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8501A - 조작 스위치 및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조작 스위치 및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8501A
KR20120008501A KR1020117024391A KR20117024391A KR20120008501A KR 20120008501 A KR20120008501 A KR 20120008501A KR 1020117024391 A KR1020117024391 A KR 1020117024391A KR 20117024391 A KR20117024391 A KR 20117024391A KR 20120008501 A KR20120008501 A KR 20120008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witch
detection
dome
dome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4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또시 다까모리
노리아끼 도이
미쯔구 우에모또
Original Assignee
오무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무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무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08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5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6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wherein the switch has more than two electrically distinguishable positions, e.g. multi-position push-button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1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with index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H01H2025/043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the operating member being rotatable around wobbling axis for additional switching fun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025/048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separate central push, slide or tumbler button which is not integral with the operating part that surrounds 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5/00Tactile feedback
    • H01H2215/034Separate snap action
    • H01H2215/036Metallic dis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5/00Switch site location
    • H01H2225/018Consecutive oper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46Camer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6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H01H25/065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using separate operating parts, e.g. a push button surrounded by a rotating knob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동작 개시 전의 제1차 신호 출력 기능을 확실하게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는 조작 스위치 및 이 조작 스위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고, 이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때문에, 본원의 조작 스위치는, 표면의 중심 이외의 부위가 압하 조작되면 이 압하 부위가 심입하여 전체가 경사지는 회전 조작체(14)와, 상기 회전 조작체(14)의 이면측에서 상기 중심 이외의 부위에 대응 배치되어 상기 압하를 검지하는 2단 돔 스위치(24)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2단 돔 스위치(24)는, 상기 회전 조작체(14)의 압하 조작에 의한 상기 압하 부위의 심입을 검지하는 제1 검지부와, 이 심입보다 더 깊은 심입을 검지하는 제2 검지부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조작 스위치 및 휴대 단말기{OPERATING SWITCH AND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휴대 전화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나 디지털 카메라 등의 HMI부(Human Machine Interface)에 사용되는 조작 스위치 및 상기 조작 스위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악, 화상 데이터의 검색 등에 사용되는 다방향 입력이 가능한 조작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 기구와 다방향 입력을 검출하는 다방향 입력 장치를 갖는 2단계 스위치 유닛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이 2단계 스위치 유닛은, 회전 검출 기구의 하부에 있는 다방향 입력 장치가, 상하 좌우와 센터의 결정의 5방향을 검출한다. 그 5방향을 검출하는 입력 장치에는, 돔형의 반전 스프링(이후 돔 스위치라고 기재함)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 2단계 스위치 유닛은, 상부에 회전식 JOG를 구비하고, 하부에 돔 스위치를 구비하여, 그 사이 또는 돔 스위치 최하부에 플렉시블 시트(flexible sheet)나 멤브레인 시트를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회전부와 다른 위치의 압박부를 사용하여, 제1차 신호와 제2차 신호의 취득을 공간 절약으로 실현하는 2단 스위치 유닛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2 참조). 이 2단 스위치 유닛은, 제1차 신호를 미리 출력함으로써, 현재 어디가 닿아 있는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 2단 스위치 유닛은, 본래의 신호를 내기 이전에 사전에 기기를 사전 준비시키는 것이나, 기기의 조작성 향상, 소형화, 대기 시간을 줄인다고 하는 기능에 대해서는 고려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전술한 기능을 상기 2단 스위치 유닛으로 실현하려고 하면, 조정의 어려움, 변동, 부품 개수의 증가 등으로 비용이 높아짐과 함께, 유닛이 대형화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특허 문헌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286353호 공보 특허 문헌2: 특허 제03996144호 공보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에 감안하여, 본 동작 개시 전의 제1차 신호 출력 기능을 확실하게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는 소형의 조작 스위치, 및, 상기 소형의 조작 스위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고, 이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표면의 중심 이외의 부위가 압하 조작되면, 상기 압하 부위가 심입(深入)하여 전체가 경사짐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조작체와, 상기 조작체의 이면측에서 상기 중심 이외의 부위에 대응 배치되어 상기 압하를 검지하는 복수의 돔 스위치와, 상기 조작체의 회전을 검지하는 회전 스위치를 갖고, 상기 돔 스위치는, 상기 조작체의 압하 조작에 의한 상기 압하 부위의 심입을 검지하는 제1 검지부와, 상기 심입보다 더 깊은 심입을 검지하는 제2 검지부를 구비한 조작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얕은 심입을 검지하는 제1 검지를 확실하게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는 조작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어, 이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형태로서, 상기 돔 스위치를 피복하는 피복 시트와, 상기 피복 시트에 상기 돔 스위치를 접착하는 접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피복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돔 스위치의 상기 제1 검지부와의 대향 부분을 피해서 설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돔 스위치가 의도하지 않는 곳으로 이동하는 것이나, 돔 스위치의 자세가 의도하지 않게 변화되는 것을 접착에 의해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제1 검지부의 검지 동작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형태로서, 상기 돔 스위치가 수납되는 구멍이 형성된 스페이서 시트를 구비하고, 이 상기 접착부는, 상기 스페이서 시트의 상기 구멍의 주위부와, 상기 돔 스위치의 정점부와 대향하는 부분에 설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돔 스위치 부분에 먼지가 인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약간의 터치를 검지할 수 있을 정도로 제1 검지부에서 검지하는 심입량을 미소하게 해도, 먼지의 인입을 방지함으로써 검지 정밀도를 유지함과 함께, 신뢰성을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형태로서, 상기 제1 검지부와 상기 제2 검지부에 각각 접촉 및 이격하는 복수의 접점을 갖고 상기 제1 검지부의 검지와 상기 제2 검지부의 검지를 전달하는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돔 스위치는, 상기 제1 검지부가 복수 구비됨과 함께, 상기 제1 검지부의 적어도 1개를 대응하는 상기 접점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로는, 상기 제1 검지부의 복수가 상기 각 접점에 접촉했을 때에 제1 검지부의 검지를 전달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조 오차 등에 의해 1개의 제1 검지부가 접점에 상시 접촉하는 상태로 되어도, 나머지의 제1 검지부가 접점에 대하여 접촉 및 이격할 수 있어, 제1 검지를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형태로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제1 검지부가 상기 접점에 접촉하고, 또한 상기 제2 검지부가 상기 접점에 접촉했을 때에 제2 검지부의 검지를 전달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검지부 이외에 제2 검지부도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형태로서, 상기 조작체의 이면측에서 상기 돔 스위치와의 사이에, 상기 조작체를 보유 지지하는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조작체의 중심 이외의 부위가 압하 조작되었을 때에 상기 부위에 대응 배치된 상기 돔 스위치를 압하하도록 심입되고, 또한, 다른 돔 스위치와의 대응 부위의 상기 홀더가 연동해서 심입되어 검지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동 방지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검지를 위한 상기 압하 부위의 심입용의 스트로크가 매우 짧은 구성으로서 민감하게 압하 검지할 수 있도록 해도, 압하하고자 하는 제1 검지부와 다른 제1 검지부가 연동해서 압하 검지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가벼운 압하를 민감하게 검지하고, 또한 압하되어 있지 않은 부위에서의 오검지를 방지하는 것을 양립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형태로서, 상기 홀더는, 상기 조작체의 압하 조작의 힘으로 탄성 변형하는 변형 허용 소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연동 방지 수단은, 상기 변형 허용 소재에 의해 형성된 상기 홀더 중 상기 각 돔 스위치와의 대응 부위 사이에 존재하는 변형 허용부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소재의 변형에 의해 압하 조작의 힘을 다른 제1 검지부에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형태로서, 상기 홀더는, 상기 돔 스위치 사이에 압하 조작의 전달을 방지하는 홈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연동 방지 수단은, 상기 홈 구멍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홀더에 전해지는 압하 조작의 힘을 홈 구멍에서 분단할 수 있고, 압하 조작의 힘을 다른 제1 검지부에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형태로서, 상기 돔 스위치는, 돔 형상으로 형성된 돔 형상부를 갖고, 상기 제1 검지부는, 상기 돔 형상부의 측방에 설치되어 통상은 회로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상기 돔 형상부가 볼록측으로부터 오목측으로 가볍게 압하되면 상기 회로에 접촉해서 통전하는 측방 접촉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 검지부는, 상기 측방 접촉부가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돔 형상부의 볼록측으로부터 오목측으로 더욱 강하게 압하되면 상기 돔 형상부가 요철 반대의 상태로 되어 상기 돔 형상부의 정점 이면측이 회로에 접촉해서 통전하는 정점 이면측 접촉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민감하게 검지하는 제1 검지와, 확실하게 압하된 것을 검지하는 제2 검지를 간단한 구성에 의해 저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형태로서, 상기 압하 조작이 의도하지 않는 충격에 의해 순간 압하되었을 때에 압하 검지하지 않도록 배제하는 순간 압하 검지 배제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용자의 압하라고는 생각할 수 없는 순간적인 압하를 검지 대상으로부터 배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조작 스위치가 설치된 휴대 기기가 이용자의 의도하지 않는 충격에 의해 의도하지 않게 동작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형태로서, 상기 순간 압하 검지 배제 수단은, 상기 제1 검지부에 설치된 접촉부와 회로 사이에 배치된 개재체로 구성되고, 상기 개재체는, 연속적인 부하에 대하여 유연하게 변형하고 순간적인 부하에 대하여 변형하지 않는 소재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속적인 부하에 대하여 유연하게 변형하고 순간적인 부하에 대하여 변형하지 않는 소재는, 예를 들어 저반발 발포 우레탄이나, 통상 부드럽게 충격을 받으면 경화하는 「d3o」라고 불리는 소재로 구성하는 등, 충격 검지를 방지하면서 이용자의 압하를 검지할 수 있게 하는 소재로 구성할 수 있다.
이 형태에 의해, 충격을 이용자의 압하 조작이라고 오검지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형태로서, 상기 순간 압하 검지 배제 수단은, 미리 정한 소정 시간 이하의 통전 검지를 배제하는 전기 회로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전기 회로는, 1㎲ 등의 단시간의 검지를 배제할 수 있는 로우 패스 필터로 구성하는 등, 충격에 의한 신호를 배제할 수 있는 회로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이 형태에 의해, 충격을 이용자의 압하 조작이라고 오검지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작 스위치와, 상기 조작 스위치에 의해 조작 입력된 입력 신호에 따라서 제어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정보 출력을 행하는 출력 수단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수단은, CPU 등 적절한 제어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장치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출력 수단은, 화상 표시를 행하는 표시 장치로 하는 등, 출력을 행하는 적절한 장치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휴대 전화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나 디지털 카메라 등, 휴대 가능한 적절한 단말기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압하의 정도에 따라 2단계로 검지할 수 있는 검지 스위치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1 검지에서 준비 동작을 행하여 제2 검지에서 지시 동작을 실행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1 검지를 확실하게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는 조작 스위치 및 휴대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어, 이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조작 스위치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의 정면도.
도 2는 조작 스위치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조작 스위치를 상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
도 4는 조작 스위치를 하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
도 5는 조작 스위치의 사시 단면도.
도 6은 2단 돔 스위치의 설명도.
도 7은 조작 스위치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8은 홀더와 돔 스위치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9는 조작측 유닛과 검지측 유닛의 사시도.
도 10은 제2 실시예의 홀더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1은 제3 실시예의 홀더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2는 제4 실시예의 조작 버튼을 상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
도 13은 제4 실시예의 조작 버튼을 하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
도 14는 제4 실시예의 조작 버튼의 사시도.
도 15는 제5 실시예의 홀더의 정면도.
도 16은 제6 실시예의 홀더의 정면도.
도 17은 제7 실시예의 2단 돔 스위치와 주변 고정 접점의 설명도.
도 18은 제8 실시예의 조작 스위치를 하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
도 19는 접착 커버 필름 및 스페이서의 확대 분해 사시도.
도 20은 돔 스위치 주변의 접착 구조의 설명도.
도 21은 제9 실시예의 돔 스위치 주변의 접착 구조의 설명도.
도 22는 제10 실시예의 돔 스위치 주변의 접속 구조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23은 제11 실시예의 돔 스위치 주변의 접속 구조를 도시하는 설명도.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이하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조작 스위치(10)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1)의 정면도이다. 디지털 카메라(1)는, 상면 우측에 촬영 개시용의 셔터 버튼(3)이 설치되어 있고, 도시를 생략하는 배면에 카메라 렌즈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디지털 카메라(1)의 정면에는, 표시기(2)가 설치되어 있고, 그 우측 옆에 인접해서 조작 스위치(1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작 스위치(10)는, 디지털 카메라(1)의 촬영 조건 등의 설정용 스위치 및 보존된 사진의 선택용 스위치 등에 사용된다. 조작 스위치(10)의 상방에는, 메뉴 화면 등을 표시기(2)에 표시하기 위한 메뉴 버튼(4)이 설치되고, 조작 스위치(10)의 하방에는, 촬영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재생 버튼(5)이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조작 스위치(1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조작 스위치(10)의 외관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은 조작 스위치(10)를 상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4는 조작 스위치(10)를 하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5는 조작 스위치(10)의 사시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6은 2단 돔 스위치(24)의 설명도를 도시한다.
상기 조작 스위치(10)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부터 회전 조작체(14)와, 인코더용 가동 접점판(15)과, 도전편(16, 17, 18)과, 홀더(19)와, 홀더 연결판(20)과, 압자(21)와, 시트(22)와, 돔 스위치(23, 24)와, 기판(25)과, 베이스(26)를 구비해서 구성된다.
회전 조작체(14)는 합성 수지성의 재료로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원반 형상의 중앙부 축 방향에 압자 삽입 관통 구멍(27)이 관통되어 있고, 환형상의 캡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회전 조작체(14)의 상면에는, 직경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하는 다수의 미끄럼 방지 돌기(28)가 등분 배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 조작체(14)의 하면에는, 환형상의 평면부와, 하향으로 돌출하는 내주 플랜지(29)와 외주 플랜지(30)로 둘러싸인 환형상 오목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환형상 오목부(31)의 내면에는, 복수의 원호형 띠 형상의 돌기부(32)가 둘레 방향으로 등분해서 일정 간격마다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그 내주측에 복수의 작은 축부(33)가 둘레 방향으로 등분해서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내주 플랜지(29)의 외주면에는, 축 방향을 따라서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 오목홈(34)이 둘레 방향으로 등분해서 구비되어 있다. 또한, 압자 삽입 관통 구멍(27)에 상당하는 내주 플랜지(29)의 내주면에는, 회전 조작 감촉용의 요철면(3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요철면(35)은 둘레 방향으로 12개의 요철이 교대로 형성되어 있고, 이 요철이 인코더의 위상 신호와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내주 플랜지(29)의 하단부에는, 홀더(19)를 사이에 끼워서 홀더 연결판(20)에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걸림 돌기(36)가 등분해서 돌출 설치되어 있다. 홀더(19)를 사이에 끼워서 홀더 연결판(20)에 부착된 회전 조작체(14)는, 홀더(19)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조작체(14)의 내면에 형성되는 환형상 오목부(31)에는, 인코더용 가동 접점판(15)이 끼워 맞춰져 부착되고, 내주 플랜지(29)의 하단부에는, 홀더 연결판(20)이 끼워 맞춰져 부착된다.
인코더용 가동 접점판(15)은, 상기 환형상 오목부(31)에 끼워 맞춤 가능한 크기를 갖는 환형상의 도전 금속판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인코더용 가동 접점판(15)의 평면 둘레 방향에는, 인코더 신호 출력용으로, 상기 원호형 띠 형상의 돌기부(32)와 대응시켜 끼워 맞춤 가능한 대략 동일 형상의 개구부(37)가 일정 간격마다 개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개구부(37)의 내주측에는, 상기 축부(33)와 대응시켜 상기 축부(33)와 대략 동일 형상의 축 구멍(38)이 개방되어 있다. 이 축 구멍(38)은, 상기 축부(33)에 끼워 맞춘다. 또한, 인코더용 가동 접점판(15)의 내주면에는, 상기 오목홈(34)과 대응시켜 상기 오목홈(34)과 대략 동일 형상의 내주 볼록부(39)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내주 볼록부(39)는, 상기 오목홈(34)에 끼워 맞춘다.
이에 의해, 인코더용 가동 접점판(15)에 형성한 개구부(37)와 축 구멍(38)과 내주 볼록부(39)를, 회전 조작체(14)의 하면측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부(32)와 축부(33)와 오목홈(34)에 각각 대응시켜 압입하도록 끼워 맞춰서 일체화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의 사시 단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조작체(14)의 하면측에 인코더용 가동 접점판(15)이 끼워 맞춰져 고정된다.
이 경우, 회전 조작체(14)의 하면에 부착된 인코더용 가동 접점판(15)의 하면에 노출되는 평면부가 미끄럼 접촉면(40)(도 4 참조)이 되고, 여기에 후술하는 상부 접촉자(16a, 17a, 18a)(도 3 참조)가 접촉한다. 이 때문에, 미끄럼 접촉면(40)은 평면적으로 요철이 없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인코더용 가동 접점판(15)의 미끄럼 접촉면(40)과, 개구부(37)를 관통하는 돌기부(32)의 선단 노출면이 동일 평면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미끄럼 접촉면(40)에 대한 후술하는 상부 접촉자(16a, 17a, 18a)의 안정된 접촉성을 확보하고 있다.
도전편(16, 17, 18)은, 도전 금속판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중, 공통 도전편(16)은, 기단부에 예를 들어 3개의 부착 구멍(16c)을 갖고 있다. 그리고, 상기 기단부로부터 자유단측에 걸쳐서 2갈래로 갈라지고, 그 중의 한편을, 탄성력을 갖게 해서 상향으로 연장시킨 상부 접촉자(16a)로 하고, 다른 쪽을, 탄성력을 갖게 해서 하향으로 연장시킨 하부 접촉자(16b)로 하고 있다.
제1 도전편(17)은 제1 신호 검출용으로서 설치되고, 상기 공통 도전편(16)과 마찬가지로 기단부에 부착 구멍(17c)을 갖고 있다. 기단부로부터 2갈래로 나뉘어진 자유단측의 한쪽을, 탄성력을 갖게 해서 상향으로 연장시킨 상부 접촉자(17a)로 하고, 다른 쪽을, 탄성력을 갖게 해서 하향으로 연장시킨 하부 접촉자(17b)로 하고 있다.
제2 도전편(18)은 제2 신호 검출용으로서 설치되고, 상기 공통 도전편(16)과 마찬가지로 기단부에 부착 구멍(18c)을 갖고 있다. 기단부로부터 2갈래로 나뉘어진 자유단측의 한쪽을, 탄성력을 갖게 해서 상향으로 연장시킨 상부 접촉자(18a)로 하고, 다른 쪽을, 탄성력을 갖게 해서 하향으로 연장시킨 하부 접촉자(18b)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도전편(16, 17, 18)의 상부 접촉자(16a, 17a, 18a)가, 일정한 탄성력을 가지고 상술한 미끄럼 접촉면(40)에 미끄럼 접촉한다. 또한, 각 도전편(16, 17, 18)의 자유단측은, 내주측과 외주측으로 병렬시켜 길게 연장시키고 있다. 이들 3개의 도전편(16, 17, 18)은, 후술하는 홀더(19)에 보유 지지되어 둘레 방향으로 3등분해서 배치된다.
상기 미끄럼 접촉면(40)의 외주측은 항상 도통해서 일정한 신호가 얻어지는 공통 접촉자측으로 되고, 내주측은 간헐적인 신호가 얻어지는 펄스 신호 출력측이 된다. 이 때문에, 공통 도전편(16)은 외주측이 상부 접촉자(16a)가 되고, 상기 상부 접촉자(16a)가 미끄럼 접촉면(40)의 회전 궤적 상에서 항상 도통하는 공통 접촉자가 된다. 또한, 제1 도전편(17)과 제2 도전편(18)은 내주측이 상부 접촉자(17a, 18a)가 되고, 상기 상부 접촉자(17a, 18a)가 미끄럼 접촉면(40)의 회전 궤적 상에서 각 개구부(37)와 간헐적으로 접촉하고, 로터리 인코더로서의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접촉자가 된다.
또한, 도전편(17, 18)은, 상부 접촉자(17a, 18a)의 자유단측을 다시 2갈래로 나누고 있다. 이에 의해, 분할한 접촉자에 의해 안정된 탄성 작용이 얻어지고, 접점에 접촉하는 경우에 매끄러운 접촉 작용이 얻어진다.
홀더(19)는, POM 수지(POM:폴리옥시메틸렌), ABS 수지(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또는 이들 혼합 수지 등의 연성 재료에 의해, 상기 회전 조작체(14)의 환형상 오목부(31)를 평면적으로 폐쇄 가능한 크기의 환상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홀더(19)는, 후술하는 베이스(26)에 비회전으로 지지되어 있다. 이 홀더(19)의 상면에는, 상기 각 도전편(16, 17, 18)을 끼워 맞추어 고정하기 위한 3개의 돌기(42)가 둘레 방향으로 3등분해서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들 돌기(42)에, 상기 각 도전편(16, 17, 18)의 각 부착 구멍(16c, 17c, 18c)을 끼워 맞춤으로써, 홀더(19)의 상면에 각 도전편(16, 17, 18)이 설치된다. 이에 의해, 상부 접촉자(16a, 17a, 18a)는 접촉에 적합한 비스듬하게 상향으로 연장한 상태로 부착된다. 또한, 홀더(19)의 상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3등분해서 개구된 원호형 띠 형상의 하부 접촉자 삽입 관통 구멍(43, 44, 45)이 개구되어 있다. 상기 하부 접촉자 삽입 관통 구멍(43, 44, 45)에는, 상기 하부 접촉자(16b, 17b, 18b)를 하향으로 삽입 관통시킨다. 이에 의해, 접촉자(16b, 17b, 18b)가 홀더(19)의 하면보다 접촉에 적합한 비스듬하게 하향으로 연장한다.
홀더(19)의 상면 외주측에는, 환형상 평면부(46)(도 3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환형상 평면부(46)는, 회전 조작체(14)의 외주 플랜지(30)의 하단부와 대응한다. 또한, 환형상 평면부(46)의 내주측에는, 환형상으로 돌출하는 환형상 테두리부(47)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환형상 테두리부(47)는, 회전 조작체(14)의 외주 플랜지(30)의 내주면과 대응한다. 마찬가지로 홀더(19)의 상면 내주측에는, 홀더 내주 플랜지(48)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홀더 내주 플랜지(48)는, 회전 조작체(14)의 내주 플랜지(29)의 외주면에 접촉 대응한다. 이에 의해, 회전 조작체(14)와 홀더(19)가 안정하게 대응한다.
또한, 홀더(19)는, 회전 조작체(14)의 하면과 상기 홀더(19)의 상면의 대향면 사이에 형성되는 환형상 오목부(31)(도 4 참조)의 개방면을 평면적으로 폐쇄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상술한 상부 접촉자(16a, 17a, 18a)가 미끄럼 접촉면(40)에 탄성 변위해서 안정하게 접촉하기 위한 폐쇄 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이 폐쇄 공간에 의해, 환형상 오목부(31)에, 원활한 접촉성을 유지시키기 위해서 주입되어 있는 그리스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이 환형상 오목부(31)는, 하방의 베이스(26)측과 압하 스트로크 길이 이상 떨어진 상방의 공간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압하 스트로크로부터 먼지가 침입하기 어려워져, 방진 효과가 높은 접점 구조로 된다.
또한, 홀더(19)의 외주면에는, 외향으로 돌출 설치된 4개의 보유 지지편(49)이 둘레 방향으로 90도마다 배치되어 있다. 상기 보유 지지편(49)은, 후술하는 베이스(26)에 보유 지지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홀더(19)의 하면에는, 압하 돌기(50)가 둘레 방향으로 90도마다 4개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압하 돌기(50)는, 4곳의 압하 위치에 대응해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홀더(19)의 하면 내주측에는, 후술하는 홀더 연결판(20)을 수납하고, 또한, 가이드하는 환형상 수납 오목부(5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19)는, 각 도전편(16, 17, 18)을 보유 지지한 상태에서, 후술하는 홀더 연결판(20)에 의해 회전 조작체(14)에 연결된다.
홀더 연결판(20)(도 4 참조)은, 상기 홀더(19)의 환형상 수납 오목부(51)에 수납 가능한 크기의 금속제의 환형상 원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환형상 원판의 둘레 방향에는, 상기 회전 조작체(14)의 각 걸림 돌기(36)와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걸림 구멍(5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 구멍(52)에, 회전 조작체(14)의 걸림 돌기(36)가 끼워 맞춰져 걸린다. 이 홀더 연결판(20)의 끼워 맞춤 걸림 작용에 의해, 회전 조작체(14), 홀더(19), 홀더 연결판(20)이, 이 순서대로 적층 상태로 연결된다.
또한, 회전 조작체(14)의 중앙부에는, 조작자가 손끝으로 회전 조작체(14)를 회전 조작했을 때에, 그 회전 조작 감촉이 명료하게 얻어지는 감촉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이 감촉 기구는, 회전 조작체(14)의 중앙부에 개구되어 있는 압자 삽입 관통 구멍(27)과, 여기에 삽입 관통되는 후술하는 압자(21)로 구성된다.
상술한 압자(21)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합성 수지성의 재료에 의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회전 조작체(14)의 압자 삽입 관통 구멍(27)에 삽입 관통된다. 그 원기둥 형상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에는, 가로 구멍(5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로 구멍(53)에는, 압자(21)의 내부로부터 외향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54)과, 상기 코일 스프링(54)의 양단부에 대향 설치되는 구체(55)가 개재된다.
이에 의해, 압자(21)를 회전 조작체(14)의 압자 삽입 관통 구멍(27)에 삽입 관통시켜 부착했을 때, 코일 스프링(54)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구체(55)가 압자 삽입 관통 구멍(27)의 회전 조작 감촉용의 요철면(35)과 대응하고, 상기 구체(55)가 회전 조작체(14)에 대하여 일정한 가압력을 부여한다. 이 가압력에 의해, 회전 조작체(14)를 돌려서 압하 조작 위치에 회전 조작할 때에, 그 때마다, 구체(55)가 요철면(35)을 따라 진퇴하여, 가압력이 변화된다. 이 때문에, 회전 조작체(14)의 회전 저항이 변화되고, 명료한 클릭감이 얻어진다. 또한 이 경우, 가로 구멍(53)의 내부에 코일 스프링(54) 및 구체(55)를 개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압자(21)의 배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가로 구멍(53)의 관통 위치에 대하여, 둘레 방향으로 90도 상이한 압자(21)의 외주면 양측에는, 상기 압자(21)의 하단부 및 외주면을 개방면으로 하는 승강 가이드용의 오목부(56)가 축 방향에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56)가, 후술하는 베이스(26)의 압자 가이드편(74)에 의해 압하 방향으로 가이드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압자(21)의 하면 중앙에는, 압하 위치에 대응해서 압하 돌기(57)가 돌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압하 돌기(57)가 후술하는 돔 스위치 유닛(58)의 중앙 스위치 S1(도 3 참조)를 압하한다.
상기 홀더(19)의 하방에는 압하 스트로크 공간(19B)(도 5 참조)을 사이에 두고 돔 스위치 유닛(58)이 대향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돔 스위치 유닛(58)은, 시트(22), 돔 스위치(23, 24), 기판(25)을 이 순서대로 적층해서 일체화한 것이다. 하층의 기판(25)을 베이스(26)의 상면에 부착함으로써, 베이스(26)의 상면에 돔 스위치 유닛(58)이 탑재된다.
기판(25)은, 프린트 배선 기판이며, 중앙부에 중앙 고정 접점(60)(60a, 60b)을 갖고, 그 주변의 4곳에 주변 고정 접점(61)(61a, 61b, 61c)을 갖고 있다. 또한, 주변 고정 접점(61)과 겹치지 않는 둘레 방향에는, 공통 고정 접점(59a)과 제1 고정 접점(59b)과 제2 고정 접점(59c)이 3등분해서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1개의 중앙 고정 접점(60)에 대응시켜 1단 돔 스위치(23)를 탑재하고, 4개의 주변 고정 접점(61)에 대응시켜 2단 돔 스위치(24)를 탑재하고, 이들 상면을 시트(22)로 덮어서 기판(25)의 정위치에 돔 스위치(23, 24)가 움직이지 않도록 부착하고 있다. 이에 의해, 압자(21)가 압하되는 압하 위치에 대응하도록 설치되는 중앙 스위치 S1과, 회전 조작체(14)가 압하되는 각 압하 위치에 대응하도록 설치되는 4개의 주변 스위치 S2가 구성된다.
2단 돔 스위치(24)는, 도 6의 (A)의 정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원형의 외주 4개소를 절결한 형상을 갖고 있고, 외주에 2개의 커먼 접점(24b)과 2개의 제1 접점(24c)이 설치되고, 중앙에 제2 접점(24a)이 설치되어 있다. 2개의 커먼 접점(24b)은, 중앙에 제2 접점(24a)을 끼워서 대칭으로 대향 배치되어 있다. 2개의 제1 접점(24c)은, 중앙에 제2 접점(24a)을 끼워서 대칭으로 대향 배치되어 있다. 이 2개의 커먼 접점(24b)과 2개의 제1 접점(24c)은, 90도씩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2단 돔 스위치(24)의 제2 접점(24a)이 설치되어 있는 중앙의 만곡 부분은, 반전 스프링으로서 기능한다. 이 때문에, 2단 돔 스위치(24)의 정점이 소정 스트로크 압하되면, 그 주위의 만곡 부분이 반전 스프링으로 되어 요철 교체되고, 제2 접점(24a)이 그 아래의 제2 접점(61a)(도 3 참조)에 접촉한다.
상세하게 기술하면, 도 6의 (A)의 A-A 단면을 도시하는 도 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단 돔 스위치(24)는, 중앙의 제2 접점(24a)이 정점이 되고, 2개의 커먼 접점(24b)이 하단부에 위치하고, 또한, 상시 접점(61b)(도 3 참조)에 상시 접촉한다.
그리고, 압하 조작되어 있지 않은 통상 상태일 때, 도 6의 (B)의 B-B 부분의 확대도를 도시하는 도 6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제1 접점(24c)은, 제1 접점(61c)과 약간의 간극(클리어런스)을 두고 이격하고 있다.
또한, 중앙의 제2 접점(24a)은, 압하 조작되어 있지 않은 통상 상태일 때, 제2 접점(61a)과 충분한 간극(클리어런스)을 두고 이격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1단 돔 스위치(23)는, 중앙의 접점(23a)이 정점이 되고, 2개의 커먼 접점(23b)이 하단부에 위치하고, 또한, 상시 접점(60b)에 상시 접촉한다. 접점(23a)은, 압하 조작되어 있지 않은 통상 상태일 때, 접점(60a)으로부터 충분한 간극(클리어런스)을 두고 이격하고 있다.
베이스(26)는, 회전 조작체(14)보다 조금 큰 금속 원판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26)의 중앙부에는, 상기 압자(21)의 양측 오목부(56)에 결합 가능한 압자 가이드편(74)이 저면보다 기립 돌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26)와 대응하는 상방의 기판(25) 및 시트(22)에는, 상기 압자 가이드편(74)과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하는 퇴피구(64, 65)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압자 가이드편(74)의 기립 돌출 설치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공통 고정 접점(59a)과 제1 고정 접점(59b)과 제2 고정 접점(59c)에 대해서도, 이들이 상방을 향해서 노출하도록, 시트(22)에 퇴피구(66)가 설치되어, 하부 접촉자(16b, 17b, 18b)와의 접촉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26)의 외주측에는, 그 4곳의 저면보다 역 오목 형상의 승강 가이드편(77)이 기립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승강 가이드편(77)은, 그 역 오목형 내에, 상술한 상기 홀더(19)의 보유 지지편(49)을 결합시키고 있다. 이에 의해, 압하 스트로크 길이를 승강할 수 있다. 이 4곳의 승강 가이드편(77)에 보유 지지편(49)이 각각 결합 보유 지지됨으로써, 홀더(19)에 보유 지지되는 최상부의 회전 조작체(14)는, 압하 시에 압하된 방향에 대응해서 틸팅한다. 따라서, 회전 조작체(14)는, 회전 조작체(14) 전체적으로는 약간 틸팅함으로써, 틸팅에 의해 일정한 압하 스트로크량만큼 심입한 부분이 주변 스위치 S2를 압하하고, 스위치로서 기능한다.
도 7은, 이와 같이 구성된 조작 스위치(10)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1)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디지털 카메라(1)는, 제어부(82)에 접속하여, 로우 패스 필터(81), 조작 버튼(3, 4, 5), 전원부(86), 표시기(2), 플래시(83), 카메라부(84), 및 기억부(85)가 설치되어 있다.
로우 패스 필터(81)에는, 조작 스위치(10)이 접속되어 있다. 이 로우 패스 필터(81)는, 조작 스위치(10)의 1단 돔 스위치(23)나 2단 돔 스위치(24)로부터 순간적인 통전(예를 들어 1㎲ 이하)에 의한 신호를 수취한 경우에, 이 신호를 컷트해서 검지하지 않도록 하고, 그 이상 긴 시간의 통전에 의한 신호만을 제어부(82)에 전달한다. 이에 의해, 충돌 등에 의해 조작 스위치(10)가 순간적으로 압하 조작된 경우에 오동작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조작 버튼(3, 4, 5)(도 1에 도시한 셔터 버튼(3), 메뉴 버튼(4), 재생 버튼(5))은, 사용자에 압하 조작된 압하 신호를 제어부(82)에 전달한다.
전원부(86)는, 각 부에 전력을 공급한다.
표시기(2)는, 제어부(82)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화상을 표시한다. 이 화상에는, 카메라부(84)에서 촬영하고 있는 화상이나, 촬영해서 기억부(85)에 보존한 화상, 혹은 메뉴 화상 등을 들 수 있다.
플래시(83)는, 제어부(82)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스트로보 발광한다.
카메라부(84)는, 제어부(82)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촬영하고, 촬영 화상을 제어부(82)에 전달한다.
기억부(85)는, 제어부(82)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데이터의 읽고 쓰기를 행한다. 이 데이터에는, 카메라부(84)에서 촬영된 촬영 화상 데이터, 및 메뉴 화면 등을 표시하는 프로그램 등, 적절한 데이터로 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1)는, 조작 스위치(10)나 조작 버튼(3, 4, 5)의 조작에 따라서 동작하고, 플래시(83)에 의한 조명, 카메라부(84)에 의한 촬영, 표시기(2)에의 촬영 화상의 표시 등, 촬영에 필요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다음에, 디지털 카메라(1)를 사용하는 이용자에 의해 조작 스위치(10)가 조작되었을 때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8은, 홀더(19)와 돔 스위치(23, 24)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며, 도 9는, 조작 스위치(10)를 조작측 유닛 U1과 검지측 유닛 U2로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조작측 유닛 U1은, 회전 조작체(14), 도전편(16, 17, 18)(도 3 참조), 홀더(19), 및 압자(2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검지측 유닛 U2는, 돔 스위치 유닛(58), 및 베이스(2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조작 스위치(10)가 압하 대기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도 3, 도 4에 도시한 돔 스위치 유닛(58)에 구비되어 있는 5개의 돔 스위치(23, 24)가 반원형의 돔형을 갖고, 그 중앙의 높은 부분이 각 압하 돌기(50, 57)의 하단부와 대향하고 있다. 이들 돔 스위치(23, 24)는 상방으로부터의 압하력에 대응해서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위하고, 압하력을 받았을 때에 오목해지고, 압하력이 개방되면 복귀하며, 원래의 높이 위치로 되돌아오면 돔형으로 되어, 다음의 압하에 대비된다. 또한, 돔 스위치(23, 24)와 대응하는 기판(25)의 고정 접점은, 압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비 도통으로 검지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도 9에 화살표 Y3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자(21)가 압하 조작된 경우에는, 그 압하력을 받아서 압자(21)가 압하 스트로크 분만큼 심입하여, 중앙의 1단 돔 스위치(23)를 누른다. 그리고, 상기 1단 돔 스위치(23)가, 그 압하 방향의 중앙 고정 접점(60)에 평면적으로 접촉해서 도통시키고, 중앙 고정 접점(60)로부터의 중앙 압하 신호를 출력시킨다. 그리고, 압자(21)의 압하력을 개방하면, 1단 돔 스위치(23)가 탄성 복귀하여, 압하 돌기(57)를 통해서 압자(21)를 상향으로 밀어 올려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또한, 도 9에 화살표 Y1(Y1a 내지 Y1d)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조작체(14)가 압하 조작된 경우에는, 그 압하 조작된 특정 위치(Y1a 내지 Y1d)에서의 압하력을 받는다. 화살표 Y1(Y1a 내지 Y1d)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1단계 압하된 상태로 되면, 회전 조작체(14)는 압하 돌기(50)(도 8)를 통해서 특정 위치에 대응하는 2단 돔 스위치(24)를 누르고, 상기 2단 돔 스위치(24)의 제1 접점(24c)이, 그 압하 방향의 제1 접점(61c)에 평면적으로 접촉해서 도통시키고, 상기 제1 접점(61c)으로부터의 제1 신호를 출력시킨다.
여기서, 압하 전의 제1 접점(24c)과 제1 접점(61c)의 간극이 매우 작기 때문에, 회전 조작체(14)를 가볍게 압하하기만 하면 제1 접점(24c)과 제1 접점(61c)이 접촉, 도통하여, 제1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홀더(19)가 연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조작체(14)의 일부가 압하될 때에 홀더(19)가 만곡해서 변형한다. 이 때문에, 압하된 부분의 압하 돌기(50)가 확실하게 하방으로 심입되면서도, 그 90도 이웃에 있는 다른 압하 돌기(50)가 영향을 받아서 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각 압하 돌기(50, 50) 사이에는 홀더(19)를 형성하는 연성 재료의 영역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이 영역이 변형해서 이웃하는 압하 돌기(50)까지 압하력이 전달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검지한 제1 신호는, 상술한 로우 패스 필터(81) 너머로 제어부(82)에 전달되기 때문에, 충돌에 의한 순간적인 신호이면 동작 신호로 되지 않도록 컷트된다.
제1 신호를 받은 제어부(82)는, 준비 동작을 실행한다. 이 준비 동작은, 예를 들어 표시기(2)의 표시를 소거한 대기 상태로부터, 표시기(2)에 카메라부(84)로부터의 촬영 화상을 리얼타임 표시하는 촬영 대기 준비 상태로 이행하거나, 혹은, 예를 들어, 표시기(2)에 메뉴 화면을 표시해서 상기 메뉴 화면 중 압하 조작된 제1 접점(24c)에 대응하는 코맨드 부분을 점멸 등에 의해 알 수 있도록 표시하는 등, 적절한 동작으로 할 수 있다.
도 9의 화살표 Y2(Y2a 내지 Y2d)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조작체(14)가 더욱 강하게 압하되면, 제1 접점(24c)이 제1 접점(61c)에 접촉한 상태 그대로, 2단 돔 스위치(24)의 정점이 되는 제2 접점(24a) 부분이 하방으로 눌려져, 이 제2 접점(24a)이 요철 반대로 되고, 제2 접점(24a)가 제2 접점(61a)에 접촉, 도통하여, 제2 신호를 출력한다.
이 제2 신호는, 상술한 로우 패스 필터(81) 너머로 제어부(82)에 전달되기 때문에, 충돌에 의한 순간적인 신호이면 동작 신호로 되지 않도록 컷트된다.
제2 신호를 받은 제어부(82)는, 지시된 동작을 실행한다. 이 지시된 동작은, 예를 들어, 표시기(2)에 표시하고 있는 재생 화상을 순차 전환하는, 플래시의 유무나 화이트 밸런스 등의 촬영 모드를 전환하는, 시각 설정 등의 설정 조작을 행하는 등, 적절한 동작으로 할 수 있다.
그 후, 이용자에 의한 회전 조작체(14)의 압하력이 개방되면, 2단 돔 스위치(24)가 탄성 복귀하고, 압하 돌기(50)를 통해서 홀더(19)를 상향으로 밀어 올린다. 이에 의해, 회전 조작체(14)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또한, 회전 조작체(14)를 회전 조작한 경우, 이 회전 조작체(14)에 내장된 인코더용 가동 접점판(15)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인코더용 가동 접점판(15)의 미끄럼 접촉면(40)에, 홀더(19)에 고정되어 있는 비회전의 상부 접촉자(16a, 17a, 18a)가 접촉해서 로터리 인코더로서의 위상 신호를 검출한다. 또한, 이 미끄럼 접촉면(40)은 동일 평면에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미끄럼 접촉면(40)에 대한 상부 접촉자(16a, 17a, 18a)의 안정된 접촉성을 확보하고 있다.
한편, 공통 고정 접점(59a)과 제1 고정 접점(59b)과 제2 고정 접점(59c)을 구비한 기판(25)에 대해서는, 하부 접촉자(16b, 17b, 18b)가 모두 비회전으로 항상 접촉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의해, 상부 접촉자(16a, 17a, 18a)로부터 얻어지는 신호에 의해 회전 조작체(14)가 회전 조작된 위치, 회전 방향, 회전 속도의 신호가 검출된다. 또한, 회전 조작체(14)가 회전 조작되었을 때에는, 압자(21)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54)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구체(55)가 압자 삽입 관통 구멍(27)의 회전 조작 감촉용의 요철면(35)과 대응하고, 회전 조작체(14)에 대하여 일정한 가압력을 부여해서 회전 저항을 부여한다. 이 때문에, 회전 조작체(14)를 30도씩 돌릴 때마다 클릭감이 얻어지고, 회전 조작한 것이 조작자의 손에 명료하게 전달된다. 또한 이 때, 전술한 감촉 기구의 회전 조작 감촉 부분과 접점 부분은 격리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의 소모분에 의해 접점 부분이 악영향을 받는 일은 없다.
이상의 구성 및 동작에 의해, 본 동작 개시 전의 제1 신호의 출력 기능을 확실하게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는 조작 스위치(10)를 제공할 수 있고, 이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홀더(19)는, 연성 소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신호의 검지를 위한 스트로크로 되는 제1 접점(24c)과 제1 접점(61c)의 클리어런스를 매우 작게 하고, 민감하게 압하 검지할 수 있게 해도, 압하하고자 하는 제1 접점(24c)과 다른 제1 접점(24c)이 연동해서 압하 검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가벼운 압하를 민감하게 검지하고, 또한, 압하되어 있지 않은 부위에서의 오검지를 방지하는 것을 양립시킬 수 있다.
또한, 5방향의 입력 장치로 되는 돔 스위치(23, 24) 중, 센터를 제외한 4방향의 2단 돔 스위치(24)를, 종래의 단순한 원형이나 소판(타원)형이 아니고, 제1 접점(24c)과 커먼 접점(24b)을 갖는 특수한 형상으로 하였다. 이 때문에, 종래와 같이 플렉시블 시트나 멤브레인 시트로 이루어지는 감압부를 개재시킬 필요가 없어, 저렴하고, 신뢰성이 높은, 제1 신호의 출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1개의 2단 돔 스위치(24)에 의해 압하의 강도가 다른 제1 신호와 제2 신호를 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압하 조작 시의 작용점을, 2단 돔 스위치(24)의 정점과 압하 돌기(50)의 접촉부만의 1개소로 할 수 있어, 안정된 동작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2단 돔 스위치(24)는, 제1 신호를 출력할 때까지는, 압하 조작에 저항하는 탄성력이 2개소의 커먼 접점(24b)에 유래하는 것뿐이기 때문에, 가벼운 압하력으로 용이하게 스위치 ON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신호의 출력 후에 제2 신호를 출력할 때까지는, 압하 조작에 저항하는 탄성력이, 2개의 커먼 접점(24b)과 2개의 제1 접점(24c)에 유래하는 상태로 되어 강해진다. 이 때문에, 확실하게 압하하지 않으면 스위치 ON으로 안되어, 이용자는 제1 신호에 필요로 하는 압하력과 제2 신호에 필요로 하는 압하력의 차를 명료하게 인식하여, 구분지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로우 패스 필터(81)에 의해 충격에 의한 스위치 ON을 배제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의도하지 않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1 신호가 검지되었을 때에 준비 동작을 실행하는 구성이어도, 충격이면 준비 동작을 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디지털 카메라(1)의 전원부(86)의 배터리가 소모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작 스위치(10)는, 중앙 방향의 1단 돔 스위치(23)와 4방향의 2단 돔 스위치(24)에 의해 5방향 스위치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조작 스위치(10)는, 인코더용 가동 접점판(15)과 도전편(16, 17, 18)에 의해 회전 스위치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회전식 JOG/다방향 입력 복합 스위치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회전식 JOG/다방향 입력 복합 스위치로서 기능하기 위해서 조작 스위치(10)가 평면에서 보아 원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다방향 입력의 위치(2단 돔 스위치(24)의 위치)를 조작 스위치(10)의 형상으로부터는 알지 못하도록 되어 있어서, 어느 회전 위치에서도 다방향 입력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용자는 입력하고자 하는 방향을 용이하게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다. 즉, 이용자가 조작 스위치(10)의 형상으로부터 압하할 위치를 정확하게는 알지 못하여, 조금 어긋난 위치를 압하해도, 민감하게 반응하는 2단 돔 스위치(24)는, 이용자가 의도한 방향(위치)의 것을 최초로 압하 검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이용자가 의도한 방향을 용이하게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다음에,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홀더(19)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제2 실시예의 홀더(19A)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홀더(19A)에는, 90도마다 균등 배치된 압하 돌기(50)의 각각의 사이에, 홈 구멍(41a)이 설치되어 있다. 이 홈 구멍(41a)은, 압하 돌기(50)의 측방 위치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신장되어 외주로 뚫고 나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홀더(19A)는, 제1 실시예와 달리, 합성 수지성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도,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홀더(19A)는 제1 실시예보다도 단단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지만, 압하 조작되어 1개의 압하 돌기(50)가 심입될 때의 힘은, 홈 구멍(41a)에 의해 분단되어, 이웃하는 압하 돌기(50)가 연동해서 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또한 제3 실시예으로서, 제1 실시예의 홀더(19)를 도 11의 정면도에 도시하는 홀더(19B)로 해도 된다.
이 홀더(19B)도,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합성 수지성의 재료로 형성되고, 90 도마다 균등 배치된 압하 돌기(50)의 각각의 사이에, 홈 구멍(41b)이 설치되어 있다. 이 홈 구멍(41b)은, 압하 돌기(50)의 측방 위치로부터 외주를 향해서 반경 방향으로 신장하고 있지만, 외주까지는 뚫고 나가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도 제2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제4 실시예
다음에, 제4 실시예에서 설명한 조작 버튼(10)과 회전 검지의 방법을 상이하게 한 제4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제4 실시예의 조작 버튼(110)을 상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3은 조작 버튼(110)을 하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4는 조작 버튼(11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 제4 실시예의 조작 버튼(110)은, 비접촉식으로 회전 검지를 행하는 것이며, 커버체(191)와, 회전 조작체(114)와, 자성 회전체(192)와, 홀더 연결판(120)과, 미끄럼 이동 링(194)과, 홀더(119)와, 압자(121)와, 시트(122A)와, 시트(122B)와, 1단 돔 스위치(123)와, 2단 돔 스위치(124)와, 기판(125)과, 베이스(126)가 이 순서대로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자성 회전체(192)는, 회전 조작체(114)의 이면의 원형 홈(114a)에 끼워 맞춰져 일체화된다. 자성 회전체(192)의 외주에 설치된 볼록부(192a)는, 회전 조작체(114)의 오목부(114b)에 끼워 맞추고, 이에 의해 회전 조작체(114)와 자성 회전체(192)가 일체로 되어 회전 동작한다.
홀더(119)에는, 미끄럼 이동 링(194)이 접촉되고, 또한 홀더 연결판(120)이 탑재된다. 이 홀더 연결판(120)의 걸림 구멍(120a)에는, 홀더(119)의 걸림 돌기(119a)가 삽입 관통되어 걸린다. 이 홀더(119)는, 제1 실시예의 홀더(19)와 마찬가지로 연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홀더(119)에는, 회전 조작체(114)가 회전 가능하게 탑재되고, 이 회전 조작체(114)를 사이에 끼우도록 해서 커버체(191)가 장착된다. 커버체(191)의 하면에 설치된 걸림 돌기(191a)는, 홀더(119)에 설치된 걸림 홈(119b)에 비회전으로 걸린다.
커버체(191)의 중앙에 설치된 구멍(191b)에는, 압자(121)가 삽입 관통되고, 상기 압자(121)의 선단이 상방으로 돌출한다. 지금까지의 커버체(191), 회전 조작체(114), 자성 회전체(192), 홀더 연결판(120), 미끄럼 이동 링(194), 홀더(119), 및 압자(121)에 의해, 조작측 유닛 U101이 형성된다.
베이스(126)의 상면에는, 기판(125)이 탑재된다. 이 기판(125)에는, 제1 실시예와 달리, 홀 소자(199)가 2개 설치되어 있다. 이 기판(125)에 1단 돔 스위치(123) 및 2단 돔 스위치(124)가 탑재되어, 시트(122A, 122B)로 피복된다. 지금까지의 베이스(126), 기판(125), 1단 돔 스위치(123), 2단 돔 스위치(124), 및 시트(122A, 122B)에 의해, 검지측 유닛 U102가 형성된다.
이 검지측 유닛 U102에는, 베이스(126)에 설치된 승강 가이드편(126a)에 홀더(119)의 보유 지지편(119c)이 부착되어, 조작측 유닛 U101이 틸팅 가능하게 장착되고, 도 14의 사시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스위치(110)가 완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조작 스위치(110)의 상세한 구성 및 동작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며, 회전 조작체(114)의 회전 검지의 방법만이 상이하다. 즉, 회전 조작체(114)가 회전 조작되면, 자성 회전체(192)도 동시에 회전한다. 이 자성 회전체(192)는, 자성이 NS 교대로 교체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 자성의 교체를 2개의 홀 소자(199)에 의해 검출한다. 이에 의해, 회전 방향이나 회전 속도를 검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1단 돔 스위치(123) 및 2단 돔 스위치(124)를 포함시키고, 그 밖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도,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5 실시예
다음에, 제4 실시예에서 설명한 홀더(119)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제5 실시예의 홀더(119A)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홀더(119A)에는, 90도마다 균등 배치된 압하 돌기(150)의 각각의 사이에, 홈 구멍(141a)이 설치되어 있다. 이 홈 구멍(141a)은, 압하 돌기(150)의 측방 위치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신장되어 외주로 뚫고 나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홀더(119A)는, 제4 실시예와 달리, 합성 수지성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제4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도, 제4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홀더(119A)는 제4 실시예보다도 단단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지만, 압하 조작되어 1개의 압하 돌기(150)가 심입될 때의 힘은, 홈 구멍(141a)에 의해 분단되어, 이웃하는 압하 돌기(150)가 연동해서 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6 실시예
또한 제6 실시예으로서, 제4 실시예의 홀더(119)를 도 16의 정면도에 도시하는 홀더(119B)로 해도 된다.
이 홀더(119B)도, 제5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합성 수지성의 재료로 형성되고, 90 도마다 균등 배치된 압하 돌기(150)의 각각의 사이에, 홈 구멍(141b)이 설치되어 있다. 이 홈 구멍(141b)은, 압하 돌기(50)의 측방 위치로부터 외주를 향해서 반경 방향으로 신장하고 있지만, 외주까지는 뚫고 나가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도 제5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제7 실시예
상술한 각 실시예는, 로우 패스 필터(81)에 의해 충격에 의한 신호를 배제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완충재 K에 의해 충격에 의한 신호를 배제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17의 (A)은 2단 돔 스위치(24)와 주변 고정 접점(61)(61a, 61b, 61c)의 주변을 도시하는 일부 단면 확대 사시도이다.
2단 돔 스위치(24)의 제1 접점(24c)과 제1 접점(61c) 사이에는, ㄷ자형의 완충재 K가 끼워진 상태로 되어, 도 1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된다.
도 17의 (C)의 C-C 화살표 단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완충재 K는, 제1 접점(24c)과 제1 접점(61c)의 간극에 끼워져 있고, ㄷ자형의 2개의 족부 Ka가 제1 접점(24c)에 접촉하고 있다.
완충재 K는, 예를 들어, 저반발 발포 우레탄이나, 통상 부드럽게 충격을 받으면 경화하는 「d3o」라고 불리는 소재로 구성하는 등, 연속적인 부하에 대하여 유연하게 변형하지만, 순간적인 부하에 대하여 변형하지 않는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상술한 각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도, 상술한 각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고, 충격에 의한 신호를 검지 대상으로부터 배제할 수 있다.
즉, 충격이 부여되어 제1 접점(24c)이 제1 접점(61c)에 고속으로 접촉하려고 해도, 완충재 K가 변형하지 않기 때문에, 제1 접점(24c)은 제1 접점(61c)에 접촉하지 않아,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다.
이용자가 압하 조작한 경우에는, 느린 압하력이 연속적으로 부여되기 때문에, 완충재 K가 변형하고, 양쪽 족부 Ka간 위치에서 제1 접점(24c)이 제1 접점(61c)에 접촉하여, 신호가 출력된다.
제8 실시예
도 18은, 제8 실시예의 조작 스위치(10A)를 하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 조작 스위치(10A)는, 돔 스위치 유닛(58A)에,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시트(22) 대신에, 접착 커버 필름(22A)과 스페이서(22B)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접착 커버 필름(22A) 및 스페이서(22B) 이외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9는, 접착 커버 필름(22A), 스페이서(22B), 1단 돔 스위치(23), 및 2단 돔 스위치(24)의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접착 커버 필름(22A)은, 커버 필름층(22A1)과 접착층(22A2)의 2층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 필름층(22A1)은, PET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커버 필름층(22A1)은, 퇴피구(64A, 66A)와 같은 접속용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그 이외의 부분을 전체적으로 피복하는 시트이다.
접착층(22A2)은, 양면 테이프, 혹은 커버 필름층(22A1)에 인쇄 기술에 의해 도포된 풀(糊)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접착층(22A2)은, 주변 시트부(201)에, 퇴피구(64A, 66A)와 같은 접속용의 구멍이 형성됨과 함께, 변위성 향상 구멍(203)이 형성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 변위성 향상 구멍(203)은, 2단 돔 스위치(24)의 각 제1 접점(24c)의 대향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변위성 향상 구멍(203)은, 원호와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D형의 형상이며, 직선 부분이 내측에, 원호 부분이 외측으로 되도록 2개 병렬 배치되어 있다.
또한, 2개의 변위성 향상 구멍(203) 사이에는, 접착층(22A2)의 접점 접착부(20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접점 접착부(202)는, 직사각형판이 두께 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이며, 대략 원형으로 되는 주변 스위치 S2의 중심(2단 돔 스위치(24)의 정점의 대향 위치)을 통과해서 상기 주변 스위치 S2의 외주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를 중개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주변 스위치 S2의 접점 접착부(202)의 양쪽 옆에 변위성 향상 구멍(203)이 위치하는 구성으로 된다.
이 구성에 의해, 접점 접착부(202)가 주변 시트부(201)에 연결되는 양단부는, 2단 돔 스위치(24)의 커먼 접점(24b)의 대향 위치가 된다. 또한, 접점 접착부(202)의 양쪽 옆에 위치하는 각 변위성 향상 구멍(203)은, 2단 돔 스위치(24)의 제1 접점(24c)의 대향 위치가 된다.
스페이서(22B)는, 주변 시트부(251)에, 퇴피구(64B, 66B)와 같은 접속용의 구멍과, 1단 돔 스위치 구멍(252)과 2단 돔 스위치 구멍(253)이 형성되어 있다.
1단 돔 스위치 구멍(252)은, 1단 돔 스위치(23)보다 약간 큰 형상이다. 2단 돔 스위치 구멍(253)은, 2단 돔 스위치(24)보다 약간 큰 형상이다.
4개의 2단 돔 스위치 구멍(253)은, 2개씩의 페어로 되어 각각의 페어가 연통 구멍(261)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1단 돔 스위치 구멍(252)과 연통 구멍(261)은, 연통 구멍(262)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이 연통 구멍(261, 262)에 의해, 스위치를 압하했을 때에 공기가 흐르는 길(에어 패스)이 생기고, 1단 돔 스위치 구멍(252) 및 2단 돔 스위치 구멍(253) 내에 있어서의 압하 동작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조작 스위치(10A)의 돔 스위치 유닛(58A)에 있어서, 접착층(22A2)은, 도 20의 (A)의 평면도에 해칭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변 스위치 S2의 주위 전체에 걸쳐 스페이서(22B)에 접착됨과 함께, 2단 돔 스위치(24)의 커먼 접점(24b)으로부터 중앙까지 접착된다.
2단 돔 스위치(24)의 제1 접점(24c)의 대향 위치에는 변위성 향상 구멍(203)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착층(22A2)은, 제1 접점(24c)에 접착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제1 접점(24c)이 자유롭게 동작할 수 있어, 2단 돔 스위치(24)에 의한 2단계의 압하 조작의 검출을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도 20의 (B)의 D-D 화살표 E-E 부분 확대 단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단 돔 스위치(24)는, 제1 접점(24c)이 변위성 향상 구멍(203)에 의해 접착되지 않고 자유롭게 동작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2단 돔 스위치(24)가 밀어 내려지면, 미소한 변위를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고, 또한 압하 해제되어도 용이하게 복귀할 수 있다.
주변 스위치 S2에 있어서의 2단 돔 스위치(24)의 주위는, 커버 필름층(22A1)에 의해 피복되고, 또한 접착층(22A2)의 주변 시트부(201)에 의해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방진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즉, 2단 돔 스위치(24)는, 주위에 스페이서(22B)가 존재하고, 상하가 커버 필름층(22A1)과 기판(25)으로 끼워져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기판(25)의 상면과 스페이서(22B)의 하면이 완전하게 접착되어 있음으로써, 하면으로부터 진애가 침입하는 일이 없다. 또한, 스페이서(22B)의 상면과 커버 필름층(22A1)의 하면이 완전하게 접착되어 있음으로써, 상면으로부터 진애가 침입하는 일도 없다.
또한, 스페이서(22B) 및 연통 구멍(261, 262)의 존재에 의해, 1개의 2단 돔 스위치(24)가 압하되었을 때, 연통 구멍(261, 262)으로부터 공기가 이동해서 다른 2단 돔 스위치(24)의 주위에까지 침입하기 때문에, 기압에 의해 압하 조작이 방해된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착 커버 필름(22A)으로 돔 스위치(23, 24)를 피복하고, 그 접착층(22A2)에서 주위를 간극 없이 접착해서 방진 기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접착층(22A2)에만 변위성 향상 구멍(203)을 형성함으로써, 2단 돔 스위치(24)의 미소한 ON/OFF 검지의 안정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제9 실시예
도 21은, 제9 실시예에 따른 조작 스위치(10A)의 접착 구조의 설명도를 도시한다. 도 21의 (A)은, 돔 스위치 유닛(58A)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21의 (B)은, F-F 화살표 G-G 부분 확대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 제9 실시예는, 접착층(22A2) 이외에는 제8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접착층(22A2)은, 제9 실시예에서의 접점 접착부(202)가, 대략 원형의 접점 접착부(207)로 변경되어 있다. 그리고, 그 접점 접착부(207)의 주위에, 변위성 향상 구멍(203)을 대신하는 변위성 향상 구멍(208)이 형성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제9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경우도, 제9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2단 돔 스위치(24)의 제1 접점(24c)의 주변에는 변위성 향상 구멍(208)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접착에 의해 제1 접점(24c)의 동작이 방해받는 일이 없어, 양호한 압하 검지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주위가 간극 없이 완전하게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높은 방진 성능을 얻을 수 있어, 진애에 의한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제10 실시예
도 22는, 상술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판(25, 125)의 회로 구성을 고안한 제10 실시예의 설명도이다. 이 제10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판 이외의 구성 요소는, 상술한 각 실시예와 동일한 것을 채용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2의 (A)는, 기판(325)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이 기판(325)은, 프린트 배선 기판이며, 중앙부에 중앙 고정 접점(360)(360a, 360b)을 갖고, 그 주변의 4곳에 주변 고정 접점(361)(361a, 361c)을 갖고 있다. 또한, 주변 고정 접점(361)과 겹치지 않는 둘레 방향에는, 공통 고정 접점(359a)와 제1 고정 접점(359b)과 제2 고정 접점(359c)이 3등분해서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판(325)은, 1개의 중앙 고정 접점(360)에 대응시켜 1단 돔 스위치(23)(제1 실시예의 도 3 참조)를 탑재하고, 4개의 주변 고정 접점(361)에 대응시켜 2단 돔 스위치(24)(제1 실시예의 도 3 참조)를 탑재하고, 이들 상면을 시트(22)(제1 실시예의 도 3 참조)로 덮어서 기판(325)의 정위치에 돔 스위치(23, 24)(제1 실시예의 도 3 참조)가 움직이지 않도록 부착하고 있다. 이에 의해, 압자(21)(제1 실시예의 도 3 참조)가 압하되는 압하 위치에 대응해서 설치되는 중앙 스위치 S1(제1 실시예의 도 3 참조)과, 회전 조작체(14)(제1 실시예의 도 3 참조)가 압하되는 각 압하 위치에 대응해서 설치되는 4개의 주변 스위치 S2(제1 실시예의 도 3 참조)가 구성된다.
도 22의 (B)는, 주변 고정 접점(361)의 형상 및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주변 고정 접점(361)은, 중앙에 제2 접점(361a)이 설치되어 있고, 그 외측에 2개의 제1 접점(361c)이 제2 접점(361a)을 중심으로 해서 대칭(도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접점(361a)을 중심으로 해서 제1 접점(361c)과 90도 상이한 위치에, 2개의 지지 수용부(361b)가 설치되어 있다. 이 2개의 지지 수용부(361b)는, 제2 접점(361a)을 중심으로 해서 대칭(도시 상하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접점(361a)을 중심으로 해서, 지지 수용부(361b) 및 제1 접점(361c)이 4곳에 배치되어 있다.
2개의 지지 수용부(361b)에는, 2단 돔 스위치(24)의 커먼 접점(24b)이 적재된다. 이 지지 수용부(361b)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느 회로에도 접속되어 있지 않고, 통전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2단 돔 스위치(24)의 커먼 접점(24b)은, 2단 돔 스위치(24)의 위치 및 높이를 정하는(혹은 자세를 정하는) 지지부로서 기능한다.
2개의 제1 접점(361c)에는, 2단 돔 스위치(24)의 제1 접점(24c)이 근접 배치된다. 이 2개의 제1 접점(361c)과 2개의 제1 접점(24c)의 각각의 사이는, 2단 돔 스위치(24)의 커먼 접점(24b)이 지지 수용부(361b)에 정확한 자세로 적재되어 있으면, 대략 균등하게 이격하는 상태로 된다. 이것은, 2단 돔 스위치(24)가, 2개의 제1 접점(24c)보다도 2개의 커먼 접점(24b)이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1개의 평면 상에 2단 돔 스위치(24)가 놓이면, 2개의 커먼 접점(24b)이 접지해서 2개의 제1 접점(24c)이 이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에 의한 것이다.
제2 접점(361a)은, 제2 접점(24a)에 대하여 충분히 이격해서 대향하고 있다. 이 제2 접점(361a)과 제2 접점(24a)의 이격 거리는, 제1 접점(361c)과 제1 접점(24c)의 이격 거리보다도 넓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판(325)(도 22의 (A) 참조)에는, 제1 접점 회로 K1과 제2 접점 회로 K2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접점 회로 K1은, 2개의 제1 접점(361c)에 연결되는 회로이다. 이 제1 접점 회로 K1은, 2개의 제1 접점(361c)의 각각에, 2단 돔 스위치(24)의 2개의 제1 접점(24c)이 접촉하고 있는 상태로 되면, 금속제의 2단 돔 스위치(24)에 통전해서 스위치 ON의 상태로 되고, 제1 검지의 검지를 할 수 있다. 따라서, 1개의 제1 접점(361c)에 2단 돔 스위치(24)의 2개의 제1 접점(24c)이 접촉해도, 다른 쪽이 이격하고 있는 이상은 통전하지 않고, 스위치 OFF인 상태 그대로 된다.
제2 접점 회로 K2는, 2단 돔 스위치(24)의 제1 접점(24c)과 제2 접점(24a)에 연결되는 회로이다. 이 제2 접점 회로 K2는, 2단 돔 스위치(24)의 중심이 강하게 압하되어 제2 접점(24a)이 제2 접점(361a)에 접촉하면, 이미 제1 접점(361c)에 2단 돔 스위치(24)의 2개의 제1 접점(24c)이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금속제의 2단 돔 스위치(24)의 제1 접점(24c)과 제2 접점(24a) 사이에서 통전한다. 이 통전에 의해 스위치 ON의 상태로 되어, 제2 검지의 검지를 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 및 동작에 의해, 제조 시의 편차에 의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제1 접점 회로 K1은, 2단 돔 스위치(24)의 2개의 제1 접점(24c)이 양쪽 모두 각각의 제1 접점(361c)에 접촉하고 있을 때에 처음으로 스위치 ON으로 되어 제1 검지를 행한다. 이 때문에, 제조 시의 편차로 1개의 제1 접점(24c)이 제1 접점(361c)에 상시 접촉하고 있는 상태로 되어도, 문제없이 스위치 ON/OFF를 검지할 수 있다. 특히, 제1 실시예의 시트(22)에 양면 테이프 등으로 2단 돔 스위치(24)를 접착해서 배치를 정하는 경우, 접착의 어긋남 등에 의해 2단 돔 스위치(24)가 경사지는 경우가 있지만, 이러한 경우라도 문제없이 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양호하게 동작하는 돔 스위치 유닛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수율이 좋기 때문에 저가격으로 대량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2단 돔 스위치(24)는, 제1 접점(24c)보다도 지지부로서의 커먼 접점(24b)이 하방으로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제조 시의 편차에 의해 2개의 제1 접점(24c)이 양쪽 모두 제1 접점(361c)에 접촉한 상태 그대로의 상태로 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커먼 접점(24b)이 지지부로서 2단 돔 스위치(24)의 높이를 보유 지지하고, 제1 접점(24c)을 제1 접점(361c)으로부터 이격시킨다. 이 때문에, 정밀도 좋은 제1 검지를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는 돔 스위치 유닛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 접점 회로 K2는, 2단 돔 스위치(24)의 제2 접점(24a)이 제2 접점(361a)에 접촉하고, 또한, 제1 접점(24c)이 제1 접점(361c)에 접촉하고 있는 경우에 스위치 ON으로 되어 제2 검지를 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제2 검지를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특히, 양쪽의 제1 접점(361c)에 제2 접점 회로 K2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접점(24c)이 어느 쪽인가 1개라도 제1 접점(361c)에 접촉하고 있으면 제2 검지를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적은 부품 개수로 압박 강도가 상이한 2단계의 검지를 고정밀도로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는 스위치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2단 돔 스위치(24)의 가공 정밀도와, 시트(22)(제1 실시예의 도 3 참조)의 부착 정밀도에 대한 요구를 완만하게 할 수 있어, 제조를 용이화할 수 있다.
제11 실시예
도 23은, 형상이 상이한 2단 돔 스위치(424)를 사용한 제11 실시예의 설명도이다.
도 23의 (A)은, 2단 돔 스위치(424)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23의 (B)은, 도 23의 (A)의 B-B 부분 확대 A-A 단면도를 도시한다.
2단 돔 스위치(424)는, 링 형상의 지지부(424b)와, 원형으로 중앙이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되어 있는 본체부(425)가 2개의 아암부(426)에서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링 형상의 지지부(424b)는, 도 2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면 전체가 평면 상에 접촉한다.
아암부(426)는, 지지부(424b)로부터 상방으로 상승되어 내측으로 굴곡하는 역 L자의 단면을 갖고, 본체부(425) 근방 위치에 하방으로 볼록하게 되는 제1 접점(424c)이 설치되어 있다.
본체부(425)는, 역 접시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면 중앙에 하방으로 볼록하게 되는 제2 접점(424a)이 설치되어 있다.
도 23(C)은, 주변 고정 접점(461)의 형상과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 제11 실시예의 주변 고정 접점(461)은, 제10 실시예의 주변 고정 접점(361)으로부터 지지 수용부(361b)가 제외된 형상이다. 즉, 제2 접점(461a)은, 제10 실시예의 제2 접점(361a)과 동일하고, 제1 접점(461c)은, 제10 실시예의 제1 접점(361c)과 동일하다.
주변 고정 접점(461)의 제2 접점(361a) 및 제1 접점(461c) 이외의 표면은 절연 부재로 덮여 있고, 그 위에 2단 돔 스위치(424)가 적재되어 있다. 2단 돔 스위치(424)의 제1 접점(424c)은, 제1 접점(461c)에 대향해서 근접 배치되어 있고, 제2 접점(424a)은, 제2 접점(461a)에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제1 접점 회로 K1은, 제10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2개의 제1 접점(361c)에 연결되는 회로이다. 또한, 제2 접점 회로 K2는, 제10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2단 돔 스위치(424)의 제1 접점(424c)과 제2 접점(424a)에 연결되는 회로이다.
주변 고정 접점(461)의 중앙이 압하되면, 우선 2개의 제1 접점(424c)이 제1 접점(461c)에 접촉하고, 제1 접점 회로 K1이 스위치 ON으로 된다. 또한 주변 고정 접점(461)의 중앙이 압하되면, 제2 접점(424a)이 제2 접점(461a)에 접촉하고, 이미 제1 접점(424c)이 제1 접점(461c)에 접촉하고 있는 것에 의해 제2 접점 회로 K2가 스위치 ON으로 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제조 시의 편차에 의한 불량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압박력이 상이한 2단계의 검지를 고정밀도로 실행할 수 있어, 제10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과, 상술한 실시 형태의 대응에 있어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실시 형태의 디지털 카메라(1)에 대응하고,
이하 마찬가지로,
출력 수단은, 표시기(2)에 대응하고,
조작체는, 회전 조작체(14, 114)에 대응하고,
회전 스위치는, 인코더용 가동 접점판(15), 공통 도전편(16), 제1 도전편(17), 및 제2 도전편(18)에 의해 구성되는 접촉식의 회전 검출부, 또는 자성 회전체(192)와 홀 소자(199)로 구성되는 비접촉식의 회전 검출부에 대응하고,
돔 스위치는, 2단 돔 스위치(24, 124)에 대응하고,
돔 형상부는, 2단 돔 스위치(24, 124)의 만곡 부분에 대응하고,
측방 접촉부 및 제1 검지부는, 제1 접점(24c)에 대응하고,
정점 이면측 접촉부 및 제2 검지부는, 제2 접점(24a)에 대응하고,
연동 방지 수단은, 압하 돌기(50, 150)의 사이 부분, 또는 홈 구멍(41a, 41b, 141a, 141b)에 대응하고,
돔 스위치의 대응 부위는, 압하 돌기(50, 150)에 대응하고,
변형 허용부는, 압하 돌기(50, 150)의 사이 부분에 대응하고,
전기 회로는, 로우 패스 필터(81)에 대응하고,
순간 압하 검지 배제 수단은, 로우 패스 필터(81) 또는 완충재 K에 대응하고,
제어 수단은, 제어부(82)에 대응하고,
피복 시트는, 커버 필름층(22A1)에 대응하고,
접착부는, 접착층(22A2)에 대응하고,
스페이서 시트는, 스페이서(22B)에 대응하고,
돔 스위치의 정점부와 대향하는 부분은, 접점 접착부(202)의 중심부 또는 접점 접착부(207)에 대응하고,
제1 검지부와의 대향 부분은, 변위성 향상 구멍(203, 208)에 대응하고,
구멍의 주위부는, 주변 시트부(251)에 대응하고,
돔 스위치가 수납되는 구멍은, 2단 돔 스위치 구멍(253)에 대응하고,
접점은, 제2 접점(361a), 제1 접점(361c), 제2 접점(424a), 및 제1 접점(424c)에 대응하고,
지지부는, 지지부(424b) 및 커먼 접점(24b)에 대응하고,
회로는, 제1 접점 회로 K1 및 제2 접점 회로 K2에 대응하고,
개재체는, 완충재 K에 대응하고,
압하 부위는, 화살표 Y1a 내지 Y1d의 대응 부위에 대응하고,
변형 허용 소재는, POM 수지, ABS 수지, 또는 이들 혼합 수지에 대응하고,
연속적인 부하에 대하여 유연하게 변형하고 순간적인 부하에 대하여 변형하지 않는 소재는, 저반발 발포 우레탄, 또는, 통상 부드럽게 충격을 받으면 경화하는 「d3o」라고 불리는 소재에 대응하고,
소정 시간은, 1㎲에 대응하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의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많은 실시 형태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나 PDA나 디지털 카메라 등, 적절한 장치의 조작 입력 수단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1 : 디지털 카메라
2 : 표시기
10, 110 : 조작 스위치
14, 114 : 회전 조작체
15 : 인코더용 가동 접점판
16 : 공통 도전편
17 : 제1 도전편
18 : 제2 도전편
19, 19A, 19B, 119, 119SA, 119B : 홀더
24, 124 : 2단 돔 스위치
24a : 제2 접점
24b : 커먼 접점
24c : 제1 접점
41a, 41b, 141a, 141b : 홈 구멍
50, 150 : 압하 돌기
81 : 로우 패스 필터
192 : 자성 회전체
199 : 홀 소자
K : 완충재
22A1 : 커버 필름층
22A2 : 접착층
22B : 스페이서
202, 207 : 접점 접착부
203,208 : 변위성 향상 구멍
251 : 주변 시트부
253 : 2단 돔 스위치 구멍
361a : 제2 접점
361c : 제1 접점
424a : 제2 접점
424b : 지지부
424c : 제1 접점
K1 : 제1 접점 회로
K2 : 제2 접점 회로

Claims (13)

  1. 표면의 중심 이외의 부위가 압하 조작되면 해당 압하 부위가 심입(深入)하여 전체가 경사짐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조작체와,
    상기 조작체의 이면측에서 상기 중심 이외의 부위에 대응 배치되어 상기 압하를 검지하는 복수의 돔 스위치와,
    상기 조작체의 회전을 검지하는 회전 스위치를 갖고,
    상기 돔 스위치는,
    상기 조작체의 압하 조작에 의한 상기 압하 부위의 심입을 검지하는 제1 검지부와, 상기 심입보다 더 깊은 심입을 검지하는 제2 검지부를 구비한, 조작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돔 스위치를 피복하는 피복 시트와,
    상기 피복 시트에 상기 돔 스위치를 접착하는 접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피복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돔 스위치의 상기 제1 검지부와의 대향 부분을 피해서 설치된, 조작 스위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돔 스위치가 수납되는 구멍이 형성된 스페이서 시트를 구비하고,
    이 접착부는, 상기 스페이서 시트의 상기 구멍의 주위부와, 상기 돔 스위치의 정점부와 대향하는 부분에 설치된, 조작 스위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지부와 상기 제2 검지부에 각각 접촉 및 이격하는 복수의 접점을 갖고 상기 제1 검지부의 검지와 상기 제2 검지부의 검지를 전달하는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돔 스위치는,
    상기 제1 검지부가 복수 구비됨과 함께, 상기 제1 검지부의 적어도 1개를 대응하는 상기 접점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로는,
    상기 제1 검지부의 복수가 상기 각 접점에 접촉했을 때에 제1 검지부의 검지를 전달하는 구성인, 조작 스위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제1 검지부가 상기 접점에 접촉하고, 또한 상기 제2 검지부가 상기 접점에 접촉했을 때에 제2 검지부의 검지를 전달하는 구성인, 조작 스위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의 이면측에서 상기 돔 스위치와의 사이에, 상기 조작체를 보유 지지하는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조작체의 중심 이외의 부위가 압하 조작되었을 때에 해당 부위에 대응 배치된 상기 돔 스위치를 압하하도록 심입되고, 또한, 다른 돔 스위치와의 대응 부위의 상기 홀더가 연동해서 심입하여 검지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동 방지 수단을 구비한, 조작 스위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조작체의 압하 조작의 힘으로 탄성 변형하는 변형 허용 소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연동 방지 수단은, 상기 변형 허용 소재에 의해 형성된 상기 홀더 중 상기 각 돔 스위치와의 대응 부위 사이에 존재하는 변형 허용부에 의해 구성된, 조작 스위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돔 스위치 사이에 압하 조작의 전달을 방지하는 홈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연동 방지 수단은, 상기 홈 구멍에 의해 구성된, 조작 스위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돔 스위치는, 돔 형상으로 형성된 돔 형상부를 갖고,
    상기 제1 검지부는,
    상기 돔 형상부의 측방에 설치되어 통상은 회로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상기 돔 형상부가 볼록측으로부터 오목측으로 가볍게 압하되면 상기 회로에 접촉해서 통전하는 측방 접촉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 검지부는,
    상기 측방 접촉부가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돔 형상부의 볼록측으로부터 오목측으로 더욱 강하게 압하되면 상기 돔 형상부가 요철 반대의 상태로 되어 상기 돔 형상부의 정점 이면측이 회로에 접촉해서 통전하는 정점 이면측 접촉부에 의해 형성된, 조작 스위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하 조작이 충격에 의해 순간 압하되었을 때에 압하 검지되지 않도록 배제하는 순간 압하 검지 배제 수단을 구비한, 조작 스위치.
  11. 제10에 있어서,
    상기 순간 압하 검지 배제 수단은, 상기 제1 검지부에 설치된 접촉부와 회로 사이에 배치된 개재체로 구성되고,
    상기 개재체는, 연속적인 부하에 대하여 유연하게 변형하고 순간적인 부하에 대하여 변형하지 않는 소재에 의해 구성된, 조작 스위치.
  12. 제10에 있어서,
    상기 순간 압하 검지 배제 수단은, 미리 정한 소정 시간 이하의 통전 검지를 배제하는 전기 회로에 의해 구성한, 조작 스위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작 스위치와,
    상기 조작 스위치에 의해 조작 입력된 입력 신호에 따라서 제어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정보 출력을 행하는 출력 수단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20117024391A 2009-04-27 2010-04-26 조작 스위치 및 휴대 단말기 KR201200085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07676 2009-04-27
JPJP-P-2009-107676 2009-04-27
JPJP-P-2009-286389 2009-12-17
JP2009286389 2009-12-17
JPJP-P-2010-055474 2010-03-12
JP2010055474A JP4539787B1 (ja) 2009-04-27 2010-03-12 操作スイッチおよび携帯端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501A true KR20120008501A (ko) 2012-01-30

Family

ID=42824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4391A KR20120008501A (ko) 2009-04-27 2010-04-26 조작 스위치 및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539787B1 (ko)
KR (1) KR20120008501A (ko)
CN (1) CN102414767A (ko)
WO (1) WO20101260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67523A1 (en) * 2010-04-29 2011-11-03 Ability Enterprise Co., Ltd. Imag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us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thereof
FR3036842B1 (fr) * 2015-05-27 2019-01-25 Zodiac Aero Electric Bouton de commande universel a effet hall pour interface homme-machine et interface homme-machine dotee de tel bouton de commande
MX2021004208A (es) 2018-10-12 2021-08-11 Lutron Tech Co Llc Dispositivo de control para controlar múltiples características operativas de una carga eléctrica.
EP3806122B1 (en) * 2019-10-10 2022-12-07 C&K Components SAS A dome actuator structure for use in a dome switch, and dome switch comprising such a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96754B1 (fr) * 1999-07-19 2002-04-12 Cit Alcatel Commutateur a double pression
JP4109524B2 (ja) * 2002-09-19 2008-07-02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接点スイッチおよび多段接点スイッチ
KR100617681B1 (ko) * 2003-04-15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키 장치 사용 방법
JP2006073311A (ja) * 2004-09-01 2006-03-16 Omron Corp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4353964B2 (ja) * 2006-06-26 2009-10-28 ホシデン株式会社 複合操作型入力装置
JP4431177B2 (ja) * 2007-06-20 2010-03-1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入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146358A (ja) 2011-07-28
CN102414767A (zh) 2012-04-11
WO2010126004A1 (ja) 2010-11-04
JP4539787B1 (ja) 2010-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3583B2 (en) Switch
JP4511479B2 (ja) 複合操作スイッチ
KR20120008501A (ko) 조작 스위치 및 휴대 단말기
CN105049570A (zh) 一种多功能手机旋转按钮结构
JP4995008B2 (ja) 入力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9211902A (ja) 多方向入力装置
KR20110102812A (ko) 스위치 유닛, 조작 스위치 및 휴대 단말
KR101755959B1 (ko) 이동 단말 키 부품과 이동 단말
JP5035105B2 (ja) 操作スイッチ及び電子機器
JPWO2008044764A1 (ja) 操作キー構造
CN114355755A (zh) 一种电子设备
JP2019160559A (ja) 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JP4511481B2 (ja) スイッチ
JP4439478B2 (ja) 複合操作スイッチ
JP4937994B2 (ja) 多方向スライド式スイッチ
KR101694280B1 (ko) 다방향 입력장치
JP5573367B2 (ja) スイッチユニットおよび電子機器
JP4023279B2 (ja) 入力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7103140A (ja) 多方向入力装置
US20100164758A1 (en) Keypad assembly
JP6448260B2 (ja) 多方向スイッチ
KR100782781B1 (ko) 회전형 멀티키
JP2007103275A (ja) 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