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8707A - 터치스크린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8707A
KR20110108707A KR1020100028063A KR20100028063A KR20110108707A KR 20110108707 A KR20110108707 A KR 20110108707A KR 1020100028063 A KR1020100028063 A KR 1020100028063A KR 20100028063 A KR20100028063 A KR 20100028063A KR 20110108707 A KR20110108707 A KR 20110108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substrate
touch screen
transparent
electrode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8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영
오용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8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8707A/ko
Priority to US12/787,312 priority patent/US20110235230A1/en
Priority to CN2010102118122A priority patent/CN102207786A/zh
Publication of KR20110108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7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일면에 제1 투명전극이 형성되는 제1 투명기판, 상기 제1 투명기판과 마주보도록 형성되되, 일면에 제2 투명전극이 형성되는 제2 투명기판, 상기 제1 투명기판의 일면 외측과 상기 제2 투명기판의 일면 외측을 접착시키는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1 투명기판의 타면에 형성되되 입력을 인가받고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대전방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1 투명기판의 상면에 대전방지층을 설치하여 정전기의 발생을 방지하고, 제1 투명기판의 손상을 방지하는 터치스크린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술이 계속 발전함에 따라, 개인용 컴퓨터, 휴대용 전송장치 등은 키보드, 마우스, 디지타이저(Digitizer) 등의 다양한 입력 장치(Input Device)를 이용하여 텍스트 및 그래픽 처리 등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입력 장치들은 개인용 컴퓨터의 용도 확대에 따라 개발된 것으로서 최근의 소형화, 박형화 추세에 있는 휴대용 기기에 적용되기에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기기에 적합한 입력 수단으로 터치스크린이 대두되고 있다.
터치스크린은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는데 이용되는 장치로서, 간단하면서도 오조작이 적고 공간 절약이 가능하며, IT 기기와의 연동성이 용이한 점 등 다양한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장점으로 인해 산업, 교통, 서비스, 의료, 모바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한편, 터치스크린은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 전기자기장 방식(Electro-Magnetic Type), 소오 방식(Saw Type), 및 인프라데드 방식(Infrared Type)으로 구분되는데, 저항막 방식의 경우 터치스크린의 최외층과 신체 등이 접촉할 때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한 노력이 기울여지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저항막 방식의 터치스크린(10)의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고하여, 종래의 터치스크린(1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터치스크린(10)은 투명기판(11), 투명전극(12), 전극(13), 및 접착층(14)을 포함한다.
여기서, 투명기판(11)은 두 장으로 구성되고, 투명기판(11)의 일면에는 각각 투명전극(12)이 형성된다. 또한, 전극(13)은 투명전극(12)에 전압을 인가하는 수단으로 투명기판(11)의 일면에 투명전극(12)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두 장의 투명기판(11) 간 외측에는 접착층(14)이 형성되어, 두 장의 투명기판(11)을 접착시킨다. 또한, 투명기판(11) 간 내측에는 도트 스페이서(15;Dot Spacer)가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터치스크린(10)은 사용자의 신체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의 특정물체와 접촉하면서 마찰에 의한 정전기가 투명기판(11)의 상면에 자주 발생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이 투명기판(11)에 달라붙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터치스크린(10)의 투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물질이 붙은 상태에서 신체 등이 다시 접촉하여 투명기판(11) 상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등 투명기판(11)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최외층의 투명기판 상에 발생하는 정전기를 방지하는 터치스크린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체 등과 접촉하는 투명기판의 손상을 방지하는 터치스크린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은, 일면에 제1 투명전극이 형성되는 제1 투명기판, 상기 제1 투명기판과 마주보도록 형성되되, 일면에 제2 투명전극이 형성되는 제2 투명기판, 상기 제1 투명기판의 일면 외측과 상기 제2 투명기판의 일면 외측을 접착시키는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1 투명기판의 타면에 형성되되 입력을 인가받고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대전방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도성 물질은 알킬인산나트륨염, 전도성 카본블랙, 탄소나노튜브, 또는 전도성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전방지층은 계면 활성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전방지층의 면저항은 104~1010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투명기판의 일면 내측과 상기 제2 투명기판의 일면 내측 간에 형성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접착층에 의해 상기 제2 투명기판의 타면에 접착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접착층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외곽에 형성되는 양면 접착 테이프(DAT)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접착층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형성되는 광학 투명 접착제(OCA)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접착층은 실리콘계, 폴리우레탄계, PVC계, 아크릴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투명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되, 상기 제1 투명전극에 연결되어 전압을 인가하는 제1 전극, 및 상기 제2 투명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되, 상기 제2 투명전극에 연결되어 전압을 인가하는 제2 전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은, 제1 투명기판의 타면에 대전방지층을 형성하여 정전기를 방지하고, 이에 따라, 이물질 등의 부착을 방지하여 터치스크린의 투명성을 확보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물질 등의 부착을 방지함으로써, 제1 투명기판의 스크래치 등의 손상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대전방지층의 면저항을 104~1010Ω/□으로 유지하여, 대전방지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스크린과 디스플레이의 외곽을 양면 접착 테이프(DAT)로 접착함으로써 터치스크린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터치스크린과 디스플레이의 접착이 어긋났을 때 보정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스크린과 디스플레이의 전면을 광학 투명 접착제(OCA)로 접착함으로써, 터치스크린과 디스플레이 간의 공기층을 없애 디스플레이의 왜곡 현상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저항막 방식의 터치스크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100a)의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100a)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100a)은 투명기판(110), 투명전극(120), 전극(130), 제1 접착층(140), 대전방지층(150), 및 제2 접착층(161a, 161b)과 디스플레이(160)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기판(110)은 제1 투명기판(111)과 제2 투명기판(112)의 두 장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 투명기판(111)은 사용자의 신체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의 특정 물체로부터 압력을 인가받는 부재로서 일면에 제1 투명전극(121)이 형성된다. 또한, 제1 투명기판(111)은 압력을 인가받아 휘어지는 부재이므로, 압력이 해제되면 다시 원위치가 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투명기판(111)은 투명하고 탄성이 있는 물질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술폰(PES) 또는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COC)로 구성된 필름 형태일 수 있다. 이외에도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유리(Glass) 또는 강화유리를 활용할 수도 있다. 한편, 제1 투명기판(111)의 상부에 별도의 윈도우판(미도시)을 형성하여 터치스크린(100a)을 보호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투명기판(112)은 제1 투명기판(111)과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부재로서 일면에 제2 투명전극(122)이 형성된다. 제2 투명기판(112)은 제1 투명기판(111)과 동일하게 투명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나, 제1 투명기판(111)과 같이 탄성을 갖출 필요는 없다.
한편, 투명기판(110)에는 투명전극(120)이 각각 형성되는바, 투명전극(120)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투명기판(110)의 일면에 고주파 처리 또는 프라이머(Primer)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전극(120)은 각각의 투명기판(110)에 형성되어 상호 접촉함으로써 신호를 인지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투명전극(120)은 제1 투명전극(121)과 제2 투명전극(122)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1 투명전극(121)은 제1 투명기판(111), 제2 투명전극(122)은 제2 투명기판(112) 상에,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투명전극(121)은 제1 투명기판(111)에 가해진 압력에 의해 제2 투명전극(122)과 접촉하여 전압의 변화가 발생하고, 이를 기초로 제어부(미도시)에서 눌림 좌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며, 제어부(미도시)는 눌림 위치의 좌표를 인식하여 원하는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투명전극(121)과 제2 투명전극(122)은 X축 좌표와 Y축 좌표를 각각 인식할 수 있도록 서로 직교하는 막대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마름모형, 육각형, 팔각형, 삼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투명전극(120)은 하부의 디스플레이(160)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투명한 물질로 구성되고, 도전성이 있는 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투명전극(120)은 인듐-주석 산화물(ITO; Indium Tin Oxide) 등의 금속 산화물, 또는 폴리-3, 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포네이트(PEDOT/PSS), 폴리 아닐린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한 전도성 고분자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투명전극(120)이 금속 산화물로 구성된 경우 증착, 현상, 에칭 등을 통해 투명기판(110)에 코팅할 수 있고, 전도성 고분자로 구성된 경우 실크스크린 인쇄법, 잉크젯 인쇄법, 그라비아 인쇄법, 오프셋 인쇄법 등을 통하여 투명기판(110)에 형성할 수 있다.
전극(130)은 투명전극(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투명전극(120)에 전압을 공급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전극(130)은 제1 전극(131)과 제2 전극(132)으로 구성되고, 제1 전극(131)은 제1 투명기판(111)의 일면 상에 제1 투명전극(121)과 연결되도록, 제2 전극(132)은 제2 투명기판(112)의 일면 상에 제2 투명전극(122)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극(130)은 투명전극(120)에 전압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전극(130)은 은 페이스트(Ag Paste) 또는 유기은으로 조성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극(130)은 투명기판(110)의 외측에 형성되는바, 반드시 투명한 물질로 구성될 필요는 없다.
제1 접착층(140)은 투명전극(120)이 형성된 투명기판(110)의 일면 간 외측에 형성되고, 스페이서(142)는 투명기판(110) 간 내측에 형성되는 부재이다.
여기서, 제1 접착층(140)은 예를 들어, 양면 접착 테이프(DAT)로 구성되어 제1 투명기판(111)과 제2 투명기판(112)을 상호 접착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접착층(140)은 외부 압력에 의해 투명기판(110)의 내측 간에서 제1 투명전극(121)과 제2 투명전극(122)이 접촉될 수 있도록 투명기판(110)의 외측 간에 형성되므로, 제1 접착층(140)의 내측에는 개구부(141)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투명기판(110)의 내측 간, 즉, 개구부(141)에는 스페이서(14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142)는 도트 스페이서(Dot Spacer)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제1 투명전극(121)과 제2 투명전극(122)이 접촉할 때의 충격을 완화하고, 압력이 해제되면 제1 투명기판(111)이 원위치될 수 있도록 반발력을 제공한다. 또한, 외부 압력이 없는데 제1 투명전극(121)과 제2 투명전극(122)이 접촉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도록, 평소에는 투명전극(120) 간 절연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대전방지층(150)은 제1 투명기판(111)의 타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 등의 특정물체가 직접 맞닿아 입력을 인가하는 면에 해당한다.
여기서, 대전방지층(150)은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여 정전기를 제거하고 먼지 등의 이물질이 제1 투명기판(111) 상에 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구체적으로, 정전기는 두 물체가 접촉되는 면에서 형성되는 전기 2중층의 분리에 의해 발생되는데, 대전방지층(150)이 형성된 경우 전도성 물질에 의해 전기 2중층의 층간 분리를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대전방지층(150)은 전도성 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대전방지층(150)은 전도성을 갖는 물질로서 알킬인산나트륨염(Alkylphosphate Sodium salt), 전도성 카본블랙, 탄소나노튜브(CNT), 또는 폴리아닐린(Polyaniline), 폴리에틸렌디옥시치오펜(Polyethylenedioxythiophene), 폴리피롤(Polypyrole), 폴리디오펜(Polythiopene), 폴리피-페닐렌(Poly(p-phenylene)),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폴리피-페닐렌비닐렌(Poly(p-phenylene vinylene)), 폴리티에닐렌비닐렌(Polythienylenevinylene), 폴리이스티아나펜틸렌(Polyisothianaphyhene), 폴리피-페닐렌설파이드(Poly(p-phenylene sulfide)), 이들의 혼합물 등과 같은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PEDOT/PSS)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계면활성제로서 예를 들어, 트리메틸암모니움에톡시드, 트리메틸암모니움부톡시드, 트리메틸암모니움펜옥시드, 트리메틸암모니움피-클로로펜옥시드, 트리메틸암모니움라우옥시드,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알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에서 선택한 양이온 계면활성제, (3-라우라미도프로필) 트리메틸암모늄메틸설페이트, 카본산형, 황산에스테르형, 술폰산염, 인산에스테르형과 같은 음이온 계면활성제, 알킬디메틸아미노초산베타인, 알킬아미드디메틸아미노초산베타인, 2-알킬-엔-카르복시-엔-히드록시이미다졸리늄베타인과 같은 양쪽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형, 다가알콜에스테르형,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블록공중합체와 같은 비이온 계면활성제, 레시틴과 같은 천연 계면활성제, 고분자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대전방지층(150)은 전도성 물질과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여, 면저항이 104~1010Ω/□이 되도록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면저항이 104~1010Ω/□인 경우에, 대전방지층(150)이 전기 2중층의 층간 분리를 차단하여 정전기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면저항이 104Ω/□ 이하인 경우, 대전방지층(150)은 정전기의 방지보다는 하부의 디스플레이(160)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를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면저항이 1010Ω/□ 이상인 경우 부도체에 가까워져 정전기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없다.
대전방지층(150)이 터치스크린(100a)의 최외층에 형성됨에 따라, 정전기가 방지되고 제1 투명기판(111)에 이물질이 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 투명기판(111)에 오염물질이 남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더 깨끗한 디스플레이(160)의 영상을 볼 수 있고, 이물질에 의한 제1 투명기판(111)의 스크래치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대전방지층(150)과 제1 투명기판(111)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제1 투명기판(111)의 타면은 고주파 처리 또는 프라이머 처리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투명기판(112)의 타면에는 제2 접착층(161a)에 의하여 디스플레이(160)가 접착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160)는 사용자에게 화상을 보여주기 위한 부재로서,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EL(Electroluminescense), 또는 CRT(Cathode Ray Tube)일 수 있다.
또한, 제2 접착층(161a)은 제2 투명기판(112)의 타면에 디스플레이(160)를 접착하는 부재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160)의 외곽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접착층(161a)이 외곽에 형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60)와 제2 투명기판(112)이 어긋나게 접착되더라도 다시 분리하여 접착하기 용이하고, 디스플레이(160)와 제2 투명기판(112) 간 기포가 생기지 않아 디스플레이(160)가 더 깨끗하게 보일 수 있다. 한편, 제2 접착층(161a)은 디스플레이(160)의 외곽에 형성되는바 예를 들어, 양면 접착 테이프(DAT)가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100b)의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100b)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기판(110), 투명전극(120), 전극(130), 제1 접착층(140), 대전방지층(150), 및 제2 접착층(161b)과 디스플레이(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착층(161b)을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 생략하도록 하겠다.
제2 접착층(161b)은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제2 투명기판(112)의 타면과 디스플레이(160) 간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접착층(161b)이 전면에 형성되는 경우, 제2 투명기판(112)의 타면과 디스플레이(160) 간 공기층이 존재하지 않아 화상이 왜곡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제2 접착층(161b)은 디스플레이(160)의 전면에 형성되는바 투명한 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광학 투명 접착제(OCA)가 될 수 있다, 광학 투명 접착제(OCA)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콘계, 폴리우레탄계, PVC계, 아크릴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10 : 투명기판 111 : 제1 투명기판
112 : 제2 투명기판 120 : 투명전극
121 : 제1 투명전극 122 : 제2 투명전극
130 : 전극 131 : 제1 전극
132 : 제2 전극 140 : 제1 접착층
141 : 개구부 142 : 스페이서
150 : 대전방지층 160 : 디스플레이
161a, 161b : 제2 접착층

Claims (10)

  1. 일면에 제1 투명전극이 형성되는 제1 투명기판;
    상기 제1 투명기판과 마주보도록 형성되되, 일면에 제2 투명전극이 형성되는 제2 투명기판;
    상기 제1 투명기판의 일면 외측과 상기 제2 투명기판의 일면 외측을 접착시키는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1 투명기판의 타면에 형성되되 입력을 인가받고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대전방지층;
    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물질은 알킬인산나트륨염, 전도성 카본블랙, 탄소나노튜브, 또는 전도성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층은 계면 활성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층의 면저항은 104~1010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기판의 일면 내측과 상기 제2 투명기판의 일면 내측 간에 형성되는 스페이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 접착층에 의해 상기 제2 투명기판의 타면에 접착되는 디스플레이;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층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외곽에 형성되는 양면 접착 테이프(DA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층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형성되는 광학 투명 접착제(OC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층은 실리콘계, 폴리우레탄계, PVC계, 아크릴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되, 상기 제1 투명전극에 연결되어 전압을 인가하는 제1 전극; 및
    상기 제2 투명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되, 상기 제2 투명전극에 연결되어 전압을 인가하는 제2 전극;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KR1020100028063A 2010-03-29 2010-03-29 터치스크린 KR2011010870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063A KR20110108707A (ko) 2010-03-29 2010-03-29 터치스크린
US12/787,312 US20110235230A1 (en) 2010-03-29 2010-05-25 Touch screen
CN2010102118122A CN102207786A (zh) 2010-03-29 2010-06-18 触摸屏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063A KR20110108707A (ko) 2010-03-29 2010-03-29 터치스크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707A true KR20110108707A (ko) 2011-10-06

Family

ID=44656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8063A KR20110108707A (ko) 2010-03-29 2010-03-29 터치스크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10235230A1 (ko)
KR (1) KR20110108707A (ko)
CN (1) CN1022077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5374A (ko) * 2014-06-18 2015-12-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962B1 (ko) 2010-03-19 2013-09-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인식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298234B1 (ko) 2010-03-19 2013-08-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인식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5896692B2 (ja) 2011-11-16 2016-03-30 日東電工株式会社 入力表示装置
JP2013104847A (ja) * 2011-11-16 2013-05-30 Nitto Denko Corp フィルムセンサ
KR101443986B1 (ko) * 2012-12-27 2014-09-23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 패널
CN103533111A (zh) * 2013-09-25 2014-01-22 昆山鑫宏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手机触摸屏盖板
US10839975B2 (en) * 2014-03-10 2020-11-17 The Boeing Company Graphene coated electronic components
CN104090677A (zh) * 2014-06-20 2014-10-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内嵌式触摸屏和显示装置
CN107168598A (zh) * 2017-06-14 2017-09-15 盐城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防静电功能的电阻式触摸屏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86121B2 (ja) * 2002-07-29 2007-02-28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テープ
JP2005035261A (ja) * 2003-06-26 2005-02-10 Gunze Ltd 帯電防止シート及びタッチパネル
JP2005158008A (ja) * 2003-11-06 2005-06-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タッチパネ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タッチパネル付き液晶表示装置
JP4779681B2 (ja) * 2006-02-07 2011-09-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US8092904B2 (en) * 2006-03-31 2012-01-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ptical article having an antistatic lay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5374A (ko) * 2014-06-18 2015-12-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07786A (zh) 2011-10-05
US20110235230A1 (en) 201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08707A (ko) 터치스크린
CN102707831B (zh) 触摸板和具有该触摸板的触摸屏
JP5346769B2 (ja) タッチパネル及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KR101119251B1 (ko) 터치패널
JP5112492B2 (ja) タッチパネル用透明導電膜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20162099A1 (en) Touch screen
US20110109564A1 (en) Touch screen input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10234529A1 (en) Touch screen
KR101119355B1 (ko) 터치패널
KR20140047936A (ko)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35490A (ko) 디지털 저항막방식 터치패널
US20120032927A1 (en) Touch panel
KR20110133359A (ko) 정전용량방식 터치패널
KR20120066272A (ko) 터치스크린
KR20110121662A (ko)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20110254779A1 (en) Touch screen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421768B2 (en) Touch screen device
JP2014123342A (ja) タッチパネルの連結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19386B1 (ko) 터치스크린
US8355011B2 (en) Resistive touch screen
KR101055524B1 (ko) 터치스크린
US20120092274A1 (en) Touch screen
KR20110124509A (ko) 정전용량방식 터치패널
KR20110095100A (ko) 형상 회복형 표면을 구비한 터치 스크린 입력 장치
KR101055565B1 (ko) 저항막방식 터치스크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