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6712A - 상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상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6712A
KR20110106712A KR1020100025910A KR20100025910A KR20110106712A KR 20110106712 A KR20110106712 A KR 20110106712A KR 1020100025910 A KR1020100025910 A KR 1020100025910A KR 20100025910 A KR20100025910 A KR 20100025910A KR 20110106712 A KR20110106712 A KR 20110106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layer
oxide film
metal layer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5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영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5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6712A/ko
Priority to US13/069,636 priority patent/US8551840B2/en
Publication of KR20110106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6712A/ko
Priority to US14/044,581 priority patent/US882419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20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 H10N70/231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based on solid-state phase change, e.g. between amorphous and crystalline phases, Ovshinsky effec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3/00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 H10B63/20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comprising selection components having two electrodes, e.g. di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011Manufacture or treatment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061Shaping switching materials
    • H10N70/063Shaping switching materials by etching of pre-deposited switching material layers, e.g. lithograph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21Device geometry
    • H10N70/826Device geometry adapted for essentially vertical current flow, e.g. sandwich or pillar type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41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41Electrodes
    • H10N70/8413Electrodes adapted for resistive heat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81Switching materials
    • H10N70/882Compounds of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e.g. chalcogenides
    • H10N70/8825Selenides, e.g. GeS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81Switching materials
    • H10N70/882Compounds of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e.g. chalcogenides
    • H10N70/8828Tellurides, e.g. GeSb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산성 및 생산수율을 증대 또는 극대화할 수 있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그의 제조방법은, 기판 상에 도전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도전 영역 상에서 금속 실리사이드 층과 저항금속 층 사이에 금속 산화막을 포함하는 하부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 전극 상에 상변화 층과 상부 전극을 적층할 수 있다. 금속 산화막은 하부 전극의 도전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상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phase-change memor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at the same}
본 발명은 상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변화 층을 구비한 상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변화 메모리 소자는 상변화 층을 구성하는 칼코케나이드(chalcogenide) 화합물의 상전이에 따른 저항 차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변화 층은 비정질 상태와 결정 상태에서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상변화 층은 하부 전극의 가열온도에 따라 상전이 될 수 있다. 하부 전극은 비저항이 높은 금속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부 전극 형성 시에 발생되는 절연 산화막을 제거하여 생산수율을 증대 또는 극대화할 수 있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하부 전극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증대 또는 극대화할 수 있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하부 전극의 도전 신뢰성을 증대 또는 극대화할 수 있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변화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은,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금속 실리사이드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금속 실리사이드 층 상에 형성되는 자연 산화막을 상기 금속 실리사이드 층 내에 포함된 확산 금속과 반응시켜 금속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 산화막 상에 상변화 층 및 상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자연 산화막은 금속 실리사이드층이 대기중에 노출될 때 생성되는 실리콘 산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자연 산화막은 약 30Å이하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 실리사이드 층의 형성 단계는, 상기 기판 상에 실리사이드 반응 금속을 포함하는 제 1 금속 층과 상기 확산 금속을 포함하는 제 2 금속 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금속 층과 상기 제 2 금속 층을 제 1 열처리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열처리 단계는 약 200℃ 내지 약 650℃정도의 급속 열처리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금속 층과 상기 제 2 금속 층은 화학기상증착방법 또는 스퍼터링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금속 층은 제 2 금속 층에 비해 녹는 점이 낮은 금속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금속 층은 코발트 및 니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금속 층은 티타늄, 탄탈륨, 텅스텐, 몰리브덴, 바나듐, 하프늄, 지르코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 실리사이드 층의 형성 단계는, 상기 금속 실리사이드 층 상에 잔존하는 상기 제 1 금속 층과 상기 제 2 금속 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 실리사이드 층의 형성 단계는, 상기 제 1 금속 층과 상기 제 2 금속 층 상에 보호 금속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 산화막의 형성 단계는, 상기 자연 산화막의 절연 성분을 상기 확산 금속으로 치환시키기 위해 상기 자연 산화막을 제 2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확산 금속은 제 2 열처리 공정에 의해 금속 실리사이드 층 내에서 자연 산화막으로 확산될 수 있다. 제 2 열처리 공정은 약 500℃ 내지 약 750℃정도의 급속열처리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 산화막은 티타늄 산화막, 탄탈륨 산화막, 텅스텐 산화막, 몰리브덴 산화막, 바나듐 산화막, 하프늄 산화막, 지르코늄 산화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 산화막의 형성 단계는, 상기 제 2 열처리 단계 전 또는 후에 상기 기판 상에 저항금속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실리사이드 층과 상기 저항금속 층은 서로 다른 종류의 박막증착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금속 산화막은 금속 실리사이드 층상에 형성되는 자연 산화막으로부터 금속 성분이 치환된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금속 산화막은 금속 실리사이드 층의 형성 시에 내부로 확산된 금속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항금속 층은 금속 실리콘 질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하부 전극의 금속 실리사이드 층 상에 형성되는 자연 산화막을 금속 산화막으로 변형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수율을 증대 또는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 전극을 금속 실리사이드 층, 금속 산화막, 및 저항금속 층의 적층 구조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을 증대 또는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금속 실리사이드 층과 저항금속 층 사이의 금속 산화막으로 하부 전극의 도전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하부 전극의 도전 신뢰성을 증대 또는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메모리 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
도 2는 도 1의 메모리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r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 단면도들.
도 4는 금속 실리사이드 층의 X선 회절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5는 제 1 열처리 공정의 온도 변화에 따른 금속 실리사이드 층 내에 확산된 티타늄의 개수를 나타내는 SIMS 깊이 프로파일 그래프.
도 6은 티타늄 두께에 따른 금속 실리사이드 층 내에 확산된 티타늄의 SIMS 깊이 프로파일 그래프.
도 7a 내지 도 7c는 각각 350℃, 450℃, 750℃ 온도에서의 제 2 열처리 공정을 통해 절연 산화막이 금속 산화막으로 변화되는 것 보여주는 입체 이미지들.
도 8a 내지 도 8r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 단면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것이기 때문에, 설명의 순서에 따라 제시되는 참조 부호는 그 순서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에 더하여, 본 명세서에서, 어떤 막이 다른 막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막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막이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메모리 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메모리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메모리 소자는 상변화 층(40) 하부에서 금속 실리사이드 층(32)과 저항금속 층(36) 사이에 형성된 금속 산화막(35)을 구비하는 하부 전극(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저항금속 층(36)은 비트 라인(54)과 워드 라인(12)으로 선택되는 메모리 셀들(100)의 상변화 층(40)을 상전이 온도까지 용이하게 가열하기 위해 비저항이 높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 실리사이드 층(32)은 다이오드(20)와 전기적으로 오믹 콘택될 수 있다. 금속 산화막(35)은 금속 실리사이드 층(32)과 저항금속 층(36) 사이에서 도전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소자는 금속 실리사이드 층(32)과 저항금속 층(36)사이에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 산화막(35)을 포함하기 때문에 하부 전극(30)의 도전 신뢰성을 증대 또는 극대화할 수 있다.
비트 라인(54)과 워드 라인(12)은 복수개 일 수 있다. 복수메모리 셀들(100)은 서로 교차되는 비트 라인(54)들과 워드 라인(12)들에 의해 매트릭스 형태의 어레이로 배열될 수 있다. 메모리 셀들(100)은 상변화 층(40)과, 선택 능동 소자로서의 다이오드(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변화 층(40)은 온도의 변화에 따라 결정 상태와 비결정 상태로 상전이되는 칼코나이드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변화 층(40)은 비결정 상태와 결정 상태에서의 저항이 서로 다른 가변저항을 가질 수 있다. 워드 라인(12)을 통해 공급되는 전류의 양에 따라 상변화 층(40)의 상태가 결정될 수 있다. 상변화 층(40)은 상부 전극(50)과 하부 전극(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전극(50)은 콘택 플러그(52)를 통해 층간 절연막(42) 상의 비트 라인(54)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부 전극(30)은 다이오드(20)에 의해 워드 라인(12)에 연결될 수 있다.
다이오드(20)는 기판(10) 상의 워드 라인(12)과 하부 전극(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이오드(20)는 실리콘 PN접합(junction)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이오드(20)는 제 1 도전성 불순물로 도핑된 제 1 도전성 불순물 층(16)과, 제 1 도전성 불순물과 반대되는 도전성을 갖는 제 2 도전성 불순물로 도핑된 제 2 도전성 불순물 층(18)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도전성 불순물은 인 또는 아세닉과 같은 n타입의 도너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도전성 불순물은 보론 또는 갈륨과 같은 p타입의 억셉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이오드(20)는 모스 트랜지스터 또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와 같은 능동 소자로 대체될 수 있다. 다이오드(20)와 하부 전극(30) 층은 기판(10) 상의 몰드 절연막(14)의 트렌치(13)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트렌치(13) 내의 하부 전극(30) 상에는 갭필 절연막(38)과 트리밍 절연막(39)이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전극(30)은 워드 라인(12) 및 다이오드(20)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발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 전극(30)은 상변화 층(40)과 다이오드(20) 사이에 적층된 금속 실리사이드 층(32), 금속 산화막(35), 및 저항금속 층(36)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 실리사이드 층(32)은 다이오드(20)의 제 2 도전성 불순물 층(18)과 오믹 콘택될 수 있다. 금속 실리사이드 층(32)은 코발트 실리사이드 또는 니켈 실리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저항금속 층(36)은 상변화 층(40)을 가열하는 히터 층이 될 수 있다. 저항금속 층(36)은 금속 실리사이드 층(32)보다 약 10 내지 100배 이상의 비저항을 갖는 금속 실리콘 질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실리콘 질화막은 티타늄 실리콘 질화막, 탄탈륨 실리콘 질화막, 지르코늄 실리콘 질화막, 및 텅스텐 실리콘 질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 산화막(35)은 저항금속 층(36)과 금속 실리사이드 층(32)의 저항 차이를 완충시킬 수 있다. 금속 산화막(35)은 금속 실리사이드 층(32)보다 저항이 높고, 저항금속 층(36)보다 저항이 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산화막(35)은 약 10-3Ω㎝ 내지 약 1010Ω㎝정도의 비저항을 가질 수 있다. 금속 산화막(35)은 티타늄 산화막, 탄탈륨 산화막, 텅스텐 산화막, 몰리브덴 산화막, 바나듐 산화막, 하프늄 산화막, 지르코늄 산화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소자는 하부 전극(30)의 금속 실리사이드 층(32)과 저항 금속 층 사이에서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 산화막(35)을 포함하기 때문에 하부 전극(30)의 신뢰성을 증대 또는 극대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내지 도 3r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 단면도들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은, 먼저, 기판(10) 상에 워드 라인(12)을 형성한다. 여기서, 기판(10)은 결정 실리콘을 포함하며, 워드 라인(12)은 상기 결정 실리콘에 도전성 불순물이 이온주입된 도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전 영역은 기판(10) 상에 형성된 도전성 불순물 영역, 콘택 패드, 콘택 플러그, 도전성 금속 패턴, 및 게이트 전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전 영역은 기판(10) 상의 소자 분리막 또는 층간 절연막에 의해 절연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기판(10) 상에서 워드 라인(12)을 노출시키는 트렌치(13)를 갖는 몰드 절연막(14)을 형성한다. 몰드 절연막(14)은 USG(Undoped Silicate Glass), BPSG(Boron-Phosphor Silicate Glass), PSG(Phosphor Silicate Glass), BSG(Boron Silicate Glass), SOG(Spin On Glass), TEOS(Tetraethylorthosilicate), PE-TEOS(Plasma Enhanced-Tetraethylorthosilicate), HDP-CVD(High Density Plasma-Chemical Vapor Deposition)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형성된 실리콘 산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렌치(13)는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은 워드 라인(12) 상부의 몰드 절연막(14)을 노출시키는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포토 공정과,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몰드 절연막(14)을 제거하는 식각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트렌치(13) 내에 필러 층(15)을 형성한다. 필러 층(15)은 기판(10) 및 워드 라인(12)과 동일한 결정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필러 층(15)은 선택적 에피택시얼 성장(Selective Epitaxial Growth: SEG)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에피텍시얼 성장방법은 트렌치(13)에서 노출되는 워드 라인(12)의 결정 실리콘을 시드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필러 층(15)은 워드 라인(12) 및 기판(10)과 동일한 결정 방향을 갖는 결정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트렌치(13) 상부의 필러 층(15)을 제거한다. 필러 층(15)은 에치백 공정으로 제거될 수 있다. 트랜치 바닥에 잔존하는 필러 성장 층의 두께는 타임 식각 방법으로 제어될 수 있다.
도 3e를 참조하면, 필러 층(15)에 다이오드(20)를 형성한다. 다이오드(20)는 트렌치(13) 내에서 깊이 방향으로 형성된 제 1 및 제 2 도전성 불순물 층(16, 18)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도전성 불순물 층(16, 18)은 제 1 및 제 2 도전성 불순물로 각각 도핑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도전성 불순물은 서로 다른 에너지로 필러 층(15)에 이온주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도전성 불순물은 인 또는 아세닉과 같은 n타입의 도너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도전성 불순물은 보론 또는 갈륨과 같은 p타입의 억셉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다이오드(20) 하부의 워드 라인(12)은 제 1 도전성 불순물 층(16)과 동일한 제 1 도전성 불순물로 도핑될 수 있다.
도 3f를 참조하면, 다이오드(20)를 포함하는 기판(10) 상에 제 1 금속 층(22)과 제 2 금속 층(24)을 형성한다. 제 1 금속 층(22)과 제 2 금속 층(24)은 화학기상증착방법 또는 스퍼터링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금속 층(22)은 제 2 금속 층(24)에 비해 녹는 점이 낮은 실리사이드 반응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금속 층(22)은 코발트 또는 니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금속 층(24)은 제 1 금속 층(22)의 실리사이드 반응 시에 확산이 우수한 확산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금속 층(24)은 티타늄, 탄탈륨, 텅스텐, 몰리브덴, 바나듐, 하프늄, 지르코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2 금속 층(24) 상부에 제 3 금속 층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제 3 금속 층은 제 1 금속 층(22)과 동일한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3 금속 층은 제 2 금속 층(24)의 모폴로지를 좋게 하기 위한 캡핑 막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금속 층은 티타늄 질화막과 같은 금속 질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g를 참조하면, 다이오드(20) 상에 금속 실리사이드 층(32)을 형성한다. 제 1 열처리 공정의 수행에 의하여, 금속 실리사이드 층(32)은 제 1 금속 층(22)과 제 2 도전성 불순물 층(18)의 반응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열처리 공정은 약 200℃ 내지 약 650℃정도의 급속열처리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실리사이드 층(32)은 코발트 실리사이드 또는 니켈 실리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금속 층(24)은 제 1 열처리 공정 시에 금속 실리사이드 층(32)으로 확산될 수 있다.
도 3h를 참조하면, 금속 실리사이드 층(32) 상의 제 1 금속 층(22) 잔존물과 제 2 금속 층(24)을 제거한다. 제 1 금속 층(22)과 제 2 금속 층(24)은 금속 실리사이드 층(32)에 비해 식각 선택비를 갖는 식각 용액(etchant) 또는 식각 가스를 이용한 습식식각방법 또는 건식식각방법의 식각공정으로 제거될 수 있다. 즉, 식각 공정으로 금속 실리사이드 반응 후 잔존하는 단일 금속 성분의 제 1 금속 층(22)과 제 2 금속 층(24)이 제거될 수 있다.
한편, 금속 실리사이드 층(32)은 제 2 금속 층(24)의 금속 성분을 다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발트 실리사이드는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티타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금속 실리사이드 층의 X선 회절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여기서, 그래프의 가로축은 X선 회절 분석에서의 2쎄타(Theta)에 대응되는 각도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2쎄타 피크(peak) 강도를 나타낸다. 코발트 실리사이드는 실리콘의 기판(10) 상에서 약 12nm의 코발트와, 약 15nm정도의 티타늄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제 1 열처리 공정을 통해, 코발트 실리사이드는 다량의 코발트 티타늄, 티타늄 질화물, 및 티타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금속 실리사이드 층 내에 확산된 티타늄의 SIMS 깊이 프로파일 그래프들로서, 금속 실리사이드 층은 제 1 열처리 공정의 온도가 높고, 확산 금속으로서 티타늄의 두께가 높을 때, 다량의 티타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그래프 가로축은 금속 실리사이드 층(32)의 깊이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티타늄 개수를 나타낸다. 도 5의 그래프들은 제 1 열처리 온도가 500℃에서 650℃까지 증가되면, 금속 실리사이드 층(32) 내에 확산된 티타늄이 증가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6의 그래프들은 티타늄의 두께가 각각 1.5nm(a), 3nm(b), 5nm(b)으로 증가되면, 금속 실리사이드 층(32) 내에 확산된 티타늄이 증가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의 그래프들은 금속 실리사이드 층(32) 내에 확산된 티타늄이 깊이 방향으로 줄어드는 것을 공통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은 제 1 열처리 공정으로 다이오드(20) 상의 금속 실리사이드 층(32) 내에 다량의 제 2 금속 층(24)을 확산 시킬 수 있다.
도 3i를 참조하면, 금속 실리사이드 층(32) 상에 절연 산화막(34)을 형성한다. 절연 산화막(34)은 금속 실리사이드 층(32) 내에 함유된 실리콘과, 대기중의 산소가 결합된 실리콘 산화막과 같은 자연 산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자연 산화막은 대기중의 금속 실리사이드 층(32)의 상부 표면에서 약 30Å이하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 산화막(34)은 금속 실리사이드 층(32)의 더미 열처리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j를 참조하면, 절연 산화막(34) 상에 저항금속 층(36)을 형성한다. 저항금속 층(36)은 유기금속화학기상증착(Metal-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OCVD)방법으로 형성된 금속 실리콘 질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 실리콘 질화막은 금속 실리사이드 및 금속 질화막보다 약 10 내지 100배 이상의 비저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실리콘 질화막은 티타늄 실리콘 질화막, 탄탈륨 실리콘 질화막, 지르코늄 실리콘 질화막, 및 텅스텐 실리콘 질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티타늄 실리콘 질화막은 질화티타늄을 포함하는 TDMAT와, 질화 실리콘을 포함하는 BTBAS를 소스 가스들로 사용하는 유기금속화학기상증착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기금속화학기상증착방법은 플라즈마 반응을 사용하지 않고, 약 200℃이상 고온의 소스 가스로부터 화학반응되는 금속 실리콘 질화막을 상기 기판(10) 상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유기금속화학기상증착방법은 금속 실리사이드 층(32) 상부 표면에 형성되는 자연산화막과 같은 절연 산화막(34)이 제거되지 않은 채 금속 실리콘 질화막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k를 참조하면, 절연 산화막(34)을 금속 산화막(35)으로 변환한다. 제 2 열처리 공정의 수행에 의하여, 금속 산화막(35)은 금속 실리사이드 층(32)과 금속 실리콘 질화막 사이에 형성된 절연 산화막(34)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산화막(35)은 티타늄 산화막, 탄탈륨 산화막, 텅스텐 산화막, 몰리브덴 산화막, 바나듐 산화막, 하프늄 산화막, 지르코늄 산화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열처리 공정(annealing process)은 약 500℃ 내지 약 750℃의 급속열처리 공정(Rapid Thermal Process: RTP)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와 같이, 제 2 열처리 공정은 절연 산화막(34) 내의 절연 성분을 금속 실리사이드로부터 확산된 제 2 금속 층의 금속 성분으로 치환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각각 350℃, 450℃, 750℃ 온도에서의 제 2 열처리 공정을 통해 절연 산화막(34)이 금속 산화막(35)으로 변화되는 것 보여주는 입체 이미지들로서, 절연 산화막(34)은 제 2 열처리 공정의 온도에 비례하여 다량의 금속 산화막(35)으로 변환될 수 있다. 입체 이미지들은, 금속 산화막(35)이 증가될수록 표면 거칠기(surface roughness)가 증가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은 금속 실리사이드 층(32)의 상부 표면에 형성되는 절연 산화막(34)을 금속 산화막(35)으로 변환하여 하부 전극(30)의 도전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생산수율을 증대 또는 극대화할 수 있다.
도 3l을 참조하면, 저항금속 층(36) 상에 갭필 절연막(38)을 형성하고, 몰드 절연막(14)이 노출될 때까지 기판(10) 전면을 평탄화한다. 갭필 절연막(38)은 저항금속 층(36) 상에서 트렌치(13)를 매립할 수 있다. 갭필 절연막(38)은 몰드 절연막(14)과 동일한 실리콘 산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갭필 절연막(38)과 저항금속 층(36)은 몰드 절연막(14) 상에서 화학적 기계적 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방법에 의해 평탄하게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저항금속 층(36)은 몰드 절연막(14)과 갭필 절연막(38)에 의해 원형 또는 다각형의 링(ring)모양으로 노출될 수 있다.
도 3m을 참조하면, 저항금속 층(36)의 일부를 차폐하는 트리밍 절연막(39)을 형성한다. 트리밍 절연막(39)은 저항금속 층(36) 상에 쐐기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트리밍 절연막(39)은 몰드 절연막(14)과 갭필 절연막(38)사이에서 노출되는 저항금속 층(36)의 표면적을 제어할 수 있다. 트리밍 절연막(39)은 저항금속 층(36), 몰드 절연막(14), 및 갭필 절연막(38)이 일부 식각된 부분에 매립될 수 있다.
도 3n을 참조하면, 저항금속 층(36) 상에 상변화 층(40) 및 상부 전극(50)을 형성한다. 상변화 층(40) 및 상부 전극(50)은 하부 전극(30) 상에 화학기상증착방법 및/또는 물리기상증착방법으로 적층된 후,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해 패터닝될 수 있다. 상변화 층(40)은 게르마늄-안티몬-텔루르(GST) 또는 이들에 탄소, 질소 및/또는 금속이 도핑된 켈코게나이드 화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전극(50)은 티타늄, 텅스텐, 알미늄, 니켈, 지르코늄, 몰리브덴, 루테늄, 팔라듐, 하프늄, 탄탈륨, 이리듐, 백금 중 적어도 하나의 단일 금속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전극(50)은 티타늄 질화막, 니켈 질화막, 지르코늄 질화막, 몰리브덴 질화막, 루테늄 질화막, 팔라듐 질화막, 하프늄 질화막, 탄탈륨 질화막, 이리듐 질화막, 백금 질화막, 텅스텐 질화막, 알류미늄 질화막, 니오븀 질화막, 티타늄 알루미늄 질화막, 지르코늄 알루미늄 질화막, 몰리브덴 알루미늄 질화막, 탄탈륨 알루미늄 질화막 적어도 하나의 금속 질화막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o를 참조하면, 상변화 층(40) 및 상부 전극(50) 상에 층간 절연막(42)을 형성한다. 층간 절연막(42)은 몰드 절연막(14)과 동일한 실리콘 산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p를 참조하면, 층간 절연막(42)을 제거하여 콘택 홀을 형성한다. 콘택 홀은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은 상부 전극(50) 상부의 층간 절연막(42)을 노출하는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포토 공정과,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층간 절연막(42)을 제거하는 식각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q를 참조하면, 콘택 홀 내에 콘택 플러그(52)를 형성한다. 콘택 플러그(52)는 텅스텐, 알루미늄, 구리, 탄탈륨, 티타늄과 같은 금속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콘택 플러그(52)는 콘택 홀내에 금속 층이 매립된 후, 층간 절연막(42)이 노출되는 상기 금속 층의 에치백 공정 또는 평탄화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3r을 참조하면, 마지막으로, 콘택 플러그(52) 상에 비트 라인(54)을 형성한다. 비트 라인(54)은 텅스텐, 알루미늄, 구리, 탄탈륨, 티타늄과 같은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비트 라인(54)은 금속 층의 증착 공정과, 상기 금속 층을 패터닝하는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금속 층의 증착 공정은 스퍼터링 방법 또는 화학기상증착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은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포토 공정과,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금속 층을 제거하는 식각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은, 금속 실리사이드 층(32) 및 저항금속 층(36) 사이에서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 산화막(35)을 포함하는 하부 전극(3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r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 단면도들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기판(10) 상에 워드 라인(12)을 형성한다. 여기서, 기판(10)은 결정 실리콘을 포함하며, 워드 라인(12)은 상기 결정 실리콘에 도전성 불순물이 이온주입된 도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전 영역은 기판(10) 상에 형성된 도전성 불순물 영역, 콘택 패드, 콘택 플러그, 도전성 금속 패턴, 및 게이트 전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전 영역은 기판(10) 상의 소자 분리막 또는 층간 절연막(42)에 의해 절연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기판(10) 상에서 워드 라인(12)을 노출시키는 트렌치(13)를 갖는 몰드 절연막(14)을 형성한다. 몰드 절연막(14)은 USG(Undoped Silicate Glass), BPSG(Boron-Phosphor Silicate Glass), PSG(Phosphor Silicate Glass), BSG(Boron Silicate Glass), SOG(Spin On Glass), TEOS(Tetraethylorthosilicate), PE-TEOS(Plasma Enhanced-Tetraethylorthosilicate), HDP-CVD(High Density Plasma-Chemical Vapor Deposition)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형성된 실리콘 산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렌치(13)는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은 워드 라인(12) 상부의 몰드 절연막(14)을 노출시키는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포토 공정과,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몰드 절연막(14)을 제거하는 식각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트렌치(13) 내에 필러 층(15)을 형성한다. 필러 층(15)은 기판(10) 및 워드 라인(12)과 동일한 결정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필러 층(15)은 선택적 에피택시얼 성장(Selective Epitaxial Growth: SEG)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에피텍시얼 성장방법은 트렌치(13)에서 노출되는 워드 라인(12)의 결정 실리콘을 시드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필러 층(15)은 워드 라인(12) 및 기판(10)과 동일한 결정 방향을 갖는 결정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d를 참조하면, 트렌치(13) 상부의 필러 층(15)을 제거한다. 필러 층(15)은 에치백 공정으로 제거될 수 있다. 트랜치 바닥에 잔존하는 필러 성장 층의 두께는 타임 식각 방법으로 제어될 수 있다.
도 8e를 참조하면, 필러 층(15)에 다이오드(20)를 형성한다. 다이오드(20)는 트렌치(13) 내에서 깊이 방향으로 형성된 제 1 및 제 2 도전성 불순물 층(16, 18)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도전성 불순물 층(16, 18)은 제 1 및 제 2 도전성 불순물로 각각 도핑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도전성 불순물은 서로 다른 에너지로 필러 층(15)에 이온주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도전성 불순물은 인 또는 아세닉과 같은 n타입의 도너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도전성 불순물은 보론 또는 갈륨과 같은 p타입의 억셉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다이오드(20) 하부의 워드 라인(12)은 제 1 도전성 불순물 층(16)과 동일한 제 1 도전성 불순물로 도핑될 수 있다.
도 8f를 참조하면, 다이오드(20)를 포함하는 기판(10) 상에 제 1 금속 층(22), 제 2 금속 층(24), 및 제 3 금속 층(26)을 적층한다. 제 1 금속 층(22), 제 2 금속 층(24), 및 제 3 금속 층(26)은 화학기상증착방법 또는 스퍼터링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금속 층(22)은 제 2 금속 층(24)에 비해 녹는 점이 높을 수 있다. 제 2 금속 층(24)은 고온에서 제 1 금속 층(22)을 통과(penetration)할 수 있다. 제 2 금속 층(24)은, 제 1 금속 층(22) 하부의 제 2 도전성 불순물 층(18)과 실리사이드 반응되는, 실리사이드 반응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금속 층(24)은 코발트 또는 니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금속 층(22)은 제 2 금속 층(24)의 실리사이드 반응 시에 제 1 금속 층(22)의 확산이 우수한 확산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금속 층(22)은 티타늄, 탄탈륨, 텅스텐, 몰리브덴, 바나듐, 하프늄, 지르코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금속 층(26)은 실리사이드 반응 시에 제 2 금속 층(24)을 보호하는 보호 금속 층으로서 티타늄 질화막과 같은 금속 질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g를 참조하면, 다이오드(20) 상에 금속 실리사이드 층(32)을 형성한다. 제 1 열처리 공정의 수행에 의하여, 금속 실리사이드 층(32)은 제 2 금속 층(24)과 제 2 도전성 불순물 층(18)의 반응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열처리 공정은 약 200℃ 내지 약 650℃정도의 급속 열처리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 실리사이드 층(32)은 제 2 도전성 불순물 층(18)과 제 1 금속 층(22)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금속 실리사이드 층(32)은 제 2 도전성 불순물 층(18)을 깊이 방향으로 희생시키면서 형성될 수 있다. 금속 실리사이드 층(32)은 제 2 금속 층(24)의 금속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실리사이드 층(32)은 약 200Å 내지 약 300Å정도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금속 실리사이드 층(32)은 코발트 실리사이드 또는 니켈 실리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금속 층(24)의 금속 성분은 제 1 금속 층(22)을 통과(penetration)한 후에 제 2 도전성 불순물 층(18)과 금속 실리사이드 반응될 수 있다. 제 3 금속 층(26)은 제 2 금속 층(24)의 모폴로지를 좋게 할 수 있다.
제 2 금속 층(24)은 제 1 열처리 공정에 의해 트렌치(13) 바닥에서 두께가 줄어들거나 제거될 수 있다. 이는 금속 실리사이드 반응으로 트렌치(13) 바닥에서 제 2 금속 층(24)의 금속 성분이 다량으로 소모되기 때문이다. 금속 실리사이드 층(32)은 제 1 금속 층(22)과 제 2 금속 층(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금속 층(24)의 소모와 함께 제 1 금속 층(22)의 금속 성분은 제 1 열처리 공정 시에 금속 실리사이드 층(32)으로 확산될 수 있다. 제 2 금속 층(24)의 투과는 금속 실리사이드 층(32)으로 제 1 금속 층(22)의 금속 성분 확산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1 열처리 공정은 금속 실리사이드 층(32) 내에 다량의 제 1 금속 층(22)의 금속 성분을 확산시킬 수 있다.
도 8h를 참조하면, 금속 실리사이드 층(32) 상의 제 1 금속 층(22), 제 2 금속 층(24), 및 제 3 금속 층(26)을 제거한다. 제 1 금속 층(22), 제 2 금속 층(24), 및 제 3 금속 층(26)은 금속 실리사이드 층(32)에 식각 선택비를 갖는 식각 용액(etchant) 또는 식각 가스를 이용한 습식식각방법 또는 건식식각방법의 식각공정으로 제거될 수 있다. 즉, 식각 공정으로 금속 실리사이드 반응 후 잔존하는 단일 금속 성분의 제 1 금속 층(22), 제 2 금속 층(24), 및 제 3 금속 층(26)이 제거될 수 있다. 금속 실리사이드 층(32)은 제 1 금속 층(22)의 금속 성분을 다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은 제 1 열처리 공정으로 다이오드(20) 상의 금속 실리사이드 층(32)을 형성하고, 상기 금속 실리사이드 층(32) 내에 제 1 금속 층(22)의 금속 성분을 확산시킬 수 있다.
도 8i를 참조하면, 금속 실리사이드 층(32) 상에 절연 산화막(34)을 형성한다. 절연 산화막(34)은 금속 실리사이드 층(32) 내에 함유된 실리콘과, 대기중의 산소가 결합된 실리콘 산화막과 같은 자연 산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자연 산화막은 대기중의 금속 실리사이드 층(32)의 상부 표면에서 약 30Å이하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 산화막(34)은 금속 실리사이드 층(32)의 더미 열처리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j를 참조하면, 절연 산화막(34)을 금속 산화막(35)으로 변환한다. 금속 산화막(35)은 절연 산화막(34)의 제 2 열처리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산화막(35)은 티타늄 산화막, 탄탈륨 산화막, 텅스텐 산화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열처리 공정(annealing process)은 약 500℃ 내지 약 750℃의 급속열처리 공정(Rapid Thermal Process: RTP)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열처리 공정은 절연 산화막(34) 내의 절연 성분이 금속 실리사이드에 내에 확산된 제 1 금속 층(22)의 금속 성분으로 치환되는 금속 산화막(35)을 형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은 금속 실리사이드 층(32)의 상부 표면에 형성되는 절연 산화막(34)을 금속 산화막(35)으로 변환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수율을 증대 또는 극대화할 수 있다.
도 8k를 참조하면, 금속 산화막(35) 상에 저항금속 층(36)을 형성한다. 저항금속 층(36)은 유기금속화학기상증착(Metal-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OCVD)방법으로 형성된 금속 실리콘 질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 실리콘 질화막은 금속 실리사이드 및 금속 산화막(35)보다 약 10 내지 100배 이상의 비저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실리콘 질화막은 티타늄 실리콘 질화막, 탄탈륨 실리콘 질화막, 지르코늄 실리콘 질화막, 및 텅스텐 실리콘 질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티타늄 실리콘 질화막은 질화티타늄을 포함하는 TDMAT와, 질화 실리콘을 포함하는 BTBAS를 소스 가스들로 사용하는 유기금속화학기상증착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기금속화학기상증착방법은 플라즈마 반응을 사용하지 않고, 약 200℃이상 고온의 소스 가스로부터 화학반응되는 금속 실리콘 질화막을 상기 기판(10) 상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유기금속화학기상증착방법은 금속 실리사이드 층(32) 상부 표면에 형성되는 자연산화막과 같은 절연 산화막(34)이 제거되지 않은 채 금속 실리콘 질화막을 형성할 수 있다.
도 8l을 참조하면, 저항금속 층(36) 상에 갭필 절연막(38)을 형성하고, 몰드 절연막(14)이 노출될 때까지 기판(10) 전면을 평탄화한다. 갭필 절연막(38)은 저항금속 층(36) 상에서 트렌치(13)를 매립할 수 있다. 갭필 절연막(38)은 몰드 절연막(14)과 동일한 실리콘 산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갭필 절연막(38)과 저항금속 층(36)은 몰드 절연막(14) 상에서 화학적 기계적 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방법에 의해 평탄하게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저항금속 층(36)은 몰드 절연막(14)과 갭필 절연막(38)에 의해 원형 또는 다각형의 링(ring)모양으로 노출될 수 있다.
도 8m을 참조하면, 저항금속 층(36)의 일부를 차폐하는 트리밍 절연막(39)을 형성한다. 트리밍 절연막(39)은 저항금속 층(36) 상에 쐐기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트리밍 절연막(39)은 몰드 절연막(14)과 갭필 절연막(38)사이에서 노출되는 저항금속 층(36)의 표면적을 제어할 수 있다. 트리밍 절연막(39)은 저항금속 층(36), 몰드 절연막(14), 및 갭필 절연막(38)이 일부 식각된 부분에 매립될 수 있다.
도 8n을 참조하면, 저항금속 층(36) 상에 상변화 층(40) 및 상부 전극(50)을 형성한다. 상변화 층(40) 및 상부 전극(50)은 하부 전극(30) 상에 화학기상증착방법 및/또는 물리기상증착방법으로 적층된 후,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해 패터닝될 수 있다. 상변화 층(40)은 게르마늄-안티몬-텔루르(GST) 또는 이들에 탄소, 질소 및/또는 금속이 도핑된 켈코게나이드 화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전극(50)은 티타늄, 텅스텐, 알미늄, 니켈, 지르코늄, 몰리브덴, 루테늄, 팔라듐, 하프늄, 탄탈륨, 이리듐, 백금 중 적어도 하나의 단일 금속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전극(50)은 티타늄 질화막, 니켈 질화막, 지르코늄 질화막, 몰리브덴 질화막, 루테늄 질화막, 팔라듐 질화막, 하프늄 질화막, 탄탈륨 질화막, 이리듐 질화막, 백금 질화막, 텅스텐 질화막, 알류미늄 질화막, 니오븀 질화막, 티타늄 알루미늄 질화막, 지르코늄 알루미늄 질화막, 몰리브덴 알루미늄 질화막, 탄탈륨 알루미늄 질화막 적어도 하나의 금속 질화막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8o를 참조하면, 상변화 층(40) 및 상부 전극(50) 상에 층간 절연막(42)을 형성한다. 층간 절연막(42)은 몰드 절연막(14)과 동일한 실리콘 산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p를 참조하면, 층간 절연막(42)을 제거하여 콘택 홀을 형성한다. 콘택 홀은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은 상부 전극(50) 상부의 층간 절연막(42)을 노출하는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포토 공정과,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층간 절연막(42)을 제거하는 식각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q를 참조하면, 콘택 홀 내에 콘택 플러그(52)를 형성한다. 콘택 플러그(52)는 텅스텐, 알루미늄, 구리, 탄탈륨, 티타늄과 같은 금속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콘택 플러그(52)는 콘택 홀내에 금속 층이 매립된 후, 층간 절연막(42)이 노출되는 상기 금속 층의 에치백 공정 또는 평탄화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8r을 참조하면, 마지막으로, 콘택 플러그(52) 상에 비트 라인(54)을 형성한다. 비트 라인(54)은 텅스텐, 알루미늄, 구리, 탄탈륨, 티타늄과 같은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비트 라인(54)은 금속 층의 증착 공정과, 상기 금속 층을 패터닝하는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금속 층의 증착 공정은 스퍼터링 방법 또는 화학기상증착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은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포토 공정과,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금속 층을 제거하는 식각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은, 금속 실리사이드 층(32) 및 저항금속 층(36) 사이에서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 산화막(35)을 포함하는 하부 전극(3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기판 20: 다이오드
30: 하부 전극 40: 상변화 층
50: 상부 전극 100: 메모리 셀

Claims (10)

  1.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금속 실리사이드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금속 실리사이드 층 상에 형성되는 자연 산화막을 상기 금속 실리사이드 층 내에 포함된 확산 금속과 반응시켜 금속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 산화막 상에 상변화 층 및 상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실리사이드 층의 형성 단계는,
    상기 기판 상에 실리사이드 반응 금속을 포함하는 제 1 금속 층과 상기 확산 금속을 포함하는 제 2 금속 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금속 층과 상기 제 2 금속 층을 제 1 열처리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사이드 반응 금속은 코발트 및 니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실리사이드 층의 형성 단계는, 상기 금속 실리사이드 층 상에 잔존하는 상기 제 1 금속 층과 상기 제 2 금속 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실리사이드 층의 형성 단계는, 상기 제 1 금속 층과 상기 제 2 금속 층 상에 보호 금속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금속은 티타늄, 탄탈륨, 텅스텐, 몰리브덴, 바나듐, 하프늄, 지르코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산화막의 형성 단계는, 상기 자연 산화막의 절연 성분을 상기 확산 금속으로 치환시키기 위해 상기 자연 산화막을 제 2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산화막은 티타늄 산화막, 탄탈륨 산화막, 텅스텐 산화막, 몰리브덴 산화막, 바나듐 산화막, 하프늄 산화막, 지르코늄 산화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산화막의 형성 단계는, 상기 제 2 열처리 단계 전 또는 후에 상기 기판 상에 저항금속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금속 층은 금속 실리콘 질화막을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20100025910A 2010-03-23 2010-03-23 상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1010671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910A KR20110106712A (ko) 2010-03-23 2010-03-23 상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US13/069,636 US8551840B2 (en) 2010-03-23 2011-03-23 Methods of forming phase-change memory devices and devices so formed
US14/044,581 US8824195B2 (en) 2010-03-23 2013-10-02 Methods of forming phase-change memory devices and devices so form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910A KR20110106712A (ko) 2010-03-23 2010-03-23 상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712A true KR20110106712A (ko) 2011-09-29

Family

ID=44655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5910A KR20110106712A (ko) 2010-03-23 2010-03-23 상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8551840B2 (ko)
KR (1) KR2011010671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48860B2 (en) 2012-08-24 2014-06-10 SK Hynix Inc. Phase change memory device having self-aligned bottom electrod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972B1 (ko) * 2009-09-15 2016-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저항 소자를 갖는 반도체 장치 및 그 형성 방법
CN102005466A (zh) * 2010-09-28 2011-04-06 中国科学院上海微***与信息技术研究所 一种具有低k介质绝热材料的相变存储器结构及制备方法
US8466005B2 (en) * 2011-07-22 2013-06-18 Intermolecular, Inc. Method for forming metal oxides and silicides in a memory device
US9054295B2 (en) * 2011-08-23 2015-06-09 Micron Technology, Inc. Phase change memory cells including nitrogenated carbon materials, methods of forming the same, and phase change memory devices including nitrogenated carbon materials
US8962384B2 (en) 2012-01-20 2015-02-24 Micron Technology, Inc. Memory cells having heaters with angled sidewalls
US8692373B2 (en) 2012-02-21 2014-04-08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forming a metal silicide region on at least one silicon structure
JP6308136B2 (ja) * 2012-12-25 2018-04-11 ソニー株式会社 記憶素子および記憶装置
US9178152B2 (en) * 2013-12-23 2015-11-03 Intermolecular, Inc. 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of embedded resistors for ReRAM cells
KR20160004525A (ko) * 2014-07-03 2016-01-13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235612B1 (ko) 2015-01-29 2021-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일-함수 금속을 갖는 반도체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KR102499288B1 (ko) * 2016-01-08 2023-02-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038101B2 (en) * 2017-11-21 2021-06-15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Semiconductor structure having a phase change memory device
US11309217B2 (en) * 2018-03-01 2022-04-1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Contact plug and method of formation
US10734576B2 (en) * 2018-03-16 2020-08-04 4D-S, Ltd. Resistive memory device having ohmic contacts
US11211556B1 (en) * 2020-07-20 2021-12-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sistive element for PCM RPU by trench depth patterning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79413B2 (en) * 2004-06-16 2007-10-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igh-temperature stable gate structure with metallic electrode
US8501523B2 (en) * 2004-10-28 2013-08-06 Micron Technology, Inc. Depositing titanium silicon nitride films for forming phase change memories
KR100645064B1 (ko) * 2005-05-23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금속 산화물 저항 기억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717286B1 (ko) * 2006-04-21 2007-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상변화 물질층의 형성 방법과, 그 방법을 이용한 상변화기억 소자의 형성 방법 및 상변화 기억 소자
JP5091491B2 (ja) * 2007-01-23 2012-12-05 株式会社東芝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US7629198B2 (en) * 2007-03-05 2009-12-08 Intermolecular, Inc. Methods for forming nonvolatile memory elements with resistive-switching metal oxides
KR100911473B1 (ko) 2007-06-18 2009-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상변화 메모리 유닛, 이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상변화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TW200910526A (en) * 2007-07-03 2009-03-01 Renesas Tech Corp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9000408B2 (en) * 2007-10-12 2015-04-07 Ovonyx, Inc. Memory device with low reset current
KR20090070304A (ko) 2007-12-27 2009-07-0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상변화 메모리 소자의 오믹 콘택층 형성방법
KR100945791B1 (ko) 2008-03-07 2010-03-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상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48860B2 (en) 2012-08-24 2014-06-10 SK Hynix Inc. Phase change memory device having self-aligned bottom electrod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27704A1 (en) 2014-01-30
US20110233503A1 (en) 2011-09-29
US8824195B2 (en) 2014-09-02
US8551840B2 (en) 201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06712A (ko) 상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69645B1 (ko) 열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7598112B2 (en) Phase change memory devices and their methods of fabrication
US7541252B2 (en) Methods of fabricating a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a self-aligned cell diode
US9431610B2 (en) Methods of manufacturing a phase change memory device including a heat sink
KR100827661B1 (ko) 이중의 하부 전극을 갖는 상변화 기억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019986B1 (ko) 성장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콘택 구조를 절연시키는 절연막을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및 그들의 제조방법
US20160240665A1 (en) Vertical transistor and local interconnect structure
US9935194B2 (en) 3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200832682A (en) Non-volatile memory devices having cell diodes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945791B1 (ko) 상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487563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US20110281411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KR101321948B1 (ko) 저항소자를 갖는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20120228577A1 (en) Phase change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318700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phase change memory device
KR20100107617A (ko) 상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8481426B2 (en) Method of forming pattern structure and method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CN103633144A (zh) 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KR20120104041A (ko) 상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US20100207092A1 (en) Phase change memory device switched by schottky diod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90049270A (ko) 상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89132A (ko) 상변화 메모리 유닛,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
TW202221908A (zh) 用於形成立體(3d)記憶體元件的方法
KR20090036772A (ko) 저항소자를 갖는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