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2664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2664A
KR20110082664A KR1020100002505A KR20100002505A KR20110082664A KR 20110082664 A KR20110082664 A KR 20110082664A KR 1020100002505 A KR1020100002505 A KR 1020100002505A KR 20100002505 A KR20100002505 A KR 20100002505A KR 20110082664 A KR20110082664 A KR 20110082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ing device
area
movement trajectory
absolut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2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6953B1 (ko
Inventor
조상현
이장희
권육
임영완
김시진
김주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2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6953B1/ko
Priority to PCT/KR2011/000176 priority patent/WO2011087250A2/en
Priority to US13/005,153 priority patent/US8878775B2/en
Publication of KR20110082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2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G08C2201/32Remote control based on movements, attitude of remote control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오브젝트(object)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3차원 움직임을 인식하는 3D 포인팅 디바이스(3-Dimensional Pointing Device)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수신한 무선 신호에 기반하여 절대좌표 영역과 상대좌표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한 영역에 해당하는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이동 궤적을 산출하고, 이동 궤적이 속하는 영역의 속성에 대응되도록 표시한 오브젝트의 위치를 결정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절대좌표 영역의 속성은 설정된 절대기준점을 중심으로 이동 궤적을 산출하며, 상대좌표 영역의 속성은 이동 궤적을 형성하는 포인트들의 상대 위치에 기초하여 이동 궤적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3D 포인팅 디바이스가 절대좌표 영역에 있는 경우에는 절대기준점을 중심으로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이동 궤적을 산출하고, 3D 포인팅 디바이스가 상대좌표 영역에 있는 경우에는 상대기준점을 중심으로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이동 궤적을 산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3D 포인팅 디바이스가 절대좌표 영역에 있는 경우에는 절대기준점을 중심으로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이동 궤적을 산출하고, 3D 포인팅 디바이스가 상대좌표 영역에 있는 경우에는 상대기준점을 중심으로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이동 궤적을 산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최근 이동 단말기를 포함한 다양한 단말기들은 복합적이고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함에 따라 메뉴 구조 또한 복잡해지는 추세이다. 또한 이동 단말기로 웹페이지를 포함하는 각종 디지털문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본 발명은 3D 포인팅 디바이스가 절대좌표 영역에 있는 경우에는 절대기준점을 중심으로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이동 궤적을 산출하고, 3D 포인팅 디바이스가 상대좌표 영역에 있는 경우에는 상대기준점을 중심으로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이동 궤적을 산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오브젝트(object)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3차원 움직임을 인식하는 3D 포인팅 디바이스(3-Dimensional Pointing Device)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무선 신호에 기반하여 절대좌표 영역과 상대좌표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한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이동 궤적을 산출하고, 상기 이동 궤적이 속하는 영역의 속성에 대응되도록 상기 표시한 오브젝트의 위치를 결정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절대좌표 영역의 속성은 설정된 절대기준점을 중심으로 상기 이동 궤적을 산출하며, 상기 상대좌표 영역의 속성은 상기 이동 궤적을 형성하는 포인트들의 상대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궤적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오브젝트(object)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3차원 움직임을 인식하는 3D 포인팅 디바이스(3-Dimensional Pointing Device)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무선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가 지향하는 포인팅지점을 결정하고, 절대좌표 영역과 상대좌표 영역 중 상기 결정한 포인팅지점에 해당하는 영역의 속성에 대응되도록 상기 표시한 오브젝트의 위치를 결정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오브젝트(object)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지자기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의 동작을 통하여 3차원 움직임을 인식하는 3D 포인팅 디바이스(3-Dimensional Pointing Device)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무선 신호에 기반하여 절대좌표 영역과 상대좌표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한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이동 궤적을 산출하고, 상기 이동 궤적이 속하는 영역의 속성에 대응되도록 상기 표시한 오브젝트의 위치를 결정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절대좌표 영역은 설정된 절대기준점을 중심으로 상기 이동 궤적을 산출하는 영역이며, 상기 상대좌표 영역은 상기 이동 궤적을 형성하는 포인트들의 상대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궤적을 산출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은, 3D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무선 신호에 기반하여 절대좌표 영역과 상대좌표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한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이동 궤적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궤적이 속하는 영역의 속성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 오브젝트의 위치 변경을 결정하는 제 1결정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절대좌표 영역은 설정된 절대기준점을 중심으로 상기 이동 궤적을 산출하는 영역이며, 상기 상대좌표 영역은 상기 이동 궤적을 형성하는 포인트들의 상대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궤적을 산출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3D 포인팅 디바이스가 절대좌표 영역에 있는 경우에는 절대기준점을 중심으로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이동 궤적을 산출하고, 3D 포인팅 디바이스가 상대좌표 영역에 있는 경우에는 상대기준점을 중심으로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이동 궤적을 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6은 도 5 디스플레이 장치의 절대좌표 영역과 상대좌표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상대좌표만을 고려하여 커서가 동작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절대좌표 영역 내에서 동작하는 커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센서부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상대좌표 영역 내에서 동작하는 커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5 기준위치 설정 단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 기준위치 설정 모드 진입을 위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기준위치 설정을 위한 일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은 기준위치 설정을 위한 다른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5 절대좌표 거동 단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 및 도 21은 도 19 절대좌표 거동에 따른 커서의 이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도 5 상대좌표 거동 단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 및 도 24는 절대좌표 거동과 상대좌표 거동이 전환되는 일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 및 도 26은 절대좌표 거동과 상대좌표 거동이 전환되는 다른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 및 도 28은 절대좌표 거동과 상대좌표 거동이 전환되는 또 다른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는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감도를 조절하는 일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 및 도 31은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감도를 조절하는 다른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는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정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 및 도 34는 절대좌표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3D 포인팅 디바이스(3-Dimensional Pointing Device, 10)와 디스플레이 장치(Digital Television, 20)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3D 포인팅 디바이스(10)는 3차원 움직임(motion)을 감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로 감지된 3차원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3차원 움직임은 디스플레이 장치(20)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에 대응될 수 있다. 사용자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공간상에서 움직임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20)에 소정의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3D 포인팅 디바이스(10)는 각종 키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는 키 버튼을 통해 각종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고려하여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필요에 따라서 리모컨으로도 표시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0)는 방송국(30)으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에 의해 인터넷(40)에 접속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는 DTV(Digital TV) 등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외관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포인팅 디바이스(10)는 센서부(101)와, 키 버튼(102)과, 메모리(103)와, 송신부(104)와, 제어부(10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101)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3차원 움직임을 감지한다. 센서부(101)는 지자기 센서(106), 가속도 센서(107), 자이로 센서(108), 거리 센서(109)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01)에 포함된 각종 센서는, 이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통하여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3차원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지자기 센서(106)는 방위각(azimuth)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즉, 지자기 센서(106)는 지구의 남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자기장(magnetic field)을 감지하여 방위각을 측정하는 센서를 의미한다. 지자기 센서(106)는 3축 방향의 지자기를 감지할 수 있다. 지자기 센서(106)로 측정되는 북쪽 방향은 자북(magnetic north)일 수 있다. 다만, 지자기 센서(106)가 자북의 방향을 측정한다고 하더라도, 내부적인 연산을 거쳐 진북(true north)의 방향을 출력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가속도 센서(107)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공간상 움직임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즉, 가속도 센서(107)는 사용자가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이동시킬 때 발생하는 가속도의 변화 및/또는 각가속도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를 의미한다. 가속도 센서(107)는 3축 방향의 가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107)를 이용하여 3D 포인딩 디바이스(10)의 기울어짐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자이로(gyro) 센서(108)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회전 각속도를 측정하는 관성 센서이다. 즉, 회전하는 물체가 가진 관성력을 이용하여 현재의 방향을 알 수 있는 센서를 의미한다. 자이로 센서는 2축 방향의 회전 각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거리 센서(109)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와 디스플레이 장치(2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즉, 사용자가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사용하는 순간의 위치와 디스플레이 장치(20) 사이의 거리를 알 수 있는 센서를 의미한다.
키 버튼(102)은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장치이다. 예를 들어, 키 버튼(102)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03)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105)에 의해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전반적인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데이터 및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송신부(104)는 센서부(101)에 의해 감지된 움직임에 관한 정보 또는 키 버튼(102)을 통해 입력된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로 전송한다.
제어부(105)는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제1 수신부(201)와, 제2 수신부(202)와, 디스플레이(203)와, 오디
오 출력부(204)와, 키 입력부(205)와, 메모리(206)와, 제어부(20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수신부(201)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제1 수신부(201)와 3D 포인팅 디바이스(10)는 RF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수신부(202)는 방송국(30)으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방송 신호는 오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신호는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3)는 제어부(207)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비디오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비디오 정보는, 제2 수신부(202)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에 포함된 비디오 신호이거나, 디스플레이 장치(20)가 제공하는 각종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이거나,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상태를 표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204)는 오디오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이다. 오디오 출력부(204)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키 입력부(205)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장치이다. 예를 들어, 키 입력부(205)는,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전면 또는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206)는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207)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전반적인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데이터 및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상기한 구성요소들 이외에도, 인터넷(40)에 접속할 수 있는 장치와, 방송국(30) 또는 인터넷(40)으로부터 수신되는 A/V(Audio/Video)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는 A/V 디코딩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A/V 디코딩 수단은, 소프트웨어적 처리 수단일 수도 있고, 별도의 멀티미디어 칩과 같은 하드웨어적 처리 수단일 수도 있다.
제어부(207)는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한다.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20)가 3D 포인팅 디바이스(1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디스플레이 장치(20)로 전송하는 신호에 포함된 정보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D 포인팅 디바이스(10)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3차원 움직임에 관한 정보 자체를 디스플레이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20)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3차원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가 제공하는 특정한 기능을 처리하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3D 포인팅 디바이스(10)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3차원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가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3차원 움직임에 관한 정보 자체는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3D 포인팅 디바이스(10)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3차원 움직임에 관한 정보와 3차원 움직임에 관한 정보가 일부 처리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수행을 위해 필요한 나머지 정보 처리를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고, 도 6은 도 5 디스플레이 장치의 절대좌표 영역과 상대좌표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기준위치를 설정하는 단계(S1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위치는 절대좌표 영역(A, Absolute coordinate area)의 원점 또는 절대좌표 영역의 절대기준점(도 8의 0)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절대기준점(도 8의 0)은 디스플레이부(151) 영역 내부에 대응하는 절대좌표 영역(A)에서의 기준점을 의미한다.
절대좌표 영역(A)은 설정된 절대기준점(도 8의 0)을 중심으로 오브젝트가 이동하는 영역이다. 즉,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오브젝트의 이동이 특정한 기준인 원점을 중심으로 하여 이동함을 의미한다. 오브젝트는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사용자가 컨트롤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각종 표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커서(도 7의 C1), 메뉴창의 선택버튼, 케릭터의 팔, 다리, 몸통 등일 수 있다.
상대좌표 영역(R, Relative coordinate area)은 상대 위치를 기반으로 오브젝트가 이동하는 영역이다. 즉,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오브젝트의 이동이, 직전에 표시되었던 오브젝트의 위치를 기준하여 움직임을 의미한다.
절대좌표 영역(A)과 상대좌표 영역(R)에서 오브젝트의 이동은 서로 다른 거동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절대좌표 영역(A)에서는 사용자가 움직이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이동이 절대좌표 영역(A)에 1:1 매칭되어 움직일 수 있다. 즉,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공간상에서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x1, y1) 지점에서 (x2, y2) 지점으로 이동했다고 할 때, 3D 포인팅 디바이스(10)에 대응된 오브젝트는 (x3, y3) 지점에서 (x4, y4) 지점으로 이동했다고 할 수 있다. (x1, y1)에서 (x2, y2) 까지 거리와 (x3, y3)에서 (x4, y4) 까지의 거리는, 매칭된 비율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절대좌표 영역(A)은 사용자가 그 범위 및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상대좌표 영역(R)에서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제 1지점에서 제 2지점으로 이동했다고 할 때, 3D 포인팅 디바이스(10)에 대응된 오브젝트는 제 1지점과 제 2지점의 거리 및 방향에 대응되도록 움직일 수 있다. 즉, 상대좌표 영역(R)에서는 특정 기준점을 중심으로 하여 좌표가 계산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절대좌표 영역(A)에서의 오브젝트 거동과는 상이하다. 아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상대좌표 영역(R)에서는 특정 기준점을 중심으로 좌표가 계산되는 것이 아니므로 사용자가 3D 포인팅 디바이스(10)로 지향하는 방향과 디스플레이부(151)에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에서는, 절대좌표 영역(A)에서의 오브젝트 위치 및 그 움직임이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지향방향과 일치할 수 있어, 사용자가 직관에 따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기준위치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하여 정해질 수 있다. 기준위치의 설정은, 해당하는 부분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20)를 처음 사용할 때, 사용자가 기준위치 설정 기능을 선택하였을 때 등의 시점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지향방향을 판단하는 단계(S30)가 진행될 수 있다.
지향방향은 사용자가 포인팅 디바이스(10)를 향하고 있는 방향이다. 사용자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몸체를 잡고,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전면(前面)이 디스플레이 장치(20)를 향하도록 사용함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지향방향은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길이방향의 가상의 연장선이 디스플레이부(151)가 이루는 평면과 만나는 지점인 경우가 통상적일 수 있다. 지향방향이 결정되면, 그 지점이 절대좌표 영역(A)인지 상대좌표 영역(R)인지 판단될 수 있다.
지향방향이 절대좌표 영역(A)인 경우라면 절대좌표 이동을 하는 단계(S50)가 진행되고, 지향방향이 상대좌표 영역(R)인 경우라면 상대좌표 이동을 하는 단계(S70)가 진행될 수 있다.
절대좌표 이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오브젝트의 이동 좌표가 절대기준점(도 8의 0)을 중심으로 계산되는 것이며, 상대좌표 이동은 오브젝트의 이동이 상대적인 위치의 차이를 중심으로 계산되는 것이다.
도 7은 상대좌표만을 고려하여 커서가 동작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대좌표만을 고려하면 사용자의 직관에 부합하지 않는 커서(C1)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제 1디바이스위치(10A)에서 제 2디바이스위치(10B)로 이동시킬 수 있다.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제 1디바이스위치(10A)에서 제 2디바이스위치(10B)로 이동하면, 그에 따라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지향방향이 변화될 수 있다.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지향방향이 변화되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오브젝트인, 커서의 위치(C1, C2)가 변화될 수 있다. 즉, 제 1디바이스위치(10A)에서는 제 1커서위치(C1)가 지향방향이 되며, 그 위치에 커서가 표시될 수 있다. 상용자가 제 2디바이스위치(10B)로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이동하면, 커서는 제 2커서위치(C2)까지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이동을 추종할 수 있다. 그러나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디스플레이부(151) 영역을 벗어나면, 커서는 더 이상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움직임을 따라가지 못하고 제 2커서위치(C2)에 정지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커서가 표시되고 있는 위치와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제 1지향위치(P1)는 상이하게 될 수 있다.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 1지향위치(P1)에서 제 2지향위치(P2)를 향하도록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제 2디바이스위치(10B)에서 제 3디바이스위치(10C)로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 2디바이스위치(10B)에서 제3디바이스위치(10C)로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이동하면,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지향방향도 제 1지향위치(P1)에서 제 2지향위치(P2)로 변화될 수 있다. 이때, 상대좌표를 고려하여 커서를 이동시키면, 커서를 제 2커서위치(C2)에서 제 3커서위치(C3)로 이동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제 3디바이스위치(10C)에서 제 4디바이스위치(10D)로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 3디바이스위치(10C)에서 제 4디바이스위치(10D)로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이동하면, 상대좌표를 고려하여, 그 거리에 대응되도록 커서를 제 3커서위치(C3)에서 제 4커서위치(C4)로 이동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디스플레이부(151)의 중심을 향하도록 지향하고 있으나, 커서는 그에 대응되지 않고 디스플레이부(151)의 다른 위치에 자리하고 있게될 수 있다. 따라서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절대좌표 영역 내에서 동작하는 커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대좌표를 고려하는 경우에 커서는 특정한 절대기준점(0)을 중심으로 하여 이동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제 1디바이스위치(10A)에서 제 2디아비스위치(10B)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에, 3D 포인팅 디바이스(10)에 회전이 가해지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가속도 센서(도 3의 107) 및 자이로 센서(108)를 통하여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3차원 공간 상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제 1디바이스위치(10A)에 위치한 경우에,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지향방향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절대기준점(0)을 향하고 있을 수 있다. 절대기준점(0)은 디스플레이부(151)의 중앙일 수 있으며, 그 점을 기준으로 하여 가상의 제 1좌표(X1-Y1)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절대기준점(0)을 향하고 있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에도, 제 1좌표(X1-Y1)와 대응되는 제 2좌표(X2-Y2)가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중심으로 하여 설정될 수 있다. 제 1좌표(X1-Y1)와 제 2좌표(X2-Y2)는 상호 매칭(matching)될 수 있다.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제 1디바이스위치(10A)에서 제 2디바이스위치(10B)로 이동하면, 그에 대응되도록 제 1위치(P1)에서 제 1커서위치(C1)로 커서가 이동할 수 있다. 제 1커서위치(C1)는 절대기준점(0)을 중심으로 하여 산출될 수 있다. 즉, 3D 포인팅 디바이스(10)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로부터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위치변화를 제어부(도 4의 207)가 감지하면, 제어부(도 4의 207)는 그 위치변화가 절대기준점(0)으로부터 어느 방향으로 얼마나 이동된 것인가를 산출할 수 있다. 절대기준점(0)으로부터의 방향 및 거리가 산출되면, 제어부(도 4의 207)는 이를 절대좌표로 변환하여, 제 1커서위치(C1)에 커서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 1위치(P1)에서 제 1커서위치(C1)까지는 커서가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절대기준점(0)을 중심으로 하여 커서가 이동되므로, 절대좌표 영역 내에서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지향방향과 커서의 표시위치가 상호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움직임에 따라서 커서가 표시될 것이라고 직관에 의하여 예측한 위치에 커서가 표시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제 1디바이스위치(10A)에서 제 2디바이스위치(10B)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지자기 센서(도 3의 106), 가속도 센서(107), 자이로 센서(108) 각각 또는 그 조합을 통하여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지향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즉,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위치 변동 없이, Y2축을 중심으로 회전한 경우에도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지향하는 방위각이 달라질 수 있음으로 인하여 지자기 센서(도 3의 106) 및 자이로 센서(108)를 통하여 감지된 값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회전하였으므로 가속도 센서(107)를 통하여 감지된 값이 달라질 수도 있다. 따라서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경우에도,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지향위치를 감지하여, 지향위치에 대응되는 제 1커서위치(C1)에 커서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센서부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에서 송신한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위치를 알 수 있다. 3D 포인팅 디바이스(1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자기 센서(도 3의 106), 가속도 센서(도 3의 107), 자이로 센서(도 3의 108) 및 거리 센서(도 3의 109)를 포함할 수 있다. 지자기 센서(도 3의 106)와 가속도 센서(도 3의 107)는 절대좌표 영역에서의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위치를 판단하는 기초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도 3의 108)는 상대좌표 영역에서의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위치를 판단하는 기초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다.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제 1디바이스위치(10A)에서 제 2디바이스위치(10B)로 이동할 때, 제 1디바이스위치(10A)에 대응되는 제 1위치(P1)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지점이며, 제 2디바이스위치(10B)에 대응된느 제 2위치(P2)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타 지점일 수 있다.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절대좌표 영역에서 이동할 때, 3D 포인팅 디바이스(10)에 포함된 지자기 센서(도 3의 106)에 의하여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지자기 센서(도 3의 106)는 자기장에 의하여 형성된 자북(MP)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이동에 다라서 자북(MP)으로부터 제 1위치(P1)가 aa각도 만큼 이동한 위치에 있고, 제 2위치(P2)가 ab 각도 만큼 이동한 위치에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절대좌표 영역 내의 어느 지점을 향하여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지향하고 있는가를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제어부(도 4의 207)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 1위치(P1)가 절대기준점인 경우라면, 절대기준점인 제 1위치(P1)를 중심으로 제 2위치(P2)가 ab-aa 각도 만큼 좌측으로 이동하여 있다는 점을 지자기 센서(도 3의 106)로부터 알 수 있다. 지자기 센서(도 3의 106)에서 획득된 각도 데이터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에서 가공되어 디스플레이 장치(20)로 송신되거나, 획득된 각도 데이터를 바로 디스플레이 장치(20)로 송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제어부(도 4의 207)에 의하여 가공될 수 있다.
도 11은 상대좌표 영역 내에서 동작하는 커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대좌표 영역에서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이동이,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궤적에 대응되는 각 포인트 간의 상대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 1디바이스위치(10A)에서 제 2디바이스위치(10B)로 이동하는 경우에, 3D 포인팅 디바이스(10)에 포함된 자이로 센서(도 4의 108)이 그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다만, 그 이동은 제 1디바이스위치(10A)에 대응된 제 1위치(P1)에서 제 2디바이스위치(10B)에 대응된 제 2위치(P2)로 이동하였다는 상대적인 위치데이터일 수 있다.
도 12는 도 5 기준위치 설정 단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 기준위치 설정 모드 진입을 위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4 내지 도 16은 기준위치 설정을 위한 일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의 기중위치 설정 단계(도 5의 10)는 기준위치 설정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S11)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위치 설정 모드는 여러 가지 다양한 경우에 개시될 수 있다. 즉,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페어링(paring) 하거나, 사용자가 기준위치 설정 모드 진입을 위한 메뉴를 선택하거나,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조작하는 동작을 통하여 개시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사용자에게 그 사실을 알리는 제 1팝업창(M1)이 표시될 수 있다.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페어링은, 3D 포인팅 디바이스(10)와 디스플레이 장치(20) 간의 통신을 위하여, 두 디바이스를 상호 간에 인식시키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20)를 최초로 사용하는 경우에,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디스플레이 장치(20)에 페어링 함으로써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를 조작할 수 있다.
기준위치 설정 모드에 진입하면, 절대영역 중앙에 타겟영역(CA)을 설정하는 단계(S12)가 진행될 수 있다.
타겟영역(CA)은 절대영역 중앙의 일정한 영역이다. 타겟영역(CA)은 사용자가 기준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표시될 수 있다.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포인팅지점이 절대영역 안으로 진입하였는가 여부를 판단(S13)하여, 진입하였으면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포인팅지점에 매칭된 위치에 커서를 표시하는 단계(S14)가 진행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사용자에게 특정한 동작을 취하도록 안내하는 문구를 표시하는 제 2팝업창(M2)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안내 문구에 따라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절대영역인 디스플레이부(151) 내부로 이동하면 그 포인팅지점에 커서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사용자가 커서를 타겟영역(CA) 내부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문구를 표시하는 제 3팝업창(M3)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문구의 유도에 따라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이동하여, 커서를 제 1커서위치(C1)에서 제 2커서위치(C2)로 이동시킬 수 있다.
타겟영역(CA) 안으로 커서가 진입하였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6) 및 기준위치 설정을 완료하는 단계(S17)가 진행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이동하여 타겟영역(CA) 내부에 커서가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타겟영역(CA) 내부로 커서가 이동하면, 제어부(도 4의 207)는 그 위치를 기준위치로 설정하고 기준위치 설정을 완료할 수 있다.
절대영역의 기준위치를 설정하는 과정을 진행함으로 인하여,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지점에 대하여 절대좌표가 설정되는가를 사용자가 보다 명확히 인지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 도중에 절대영역의 기준위치를 제설정하는 과정이 가능하므로, 기준위치가 틀어진 경우에 이를 올바르게 수정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기준위치 설정을 위한 다른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위치 설정은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이동에 대응된 포인팅지점(P1에 커서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그 대신, 타겟영역(CA) 내부에 커서(C1)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지향방향을 표시된 커서(C1) 위치로 향하도록 유도하는 제 5팝업창(M5)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지향방향을 표시된 커서(C1)에 대응되도록 위치시키면, 기준위치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제 6팝업창(M6)이 표시될 수 있다. 그와 동시에, 표시된 커서(C1)가 활성화될 수 있다. 표시된 커서(C1)가 활성화되면, 그 순간부터 3D 포인팅 디바이스(10)로 표시된 커서(C1)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9는 도 5 절대좌표 거동 단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0 및 도 21은 도 19 절대좌표 거동에 따른 커서의 이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에사 절대좌표 이동을 하는 단계(S50)는, 절대좌표 이동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S51)를 포함할 수 있다.
절대좌표 이동 모드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절대좌표 영역(도 6의 A)에 진입한 경우에 개시될 수 있다. 절대좌표 이동 모드에 진입하면,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지향방향에 대응되도록 커서를 이하여 표시하는 단계(S52)가 진행될 수 있다.
도 2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제 1디바이스위치(10A)에서 제 2디바이스위치(10B)로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 1디바이스위치(10A)에서 제 2디바이스위치(10B)로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이동하면, 커서도 제 1커서위치(C1)에서 제 2커서위치(C2)로 이동할 수 있다. 커서의 이동은, 기설정된 절대기준점(0)을 중심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이동된 좌표가 절대기준점(O)을 좌표중심으로 한 디스플레이부(151)의 좌표에 매칭됨을 의미한다.
도 2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 2디바이스위치(10B)에서 제 3디바이스위치(10C)로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커서는 기설정된 절대기준점(0)을 중심으로 하여 제 2커서위치(C2)에서 제 3커서위치(C3)로 이동할 수 있다.
상대좌표 영역에 진입하였는가 여부를 판단(S53)하여, 상대좌표 영역에 진입한 경우에는 상대좌표 이동을 하는 단계(도 5의 70)가 진행될 수 있다.
도 2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 1디바이스위치(10A)에서 제 2디바이스위치(10B)로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디바이스위치(10A)는 절대좌표 영역에 대응되고, 제 2디바이스위치(10B)는 상대좌표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커서는 제 1커서위치(C1)에서 시작하여 제 2커서위치(C2) 까지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이동을 추종하며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절대좌표 영역이 끝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경계선에서는 더 이상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추종할 수 없다. 따라서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제 2디바이스위치(10B)로 이동한 경우에도, 커서는 제 2디바이스위치(10B)에 대응하는 제 1지향위치(P1)에 표시될 수 없다.
도 2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절대좌표 영역을 회피하여 3D 포인팅 디바이스(10) 제 1지향위치(P1)에서 제 2지향위치(P2)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대좌표 이동의 활성화(도 22의 S72)가 되어있지 않은 경우라면, 커서는 여전히 절대좌표 영역의 속성에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절대좌표 영역으로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진입하지 않은 관계로, 커서는 제 2커서위치(C2)에 정지하여 있을 수 있다.
도 2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이동하여 상대좌표 영역에서 절대좌표 영역으로 진입할 수 있다. 즉,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지향방향이 상대좌표영역인 제 2지향위치(P2)에서 제 3커서위치(C3)로 바뀌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도 4의 207)은 3D 포인팅 디바이스(10)에 대응되는 포인팅지점이 상대좌표 영역에서 절대좌표 영역으로 진입하는 순간, 절대좌표 영역의 속성에 대응되도록 커서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절대좌표 영역에서는, 설정된 절대기준점(0)을 중심으로 하여 커서의 위치가 결정된다. 따라서 커서는 제 2커서위치(C2)에서 제 3커서위치(C3)로 순간적으로 이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 커서가 제 3커서위치(C3)로 이동하여 표시됨으로 인하여,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지향방향과 커서의 표시위치가 상호 대응될 수 있다.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지향방향과 커서의 표시위치가 상호 대응됨으로 인하여, 절대좌표 영역에서 사용자는 직관에 따른 커서 이동이 가능해진다.
도 22는 도 5 상대좌표 거동 단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3 및 도 24는 절대좌표 거동과 상대좌표 거동이 전환되는 일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대좌표 이동 단계(도 5의 S70)는 상대좌표 이동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S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대좌표 모드에 지입하면, 상대좌표 이동이 활성화되었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72)가 진행될 수 있다.
상대좌표 이동의 활성화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상대좌표 영역에서 이동할 때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오브젝트를 그에 대응되도록 이동할 것인가 여부를 의미한다. 즉, 상대좌표 이동이 활성화 되어있다면, 상대좌표 영역에서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이동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커서도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상대좌표 이동이 비활성화 되어있다면, 상대좌표 영역에서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이동하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커서는 이동하지 않는다. 상대좌표 이동의 활성화 여부는, 해당하는 부분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겠지만,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대좌표 이동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 활성화로의 전환이 자동전환 모드(S73)인지 수동전환 모드(S74)인지 판단할 수 있다.
자동전환 모드는 절대좌표 영역에서 상대좌표 영역으로 진입함과 동시에 상대좌표 이동이 활성화됨을 의미한다. 수동전환 모드는 상대좌표 영역에 진입하여 사용자가 일정한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 상대좌표 이동이 활성화됨을 의미한다.
도 2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절대좌표 영역에서 상대좌표 영역으로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이동할 수 있다.
도 23의 (b) 및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대좌표 영역에서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제 1지향위치(P1)에서 제 2지향위치(P2)로 이동한 후 제 2지향위치(P2)에서 제 3지향위치(P3)로 순차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대좌표 이동이 활성화되어 있고 자동으로 상대좌표 이동 활성화모드로 전환되는 경우라면 커서는 제 2커서위치(C2)에서 제 3커서위치(C3)를 거쳐 제 4커서위치(C4)로 순차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대좌표 영역에서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이동하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오브젝트의 위치가 그에 대응되도록 변경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만, 이 경우에는, 절대좌표 영역에서의 커서의 이동과 다르다. 즉, 절대기준점을 중심으로 커서가 이동하지 않는다. 이 경우에 커서는, 제 1지향위치(P1)와 제 2지향위치(P2), 제 2지향위치(P3)와 제 3지향위치(P4)의 상대적인 거리 및 방향에 대응되도록 이동될 뿐이다.
도 2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 3지향위치(P3)에서 제 4지향위치(P4)로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이동할 수 있으며, 그에 대응되어 커서도 제 4커서위치(C4)에서 제 5커서위치(C5)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계속하여 움직여 절대좌표 영역으로 진입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 6디바이스위치(10H)로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이동하며 상대좌표 영역에서 절대좌표 영역으로 진입하는 순간에, 커서는 절대좌표 영역 속성에 따른 거동을 한다. 따라서 제 5커서위치(C5)에서 제 6디바이스위치(10H)에 대응된 제 6커서위치(C6)로 점프(jump)하여 이동할 수 있다. 절대좌표 영역에 진입한 제 6커서위치(C6)에서부터,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지향방향과 커서의 표시위치는 상호 대응될 수 있다.
도 25 및 도 26은 절대좌표 거동과 상대좌표 거동이 전환되는 다른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절대좌표 영역에서 상대좌표 영역으로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활성화키(KB)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제 2디바이스위치(10B)에서 제 3디바이스위치(10C)로 이동시킬 수 있다. 활성화키(KB)는 상대좌표 영역에서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이동시키는 경우에 커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사용자 입력키이다. 사용자가 활성화키(KB)를 누르지 않고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이동하였으므로, 도시한 바와 같이, 커서는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 2디바이스위치(10B)에서 제 3디바이스위치(10C)로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이동할 수 있다.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활성화키(KB)를 누르거나 누르지 않음으로서 수동으로 상대좌표 영역에서의 오브젝트 제어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2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활성화키(KB)를 누르지 않으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커서는 제 2커서위치(C2)에서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활성화키(KB)를 눌렀다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커서는, 상대좌표 영역에서의 3D 포인팅 디바이스(10) 이동에 대응하여 제 2커서위치(C2)에서 제 3커서위치(C3)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7 및 도 28은 절대좌표 거동과 상대좌표 거동이 전환되는 또 다른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스쳐 동작을 통하여 상대좌표 영역에서의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이동에 따른 커서의 이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2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절대좌표 영역에서 상대좌표 영역으로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이동할 수 있다.
도 2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길이방향 축(AX)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스쳐(G1)를 취할 수 있다. 상대좌표 영역에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 제스쳐(G1)를 취하는 경우에 상대좌표 영역에서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이동하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커서가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이동에 대응되어 이동할 수 있다.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동작(a), 세로동작(b), 8자 동작(c), 별형동작(d)과 같이 다양한 제스쳐 동작이 가능할 수 있다.
도 29는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감도를 조절하는 일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실재로 이동한 거리와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이동에 대응하여 커서가 이동되는 거리는 상이할 수 있다.
도 2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디바이스위치(10A)에서 제 2디바이스위치(10B)로 이동한 경우에,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지향방향은 D1 만큼 이동할 수 있으며, 제어부(도 4의 207)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커서를 제 1커서위치(C1)에서 제 2커서위치(C2)로 D2 만큼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D1과 D2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일 수 있다. 즉,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이동된 거리와 커서가 이동된 거리를 동일한 감도로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D1 만큼 이동 할 수 있으며, 제어부(도 4의 207)는 커서를 D3 만큼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D3는 D1보다 긴 거리일 수 있다. 즉,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감도가 좋게 하여,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조금만 움직여도 커서의 이동 거리가 길어지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D1 만큼 이동할 수 있으며, 제어부(도 4의 207)는 커서를 D4 만큼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D4는 D1보다 짧은 거리일 수 있다. 즉,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감도를 나쁘게 하여,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많이 움직여도 커서의 이동 거리가 그에 미치지 못하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30 및 도 31은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감도를 조절하는 다른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와 디스플레이 장치(20) 간의 거리를 고려하여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감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디스플레이 장치(20)로부터 제 1디바이스위치(10A) 또는 제 2디바이스위치(10B)에서 조작할 수 있다. 제 1디바이스위치(10A)는 디스플레이 장치(20)에서 DA 거리만큼 이격되었으며, 제 2디바이스위치(10B)는 디스플레이 장치(20)에서 DB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 1디바이스위치(10A)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할 때, 절대좌표 영역의 폭이 ac*2 도(degree)이다. 이에 반하여, 제 2디바이스위치(10B)에선느,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할 때, 절대좌표 영역의 폭이 ad*2 도(degree)이다. 따라서 제 2디바이스위치(10B)에서 사용자는 작은 작도로 움직여야 하며, 제 1디바이스위치(10A)에서는 큰 각도로 움직여야 한다. 이와 같은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제 2디바이스위치(10B)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메뉴 등에 대한 세심한 조작이 힘들 수도 있다.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도 4의 207)은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제 2디바이스위치(10B)에 위치하는 경우에, 가상의 디스플레이부(151B)가 있는 것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실제의 디스플레이부(151A)와 동일한 폭이 형성되는 위치에 가상의 디스플레이부(151B)를 설정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3D 포인팅 디바이스(10)와 디스플레이 장치(20)의 거리는 거리 센서(도 3의 109)를 통하여 획득할 수 있다. 거리 센서(도 3의 109)는 초음파, 적외선 센서 등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3D 포인팅 디바이스(10)와 디스플레이 장치(20) 간의 거리에 관계없이 절대좌표 영역의 폭을 동일하게 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장치(20)의 거리에 관계없이 동일한 감각으로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조작할 수 있다.
도 32는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정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와 관련된 설정을 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제 7팝업창(M7)은 상대좌표 이동이 이루어지는 태양을 설정하는데 제공될 수 있고, 제 8팝업창(M8)은 감도를 조절하는데 제공될 수 있으며, 제 9팝업창(M9)은 거리보정 기능을 사용할지 여부를 설정하는데 제공될 수 있다.
도 33 및 도 34는 절대좌표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절대좌표 영역의 범위를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아닌 가상의 영역(VA)을 절대좌표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측에 시청자가 위치하고, 그 측면에서 가상의 영역(VA)을 향하여 조작자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라면, 절대좌표 영역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설정하는 것은 불편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 사용자는 가상의 영역(VA)을 설정하고, 설정된 가상의 영역(VA)의 일 지점을 절대기준점(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가상의 영역(VA) 내에서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포인팅지점이 이동하는 경우에는 절대기준점(0)을 중심으로 절대좌표 거동을 하게 된다.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보다 작은 영역(VA1) 또는 큰 영역(VA2, VA3)에 대하여 절대좌표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51)에서 멀리 위치하고 있는 관계로 거리보정 기능을 사용하여도 원하는 조작감을 얻을 수 없는 경우에는, 절대좌표 영역을 확대(VA2, VA3)함으로써 원하는 조작감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3D 포인팅 디바이스 20 : 디스플레이 장치
151 : 디스플레이부

Claims (44)

  1. 오브젝트(object)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3차원 움직임을 인식하는 3D 포인팅 디바이스(3-Dimensional Pointing Device)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무선 신호에 기반하여 절대좌표 영역과 상대좌표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한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이동 궤적을 산출하고, 상기 이동 궤적이 속하는 영역의 속성에 대응되도록 상기 표시한 오브젝트의 위치를 결정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절대좌표 영역의 속성은 설정된 절대기준점을 중심으로 상기 이동 궤적을 산출하며, 상기 상대좌표 영역의 속성은 상기 이동 궤적을 형성하는 포인트들의 상대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궤적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한 이동 궤적 중 상기 절대좌표 영역에 속하는 이동 궤적에 대해서는 상기 절대좌표 영역의 속성에 대응되도록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를 변경하고, 상기 산출한 이동 궤적 중 상기 상대좌표 영역에 속하는 이동 궤적에 대해서는 상기 상대좌표 영역의 속성에 대응되도록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한 이동 궤적이 상기 절대좌표 영역에서 상기 상대좌표 영역으로 진입하면, 상기 상대좌표 영역에 대응된 이동 궤적에 따른 상기 표시한 오브젝트의 위치 변경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자동 전환모드와 수동 전환모드를 포함하는 기설정된 변환모드에 따라서 상기 표시한 오브젝트의 위치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한 이동 궤적이 상기 상대좌표 영역에서 상기 절대좌표 영역으로 진입하면, 상기 진입한 궤적에 대응되도록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신호에 포함된 지자기 센서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궤적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지자기 센서의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에서 송출된 상기 무선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궤적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자기 센서의 신호를 상기 절대좌표 영역에서의 이동 궤적의 산출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궤적을 기 설정된 비율로 변경하여 상기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거리에 따라 상기 비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리에 비례하여 커지도록 상기 비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궤적이 상기 비율에 따라서 확대 또는 축소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대좌표 영역의 일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절대기준점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커서(cursor), 포인터(pointer), 인디케이터(indicator)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대좌표 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부 영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대좌표 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부 영역과 중첩되지 않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오브젝트(object)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3차원 움직임을 인식하는 3D 포인팅 디바이스(3-Dimensional Pointing Device)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무선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가 지향하는 포인팅지점을 결정하고, 절대좌표 영역과 상대좌표 영역 중 상기 결정한 포인팅지점에 해당하는 영역의 속성에 대응되도록 상기 표시한 오브젝트의 위치를 결정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한 포인팅지점이 상기 절대좌표 영역에 속하는 경우에는 절대기준점을 중심으로 상기 표시한 오브젝트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포인팅지점이 상대좌표 영역에 속하는 경우에는 상기 포인팅지점 이전의 포인팅지점과의 상대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한 오브젝트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한 포인팅지점이 상기 절대좌표 영역에 속하고 상기 결정한 포인팅지점의 이전 포인팅지점이 상기 상대좌표 영역에 속하는 경우에, 상기 표시한 오브젝트의 위치 변경을 계속할 것인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한 포인팅지점이 상대좌표 영역에 속하고 상기 결정한 포인팅 지점의 이전 포인팅지점이 상기 절대좌표 영영게 속하는 경우에, 상기 표시한 오브젝트의 위치를 상기 결정한 포인팅지점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신호에 포함된 지자기 센서의 신호에 기초하거나, 상기 지자기 센서의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에서 송출된 상기 무선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포인팅 지점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자기 센서의 신호를 상기 절대좌표 영역에서의 이동 궤적의 산출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3.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궤적을 기 설정된 비율로 변경하여 상기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4.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대좌표 영역의 일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절대기준점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5.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대좌표 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부 영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6. 오브젝트(object)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지자기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의 동작을 통하여 3차원 움직임을 인식하는 3D 포인팅 디바이스(3-Dimensional Pointing Device)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무선 신호에 기반하여 절대좌표 영역과 상대좌표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한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이동 궤적을 산출하고, 상기 이동 궤적이 속하는 영역의 속성에 대응되도록 상기 표시한 오브젝트의 위치를 결정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절대좌표 영역은 설정된 절대기준점을 중심으로 상기 이동 궤적을 산출하는 영역이며, 상기 상대좌표 영역은 상기 이동 궤적을 형성하는 포인트들의 상대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궤적을 산출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7. 3D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무선 신호에 기반하여 절대좌표 영역과 상대좌표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한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이동 궤적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궤적이 속하는 영역의 속성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 오브젝트의 위치 변경을 결정하는 제 1결정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절대좌표 영역은 설정된 절대기준점을 중심으로 상기 이동 궤적을 산출하는 영역이며, 상기 상대좌표 영역은 상기 이동 궤적을 형성하는 포인트들의 상대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궤적을 산출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결정 단계는,
    상기 산출한 이동 궤적 중 상기 절대좌표 영역에 속하는 이동 궤적에 대해서는 상기 절대좌표 영역의 속성에 대응되도록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 변경을 결정하는 제 2 결정 단계; 및
    상기 산출한 이동 궤적 중 상기 상대좌표 영역에 속하는 이동 궤적에 대해서는 상기 상대좌표 영역의 속성에 대응되도록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 변경을 결정하는 제 3 결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한 이동 궤적이 상기 절대좌표 영역에서 상기 상대좌표 영역으로 진입하면, 상기 상대좌표 영역에 대응된 이동 궤적에 따른 상기 표시한 오브젝트의 위치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제 4결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한 오브젝트의 위치 변경을 계속할 것인지 여부는 기설정된 변환모드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변환모드는 자동 전환모드와 수동 전환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31.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한 이동 궤적이 상기 상대좌표 영역에서 상기 절대좌표 영역으로 진입하면, 상기 진입한 궤적에 대응되도록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 5결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32.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궤적은,
    상기 무선 신호에 포함된 지자기 센서의 신호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33.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궤적은,
    지자기 센서의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에서 송출된 상기 무선 신호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34. 제 32항 또는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지자기 센서의 신호는,
    상기 절대좌표 영역에서의 이동 궤적의 산출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35.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결정 단계는,
    상기 이동 궤적을 기 설정된 비율로 변경하여 상기 위치 변경을 결정하는 제 5결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비율은,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거리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37.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비율은,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리에 비례하여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38.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비율은,
    상기 이동 궤적을 확대 또는 축소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39.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절대기준점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40.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절대기준점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절대좌표 영역의 일 지점에 타켓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가 상기 타겟영역을 지향하도록 인디케이팅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41.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절대기준점은,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페어링(paring)하며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42.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커서(cursor), 포인터(pointer), 인디케이터(indicator)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43.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절대좌표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부 영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44.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절대좌표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부 영역과 중첩되지 않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00002505A 2010-01-12 2010-01-12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46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505A KR101646953B1 (ko) 2010-01-12 2010-01-12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CT/KR2011/000176 WO2011087250A2 (en) 2010-01-12 2011-01-11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3/005,153 US8878775B2 (en) 2010-01-12 2011-01-12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505A KR101646953B1 (ko) 2010-01-12 2010-01-12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2664A true KR20110082664A (ko) 2011-07-20
KR101646953B1 KR101646953B1 (ko) 2016-08-09

Family

ID=44258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2505A KR101646953B1 (ko) 2010-01-12 2010-01-12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878775B2 (ko)
KR (1) KR101646953B1 (ko)
WO (1) WO2011087250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659B1 (ko) * 2012-09-14 2014-09-24 (주)네오위즈게임즈 단말기 센서를 활용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그리고 센싱값을 제공하는 방법, 단말기 및 기록매체
KR20160093307A (ko) * 2015-01-29 2016-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197395B2 (en) 2012-02-29 2019-0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three-dimensional (3D) position and direction precisely
KR20190023636A (ko) * 2017-08-29 2019-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컨트롤러를 이용한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WO2021049677A1 (ko) * 2019-09-10 2021-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264B1 (ko) * 2009-07-10 2016-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3d 포인팅 디바이스, dtv, dtv의 제어방법 및 dtv 시스템
US9152244B2 (en) * 2011-01-30 2015-10-06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120206350A1 (en) * 2011-02-13 2012-08-16 PNI Sensor Corporation Device Control of Display Content of a Display
KR101789683B1 (ko) * 2011-06-13 2017-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그리고 리모컨 장치
DE102012208748B4 (de) * 2011-06-21 2023-07-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erfahren und System zur Fernsteuerung von Funktionen eines Mauszeigers einer Rechnereinheit
KR20130072638A (ko) * 2011-12-22 2013-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US20130194180A1 (en) * 2012-01-27 2013-08-01 Lg Electronics In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30130453A (ko) * 2012-05-22 2013-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2693330A1 (en) * 2012-08-03 2014-02-05 Alcatel Lucent A method, a server and a pointing device for enhancing presentations
TWI484376B (zh) * 2012-08-09 2015-05-11 Pixart Imaging Inc 互動系統及遙控裝置
US9838573B2 (en) * 2012-09-18 2017-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guiding controller to move to within recognizable range of multimedia apparatus, the multimedia apparatus, and target tracking apparatus thereof
KR20150145243A (ko) * 2013-04-23 2015-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CN103257710B (zh) * 2013-05-06 2017-03-15 江苏惠通集团有限责任公司 空间鼠标发送鼠标数据的方法、控制鼠标指针移动的方法
EP2801891B1 (en) 2013-05-09 2018-1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put Apparatus, Pointing Apparatus, Method for Displaying Pointer, and Recordable Medium
US9310851B2 (en) 2013-06-03 2016-04-12 Amchael Visual Technology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3D) human-computer interaction system using computer mouse as a 3D pointing device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180046265A1 (en) * 2013-06-06 2018-02-15 Idhl Holdings, Inc. Latency Masking Systems and Methods
CN103327389B (zh) * 2013-07-01 2016-01-06 冠捷显示科技(厦门)有限公司 一种基于绝对坐标定位技术的鼠标屏界外控制方法及***
US9678583B2 (en) 2013-07-23 2017-06-13 University Of Kentucky Research Foundation 2D and 3D pointing device based on a passive lights detection operation method using one camera
US9201519B2 (en) 2013-08-14 2015-12-01 Amchael Visual Technology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pointing using one camera and three aligned lights
KR20150034955A (ko) * 2013-09-27 2015-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EP2887184A1 (en) * 2013-12-23 2015-06-24 Movea Air pointer with improved user experience
JP6280390B2 (ja) * 2014-02-21 2018-02-14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6262563B2 (ja) * 2014-02-21 2018-01-17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20150117018A (ko) * 2014-04-09 2015-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팅 장치, 컴퓨팅 장치 제어 방법 및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
CN104270657B (zh) * 2014-09-09 2018-11-0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20160044260A (ko) * 2014-10-15 2016-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881004B2 (ja) * 2017-05-09 2021-06-02 船井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CN110069147B (zh) * 2018-01-23 2023-02-03 可赛尔内存股份有限公司 操控装置及其控制方法
GB201812080D0 (en) * 2018-07-24 2018-09-05 Kano Computing Ltd Motion sensing controller
US11334174B2 (en) 2019-07-18 2022-05-17 Eyal Shlomot Universal pointing and interacting device
CN111026314B (zh) * 2019-10-25 2022-03-25 华为终端有限公司 控制显示设备的方法及便携设备
WO2021246548A1 (ko) * 2020-06-04 2021-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의 동작방법
CN114760513A (zh) * 2022-04-22 2022-07-15 海信电子科技(武汉)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及光标定位方法
KR102429967B1 (ko) * 2022-06-02 2022-08-05 주식회사 보나 자이로 센서 기반의 광학식 전자펜의 디스플레이 엣지 처리 시스템 및 방법
WO2024111716A1 (ko) * 2022-11-25 2024-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9210A (ko) * 2006-02-01 2007-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 영역을 이용한 포인팅 장치,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포인팅 방법 및 포인터 디스플레이 방법
WO2008059614A1 (fr) * 2006-11-15 2008-05-22 Kabushiki Kaisha Sega Doing Business As Sega Corporation Programme pour commander le mouvement d'un objet affiché exécuté dans un dispositif de jeu à l'aide d'un dispositif de pointage direct
WO2009072504A1 (ja) * 2007-12-07 2009-06-11 Sony Corporation 制御装置、入力装置、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ハンドヘルド装置
KR20090106767A (ko) * 2008-04-07 2009-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3차원 공간상의 포인팅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33316B2 (en) * 2003-05-01 2007-06-19 Thomson Licensing Multimedia user interface
JP4494002B2 (ja) * 2003-12-19 2010-06-30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切替器および切替器の切替方法
US9229540B2 (en) * 2004-01-30 2016-01-05 Electronic Scripting Products, Inc. Deriving input from six degrees of freedom interfaces
ES2664472T3 (es) * 2004-04-30 2018-04-19 Idhl Holdings, Inc. Dispositivos de señalización de espacio libre con compensación de inclinación y facilidad de uso mejorada
US8291346B2 (en) * 2006-11-07 2012-10-16 Apple Inc. 3D remote control system employing absolute and relative position detection
US8760400B2 (en) * 2007-09-07 2014-06-24 Apple Inc. Gui applications for use with 3D remote controller
KR101426082B1 (ko) * 2007-10-04 2014-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대상장치를 원격제어하는 방법및 그 시스템
TWI400630B (zh) * 2008-08-11 2013-07-01 Imu Solutions Inc 選擇裝置及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9210A (ko) * 2006-02-01 2007-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 영역을 이용한 포인팅 장치,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포인팅 방법 및 포인터 디스플레이 방법
WO2008059614A1 (fr) * 2006-11-15 2008-05-22 Kabushiki Kaisha Sega Doing Business As Sega Corporation Programme pour commander le mouvement d'un objet affiché exécuté dans un dispositif de jeu à l'aide d'un dispositif de pointage direct
WO2009072504A1 (ja) * 2007-12-07 2009-06-11 Sony Corporation 制御装置、入力装置、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ハンドヘルド装置
KR20090106767A (ko) * 2008-04-07 2009-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3차원 공간상의 포인팅 장치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97395B2 (en) 2012-02-29 2019-0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three-dimensional (3D) position and direction precisely
KR101415659B1 (ko) * 2012-09-14 2014-09-24 (주)네오위즈게임즈 단말기 센서를 활용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그리고 센싱값을 제공하는 방법, 단말기 및 기록매체
KR20160093307A (ko) * 2015-01-29 2016-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719147B2 (en) 2015-01-29 2020-07-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90023636A (ko) * 2017-08-29 2019-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컨트롤러를 이용한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WO2021049677A1 (ko) * 2019-09-10 2021-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6953B1 (ko) 2016-08-09
US20110169734A1 (en) 2011-07-14
WO2011087250A3 (en) 2011-12-01
WO2011087250A2 (en) 2011-07-21
US8878775B2 (en) 2014-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695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72960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able, display control method, program, portable termi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8531399B2 (en) Control apparatus, input apparatus,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and handheld apparatus
US9223416B2 (en)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l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10187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er interface to select object within image and image input device
JP5255674B2 (ja) データ送信操作機器、および、データ送信制御方法
US20130342456A1 (en)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10072399A1 (en) Method for providing gui which generates gravity map to move pointer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40100542A (ko)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080088802A (ko) 디스플레이 상에서 포인터 이동속도가 가변적인 gui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KR101872272B1 (ko) 제어 기기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80253161A1 (en) Spatial motion-based user interactivity
KR101339985B1 (ko) 원격 제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80094200A (ko) 포인터가 위치한 영역에 메뉴 아이템을 나타내는 gui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KR20110002922A (ko) 전자 기기 및 이를 이용한 기능 수행 방법
EP3051513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63998A (ko) 원격조종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1341940B2 (en) Head mounted display and setting method
KR20160089312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비행체를 제어하는 원격제어방법
KR101480890B1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659303B1 (ja) 機器制御方法、機器制御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電子機器
KR20100055286A (ko) 그래픽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KR101583820B1 (ko) 원격조종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25914A (ko) 원격조종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13242467A (zh) 视频剪辑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