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7418A -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 Google Patents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7418A
KR20110097418A KR1020100017253A KR20100017253A KR20110097418A KR 20110097418 A KR20110097418 A KR 20110097418A KR 1020100017253 A KR1020100017253 A KR 1020100017253A KR 20100017253 A KR20100017253 A KR 20100017253A KR 20110097418 A KR20110097418 A KR 20110097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transfer
transfer object
passage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7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석진
Original Assignee
(주) 피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피토 filed Critical (주) 피토
Priority to KR1020100017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7418A/ko
Publication of KR20110097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74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65G47/1407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 B65G47/1478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by means of pick-up devices, the container remaining immobile
    • B65G47/1485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by means of pick-up devices, the container remaining immobile using suction or magnetic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65G47/8807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with one stop
    • B65G47/8815Reciprocating stop, moving up or down in the path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5/00Stopping elements used in conveyors to stop articles or arrays of articles
    • B65G2205/06Cushioned or damping stop devices, e.g. using springs or other mechanical a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Conveying (AREA)

Abstract

이송대상물을 확실하게 소정 개수씩 분리하여 이송할 수 있는 이송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는 이송통로가 마련된 베이스와, 이송통로로 돌출되어 이송대상물을 정지시키는 제1스토퍼 및 이송대상물을 이송통로의 표면으로 압박하여 정지시키는 제2스토퍼를 포함하며, 제1스토퍼가 이송대상물을 정지시키는 동안에는 제2스토퍼가 이송대상물을 정지시키지 않는 위치에 있고, 제1스토퍼가 이송대상물을 정지시키지 않는 동안에는 제2스토퍼가 이송대상물을 정지시키는 위치에 있도록 제1스토퍼와 제2스토퍼가 결합된다.

Description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TRANSFER APPARATUS AND TRANSFER METHOD}
본 발명은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송대상물을 확실하게 소정 개수씩 분리하여 이송할 수 있는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9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이송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이송장치는 공급부(40), 베이스커버(30), 베이스(50), 인덱스 테이블(20), 센서(31a, 31b) 및 스토퍼(60)를 포함한다.
이송대상물(W)이 공급부(40)에 의하여 이송통로(52)로 공급되면, 베이스(50)에 마련된 흡입구(51)에 의하여 공기가 흡입되면서 이송대상물(W)에 흡입력이 작용하여 인덱스 테이블(20)측으로 빨려가게 된다.
흡입되는 이송대상물(W)이 하나씩 인덱스 테이블(20)의 수용홈에 수용되면, 센서(31a, 31b)에 의하여 이송대상물(W)이 감지된다.
이어서, 스토퍼(60)가 상승하여 후방의 다른 이송대상물(W)을 차단시키게 된다.
이어서, 인덱스 테이블(20)이 수용홈 상호간의 중심각도 만큼 회전하게 되고, 하나씩 분리된 이송대상물(W)은 포장공정이나 다른 후속 공정으로 이송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이송장치의 경우, 전방의 이송대상물(W)이 인덱스 테이블의 수용홈으로 흡입될 때, 후방의 다른 이송대상물(W)이 함께 흡입되면서 후방의 다른 이송대상물(W)이 스토퍼(60)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미처 스토퍼(60)가 상승하여 차단하기 전에 후방의 다른 이송대상물(W)이 진입함에 따라 스토퍼(60) 또는 스토퍼(60)를 동작시키는 구동장치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장치의 파손을 일으키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
한편, 스토퍼(60)와 인덱스 테이블(20)의 거리가 비교적 먼 경우에는 미처 스토퍼(60)가 상승하기 전에 복수개의 이송대상물(W)이 한꺼번에 인덱스 테이블(20)의 수용홈에 진입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확실하게 하나씩 또는 소정 개수 만큼의 이송대상물(W)을 분리하여 이송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는, 이송통로가 마련된 베이스; 상기 이송통로로 돌출되어 이송대상물을 정지시키는 제1스토퍼; 및 이송대상물을 상기 이송통로의 표면으로 압박하여 정지시키는 제2스토퍼;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스토퍼가 이송대상물을 정지시키는 동안에는 상기 제2스토퍼가 이송대상물을 정지시키지 않는 위치에 있고, 상기 제1스토퍼가 이송대상물을 정지시키지 않는 동안에는 상기 제2스토퍼가 이송대상물을 정지시키는 위치에 있도록 상기 제1스토퍼와 제2스토퍼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스토퍼와 제2스토퍼의 이격거리는 이송대상물 1개의 길이보다 크고 이송대상물 2개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통로에 위치한 이송대상물을 이송시키도록 흡입력을 작용시키는 흡입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통로를 거쳐서 이송된 이송대상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외주부에 수용홈이 마련되고, 회전가능하도록 베이스에 설치되는 인덱스 테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송대상물을 상기 이송통로의 표면으로 압박하도록 상기 제2스토퍼의 측면에는 돌출된 압박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스토퍼와 제2스토퍼는 결합부에 의하여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를 진퇴시키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스토퍼의 일측 단부는 상기 결합부에 자유롭게 삽입 및 추출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스토퍼가 상기 결합부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스토퍼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2스토퍼에는 측방향으로 돌출된 탄성부재지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은 상기 베이스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이송대상물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었는지 감지하는 제1센서와, 이송대상물이 상기 제1스토퍼와 제2스토퍼 사이에 위치하는지 감지하는 제2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송방법은, 이송되는 제1이송대상물이 제1스토퍼에 의하여 차단되어 이송 정지되는 단계; 상기 제1스토퍼가 차단 해제하여 상기 제1이송대상물이 이송 재개되고, 제2스토퍼가 제2이송대상물을 차단하여 이송 정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스토퍼가 차단 해제하여 상기 제2이송대상물이 이송 재개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송방법은, 흡입력에 의하여 이송되는 제1이송대상물이 이송통로로 돌출되는 제1스토퍼에 의하여 정지되는 단계; 상기 제1스토퍼가 이송통로 외측으로 추출되면서 정지된 상기 제1이송대상물이 이송 재개되고, 제2스토퍼가 상기 제1이송대상물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이송대상물을 상기 이송통로의 표면으로 압박하여 정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스토퍼가 압박을 해제하여 정지된 상기 제2이송대상물이 이송재개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스토퍼가 하강하면서 제2스토퍼가 후방의 다른 이송대상물을 압박하게 되므로 수용홈측으로 정확하게 이송대상물을 소정 개수 만큼 분리하여 이송할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제2스토퍼가 하강하면서 압박부가 이송대상물에 접하는 순간부터는 더 이상 제2스토퍼가 하강하지 않고, 커플러에 삽입된 제2스토퍼의 단부가 커플러로부터 빠지기 시작하기 때문에 압박부가 이송대상물을 지나치게 강하게 압박하여 이송대상물이 파손되거나 구동장치가 파손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덱스 테이블이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면서 제1스토퍼와 제2스토퍼가 상승하게 되고, 이 때, 제2스토퍼의 하측 단부와 커플러 사이의 간격 때문에 제1스토퍼가 약간 먼저 상승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1스토퍼와 제2스토퍼가 동시에 상승함에 따라 이송대상물이 제1스토퍼를 타넘어서 통과해버리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동작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제2스토퍼의 (a)정면도와 (b)측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를 이용한 이송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이송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로 표시된 요소는 동일 요소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제2스토퍼의 정면도(a)와 측면도(b)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100)는 베이스(150), 인덱스 테이블(120), 베이스 커버(130), 공급부(140), 제1센서(131a,131b), 제2센서(132a,132b), 제1스토퍼(161), 제2스토퍼(162), 커플러(163) 및 액추에이터(164)를 포함한다.
인덱스 테이블(120)은 베이스(150)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인덱스 테이블(120)의 외주부에는 이송대상물(W)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121)이 마련될 수 있다.
수용홈(121)은 이송대상물(W)이 한 개씩 수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수용홈에 복수개의 이송대상물이 수용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공급부(140)는 이송대상물(W)을 이송통로(152) 내측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고주파 진동방식으로 이송대상물(W)을 이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진공흡입력에 의한 방식, 컨베이어 방식, 로봇암에 의한 방식으로 이송대상물(W)을 이송할 수도 있다.
베이스(150)에는 이송통로(152)가 마련될 수 있다. 이송통로(152)는 이송대상물(W)이 통과할 수 있는 폭을 가지는 가이드홈으로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150)에 마련된 흡입통로(151)를 통하여 이송통로(152) 내측에 위치하는 이송대상물(W)에 흡입력이 작용되도록 할 수 있다.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수단으로는 다양한 방식의 흡입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유체(流體)를 흡입하도록 흡입력을 유발하는 흡입장치(미도시)와 흡입력이 이송통로에 전달되도록 하고 이송통로 내측의 유체를 배출하는 흡입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센서(131a,131b)에 의하여 수용홈(121)에 이송대상물(W)이 수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적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광센서를 적용한 경우를 바탕으로 설명한다.
도 2에서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가 서로 마주보는 실시예를 나타내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광소자와 수광소자가 같은 쪽에 위치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제2센서(132a,132b)는 제1스토퍼(161)에 의하여 정지된 이송대상물(W)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의 종류는 제1센서(131a,131b)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스토퍼(161)는 상측 단부가 이송통로(152) 내측으로 출몰될 수 있도록 베이스(150)에 삽입되며, 상기 상측 단부가 이송통로(152) 내측으로 돌출되면 수용홈(121)으로 끌려들어가는 이송대상물(W)을 정지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6에서 보듯이, 제2스토퍼(162)는 상하로 승강할 수 있도록 베이스(150)에 삽입되며, 상측 단부가 이송통로(152)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상측 단부에는 이송대상물(W)을 이송통로(152) 표면으로 압박할 수 있도록 측면으로 돌출된 압박부(165)가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서 보듯이, 제2스토퍼(162)가 하강하면 이송대상물(W)이 압박부(165)와 이송통로(152) 표면 사이에 끼이게 되므로 이송대상물(W)이 정지하게 된다.
도 6에서 보듯이, 제2스토퍼(162)의 외주부에는 탄성부재지지부(166)가 마련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지지부(166)는 탄성부재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2스토퍼(162)의 측면에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탄성부재지지부의 하방 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제2스토퍼가 삽입되는 베이스(150) 내측 홀에 돌출부가 마련될 수도 있다.
도 2에서 보듯이, 제2스토퍼(162)가 삽입되도록 베이스(150)에 마련된 홀은 탄성부재지지부(166)가 통과할 수 있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다만, 탄성부재(167)의 상측이 지지될 수 있도록 탄성부재지지부(166) 및 탄성부재(167)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부분이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탄성부재지지부는 베이스 하면(153) 아래에 항상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탄성부재의 상측은 베이스 하면(153)에 지지되고 하측은 탄성부재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송통로(152)를 형성하는 베이스 커버(130)의 하면에는 제2스토퍼(162)의 상측 단부가 삽입 또는 추출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이송통로 전체 높이가 제2스토퍼의 상측 단부가 상승한 높이로 마련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베이스와 베이스 커버는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다.
탄성부재(167)는 제2스토퍼(162)의 외주에 결합되는 코일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베이스(150)와 탄성부재지지부(166) 사이에 게재되어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판스프링, 벨로우즈, 스펀지, 탄성고무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탄성부재는 제2스토퍼의 상측 단부와 베이스 커버 사이(제2스토퍼의 상측 단부가 삽입 또는 추출될 수 있는 수용공간)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에는 탄성부재지지부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커플러(163)에는 제1스토퍼(161)의 단부와 제2스토퍼(162)의 단부가 삽입됨에 따라 결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164)는 상기 커플러(163)를 승강시키도록 커플러(163)와 결합될 수 있다.
제1스토퍼(161)가 이송대상물(W)을 차단할 때 제2스토퍼(162)는 이송대상물(W)을 압박하지 않고, 제1스토퍼(161)가 이송대상물(W)을 차단하지 않을 때에 제2스토퍼(162)는 이송대상물(W)을 압박하도록 제1스토퍼(161)와 제2스토퍼(162)가 커플러(163)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스토퍼(161)와 제2스토퍼(162) 사이의 거리는 이송대상물(W) 한 개의 길이 만큼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는 경우에는 수용홈(121)측으로 이송대상물(W)을 한 개씩 이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홈(121)측으로 정확하게 이송대상물을 한 개씩 이송할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스토퍼(161)와 제2스토퍼(162) 사이의 거리가 이송대상물(W) N개(N:자연수)의 길이 만큼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는 경우에는 수용홈(121)측으로 이송대상물(W)을 N개씩 이송할 수 있다.
제2스토퍼(162)는 커플러(163)에 느슨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플러(163)가 상승할 때에는 탄성부재(167)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2스토퍼(162)의 하측 단부가 커플러(163)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가 유지된 경우에는 제2스토퍼(162)와 커플러(163)가 일체로 동시에 상승할 수 있다.
커플러(163)가 하강하기 시작할 때에 탄성부재(167)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2스토퍼(162)와 커플러(163)가 일체로 동시에 하강한다.
그러나, 제2스토퍼(162)가 더 하강하여서 압박부(165)가 이송대상물(W)에 접하는 순간부터는 더 이상 제2스토퍼(162)가 하강하지 않고, 커플러(163)에 삽입된 제2스토퍼(162)의 단부가 커플러(163)로부터 빠지기 시작한다.
이에 따라, 압박부(165)가 이송대상물(W)을 지나치게 강하게 압박하여 이송대상물(W)이 파손되거나 구동장치가 파손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커플러(163) 및 탄성부재(167) 없이 제1스토퍼의 하측 단부와 제2스토퍼의 하측 단부가 일체로 결합되어 결합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커플러(163) 및 탄성부재(167) 없이 제1스토퍼를 승강시키는 액추에이터와 제2스토퍼를 승강시키는 액추에이터가 별도로 마련되고 두 개의 액추에이터가 결합하여 결합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면에서는 제1스토퍼와 제2스토퍼가 상하방향으로 운동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수평방향으로 운동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한다.
제2스토퍼(172)는 제1부재(172a), 제2부재(172b), 제3부재(172c)를 포함한다. 제1부재(172a)는 베이스(150)에 삽입되는 부분이며, 제2부재(172b)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부재(코일스프링, 판스프링, 벨로우즈, 스펀지, 탄성고무 등)이고, 제3부재(172c)는 커플러(163)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커플러(163)가 하강함에 따라 제1부재(172a)의 압박부가 이송대상물(W)에 접한 이후에는 제2부재(172b)가 탄성변형됨에 따라 이송대상물(W)이 지나치게 압박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는 경우에는 제3부재(172c)가 커플러(163)와 일체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를 이용한 이송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이송대상물(W)이 이송통로(152)에 진입하여 제2스토퍼(162)를 통과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흡입통로(151)를 통하여 이송대상물(W)에 흡입력에 작용함에 따라 수용홈(121)측으로 이송대상물(W)이 빨려 들어가게 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동작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서 보듯이, 수용홈(121)측으로 빨려 들어가는 이송대상물(W)이 제1스토퍼(161)에 의하여 정지될 수 있다.(도 7의 S10)
이 때, 제1스토퍼(161)와 제2스토퍼(162)는 상승된 상태이며 탄성부재(167)은 압축된 상태이다.
도 4에서 보듯이, 액추에이터(164)가 하강하면서 제1스토퍼(161)와 제2스토퍼(162)가 하강하게 된다.
그러나, 압박부(165)가 이송대상물(W)에 접하게 되는 순간부터는 제2스토퍼(162)는 정지하게 되고 더 이상 하강하지 않게 되며, 제2스토퍼(162)의 하측 단부는 커플러(163)에서 소정 거리 만큼 빠지게 된다.
제1스토퍼(161)가 하강함에 따라 제1스토퍼(161)에 의하여 정지되어 있던 이송대상물(W)은 수용홈(121)측으로 빨려 들어가게 된다.
그러나, 수용홈(121)으로 빨려들어간 이송대상물(W)의 후방의 다른 이송대상물(W)은 제2스토퍼(162)에 의하여 여전히 정지된 상태로 놓이게 된다.(도 7의 S20)
이에 따라, 정확하게 이송대상물(W)이 한 개씩이 수용홈(121)측으로 이송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도 5에서 보듯이, 인덱스 테이블(120)이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여서 수용홈(121)에 수용되었던 이송대상물(W)이 소정 각도 만큼 이송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소정 각도는 인덱스 테이블(120)의 외주부에 마련된 각각의 수용홈(121) 상호간의 중심각도일 수 있다.
인덱스 테이블(120)이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면서 제1스토퍼(161)와 제2스토퍼(162)가 상승하게 된다. 이 때, 제2스토퍼(162)의 하측 단부와 커플러(163) 사이의 간격 때문에 제1스토퍼(161)가 약간 먼저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스토퍼(161)가 이송통로(152)를 먼저 차단한 상태에서 나중에 제2스토퍼(162)가 이송대상물(W)을 압박해제하게 된다.(도 7의 S30)
따라서, 제1스토퍼(161)와 제2스토퍼(162)가 동시에 상승함에 따라 이송대상물(W)이 제1스토퍼(161)를 타넘어서 통과해버리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13)

  1. 이송통로가 마련된 베이스;
    상기 이송통로로 돌출되어 이송대상물을 정지시키는 제1스토퍼; 및
    이송대상물을 상기 이송통로의 표면으로 압박하여 정지시키는 제2스토퍼;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토퍼가 이송대상물을 정지시키는 동안에는 상기 제2스토퍼가 이송대상물을 정지시키지 않는 위치에 있고, 상기 제1스토퍼가 이송대상물을 정지시키지 않는 동안에는 상기 제2스토퍼가 이송대상물을 정지시키는 위치에 있도록 상기 제1스토퍼와 제2스토퍼가 결합된 이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토퍼와 제2스토퍼의 이격거리는 이송대상물 1개의 길이보다 크고 이송대상물 2개의 길이보다 작은 이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통로에 위치한 이송대상물을 이송시키도록 흡입력을 작용시키는 흡입수단을 더 포함하는 이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통로를 거쳐서 이송된 이송대상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외주부에 수용홈이 마련되고, 회전가능하도록 베이스에 설치되는 인덱스 테이블을 더 포함하는 이송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이송대상물을 상기 이송통로의 표면으로 압박하도록 상기 제2스토퍼의 측면에는 돌출된 압박부가 마련된 이송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토퍼와 제2스토퍼는 결합부에 의하여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를 진퇴시키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이송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토퍼의 일측 단부는 상기 결합부에 자유롭게 삽입 및 추출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이송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토퍼가 상기 결합부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스토퍼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송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2스토퍼에는 측방향으로 돌출된 탄성부재지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은 상기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는 이송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이송대상물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었는지 감지하는 제1센서와, 이송대상물이 상기 제1스토퍼와 제2스토퍼 사이에 위치하는지 감지하는 제2센서를 더 포함하는 이송장치.
  12. 이송되는 제1이송대상물이 제1스토퍼에 의하여 차단되어 이송 정지되는 단계;
    상기 제1스토퍼가 차단 해제하여 상기 제1이송대상물이 이송 재개되고, 제2스토퍼가 제2이송대상물을 차단하여 이송 정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스토퍼가 차단 해제하여 상기 제2이송대상물이 이송 재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송방법.
  13. 흡입력에 의하여 이송되는 제1이송대상물이 이송통로로 돌출되는 제1스토퍼에 의하여 정지되는 단계;
    상기 제1스토퍼가 이송통로 외측으로 추출되면서 정지된 상기 제1이송대상물이 이송 재개되고, 제2스토퍼가 상기 제1이송대상물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이송대상물을 상기 이송통로의 표면으로 압박하여 정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스토퍼가 압박을 해제하여 정지된 상기 제2이송대상물이 이송재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송방법.
KR1020100017253A 2010-02-25 2010-02-25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KR201100974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253A KR20110097418A (ko) 2010-02-25 2010-02-25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253A KR20110097418A (ko) 2010-02-25 2010-02-25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7418A true KR20110097418A (ko) 2011-08-31

Family

ID=44932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7253A KR20110097418A (ko) 2010-02-25 2010-02-25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741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372B1 (ko) * 2011-12-19 2013-04-30 나승옥 워크 정지체가 구비된 워크 반송장치
KR101363957B1 (ko) * 2012-10-31 2014-02-18 나승옥 워크반송장치
KR101430612B1 (ko) * 2013-12-17 2014-08-18 나승옥 워크반송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372B1 (ko) * 2011-12-19 2013-04-30 나승옥 워크 정지체가 구비된 워크 반송장치
KR101363957B1 (ko) * 2012-10-31 2014-02-18 나승옥 워크반송장치
KR101430612B1 (ko) * 2013-12-17 2014-08-18 나승옥 워크반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70824B (zh) 半導體晶粒的拾取裝置以及拾取方法
KR20180062066A (ko) 반도체 패키지 픽업 장치
KR20150114612A (ko) 칩 디테칭 장치 및 칩 디테칭 방법
CN106629155A (zh) 一种带顶出结构的吸盘装置
KR20110097418A (ko)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CN110482278A (zh) 分片整料机构、上料装置及自动化生产设备
JP2017084498A (ja) 電極箔の搬送装置および積層型電池の製造装置
EP2692669A1 (en) A tile stacking apparatus
JP4201287B2 (ja) 板材の分離装置
KR101729133B1 (ko) 백 매거진 장치의 파우치 두장 이상 딸림 방지 파우치 픽업장치
KR101261313B1 (ko) 평판 이송물 정렬픽업 이송장치
JP2014239135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2221702B1 (ko) 콜릿 공급 장치
JP2012055977A (ja) ワーク支持装置及びワーク支持方法
TWI585023B (zh) Method for conveying brittle material substrate and conveying device
KR20170077879A (ko) 웨이퍼 플립장치와 웨이퍼 플립방법
JP6341418B2 (ja) 電池用電極シートの供給装置
JPH0639768A (ja) 真空吸着装置
JP6259880B2 (ja) 脆性材料基板の吸引搬送ヘッド
CN204368514U (zh) 一种瓷砖包装纸板逆向吸取装置
KR102521183B1 (ko) 픽커장치
KR101322686B1 (ko) 카메라 렌즈용 스페이서 공급장치
JP2011037549A (ja) ガラス基板吸着保持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ガラス基板搬送装置
KR102504688B1 (ko) 전자부품 케이싱 장비
CN215438655U (zh) 一种用于套啤连续进料装置的转运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