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8200A -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와 그를 구비하는 무선 전력 통신용 전력 공급 장치, 그리고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와 그를 구비하는 무선 전력 통신용 전력 공급 장치, 그리고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8200A
KR20120008200A KR1020100068924A KR20100068924A KR20120008200A KR 20120008200 A KR20120008200 A KR 20120008200A KR 1020100068924 A KR1020100068924 A KR 1020100068924A KR 20100068924 A KR20100068924 A KR 20100068924A KR 20120008200 A KR20120008200 A KR 20120008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core
wireless power
coils
cor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8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4625B1 (ko
Inventor
정춘길
국윤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Priority to KR1020100068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4625B1/ko
Priority to JP2013519567A priority patent/JP6046037B2/ja
Priority to CN201180025092.3A priority patent/CN102906828B/zh
Priority to US13/808,223 priority patent/US9564263B2/en
Priority to EP11806978.0A priority patent/EP2595160B1/en
Priority to PCT/KR2011/004561 priority patent/WO2012008693A2/ko
Publication of KR20120008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71Pancake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 H01F27/36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made of ferromagnet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206Manufacturing of magnetic cores by mechanical means
    • H01F41/0246Manufacturing of magnetic circuits by moulding or by pressing powd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02J50/40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the two or more transmitting or the two or more receiving devices being integrated in the same unit, e.g. power mats with several coils or antennas with several sub-antenna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4Overcurrent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8Overvolta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02J7/0049Detection of fully charged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H04B5/26Inductive coupling using coils
    • H04B5/263Multiple coils at either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면에 오목부가 구비되고, 자성체로 형성되는, 판상형의 코어와, 상기 오목부에 수용되며, 각각의 일 부분들이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권선형 코일과, 상기 코일 각각의 양단과 접속되어, 상기 코일에 대한 전원의 인가를 제어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와 그를 구비하는 무선 전력 통신용 전력 공급 장치, 그리고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와 그를 구비하는 무선 전력 통신용 전력 공급 장치, 그리고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 제조 방법{CORE ASSEMBLY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POWER SUPPLYING APPARATUS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RE ASSEMBLY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본 발명은 무선 전력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와 그를 구비하는 무선 전력 통신용 전력 공급 장치, 그리고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는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Secondary Battery)가 배터리로서 장착된다.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가정용 상용 전원을 이용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는 별도의 충전장치가 필요하다.
통상적으로, 충전장치와 배터리에는 외부에 각각 별도의 접촉 단자가 구성되어 있어서, 두 접촉 단자를 서로 접속시키는 것에 의해 충전장치와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접촉 단자가 외부에 돌출되면, 미관상 좋지 않고 접촉 단자가 외부의 이물질에 오염되어 접촉 상태가 쉽게 불량해지기도 한다. 또한, 사용자의 부주의로 배터리에 단락이 발생하거나 습기에 노출되면, 충전에너지가 쉽게 소실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식 충전방식의 대안으로서, 충전장치와 배터리 각각의 접촉 단자들이 서로 접촉되지 않는 방식으로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전력 전달이 무선으로 이루어지는 무선 전력 통신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 수신 장치와의 무선 전력 전송에 장애가 될 수 있는 다크 영역(Dark area)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코일을 배치하고, 상기 코일의 배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와 그를 구비하는 무선 전력 통신용 전력 공급 장치, 그리고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는, 주면에 오목부가 구비되고, 자성체로 형성되는, 판상형의 코어와, 상기 오목부에 수용되며, 각각의 일 부분들이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권선형 코일과, 상기 코일 각각의 양단과 접속되어, 상기 코일에 대한 전원의 인가를 제어하는, 회로기판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오목부는, 제1 깊이로 형성되는 제1 오목부와, 상기 제1 오목부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깊이보다 작은 제2 깊이를 가지는, 제2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목부는 폐곡선형의 윤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오목부 및 상기 제2 오목부는, 상기 오목부의 폐곡선에 내접하는 2 개의 작은 폐곡선들의 일 부분들이 서로 중첩된 형태로 리세스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은 폐곡선들의 일 부분들이 서로 중첩된 부분은 상기 제1 깊이로 리세스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폐곡선은 타원형의 폐곡선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목부는 바닥과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복수의 중첩된 코일이 전체적으로 형성하는 외주가 상기 측벽과 접촉되게 하는 사이즈로 각각 리세스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일은 각각, 타원형으로 권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코일은 서로 동일한 사이즈를 가지도록 권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일은, 상기 코어에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는 상기 코일의 중공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포트의 단면의 적어도 일 구간은, 상기 코일의 중공부의 내주면 중 일 부분과 접하도록,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어는, 상기 코일 각각의 양단이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제1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제1 관통홀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제2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제1 관통홀은, 상기 코어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적어도 한 쌍의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일 각각의 양단이 접속되도록,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코어를 마주하는 면의 반대면에 상기 양단의 개수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목부의 저면에 상기 코일의 권선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코일의 상기 저면과 접촉하는 부분이 수납되는, 그루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통신용 전력 공급 장치는, 위에 설명되며 충전전력 공급회로가 형성되는,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와, 상기 코어 어셈블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 제조 방법은, 자성체인 파우더에 바인더를 첨가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금형에 넣고 프레싱하여, 일 면에 오목부가 형성되는 코어로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된 코어를 소결하는 단계와, 상기 소결된 코어의 오목부에 권선된 복수의 코일의 일 부분들이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코일 각각의 양단부를 회로기판에 접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우더는 망간-아연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성형된 코어를 소결하는 단계는, 소결 온도를 60 ℃ 내지 80 ℃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와 그를 구비하는 무선 전력 통신용 전력 공급 장치, 그리고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전력 수신 장치와의 무선 전력 전송에 장애가 될 수 있는 다크 영역(Dark area)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코일을 배치하고, 상기 코일의 배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무선 전력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무선 전력 통신시스템의 내부 기능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를 전면에서 바라본 조립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어셈블리를 배면에서 바라본 조립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3의 코어(120)의 일 변형예에 따른 코어(120')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코어(120')에 코일(111)이 안착된 상태를 보인 부분 개념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 제조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와 그를 구비하는 무선 전력 통신용 전력 공급 장치, 그리고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 제조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무선 전력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선 전력 통신 시스템은, 전력 공급 장치(100)와, 배터리를 충전시키 위해 전력 공급 장치(100)로부터 무접점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전력 수신 장치(200)를 포함한다.
전력 공급 장치(10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전력 수신 장치(200)에 공급할 충전 전력을 생성하는 장치이다. 전력 공급 장치(100)는 전력 수신 장치(200)가 쉽게 안착 될 수 있도록 패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전력 공급 장치(100)에 공급되는 외부 전원으로서는 상용 교류 전원(60Hz, 220V/100V), 또는 직류 전원이 채용될 수 있다.
전력 수신 장치(200)는, 배터리가 내장된 배터리팩이나, 배터리를 내장하고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포함한다. 또한, 전력 수신 장치(200)는 배터리와 접속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일 부분이거나, 휴대용 전자기기와 별도로 배터리와 접속되는 부재일 수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로서는, 셀룰러폰, PDA, MP3 플레이어 등을 들 수 있다. 배터리는 재충전 가능한 전지 셀로서 리튬 이온 전지나 리튬 폴리머 전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공급 장치(100)와 전력 수신 장치(200)는 서로 대응되는 1차 코일(110) 및 2차 코일(210)을 구비할 수 있다. 1, 2차 코일(110, 210)은 유도 결합에 의해 자기적으로 상호 커플링 된다. 따라서, 2차 코일(210)이 1차 코일(110) 위에 병렬됨(juxtaposed)에 따라, 1차 코일(110)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이 2차 코일(210) 내에 유도 전류를 유기하게 된다.
전력 공급 장치(100)는 1차 코일(110)을 구동하여 자기장을 생성하기 위한 충전전력 공급회로(150)(도 2 참조)를 내장한다. 전력 수신 장치(200)는 2차 코일(210)에 의해 유기되는 유도 기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 회로(250, 도 2 참조)를 내장한다.
이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충전전력 공급회로(150)와 충전 회로(250)의 상세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무선 전력 통신시스템의 내부 기능 블록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전력 공급 장치(100) 내에 내장되는 충전전력 공급회로(150)는, 1차 코일(110), 정류기(152), 구동회로(153), 제어기(155), 무선수신모듈(156)을 포함할 수 있다.
정류기(152)는 상용 교류 전원(151)으로부터의 교류 전압을 직류로 정류한 후, 구동 회로(153)에 전달한다. 구동 회로(153)는 정류기(152)에 의해 정류된 직류 전압을 이용하여 상용 주파수 이상의 고주파 교류 전압 펄스를 생성하고, 이를 1차 코일(110)에 인가하여 자계(Magnetic Field)를 생성한다.
구동 회로(153)는 전력 구동부(154a)와 PWM(Pulse Width Modulation, 펄스 폭 변조) 신호 발생기(154b)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구동부(154a)는, 소정 레벨의 직류 전압을 컨버팅하여 상용 주파수 이상의 고주파 교류 전압을 발진하는 고주파 발진회로와, 펄스폭 변조된 고주파 교류 전압 펄스를 1차 코일(110)에 인가하는 것에 의해 1차 코일(110)을 구동하는 드라이브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WM 신호 발생기(154b)는 상기 고주파 교류 전압을 펄스폭 변조(PWM : pulse width modulation)시킨다. 이에 의해, 전력 구동부(153)의 출력단을 통해 배출되는 출력 신호는 고주파 교류 전압 펄스가 된다. 이 고주파 교류 전압 펄스는 펄스 열(pulse train)이 되고, 이 펄스 열의 펄스폭은 제어기(155)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이상의 구동 회로(153)로는, 예를 들어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프라이(SMPS: switching mode power supply)가 채택될 수 있다.
제어기(155)는 무선 송,수신모듈(156, 256)을 경유하여 피드백되는 배터리의 충전상태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펄스폭 변조되는 고주파 교류 전압 펄스의 펄스폭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제어기(155)는 충전 회로(250)로부터 피드백되는 응답신호가 충전시작신호인 경우, 1차 코일(110)의 구동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충전 모드로 전환한다. 또한, 충전 회로(250)로부터 피드백 되는 충전상태정보를 분석한 결과, 배터리가 만충전인 것으로 판단되면, 1차 코일(110)의 구동 모드를 충전 모드에서 완충 모드로 전환한다. 제어기(155)는 충전 회로(250)로부터 피드백되는 응답 신호가 없는 경우, 1차 코일(110)의 구동 모드를 대기 모드로 유지한다.
무선수신모듈(156)은 코일(110)이 충전 회로(250)의 무선송신모듈(256)로부터 전송되는 피드백 응답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이 피드백 응답 신호를 복조하여 배터리(262)의 충전상태정보를 복원하는 복조기와 같은 수신부(156)를 포함한다. 무선수신 모듈(156)은 코일(110)과 별도로 충전 회로(250)의 무선송신모듈(256)로부터 전송되는 피드백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의 충전전력 공급회로(150)는 회로를 과전압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과전압 필터회로나 정류기에 의해 정류된 직류 전압을 소정 레벨의 전압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정전압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전압 필터회로는 상용 교류 전원(151)과 정류기(15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정전압 회로는 정류기(152)와 구동 회로(15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충전전력 공급회로(15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배터리(262)를 충전하는 충전 회로(250)에 대해서 살펴본다. 이 충전 회로(250)는 전력 수신 장치(200)에 내장된다.
충전 회로(250)는, 2차 코일(210), 정류기(251), 정전압/정전류 회로(252), 폴링 검출기(253), 제어기(255), 무선송신모듈(256)을 포함할 수 있다.
2차 코일(210)은 1차 코일(110)에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유도 기전력을 발생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1차 코일(110)에 인가되는 전력 신호가 펄스 폭 변조신호이기 때문에 2차 코일(210)에 유기되는 유기 기전력 역시 교류 전압 펄스열이다. 또한, 1차 코일(110)의 구동 모드에 따라 2차 코일(210)에 유기되는 교류 전압 펄스 역시 대기 모드, 충전 모드 및 완충 모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따르게 된다.
정류기(251)는 2차 코일(21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2차 코일(210)에 의해 유도된 교류 전압 펄스를 일정한 레벨의 직류로 평탄화한다. 정전압/정전류 회로(252)는 소정 레벨의 직류 전압을 이용하여 배터리(262)에 충전할 정전압과 정전류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배터리(262)의 초기 충전시점에서 정전류 모드를 유지하다가 배터리(262)의 충전전압이 포화상태가 되면, 정전압 모드로 전환한다.
폴링 검출기(253)는 2차 코일(210)에 의해 유도된 교류 전압 펄스의 하강 시점, 다시 말해서 폴링 시점(falling time)을 검출하는 장치이다. 폴링 검출 신호는 제어기(255)로 입력된다.
제어기(255)는 일종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서 폴링 검출 신호, 충전 전류, 충전 전압 등과 같은 모니터링 신호를 입력받고, 이 모니터링 신호에 근거하여 정전압/정전류 회로(252)와 무선송신모듈(256)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기(255)는, 폴링 검출기(253)로부터 입력되는 폴링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펄스의 하강 시점을 파악하고, 충전전력 공급회로(150)에 전송할 피드백 응답 신호의 전송 시점을 펄스의 하강 시점에 동기화시킨다. 제어기(255)는 배터리(262)의 충전 전류와 충전 전압을 모니터링하고, 이 모니터링 값을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임시 저장한다. 미도시된 상기 메모리는 모니터링된 충전 전류와 충전 전압과 같은 배터리(262) 충전상태 정보뿐만 아니라 배터리(262) 사양정보(제품 코드, 정격 등)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255)는 배터리(262)의 충전 상태에 따라 정전압 모드와 정전류 모드를 적절히 선택, 전환한다. 제어기(255)는, 정전압/정전류 회로(252)의 양단에 과도한 전압이 인가되는지 모니터링하며, 과도한 전압이 인가되면 충전전력의 조정요구 신호를 생성한다. 이 조정요구 신호는 무선송신모듈(256)을 거쳐 전력 공급 장치(100) 측의 충전전력 공급회로(150)로 피드백된다.
정전압/정전류 회로(252)의 양단 전압에 대한 모니터링 동작은, 정전압/정전류 회로(252)의 전단 전압과 후단 전압을 측정하여 그 차이가 기준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무선송신모듈(256)은, 코일(210)이 충전전력 공급회로(150)에 전송할 피드백 응답 신호(충전시작신호, 충전상태신호, 조정요구 신호)를 송신하면, 충전상태정보와 같은 베이스밴드 신호를 변조하여 피드백 응답 신호를 생성하는 송신부(256)를 포함한다. 무선수신 모듈(256)은 코일(210)과 별도로 충전전력 공급회로(150)에 전송할 피드백 응답 신호를 송신하 안테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정전압/정전류 회로(252)와 배터리(262) 사이에는 배터리(262)에 과전압이나 과전류의 인가를 방지하기 위한 보호 회로(PCM, Protective Circuit Module)(261)가 배치된다. 이 보호 회로(261)와 배터리(262)는 하나의 배터리 유닛(260)을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력 공급 장치(1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를 전면에서 바라본 조립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100)는, 본 도면 등을 참조하여 설명할 코어 어셈블리와, 상기 코어 어셈블리를 감싸서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도 1 참조)을 포함한다.
상기 코어 어셈블리는, 복수의 코일(110)과, 판상형의 코어(12O)와, 회로기판(130)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110)은 2개의 자유단을 가지는 권선형으로 형성된다. 코일(110)은 또한, 복수 개로 구비된다. 복수의 코일 중에 인접한 코일(110)은 서로 간에 일 부분들이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2 개의 코일(110)이 일부 중첩되게 배치된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코어(12O)는 판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코어(12O)는 대체로 직육면체를 이루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코어(12O)의 넓은 면, 다시 말해서 주면(柱面)에는 코일(110)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한 부분(122,123)가 형성된다. 코어(12O)는 자성체로 형성되어, 수용된 코일(110)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자계가 전력 수신 장치(200, 도 1)를 향한 방향에서 벗어날 가능성을 낮추어 준다.
회로기판(130)은 코어(12O)의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회로기판(130)의 일 부분은 코어(12O)를 밑에서 지지하게 된다. 회로기판(130)의 다른 부분에는 코일(110)에 대한 전원의 인가를 제어하는 회로가 내장된다. 상기 제어 회로는, 앞서 설명한 충전전력 제어회로(150, 도 2)를 포함한다.
도 4는 도 3의 어셈블리를 배면에서 바라본 조립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코일(110) 각각의 양단은 코어(12O)와 회로기판(130)을 관통하여 연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코일(110)의 양단은 회로기판(130)의 저면{코어(12O)와 마주하는 면의 반대면}에 형성되는 관통홀(137)을 관통한다. 여기서, 그 자유단은 관통홀(137)에 인접하게, 본 도면상으로는 관통홀(137)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접속부(138)에 접속된다.
접속부(138)는 회로기판(130)의 일 부분(130b)에서 다른 부분(130a)을 향해 연장하는 도전 패턴(139)에 연결된다. 그에 의해, 다른 부분(130a)에 형성되는 충전전력 제어회로(150, 도 2)는 코일(110)과 연결되어 코일(110)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인접한 두 개의 관통홀(137)은 회로기판(13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부 영역에 놓인다. 다른 한 쌍의 인접한 관통홀(137)은 위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부 영역에 놓이게 된다. 그에 의해, 도전 패턴(139)들이 서로 다른 영역에서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코일(110)은 한 쌍의 코일들, 다시 말해서 제1 코일(111)과 제2 코일(112)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코일(111)과 제2 코일(112)에는 각각 중심 부분에 중공부(111',112')가 형성될 수 있다. 중공부(111',112')의 면적은 코일(111,112)의 권선 정도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제1 코일(111)과 제2 코일(112)은 대체로 동일한 사이즈를 가지도록 권선될 수 있다. 제1 코일(111)과 제2 코일(112)은 각각 하나의 평면을 이루도록 권선된다. 제1 코일(111)과 제2 코일(112)이 이루는 평면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도 3 참조).
제1 코일(111)과 제2 코일(112)의 형태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 코일(111)과 제2 코일(112)이 중첩되는 면적을 최대화하면서도, 중첩된 제1 코일(111)과 제2 코일(112)이 차지하는 길이 방향 사이즈 역시 최대화하기 위함이다.
코어(12O)는, 앞서 설명한 바대로, 대체로 직육면체의 형태를 가진다. 코어(12O)의 주면(121)에는 코일(110)을 수용하는 오목부(122,123)가 형성된다. 오목부(122,123)는 제1 깊이로 리세스되는(recessed) 제1 오목부(122)와, 제2 깊이로 리세스되는 제2 오목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코일(111)은 제1 오목부(122)에 수용되고, 제2 코일(112)은 제2 오목부(123)에 수용된다. 이때, 제1 코일(111)이 제2 코일(112)보다 하측에 위치하므로, 상기 제1 깊이는 상기 제2 깊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본 도면을 참조하면, 오목부(122,123)는 폐곡선형, 구체적으로는 타원형의 윤곽을 가지도록 리세스되어 형성된다. 오목부(122,123) 전체가 큰 타원형의 윤곽을 형성한다면, 제1 오목부(122)와 제2 오목부(123)는 각각 큰 타원 내에 내접되는 작은 타원들이 일부 겹쳐진 것과 같은 윤곽을 형성하게 된다. 작은 타원들은 각각, 앞서 설명한, 제1 깊이와 제2 깊이로 리세스된다. 작은 타원들이 중첩되는 부분은 제1 깊이로 리세스되어, 제1 오목부(122)로 정의될 수 있다.
오목부(122,123)의 사이즈는, 서로 일부가 중첩된 제1 코일(111)과 제2 코일(112)이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조립체의 외주가 다소 타이트하게(tightly) 수용될 정도가 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코일(111)과 제2 코일(112)은 오목부(122,123)에 수용되는 것만으로도, 전력 공급 장치(100) 내에서 설정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오목부(122,123)는, 그 형태상으로, 측벽(125)과 바닥(126)을 가지게 된다. 측벽(125)은 오목부(122,123)가 리세스된 깊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지게 된다. 측벽(125)은 코일(110)의 두께에 대응하는 사이즈를 가져서, 코일(110)에서 발생된 자계가 측벽(125)을 향하는 방향으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 또는 완화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측벽(125)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타이트하게 수용되는 코일(110)의 외주와 접촉하여, 코일(110)이 일정한 위치에 안착되게 하기도 한다.
오목부(122,123)의 바닥(126)에서는 서포트(127,128)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서포트(127,128)는 각각 제1 코일(111)의 중공부(111')에 삽입되거나 제2 코일(112)의 중공부(112')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에 의해, 서포트(127,128)는 제1 코일(111)이나 제2 코일(112)가 설정된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아서, 그들 간의 배치 관계가 설정된 대로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서포트(127,128)의 형상은 코일(110)의 중공부(111',112')의 내주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서포트(127,128)의 외주는 곡선형인 중공부(111',112')의 내주면에 대응하여, 곡선인 구간을 가진다. 서포트(127,128)의 곡선 구간의 반대 측은 코일(110)의 외주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공간 확보를 위해 직선 구간으로 처리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서포트(127,128)는 전체적으로 반원형의 단면을 가진 채로 연장하는 돌기가 될 수 있다.
오목부(122,123)의 바닥(126)에는 코일(111,112)의 양단이 관통하는 제1 관통홀(129)이 형성될 수 있다. 회로기판(130)에는 제1 관통홀(129)에 대응하여, 제2 관통홀(137)이 형성될 것이다. 본 도면에서는 코일(111,112)의 양단이 관통홀(129,137)을 관통하는 모습을 보이기 위해 의도적으로 과장한 길이로 표현했으나, 도 3의 조립도를 참조하면, 본 도면과 같이 길게 형성될 필요가 없음은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관통홀(129)은 제1 코일(111)의 양단에 대응하는 한 쌍, 그리고 제2 코일(112)의 양단에 대응하는 한 쌍 등 모두 4 개로 형성된다. 각 쌍의 관통홀(129)은 서로 유사한 배치를 보이고 있다. 구체적으로, 코어(12O)의 중심을 기준으로, 각 다른 쌍의 관통홀(129)들 중 어느 하나들은 서로 대칭되고, 각 다른 쌍의 관통홀(129) 중 다른 하나들 또한 서로 대칭될 수 있다. 이렇게, 관통홀(129)들이 서로 대칭됨은, 제1 코일(111)과 제2 코일(112)이 서로 유사한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됨에 관련될 수 있다. 그렇다면, 조립 시에 제1 코일(111)과 제2 코일(112)을 일부러 구분해서 조립해야 하는 불편을 없앨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코어(120)의 일 변형예에 따른 코어(120')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코어(120')에 코일(111)이 안착된 상태를 보인 부분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코어(12O')에 있어서, 코일(111,112, 도 3 참조)의 권선 방향을 따라서는, 오목부(122,123)에 그루브(Groove, 120a)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오목부(122) 뿐만 아니라 제2 오목부(123)에도 그루브(120a)가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반드시 모든 오목부(122,123)에 그루브(120a)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그루브(120a)에는 코일(111,112)이 안착 될 수 있다. 그에 의해, 그루브(120a)는, 서포트(127,128, 도 5)와 더불어, 코일(111,112)의 정 위치 유지를 도울 수 있다.
또한, 코일(111,112)이 그루브(120a)에 안착 됨에 의해, 코일(111,112)의 동손(Copper loss)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 제조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 제조 방법은, 코어(12O,120')의 제작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코어(12O,120')의 제작을 위해서는, 파우더와 바인더를 섞어서 혼합물을 형성한다(S1). 이때, 파우더는 코어(12O,120')가 자성을 띠도록 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파우더는 망간-아연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은 코어(12O,120')의 형태를 가지도록 성형되어야 한다(S2). 이를 위하여, 상기 혼합물을 금형에 넣고서 프레싱하여 코어(12O,120')의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싱에 의해, 코어(12O,120')는 오목부(122,123)와, 서포트(127,128)와, 관통홀(129)을 가지도록 성형 될 것이다.
성형된 코어(12O,120')는 소결 과정을 거치게 된다(S3). 소결 과정에서는 망간-아연 파우더에 대하여 저온, 예를 들어 60 ℃ 내지 80 ℃의 온도를 유지하게 될 수 있다.
소결된 코어(12O,120')의 오목부(122,123)에는 코일(110)을 배치한다(S4).
코일(110)의 양단은 코어(12O,120')의 관통홀(129)과 회로기판(130)의 관통홀(137)을 거쳐서 회로기판(130)의 저면의 접속부(138)과 접속된다(S5).
상기와 같은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와 그를 구비하는 무선 전력 통신용 전력 공급 장치, 그리고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 제조 방법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전력 공급 장치 110: 1차 코일
120,120': 1차 코어 121: 주면
122,123: 오목부 125: 측벽
126: 바닥 127,128: 서포트
130: 회로기판 137: 관통홀
138: 접속부 139: 도전 패턴
150: 전력공급 제어회로 200: 전력 수신 장치

Claims (18)

  1. 주면에 오목부가 구비되고, 자성체로 형성되는, 판상형의 코어;
    상기 오목부에 수용되며, 각각의 일 부분들이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권선형 코일; 및
    상기 코일 각각의 양단과 접속되어, 상기 코일에 대한 전원의 인가를 제어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제1 깊이로 형성되는 제1 오목부; 및
    상기 제1 오목부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깊이보다 작은 제2 깊이를 가지는, 제2 오목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폐곡선형의 윤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오목부 및 상기 제2 오목부는, 상기 오목부의 폐곡선에 내접하는 2 개의 작은 폐곡선들의 일 부분들이 서로 중첩된 형태로 각각 리세스되어 형성되는,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은 폐곡선들의 일 부분들이 서로 중첩된 부분은 상기 제1 깊이로 리세스되는,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폐곡선은 타원형의 폐곡선인,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바닥과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복수의 중첩된 코일이 전체적으로 형성하는 외주가 상기 측벽과 접촉되게 하는 사이즈로 리세스되는,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각각, 타원형으로 권선되는,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코일은 서로 동일한 사이즈를 가지도록 권선되는,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코어에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는 상기 코일의 중공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의 단면의 적어도 일 구간은, 상기 코일의 중공부의 내주면 중 일 부분과 접하도록,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상기 코일 각각의 양단이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제1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제1 관통홀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제2 관통홀을 구비하는,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관통홀은,
    상기 코어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적어도 한 쌍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각각의 양단이 접속되도록,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코어를 마주하는 면의 반대면에 상기 양단의 개수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접속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저면에 상기 코일의 권선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코일의 상기 저면과 접촉하는 부분이 수납되는, 그루브를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며, 상기 회로기판에는 충전전력 공급회로가 형성되는,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 및
    상기 코어 어셈블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통신용 전력 공급 장치.
  16. 자성체인 파우더에 바인더를 첨가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금형에 넣고 프레싱하여, 일 면에 오목부가 형성되는 코어로 성형하는 단계;
    상기 성형된 코어를 소결하는 단계;
    상기 소결된 코어의 오목부에 권선된 복수의 코일의 일 부분들이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코일 각각의 양단부를 회로기판에 접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 제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는 망간-아연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 제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된 코어를 소결하는 단계는,
    소결 온도를 60 ℃ 내지 80 ℃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 제조 방법.
KR1020100068924A 2010-07-16 2010-07-16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와 그를 구비하는 무선 전력 통신용 전력 공급 장치, 그리고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 제조 방법 KR101134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924A KR101134625B1 (ko) 2010-07-16 2010-07-16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와 그를 구비하는 무선 전력 통신용 전력 공급 장치, 그리고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 제조 방법
JP2013519567A JP6046037B2 (ja) 2010-07-16 2011-06-22 無線電力通信用コアアセンブリ及びそれを備える無線電力通信用電力供給装置、並びに無線電力通信用コアアセンブリの製造方法
CN201180025092.3A CN102906828B (zh) 2010-07-16 2011-06-22 无线电力通信用铁芯组件及无线电力通信用电力供给装置
US13/808,223 US9564263B2 (en) 2010-07-16 2011-06-22 Core assembly for wireless power communication, power supplying device for wireless power communication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11806978.0A EP2595160B1 (en) 2010-07-16 2011-06-22 Core assembly for wireless power communication, and power supply device for wireless power communication having the same
PCT/KR2011/004561 WO2012008693A2 (ko) 2010-07-16 2011-06-22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와 그를 구비하는 무선 전력 통신용 전력 공급 장치, 그리고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924A KR101134625B1 (ko) 2010-07-16 2010-07-16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와 그를 구비하는 무선 전력 통신용 전력 공급 장치, 그리고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200A true KR20120008200A (ko) 2012-01-30
KR101134625B1 KR101134625B1 (ko) 2012-04-09

Family

ID=45469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8924A KR101134625B1 (ko) 2010-07-16 2010-07-16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와 그를 구비하는 무선 전력 통신용 전력 공급 장치, 그리고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64263B2 (ko)
EP (1) EP2595160B1 (ko)
JP (1) JP6046037B2 (ko)
KR (1) KR101134625B1 (ko)
CN (1) CN102906828B (ko)
WO (1) WO2012008693A2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7386A (ko) * 2012-05-14 2013-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장치
KR20140100239A (ko) * 2013-02-06 2014-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충전장치
KR20150011619A (ko) 2013-07-23 2015-02-02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용 코일형 유닛, 무선 전력 전송장치, 전자기기 및 무선전력 전송용 코일형 유닛의 제조방법
KR20150025591A (ko) 2013-08-29 2015-03-11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용 코일형 유닛, 무선 전력 전송장치, 전자기기 및 무선전력 전송용 코일형 유닛의 제조방법
KR20150055733A (ko) * 2013-11-14 2015-05-22 이병정 무선 전력 통신용 코일 및 코일 권선 방법
KR20160148262A (ko) * 2015-06-16 2016-12-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내구성 향상을 위한 무선충전장치
KR20180105107A (ko) * 2018-09-14 2018-09-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기를 위한 송신 코일 모듈
US10186875B2 (en) 2013-08-19 2019-01-2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oil type unit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il type unit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KR20190041988A (ko) * 2019-04-15 2019-04-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KR20190058420A (ko) * 2015-09-30 2019-05-29 애플 인크.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충전 어셈블리
KR20200001282A (ko) * 2018-06-27 2020-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층 코일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784720B2 (en) 2015-12-17 2020-09-22 Lg Innotek Co., Ltd. Transmission coil module for wireless power transmit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627B1 (ko) * 2010-08-06 2018-03-22 오클랜드 유니서비시즈 리미티드 유도 전력 수신기 장치
US10146281B2 (en) 2010-08-31 2018-12-04 Delta Electronics Thailand Public Compan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 identification
KR101239305B1 (ko) * 2011-05-31 2013-03-18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선전력통신용 코어 어셈블리와 그를 구비하는 무선전력통신용 전력공급장치, 그리고 무선전력통신용 코어 어셈블리 제조 방법
US9350193B2 (en) * 2011-06-01 2016-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load fluctuation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KR101213090B1 (ko) * 2011-07-14 2012-12-18 유한회사 한림포스텍 무선전력 전송장치용 코어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US20130062966A1 (en) * 2011-09-12 2013-03-14 Witricity Corporation Reconfigurable control architectures and algorithms for electric vehicle wireless energy transfer systems
WO2013098647A2 (en) 2011-12-28 2013-07-04 Delta Electronic (Thailand) Public Company Limited Resonant bi-directional dc-ac converter
WO2013118482A1 (ja) * 2012-02-10 2013-08-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力伝送コイル
CN106099312B (zh) 2012-03-23 2019-09-06 Lg伊诺特有限公司 天线组件
TWI613686B (zh) 2012-03-23 2018-02-01 Lg伊諾特股份有限公司 無線功率接收器之製造方法
EP2660948A3 (en) 2012-05-04 2015-06-24 DET International Holding Limited Multiple resonant cells for inductive charging pads
US9196417B2 (en) 2012-05-04 2015-11-24 Det International Holding Limited Magnetic configuration for high efficiency power processing
US10553351B2 (en) 2012-05-04 2020-02-04 Delta Electronics (Thailand) Public Co., Ltd. Multiple cells magnetic structure for wireless power
US20130314188A1 (en) 2012-05-04 2013-11-28 Ionel Jitaru Magnetic Structure for Large Air Gap
US9494631B2 (en) 2012-05-04 2016-11-15 Det International Holding Limited Intelligent current analysis for resonant converters
US9859955B2 (en) * 2012-08-24 2018-01-0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power output control i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s
CN102930970B (zh) * 2012-11-11 2015-01-28 广西梧州市平洲电子有限公司 贴片式功率电感器磁芯与底片的装配工艺方法
TWI594275B (zh) * 2013-08-22 2017-08-01 台灣東電化股份有限公司 感應板之線圈固定結構及線圈固定方法
US9742200B2 (en) * 2013-12-09 2017-08-2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to avoid magnetic power loss while providing alternating current through a ferromagnetic material
CN103647358B (zh) * 2013-12-18 2016-03-30 中国科学院电工研究所 一种无线能量传输装置的线圈
JP2015149405A (ja) * 2014-02-06 2015-08-20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非接触電力伝送用アンテナユニット、及び電子機器
KR101762778B1 (ko) 2014-03-04 2017-07-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충전 및 통신 기판 그리고 무선 충전 및 통신 장치
KR102166881B1 (ko) 2014-04-03 2020-10-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WO2015161121A1 (en) * 2014-04-16 2015-10-22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High efficiency wireless power system
US10083792B2 (en) * 2014-05-14 2018-09-2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he height of bipolar transmitters and/or receivers in electric vehicle charging
KR101765692B1 (ko) * 2014-11-07 2017-08-07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충전기용 송신장치
KR101690500B1 (ko) * 2015-07-20 2016-12-28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전력 송신모듈
JP6416401B2 (ja) * 2015-08-19 2018-10-31 株式会社東芝 制御装置、無線電力伝送装置、及び移動体
JP6743432B2 (ja) * 2016-03-14 2020-08-19 株式会社Ihi コイル装置
JP6522546B2 (ja) * 2016-05-12 2019-05-29 マクセル株式会社 電力コイル
KR102579078B1 (ko) * 2016-09-05 2023-09-15 주식회사 위츠 무선 전력 전송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US10912226B2 (en) * 2016-12-21 2021-02-02 Hyundai Motor Company Wireless battery charging module
KR102119591B1 (ko) * 2017-09-14 2020-06-05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전력 송신장치
JP6669710B2 (ja) * 2017-11-16 2020-03-18 矢崎総業株式会社 電力伝送通信ユニット
JP7198396B2 (ja) * 2017-12-28 2023-01-04 株式会社セキデン 中空芯コ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EP3863148A4 (en) 2018-10-04 2022-06-22 LG Electronics Inc. WIRELESS CURRENT TRANSMITTER
CN109347175A (zh) 2018-11-23 2019-02-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无线充电装置及无线充电***
JP2021005942A (ja) * 2019-06-26 2021-01-14 株式会社フクダサインボード 非接触給受電装置
US11387678B2 (en) * 2019-09-27 2022-07-12 Apple Inc. Stacked resonant structures for wireless power systems
US20210249879A1 (en) * 2020-02-06 2021-08-12 Aira, Inc. Wireless charger for a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3241A (ja) * 1992-06-11 1993-12-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イル部品
JPH08149723A (ja) 1994-11-21 1996-06-07 Tdk Corp 非接触型電力伝送装置
JPH11265814A (ja) * 1998-03-17 1999-09-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イル部品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1167955A (ja) * 1999-12-06 2001-06-22 Tdk Corp コア部材、コア組立体、充電ポート及び誘導型充電装置
JP2001167954A (ja) * 1999-12-06 2001-06-22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充電用受電側カプラ及び電磁誘導式受電側充電装置
JP3610884B2 (ja) 2000-06-02 2005-01-1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トランス
JP3623720B2 (ja) 2000-07-19 2005-02-23 東光株式会社 薄型インダクタ
EP2479866B1 (en) 2002-06-10 2018-07-18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Planar inductive battery charger
JP2004229406A (ja) * 2003-01-23 2004-08-12 Sony Corp 分離トランス装置
DE10307814B4 (de) 2003-02-24 2006-05-04 Siemens Ag Gradientenspul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radientenspulen für MRT-Systeme
US7694883B2 (en) * 2003-05-01 2010-04-1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RFID label, method for producing the RFID label, device for producing the RFID label, sheet member (tag sheet) used for the RFID label, and cartridge attached to the device for producing the RFID label
US7489225B2 (en) * 2003-11-17 2009-02-10 Pulse Engineering, Inc. Precision inductive devices and methods
CN1306542C (zh) * 2003-12-03 2007-03-21 横店集团东磁股份有限公司 方型偏转磁芯的制备方法及其材料
JP2005260122A (ja) * 2004-03-15 2005-09-22 Dainippon Printing Co Ltd 非接触電力伝送モジュール
JP4584759B2 (ja) 2005-04-12 2010-11-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非接触給電装置
JP2006314181A (ja) * 2005-05-09 2006-11-16 Sony Corp 非接触充電装置及び非接触充電システム並びに非接触充電方法
WO2007031897A1 (en) 2005-09-12 2007-03-22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Device for recharging batteries
US8169185B2 (en) * 2006-01-31 2012-05-01 Mojo Mobility, Inc. System and method for inductive charging of portable devices
JP4209437B2 (ja) * 2006-11-10 2009-01-1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移動体の非接触給電装置及びその保護装置
JP4947637B2 (ja) * 2007-01-09 2012-06-06 ソニー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無接点電力伝送コイル、携帯端末及び端末充電装置
JP4896820B2 (ja) * 2007-05-29 2012-03-14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コイルモジュール装置
TW200905703A (en) * 2007-07-27 2009-02-01 Delta Electronics Inc Magnet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224442B2 (ja) 2007-12-28 2013-07-03 Necトーキン株式会社 非接触電力伝送装置
JP5682992B2 (ja) * 2008-04-04 2015-03-11 Necトーキン株式会社 非接触電力伝送装置
TWI359429B (en) * 2008-08-07 2012-03-01 Delta Electronics Inc Combination structure of transformer and system ci
EP2426808B1 (en) * 2008-12-12 2013-06-05 Hanrim Postech Co., Ltd. Contact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KR100971705B1 (ko) * 2009-09-03 2010-07-22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접점 충전 시스템
CN201465705U (zh) * 2009-05-26 2010-05-12 王琮怀 一种电感组装结构
KR101213090B1 (ko) * 2011-07-14 2012-12-18 유한회사 한림포스텍 무선전력 전송장치용 코어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7386A (ko) * 2012-05-14 2013-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장치
KR20140100239A (ko) * 2013-02-06 2014-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충전장치
KR20150011619A (ko) 2013-07-23 2015-02-02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용 코일형 유닛, 무선 전력 전송장치, 전자기기 및 무선전력 전송용 코일형 유닛의 제조방법
US9761371B2 (en) 2013-07-23 2017-09-1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oil type unit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il type unit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10186875B2 (en) 2013-08-19 2019-01-2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oil type unit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il type unit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KR20150025591A (ko) 2013-08-29 2015-03-11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용 코일형 유닛, 무선 전력 전송장치, 전자기기 및 무선전력 전송용 코일형 유닛의 제조방법
US9472340B2 (en) 2013-08-29 2016-10-1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oil type unit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il type unit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KR20150055733A (ko) * 2013-11-14 2015-05-22 이병정 무선 전력 통신용 코일 및 코일 권선 방법
US10340721B2 (en) 2015-06-16 2019-07-02 Lg Innotek Co., Ltd. Wireless charger with connector
KR20160148262A (ko) * 2015-06-16 2016-12-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내구성 향상을 위한 무선충전장치
KR20190058420A (ko) * 2015-09-30 2019-05-29 애플 인크.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충전 어셈블리
US10784720B2 (en) 2015-12-17 2020-09-22 Lg Innotek Co., Ltd. Transmission coil module for wireless power transmitter
US11056916B2 (en) 2015-12-17 2021-07-06 Lg Innotek Co., Ltd. Transmission coil module for wireless power transmitter
KR20200001282A (ko) * 2018-06-27 2020-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층 코일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80105107A (ko) * 2018-09-14 2018-09-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기를 위한 송신 코일 모듈
KR20190041988A (ko) * 2019-04-15 2019-04-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95160B1 (en) 2019-07-31
JP6046037B2 (ja) 2016-12-14
CN102906828B (zh) 2016-08-03
US9564263B2 (en) 2017-02-07
KR101134625B1 (ko) 2012-04-09
CN102906828A (zh) 2013-01-30
WO2012008693A3 (ko) 2012-04-05
US20130106198A1 (en) 2013-05-02
WO2012008693A2 (ko) 2012-01-19
JP2013535815A (ja) 2013-09-12
EP2595160A2 (en) 2013-05-22
EP2595160A4 (en) 2017-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4625B1 (ko)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와 그를 구비하는 무선 전력 통신용 전력 공급 장치, 그리고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 제조 방법
EP2579427B1 (en) Power receiver for wireless charging,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KR101239305B1 (ko) 무선전력통신용 코어 어셈블리와 그를 구비하는 무선전력통신용 전력공급장치, 그리고 무선전력통신용 코어 어셈블리 제조 방법
KR101192370B1 (ko) 무선 전력 통신 시스템, 그리고 그에 사용되는 무선 전력 공급기 및 수신기
EP2546998B1 (en) Core assembly for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and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having the same
KR101228556B1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의 전력 전송 코일 선택 제어 방법, 이를 적용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이를 적용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100792311B1 (ko) 충전전력 공급장치, 충전 장치, 배터리 장치, 무접점 충전 시스템 및 무접점 충전 방법
EP2503660B1 (en)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ssembly and wireless power assembly thereof
WO2013021801A1 (ja) 非接触充電対応型二次電池、非接触充電器
KR20040077228A (ko) 렉테나를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
JP2013502897A (ja) 誘導充電式電源パック
KR20160110219A (ko)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
KR100971717B1 (ko) 휴대단말기용 무접점충전 및 데이터통신 제어모듈과 그 배치구조
KR20140067185A (ko) 엔에프씨통신회로부와 무선충전회로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장치
KR101499331B1 (ko) 엔에프씨 통신부를 포함하는 무선충전 식별 배터리팩
KR101469463B1 (ko) 무선충전 배터리팩
KR20140056606A (ko) 엔에프씨통신회로부와 무선충전회로부를 포함하는 무선충전 배터리팩
KR20070074719A (ko) 충전 회로부와 코일부가 분리된 무접점 충전장치
KR101745323B1 (ko) 무선충전 배터리 시스템
KR101507053B1 (ko) 무선충전 식별 배터리팩
KR200314273Y1 (ko) 렉테나를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
KR20140083452A (ko) 엔에프씨 겸용 무접점 무선충전 배터리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