 Microcal Origin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실시예 9
세포 생존율 및 아폽토시스 분석
ATP-LITE 분석(PerkinElmer)을 이용하여 인간 암 세포주(PC3ML, H460, H1299, RS11846)에 대한 화합물의 활성을 평가하였다. 모든 세포를 5% 소 태아 혈청(Mediatech Inc.), 페니실린 및 스트렙토마이신(Omega)이 보충된 5 mM L-글루타민을 갖는 F12 또는 RPMI1640배지 중에 시딩하였다. 유지를 위해, 세포를 5% FBS 중에 배양하였다. 세포를 배가 시간에 따라 여러 초기 밀도로 96웰 플레이트에 플레이팅하였다. H460 및 H1299를 2000개 세포/웰로, A549 및 PC3을 3000개 세포/웰로, RS118456S를 10,000개 세포/웰로 플레이팅하였다. 화합물을 0.1% DMSO로 최종 농도로 희석하였다. 화합물을 세포에 분배하기 전에, 새로운 5% 배지를 웰에 놓았다. 새로운 배지에 시딩한 24시간 후 화합물을 투여하였다. 치료 72시간 후 ATP-LITE 시약(PerkinElmer)을 사용하여 세포 생존율을 평가하였다. 데이터를 Prism 버전 5.01(Graphpad Software)를 이용하여 DMSO 대조군-치료 세포로 정규화하였다.
RS11846 세포에 대한 화합물의 아폽토시스 활성을 Annexin V- 및 프로피듐 요오다이드(PI)로 염색하여 평가하였다. 림프종 세포주인 RS11846을 10% 소 태아 혈청(Mediatech Inc., Herndon, VA 20171) 및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Mediatech Inc., Herndon, VA 20171)을 포함하는 RPMI 1640배지(Mediatech Inc., Herndon, VA 20171) 중에 배양하였다. 세포를 다양한 농도의 5,5' 치환 아포고시폴로 1~2일 동안 배양하였다. 아폽토시스 검출 키트(BioVision Inc.)를 사용하여 FITC-Annexin V- 및 프로피듐 요오다이드(PI) 표지화하고, 염색된 세포를 유세포분석기(FACSort; Bectin-Dickinson, Inc.; Mountain View, CA)에 의해 분석하여 생존 세포의 백분율을 결정하였다. annexin-V-negative 및 PI-음성인 세포가 생존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마우스 배아 섬유아세포 아생형 세포(MEF/WT) 및 마우스 배아 섬유아세포 BAX/Bak 2중 넛아웃 세포(MEF/DKO)에 대한 8r, 8q와 같은 화합물의 아폽토시스 활성을 Annexin V- 및 프로피듐 요오다이드(PI)로 염색하여 평가하였다. MEF/WT 및 MEF/DKO 세포를 24웰 플레이트 내에서 (10% FCS가 보충된 DMEM 배지 1 ㎖ 중) 웰당 50만의 시딩 밀도로 시딩하였다. 다음날, 화합물을 0, 2.5, 5.0, 7.5 및 10 μM의 최종 농도로 아생형 및 DKO 세포에 첨가하였다. 다음날에, 부유 세포에는 0.25% 트립신/EDTA 용액(Gibco/In-Vitrogen Inc.)으로 간단한 항온처리 후 수확된 부착 세포가 부족하였다. 세포를 원심분리하고 상청액을 버리고, 세포 펠렛을 Annexin-V 결합 완충제 0.2 ㎖로 재현탁시키고, 이후 Annexin-FITC 1 ㎕ 및 PI(프로피듐 요오다이드) 1 ㎕를 첨가하였다. 생존 세포의 백분율을 3색 FACSort 장치에 의해 결정하고, 생존 세포로서 Annexin V-음성, PI-음성 기록하여 Flow-Jo 프로그램에 의해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실시예 10
실험실내 ADMET 연구
마이크로솜 안정성. 풀(pool)인 랫트 간 마이크로솜(BD Bioscience, 452701호)을 NADPH의 부재 하에 37.5℃에서 5분 동안 시험 화합물로 예비 항온처리하였다. NADPH를 첨가하여 반응을 개시하고 이후 동일한 조건 하에 항온처리하였다. 최종 항온처리 농도는 pH 7.4에서 인산염 완충 식염수(PBS) 중에 4 μM 시험 화합물, 2 mM NADPH 및 1 ㎎/㎖(전체 단백질) 간 마이크로솜이었다. 항온처리 혼합물 1 액적(100 ㎕)을 0, 15, 30 및 60분에 인출하고 내부 표준품을 포함하는 ACN/MeOH 200 ㎕와 즉시 합했다. 혼합 후, 샘플을 대략 13,000 rpm에서 12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상청액을 오토샘플러 바이알에 옮기고 Shimadzu LCMS 2010EV 질량 분광기를 사용하여 시험 화합물의 양을 정량화하였다. 시간의 함수로서의 모 화합물의 AUC(곡선하 면적)의 변화를 마이크로솜 안정성의 측정치로서 사용하였다.
혈장 안정성. 시험 화합물의 DMSO 중의 10 mM 용액의 20 ㎕ 액적을 헤파린 처리된 랫트 혈장(Lampire, P1-150N) 2.0 ㎖에 첨가하여 100 μM 최종 용액을 얻었다. 혼합물을 37.5℃에서 1시간 동안 항온처리하였다. 100 ㎕의 액적을 꺼내고(0, 30분, 1시간) 내부 표준품을 포함하는 MeOH 200 ㎕로 희석하였다. 혼합 후, 샘플을 대략 13,000 rpm에서 12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상청액을 오토샘플러 바이알에 옮기고 Shimadzu LCMS-2010EV 시스템을 사용하여 시험 화합물의 양을 정량화하였다. 시간의 함수로서의 모 화합물의 AUC(곡선하 면적)의 변화를 마이크로솜 안정성의 측정치로서 사용하였다.
실시예 11
PAMPA 분석
PAMPA는 병렬 인공 막 투과 분석이다. 96웰 미량적정 플레이트(Millipore, MSSACCEPTOR호)를 수성 완충제 용액(pH 7.2)으로 완전히 충전하고 미량적정 필터플레이트(Millipore, MAPBMN310호)로 덮었다. 소수성 필터 물질을 헥산 중의 헥사데칸의 10% 용액으로 담지하고 유기 용매가 완전히 증발하게 하였다. 필터플레이트 상부에 100 μM 시험 화합물 용액 200 ㎕를 옮겨 투과 연구를 시작하였다. 일반적으로 pH 7.2 완충제에서의 인산염 완충제를 사용하였다. 스톡 용액의 최대 DMSO 함량은 5% 미만이었다. 병렬시, 막이 부족하지만 정확한 농도 및 규격을 사용하여 막이 부족한 평균 용액을 제조하였다. Shimadzu LCMS-2010EV 및 AUC 방법을 이용하여 억셉터 및 평행 용액의 농도를 결정하였다. 막 층을 통한 화합물의 투과를 백분율 투과(유입(%))로 기술하였다. 8시간 후 억셉터 컴파트먼드의 농도 및 막 장벽을 포함하는 않는 동일한 농도를 갖는 기준 웰의 농도를 고려하여 유입 값을 계산하였다.
실시예 12
형질전환 마우스 연구
BCL-2를 발현하는 형질전환 마우스를 B6 주로 기재하였다. BCL-2 전이유전자는 인간 BCL-2 유전자가 면역글로불린 중쇄(IgH) 유전자위 및 관련 IgH 증진제와 융합되는 t(14;18) 전좌의 꼬마유전자 버전을 나타낸다. 전이유전자는 Balb/c 배경에서 전파되었다. 이러한 마우스는 대략 6월령에 시작하는 단일클론 공격형 림프종에 대한 비동기식 형질전환을 갖는 다클론 B 세포 과형성을 전개하고, 대략 90%의 마우스가 12월령 내지 24월령까지 형질전환을 겪었다. 여기서 사용된 모든 동물은 여전히 공격형 림프종을 전개하지 않았다.
실시예 13
추가의 마우스 실험
용액(에탄올: Cremophor EL: 식염수 = 10:10:80) 500 ㎕ 중에 용해된 화합물을 연령 및 성별 일치 B6BCL2 마우스에 복강내 주사하고, 대조군 마우스에 화합물이 없는 동일 제제 500 ㎕를 복강내 주사하였다. 24시간 후, B6BCL2 마우스를 아베르틴의 치사 용량의 복강내 주사에 의해 희생시켰다. 비장을 제거하고 중량을 쟀다. 본 발명자들이 비장 중량이 예비 연구에서 연령 및 성별 일치 BCL-2-형질전환 마우스에서 매우 일치한다는 것을 결정할 때, 마우스의 비장 중량을 활성을 평가하기 위한 종점으로서 사용하였다. 비장 중량의 변산도는 대조군 치료된 연령 일치 성별 일치 B6BCL2 마우스 중에서 ±2%이었다. 비장 조직을 3일 동안 z-FIX에서 고정하고 PBS 중에 세정하고, 비장의 조직 분석을 위해 저장하였다(H&E 염색 및 TUNEL 분석).
실시예 14
아포고시폴과의 비교
BCL-XL 내 BH3 결합 홈으로의 아포고시폴의 분자 도킹 연구는 아포고시폴이 오른쪽 나프탈렌 고리 위의 인접한 6번째 및 7번째 하이드록실 기를 통해 BCL-XL 내 잔기 Arg 139 및 Tyr 195와 2개의 수소 결합을 형성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왼쪽 나프탈렌 고리에서의 이소프로필 기는 BCL-XL 내 제1 소수성 포켓(P1)으로 삽입되고, 오른쪽 나프탈렌 고리에서의 메틸 기 및 이소프로필 기는 각각 인접한 2개의 소수성 포켓인 P2 및 P3으로 삽입되었다. 예상된 결합 모델의 분석은 아포고시폴의 전체 코어 구조가 BCL-XL의 BH3 결합 홈에 오히려 잘 맞지만, 2개의 이소프로필 기는 명확히 완전히 소수성 포켓 P1 및 P3을 차지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BCL-XL에서의 소수성 포켓을 더 효율적으로 차지하는 새로운 분자를 유도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소프로필 기를 더 큰 소수성 치환기로 대체한 5,5' 치환 아포고시폴 유도체의 라이브러리를 설계하였다.
설계된 5,5' 치환 아포고시폴 유도체를 본원에 기재된 바대로 합성하고 표 9에 기재된 바대로 핵 자기 공명 분광학(NMR) 결합 분석, 경쟁적 형광 편광 분석(FPA) 및 세포 생존율 분석에 의해 평가하였다.
Figure pct00049
화합물 I는 이 분석에서 BCL-XL에 대해 높은 친화도를 나타냈다. 이것은 BCL-XL의 1차원 1H NMR 스펙트럼에서 활성 자리 메틸 기(-0.3 내지 0.8 ppm 영역) 내 현저한 화학 이동 변화를 유도하고 또한 FP 대체 분석에서 아포고시폴보다 거의 20배 더 효과적인 0.19 μM의 IC50 값을 가졌다.
화합물 XVII, VI, VIII, XI, XVI 및 XII과 같은 화합물 군은 또한 0.14 내지 0.45 μM 범위의 IC50 값으로 FP 분석에서 BCL-XL에 대해 높은 결합 친화도를 나타냈고 BCL-XL의 1차원 1H NMR 스펙트럼에서 화학 이동 변화를 유도하였다. NMR 결합 데이터 및 FP 분석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ITC(등온 적정 열량측정)을 이용하여 BCL-XL에 대해 화합물 I 및 다른 화합물의 결합 친화도를 추가로 평가하였다.
Figure pct00050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NMR 결합 및 FPA 데이터와 일치하게, 화합물 I 및 이의 파라-메틸 치환된 유도체 화합물 XII는 동일한 분석에서 아포고시폴(Kd = 1.7 μM)보다 10배 및 40배 더 강력한, 각각 0.17 및 0.04 μM의 Kd 값으로, BCL-XL에 대해 강력한 결합 친화도를 나타냈다. BCL-XL의 BH3 결합 홈에서의 화합물 I의 분자 도킹 연구는 5,5' 벤질 기가 BCL-XL에서 소수성 포켓(P1 및 P3)으로 더 깊이 삽입되어 아포고시폴의 이소프로필 기와 비교하여 더 효율적으로 이 영역을 차지한다는 것을 나타냈다.
NMR 결합, FPA 및 ITC 데이터와 일치하게, 화합물 I 및 XII과 같은 화합물은 높은 수치의 BCL-XL을 발현하는 PC3ML 세포에서 세포 성장을 억제하는 데 있어서 현저한 효율을 나타냈다. 이의 EC50 값은 1.9 내지 4.6 μM 범위여서, 아포고시폴(EC50 = 10.3 μM)보다 2~5배 더 강력하다.
다른 항아폽토시스 BCL-2 패밀리 단백질에 대한 5,5' 치환 아포고시폴 유도체의 결합 특성 및 특이성을 평가하기 위해, FP 분석을 이용하여 BCL-2 및 Mcl-1에 대해 선택된 BCL-XL 활성 화합물을 평가하였다. 이러한 BCL-XL 억제제는 또한 BCL-2 및 Mcl-1에 대해 강한 결합 친화도를 나타냈다. 화합물 I은 아포고시폴(EC50 = 2.8 μM)보다 대략 8배 및 5배 더 강력한 각각 0.36 및 0.52 μM의 EC50 값으로 BCL-2 및 Mcl-1에 결합하였다. 화합물 XII는 화합물 I보다 약간 덜 활성이지만, 화합물 VIII는 아포고시폴의 활성과 유사한 활성을 가졌다.
화합물 I 및 화합물 XII이 FP 분석에서 BCL-2 및 Mcl-1에 대해 강한 결합 친화도를 나타내므로, 각각 높은 수치의 BCL-2 및 Mcl-1을 발현하는 H460 및 H1299 세포주에 대해 모든 5,5' 치환 아포고시폴 유도체를 추가로 평가하였다. FPA 데이터와 일치하게, 화합물 I 및 XII는 아포고시폴(EC50 = 3.4 μM)보다 대략 4~5배 더 강력한, 각각 0.68 및 0.82 μM의 EC50 값으로, H460 세포주의 성장을 억제하였다. 화합물 I의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화합물 VII 및 VIII는 또한 각각 0.30 및 0.59 μM의 EC50 값으로 H460 세포주에서 세포 성장을 억제하였다. 대부분의 시험된 5,5' 치환 아포고시폴 유도체는 또한 1 내지 4 μM 범위의 EC50 값으로 H460 및 H1299 세포주에서 강력한 세포 활성을 나타냈다.
반대로, 5,5' 위치에서 수소 원자를 갖는 음성 대조군 화합물인 화합물 II는 H460(EC50 = 10.1 μM) 및 H1299(EC50 = 13.4 μM) 세포주 둘 다에서 약한 세포 성장 억제 활성을 나타내어, 5,5' 치환 기가 강한 억제에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관찰은 Mcl-1에 대해 효과적이지 않고 결과적으로 H1299와 같은 Mcl-1 발현 세포주를 사멸하는 데 있어서 효과적이지 않은 강력한 BCL-XL 길항제 ABT-737에 대한 보고와 일치하였다.
높은 수치의 BCL-2 및 BCL-XL을 발현하는 인간 림프종 RS11846 세포주의 아폽토시스를 유도하는 능력에 대해 5,5' 치환 아포고시폴 유도체를 추가로 시험하였다. 이 분석을 위해, 본 발명자들은 Annexin V-FITC 및 프로피듐 요오다이드(PI) 2중 염색, 이어서 유세포 분석을 이용하였다. 대부분의 합성된 아포고시폴 유도체는 용량 의존 방식으로 RS11846 세포주의 아폽토시스를 효과적으로 유도하였다. 특히, 화합물 I, VIII, XI 및 XII는 인간 암 PC3ML 및 H460 세포주에서의 선행 결과와 일치하는 3.0 내지 5.5 μM 범위의 EC50 값을 갖는다. 다시 말하면, 음성 대조군 화합물 II는 이전의 빈약한 항-BCL-2 활성과 일치하게 RS11846 세포주의 약한 아폽토시스(EC50 = 24.7)를 유도하였다.
5,5' 치환 아포고시폴 유도체의 약리학적 특성을 시험하기 위해, 이의 실험실내 혈장 안정성, 마이크로솜 안정성 및 세포막 투과성을 결정하였다. 결과를 표 11에 기재하였다.
Figure pct00051
표 4에 제공된 데이터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본 공개내용의 합성된 화합물은 더 우수한 혈장 안정성을 나타내고 대체로 아포고시폴보다 더 안정하였다. 화합물 I는 랫트 혈장에서 1시간 항온처리 후 15% 분해되었다. 또한, 화합물 I 및 XII는 아포고시폴과 비교하여 유사한 또는 개선된 마이크로솜 안정성을 나타냈지만, 화합물 VI 및 XVIII는 랫트 간세포 마이크로솜 제제에서 아포고시폴보다 더 신속히 분해되었다. 화합물 I 및 XII는 또한 아포고시폴과 비교하여 개선된 세포막 투과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1D 1H-NMR 결합 분석, FP 분석, ITC 분석, 세포독성 분석 및 예비 실험실내 ADME 데이터의 조합을 이용하여, B6BCL-2 형질전환 마우스를 사용하는 추가의 생체내 연구에 대해 화합물 I 및 XII과 같은 화합물을 선택하였다. B6BCL-2 형질전환 마우스의 B 세포는 BCL-2를 과발현하고 마우스의 비장에 축적되었다. 본 발명자들이 비장 중량이 연령 및 성별 일치 BCL-2-형질전환 마우스에서 매우 일치한다는 것을 결정할 때, 비장 중량을 생체내 활성을 평가하기 위한 종점으로서 사용하였고, 변산도는 대조군 치료된 연령 일치 성별 일치 B6BCL2 마우스 중에서 ±2%이었다. 화합물 I 및 XII과 같은 화합물의 생체내 활성을 우선 단일 BCL-2 형질전환 마우스에서 60 μmol/㎏에서의 아포고시폴 및 고시폴로 순차로 스크리닝하였다.
모든 시험된 화합물은 마우스에서 현저한 비장 중량 감소를 유도하고 화합물 I는 비장 중량을 40% 감소시키는 최고의 효율을 나타냈다. 최대 비장 수축이 이 실험 모델에서 50%를 넘지 않으므로, 화합물 I의 생체내 효과는 60 μmol/㎏에서 거의 최대 생물학적 활성을 유도하였다. 단일 마우스 실험으로부터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화합물 I의 생체내 활성을 각각 6개의 마우스 군에서 다음에 평가하였다. 단일 마우스 실험과 일치하게, 이러한 마우스의 화합물 I 치료는 6개의 마우스 대조군과 비교하여 비장 중량을 현저히(약 40%) 감소시켰다(P<0.0001). 모든 마우스는 거시적인 독성 없이 치료에 매우 내약성이었고; 최대 중량 손실은 화합물 I의 연구 동안 4%이었다.
실시예 15
전신성 홍반성 낭창( SLE )의 예방 및 치료에 대한 마우스 모델
이 실시예는 뉴질랜드 블랙×뉴질랜드 화이트 F1(NZBW) 및 MRL/lpr 마우스 모델에서 SLE의 전개에 대한 아포고시폴 치료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한 제안 연구를 예시한 것이다.
예방 연구
2개의 유전적으로 다양한 균주인, (B6.Sle1.Sle3 유유전자성과 유전적으로 유사한) NZB/NZW F1 및 MRL/lpr은 3연령부터 5연령까지 즉 2달 동안 예방 연구하였다. 연구 시작시 항핵 자가항체에 대해 음성인 것을 보장하기 위해 마우스를 확인하였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균주의 10마리의 마우스에 아포고시폴을 투여하였지만, 다른 10마리의 연령/성별 일치 암컷에 비히클("위약군")을 투여하였다. 10마리의 마우스를 초기에 시험하였지만, 얻은 초기 세트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파워 분석 후 이 수를 용이하게 증가시켰다. 마우스에게 매일 약 0.2 μmol/㎏ 내지 약 1.0 μmol/㎏을 주었다. 투여 경로는 경구일 수 있다. 그러나, 정맥내 투여를 또한 사용할 수 있다.
혈청 자가항체 수치 및 24시간 요단백 수준에 대해 격주 간격으로, 그리고 (유세포분석기를 이용하여) 혈중 백혈구의 완전 혈구 측정, 수 및 활성화 상태에 대해 매달 마우스를 모니터링하였다. 연구 종료시, 크레아티닌/BUN 수준, 비장 백혈구 측정 및 활성화 상태 및 신장에서의 사구체 및 간질성 병변의 조직학적 중증도에 대해 모든 마우스를 또한 조사하였다. 아포고시폴 치료 마우스가 자가항체 및 백혈구 수/활성화(1차 결과 측정) 또는 신 질환(2차 결과 측정)를 현저히 감소시키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통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BCL-2, BCL-XL, AKT, mTOR, Erk1,2, p38, CDK1/2 및 NFkB의 인산화 상태에 대해 연구 군 둘 다로부터 흐름 분류 백혈구 집단을 조사하여, BCL-2 봉쇄가 또한 루푸스에서 다른 과활성화된 신호 전달 경로를 줄이는지를 확인하였다.
치료 연구
동일한 2개의 유전적으로 다양한 균주인, NZB/NZW F1 및 MRL/lpr을 5월령부터(일단 이것이 항핵 자가항체에 대해 양성이고 단백뇨가 되자마자) 7월령까지 즉 2달 동안 치료 연구하였다. 각각의 균주의 20마리의 마우스에 아포고시폴을 투여하였지만, 다른 20마리의 연령/성별 일치 암컷에 비히클("위약군")을 투여하였다. 마우스에게 매일 약 0.2 μmol/㎏ 내지 약 1.0 μmol/㎏을 주었다. 투여 경로는 경구일 수 있다. 그러나, 정맥내 투여를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연구 시작시 항핵 자가항체에 대해 양성인 것을 보장하기 위해 모든 마우스를 시험하였다. 일 실시예에서, 10마리의 마우스를 치료 기간 직후 희생하여 비장 백혈구 수/활성화에 대해 조사하였지만, 각각의 군에서의 남은 10마리의 마우스는 (사망률에 대한 아포고시폴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사망까지 팔로 업하였다.
혈청 자가항체 수치 및 24시간 요단백 수준에 대해 격주 간격으로, 그리고 (유세포분석기를 이용하여) 혈중 백혈구의 완전 혈구 측정, 수 및 활성화 상태에 대해 매달 마우스를 모니터링하였다. 연구 종료시, 크레아티닌/BUN 수준, 비장 백혈구 측정 및 활성화 상태 및 신장에서의 사구체 및 간질성 병변의 조직학적 중증도에 대해 모든 마우스를 또한 조사하였다. 아포고시폴 치료 마우스가 자가항체, 사망률 및 백혈구 수/활성화(1차 결과 측정) 또는 신 질환(2차 결과 측정)를 현저히 감소시키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통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BCL-2, BCL-XL, AKT, mTOR, Erk1,2, p38, CDK1/2 및 NFkB의 인산화 상태에 대해 연구 군 둘 다로부터 흐름 분류 백혈구 집단을 조사하여, BCL-2 봉쇄가 또한 루푸스에서 다른 과활성화된 신호 전달 경로를 줄이는지를 확인하였다.
팔로 업 연구는 선택된 루푸스 검사점에 대한 BCL-2 봉쇄의 영향을 평가하는 것, 아포고시폴 및 다른 종래 약물의 조합 용도가 감소된 부작용과 함께 더 우수한 치료 효율을 생성시키는지를 평가하는 것, 아포고시폴로 인한 일반화된 면역억제의 수준을 평가하는 것 및 인간 루푸스에서 BCL-2 패밀리 구성원 활성화의 수준을 평가하는 것을 포함하였다.
실시예 16
다발성 경화증의 쥐과 모델에서 실험적인 자가면역 뇌척수염( EAE )의 예방
이 실시예는 다발성 경화증의 쥐과 모델에서 활성 및 수동 EAE 둘 다의 전개에 대한 아포고시폴 치료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한 제안 연구를 예시한 것이다.
실험적인 알레르기 뇌척수염(EAE)은 중추신경계(CNS)의 T 세포 매개 자가면역 질환이다. CNS 수초 항원에 의한 면역화에 의해 마우스의 감수성 균주에서 질환을 유도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항원 자극 CD4+ T 세포를 사용하여 감수성 마우스, 예컨대 SJL/J 마우스로 질환을 수동으로 전파할 수 있다(Pettinelli, J. Immunol. 127, 1981, p. 1420). EAE는 영장류에서 다발성 경화증에 대한 허용되는 동물 모델로서 널리 인식된다(Alvord et al. (eds.) 1984. Experimental allergic encephalomyelitis--A useful model for multiple sclerosis. Alan R. Liss, New York).
예방 연구
암컷 SJL/J 마우스는 7주령부터 10주령까지 즉 2달 동안 예방 연구하였다. 일 실시예에서, 10마리의 마우스에 아포고시폴을 투여하였지만, 다른 10마리의 연령/성별 일치 암컷에 비히클("위약군")을 투여하였다. 10마리의 마우스를 초기에 시험하였지만, 얻은 초기 세트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파워 분석 후 이 수를 용이하게 증가시켰다. 마우스에게 매일 약 0.2 μmol/㎏ 내지 약 1.0 μmol/㎏을 주었다. 투여 경로는 경구일 수 있다. 그러나, 정맥내 투여를 또한 사용할 수 있다.
(a) 활성 EAE . 문헌[Racke et al., J. Neuroimmunol., Vol 46:175-184, (1993)]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0일 및 7일에, 예를 들면 완전 프로인트 부형제("CFA") 중에 마우스 척수 세포분쇄액("MSCH") 약 800 ㎍으로 암컷 SJL/J 마우스를 면역화하여 활성 EAE를 유도하였다.
(b) 수동 EAE . 수초 염기성 단백질("MBP") 민감성 T 림프구의 양자 이입에 의해 다음과 같이 수동 EAE를 유도하였다: 암컷 SJL/J 마우스(4주령 내지 6주령)를 0일 및 7일에 CFA 중의 MBP 400 ㎍으로 면역화하였다. 14일에 주위 배수 림프절 세포 및 비장을 수확하고 배양하였다. 예를 들면, 10% 소 태아 혈청(Hyclone Labs, Logan, Utah), 2 mM L-글루타민(Gibco, Gaithersburg, Md.), 5×10-5 M 2-머캅토에탄올(Gibco, Gaithersburg, Md.),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Gibco, Gaithersburg, Md.) 및 100 ㎍/㎖의 MBP를 포함하는 RPMI 1640(Gibco, Gaithersburg, Md.) 중에 약 4×106개 세포/웰로 세포를 배양하였다. 4일 후, 생존 T 아세포를 수확하고, 세척하고, 수혜자 마우스(PBS 500 ㎕ 중 1×107개 내지 1.5×107개 세포)에 복강내 주사하였다.
EAE의 임상 신호에 대해 1일 간격으로 마우스를 모니터링하고 0 내지 3의 등급으로 다음과 같이 평점 매겼다: 0.5 = 멀리 저는 꼬리; 1.0 = 완전한 저는 꼬리; 1.5 = 저는 꼬리 및 뒷다리 허약(안정되지 못한 걸음걸이); 2.0 = 부분적 뒷다리 마비; 3.0 = 완전한 양쪽 뒷다리 마비. 연구 종료시, 림프구 침윤 및 척수의 탈수초에 대해 모든 마우스를 또한 조사하였다. 아포고시폴 치료 마우스가 질환 중증도, 염증 및/또는 탈수초를 현저히 감소시켰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통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17
NOD / SCID 마우스 모델에서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
이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당뇨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아포고시폴의 능력을 시험하기 위한 NOD/SCID 마우스 모델의 제안 용도를 예시한 것이다.
비만이 없는 당뇨병(NOD) 마우스는 자가면역 질환, 이 경우 주요 임상 특징이 상승된 혈중 포도당 수준(고혈당증)인 인슐린 의존 당뇨병(IDDM)에 대한 모델이다. 상승된 혈중 포도당 수준은 췌장의 랑게르한스섬에서 인슐린 생성 β 세포의 면역 매개 파괴에 의해 야기된다. 이 파괴는 CD4+ 및 CD8+ T 림프구, B 림프구, 대식세포 및 수지상 세포로 이루어지는 불균일 혼합물에 의한 랑게르한스섬을 둘러싸고 침투하는 거대한 세포 침윤(인슐린염)을 수반하였다.
염증에 대한 NOD 마우스 모델을 일반적으로 이전에 기재하였다. 암컷 NOD 마우스는 대략 12~14주령에 시작하는 췌장에서의 베타 세포의 파괴 및 포도당의 뇨로의 흐름을 갖는 IDDM 유사 질환을 자발적으로 발전시켰다. NOD 췌장의 통상적인 세로 방향의 조직학적 검사는 3~4주령에서 혈관을 둘러싸는 침윤 세포를 보여주지만, 랑게르한스섬은 통상적으로 6~7주에서 여전히 깨끗하였다. 이후, 침윤 세포는 랑게르한스섬을 둘러쌈으로써 또는 한 극에 축적됨으로써 랑게르한스섬에 도달하였다. 10주 내지 12주에, 침윤 세포는 랑게르한스섬에 침투하고 랑게르한스섬은 림프구에 의해 팽윤된다. 이 마우스에서 당뇨병의 개시를 검출하기 위한 가장 쉽고 가장 신뢰 가능한 방식은 혈액에서의 포도당 수준에 대해 시험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Abbott Medisense Precision Q.I.D. 혈당기를 사용하여 정맥 혈액의 측정하여 당뇨병을 평가하고 또한 당뇨에 대해 모니터링하였다(Gluketur Test; Boehringer Mannheim, Mannheim, Germany). 약 13.75 mmol/l(250 ㎎/dl) 초과의 2회 연속 포도당 측정 후 동물을 당뇨병이라 생각하였다. 당뇨병의 발병은 처음 연속 판독으로부터 거스른다. 33 mmol/l 초과의 지속 고혈당증의 경우에, 장기적인 불편감을 회피하기 위해 동물을 희생하였다.
예방 연구
NOD/LtJ 마우스(Jackson Laboratories)를 약 8~10주령으로부터 2달 동안 예방 연구하였다. 연구 초기에 마우스가 IDDM 유사 질환 증후군에 음성인지를 보장하기 위해 확인하였다. 일 실시예에서, 10마리에 아포고시폴을 투여하였지만, 다른 10마리의 연령/성별 일치 암컷에 비히클("위약군")을 투여하였다. 10마리의 마우스를 초기에 시험하였지만, 얻은 초기 세트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파워 분석 후 이 수를 용이하게 증가시켰다. 마우스에게 매일 약 0.2 μmol/㎏ 내지 약 1.0 μmol/㎏을 주었다. 투여 경로는 경구일 수 있고, 정맥내 투여를 또한 사용할 수 있다.
혈중 포도당 수치 및 24시간 요단백 및 포도당 수준에 대해 1일 간격으로, 그리고 (유세포분석기를 이용하여) 혈중 백혈구의 완전 혈구 측정, 수 및 활성화 상태에 대해 매달 간격으로 마우스를 모니터링하였다. 연구 종료시, 인슐린 수준, 췌장에서의 CD4+ 및 CD8+ T 림프구, B 림프구, 대식세포 및 수지상 세포의 존재 및 췌장의 일반적인 형태학에 대해 모든 마우스를 또한 조사하였다. 아포고시폴 치료 마우스가 당뇨병의 발병을 현저히 지연시켰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통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치료 연구
NOD/LtJ 마우스를 약 10~12주령에서 치료 연구하였다. 20마리의 마우스에 아포고시폴을 투여하였지만, 다른 20마리의 연령/성별 일치 암컷에 비히클("위약군")을 투여하였다. 마우스에게 매일 약 0.2 μmol/㎏ 내지 약 1.0 μmol/㎏을 주었다. 투여 경로는 경구일 수 있고, 정맥내 투여를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연구 초기에 IDDM 유사 질환(즉, 약 13.75 mmol/l(250 ㎎/dl) 초과의 2회 연속 포도당 측정)에 대해 양성인지를 보장하기 위해 모든 마우스를 시험하였다. 일 실시예에서, 10마리의 마우스를 치료 기간 직후 희생하여 췌장 형태학 및 췌장에서의 림프구의 존재에 대해 조사하였지만, 각각의 군에서의 남은 10마리의 마우스는 (사망률에 대한 아포고시폴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사망까지 팔로 업하였다.
혈중 포도당 수치 및 24시간 요단백 및 포도당 수준에 대해 1일 간격으로, 그리고 (유세포분석기를 이용하여) 혈중 백혈구의 완전 혈구 측정, 수 및 활성화 상태에 대해 매달 간격으로 마우스를 모니터링하였다. 연구 종료시, 인슐린 수준, 췌장에서의 CD4+ 및 CD8+ T 림프구, B 림프구, 대식세포 및 수지상 세포의 존재 및 췌장의 일반적인 형태학에 대해 모든 마우스를 또한 조사하였다. 아포고시폴 치료 마우스가 혈중 포도당 수준, 요당 수치 및 사망률 및 백혈구 수/활성화를 현저히 감소시켰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통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팔로 업 연구는 선택된 IDDM 유사 질환 검사점에 대한 BCL-2 봉쇄의 영향을 평가하는 것, 아포고시폴 및 다른 종래 약물의 조합 용도가 감소된 부작용과 함께 더 우수한 치료 효율을 생성시키는지를 평가하는 것, 아포고시폴로 인한 일반화된 면역억제의 수준을 평가하는 것 및 인간 당뇨병에서 BCL-2 패밀리 구성원 활성화의 수준을 평가하는 것을 포함하였다.
실시예 18
BCL -2 형질전환 마우스에서 아포고시폴 활성 및 독성의 연구
고시폴 및 아포고시폴을 비교하기 위해 마우스에서 독성 및 효율 연구를 수행하였다. 0.12 mmol/㎏ p.o.의 1일 용량에서, 고시폴 치료 Balb/c 마우스에서의 사망률(%)은 3주 종료에 100%이었다. 고시폴 치료 마우스는 GI 독성(부분 마비성 장폐색증), 혈액 독성(림프구감소증), 간독성(ALT 및 AST의 혈청 수치의 상승), 체중 감소 및 심장 독성의 독성을 전개하였고, 사망 야기는 고시폴 치료 마우스에서 심부전이었다.
도 5a 및 도 5b는 고시폴 대 아포고시폴의 독성 프로파일을 추가로 예시한 것이다. 도 5a는 어린 건강한 Balb/c 마우스(7주령 암컷, 군당 6마리의 마우스)에서 생존율(%)을 나타낸 것이다. 마우스에 3주 동안 0.12 mmol/㎏의 1일 용량 QDx5로 아포고시폴, 고시폴 또는 비히클 대조군을 경구로 투여하였다. 생존율(%)이 고시폴에 의한 3주 치료 종료에 0으로 떨어졌지만, 아포고시폴 또는 비히클 대조군 치료된 군 중에서 생존율(%)이 높게 머물렀다.
도 5b는 3주 동안 0.12 mmol/㎏의 1일 용량, QDx5로 아포고시폴, 고시폴 또는 비히클 대조군에 의한 치료의 전체 기간에 걸쳐 모니터링된 체중 변화를 예시한 것이다. 데이터를 그램(평균±표준 편차)으로 나타냈다.
도 5a 및 5b에 의해 제공된 데이터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아포고시폴은 모든 이러한 카테고리에서 고시폴보다 덜 독성이었지만, 아포고시폴은 전체 치료 기간에 걸쳐 E.C.G. 패턴에서 어떠한 비정상 변화를 유도하지 않았다. 고시폴 치료 마우스는 산발한 모발을 갖고 무기력하였지만, 아포고시폴 또는 비히클 대조군 치료 마우스는 치료 기간에 걸쳐 체중 감소 없이 활동적으로 머물렀고 명확히 건강하였다. 아포고시폴 치료 마우스 및 비히클 대조군 마우스(세서미유 중 0.12 mmol/㎏ 아스코르브산)는 MP150 Biopac 시스템(제3 전극 = 접지)의 사용에 의해 2-전극을 사용하여 정상 E.C.G.-패턴을 나타냈다. 또한, 아포고시폴 치료 마우스 및 비히클 대조군 마우스는 초음파 이미지-Cinema(300 프레임)에서 정상 배변을 나타냈지만, 전체 치료 과정 동안 체중 감소가 보고되지 않았다. 6마리 중 1마리의 아포고시폴 치료 마우스가 치료 18일에 죽은 것으로 발견되었다. 이 마우스는 사망 전일까지 명확히 건강하였고, 사망 원인은 이때 알려지지 않았다.
아포고시폴은 0.24 mmol/㎏의 1일 용량 p.o에서 SCLC H146 세포주가 이식된 누드 마우스에서 매우 내약성이었고(사망자 없음 및 체중 손실 없음), 아포고시폴의 항종양 효과가 입증되었다. 아스코르브산 안정화 아포고시폴은, 광 존재 또는 부재 하에 질소 가스 또는 공기 하에 4℃ 또는 실온에서 저장될 때, 2.5주 동안 안정하였다.
독성
아포고시폴이 고시폴보다 덜 독성인지를 결정하였다. 정상 암컷 Balb/c 마우스에서 고시폴 및 아포고시폴의 독성을 비교하였다. 예비 최대 허용 용량(MTD) 연구는 아포고시폴이 경구로 또는 복강내 주사로 전달되든지 간에 고시폴보다 덜 독성이라는 것을 제시하였다. 선행 NCI 지원 연구는 라세미 고시폴 및 (-)고시폴이 치명적이지 않다고 밝혔고, 21일까지 0.06 mmol/㎏ 1일로 경구로 투여될 때 항종양 활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경구로 투여된 고시폴 및 아포고시폴을 이 용량 2배에서 비교하였고; 동물에 0.12 mmol/㎏을 투약하였다. 아포고시폴이 이 약산과 1:1 몰 비로 제제화되므로(저장시 화합물을 안정하게 함), 아스코르브산을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화합물 또는 비히클 대조군에 연속 5일(월요일-금요일) 동안 매일 화합물을 주고 주말에 쉬면서 3주 동안 15회 투약하였다.
BCL -2 형질전환 마우스
BCL-2를 발현하는 형질전환 마우스를 B6 주로 기재하였다. BCL-2 전이유전자는 인간 BCL-2 유전자가 면역글로불린 중쇄(IgH) 유전자위 및 관련 IgH 증진제와 융합되는 t(14;18) 전좌의 꼬마유전자 버전을 나타낸다. 전이유전자는 Balb/c 배경에서 전파되었다.
환자 견본
CLL을 갖는 환자로부터의 말초 혈액 단핵 세포(PBMC)를 CLL Research Consortium(CRC) 조직 은행(San Diego, CA)으로부터 얻었다. 동의서를 얻은 후 혈액 샘플을 수집하였다. Histopaque 1077(Sigma, St. Louis, MO 63178)을 사용하여 밀도 구배 원심분리에 의해 PBMC를 분리하였다. 모든 환자는 CLL의 진단을 위한 NCI IWCLL 기준에 일치하였다. 사용된 샘플은, 유세포분석기에 의해 평가할 때, 95% 이상의 CD19 및 CD5 양성 세포를 포함하였다. CLL 샘플을 37℃에서 5% CO2:95% 공기 중에서 10% 소 태아 혈청(FBS)(HyClone, Logan, Utah 84321 또는 Mediatech Inc., Herndon, VA 20171)을 포함하는 RPMI 배지 내에서 배양하였다.
고시폴 아포고시폴 제조 및 제제
아포고시폴(NSC736630)을 1:1 몰 비로 아스코르브산과 공결정하였다. 고시폴(NSC19048)을 아세트산 형태로 동결건조하였다. NCI-DTP(RAID 프로그램)에 의해 화합물 둘 다를 제공하였다. 화합물을 경구 투여 바로 전에 100% 세서미유 중에 용해시켰다. 비히클 대조군은 100% 세서미유 중에 현탁된 상응하는 농도의 아스코르브산으로 이루어졌다.
마우스 실험
고시폴 및 아포고시폴을 직선형 경구 위관영양 바늘(18G-3" Straight 2.25 mm 볼, Braintree Scientific, Inc.)을 사용하여 0.06 mmol/㎏ 또는 0.12 mmol/㎏의 용량으로 매일 마우스에게 경구로 투여하였다. 투여 용적은 10 ㎖/㎏, 즉, 통상적으로 마우스 20 g당 0.2 ㎖이었다. 연구 초기에 7주령 내지 8주령의 정상 Balb/c 마우스를 독성 연구에 이용하였고, 6월령 초과의 Balb/c 배경에서의 BCL-2 형질전환 마우스를 효율 연구에 이용하였다. 연령 일치, 성별 일치 마우스에 통상적으로 연속 5일(월요일-금요일) 동안 매일 투약하고 2일 쉰 후 투약 재개하는 요법을 이용하여 매주 5회 투약하였다. BCL-2 형질전환 마우스에 대해, 매주 초음파 이미지(Visualsonics)에 의해 또는 디지털 캘리퍼스를 사용하는 물리적 검사에 의해 비장 크기를 세로 방향으로 모니터링하였다. 치료 종료시, 마우스를 아베르틴 0.7 ㎖ 복강내(i.p.) 주사를 통해 희생시키고, 전체 혈액을 Yellow-Top Serum Separator 관(Becton Dickinson Vacutainer Systems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Franklin Lakes, New Jersey 07417-1885)으로 수집하였다. 비장을 제거하고 질량을 쟀다.
혈액학 연구
심장 천자를 통해 또는 마취된 마우스의 상완 동맥을 절단하여 전체 혈액(250 ㎕)을 EDTA 코팅 유리 관(자주색 상부; EDTA를 갖는 MICROTAINER Brand Tube, 카탈로그 365973호,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New Jersey 07417-1885)에 수집하였다. 완전 혼합한 후, VetScan HM2(Abaxis Inc., Union City, CA 94587) 혈액학 분석기를 사용하여 견본을 분석하여, 백혈구 세포수(WBC), 적색 혈액 세포수(RBC), 혈소판(PLT) 수, 백혈구 백분율(림프구(%), 단핵구(%) 및 과립구(%) 포함), 헤마토크릿(Ht) 및 헤모글로빈(Hb)을 측정하였다.
도 6a 내지 도 6c는 아포고시폴 또는 고시폴로 치료된 마우스의 혈액 프로파일을 예시한 것이다. (군당 6마리의 마우스) 마우스에 아포고시폴, 고시폴 또는 비히클 대조군을 0.12 mmol/㎏의 1일 용량 QDx5로 3주 동안 경구로 투여하였다. 비히클 대조군 또는 아포고시폴에 의한 치료 종료시 또는 고시폴에 의해 치료된 마우스에서 사망시 자동화 HM2 혈액학 분석기(Abaxis Inc., Union City, CA 94587)에 의해 혈액 프로파일을 분석하였다.
도 6a는 WBC(왼쪽 패널) 및 RBC(오른쪽 패널)을 도시한 것이다.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WBC 및 RBC 둘 다 고시폴 및 아포고시폴에 의한 치료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도 6b는 헤모글로빈(Hb)(왼쪽 패널) 및 헤마토크릿(Ht)(오른쪽 패널)에 대한 데이터를 나타낸다.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Hb 및 Ht 둘 다 고시폴 및 아포고시폴에 의한 치료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도 2c는 림프구 수(왼쪽 패널) 및 혈소판 수(오른쪽 패널)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하였다.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고시폴은 림프구감소증을 유도하였지만, 아포고시폴은 Balb/c 마우스에서 림프구감소증을 유도하지 않았다.
혈청 화학
대략 500 ㎕의 전체 혈액을 유리 관(황색의 상부; MICROTAINER Brand, Serum Separator Tube, 카탈로그 365956호,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Franklin Lakes, New Jersey 07417-1885)에 수집하고 30분 동안 얼음에서 유지시키고, 이후 12,000 r.p.m(Eppendorf Centrifuge 5415C)에서 2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세포 및 피브린 괴로부터 혈청을 분리하였다. 얻은 혈청 견본을 자동화 혈액 화학 분석기("COBAS MIRA Classic"; Roche, Indianapolis, IN 46250-0414)를 사용하여 분석하여 알라닌 아미노트랜스퍼라제(ALT) 및 아스파테이트 아미노트랜스퍼라제 AST), 혈액 우레아 질소(BUN) 및 크레아티닌을 측정하였다.
도 7은 아포고시폴 또는 고시폴로 치료된 마우스의 반응성 혈액 화학 프로파일을 예시하는 실험 데이터를 제공하였다. (군당 6마리의 마우스) 마우스에 아포고시폴, 고시폴 또는 비히클 대조군을 0.12 mmol/㎏의 1일 용량 QDx5로 3주 동안 경구로 투여하였다.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고시폴은 ALT의 혈청 수치 상승을 유도하였고 아포고시폴은 고시폴보다 덜 간 독성이었다.
초음파 이미지
위 및 장을 또한 GI 독성의 표시인 확장의 증거를 위해 초음파 이미지에 의해 조사하였다. 간단히 말하면, 마우스를 이소플루오란(5%) 및 산소 가스(95%)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마취시키고, Aquagel Lubrication Gel(Parker Laboratories, Inc., Fairfield, New Jersey 07004)을 사용하여 가열된 테이블에서 구속하고, 화학 탈모제(Nair™ Hair Removal, Church & Dwight Co., Inc., Princeton, N.J. 08543)에 의해 복모(abdominal hair)를 제거하였다. 고주파수 프로브를 사용하여 이미지화하기 전에 Aquasonic 100 Ultrasound Transmission Gel(Parker Laboratories, Inc., Fairfield, New Jersey 07004)을 복부에 가하여 가스 및 장 팽창을 평가하였다.
심장 독성
초음파 이미지화 직후, MP150 Biopack System을 사용하여 마취된 마우스의 심전도(ECG) 분석을 수행하였다.
기계학
간, 신장, 비장, 심장, 위, 소장, 대장 및 폐를 비롯한 생명 장기를 z-FIX 용액(COMPANY) 중에 3일 동안 고정하고, 인산염 완충 식염수(PBS) [pH 7.4]로 3회 세정하고, 이후 파라핀 블록 내에 포매하였다. 얇은 절편을 절단하고(0.5 ㎛), 헤마톡실린-에오신(H&E)으로 염색하고, 조직학적 비정상에 대한 광 현미경 관찰에 의해 평가하였다. 또한, 염색되지 않은 절편을 말단 데옥시뉴클레오티딜 트랜스퍼라제 말단 표지(TUNEL) 방법에 의해 분석하여 아폽토시스를 나타내는 DNA 단편화를 갖는 세포를 염색하였다.
비장세포 단리
희생된 마우스로부터 비장을 절제하고 세포 현탁액을 마우스 적혈구 용해 키트(R&D Systems)로 처리하였다. 혈구계산기를 사용하여 트립신 블루 염료 배제 분석에 의해 전체 비장세포 수를 결정하였다. B 림프구의 백분율을 형광 활성화된 세포 분류기(FACS) 분석(FACS-CANTO, Bectin-Dickinson Inc., Mountain View, CA)에 의해 결정하고 이후 세포를 Phyco-Erythrin(PE)-conjugated 항-CD19 또는 항-B220 항체(Becton Dickinson, San Jose, CA. 95131)로 염색하였다.
세포 배양 및 세포독성 연구
비장세포를 10% 소 태아 혈청(Mediatech Inc., Herndon, VA 20171) 및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Mediatech Inc., Herndon, VA 20171)을 포함하는 RPMI 1640배지(Mediatech Inc., Herndon, VA 20171) 중에 1×106개 세포/㎖로 현탁시켰다. RS11846, DOHH2 및 380 세포를 포함하는 인간 B-CLL 세포 및 3개의 B-NHL 세포주를 10% 소 태아 혈청(Mediatech Inc., Herndon, VA 20171) 및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Mediatech Inc., Herndon, VA 20171)을 포함하는 RPMI 1640배지(Mediatech Inc., Herndon, VA 20171) 중에 배양하였다. 세포를 다양한 농도의 고시폴, 아포고시폴 또는 아스코르브산과 함께 1~2일 동안 배양하였다. 아폽토시스 검출 키트(BioVision Inc.)를 사용하여 Annexin V- 및 프로피듐 요오다이드(PI) 표지하고, 염색된 세포를 유세포분석기(FACSort; Bectin-Dickinson, Inc.; Mountain View, CA)에 의해 분석하여 생존 세포의 백분율을 결정하였다. annexin-V-음성 및 PI-음성인 세포는 생존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도 8은 아포고시폴 및 고시폴에 의해 DOHH2, RS11846 및 380을 포함하는 NHL B 세포주의 아폽토시스 유도의 비교를 예시하는 실험 데이터를 제공하였다. DOHH2, RS11846 및 380을 포함하는 NHL B 세포주를 도면에 표시된 바대로 다양한 농도의 고시폴 및 아포고시폴의 부재 및 존재 하에 10% 소 태아 혈청(FBS)을 포함하는 RPMI 배지 중에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48시간 항온처리 후, Annexin V-FITC/PI 아폽토시스 검출 키트(BioVision Inc.)의 사용에 의한 세포 염색 후 FACSort에 의해 생존율(%)을 결정하였다. 생존 세포는 Annexin V-음성, PI-음성 세포에 의해 규정되었다. DOHH2 및 RS11846 세포주는 실험실내 대략 3 μM의 IC50로 고시폴 및 아포고시폴에 약간 더 민감하였지만, 380개의 세포주는 고시폴 및 아포고시폴에 약간 더 저항성이었다. 모든 3개의 NHL B-림프종 세포주에서, 아포고시폴은 고시폴보다 약간 더 강력하였지만, 이의 효능은 거의 비슷하였다.
도 9는 BCL-2 대 BCL-2/TRAF2DN의 형질전환 마우스로부터 배양된 쥐과 B 세포에 대한 고시폴 및 아포고시폴의 활성의 비교를 예시한 실험 데이터를 제공하였다. BCL-2 형질전환 마우스 및 BCL-2/TRAF2DN 마우스로부터 비장 조직을 제거하고, 제조업자의 지침에 따라 마우스 적혈구 용해 키트(R&D Systems)를 사용하여 비장세포를 분리하였다.
비장세포를 도면에 표시된 바대로 다양한 농도의 고시폴 및 아포고시폴의 부재 및 존재 하에 10% 소 태아 혈청(FBS)을 포함하는 RPMI 배지 중에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48시간 항온처리 후, Annexin V-FITC/PI 아폽토시스 검출 키트(BioVision Inc.)의 사용에 의한 세포 염색 후 FACSort에 의해 생존율(%)을 결정하였다. 생존 세포는 Annexin V-음성, PI-음성 세포에 의해 규정되었다. BCL-2 형질전환 마우스에서, 아포고시폴은 아포고시폴에 대해 거의 1~2 μM 대 고시폴에 대해 10 μM의 IC50로 배양된 B 세포에 대해 아폽토시스의 유도에서 고시폴보다 몇 배 더 강력하였다. 반대로, Bcl-2/TRAF2DN 마우스로부터 얻은 쥐과 B 세포는 Bcl-2 형질전환 마우스보다 아포고시폴 및 고시폴 둘 다에 거의 10배 더 내성이었다.
도 10은 배양된 CLL B 세포의 아폽토시스의 아포고시폴 및 고시폴 유도의 비교를 예시한 실험 데이터를 제공하였다. CLL 샘플을 도면에 표시된 바대로 다양한 농도의 고시폴 및 아포고시폴의 부재 및 존재 하에 10% 소 태아 혈청(FBS)을 포함하는 RPMI 배지 중에 37℃에서 5% CO2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48시간 항온처리 후, Annexin V-FITC/PI 아폽토시스 검출 키트(BioVision Inc.)의 사용에 의한 세포 염색 후 FACSort에 의해 생존율(%)을 결정하였다. 생존 세포는 Annexin V-음성, PI-음성 세포에 의해 규정되었다. 아포고시폴은 실험실내 배양된 CLL B 세포에 대해 고시폴보다 대략 3배 더 강력하였다. 2방향 ANOVA 분석에 의해 아포고시폴 군과 고시폴 군(p<0.025) 사이에 아폽토시스 유도에서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도 11a 및 도 11b는 Bcl-2 형질전환 마우스에서 아포고시폴 활성을 예시한 실험 데이터를 제공하였다. 도 11a는 (0.06 mmol/㎏에서의) 저용량 연구의 결과를 나타내고, 도 11b는 (0.12 mmol/㎏에서의) 고용량 연구의 결과를 나타낸다. 효율 연구에 연령 일치 및 성별 일치 BCL-2 형질전환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BCL-2 형질전환 마우스는 자발적으로 시간의 함수로서 비종을 특징으로 하는 저등급 B 세포 림프종을 전개하였다. BCL-2 형질전환 마우스에서, 질환 진행을 2단계로 분할할 수 있고; 1단계에서, 질환은 B6 마우스에서 과발현된 BCL-2로 인한 비장에서 B 세포의 팽창의 결과로서 비종을 특징으로 하고, 2단계에서, 다른 유전적 히트(들)는 급등하여, 벌키한 임파선염 및 비종을 특징으로 하는 림프종 전파를 발생시켰다.
이 연구에서, 이 효율 연구에 1단계에서의 BCL-2 형질전환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비치료된 BCL-2 형질전환 마우스에 의한 별도의 연구에서, 비장의 습윤 중량은 195 ㎎ 내지 335 ㎎ 범위이고, 비장의 습윤 중량은 연령 일치, 성별 일치 BCL-2 형질전환 마우스에서 거의 비슷한 것으로 밝혀졌다. 아스코르브산으로 1:1 몰 비로 안전화된 아포고시폴, 아세트산으로 1:1 몰 비로 안정화된 고시폴 및 비히클 대조군(100% 세서미유 중 아스코르브산)을 연속하여 3주 동안 1일 1회(QDX5) BCL-2 형질전환 마우스에 경구 투여 치료 종료시, BCL-2 형질전환 마우스를 아베르틴(마취제 용액) 0.7 ㎖의 복강내 주사를 통해 희생시키고 비장을 제거하고 중량을 쟀다. 마우스 적혈구 용해 키트(RD Systems)의 사용에 의해 비장세포를 분리하였다. 트립신 블루 절제 분석에 의해 전체 비장세포 수를 결정하였다. B 세포를 CD-5, B 세포 마커로 염색한 후 FACS 분석에 의해 B 세포수(%)를 결정하였다. 반응성 데이터를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하였다.
도 11a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0.06 mmol/㎏의 저용량에서, 고시폴 및 아포고시폴 둘 다 매우 내약성이고, 비장의 습윤 중량 및 비장에서의 B 세포수의 감소에 의해 입증되는 바대로, 비종 수축을 유도하였다. 아포고시폴은 현저한 정도(비장의 습윤 중량에 대해 p<0.03, 비장 B 세포수에 대해 P<0.05)로 비장의 수축을 유도하였지만, 고시폴은 현저하지 않지만 상당한 정도로 비장의 수축을 유도하였다.
도 11b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0.12 mmol/㎏의 고용량에서, 고시폴은 BCL-2 형질전환 마우스에서 내약성이 아니지만, 아포고시폴은 0.12 mmol/㎏의 고용량에서 Bcl-2 형질전환 마우스에서 매우 내약성이었다. 아포고시폴은 현저한 정도(비장의 습윤 중량에 대해 p<0.001, 비장 B 세포수에 대해 P<0.0001)로 비종의 수축을 유도하였다. 연령 일치, 성별 일치 BCL-2 형질전환 마우스를 아포고시폴 치료의 종료시 비장의 수축에 대해 평가하고 비장 크기를 0.12 mmol/㎏의 1일 용량으로 거의 반으로 감소시켰다.
실시예 19
인간 종양 세포에 대한 화합물의 세포독성 활성의 평가
이 실시예는 인간 종양 세포에 대한 고시폴의 효율을 예시한 것이다. 인간 종양 세포에 대한 화합물의 세포독성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MCF7(BCL-2/ BCL-XL의 고발현자) 및 ZR75-l(BCL-2/BCL-XL의 저발현자)의 2개의 유방암 세포주를 사용하여 XTT 염료 감소 분석을 이용하여 이의 생물학적 활성을 시험하였다. 고시폴은 MCF7 및 ZR75-l 세포에 대해 세포독성 물질이어서, 각각 13.2 μM 및 8.4 μM의 IC50 값으로 용량 의존 방식으로 세포 생존율을 감소시켰다. 그러나, 푸르푸로갈린은 잠재적으로 이의 친수성 성질(ClogP-0.7)로 인해 이 분석에서 뚜렷한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관찰과 일치하게, (이의 약 2.5의 ClogP에 기초하여) 더 우수한 세포막 투과성 특성을 갖는 것으로 예상되는 푸르푸로갈린 유도체 5D1은 ZR75-l 세포주(기재하지 않음)에 대해 약 50 μM의 IC50 값으로 세포 생존율을 용량 의존 방식으로 감소시켰다. 따라서, 화합물 흡수에 덜 선택적인 것으로 알려진 HeLa 세포에서 화합물의 세포 활성을 평가하였다. HeLa 세포 생존율 분석에 의해 얻은 억제 데이터는 r = 0.9(p = 0.001)의 상관 계수로 BCL-XL을 갖는 실험실내 결합 데이터와 일치하였다.
Bak-펩타이드와 복합체화된 BCL-XL 배열을 사용하는 Sybyl(TRIPOS)에서 실행되는 FlexX 소프트웨어(Kramer et al., Proteins, 37:228(1999))에 의한 도킹 연구는 복합체 내에 Bak 나선 BH3 펩타이드가 일반적으로 차지하는 깊은 소수성 틈에서 고시폴에 대한 최적 위치를 나타냈다. (-) 고시폴이 세포독성 물질로서 (+) 고시폴보다 10배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준 이전 세포 기반 분석에서 고시폴의 (+) 및 (-) 입체이성체가 상이한 활성을 나타내므로, 이들 둘 다 도킹하였다. 득점 함수에 의해 측정되는 적합도 및 Sybyl의 DOCK 작업에 의한 최소화 후 분자간 에너지는 이러한 관찰과 일치하게 (-) 고시폴(-32.7 Kcal/mol) 대 (+) 고시폴(-25 Kca1/mol)에 대해 상당히 우수하였다. 고시폴의 입체이성체 둘 다의 전체 위치가 매우 유사하였다.
형광 편광 분석( FPA )
LJL Analyst HT(Molecular Devices Co., Sunnyvale, CA)를 사용하여 플루오레세인 표지 Bad 펩타이드(NL W AAQRYGRELRRMSD-K(FITC)-FVD)(Synpep Corporation, Dublin, CA)로 FPA 분석을 수행하였다. 모든 스톡 및 샘플에 대한 희석 완충제는 50 μM Tris-Bis(pH 7.4), 0.01% 소 감마 글로불린이었다. 일련의 2배 희석액의, 즉 희석 완충제 중 100 μM, 50 μM, 0.1 μM의 고시폴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관에 30 nM BCL-XL 및 4 nM 플루오레세인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용액을 첨가하였다. 관을 실온에서 5분 동안 배양하고 각각의 반응 혼합물 20 ㎕를 96웰 검정색 PS, HE 마이크로플레이트(LJL Biosystems Co)에 옮겼다. 블랭크 웰에 고시폴을 넣지 않고 모든 분석을 4회 수행하였다. 이후, 전체 강도에 대해 플레이트를 판독하고 (mP 단위로) 편광을 측정하였다. 화합물과 FITC-BH3 펩타이드 간의 임의의 상호작용을 평가하기 위해 대조군은 단백질의 부재 하에 용량 반응 측정을 포함하였다. 공제에 의해 최종적인 효과가 고려되었다.
NMR 분광학
BCL-XL에 대한 2D [15N, 1H]-TROSY 스펙트럼을 15N 표지 BCL-XL의 0.5 mM 샘플로 측정하였다. 15N 표지 및 비표지 BCL-XL을 제조하고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정제하였다. 화학 이동 맵핑 및 도킹 연구에 대해, Bak 펩타이드(PDB 코드 1BXL)와 복합체화된 BCL-XL의 3차원 구조를 사용하였다. 표지 단백질에 의한 화학 이동 맵핑 이외에, BCL-XL에 대한 연구된 화합물의 결합을 추가로 검정하기 위해 WaterLOGSY 실험과 같은 포화 전이 실험 및 T1p 측정을 또한 수행하였다.
500 MHz Varian Unity+ 분광기 또는 600 MHz Bruker Avance600분광기(둘 다 4개의 rf 채널 및 z축 펄스장 경사가 구비됨)에 의해 모든 실험을 수행하였다. 10 ms 지연으로 떨어진 7 ms 폭의 선택적 IBURP2 펄스의 트레인으로 선택적 물 포화를 수행하였다. 사용된 전체 포화 시간은 2.5 초이었다. 다양한 길이의 스핀-락(spin-lock) 펄스로 T1p 시리즈를 측정하였다. 이후, 10 μM 단백질의 부재 및 존재 하에 100 μM 화합물로 1 ms, 10 ms, 50 ms, 150 ms, 200 ms, 250 ms 및 300 ms 스핀-락 시간으로 측정을 수행하였다. 모든 실험에서, WATERGATE 서열로 잔여 물 신호의 영위상화를 얻었다.
분자 모델링
소프트웨어 팩키지 Sybyl 버전 6.9(TRIPOS)를 갖는 몇몇 R12000 SGI Octane 단말기로 분자 모델링 연구를 수행하였다. Sybyl에서 실행되는 FlexX로 고시폴의 도킹된 구조를 초기에 얻었다. 2회 계산을 수행하였다. 제1 계산에서 모든 결합 자리 비틀림각은 고정된 채 유지되었지만, 제2 계산에서 측쇄 비틀림각은 자유로이 변하였다. 측쇄가 자유로이 회전할 때 30개의 최고의 용액에 대한 평균 득점 함수는 약간 더 낮았다. 모델에서의 측쇄의 위치는 초기 값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았다. (+) 고시폴에 대한 득점 함수는 (-) 고시폴에 대한 것보다 낮았지만, 입체이성체 둘 다의 전체 위치는 매우 유사하였다.
이후, 얻은 최고의 득점 구조는 자리를 단단히 유지시키면서 SYBYL의 통상의 DOCK을 이용하여 에너지 최소화하였다. DOCK 최소화 후 리간드의 에너지는 에너지의 이의 전역 최소점으로부터 5 Kcal/mol 내였다. SYBYL의 통상의 MULTIFIT에 의해 화합물의 중첩을 얻었다. 3차원 구조를 보여주는 컬러 도면을 프로그램 SYBYL 및 MOLMOL로 준비하였다.
암 세포 생존에 대한 화합물의 억제 효과
MCF7 및 ZR75-1 세포주에 의한 XTT 분석을 이용하여 배양액 중의 종양 세포의 생존율에 대한 화합물의 효과를 모니터링하였다. 10-10 M 인슐린, 1 mM 피브르산 나트륨 및 글루타민이 보충된 10% 소 태아 혈청,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을 포함하는 DMEM 중에 MCF7 세포를 배양하였다. HEPES 완충제, 1 mM 피브르산 나트륨 및 글루타민이 보충된 10% 소 태아 혈청,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을 포함하는 RPMI 중에 ZR75-1 세포를 배양하였다. 마이코플라스마 오염에 대해 세포를 규칙적으로 시험하였다. 웰당 1,000개 세포의 초기 세포 밀도로 세포를 3회 시딩하였다. 블랭크 웰에 세포를 넣지 않았다.
고시폴, 푸르푸로갈린 및 5D1을 0, 1, 10 및 100 μM의 최종 농도로 첨가하고 3일 동안 배양하였다. XTT 분석에 의해 생존 세포의 상대 수를 결정하였다. 간단히 말하면, 96웰 플레이트에서, 본 발명자들은 각각의 웰에 0.025 mM PMS(페나진 메토설페이트)를 포함하는 1 ㎎/㎖의 XTT(2,3-비스(2-메톡시-4-니트로소-5-설포페닐)-5-[(페닐아미노)카보닐]-2H-테트라졸륨 하이드록사이드)(Polysciences, Washington, PA)의 혼합물 50 ㎕를 첨가하였다. 96웰 플레이트를 추가로 4시간 동안 재배양하여 XTT 포르마잔을 제조하였다. 이후, 각각의 플레이트의 내용물을 혼합하고 450 ㎚의 파장에서의 광학 밀도(OD450)를 결정하였다. 블랭크 웰의 OD450을 공제한 후 전체 OD450을 결정하였다. 저통과 HeLa 세포(통과수 10 내지 20)를 Lipofectamine Plus 시약(Invitrogen)을 사용하여 pcDNA3-BCL-XL 또는 대조군 pcDNA3 플라스미드로 형질감염시키고 800 ㎍/㎖의 G4l8을 포함하는 배지 중에 선택하였다. 상기 기재된 바대로 BCL-XL의 면역블롯 분석을 수행하였다. HeLa-형질감염물을 다양한 용량의 고시폴, 푸르푸로갈린 및 이의 유도체(0, 1, 3, 10 및 100 μM)로 처리하였다.
화학물질
시그마(고시폴 및 푸르푸로갈린) 및/또는 Microsource Discovery 시스템(푸르푸로갈린 유도체)로부터 순수한 폴리페놀을 얻었다. Chembridge Corp. (San Diego)로부터 기준 화합물을 얻었다. (+) 이성체와 (-) 이성체의 라세미 혼합물로서 고시폴을 시험하였다. 화합물을 100 mM 농도에서의 DMSO 중에 용해시키고 -20℃에서 저장하였다. 결합 및 대체 분석을 위한 추가 희석 전에 품질 관리로서 화합물에서 NMR 분석을 정기적으로 수행하였다. 15N 표지 시험 단백질(XIAP의 BIR3 도메인)로 고시폴의 반응성을 시험하였다. 1 mM 고시폴 및 200 μM N 표지 BIR3을 포함하는 용액을 2시간 동안 배양하고 [15N,1H] 상관 스펙트럼을 기록하고 apo-Bir3의 스펙트럼과 비교하였다. 스펙트럼에서의 뚜렷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표 12에 결과를 요약하였다.
Figure pct00052
실시예 20
최대 허용 용량( MTD )
화합물 8r 100 ㎎/㎏, 75 ㎎/㎏, 50 ㎎/㎏, 25 ㎎/㎏, 12.5 ㎎/㎏ 및 6.25 ㎎/㎏을 복강내로 어린 암컷 Balb/c 마우스(7주령)(용량당 1마리의 마우스)에 주사하고 생존율, 활력 징후, 체중 감소 등에 대해 NCI에서 DTP(Developmental Therapeutics Program)에 의해 제안된 MTD 일반적인 프로토콜을 준수하여 14일 동안 관찰하였다. 화합물 8r을 우선 주사 직전 Cremophore EL 및 식염수가 보충된 100% 에탄올 중에 에탄올:Cremophore EL:식염수 = 10:10:80의 비로 용해시켰다. 연구 종료시, 마우스를 CO2로 안락사시키고, 추가의 조직학적 평가를 위해 생명 장기를 수확하고 실온에서 3일 동안 z-FIX 용액으로 고정하고, PBS 중에 3회 세정하였다.
참고문헌
Figure pct00053
Figure pct00054
Figure pct00055
Figure pct00056
Figure pct00057
본 공개내용이 상기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재되어 있지만, 변형 및 변경이 본 공개내용의 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본 공개내용은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Claims (85)

  1. 하기 구조 A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
    Figure pct00058

    [상기 식 중,
    R은 각각 독립적으로 H, C(O)X, C(O)NHX, NH(CO)X, SO2NHX 또는 NHSO2X이고;
    X는 하이드록실, 알킬, 치환 알킬, 아릴, 치환 아릴, 알킬아릴, 치환 알킬아릴, 헤테로사이클 또는 치환 헤테로사이클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R은 각각 독립적으로 NH(CO)X이고; X는 알킬, 치환 알킬, 아릴, 치환 아릴, 알킬아릴, 치환 알킬아릴, 헤테로사이클 또는 치환 헤테로사이클인 화합물.
  3. 제2항에 있어서, X는 (C1-C6)알킬, 치환 (C1-C6)알킬, (C3-C8)사이클로알킬, 치환 (C3-C8)사이클로알킬, 페닐, 치환 페닐, (C1-C6)알킬아릴 또는 치환 (C1-C6)알킬아릴이고, 치환기는 각각 (C1-C6)알킬, 트리플루오로메틸, 할로겐, 페닐 또는 페녹시인 화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R은 각각 독립적으로
    Figure pct00059

    Figure pct00060

    Figure pct00061

    Figure pct00062
    인 화합물.
  5. 제1항에 있어서, R은 각각 독립적으로 C(O)NHCH2CH(CH3)C6H5인 화합물.
  6. 제1항에 있어서, X는 알킬아릴인 화합물.
  7. 제2항에 있어서, X는 벤질인 화합물.
  8. 제1항에 있어서,
    Figure pct00063
    인 화합물.
  9.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합물 I 내지 XXII인 화합물:
    Figure pct00064

    Figure pct00065

    Figure pct00066

    Figure pct00067

    Figure pct00068

    Figure pct00069

    Figure pct00070

    Figure pct00071

    Figure pct00072

    Figure pct00073

    Figure pct00074

    Figure pct00075

    Figure pct00076

    Figure pct00077

    Figure pct00078

    Figure pct00079

    Figure pct00080

    Figure pct00081

    Figure pct00082

    Figure pct00083

    Figure pct00084

    Figure pct00085
    .
  10. 제7항에 있어서, 하기 화합물 I인 화합물:
    Figure pct00086
    .
  11. 제7항에 있어서, 하기 화합물 XXI인 화합물:
    Figure pct00087
    .
  12. 제7항에 있어서, 하기 화합물 XXII인 화합물:
    Figure pct00088
    .
  13. 치료학적 유효량의 제1항에 따른 구조 A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조합,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게 투여하여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질환 또는 장애는 암인 치료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암은 폐암, 유방암, 전립선암 또는 림프종인 치료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치료는 1종 이상의 BCL-2 패밀리 단백질의 활성 억제를 포함하는 것인 치료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화합물을 항암제와 조합하여 투여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치료 방법.
  18. 치료학적 유효량의 제1항에 따른 구조 A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조합,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피험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1종 이상의 BCL-2 패밀리 단백질 발현 수치 상승을 갖는 피험체에서 암 또는 자가면역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피험체에서의 1종 이상의 BCL-2 패밀리 단백질의 수치를 측정하여 정상 대조군 샘플과 비교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험체가 상기 화합물을 사용하는 치료에 반응성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수치 상승은 피험체가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사용하는 치료에 반응성임을 나타내는 것인 치료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은 피험체로부터 얻은 샘플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치료 방법.
  21. 피험체가 제1항에 따른 구조 A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조합,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사용하는 치료에 반응성인지를 판단하는 방법으로서, 피험체에서 1종 이상의 BCL-2 패밀리 단백질의 수치를 측정하여 정상 대조군 샘플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수치 상승은 피험체가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사용하는 치료에 반응성임을 나타내는 것인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은 피험체로부터 얻은 샘플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샘플은 체액 또는 종양 샘플인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BCL-2 패밀리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또는 폴리펩타이드는 BCL-2, BCL-XL, BCL-W, MCL-1 및 BCL-A1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25. 1종 이상의 BCL-2 패밀리 단백질 구성원의 수치가 대조군 세포에서의 수치보다 높은 세포에서 아폽토시스를 유도하는 방법으로서, 유효량의 제1항에 따른 구조 A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조합,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세포에 투여하여 세포에서 BCL-2 패밀리 단백질(들)의 수치를 감소시키고 아폽토시스를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세포는 암 세포인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암은 폐암, 유방암, 전립선암 또는 림프종인 방법.
  28. 제25항에 있어서, 세포는 면역계의 세포인 방법.
  29. 피험체에서 제1항에 따른 구조 A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조합,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의 투여를 포함하는 치료 요법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에 의한 치료 전과 치료 중의 피험체의 세포에서의 BCL-2 패밀리 단백질의 수치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BCL-2 패밀리 단백질의 수치 감소는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사용하는 치료가 유효성이 있음을 나타내는 것인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피험체는 암을 앓는 것인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암은 폐암, 유방암, 전립선암 또는 림프종인 방법.
  32. 제29항에 있어서, 피험체는 자가면역 질환을 앓는 것인 방법.
  33. 피험체에서 염증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약학적 유효량의 하기 구조 B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게 투여하여 염증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료 방법:
    Figure pct00089

    [상기 식 중,
    R6, R8, R9 및 R10은 각각 수소, 하이드록실, -(C1-C6)알킬, -O(C1-C6)알킬, -(C1-C6)알킬할로, -OC(O)(C1-C6)알킬 또는 할로이고;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6)알킬, -(C3-C8)사이클로알킬, -(C6-C10)아릴 및 -(C1-C6)알킬(C6-C10)아릴, C(O)X, C(O)NHX, NH(CO)X, SO2NHX 및 NHSO2X이고, X는 알킬, 치환 알킬, 아릴, 치환 아릴, 알킬아릴, 치환 알킬아릴, 헤테로사이클 또는 치환 헤테로사이클이다].
  34. 제33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아포고시폴인 치료 방법.
  35. 제33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 아포고시폴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 아포고시폴인 치료 방법.
  36. 제33항에 있어서, R6, R8, R9 및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OH, -OCH3, -CF3, -CH3, -OC2H5, -OC(O)CH3, F, Cl 또는 Br인 치료 방법.
  37. 제33항에 있어서,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tert-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또는 사이클로헥실인 치료 방법.
  38. 제33항에 있어서,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OH, -OCH3, -CF3, -CH3, -OC2H5, -OC(O)CH3, F, Cl 또는 Br인 치료 방법.
  39. 제33항에 있어서, R6, R8 및 R9는 각각 -OC(O)CH3이고, R7은 각각 이소-프로필이고; R10은 각각 -CH3인 치료 방법.
  40. 제33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아포고시폴의 프로드럭인 치료 방법.
  41. 제33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 XXI인 치료 방법:
    Figure pct00090
    .
  42. 제33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 XXII인 치료 방법:
    Figure pct00091
    .
  43. 제33항에 있어서, 피험체는 홍반성 낭창, 건선, 건선성 관절염, 낭창성 신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궤양성 대장염, 중증 근무력증, ITP, TTP, 그레이브스병, 하시모토 갑상선염, 크론씨병,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인슐린 의존 당뇨병, 사구체신염, 류마티스 열, 골관절염, 통풍성 관절염, 피부염, 기관지염, 비염, 천식, 쇼그렌 증후군, 뇌수막염, 부신백질이영양증, CNS 혈관염, 미토콘드리아 근병증,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 알츠하이머병 또는 종양인 병증을 앓는 것인 치료 방법.
  44. 제33항에 있어서, 미토콘드리아 근병증은 MELAS 증후군, MERF 증후군, 레베르병, 베르니케 뇌증, 레트 증후군, 호모시스틴뇨증, 고프롤린혈증, 비케톤성 고글리신혈증, 하이드록시부티릭 아미노산뇨증, 아황산염 산화효소 결핍증 또는 복합계통병(B12 결핍증)인 치료 방법.
  45. 제33항에 있어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를 투여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치료 방법.
  46. 피험체에서 염증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고시폴, 아포고시폴, L-아포고시폴, 아포고시폴의 유도체, 테아플라빈, 테아플라빈-3'-갈레이트, 테아플라바닌, (-) 갈로카테킨-3-갈레이트(GCG), (-)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EGCG), (-) 카테킨-3-갈레이트(CG), (-) 에피카테킨-3-갈레이트(ECG) 또는 푸르푸로갈린의 유도체인 소염제를 이러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게 투여하여 염증을 치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료 방법.
  47. 제46항에 있어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를 투여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치료 방법.
  48. 제46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아포고시폴인 치료 방법.
  49. 제46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 아포고시폴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 아포고시폴인 치료 방법.
  50. 제46항에 있어서, 아포고시폴의 유도체는 하기 구조 B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인 치료 방법:
    Figure pct00092

    [상기 식 중,
    R6, R8, R9 및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실, -(C1-C6)알킬, -O(C1-C6)알킬, -(C1-C6)알킬할로, -OC(O)(C1-C6)알킬 또는 할로이고,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6)알킬, -(C3-C8)사이클로알킬, -(C6-C10)아릴 및 -(C1-C6)알킬(C6-C10)아릴, C(O)X, C(O)NHX, NH(CO)X, SO2NHX 또는 NHSO2X이고, X는 알킬, 치환 알킬, 아릴, 치환 아릴, 알킬아릴, 치환 알킬아릴, 헤테로사이클 또는 치환 헤테로사이클이다].
  51. 제50항에 있어서, R6, R8, R9 및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OH, -OCH3, -CF3, -CH3, -OC2H5, -OC(O)CH3, F, Cl 또는 Br인 치료 방법.
  52. 제50항에 있어서,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tert-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또는 사이클로헥실인 치료 방법.
  53. 제50항에 있어서, R6, R8 및 R9는 각각 -OC(O)CH3이고, R7은 각각 이소-프로필이고; R10은 각각 -CH3인 치료 방법.
  54. 제50항에 있어서, 아포고시폴의 유도체는 하기 화합물 XXI인 치료 방법:
    Figure pct00093
    .
  55. 제50항에 있어서, 아포고시폴의 유도체는 하기 화합물 XXII인 치료 방법:
    Figure pct00094
    .
  56. 제50항에 있어서, 푸르푸로갈린의 유도체는 5D1, 1163 또는 1142인 치료 방법.
  57. 제46항에 있어서, 염증은 홍반성 낭창, 건선, 건선성 관절염, 낭창성 신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궤양성 대장염, 중증 근무력증, ITP, TTP, 그레이브스병, 하시모토 갑상선염, 크론씨병,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인슐린 의존 당뇨병, 사구체신염, 류마티스 열, 골관절염, 통풍성 관절염, 피부염, 기관지염, 비염, 천식, 쇼그렌 증후군, 뇌수막염, 부신백질이영양증, CNS 혈관염, 미토콘드리아 근병증,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 알츠하이머병 또는 종양인 병증과 관련된 염증인 치료 방법.
  58. 제57항에 있어서, 미토콘드리아 근병증은 MELAS 증후군, MERF 증후군, 레베르병, 베르니케 뇌증, 레트 증후군, 호모시스틴뇨증, 고프롤린혈증, 비케톤성 고글리신혈증, 하이드록시부티릭 아미노산뇨증, 아황산염 산화효소 결핍증 또는 복합계통병(B12 결핍증)인 치료 방법.
  59. 치료학적 유효량의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이성체, 또는 이의 조합,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게 투여하여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
  60. 제59항에 있어서, 질환 또는 장애는 암인 치료 방법.
  61. 제60항에 있어서, 암은 폐암, 유방암, 전립선암 또는 림프종인 치료 방법.
  62. 제59항에 있어서, 치료는 1종 이상의 BCL-2 패밀리 단백질의 활성 억제를 포함하는 것인 치료 방법.
  63. 제59항에 있어서, 화합물을 항암제와 조합하여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치료 방법.
  64. 치료학적 유효량의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이성체, 또는 이의 조합,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피험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1종 이상의 BCL-2 패밀리 단백질 발현 수치 상승을 갖는 피험체에서 암 또는 자가면역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65. 제64항에 있어서, 피험체에서의 1종 이상의 BCL-2 패밀리 단백질의 수치를 측정하여 정상 대조군 샘플과 비교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험체가 상기 화합물을 사용하는 치료에 반응성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수치 상승은 피험체가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사용하는 치료에 반응성임을 나타내는 것인 치료 방법.
  66.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은 피험체로부터 얻은 샘플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치료 방법.
  67. 피험체가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이성체, 또는 이의 조합,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사용하는 치료에 반응성인지를 판단하는 방법으로서, 피험체에서 1종 이상의 BCL-2 패밀리 단백질의 수치를 측정하여 정상 대조군 샘플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수치 상승은 피험체가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사용하는 치료에 반응성임을 나타내는 것인 방법.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은 피험체로부터 얻은 샘플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방법.
  69. 제67항에 있어서, 샘플은 체액 또는 종양 샘플인 방법.
  70. 제67항에 있어서, BCL-2 패밀리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또는 폴리펩타이드는 BCL-2, BCL-XL, BCL-W, MCL-1 및 BCL-A1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71. 1종 이상의 BCL-2 패밀리 단백질 구성원의 수치가 대조군 세포에서의 수치보다 높은 세포에서 아폽토시스를 유도하는 방법으로서, 유효량의 제1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조합,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세포에 투여하여 세포에서 BCL-2 패밀리 단백질(들)의 수치를 감소시키고 아폽토시스를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2. 제71항에 있어서, 세포는 암 세포인 방법.
  73. 제72항에 있어서, 암은 폐암, 유방암, 전립선암 또는 림프종인 방법.
  74. 제71항에 있어서, 세포는 면역계의 세포인 방법.
  75. 피험체에서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이성체, 또는 이의 조합,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의 투여를 포함하는 치료 요법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에 의한 치료 전과 치료 중의 피험체의 세포에서의 BCL-2 패밀리 단백질의 수치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BCL-2 패밀리 단백질의 수치 감소는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사용하는 치료가 유효성이 있음을 나타내는 것인 방법.
  76. 제75항에 있어서, 피험체는 암을 앓는 것인 방법.
  77. 제76항에 있어서, 암은 폐암, 유방암, 전립선암 또는 림프종인 방법.
  78. 제75항에 있어서, 피험체는 자가면역 질환을 앓는 것인 방법.
  79. 제59항에 있어서, 피험체는 홍반성 낭창, 건선, 건선성 관절염, 낭창성 신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궤양성 대장염, 중증 근무력증, ITP, TTP, 그레이브스병, 하시모토 갑상선염, 크론씨병,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인슐린 의존 당뇨병, 사구체신염, 류마티스 열, 골관절염, 통풍성 관절염, 피부염, 기관지염, 비염, 천식, 쇼그렌 증후군, 뇌수막염, 부신백질이영양증, CNS 혈관염, 미토콘드리아 근병증,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 알츠하이머병 또는 종양인 병증을 앓는 것인 방법.
  80. 제79항에 있어서, 미토콘드리아 근병증은 MELAS 증후군, MERF 증후군, 레베르병, 베르니케 뇌증, 레트 증후군, 호모시스틴뇨증, 고프롤린혈증, 비케톤성 고글리신혈증, 하이드록시부티릭 아미노산뇨증, 아황산염 산화효소 결핍증 또는 복합계통병(B12 결핍증)인 방법.
  81. 제78항에 있어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를 투여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82. 피험체에서 염증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고시폴, 아포고시폴, L-아포고시폴, 아포고시폴의 유도체 또는 입체이성체, 테아플라빈, 테아플라빈-3'-갈레이트, 테아플라바닌, (-) 갈로카테킨-3-갈레이트(GCG), (-)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EGCG), (-) 카테킨-3-갈레이트(CG), (-) 에피카테킨-3-갈레이트(ECG) 또는 푸르푸로갈린의 유도체인 소염제를 이러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체에게 투여하여 염증을 치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료 방법.
  83. 제82항에 있어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를 투여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치료 방법.
  84. 제82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아포고시폴의 입체이성체인 치료 방법.
  85. 본원에 기재된 아포고시폴의 입체이성체.
KR1020117027167A 2009-04-15 2010-04-14 항아폽토시스 단백질의 나프탈렌계 억제제 KR201200110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968609P 2009-04-15 2009-04-15
US61/169,686 2009-04-15
US25417209P 2009-10-22 2009-10-22
US61/254,172 2009-10-22
PCT/US2010/031113 WO2010120943A1 (en) 2009-04-15 2010-04-14 Naphthalene-based inhibitors of anti-apoptotic protei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042A true KR20120011042A (ko) 2012-02-06

Family

ID=42981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7167A KR20120011042A (ko) 2009-04-15 2010-04-14 항아폽토시스 단백질의 나프탈렌계 억제제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8039668B2 (ko)
EP (1) EP2418942B1 (ko)
JP (1) JP2012524101A (ko)
KR (1) KR20120011042A (ko)
CN (1) CN102395268A (ko)
AU (1) AU2010236416A1 (ko)
BR (1) BRPI1016102A2 (ko)
CA (1) CA2758491A1 (ko)
EA (1) EA201101326A1 (ko)
IL (1) IL215702A0 (ko)
MX (1) MX2011010872A (ko)
SG (1) SG175196A1 (ko)
WO (1) WO2010120943A1 (ko)
ZA (1) ZA20110727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3971A1 (ko) * 2022-06-13 2023-12-2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키나아제 저해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수초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05088B1 (en) * 2007-10-19 2018-02-21 Burnham Institute for Medical Research Naphthalene-based inhibitors of anti-apoptotic proteins
US7956613B2 (en) * 2008-05-02 2011-06-07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Method for imaging acoustically induced rotary saturation with a magnetic resonance imaging system
AU2010236416A1 (en) * 2009-04-15 2011-11-03 Sanford-Burnham Medical Research Institute Naphthalene-based inhibitors of anti-apoptotic proteins
US8487131B2 (en) 2009-04-15 2013-07-16 Sanford-Burnham Medical Research Institute Optically pure apogossypol derivative as pan-active inhibitor of anti-apoptotic B-cell lymphoma/leukemia-2 (BCL-2)
WO2012151544A1 (en) 2011-05-05 2012-11-08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Micelles for the solubilization of gossypol
US9211082B2 (en) 2011-06-30 2015-12-15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Method f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using saturation harmonic induced rotary saturation
ES2733042T3 (es) * 2011-11-07 2019-11-27 Univ California Selección como diana de un nicho de células madre de cáncer quiescentes
WO2015171591A1 (en) 2014-05-05 2015-11-12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Arkansa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HIBITING ANTIAPOPTOTIC Bcl-2 PROTEINS AS ANTI-AGING AGENTS
CA2955972A1 (en) 2014-07-22 2016-01-28 Bioventures,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electively depleting senescent cells
BR112017006593A2 (pt) * 2014-10-02 2017-12-19 Zora Biosciences Oy método para detectar câncer de ovário
US10195213B2 (en) 2015-03-13 2019-02-05 Unity Biotechnology, Inc. Chemical entities that kill senescent cells for use in treating age-related disease
JP6637081B2 (ja) 2015-06-30 2020-01-29 ザ ジレット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The Gillette Company Llc ポリマー刃先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447884B1 (ko) 2016-04-21 2022-09-27 바이오벤처스, 엘엘씨 항-세포자멸적 bcl-2 계열 단백질의 열화를 유도하는 화합물 및 이의 용도
CN106632409B (zh) * 2016-12-19 2018-08-28 江苏度未生物工程科技有限公司 一种阿扑棉酚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抗肿瘤和免疫调节的应用
EP3743069A4 (en) 2018-01-22 2021-06-09 BioVentures, LLC DEGRADER OF BCL-2 PROTEIN FOR CANCER TREATMENT
KR20210099911A (ko) * 2020-02-05 2021-08-13 주식회사 하임바이오 고시폴, 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WO2023107606A1 (en) 2021-12-09 2023-06-15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orporated Bcl-xl/bcl-2 dual degraders for treatment of cancer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9157A (en) 1983-04-21 1985-12-17 Creative Products Resource Associates, Ltd. Cosmetic applicator useful for skin moisturizing
LU84979A1 (fr) 1983-08-30 1985-04-24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ou pharmaceutique sous forme aqueuse ou anhydre dont la phase grasse contient un polyether oligomere et polyethers oligomeres nouveaux
US4820508A (en) 1987-06-23 1989-04-11 Neutrogena Corporation Skin protective composition
US4992478A (en) 1988-04-04 1991-02-12 Warner-Lambert Company Antiinflammatory skin moisturizing composition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US4938949A (en) 1988-09-12 1990-07-03 University Of New York Treatment of damaged bone marrow and dosage units therefor
WO2001068131A1 (en) 2000-03-13 2001-09-20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Blocking leukocyte emigration and inflammation by interfering with cd99/hec2
WO2002040996A2 (en) 2000-11-08 2002-05-23 Mitokor Differential gene expression in specific regions of the brain in neurodegenerative diseases
US7432304B2 (en) 2001-05-30 2008-10-0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Small molecule antagonists of Bcl-2 family proteins
US7563748B2 (en) 2003-06-23 2009-07-21 Cognis Ip Management Gmbh Alcohol alkoxylate carriers for pesticide active ingredients
DE602004012279T3 (de) 2003-06-25 2010-07-15 The Burnham Institute, La Jolla Katecholderivate zur behandlung von krebs
RU2346996C2 (ru) 2004-06-29 2009-02-20 ЮРОПИЭН НИКЕЛЬ ПиЭлСи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ое выщелачивание основных металлов
US20060144723A1 (en) 2004-11-02 2006-07-06 Mary Fuller Device for securing valuables
EP1856083A4 (en) * 2005-03-11 2009-05-27 Univ Michigan CHROMEN-4-ONE INHIBITORS OF ANTI-APOPTOTIC ELEMENTS OF THE BCL-2 FAMILY AND USES THEREOF
US20070149466A1 (en) 2005-07-07 2007-06-28 Michael Milburn Methods and related compositions for treating or preventing obesity, insulin resistance disorders, and mitochondrial-associated disorders
ES2431050T3 (es) * 2005-08-04 2013-11-22 Sirtris Pharmaceuticals, Inc. Benzotiazoles y tiazolopiridinas como moduladores de la sirtuína
EP2205088B1 (en) * 2007-10-19 2018-02-21 Burnham Institute for Medical Research Naphthalene-based inhibitors of anti-apoptotic proteins
AU2010236416A1 (en) * 2009-04-15 2011-11-03 Sanford-Burnham Medical Research Institute Naphthalene-based inhibitors of anti-apoptotic protei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3971A1 (ko) * 2022-06-13 2023-12-2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키나아제 저해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수초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18942A4 (en) 2012-03-28
EP2418942A1 (en) 2012-02-22
SG175196A1 (en) 2011-11-28
US8436207B2 (en) 2013-05-07
MX2011010872A (es) 2012-01-19
WO2010120943A1 (en) 2010-10-21
ZA201107274B (en) 2012-06-26
IL215702A0 (en) 2012-01-31
CN102395268A (zh) 2012-03-28
AU2010236416A1 (en) 2011-11-03
JP2012524101A (ja) 2012-10-11
US8039668B2 (en) 2011-10-18
US20100267781A1 (en) 2010-10-21
BRPI1016102A2 (pt) 2015-09-01
US20120015992A1 (en) 2012-01-19
EA201101326A1 (ru) 2012-05-30
EP2418942B1 (en) 2017-08-23
CA2758491A1 (en) 201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11042A (ko) 항아폽토시스 단백질의 나프탈렌계 억제제
EP2205088B1 (en) Naphthalene-based inhibitors of anti-apoptotic proteins
Wei et al. BI-97C1, an optically pure Apogossypol derivative as pan-active inhibitor of antiapoptotic B-cell lymphoma/leukemia-2 (Bcl-2) family proteins
Wei et al. Apogossypol derivatives as pan-active inhibitors of antiapoptotic B-cell lymphoma/leukemia-2 (Bcl-2) family proteins
US8937193B2 (en) Apogossypolone derivatives as anticancer agents
Tilekar et al. Permuted 2, 4-thiazolidinedione (TZD) analogs as GLUT inhibitors and their in-vitro evaluation in leukemic cells
US20090258914A1 (en) Inhibitor of Anti-Apoptotic Proteins
US20180208570A1 (en) Bis-furan derivatives as transthyretin (ttr) stabilizers and amyloid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familial amyloid polyneuropathy (fap)
US20090124675A1 (en) Inhibitors of anti-apoptotic proteins
US8487131B2 (en) Optically pure apogossypol derivative as pan-active inhibitor of anti-apoptotic B-cell lymphoma/leukemia-2 (BCL-2)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